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351A -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351A
KR20230100351A KR1020210190135A KR20210190135A KR20230100351A KR 20230100351 A KR20230100351 A KR 20230100351A KR 1020210190135 A KR1020210190135 A KR 1020210190135A KR 20210190135 A KR20210190135 A KR 20210190135A KR 20230100351 A KR20230100351 A KR 20230100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nob
hole
handle knob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102021019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351A/ko
Publication of KR2023010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중공형 핸들노브와, 중공의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핸들노브와 접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핸들스탠드와, 상기 핸들스탠드의 하부에 삽입결합되고 일측은 릴본체와 결합되는 핸들암 및 상기 핸들노브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스탠드와 결합되는 노브캡을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에 의하면, 손잡이의 내부 공간을 넓히고 기존 핸들노브의 결합구조와 달리한 경량성이 향상된 핸들노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부하되는 무게를 줄여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LIGHTWEIGHT STRUCTURE OF HANDLE KNOB OF FISHING REEL}
개시된 내용은 손잡이의 내부 공간을 넓히고 핸들노브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며 결합구조를 달리함으로써, 릴 손잡이의 경량성이 증대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에 있어서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은 릴의 측면으로 돌출한 크랭크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크랭크축은 크랭크축 선단에 장착된 핸들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은 그 일측단에 설치되는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회전력을 가하면 핸들과 크랭크축이 순차적으로 연동하면서 스풀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에 낚시줄이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통상적으로 낚시용 릴 핸들 손잡이는 핸들 선단에 리벳에 의해 결합되는바, 사용자가 회전력을 가하는 경우 손잡이 자체는 정지된 상태에서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에 적당한 유격을 가지고 핸들에 대하여 상대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낚시용 릴 핸들 손잡이는 핸들에 결합하는데 리벳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리벳의 규격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작동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리벳의 길이가 길게 되면 손잡이와 핸들과의 유격이 커서 회전될 때 소음이 발생하거나 릴이 흔들리게 되어 회전될 때 핸들에 대하여 원활한 회전이 되지 않음으로써 작동감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낚시용 릴 핸들 손잡이는 리벳의 길이를 조절을 통해 유격을 조절하여야 되는데 쉽지 않고 숙련공이라도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단, 불량이 나게 되면 리벳을 절단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리벳 절단이 쉽지 않고 절단을 하더라도 손잡이에 흠이 대부분 생기기 때문에 폐품처리를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손잡이와 핸들간의 유격을 리벳의 길이에 의존하지 않고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량률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유격이 거의 없도록 유격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릴 핸들 손잡이가 개발되고 있다.
나아가, 변화하는 시장상황에 대처하고, 낚시 분야 특유의 매니아적 취향을 능동적으로 충족시키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부품이지만 새로운 기능이 부여되는 낚시용 릴 핸들 손잡이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낚시용 릴 핸들 손잡이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88151호(2015.01.30. 공고)에는 손잡이 축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부와, 통상부의 외주측을 덮도록 접착 고정된 코르크제의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선단부의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캡 부재와, 통상부의 기단부에 외측면이 노출하도록 장착되고 외측면에 절삭 가공이 행하여진 알루미늄 합금제의 환상부를 가지고 있어, 핸들 손잡이의 매끄러운 회전을 유지하면서, 핸들 손잡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2412호(2013.07.04. 공고)에는 낚시릴의 샤프트와 연결된 크랭크에 구비된 손잡이를 알루미늄 등의 경량금속 절삭 가공제품으로 구성하여 경량성 특성을 보장하고, 도금 등의 후가공을 통하여 화려함과 고급스러운 느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줄감기 동작시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베어링 등의 구름수단을 수용하여 미세한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호 쉽게 조립되는 복수의 구성요소로 피스화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까지 향상시킴은 물론, 다양한 살빼기 가공을 통한 경량화까지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의 경우에는 낚시릴의 샤프트와 연결된 크랭크와 손잡이 몸체 사이에 구름성 향상을 위하여 베어링이 개되되는데, 구름성 확보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경량성에 대한 기능은 추가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핸들 회전축에 스크류결합이 되어 있어 외력에 대응하여 핸들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손잡이가 공회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88151호(2015.01.30.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2412호(2013.07.04. 공고)
손잡이의 내부 공간을 넓히고 핸들노브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며 결합구조를 달리함으로써, 릴 손잡이의 경량성이 증대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중공형 핸들노브와, 중공의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핸들노브와 접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핸들스탠드와, 상기 핸들스탠드의 하부에 삽입결합되고 일측은 릴본체와 결합되는 핸들암 및 상기 핸들노브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스탠드와 결합되는 노브캡을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핸들스탠드와 상기 노브캡 사이의 결합은, 상기 핸들스탠드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스, 상기 노브캡의 단부에 상기 보스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보스에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노브가 상기 플랜지에 가압고정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관통공의 외주연을 중심으로 하는 다수개의 원형통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는 