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100B1 -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100B1
KR100987100B1 KR1020030080993A KR20030080993A KR100987100B1 KR 100987100 B1 KR100987100 B1 KR 100987100B1 KR 1020030080993 A KR1020030080993 A KR 1020030080993A KR 20030080993 A KR20030080993 A KR 20030080993A KR 100987100 B1 KR100987100 B1 KR 10098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eel
operating
fishing reel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345A (ko
Inventor
키타지마케이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4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조작 손잡이 (조작 부재 및 나사 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조작 손잡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나사 조작 구조(6)는 릴 본체의 몸틀 뒷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나사 끼움부(26), 나사 부재(28), 조작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끼움부(26)는, 수나사부(27)와, 수나사부(27)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부(筒狀部)(33)를 가지고 있다. 나사 끼움부(26)의 수나사부(27)에는 수나사부(27)의 중심축을 따라 돌출한 돌기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30)를 통하여 나사 끼움부(26)는 릴 본체에 장착된다. 나사 부재(28)에서는, 나사 끼움부(26)의 수나사부(27)에 나사로 감합(嵌合) 가능한 암나사부(34a)가 내주면(內周面)에 설치되어 있다. 통상부(33)는 나사 부재(28)의 암나사부(34a)의 내경(內徑)보다 큰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나사 부재(28)는 암나사부(34a)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나사 끼움부(26)의 통상부(33)에 의하여 나사 끼움부(26)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규제된다.
Figure R1020030080993
나사 조작 구조, 리어 드래그 기구, 부시(bush), 돌기부, 레버부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FISHING REEL SCREW OPERATIO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의 단면도.
도 2는 스피닝 릴의 나사 조작 구조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나사 조작 구조 (제1 조작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나사 조작 구조 (제2 조작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나사 조작 구조 9: 리어 드래그 기구
18: 부시 19: 제1 마찰 계합부
20: 제2 마찰 계합부 21: 코일 스프링
22: 압압 부재 23: 제1 플랜지부
24: 제2 플랜지부 26, 62: 나사 끼움부
27, 66: 수나사부 28: 제1 나사 부재
30: 돌기부 31: 제1 조작 부재
32: 제2 조작 부재 33, 67: 통상부
34a, 34b, 68: 암나사부 37: 계지부
38a, 70: 돌출부 40: 압압부
41: 레버부 42a, 71: 오목부
43a, 43c: 규제부 63: 제3 나사 부재
65: 제3 조작 부재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특히,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릴에는 릴 본체 내부에 설치된 각종 기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나사 조작 구조가 넓게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나사 조작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리어 드래그형 스피닝 릴의 리어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절하기 위한 나사 조작 구조가 있다.
종래의 스피닝 릴의 리어 드래그 기구에 이용되는 나사 조작 구조는, 릴 본체 뒷부분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가지는 나사 끼움부, 수나사부에 나사로 감합(嵌合) 가능한 바닥을 가진 원통 모양의 조작 손잡이, 리어 드래그 기구를 압압(押壓)하는 압압 부재, 조작 손잡이를 압압 부재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조작 손잡이가 나사 끼움부로부터 탈락하면, 조작 손잡이에 고정된 압압 부재가 떨어져, 리어 드래그 기구가 분해되는 등의 불편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스피닝 릴에서는, 압압 부재가 나사 끼움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이탈 방 지 부재가 나사 끼움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는 예를 들어 반원 모양의 스프링 부재이고, 양단이 나사 끼움부를 관통하여 압압 부재를 계지(係止)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나사 끼움부에 장착된 이탈 방지 부재에 의하여, 압압 부재가 후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이탈이 방지되어 있으므로, 압압 부재에 고정된 조작 손잡이도 릴 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종래의 나사 조작 구조에서는, 우선, 릴 본체에 조립된 리어 드래그 기구의 뒷부분에 압압 부재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나사 끼움부에 이탈 방지 부재를 장착하여 압압 부재의 이탈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조작 손잡이를 나사 끼움부에 나사로 감합시킨 상태에서 고정 볼트에 의하여 압압 부재에 고정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소60-168375호 공보 (도면 1, 도면 6)
종래의 구성에서, 조작 손잡이를 릴 본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조작 손잡이를 고정 볼트로 압압 부재에 고정하기 전에, 이탈 방지 부재를 나사 끼움부에 장착하여 압압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여 둘 필요가 있었다. 이 때, 릴 본체의 뒷부분에는 복잡한 리어 드래그 기구가 내장되어 한정된 스페이스 밖에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탈 방지 부재의 형상 및 조립 위치는 제약을 받는다. 이러한 이탈 방지 부재에 대한 제약이, 나사 조작 구조의 구성과 조립 작업을 복잡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조작 손잡이 (조작 부재 및 나사 부재)를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고 또한 조작 손잡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 이다.
