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756A -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756A
KR20090113756A KR1020090017836A KR20090017836A KR20090113756A KR 20090113756 A KR20090113756 A KR 20090113756A KR 1020090017836 A KR1020090017836 A KR 1020090017836A KR 20090017836 A KR20090017836 A KR 20090017836A KR 20090113756 A KR20090113756 A KR 2009011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shing reel
reel
annular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151B1 (ko
Inventor
켄타로 하야시
케이고 키타지마
히로카즈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9011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핸들 손잡이의 매끄러운 회전을 유지하면서, 핸들 손잡이의 마모를 억제한다.
[해결 수단] 핸들 손잡이(23)는, 손잡이 축(22)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筒狀部, 31)와, 통상부(31)의 외주(外周) 측을 덮도록 접착 고정된 코르크제의 손잡이부(32)와, 손잡이부(32)의 선단부(先端部)의 개구(開口)를 폐색하기 위한 캡 부재(33)와, 통상부(31)의 기단부(基端部)에 외측면(外側面)이 노출하도록 장착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環狀部, 34)를 가지고 있다.
낚시용 릴, 핸들 손잡이, 통상부, 환상부, 홈부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HANDLE KNOB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핸들 손잡이, 특히, 낚시용 릴의 핸들 암의 선단(先端)에 고정된 손잡이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이나, 양 베어링 릴 등의 낚시용 릴의 핸들 축의 선단에는, 핸들 조립체가 고정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는, 핸들 축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암과, 핸들 암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손잡이 축과, 손잡이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핸들 손잡이는, 손잡이 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통상부(筒狀部)와, 통상부의 외주(外周)를 덮도록 설치된 북 형상의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는, 손잡이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손잡이 축의 선단부에 나사 멈춤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핸들 손잡이에서는, 손잡이부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의 합성 수지나 코르크 등을 가공하여 통상부의 외주부 전체에 걸쳐 접착 고정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98991호
상기 종래의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는, 합성 수지나 코르크 등에 의하여 형성된 손잡이부가 통상부의 외주부 전체에 걸쳐 접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 전체가 외관에 노출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그러나, 손잡이부 전체가 외관에 노출하고 있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특히, 손잡이부의 기단부(基端部)는, 핸들 암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 세월 사용에 의하여 덜걱거림이 생기면, 손잡이부의 기단부가 핸들 암에 접촉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의 기단부가 핸들 암에 접촉하면, 손잡이부가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잡이부와 핸들 암의 접촉 마찰에 의하여 핸들 손잡이의 매끄러운 회전을 저해하거나 혹은, 손잡이부가 코르크 등의 천연 소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손잡이부 자체가 마모하여 파단(破斷)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핸들 손잡이의 매끄러운 회전을 유지하면서, 핸들 손잡이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는, 낚시용 릴의 핸들 암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손잡이이고, 손잡이 축의 외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와, 통상부의 기단부에 외측면(外側面)이 노출하도록 장착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금속제의 환상 부(環狀部)와, 통상부의 선단부로부터 환상부의 선단부로 향하여 통상부의 외주부에 장착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핸들 손잡이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와, 통상부나 손잡이부와 별체로 설치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금속제의 환상부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핸들 암과 손잡이부의 사이에 금속제의 환상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 세월 사용에 의하여 덜걱거림이 생겼다고 하여도, 금속제의 환상부가 핸들 암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손잡이부의 기단부가 핸들 암에 접촉하는 것이 없어진다. 따라서, 손잡이부가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나 코르크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손잡이부의 기단부가 핸들 암에 접촉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핸들 손잡이의 매끄러운 회전을 유지하면서, 금속제의 환상부에 의하여, 핸들 손잡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는, 환상부는 통상부나 손잡이부와 별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손잡이부의 외형이 북 형상인 경우라도, 통상부나 손잡이부와 별체의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환상부를 절삭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금속제의 환상부를 외관에 노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의장성을 향상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는, 통상부는, 예를 들어 EVA(Ethylene-Vinyl Acetate)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인 경우에는, 손잡이부 및 통상부 전체를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손잡이부의 재질에 관계없이, 핸들 전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환상부 는, 통상부의 기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환상부가 통상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낚시꾼이 잘못하여 환상부를 잡은 경우라도, 핸들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2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통상부는, 기단부에 다른 부분의 외경(外徑)보다 대경(大徑)으로 되도록 또한 외형이 비원형으로 되도록 형성된 계합부(係合部)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는, 내형이 비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계합부가 계합 가능한 피계합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통상부의 비원형의 계합부를, 환상부의 피계합부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양 부재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환상부는, 외형이 둘레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환상부는 손잡이부와 별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 가공에 의하여 홈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5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환상부는, 외측면에 널링 가공이 행하여져 있다. 이 경우, 환상부는 손잡이부와 별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 가공인 널링 가공이 용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톱니 모양의 홈부로 되는 널링 가공에 의하여 의장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환상부는, 통상부의 기단부에 접착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양 부재를 비원형 계합시킨 상태로 접착하는 것에 의하여, 환상부와 통상부의 고정이 강고하게 된다.
