KR100680153B1 -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153B1
KR100680153B1 KR1020000042777A KR20000042777A KR100680153B1 KR 100680153 B1 KR100680153 B1 KR 100680153B1 KR 1020000042777 A KR1020000042777 A KR 1020000042777A KR 20000042777 A KR20000042777 A KR 20000042777A KR 100680153 B1 KR100680153 B1 KR 10068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moving
centrifugal
spoo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960A (ko
Inventor
가와사키겐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657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74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657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78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356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743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1006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제한된 통형의 제동부재와,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또한 제동부재에 대하여 스풀의 회전축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한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제동부재를 향해 이동하고, 회전부재와 제동부재와의 회전축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 제동부재에 다른 개수로 접촉가능한 복수의 이동부재와, 제동부재와 회전부재를 회전축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여, 제동부재를 회전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동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복수의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개수가 변화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Centrifugal brake for dual bear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고,
도 3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단면확대도이고,
도 5는 이동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확대도이고,
도 6은 이동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측면도이고,
도 7은 제동부재가 스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그 이동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4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제4 실시형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이동부재의 단면부분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X-X단면도이고,
도 16은 제5 실시형태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7은 제5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8은 제5 실시형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5 실시형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20은 제5 실시형태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21은 제5 실시형태의 이동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제5 실시형태의 도 7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23은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12: 스풀
16: 스풀축
23: 원심 브레이크 기구
51: 제동부재
52a∼52f: 이동부재
53: 회전부재
56a∼56f: 가이드축
54: 이동기구
59: 절환기구
60a∼60f: 오목부
61: 빠짐방지돌기
62, 92a∼92f: 고정돌기
64, 94: 이동돌기
70: 제동손잡이
74 회전캠기구
91a∼91f: 홈
99c: 걸림오목부
100: 축부
103 걸림돌기
본 발명은 제동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루어 낚시에 사용되는 베이트릴이라 불리우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캐스팅시 스풀의 회전속도가 낚시줄풀림 속도보다 빨라지는 백 래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동력을 스풀에 작용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동장치로서 스풀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원심제동기구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동장치의 원심제동기구에 있어서, 릴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8800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원심제동기구는, 스풀축의 축방향의 다른 위치에 지름방향을 따라 스풀축을 관통하여 고정된 두 개의 가이드축과, 각 가이드축의 양단부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4개의 이동부재와,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스풀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동부재와, 제동부재를 스풀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재는 이동부재의 외주측에 배치된 통형의 부재이다. 이동기구는 제동부재를 릴 외부로부터 조작가능한 기구이다.
상기 종래의 원심제동기구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가이드축에 장착된 이동부재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동부재가 스풀축 바깥쪽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이동기구에 의해 릴 외부로부터 제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동부재에의 이동부재의 접촉개수가 변화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원심제동장치에서는, 스풀축을 관통하여 가이드축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두 개의 가이드축의 스풀축방향의 위치를 가이드축의 직경이상 떨어뜨려야 한다. 따라서, 제동력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제동부재를 가이드축의 직경이상 스풀축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며, 축방향의 다른 가이드축의 개수에 의존하는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어렵다.
게다가, 제동력의 조정범위가 모든 가이드축에 장착된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최대제동상태로부터 하나의 가이드축에 장착된 이동부재가 접촉하는 최소 제동상태까지의 범위로 규제되며, 조정범위가 고정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풀축을 관통하는 가이드축이 두 개인 경우에는 네 개의 이동부재가 접촉하는 최대제동상태와, 두 개의 이동부재가 접촉하는 최소제동상태의 두단계의 범위로밖에 제동력을 조정할 수 없어,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고, 제동력의 조정범위가 고정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의 조정을 세밀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제동력의 조정범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제동특성이 다른 복수의 이동부재의 조합오류를 방지하는 데 있다.
발명 1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장치로서, 통형의 제동부재와, 회전부재와, 복수의 이동부재와,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재는,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제한된 통형의 부재이다. 회전부재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또한 제동부재에 대하여 스풀의 회전축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한 부재이다. 이동부재는, 회전부재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제동부재를 향해 이동하며, 회전부재와 제동부재의 회전축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 제동부재에 다른 개수로 접촉가능한 부재이다. 이동기구는, 제동부재와 회전부재를 회전축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기구이다.
이러한 원심제동장치에서는, 예컨대, 제동부재를 회전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동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복수의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개수가 변화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동부재는, 스풀축을 관통하느 가이드축이 아니라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를 회전축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미세하게 어긋나게 할 수 있으며,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이동부재의 회전축방향위치를 다르게 하여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수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위치만을 축방향에서 다르게 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부재의 회전축방향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제동력을 더욱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를 다른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한 비작용자세와 접촉가능한 작용자세로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절환가능한 절환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절환수단에 의해 이동부재를 작용자세와 비작용자세로 절환함으로써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의 수를 절환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절환수단에 의해 이동부재를 비작용자세와 작용자세로 절환할 수 있으므로, 최대제동력이나 최소제동력이나 제동력의 변화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력의 조정범위를 변경할 수 있으며, 낚시바늘뭉치의 무게나 낚시법 등에 따라 제동력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발명 3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제동부재에의 접촉위치가 회전축방향에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부재의 접촉위치를 회전축방향으로 다르도록 함으로써, 제동부재의 회전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이동부재의 개수를 변화시켜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4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부재는, 회전부재에 제동부재를 향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부에 스풀의 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부가 회전부재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부를 회전축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경우에 미세하게 어긋나게 할 수 있으며,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5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제동부재를 향해 방사상으로 회전부재에 세워져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축을 포함하며, 복수의 이동부재는 가이드축에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축이 회전부재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으므로, 가이드축을 회전방향으로 어긋나게 할 경우, 가이드축의 직경에 관계없이 미세하게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5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축 중 적어도 일부는 회전축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회전부 재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일부의 가이드축의 회전축방향의 위치가 다른 것에 대하여 어긋나 있으므로,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의 개수를 제동부재의 회전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5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환수단은, 이동부재를 가이드축의 다른 축방향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두 개의 자세로 절환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이동부재를 가이드축의 다른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이동부재의 자세를 간단히 절환할 수 있다.
발명 8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7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축은,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오목부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으며, 절환수단은 오목부의 회전방향의 대향하는 측벽에 이동부재 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고정돌기와, 이동부재에 한쌍의 고정돌기에 걸림가능하게 돌출하여 형성된 이동돌기를 가지며, 두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탄성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돌기에 대하여 이동돌기를 걸리게 함으로써 이동부재의 가이드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여 비작용자세로 절환한다. 이 때문에, 절환수단의 구성이 간소해진다. 게다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기의 탄성을 이용하여 간단히 걸림 및 걸림해제할 수 있다.
발명 9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8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전부재는, 고정돌기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이동돌기에 걸림가능한 빠짐방지돌기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빠짐방지돌기에 의해 이동부재가 가이드축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므로, 예컨대, 제동부재로부터 회전축방향으로 어긋난 이동부재가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축으로부터 빠지거나 다른 부재에 접촉하거나 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스풀을 릴 본체로부터 빼내어도 가이드축으로부터 이동부재가 빠지지 않게 된다.