발명 1에 따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장착되는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나사 끼움부와 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끼움부는 수나사부와, 수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부(筒狀部)를 가지고 있다. 이 나사 끼움부는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사 부재는, 릴 본체와 나사 끼움부의 통상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내주면(內周面)에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나사 부재의 암나사부는 나사 끼움부의 수나사부에 나사로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 끼움부의 통상부는 나사 부재의 암나사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조작 구조에서는, 나사 부재를 나사 끼움부에 장착한 후, 나사 끼움부를 릴 본체에 장착한다. 그리고, 나사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릴 본체에 설치한 기구를 조작한다. 이 때, 나사 부재는 암나사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통상부에 의하여 나사 끼움부로부터의 이탈이 규제된다.
여기에서는, 나사 끼움부가 릴 본체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 끼움부를 릴 본체에 장착하기 전에, 나사 부재는 수나사부측으로부터 나사 끼움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끼움부에 복잡한 기구가 내장되는 경우에서도, 내장되는 기구를 나사 끼움부에 미리 조립하여 나사 부재와 연결해 두는 것으로, 내장되는 기구와 나사 부재를 릴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으로, 나사 끼움부의 통상부는 나사 부재의 암나사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므로, 나사 끼움부의 수나사부에 장착된 나사 부재를 회전시켜도, 나사 부재의 이탈은 통상부에 의하여 규제된다. 이것으로부터, 이탈 방지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나사 부재가 나사 끼움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는, 발명 1에 기재된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나사 부재의 외주면(外周面)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을 가진 원통 모양의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나사 조작 구조가 바닥을 가진 원통 모양의 조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나사 조작 구조의 조작성이 향상할 뿐만 아니라, 나사 끼움부를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나사 부재가 나사 끼움부에 장착된 후에, 조작 부재가 나사 부재에 장착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의 장착 작업은 용이하게 된다.
발명 3에 따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는, 발명 2에 기재된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나사 부재의 외경이 통상부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나사 부재의 외경이 통상부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조작 부재는 통상부측으로부터 나사 부재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발명 4에 따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는, 발명 2 또는 발명 3에 기재된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나사 부재가 조작 부재와의 장착면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어, 조작 부재가 돌출부에 계합(係合)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돌출부와 오목부가 계합한 상태로 조작 부재가 나사 부재와 함께 회동(回動)한다. 이 경우, 나사 부재의 돌출부와 조작 부재의 오목부가 계합한 상태로 조작 부재가 나사 부재와 함께 회동하므로, 조작 부재에 대해서 행한 조작을 나사 부재로 유효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의 돌출부와 조작 부재의 오목부를 계합 가능하게 한 것으로, 조작 부재를 나사 부재에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장착할 수 있다.
