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504A -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504A
KR20080000504A KR1020070035653A KR20070035653A KR20080000504A KR 20080000504 A KR20080000504 A KR 20080000504A KR 1020070035653 A KR1020070035653 A KR 1020070035653A KR 20070035653 A KR20070035653 A KR 20070035653A KR 20080000504 A KR20080000504 A KR 20080000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pool
circular
drag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6880B1 (ko
Inventor
신이치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8000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1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에서, 연결 부재에 힘이 작용하였을 때의 실의 변형을 억제하여, 축 부재와 연결 부재의 간극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압압 부재(연결 부재의 일례, 61)는 릴에 이용되는 스풀 지지 축(8)의 외주에 형성된 비원형부(8c)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압압 부재(61)이며, 본체 부재(70)와 실(seal) 부재(7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부재는 비원형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70c)을 가지고 있다. 실 부재는 비원형 구멍에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비원형 구멍에 접촉 가능한 실(seal) 구멍(71a)을 가지고, 본체 부재에 설치되는 탄성체제(彈性體製) 부재이다.
낚시용 릴, 스풀 지지축, 본체 부재, 실 부재, 실 구멍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CONNECTION MEMBER FOR FISH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좌측면 단면도.
도 2는 그 스풀 단면도.
도 3은 그 스풀 지지축 주위의 단면 부분도.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
도 5는 압압 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체 부재의 배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원 웨이 클러치 주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스풀 지지축(축 부재의 일례)
8c, 110b, 12b : 비원형부
8c1, 110a, 12c : 모따기부
9 : 드래그 기구
12 : 피니언 기어(축 부재의 일례)
15 : 스풀 축
61 : 압압 부재(연결 부재의 일례)
70, 170, 255 : 본체 부재
70c, 170a, 255a : 비원형 구멍
70d : 계합면
71, 171, 256 : 실 부재
71a, 171a, 256a : 실 구멍
71b : 립부
110 : 핸들 축(축 부재의 일례)
109 : 스타 드래그 기구
161 : 드래그 와셔(연결 부재의 일례)
253 : 내륜(연결 부재의 일례)
본 발명은 연결 부재 특히, 낚시용 릴에 이용되고, 축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비원형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이나 양 베어링 릴 등의 낚시용 릴에는 낚싯줄에 과잉한 인장력이 작용하여 낚싯줄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래그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드래그 기구는 예를 들면, 스피닝 릴의 경우, 스풀 축(축 부재의 일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제1 드래그 와셔(washer)와, 스풀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드래그 와셔를 가지고, 스풀을 제동한다. 또한, 양 베어링 릴의 경우, 핸들 축(축 부재의 일례)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드래그 와셔(연결 부재의 일례)를 가지고 있고, 드래그 와셔에 의하여 스풀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기어를 제동한다.
스피닝 릴 및 양 베어링 릴 모두 축 부재의 외주면에는 드래그 와셔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예를 들면,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모따기부(비원형부의 일례)가 형성되어 있다. 드래그 와셔에는 비원형부에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이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이 종류의 드래그 기구에서는 드래그 와셔의 마찰면에 액체가 침입(浸入)하면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이 변동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1 드래그 와셔에 접촉하는 드래그 손잡이의 압압(押壓, 누르는 압력) 부재의 외주부에 실(seal) 부재를 배치한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 손잡이는 비원형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을 가지고 스풀 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압압 부재(연결 부재의 일례)와, 압압 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풀 축에 나사로 감합하는 조작 부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압압 부재와 스풀의 사이에 실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 부재에 의하여 스풀과 드래그 손잡이의 외주면의 간극으로부터 드래그 기구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96729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풀과 드래그 손잡이의 압압 부재의 외주면의 간극으로부터의 액체의 침입은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압압 부재의 중심 부분과 스풀 축의 간극으로부터의 액체의 침입은 방지하기 어렵다. 즉, 압압 부재에는 비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비원형 구멍과 스풀 축의 외주면의 간극을 밀폐하는 것이 곤란하다. 만약, 비원형부에 계합하는 실 부재를 비원형 구멍과 비원형부의 사이에 배치하면, 밀폐할 수 있다. 그러나 드래그 작동 시와 같이 제1 드래그 와셔를 통하여 압압 부재에 힘이 작용했을 때에 실 부재가 변형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에서, 연결 부재에 힘이 작용했을 때에 실의 변형을 억제하여, 축 부재와 연결 부재의 간극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는, 낚시용 릴에 이용되고, 축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비원형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재이며, 본체 부재와 실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부재는 비원형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을 가지고 있다. 실 부재는 비원형 구멍에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비원형부에 접촉 가능한 실(seal) 구멍을 가지고, 본체 부재에 설치되는 탄성체제(彈性體製) 부재이다.
