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524B1 -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524B1
KR101031524B1 KR1020040041479A KR20040041479A KR101031524B1 KR 101031524 B1 KR101031524 B1 KR 101031524B1 KR 1020040041479 A KR1020040041479 A KR 1020040041479A KR 20040041479 A KR20040041479 A KR 20040041479A KR 101031524 B1 KR101031524 B1 KR 10103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circular
holding
support structure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370A (ko
Inventor
켄이치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10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해결 수단] 스풀 내주부(內周部)의 내측에 장착된 베어링부는 통상(筒狀)의 유지 부재(70)를 통하여 스풀축(15)의 비원형부(15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지 부재(70)는, 내주가 비원형부(15b)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지부(71)와, 유지부(71)의 외주에 설치되어 전측면이 스풀 내주부로 압압(押壓)되는 압압부(72)와, 내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비원형부(15b)와의 사이에 단면이 대략 궁형(弓形)으로 형성된 2 개소의 간극(74, 間隙)을 두고 장착되는 원형부(73)를 가지고 있다. 원형부(73)와 비원형부(15b)의 사이에 간극(74)에는, 유지 부재(70)의 전방으로부터 유지 부재(70)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덜걱거림 방지 부재(80)가 장착되어 있다.
스풀, 유지 부재, 비원형부, 원형부, 덜걱거림 방지 부재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SPOOL SUPPORT STRUCTURE FOR A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스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스풀의 지지 부분의 측면 확대도.
도 5는 상기 스풀의 지지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덜걱거림 방지 부재의 측면 단면도.
도 7은 상기 덜걱거림 방지 부재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덜걱거림 방지 부재의 정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4: 스풀
7a: 권사 몸통부 15: 스풀축
15b: 비원형부 15c: 계지홈
20: 스풀 받이부 55: 베어링부
56: 제1 베어링 57: 제2 베어링
60: 드랙 기구 70: 유지 부재
71: 유지부 71a: 제1 유지부
71b: 제2 유지부 72: 압압부
73: 원형부 75: 핀 부재
76: 간좌 부재 80: 덜걱거림 방지 부재
80a: 머리부 80b: 장착부
80c: 구멍부 80d: 계지 돌기
81: 제1 덜걱거림 방지 부재 82: 제2 덜걱거림 방지 부재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특히,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 가능한 스풀축에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와, 로터와, 스풀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닝 릴의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 가능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고 내주에 스풀축이 장착되는 권사(卷絲) 몸통부와,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에 설치된 대경(大徑) 통상(筒狀)의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에는, 스풀축에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상(環狀)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환상 부재의 내주측에는, 대략 타원형의 비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 고,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스풀축의 전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드랙형의 스피닝 릴에서는, 권사 몸통부의 내부에는, 복수의 드랙판으로 이루어지는 드랙 기구 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풀은, 예를 들어 볼베어링 등의 베어링에 의하여 스풀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이 종류의 베어링은, 권사 몸통부의 내주에 배치되고, 스풀축의 외주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주가 원형으로 형성된 구멍부를 가지는 통상의 유지 부재로 유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는, 후단부가 환상 부재에 접촉하고 있고, 권사 몸통부에 의하여 후방으로 압압(押壓)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재에는 스풀축과 교차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스풀축에는 관통공에 연통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 및 암나사에 육각구멍 붙이 멈춤 나사 등의 핀 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감합(嵌合)시키는 것에 의하여, 유지 부재를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유지 부재의 후단부를 환상 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드랙 기구를 작동하여 드랙판을 후방으로 압압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204640호 공보
상기 종래의 스피닝 릴에서는, 예를 들어 실제 낚시를 할 때에 물고기 등과의 밀고 당기기를 즐기기 위해서, 드랙 기구를 느슨하게 하여 낚시를 행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드랙 기구를 느슨하게 하면, 후방으로 압압되어 있던 드랙판의 압압력이 작아진다. 드랙판의 압압력이 작아지면, 권사 몸통부가 유지 부재를 후방으로 압압하는 힘이 작아진다. 이렇게 하면, 여기에서는 유지 부재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부에 단면이 비원형인 스풀축이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유지 부재와 스풀축 간의 대략 궁형(弓形)의 간극(間隙)에 의하여, 덜걱거림이 생길 우려가 있다. 유지 부재가 덜걱거리면, 스풀의 매끄러운 전후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데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는,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전단측의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부를 가지는 스풀축에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스풀의 내주부(內周部)에 배치되어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와, 비원형부의 후단에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장착된 스풀 받이부와, 베어링부가 외주측에 배치되는 유지부와 스풀의 내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압압되는 압압부와 내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비원형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장착되는 원형부를 가지고 스풀 받이부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유지 부재와, 유지 부재를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간극에 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유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풀 지지 구조에서는, 유지 부재의 원형부와 스풀축의 비원형부 간에 간극에, 예를 들어 단면이 간극의 형상에 합치하도록 하는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간극을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1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유지부는, 