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379B1 -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379B1
KR102656379B1 KR1020160139188A KR20160139188A KR102656379B1 KR 102656379 B1 KR102656379 B1 KR 102656379B1 KR 1020160139188 A KR1020160139188 A KR 1020160139188A KR 20160139188 A KR20160139188 A KR 20160139188A KR 102656379 B1 KR102656379 B1 KR 10265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shaft
head
disposed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394A (ko
Inventor
쿠니오 타케치
타케시 이쿠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7008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Brakes connected to the spool by one-way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1Adjustable pressure pawls, e.g. braking clic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2Positive
    • A01K89/053One-wa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6Radially engag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23)는, 제1 드래그 부재(61)와, 타격 핀(70)과, 수용 부재(35)를 구비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 또한 스타 드래그(3)에 의하여 압압(押壓)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 기어(31)에 대향하는 음출부(音出部)(67a)를 가진다. 타격 핀(70)은, 음출부(67a)에 당접(當接) 가능한 머리부(70a), 및 머리부(70a)에 접속된 축부(70b)를 가진다. 타격 핀(70)은, 구동 기어(31) 및 제1 드래그 부재(61)의 상대 회전 시에, 음출부(67a) 및 머리부(70a)의 간섭에 의하여 음(音)을 발생한다. 수용 부재(35)는, 구동 기어(31)에 장착된다. 수용 부재(35)는, 타격 핀(70)의 축부(70b)를 보지(保持)하는 수용 본체(35a), 및 머리부(70a)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35c)를 가진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DRAG MECHANISM FOR DUAL 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특히, 구동 기어와 구동축과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의 구동축으로는,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하여, 드래그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드래그 장치는, 구동 기어와 구동축과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토크(torque)를 조정하고, 낚싯줄에 가해지는 장력을 억제한다.
드래그 장치는, 드래그 조정 부재(스타 드래그)와, 구동축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부재를 구비한다. 구동 기어의 드래그 조정 부재 측에 배치된 드래그 부재는, 드래그 조정 부재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압압(押壓)되어, 구동 기어를 압압한다.
덧붙여, 줄 방출 방향에 있어서의 구동축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금지되어 있다. 또한, 구동 기어는, 스풀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피니언 기어에, 맞물림 가능하다.
이 타입의 드래그 장치에서는, 발음 기능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발음 기능은, 스풀이 드래그력에 맞서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래그 장치의 작동을 발음에 의하여 보지(報知)한다. 이 발음 기능을 가지는 드래그 장치는, 드래그 부재와, 발음 부재와, 수용 부재를 가진다.
드래그 부재는,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 또한 드래그 조정 부재에 의하여 압압 가능하게 구성된다. 드래그 부재는, 구동 기어에 대향하는 음출부(音出部)를 가진다. 발음 부재는, 음출부에 당접(當接) 가능한 머리부, 및 머리부에 접속된 축부를 가진다. 발음 부재는, 구동 기어와 드래그 부재와의 상대 회전 시에, 음출부 및 머리부의 간섭에 의하여 음(音)을 발생한다. 수용 부재는, 실질적으로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부재는, 발음 부재의 축부를 보지(保持)하고, 구동 기어에 장착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092830호
종래의 드래그 장치에서는, 발음 부재의 축부가 통상의 수용 부재에 배치되고, 발음 부재의 머리부가 수용 부재 및 음출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기어와 드래그 부재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 부재의 머리부가 음출부에 간섭하면, 이 간섭에 의하여 음이 발생한다.
이 드래그 장치에서는, 드래그 조정 부재가 드래그 부재를 압압하고, 드래그 부재가 구동 기어를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력이 조정된다. 상세하게는, 드래그 부재가 구동 기어에 접근하면 할수록, 구동 기어에 대한 드래그 부재의 압압력이 커지고, 드래그력이 커진다. 한편으로, 드래그 부재가 구동 기어로부터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구동 기어에 대한 드래그 부재의 압압력이 작아지고, 드래그력이 작아진다.
여기에서, 구동 기어에 대한 드래그 부재의 압압력이 작아지는 경우, 즉 드래그력이 작아지는 경우, 드래그 부재는 구동 기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면, 드래그 부재의 음출부도, 구동 기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즉, 드래그력을 작게 설정한 경우, 드래그 부재의 음출부와, 구동 기어에 장착된 수용 부재와의 간격이 커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발음 부재의 머리부가 드래그 부재의 음출부에 간섭하면, 발음 부재의 축부가 수용 부재로부터 돌출하는 양이 커지고, 발음 부재의 축부가 수용 부재로부터 빠져나가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 부재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는, 구동 기어와 구동축과의 상대 회전을 규제한다.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는, 드래그 부재와, 발음 부재와, 수용 부재를 구비한다. 드래그 부재는,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 또한 드래그 조정 부재에 의하여 압압 가능하게 구성된다. 드래그 부재는, 구동 기어에 대향하는 음출부를 가진다. 발음 부재는, 음출부에 당접 가능한 머리부, 및 머리부에 접속된 축부를 가진다. 발음 부재는, 구동 기어 및 드래그 부재의 상대 회전 시에, 음출부 및 머리부의 간섭에 의하여 음을 발생한다. 수용 부재는, 구동 기어에 장착된다. 수용 부재는, 발음 부재의 축부를 보지하는 보지부, 및 머리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진다.
