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477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9477A KR20190079477A KR1020180117553A KR20180117553A KR20190079477A KR 20190079477 A KR20190079477 A KR 20190079477A KR 1020180117553 A KR1020180117553 A KR 1020180117553A KR 20180117553 A KR20180117553 A KR 20180117553A KR 20190079477 A KR20190079477 A KR 201900794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plate
- cover
- shaft
- protrusion
- spoo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7—Centrifuga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회전식 개폐 커버를 로크(lock)하는 기구의 스페이스를 불필요하게 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은, 스풀축(20)의 둘레로 요동 가능한 커버(16a)와, 스풀축(20)으로부터 이격(離隔)한 중심축(61)의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커버(16a)에 지지되고, 중심축(61)을 중심으로 하는 제1 반경의 원호상(圓弧狀)의 계합 홈(62)이 형성되고,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한 다이얼 원반(60)과, 제1 측판(15a)에 고정되고, 커버(16a)가 제1 측판(15a)을 덮는 상태에서, 계합 홈(62)에 계합하는 돌기(70)를 구비한다. 다이얼 원반(60)은, 계합 홈(62)에 연통하여 제1 반경의 원호와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기(70)가 통과하여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가이드 구멍(63)이 형성되어 있고, 계합 홈(62)과 가이드 구멍(63)의 교점(64)을, 커버(16a)가 제1 측판(15a)을 덮을 때의 돌기(70)에 맞춘 상태에서, 돌기(70)는 가이드 구멍(63)을 통하여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은, 스풀축(20)의 둘레로 요동 가능한 커버(16a)와, 스풀축(20)으로부터 이격(離隔)한 중심축(61)의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커버(16a)에 지지되고, 중심축(61)을 중심으로 하는 제1 반경의 원호상(圓弧狀)의 계합 홈(62)이 형성되고,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 가능한 다이얼 원반(60)과, 제1 측판(15a)에 고정되고, 커버(16a)가 제1 측판(15a)을 덮는 상태에서, 계합 홈(62)에 계합하는 돌기(70)를 구비한다. 다이얼 원반(60)은, 계합 홈(62)에 연통하여 제1 반경의 원호와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기(70)가 통과하여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가이드 구멍(63)이 형성되어 있고, 계합 홈(62)과 가이드 구멍(63)의 교점(64)을, 커버(16a)가 제1 측판(15a)을 덮을 때의 돌기(70)에 맞춘 상태에서, 돌기(70)는 가이드 구멍(63)을 통하여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용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에 있어서, 릴 본체의 핸들과는 반대 측의 커버를, 회전시켜 여는 구조의 양 베어링 릴이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프레임, 스풀, 사이드 커버 어셈블리, 및 협동 수단을 가지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스풀은, 제1 축심(軸心)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에 보지(保持)되는 작동 위치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1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협동 수단은, 사이드 커버 어셈블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2 축심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프레임에 취부하고, 사이드 커버 어셈블리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스풀을 작동 위치로 유지하고, 제2 위치에 있어서 스풀이 작동 위치로부터 분리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허 문헌 1의 낚시용 릴에서는, 부주의에 의하여 프레임으로부터 사이드 커버 어셈블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기(一基)의 래치 어셈블리(latch assembly)가 배설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의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한 쌍의 측판과, 복수의 연결 부재와, 한 쌍의 측 커버와, 전(前)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측판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방(一方)에 스풀이 관통 가능한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는, 양 측판을 연결한다. 측 커버는, 각각의 측판을 덮고, 또한 일방의 측 커버가 측판에 대하여 바요넷 기구에 의하여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착탈(着脫) 가능하다. 전 커버는, 적어도 한 쌍의 측판의 사이를 덮는 닫힘 위치와 그것으로부터 이반(離反)한 열림 위치로 개폐 가능하게 측판에 장착되고, 또한 닫힘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측 커버를 회전 멈춤한다. 특허 문헌 2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측 커버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와 전 커버로부터 연장된 축부가 계합(係合)하는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특허 문헌 3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제1 측 커버의 착탈 조작용의 착탈 조작부는, 제1 측판을 향하게 하여 돌출하는 돌기부를 가진다. 착탈 조작부는, 제1 측판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제1 위치와, 착탈 불가능한 제2 위치로 스풀축 둘레로 요동한다. 로크(lock) 부재는, 돌기부에 계합 가능한 계합 홈을 가진다. 계합 홈은, 열린 제1 단(端) 및 닫힌 제2 단을 가진다. 로크 부재는,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착탈 조작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돌기부에 계합한 상태에서 돌기부의 이동을 규제하고, 제1 위치에 있을 때 돌기부의 이동을 허용한다.
