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334B1 -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334B1
KR102254334B1 KR1020140067879A KR20140067879A KR102254334B1 KR 102254334 B1 KR102254334 B1 KR 102254334B1 KR 1020140067879 A KR1020140067879 A KR 1020140067879A KR 20140067879 A KR20140067879 A KR 20140067879A KR 102254334 B1 KR102254334 B1 KR 102254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sound
pressing
engaging
driv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692A (ko
Inventor
쿠니오 타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5005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8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a bell or a flashing light
    • A01K89/0179Clicking indicators, e.g. flexible pawl and toothed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8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a bell or a flashing light
    • A01K89/018Spring biased paw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2Positive
    • A01K89/053One-way
    • A01K89/054One-way with disabl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드래그 장치(23)에 있어서, 드래그 작동 시에 명료한 또한 큰 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드래그 장치(23)는, 스풀(12)에 연동하는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과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장치이다. 드래그 장치(23)는, 제1 드래그 부재(61)와, 스타 드래그(3)와, 발음 부재(64)를 구비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축(30)과 일체적(一體的)으로 회전 가능하고, 구동 기어(31)에 대하여 압압(押壓)되며, 구동 기어(31)에 대한 압압 측면에 형성된 음출부(音出部)(67a)를 가진다. 스타 드래그(3)는, 제1 드래그 부재(61)의 압압력을 조정한다. 발음 부재(64)는, 구동 기어(31)와 연동하고, 음출부(67a)에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음출부(67a)와 간섭하여 음을 발생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DRAG MECHANISM FOR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드래그 장치, 특히, 양 베어링 릴의 스풀에 연동하는 구동 기어와 구동축과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의 구동축의 주위에는,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스타 드래그 형의 드래그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드래그 장치는, 구동 기어와 구동축의 사이에서 전달 가능한 토크(torque)를 조정하여, 낚싯줄에 걸리는 장력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드래그 장치는, 구동축에 나합(螺合)하는 드래그 조정 부재(스타 드래그)와, 구동 기어를 사이에 두고 구동축에 일체적(一體的)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부재를 구비한다. 구동 기어의 드래그 조정 부재 측에 배치된 드래그 부재는, 드래그 조정 부재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압압(押壓)되어, 구동 기어를 압압한다. 덧붙여, 구동축은 원웨이(one-way) 클러치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또한 구동 기어는, 스풀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피니언 기어에 맞물림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드래그 장치에 있어서, 드래그 작동, 즉 스풀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것을 보지(報知)하기 위하여 발음하는 발음 기능을 가지는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드래그 장치는, 구동 기어의 배면(背面)(핸들로부터 멀어지는 면)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출(音出) 링과, 음출 링과 래칫 휠(ratchet wheel)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기어 부재에 설치되는 발음 부재를 가진다. 발음 부재는, 기어 부재에 설치되는 통상(筒狀)의 수용부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 타격 핀을 가진다. 기어 부재는, 래칫 휠의 배면 측에 배치된다. 타격 핀은, 래칫 휠을 관통하여 음출 링에 접촉 가능하다. 타격 핀은, 드래그 작동 시의 구동 기어와 기어 부재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음출 링과의 충돌을 반복하여 음출 링을 발음시킨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4402816호 명세서
종래의 발음 기능을 가지는 드래그 장치에서는, 음출 링 및 발음 부재가 구동 기어의 배면 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발음 위치가 양 베어링 릴의 외측면(外側面)으로부터 멀어지고, 드래그가 작동하여도, 분명하지 못한 불명료한 음(音)이 발생하는 것과 함께, 큰 음을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 베어링 릴 드래그 장치에 있어서, 드래그 작동 시에 명료한 또한 큰 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는, 스풀에 연동하는 구동 기어와 구동축과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장치이다.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는, 드래그 부재와, 드래그 조정 부재와, 발음 부재를 구비한다. 드래그 부재는,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구동 기어에 대하여 압압되고, 구동 기어에 대한 압압 측면에 형성된 음출부를 가진다. 드래그 조정 부재는, 드래그 부재의 압압력을 조정한다. 발음 부재는, 구동 기어와 연동하고, 음출부에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 기어와 구동축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음출부와 상기 구동축의 축 방향으로 간섭하여 음을 발생한다.
이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에서는, 드래그 조정 부재에 의하여 조정된 규제력보다도 강한 힘이 낚싯줄에 작용하면, 스풀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드래그 장치가 작동한다. 드래그 장치가 작동하면, 구동축과 구동 기어가 상대 회전하고, 발음 부재가 음출부와 간섭하여 음을 발생한다. 여기에서는, 음출부는, 구동 기어를 압압하는 드래그 부재의 압압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발음 부재와 음출부의 간섭에 의한 발음 위치는, 구동 기어보다도 양 베어링 릴의 외측면에 가까운 위치이다. 이 때문에, 드래그 장치가 작동하면,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된다.
발음 부재는, 구동 기어의 피압압(被押壓) 측면에, 음출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고, 음출부에 충돌 가능한 타격 핀과, 타격 핀을 음출부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음출부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박된 타격 핀에 의하여 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또렷하고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피충돌부(被衝突部)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축과 구동 기어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타격 핀이 피충돌부에 충돌하여 음이 발생한다.
음출부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피충돌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축과 구동 기어의 상대 회전에 있어서, 1회전으로 복수 회의 음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한층 더 클릭감이 있는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드래그 부재는, 구동축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 기어를 압압 가능한 드래그판과, 음출부를 가지는 음출 링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드래그 부재가 구동 기어를 압압하기 위한 드래그판과,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하기 위한 음출 링과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음출 링이 발음 시에 진동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드래그 작동 시에 한층 더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드래그판은, 음출 링과 계합(係合)하는 계합부를 가지고, 음출 링은, 드래그판과 계합하는 피계합부(被係合部)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합부와 피계합부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판과 음출 링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계합부와 피계합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間隙)이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합부와 피계합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기 때문에, 발음 시에 음출 링이 한층 더 진동하기 쉬워지고, 한층 더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계합부는, 압압 방향으로 계합하는 제1 계합부와, 둘레 방향으로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가지고, 피계합부는, 제1 계합부와 계합하는 제1 피계합부와, 제2 계합부와 계합하는 제2 피계합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계합부와 제1 피계합부의 계합에 의하여, 음출 링을 빠짐 방지할 수 있고, 제2 계합부와 제2 피계합부의 계합에 의하여, 음출 링을 드래그판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1 계합부는, 압압 방향으로 돌출하는 압압부와, 압압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제1 피계합부는, 압압부가 삽통(揷通) 가능하고, 플랜지부보다도 소경(小徑)의 관통 구멍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드래그판의 압압부가 관통 구멍을 삽통하여 구동 기어를 압압 가능하게 되는 것과 함께, 플랜지부가 관통 구멍의 주위에서 음출 링을 빠짐 방지할 수 있다.