발명 7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부는, 통상부의 외주부에 압입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나 코르크 등의 손잡이부를 압입하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부의 취부가 용이하게 된다.
발명 8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부는, 합성 수지, 코르크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를 비교적 경량인 합성 수지, 코르크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부 및 통상부 전체를 금속제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핸들 전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부는, 기단부 측에 배치된 제1 손잡이부와, 선단부 측에 배치된, 제1 손잡이부와 다른 재질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손잡이부와 제2 손잡이부로 외관이 다른 색으로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의장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9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제2 손잡이부는, 외측면에 형광색으로 되는 도장 처리가 행하여져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형광 도료에 의하여 제2 손잡이부에 도장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손잡이부의 외관에 악센트를 주는 것으로, 의장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환상부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이 경우,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의 절삭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12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환상부는, 표면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한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환상부에 절삭 가공을 행한 후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한 양극 산화 피막을 표면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방식성(防蝕性)을 높이는 것과 함께, 환상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13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스피닝 릴이다. 이 경우, 스피닝 릴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핸들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핸들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 14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양 베어링 릴이다. 이 경우, 양 베어링 릴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핸들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핸들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 15에 관련되는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편 베어링 릴이다. 이 경우, 편 베어링 릴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핸들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핸들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와, 통상부나 손잡이부와 별체로 설치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핸들 손잡이의 매끄러운 회전을 유지하면서, 핸들 손잡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와, 핸들 조립체(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5)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5)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면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로터(5)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 조립체(1)는, 릴 본체(2)의 우측(도 1 참조) 및 좌측(도 2 참조) 중 어느 측에도 장착 가능하고, 핸들 조립체(1)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측(도 2에서는 릴 본체(2)의 우측)에는, 캡붙이 볼트 부재(19)가 장착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축부(7)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암(21)과, 핸들 암(21)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 축(22)과, 손잡이 축(22)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23)를 가지고 있다.
핸들 암(2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막대 형상 부재이고, 릴 본체(2)와 대향하는 측에 약간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핸들 암(21)의 일단(一端, 도 2 하측 단부)은, 핸들 축부(7)의 선단부(도 2 좌측 단부)에 볼트 부재(20)에 의하여 릴 본체(2)와 접리(接離)하는 방향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핸들 암(21)의 타단(他端, 도 2 상측 단부)에는, 핸들 축부(7)와 평행하게 고정된 손잡이 축(22)이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 축(22)은,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축부(7)(도 2 참조)와 평행한 회전 축을 따라 배치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축이며, 기단에 다른 부분보다 소경(小徑)의 수나사부(22a)가 형성되고, 타단면에 제2 나사 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나사부(22a)에 인접하여 다른 부분보다 대경의 공구 계지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22a)는, 제1 나사 구멍(21c)에 나합(螺合)하고 있고, 이 나합에 의하여 손잡이 축(22)이 핸들 암(21)에 고정된다. 공구 계지부(22c)의 외주면에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계지 가능한 평행한 모따기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축(22)의 공구 계지부(22c)에 인접한 외주부와 선단 외주부에는, 베어링(30a, 30b)이 배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30a, 30b)에 의하여 핸들 손잡이(23)가 손잡이 축(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30b)은, 제2 나사 구멍(22b)에 장착된 볼트 부재(28)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볼트 부재(28)는, 베어링(30b)을 통하여 핸들 손잡이(23)를 손잡이 축(22)에 대하여 빠짐 방지하고 있다.