커버가 착탈 가능한 양 베어링 릴에서는, 커버의 불의의 회전과 탈락을 막기 위하여, 커버를 움직일 수 없도록 로크하는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인용 문헌의 기술에서는, 커버를 움직일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릴 본체에 로크 기구의 스페이스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회전식 개폐 커버를 로크하는 기구의 스페이스를 불필요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제1 측판 및 제1 측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판을 가지는 프레임과,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과, 제1 측판과 제2 측판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풀축에 장착되고, 스풀축과 함께 회전하는 줄 감기용의 스풀과, 제1 측판 측의 프레임의 밖에 지지축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측판의 프레임의 밖을 덮는 제1 위치와 제1 측판의 프레임의 밖을 개방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커버와, 제1 측판 측의 프레임의 밖에서 커버 또는 제1 측판의 일방에, 커버의 지지축으로부터 이격(離隔)한 중심축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반경의 원호상(圓弧狀)의 계합 홈이 형성되고, 중심축의 둘레의 회동 위치에서 스풀에 가하여지는 제동력을 조절 가능한 다이얼 원반과, 제1 측판 또는 커버의 타방(他方)에 고정되고, 커버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계합 홈에 계합하는 돌기를 구비한다. 다이얼 원반은, 계합 홈의 1개소로부터 계합 홈에 연통(連通)하여 제1 반경의 원호와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기가 통과하여 다이얼 원반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다이얼 원반의 계합 홈과 가이드 구멍이 교차하는 위치를, 커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돌기에 맞춘 상태에서, 돌기는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다이얼 원반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얼 원반의 계합 홈과 가이드 구멍이 교차하는 위치를, 커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돌기에 맞춘 상태에서, 가이드 구멍은, 계합 홈에 연통하여 다이얼 원반의 외주(外周)에 통하는, 커버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2 반경의 원호상의 홈이다.
바람직하게는 나아가, 제1 측판은, 스풀이 통과 가능하게 스풀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형성된 개구를 가지고, 양 베어링 릴은, 스풀축의 둘레로 요동하여 제1 측판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축의 일단(一端)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수납 가능한 축 지지부를 가지고, 커버는, 축 지지부에 고정되고, 다이얼 원반은, 축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돌기는, 제1 측판에 고정되어 있다.
혹은, 돌기는, 선단(先端)의 폭이 근원(根元)의 폭보다 확대되어 있는 선태(先太) 형상이고, 계합 홈의 단면(斷面)은, 바닥의 폭이 개구의 폭보다 넓고 돌기가 계합하는 저광(底廣) 형상이고, 가이드 구멍은, 계합 홈의 1개소로부터 계합 홈에 연통하여 다이얼 원반의 외면(外面)에 통하고, 돌기의 선단으로부터 근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기의 선단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회전식 개폐 커버를 로크하는 기구의 스페이스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의 배면도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로부터 커버를 뗀 제1 측판의 정면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계합 홈을 지나는 단면도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열었을 때의 계합 홈을 지나는 단면도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로크 상태의 계합 홈을 지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연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연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다이얼 원반의 단면도
도 12는 실시 형태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실시 형태 3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다이얼 원반의 정면도
도 14는 실시 형태 3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다이얼 원반의 단면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의 배면도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로부터 커버를 뗀 제1 측판의 정면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계합 홈을 지나는 단면도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열었을 때의 계합 홈을 지나는 단면도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로크 상태의 계합 홈을 지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연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연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다이얼 원반의 단면도
도 12는 실시 형태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실시 형태 3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다이얼 원반의 정면도
도 14는 실시 형태 3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다이얼 원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도면 중,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외관 사시도이다. 양 베어링 릴(10)은, 릴 본체(11), 릴 본체(11)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스풀 회전 구동용의 핸들(12), 핸들(12)과 릴 본체(11)와의 사이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13), 및, 줄 감기용의 스풀(14)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14)은,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에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11)는, 프레임(15)과, 프레임(15)의 양 측방에 장착된 커버(16a) 및 구동부 커버(16b)를 가지고 있다. 커버(16a)는, 핸들(12)과 반대 측의 제1 측판(15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측판(15a) 측에서 프레임(15)의 밖을 덮는다. 구동부 커버(16b)는, 핸들(12) 측의 제2 측판(15b)에 나사 멈춤 고정되고, 제2 측판(15b) 측에서 프레임(15)의 밖을 덮는다.
핸들(12)은, 암부(12a)와, 암부(12a)의 양단(兩端)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12b)를 가지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다. 암부(12a)는 스풀(14)을 회전 구동하는 기구의 구동축에, 너트(28)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양 베어링 릴(10)은, 프레임(15)의 하부에 형성된 낚싯대 장착부(15d)에서 낚싯대에 장착된다. 스풀(14)에 감겨진 낚싯줄은, 도 1의 오른쪽 가장 안 방향으로 방출된다. 도 1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릴 본체(11)로부터 도 1의 오른쪽 가장 안쪽을 전방(前方), 왼쪽 가장 앞쪽을 후방(後方)이라고 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커버(16a)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왼쪽이 양 베어링 릴(10)의 전방, 오른쪽이 후방이다. 프레임(15)은, 핸들(12)이 고정되는 구동축과 구동 기구를 보지하기 위하여, 제2 측판(15b) 쪽이, 제1 측판(15a)보다 낚싯대 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다.