압압부의 압압 방향의 길이는, 관통 구멍의 압압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압압부의 압압 방향의 길이가 관통 구멍의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음출 링의 압압 방향에 있어서, 드래그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발음 시에 음출 링이 진동하기 쉬워져, 드래그 작동 시에 한층 더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압압부의 압압 방향의 길이는, 관통 구멍의 압압 방향의 길이보다 적어도 0.1mm 길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압압부의 길이가 관통 구멍의 길이에 대하여 약간 긴 것뿐이기 때문에, 압압부의 길이를 관통 구멍보다도 길게 하여도, 양 베어링 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제2 계합부는, 드래그판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계합 오목부이고, 제2 피계합부는, 계합 오목부에 계합 가능한 계합 볼록부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요철 계합에 의하여, 음출 링을 드래그판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2 계합부는, 드래그판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계합 오목부이고, 제2 피계합부는, 복수의 계합 오목부에 계합 가능한 복수의 계합 볼록부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요철 계합에 의하여, 음출 링을 드래그판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확실히 연결할 수 있다.
계합 볼록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계합 오목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합 볼록부와 계합 오목부의 사이에 둘레 방향의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발음 시에 음출 링이 한층 더 진동하기 쉬워지고, 한층 더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계합 볼록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계합 오목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적어도 0.1mm 짧다. 이 경우에는, 계합 볼록부와 계합 오목부의 둘레 방향의 간극이 작기 때문에, 드래그 장치가 작동하면, 음출 링과, 발음 부재가 연동하는 구동 기어가 순시(瞬時)에 상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장치가 작동하면, 순시에 발음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출부는, 구동 기어를 압압하는 드래그 부재의 압압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발음 부재와 음출부의 간섭에 의한 발음 위치는, 구동 기어보다도 양 베어링 릴의 외측면에 가까운 위치이다. 이 때문에, 드래그 장치가 작동하면,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3은 드래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V부 단면 확대도
도 5는 구동 기어 측으로부터 본 제1 드래그 부재의 정면도.
도 6은 구동 기어 측으로부터 본 제2 드래그 부재의 정면도.
도 7은 구동 기어 및 음출 링의 타격 핀 장착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절단선 VIII-VIII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드래그판의 제1 계합 오목부의 둘레 방향 길이와 음출 링의 제1 계합 볼록부와 둘레 방향 길이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2)과, 스풀(12)과, 드래그 장치(23)를 구비한다.
<양 베어링 릴의 개략 구성>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 측방에 장착된 제1 측 커버(6) 및 제2 측 커버(7)와, 기구 장착판(13)을 가진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과, 이들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을 연결하는 전(前) 연결부(10a) 및 하(下) 연결부(10b)를 가진다. 하 연결부(10b)에는, 낚싯대 장착용의 장대 장착 다리부(4)가 일체 형성된다.
제1 측 커버(6)는, 스풀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圓形)이고, 제2 측 커버(7)는, 외경(外徑)이 다른 편심(偏心)한 2개의 외주원(外周圓)으로 구성된다. 제1 측 커버(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8)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2 측 커버(7)는, 예를 들어 3개의 나사에 의하여 제2 측판(9)에 고정된다. 제2 측 커버(7)는, 후술하는 스풀축(16)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보스부(7a)와, 후술하는 구동축(3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보스부(7b)를 가진다. 제1 보스부(7a)는, 제2 보스부(7b)보다도 후방(後方)에 또한 상방(上方)에 설치된다. 기구 장착판(13)은, 핸들(2)이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30) 및 스풀축(16)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기구 장착판(13)은, 제2 측 커버(7)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0)(도 2 참조)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암(2a)과, 핸들 암(2a)의 선단(先端)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2b)를 가진다. 핸들 암(2a)은, 후술하는 스타 드래그(3)의 축 방향 외측(外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 내에는, 스풀(12)과,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손가락을 대는 부분으로 되는 클러치 레버(17)와,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level wind) 기구(18)가 배치된다.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7)의 사이에는, 회전 전달 기구(19)와, 클러치 기구(21)와, 클러치 제어 기구(22)와, 드래그 장치(23)와, 캐스팅(casting)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된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 커버(6)의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遠心) 브레이크 기구(25)가 배치된다.
회전 전달 기구(19)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8)에 전한다. 클러치 기구(21)는, 회전 전달 기구(19)의 도중에 설치되고, 구동축(30)과 스풀(12)을 연결 및 차단한다.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1)의 연결 및 차단을 제어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한다.
스풀(12)은, 그 중심을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12)은,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12a)와, 줄 감기 몸통부(12a)의 양측에 대경(大徑)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12b)를 가진다. 스풀축(16)은, 3개의 베어링(29a, 29b, 29c)에 의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러치 레버(17)는, 한 쌍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의 후부(後部)에서 스풀(12)의 후방에 배치된다. 클러치 레버(17)는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레벨 와인드 기구(18)는, 스풀(12)의 전방(前方)에서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에 배치된다. 레벨 와인드 기구(18)는, 외주면(外周面)에 교차하는 나선상(螺旋狀) 홈(46a)이 형성된 나축(螺軸)(46)과, 나축에 의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부(47)를 가진다. 나축(46)은, 양단이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전달 기구의 구성>
회전 전달 기구(1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0)과, 구동축(30)에 고정된 구동 기어(31)와, 구동 기어(31)에 맞물리는 통상의 피니언 기어(32)와, 구동축(30)의 기단부(基端部)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기어 부재(50)와, 나축(46)의 도 2 우단(右端)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2 기어 부재(51)를 가진다.
