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412B1 -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412B1
KR101282412B1 KR1020120000395A KR20120000395A KR101282412B1 KR 101282412 B1 KR101282412 B1 KR 101282412B1 KR 1020120000395 A KR1020120000395 A KR 1020120000395A KR 20120000395 A KR20120000395 A KR 20120000395A KR 101282412 B1 KR101282412 B1 KR 101282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ink
fishing reel
assembl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0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릴의 샤프트와 연결된 크랭크에 구비된 손잡이를 알루미늄 등의 경량금속 절삭 가공제품으로 구성하여 경량성 특성을 보장하고, 도금 등의 후가공을 통하여 화려함과 고급스러운 느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줄감기 동작시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베어링 등의 구름수단을 수용하여 미세한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호 쉽게 조립되는 복수의 구성요소로 피스(pieces)화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까지 향상시킴은 물론, 다양한 살빼기 가공을 통한 경량화까지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는 낚시릴의 샤프트와 연결된 제1링크와, 제1링크와 절곡되어 이어진 내측 연결단부와 외측 자유단부를 갖는 제2링크로 이루어진 크랭크; 및 상기 제2링크의 연결단부에 제1구름수단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1드럼, 그리고 상기 제2링크의 자유단부에 제2구름수단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고, 제1드럼과 결합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KNOB ASSEMBLY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릴의 샤프트와 연결된 크랭크에 구비된 손잡이를 알루미늄 등의 경량금속 절삭 가공제품으로 구성하여 경량성 특성을 보장하고, 도금 등의 후가공을 통하여 화려함과 고급스러운 느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줄감기 동작시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베어링 등의 구름수단을 수용하여 미세한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호 쉽게 조립되는 복수의 구성요소로 피스(pieces)화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까지 향상시킴은 물론, 다양한 살빼기 가공을 통한 경량화까지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낚시 릴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0-2002-0036561호(공개일자 2002년05월16일) [베일 어셈블리가 수평이동하고 스풀이 직접 회전하는 다목적 피싱릴]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종래의 낚시용 스피닝릴에서 와는 달리 핸들의 회전력으로 스풀을 직접 회전구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스풀의 외측에 장착된 베일 어셈블리를 스풀의 중심축 방향으로 수평 왕복운동시킴으로써, 낚싯줄을 스풀 몸체의 외주면 주위로 균등하게 감거나 스풀 몸체로부터 전방으로 일직선의 형태로 풀려나가게 할 수 있고, 스풀의 자유로운 형상변화가 가능하여 베이트 캐스팅릴이나 기타 릴로서도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피싱릴이 개시에 관한 것으로,
해당 공개공보의 도 5a에서는 핸들 축(116)에 구비된 통상의 핸들(118)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10-0108208호(공개일자 2010년10월06일) [낚시용 릴의 핸들 암 취부 구조]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일단(一端)에 비원형부가 형성된 낚시용 릴의 핸들 축에 핸들 암을 [0001] 나사 부재에 의하여 취부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암 취부 구조에 관한 것이며,
해당 공개공보의 도 4에는 핸들암(25)에 구비된 핸들손잡이(26)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특허공개 제10-2011-0035887호(공개일자 2011년04월06일)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핸들 조립체, 특히, 낚시용 릴의 핸들 축의 선단(先端)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해당 공개공보의 도 3에는 손잡이 축(22)에 구비된 핸들 손잡이(23)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종래 공개특허를 비롯하여 기존 낚시릴의 손잡이(또는 핸들)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거나 좀 더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알루미늄 등의 경량합금 절삭 가공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 낚시릴의 샤프트와 연결된 크랭크와 손잡이 몸체 사이에는 구름성 향상을 위하여 베어링이 개재되는데, 구름성 확보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경량성이나 화려한 디자인 특성을 보장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어왔다.