본 드래그 장치에서는, 수용 부재의 보지부가, 발음 부재의 축부를 보지한다. 또한, 수용 부재의 규제부가, 발음 부재의 머리부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와 드래그 부재의 음출부와의 간격이 커졌다고 하여도, 구동 기어 및 드래그 부재의 상대 회전 시에, 수용 부재의 규제부에 의하여 발음 부재의 머리부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음 부재의 축부가, 수용 부재의 보지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다. 즉, 본 드래그 장치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 부재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에서는, 보지부가, 구멍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음 부재의 축부는, 보지부의 구멍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발음 부재의 축부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즉, 본 드래그 장치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 부재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에서는, 규제부가, 발음 부재의 머리부의 이동을 둘레 방향으로 규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 및 드래그 부재의 상대 회전 시에, 규제부에 의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발음 부재의 머리부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즉, 본 드래그 장치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 부재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에서는, 규제부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음 부재의 머리부는, 한 쌍의 대향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 및 드래그 부재의 상대 회전 시에, 한 쌍의 대향면에 의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발음 부재의 머리부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즉, 본 드래그 장치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 부재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에서는, 규제부가, 한 쌍의 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한 쌍의 돌출부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보지부로부터 돌출한다. 한 쌍의 돌출부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 및 드래그 부재의 상대 회전 시에, 한 쌍의 돌출부 즉 한 쌍의 대향면에 의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발음 부재의 머리부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즉, 본 드래그 장치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 부재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는, 발음 부재를 음출부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압박 부재는, 보지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 및 드래그 부재의 상대 회전 시에, 압박 부재에 의하여 발음 부재를 음출부에 확실하게 간섭시킬 수 있다.
(7)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에서는, 보지부가, 구멍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음 부재의 축부는, 보지부의 구멍부에 배치된다. 압박 부재는, 발음 부재의 축부 및 보지부의 구멍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압박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축 방향으로 특별히 준비할 일 없이, 치절(齒切, gear cutting)이 좋은 명료한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에 있어서,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 부재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3은 드래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V부 단면 확대도
도 5는 구동 기어 측으로부터 본 제1 드래그 부재의 정면도.
도 6은 구동 기어 측으로부터 본 제2 드래그 부재의 정면도.
도 7은 구동 기어 및 음출 링의 타격 핀 장착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절단선 VIII-VIII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드래그판의 제1 계합(係合) 오목부의 둘레 방향 길이와 음출 링의 제1 계합 볼록부와 둘레 방향 길이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2)과, 스풀(12)과, 드래그 장치(23)를 구비한다.
<양 베어링 릴의 개략 구성>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 측방에 장착된 제1 측 커버(6) 및 제2 측 커버(7)와, 기구 장착판(13)을 가진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과,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을 연결하는 상(上) 연결부(10a) 및 하(下) 연결부(10b)를 가진다. 하 연결부(10b)에는, 낚싯대 장착용의 장대 장착 다리부(4)가 일체 형성된다.
제1 측 커버(6)는, 스풀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이며, 제2 측 커버(7)는, 외경(外徑)이 다른 편심(偏芯)한 2개의 외주원(外周圓)으로 구성된다. 제1 측 커버(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8)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2 측 커버(7)는, 예를 들어 3개의 나사에 의하여 제2 측판(9)에 고정된다.
제2 측 커버(7)는, 후술하는 스풀축(16)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보스부(7a)와, 후술하는 구동축(3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보스부(7b)를 가진다. 제1 보스부(7a)는, 제2 보스부(7b)보다도 후방 또한 상방에 설치된다. 기구 장착판(13)은, 핸들(2)이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30) 및 스풀축(16)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기구 장착판(13)은, 제2 측 커버(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0)(도 2 참조)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암(2a)과, 핸들 암(2a)의 선단(先端)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2b)를 가진다. 핸들 암(2a)은, 후술하는 스타 드래그(3)의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 내에는, 스풀(12)과,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손가락을 대는 부분으로 되는 클러치 레버(17)와, 스풀(12)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8)가 배치된다.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7)과의 사이에는, 회전 전달 기구(19)와, 클러치 기구(21)와, 클러치 제어 기구(22)와, 드래그 장치(23)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된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 커버(6)와의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遠心) 브레이크 기구(25)가 배치된다.
회전 전달 기구(19)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8)에 전한다. 클러치 기구(21)는, 회전 전달 기구(19)의 도중에 설치되고, 구동축(30)과 스풀(12)을 연결 및 차단한다.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1)의 연결 및 차단을 제어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한다.
스풀(12)은, 그 중심을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12)은,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12a)와, 줄 감기 몸통부(12a)의 양측에 대경(大徑)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12b)를 가진다. 스풀축(16)은, 3개의 베어링(29a, 29b, 29c)에 의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러치 레버(17)는, 스풀(12)의 후방에서,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에 배치된다. 클러치 레버(17)는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레벨 와인드 기구(18)는, 스풀(12)의 전방에서,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에 배치된다. 레벨 와인드 기구(18)는, 외주면(外周面)에 있어서 교차하는 나선상(螺旋狀) 홈(46a)이 형성된 나축(螺軸)(46)과, 나축에 의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부(47)를 가진다. 나축(46)은, 양단이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전달 기구의 구성>
회전 전달 기구(1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0)과, 구동축(30)에 고정된 구동 기어(31)와, 구동 기어(31)에 맞물리는 통상의 피니언 기어(32)와, 구동축(30)의 기단부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기어 부재(50)와, 나축(46)의 도 2 우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2 기어 부재(51)를 가진다.
구동축(3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전 방지 기구(55)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역전)이 금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장치(23)가 작동 가능하게 된다. 역전 방지 기구(55)는, 롤러형의 제1 원웨이 클러치(86)와, 멈춤쇠식의 제2 원웨이 클러치(88)를 가진다. 제1 원웨이 클러치(86)는, 구동축(30)의 중간부에 배치되고, 릴 본체(1)의 제2 측 커버(7)의 제2 보스부(7b)와 구동축(30)과의 사이에 장착된다. 제1 원웨이 클러치(86)는, 내륜(內輪) 유전형의 롤러 클러치이다.