발명 5에 따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는, 발명 1에 기재된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나사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나사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레버부를 가지는 조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조작 부재가 나사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나사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조작 부재를 나사 끼움부에 수나사부측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나사 끼움부에 대한 조작 부재의 위치 결정에 레버부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작 부재를 나사 끼움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의 레버부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으므로, 나사 조작 구조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는, 발명 2 또는 발명 3에 기재된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나사 끼움부가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의 뒷부분에 돌출하여 장착 가능하고, 조작 부재가 스피닝 릴의 리어 드래그 기구의 조작 손잡이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나사 끼움부가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의 뒷부분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조작 부재가 스피닝 릴의 리어 드래그 기구의 조작 손잡이로 되어 있으므로, 리어 드래그 기구를 나사 끼움부에 미리 조립하여 조작 손잡이와 연결해 두는 것으로, 리어 드래그 기구와 나사 조작 구조를 릴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는, 발명 2 또는 발명 3에 기재된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나사 끼움부가 양 베어링 릴의 상기 릴 본체의 측방부로 돌출하여 장착 가능하고, 조작 부재가 양 베어링 릴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손잡이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나사 끼움부가 양 베어링 릴의 상기 릴 본체의 측방부로 돌출하여 장착 가능하고, 조작 부재가 양 베어링 릴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손잡이로 되어 있으므로, 캐스팅 컨트롤 기구를 나사 끼움부에 미리 조립하여 조작 손잡이와 연결해 두는 것으로, 캐스팅 컨트롤 기구와 나사 조작 구조를 릴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
〔릴 본체 및 나사 조작 구조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은, 주로, 핸들(10)을 구비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2)와, 로터(2)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낚싯줄을 감기 위한 스풀(spool)(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스풀(3)에는 낚싯줄을 감기 위한 베일(4)이, 베일(4)에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라인 롤러(5)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틀(1a)을 가지고 있고, 몸틀(1a)의 상부에는 스피닝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부(1b)가 형성되어 있다. 몸틀(1a)의 내부에는 로터(2)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7)와, 스풀(3)을 로터(2)의 회전 축심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스풀(3)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윈드 구동 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몸틀(1a)의 뒷부분에는, 리어 드래그 기구(9)가 내장되어 있다. 이 리어 드래그 기구(9)를 조작하기 위해서, 나사 조작 구조(6)가 몸틀(1a)의 뒷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10a)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부분은 로터(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스풀(3)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몸틀(1a)에 지지된 볼 베어링(1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12)의 중심부를 스풀축(14)이 회전 축심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접하여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내경과 스풀축(14)의 외경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間隙)이 확보되어 있다.
레벨 윈드 구동 기구(8)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0)에 의하여 핸들축(10a)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스풀축(14)을 전후 방향으로 운동시키는 기구이다. 레벨 윈드 구동 기구(8)는, 스풀축(14) 아래 안쪽에 배치된 구동축(15)과, 구동축(1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6)와, 구동축(15)의 아래쪽에 배치된 가이드축(17)과 구동축(15)의 선단(先端)에 고정되어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구동축(15)과 가이드축(17)과는 스풀축(14)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어 드래그 기구(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부시(bush)(18)와,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19a, 20a)로부터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마찰 계합부(19, 20)와, 제1 마찰 계합부(19)의 마찰 플레이트(19a)를 밀어 붙이는 용도의 코일 스프링(21)과, 제2 마찰 플레이트(20a)를 밀어 붙이는 용도의 압압 부 재(22)로 구성되어 있다. 부시(18)는, 스풀축(14) 뒷부분의 외주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부시(18)에 대해서, 스풀축은 회동 불가능하고, 또한, 접하여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부시(18) 뒷부분의 외주면상에는 제1 플랜지부(23)가, 부시(18) 앞부분의 외주면상에는 제2 플랜지부(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플랜지부(23, 24)에, 제1 및 제2 마찰 계합부(19, 20)의 마찰 플레이트(19a, 20a)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마찰 계합부(19)의 뒷부분에는 코일 스프링(21)이 장착되고, 제2 마찰 계합부(20)의 뒷부분에는 압압 부재(22)가 배치되어 있다.
