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601A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601A
KR20100123601A KR1020100035094A KR20100035094A KR20100123601A KR 20100123601 A KR20100123601 A KR 20100123601A KR 1020100035094 A KR1020100035094 A KR 1020100035094A KR 20100035094 A KR20100035094 A KR 20100035094A KR 20100123601 A KR20100123601 A KR 2010012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braking
opening
cover member
bear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292B1 (ko
Inventor
쇼지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0012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5Spool bearing bra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制動) 장치에 있어서, 안정된 스풀 제동력을 확보한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스풀(12)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되도록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형의 브레이크 케이스(65)와; 브레이크 케이스(65)의 내주면에 고정된 제동 부재(68)와; 제동 부재(68)의 내주측에 동심(同芯)으로 배치되고 스풀축(16)에 고정된 회전 부재(66)와; 회전 부재(66)에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6개의 이동 부재(67)와;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개구부(68b)를 폐색(閉塞)하도록 제1 측판(5a)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90)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 부재(90)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단면(68c)과 제1 측판(5a)의 단차부(5e)의 스풀(12)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개구부(68b)를 폐색하도록 협지된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DUAL-BEARING REEL SPOOL-BRAKING DEVICE}
본 발명은, 스풀 제동(制動) 장치, 특히, 한 쌍의 측판을 가지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루어 피싱(lure fishing)에 사용되는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캐스팅 시에 스풀의 회전 속도가 와이어 송출 속도보다 빠르게 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해, 제동력을 스풀에 작용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종류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스풀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원심 제동 장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이 종류의 원심 제동 장치는, 예를 들면, 스풀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가이드축과, 각 가이드축의 양 단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 개의 이동 부재와,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 부재는, 이동 부재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핸들 장착측과 반대측의 측판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다. 이와 같은 원심 제동 장치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가이드축에 장착된 이동 부재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동 부재가 스풀축 외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특허 문헌 1] 일본실용신안공개 1994-308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실용신안공개 1994-38533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 부재는 스풀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므로, 스풀과 대향하는 측의 개구로부터 제동 부재의 내부에 침수(浸水)의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제동 부재의 내부로 침수되면, 제동 부재의 제동면이나 이동 부재에 물방울이 부착되어, 이동 부재가 제동 부재의 제동면에 접촉할 때의 제동력이 변동되므로, 안정된 스풀 제동력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생긴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도 7 내지 도 10)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커버 부재가 제동 부재에 나사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동 부재의 내부에 침수할 가능성은 감소하지만, 스풀축과 이동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동시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맞출 필요가 있으므로, 걸어맞춤부에 의한 진동 및 잡음이 발생하거나, 스풀 제동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안정된 스풀 제동력을 확보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한 쌍의 측판을 가지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제동 부재와, 이동 부재와,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동 부재는, 한쪽 측판에 장착되고, 스풀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되도록 배치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다. 이동 부재는, 스풀의 회전축에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제동 부재를 향해 이동하여 제동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부재이다. 커버 부재는, 제동 부재의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도록 한쪽 측판에 장착된다.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 부재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동 부재의 내부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 부재의 제동면이나 이동 부재에 물방울이 부착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스풀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도 7 내지 도 10)와 같이, 커버 부재를 제동 부재에 나사 고정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이동 부재의 조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제동 부재를 분리해내고 나서, 다시 제동 부재로부터 커버 부재를 분리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원 발명의 커버 부재는, 한쪽 측판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동 부재를 분리해내는 것만으로, 커버 부재가 한쪽 측판 측에 남기 때문에, 측판의 개구부가 오픈된 상태로 되므로, 전술한 경우와 비교하여, 이동 부재의 조정을 행하기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 2에 관한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한쪽 측판은, 내주부에 스풀이 삽통(揷通) 가능한 제1 개구부와, 제1 개구부와 연통되고 제1 개구부보다 직경이 큰 제2 개구부와,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를 가지고 있다. 커버 부재는, 제동 부재의 스풀과 대향하는 측의 단면(端面)과, 단차부의 스풀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협지된다. 이 경우, 커버 부재는, 제동 부재의 단면과 단차부의 단면에 의해 협지되므로, 커버 부재를 나사 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소한 구성에 의해 커버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도 15 및 도 16)와 같이, 이동 부재를 스풀축에 직접 지지하는 구성에서는, 스풀을 릴 본체로부터 장착 및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릴의 유지보수가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본원 발명의 커버 부재는, 커버 부재 자체를 스풀과 함께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경우와 비교하여, 릴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 3에 관한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2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커버 부재는, 단차부의 스풀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판형의 탭(tap)을 가진다. 이 경우, 커버 부재는, 판형의 탭이 제동 부재의 단면과 단차부의 단면에 의해 협지되므로, 간소한 구성에 의해 커버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 4에 관한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본 발명 3 중 어느 하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커버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저부로부터 개구부를 향해 직경이 커지는 접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는, 이동 부재를 피하도록 한 공간을 가지는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를 통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버 부재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 5에 관한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본 발명 4 중 어느 하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커버 부재는, 금속 박판제 부재이다. 