본 연결 부재에서는 축 부재의 비원형부에 본체 부재의 비원형 구멍이 계합하여 연결 부재가 축 부재의 비원형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실 부 재의 실 구멍이 비원형부에 접촉하여 비원형부와 비원형 구멍과의 사이의 간극이 밀폐된다. 여기에서는 비원형부에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과, 비원형부에 접촉하여 밀폐하는 실 부재를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였으므로, 축 부재와 연결 부재의 간극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비원형 구멍이 비원형부에 계합하므로, 드래그 작동 시와 같이 연결 부재에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실 부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는, 발명 1에 기재된 부재에 있어서, 실 부재는 본체 부재와 삽입 성형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실 부재가 본체 부재와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 부재가 본체 부재로부터 제거되기 어려워진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부재에 있어서, 비원형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모따기부를 가지며, 비원형 구멍은 모따기부에 계합하는 한 쌍의 계합면을 가지는 구멍이다. 이 경우에는 비원형부를 가공에 의하여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비원형 구멍을 성형에 의하여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부재에 있어서, 본체 부재는 축 부재로서의 스피닝 릴의 스풀 축의 주위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스피닝 릴의 연결 부재에서 스풀 축과 연결 부재의 간극으로부터 드래그 기구에의 액체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는, 발명 4에 기재된 부재에 있어 서, 본체 부재는 스피닝 릴의 스풀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축 부재로서의 통상(筒狀)의 스풀 지지 축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스풀 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 지지 축에 와셔 부재가 장착되므로, 스풀 지지 축에 스풀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스풀 축으로부터 탈착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스풀을 교환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부재에 있어서, 본체 부재는 양 베어링 릴의 핸들 축의 주위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양 베어링 릴의 스타 드래그 기구에서 핸들 축과 연결 부재의 간극으로부터 액체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는, 발명 1 내지 6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부재에 있어서, 실 구멍에는 비원형부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하며, 선단이 비원형 구멍보다 작고, 또한, 뾰족한 환상의 립(lip)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선단이 뾰족한 립을 축 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축 부재와의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 저항이 작게 되어, 연결 부재를 부드럽게 탈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연결 부재를 드래그 손잡이에 이용한 경우, 드래그 손잡이를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드래그력이 부드럽게 감소한다.
<실시예>
<전체 구성>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좌우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조립체(1)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여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는 것이고,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전후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로터(3)에 의하여 안내된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아내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축(X)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릴 본체(2)의 주부(主部)를 구성하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로부터 비스듬한 상전방(上前方)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T자상(狀)의 장대 장착 다리(2b)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기구 장착용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를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아내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 조립체(1)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11)는 페이스 기어이며, 마스터 기어 축(10)과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 축(10)은 중심에 핸들 조립체(1)의 핸들 축(1a)이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係止)되는 계지 구멍(10a)이 형성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의 중공(中空)의 부재이다. 마스터 기어 축(10)의 양단은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의 부재이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릴 보 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고, 로터(3) 및 후술하는 원 웨이(one way) 클러치(51)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에는 너트(33)가 나사 감합하고 있고, 이 너트(3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선단부에 로터(3)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피니언 기어(12)는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피니언 기어(12)의 내부를 스풀 축(15)이 관통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것과 함께, 오실레이팅 기구(6)에도 맞물려 있다.
로터(3)는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側方)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과, 양 로터 암(31, 3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기 위한 베일 암(40)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양 로터 암(31, 3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일체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전부에는 전벽(前壁, 41)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41)의 중심부에는 후방(後方)으로 돌출하는 보스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42)의 중심부에는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을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 및 스풀 축(15)이 관통하고 있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보스부(42)에 인접하여 역전(逆轉)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원 웨이 클러치(51)와, 원 웨이 클러치(51)를 작동 상태(역전 금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52)를 가지고 있다.
원 웨이 클러치(51)는 피니언 기어(12)에 내륜(內輪)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릴 보디(2a)의 전단부(前端部)에 외륜(外輪)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내륜 공회전형(型)의 롤러형(形)의 원 웨이 클러치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 축(15)의 대략 직하방(直下方)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선축(21)과, 나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선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는, 나선축(21)에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가이드 축(도시하지 않음)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 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감속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구(深溝)형의 것이며,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 축(15)의 선단에 원터치 탈착 기구(65)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 본체(7)와, 스풀 본체(7)와 스풀 축(15)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풀 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통상의 스풀 지지축(축 부재의 일례, 8)과, 스풀 본체(7)에 장착된 드래그 기구(9)를 가지고 있다.