제1 원웨이 클러치(86)는, 제2 보스부(7b)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륜(外輪)(86a)과,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륜(86b)과, 외륜(86a)과 내륜(86b)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86c)를 가진다. 내륜(86b)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계합 돌기(86d)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계합 돌기(86d)는, 내륜(86b)의 구동 기어(31) 측의 단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계합 돌기(86d)는, 후술하는 제1 드래그 부재(61)의 드래그판(66)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륜(86b)은, 드래그판(66)을 통하여 구동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원웨이 클러치(88)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래칫 톱니(90a)를 가지는 래칫 휠(90)과, 릴 본체(1)의 기구 장착판(13)의 외측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칫 멈춤쇠(92)를 가진다. 래칫 휠(90)은,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係止部)(30d)에 테두리부(30c)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구동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구동축(3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은, 래칫 톱니(90a)에 래칫 멈춤쇠(92)가 물리는 것에 의하여, 금지된다. 래칫 휠(90)과 구동 기어(31)와의 사이에는, 드래그 장치(23)의 드래그 디스크(65d)가 배치된다. 래칫 휠(90)은, 구동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드래그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구동축(3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28) 및 제1 원웨이 클러치(86)에 의하여 제2 측 커버(7) 및 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3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基端) 측으로부터 선단 측을 향하여, 피지지부(被支持部)(30a), 토크 규제부(30b), 테두리부(30c), 제1 계지부(30d), 제1 수나사부(30e), 제2 수나사부(30f)(도 3 참조), 및 제2 계지부(30g)(도 3 참조)가 형성된다.
피지지부(30a)에는, 구동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8)(도 4 참조)이 장착된다. 토크 규제부(30b)는, 피지지부(30a)보다도 대경이다. 토크 규제부(30b)는, 경(徑)방향 외방(外方)으로 압박된 한 쌍의 규제 핀(33)에 의하여, 허용 토크 내에서 제1 기어 부재(50)를 구동축(3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테두리부(30c)는, 토크 규제부(30b)보다도 대경이다. 테두리부(30c)는, 드래그 장치(23)에 의하여 생기는 압압력을 받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계지부(30d)는, 드래그 장치(23)를 구성하는 제1 드래그 부재(61), 제3 드래그 부재(63), 및 래칫 휠(90)(각각 후술)을,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계지부(30d)는, 테두리부(30c)보다도 소경(小徑)이며, 서로 평행한 2조(組)의 모따기부로 구성된다. 제1 수나사부(30e)는, 드래그 장치(23)의 스타 드래그(3)를 나합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수나사부(30e)는, 제1 계지부(30d)의 선단 측의 외주면(제1 계지부(30d)를 제외하는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2 수나사부(30f)는, 구동축(30)의 선단부에 제1 수나사부(30e)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된다.
제2 계지부(30g)는, 제1 계지부(30d)보다도 소경이며, 서로 평행한 1조의 모따기부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2 계지부(30g)는, 제2 수나사부(30f)가 형성된 구동축(3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2 계지부(30g)는, 핸들(2)을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핸들(2)은, 제2 수나사부(30f)에 비틀어 박힌 너트(53)(도 2 참조)에 의하여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31)는, 구동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구동축(30)과 드래그 장치(23)를 통하여 연결된다. 구동 기어(31)는, 통상의 기어부(31a)와, 기어부(31a)보다도 박육(薄肉)의 원판부(31b)와, 기어부(31a)의 내주면(內周面)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합 오목부(31c)를 가진다.
기어부(31a)는, 구동 기어(31)의 외주 측에 형성되는 기어 톱니(31d)를 가진다. 원판부(31b)는, 기어부(31a)의 내주 측에 일체 형성되고, 구동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원판부(31b)는, 기어부(31a)보다도 박육하다. 원판부(31b)의 중심에 구동축(30)에 지지되는 지지공(支持孔)(31e)이 형성된다.
또한, 원판부(31b)는, 핸들(2) 측에 드래그 장치(23)에 의하여 압압되는 피압압 측면(31f)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장착공(裝着孔)(31g)을 가진다. 장착공(31g)에는, 타격 핀(70)이 수용되는 수용 부재(35)(후술한다)가 배치된다.
제1 계합 오목부(31c)는, 제2 드래그 부재(62)를 구동 기어(3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1 계합 오목부(31c)는, 수용 부재(35)의 일부를 배치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복수(예를 들어, 2개 내지 6개,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제1 계합 오목부(31c)가, 기어부(31a)의 내주부에 원호상(圓弧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계합 오목부(31c)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장착공(31g)의 내주면에 접속되어 있다(도 8을 참조).
피니언 기어(3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9)의 외방으로부터 내방(內方)으로 연장되고 또한 중심으로 스풀축(16)이 관통하는 통상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32)는, 베어링(34a) 및 베어링(34b)에 의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 또한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1)에 지지된다. 베어링(34a)은, 기구 장착판(13)에 장착된다. 베어링(34b)은, 제2 측 커버(7)의 제1 보스부(7a)에 장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32)의 도 4 좌단부(左端部)에는, 클러치 기구(21)의 후술하는 계합 핀(21a)에 맞물리는 맞물림 홈(32a)이 형성된다. 이 맞물림 홈(32a)과, 스풀축(16)에 장착된 계합 핀(21a)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가 구성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32)의 중간부에는, 잘록부(32b)가 형성되고, 도 4 우단부(右端部)에는, 베어링(34b)에 지지되는 지지 부분(32c)이 형성된다. 잘록부(32b)와 지지 부분(32c)과의 사이에, 구동 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부(32d)가 형성된다.