상기 원형통공과 연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돌기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핸들노브의 외주면에는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마찰돌기가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핸들노브의 두께는 0.5mm이고, 상기 핸들스탠드는 열가소성수지로 사출성형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에 의하면, 손잡이의 내부 공간을 넓히고 기존 핸들노브의 결합구조와 달리한 경량성이 향상된 핸들노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부하되는 무게를 줄여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핸들스탠드와 상기 노브캡 사이의 결합은, 상기 핸들스탠드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스, 상기 노브캡의 단부에 상기 보스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보스에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노브가 상기 플랜지에 가압고정되어, 손잡이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에 의하면,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관통공의 외주연을 중심으로 하는 다수개의 원형통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는 상기 원형통공과 연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돌기를 더 포함하여, 손잡이가 공회전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가 결합된 낚시릴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노브와 핸들스탠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1)가 결합된 낚시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1)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노브(10)와 핸들스탠드(2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화된 낚시용 릴 공전방지 손잡이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는 중공형 핸들노브(10)와, 중공의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관통공(11)에 장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핸들노브(10)와 접하는 플랜지(21)가 형성되는 핸들스탠드(20)와, 상기 핸들스탠드(20)의 하부에 삽입결합되고 일측은 릴본체(100)와 결합되는 핸들암(30) 및 상기 핸들노브(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스탠드(20)와 결합되는 노브캡(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들노브(10)는 하부의 폭이 좁은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으로 구성되고, 일측면의 외주면은 평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11)의 직경은 핸들스탠드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브캡(40)은 평면 부분에 둘레 면을 따라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캡(40)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고정홈과 접하게 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들스탠드(20)는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핸들노브(10)에 형성되는 관통공(11)에 장착되며, 핸들스탠드(20)의 중단면에는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일정부분까지만 장착된다. 또한, 핸들스탠드(20)의 중앙 내주면에는 핸들암(30)과의 결합을 위해 볼트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21)의 상단에는 핸들스탠드(2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스티프너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암(30)은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전술한 핸들스탠드(20)에 장착되기 위해 핸들스탠드(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핸들암(30)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핸들스탠드(20)에 장착된 후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핸들암(30)과 볼트와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해 와셔가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핸들스탠드(20)와 상기 노브캡(40) 사이의 결합은, 상기 핸들스탠드(2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스(23)와, 상기 노브캡(40)의 단부에 상기 보스(23)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1) 및 상기 관통공(11)에 삽입되고 상기 보스(23)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3)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노브(10)가 상기 플랜지(21)에 가압고정된다.
여기서, 보스(23)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스탠드(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주면의 양측부에 한 쌍의 보스(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41)은 상기 노브캡(4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부에 상기 보스(23)와 대응되도록 한 쌍의 관통홀(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스(23)의 내부에는 고정볼트(13)와 결합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되고, 관통홀(41)의 내부에는 볼트걸림부가 형성되어 노브캡(4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핸들스탠드(20)와 노브캡(40) 사이의 결합은 고정볼트(13)로 결합되어 핸들노브(10) 또는 핸들스탠드(20)를 교체시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되고, 중앙을 기준으로 핸들스탠드(20)의 외주면 양측부에 결합위치를 형성함으로써, 낚시줄 감기 등의 상황에서 핸들스탠드(20)에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핸들노브(10)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상기 관통공(11)에는 상기 관통공(11)의 외주연을 중심으로 하는 다수개의 원형통공(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1)의 상부에는 상기 원형통공(12)과 연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돌기(2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관통공(1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11)의 외주연을 중심으로 4개의 원형 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통공(12)의 직경은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티프너가 관통되고 보스(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돌출돌기(25)는 원형통공(12)에 연접되게 형성되고, 관통공(11)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한 쌍의 돌출돌기(25)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원형통공(12)에 연접되는 한쌍의 돌출돌기(25)가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낚시줄 감기 등의 상황에서 핸들스탠드(20)에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핸들노브(10)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핸들노브(10)의 외주면에는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마찰돌기(15)가 형성된다.