스풀 축(15)의 전단 측에는 스풀(4)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계지 핀(18)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15a)이 직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 축(15)의 전단부에는 장착 시에 원터치 탈착 기구(65)를 부드럽게 동작시키기 위한 테이퍼부(15b)가 형성되고, 전단부보다 약간 후방에는 원터치 탈착 기구(65)의 후술하는 제1 및 제2 발지(拔止, 빠지는 것을 방지/고정) 부재(67, 68)가 계합하는 환상(環狀)의 계지 홈(15c)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15b)의 최대 외경은, 계지 홈(15c)으로부터 후방 부분의 스풀 축(15)의 외경보다 작다.
스풀 본체(7)는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통상의 권사 몸통부(7a)와, 권사 몸통부(7a)의 후단부(後端部)에 권사 몸통부(7a)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7b)와, 권사 몸통부(7a)의 전부에 전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된 플랜지부(7c)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7a)는 지름 방향 내방(內方)으로 연장되는 장착 원판부(7e)와, 장착 원판부(7e)의 내주 측에 일체 형성된 장착 통부(7f)를 가지고 있다. 장착 원판부(7e)의 후면에는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發音)하는 후술하는 드래그 발음 기구(56)의 보습 부재(82)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 함께, 권사 몸통부(7a)에 감겨지는 낚싯줄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줄 고정 부재(53)가 고정되어 있다. 장착 통부(7f)는 스풀 지지 축(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권사 몸통부(7a)의 내주면에는 드래그 기구(9)가 수납되는 원기둥상의 드래그 수납 공간(7j)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면에는 전후 축(X)을 따라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계지 홈(7g)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실 링(72)이 장착되는 환상의 실 장착 홈(7h)과, 후술하는 마찰부(58)를 발지하는 발지 용수철(73)이 장착되는 환상의 용수철 장착 홈(7i)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발지 용수철(73)은 실 링(72)의 후면도 지지하여 발지하고 있다.
스커트부(7b)는 권사 몸통부(7a)의 후단부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넓어진 후, 로터(3)의 원통부(30)를 덮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 부재이다.
플랜지부(7c)의 전면에는 환상으로 돌출하는 나사 통부(7d)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7c)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경질(硬質) 금속 또는 산화 지르코늄(zirconia) 등의 경질 세라믹제 등의 경질 재료제의 플랜지 보호 링(25)이 장착되어 있다. 플랜지 보호 링(25)은 나사 통부(7d)의 외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플랜지 고정 부재(24)에 의하여 플랜지부(7c)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24)는 내주면이 나사 통부(7d)에 나사로 감합하는 너트 부재이며, 전면(前面)에 테이퍼면(24a)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플랜지 고정 부재(24)는 나사 통부(7d)에 나사 감합되는 것과 함께, 접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작동 시의 토크나 진동에 의하여 플랜지 고정 부재(24)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스풀 지지 축(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 붙이 통상의 부재이며, 스풀 축(15)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 지지 축(8)은 통상의 축부(8a)와, 축부(8a)의 후단부에 형성된 대경의 링상(狀)의 테두리부(8b)를 가지고 있다. 축부(8a)의 외주면에는 전장(全長)에 걸쳐 비원형부(8c)가 형성되어 있다. 비원형부(8c)는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모따기부(8c1)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비원형부(8c)의 단면은 한 쌍의 모따기부(8c1)와 그것들을 연 결하는 한 쌍의 원호부(8c2)로 구성된 타원형이다.
축부(8a)의 후부(後部) 외주면에는 테두리부(8b)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기어 형상의 드래그 발음 기구(56)의 원판 부재(8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원판 부재(80)와 장착 통부(7f)의 사이에는 스풀(4)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매(예를 들면, 3매)의 조정 와셔(8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원판 부재(80) 및 조정 와셔(81)는 비원형부(8c)에 계합하는 긴 구멍을 가지고 있고, 긴 구멍이 비원형부(8c)에 계합하여 스풀 지지 축(8)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덧붙여, 스풀 지지 축(8)의 조정 와셔(81)가 장착되는 조정 와셔 장착부(8k)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부분보다 소경(小徑)으로 형성되고, 조정 와셔(81)의 긴 구멍은 원판 부재(80)의 긴 구멍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정 와셔(81)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며, 스풀 본체(7)의 후부를 밀폐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원판 부재(80)는 테두리부(8b)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8a)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드래그 조정을 위한 수나사부(8e)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8e)의 후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발지 부재(67)가 장착되는 장착 홈(8f)과, 제2 발지 부재(68)가 장착되는 노치부(8g)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홈(8f)은 수나사부(8e)의 후부에 환상으로 형성되고, 노치부(8g)는 스풀 축(15)의 계지 홈(15c)의 외경보다, 예를 들면, 0.3 ~ 1.5mm 정도(程度) 전후 축(스풀 축심, X) 측으로 편의(偏倚)한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으로 장착 홈(8f)을 절단한 형상이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 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홈(8f)은 단면이 D자상으로 형성된다. 축부(8a)의 선단 내주면에는 제1 내주부(8h)와, 제1 내주부(8h)에 입설(立設)하여 배치된 소경의 제2 내주부(8i)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내주부(8i)는 스풀 축(15)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內徑)을 가지고 있다.