제1 기어 부재(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30)의 토크 규제부(30b)에 장착된다. 제1 기어 부재(50)는, 나축(46) 또는 제2 기어 부재(51)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허용 토크 이상의 토크가 제1 기어 부재(50)에 작용하면 공전(空轉)한다. 제1 기어 부재(50)는, 테두리부(30c)에 구동축(30)의 기단부 측으로부터 당접하고 있다. 나축(46)에 장착된 제2 기어 부재(51)는, 제1 기어 부재(50)에 맞물리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레벨 와인드 기구(18)의 나축(46)은, 구동축(30)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드래그 장치의 구성>
드래그 장치(23)는, 스풀(12)에 연동하는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과의 상대 회전을 소정의 토크양을 넘을 때까지 규제한다. 또한, 드래그 장치(23)는, 소정의 토크양을 넘어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이 상대 회전하면, 스풀(1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장치(23)는, 주로, 스타 드래그(3)(드래그 조정 부재의 일례)와, 제1 드래그 부재(61)(드래그 부재의 일례)와, 제2 드래그 부재(62)와, 제3 드래그 부재(63)와, 타격 핀(70)(발음 부재의 일례)과, 압박 부재(72)와, 복수 매(예를 들어, 4매)의 드래그 디스크(65a ~ 65d)와, 수용 부재(35)를 구비한다.
(스타 드래그)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타 드래그(3)는, 구동축(30)의 제1 수나사부(30e)에 나합하는 너트 부재(3a)와, 너트 부재(3a)를 일체 회전 가능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 부재(3b)를 가진다. 스타 드래그(3)는, 스타 드래그(3)보다도 구동축(30)의 기단 측에 장착된 부재(예를 들어,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 제1 드래그 부재(61), 제2 드래그 부재(62), 및 제3 드래그 부재(63) 등의 부재)를 압압하여 소정의 토크양을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스타 드래그(3)와 제1 원웨이 클러치(86)와의 사이에는 복수 매(예를 들어 2매 내지 6매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2매)의 접시 용수철(57)이 장착된다. 접시 용수철(57)은, 스타 드래그(3)의 조임력을 제1 드래그 부재(61)에 완만하게 전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접시 용수철(57)은, 스타 드래그(3)와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에 각각 와셔(washer)를 통하여 접촉한다.
스타 드래그(3)는, 그 조임 상태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접시 용수철(57)을 통하여 제2 측 커버(7)에 장착된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스타 드래그(3)의 조절에 의하여, 접시 용수철(57)의 압압력이 조정된다. 즉, 스타 드래그(3)의 조임 상태에 의하여 접시 용수철(57)의 압압력이 조정되고, 구동 기어(31)의 압압의 정도를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2)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크기, 즉 드래그력의 조절이 행하여진다.
(제1 드래그 부재)
제1 드래그 부재(6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스타 드래그(3)에 의하여 압압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스타 드래그(3)에 의하여 구동 기어(31)를 향하여 압압된다. 상세하게는, 제1 드래그 부재(61)는, 접시 용수철(57) 및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을 통하여, 스타 드래그(3)에 의하여 구동 기어(31)를 향하여 압압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드래그판(66)과, 음출 링(67)을 가진다. 드래그판(66)은,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30d)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 기어(31)를 압압 가능하다.
드래그판(66)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상의 부재이다. 드래그판(66)은, 외주부에 형성되고 음출 링(67)에 계합하는 계합부(68)와, 내주부에 형성된 비원형공(66a)을 가진다. 비원형공(66a)은,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30d) 및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의 한 쌍의 계합 돌기(86d)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계합한다. 비원형공(66a)은, 내륜(86b)의 한 쌍의 계합 돌기(86d)에 계합하는 한 쌍의 구형(矩形) 오목부(66b)와,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30d)에 계합하는 한 쌍의 직선부(66c)를 가진다.
계합부(68)는, 구동 기어(31)를 압압하는 압압 방향(구동축의 도 3 좌방향)으로 음출 링(67)과 계합하는 제1 계합부(68a)와, 둘레 방향으로 음출 링(67)과 계합하는 제2 계합부(68b)를 가진다. 제1 계합부(68a)는, 압압 방향으로 돌출하는 압압부(68c)와, 압압부(68c)의 외주 측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68d)를 가진다. 제2 계합부(68b)는, 계합부(68)의 플랜지부(68d)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계합 오목부(68e)를 가진다.
음출 링(67)은, 드래그판(66)의 외주 측에 드래그판(66)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음출 링(67)은, 구동 기어(31)에 대한 압압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음출 링(67)은,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등의 필러에 의하여 강화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가 선택된다.
