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782A - 듀얼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782A
KR20190000782A KR1020180043792A KR20180043792A KR20190000782A KR 20190000782 A KR20190000782 A KR 20190000782A KR 1020180043792 A KR1020180043792 A KR 1020180043792A KR 20180043792 A KR20180043792 A KR 20180043792A KR 20190000782 A KR20190000782 A KR 20190000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portion
engaging
operation lever
peripheral surf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582B1 (ko
Inventor
구니오 다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27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696512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0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6Manual press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보다 용이하게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조정 부재(6)는 플랜지부(64)를 구비하고, 제동 기구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너트 부재(8)는 조정 부재(6)에 나사결합한다. 조작 레버(7)는 관통공(73)을 갖는다. 조작 레버(7)는, 플랜지부(64)와 너트 부재(8) 사이에서 협지됨으로써 조정 부재(6)에 장착된다. 조작 레버(7)의 관통공(73)은, 단축 및 장축을 갖는다. 조정 부재(6)의 위치 결정 부재(9)는 걸어맞춤 오목부(92)를 구비한다. 조작 레버(7)는, 걸어맞춤 오목부(92)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볼록부(72)를 구비한다. 걸어맞춤 볼록부(72) 및 걸어맞춤 오목부(92)는, 조작 레버(7)를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 상태와 걸어맞춤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 베어링 릴은 캐스팅 컨트롤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스풀의 회전을 조정하는 기구다. 예를 들면,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스풀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스풀축에 마찰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클러치 오프 상태 시의 스풀 회전을 조정한다. 이로써, 줄을 풀어낼 때의 스풀의 회전 속도를 억제하여,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은,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작 레버가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를 주위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스풀축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도 15에는, 릴 본체에 장착된 조정 부재에 의해 스풀축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고, 이 조정 부재에 조작 레버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조정 부재에 대하여 조작 레버를 장착하고, 너트 부재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조작 레버를 조정 부재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너트 부재를 느슨하게 하여, 조작 레버를 조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조정 부재에 대한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9-27586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6-220547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은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조정 부재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에, 조작 레버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조정 부재에 대한 조작 레버의 상대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때, 걸어맞춤 볼록부를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빼기 위해 조작 레버를 축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조작 레버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너트 부재를 충분히 느슨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용이하게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용이하게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제1 릴 본체부와, 제2 릴 본체부와, 스풀과, 제동 기구와, 조정 부재와, 고정 부재와, 조작 레버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릴 본체부와 제2 릴 본체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스풀은 제1 릴 본체부와 제2 릴 본체부 사이에 배치된다. 제동 기구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통형(筒形)의 조정 부재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는다. 또한, 조정 부재는 제1 릴 본체부에 장착되고, 제동 기구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부재는 조정 부재에 나사결합한다. 조작 레버는 조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다. 또한, 조작 레버는 플랜지부와 고정 부재 사이에서 협지(interpose)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정 부재에 장착된다. 조작 레버의 관통공은, 단축 및 장축을 갖는다. 조정 부재 및 조작 레버의 한쪽은,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반경 방향으로 개구되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갖는다. 조정 부재 및 조작 레버의 다른 쪽은, 걸어맞춤 오목부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는 걸어맞춤 볼록부를 갖는다. 걸어맞춤 볼록부 및 걸어맞춤 오목부는, 조작 레버를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 상태와 걸어맞춤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관통공은 장축과 단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오목부는 반경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조작 레버를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고정 부재를 느슨하게 하는 것만으로 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부재 및 조작 레버의 한쪽은, 본체 부재와, 본체 부재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갖는다. 그리고, 걸어맞춤 오목부는 위치 결정 부재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조정 부재가 본체 부재 및 위치 결정 부재를 갖는다. 그리고, 걸어맞춤 오목부는 위치 결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걸어맞춤 오목부는 조정 부재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걸어맞춤 오목부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이다.
바람직하게는, 걸어맞춤 볼록부는 조작 레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걸어맞춤 볼록부는 관통공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의 외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걸어맞춤 볼록부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부재는 외주면에 나사부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 부재는 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너트 부재다.