이 경우, 커버 부재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박판제이므로, 커버 부재를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 6에 관한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본 발명 5 중 어느 하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는, 한쪽 측판의 개구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 가능한 수나사부가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동 부재의 한쪽 측판에 대한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 7에 관한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본 발명 6 중 어느 하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는, 스풀의 회전축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저부에 지지부로서의 베어링 등을 설치함으로써, 스풀축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 8에 관한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본 발명 7 중 어느 하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이동 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 가능 상태와, 이동 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촉 불가능한 접촉 불가능 상태를, 이동 부재를 외부로부터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환 가능한 접촉 상태 전환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이동 부재를 외부로부터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커버 부재는, 한쪽 측판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동 부재를 분리해내는 것만으로, 커버 부재가 한쪽 측판 측에 남기 때문에, 측판의 개구부가 오픈된 상태로 되고, 그러므로, 이동 부재의 조정이 행하기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 9에 관한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본 발명 8 중 어느 하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커버 부재는, 스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커버 부재는 스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를 릴 본체에 밀착시켜도, 커버 부재가 스풀의 원활한 회전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 10에 관한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본 발명 9 중 어느 하나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외주부에 상기 이동 부재가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주부가 스풀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다. 커버 부재는, 스풀의 회전축이 삽통 가능한 동시에 스풀의 회전축 삽통부 외경보다 약간 직경이 큰 관통공을 가지고 있다. 커버 부재는, 관통공에 스풀의 회전축이 삽통되고, 또한 회전 부재와 스풀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커버 부재는, 회전 부재와 스풀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풀과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과, 커버 부재와 회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이 생성되고, 일종의 래비린스(labyrinth) 구조로 되므로, 제동 부재의 내부로의 침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안정된 스풀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측 커버를 제외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커버 부재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커버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팅(bait casting)용의 소형의 로우 프로필(low profile)형의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star drag)(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된 제1 측커버(6a) 및 제2 측커버(6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을 덮는 앞커버(7)와, 상부를 덮는 썸 레스트(thumb rest)(8)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와이어 권취용 스풀(12)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과, 이들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 개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제1 측커버(6a)는, 스풀(12)의 장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레임(5)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프레임(5)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다. 제1 측커버(6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기구(34)와, 개폐 조작용의 록 기구(36)를 가지고 있다. 요동 기구(34)는, 제1 측커버(6a)를 프레임(5)의 앞부분에서 요동 가능하고 또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록 기구(36)는, 제1 측커버(6a)를 폐쇄 상태에서 록 및 록을 해제하기 위한 기구이다. 록 기구(3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커버(6a)에 형성된 개구(33)에 장착된 조작부(37)와, 조작부(37)에 직경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 록부재(38)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37)는, 개구(33)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 본체(37a)와, 조작부 본체(37a)의 직경 방향의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손잡이(37b)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 본체(37a)는, 대략 통형의 부재이며,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제1 측커버(6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조작부 본체(37a)에는 후술하는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바닥이 있는 통형의 브레이크 케이스(65)가 비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6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 구조에 의해 제1 측판(5a)에 형성된 스풀(12)의 장착 및 분리용의 제1 개구부(5c) 및 제2 개구부(5d)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개구부(5c)는, 제1 측판(5a)의 스풀(12)측에 형성된 개구로서, 내주부에 스풀(12)이 삽통 가능한 개구이다. 제2 개구부(5d)는, 제1 측판(5a)의 스풀(12)과 반대측에 형성된 개구로서, 제1 개구부(5c)와 연통되고, 제1 개구부(5c)보다 직경이 큰 개구이다. 제1 개구부(5c)와 제2 개구부(5d)와의 사이에는, 단차부(5e)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조는, 브레이크 케이스(65)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5)와, 제2 개구부(5d)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수나사부(25)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6)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스풀(12)과,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시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써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가 닿게 되는 클러치 레버(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풀(12)은, 제1 측판(5a)의 제1 개구부(5c) 및 제2 개구부(5d)를 통과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커버(6b)와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기구(18)와,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13)를 걸거나 분리하는(이하 계탈(係脫)이라고 함) 것 및 제어를 행하기 위한 클러치 계탈 기구(clutch engagement/disengagement mechanism)(19)와, 드래그 기구(21)와,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커버(6a)와의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시줄이 권취되는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와,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플랜지부(12a)와,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의 중심부의 내주부에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부가 스풀축(16)에 장착되는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2a),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 및 보스부(12c)는 마그네슘 합금의 모재를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스풀축(16)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5b)을 관통하여 제2 측커버(6b)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 측커버(6b)에 형성된 보스부(6c)에 베어링(2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6)의 타단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23) 내에서 베어링(2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24a), 베어링(24b)은 차폐 볼베어링(shield ball bearing)이다.