음출 링(67)은, 도 3,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31)에 대향 가능한 면에 음출부(67a)와, 드래그판(66)의 계합부(68)에 계합하는 피계합부(69)를 가진다. 음출부(67a)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음출 오목부(67b)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음출 오목부(67b)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상(波狀)으로 오목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피계합부(69)와 계합부(68)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間隙)이 설치된다. 피계합부(69)는, 제1 계합부(68a)와 계합하는 제1 피계합부(69a)와, 제2 계합부(68b)와 계합하는 제2 피계합부(69b)를 가진다. 제1 피계합부(69a)는, 압압부(68c)가 삽통(揷通) 가능하고, 또한, 플랜지부(68d)보다도 소경의 관통공(69c)을 가진다. 제2 피계합부(69b)는, 드래그판(66)의 제2 계합 오목부(68e)에 계합하는 제2 계합 볼록부(69d)를 가진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부(68c)의 압압 방향의 길이 L1은, 관통공(69c)의 압압 방향의 길이 L2보다도 길다. 구체적으로는, 압압부(68c)의 길이 L1은, 관통공(69c)의 길이 L2보다도, 적어도 0.1mm 길다. 덧붙여, 도 8에서는, 간극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관통공(69c)의 길이 L2를 실제의 길이보다도 짧게 그리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음출 링(67)은, 축 방향으로 길이 L1-L2의 차이인 양자의 간극분만큼, 드래그판(6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출 링(67)의 제2 계합 볼록부(69d)의 둘레 방향의 길이 L4는, 드래그판(66)의 제2 계합 오목부(68e)의 둘레 방향의 길이 L3보다도 짧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계합 볼록부(69d)의 둘레 방향의 길이 L4는, 제2 계합 오목부(68e)의 둘레 방향의 길이 L3보다도, 적어도 0.1mm 짧다. 덧붙여, 도 9에서는, 간극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2 계합 볼록부(69d)의 길이 L4를 실제의 길이보다도 짧게 그리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음출 링(67)은, 둘레 방향으로 길이 L3-L4의 차이인 양자 둘레 방향의 간극분만큼, 드래그판(6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2 드래그 부재)
제2 드래그 부재(6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드래그 부재(61)와 제3 드래그 부재(6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드래그 부재(62)는, 구동 기어(31)의 기어부(31a)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구동 기어(31)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드래그 부재(62)는, 드래그 디스크(65a)를 통하여 제1 드래그 부재(61)의 드래그판(66)의 압압부(68c)에 의하여 압압된다. 제2 드래그 부재(62)는, 외주부에 구동 기어(31)의 복수의 제1 계합 오목부(31c)에 계합하는 적어도 1개의 제1 계합 볼록부(62a)를 가진다. 제1 계합 볼록부(62a)는, 제1 계합 오목부(31c)의 수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계합 오목부(31c)의 수는 4개이며, 제1 계합 볼록부(62a)의 수는 3개이다.
또한, 제2 드래그 부재(62)는, 타격 핀(70)이 통과 가능한 통과 오목부(62b)를 가진다. 통과 오목부(62b)는, 제2 드래그 부재(62)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통과 오목부(62b)는, 제1 계합 볼록부(62a)가 제1 계합 오목부(31c)에 계합한 상태에서, 남은 제1 계합 오목부(31c)에 대향 가능한 위치에 있어서, 제2 드래그 부재(62)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계합 오목부(31c)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1 계합 볼록부(62a)와 통과 오목부(62b)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통과 오목부(62b)는, 수용 부재(35)에 수용된 타격 핀(70)이 통과 가능하게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통과 오목부(62b)는, 수용 부재(35) 및 타격 핀(70)이 통과 가능하게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3 드래그 부재)
제3 드래그 부재(63)는, 제2 드래그 부재(62)와 구동 기어(31)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드래그 부재(63)는, 드래그 디스크(65b)를 통하여 제2 드래그 부재(62)에 의하여 압압된다. 제3 드래그 부재(63)는, 구동 기어(31)의 기어부(31a)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드래그 디스크(65)를 통하여 내주 측에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30d)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비원형공(63a)을 가진다. 제3 드래그 부재(63)는, 드래그 디스크(65c)를 통하여 구동 기어(31)의 원판부(31b)를 압압한다.
(타격 핀)
타격 핀(70)은, 수용 부재(35)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타격 핀(70)은, 제1 드래그 부재(61)의 음출부(67a)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수용 부재(35)에 장착된다.
타격 핀(70)은, 금속제의 부재이며, 음출부(67a)에 반복하여 충돌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타격 핀(70)은, 구동 기어(31) 및 제1 드래그 부재(61)의 상대 회전 시에, 음출부(67a) 및 머리부(70a)의 간섭에 의하여, 음을 발생한다.
타격 핀(70)은, 음출부(67a)에 당접 가능한 머리부(70a)와, 머리부(70a)에 접속된 축부(70b)를 가진다.
머리부(70a)는, 선단에 대경으로 설치되어 있다. 머리부(70a)는, 총탄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부는 예를 들어 구상(球狀)으로 둥글게 된다. 머리부(70a)는, 음출 오목부(67b)에 계합 가능한 크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음출 오목부(67b)에 진입 가능한 크기이다. 머리부(70a)는, 수용 부재(35)의 수용 본체(35a)(후술한다)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된다. 축부(70b)는, 머리부(70a)의 기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70b)는, 수용 부재(35) 예를 들어 수용 본체(35a)에 배치된다. 축부(70b)는, 머리부(70a)보다도 소경이며, 압박 부재(72)에 계합하여 설치된다.
(압박 부재)
압박 부재(72)는, 타격 핀(70)을 압박한다. 압박 부재(72)는, 수용 부재(35)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압박 부재(72)는, 타격 핀(70)의 축부(70b)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코일 용수철이다. 압박 부재(72)는, 수용 부재(35)의 저면(底面)(36b)(후술한다)과, 타격 핀(70)의 머리부(70a) 및 축부(70b)의 단차(段差)(70c)와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압박 부재(72)는, 타격 핀을 음출부(67a)를 향하게 하여 탄성적으로 압박한다.
타격 핀(70)과 압박 부재(72)와 음출부(67a)에 의하여, 발음 기구가 구성된다. 압박 부재(72)에 의하여 음출부(67a)를 향하여 압박된 타격 핀(70)은, 조립된 상태에서 제1 드래그 부재(61)를 핸들(2) 측으로 압박한다.