구동축(3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전(逆轉) 방지 기구(55)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역전)이 금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장치(23)가 작동 가능하게 된다. 역전 방지 기구(55)는, 롤러형의 제1 원웨이 클러치(86)와, 멈춤쇠식의 제2 원웨이 클러치(88)를 가진다. 제1 원웨이 클러치(86)는, 구동축(30)의 중간부에 배치되고, 릴 본체(1)의 제2 측 커버(7)의 제2 보스부(7b)와 구동축(30)과의 간극에 장착된다. 제1 원웨이 클러치(86)는, 내륜(內輪) 유전(遊轉) 형태의 롤러 클러치이다. 제1 원웨이 클러치(86)는, 제2 보스부(7b)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륜(外輪)(86a)과,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륜(86b)과, 외륜(86a)과 내륜(86b)의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86c)를 가진다. 내륜(86b)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계합 돌기(86d)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계합 돌기(86d)는, 내륜(86b)의 구동 기어(31) 측의 단면(端面)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후술하는 제1 드래그 부재(61)의 드래그판(66)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륜(86b)은, 드래그판(66)을 통하여 구동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원웨이 클러치(88)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外周)에 래칫 톱니(90a)를 가지는 래칫 휠(90)과, 릴 본체(1)의 기구 장착판(13)의 외측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래칫 멈춤쇠(92)를 가진다. 래칫 휠(90)은,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係止部)(30d)에 테두리부(30c)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래칫 톱니(90a)에 래칫 멈춤쇠(92)가 물리는 것에 의하여, 구동축(3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래칫 휠(90)과 구동 기어(31)의 사이에는, 드래그 장치(23)의 드래그 디스크(65d)가 배치된다. 래칫 휠(90)은, 구동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드래그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구동축(3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28) 및 제1 원웨이 클러치(86)에 의하여 제2 측 커버(7) 및 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3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 측으로부터 선단 측을 향하여 피지지부(被支持部)(30a), 토크 규제부(30b), 테두리부(30c), 제1 계지부(30d), 제1 수나사부(30e), 제2 수나사부(30f)(도 3 참조), 및 제2 계지부(30g)(도 3 참조)가 각각 형성된다.
피지지부(30a)에는, 구동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8)(도 4 참조)이 장착된다. 토크 규제부(30b)는, 피지지부(30a)보다도 대경이다. 토크 규제부(30b)는,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압박된 한 쌍의 규제 핀(33)에 의하여 허용 토크 내에서 제1 기어 부재(50)를 구동축(3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테두리부(30c)는, 토크 규제부(30b)보다도 대경이다. 테두리부(30c)는, 드래그 장치(23)에 의하여 생기는 압압력을 받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계지부(30d)는, 드래그 장치(23)를 구성하는 제1 드래그 부재(61), 제2 드래그 부재(62), 및 래칫 휠(90)(각각 후술)을,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계지부(30d)는, 테두리부(30c)보다도 소경이고, 서로 평행한 2조(組)의 모따기부로 구성된다. 제1 수나사부(30e)는, 드래그 장치(23)의 스타 드래그(3)를 나합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수나사부(30e)는, 제1 계지부(30d)의 선단 측에 제1 계지부(30d)를 제외하는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2 수나사부(30f)는, 구동축(30)의 선단부에 제1 수나사부(30e)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된다. 제2 계지부(30g)는, 제1 계지부(30d)보다도 소경이고, 서로 평행한 1조의 모따기부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2 계지부(30g)는, 제2 수나사부(30f)가 형성된 구동축(3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2 계지부(30g)는, 핸들(2)을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핸들(2)은, 제2 수나사부(30f)에 비틀어 박힌 너트(53)(도 2 참조)에 의하여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구동 기어(31)는, 구동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구동축(30)과 드래그 장치(23)를 통하여 연결된다. 구동 기어(31)는, 통상의 기어부(31a)와, 기어부(31a)보다도 박육(薄肉)의 원판부(圓板部)(31b)와, 기어부(31a)의 내주면(內周面)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합 오목부(31c)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계합 오목부(31c)는, 기어부(31a)의 내주부(內周部)에 원호상(圓弧狀)으로 오목하게 복수(예를 들어, 2 내지 6개, 이 실시예에서는 4개) 형성된다. 기어부(31a)는, 구동 기어(31)의 외주 측에 형성되는 기어 톱니(31d)를 가진다. 원판부(31b)는, 기어부(31a)의 내주 측에 일체 형성되고, 구동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원판부(31b)는, 기어부(31a)보다도 박육이다. 원판부(31b)의 중심에 구동축(30)에 지지되는 지지 구멍(31e)이 형성된다. 또한 원판부(31b)는, 핸들(2) 측에 드래그 장치(23)에 의하여 압압되는 피압압 측면(31f)을 가진다. 제1 계합 오목부(31c)는, 제2 드래그 부재(62)를 구동 기어(3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계합 오목부(31c)는, 구동 기어(31)의 제2 측 커버(7)로부터 먼 면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관통 부분에는, 원형의 장착 구멍(31g)이 형성된다.
구동 기어(31)는, 드래그 장치(23)의 후술하는 발음 부재(64)가 수용되는 수용부(35)를 더 가진다. 수용부(35)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수용부 본체(35a)와, 수용부 본체(35a)의 외주면에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돌기(35b)를 가진다. 수용부 본체(35a)는, 장착 구멍(31g) 및 제1 계합 오목부(31c)에 계합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수용부 본체(35a)에는 발음 부재(64)가 수용된다. 위치 결정 돌기(35b)는, 장착 구멍(31g)에 수용부 본체(35a)가 장착되면, 축 방향에 배치된 배면(핸들(2)로부터 멀어진 면)이 장착 구멍(31g)의 주위의 원판부(31b)의 벽면에 접촉하고, 또한 둘레 방향의 양면이 기어부(31a)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수용부 본체(35a)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 및 회전 멈춤이 행하여진다. 덧붙여, 수용부(35)는, 4개의 장착 구멍(31g) 중 어느 것에도 장착 가능하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9)의 외방으로부터 내방(內方)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스풀축(16)이 관통하는 통상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32)는, 베어링 34a 및 베어링 34b에 의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1)에 지지된다. 베어링 34a는 기구 장착판(13)에 장착된다. 베어링 34b는, 제2 측 커버(7)의 제1 보스부(7a)에 장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32)의 도 4 좌단부(左端部)에는, 클러치 기구(21)의 후술하는 계합 핀(21a)에 맞물리는 맞물림 홈(32a)이 형성된다. 이 맞물림 홈(32a)과, 스풀축(16)에 장착된 계합 핀(21a)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가 구성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32)의 중간부에는 잘록부(32b)가, 우단부에는 베어링(34b)에 지지되는 지지 부분(32c)이 각각 형성된다. 잘록부(32b)와 지지 부분(32c)의 사이에, 구동 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부(32d)가 형성된다.