핸들 손잡이(23)는, 도 3부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축(22)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31)와, 통상부(31)의 외주 측을 덮도록 접착 고정된 코르크제의 손잡이부(32)와, 손잡이부(32)의 선단부의 개구(開口)를 폐색하기 위한 캡 부재(33)와, 통상 부(31)의 기단부에 외측면이 노출하도록 장착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34)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31)는, 도 3부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축(22)의 외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본체 통부(31a)와, 본체 통부(31a)의 핸들 암(21) 측(도 3 좌측) 단부 외주에 형성되고 본체 통부(31a)를 회전 멈춤하기 위한 회전 멈춤부(31b)와, 본체 통부(31a)의 핸들 암(21)과 역측(도 3 우측) 단부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31c)와, 본체 통부(31a)의 외주부에 돌출하여 형성된 볼록부(31d)와, 본체 통부(31a)의 내주부(內周部)에 인서트 성형된 통부(31e)를 가지고 있다.
본체 통부(31a)는, EVA 수지 등의 경질 수지제의 통상 부재이고, 통부(31e)의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본체 통부(31a)의 내주에는, 베어링(30a, 30b)이 장착되어 있고, 이 베어링(30a, 30b)에 의하여 손잡이 축(22)에 대하여 통상부(31)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멈춤부(31b)는, 본체 통부(31a)의 기단부(도 3 좌측) 외주에 본체 통부(31a)의 다른 부분보다 대경이 되도록 일체 성형되어 있고, 후술하는 환상부(34)를 장착하였을 때에 환상부(34)의 내주 측에 형성된 비원형 구멍(34a)에 계합하도록, 외형 형상이 팔각형으로 되는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암나사부(31c)는, 본체 통부(31a)의 선단부(도 3 우측) 내주에 형성된 나사 구멍이고, 후술하는 캡 부재(33)의 수나사부(33a)가 나합 가능하다.
볼록부(31d)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통부(31a)의 축 방향(긴쪽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 등간 격으로 8개소에 나란히 배치된 돌출부이다. 여기에서는, 볼록부(31d)에 의하여, 후술하는 손잡이부(32)의 손잡이 본체(32a)를 압입하였을 때에, 손잡이 본체(32a)의 내주에 볼록부(31d)의 외주부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 본체(32a)를 본체 통부(31a)에 대하여 회전 멈춤 및 빠짐 방지를 행할 수 있다.