제1 측판(15a) 및 커버(16a)의 사이에, 스풀(14)에 가하여지는 제동력을 조절 가능한 조작 부재인 다이얼 원반(60)이 배치되어 있다. 다이얼 원반(60)은, 제1 측판(15a) 및 커버(16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버(16a)는, 다이얼 원반(60)을 해제 위치로 돌렸을 때에, 제1 측판(15a)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다이얼 원반(60)의 회동 위치가 제동력을 조절하는 범위에 있을 때는, 커버(16a)를 떼어낼 수 없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양 베어링 릴(10)을 후방으로부터 보아, 스풀축(20)을 지나는 단면도이다. 프레임(15)은, 제1 측판(15a), 제1 측판(15a)과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15b), 및, 제1 측판(15a)과 제2 측판(15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15c)를 가지고 있다. 하측의 연결부(15c)에는, 낚싯대 장착부(15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20)은, 제1 측판(15a) 및 제2 측판(15b)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베어링(38a, 38b)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측판(15a) 측의 베어링(38a)은, 축 지지부(35)에 수납되고, 핸들(12) 측의 베어링(38b)은, 구동부 커버(16b)에 수납되어 있다. 스풀(14)은, 제1 측판(15a)과 제2 측판(15b)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풀축(20)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14)은, 스풀축(20)과 함께 회전한다. 제1 측판(15a)에는, 스풀(14)이 스풀축(20)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15e)가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부(35)는, 제1 측판(15a)의 개구부(15e)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축 지지부(35)는, 바닥을 가지는 통상(筒狀)의 부재이다. 축 지지부(35)는, 스풀축(20)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8a)이 수납되는 소경(小徑)의 베어링 수납부(35a), 개구부(15e)에 감합(嵌合)하는 대경(大徑)의 장착부(35b), 및, 베어링 수납부(35a)와 장착부(35b)를 연결하는 단붙이 원판상(圓板狀)의 저부(底部)(35c)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 수납부(35a)의 내주(內周) 측에는, 베어링(38a)이 수납되어 있다.
스풀(14)과 축 지지부(35)와의 사이에는, 캐스팅(casting)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스풀 제동 장치(25)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25)는, 베어링 수납부(35a)의 외주 측에 연결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25)는, 축 지지부(35)에 연결 보지되고, 축 지지부(35)와 일체로, 제1 측판(15a)에 착탈 가능하다. 다이얼 원반(60)은, 축 지지부(3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버(16a)는, 축 지지부(35)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얼 원반(60)은, 제1 측판(15a)과 커버(16a)의 사이에서, 커버(16a) 측에 지지되어 있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일체가 된 커버(16a), 축 지지부(35) 및 다이얼 원반(60)을, 제1 측판(15a)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오른쪽이 양 베어링 릴(10)의 전방, 왼쪽이 후방이다. 도 4에서는, 스풀 제동 장치(25)가 간략화되어 그려져 있다. 커버(16a)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는 나사로 축 지지부(35)에 고정되어 있다.
축 지지부(35)의 외주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경(徑)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캠 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캠 돌기(36)는, 제1 측판(15a)의 개구부(15e)에 형성되어 있는 캠 받이에 바요넷 구조로 연결한다. 축 지지부(35)의 중앙의 구멍(h)에, 스풀축(20)이 감합한다. 축 지지부(35)는, 스풀축(20)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제1 측판(15a)에 지지된다.
다이얼 원반(60)은, 중심축(61)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이얼 원반(60)에는, 중심축(6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의 원호상의 계합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반경 r은, 중심축(6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계합 홈(62)의 단면의 중심(重心)을 지나는 원의 반경이다. 다이얼 원반(60)에는, 한층 더, 계합 홈(62)의 단(端)으로부터, 계합 홈(62)에 연통하여, 중앙의 구멍(h)의 중심, 즉, 축 지지부(35)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의 원호상의 가이드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반경 R은, 축 지지부(35)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 구멍(63)의 단면의 중심을 지나는 원의 반경이다. 가이드 구멍(63)은, 계합 홈(62)에 연통하고, 다이얼 원반(60)의 외주에 통하여 있다. 계합 홈(62)과 가이드 구멍(63)은, 교점(64)에서 교차하고 연통하여 있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로부터 커버를 떼어낸 제1 측판의 정면도이다. 도 5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왼쪽이 양 베어링 릴(10)의 전방, 오른쪽이 후방이다. 커버(16a), 축 지지부(35), 스풀 제동 장치(25) 및 다이얼 원반(60)은, 일체로 제1 측판(15a)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커버(16a)를 떼어내면, 축 지지부(35), 스풀 제동 장치(25) 및 다이얼 원반(60)도 떼어내진다.