변화하는 시장상황에 대처하고, 낚시 분야 특유의 매니아적 취향을 능동적으로 충족시키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작은 부품 하나까지 신경을 쓰고 개선하여 가격에 맞는 가치특성을 충분히 보여줄 수 있는 하이엔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작은 부품이자만 기능과 미감에서 충빈히 가치가 큰 낚시릴의 손잡이에도 새로운 기능 부여와 개선이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본 발명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 등의 경량금속 절삭 가공제품으로 구성하여 후가공을 통한 디자인 다양성 부여가 가능하고, 경량성 특성을 보장하면서도 조립성까지 확보하고, 손잡이 특유의 구름 특성까지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구성요소로 피스(pieces)화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손잡이 구성요소의 피스(pieces)화와 관련하여 필수 구성인 크랭크와 베어링과 같은 구름수단 외에 손잡이를 제1드럼 및 제2드럼으로 분체화하고, 그 외 마감캡이나 베어링 수용을 위한 별도의 슬리브까지 더 도입하여, 노출된 제1드럼, 제2드럼, 마감캡에 서로 색상이나 질감이 다른 도금이나 코팅 등의 후가공을 진행하며, 줄감기시 주로 잡는 제2드럼 외면에는 감촉 개선이나 저항감 부여를 위한 추가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 및 경량성 확보, 디자인의 다양화 또는 화려함 부여가 가능하며, 추가로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 교체 용이성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피스(pieces)화 제1드럼, 제2드럼 및 슬리브에 살빼기 가공부를 도입하여 경량성을 추가 확보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는
낚시릴의 샤프트와 연결된 제1링크와, 제1링크와 절곡되어 이어진 내측 연결단부와 외측 자유단부를 갖는 제2링크로 이루어진 크랭크; 및
상기 제2링크의 연결단부에 제1구름수단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1드럼, 그리고
상기 제2링크의 자유단부에 제2구름수단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고, 제1드럼과 결합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손잡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2드럼은 제2구름수단을 지지하는 내측턱을 갖는 수용부를 갖고, 상기 제2링크의 자유단부에는 볼트가 결합되며, 이 볼트 헤드에 의하여 제2구름수단이 내측으로 가압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드럼의 내측턱은 제2구름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분리형 슬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2드럼은 상기 슬리브가 걸리는 멈춤턱을 구비한 장착부를 갖고,
상기 제2드럼의 외측에는 마감캡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 등의 경량금속 절삭 가공제품으로 구성하고, 또 복수의 구성요소로 피스(pieces)화한하여 후가공을 통한 디자인 다양성 부여가 가능하고, 경량성 특성을 보장하면서도 조립성까지 확보하고, 손잡이 특유의 구름 특성까지 보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 손잡이 구성요소의 피스(pieces)화와 관련하여 필수 구성인 크랭크와 베어링과 같은 구름수단 외에 손잡이를 제1드럼 및 제2드럼으로 분체화하고, 그 외 마감캡이나 베어링 수용을 위한 별도의 슬리브까지 더 도입하여, 노출된 제1드럼, 제2드럼, 마감캡에 서로 색상이나 질감이 다른 도금이나 코팅 등의 후가공을 진행하며, 줄감기시 주로 잡는 제2드럼 외면에는 감촉 개선이나 저항감 부여를 위한 추가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 및 경량성 확보, 디자인의 다양화 또는 화려함 부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피스(pieces)화 제1드럼, 제2드럼 및 슬리브에 살빼기 가공부를 도입하여 경량성을 추가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K)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마감캡(40) 쪽을 외측으로 하고, 크랭크(L) 제2링크(Lb) 쪽을 내측으로 정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K)는 도 1의 [A]의 손잡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1구현예의 결합단면도 상부의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릴(R)의 샤프트(R1)에 결합되어 낚시줄 감기를 가능하게 하도록 크랭크(L)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는 변형된 형상으로 두 손잡이(K)를 구비하고 있어 낚시줄 감기 특유의 편의성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K)는 크게 크랭크(L), 제1드럼(10), 제2드럼(20), 구름수단(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외 도 1의 [B]의 손잡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2구현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름수단과 직접 접촉하는 슬리브(30)를 추가 도입할 수 있고, 미감 향상과 임의 분리 방지를 위한 마감캡(40)이 더 도입될 수 있다.
제1드럼(10), 제2드럼(20), 슬리브(30), 마감캡(40)의 일부 또는 모두는 금속, 상세하게는 경량 금속,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성, 가격, 경량성 등에서 유리한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알루미늄(또는 그 합금, 이하 '알루미늄'으로 통칭한다)(이하에서 알루미늄으로 손잡이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것은 단순히 손잡이 어셈블리 구성요소의 소재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은 도금 등의 후가공 작업면에서 다양하거나 화려한 색상을 도입하기에도 적합하다.