여기서 마찰돌기(15)는,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는 핸들노브(1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마찰돌기(15)에 의하여 핸들노브(10)를 꽉 쥐지 않게 잡아도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핸들노브(10)의 두께는 0.5mm이고, 상기 핸들스탠드는 열가소성수지로 사출성형된다.
사출성형은 플라스틱의 성형가공법으로 열가소성수지를 성형하는 방법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또한, 사출성형은 반복해서 사출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고, 조립에 의한 비용이 감소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출성형은 부품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무게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1)에 의하면, 손잡이의 내부 공간을 넓히고 기존 핸들노브(10)의 결합구조와 달리한 경량성이 향상된 핸들노브(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부하되는 무게를 줄여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핸들스탠드(20)와 상기 노브캡(40) 사이의 결합은, 상기 핸들스탠드(2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스(23), 상기 노브캡(40)의 단부에 상기 보스(23)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41) 및 상기 관통공(11)에 삽입되고 상기 보스(23)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3)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노브(10)가 가압고정되어, 손잡이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1)에는 상기 관통공(11)의 외주연을 중심으로 하는 다수개의 원형통공(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1)의 상부에는 상기 원형통공(12)과 연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돌기(25)를 더 포함하여, 손잡이가 공회전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핸들노브(10)의 외주면에는 마찰돌기(15)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낚시대를 쥐었을 경우에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핸들노브(10)의 살두께는 0.5mm이고, 상기 핸들스탠드는 열가소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경량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10 : 핸들노브
11 : 관통공
12 : 원형통공
13 : 고정볼트
15 : 마찰돌기
20 : 핸들스탠드
21 : 플랜지
23 : 보스
25 : 돌출돌기
30 : 핸들암
40 : 노브캡
41 : 관통홀
100 : 릴본체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중공형 핸들노브;
    중공의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핸들노브와 접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핸들스탠드;
    상기 핸들스탠드의 하부에 삽입결합되고 일측은 릴본체와 결합되는 핸들암; 및
    상기 핸들노브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스탠드와 결합되는 노브캡을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스탠드와 상기 노브캡 사이의 결합은,
    상기 핸들스탠드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스;
    상기 노브캡의 단부에 상기 보스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보스에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노브가 상기 플랜지에 가압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관통공의 외주연을 중심으로 하는 다수개의 원형통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는 상기 원형통공과 연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노브의 외주면에는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마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노브의 두께는 0.5mm이고, 상기 핸들스탠드는 열가소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KR1020210190135A 2021-12-28 2021-12-28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KR20230100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135A KR20230100351A (ko) 2021-12-28 2021-12-28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135A KR20230100351A (ko) 2021-12-28 2021-12-28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351A true KR20230100351A (ko) 2023-07-05

Family

ID=8715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135A KR20230100351A (ko) 2021-12-28 2021-12-28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35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12B1 (ko) 2012-01-03 2013-07-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KR101488151B1 (ko) 2008-04-28 2015-01-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151B1 (ko) 2008-04-28 2015-01-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KR101282412B1 (ko) 2012-01-03 2013-07-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5120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US20130320125A1 (en) Fishing reel having quick-opening side cover
US20090321011A1 (en) Adhesive strip for forming a reminder rib in a grip
JP2009261367A5 (ko)
KR20230100351A (ko)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US2272897A (en) Lever for manual operation
JP5496467B2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JP6839879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JP4704801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US5372325A (en) Thumbing ring for fishing reel spools
US5577678A (en) Handle of a fishing reel
JP3797513B2 (ja) 釣糸係止具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JP5506162B2 (ja) 筒状リールシート
KR20230163836A (ko) 낚시용 릴의 미끄럼 방지 핸들노브
JPH07310895A (ja) Frp外層を有する圧力容器
JP3133451U (ja) 金属線材用ボビン
JP3685293B2 (ja) 釣竿のリール脚固定装置
JP4229302B2 (ja) リール係止構造
JP7395439B2 (ja) リールシート
JP482724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215387443U (zh) 一种无轴承空竹
JP3948693B2 (ja) リールシート
JP4354087B2 (ja) 釣竿
JP4514307B2 (ja) 釣竿
JPH07294203A (ja) 二つ合わせ巻き尺ケース及びそのばね巻き芯スタ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