(드래그 디스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디스크(65a)는, 제1 드래그 부재(61)와 제2 드래그 부재(62)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드래그 디스크(65b)는, 제2 드래그 부재(62)와 제3 드래그 부재(6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드래그 디스크(65c)는, 제3 드래그 부재(63)와 구동 기어(31)(원판부(31b))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드래그 디스크(65d)는, 구동 기어(31)(원판부(31b))와 래칫 휠(90)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드래그 디스크(65a) ~ 드래그 디스크(65d)는, 예를 들어, 펠트, 카본 등의 부재로 구성된다.
(수용 부재)
도 3,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35)는, 구동 기어(31)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수용 부재(35)는, 구동 기어(31)의 원판부(31b)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 부재(35)는, 구동 기어(31)에 있어서의 원판부(31b)의 장착공(31g), 예를 들어 4개의 장착공(31g) 중 어느 1개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부재(35)는, 수용 본체(35a)(보지부의 일례)와, 위치 결정부(35b)와, 규제부(35c)를 가진다.
수용 본체(35a)는, 타격 핀(70)의 축부(70b)를 보지한다. 즉, 수용 본체(35a)에는, 타격 핀(70)의 축부(70b)가 수용된다. 수용 본체(35a)는,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본체(35a)는, 장착공(31g) 및 제1 계합 오목부(31c)에 계합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수용 본체(35a)의 저부(底部) 측이 장착공(31g)에 감합(嵌合)되고, 수용 본체(35a)의 개구(開口) 측이 제1 계합 오목부(31c)에 부분적으로 계합하여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본체(35a)는, 구멍부(36a)를 가진다. 구멍부(36a)에는, 타격 핀(70)의 축부(70b)가 배치된다. 또한, 구멍부(36a)에는, 압박 부재(72)가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구멍부(36a)는, 저면(36b)과, 내주면(36c)을 가진다. 내주면(36c) 및 축부(70b)와의 사이에는, 압박 부재(72)가 배치된다. 또한, 저면(36b)과, 타격 핀(70)의 머리부(70a) 및 축부(70b)의 단차(70c)에는, 압박 부재(72)의 양 단부가, 각각 별도로 당접한다.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35b)는, 수용 본체(35a)를 축 방향 및 경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결정부(35b)는, 수용 본체(35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35b)는, 수용 본체(35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위치 결정부(35b)는, 수용 본체(35a)의 외주면으로부터, 둘레 방향(도 7을 참조) 및 경방향 내측(구동축(30) 측; 도 8을 참조)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여기에서, 수용 본체(35a)가 장착공(31g) 및 제1 계합 오목부(31c)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35b)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설치된 면(핸들(2)로부터 떨어진 면)이, 장착공(31g)의 주위의 원판부(31b)의 벽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위치 결정부(35b)에 있어서 경방향 외측에 설치된 면이, 기어부(31a)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수용 본체(35a)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 및 회전 멈춤이 행하여진다.
규제부(35c)는,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이동을 규제한다. 규제부(35c)는,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이동을 둘레 방향으로 규제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35c)는, 수용 본체(35a)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35c)는, 제1 계합 오목부(31c)에 계합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규제부(35c)는, 제1 계합 오목부(31c)에 부분적으로 계합하여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35c)는, 한 쌍의 돌출부(35d)를 가진다. 한 쌍의 돌출부(35d)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수용 본체(35a)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35d)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수용 본체(35a)의 외주부 및 위치 결정부(35b)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한 쌍의 돌출부(35d)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35e)을 가진다. 각 대향면(35e)의 사이에는, 타격 핀(70)의 머리부(70a)가 배치된다. 각 대향면(35e)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에 대향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기단부(축부 측의 부분)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 대향면(35e)에 대향하고 있다. 각 대향면(35e)은, 음출부(67a)로부터 보아(축 방향으로 보아), 실질적으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음출부(67a)로부터 보아, 각 대향면(35e)의 곡률(曲率)이 타격 핀의 최외형(最外形)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같게 되도록, 각 대향면(35e)은 형성되어 있다.
각 대향면(35e)과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의 범위 내 있어서, 타격 핀(70)의 머리부(70a)는,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타격 핀(70)의 머리부(70a)가 한 쌍의 대향면(35e) 중 어느 일방(一方)에 당접한 경우, 이 당접에 의하여,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이동, 즉 머리부(70a)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타격 핀은 구동 기어(31)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구동축(30) 및 제1 드래그 부재(61)는 역전 방지 기구(55)에 의하여 역전이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드래그 장치(23)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가 상대 회전하면, 타격 핀(70)이 제1 드래그 부재(61)의 음출부(67a)에 대하여 충돌을 반복하여 발음한다.
<양 베어링 릴의 동작>
다음으로, 이 양 베어링 릴의 동작을 설명한다.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핸들(2)을 줄 감기 방향으로 돌린다. 핸들(2)의 회전은 구동축(30)으로부터 드래그 장치(23)를 통하여 구동축(30)에 연동하는 구동 기어(31) 및 피니언 기어(32)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은, 클러치 기구(21)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32)와 감합하고 있는 스풀축(16)에 전달되고, 스풀(12)이 회전하여 낚싯줄을 감는다. 이 구동축(30)의 회전은, 제1 기어 부재(50) 및 제2 기어 부재(51)를 통하여 나축(46)에도 전달된다. 나축(46)의 회전에 의하여, 레벨 와인드 기구(18)의 낚싯줄 안내부(47)가 스풀축(16)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이 왕복 운동에 의하여, 스풀(12)에 낚싯줄이 대략 균일하게 감긴다.