커버(16a), 축 지지부(35), 스풀 제동 장치(25) 및 다이얼 원반(60)을 떼어낸 상태에서, 개구부(15e)를 통하여, 스풀(14) 및 스풀축(20)이 보이고 있다. 개구부(15e)의 주위에, 캠 돌기(36)와 계합 가능한 계합 홈(37)이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캠 받이(38)가 복수 개소(예를 들어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부(35)의 캠 돌기(36)를 계합 홈(37)에 계합시키고, 스풀축(20)의 둘레에 돌리면, 캠 돌기(36)는, 캠 받이(38)에 끼어, 축 지지부(35)는, 제1 측판(15a)에 연결된다.
제1 측판(15a)에는, 커버(16a)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70)가 고정되어 있다. 돌기(70)는, 커버(16a), 축 지지부(35) 및 다이얼 원반(60)을, 제1 측판(15a)에 취부하면, 다이얼 원반(60)의 계합 홈(62) 또는 가이드 구멍(63)에 계합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계합 홈을 지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계합 홈(62)을 지나고, 스풀축(20)에 직교하는 단면을, 커버(16a)로부터 제1 측판(15a)을 향하여 본 도면이다. 도 6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왼쪽이 양 베어링 릴(10)의 전방, 오른쪽이 후방이다. 도 6에는, 커버(16a)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커버(16a)가 제1 측판(15a)을 덮는 닫힌 상태에서, 다이얼 원반(60)의 계합 홈(62)과 가이드 구멍(63)의 교점(64)을, 돌기(70)에 맞춘 상태, 즉, 로크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다.
커버(16a)가 제1 측판(15a)을 덮는 닫힌 상태에서, 돌기(70)는, 계합 홈(62)에 계합한다. 계합 홈(62)은, 다이얼 원반(60)의 중심축(6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홈이기 때문에, 커버(16a)가 제1 측판(15a)을 덮는 닫힌 상태에서, 다이얼 원반(60)을 중심축(61)의 둘레로 회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구멍(63)은, 축 지지부(35)의 지지축인 스풀축(2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홈이기 때문에, 교점(64)을 돌기(70)에 맞춘 상태에서, 커버(16a), 축 지지부(35) 및 다이얼 원반(60)을 일체로 스풀축(20)의 둘레로 요동시켜, 돌기(70)를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열었을 때의 계합 홈을 지나는 단면도이다. 도 6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다이얼 원반(60)을, 축 지지부(35)의 지지축의 둘레로 요동시켜, 돌기(70)를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커버(16a), 축 지지부(35) 및 다이얼 원반(60)을 일체로 도 7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돌기(70)는, 가이드 구멍(63)을 지나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하고, 축 지지부(35)의 캠 돌기(36)가, 제1 측판(15a)의 캠 받이(38)로부터 이탈한다. 캠 돌기(36)를 누르는 것이 없기 때문에, 축 지지부(35)를 스풀축(20)의 방향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커버(16a)는 축 지지부(3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측판(15a)의 프레임(15)의 밖이 개방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로크 상태의 계합 홈을 지나는 단면도이다. 도 6의 커버(16a)를 닫아 로크를 해제한 상태로부터, 다이얼 원반(60)을 중심축(61)의 둘레로 회동시킬 수 있다. 교점(64)을 돌기(70)에 맞춘 위치로부터, 다이얼 원반(60)을 중심축(61)의 둘레에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다이얼 원반(60)은 돌기(70)와 계합 홈(62)에 구속되어, 다이얼 원반(60)을 축 지지부(35)의 지지축의 둘레로 요동시킬 수 없다. 즉, 커버(16a)를 돌릴 수 없다. 축 지지부(35)의 캠 돌기(36)는, 제1 측판(15a)의 캠 받이(38)에 눌려 있기 때문에, 축 지지부(35) 및 커버(16a)를 제1 측판(15a)으로부터 떼어낼 수 없다.
실시 형태 1의 양 베어링 릴(10)에 의하면, 스풀(14)에 가하여지는 제동력을 조절하는 다이얼 원반(60)에, 계합 홈(62) 및 가이드 구멍(63)을 형성하고, 계합 홈(62) 및 가이드 구멍(63)에 계합하는 돌기(70)를 제1 측판(15a)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커버(16a)를 로크하는 전용 기구의 스페이스가 불필요하다.
가이드 구멍(63)의 방향은,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의 방향으로 한정하지 않고, 계합 홈(62)의 타방의 단으로부터 다이얼 원반(60)의 외주에 통하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 커버(16a)로부터 제1 측판(15a)의 방향으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축 지지부(35)를 요동시켜 캠 돌기(36)를 캠 받이(38)로부터 이탈시키고,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켜, 축 지지부(35)를 제1 측판(15a)에 연결한다. 또한, 가이드 구멍(63)은, 계합 홈(62)의 단으로부터 연통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계합 홈(62)의 중간으로부터 계합 홈(62)에 연통하여도 무방하다.