나사 조작 구조(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몸틀(1a) 뒷부분에 배치되는 나사 끼움부(26)와, 제1 나사 부재(28)와, 제1 및 제2 조작 부재(31, 32)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끼움부(2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27)와, 수나사부(27)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부(33)를 가지고 있다. 나사 끼움부(26)의 수나사부(27)에는, 수나사부(27)의 중심축을 따라 돌출한 돌기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30)에는, 나사 끼움부(26)를 릴 본체(1)의 몸틀(1a)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 구멍(30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 부재(28)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끼움부(26)의 수나사부(27)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암나사부(34a)가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나사 부재(28)는 수나사부(27) 후방측에서 수나사부(27)에 나사로 감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나사 부재(28)의 외형은 통상부(33)의 외형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나사 부재(28)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38a)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부(33)는 제1 나사 부재(28)의 암나 사부(34a)의 내경보다 큰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 부재(31)는, 리어 드래그 기구(9)의 드래그력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조작 부재(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을 가진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통상부(33)를 수납 가능한 수납부(33a)를 가지고 있다. 제1 조작 부재(31)는, 나사 끼움부(26)의 수나사부(27)에 나사로 감합시킨 제1 나사 부재(28)에 장착시키고 있다. 수납부(33a)의 바닥부에는, 압압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부(40)는 제1 마찰 계합부(19)의 뒷부분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21)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조작 부재(31)의 원통 내주면 상에는, 오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2a)와, 제1 나사 부재(28)의 돌출부(38a)와는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42a)와 돌출부(38a)를 감합시킨 후, 오목부(42a)로부터 돌출부(38a)가 떨어지지 않도록, 오목부(42a)의 바닥부에는 규제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43a)는 오목부(42a)의 바닥부로부터 제1 나사 부재(28)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조작 부재(32)는 리어 드래그 기구(9)의 드래그력을 제1 조작 부재(31)보다 넓은 범위에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조작 부재(32)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조작 부재(32)의 내주면에는, 나사 끼움부(26)의 수나사부(27)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암나사부(3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암나사부(34b)를 제1 조작 부재(31)의 전방에서 나사 끼움부(26)의 수나사부(27)에 나사로 감합시키고 있다. 또한, 제2 조작 부재(32)의 외주면 상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레버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조작 부재(32)와 압압 부재(22)의 사이에는, 제2 조작 부재(32)의 동작을 압압 부재(22)에 전달하기 위해서, 압압 부재(22)를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계지하는 계지부(37)가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 및 나사 조작 구조의 동작〕
릴 본체(1)로부터의 방출 시에는, 베일(4)을 낚싯줄 개방측으로 눕힌다. 그리고, 낚싯대를 캐스팅하면, 스풀(3)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된다. 낚싯줄 감기 시에는, 베일(4)을 낚싯줄 감기측으로 되돌린다. 이 상태에서 핸들(10)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핸들축(10a) 및 마스터 기어(1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의 앞부분에 있어서 로터(2)를 회전시킨다. 한편,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 (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구동축(15)을 회전시킨다. 이 때, 구동축(15)의 나선 홈에 맞물리는 슬라이더(16)가 가이드축(17)으로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6)가 이동하면, 슬라이더(16)와 함께 스풀축(14)과 스풀(3)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러한 로터(2)의 회전과 스풀(3)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베일(4) 및 라인 롤러(5)로부터 안내되는 낚싯줄은 스풀(3)의 외주에 전후 방향으로 균일하게 감긴다.
리어 드래그 기구(9)는 제1 및 제2 조작 부재(31, 3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3)에 대한 드래그력의 강약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릴 본체(1) 뒷부분의 제1 조작 부재(31)를 단단히 조이면, 제1 조작 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된 압압부(4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압압부(40)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21)이 밀어 넣어 진다. 이렇게 하면, 제1 마찰 계합부(19)의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19a)면이 서로 근접하고, 부시(18)의 제1 플랜지부(23)가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19a)에 의하여 협지(挾持)된다. 이와 같이, 부시(18)의 제1 플랜지부 (23)가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부시(18)에 대해서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14)도 회전하기 어려워져, 스풀(3)에 작용하는 드래그력은 강해진다. 한편, 제1 조작 부재(31)를 느슨하게 하면, 압압부(40)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코일 스프링(21)이 밀어 넣어진 상태가 서서히 해제된다. 이렇게 하면, 마찰 플레이트(19a)에 의한 제1 플랜지부(23)의 압압이 해제되어, 부시(18)에 대해서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14)은 회전하기 쉬워지고, 스풀(3)에 작용하는 드래그력은 약해진다.
제2 조작 부재(32)를 단단히 조이면, 제2 조작 부재(32)와 압압 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된 계합부(37)를 통하여, 압압 부재(22)가 스풀축(1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압압 부재(22)의 이동에 의하여, 제2 마찰 계합부(20)의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20a)면이 서로 근접하고, 부시(18)의 제2 플랜지부(24)가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20a)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와 같이, 부시(18)의 제2 플랜지부(24)가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부시(18)에 대해서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14)은 회전하기 어려워져, 스풀(3)에 작용하는 드래그력은 강해진다. 한편, 제2 조작 부재(32)를 느슨하게 하면, 압압 부재(22)는 스풀축(1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 마찰 계합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되돌려진다. 이렇게 하면, 마찰 플레이트(20a)에 의한 제2 플랜지부(24)의 압압이 해제되어, 부시(18)에 대해서 회동 불가능한 스풀축(14)은 회전하기 쉬워지고, 스풀(3)에 작용하는 드래그력은 약해진다.