한편,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는, 클러치 레버(17)를 조작하여 클러치 제어 기구(22)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를 이탈 상태(클러치 오프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16)과 피니언 기어(32)와의 감합이 해제되고, 낚싯줄의 방출에 의하여 스풀(12)이 회전하여도 회전 전달 기구(19) 및 구동축(30)에는 그 회전은 전달되지 않는다.
<드래그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드래그 장치(23)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에는, 낚싯줄에 텐션이 가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2)에는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토크가 작용한다. 그러나, 스타 드래그(3)의 조임에 의하여 압축한 접시 용수철(57)에 의하여, 구동 기어(31)가 래칫 휠(90) 측에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12)에 작용하는 토크가 작은 사이에는,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이 상대 회전 불가능하다. 그리고, 구동축(30)은 역전 방지 기구(55)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멈춰져 있기 때문에, 구동 기어(31)와 연동하는 스풀(12)도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낚싯줄에 가해지는 텐션이 높아지고 스풀(12)에 가해지는 토크가 커지면, 구동 기어(31) 및 제2 드래그 부재(62)가, 제1 드래그 부재(61), 제3 드래그 부재(63) 및 래칫 휠(90)에 대하여 슬립하면서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2)도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스풀(12)에 작용하는 토크가 소정의 값을 넘어, 낚싯줄에 과대한 장력이 가해지면, 드래그 장치(23)가 작동하여 스풀(12)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낚싯줄을 과대한 장력으로부터 보호한다.
물고기의 낚아 올림 때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스풀(12)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발음 기구에 의하여 음을 발생한다.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가 상대 회전하면, 구동축(3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드래그 부재(61)의 음출 오목부(67b)와, 구동 기어(31)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타격 핀(70)이 간섭하여 클릭음을 발생한다. 이 클릭음은, 등간격으로 배치된 음출 오목부(67b)를 향하여 압박된 타격 핀(70)의 머리부(70a)가 간헐적으로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한다.
<정리>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1) 본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23)는,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과의 상대 회전을 규제한다.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23)는, 제1 드래그 부재(61)와, 타격 핀(70)과, 수용 부재(35)를 구비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 또한 스타 드래그(3)에 의하여 압압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 기어(31)에 대향하는 음출부(67a)를 가진다. 타격 핀(70)은, 음출부(67a)에 당접 가능한 머리부(70a), 및 머리부(70a)에 접속된 축부(70b)를 가진다. 타격 핀(70)은, 구동 기어(31) 및 제1 드래그 부재(61)의 상대 회전 시에, 음출부(67a) 및 머리부(70a)의 간섭에 의하여 음을 발생한다. 수용 부재(35)는, 구동 기어(31)에 장착된다. 수용 부재(35)는, 타격 핀(70)의 축부(70b)를 보지하는 수용 본체(35a), 및 머리부(70a)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35c)를 가진다.
본 드래그 장치(23)에서는, 수용 부재(35)의 수용 본체(35a)가, 타격 핀(70)의 축부(70b)를 보지한다. 또한, 수용 부재(35)의 규제부(35c)가,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31)와 제1 드래그 부재(61)의 음출부(67a)와의 간격이 커졌다고 하여도, 구동 기어(31) 및 제1 드래그 부재(61)의 상대 회전 시에, 수용 부재(35)의 규제부(35c)에 의하여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타격 핀(70)의 축부(70b)가, 수용 부재(35)의 수용 본체(35a)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다. 즉, 본 드래그 장치(23)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타격 핀(70)을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2) 본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23)에서는, 수용 본체(35a)가, 구멍부(36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타격 핀(70)의 축부(70b)는, 수용 본체(35a)의 구멍부(36a)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타격 핀(70)의 축부(70b)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즉, 본 드래그 장치(23)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타격 핀(70)을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3) 본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23)에서는, 규제부(35c)가,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이동을 둘레 방향으로 규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31) 및 제1 드래그 부재(61)의 상대 회전 시에, 규제부(35c)에 의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즉, 본 드래그 장치(23)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타격 핀(70)을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4) 본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23)에서는, 규제부(35c)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35e)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타격 핀(70)의 머리부(70a)는, 한 쌍의 대향면(35e)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31) 및 제1 드래그 부재(61)의 상대 회전 시에, 한 쌍의 대향면(35e)에 의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즉, 본 드래그 장치(23)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타격 핀(70)을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5) 본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23)에서는, 규제부(35c)가, 한 쌍의 돌출부(35d)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한 쌍의 돌출부(35d)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수용 본체(35a)로부터 돌출한다. 한 쌍의 돌출부(35d)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35e)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31) 및 제1 드래그 부재(61)의 상대 회전 시에, 한 쌍의 돌출부(35d) 즉 한 쌍의 대향면(35e)에 의하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즉, 본 드래그 장치(23)에서는, 드래그 작동 시에 타격 핀(70)을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6) 본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23)는, 타격 핀(70)을 음출부(67a)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7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압박 부재(72)는, 수용 본체(35a)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31) 및 제1 드래그 부재(61)의 상대 회전 시에, 압박 부재(72)에 의하여 타격 핀(70)을 음출부(67a)에 확실하게 간섭시킬 수 있다.