실시 형태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연 상태의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다이얼 원반(60)의 계합 홈(62) 및 가이드 구멍(63)에 계합하는 돌기(71)가 커버(16a)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16a)는, 지지축(21)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도록, 제1 측판(15a)에 지지되어 있다. 커버(16a)는 축 지지부(35)에 고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축 지지부(35)는, 바요넷 구조인 캠 돌기(36), 계합 홈(37) 및 캠 받이(38)로 제1 측판(15a)에 연결된다. 다이얼 원반(60)은, 축 지지부(3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이얼 원반(60)은, 제1 측판(15a)과 커버(16a)와의 사이에서, 제1 측판(15a) 측에 지지된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다이얼 원반(60)에는, 중심축(6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의 원호상의 계합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 원반(60)에는, 한층 더, 계합 홈(62)의 단으로부터, 계합 홈(62)에 연통하여, 커버(16a)의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의 원호상의 가이드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63)은, 계합 홈(62)에 연통하고, 다이얼 원반(60)의 외주에 통하여 있다. 계합 홈(62)과 가이드 구멍(63)은, 교점(64)에서 교차하고 연통하여 있다. 돌기(71)가 커버(16a)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 홈(62) 및 가이드 구멍(63)은, 다이얼 원반(60)의 커버(16a) 측의 면으로 열려 있다.
계합 홈(62)을 지나는 단면에서 본, 다이얼 원반(60)의 계합 홈(62) 및 가이드 구멍(63)과 돌기(71)의 관계는, 실시 형태 1의 계합 홈(62) 및 가이드 구멍(63)과 돌기(70)와의 관계와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해제 상태로부터, 다이얼 원반(60)에 대하여, 커버(16a)가 지지축(21)의 둘레로 요동하여, 돌기(71)가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16a)를 요동시켜, 제1 측판(15a) 측의 프레임(15)의 밖을 개방할 수 있다. 커버(16a)를 열면, 축 지지부(35)를 돌려 캠 돌기(36)를 캠 받이(38)로부터 이탈시키고, 축 지지부(35)를 제1 측판(15a)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도, 가이드 구멍(63)의 방향은, 도 9의 방향으로 한정하지 않고, 계합 홈(62)의 타방의 단으로부터 다이얼 원반(60)의 외주에 통하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 커버(16a)를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켜,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커버(16a)를 제1 측판(15a)에 지지축(21)으로 지지하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지지축(21)을 축 지지부(35)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 커버(16a)는, 축 지지부(35)에 대하여 요동한다. 또한, 그 경우, 커버(16a)를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시켰을 때에, 커버(16a)를 축 지지부(35)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연 상태의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돌기(72)는, 커버(16a)에 고정되고, 선단의 폭이 근원의 폭보다 확대되어 있는 선태 형상이다. 다이얼 원반(60)에는, 중심축(6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의 원호상의 계합 홈(65)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 홈(65)의 단면은, 바닥의 폭이 개구의 폭보다 넓고 돌기(72)가 계합하는 저광 형상이다. 가이드 구멍(66)은, 계합 홈(65)의 1개소로부터 계합 홈(65)에 연통하여 다이얼 원반(60)의 외면에 통하고, 돌기(72)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돌기의 선단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커버(16a)는 지지축(21)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제1 측판(15a)에 지지되지만, 적어도, 돌기(72)가 가이드 구멍(66)에 맞는 위치에서, 지지축(21)의 방향으로 평행 이동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축 지지부(35)는, 바요넷 구조인 캠 돌기(36), 계합 홈(37) 및 캠 받이(38)로 제1 측판(15a)에 연결된다. 다이얼 원반(60)은, 축 지지부(3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다이얼 원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단면을 도시한다. 도 11에서는, 계합 홈(65) 또는 가이드 구멍(66)에 계합하는 돌기(72)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계합 홈(65)의 단면은, 개구를 위로 보아 바닥의 폭이 개구의 폭보다 넓은 도립(倒立) T자 형상이다. 가이드 구멍(66)은, 계합 홈(65)의 1개소로부터 계합 홈(65)에 연통하고, 계합 홈(65)의 바닥의 폭으로, 다이얼 원반(60)의 상면(上面)까지 통하는 통상의 구멍이다. 돌기(72)는, 선단의 폭이 근원의 폭보다 확대되어 있는 선태 형상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돌기(72)는 선단을 위로 보아 T자 형상이다.
가이드 구멍(66)에 돌기(72)를 삽입하여 선단이 저면에 이르면, 다이얼 원반(60)을 중심축(61)의 둘레로 회동시킬 수 있다. 돌기(72)가 계합 홈(65)에 계합하면, 계합 홈(65)의 개구는 저면보다 좁기 때문에, 돌기(72)를, 중심축(61)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72)의 지지축(21) 둘레의 요동 궤적은, 계합 홈(65)의 원호와 교차하기 때문에, 돌기(72)가 계합 홈(65)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16a)를 돌릴 수 없다.