압압부의 전측에 설치된 제1 유지부와, 압압부의 후측에 설치된 제2 유지부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부는, 제1 유지부에 배치된 제1 베어링과, 제2 유지부에 배치된 제2 베어링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의 2개의 베어링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의 스풀축에 대한 회전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1 또는 2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원형부 및 비원형부에 관통되는 핀 부재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원형부 및 비원형부에 각각 관통공 및 암나사를 형성하고, 육각구멍 붙이 멈춤 나사 등의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핀 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감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용이한 구성으로 확실히 유지 부재를 스풀축에 고정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1 또는 2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비원형부는, 외주 단면이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간극은, 단면이 대략 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비원형부는, 예를 들어 원기둥 부재의 양 측면을 노치(notch)한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원형부와 원형부 간의 간극은 대략 궁형으로 2개소 형성된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4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덜걱거림 방지 부재는, 유지 부재의 전측에 배치되는 대경의 머리부와, 단면이 대략 궁형으로 형성되어 간극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비원형부와 원형부 간의 2개소의 간극에 합치하는 단면 형상의 장착부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덜걱거림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5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머리부는, 외형 단면이 대략 궁형으로 형성된 판상 부재이고, 하나의 장착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장착부를 가지는 2개의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각각의 간극에 장착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5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머리부는, 외형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환상 부재이고, 상기 복수의 장착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2개의 장착부를 가지는 하나의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간극에 장착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스풀 지지 구조는, 발명 1 또는 2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비원형부는, 외주의 일부가 패여 형성된 계지(係止)홈을 가지고 있다. 덜걱거림 방지 부재는, 내주측에 설치되고, 계지홈에 계지되어 스풀축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계지 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계지홈에 계지 돌기를 계지하는 것에 의하여,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外周面)에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앞부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릴 몸틀(2a)과, 릴 몸틀(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으로 연장되는 장대 부착 다리(2b)를 가지고 있다. 릴 몸틀(2a)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11)와, 이 페이스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앞부분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너트(13)에 의해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랙 기구(60)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선축(21)과, 나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선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고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의 외주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로터 암(32)의 선단 내주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 간에는 선재를 대략 U상으로 구부린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제2 베일 지지 부재(42),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베일 암(44)이 구성된다. 베일 암(44)은, 도 2에 도시하는 줄 안내 자세와 그것으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 간에 요동 가능하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회전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회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륜이 유전하는 롤러형의 원웨이클러치(51)와, 원웨이클러치(51)를 작동 상태 (역회전 금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 (역회전 허가 상태) 간에 전환하는 전환 기구(52)를 가지고 있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 간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랙 기구(60)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대소 2단의 원통상의 스풀 본체(7)와, 스풀 본체(7)의 전단에 장착된 대경의 플랜지부(8)와, 플랜지부(8)를 스풀 본체(7)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 고정 부재(9)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드로잉(drawing) 가공 등의 프레스 가공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원통상의 부재이고, 제1 베어링(56) 및 제2 베어링(57)에 의해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 본체(7)는,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의 권사 몸통부(7a)와, 권사 몸통부(7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대경 통상의 스커트부(7b)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7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박판에 의해 통상으로 형성된 통상부(16)와, 통상부(16)의 내주측에 별체로 접착된 합성 수지제의 원통부(17)와, 원통부(17)의 후단측에 원통부(17)와 일체 성형된 환상의 내주부(18)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17)의 내주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 고정 부재(9)를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내주부(18)의 내측에는 제1 베어링(56) 및 제2 베어링(57)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55)가 장착되어 있고, 베어링부(55)는 통상의 유지 부재(70)를 통하여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지 부재(70)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장착된 스 풀 받이부(20)가 접촉하고 있다.