바람직하게는, 듀얼 베어링 릴은 규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규제 수단은 조작 레버의 장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조작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조작 레버는 장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이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규제 수단은 조작 레버의 장축 방향의 이동을 해제 가능하게 규제하고 있다. 고정 부재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규제 수단에 의한 조작 레버의 축 방향 이동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고정 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원통부를 갖는다. 고정 부재는 조작 레버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원통부를 갖는다. 규제 수단은 제1 원통부 및 제2 원통부로 구성된다. 제2 원통부의 내주면은 제1 원통부의 외주면에 맞닿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원통부와 제2 원통부의 맞닿음에 의해, 조작 레버가 장축 방향의 이동으로부터 규제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고정 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원통부를 갖는다. 규제 수단은 상기 제1 원통부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원통부의 내주면은,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원통부의 내주면과 고정 부재의 외주면의 맞닿음에 의해, 조작 레버가 장축 방향의 이동으로부터 규제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는 제1 원통부와 제2 원통부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제2 원통부는 조작 레버 측으로 돌출된다. 규제 수단은 제2 원통부에 의해서도 구성된다. 제1 원통부의 내주면은, 제2 원통부의 외주면에 맞닿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원통부의 내주면과 제2 원통부의 외주면의 맞닿음에 의해, 조작 레버가 장축 방향의 이동으로부터 규제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플랜지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원통부를 갖는다. 규제 수단은 제1 원통부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원통부의 내주면은,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맞닿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원통부의 내주면과 플랜지부의 외주면의 맞닿음에 의해, 조작 레버가 장축 방향의 이동으로부터 규제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용이하게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듀얼 베어링 릴의 배면도이다.
도 2은, 듀얼 베어링 릴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듀얼 베어링 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조작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관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규제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11은, 규제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규제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규제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축 방향이란 스풀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반경 방향이란 스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의 반경 방향을 나타내고, 주위 방향이란 스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의 주위 방향을 나타낸다.
[듀얼 베어링 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듀얼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2), 스풀(3), 스풀축(4), 제동 기구(5), 조정 부재(6), 조작 레버(7) 및 너트 부재(8)를 포함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2)는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를 가지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복수의 연결부(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릴 본체부(21)는 제1 측판(21a) 및 제1 커버(21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수용 공간 내에 회전 전달 기구(11) 등이 수용되어 있다. 제2 릴 본체부(22)는 제2 측판(22a) 및 제2 커버(22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측판(21a)과 제2 측판(22a)은, 연결부(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측판(21a)과 제2 측판(22a)과 연결부(2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릴 본체(2)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는 제1 보스부(24) 및 제2 보스부(25)를 더 구비한다. 제1 보스부(24)와 제2 보스부(25)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보스부(24) 및 제2 보스부(25)는 원통형으로서,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보스부(24) 및 제2 보스부(25)는 제1 커버(21b)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보스부(24)의 외주면에는 나사부(241)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조정 부재(6)가 상기 제1 보스부(24)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조정 부재(6)가 제1 보스부(24)에 나사결합된다. 제2 보스부(25)는 제1 보스부(24)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보스부(25)는 제1 보스부(24)에 장착된 조정 부재(6)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보스부(24) 및 제2 보스부(25)는, 제1 릴 본체부(21)의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連通)하고 있다. 제1 보스부(24) 내에 있어서, 스풀축(4)의 한쪽의 단부(端部)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보스부(25) 내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26)를 통하여 구동축(11a)이 줄의 권취(winding)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
스풀(3)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풀(3)은 대략 원통형으로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3)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3)은 스풀축(4)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
스풀축(4)은 스풀(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풀축(4)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축(4)은 제1 베어링 부재 및 제2 베어링 부재(12a, 12b)를 통하여, 제1 릴 본체부(21) 및 제2 릴 본체부(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
핸들(10)은 스풀축(4)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제1 릴 본체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10)이 회전하면, 회전 전달 기구(11)를 통하여 스풀축(4)이 회전한다.
