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363B1 -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363B1
KR101058363B1 KR1020040032093A KR20040032093A KR101058363B1 KR 101058363 B1 KR101058363 B1 KR 101058363B1 KR 1020040032093 A KR1020040032093 A KR 1020040032093A KR 20040032093 A KR20040032093 A KR 20040032093A KR 101058363 B1 KR101058363 B1 KR 101058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master gear
spinning reel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894A (ko
Inventor
니시카와토모히로
히라오카히로카즈
히토미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9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overhead or roll-up doors, e.g. garage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05B2015/026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pivoting or til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744Hand cran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베어링의 떼어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마스터 기어(7)는, 핸들축부(1a)가 나사 끼움되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축부(7a)와, 축부(7a) 외주에 일체 성형되어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기어부(7b)와, 축부(7a)의 양 단부(端部) 외주(外周)에 장착되는 스텐레스 합금제의 환상부(環狀部)(7c)를 가지고 있다. 축부(7a)는, 베어링(15a, 15b)에 의하여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통상(筒狀) 부재이다. 기어부(7b)는, 축부(7a)의 베어링(15a, 15b)보다 내측 외주에 일체 성형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원판상 부재이다. 환상부(7c)는, 축부(7a)의 베어링(15a, 15b)보다 외측의 양 단부 외주에 장착된 스텐레스 합금제의 환상 부재이다.
마스터 기어, 피니언 기어, 축부, 환상부, 베어링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MASTER GEAR FOR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배면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감속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로터의 정면도.
도 7은 상기 로터의 우측면도.
도 8은 상기 로터의 좌측면도.
도 9는 고정축 커버의 단면도.
도 10은 마스터 기어의 단면도.
도 11은 상기 마스터 기어 단부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의 도 11에 상당하는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들 1a: 핸들축부
 2: 릴 본체 3: 로터
 4: 스풀 7: 마스터 기어
 7a: 축부 7b: 기어부
 7c: 환상부 7g: 내플랜지부
 7h: 통상부 7i: 외플랜지부
 9: 피니언 기어 15a, 15b: 베어링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핸들의 회전을 로터에 전달하기 위한 마스터 기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와, 로터의 전방에 설치되어 외주(外周)에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가지고 있다. 로터는, 스풀축의 외주측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회전한다. 스풀은,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를 가지는 오실레이팅 기구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는, 피니언 기어와 직교하는 축부를 가지는 마스터 기어에 맞물려,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한다. 마스터 기어의 축부의 양 단측 외주는, 베어링 등에 의하여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의 축부에는, 핸들이 장착됨과 함께, 외주에 기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닝 릴에서는, 핸들이 마스터 기어의 축부에 나사 끼움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83531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핸들이 경금속제의 마스터 기어의 축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종류의 마스터 기어의 축부에서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마스터 기어의 축부를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터 기어의 축부를 경금속에 의하여 형성하면, 일반적으로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마스터 기어의 축부에 핸들을 장착하면, 핸들의 선단부(先端部)가 밀어 넣어져, 축부의 단부가 좌굴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축부의 단부가 좌굴하면, 축부의 단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부풀어 올라버릴 우려가 생긴다. 축부의 단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면, 베어링을 떼어내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베어링의 떼어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나사식의 핸들의 회전을 로터에 전달하기 위한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핸들이 나사 끼움되는 암나사부를 단부에 가지고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경금속제의 축부와, 축부의 회전 지지 부분보다 내측 외주에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부와, 일부 또는 전부가 축부의 회전 지지 부분보다 외측의 단부 외주에 장착되어 축부보다 경질인 금속제의 환상부(環狀部)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마스터 기어에서는, 경금속제의 축부의 단부 외주에는, 경질인 금속제의 환상부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의 선단부가 밀어 넣어져도, 환상부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축부의 단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축부의 단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베어링의 떼어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1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축부는 내주에 핸들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통상(筒狀) 부재이다. 이 경우, 축부와 핸들의 장착이 확실하게 된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1 또는 2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축부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이 경우, 축부의 가공이 용이하게 됨과 함께, 축부를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1 또는 2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축부는, 마그네슘 합금제이다. 