〔나사 조작 구조의 조립 순서〕
나사 조작 구조(6)를 조립할 때에는, 릴 본체(1)의 몸틀(1a)에 나사 끼움부(26)를 장착하기 전에, 우선, 제1 나사 부재(28)를 나사 끼움부(26)의 수나사부(27)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나사로 감합시켜 장착한다. 계속하여, 바닥을 가진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1 조작 부재(31)의 바닥부를 통상부(33)에 대향시키고, 제1 조작 부재(31)의 바닥부에 형성된 압압부(40)를 나사 끼움부(26) 내부에 삽입하면서, 제1 조작 부재(31)의 원통부를 제1 나사 부재(28)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제1 조작 부재(31)의 원통 내면 상에 형성된 오목부(42a)를 제1 나사 부재(28)에 설치된 돌출부(38a)에 맞추어 감합한다. 다음으로, 제2 조작 부재(32)를 나사 끼움부(26)의 수나사부(27)측으로부터 감합하여 넣고, 수나사부(27) 전방에서 나사로 감합시켜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 조작 부재(31, 32)가 장착된 나사 끼움부(26)를 릴 본체(1)의 몸틀(1a)에 장착하고, 나사 끼움부(26)에 설치된 돌기부(30)의 볼트 구멍(30a) 위치에서 볼트 고정한다.
이와 같이 조립할 수 있는 본 실시예의 나사 조작 구조(6)에서는, 제1 및 제2 조작 부재(31, 32)가 나사 끼움부(26)에 장착된 후에, 나사 끼움부(26)가 릴 본체(1)의 몸틀(1a)에 장착된다. 이것으로부터, 통상부(33)가 제1 나사 부재(28) 및 제2 조작 부재(32)의 암나사부(34a, 34b)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몸틀(1a)에 나사 끼움부(26)를 장착하기 전에, 제1 나사 부재(28) 및 제2 조작 부재(32)는 수나사부측으로부터 나사 끼움부(26)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나사 부재(28)의 외형이 통상부(33)의 외형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몸틀(1a)에 나사 끼움부(26)를 장착하기 전에서도 후에서도, 제1 조작 부재(31)는 통상부(33)측으로부터 제1 나사 부재(28)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제1 나사 부재(28)나 제1 및 제2 조작 부재(31, 32)가, 나사 끼움부(26)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해도, 나사 끼움부(26)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고려해 두는 것은, 리어 드래그 기구(9)가 분해되는 등의 불편을 방지하는 의미에서 중요하다. 본 실시예의 나사 조작 구조(6)에서는, 나사 끼움부(26)의 통상부(33)가 제1 나사 부재(28) 및 제2 조작 부재(32)의 암나사부(34a, 34b)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상부(33)에 의하여, 제1 나사 부재(28) 및 제2 조작 부재(32)의 이탈은 규제된다. 또한, 제1 조작 부재(31)의 오목부(42a)가 제1 나사 부재(28)의 돌출부(38a)에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제1 조작 부재(31)는 제1 나사 부재(28)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제1 나사 부재(28)의 이탈만 규제해 두면, 제1 나사 부재(28)에 장착된 제1 조작 부재(31)도 나사 끼움부(26)로부터 떨어지는 일은 없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나사 조작 구조(6)에서는, 리어 드래그 기구(9)의 기능은 그대로, 조작 손잡이 (제1 및 제2 조작 부재(31, 32)와 제1 나사 부재(28))를 나사 끼움부(26)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조작 손잡이가 나사 끼움부(26)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조작 부재(31)에 압압부(4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제1 조작 부재(31)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조작 부재(31)를 나사 끼움부(26)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것에서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부재(31)와 압압부(40)를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하고, 고정 볼트를 이용하여 양 부재(31, 40)를 고정해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나사 조작 구조(6)에 있어서, 제1 및 제2 조작 부재(31, 32)가 리어 드래그 기구(9)의 조작 손잡이가 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조작 