[회전 전달 기구]
회전 전달 기구(11)는 핸들(10)의 회전을 스풀축(4)에 전달하는 기구다. 회전 전달 기구(11)는 구동축(11a), 구동 기어(11b), 피니언 기어(11c) 및 클러치 기구(11d)를 구비한다. 구동축(11a)은 핸들(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11b)는 구동축(11a)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1c)는 구동 기어(11b)와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11c)는 통형으로서, 스풀축(4)이 피니언 기어(11c) 내를 관통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11d)는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을 스풀축(4)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11d)는, 스풀(3)을 자유 회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오프 상태와, 스풀(3)을 줄 권취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온 상태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기구(11d)는 걸어맞춤 핀(11e)과 걸어맞춤 오목부(11f)에 의해 구성된다. 걸어맞춤 핀(11e)은 스풀축(4)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11f)는 피니언 기어(11c)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다.
클러치 기구(11d)가 클러치 온 상태로 되었을 때, 걸어맞춤 핀(11e)이 걸어맞춤 오목부(11f)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결과,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이 스풀축(4)에 전달되고, 스풀(3)이 줄을 감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클러치 기구(11d)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되었을 때, 피니언 기어(11c)가 걸어맞춤 핀(11e)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걸어맞춤 핀(11e)과 걸어맞춤 오목부(11f)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결과,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이 스풀축(4)에 전달되지 않고, 스풀(3)은 자유 회전 가능해진다.
[제동 기구]
제동 기구(5)는 스풀(3)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풀축(4)이 스풀(3)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동 기구(5)는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함으로써, 스풀(3)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동 기구(5)는, 스풀축(4)의 줄 송출(releasing)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기구(5)는 원웨이 클러치(51), 제1 마찰 플레이트(52)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구비하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51)는 스풀축(4)에 장착된다. 원웨이 클러치(51)는 외륜(51a) 및 복수의 전동체(51b)를 구비하고 있다. 외륜(51a)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외륜(51a)은 제1 보스부(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외륜(51a)은 제1 보스부(24)의 내주면과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외륜(51a)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마찰 플레이트(52)와 제2 마찰 플레이트(53)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즉, 제1 마찰 플레이트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 53)에 의해, 외륜(51a)의 회전이 제동되고 있다.
전동체(51b)는 스풀축(4)과 외륜(5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체(51b)는 스풀축(4)의 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외륜(51a)에 전달한다. 한편, 전동체(51b)는 스풀축(4)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을 외륜(51a)에 전달하지 않는다.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원웨이 클러치(51)의 외륜(51a)과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환형(環形)의 플레이트로서, 외륜(51a)과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외륜(51a)과 접촉하는 한편, 전동체(51b)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예를 들면 카본클로스(carbon cloth)제이다.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는, 제1 마찰 플레이트(52)를 통하여 외륜(51a)을 축 방향으로 압압(押壓)하고 있다.
제2 마찰 플레이트(53)는 환형으로서, 원웨이 클러치(51)의 외륜(51a)과 접촉하고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52)와 제2 마찰 플레이트(53)에 의해 외륜(51a)을 협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마찰 플레이트(53)는 전동체(51b)와 접촉하지 않는다.
[가압 부재]
가압 부재(14)는 원웨이 클러치(51)의 외륜(51a)을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를 향하여 가압한다. 즉, 가압 부재(14)는, 외륜(51a)이 제1 마찰 플레이트(5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외륜(51a)을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14)는,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통하여 외륜(51a)을 가압하고 있다.
가압 부재(14)는 축 방향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5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압 부재(14)는 제1 베어링 부재(12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 베어링 부재(12a)는 제1 보스부(2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242)에 의해, 원웨이 클러치(5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가압 부재(14)는 예를 들면 접시 스프링이다. 가압 부재(14)의 외주부가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통하여 원웨이 클러치(51)의 외륜(51a)을 가압한다. 또한, 가압 부재(14)의 내주부가 제1 베어링 부재(12a)의 내륜에 지지되어 있다. 가압 부재(14)가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라도, 스풀축(4)의 단면(端面)(4a)은, 조정 부재(6)의 바닥면(61a)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조정 부재]
조정 부재(6)는 제1 릴 본체부(21)의 제1 보스부(24)에 장착되어 있다. 조정 부재(6)는 원통형이다. 상세하게는, 조정 부재(6)는 원판부(61)과, 원판부(61)의 외주 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부(6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조정 부재(6)는 나사부(63) 및 플랜지부(64)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부(63)는 통형부(6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64)는 통형부(62)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조정 부재(6)는 통형부(6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65)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사부(65)는 릴 본체(2)의 제1 보스부(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4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6)는 축 주위로 회전하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정 부재(6)는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 부재(6)는 제동 기구(5)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축(4)이 줄의 송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풀축(4)과 외륜(51a)은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6)는 외륜(51a)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함으로써,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부재(6)를 회전시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정 부재(6)가 외륜(51a)을 압압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륜(51a)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 부재(6)는 제1 마찰 플레이트(52)를 통하여 외륜(51a)을 압압한다.