제1 기어 부재(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30)의 토크 규제부(30b)에 장착된다. 제1 기어 부재(50)는, 나축(46) 또는 제2 기어 부재(51)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허용 토크 이상의 토크가 제1 기어 부재(50)에 작용하면 공전(空轉)한다. 제1 기어 부재(50)는, 테두리부(30c)에 구동축(30)의 기단부 측으로부터 당접(當接)하고 있다. 나축(46)에 장착된 제2 기어 부재(51)는, 제1 기어 부재(50)에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레벨 와인드 기구(18)의 나축(46)은, 구동축(30)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드래그 장치의 구성>
드래그 장치(23)는, 스풀(12)에 연동하는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과의 상대 회전을 소정의 토크 양을 넘을 때까지 규제한다. 또한, 드래그 장치(23)는, 소정의 토크 양을 넘어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이 상대 회전하면, 스풀(1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한다. 드래그 장치(23)는, 주로, 도 2에 도시하는 스타 드래그(3)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제1 드래그 부재(61), 제2 드래그 부재(62), 제3 드래그 부재(63), 및 발음 부재(64)와, 복수 매(예를 들어, 4매)의 드래그 디스크 65a 내지 드래그 디스크 65d를 구비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드래그 부재의 일례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타 드래그(3)는, 구동축(30)의 제1 수나사부(30e)에 나합하는 너트 부재(3a)와, 너트 부재(3a)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 부재(3b)를 가진다. 스타 드래그(3)는 드래그 조정 부재의 일례이다. 스타 드래그(3)는, 스타 드래그(3)보다도 구동축(30)의 기단 측에 장착된 부재(예를 들어,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 제1 드래그 부재(61), 제2 드래그 부재(62), 및 제3 드래그 부재(63) 등의 부재)를 압압하여 소정의 토크 양을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스타 드래그(3)와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사이에는 복수 매(예를 들어 2매 내지 6매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2매)의 접시 용수철(57)이 장착된다. 접시 용수철(57)은, 스타 드래그(3)의 조임력을 제1 드래그 부재(61)에 완만하게 전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접시 용수철(57)은, 스타 드래그(3)와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에 각각 와셔(washer)를 통하여 접촉한다.
스타 드래그(3)는, 그 조임 상태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접시 용수철(57)을 통하여 제2 측 커버(7)에 장착된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스타 드래그(3)의 조절에 의하여, 접시 용수철(57)의 압압력이 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타 드래그(3)에 의하여 드래그 장치(23)의 드래그력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에 의하여 구동 기어(31)에 대하여 압압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 기어(31)에 대한 압압 측면에 형성된 음출부(67a)를 가진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 기어(31)를 압압 가능한 드래그판(66)과, 음출부(67a)를 가지는 음출 링(67)을 가진다. 드래그판(66)은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30d)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음출 링(67)은 드래그판(66)의 외주 측에 드래그판(66)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드래그판(66)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상(圓板狀)의 부재이다. 드래그판(66)은, 외주부에 형성되고 음출 링(67)에 계합하는 계합부(68)와, 내주부에 형성된 비원형(非圓形) 구멍(66a)을 가진다. 비원형 구멍(66a)은,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30d) 및 제1 원웨이 클러치(86)의 내륜(86b)의 한 쌍의 계합 돌기(86d)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계합한다. 비원형 구멍(66a)은, 내륜(86b)의 한 쌍의 계합 돌기(86d)에 계합하는 한 쌍의 직사각형 오목부(66b)와,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30d)에 계합하는 한 쌍의 직선부(66c)를 가진다.
계합부(68)는, 구동 기어(31)를 압압하는 압압 방향(구동축의 도 3 좌방향)으로 음출 링(67)과 계합하는 제1 계합부(68a)와, 둘레 방향으로 음출 링(67)과 계합하는 제2 계합부(68b)를 가진다. 제1 계합부(68a)는, 압압 방향으로 돌출하는 압압부(68c)와, 압압부(68c)의 외주 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68d)를 가진다. 제2 계합부(68b)는, 드래그판(66)의 플랜지부(68d)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계합 오목부(68e)를 가진다. 제2 계합 오목부(68e)는, 제2 계합부의 계합 오목부의 일례이다.
음출 링(67)은,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등의 필러(filler)에 의하여 강화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등의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가 선택된다. 음출 링(67)은, 도 3,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31)에 대향 가능한 면에 음출부(67a)와, 드래그판(66)의 계합부(68)에 계합하는 피계합부(69)를 가진다. 음출부(67a)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음출 오목부(67b)를 가진다. 음출 오목부(67b)는 피충돌부의 일례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음출 오목부(67b)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상(波狀)으로 오목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피계합부(69)와 계합부(68)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치된다. 피계합부(69)는, 제1 계합부(68a)와 계합하는 제1 피계합부(69a)와, 제2 계합부(68b)와 계합하는 제2 피계합부(69b)를 가진다. 제1 피계합부(69a)는, 압압부(68c)가 삽통 가능하고, 또한, 플랜지부(68d)보다도 소경의 관통 구멍(69c)을 가진다. 제2 피계합부(69b)는, 드래그판(66)의 제2 계합 오목부(68e)에 계합하는 제2 계합 볼록부(69d)를 가진다. 제2 계합 볼록부(69d)는, 제2 피계합부의 계합 볼록부의 일례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부(68c)의 압압 방향의 길이 L1은, 관통 구멍(69c)의 압압 방향의 길이 L2보다도 길다. 