발명 10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방향 위치가 같은 위치의 가이드축에 장착된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회전축방향의 접촉위치가 다른 이동부재와 다른 접촉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축방향의 위치가 같은 가이드축에 장착된 이동부재라도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축방향의 다른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력을 더욱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11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가이드축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마련되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며, 접촉부의 회전축방향의 길이는 본체부의 회전축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이 경우, 본체부상에 있어서 접촉부를 회전축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개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더욱 미세하게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립오차의 허용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동부재의 이동량을 어느 정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발명 12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가이드축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마련되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며, 접촉부의 회전축방향의 길이는 가이드축의 회전축방향의 간격의 길이 보다 짧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접촉부가 접촉되어 있을 때, 제동부재를 가이드축의 회전축방향의 간격의 길이만큼 이동시키면 접촉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가이드축의 간격의 길이를 더욱 짧게 한 경우라도, 제동부재를 가이드축의 간격의 길이만큼 이동시키면,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개수를 확실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발명 13에 다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제동부재를 향해 방사상으로 회전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복수의 이동부재는 가이드면에 상기 스풀의 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가이드면에 이동부재를 이동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회전부재에 가이드축을 장착하는 공정을 삭감할 수 있다.
발명 14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환수단은, 이동부재를 가이드면의 다른 지름방향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두 개의 자세로 절환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이동부재를 다른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이동부재의 자세를 간단히 절환할 수 있다.
발명 15에 다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3 또는 1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면 중 적어도 일부는, 회전축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회전부재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일부의 가이드면의 회전축방향의 위치가 다른 것에 대하여 어긋나 있으므로,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의 개수를 제동부재의 회전축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제동력을 미세 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16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부재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요동축회전방향으로 각각 요동가능하게 또한 제동부재에 각각 접촉가능하게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이동부재가 요동하여 제동부재에 접촉하므로, 이동부재가 회전부재로부터 이탈하기 어려워지며, 이동부재를 분실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동부재가 직선이동이 아니라 요동하므로, 회전축방향의 공간은 커지나, 이동이 원활해진다.
발명 17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환수단은, 이동부재를 다른 요동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두 개의 자세로 절환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이동부재를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이동부재의 자세를 간단히 절환할 수 있다.
발명 18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요동축 중 적어도 일부는 회전축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회전부재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의 개수를 제동부재의 회전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19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기구는,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의 회동을 회전축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제동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캠기구를 갖는 다. 이 경우에는, 회전캠기구에 의해 회전운동을 축방향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있으므로, 조작량(회전량)에 대하여 회전축방향의 이동량을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쉽다.
발명 20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전부재는, 스풀에 회전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부재가 스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스풀축에 대하여 스풀이 회전가능한 구성에서도 스풀을 제동할 수 있다.
발명 21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전부재는, 스풀의 회전축에 회전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부재가 스풀의 회전축에 회전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스풀형상에 관계없이 스풀을 제동할 수 있다.
발명 22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로서,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제한된 제동부재와,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세워져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축과, 가이드축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제동부재를 향해 이동하여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동특성이 다른 복수의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원심제동장치에서는,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동특성이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동특성이 다른 이동부재를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써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23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2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특성이 다른 이동부재는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축에만 장착가능하다. 제동특성이 다른 복수의 이동부재를 갖는 제동장치에서는, 예컨대 복수의 가이드축이 모두 동일하면, 제동특성이 다른 이동부재를 어느 가이드축에나 자유로이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를 균형있게 배치하기 위하여 소정의 가이드축에 대응시켜 각 이동부재를 장착할 때, 제동특성이 다른 이동부재의 조합오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발명 23에 따른 원심제동장치에서는, 제동특성이 다른 이동부재는 대응하는 소정의 가이드축에만 장착되게 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의 장착위치의 착오에 의한 조합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이동부재를 소정의 가이드축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명 24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2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축은, 제동특성이 다른 이동부재의 각각에 대응하여 횡단면형상이 다르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축의 횡단면형상의 차이에 의해 소정의 가이드축에 각각 대응하는 이동부재만을 장착할 수 있다.
발명 25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2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축은, 횡단면형상이 스풀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부재는 가이드축에 대하여 회전방지가 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방향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발명 26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25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축은, 횡단면형상이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명 27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22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질량이 다름으로써 제동특성이 다르다. 이 경우, 이동부재의 질량을 다르게 함으로써 원심력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제동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발명 28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22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찰계수가 다름으로써 제동특성이 다르다. 이 경우, 예컨대, 이동부재의 재질을 바꾸거나, 제동부재와의 접촉부분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마찰계수를 다르게 하여, 각 이동부재의 제동특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발명 29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22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른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한 비작용자세와 접촉가능한 작용자세로 절환가능한 절환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절환수단에 의해 이동부재를 비작용자세와 작용자세로 절환할 수 있으므로, 최대제동력이나 최소제동력이나 제동력의 변화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력의 조정범위를 변경할 수 있으며, 낚시바늘뭉치의 무게나 낚시법 등에 따라 제동력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발명 30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29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환수단은, 이동부재를 가이드축의 다른 축방향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두 개의 자세로 절환가능하다. 이 경우, 이동부재를 가이드축의 다른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이동부재의 자세를 간단하게 절환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절환수단을 가 지고 있는 이동부재와 가지고 있지 않은 이동부재에 의해 제동특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절환수단을 가지고 있는 복수의 이동부재에 있어서, 비작용자세에 있는 이동부재와 작용자세에 있는 이동부재에 의해 제동특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발명 31에 따른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2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재는 스풀의 회전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이동부재는 제동부재의 회전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동부재에 다른 개수로 접촉가능하다. 이 경우, 위치가 다른 가이드축의 수에 의존하지 않고 제동력을 더욱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가 장착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양 베어링 릴은 주로 루어 낚시에 사용되는 베이트릴로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판형상의 아암부(2a)와, 아암부(2a)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2b)를 갖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다. 핸들(2)의 아암부(2a)의 외측면은 이음매가 없는 매끈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낚시줄이 엉키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측방에 장착된 제1 측커버(6) 및 제2 측커버(7)와, 프레임(5)의 상부에 장착된 섬레스트(10)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쌍의 측판(8, 9)과, 이들 측판(8, 9)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미도시)를 가 지고 있다.
핸들(2)측의 제2 측커버(7)는 나사에 의해 측판(9)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핸들(2)과 반대측의 제1 측커버(6)는 베이어닛(bayonet)구조(14)에 의해 프레임(5)의 측판(8)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과 반대측의 측판(8)에는 스풀(12)이 통과가능한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스풀(12)과, 스풀(12)내에 낚시줄을 균일하게 둘러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서밍을 행할 경우 엄지손가락이 놓이는 클러치 조작레버(17)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과 제2 측커버(7)와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기구(18)와, 클러치기구(13)와, 클러치조작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기구(13)의 결합/이탈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결합/이탈기구(19)와, 낚시줄 풀림시에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1)와, 스풀축(16)을 양단 사이에 끼워서 제동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8a)에는, 캐스팅시의 백 래쉬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양측부에 접시모양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으며, 양 플랜지부(12a)의 사이에 통형의 줄감기몸체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12)은 줄감기몸체부(12b)의 내주측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의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으며, 보스부(12c)를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예컨대 세레이션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6)은,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커버(7)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 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 측커버(7)에 형성된 보스부(29)에 베어링(35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축(16)의 타단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23) 내에서 베어링(35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15)는, 한쌍의 측판(8, 9)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통(25)과, 가이드통(25)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워엄 샤프트(26)와, 라인가이드(27)를 가지고 있다. 워엄샤프트(26)의 단부에는, 기어기구(18)를 구성하는 기어(28a)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워엄 샤프트(26)에는 나선형 홈(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라인가이드(27)가 이 나선형 홈(26a)에 맞물려져 있다. 이 때문에, 기어기구(18)를 통해 워엄샤프트(26)가 회전되어짐으로써, 라인가이드(27)는 가이드통(25)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이러한 라인가이드(27) 내에 낚시줄이 관통한 상태로 삽입되어 낚시줄이 스풀(12)에 균일하게 둘러 감긴다.