조정 부재(6)의 내주면과 제1 보스부(24)의 외주면 사이에 실링 부재(6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링 부재(66)에 의해, 릴 본체(2)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부재(66)에 의해, 조정 부재(6)가 낚시꾼의 뜻에 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조정 부재(6)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부재(6)는 본체 부재(60)와 위치 결정 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부재(60)와 위치 결정 부재(9)는, 서로 다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부재(60)는 전술한 원판부(61) 및 통형부(6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부재(9)는 본체 부재(6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위치 결정 부재(9)는 원통형이다. 위치 결정 부재(9)의 내경은, 조정 부재(6)의 통형부(62)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다.
위치 결정 부재(9)는 그 내주면에 형성된 키(91)를 가지고 있다. 상기 키(91)가 본체 부재(60)의 통형부(62)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 홈(621)과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 결과, 위치 결정 부재(9)는 본체 부재(6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위치 결정 부재(9)는 본체 부재(6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위치 결정 부재(9)는 본체 부재(60)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9)는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92)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걸어맞춤 오목부(92)는 위치 결정 부재(9)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걸어맞춤 오목부(92)는 반경 방향의 외측에 개구되어 있다. 각각의 걸어맞춤 오목부(92)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 오목부(92)는 정면에서 볼 때,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92) 중 어느 하나의 걸어맞춤 오목부(92)와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오목부(92)의 내벽면은, 걸어맞춤 볼록부(72)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너트 부재]
너트 부재(8)(고정 부재의 하나의 예)는 조정 부재(6)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너트 부재(8)는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조정 부재(6)의 나사부(63)와 나사결합한다. 너트 부재(8)는 조정 부재(6)의 플랜지부(64)와의 사이에서 조작 레버(7)를 협지하는 것에 의해, 조작 레버(7)를 조정 부재(6)에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너트 부재(8)는 위치 결정 부재(9)도 조정 부재(6)에 고정하고 있다. 즉, 너트 부재(8)와 플랜지부(64) 사이에서, 조작 레버(7) 및 위치 결정 부재(9)가 협지되어 있다.
너트 부재(8)는 조작 레버(7)와 제1 릴 본체부(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너트 부재(8)는 위치 결정 부재(9)와 제1 릴 본체부(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릴 본체부(21) 측으로부터 너트 부재(8), 위치 결정 부재(9), 조작 레버(7), 조정 부재(6)의 플랜지부(64)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조작 레버]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의 플랜지부(64)와 너트 부재(8)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조정 부재(6)에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7)는 주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 레버(7)를 요동시킴으로써, 조정 부재(6)가 스풀축(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조작 레버(7)는 조작 레버 본체부(71)와, 한 쌍의 걸어맞춤 볼록부(72)와, 관통공(73)을 가지고 있다.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조정 부재(6)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제2 릴 본체부(2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선단부가 제1 릴 본체부(21)를 향하도록,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선단부는 조정 부재(6)로부터 먼 쪽의 단부이고,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기단부(基端部)는 조정 부재(6)에 가까운 쪽의 단부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73)은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기단부 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73) 내를 조정 부재(6)의 통형부(62)가 관통하고 있다. 관통공(73)은 단축과 장축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공(73)은 정면에서 볼 때, 트랙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등의 오벌(oval) 형상이다. 관통공(73)의 장축은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길이 방향(도 5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다. 또한, 관통공(73)의 단축은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폭 방향(도 5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다.