상기 크랭크(L)는 낚시릴(R)의 샤프트(R1)에 연결된 제1링크(La)와, 제1링크에 절곡 연결된 제2링크(Lb)로 구성되며, 두 손잡이 도입을 위하여 제2링크는 제1링크 양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 1의 [A]의 손잡이 어셈블리(K)에 대한 제1구현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구성요소의 피스(pieces)화와 관련하여 기본을 이루는 제1드럼 및 제2드럼을 설명한다.
제1드럼 및 제2드럼의 분리는 구름수단(B), 한정하여서는 베어링, 보다 한정하여서는 볼베어링을 도입하여 크랭크(L)의 제2링크(Lb)에의 구름성을 확보하고, 또 조립성을 보장하면서, 추가적으로 경량성까지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1드럼(10) 및 제2드럼(20), 그 외 노출된 마감캡(40)까지 서로 색상이나 질감이 다른 도금이나 코팅 등의 후가공을 진행하기에 적합하면서도, 피스(pieces)화된 이들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여 원소스(one source) 멀티디자인(multi-design) 확보가 가능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충족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량 생산 특성 및 단가경쟁력 확보와 재고 관리에도 적합하다.
제1드럼(10)은 상기 제2링크(Lb)의 내측 연결단부(L1)에 제1구름수단(B1)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며,
제2링크(Lb)의 외측 자유단부(L2)에 형성된 결합홈(L3)에 나사결합되는 볼트(50)에 의한 각 구성요소의 조립상태 고정에 유리하며, 조립시에도 편리하도록 제1구름수단(B1)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한턱(11)을 갖는다.
또 제1드럼(10)은 테두리의 수결합부(13)를 갖고, 제한턱(11)과 수결합부(13) 사이에 살빼기홈(15)이 구비되어 있어 경량성을 추가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드럼(10)은 외곽에 외턱부(17)가 구비되어 있어 제2드럼(20) 내측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볼 때 마치 한 몸으로 형성한 것과 같이 일체감을 주는 연결부를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드럼(20)은 도 1의 [C]의 손잡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2구현예에 대한 요부 분해 정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낚시릴 줄감기시 주로 잡는 제2드럼(20)의 특성상 외면에 감촉 개선이나 저항감 부여를 위한 추가 가공이나, 디자인 다양화를 위한 추가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드럼 외면에 도금 또는 도장을 실행하고, 내부식성 또는 내마모성 개선을 위한 추가 투명(또는 투광성) 코팅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며, 도자기 전통의 상감기법과 같은 후가공이 진행될 수 있고, 도금 또는 도장 후 다아이몬드 커팅 등으로 도금 또는 도장 측 내부의 원재료 또는 내부 코팅층(또는 도금층)을 드러내어 특정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그 위에는 추가적으로 보호 투광성 코팅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외면에는 탄성을 갖는 우레탄 코팅을 통하여 촉감 개선, 저항감 부여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후가공은 제1드럼이나 마감캡(40)에 대해서도 진행될 수 있다.
제2드럼(20) 내측에는 제1결합부(23), 특히 암결합부가 형성되어 제1드럼의 수결합부(13)와 결합되는데,
필요에 따라 제1드럼과 제2드럼의 암수 결합부(23)(13)는 상호 뒤바뀔 수 있으며, 억지끼움, 접착제 부착,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호 결합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접착제 부착시에는 암수 결합부(23)(13)의 상호 조립에 의하여 접착제가 밀려나와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암수 결합부(23)(13)의 각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접착제 수용 환형 요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제2드럼(20)에서 상기 제2링크(Lb)의 자유단부(L2) 측에는 제2구름수단(B2)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는데,
제2구름수단(B2)이 위치하는 수용부(25)는 제2구름수단(B2)의 내측 테두리를 지지하는 내측턱(25A)과, 제2구름수단(B2)의 외측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턱(2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턱(25A)과 지지턱(25B) 사이에는 살빼기홈(25C)가 형성되어 있어 경량성의 추가 확보를 도모하고 있다.