테두리부(8b)에는 계지 핀(18)이 계합하는 계합 홈(8d)이 직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계지 핀(18)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5a)에 장착되고, 계지 핀(18)의 잘록부(18a)에 장착된 O링(19)에 의하여 발지되어 있다. 스풀 지지 축(8)은 계지 핀(18)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스풀 축(15)에 장착되어 있다.
<원터치 탈착 기구의 구성>
원터치 탈착 기구(65)는, 스풀 축(15)의 선단에 스풀 축(15)의 선단을 덮도록, 스풀 지지 축(8)의 내주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버튼(66)과, 제1 및 제2 발지 부재(67, 68)를 가지고 있다. 푸시 버튼(66)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재이며, 릴 외방(外方)에 노출되는 푸시 조작부(66a)와, 푸시 조작부(66a)의 후방에 대경으로 형성된 발지 테두리부(66b)와, 발지 테두리부(66b)의 후방에 형성된 통상부(66c)와, 통상부(66c)에 형성된 압압부(66d)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도 3에서는 전후 축(X)의 하측에 단면을, 상측에 약간 압압한 상태의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푸시 조작부(66a)는 버튼 형상으로 원형을 띄고 형성되어 있다. 발지 테두리부(66b)는 스풀 지지 축(8)의 제1 내주부(8h)에 계합하고 있고, 제1 내주부(8h) 에 장착된 C형 멈춤 링(69)에 의하여 발지되어 있다. 또한, 발지 테두리부(66b)의 후면에는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리턴 용수철(55)이 설치되어 있다. 리턴 용수철(55)은 푸시 버튼(66)을 압압 방향과 역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하여 푸시 조작을 정지하면, 푸시 버튼(66)은 도 3에서 좌측(축 방향 전방)의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덧붙여, 발지 테두리부(66b)에는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66e)가 형성되고, 스풀 지지 축(8)의 전단부에는 돌기부(66e)가 들어 맞는 슬릿(8j)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푸시 버튼(66)이 회전 방지된다. 통상부(66c)는 제2 내주부(8i)와 스풀 축(15)의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다. 압압부(66d)는 제2 발지 부재(68)를 압압하는 것이고, 스풀 축(15)의 계지 홈(15c)으로부터 테이퍼부(15b)의 최외경부를 초과하여 변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경사면(도 3에서는 한쪽만 도시, 66f)을 가지고 있다.
제1 발지 부재(67)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금속 용수철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에 위치하고 장착 홈(8f)에 장착되는 한 쌍의 만곡부(67a, 67a)와, 만곡부(67a, 67a)로부터 노치부(8g)를 따라 절곡되고 제2 발지 부재(68)를 유지하는 직선상(狀)의 한 쌍의 유지부(67b, 67b)와, 양 유지부(67b, 67b)를 연결하는 C자상의 연결부(67c)를 가지고 있다.
제2 발지 부재(68)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금속 용수철판을 이용하고 있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 홈(15c)에 계합하는 폭을 가지는 계합부(68a)와, 계합부(68a)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노치부(8g)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피(被)유지부(68b, 68b)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피유지부(68b, 68b)는 계합 부(68a)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제1 발지 부재(67)의 유지부(67b, 67b)에 의하여 노치부(8g)에 유지된다. 제2 발지 부재(68)의 중앙 부분은 스풀 축(15)의 계지 홈(15c)에 계지될 때, 노치부(8g)가 계지 홈(15c)의 외주면보다 스풀 축심 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간 만곡하여 배치된다. 이 만곡 변형에 의하여 생기는 압박력에 의하여 스풀(4)이 스풀 축(15)에 덜거덕거림없이 유지된다.