구체적으로는, 압압부(68c)의 길이 L1은, 관통 구멍(69c)의 길이 L2보다도, 적어도 0.1mm 길다. 덧붙여, 도 8에서는, 간극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관통 구멍(69c)의 길이 L2를 실제의 길이보다도 짧게 그리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음출 링(67)은, 축 방향으로 길이 L1-L2의 차(差)인 양자(兩者)의 간극분 만큼, 드래그판(6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출 링(67)의 제2 계합 볼록부(69d)의 둘레 방향의 길이 L4는, 드래그판(66)의 제2 계합 오목부(68e)의 둘레 방향의 길이 L3보다도 짧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계합 볼록부(69d)의 둘레 방향의 길이 L4는, 제2 계합 오목부(68e)의 둘레 방향의 길이 L3보다도, 적어도 0.1mm 짧다. 덧붙여, 도 9에서는, 간극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2 계합 볼록부(69d)의 길이(L4)를 실제의 길이보다도 짧게 그리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음출 링(67)은, 둘레 방향으로 길이 L3-L4의 차인 양자의 둘레 방향의 간극분 만큼, 드래그판(6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2 드래그 부재(6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드래그 부재(61)와 제3 드래그 부재(63)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드래그 부재(62)는, 구동 기어(31)의 기어부(31a)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구동 기어(31)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드래그 부재(62)는, 드래그 디스크(65a)를 통하여 제1 드래그 부재(61)의 드래그판(66)의 압압부(68c)에 의하여 압압된다. 제2 드래그 부재(62)는, 외주부에 구동 기어(31)의 복수의 제1 계합 오목부(31c)에 계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계합 볼록부(62a)를 가진다. 제1 계합 볼록부(62a)는, 제1 계합 오목부(31c)의 수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계합 오목부(31c)의 수는 4개이고, 제1 계합 볼록부(62a)의 수는 3개이다. 또한, 제2 드래그 부재(62)는, 발음 부재(64)가 통과 가능한 통과 오목부(62b)를 외주부에 가진다. 통과 오목부(62b)는, 제1 계합 볼록부(62a)가 제1 계합 오목부(31c)에 계합한 상태에서, 남은 제1 계합 오목부(31c)에 대향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계합 오목부(31c)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1 계합 볼록부(62a)와 적어도 하나의 통과 오목부(62b)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통과 오목부(62b)는, 수용부(35)에 수용된 발음 부재(64)가 통과 가능하게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3 드래그 부재(63)는, 제2 드래그 부재(62)와 구동 기어(31)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드래그 부재(63)는, 드래그 좌금(座金)(65b)을 통하여 제2 드래그 부재(62)에 의하여 압압된다. 제3 드래그 부재(63)는, 구동 기어(31)의 기어부(31a)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드래그 디스크(65)를 통하여 내주 측에 구동축(30)의 제1 계지부(30d)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63a)을 가진다. 제3 드래그 부재(63)는, 드래그 디스크(65c)를 통하여 구동 기어(31)의 원판부(31b)를 압압한다.
발음 부재(6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격 핀(70)과, 타격 핀(70)을 압박하는 압박 부재(72)를 가진다. 타격 핀(70)은, 구동 기어(31)의 드래그 장치(23)에 의하여 압압되는 피압압 측면(31f)에 장착된 수용부(35)에, 제1 드래그 부재(61)의 음출부(67a)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다. 압박 부재(72)는, 타격 핀을 음출부(67a)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박한다.
타격 핀(70)은, 금속제의 부재이고, 음출부(67a)에 반복하여 충돌 가능하다. 타격 핀(70)은, 선단에 대경으로 설치된 머리부(70a)와, 머리부(70a)의 기단에 일체로 형성된 축부(70b)를 가진다. 머리부(70a)는, 총탄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부는 예를 들어 구상(球狀)으로 둥글게 된다. 머리부(70a)는, 음출 오목부(67b)에 계합 가능한 크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음출 오목부(67b)에 진입 가능한 크기이다. 머리부(70a)는, 수용부(35)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된다. 축부(70b)는, 머리부(70a)보다도 소경이고, 압박 부재(72)에 계합하여 설치된다.
압박 부재(72)는, 타격 핀(70)의 축부(70b)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코일 용수철이다. 압박 부재(72)는, 수용부(35)의 저면(底面)(35c)과, 타격 핀(70)의 머리부(70a)와 축부(70b)의 단차(段差)(70c)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다.
이 발음 부재(64)와 음출부(67a)에 의하여 발음 기구(74)가 구성된다. 압박 부재(72)에 의하여 음출부(67a)를 향하여 압박된 타격 핀(70)은, 조립된 상태로 제1 드래그 부재(61)를 핸들(2) 측으로 압박한다.
드래그 디스크 65a 내지 드래그 디스크 65d는, 예를 들어, 펠트, 카본 등의 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타격 핀은 구동 기어(31)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구동축(30) 및 제1 드래그 부재(61)는 역전 방지 기구(55)에 의하여 역전이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드래그 장치(23)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가 상대 회전하면, 타격 핀(70)이 제1 드래그 부재(61)의 음출부(67a)에 대하여 충돌을 반복하여 발음한다. 이때, 음출 링(67)이 배치된 제2 측 커버(7)에 가까운 위치에서 발음하기 때문에, 드래그 장치(23)가 작동하면,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된다.
다음으로, 본 양 베어링 릴의 동작을 설명한다.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핸들(2)을 줄 감기 방향으로 돌린다. 핸들(2)의 회전은 구동축(30)으로부터 드래그 장치(23)를 통하여 구동축(30)에 연동하는 구동 기어(31) 및 피니언 기어(32)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은, 클러치 기구(21)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32)와 감합(嵌合)하고 있는 스풀축(16)에 전달되고, 스풀(12)이 회전하여 낚싯줄을 감는다. 이 구동축(30)의 회전은, 제1 기어 부재(50) 및 제2 기어 부재(51)를 통하여 나축(46)에도 전달된다. 나축(46)의 회전에 의하여, 레벨 와인드 기구(18)의 낚싯줄 안내부(47)가 스풀축(16)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이 왕복 운동에 의하여, 스풀(12)에 낚싯줄이 대략 균일하게 감긴다.