제2드럼(20)에서 상기 제2링크(Lb)의 자유단부(L2), 특히 결합홈(L3)에는 볼트(50)가 결합되며, 이 볼트 헤드(51)에 의하여 제2구름수단(B2)이 내측으로 가압 고정되고,
제2구름수단(B2)은 제2드럼(20)의 내측턱(25A)을 가압하고, 제2드럼(20)의 내측단부는 제1드럼(10)을 가압하고, 제1드럼(10)의 제한턱(11)은 제1구름수단(B1)의 외측단부를 가압하게 되어 조립된 분체화·피스(pieces)화 구성요소들의 확고한 고정이 보장된다.
도 1의 [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드럼(20)의 외면, 외측단부에는 줄감기 회전시 되는 이탈방지 확장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B]의 결합단면도 및 [C]의 요부 분해 정면도(하부의 두 일점 쇄선 원 내에는 각각 제1드럼(10)과 슬리브(3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하부 두 에 도시된, 손잡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2구현예를 살펴본다.
도 1 [A]의 제1구현예와 달리 제2구현예의 손잡이 어셈블리(K)는 제2구름수단(B2)을 수용하는 별도의 슬리브(30)가 더 도입되어 있다.
즉, 제1구현예의 상기 제2드럼(20)의 내측턱(25A)은 제2구름수단(B2)을 지지하는 걸림턱(31)을 구비한 분리형 슬리브로 구성·대체된다.
이러한 슬리브(30)의 장점은 도 1 [A]의 수용부(25)를 구성하는 내측턱(25A), 지지턱(25B), 살빼기홈(25C)의 가공(특히 절삭 가공) 어려움을 개선하고, 베어링(B2)과 접촉하여 마모되는 부위로 손잡이만의 수리 용이성을 보장하게 되어 마모로 구름성이 저하되고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슬리브만을 교체하면 된다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이러한 마모와 관련된 보수 및 교체 용이성 장점은 피스화 된 제1드럼(10)에서도 보장된다).
또 슬리브(30)의 도입을 위하여 상기 제2드럼(20)은 상기 슬리브(30)가 걸리는 멈춤턱(29a)을 구비한 장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30)는 장착부와의 접면에 경량성 확보를 위한 살빼기홈(33)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2구현예에서 제2링크(Lb)의 자유단부(L2), 특히 결합홈(L3)에는 볼트(50)가 결합되며, 이 볼트 헤드(51)에 의하여 제2구름수단(B2)이 내측으로 가압되고,
제2구름수단(B2)은 슬리브(30)의 걸림턱(31)을 가합하고,
슬리브(30)의 내측 외면부는 장착부(29)의 멈춤턱(29a)을 가압하여 제2드럼(20)을 누르고,
제2드럼(20)의 내측단부는 제1드럼(10)을 가압하고, 제1드럼(10)의 제한턱(11)은 제1구름수단(B1)의 외측단부를 가압하게 되어 역시 조립된 분체화·피스(pieces)화 구성요소들의 확고한 고정이 보장된다.