<원터치 탈착 기구의 동작>
푸시 버튼(66)을 압압 조작하면, 제2 발지 부재(68)에 푸시 버튼(66)의 압압부(66d)의 경사면(66f)이 접촉하고, 경사면(66f)이 제1 및 제2 발지 부재(67, 68)를 도 4에서 우방(右方)으로 압압하여 제1 및 제2 발지 부재(67, 68)를 변형시킨다. 그리고 제2 발지 부재(68)가 스풀 축(15)의 테이퍼부(15b)의 최외경부를 초과하는 위치까지 변형하면, 스풀(4)이 스풀 축(15)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된다.
또한, 빠진 스풀(4)을 스풀 축(15)의 선단으로부터 장착하면, 스풀 축(15)의 테이퍼부(15b)에 의하여 제1 및 제2 발지 부재(67, 68)가 압압된다. 그리고 테이퍼부(15b)를 초과하면, 제1 및 제2 발지 부재(67, 68)의 탄성에 의하여 계지 홈(15c)에 계지되고, 스풀(4)이 스풀 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드래그 기구의 구성>
드래그 기구(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드래그 조정부(57)와, 드래그 조정부(57)에 의하여 마찰력이 조정되는 마찰부(58)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조정부(57)는 스풀 지지 축(8)에 나사로 감합하는 조작 부재(60)와, 조작 부재(60)에 의하여 압압되어 마찰부(58)를 압압하는 압압 부재(본 발명에 관련되는 연결 부재의 일례, 61)를 가지고 있다. 조작 부재(60)는 방사상(放射狀)으로 세 방면으로 돌출하는 손잡이 돌기(60a)를 가지는 손잡이 핸들(60b)와, 손잡이 핸들(60b)에 고정된 손잡이 플랜지(60c)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플랜지(60c)에는 스풀 지지 축(8)의 수나사부(8e)에 나사로 감합하는 너트(62)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너트(62)와 압압 부재(61)의 사이에는 드래그력을 부드럽게 조정하기 위한 코일 용수철(63)이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압압 부재(61)는 스풀 축(15)의 주위에 배치된 스풀 지지 축(8)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압압 부재(61)는 조작 부재(6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또한, 탈락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압압 부재(6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 붙이 원통상의 본체 부재(70)와, 본체 부재(70)에 예를 들면, 삽입 성형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는 탄성체제의 실 부재(71)를 가지고 있다.
본체 부재(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며, 원통부(70a)와, 원통부(70a)보다 대경의 발지용 테두리부(70b)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70a)는 비원형부(8c)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70c)을 내주부에 가지고 있다. 비원형 구멍(70c)은 모따기부(8c1)에 계합하는 한 쌍의 계합면(70d)을 가지는 타원형상의 구멍이다. 테두리부(70b)의 후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발지 링(64a)을 장착하기 위한 단차(段差)부(70e)가 형성되어 있다. 발지 링(64a)은 손잡이 플랜지(60c)의 내주면에 계지된 발지 용수철(64b)에 의하여 발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발지 링(64a)이 장착된 압압 부재(61)가 손잡이 플랜지(60c)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발지된다. 본체 부재(70)에는 실 부재(71)의 삽입 성형 시에 실 부재로 되는 탄성 성형 재료를 부어 넣기 위한 복수의 유입 구멍(70f)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부의 전부에는 코일 용수철(63)이 수납되어 접촉하는 용수철 원기둥상의 수납 공간(70g)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부재(70)의 원통부(70a)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 몸통부(7a)의 내주면과 압압 부재(61)의 외주면의 간극을 밀폐하는 실 링(72)의 선단이 접촉하고 있다. 실 링(72)은 드래그 기구(9)에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실 링(72)의 선단은 뾰족한 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작동 시에 스풀(4)이 회전하여도 회전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실 부재(7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니트릴(nitrile) 고무 등의 합성 수지제의 탄성 부재이다. 실 부재(71)는 비원형 구멍(70c)에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비원형부(8c)에 접촉 가능한 실 구멍(71a)를 가지고 있다. 실 구멍(71a)은 비원형 구멍(70c)과 동일한 타원형의 형상이다. 실 구멍(71a)의 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비원형 구멍(70c)보다 작고, 또한, 선단이 산형(山形)으로 뾰족한 환상의 립부(71b)가 형성되어 있다. 립부(71b)는 비원형부(8c)의 전면(全面)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원형부(8c)에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70c)과, 비원형부(8c)에 접촉하여 밀폐하는 실 부재(71)를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였으므로, 스풀 지지 축(8)과 연결 부재인 압압 부재(61)의 밀폐하기 어려운 비원형의 간극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비원형 구멍(70c)이 비원형부(8c)에 계합하므로, 드래그 작동 시의 실 부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압압 부재(61)의 외주 측의 간극도 실 링(72)에 의하여 밀폐되므로, 드래그 수납 공간(7j)에 액체가 보다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 나아가, 실 부재(71)에 립부(71b)를 설치하였으므로, 스풀 지지 축(8)과의 접동 저항이 작게 되어, 압압 부재(61)를 부드럽게 탈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드래그 조정부(57)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드래그력이 부드럽게 감소한다.