(7) 본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23)에서는, 수용 본체(35a)가, 구멍부(36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타격 핀(70)의 축부(70b)는, 수용 본체(35a)의 구멍부(36a)에 배치된다. 압박 부재(72)는, 타격 핀(70)의 축부(70b) 및 수용 본체(35a)의 구멍부(36a)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압박 부재(72)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축 방향으로 특별히 준비할 일 없이, 치절이 좋은 명료한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속제의 환형(丸形)의 양 베어링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드래그 장치는 모든 양 베어링 릴의 구동축에 장착된 드래그 장치에 채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음출부(67a)가, 복수의 음출 오목부(67b)를 가지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음출부(67a)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격 핀(70)이 음출 링(67)과 구동 기어(31)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반복 충돌을 반복하는 구성이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여 형성된 복수의 음출 볼록부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음출 오목부(67b)의 형상은, 파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상, 삼각형상, 또는 구형상(矩形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드래그 부재(61)를, 압압부(68c)를 가지는 드래그판(66)과, 음출부(67a)를 가지는 음출 링(67)과의 2개의 부재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제1 드래그 부재(61)에 음출부(67a)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달 토크를 크게 하기 위하여, 드래그 장치(23)에 제2 드래그 부재(62)와 제3 드래그 부재(63)를 설치하였지만, 이러한 드래그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타격 핀(70)을 1개 설치하였지만, 타격 핀(70)을 복수(예를 들어, 2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수용 부재(35)를 복수 설치하고, 수용 부재(35)를 장착공(31g)에 장착하고, 그 수용 부재(35)에 타격 핀(70)을 수용하면 된다. 이 경우, 각각의 타격 핀(70)을 다른 회전 위상으로 발음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음출 링의 음출 오목부의 수를 타격 핀(70)의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계합 오목부 및 장착공의 위상을 복수의 타격 핀(70)이 동시에 발음하지 않는 위치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타격 핀(70)의 발음 주기가 짧아진다. 나아가, 복수의 타격 핀(70)을 동시에 발음시켜 음량을 크게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용 부재(35)를 구동 기어(31)와 별체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복수의 타격 핀(70)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3: 스타 드래그
23: 드래그 장치
30: 구동축
31: 구동 기어
35: 수용 부재
35a: 수용 본체
35c: 규제부
35d: 돌출부
35e: 대향면
36a: 구멍부
61: 제1 드래그 부재
67a: 음출부
70: 타격 핀
70a: 머리부
70b: 축부
72: 압박 부재

Claims (7)

  1. 구동 기어와 구동축과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이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 또한 드래그 조정 부재에 의하여 압압(押壓)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구동 기어에 대향하는 음출부(音出部)를 가지는 드래그 부재와,
    상기 음출부에 당접(當接) 가능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 접속된 축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드래그 부재와의 상대 회전 시에 상기 음출부 및 상기 머리부의 간섭에 의하여 음(音)을 발생하는 발음 부재와,
    상기 발음 부재의 축부를 보지(保持)하는 보지부, 상기 보지부를 상기 구동 기어에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축 주위의 둘레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지부로부터 돌출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기어에 장착되는 수용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동축이 연장되는 축 방향으로 상기 보지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머리부는, 한 쌍의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축부는, 상기 구멍부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돌출부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을, 각각 별도로 가지고, 상기 머리부의 일부는, 한 쌍의 상기 대향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부재를 상기 음출부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보지부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축부는, 상기 구멍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축부 및 상기 구멍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60139188A 2016-01-20 2016-10-25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KR102656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9212 2016-01-20
JP2016009212A JP6887217B2 (ja) 2016-01-20 2016-01-20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394A KR20170087394A (ko) 2017-07-28
KR102656379B1 true KR102656379B1 (ko) 2024-04-12

Family

ID=5931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188A KR102656379B1 (ko) 2016-01-20 2016-10-25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61086B2 (ko)
JP (1) JP6887217B2 (ko)
KR (1) KR102656379B1 (ko)
CN (1) CN106982804A (ko)
MY (1) MY182813A (ko)
TW (1) TW2017259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8670B2 (ja) * 2017-12-27 2022-06-21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及び釣り用リール
JP7032225B2 (ja) * 2018-04-26 2022-03-0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223A (ja) 2005-03-31 2006-10-1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5092830A (ja) * 2013-11-08 2015-05-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660Y2 (ko) * 1980-12-19 1986-06-13
JPS59178069U (ja) * 1983-05-18 1984-1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発音装置
JPH0713498Y2 (ja) * 1989-02-27 1995-04-05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釣用リールのクリック音発生装置
JP2006025763A (ja) * 2004-07-21 2006-02-02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6129794A (ja) * 2004-11-08 2006-05-2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6198421B2 (ja) * 2013-03-15 2017-09-20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爪歯車
JP6412680B2 (ja) * 2013-04-26 2018-10-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223A (ja) 2005-03-31 2006-10-1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5092830A (ja) * 2013-11-08 2015-05-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25977A (zh) 2017-08-01
CN106982804A (zh) 2017-07-28
MY182813A (en) 2021-02-05
US9861086B2 (en) 2018-01-09
US20170202194A1 (en) 2017-07-20
KR20170087394A (ko) 2017-07-28
JP2017127247A (ja) 2017-07-27
JP6887217B2 (ja)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334B1 (ko)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JP7142133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KR20060046528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102656379B1 (ko)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CN109105345B (zh) 双轴承绕线轮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KR100613148B1 (ko) 플라이 릴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6965124B2 (ja) 両軸受リール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971612B2 (ja) 両軸受リール
US5575431A (en) Open-face fishing reel of the fixed-spool type
JP6534726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534727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467481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US5575430A (en) Open-face fishing reel of the fixed-spool type
KR20240062914A (ko) 드래그 레버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
JP2000004734A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両軸受リール
JP2018000203A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2010000043A (ja) 魚釣用リール
JP2004024120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