한편,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는, 클러치 레버(17)를 조작하여 클러치 제어 기구(22)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를 이탈 상태(클러치 오프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16)과 피니언 기어(32)의 감합이 해제되고, 낚싯줄의 방출에 의하여 스풀(12)이 회전하여도 회전 전달 기구(19) 및 구동축(30)에는 그 회전은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에, 드래그 장치(23)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에는, 낚싯줄에 텐션이 걸린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2)에는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토크가 작용한다. 그러나 스타 드래그(3)의 조임에 의하여 압축한 접시 용수철(57)에 의하여, 구동 기어(31)가 래칫 휠(90) 측으로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12)에 작용하는 토크가 작은 동안은,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이 상대 회전 불가능하다. 그리고 구동축(30)은 역전 방지 기구(55)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멈춰져 있기 때문에, 구동 기어(31)와 연동하는 스풀(12)도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낚싯줄에 걸리는 텐션이 높아져 스풀(12)에 걸리는 토크가 커지면, 구동 기어(31) 및 제2 드래그 부재(62)가, 제1 드래그 부재(61), 제3 드래그 부재(63) 및 래칫 휠(90)에 대하여 슬립하면서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2)도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스풀(12)에 작용하는 토크가 소정의 값을 넘으면, 바꾸어 말하면 낚싯줄에 과대한 장력이 걸리면, 드래그 장치(23)가 작동하여 스풀(12)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여, 낚싯줄을 과대한 장력으로부터 보호한다.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스풀(12)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발음 기구(74)에 의하여 음을 발생한다.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가 상대 회전하면, 구동축(3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드래그 부재(61)의 음출 오목부(67b)와, 구동 기어(31)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타격 핀(70)이 간섭하여 클릭음을 발생한다. 이 클릭음은, 등간격으로 배치된 음출 오목부(67b)를 향하여 압박된 타격 핀(70)의 머리부(70a)가 간헐적으로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 때문에, 클릭음은 리드미컬한 음이다. 이 음 발생 시에는, 음출부(67a)를 가지는 제1 드래그 부재(61)가 제2 측 커버(7)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양 베어링 릴(100)의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발음하기 때문에, 큰 음을 명료하게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드래그 부재(61)에 있어서, 드래그판(66)과 음출 링(67)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음출 링(67)이 진동하기 쉬워져, 한층 더 큰 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에 스풀(12)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명료한 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낚시꾼은 스풀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어, 낚시꾼에게 있어서 편리하다. 나아가, 드래그 장치(23)가 작동하여도 음출 링(67)은 압압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음이 잘 울리고, 음량도 크다.
덧붙여, 스풀(12)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크기, 즉 드래그력의 조절은, 스타 드래그(3)의 조임 상태에 따라 접시 용수철(57)의 압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31)의 압압의 정도를 바꾸는 것에 의하여 행한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인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속제의 환형(丸形)의 양 베어링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드래그 장치는 모든 양 베어링 릴의 구동축에 장착된 드래그 장치로 채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충돌부로서의 음출 오목부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피충돌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충돌부로서는, 발음 부재(64)가 음출 링(67)과 구동 기어(31)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반복 충돌을 반복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피충돌부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여 형성된 음출 볼록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음출 오목부(67b)의 형상은, 파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상, 삼각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음 부재(64)를, 타격 핀(70)과, 압박 부재(72)에 의하여 구성하였지만, 발음 부재(64)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음 부재는, 구동 기어(31)의 핸들 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음출부(67a)와 충돌을 반복하는, 판상(板狀) 또는 봉상(棒狀)의 용수철 부재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상대 회전에 의하여 충돌을 반복하는 요동하는 멈춤쇠 부재와 멈춤쇠 부재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드래그 부재(61)를, 압압부(68c)를 가지는 드래그판(66)과, 음출부(67a)를 가지는 음출 링(67)과의 2개의 부재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제2 드래그 부재에 압압부와 음출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음출부가 진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음량이 상기 실시예의 것보다도 작아질 우려가 있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달 토크를 크게 하기 위하여, 드래그 장치(23)에 제2 드래그 부재(62)와 제3 드래그 부재(63)를 설치하였지만, 이들의 드래그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음 부재(64)를 하나 설치하였지만, 발음 부재(64)를 복수(예를 들어, 2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수용부(35)를 복수 설치하고, 수용부(35)를 장착 구멍(31g)에 장착하고, 그 수용부(35)에 발음 부재(64)를 수용하면 된다. 이 경우, 각각의 발음 부재(64)를 다른 회전 위상으로 발음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음출 링의 음출 오목부의 수를 발음 부재의 수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수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계합 오목부 및 장착 구멍의 위상을 복수의 발음 부재가 동시에 발음하지 않는 위치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발음 부재의 발음 주기(周期)가 짧아진다. 나아가, 복수의 발음 부재를 동시에 발음시켜 음량을 크게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용부(35)를 구동 기어(31)와 별체(別體)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복수의 발음 부재(64)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음 부재(64)를 수용하는 수용부(35)를 구동 기어(31)와 별체로 하였지만, 구동 기어와 일체로 수용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양 베어링 릴(100)의 드래그 장치(23)는, 스풀(12)에 연동하는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과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장치이다. 드래그 장치(23)는, 제1 드래그 부재(61)와, 스타 드래그(3)와, 발음 부재(64)를 구비한다.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구동 기어(31)에 대하여 압압되며, 구동 기어(31)에 대한 압압 측면에 형성된 음출부(67a)를 가진다. 스타 드래그(3)는, 제1 드래그 부재(61)의 압압력을 조정한다. 발음 부재(64)는, 구동 기어(31)와 연동하고, 음출부(67a)에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 기어(31)와 구동축(30)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음출부(67a)와 간섭하여 음을 발생한다.
이 양 베어링 릴(100)의 드래그 장치(23)에서는, 스타 드래그(3)에 의하여 조정된 규제력보다도 강한 힘이 낚싯줄에 작용하면, 스풀(12)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드래그 장치(23)가 작동한다. 드래그 장치(23)가 작동하면,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가 상대 회전하고, 발음 부재(64)가 음출부(67a)와 간섭하여 음을 발생한다. 여기에서는, 음출부(67a)는, 구동 기어(31)를 압압하는 제1 드래그 부재(61)의 압압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발음 부재(64)와 음출부(67a)의 간섭에 의한 발음 위치는, 구동 기어(31)보다도 양 베어링 릴(100)의 외측면인 제2 측 커버(7)에 가까운 위치이다. 이 때문에, 드래그 장치(23)가 작동하면,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된다.
(B) 발음 부재(64)는, 구동 기어(31)의 피압압 측면(31f)에, 음출부(67a)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고, 음출부(67a)에 충돌 가능한 타격 핀(70)과, 타격 핀(70)을 음출부(67a)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72)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음출부(67a)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박된 타격 핀(70)에 의하여 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또렷하고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C) 음출부(67a)는, 적어도 하나의 음출 오목부(67b)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타격 핀(70)이 음출 오목부(67b)에 충돌하여 음이 발생한다.