관통공(73)의 단축 길이 d1은, 조정 부재(6)의 통형부(62)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다. 관통공(73)의 장축 길이 d2는, 조정 부재(6)의 통형부(62)의 외경보다 크다. 이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73)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73)의 내벽면과 통형부(62)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 S가 형성되어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간극 S의 길이는 걸어맞춤 오목부(92)의 깊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조작 레버 본체부(71)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축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 부재(9)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원기둥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위치 결정 부재(9)의 걸어맞춤 오목부(92)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72)는 관통공(73)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7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듀얼 베어링 릴의 동작]
다음에, 듀얼 베어링 릴(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낚싯줄을 스풀(3)로부터 풀어내는 캐스팅 시에는, 스풀축(4)은 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풀축(4)의 줄 송출 방향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51)의 전동체(51b)를 통하여 외륜(51a)에 전달되고, 외륜(51a)이 회전한다. 외륜(51a)은 제1 마찰 플레이트(52)를 통하여, 조정 부재(6)에 의해 압압되고 있다. 즉, 외륜(51a)은 제동 기구(5)에 의해 제동되고 있으므로, 외륜(51a)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스풀축(4)의 회전 속도가 억제된다. 스풀축(4)과 스풀(3)은 연동하고 있으므로, 줄 송출 시의 스풀(3)의 회전 속도도 억제되어, 백래시가 방지된다.
조작 레버(7)를 주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조정 부재(6)가 회전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동 기구(5)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7)를 주위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스풀축(4)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7)는 예를 들면, 제2 릴 본체부(22)를 유지한 손에 의해 조작되어도 된다.
낚싯줄을 권취할 때, 스풀축(4)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동체(51b)는 상기 스풀축(4)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을 외륜(51a)에 전달하지 않는다. 즉, 스풀축(4)과 외륜(51a)은 연동하지 않고, 제동 기구(5)에 의한 제동력이 스풀축(4)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줄 권취 시에는, 제동 기구(5)에 의한 회전 저항이 스풀축(4)에 생기지 않아, 스풀축(4)은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다.
조작 레버(7)의 장착 각도를 변경할 때는, 먼저 너트 부재(8)를 회전시켜 느슨하게 한다. 여기에서, 걸어맞춤 볼록부(72)의 축 방향의 길이만큼 조작 레버(7)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너트 부재(8)를 느슨하게 할 필요는 없다. 너트 부재(8)는, 조작 레버(7)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느슨하게 하는 것만으로 된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볼록부(72)가 걸어맞춤 오목부(92)로부터 빠져나가도록, 조작 레버(7)를 관통공(73)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7)를 관통공(73)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 볼록부(72) 및 걸어맞춤 오목부(92)를 걸어맞춤 해제 상태로 한다. 상기 걸어맞춤 해제 상태에서는 걸어맞춤 볼록부(72)와 걸어맞춤 오목부(92)는 서로 걸어맞추어져 있지 않으므로,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조작 레버(7)가 원하는 장착 각도로 되도록 조작 레버(7)를 조정 부재(6)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볼록부(72)가 걸어맞춤 오목부(92)와 걸어맞추어지도록, 조작 레버(7)를 관통공(73)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7)를 관통공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 볼록부(72) 및 걸어맞춤 오목부(92)를 걸어맞춤 상태로 한다. 그리고,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걸어맞춤 볼록부(72)와 걸어맞춤 오목부(92)가 서로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볼록부(72)와 걸어맞춤 오목부(92)는, 조작 레버(7)를 관통공(73)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 상태와 걸어맞춤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72)가 걸어맞춤 오목부(92)와 걸어맞추어진 후, 너트 부재(8)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조작 레버(7)를 플랜지부(64)와 너트 부재(8)에 의해 협지하고, 조작 레버(7)를 조정 부재(6)에 고정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동 기구(5)는 원웨이 클러치(51), 제1 마찰 플레이트(52)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3)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제동 기구(5)는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기구(5)는 제1 마찰 플레이트(52)로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원웨이 클러치(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스풀축(4)의 단면(4a)과 접촉하고, 스풀축(4)의 회전을 직접 제동한다.
또한, 제동 기구(5),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원웨이 클러치(51), 제1 마찰 플레이트(52)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원판부(61)는 스풀축(4)의 단면(4a)과 접촉하고, 스풀축(4)의 회전을 직접 제동한다.