통부(31e)는, 알루미늄 합금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된 통상 부재이고, 본체 통부(31a)의 내주부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통부(31e)에 의하여,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본체 통부(31a)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손잡이부(32)는, 도 3부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축을 따른 방향의 길이가 회전 축의 직경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긴 편평(扁平)한 막대 형상의 통상 부재인 손잡이 본체(32a)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본체(32a)는, 본체 통부(31a)의 외주 측에 본체 통부(31a)의 선단부(도 3 우측)로부터 본체 통부(31a)의 기단부(도 3 좌측)로 향하여 회전 멈춤부(31b)에 접촉하도록 접착 고정되는 통상 부재이다. 손잡이 본체(32a)는, 코르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본체 통부(31a)의 선단부로부터 환상부(34)의 선단부로 향하여 본체 통부(31a)의 외주부에 압입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32a)의 내주부와 본체 통부(31a)의 외주부의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본체 통부(31a)에 손잡이 본체(32a)가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부(32)는, 회전 축 방향의 중심 부분이 끼인 형상이며, 그 대향하는 둘레 면에 회전 축 방향을 따라 매끄럽게 내측으로 만곡(彎曲)한 손잡이 면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면은, 쥐었을 때에 오른손의 손가락 끝에 피트하도록 변형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32a)는, 절단 방향에 따라 두께가 다른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손잡이 축(22)을 사이에 두고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32a)의 선단부(도 3 우측)의 개구에는, 이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캡 부재(33)가 장착되어 있다.
캡 부재(33)는, 도 3부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부(31)의 선단부(도 3 우측) 내주부의 암나사부(31c)에 나합 가능한 수나사부(33a)와, 수나사부(33a)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고 수나사부(33a)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손잡이 본체(32a)의 선단부(도 3 우측)에 접촉 가능한 머리부(33b)와, 머리부(33b)에 형성된 공구 계지용의 계지부(33c)를 가지고 있다. 캡 부재(33)는, 핸들 손잡이(23)를 손잡이 축(22)에 볼트 부재(28)에 의하여 장착한 후, 손잡이 본체(32a)의 선단부(도 3 우측)에 장착 고정된다.
환상부(34)는, 도 3부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통부(31a)의 기단부에 외측면이 노출하도록 장착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 부재이다. 환상부(34)의 내주부에는, 기단부 측이 개구하는 대경의 비원형 구멍(34a)과, 선단부 측이 개구하는 소경의 원형 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 비원형 구멍(34a)은, 회전 멈춤부(31b)의 외형과 동일 형상으로 되도록 내형 형상이 팔각형으로 되는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환상부(34)를 통상부(31)에 장착하였을 때에, 회전 멈춤부(31b)와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통상부(31)의 비원형의 회전 멈춤부(31b)를, 환상부(34)의 비원형 구멍(34a)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양 부재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환상부(34)의 외측면에는, 도 3부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부(31) 나 손잡이부(32)를 조립하기 전에 있어서, 절삭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절삭 가공부(34c)를 가지고 있다. 절삭 가공부(34c)는, 외형이 직경 방향(환상부(34) 장착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통상부(31)나 손잡이부(32)와 별체의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34)를 절삭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환상부(34)의 표면에는, 절삭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절삭 가공부(34c)를 형성한 후에, 양극 산화 처리인 알루마이트 처리가 행하여지고, 양극 산화 피막인 알루마이트 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환상부(34)에 알루마이트 처리에 의한 알루마이트 층을 표면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방식성을 높이는 것과 함께, 환상부(34)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핸들 조립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 축(10)의 내주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부가 마스터 기어 축(10)의 선단부보다 축 방향 외방(外方)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는 핸들 축부(7)를 더 구비하고 있다. 핸들 축부(7)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형이 직사각형 등의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스터 기어 축(10)의 관통공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 축부(7)의 단부(도 2 우측 단부)에는, 내주 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에 장착한 핸들 축부(7)의 암나사부에 캡붙이 볼트 부재(19)의 수나사부를 나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핸들 축부(7)를 마스터 기어 축(10)에 대하여 빠짐 방지하고 있다. 또한, 핸들 축부(7)의 선단부(도 2 좌측 단부)에는, 핸들 암(21)이 볼트 부재(2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를 가지는 릴 보디(2a)와, 개구를 막도록 릴 보디(2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 부재(2b)와, 덮개 부재(2b)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으로 연장되는 장대 취부 다리(2c)와,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부(後部)로부터 하부(下部)에 걸쳐 장착되는 커버 부재(2d)(도 1 참조)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다.