기어기구(18)는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기어(31)와,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통형의 피니언기어(32)와, 상술한 워엄 샤프트(26) 단부에 고정된 기어(28a)와, 핸들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기어(28a)에 맞물리는 기어(28b)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측판(9)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중심에 스풀축(16)이 관통하는 통형 부재로서, 스풀축(16)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의 우단부 외주에 형성되며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톱니(32a)와, 타단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를 가지고 있다. 톱니부(32a)와 맞물림부(32b)와의 사이에는 잘록부(32c)가 마련되어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언기어(32)의 단면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거기에 스풀축(16)을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클러치핀(16a)이 걸림고정된다. 여기서는 피니언기어(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의 오목홈과 스풀축(16)의 클러치핀(16a)이 이탈하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러한 맞물림부(32b)의 오목홈과 클러치핀(16a)에 의해 클러치기구(13)가 구성된다.
클러치조작레버(1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측판(8, 9) 사이의 뒷부분에서 스풀(12)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의 측판(8, 9)에는 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러치조작레버(17)를 고정하는 클러치 캠(미도시)이 이 장공을 관통하고 있다. 클러치조작레버(17)는 장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클러치 결합/이탈기구(19)는 클러치 요크(40)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결합/이탈기구(19)는 클러치조작레버(17)의 회동에 의해 클러치 요크(40)를 스풀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시킨다. 그리고, 핸들축(30)이 줄감기방향으로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클러치기구(13)가 온되도록 클러치요크(4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통상의 상태에서는 피니언기어(32)는 안쪽의 클러치 걸어맞춤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클러치핀(16a)이 걸어맞춤되어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40)에 의해 피니언 기어(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클러치핀(16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상태로 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보스부(29)의 외주측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캡(45)과, 캡(45)의 바닥부에 장착된 마찰플레이트(46) 와, 브레이크 케이스(후술)(55)에 장착된 마찰플레이트(47)를 구비하고 있다. 두 마찰플레이트(46, 47)는, 스풀축(16)의 양단에 접촉하여 스풀축(16)을 끼워지지하는 것으로서, 캡(45)을 돌려 두 마찰플레이트(46, 47)에서 발생하는 끼워잡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스풀(12)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케이스(55)에 스풀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동부재(51)와, 제동부재(51)에 접촉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배치된 6개의 이동부재(52a∼52f)와, 6개의 이동부재(52a∼52f) 중 3개의 이동부재(52a, 52c, 52e)를 제동부재(51)에 접촉 불가능한 비작용자세와 접촉가능한 작용자세로 절환할 수 있는 절환기구(59)와, 제동부재(51)를 스풀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54)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5)는, 바닥이 있는 짧은 통형의 부재로서, 그 내주측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손잡이 수납부(55a)가 형성되고, 손잡이수납부(55a)의 내측바닥부에 다시 안쪽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베어링수납부(55b)가 더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수납부(55a)의 외측바닥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막대모양의 손잡이 지지부(55c)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수납부(55b)에는, 스풀축(16)을 지지하는 베어링(35a)이 배치되고, 내측바닥부에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마찰플레이트(47)가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지지부(55c)는, 이동기구(54)의 제동손잡이(후술)(7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수납부(55a) 의 테두리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스풀축방향을 따라 3개 관통홈(55d)이 형성 되며, 손잡이지지부(55c)의 기단부(基端部)의 외주부에는 제동손잡이(70)의 회동량을 규제하기 위한 회동규제돌기(55e)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지지부(55c)의 외주면에는 둥근구멍(55f)이 지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5)는, 나사(49)(도2)에 의해 제1 측커버(6)에 고정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 케이스(55)는 릴 본체(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5)의 외주면에는 베이어닛구조(14)를 구성하는 돌기부(14a)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군데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8a)에는, 이 돌기부(14a)에 대향하는 위치에 걸림턱(14b)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4b)은 개구(8a)로부터 바깥쪽으로, 또한 내주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동부재(51)는, 브레이크 케이스(55)의 내주면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외통부(51a)와, 브레이크 케이스(55)의 손잡이수납부(55a)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내통부(51b)와, 두 통부(51a, 51b)를 연결하는 벽부(51c)를 갖는 통형 부재이다. 외통부(51a)의 내주면에는, 예컨대 구리계열 합금제인 브레이크 라이너(57)가 고정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라이너(57)가 이동부재(52a∼52f)에 접촉한다. 내통부(51b)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 개의 캠핀(51d)이 안쪽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캠핀(51d)은, 브레이크 케이스(55)의 관통홈(55d)에 걸려 제동부재(51)가 브레이크 케이스(5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캠핀(51d)은, 다시 관통홈(55d)을 관통하여 안쪽으로 돌출하여 회전캠기구(74)를 구성하고 있다. 외통부(51a)의 외주면에는 고리형 홈(51e)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홈(51e)에는 O링(58)이 장착되며, 이 O링(58)에 의해 제동부재(51)의 축방향의 움직 임을 저항감이 있는 원활한 움직임으로 하고 있다.
이동부재(52a∼52f)는, 회전부재(53)에 세워져 마련된 가이드축(56a∼56f)에 지름방향(가이드축(56a∼56f)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부재(53)는, 스풀축(16)에 세레이션등의 적절한 결합수단에 의해 회전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스풀(12)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회전부재(53)는, 스풀축(16)에 고정된 보스부(53a) 와, 보스부(53a)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통형부(53b)와, 통형부(53b)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원판부(53c)를 가지고 있으며, 원판부(53c)는 베어링수납부(55b) 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배치된다.
회전부재(53)의 원판부(53c)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주측면으로 개구하는 6개의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60a∼60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60a∼60f)에 가이드축(56a∼56f)이 방사상으로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이 중, 세 개의 오목부(60a, 60c, 60e)와 나머지 세 개의 오목부(60b, 60d, 60f)는 다른 구조이다. 즉 구조가 다른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60a, 60c, 60e)는 개구부에 둘레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면에 서로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빠짐방지돌기(61)를 가지며, 빠짐방지돌기(61)의 내주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고정돌기(62)를 가지고 있다. 고정돌기(62)는, 이동부재(52a, 52c, 52e)를 작용자세와 비작용자세로 절환하는 절환기구(59)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오목부(60b, 60d, 60f)는 빠짐방지돌기(61)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목부(60b, 60d, 60f)에는 절환기구(59)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가이드축(56a∼56f)은, 오목부(60a∼60f)의 바닥부에 지름방향을 따라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축(56a, 56c, 56e)과 나머지 가이드축(56b, 56b, 56f)은 모두 단면이 장원형인 축부재이다. 양자는 장원형 단면의 장축방향의 길이가 다르며, 가이드축(56a, 56c, 56e)은 가이드축(56b, 56d, 56f)보다 장축방향의 길이가 길다. 또한, 가이드축(56a, 56d)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의 가장 바깥쪽(도 5에서 좌측)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으며, 가이드축(56b, 56e)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의 가장 안쪽(도 5에서 우측)에 세워져 마련되며, 가이드축(56c, 56f)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중간위치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즉, 6개의 가이드축(56a∼56f)은 스풀축방향의 세군데에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동부재(52a∼52f)는, 가이드축(56a∼56f)에 스풀지름방향(가이드축 축방향)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동부재(51)의 스풀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동부재(51)의 브레이크 라이너(57)에 다른 수로 접촉하는 것이다. 6개의 이동부재(52a∼52f)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이 중, 세 개의 이동부재(52a, 52c, 52e)와 나머지 세 개의 이동부재(52b, 52d, 52f)는 거의 같은 형상인데, 장착되는 가이드축(56a∼56f)의 장축방향의 길이가 다른 만큼 가이드되는 구멍의 크기가 다르다.