스풀 받이부(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금속제의 링 부재이다. 스풀 받이부(20)는 제2 베어링(57)의 후단에 접촉하고 있다. 스풀 받이부(20)를 스풀축(15)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드랙 기구(60)에 의해 내주부(18)가 후방으로 압압되어도, 스풀(4) 전체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 부재(7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부가 스풀 받이부(20)에 접촉하고 내주부(18)에 의해 후방으로 압압되는 통상의 부재이다. 유지 부재(70)는, 외주에 베어링부(55)가 유지되고, 내주가 스풀축(15)의 전단측의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부(15b)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15)의 비원형부(15b)는, 외주 단면이 원기둥 부재의 양 측면을 노치한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70)는, 내주가 스풀축(15)의 비원형부(15b)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지부(71)와, 유지부(71)의 외주에 설치되어 전측면이 내주부(18)로 압압되는 압압부(72)와, 내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비원형부(15b)와의 사이에 단면이 대략 궁형으로 형성된 2 개소의 간극(74)을 두고 장착되는 원형부(73)를 가지고 있다. 유지부(71)는, 압압부(72)의 전측에 설치되어 외주에 제1 베어링(56)이 배치되는 제1 유지부(71a)와, 압압부(72)의 후측에 설치되어 외주에 제2 베어링(57)이 배치되는 제2 유지부(71b)를 가지고 있다.
유지 부재(70)는, 제1 유지부(71a)에 형성된 관통공(71c)을 관통하고, 스풀축(15)에 형성된 암나사(15a)에 나사 감합하는 육각구멍 붙이 멈춤 나사 등의 고정 수단의 일례인 핀 부재(75)에 의하여 스풀축(15)의 비원형부(15b)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핀 부재(75)가 장착된 제1 유지부(71a)에는, 압압부(72)의 전측면과 내주부(18) 간에는, 3매의 간좌(間座) 부재(7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재(70)의 원형부(73)와 스풀축(15)의 비원형부(15b)와의 사이에 간극(74)에는, 유지 부재(70)의 전방으로부터 유지 부재(70)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덜걱거림 방지 부재(80)가 장착되어 있다.
덜걱거림 방지 부재(80)는, 도 5로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70)의 전측에 배치되는 대경의 머리부(80a)와, 간극(74)에 장착되는 2개의 장착부(80b)를 가지고 있다. 머리부(80a)는, 외형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환상 부재이고, 단면이 타원형의 오목부(80c)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장착부(80b)는, 서로 마주보도록 머리부(80a)와 일체 성형되고, 단면이 간극(74)에 합치하도록 대략 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80c)의 내주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한 2개의 계지 돌기(80d)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돌기(80d)는, 스풀축(15)의 비원형부(15b)에 외주의 일부가 패여 형성된 계지홈(15c)에 각각 계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덜걱거림 방지 부재(8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스커트부(7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원통부(30)를 덮도록 통상으로 권사 몸통부(7a)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 합금을 드로잉 가공하여 얻어진 금속 박판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8)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하도록 형성된 금속제 또는 경질 세라믹제의 흠이 잘 나지 않는 원판상의 부재이다. 플랜지부(8)는, 권사 몸통부(7a)의 암나사부(17a)에 나사 감합하는 플랜지 고정 부재(9)에 의하여, 권사 몸통부(7a)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9)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 몸통부(7a)의 암나사부(17a)에 나사 감합하는 통상의 수나사부(9a)와, 수나사부(9a)의 내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드랙 기구(60)의 복수의 드랙판(62, 후술)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통상의 드랙 수납부(9b)와, 수나사부(9a)의 선단에 플랜지부(8)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접촉부(9c)를 가지고 있다.