이 경우, 축부를 한층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1 또는 2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환상부는, 스텐레스 합금제이다. 이 경우, 축부보다 경질인 금속인 스텐레스 합금에 의하여 환상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축부의 단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1 또는 2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축부와 환상부 간에는, 절연체제의 액상 또는 겔상의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의 축부와 스텐레스 합금제의 환상부의 전해(電解)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재가 접착제인 경우에는 환상부의 부착 고정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1 또는 2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기어부는 축부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기어부 및 축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1 또는 2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기어부는, 축부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기어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됨과 함께, 기어부와 축부를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1 또는 2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환상부는, 축부의 축 방향 단부에 내측으로 꺾이는 내플랜지부와, 축부의 단부 외주부에 내플랜지부로부터 기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박판상(薄板狀)의 통상 부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내플랜지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환상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9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통상부는, 축부의 회전 지지 부분보다 외측의 단부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회 전 지지부로서 예를 들어 베어링을 릴 본체에 설치한 경우, 베어링보다 외측의 축부 외주에 통상부가 장착되고, 통상부보다 내측의 축부가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축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9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통상부는, 축부의 회전 지지 부분보다 외측의 단부 외주로부터 축부의 회전 지지 부분보다 내측의 단부 외주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회전 지지부로서 예를 들어 베어링을 릴 본체에 설치한 경우, 축부 외주에 장착된 통상부가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축부의 단부 외주의 전체에 걸쳐서 통상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부의 단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발명 12에 관련되는 마스터 기어는, 발명 11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환상부는, 축부의 회전 지지 부분보다 내측의 단부 외주의 통상부의 기어부측의 단부가 외측으로 꺾이는 외플랜지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회전 지지부로서 예를 들어 베어링을 릴 본체에 설치한 경우, 베어링의 기어부측 단면에 계지(係止) 가능하게 외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환상부의 축부에 대한 접착이 벗겨져도 외플랜지부가 베어링에 계지되기 때문에, 환상부가 축부의 외측으로 이반(離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은, 도 1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을 가지고,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3)와,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된 전후 이동하는 스풀(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피닝 릴은,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 구동하는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4)을 전후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내부에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를 수납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도 1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이 개구(開口)하는 케이스부(10)와, 케이스부(10)의 양측을 각각 막는 제1 덮개부(11) 및 제2 덮개부(12)와, 케이스부(10)에 일체 형성된 장대 부착부(13)와, 케이스부(10), 제1 덮개부(11) 및 제2 덮개부(12)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14)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부(10)는, 예를 들어 표면에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마그네슘 합금제의 경량이고 또한 비강도를 유지 가능한 부재이고, 로터 구동 기구(5)나 오실레이팅 기구(6)를 수납 지지하기 위한 수납 공간(10a)을 형성할 수 있는 양면이 개구한 프레임상(狀)의 부재이다. 케이스부(10)는, 깊이 (도 3 지면(紙面) 직교 방향)가 거의 같은 치수로 형성된 것이다. 케이스부(10)의 전면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의 원웨이클러치 (후술)나 피니언 기어 (후술) 등이 장착되는 원판상의 기구 지지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후부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의 전환 조작부 (후술)가 지지되는 조작 지지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구 지지부(10b)의 후방에는, 피니언 기어 및 전환 조작부를 지지하기 위한 중간 지지부(10d)가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는, 비강도 및 내식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 제의 부재이고, 케이스부(10)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7)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는, 도 1 및 도 4로부터 명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의 일면측의 개구 중, 핸들(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7)를 덮는 제1 커버부(11a)와, 제1 커버부(11a)로부터 후방 (도 1에 파선으로 도시한 부분보다 후방)의 개구가 노출하는 제2 노치부(11b)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2 노치부(11b)를 만든 것은, 제1 덮개부(11)와 커버 부재(14)의 중복 부분을 가급적으로 줄여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제1 덮개부(11)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7)의 일단을 마스터 기어(7)의 배면측에서 지지하는 제1 보스부(11c)가 벽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부(11)의 앞부분에는, 로터(3)의 내부로 들어가는 원판부를 구성하는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11d)의 앞부분에는, 기구 지지부(10b)의 후면에 배치되고 기구 지지부(10b)의 외주면과 대략 면일로 구성되는 대략 반원호상의 제1 기구 수납 커버(11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에는 마스터 기어(7)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터 기어(7)에 큰 부하가 작용했을 때, 제1 보스부(11c)에는 큰 힘이 작용하기 쉽다. 