(D) 음출부(67a)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음출 오목부(67b)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의 상대 회전에 있어서, 1회전으로 복수 회의 음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한층 더 클릭감이 있는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E) 제1 드래그 부재(61)는, 구동축(3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 기어(31)를 압압 가능한 드래그판(66)과, 음출부(67a)를 가지는 음출 링(67)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드래그 부재(61)가 구동 기어(31)를 압압하기 위한 드래그판(66)과,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하기 위한 음출 링(67)과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음출 링(67)이 발음 시에 진동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드래그 작동 시에 한층 더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F) 드래그판(66)은, 음출 링(67)과 계합하는 계합부(68)를 가지고, 음출 링(67)은, 드래그판(66)과 계합하는 피계합부(69)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계합부(68)와 피계합부(69)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판(66)과 음출 링(67)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G) 계합부(68)와 피계합부(69)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계합부(68)와 피계합부(69)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기 때문에, 발음 시에 음출 링(67)이 한층 더 진동하기 쉬워져, 한층 더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H) 계합부(68)는, 압압 방향으로 계합하는 제1 계합부(68a)와, 둘레 방향으로 계합하는 제2 계합부(68b)를 가지고, 피계합부(69)는, 제1 계합부(68a)와 계합하는 제1 피계합부(69a)와 제2 계합부(68b)와 계합하는 제2 피계합부(69b)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계합부(68a)와 제1 피계합부(69a)의 계합에 의하여, 음출 링(67)을 빠짐 방지할 수 있고, 제2 계합부(68b)와 제2 피계합부(69b)의 계합에 의하여, 음출 링(67)을 드래그판(66)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I) 제1 계합부(68a)는, 압압 방향으로 돌출하는 압압부(68c)와, 압압부(68c)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68d)를 가지고, 제1 피계합부(69a)는, 압압부(68c)가 삽통 가능하고, 플랜지부(68d)보다도 소경의 관통 구멍(69c)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드래그판(66)의 압압부(68c)가 관통 구멍(69c)을 삽통하여 구동 기어(31)를 압압 가능하게 되는 것과 함께, 플랜지부(68d)가 관통 구멍(69c)의 주위에서 음출 링(67)을 빠짐 방지할 수 있다.
(J) 압압부(68c)의 압압 방향의 길이 L1은, 관통 구멍(69c)의 압압 방향의 길이 L2보다도 길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압압부(68c)의 압압 방향의 길이 L1이 관통 구멍(69c)의 길이 L2보다도 길기 때문에, 음출 링(67)의 압압 방향에 있어서, 드래그판(66)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발음 시에 음출 링(67)이 진동하기 쉬워져, 드래그 작동 시에 한층 더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K) 압압부(68c)의 압압 방향의 길이 L1은, 관통 구멍(69c)의 압압 방향의 길이 L2보다도 적어도 0.1mm 길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압압부(68c)의 길이 L1이 관통 구멍(69c)의 길이 L2에 대하여 약간 긴 것뿐이기 때문에, 압압부(68c)의 길이 L1을 관통 구멍(69c)보다도 길게 하여도, 양 베어링 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L) 제2 계합부(68b)는, 드래그판(66)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계합 오목부(68e)이고, 제2 피계합부(69b)는, 제2 계합 오목부(68e)에 계합 가능한 제2 계합 볼록부(69d)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요철 계합에 의하여, 음출 링(67)을 드래그판(66)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M) 제2 계합부(68b)는, 드래그판(66)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제2 계합 오목부(68e)이고, 제2 피계합부(69b)는, 복수의 제2 계합 오목부(68e)에 계합 가능한 복수의 제2 계합 볼록부(69d)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요철 계합에 의하여, 음출 링(67)을 드래그판(66)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확실히 연결할 수 있다.
(N) 제2 계합 볼록부(69d)의 둘레 방향의 길이 L4는, 제2 계합 오목부(68e)의 둘레 방향의 길이 L3보다도 짧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계합 볼록부(69d)와 제2 계합 오목부(68e)의 사이에 둘레 방향의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발음 시에 음출 링(67)이 한층 더 진동하기 쉬워져, 한층 더 크게 또한 명료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O) 제2 계합 볼록부(69d)의 둘레 방향의 길이 L4는, 제2 계합 오목부(68e)의 둘레 방향의 길이 L3보다도 적어도 0.1mm 짧다. 이 경우에는, 제2 계합 볼록부(69d)와 제2 계합 오목부(68e)의 둘레 방향의 간극이 작기 때문에, 드래그 장치(23)가 작동하면, 순시에 음출 링(67)과, 발음 부재(64)가 연동하는 구동 기어(31)가 순시에 상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장치(23)가 작동하면, 순시에 발음한다.
3: 스타 드래그
23: 드래그 장치
30: 구동축
31: 구동 기어
61: 제1 드래그 부재(드래그 부재의 일례)
64: 발음 부재
66: 드래그판
67: 음출 링
67a: 음출부
67b: 음출 오목부
68: 계합부
68a: 제1 계합부
68b: 제2 계합부
68c: 압압부
68d: 플랜지부
68e: 제2 계합 오목부(계합 오목부의 일례)
69: 피계합부
69a: 제1 피계합부
69b: 제2 피계합부
69c: 관통 구멍
69d: 제2 계합 볼록부(계합 볼록부의 일례)
70: 타격 핀
72: 압박 부재
100: 양 베어링 릴
L1 내지 L4: 길이

Claims (15)

  1. 스풀에 연동하는 구동 기어와 구동축과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이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적(一體的)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 기어에 대하여 압압(押壓)되고, 상기 구동 기어에 대한 압압 측면에 형성된 음출부(音出部)를 가지는 드래그 부재와,
    상기 드래그 부재의 압압력을 조정하는 드래그 조정 부재와,
    상기 구동 기어와 연동하고, 상기 음출부에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축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음출부와 상기 구동축의 축 방향으로 간섭하여 음을 발생하는 발음 부재
    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부재는,
    상기 구동 기어의 피압압(被押壓) 측면에, 상기 음출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음출부에 충돌 가능한 타격 핀과,
    상기 타격 핀을 상기 음출부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피충돌부(被衝突部)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출부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상기 피충돌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부재는,
    상기 구동축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 기어를 압압 가능한 드래그판과,
    상기 음출부를 가지는 음출 링
    을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판은, 상기 음출 링과 계합(係合)하는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음출 링은, 상기 드래그판과 계합하는 피계합부(被係合部)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間隙)이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압압 방향으로 계합하는 제1 계합부와,
    둘레 방향으로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피계합부는,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하는 제1 피계합부와,
    상기 제2 계합부와 계합하는 제2 피계합부
    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는,
    압압 방향으로 돌출하는 압압부와,
    상기 압압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피계합부는,
    상기 압압부가 삽통(揷通) 가능하고, 상기 플랜지부보다도 소경(小徑)의 관통 구멍을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압압 방향의 길이는, 상기 관통 구멍의 압압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압압 방향의 길이는, 상기 관통 구멍의 압압 방향의 길이보다도 적어도 0.1mm 긴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드래그판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계합 오목부이고,
    상기 제2 피계합부는, 상기 계합 오목부에 계합 가능한 계합 볼록부인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드래그판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상기 계합 오목부이고,