부재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릴 본체의 기구를 조작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에서도 무방하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제3 나사 부재(63)와 제3 조작 부재(65)로, 양 베어링 릴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85)의 조작 손잡이(86)가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80)와, 릴 본체(8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81)과, 스풀(81)을 회전시키는 핸들(82)을 가지고 있다. 스풀(81)의 중심에는 스풀축(83)이 관통하고 있고, 스풀축(83)은 릴 본체(80)에 장착된 베어링(84a, 84b)에 의하여 릴 본체(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스풀축(83)을 양단에 배치된 마찰판(87, 88)에 의하여 협지하여 스풀(81)을 제동하는 것이 캐스팅 컨트롤 기구(85)이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85)는 릴 본체(80)에 나사로 끼워지고 또한 마찰판(88)이 장착된 조작 손잡이(86)에 의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나사 조작 구조는, 릴 본체(80)에 장착할 수 있는 나사 끼움부(62)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3 나사 부재(63)와, 바닥을 가진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3 조작 부재(65)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끼움부(62)는 수나사부(66)와, 수나사부(66)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부(67)를 가지고 있다. 제3 나사 부재(63)의 내주면에는 나사 끼움부(62)의 수나사부(66)에 나사로 감합 가능한 암나사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나사 부재(63)의 외주면 상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부(67)는 제3 나사 부재(63)의 암나사부(68)의 내경보다 큰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조작 부재(65)의 원통 내주면에는 오목부(71)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71)의 바닥부에는 규제부(4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43c)는 오목부(71)의 바닥부로부터 제3 나사 부재(63)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조작 부재(65)는 통상부(67)측으로부터 제3 나사 부재(63)의 돌출부(70)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양 베어링 릴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85)의 조작 손잡이(86)에 있어서도, 제3 나사 부재(63)는 나사 끼움부(62)의 수나사부(66)측으로부터 장착 할 수 있고, 통상부(67)에 의하여 이탈이 규제되므로,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3 조작 부재(31, 65)를 오목부(42a, 71)와 규제부(43a, 43c)에 의하여 제1 및 제3 나사 부재(28, 63)로 고정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제1 및 제3 조작 부재(31, 65)를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3 조작 부재(31, 65)는 제1 및 제3 나사 부재(28, 63) 로 압압하여 넣거나 접착하거나 하여 고정해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규제부(43a, 43c)의 돌기에 의하여, 제1 및 제3 조작 부재(31, 65)가 제1 및 제3 나사 부재(28, 63)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규제부(43a, 43c)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나사 끼움부가 릴 본체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나사 끼움부를 릴 본체에 장착하기 전에, 나사 부재나 조작 부재는 나사 끼움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끼움부를 릴 본체에 장착한 후는, 나사 끼움부의 통상부가 암나사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므로, 나사 부재나 조작 부재의 이탈을 통상부에 의하여 규제할 수 있다.