조작 부재(60)와 압압 부재(61)의 사이에는 조작 부재(60)를 회전시켜 드래그 조정할 때에 발음하는 드래그 손잡이 발음 기구(54)가 장착되어 있다.
마찰부(5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 부재(61)와 스풀 본체(7)의 장착 원판부(7e)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마찰부(58)는 스풀 지지 축(8)의 비원형부(8c)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제1 디스크(76a, 76b)와, 권사 몸통부(7a)의 내주면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귀(耳)붙이의 제2 디스크(77)와, 2개의 제1 디스크(76a, 76b)와 제2 디스크(77)의 사이 및 제1 디스크(76b)와 장착 원판부(7e)의 사이에 배치된 드래그 디스크(78)를 가지고 있다. 제1 디스크(76a)는 압압 부재(61)에 접촉하고 있고, 압압 부재(61)에 의하여 압압된다. 제1 디스크(76a)는 스풀 지지 축(8)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므로, 압압 부재(61)와 상대 회전하지 않는다. 제1 디스크(76a)의 전면에는 실 부재(71)가 접촉하고 있다. 제2 디스크(77)는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귀부(耳部, 77a)가 계지 홈(7g)에 계지되는 것에 의하여 권사 몸통부(7a)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마찰부(58)는 발지 용수철(73)에 의하여 발지되어 있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이 스피닝 릴에서는 캐스팅(casting) 시 등의 줄 방출 시에는 베일 암(40)을 실 개방 자세로 넘긴다. 이 결과, 낚싯줄은 채비의 자중(自重)에 의하여 스풀(4)의 선단 측으로부터 차례로 방출된다. 이때, 플랜지부(7c)가 낚싯줄에 접촉하여 손상되기 쉬운 외주 부분에 경질 재료제의 비중이 큰 플랜지 보호 링(25)을 배치하였으므로, 플랜지부(7c)의 외주 부분에서의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줄 감기 시에는 베일 암(40)을 줄 감기 자세 측으로 되돌린다. 이것은 핸들 조립체(1)를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베일 반전 기구의 기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핸들 조립체(1)의 회전력은 마스터 기어 축(10) 및 마스터 기어(1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 회전력은 그 전부(12a)로부터 로터(3)에 전달되는 것과 함께, 감속 기구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23)에 의하여 오실레이팅 기구(6)에 전달된다. 이 결과,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함께, 스풀(4)이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채비에 물고기가 걸리면, 물고기의 물어 당기는 힘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9)가 동작하여, 스풀(4)이 역전하는 일이 있다. 드래그 작동 시에는 제1 디스크(76a, 76b)는 스풀 지지 축(8)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제2 디스크(77)는 스 풀(4)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므로, 드래그 디스크(78)를 통하여 제1 디스크(76a, 76b)와 제2 디스크(77)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긴다. 이때의 드래그력은 드래그 조정부(57)의 조작 부재(60)를 회전시켜 설정되는 압압 부재(61)의 제1 디스크(76a)로의 압압력에 의하여 정해진다.