드랙 기구(60)는, 스풀(4)과 스풀축(15) 간에 장착되어 스풀(4)에 드랙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랙 기구(60)는, 드랙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부(61)와, 손잡이부(61)에 의하여 스풀(4)측으로 압압되는 복수 매의 드랙판(62)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릴의 조작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부재(42)는 요동한다. 이 상태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이렇게 하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해 힘차게 방출된다. 채비가 착수(着水)한 후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44)이 베일 반전 기구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낚싯줄 감기 위치로 복귀하고 로터(3)의 역회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의 방출이 멈춘다.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그 회전이 페이스 기어(11), 피니언 기어(12)를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되고 로터(3)가 회전한다. 로터(3)가 회전하면, 라인 롤러(41)로 안내된 낚싯줄이 스풀(4)에 감긴다.
이러한 스풀(4)에서는, 유지 부재(70)의 원형부(73)와 스풀축(15)의 비원형부(15b) 간에 간극(74)에, 단면이 간극(74)의 형상에 합치하는 장착부(80b)를 가지는 덜걱거림 방지 부재(8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간극(74)을 감소할 수 있어, 유지 부재(70)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천구(淺構) 스풀을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모든 스피닝 릴의 스풀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 베어링(56) 및 제2 베어링(57)을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나의 베어링만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지 부재(70)는, 육각구멍 붙이 멈춤 나사 등의 핀 부재(75)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었지만, 유지 부재(70)의 스풀축(15)에 대한 고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 받이부(20)는 금속제의 링 부재였지만, 예를 들어 주위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스풀(4)의 회전에 의하여 요철부에 접촉하는 발음 기구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장착부(80b)를 가지는 하나의 덜걱거림 방지 부재(80)를 간극(74)에 장착하고 있었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장착부(80b')를 가지는 2개의 제1 덜걱거림 방지 부재(81) 및 제2 덜걱거림 방지 부재(82)로 덜걱거림 방지 부재(80')를 구성하고, 그들을 각각 간극(74)에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제1 덜걱거림 방지 부재(81) 및 제2 덜걱거림 방지 부재(82)의 머리부(80a')는, 서로 경상으로 되는 대략 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80b')를 간극(74)에 장착했을 때 유지 부재(70)의 전단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원형부와 스풀축의 비원형부와의 사이에 간극에 덜걱거림 방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간극을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전단측의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부를 가지는 스풀축에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내주부(內周部)에 배치되어, 상기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와,
    상기 비원형부의 후단에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장착된 스풀 받이부와,
    상기 베어링부가 외주측에 배치되는 유지부와, 상기 스풀의 내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압압(押壓)되는 압압부와, 내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원형부와의 사이에 간극(間隙)을 두고 장착되는 원형부를 가지고, 상기 스풀 받이부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간극에 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상기 유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덜걱거림 방지 부재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압압부의 전측에 설치된 제1 유지부와, 상기 압압부의 후측에 설치된 제2 유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제1 유지부에 배치된 제1 베어링과, 상기 제2 유지부에 배치된 제2 베어링을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원형부 및 상기 비원형부에 관통되는 핀 부재인,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부는, 외주 단면이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단면이 대략 궁형(弓形)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덜걱거림 방지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의 전측에 배치되는 대경(大徑)의 머리부와, 단면이 대략 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간극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착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외형 단면이 대략 궁형으로 형성된 판상 부재이고, 상기 하 나의 장착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외형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환상(環狀) 부재이고, 상기 복수의 장착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부는, 외주의 일부가 패여 형성된 계지(係止)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덜걱거림 방지 부재는, 내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계지홈에 계지되어 상기 스풀축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계지 돌기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KR1020040041479A 2003-06-13 2004-06-07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KR101031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8743 2003-06-13