이동부재(52a∼52f)는, 가이드축(56a∼56f)에 각각 안내되는 직육면체형상의 본체부(63)와, 본체부(63)의 내측단부(도 5에서 하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부(63)로부터 회전방향의 양방향(도 5에서 지면(紙面) 직교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이동돌기(64)와, 본체부(63)의 외측단부(도 5에서 상측단부)에 일체형성되며, 본체 부(63)로부터 스풀축방향의 양방향(도 5에서 좌우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접촉부(65)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63)의 내부에는, 스풀축(16)의 지름방향을 따라 장원형의 가이드공(67)이 관통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공(67)에 가이드축(56a∼56f)이 끼워져 이동부재(52a∼52f)가 가이드축(56a∼56f)에 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된다. 이동돌기(64)는, 한쌍의 고정돌기(62) 및 빠짐방지돌기(61)가 걸리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 이동돌기(64)가 고정돌기(62)와 빠짐방지돌기(61)와의 사이에 배치되면, 이동돌기(64)에 걸려 이동부재(52a∼52f)의 빠짐이 방지된다. 이 위치에 배치된 이동부재(52a, 52c, 52e)의 자세가 작용자세이다. 또한, 이동부재(52a, 52c, 52e)가 지름방향 안쪽으로 눌려들어가 고정돌기(62)보다 안쪽에 배치되면, 고정돌기(62)에 의해 이동돌기(64)가 걸려 이동부재(52a, 52c, 52e)가 제동부재(51)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 이 위치에 배치된 자세가 비작용자세이다. 이 고정돌기(62)와 이동돌기(64)에 의해 절환기구(59)가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제동부재(51)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52a, 52c, 52e)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한쌍의 접촉부(65)중 한쪽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접촉볼록부(66)가 돌출되어 있다. 돌출볼록부(66)는, 제동부재(51)의 브레이크 라이너(57)의 내주면(제동면)에 접촉하는 볼록부로서, 제동부재(51)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둘레방향(지면 직교방향)에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부재(52a∼52f)의 접촉볼록부(66)는, 가이드축(56a∼56f)에의 장착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제동부재(51)에 대하여 스풀축방향의 두 개의 다른 위치에서 접 촉한다. 즉, 도 5a에 실선으로 나타낸 제1 위치, 제1 위치와 장착상태를 반대로 한 2점쇄선으로 나타낸 제2위치이다. 또한, 가이드축(56a∼56f)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축방향의 다른 위치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서도 도 5a의 두 개 위치와 다른, 제3위치(2점쇄선)와 제4위치(실선), 제5위치(실선)와 제6위치(2점쇄선)에서 제동부재(51)에 접촉한다. 이 결과, 이동부재(52a∼52f)의 접촉볼록부(66)는 6개의 다른 스풀축방향 위치에서 제동부재(51)에 접촉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동력을 6단계로 조정가능하다. 이 6단계의 제동력은, 이동부재(52a∼52f)의 접촉볼록부(66)의 방향(장착상태)이나 제동부재(51)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52a∼52f)의 수 등에 따라 미세하게 변경가능하다. 예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2a∼52f)의 수가, 제동부재(51)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6-5-4-3-2-1의 순서로 변화한다. 이 이동부재(52a∼52f)가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각 단계에서의 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하는 사람의 취향, 또는 사용하는 미끼의 종류나 무게 등에 따라 자유로이 변경가능하다. 게다가 이동부재(52a, 52c, 52e)는 비작용자세와 작용자세로 절환가능하기 때문에, 제동력을 보다 작은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력의 조정범위도 변경할 수 있다.
이동기구(54)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제동손잡이(70)와, 제동손잡이(70)의 회동을 스풀축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제동부재(51)를 왕복운동시키는 회전캠기구(74)를 가지고 있다.
제동손잡이(70)는, 브레이크 케이스(55)의 손잡이 지지부(55c)에 장착되어 있 으며, 손잡이지지부(55c)의 선단에 체결된 볼트(76)에 의해 와셔(77)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동손잡이(70)는, 손잡이지지부(55c)에 장착되는 통형의 보스부(71)와, 보스부(71)의 외주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통형의 캠부(72)와, 보스부(71)와 캠부(72)를 연결하는 원판형상의 조작부(73)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71)와 손잡이지지부(55c)와의 사이에는, 제동손잡이(70)를 둘레방향의 여섯군데에서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기구(75)가 장착되어 있다. 위치결정기구(75)는, 둥근구멍(55f)내에 배치되어 있다. 보스부(71)의 선단에는, 노치부(71a)가 둘레방향으로 한군데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치부(71a)가 손잡이지지부(55c)에 형성된 회전규제돌기(55e)에 걸림으로써, 제동손잡이(70)의 회동범위가 예컨대, 90도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캠부(72)에는, 예컨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군데의 회전캠기구(74)를 구성하는 캠홈(80)이 지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캠홈(80)은, 축방향 및 둘레방향의 다른 위치에 동일한 간격으로 소정의 둘레방향 길이로 형성된 6개의 제동홈(80a)과, 각 제동홈을 연결하는 사행홈(80b)을 가지고 있으며, 대략 캠부(72)에 있어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73)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돌출부(73a, 73b)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한쪽의 돌출부(73b)에는 지침(指針; 73c)이 지름방향을 따른 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측커버(6)의 지침(73c)의 주위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부터 6까지의 문자가 새겨져 있으며, 지침(73c)이 가리킨 숫자가 제동력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캠기구(74)는, 제동부재(5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세 개의 캠핀(51d)과, 캠핀(51d)이 결합하는 캠홈(8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캠핀(51d)과 캠홈(80)의 결합에 의해, 제동손잡이(70)의 회동이 회전캠기구(74)의 축방향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게다가, 캠핀(51d)이 여섯군데의 제동홈(80a)에 걸어맞춤되면, 축방향의 여섯군데에서 회전캠기구(74)가 위치결정된다.
여기서, 캠핀(51d)이 가장 선단측(도 3에서 우측)의 제동홈(80a)에 걸어맞춤되면, 제동부재(51)가 전진하여 도 4에 나타낸 스풀(12)에 가장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동부재(51)의 브레이크 라이너(57)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2a∼52f)의 수가 최대로 되어 제동력이 최대로 된다. 또한, 가장 기단측(도 3에서 좌측)의 제동홈(80a)에 걸어맞춤되면, 도 7에 나타낸 위치로 제동부재(51)가 후퇴하여 스풀(12)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2a∼52f)의 수가 최소로 되어 제동력이 최소로 된다.
[릴의 동작]
통상의 상태에서는, 클러치 요크(40)는 안쪽으로 눌려져 있어 클러치 온의 상태이다. 이 결과,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메인기어(31), 피니언기어(32) 및 스풀축(16)을 통해 스풀(12)에 전달되고, 스풀(12)이 낚시줄 감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제동부재(52a∼52f)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제동부재(52a∼52f)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지만, 스풀(12)의 회전속도가 느리므로, 제동력은 그다지 커지지 않아 핸들(2)의 회전의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만약 제동력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면, 제동손잡이(70)를 회전시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제동력이 약한 위치에 제동부재(51)를 배치하면 된다.
캐스팅을 행할 경우에는, 백 래쉬를 억제하기 위해 제동 손잡이(70)를 회전시켜 제동력을 조정한다. 제동손잡이(70)를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캠기구(74)에 의해 제동부재(51)가 스풀(12)측으로부터 후퇴하고,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2a∼52f)의 수가 서서히 감소하여, 제동력이 서서히 약해진다. 그리고, 바늘(73c)이 수자「1」을 가리키는 위치까지 제동손잡이(70)가 회전하면, 도 7에 나타낸 위치에 제동부재(51)가 배치되어 제동력이 가장 약해진다.