로터(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側方)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51) 및 제2 로터 암(5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제1 로터 암(51) 및 제2 로터 암(52)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1 로터 암(5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0)로부터 외방으로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로터 암(51)의 선단 외주 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로터 암(52)은, 원통부(30)로부터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로터 암(52)의 선단 외주 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 의 사이에는, 선재를 대략 U상(狀)으로 만곡시킨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제2 베일 지지 부재(42),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하여, 베일 암(44)은 구성된다. 베일 암(44)은, 줄 안내 자세와 그것으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스풀(4)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5)의 제1 로터 암(51)과 제2 로터 암(5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의 선단에 드랙 기구(60)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릴의 조작 및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낚시를 행할 때, 캐스팅하여 릴 본체(2)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하기 위하여, 베일 암(44)을 반전시키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하고,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 할 수 있다. 이 상태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전방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핸들 조립체(1)를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로터 구동 기구에 의하여 로터(5)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44)이 도시하지 않은 베일 반전 기구에 의하여 줄 감기 위치로 복귀하여, 낚싯줄이 스풀(4)에 감긴다.
이와 같은 스피닝 릴의 핸들 손잡이(23)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31)와, 통상부(31)나 손잡이부(32)와 별체로 설치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핸들 암(21)과 손잡이부(32)의 사이에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3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 세월 사용에 의하여 덜걱거림이 생겼다고 하여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34)가 핸들 암(21)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손잡이부(32)의 기단부가 핸들 암(21)에 접촉하는 것이 없어진다. 따라서, 손잡이부(32)가 코르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손잡이부(32)의 기단부가 핸들 암(21)에 접촉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핸들 손 잡이(23)의 매끄러운 회전을 유지하면서,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34)에 의하여, 핸들 손잡이(23)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 손잡이(23)의 매끄러운 회전을 유지하면서, 핸들 손잡이(23)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피닝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12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이나, 도 13에 도시하는 편 베어링 릴 등의 타형식의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 손잡이는, 더블 핸들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싱글 핸들의 것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트용의 로우 프로파일(low-profile)형의 릴이다. 이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101)와, 릴 본체(10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 조립체(102)와, 릴 본체(10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줄 감기용의 스풀(112)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 조립체(102)의 릴 본체(101) 측에는, 드랙 조정용의 스타 드랙(103)이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101)는, 프레임(105)과, 프레임(105)의 양 측방에 장착된 제1 측 커버(106a) 및 제2 측 커버(106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101)는, 프레임(105)의 전방을 덮는 전(前) 커버(107)와, 상부를 덮는 섬 레스트(thumb-rest, 108)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105)은, 좌우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1쌍의 제1 측판(105a) 및 제2 측판(105b)과, 이들 제1 측판(105a) 및 제2 측판(105b)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105) 은, 하측의 연결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장대 장착부에 의하여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101)의 내부에는, 낚싯대와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된 스풀(112)과, 스풀(112)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레벨와인드 기구와, 핸들 조립체(102)의 회전을 스풀에 전달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전달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에는, 핸들 조립체(102)가 선단에 장착된 핸들 축(120)과, 핸들 조립체(102)의 회전을 스풀(112)에 전달, 차단(온, 오프)하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기구와, 도시하지 않은 드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 축(120)은, 릴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105)의 후부에는, 클러치 기구를 온, 오프 조작하는 것과 함께, 서밍(thumbing)의 바대로 되는 클러치 레버(117)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102)는, 핸들 축(120)의 선단에 장착되는 핸들 암(121)과, 핸들 암(121)의 양단에 장착된 핸들 손잡이(12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손잡이(123)는, 손잡이 축(122)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131)와, 통상부(131)의 외주 측을 덮도록 접착 고정된 코르크제의 손잡이부(132)와, 손잡이부(132)의 선단부의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캡 