그래서, 제1 덮개부(11)는 비강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 금속제로 하고 있다. 제1 덮개부(11)의 전하부에는, 커버 부재(14)를 장착함과 함께, 세정시의 물기 제거나 윤활유의 충전 등의 정비를 행하기 위한 제1 나사 구멍(11f)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덮개부(12)는, 제1 덮개부(11)와 대략 대칭인 경상 관계의 형상이고, 제2 커버부(12a), 제2 노치부(12b), 제2 보스부(12c), 제1 플랜지부(11d)와 대략 경상 관계의 형상의 제2 플랜지부(12d), 및 기구 수납 커버(12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나사 구멍(12f) (도 2 참조)도 제1 나사 구멍(11f)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11d) 및 제2 플랜지부(12d)는, 케이스부(10)의 기구 지지부(10b) 후면의 외주면에서 원형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부분이 로터(3)의 후면에 약간의 간극에 맞게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덮개부(12)는 마스터 기어(7)로부터 비교적 멀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보스부(12c)에는 큰 힘은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나일론(66) 등의 합성 수지제로 하고 있다. 제2 보스부(12c)는, 마스터 기어(7)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해서 제2 덮개부(12)의 벽면의 제1 보스부(11c)와 대향하는 대략 중앙 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부(11) 및 제2 덮개부(12)는 예를 들어 둥근머리 나사와 같은 고정 나사(19)에 의하여, 케이스부(1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 및 제2 덮개부(12)의 고정 방법은,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이스부(10)를 관통시켜 한쪽의 덮개부로부터 다른 쪽의 덮개부로 나사 끼움하도록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장대 부착부(13)는, 케이스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T자 형상의 부재이고, 선단에 형성된 전후로 연장되는 릴 다리(13a)가 낚싯대에 릴 시트 (도시하지 않음)에 장착 가능하다. 덧붙여, 장대 부착부(13)는 경량화 및 두께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면 및 전면에 두께 함몰부(13b, 13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제1 덮개부(11) 및 제2 덮개부(12)를 장착한 상태의 케이스부(10)를 후방으로부터 측부 및 바닥부를 덮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제1 덮개부(11) 및 제2 덮개부(12)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1 노치부(11b) 및 제2 노치부(12b)를 막음과 함께, 릴 본체(2)의 후단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측면 및 후면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ABS 수지 등의 비교적 경질의 합성 수지제이고, 표면에 금속 도금이 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전단 측부의 제1 나사 구멍(11e) 및 제2 나사 구멍(12e)에 대향하는 위치에 계단식의 나사 장착 구멍(14a, 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장착 구멍(14a, 14b)에 제1 나사 구멍(11f) 및 제2 나사 구멍(12f)에 나사 끼움되는 나사 부재(14c)가 장착되어 커버 부재(14)를 제1 덮개부(11) 및 제2 덮개부(12)에 고정함과 함께 정비시에 열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커버 부재(14)는 후단 하면에서 케이스부(10)의 하면에 나사 끼움된다. 나사 부재(14d)에 의해서도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릴 본체(2)에서는, 제1 덮개부(11)가 경량이고 또한 비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제이기 때문에, 마스터 기어(7)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비교적 힘이 작용하기 쉬운 제1 덮개부(11)의 비강도를 높게 유지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어(7)로부터 멀어 그다지 큰 힘이 작용하기 어려운 제2 덮개부(12)는 합성 수지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부(10)가 마그네슘 합금제이기 때문에, 릴 본체(2) 전체로서, 비강도를 유지하 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의 핸들축부(1a)가 나사 끼움 고정되는 마스터 기어(7)와, 마스터 기어(7)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9)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터 기어(7)는, 도 10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부(1a)가 나사 끼움되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축부(7a)와, 축부(7a) 외주에 일체 성형되고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기어부(7b)와, 축부(7a)의 양단부 외주에 장착되는 스텐레스 합금제의 환상부(7c)를 가지고 있다.
축부(7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제1 덮개부(11) 및 제2 덮개부(12)에 형성된 제1 보스부(11c) 및 제2 보스부(12c)에 장착된 베어링(15a, 15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통상 부재이다. 축부(7a)의 양단 내주부에는, 핸들축부(1a)가 나사 끼움 가능한 암나사부(7d, 7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7d, 7e)는,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나사가 조여지는 방향의 나사이다. 따라서, 도 2 좌측의 암나사부(7d)는 왼나사이고, 우측의 암나사부(7e)는 오른나사이다. 덧붙여, 핸들(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왼쪽 위치와 도 2에 도시하는 오른쪽 위치와의 축부(7a)의 양단의 어디에서도 장착 가능하다. 그러나, 암나사부(7d, 7e)의 나사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핸들축부(1a)를 좌우에 장착하는 경우, 각각 전용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덧붙여, 도 2에는 왼쪽 핸들용의 핸들축부(1a)가 도시되어 있다.
기어부(7b)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a)의 베어링(15a, 15b)보다 내측 외주에 일체 성형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원판상 부재이고, 피니언 기어(9) 에 맞물리는 페이스 기어이다.