계합 홈(65)과 가이드 구멍(66)이 교차하는 위치를, 돌기(72)에 맞추면, 가이드 구멍(66)을 지나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돌기(72)를 이탈시킬 수 있다. 즉, 커버(16a)를 지지축(21)의 방향으로 제1 측판(15a)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다. 돌기(72)를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커버(16a)를 지지축(21)의 둘레로 요동시켜 열 수 있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의 변형예에서는, 커버(16a)는, 지지축(22)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제1 측판(15a)에 지지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0 및 도 11과 같다.
지지축(22)의 방향은, 제1 측판(15a) 및 커버(16a)의 면의 방향이며, 스풀축(20) 및 다이얼 원반(60)의 중심축(61)에 대하여, 뒤틀림의 위치에 있다. 지지축(22)은, 소위 힌지이며, 커버(16a)는, 지지축(22)을 중심으로 하여, 도어와 같이 개폐한다. 도 12에는, 커버(16a)를 연 상태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변형예에서는, 돌기(72)의 궤적은, 지지축(22)에 직교하고 돌기(72)를 지나는 단면에서 원호가 되지만, 가이드 구멍(66)의 폭에 여유를 가지게 하면, 가이드 구멍(66)에 삽발(揷拔)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 형태 3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다이얼 원반의 정면도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다이얼 원반(60)에 외주로부터 중심축(61)을 향하여 패이고, 외주로 열린 계합 홈(67)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 홈(67)은, 중심축(6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의 원호상이다. 계합 홈(67)은, 중심축(61)에 가까운 바닥의 폭이, 외주의 개구의 폭보다 넓은 저광 형상이며, 홈의 깊이의 중간에 단차(68)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홈(67)의 단에는, 계합 홈(67)에 연통하고, 계합 홈(67)의 바닥의 폭의 통상으로 외주면에 통하는 가이드 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다이얼 원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 단면을 도시한다. 계합 홈(67)의 단면은, 개구를 위로 보아 바닥의 폭이 개구의 폭보다 넓은 도립 T자 형상이다. 가이드 구멍(69)은, 계합 홈(67)의 1개소로부터 계합 홈(67)에 연통하고, 계합 홈(67)의 바닥의 폭으로, 다이얼 원반(60)의 외주까지 통하는 통상의 구멍이다. 돌기(72)는, 선단의 폭이 근원의 폭보다 확대되어 있는 선태 형상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돌기(72)는 선단을 위로 보아 T자 형상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다이얼 원반(60)을 이용하는 경우, 계합 홈(67)에 계합하는 돌기는, 다이얼 원반(60)의 중심축(61)에 교차하는 면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의 폭이 근원의 폭보다 큰 선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커버(16a)에 중심축(61)에 교차하는 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형성하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16a)가 지지축(21)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제1 측판(15a)에 지지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계합 홈(67)과 가이드 구멍(69)이 교차하는 위치를, 커버(16a)가 제1 측판(15a)의 프레임(15)의 밖을 덮는 위치에 있을 때의 돌기에 맞춘 상태에서, 돌기는 가이드 구멍(69)을 통하여 다이얼 원반(6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돌기가 가이드 구멍(69)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다이얼 원반(60)을 회동시키면, 돌기는 계합 홈(67)에 계합하고, 단차(68)와 계합 홈(67)의 저면에 구속되기 때문에, 커버(16a)를 돌릴 수 없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다이얼 원반(60)을 이용하는 경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돌기를 제1 측판(15a)에 고정하고, 커버(16a), 축 지지부(35) 및 다이얼 원반(60)이 일체로 제1 측판(15a)에 취부, 떼어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다이얼 원반(60)에서는, 외주 즉 측면에 계합 홈(67)의 개구가 형성되지만, 제1 측판(15a) 및 커버(16a)로 측면을 덮어 숨길 수 있다. 그 경우, 다이얼 원반(60)의 저면에, 예를 들어 손잡이를 형성하여, 저면을 조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에서는, 돌기(72)는, T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72)는, 예를 들어, 근본(根本)이 치우친 Γ자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계합 홈(65, 67)의 단면은, 도립 T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계합 홈(65, 67)의 단면은, 돌기(72)에 맞추어, 예를 들어, L자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10: 양 베어링 릴
11: 릴 본체
12: 핸들
13: 스타 드래그
14: 스풀
15: 프레임
15a: 제1 측판
15b: 제2 측판
15e: 개구부
16a: 커버
16b: 구동부 커버
20: 스풀축(지지축)
21, 22: 지지축
25: 스풀 제동 장치
35: 축 지지부
36: 캠 돌기
37: 계합 홈
38: 캠 받이
60: 다이얼 원반
61: 중심축
62: 계합 홈
63: 가이드 구멍
64: 교점
65: 계합 홈
66: 가이드 구멍
67: 계합 홈
68: 단차
69: 가이드 구멍
70, 71, 72: 돌기
h: 구멍
r, r': 반경(제1 반경)
R, R': 반경(제2 반경)
11: 릴 본체
12: 핸들
13: 스타 드래그
14: 스풀
15: 프레임
15a: 제1 측판
15b: 제2 측판
15e: 개구부
16a: 커버
16b: 구동부 커버
20: 스풀축(지지축)
21, 22: 지지축
25: 스풀 제동 장치
35: 축 지지부
36: 캠 돌기
37: 계합 홈
38: 캠 받이
60: 다이얼 원반
61: 중심축
62: 계합 홈
63: 가이드 구멍
64: 교점
65: 계합 홈
66: 가이드 구멍
67: 계합 홈
68: 단차
69: 가이드 구멍
70, 71, 72: 돌기
h: 구멍
r, r': 반경(제1 반경)
R, R': 반경(제2 반경)
Claims (4)
- 제1 측판 및 상기 제1 측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판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과,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고, 상기 스풀축과 함께 회전하는 줄 감기용의 스풀과,