도 1의 제1 및 제2 구현예에서는 공히, 상기 제2드럼(20)의 외측에는 마감캡(40)이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2드럼(20)은 나선부(27A)를 갖는 제2결합부(27)를 갖고, 마감캡(40)은 제2결합부(27)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41)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 양 암수 결합부(27A)(41)은 상호 뒤바뀐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또 제2드럼(20)은 제2결합부(27)에 안치턱(27b)이 구비되어 마감캡(40)의 안치부(43)와 꼭 맞는 형태여서 역시 외부에서 볼 때 마치 한 몸으로 형성한 것과 같이 일체감을 주는 연결부를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마감캡은 조립 및 유지·보수를 인한 분해를 보장하도록 공구결합부(45), 특히 일자 드라이이버 결합홈(도 1 [C] 우측 일점쇄선 원 내의 마감캡 외측면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드럼'(제1 및 제2)이라는 용어는 제2링크 및 구름수단의 수용을 위하여 중공을 갖는 형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 구름수단(B)과 관련하여 '제1' 및 '제2' 구름수단(B1,B2)으로 별도로 도입,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가경쟁력이나 가공정밀도, 구름성, 조립성 등을 고려한 것이며, 하나 또는 셋 이상의 구름수단이 도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구름수단을 도입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제1드럼의 제한턱(11)과 제2드럼의 내측턱(25A) 사이(도 1의 [A]의 제1구현예의 경우) 또는 제1드럼의 제한턱(11)과 슬리브의 걸림턱(31) 사이에 단일 구름수단이 개재되어 수용되는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의 제원이나 가공방법, 조립방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 낚시릴 K: 손잡이
L: 크랭크 La,Lb: 제1, 제2 링크
B,B1,B2: 구름수단 10: 제1드럼
11: 제한턱 13: 수결합부
20: 제2드럼 21: 장식부
23: 제1결합부 25: 수용부
25A: 내측턱 25B: 지지턱
25C: 살빼기홈 27: 제2결합부
29: 장착부 29A: 멈춤턱
30: 슬리브 31: 걸림턱
40: 마감캡 41: 수나사부
50: 볼트 51: 헤드

Claims (4)

  1. 낚시릴의 샤프트와 연결된 제1링크와, 제1링크와 절곡되어 이어진 내측 연결단부와 외측 자유단부를 갖는 제2링크로 이루어진 크랭크; 및
    상기 제2링크의 연결단부에 제1구름수단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1드럼, 그리고
    상기 제2링크의 자유단부에 제2구름수단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고, 제1드럼과 결합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손잡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드럼은 제2구름수단을 지지하는 내측턱을 갖는 수용부를 갖고,
    상기 제2링크의 자유단부에는 볼트가 결합되며, 이 볼트 헤드에 의하여 제2구름수단이 내측으로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드럼의 내측턱은 제2구름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분리형 슬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2드럼은 상기 슬리브가 걸리는 멈춤턱을 구비한 장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드럼의 외측에는 마감캡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KR1020120000395A 2012-01-03 2012-01-03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KR10128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395A KR101282412B1 (ko) 2012-01-03 2012-01-03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395A KR101282412B1 (ko) 2012-01-03 2012-01-03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412B1 true KR101282412B1 (ko) 2013-07-04

Family

ID=4899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395A KR101282412B1 (ko) 2012-01-03 2012-01-03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351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541A (ja) 2003-02-04 2004-08-2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2006304688A (ja) 2005-04-28 2006-11-0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KR20090113756A (ko) * 2008-04-28 2009-11-0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541A (ja) 2003-02-04 2004-08-2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2006304688A (ja) 2005-04-28 2006-11-0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KR20090113756A (ko) * 2008-04-28 2009-11-0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351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핸들노브 경량화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412B1 (ko) 조립성 및 경량성이 향상된 낚시릴 손잡이 어셈블리
JP6175160B2 (ja) 計時器用部品の内側要素
US20190176045A1 (en) Spinning top and spinning top production method
US20200100975A1 (en) Cremation urn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2114510B (zh) 具有附接表耳的时计
KR200460774Y1 (ko) 낚시대 손잡이
CN205523375U (zh) 可适用于多种汽车型号pcd尺寸规格的改装轮毂
KR20190112450A (ko) 낚시 릴용 교체형 핸들
CN207574661U (zh) 一种可转动珠宝首饰
CN205813320U (zh) 一种纺车式渔线轮
CN201957912U (zh) 组合式饰带
CN210343963U (zh) 一种陶瓷定位销
CN218999302U (zh) 一种镂空结构的轻量化渔线轮
CN102677424A (zh) 滚筒洗衣机门圈结构
CN204143092U (zh) 一种新型的螺旋式镜脚
CN204969841U (zh) 具弹性组装机构的饰品
CN202003835U (zh) 扁圆形绕线铝模
JP2003295122A (ja) 眼鏡におけるテンプル意匠の可変機構
CN201914022U (zh) 高强度小轮径车轮
CN205018408U (zh) 新型贝壳钮扣
CN207225582U (zh) 定位销式一体轮内置变速器结构
CN205018410U (zh) 新型装饰钮扣
CN201899008U (zh) 装饰珠收藏盒
CN201670034U (zh) 新型铁艺花篮
CN211379897U (zh) 一种新型的可360°自由滑动的珠宝工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