환상부(7c)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a)의 베어링(15a, 15b)보다 외측의 양단부 외주에 장착된 스텐레스 합금제의 환상부재이고, 내주부에 핸들축부(1a)를 관통 가능하다. 환상부(7c)는, 도 11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a)의 축 방향 단부에 접하도록 내측으로 꺾이는 내플랜지부(7g)와, 축부(7a) 단부 외주부에 내플랜지부(7g)로부터 기어부(7b)를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부(7h)를 가지고 있다. 내플랜지부(7g)의 내주부에는 핸들축부(1a)를 관통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7a)의 단부 외주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통상부(7h)의 두께만 소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7f)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통상부(7h)와의 외주부가 베어링(15a, 15b)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상부(7h)의 선단부는, 축부(7a)의 단차부(7f)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이 때문에 환상부(7c) 자체가 압축되어 좌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상부(7c)와 축부(7a) 간에는, 절연체 재료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이루어지는 액상 또는 겔상의 접착제가 충전되고, 이것에 의하여 환상부(7c)가 축부(7a)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는, 중공(中空) 통상의 부재이고, 앞부분이 로터(3)를 관통하여 로터(3)를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9)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6)이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에는 너트(17)가 장착되어 있고, 너트(17)에 의하여 로터(3)가 피니언 기어(9)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8a, 18b)에 의하여 릴 본체(2)의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18a)은, 기구 지지부(10b)에 장착되고, 베어링(18b)은, 중간 지지부(10d)에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의 후단측에 형성된 기어부(9b)에는, 환상의 노치부(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의 노치부(9c)는, 감속 기구(20, 후술)를 컴팩트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감속 기구(20)와, 감속 기구(2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나선축(21)과, 나선축(21)에 계합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슬라이더(22)를 스풀축(16) 방향으로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축(23a, 23b)을 가지고 있다.
감속 기구(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대경 기어(25a) 및 소경 기어(25b)를 가지는 계단식 기어부(25)와, 소경 기어(25b)에 맞물리는 제1 중간 기어(26a) 및 제1 중간 기어(26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중간 기어(26b)를 가지는 중간축(26)과, 나선축(21)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 중간 기어(26b)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27)를 구비하고 있다.
계단식 기어부(25)는, 피니언 기어(9)와 평행한 축 둘레를 회전한다. 대경 기어(25a)는,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나사 기어이다. 소경 기어(25b), 제1 중간 기어(26a), 제2 중간 기어(26b) 및 종동 기어(27)는, 모두 나사 기어이고, 중간축(26)은, 계단식 기어부(25)와 어긋나는 축 둘레를 회전하고, 종동 기어(27)가 장착된 나선축(21)은, 중간축(26)과 어긋나고 또한 피니언 기어(9)와 평행한 축 둘레를 회전한다. 중간축(26)의 제2 중간 기어(26b)는, 피니언 기어(9)의 노치부(9c)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노치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나선축(21)을 피니언 기어(9)에 근접하여 배치시킬 수 있어, 릴 전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감속 기구(20)에서는, 피니언 기어(9)의 회전이 크게 감속되어 나선축(21)으로 전달된다.
나선축(21)은, 표면에 교차하는 나선상의 홈(21a)이 형성된 부재이고, 스풀축(16)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나선축(21)은, 케이스부(10)의 전후단에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나선축(21)은, 케이스부(1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고, 케이스부(10)의 후면에 나사로 멈춤 고정된 고정판(54)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내부에 나선축(21)의 홈(21a)에 계합하는 계합 부재(22a)가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스풀축(16)의 후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계합 부재(22a)의 선단이 홈(21a)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나선축(21)의 회전에 따라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스풀축(16)을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 이동시킨다.
가이드축(23a, 23b)은 슬라이더(22)를 관통하고 있고, 슬라이더(22)를 스풀축(16)을 따라 안내한다. 가이드축(23a)은, 케이스부(10)의 후단과 중간 지지부(10d) 간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23a)은, 케이스부(1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고, 나선축(21)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판(54)에 의해 후단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23b)은, 케이스부(10)의 전후단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23b)은 케이스부(10)의 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 다. 가이드축(23b)의 앞부분에는, 제1 덮개부(11)의 앞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나사(19)가 접촉 가능하고, 이 고정 나사(19)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로터(3)는, 낚싯줄 안내부가 한쪽의 로터암에만 장착된, 이른바 무베일 타입의 것이다.
로터(3)는, 도 3, 도 6으로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를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 본체(30)와, 로터 본체(30)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안내부(31)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30)는, 예를 들어 표면에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마그네슘 합금제이고, 통상의 지지부(32)와, 지지부(32)의 후단부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지지부(32)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로터암(33) 및 제2 로터암(34)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32)는,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테이퍼상으로 직경이 축소한 후에 원통상으로 형성된 대체로 통상의 부재이다. 지지부(32)의 앞부분에는, 전벽(32a)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32a)의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이 관통하는 보스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2b)는,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벽(32a)의 앞부분에서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에는 너트(17)가 나사 끼움되어 있고, 이 너트(17)에 의하여 로터(3)가 피니언 기어(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2)의 앞부분에는, 스풀축(16)으로의 낚싯줄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의 줄 엉킴 방지 부재(35)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암(33)의 선단에는, 낚싯줄 안내부(31)가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 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암(33)의 내부에는, 낚싯줄 안내부(31)의 요동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연동 기구(4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암(33)의 직경 방향 외주측은 제1 커버 부재(36)에 의하여 덮여 있다.