계속하여, 클러치 조작 레버(17)를 아랫쪽으로 누른다. 클러치조작레버(17)의 이동에 의해 클러치요크(4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피니언기어(32)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클러치오프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오프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12)은 자유회전상태로 된다. 클러치오프상태로 하여 클러치조작레버(17)에 놓은 엄지손가락으로 스풀을 서밍하면서 스풀축(16)이 연직면을 따르도록 릴을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낚시대를 흔들면, 미끼가 던져져 스풀(12)이 낚시줄 풀림방향으로 세차게 회전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풀(12)의 회전에 의해 스풀축(16)이 낚시줄풀림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이 회전부재(53)로 전달된다. 회전부재(53)가 회전하면, 이동부재(52a∼52f)가 제동부재(51)에 미끄럼 접촉하여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 의해 스풀(12)이 제동되어 백 래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스풀(12)에서 백래쉬가 발생하더라도 제1 측커버(6)가 베이어닛 구조(14)에 의해 간단히 착탈될 수 있으므로, 백래쉬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무게가 다른 미끼로 바꿀 때에는, 미끼의 무게에 따라 제동손잡이(70)를 회동시켜 제동력을 6단계로 조정한다. 여기서는, 외부에 노출된 제동손잡이(70)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을 미세하고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동력을 조정하면,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2a∼52f)의 수가 변화하므로 제동력의 차이가 명확해진다. 게다가, 절환기구(59)에 의해 세 개의 이동부재(52a, 52c, 52e)를 제동부재(51)의 브레이크 라이너(57)에 접촉하는 작용자세와 접촉하지 않는 비작용자세로 절환할 수 있으므로, 제동력의 조정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부재(151)가 아닌 회전부재(153)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제동력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재(153)를 스풀축(16)에 회전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회전부재(153)를 베어링(135a)에 의해 브레이크 케이스(15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하는 회전부재(153)를 스풀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하지 않는 베어링(135a)의 외륜을 스풀축방향으로 이동기구(154)에 의해 이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베어링(135a)을 통해 회전부재(153)를 스풀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회전부재(153)의 원판부(153c)의 구성이나 이동부재(152a∼152f)의 구성 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재(153)가 스풀축(16) 방 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동부재(151)는 브레이크 케이스(155)에 고정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
상기 두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재를 가이드축에 의해 안내하였으나, 예컨대 오목부나 볼록부 등의 가이드면에 의해 이동부재(252a∼252f)를 지름방향으로 안내하여도 좋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부재(253)의 원판부(253c)의 단면에는, 스풀축(16)방향의 위치가 다른 여섯 개의 부채모양의 평면(290a∼290f)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중, 평면(290a, 290d), 평면(290b, 290e), 평면(290c, 290f)는 각각 스풀축(16)방향의 위치가 동일하며, 평면(290a, 290d)가 가장 축방향 바깥쪽(도 10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평면(290c, 290f)이 가장 축방향 안쪽에 위치하며, 평면(290b, 290e)이 양자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각 평면(290a∼290f)에는, 가이드면으로서의 홈(291a∼291f)이 지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홈(291a∼291f)에 이동부재(52a∼52f)가 안내되고 있다. 홈(291a∼291f)의 양측에 있어서 각 평면(290a∼290f)은 이동부재(252a∼252f)를 비작용자세로 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돌기(292a∼292f)가 축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이동부재(252a∼252f)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형상의 본체부(293)와, 본체부(293)의 지름방향 안쪽으로 회전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이동돌기(294)와, 본체부(293)의 지름방향 바깥쪽 단면에 돌출하여 일체형성된 접촉부(295)와, 본체부(293)의 회전방향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볼록부(296)를 가지고 있다. 세 개의 이동부재(252a∼252c)의 접촉부(295)는,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 와 같이, 축방향 바깥쪽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세 개의 이동부재(252d∼252f)의 접촉부(95)는, 도 11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 안쪽의 단면(걸림볼록부(96)측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볼록부(296)는, 홈(291a∼291f)에 결합하도록 단면이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스풀(12)이 회전하면, 이동부재(252a∼252f)가 홈(291a∼291f)에 안내되어 스풀(1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돌기(94)가 고정돌기(92a∼92f)의 내측에 위치하면, 이동부재(252a∼252f)가 비작용자세로 유지되어, 제동부재(51)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지름방향을 따른 홈 등의 오목부로 이루어진 가이드면 대신 지름방향을 따른 볼록부나 구멍 등의 가이드면에 의해 이동부재를 안내하여도 좋다.
[제4 실시형태]
상기 세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재가 스풀(12)의 지름방향을 따라 직선이동되었으나,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부재(352a∼352f)를 요동축 둘레로 요동가능하도록 장착하여도 좋다.
회전부재(353)의 원판부(353c)의 외주측의 측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6개의 장착오목부(397a∼397f)가 형성되어 있다. 각 장착오목부(397a∼397f)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현방향길이를 가지며, 바닥면이 반원형인 구멍이다. 이 장착오목부(397a∼397f)에 이동부재(352a∼352f)가 현방향을 따른 요동축 둘레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장착오목부(397a∼397f)의 개구면에는 이동부재(352a∼352f)를 걸림고정하기 위 한 걸림판(398)이 나사고정되어 있다. 각 장착오목부(397a∼397f)의 외주측의 측면에는, 소정각도(R1)로 경사진 경사면(39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측의 측면에는, 소정각도(R2)로 경사진 경사면(399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측의 경사면(399a) 및 내주측의 경사면(399b)은, 각 이동부재(352a∼352f)의 요동각도를 규제하며, 각 이동부재(352a∼352f)를 비작용상태로 규제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각(R1)은 예컨대 3°∼5°정도이며, 경사각(R2)은 예컨대 75°∼90°정도이다. 이 경사각(R1)은, 제동부재(51)의 내측에 고정된 브레이크 라이너(57)에 이동부재(352a∼352f)의 선단이 들어갈 수 있는 위치가 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내주측의 측면에 형성된 각도(R2)의 경사면(399b)에는, 둥근구멍형상의 걸림오목부(39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오목부(399c)는, 이동부재(352a∼352f)를 비작용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이동부재(352a∼352f)는, 회전부재(353)의 장착오목부(397a∼397f)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이동부재(352a∼352f)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오목부(397a∼397f)에 장착된 축부(400)와, 축부(400)로부터 스풀축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요동부(401)와, 요동부(401)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돌출하여 마련된 접촉부(402)와, 요동부(401)의 내측면에 마련된 걸림돌기(403)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402)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방향에서 그 형성위치가 다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이동부재(352a∼352f) 중 하나에는 접촉부(402)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접촉부(40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이동부재(352f)는, 회전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402)는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동부(401)의 외측면은 도중에서 약간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는, 이동부재(352a∼352f)가 바깥쪽으로 요동하였을 때, 제동부재(351)의 브레이크 라이너(357)로부터 선단이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이 접촉부(402)가 브레이크 라이너(357)와 접촉하여 스풀(12)이 제동된다. 걸림돌기(403)는 회전부재(353)의 걸림오목부(399c)에 걸려고정된다. 이러한 걸림오목부(399c)에 걸림돌기(403)가 걸려고정되면, 이동부재(352a∼352f)가 비작용자세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서는, 스풀(12)이 회전하면, 회전부재(353)가 회전하여 이동부재(352a∼352f)가 축부(400) 둘레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작용자세에 있는 이동부재(352a∼352f)의 접촉부(402)가 브레이크 라이너(57)에 접촉하여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때, 제동부재(351)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너(357)에 접촉하는 접촉부(402)의 수가 변화한다. 이에 따라,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352a∼352f)를 작용자세 또는 비작용자세로 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동력의 조정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상기 4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재의 제동특성은 동일하였으나, 이동부재의 제동특성을 다른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 17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부재(552a∼552f)는, 회전부재(53)에 설치된 가이드축(556a∼556f)에 지름방향(가이드축(556a∼556f)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부재(53)는, 스풀축(16)에 세레이션 등의 적절한 결합수단에 의해 회전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스풀(12)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회전부재(53)는, 스풀축(16)에 고정되는 보스부(53a)와, 보스부(53a)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통형부(53b)와, 통형부(53b)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원판부(53c)를 가지고 있으며, 원판부(53c)는 브레이크 케이스(55)의 베어링수납부(55b)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배치된다.