상기 제1 측판 측의 상기 프레임의 밖에 지지축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측판의 상기 프레임의 밖을 덮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측판의 상기 프레임의 밖을 개방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커버와,
상기 제1 측판 측의 상기 프레임의 밖에서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제1 측판의 일방(一方)에, 상기 커버의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이격(離隔)한 중심축의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반경의 원호상(圓弧狀)의 계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의 둘레의 회동 위치에서 상기 스풀에 가하여지는 제동력을 조절 가능한 다이얼 원반과,
상기 제1 측판 또는 상기 커버의 타방(他方)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계합 홈에 계합하는 돌기
를 구비하고,
상기 다이얼 원반은, 상기 계합 홈의 1개소로부터 상기 계합 홈에 연통(連通)하여 상기 제1 반경의 원호와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기가 통과하여 상기 다이얼 원반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이얼 원반의 상기 계합 홈과 상기 가이드 구멍이 교차하는 위치를,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돌기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다이얼 원반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원반의 상기 계합 홈과 상기 가이드 구멍이 교차하는 위치를,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돌기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계합 홈에 연통하여 상기 다이얼 원반의 외주(外周)에 통하는, 상기 커버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2 반경의 원호상의 홈인, 양 베어링 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스풀이 통과 가능하게 상기 스풀축의 축심(軸心)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형성된 개구(開口)를 가지고,
상기 양 베어링 릴은, 상기 스풀축의 둘레로 요동하여 상기 제1 측판의 상기 개구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풀축의 일단(一端)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수납 가능한 축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축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다이얼 원반은, 상기 축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선단(先端)의 폭이 근원(根元)의 폭보다 확대되어 있는 선태(先太) 형상이고,
상기 계합 홈의 단면(斷面)은, 바닥의 폭이 개구의 폭보다 넓고 상기 돌기가 계합하는 저광(底廣)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계합 홈의 1개소로부터 상기 계합 홈에 연통하여 상기 다이얼 원반의 외면(外面)에 통하고, 상기 돌기의 선단으로부터 근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의 선단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인,
양 베어링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50332A JP6941558B2 (ja) | 2017-12-27 | 2017-12-27 | 両軸受リール |
JPJP-P-2017-250332 | 2017-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9477A true KR20190079477A (ko) | 2019-07-05 |
KR102577103B1 KR102577103B1 (ko) | 2023-09-11 |
Family
ID=6694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7553A KR102577103B1 (ko) | 2017-12-27 | 2018-10-02 | 양 베어링 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412942B2 (ko) |
JP (1) | JP6941558B2 (ko) |
KR (1) | KR102577103B1 (ko) |
CN (1) | CN110012884B (ko) |
MY (1) | MY191449A (ko) |
TW (1) | TWI746902B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7689A (ja) * | 1995-08-02 | 1997-02-10 | Daiwa Seiko Inc | 両軸受型リール |
JPH1056927A (ja) | 1996-07-12 | 1998-03-03 |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 | 魚釣用リール |
JPH10210902A (ja) | 1997-01-29 | 1998-08-11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
US6032894A (en) * | 1998-05-14 | 2000-03-07 | Johnson Worldwide Assoicates, Inc. | Cartridge spool system for bait cast fishing reel |
JP2006230359A (ja) * | 2005-02-28 | 2006-09-07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 |
JP2010263836A (ja) * | 2009-05-15 | 2010-11-25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
JP2014176301A (ja) | 2013-03-13 | 2014-09-25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01673U (ja) * | 1982-12-24 | 1984-07-09 | 松尾工業株式会社 | 釣用リ−ルのブレ−キ装置 |
JPS60144866U (ja) * | 1984-03-07 | 1985-09-26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
US4899953A (en) * | 1987-05-23 | 1990-02-13 |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 Double bearing fishing reel |
KR910004141Y1 (ko) * | 1989-09-25 | 1991-06-17 | 주식회사 은성사 | 베이트 캐스팅 릴의 브레이크장치 |
US6095444A (en) * | 1996-01-24 | 2000-08-01 | Daiwa Seiko, Inc. | Attachment unit for a double bearing type reel for fishing |
JPH09298997A (ja) * | 1996-05-15 | 1997-11-25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