제2 로터암(34)은, 제1 로터암(33)과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있고, 직경 방향 외주측은, 제2 커버 부재(37)에 의하여 덮여 있다. 제2 로터암(34)은, 로터(3)의 회전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 설치된 것이다. 이 때문에, 제2 로터암(34)은, 낚싯줄 안내부(31)가 장착된 제1 로터암(33)의 무게 중심 위치에 접근하기 위하여 무게 중심 위치를 전방측으로 편의(偏倚)시키고 있다. 무게 중심 위치를 전방측으로 편의시키기 위해서, 제2 로터암(34)에는 기단측에 개구부(34a)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선단측에 추 부재(38)를 장착하기 위한 추 수납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추 부재(38)는, 예를 들어 텅스텐 합금제이다. 또한, 제2 로터암(34)은,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편의시키기 위해서, 도 7 및 도 8로부터 명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제1 로터암(33)보다 길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암(33)의 낚싯줄 안내부(31)의 요동 축심을 통과하는 제1 직선(L1)과 제2 로터암(34)의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1 직선(L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직선(L2)이 로터 본체(30)의 회전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대략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도록, 제1 로터암(33) 및 제2 로터암(34)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로터암(33) 및 제2 로터암(34)을 배치하면, 낚싯줄 안내부(31)가 회전 축심(X)에 대해서 외측으로 크게 편의 (도 6에서는 제1 직선(L1)에 대해서 외측으로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회 전 밸런스를 한층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줄 엉킴 방지 부재(35)는, 지지부(32)의 원통 부분과 면일로 형성된 원통상의 엉킴 방지부(35a)와, 엉킴 방지부(35a)의 후단부에 중심을 향하여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설상(舌狀)의 장착부(35b)를 가지고 있다. 엉킴 방지부(35a)의 선단은 타 부분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스풀(4) 내부에 침입한 낚싯줄이 로터(3)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엉킴 방지부(35a)의 선단 내주면에는, 회전 밸런스 보정용의 추 부재(39)를 수납하기 위한 추 수납부(35c)가 형성되어 있다. 추 부재(39)도, 예를 들어 텅스텐 합금제이다. 덧붙여 추 수납부(35c)는, 도 3에서는, 개시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로터암(34)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부(31, 후술)가 요동하는 방향으로 제1 로터암(33) 및 제2 로터암(34)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추 수납부(35c)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 안내부(31)가 제1 직선(L1)보다 회전 축심(X)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낚싯줄 안내부(31)에 대해서 회전 축심(X)과 반대측에 배치된 추 부재(39)에 의하여 회전 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다.
줄 엉킴 방지 부재(35)는, 장착부(35b)의 전면으로부터 장착된 2개의 나사 부재(29, 29)에 의하여 전벽(32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벽(32a)의 전면은 줄 엉킴 방지 부재(35)를 장착한 상태로, 장착부(35b)를 포함하여 환상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장착부(35b)를 포함한 평탄면을 전벽(32a)의 전면에 형성하기 위해서, 전벽(32a)에는, 설상의 장착부(35b)가 들어가는 오목부(3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것에 의하여, 스풀(4)측으로부터 이물이 끼어 들어가 부착하여도, 스풀(4)을 떼어내면 이물을 닦아 내기 등 하여 제거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1)는, 낚싯대로부터 스풀(4)로 낚싯줄을 순조롭게 안내하여 스풀(4)에 낚싯줄을 감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부(31)는, 스풀(4)의 권사 몸통부(4a, 후술)의 외주면에 낚싯줄을 안내하기 쉽도록 로터의 회전 축심(X)으로부터 바깥쪽 (도 6 좌방)으로 크게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1)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암(33)의 선단에 장착된 지지 부재(41)와, 지지 부재(41)의 선단에 기단이 고정된 고정축(42)과, 고정축(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안내 가능한 라인 롤러(43)와, 고정축(42)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축 커버(44)와, 고정축 커버(44)의 선단에 설치되어 낚싯줄을 계지하는 낚싯줄 계지부(45)를 가지고 있다.