Claims (7)

  1.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장착되는 나사 조작 구조에 있어서,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상부(筒狀部)를 가지고, 상기 수나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통상부와는 역측의 부분이 상기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나사 끼움부와,
    상기 릴 본체와 상기 나사 끼움부의 통상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로 감합(嵌合) 가능한 암나사부를 내주면(內周面)에 가지고, 상기 수나사부에 장착 가능한 원통 모양의 나사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 끼움부의 상기 통상부는 상기 나사 부재의 상기 암나사부의 내경(內徑)보다 큰 직경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의 외주면(外周面)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을 가진 원통 모양의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의 외경(外徑)은, 상기 통상부의 외경보다 큰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와의 장착면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계합(係合)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계합한 상태로 상기 나사 부재와 함께 회동(回動)하는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레버부를 가지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끼움부는 스피닝 릴의 상기 릴 본체의 뒷부분에 돌출하여 장착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스피닝 릴의 리어 드래그 기구의 조작 손잡이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끼움부는 양 베어링 릴의 상기 릴 본체의 측방부에 돌출하여 장착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양 베어링 릴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 손잡이인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KR1020030080993A 2002-11-21 2003-11-17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KR100987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8463A JP4015931B2 (ja) 2002-11-21 2002-11-21 釣用リールのねじ操作構造
JPJP-P-2002-00338463 2002-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345A KR20040044345A (ko) 2004-05-28
KR100987100B1 true KR100987100B1 (ko) 2010-10-11

Family

ID=3221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993A KR100987100B1 (ko) 2002-11-21 2003-11-17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83905B2 (ko)
EP (1) EP1421847B1 (ko)
JP (1) JP4015931B2 (ko)
KR (1) KR100987100B1 (ko)
CN (1) CN100376151C (ko)
AT (1) ATE303059T1 (ko)
DE (1) DE60301472T2 (ko)
MY (1) MY127789A (ko)
SG (1) SG121810A1 (ko)
TW (1) TWI2975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7991B1 (en) * 2017-01-04 2017-11-07 Okuma Fishing Tackle Co., Ltd. Brake mechanism of fishing reel
US10426151B2 (en) * 2017-04-18 2019-10-01 Pure Fishing, Inc. Drag adjustment assembly for a star drag reel
JP6886344B2 (ja) * 2017-05-17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862U (ja) 1983-12-05 1985-06-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S60168375U (ja) 1984-04-18 1985-11-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2001157535A (ja) 1999-11-30 2001-06-1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7470U (ja) 1983-02-16 1984-08-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S60168375A (ja) 1984-02-10 1985-08-31 Mitsubishi Acetate Co Ltd 清酒のおり下げ剤
US4930722A (en) * 1987-03-24 1990-06-05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Drag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US4901944A (en) 1987-11-24 1990-02-20 Ryobi, Ltd. Fishing reel having a spool shaft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US4988057A (en) 1989-02-10 1991-01-29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Drag device for a spinning reel
JP2557651Y2 (ja) * 1990-11-07 1997-12-1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構造
SE9300785L (sv) * 1993-03-10 1994-07-11 Berne Bringsen Flugfiskerulle
US5556049A (en) * 1994-06-07 1996-09-17 Dickson Product Development, Inc. Anti-reverse fishing reel with drag control and replaceable spool
JP3033414U (ja) * 1996-07-10 1997-0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US5857632A (en) * 1996-09-11 1999-01-12 Flylogic, Inc. Casting fishing reel with torque converter and clutch
JP3831168B2 (ja) * 2000-01-19 2006-10-11 株式会社シマノ 魚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座金及びそれを用いた魚釣り用リール
US6726137B1 (en) * 2002-01-16 2004-04-27 Shakespeare Company Spincast fishing reel having novel drag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862U (ja) 1983-12-05 1985-06-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S60168375U (ja) 1984-04-18 1985-11-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2001157535A (ja) 1999-11-30 2001-06-1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7591B (en) 2008-06-11
DE60301472D1 (de) 2005-10-06
US20040113005A1 (en) 2004-06-17
JP4015931B2 (ja) 2007-11-28
CN100376151C (zh) 2008-03-26
KR20040044345A (ko) 2004-05-28
US6983905B2 (en) 2006-01-10
JP2004166643A (ja) 2004-06-17
MY127789A (en) 2006-12-29
CN1502233A (zh) 2004-06-09
DE60301472T2 (de) 2006-06-14
SG121810A1 (en) 2006-05-26
ATE303059T1 (de) 2005-09-15
TW200409593A (en) 2004-06-16
EP1421847A1 (en) 2004-05-26
EP1421847B1 (en)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4819B2 (ja)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JP2009273378A5 (ko)
KR101010970B1 (ko)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KR100809444B1 (ko) 플라이 릴
JPH0236212B2 (ko)
KR101031524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KR100987100B1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US6199782B1 (en) Double bearing type fishing reel
JPH0810281Y2 (ja) 両軸受リール
KR20190000782A (ko) 듀얼 베어링 릴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KR100987115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구조
JP4875587B2 (ja) 魚釣用リール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5204631B2 (ja) 魚釣用リール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3970170B2 (ja) 釣用リールのねじ操作構造
JP4272489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966744B2 (ja) 魚釣用リール
JP4903181B2 (ja) 魚釣用リール
JP360410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506610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9065858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