스풀축(16)의 직경이 큰 부분(16a)의 우측단은, 제2 측판(5b)의 관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클러치 기구(13)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16b)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핀(16b)은, 직경을 따라 직경이 큰 부분(16a)을 관통하고 있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어 기구(18)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와 서로 맞물리는 통형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이 기어 기구(18)의 핸들축(30)의 상하 위치는, 썸 레스트(8)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 종래의 위치보다 낮다. 그러므로, 기어 기구(18)를 수납하는 제2 측판(5b) 및 제2 측커버(6b)의 하부는, 제1 측판(5a) 및 제1 측커버(6a)의 하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5b)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스풀축(16)이 관통하는 통형 부재이며, 스풀축(16)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2)의 도 2의 좌단부는, 베어링(43)에 의해 제2 측판(5b)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43)도 차폐 볼베어링이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의 우측단 측 외주부에 형성되고 메인 기어(31)와 서로 맞물리는 치부(齒部)(32a)와, 타단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와, 치부(32a)와 맞물림부(32b)와의 사이에 형성된 축소부(32c)를 가지고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언 기어(32)의 단면에 직경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거기에 스풀축(16)을 관통하여 고정된 걸어맞춤핀(16b)이 걸린다. 여기서는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6b)이 이탈되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력은 스풀(1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맞물림부(32b)와 걸어맞춤핀(16b)에 의해 클러치 기구(13)가 구성된다. 걸어맞춤핀(16b)과 맞물림부(32b)가 걸어맞추어지면 스풀축(16)보다 직경이 큰 피니언 기어(32)로부터 스풀축(16)에 토크가 직접 전달되므로, 비틀림 변형이 보다 적어지게 되어, 토크 전달 효율이 향상된다.
클러치 레버(1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 사이의 후부에서 스풀(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계탈 기구(19)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요크(40)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요크(40)는, 스풀축(16)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핀(41)(한쪽만 도시)에 의해 스풀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0)는 그 중앙부에 피니언 기어(32)의 축소부(32c)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40a)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0)를 지지하는 각 핀(41)의 외주에서, 클러치 요크(40)와 제2 측커버(6b)와의 사이에는 스프링(42)이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 요크(40)는 스프링(42)에 의해 항상 내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통상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내측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6b)이 걸어맞추어져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40)에 의해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걸어맞춤핀(16b)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메인 기어(31)에 가압되는 드래그판(45)과, 스타 드래그(3)의 회전 조작에 의해 드래그판(45)을 메인 기어(31)에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플레이트(46)를 가지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스풀축(16)의 양단을 협지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축(16)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캡(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내에 장착되어 있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되도록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형의 브레이크 케이스(65)와, 브레이크 케이스(65)의 내주면에 고정된 제동 부재(68)와, 제동 부재(68)의 내주측에 동심(同芯)으로 배치되고 스풀축(16)에 고정된 회전 부재(66)와, 회전 부재(66)에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6개의 이동 부재(67)와,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개구부(68b)를 폐색하도록 제1 측판(5a)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9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동 부재는, 브레이크 케이스(65)와 제동 부재(68)와의 양 부재를 합한 것에 상당하고 있다.