변형예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정 부재(6)는 위치 결정 부재(9)를 구비하고 있지만, 상기 위치 결정 부재(9)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부재(6)의 본체 부재(60)가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92)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각각의 걸어맞춤 오목부(92)는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7)의 걸어맞춤 볼록부(72)가, 조정 부재(6)의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92) 중 어느 하나와 걸어맞추어진다. 상기 각각의 걸어맞춤 오목부(92)는 예를 들면, 조정 부재(6)의 플랜지부(6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축 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 본체부(71)로부터 플랜지부(64)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너트 부재(8)와 조작 레버(7) 사이에 와셔(13)를 배치해도 된다. 상기 와셔(13)는 예를 들면, 수지제로 할 수 있다.
변형예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릴 본체부(21) 측으로부터 너트 부재(8), 조작 레버(7), 플랜지부(64)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각 부재의 위치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릴 본체부(21) 측으로부터, 플랜지부(64), 조작 레버(7), 너트 부재(8)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정 부재(6)가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92)를 구비하고고, 조작 레버(7)가 걸어맞춤 볼록부(72)를 구비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정 부재(6)가 걸어맞춤 볼록부를 구비하고, 조작 레버(7)가 걸어맞춤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 레버(7)의 관통공(73)의 내벽면에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조정 부재(6)가 걸어맞춤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변형예 5
듀얼 베어링 릴(100)은 규제 수단(15)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규제 수단(15)은 조작 레버(7)의 장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수단(15)은 제1 원통부(74)와 제2 원통부(82)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1 원통부(74)는 조작 레버(7)의 일부다. 즉, 조작 레버(7)는 제1 원통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원통부(74)는 관통공(73)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원통부(74)는 조작 레버 본체부(71)로부터 너트 부재(8)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원통부(74)는 걸어맞춤 볼록부(72)와는 반대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원통부(82)는 너트 부재(8)의 일부다. 즉, 너트 부재(8)는 본체부(81)와 제2 원통부(82)를 구비한다. 제2 원통부(82)는 본체부(81)로부터 조작 레버(7)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원통부(82)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제1 원통부(7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원통부(82)의 내주면은 제1 원통부(74)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다. 이 맞닿음에 의해, 조작 레버(7)는 장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 볼록부(72)와 걸어맞춤 오목부(92)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조작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조작 레버(7)는 장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걸어맞춤 볼록부(72)와 걸어맞춤 오목부(92)의 걸어맞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 부재(8)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원통부(74)와 제2 원통부(82)의 맞닿음이 해제되고, 규제 수단에 의한 조작 레버(7)의 장축 방향으로의 이동 규제가 해제된다.
변형예 6
상기 변형예 5에서는, 제2 원통부(82)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제1 원통부(7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1 원통부(74)와 제2 원통부(82)의 위치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원통부(82)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제1 원통부(7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원통부(82)의 외주면은, 제1 원통부(74)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제2 원통부(82)를 생략하고, 제1 원통부(74)의 내주면을 너트 부재(8)의 외주면에 맞닿게 해도 된다.
변형예 7
상기 변형예 5에서는, 제1 원통부(74)는 너트 부재(8) 측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원통부(74)는 플랜지부(64) 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원통부(74)의 내주면은 플랜지부(64)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다.
21 : 제1 릴 본체부
22 : 제2 릴 본체부
3 : 스풀
5 : 제동 기구
6 : 조정 부재
64 : 플랜지부
7 : 조작 레버
72 : 걸어맞춤 볼록부
73 : 관통공
8 : 너트 부재(고정 부재)
9 : 위치 결정 부재
92 : 걸어맞춤 오목부

Claims (14)

  1. 제1 릴 본체부;
    상기 제1 릴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릴 본체부;
    상기 제1 릴 본체부와 상기 제2 릴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풀;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기구;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릴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동 기구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하는 통형의 조정 부재;
    상기 조정 부재에 나사결합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조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서 협지(interpose)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정 부재에 장착되는 조작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단축 및 장축을 가지고,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작 레버의 한쪽은,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반경 방향으로 개구되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작 레버의 다른 쪽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는 걸어맞춤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 및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는,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 상태와 걸어맞춤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작 레버의 한쪽은,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 및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는 상기 조정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인, 듀얼 베어링 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는 상기 조작 레버에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는 상기 관통공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는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듀얼 베어링 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외주면에 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너트 부재인, 듀얼 베어링 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장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 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2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1 원통부의 외주면에 맞닿는, 듀얼 베어링 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 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제1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는, 듀얼 베어링 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제2 원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2 원통부의 외주면에 맞닿는, 듀얼 베어링 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제1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맞닿는, 듀얼 베어링 릴.