지지 부재(41)는, 선단에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 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42)은, 지지 부재(41)의 선단에 기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장착 볼트(42a)에 의하여 지지 부재(41)에 고정된다. 고정축(42)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41)의 요동면에 대해서 선단이 스풀(4)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스풀(4)을 향하여 선단이 약간 경사하고 있다. 고정축(42)의 외주에는, 라인 롤러(43)가 한 쌍의 베어링(4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3)는, 외주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환상의 안내홈(47)이 형성되어 있고, 실 꼬임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라인 롤러(43)의 외주면의 양단은, 지지 부재(41) 및 고정축 커버(44)에 의하여 덮여 있다.
고정축 커버(44)는, 고정축(42)과 일체 형성된,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제의 부재이다. 고정축 커버(44)는 고정축(42)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정점(44b)이 고정축(42)의 선단(42a)보다 후방 (도 9 하부)을 향하여 편심하고, 또한 릴 본체(2)측 (도 9 하측)에 낚싯줄 안내면(46c)이 설치된 대략 원추 형상의 부재이다. 고정축 커버(44)의 후면측의 능선 근방의 도 7에 빗금으로 도시하는 영역이 라인 롤러(43)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면(44c)으로 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4)는, 로터(3)를 전방으로부터 보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42)과 동심으로 선단이 스풀(4)을 향하여 경사하여 연장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1)가 줄 감기 자세에 있을 때, 낚싯줄 안내면(46c)은 고정축(42)의 선단측으로부터 낚싯줄 계지부(45)측을 향하여 서서히 릴 본체(2)와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4)의 전면에는, 다른 부분보다 패인 손잡이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 오목부(44a)를 설치하면 낚싯줄 안내부(31)를 줄 감기 자세로부터 줄 개방 자세로 되돌릴 때에 편리하다. 낚싯줄 계지부(45)는, 정점(44b)의 전측에서 능선과 매끄럽게 연속하여 정점(44b)으로부터 돌출하고 선단이 다른 부분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계지부(45)의 선단은 구상(球狀)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낚싯줄 안내부(31)는, 낚싯줄 계지부(45)의 선단이 다른 부분보다 굵기 때문에 한 번 낚싯줄이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되면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낚싯줄 계지부(45) 및 고정축 커버(44)의 정점(44b)이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된 낚싯줄이 낚싯줄 안내면(46c)에 의 하여 라인 롤러(43)의 안내홈(47)으로 확실히 안내된다.
로터(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회전 방지 기구(50)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해제 가능하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케이스부(10)의 기구 지지부(10b)에 장착된 롤러형의 원웨이클러치(51)를 가지고 있다. 원웨이클러치(51)는, 역회전 금지 상태와 역회전 가능 상태 간에 전환 가능하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원웨이클러치(51)를 역회전 금지 상태와 역회전 가능 상태 간에 전환하는 전환 조작부(52)를 더 가지고 있다. 전환 조작부(52)는, 케이스부(10)의 조작 지지부(10c) 및 중간 지지부(10d)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16)에 대해서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장착 가능하고, 채비의 늘어뜨리는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풀(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얕은 홈형의 것이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단부에 권사 몸통부(4a)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선단부에 권사 몸통부(4a)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된 앞플랜지부(4c)를 구비하고 있다.
권사 몸통부(4a)는, 스풀축(16)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고, 로터(3)의 지지부(32) 및 줄 엉킴 방지 부재(35)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4a)는, 선단측 내주에 일체 형성된 전벽부(4d)와, 전벽부(4d)의 내주측에 후방으로 돌출하여 일체 형성된 보스부(4e)를 가지고 있다. 전벽부(4d)에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다수의 투공(4g)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4b)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내경이 다른 다수의 투공(4f)이 형성되어 있다. 앞플랜지부(4c)에는, 권사 몸통부(4a)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직경이 확대하는 테이퍼상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캐스팅 시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방출 저항이 크게 감소한다.
다음으로 스피닝 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동작의 설명에서는 오른손으로 캐스팅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캐스팅 시에는,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감기 자세로 하고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31)에 건 상태로 하여 채비의 늘어뜨리는 길이를 조정한다.
우선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돌려 스풀(4)을 스트로크의 최선단 근처에 배치한 상태에서 낚싯줄 안내부(31)가 소정의 회전 위상이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낚싯줄 안내부(31)의 조작하기 쉬움이나 낚싯줄의 잡기 쉬움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캐스팅하는 경우에는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스풀(4)의 좌측에 배치하면 낚싯줄 안내부(31)를 왼손으로 조작하기 쉽다.
이 상태로 왼손 (낚싯대를 잡는 손의 반대 손)의 손가락 끝으로 낚싯줄 안내부(31)의 고정축 커버(44)를 집어 낚싯줄 안내부(31)를 줄 개방 자세로 요동시킨다. 이 때, 고정축 커버(44)에 손잡이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축 커버(44)를 잡기 쉽게 되고, 낚싯줄 안내부(31)를 잡고 간단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풀(4)에 감긴 낚싯줄을, 왼손으로 잡고 낚싯대를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으로 걸어 캐스팅한다.