제동 부재(68)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구리계 합금제의 얇은 원통형 부재이며, 브레이크 케이스(65)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동 부재(68)는, 원통형의 제동면(68a)을 내주면에 가지고 있다. 제동 부재(68)가 장착된 상태의 브레이크 케이스(65)에는, 스풀(12)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되는 개구부(6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68b)의 외측 에지부에 배치된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스풀(12)과 대향하는 측의 단면(68c)은, 면일치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브레이크 케이스(65)를 제1 측판(5a)의 제2 개구부(5d)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단면(68c)과, 제1 측판(5a)의 단차부(5e)의 스풀(12)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개구부(68b)를 폐색하도록 커버 부재(90)가 협지된다.
커버 부재(9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단면(68c)과, 제1 측판(5a)의 단차부(5e)의 스풀(12)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협지되어,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개구부(68b)를 폐색하는 부재이다. 커버 부재(90)는, 스풀(12)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 부재(66)와 스풀(1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 부재(9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박판제이다. 커버 부재(90)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저부(90b)로부터 개구부(90e)를 향해 직경이 커지는 접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90)는, 도 5 및 도 6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저부(90b)와, 저부(90b)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공(90a)과, 저부(90b)의 외측 에지부와 연결되고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경사부(90c)와, 경사부(90c)의 외측 에지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탭(90d)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90a), 저부(90b), 경사부(90c) 및 탭(90d)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관통공(90a)은, 저부(90b)의 중앙부에 저부(90b)의 단면보다 약간 돌출되어 형성되고, 스풀축(16)이 삽통 가능한 동시에 스풀축(16)의 삽통부 외경보다 약간 직경이 큰 관통공이다. 그러므로, 관통공(90a)을 스풀축(16)에 삽통시키면, 커버 부재(90)는 다소 여유를 가진 상태로 스풀축(16)의 외주부에 유지된다. 저부(90b)는, 스풀축(16)에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는 원판형의 부분으로서, 내주부에 관통공(90a)이 형성되고, 외주부가 경사부(90c)의 직경이 작은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경사부(90c)는, 저부(90b)의 외주부와 연결되는 직경이 작은 부분으로부터, 탭(90d)의 내주부와 연결되는 직경이 큰 부분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원추 사다리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90c)는, 이동 부재(67)를 피하도록 한 공간을 가지도록 경사져 있고, 그러므로, 커버 부재(90)의 내주부가 이동 부재(67)에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경사부(90c)의 외주부는, 스풀(12)에 접촉되지 않도록 경사져 있고, 커버 부재(90)의 내주부와 마찬가지로, 커버 부재(90)의 외주부가 스풀(12)에 접촉되지 않는다. 탭(90d)은, 경사부(90c)의 외주부와 연결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부재로서,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스풀(12)과 대향하는 측의 단면(68c)과, 단차부(5e)의 스풀(12)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관통공(90a)이 스풀축(16)에 관통한 상태에서, 탭(90d)이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스풀(12)과 대향하는 측의 단면(68c)과, 단차부(5e)의 스풀(12)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90)가 제1 측판(5a)에 장착된다.
브레이크 케이스(6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며, 그 내측 저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베어링 수납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수납부(65a)는, 이 내주측에 스풀축(16)을 지지하는 베어링(24b)이 배치되고,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마찰 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부재(6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에 고정된 고정부(66a)와, 고정부(66a)로부터 베어링 수납부(65a)의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원통부(66b)와, 원통부(66b)의 연장된 일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3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66c)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66c)는, 원통부(66b)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3방향으로 돌출된 대략 부채꼴 형상의 부재이다. 돌출부(66c)의 내부는, 경량화를 위해, 3개의 원호로 이루어지는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66c)의 양벽면에는, 이동 부재(67)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돌기부(71, 72)가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66c)의 사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0)는, 2개의 이동 부재(67)를 수납하는 동시에, 이동 부재(67)를 제동 부재(68)에 접촉 가능한 작용 상태와 접촉 불가능한 비작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0)의 저부에는, 이동 부재(67)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73)이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세워설치되어 있다.