JP2003168743A JP4266718B2 (ja) 2003-06-13 2003-06-13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370A KR20040107370A (ko) 2004-12-20
KR101031524B1 true KR101031524B1 (ko) 2011-04-29

Family

ID=3350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479A KR101031524B1 (ko) 2003-06-13 2004-06-07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78957B2 (ko)
JP (1) JP4266718B2 (ko)
KR (1) KR101031524B1 (ko)
CN (1) CN100415089C (ko)
MY (1) MY128440A (ko)
SG (1) SG115705A1 (ko)
TW (1) TW2004274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8647B1 (en) * 2006-03-15 2007-01-30 Shakespeare Company, Llc Fly reel drag mechanism
US20070267529A1 (en) * 2006-04-12 2007-11-22 Pure Fishing, Inc. Clutch Assembly For A Fishing Reel
US7401748B2 (en) * 2006-12-19 2008-07-22 Shimano Inc. Spool assembly for spinning reel
EP1982920A1 (de) 2007-04-19 2008-10-22 Krones AG Vorrichtung zum Sterilisieren von Behältnissen
US7950169B2 (en) 2007-05-10 2011-05-31 Nike, Inc.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JP5205121B2 (ja) * 2008-04-30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JP5349348B2 (ja) 2010-01-22 2013-11-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6419020B2 (ja) * 2015-04-28 2018-11-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07549128B (zh) * 2016-06-30 2020-11-06 古洛布莱株式会社 钓鱼用卷线器
CN108275499A (zh) * 2018-03-08 2018-07-13 珂卡芙鞋业有限公司 卷布轴中的旋转组件
US11845109B1 (en) 2022-05-27 2023-12-19 Aggregates Equipment, Inc. Roller assembly for a screen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40A (ja) * 2001-01-10 2002-07-2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2267028A (ja) * 2001-03-07 2002-09-18 Shimano Inc 部品組立体
JP2003009732A (ja) * 2001-07-02 2003-01-1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481A (en) * 1999-03-20 2000-07-18 Cedarapids, Inc. Apparatus for relieving the load on adjusting rods of a crusher
JP2002000136A (ja) * 2000-06-26 2002-01-0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TW518205B (en) * 2001-02-23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JP3981325B2 (ja) * 2002-12-06 2007-09-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40A (ja) * 2001-01-10 2002-07-2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2267028A (ja) * 2001-03-07 2002-09-18 Shimano Inc 部品組立体
JP2003009732A (ja) * 2001-07-02 2003-01-1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66718B2 (ja) 2009-05-20
KR20040107370A (ko) 2004-12-20
SG115705A1 (en) 2005-10-28
CN1572141A (zh) 2005-02-02
MY128440A (en) 2007-02-28
TW200427404A (en) 2004-12-16
CN100415089C (zh) 2008-09-03
US6978957B2 (en) 2005-12-27
TWI311042B (ko) 2009-06-21
JP2005000103A (ja) 2005-01-06
US20040251363A1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602B1 (ko) 레버 드랙 릴의 역전 방지 기구
KR101031524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KR101265999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KR20140113475A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KR20100131946A (ko) 스피닝 릴의 드랙 전환 장치
TWI471092B (zh) 紡車式捲線器的捲筒
KR101000347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0987115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구조
JP200620415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17338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KR101293175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JP4875587B2 (ja) 魚釣用リール
US6003801A (en) Double-bearing type fishing reel with low-resistance line feed
JP562406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KR100987100B1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JP2013146245A5 (ko)
JP427229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940222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両軸受リール
JP360410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00235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506610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365174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423316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3235412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