TW467718B (en) * | 1999-10-05 | 2001-12-11 | Shimano Kk | Reel body of double bearing reel |
JP2002038784A (ja) * | 2000-07-24 | 2002-02-06 | Hajime Nakajima | 鍵付きドアチェーン |
JP2003102350A (ja) * | 2001-09-27 | 2003-04-08 | Daiwa Seiko Inc | 魚釣用両軸リール |
JP2004141103A (ja) * | 2002-10-25 | 2004-05-20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SG116585A1 (en) * | 2004-04-13 | 2005-11-28 | Shimabno Inc |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
JP4403027B2 (ja) * | 2004-06-25 | 2010-01-20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
KR200426604Y1 (ko) * | 2006-04-20 | 2006-09-19 |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사이드 커버 착탈장치 |
JP5205176B2 (ja) * | 2008-08-18 | 2013-06-05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
JP5124435B2 (ja) * | 2008-12-16 | 2013-01-23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CN103461291B (zh) * | 2012-06-05 | 2015-12-09 | Doyo工程有限公司 | 具有快开侧盖的渔线轮 |
KR101418029B1 (ko) * | 2012-12-07 | 2014-07-09 |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사이드커버 분실 방지용 낚시용 릴 |
JP6198538B2 (ja) * | 2013-09-13 | 2017-09-20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JP6395623B2 (ja) * | 2015-01-28 | 2018-09-26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
JP6599776B2 (ja) * | 2016-01-13 | 2019-10-30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両軸受型リール |
TWM520804U (zh) * | 2016-01-22 | 2016-05-01 | bing-wen Zhuang | 捲線結構 |
-
2017
- 2017-12-27 JP JP2017250332A patent/JP6941558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10-02 KR KR1020180117553A patent/KR1025771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1-08 US US16/184,060 patent/US10412942B2/en active Active
- 2018-11-13 TW TW107140143A patent/TWI746902B/zh active
- 2018-12-21 MY MYPI2018002851A patent/MY191449A/en unknown
- 2018-12-27 CN CN201811610826.4A patent/CN11001288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7689A (ja) * | 1995-08-02 | 1997-02-10 | Daiwa Seiko Inc | 両軸受型リール |
JPH1056927A (ja) | 1996-07-12 | 1998-03-03 |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 | 魚釣用リール |
JPH10210902A (ja) | 1997-01-29 | 1998-08-11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
US6032894A (en) * | 1998-05-14 | 2000-03-07 | Johnson Worldwide Assoicates, Inc. | Cartridge spool system for bait cast fishing reel |
JP2006230359A (ja) * | 2005-02-28 | 2006-09-07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 |
JP2010263836A (ja) * | 2009-05-15 | 2010-11-25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
JP2014176301A (ja) | 2013-03-13 | 2014-09-25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Y191449A (en) | 2022-06-28 |
JP2019115278A (ja) | 2019-07-18 |
US20190191683A1 (en) | 2019-06-27 |
TWI746902B (zh) | 2021-11-21 |
CN110012884A (zh) | 2019-07-16 |
JP6941558B2 (ja) | 2021-09-29 |
US10412942B2 (en) | 2019-09-17 |
TW201927145A (zh) | 2019-07-16 |
KR102577103B1 (ko) | 2023-09-11 |
CN110012884B (zh) | 2022-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98537B2 (ja) | 両軸受リール | |
KR101689292B1 (ko)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 |
KR102278088B1 (ko) | 양 베어링 릴 | |
KR20140112422A (ko) | 양 베어링 릴 | |
JP2015053916A5 (ko) | ||
KR102278090B1 (ko) | 양 베어링 릴 | |
JP2015053917A5 (ko) | ||
JP2011111822A (ja) | 車両用ロック装置の保護装置 | |
JP2004141103A (ja)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
JP2015053918A5 (ko) | ||
US5921490A (en) | Bait casting reel with parallel connected clutch operating levers | |
KR20190079477A (ko) | 양 베어링 릴 | |
US20190141972A1 (en) | Dual-bearing reel | |
KR20010021251A (ko) |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
KR200174209Y1 (ko) | 스풀 착탈 기구를 갖는 베이트 캐스팅 릴 | |
US10492483B1 (en) | Dual-bearing reel | |
TWI783144B (zh) | 雙軸承捲線器 | |
JPH10210902A (ja) |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 |
JP2009024335A (ja) | 錠装置 | |
KR20190053767A (ko) | 양 베어링 릴 | |
JP3073420U (ja) | 魚釣用リール | |
JP3109215U (ja) | 二方向コードリール | |
JP2010142121A (ja) |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 |
JPH10178981A (ja) | 魚釣り用両軸受リール | |
JP3087797U (ja) | 一方向クラッチ付きの魚釣り用リ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