돌기부(71)는, 오목부(70)의 개구단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 부재(67)가 가이드축(73)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72)는, 오목부(70)의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 부재(67)가 제동 부재(68)와 접촉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동 부재(67)는, 대략 원통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이동 부재(67)는, 회전 부재(66)의 가이드축(73)에 직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1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제동 부재(68)와 접촉하는 것이다. 이동 부재(67)는, 가이드축(73)에 안내되는 원통형상의 본체부(67a)와, 본체부(67a)의 내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67b)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67b)는, 오목부(70)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71, 72)에 걸리도록 본체부(67a)의 내측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鍔部)(67b)와 돌기부(72)에 의해 전환 기구(69)가 구성된다.
여기서, 플랜지부(67b)가 돌기부(71)와 돌기부(72)와의 사이에 배치되면, 돌기부(71)에 걸려 이동 부재(67)의 탈락이 방지된다. 그러나, 제동 부재(68)로의 접촉은 가능하며, 이 때의 상태가 작용 상태이다. 또한, 직경 방향 내측으로 밀어넣어져 돌기부(72)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면 돌기부(72)에 의해 걸려 제동 부재(68)로의 접촉을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의 상태가 비작용 상태이다. 이와 같이, 이동 부재(67)를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접촉 가능한 이동 부재(67)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제동력을 조정할 때는, 제1 측커버(6a)를 열어 제1 측판(5a)의 제1 개구부(5c) 및 제2 개구부(5d)를 개방한다.
제1 측커버(6a)를 열기 위해서는, 먼저 조작 손잡이(37b)를 도 2에 나타낸 록 상태로부터 일으켜 록 해제 상태로 요동시킨다. 조작 손잡이(37b)를 록 해제 상태로 하면, 록부재(38)가 조작 손잡이(37b)에 의해 가압되어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록부재(38)가 록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그 선단이 개구(33)의 오목부로부터 벗어나 조작부 본체(37a)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37b)를 회전시키면, 조작부 본체(37a)와 함께 브레이크 케이스(65)가 회전하고, 브레이크 케이스(65)와 제1 측판(5a)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브레이크 케이스(65)와 제1 측판(5a)과의 결합이 해제되면, 브레이크 케이스(65)가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조작부 본체(37a)와 함께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요동 기구(34)에 제1 측커버(6a)가 제1 측판(5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브레이크 케이스(65)가 제1 측판(5a)의 외측면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면, 제1 측커버(6a)가 릴 본체(1)로부터 분리되고, 자중(自重)에 의해 요동 기구(34)의 축에 도 4에 나타낸 개방 위치로 요동한다.
제동력의 조정은, 이동 부재(67)를 가이드축(73)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용 상태 또는 비작용 상태로 전환하여 행한다. 제동력의 조정을 종료하면, 제1 측커버(6a)를 닫는다. 이 때는, 제1 측커버(6a)가 닫힌 상태 측으로 손으로 요동시키고, 이어서, 조작 손잡이(37b)를 눌러 브레이크 케이스(65)를 제2 개구부(5d) 내에 삽입한다. 브레이크 케이스(65)의 선단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37b)를 해제 시와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브레이크 케이스(65)가 제2 개구부(5d)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37b)를 록 해제 위치로부터 록 위치로 요동시켜, 록부재를 오목부에 걸어맞춘다. 이로써, 제1 측커버(6a)가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서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개구부(68b)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9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내부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커버 부재(90)를 설치함으로써 제동 부재(68)의 내부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동 부재(68)의 내부에 배치된 제동 부재(68)의 제동면(68a)이나 이동 부재(67)에 물방울이 부착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스풀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커버 부재(90)는, 스풀축(16)에 관통한 상태로 제1 측판(5a)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동 부재(67)의 조정을 행할 때는, 제동 부재(68)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커버 부재(90)가 제1 측판(5a) 측의 스풀축(16)에 장착된 채 남아, 제1 측판(5a)의 개구부가 오픈된 상태로 되므로, 이동 부재(67)의 조정이 행하기 용이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형의 로우 프로필형의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듀얼 베어링 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대형의 듀얼 베어링 릴이나, 환형의 듀얼 베어링 릴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90)는, 경사부(90c)를 가지는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부(90c) 대신에 통형부(90f)를 설치해도 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9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경금속이나 합성 수지에 의해 커버 부재(90)를 형성해도 된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케이스(65)와 제동 부재(68)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었지만, 브레이크 케이스(65)와 제동 부재(68)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및 제동 부재(68)의 스풀(12)과 대향하는 측의 단면(68c)은, 면일치로 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제동 부재(68)의 단면이 브레이크 케이스(65)의 단면(68c)보다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케이스(65)의 스풀(12)과 대향하는 측의 단면(68c)과, 단차부(5e)의 스풀(12)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커버 부재(90)의 탭(90d)이 협지되어, 브레이크 케이스(65)의 개구부(68b)가 폐색된다.