KR1020180043792A 2017-06-23 2018-04-16 듀얼 베어링 릴 KR102491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3506 2017-06-23
JPJP-P-2017-123506 2017-06-23
JP2017227995A JP6965124B2 (ja) 2017-06-23 2017-11-28 両軸受リール
JPJP-P-2017-227995 201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82A true KR20190000782A (ko) 2019-01-03
KR102491582B1 KR102491582B1 (ko) 2023-01-20

Family

ID=6469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92A KR102491582B1 (ko) 2017-06-23 2018-04-16 듀얼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02730B2 (ko)
KR (1) KR102491582B1 (ko)
CN (1) CN109105345B (ko)
TW (1) TWI7555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9654B2 (ja) * 2017-06-05 2021-02-1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JP7262167B2 (ja) * 2017-11-22 2023-04-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290557B2 (ja) * 2019-11-29 2023-06-13 株式会社マキタ レバー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469U (ja) * 1983-12-23 1985-07-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ドラグ調節機構
JPH0182767U (ko) * 1987-11-24 1989-06-01
JPH09275861A (ja) 1996-04-19 1997-10-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0262194A (ja) * 1999-03-19 2000-09-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16220547A (ja)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986A (en) * 1994-09-08 1999-03-02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fishline releasing characteristic
JP3469062B2 (ja) * 1997-03-26 2003-11-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SG80003A1 (en) * 1997-12-10 2001-04-17 Shimano Kk Mechanical assembly with incompatible metallic materials
JP2000316438A (ja) * 1999-05-13 2000-11-2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3079292A (ja) * 2001-09-10 2003-03-1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20030168540A1 (en) * 2002-03-08 2003-09-11 Alme Kenneth John Split guide device for double bearing fishing reel
SE0300372L (sv) * 2003-02-12 2003-11-25 Pure Fishing Inc Fiskerulle av multiplikatortyp
JP4863891B2 (ja) * 2007-01-23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122273B2 (ja) * 2007-12-28 2013-01-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961364B2 (ja) * 2011-11-18 2016-08-0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両軸受リール
JP6177550B2 (ja) * 2013-03-15 2017-08-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267937B2 (ja) * 2013-11-0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6351433B2 (ja) * 2014-08-08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および魚釣用リール
JP6560903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59036B2 (ja) * 2015-10-06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649801B2 (ja) * 2016-02-26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22081B2 (ja) * 2016-09-08 2022-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86344B2 (ja) * 2017-05-17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29654B2 (ja) * 2017-06-05 2021-02-1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469U (ja) * 1983-12-23 1985-07-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ドラグ調節機構
JPH0182767U (ko) * 1987-11-24 1989-06-01
JPH09275861A (ja) 1996-04-19 1997-10-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0262194A (ja) * 1999-03-19 2000-09-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16220547A (ja)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8378A1 (en) 2018-12-27
TWI755516B (zh) 2022-02-21
KR102491582B1 (ko) 2023-01-20
CN109105345A (zh) 2019-01-01
CN109105345B (zh) 2021-11-09
TW201904427A (zh) 2019-02-01
US10602730B2 (en)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9699B2 (ja) 両軸受リール
US9901084B2 (en) Dual-bearing reel
JP7142133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JP2016220548A (ja) 両軸受リール
KR20190000782A (ko) 듀얼 베어링 릴
KR102489975B1 (ko) 낚시용 릴
JP6965124B2 (ja) 両軸受リール
KR20160140345A (ko) 양 베어링 릴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6775059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JP6971612B2 (ja) 両軸受リール
JP6739581B2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