부재(133)와, 통상부(131)의 기단부에 외측면이 노출하도록 장착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134)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핸들 손잡이(123)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도면 번호에 100을 더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양 베어링 릴의 핸들 손잡이(123)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131)와, 통상부(131)나 손잡이부(132)와 별체로 설치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13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핸들 손잡이(123)의 매끄러운 회전을 유지하면서, 핸들 손잡이(123)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채용한 편 베어링 릴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01)와, 릴 본체(201)에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된 스풀 축(202)과, 스풀 축(202)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203)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203)은, 통 형상의 줄 감기 몸통부(215)와, 줄 감기 몸통부(215)의 일단부에 줄 감기 몸통부(215)와 일체로 형성된 원판 형상의 내플랜지(216)와, 줄 감기 몸통부(215)의 타단부에 릴 본체(201)의 개방부를 덮도록 장착된 외플랜지(217)를 가지고 있다. 외플랜지(217)의 외면에서 외주 근처에는 핸들 손잡이(223)가 취부되어 있다. 핸들 손잡이(223)는, 손잡이 축(222)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231)와, 통상부(231)의 외주 측을 덮도록 접착 고정된 코르크제의 손잡이부(232)와, 손잡이부(232)의 선단부의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캡 부재(233)와, 통상부(231)의 기단부에 외측면이 노출하도록 장착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234)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핸들 손잡이(223)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도면 번호에 200을 더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편 베어링 릴의 핸들 손잡이(223)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231)와, 통상부(231)나 손잡이부(232)와 별체로 설치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23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핸들 손잡이(223)의 매끄러운 회전을 유지하면서, 핸들 손잡이(223)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상부(31)는, 경질 수지제의 본체 통부(31a)에 금속제의 통부(31e)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었지만, 금속제의 통부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통상부(31)의 재질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EVA 수지 이외의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삭 가공부(34c)는, 직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삭 가공부(34c)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형이 둘레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여도 무방하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널링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톱니 모양의 홈부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32)는, 1개의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 측에 배치된 제1 손잡이부(32b)와, 선단부 측에 배치된, 제1 손잡이부(32b)와 다른 재질에 의하여 다른 색으로 형성된 제2 손잡이부(32c)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손잡이부(32c)는, 외측면에 형광색으로 되는 도장 처리가 행하여져 있어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32)는, 코르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었지만, 손잡이부(32)의 재질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나 클로로프렌(Chloroprene) 고무 등의 합성 수지 우레탄 고무나 연질 염화 비닐(PVC) 등의 탄성체 수지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 양 베어링 릴의 평면 일부 파단도.
도 3은 핸들 손잡이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상기 핸들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핸들 손잡이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상기 핸들 손잡이의 도 3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평면 일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채용한 편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들 조립체 2: 릴 본체
5: 로터 4: 스풀
21: 핸들 암 22: 손잡이 축
23: 핸들 손잡이 31: 통상부
31a: 본체 통부 31b: 회전 멈춤부
31c: 암나사부 31d: 볼록부
31e: 통부 32: 손잡이부
32a: 손잡이 본체 32b: 제1 손잡이부
32c: 제2 손잡이부 33: 캡 부재
33a: 수나사부 33b: 머리부
33c: 계지부 34: 환상부
34a: 비원형 구멍 34b: 원형 구멍
34c: 절삭 가공부

Claims (15)

  1. 낚시용 릴의 핸들 암의 선단(先端)에 고정된 손잡이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손잡이이고,
    상기 손잡이 축의 외주(外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筒狀部)와,
    상기 통상부의 기단부(基端部)에 외측면(外側面)이 노출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금속제의 환상부(環狀部)와,
    상기 통상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환상부의 선단부로 향하여 상기 통상부의 외주부에 장착된 손잡이부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상기 통상부의 기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부는, 기단부에 다른 부분의 외경(外徑)보다 대경(大徑)으로 되도록 또한 외형이 비원형으로 되도록 형성된 계합부(係合部)를 가지고 있고,