캐스팅이 끝나면, 왼손으로 낚싯줄 안내부(31)를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고, 왼손으로 낚싯줄을 잡아 낚싯줄 안내부(31)의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한다.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된 낚싯줄은, 고정축 커버(44)의 낚싯줄 안내면(44c)을 지나 라인 롤러(43)의 안내홈(47)으로 안내된다. 이 상태로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낚싯줄에 약간의 텐션을 걸어 두고 낚시한다.
이 낚싯줄을 걸 때, 낚싯줄 계지부(45)의 선단을 타 부분보다 굵게 하였기 때문에,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된 낚싯줄이 굵은 선단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져, 타 부재에 의해 낚싯줄의 벗어남 방지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낚싯줄을 낚싯줄 계지부(45)에 걸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간소한 구성으로 낚싯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축 커버(44)를 정점(44b)이 후방을 향하여 편심한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낚싯줄 안내면(44c)의 선단측을 능선에 연속하는 기단측보다 릴 본체(2)측에 접근하기 쉬워지고, 낚싯줄 안내면(44c)으로 안내된 낚싯줄은 라인 롤러(43)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낚싯줄 계지부(45)에 낚싯줄을 거는 것만으로 낚싯줄 안내면(44c)을 지나 낚싯줄을 라인 롤러(43)에 안내하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안내된 낚싯줄이 안내면(44b)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낚싯줄을 걸기 쉽고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라인 롤러로부터의 낚싯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채비에 포획물이 걸려 핸들(1)을 돌리면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스풀(4)이 전후 이동한다. 동시에, 핸들(1)의 회전은 축부(7a)를 통하여 마스터 기어(7)로 전달되고, 피니언 기어(9)를 통하여 로터(3)가 회전한다. 또한, 피니언 기어(9)로부터 감속 기구(20)를 통하여 오실레이팅 기구(6)가 동작하여 스풀(4)이 전후 이동한다.
이 때, 제1 로터암(33) 및 제2 로터암(34)이 회전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안내부(31)가 회전 축심(X)에 대해서 외측으로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회전 밸런스를 한층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로터암(34)이나 줄 엉킴 방지 부재(35)에도 밸런스 보정용의 추 부재(38, 39)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밸런스가 한층 정확하게 보정되어 있다.
이 마스터 기어(7)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축부(7a)의 단부 외주에는, 스텐레스 합금제의 환상부(7c)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축부(1a)의 선단부가 밀어 넣어져도, 환상부(7c)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축부(7a)의 단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축부(7a)의 단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베어링(15a, 15b)의 떼어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베일 타입의 스피닝 릴이었지만, 제1 로터암과 제2 로터암 간에 베일을 가지는 스피닝 릴이어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축부(7a)는, 알루미늄 합금제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이더라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환상부(7c)는, 스텐레스 합금제였지만, 이것이외의 경질제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환상부(7c)는, 축부(7a)에 접착되어 있었지만, 다른 고정 수단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스터 기어(7)는, 축부(7a)와 기어부(7b)가 일체 성형되어 있었지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a)와 기어부(7b)를 별체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축부(7a)의 암나사부(7d, 7e)의 나사의 방향도 임의의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환상부(7c)는, 축부(7a)의 베어링(15a, 15b)보다 외측의 양단부 외주에 장착되어 있었지만,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a)의 베어링(15a, 15b)보다 외측의 단부 외주로부터 축부(7a)의 베어링(15a, 15b)보다 안쪽의 단부 외주에 걸쳐서 장착하고, 환상부(7c)의 외주가 베어링(15a, 15b)에 지지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환상부(7c)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a)의 축 방향 단부에 접하도록 내측으로 꺾이는 내플랜지부(7g)와, 축부(7a) 단부 외주부에 내플랜지부(7g)로부터 기어부(7b)를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부(7h)와, 통상부(7h)의 기어부(7b)측의 단부가 외측으로 꺾이는 외플랜지부(7i)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외플랜지부(7i)는, 기어부(7b)의 기단부에 환상으로 형성된 홈부(7j)에 간극을 두고 수납되어 있고, 이 때문에 환상부(7c) 자체가 압축되어 좌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환상부(7c)의 축부(7a)에 대한 접착이 벗겨져도 외플랜지부(7i)가 베어링(15a, 15b)에 계지되기 때문에, 환상부(7c)가 축부(7a)의 외측으로 이반(離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경금속제의 축부의 단부 외주에 경질인 금속제의 환상부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축부의 단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의 떼어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2)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나사식의 핸들의 회전을 로터에 전달하기 위한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나사 끼움되는 암나사부를 단부(端部)에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경금속제의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기 회전 지지 부분보다 내측 외주(外周)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부와,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축부의 상기 회전 지지 부분보다 외측의 상기 단부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축부보다 경질(硬質)인 금속제의 환상부(環狀部)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내주(內周)에 상기 핸들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통상(筒狀) 부재인,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알루미늄 합금제인,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마그네슘 합금제인,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스텐레스 합금제인,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와 상기 환상부 간에는, 절연체제의 액상 또는 겔상의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축부와 일체 성형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축부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상기 축부의 축 방향 단부에 내측으로 꺾이는 내플랜지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 외주부에 상기 내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기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부는, 상기 축부의 상기 회전 지지 부분보다 외측의 상기 단부 외주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부는, 상기 축부의 상기 회전 지지 부분보다 외측의 상기 단부 외주로부터 상기 축부의 상기 회전 지지 부분보다 내측의 상기 단부 외주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는, 상기 축부의 상기 회전 지지 부분보다 내측의 상기 단부 외주의 상기 통상부의 상기 기어부측의 단부가 외측으로 꺾이는 외플랜지부를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KR1020040032093A 2003-05-13 2004-05-07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KR101058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4901 2003-05-13