스피닝 릴을 물로 씻을 때에 예를 들면, 물을 채운 양동이 등에 담그면, 물이 스풀(4) 내부의 드래그 수납 공간(7j)에 침입하려고 한다. 그러나 드래그 수납 공간(7j)의 내주 측의 간극인 압압 부재(61)의 내주부와 스풀 지지 축(8)의 사이가 실 부재(71)에 의하여 밀폐되는 것과 함께, 외주 측의 간극인 압압 부재(61)와 권사 몸통부(7a)의 내주면의 사이가 실 링(72)에 의하여 밀폐되므로, 드래그 수납 공간(7j)에의 액체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기구(9)를 가지는 스풀(4)이 원터치 탈착 기구(65)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으므로, 탈착 시에 조작 부재(60)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스풀(4)을 탈착하여도 드래그력의 설정이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스풀(4)에 대하여 낚시 대상의 어종 등에 따라 드래그력이나 낚싯줄의 크기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터치로 탈착할 수 있는, 심구형의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장착되는 압압 부재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연결 부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풀 축에 직접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압압 부재나 제1 디스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 부재(71)를 삽입 성형에 의하여 본체 부재(70)에 일체 형성하였지만, 실 부재를 본체 부재에 별체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피닝 릴의 압압 부재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양 베어링 릴의 핸들 축이나 스풀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 부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양 베어링 릴의 축 부재로서의 핸들 축(110)에는 스타 드래그 기구(109)가 장착되어 있다. 스타 드래그 기구(109)는 메인 기어(120)를 통하여 스풀(11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다. 스타 드래그 기구(109)는 핸들 축(110)에 나사로 감합하는 조작 부재로서의 스타 드래그(103)과, 핸들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와셔(연결 부재의 일례, 161)와, 드래그 와셔(161)와 메인 기어(120)의 사이에 배치된 드래그 디스크(162)를 가지고 있다. 핸들 축(110)은 외주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모따기부(110a)를 가지는 비원형부(110b)를 가지고 있다. 핸들 축(110)은 릴 본체(102)에 장착된 원 웨이 클러치(125)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고, 줄 감기 방향만 회전 가능하다.
드래그 와셔(161)는 비원형부(110b)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여 핸들 축(110)에 일체 회전하는 것과 함께, 원 웨이 클러치(125)의 내륜(125a)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비원형 구멍(170a)을 가지는 본체 부재(170)와, 비원형 구멍(170a)에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실 구멍(171a)을 가지는 실 부재(171)를 가지고 있다. 비원형 구멍(170a)은 모따기부(110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한 쌍의 계합면(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계합면 에 더하여 원 웨이 클러치(125)의 내륜(125a)에,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한 쌍의 계합 돌기(125b)에 계합하는 계합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내륜(125a)도 핸들 축(110)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실 구멍(171a)은 계합 오목부에 따른 오목부를 가지지 않고, 핸들 축(110)의 외주면의 주변 전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 부재(171)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재질의 탄성 부재이며, 실 구멍(171a)에 도시하지 않은 립부를 가지고 있다. 실 부재(171)는 본체 부재(170)에 삽입 성형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 부재(171)는, 드래그 작동 시에 드래그 와셔(16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대 회전하는 메인 기어(120)와는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 부재(171)를 상대 회전하는 인접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하였으므로, 연결 부재인 드래그 와셔(161)와 인접 부재가 상대 회전하여도 실 부재(171)에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마찰력의 발생에 의한 실 부재의 손상이나 박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래그 와셔(161)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기구에 설치된 연결 부재(압압 부재나 드래그 와셔)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비원형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피니언 기어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나 원 웨이 클러치의 내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2)는 스풀 축(15)이 관통 가능한 통상 부재이며,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 축(15)은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외주면에 비원형부(12b)로서의 모따기부(12c)를 가지고 있다. 모따기부(12c)는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로부터 기어부(12d)의 바로 앞 측까지 형성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의 원 웨이 클러치(51)의 내륜(연결 부재의 일례, 253)은 피니언 기어(12)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내륜(253)과 로터(3)의 보스부(42)의 사이에는 실을 보조하기 위한 캡(cap) 부재(257)가 개재되어 있다. 캡 부재(257)는 로터(3)의 보스부(42)의 단부 외주면 및 단면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고, 내륜(253)과 보스부(42)에 끼여서 배치되어 있다. 내륜(253)은 모따기부(12c)에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255a)을 가지는 본체 부재(255)와, 비원형 구멍(255a)에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실 구멍(256a)을 가지는 실 부재(256)를 가지고 있다. 비원형 구멍(255a)은 모따기부(12c)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한 쌍의 계합면(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실 부재(256)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재질의 탄성 부재이며, 실 구멍(256a)에 도시하지 않은 립부를 가지고 있다. 실 부재(256)는 본체 부재(255)에 삽입 성형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다. 본체 부재(255)는 캡 부재(257)에 접촉하고 있고, 이것에 의하여 너트(33) 조임 시의 실 부재(256)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륜(253)의 외주 측으로부터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 웨이 클러치(51)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륜(253)의 탈락을 방지하는 커버판(258)에는, 와셔 형상의 실판(259)이 장착되어 있다. 실판(259)은 커버판(258)의 내주에 외주 측이 장착되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립을 가지는 내주 측이 캡 부 재(257)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내륜(253)을 피니언 기어(12)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내륜(253)과 피니언 기어(12)의 간극으로부터 릴 본체(2)의 내부에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내륜(253)은 성형하지 않고 기계 가공으로 형성되므로, 비원형 구멍(255a)을 비원형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기계 가공하면 가공 비용이 상승한다. 이 때문에, 비원형 구멍(255a)은 통상(通常), 모따기부(12c)에 계합하는 계합면을 가지는 모서리를 둥글게 한 직사각형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피니언 기어의 외주면과의 간극이 크게 되어, 액체가 침입하기 쉽다. 그래서 이와 같은 실 부재(25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원형부에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과, 비원형부에 접촉하여 밀폐하는 실 부재를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였으므로, 축 부재와 연결 부재의 간극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비원형 구멍이 비원형부에 계합하므로, 드래그 작동 시와 같이 연결 부재에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실 부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7)