    상기 환상부는, 내형이 비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계합부가 계합 가 능한 피계합부를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외형이 둘레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외측면에 널링(knurling) 가공이 행하여져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상기 통상부의 기단부에 접착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통상부의 외주부에 압입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합성 수지, 코르크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기단부 측에 배치된 제1 손잡이부와, 선단부 측에 배치된, 상기 제1 손잡이부와 다른 재질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외측면에 형광색으로 되는 도장 처리가 행하여져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알루미늄 합금제인,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표면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한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스피닝 릴인,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양 베어링 릴인,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편 베어링 릴인,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KR20090017836A 2008-04-28 2009-03-03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KR101488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7611 2008-04-28
JP2008117611A JP5205120B2 (ja) 2008-04-28 2008-04-28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756A true KR20090113756A (ko) 2009-11-02
KR101488151B1 KR101488151B1 (ko) 2015-01-30

Family

ID=4122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7836A KR101488151B1 (ko) 2008-04-28 2009-03-03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05120B2 (ko)
KR (1) KR101488151B1 (ko)
CN (1) CN101569298B (ko)
TW (1) TWI47999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12B1 (ko) * 2012-01-03 2013-07-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KR102118292B1 (ko) 2019-12-03 2020-06-02 주식회사 샤크컴퍼니 낚시릴의 풀림 방지용 핸들손잡이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243U (ja) * 2010-09-08 2010-11-18 広明 舟岡 魚釣り用リールの組立てハンドル
EP2749164A4 (en) * 2012-05-29 2016-02-24 Globeride Inc REEL LANCER LIGHT
JP2015047109A (ja) * 2013-08-30 2015-03-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ツマミ
JP2015047108A (ja) 2013-08-30 2015-03-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ツマミおよび組付方法
JP6956602B2 (ja) * 2017-11-13 2021-11-02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及び魚釣用リール
CN108515995A (zh) * 2018-04-27 2018-09-11 天津市友森金属结构有限公司 一种方便实用的保温物流台车
KR200495872Y1 (ko) 2020-03-17 2022-09-06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릴용 중심축 가변형 파워핸들
KR20230100351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5804Y2 (ko) * 1979-12-06 1982-10-08
JP3593407B2 (ja) * 1996-01-24 2004-11-2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用ハンドル
JP3977730B2 (ja) * 2002-12-03 2007-09-1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部品
JP2004236541A (ja) * 2003-02-04 2004-08-2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SG121940A1 (en) * 2004-10-06 2006-05-26 Shimano Kk 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a fishing reel
JP2006238746A (ja) * 2005-03-01 2006-09-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4704801B2 (ja) * 2005-04-28 2011-06-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5010860B2 (ja) * 2006-06-30 2012-08-2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5236883B2 (ja) * 2007-02-13 2013-07-1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12B1 (ko) * 2012-01-03 2013-07-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KR102118292B1 (ko) 2019-12-03 2020-06-02 주식회사 샤크컴퍼니 낚시릴의 풀림 방지용 핸들손잡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69298A (zh) 2009-11-04
CN101569298B (zh) 2013-03-13
TW201012390A (en) 2010-04-01
JP2009261367A (ja) 2009-11-12
JP5205120B2 (ja) 2013-06-05
TWI479992B (zh) 2015-04-11
KR101488151B1 (ko) 201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3756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JP2009261367A5 (ko)
US8678308B2 (en) Dual-bearing reel drag sound producing device
US10010061B2 (en) Spinning reel
US20060027691A1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KR20060109312A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20150020027A (ko) 스피닝 릴
KR101736785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20060090574A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US6655622B2 (en) Spinning reel spool
US7665683B2 (en)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AU779879B2 (en) Spinning reel spool
US7967232B2 (en) Spinning-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KR20050027020A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5010860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KR20040097894A (ko)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US10588303B2 (en) Dual-bearing reel
KR20020089203A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4704801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KR20040107386A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200326507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4272489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18517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JP201003542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572124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