회전부재(53)의 원판부(53c)에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주측면으로 개구하는 6개의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60a∼60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60a∼60f)에 가이드축(556a∼556f)가 방사상으로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이 중, 세 개의 오목부(60a, 60c, 60e)와 나머지 세 개의 오목부(60b, 60d, 60f)는 다른 구조이다. 즉, 구조가 다른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60a, 60c, 60e)는, 개구부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면에, 서로 근접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빠짐방지돌기(61)를 가지며, 빠짐방지돌기(61)의 내주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서로 근접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고정돌기(62)를 가지고 있다. 고정돌기(62)는, 이동부재(552a, 552c, 552e)를 작용자세와 비작용자세로 절환하는 절환기구(59)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오목부(60b, 60d, 60f)는, 빠짐방지돌기(61)만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오목부(60b, 60d, 60f)에는 절환기구(59)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가이드축(556a∼556f)은, 오목부(60a∼60f)의 바닥부에 지름방향을 따라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축(556a, 556c, 556e)과 나머지 가이드축(556b, 556d, 556f)은, 각각 단면이 다른 사다리꼴의 축부재이다.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축(556a, 556c, 556e)의 단면은 스풀축(16)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비대칭인 가로로 긴 형상의 사다리꼴이며,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머지 가이드축(556b, 556d, 556f)의 단면은 스풀축(16)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비대칭인 세로로 긴 형상의 사다리꼴이다. 또한, 가이드축(556a, 556d)은,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방향 가장 바깥쪽(도 19에서 좌측)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으며, 가이드축(556b, 556e)은,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방향 가장 안쪽(도 19에서 우측)에 세워져 마련되며, 가이드축(556c, 556f)은,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중간위치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즉, 6개의 가이드축(556a∼556f)은, 스풀축방향의 세군데에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이동부재(552a∼552f)는, 가이드축(556a∼556f)에 스풀지름방향(가이드축방향)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며, 제동부재(51)의 스풀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동부재(51)의 브레이크 라이너(57)에 다른 수로 접촉하는 것이다. 6개의 이동부재(552a∼552f)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이 중 3개의 이동부재(552a, 552c, 552e)의 질량은, 나머지 3개의 이동부재(552b, 552d, 552f)의 질량보다 크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552a, 552c, 552e)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이동부재(552b, 552d, 552f)의 원심력보다 커지므로, 제동력이 커진다.
이동부재(552a∼552f)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축(556a∼556f)에 각각 안내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563)와, 본체부(563)의 내측단부(도 19에서 하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부(563)로부터 회전방향의 양방향(도 19에서 지면 직교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이동돌기(564)와 본체부(563)의 외측단부(도 19에서 상측단부)에 일체형성되며, 본체부(563)로부터 스풀축방향의 내측방향(도 19에서 오른쪽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565)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563)의 내부에는, 스풀축(16)의 지름방향을 따라 가이드공(567)이 관통되어 있고, 이 가이드공(567)에 가이드축(556a∼556f)이 끼워져들어가 이동부재(552a∼552f)가 가이드축(556a∼556f)에 지름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된다. 또한, 이동부재(552a, 552c, 552e)의 가이드공(567)은 단면이 가로로 긴 형상의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축(556a, 556c, 556e)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다. 그리고, 나머지 3개의 이동부재(552b, 552d, 552f)의 가이드공(567)은 단면이 세로로 긴 형상의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가이드축(556b, 556d, 556f)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다. 이 때문에, 각 가이드축(556a∼556f)에 대응하는 각 이동부재(552a∼552f)를 각각 장착할 수 있고, 이동부재(552a∼552f)의 조합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면형상은 사다리꼴이므로, 이동부재(552a∼552f)를 가이드축(556a∼556f)에 대하여 소정방향으로 위치결정함과 동시에, 회전방지를 행할 수 있다.
이동돌기(564)는, 한쌍의 고정돌기(62) 및 빠짐방지돌기(61)에 걸려고정되도 록 돌출되어 있다. 이 이동돌기(564)가 고정돌기(62)와 빠짐방지돌기(61)와의 사이에 배치되면, 이동돌기(564)에 걸려고정되어 이동부재(552a∼552f)의 탈락이 방지된다. 이 위치에 배치된 이동부재(552a, 552c, 552e)의 자세가 작용자세이다. 또한, 이동부재(552a, 552c, 552e)가 지름방향 안쪽으로 눌려 들어가 고정돌기(62)보다 안쪽에 배치되면, 고정돌기(62)에 의해 이동돌기(564)가 걸려고정되어 이동부재(552a, 552c, 552e)가 제동부재(51)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 이 위치에 배치된 자세가 비작용자세이다. 이 고정돌기(62)와 이동돌기(564)에 의해 절환기구(59)가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제동부재(51)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552a, 552c, 552e)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접촉부(565)의 한쪽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접촉볼록부(566)가 돌출되어 있다. 접촉볼록부(566)는, 제동부재(51)의 브레이크 라이너(57)의 내주면(제동면)에 접촉하는 볼록부로서, 제동부재(51)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둘레방향(지면 직교방향)에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이동부재(552a∼552f)의 접촉볼록부(566)는 세 개의 다른 스풀축방향 위치에서 제동부재(51)에 접촉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동력을 3단계로 조정가능하다. 이러한 3단계의 제동력은, 제동부재(552a∼552f)의 접촉볼록부(66)의 방향(장착상태)이나 제동부재(51)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552a∼552f)의 수 등에 따라 미세하게 변경가능하다.
예컨대, 본 제 5실시형태에서는,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52a∼552f)의 수가 제동부재(51)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이동부재(552a∼552f) 전부가 접촉하여 6개, 이동부재(552a, 552c, 552d, 552f)가 접촉하여 4개, 이동부재(552a, 552c)가 접촉하여 2개의 순서로 변화한다. 이 이동부재(552a∼552f)가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각 단계에서의 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하는 사람의 취향, 또는 사용하는 미끼의 종류나 무게 등에 따라 자유로이 변경가능하다. 게다가, 이동부재(552a, 552c, 552e)는 비작용자세와 작용자세로 절환가능하므로, 제동력을 보다 작은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력의 조정범위도 변경할 수 있다.
이동기구(54)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제동손잡이(70)와, 제동손잡이(70)의 회동을 스풀축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제동부재(51)를 왕복이동시키는 회전캠기구(74)를 가지고 있다.
제동손잡이(70)는, 브레이크 케이스(55)의 손잡이지지부(55c)에 장착되어 있으며, 손잡이지지부(55c)의 선단에 체결된 볼트(76)에 의해 와셔(77)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동손잡이(70)는, 손잡이지지부(55c)에 장착되는 통형의 보스부(71)와, 보스부(71)의 외주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통형의 캠부(72)와, 보스부(71)와 캠부(72)를 연결하는 원판형상의 조작부(73)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71)와 손잡이지지부(55c)와의 사이에는, 제동손잡이(70)를 둘레방향의 세군데에서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기구(75)가 장착되어 있다. 위치결정기구(75)는, 둥근구멍(55f)내에 배치되어 있다. 보스부(71)의 선단에는, 노치부(71a)가 둘레방향으로 한군데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치부(71a)가 손잡이지지부(55c)에 형성된 회전 규제돌기(55e)에 걸림고정됨으로써, 제동손잡이(70)의 회동범위가 예컨대 90도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캠부(72)에는, 예컨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군데의 회전캠기구(74)를 구성하는 캠홈(80)이 지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캠홈(80)은, 축방향 및 둘레방향의 다른 위치에 동일간격으로 소정의 둘레방향길이로 형성된 세 개의 제동홈(80a)과 각 제동홈을 연결하는 사행홈(80b)을 가지고 있으며, 대략 캠부(72)에 있어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73)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돌출부(73a, 73b)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한쪽의 돌출부(73b)에는, 지름방향을 따른 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침(73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측커버(6)의 지침(73c)의 주위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in 및 max라는 문자가 새겨져 있으며, 이들 사이에 있어서의 지침(73c)의 위치가 제동력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캠기구(74)는, 제동부재(5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세 개의 캠핀(51d)과, 캠핀(51d)이 걸어맞춤되는 캠홈(8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캠핀(51d)과 캠홈(80)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동손잡이(70)의 회동이 회전캠기구(74)의 축방향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게다가, 캠핀(51d)이 세군데의 제동홈(80a)에 걸어맞춤되면, 축방향의 세군데에서 회전캠기구(74)가 위치결정된다.