    상기 제2 피계합부는, 상기 복수의 상기 계합 오목부에 계합 가능한 복수의 상기 계합 볼록부인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볼록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상기 계합 오목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은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볼록부의 둘레 방향으로 길이는, 상기 계합 오목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적어도 0.1mm 짧은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KR1020140067879A 2013-11-08 2014-06-03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KR102254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2207A JP6267937B2 (ja) 2013-11-08 2013-11-08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JP-P-2013-232207 2013-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692A KR20150053692A (ko) 2015-05-18
KR102254334B1 true KR102254334B1 (ko) 2021-05-21

Family

ID=5304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879A KR102254334B1 (ko) 2013-11-08 2014-06-03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693544B2 (ko)
JP (1) JP6267937B2 (ko)
KR (1) KR102254334B1 (ko)
CN (1) CN104621065B (ko)
TW (1) TWI6268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7937B2 (ja) * 2013-11-0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KR101607563B1 (ko) * 2014-01-28 2016-03-3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드래그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릴
JP6396878B2 (ja) * 2015-11-11 2018-09-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887217B2 (ja) 2016-01-20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KR101894745B1 (ko) 2016-11-11 2018-09-05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낚시 릴의 드래그 릴리즈 시스템
US10426151B2 (en) * 2017-04-18 2019-10-01 Pure Fishing, Inc. Drag adjustment assembly for a star drag reel
US10602730B2 (en) * 2017-06-23 2020-03-31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7049795B2 (ja) * 2017-09-29 2022-04-0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CN108477090B (zh) * 2018-05-31 2024-05-14 扬州源升机械有限公司 一种封闭式渔线轮
CN112772588A (zh) * 2019-11-07 2021-05-11 广东赛肯科技创新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渔轮及其刹车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0042A (ja) 2008-06-20 2010-01-07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US20110215183A1 (en) 2010-03-08 2011-09-08 Doyo Engineering Co.,Ltd Fishing reel with clicking sound generating means
US20150129701A1 (en) 2013-11-08 2015-05-14 Shimano Inc. Drag device for a dual-bear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6016A (en) * 1949-10-20 1954-08-10 Rudolph R Kilian Fishing reel
JPH0327427Y2 (ko) * 1984-09-04 1991-06-13
JPH0726937Y2 (ja) 1989-03-30 1995-06-21 島野工業株式会社 釣用リールにおける制動力の調整具
JPH0715417Y2 (ja) 1989-04-04 1995-04-12 島野工業株式会社 両軸受リール
JPH03114964U (ko) * 1990-03-12 1991-11-27
JP2503245Y2 (ja) * 1991-02-15 1996-06-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クラッチ装置
JP2543543Y2 (ja) 1991-09-02 1997-08-0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2553310Y2 (ja) 1991-11-06 1997-11-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62921Y2 (ja) * 1993-09-08 1998-02-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制動調節装置
JP2573084Y2 (ja) * 1993-10-21 1998-05-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JP3249384B2 (ja) * 1996-01-31 2002-01-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3029295U (ja) * 1996-03-21 1996-09-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10210904A (ja) * 1997-01-30 1998-08-11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3792834B2 (ja) 1997-05-20 2006-07-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EP0910946A3 (en) * 1997-10-27 2000-02-02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US6189823B1 (en) * 1998-03-30 2001-02-20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having side plates efficient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frames of reel body
JP2000308445A (ja) 1999-04-27 2000-11-0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発音機構
JP4402816B2 (ja) 2000-07-26 2010-01-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2003284472A (ja) 2002-03-29 2003-10-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512425B2 (ja) * 2004-06-09 2010-07-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US7165737B2 (en) * 2005-01-18 2007-01-23 Shimano Inc.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JP5097630B2 (ja) * 2008-07-08 2012-12-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JP5623696B2 (ja) * 2008-10-07 2014-11-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JP5242353B2 (ja) * 2008-11-20 2013-07-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507374B2 (ja) * 2010-07-26 2014-05-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MY164166A (en) * 2010-09-02 2017-11-30 Shimano Kk Dual-bearing reel
WO2012112560A1 (en) * 2011-02-14 2012-08-23 Arribe Manufacturing, Llc Fishing reel
JP5805516B2 (ja) * 2011-12-21 2015-11-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8777146B2 (en) * 2012-01-27 2014-07-1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5993705B2 (ja) * 2012-10-19 2016-09-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0042A (ja) 2008-06-20 2010-01-07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US20110215183A1 (en) 2010-03-08 2011-09-08 Doyo Engineering Co.,Ltd Fishing reel with clicking sound generating means
US20150129701A1 (en) 2013-11-08 2015-05-14 Shimano Inc. Drag device for a dual-bear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7791A (zh) 2015-05-16
US20170258062A1 (en) 2017-09-14
JP2015092830A (ja) 2015-05-18
CN104621065B (zh) 2019-10-01
US20150129701A1 (en) 2015-05-14
US9693544B2 (en) 2017-07-04
US20180132463A1 (en) 2018-05-17
CN104621065A (zh) 2015-05-20
JP6267937B2 (ja) 2018-01-24
US10219500B2 (en) 2019-03-05
TWI626886B (zh) 2018-06-21
US10342224B2 (en) 2019-07-09
KR20150053692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334B1 (ko)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JP2015092830A5 (ko)
JP55073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JP2012024037A5 (ko)
JP2011147414A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TW201524350A (zh) 雙軸承捲線器
JP2015065961A5 (ko)
JP2005013075A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CN109105345B (zh) 双轴承绕线轮
KR102656379B1 (ko)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JP6467481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467482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2002034407A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534726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534727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307006B2 (ja) 魚釣用リールの発音装置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KR102505157B1 (ko) 듀얼 베어링 릴
JP7100979B2 (ja) 両軸受リール
KR20240062914A (ko) 드래그 레버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
JP2008295323A (ja) 魚釣用リール
JP2006280223A (ja) 魚釣用リール
JP201911833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