1: 릴 본체
2: 핸들
3: 스타 드래그
5: 프레임
5a: 제1 측판
5b: 제2 측판
5c: 제1 개구부
5d: 제2 개구부
5e: 단차부
6a: 제1 측 커버
6b: 제2 측 커버
6c: 보스부
7: 앞커버
8: 썸 레스트
12: 스풀
12a: 플랜지부
12b: 와이어 권취 보디부
12c: 보스부
13: 클러치 기구
15: 레벨 와인드 기구
16: 스풀축
16a: 직경이 큰 부분
16b: 걸어맞춤핀
17: 클러치 레버
18: 기어 기구
19: 클러치 계탈 기구
21: 드래그 기구
22: 캐스팅 컨트롤 기구
23: 원심 브레이크 기구
24a: 베어링
24b: 베어링
25: 수나사부
26: 암나사부
30: 핸들축
31: 메인 기어
32: 피니언 기어
32a: 치부
32b: 맞물림부
32c: 축소부
33: 개구
34: 요동 기구
36: 록 기구
37: 조작부
37a: 조작부 본체
38: 록부재
40: 클러치 요크
40a: 걸어맞춤부
41: 핀
42: 스프링
43: 베어링
45: 드래그판
46: 가압 플레이트
51: 마찰 플레이트
52: 제동캡
65: 브레이크 케이스
65a: 베어링 수납부
66: 회전 부재
66a: 고정부
66b: 원통부
66c: 돌출부
67: 이동 부재
67a: 본체부
67b: 플랜지부
68: 제동 부재
68a: 제동면
68b: 개구부
68c: 단면
69: 전환 기구
70: 오목부
71: 돌기부
72: 돌기부
73: 가이드축
90: 커버 부재
90a: 관통공
90b: 저부
90c: 경사부
90d: 탭
90e: 개구부
90f: 통형부

Claims (10)

  1. 한 쌍의 측판을 가지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제동(制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한쪽 측판에 장착되고, 상기 스풀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되도록 배치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제동 부재와,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 부재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동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이동 부재와,
    상기 제동 부재의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도록 상기 한쪽 측판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측판은, 내주부에 상기 스풀이 삽통(揷通) 가능한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직경이 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동 부재의 상기 스풀과 대향하는 측의 단면과, 상기 단차부의 상기 스풀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단차부의 상기 스풀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판형의 탭(tap)을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저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해 직경이 커지는 접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금속 박판제 부재인,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한쪽 측판의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 가능한 수나사부가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 가능 상태와,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 불가능한 접촉 불가능 상태를, 상기 이동 부재를 외부로부터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환 가능한 접촉 상태 전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스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외주부에 상기 이동 부재가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주부가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이 삽통 가능하고 또한 상기 스풀의 회전축 삽통부 외경보다 약간 직경이 큰 관통공을 가지고 있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상기 스풀의 회전축이 삽통되고, 또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스풀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20100035094A 2009-05-15 2010-04-16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1689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8356 2009-05-15
JP2009118356A JP5350881B2 (ja) 2009-05-15 2009-05-15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601A true KR20100123601A (ko) 2010-11-24
KR101689292B1 KR101689292B1 (ko) 2016-12-23

Family

ID=4265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094A KR101689292B1 (ko) 2009-05-15 2010-04-16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17299B2 (ko)
EP (1) EP2250882B1 (ko)
JP (1) JP5350881B2 (ko)
KR (1) KR101689292B1 (ko)
CN (1) CN101884318B (ko)
MY (1) MY160186A (ko)
SG (1) SG166723A1 (ko)
TW (1) TWI5666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8718B2 (ja) * 2011-09-27 2016-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926564B2 (ja) * 2012-01-18 2016-05-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166558B2 (ja) * 2013-03-13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376740B2 (ja) * 2013-10-01 2018-08-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KR101823115B1 (ko) * 2017-01-13 2018-01-29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사이드 커버 분리 방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낚시 릴
JP6829654B2 (ja) * 2017-06-05 2021-02-1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JP7064316B2 (ja) * 2017-11-10 2022-05-1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41558B2 (ja) * 2017-12-27 2021-09-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49940B2 (ja) * 2018-06-21 2022-04-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94169B2 (ja) * 2018-07-13 2022-07-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22897B2 (ja) * 2018-07-19 2022-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06Y2 (ko) * 1983-01-26 1991-05-31