여기서, 캠핀(51d)이 가장 선단측(도 17에서 우측)의 제동홈(80a)에 걸어맞춤되면, 제동부재(51)가 전진하여 도 18에 나타낸 스풀(12)에 가장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동부재(51)의 브레이크 라이너(57)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2a∼52f)의 수가 최대로 되어, 제동력이 최대가 된다. 또한, 가장 기단측(도 17에서 좌측)의 제동 홈(80a)에 걸어맞춤되면, 도 22에 나타낸 위치로 제동부재(51)가 후퇴하여 스풀(12)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2a∼52f)의 수가 최소로 되어, 제동력이 최소가 된다.
〔릴의 동작〕
통상의 상태에서는, 클러치 요크(40)는 안쪽으로 눌려져 있어 클러치 온의 상태이다. 이 결과,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메인기어(31), 피니언기어(32) 및 스풀축(16)을 통해 스풀(12)에 전달되고, 스풀(12)이 낚시줄 감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이동부재(552a∼552f)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동부재(552a∼552f)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나, 스풀(12)의 회전속도가 느리므로, 제동력은 그다지 커지지 않아 핸들(2)의 회전의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만약 제동력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면, 제동손잡이(70)를 회전시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제동력이 약한 위치에 제동부재(51)를 배치하면 된다.
캐스팅을 행할 경우에는, 백 래쉬를 억제하기 위해 제동 손잡이(70)를 회전시켜 제동력을 조정한다. 제동손잡이(70)를 도 16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캠기구(74)에 의해 제동부재(51)가 스풀(12)측으로부터 후퇴하고, 제동부재(51)에 접촉하는 이동부재(552a∼552f)의 수가 차차 감소하여, 제동력이 차차 약해진다. 그리고, 지침(73c)이 「min」을 가리키는 위치까지 제동손잡이(70)가 회전하면, 도 22에 나타낸 위치에 제동부재(51)가 배치되어, 제동력이 가장 약해진다.
이어서, 클러치 조작 레버(17)를 아랫쪽으로 누른다. 클러치조작레버(17)의 이동에 의해 클러치요크(4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피니언기어(32)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클러치오프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오프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12)은 자유회전상태로 된다. 클러치오프상태로 하여 클러치조작레버(17)에 놓은 엄지손가락으로 스풀을 서밍하면서 스풀축(16)이 연직면을 따르도록 릴을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낚시대을 흔들면, 미끼가 던져져 스풀(12)이 낚시줄 풀림방향으로 세차게 회전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풀(12)의 회전에 의해 스풀축(16)이 낚시줄풀림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이 회전부재(53)로 전달된다. 회전부재(53)가 회전하면, 이동부재(552a∼552f)가 제동부재(51)에 미끄럼 접촉하여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 의해 스풀(12)이 제동되어 백 래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스풀(12)에서 백래쉬가 발생하더라도 제1 측커버(6)가 베이어닛 구조(14)에 의해 간단히 착탈될 수 있으므로, 백래쉬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무게가 다른 미끼로 바꿀 때에는, 미끼의 무게에 따라 제동손잡이(70)를 회동시켜 제동력을 조정한다. 여기서는, 외부에 노출된 제동손잡이(70)를 회동하는 것만으로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을 미세하고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절환기구(59)에 의해 세 개의 이동부재(552a, 552c, 552e)를 제동부재(51)의 브레이크 라이너(57)에 접촉하는 작용자세와 접촉하지 않는 비작용자세로 절환할 수 있으므로, 제동력의 조정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양 베어링 릴의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서는, 세 개의 이동부재(552a, 552c, 552e)와 나머지 세 개의 이동부재(552b, 552d, 552f)에서는 질량이 다르다. 즉, 제동특성이 다르다. 따라서, 이들 이동부재(552a∼552f)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축(556a, 556c, 556e)의 단면은 가로로 긴 형상의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가이드축(556b, 556d, 555f)의 단면은 단면이 세로로 긴 형상의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자의 단면형상이 다르므로, 이동부재(552a∼552f)의 가이드축(556a∼556f)에의 조합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캠기구(74)에 의해 제동부재(51)를 이동시켰으나, 나사 등의 다른 변환기구에 의해 이동시켜도 좋다.
(b) 상기 제1, 제 2 및 제5 실시형태에서는, 세 개의 이동부재만을 절환가능하도록 하였으나, 모든 이동부재를 절환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제3 및 제4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이동부재를 절환가능하게 하였으나, 일부만 절환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c)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세 개의 이동부재의 구조를 통일하여 장착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제동부재에의 접촉위치를 변경가능하게 구성하였으나, 접촉위치를 각 이동부재에서 다르게 하여도 좋다.
(d) 상기 제4 실시형태에서는, 요동축을 회전부재(53)의 현방향을 따라 배치 하였으나, 요동축을 배치하는 방향은 현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풀축을 따른 방향이나 그들과 교차하는 방향이어도 좋다.
(e)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동부재(551)가 아닌 회전부재(553)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제동력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f)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재(53)는 스풀축(16)에 고정되어 있으나, 스풀(12)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g) 상기 제5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재(552a∼552f)는 세 개의 이동부재(552a, 552c, 552e)와 나머지 세 개의 이동부재(552b, 552d, 552f)에서 질량을 다르게 하였으나, 재질 등을 다르게 하여 마찰계수에 차이가 나게 하여 제동특성이 다르게 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부재(552a∼552f)의 제동특성의 조합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h) 상기 제5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축(556a∼556f)에 있어서, 세 개의 가이드축(556a, 556c, 556e)의 단면은 가로로 긴 형상의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가이드축(556b, 556d, 556f)의 단면은 단면이 세로로 긴 형상의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자가 서로 양립하지 않는 형상이면 된다.