  1. 낚시용 릴에 이용되고, 축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비원형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이며,
    상기 비원형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비원형 구멍을 가지는 본체 부재와,
    상기 비원형 구멍에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비원형부에 접촉 가능한 실(seal) 구멍을 가지고, 상기 본체 부재에 설치되는 탄성체제(彈性體製)의 실(seal) 부재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와 삽입 성형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모따기부를 가지며,
    상기 비원형 구멍은 상기 모따기부에 계합하는 한 쌍의 계합면을 가지는 구멍인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는 상기 축 부재로서의 스피닝 릴의 스풀 축의 주위에 배치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는 상기 스피닝 릴의 스풀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축 부재로서의 통상(筒狀)의 스풀 지지 축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는 양 베어링 릴의 핸들 축의 주위에 배치되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 구멍에는 상기 비원형부에 접촉 가능하게 돌출하며, 선단이 상기 비원형 구멍보다 작고, 또한, 뾰족한 환상(環狀)의 립(lip)부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KR1020070035653A 2006-06-27 2007-04-11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KR101416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76807 2006-06-27
JP2006176807A JP2008005713A (ja) 2006-06-27 2006-06-27 釣り用リールの連結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04A true KR20080000504A (ko) 2008-01-02
KR101416880B1 KR101416880B1 (ko) 2014-07-08

Family

ID=3900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653A KR101416880B1 (ko) 2006-06-27 2007-04-11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005713A (ko)
KR (1) KR101416880B1 (ko)
CN (1) CN101095409B (ko)
TW (1) TWI4102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023B1 (ko) * 2008-05-13 2010-03-11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공기량 조절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기 분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JP5758273B2 (ja) * 2011-11-15 2015-08-05 株式会社マキタ 打ち込み工具
JP6046481B2 (ja) * 2012-12-20 2016-12-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261973B2 (ja) * 2013-12-10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261972B2 (ja) * 2013-12-10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261971B2 (ja) * 2013-12-10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219498B2 (en) * 2016-08-29 2019-03-05 Pure Fishing, Inc. Reel with disengageable seal
JP6856355B2 (ja) * 2016-11-08 2021-04-07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防水構造
JP6879844B2 (ja) * 2017-06-30 2021-06-02 帝人株式会社 釣り具用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7064323B2 (ja) * 2017-12-06 2022-05-10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軸受保持構造および魚釣用リール
CN111264483A (zh) * 2020-04-01 2020-06-12 东莞市凯特渔具制造有限公司 一种通过旋转部件支撑线杯的纺车式渔线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853U (ko) * 1989-12-19 1991-09-06
JP3481100B2 (ja) * 1997-10-15 2003-12-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JP3505390B2 (ja) * 1998-06-03 2004-03-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02254973A (ja) * 2001-03-05 2002-09-11 Yoshikazu Nogami ダンプカ−の荷台
JP2002354973A (ja) * 2001-05-31 2002-12-1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3023934A (ja) * 2001-07-19 2003-01-28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リール
JP2003189770A (ja) * 2001-12-27 2003-07-0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023B1 (ko) * 2008-05-13 2010-03-11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공기량 조절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기 분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5409A (zh) 2008-01-02
CN101095409B (zh) 2011-04-27
JP2008005713A (ja) 2008-01-17
TW200800012A (en) 2008-01-01
TWI410212B (zh) 2013-10-01
KR101416880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0504A (ko)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KR101549602B1 (ko) 레버 드랙 릴의 역전 방지 기구
KR101265999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20110019714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TW200932104A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KR10108183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JP2016174593A5 (ko)
KR20130111334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및 스피닝 릴
JP2009261367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1617459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7665683B2 (en)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JP384000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1694486B1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손잡이
KR100788101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101031524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JP200620415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20040097894A (ko)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KR100987115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구조
KR101403928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손잡이 조립체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2009148173A5 (ko)
JP402902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00235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88423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23316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