JPH0552193U (ja) * 1991-12-19 1993-07-09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網 戸
JPH1142033A (ja) * 1997-05-27 1999-02-16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1045932A (ja) * 1999-08-04 2001-02-2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25106Y1 (ko) * 1964-08-17 1968-10-21
JPS5117194Y2 (ko) * 1973-09-21 1976-05-10
JP2572100Y2 (ja) 1992-06-22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遠心ブレーキ
JP2572104Y2 (ja) * 1992-10-15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529054Y2 (ja) * 1992-10-29 1997-03-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制動装置
JP2803063B2 (ja) * 1993-04-05 1998-09-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JP3392634B2 (ja) * 1996-05-21 2003-03-3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US5803385A (en) * 1996-10-16 1998-09-08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mpany Centrifugal brake system for fishing reel
JP3534574B2 (ja) * 1997-06-20 2004-06-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0310260B1 (ko) * 1997-10-27 2001-12-28 마쯔이 요시유끼 낚시릴
US6003798A (en) * 1997-11-14 1999-12-21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JP2000245314A (ja) * 1999-02-25 2000-09-1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6412720B1 (en) * 1999-03-19 2002-07-02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brake device and drag cover attachment structured therefor
TW462872B (en) * 1999-07-26 2001-11-11 Shimano Kk Centrifugal braking apparatus of double-bearing reel
TW467718B (en) * 1999-10-05 2001-12-11 Shimano Kk Reel body of double bearing reel
JP3535781B2 (ja) * 1999-10-28 2004-06-0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TW504367B (en) * 2000-12-18 2002-10-01 Shimano Kk A switch component and a motor control device of an electric reeling device
KR100451886B1 (ko) * 2002-09-12 2004-10-08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케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 장치
JP2004141103A (ja) 2002-10-25 2004-05-2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SG121857A1 (en) * 2003-01-06 2006-05-26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JP4934358B2 (ja) * 2006-06-22 2012-05-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06Y2 (ko) * 1983-01-26 1991-05-31
JPH0552193U (ja) * 1991-12-19 1993-07-09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網 戸
JPH1142033A (ja) * 1997-05-27 1999-02-16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1045932A (ja) * 1999-08-04 2001-02-2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292B1 (ko) 2016-12-23
JP5350881B2 (ja) 2013-11-27
TWI566697B (zh) 2017-01-21
EP2250882A1 (en) 2010-11-17
JP2010263836A (ja) 2010-11-25
SG166723A1 (en) 2010-12-29
EP2250882B1 (en) 2016-01-06
MY160186A (en) 2017-02-28
CN101884318B (zh) 2015-11-25
TW201108933A (en) 2011-03-16
CN101884318A (zh) 2010-11-17
US8517299B2 (en) 2013-08-27
US20100288866A1 (en)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3601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JP5124435B2 (ja) 両軸受リール
KR102230789B1 (ko) 양 베어링 릴
KR101549602B1 (ko) 레버 드랙 릴의 역전 방지 기구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KR101638946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JP6177550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KR20090028459A (ko) 스피닝 릴
KR102002855B1 (ko) 스피닝 릴
EP1413196B1 (en) Spool for dual-bearing reel
JP2006246776A (ja) 釣り用両軸受リール
JP2014176360A5 (ko)
KR101394981B1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KR20150031190A (ko) 양 베어링 릴
KR100638864B1 (ko)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JP480433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20150000817A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양 베어링 릴
KR20130110006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JP201017227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3851731B2 (ja) 釣り用リールの部品着脱構造
JPH10210902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272489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TWI630865B (zh) 單軸承捲線器
JP4362206B2 (ja) 両軸受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
KR20190079477A (ko) 양 베어링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