(i)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동부재(51)는, 릴 본체(1)의 브레이크 케이스(55)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평 5-6845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부재(51)가 릴 본체(1)에 대하여 제동력이 걸린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에 대하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재는, 스풀축을 관통하는 가이드축이 아닌 스풀축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를 회전축방향으로 엇갈리게 하여 배치하는 경우, 미세하게 엇갈리게 할 수 있으며,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이동부재의 회전축방향 위치를 다르게 하여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수를 변경하지 않고,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위치만을 축방향에서 다르게 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부재의 회전축방향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제동력을 더욱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절환수단에 의해 이동부재를 비작용자세와 작용자세로 절환할 수 있으므로, 최대제동력이나 최소제동력 또는 제동력의 변화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력의 조정범위를 변경할 수 있으며, 낚시바늘뭉치의 무게나 낚시법 등에 따라 제동력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다른 발명에 따르면,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동특성이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동특성이 다른 이동부재는 대응하는 소정의 가이드축에만 장착되도록 되어 있을 때에는 이동부재의 조합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1)

  1. 삭제
  2. 릴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로서,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제한된 통형의 제동부재와,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또한 상기 제동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풀의 회전축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부재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제동부재의 상기 회전축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 상기 제동부재에 다른 개수로 접촉가능한 복수의 이동부재와,
    상기 제동부재와 회전부재를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이동부재를 다른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한 비작용자세와 접촉가능한 작용자세로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절환할 수 있는 절환수단을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동부재에의 접촉위치가 상기 회전축방향에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제동부재를 향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부에 상기 스풀의 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동부재를 향해 방사상으로 상기회전부재에 세워져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축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축에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축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축방향의 위치를 엇갈리게 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가이드축의 다른 축방향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두 개의 자세로 절환가능한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오목부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오목부의 회전방향의 대향하는 측벽에 상기 이동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고정돌기와,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한쌍의 고정돌기를 걸림고정가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돌기를 가지며, 상기 두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탄성을 가지고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돌기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이동돌기에 걸림고정가능한 빠짐방지돌기를 더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방향위치가 동일한 위치의 상기 가이드축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축방향의 접촉위치가 다른 이동부재와 다른 접촉부를 가지고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축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의 상기 회전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회전축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축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의 상기 회전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축의 상기 회전축방향의 간격보다 짧은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동부재를 향해 방사상으로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면에 상기 스풀의 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가이드면의 다른 상기 지름방향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두 개의 자세로 절환가능한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축방향의 위치를 엇갈리게 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배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요동축 둘레로 각각 요동가능하게 또한 상기 제동부재에 각각 접촉가능하게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이동부재를 다른 요동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두 개의 자세로 절환가능한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동축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축방향의 위치를 엇갈리게 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배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1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릴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상기 회전축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동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캠기구를 갖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2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스풀에 회전 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마련된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22. 삭제
  23.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로서,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에 제한된 통형의 제동부재와,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세워져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부재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동특성이 다른 복수의 이동부재를 구비하며,
    제동특성이 다른 상기 이동부재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축에만 장착가능한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제동특성이 다른 상기 이동부재의 각각에 대응하여 횡단면형상이 다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횡단면형상이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횡단면형상이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27.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질량이 다름에 의해 상기 제동특성이 다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28.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찰계수가 다름에 의해 상기 제동특성이 다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29. 제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른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 불가능한 비작용자세와 접촉가능한 작용자세로 절환할 수 있는 절환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가이드축의 다른 축방향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두 개의 자세로 절환가능한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31.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동부재의 상기 회전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동부재에 다른 개수로 접촉가능한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1020000042777A 1999-07-26 2000-07-25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100680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10844 1999-07-26
JP21084499 1999-07-26
JP11-296575 1999-10-19
JP29657499A JP3747430B2 (ja) 1999-10-19 1999-10-19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9657599A JP3797832B2 (ja) 1999-10-19 1999-10-19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11-296574 1999-10-19
JP11-313561 1999-11-04
JP31356199A JP3747431B2 (ja) 1999-07-26 1999-11-04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960A KR20010066960A (ko) 2001-07-11
KR100680153B1 true KR100680153B1 (ko) 2007-02-07

Family

ID=2747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777A KR100680153B1 (ko) 1999-07-26 2000-07-25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64230B1 (ko)
EP (1) EP1072191B1 (ko)
KR (1) KR100680153B1 (ko)
AT (1) ATE290313T1 (ko)
DE (1) DE60018513T2 (ko)
MY (1) MY125110A (ko)
TW (1) TW4628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86B1 (ko) * 2002-09-12 2004-10-08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케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 장치
US6955315B2 (en) * 2004-02-13 2005-10-18 Doyo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US6959886B1 (en) * 2004-11-16 2005-11-01 Yeon Seok Rho Bait casting reel
KR101063439B1 (ko) * 2008-07-03 2011-09-08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장치
US7770833B2 (en) * 2008-07-03 2010-08-10 Banax Co., Ltd. Centrifugal brake device for use in bait cast reel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350881B2 (ja) * 2009-05-15 2013-1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755044B2 (ja) * 2011-06-20 2015-07-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KR101510728B1 (ko) * 2012-05-04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DE102012104554B3 (de) * 2012-05-25 2013-11-07 Hubert Mayr Angelrollen und Spule für eine Angelrolle
JP6177550B2 (ja) * 2013-03-15 2017-08-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284306B2 (ja) * 2013-05-10 2018-0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9999210B1 (en) * 2015-03-10 2018-06-19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Micro external adjustable spool braking system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49940B2 (ja) * 2018-06-21 2022-04-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235633B1 (ko) * 2019-01-31 2021-04-05 주식회사 바낙스 텐션 조정노브 이탈방지구가 구비된 베이트 캐스트 릴
US11864543B2 (en) * 2021-01-25 2024-01-09 Cary Hogan JONES Fly fishing reel with brake assembly and methods
US11974558B2 (en) * 2021-12-21 2024-05-07 Accurate Grinding and Mfg. Corp. Star drag fishing re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739A (ko) * 1997-04-25 1998-11-25 다우슨짐 베이트 캐스트 릴용 조정가능한 브레이크
KR20000042777A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휴대폰 원격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2512B (sv) * 1980-03-18 1984-04-09 Abu Ab Centrifugalbromsanordning vid fiskerulle
JP2535505Y2 (ja) * 1991-06-19 1997-05-1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のブレーキ構造
JP2538904Y2 (ja) * 1991-07-10 1997-06-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遠心ブレーキ機構
US5362011A (en) * 1991-12-16 1994-11-08 Shimano Inc. Baitcasting reel having an improved centrifugal brake
JP2572090Y2 (ja) * 1991-12-1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572095Y2 (ja) * 1992-01-2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5542619A (en) * 1994-12-01 1996-08-06 Abu Ab Fishing reel of the multiplier type
JP3159625B2 (ja) * 1995-05-24 2001-04-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US5803385A (en) * 1996-10-16 1998-09-08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mpany Centrifugal brake system for fishing reel
US5996921A (en) * 1997-03-06 1999-12-07 Ryobi Limited Centrifugal braking apparatus for baitcasting reel
US6003798A (en) * 1997-11-14 1999-12-21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US6168106B1 (en) * 1998-08-28 2001-01-02 Brunswick Corporation Remotely operable centrifugal brake
US5984221A (en) * 1998-10-21 1999-11-16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JP2000245314A (ja) * 1999-02-25 2000-09-1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00354442A (ja) * 1999-06-16 2000-12-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739A (ko) * 1997-04-25 1998-11-25 다우슨짐 베이트 캐스트 릴용 조정가능한 브레이크
KR20000042777A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휴대폰 원격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81739 *
1020000042777 - 68427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8513D1 (de) 2005-04-14
DE60018513T2 (de) 2006-04-13
EP1072191A3 (en) 2002-04-10
EP1072191B1 (en) 2005-03-09
TW462872B (en) 2001-11-11
MY125110A (en) 2006-07-31
KR20010066960A (ko) 2001-07-11
US6364230B1 (en) 2002-04-02
EP1072191A2 (en) 2001-01-31
ATE290313T1 (de)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153B1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101408081B1 (ko) 롤러 클러치
KR100616144B1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20140113316A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양 베어링 릴
KR20050001347A (ko) 양 베어링 릴
KR20040036564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20140133414A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EP1060664B1 (en) Dual-bearing reel centrifugal braking device
JP2014217341A5 (ko)
US5350132A (en) Anti-reverse structure for a spinning reel
KR100638864B1 (ko)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KR10094270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3747431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KR101191077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3747429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US7086621B1 (en) Fishing reel
JP3747430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0414114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US6409112B1 (en) Dual-bearing reel having control knob for adjusting braking force
US6971599B2 (en)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JP2003079292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3797832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3560460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
KR10100437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JP2004049115A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