JP2003134901 2003-05-13
JP2003287256A JP4250035B2 (ja) 2003-05-13 2003-08-06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JPJP-P-2003-00287256 2003-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894A KR20040097894A (ko) 2004-11-18
KR101058363B1 true KR101058363B1 (ko) 2011-08-22

Family

ID=3342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093A KR101058363B1 (ko) 2003-05-13 2004-05-07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83906B2 (ko)
JP (1) JP4250035B2 (ko)
KR (1) KR101058363B1 (ko)
CN (1) CN100407916C (ko)
MY (1) MY127697A (ko)
SG (1) SG115673A1 (ko)
TW (1) TWI3114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8515B1 (en) * 2006-04-19 2011-11-09 Ning Tao A double-gear driving mechanism for a reel unit
GB0608383D0 (en) * 2006-04-27 2006-06-07 Fox Int Group Ltd A fixed spool fishing reel
JP2011193855A (ja) * 2010-03-24 2011-10-06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マスターギア組立体
EP2853159B1 (en) * 2013-09-27 2017-04-05 Globeride, Inc. Fishing spinning reel
JP6389370B2 (ja) * 2014-03-28 2018-09-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80093929A (ko) * 2015-12-18 2018-08-22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스피닝 릴
JP6955350B2 (ja) * 2017-03-13 2021-10-27 株式会社シマノ ピニオンギアおよびスピニングリール
KR102083429B1 (ko) * 2017-10-26 2020-03-0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프론트커버의 탈착이 편리한 낚시 릴
JP6976814B2 (ja) * 2017-10-30 2021-12-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7113707B2 (ja) * 2018-09-14 2022-08-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7385525B2 (ja) * 2020-05-18 2023-11-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531A (ja) 1998-09-17 2000-03-2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JP2002034397A (ja) 2000-07-27 2002-02-0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2218868A (ja) 2001-01-24 2002-08-06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2291380A (ja) 2001-03-30 2002-10-08 Daiwa Seiko Inc 魚釣り用リールの構成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641514T3 (da) * 1993-09-08 1998-09-07 Daiwa Seiko Inc Monteringsindretning for håndtag på fiskehjul
JP3839972B2 (ja) * 1998-09-17 2006-11-0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531A (ja) 1998-09-17 2000-03-2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JP2002034397A (ja) 2000-07-27 2002-02-0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2218868A (ja) 2001-01-24 2002-08-06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2291380A (ja) 2001-03-30 2002-10-08 Daiwa Seiko Inc 魚釣り用リールの構成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7697A (en) 2006-12-29
US6983906B2 (en) 2006-01-10
KR20040097894A (ko) 2004-11-18
TW200503615A (en) 2005-02-01
US20040227028A1 (en) 2004-11-18
JP2004357692A (ja) 2004-12-24
CN1550135A (zh) 2004-12-01
SG115673A1 (en) 2005-10-28
JP4250035B2 (ja) 2009-04-08
TWI311463B (en) 2009-07-01
CN100407916C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068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0737885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KR101058363B1 (ko)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US20100059615A1 (en) Fishing reel
KR101000347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337280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フレーム構造
US7665683B2 (en)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KR101080067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TWI294267B (en) Handle attachment structure for fishing reel
JP5566870B2 (ja) ハンドル組立体
KR10108184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447612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US6854677B2 (en) Spinning-reel sounding mechanism
JP402248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02169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12187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07822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4572124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0107863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駆動装置
JP414127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393426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支持部材取付構造
JP409035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H1120628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5189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19672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