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203A - 스피닝 릴의 로터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203A
KR20020089203A KR1020020028457A KR20020028457A KR20020089203A KR 20020089203 A KR20020089203 A KR 20020089203A KR 1020020028457 A KR1020020028457 A KR 1020020028457A KR 20020028457 A KR20020028457 A KR 20020028457A KR 20020089203 A KR20020089203 A KR 20020089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arm
cover
cover member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미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522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3582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570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4536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8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2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로터에 있어서, 강도를 유지하고 경량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로터(3)는, 로터 본체(15)와, 베일 암(16)과 커버 부재(17)를 포함하고 있다. 로터 본체는,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합성 수지제의 원통부(20)와, 원통부의 후단부의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로부터 굴곡하여 상기 원통부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암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로터 암(21, 22)을 포함하고 있다. 베일 암은, 제1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로터 암측에서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커버 부재는, 적어도 제1 로터 암의 외측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로터 본체보다 고강도 소재로 형성되며 로터 본체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이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로터{Rotor of Spinning Reel}
본 발명은, 로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후 이동하는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은, 일반적으로,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안내용 로터와, 로터에 의해 안내된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을 포함하고 있다. 로터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 본체와, 로터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을 포함하고 있다.
로터 본체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부와, 원통부의 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접속부 및 제1 및 제2 접속부로부터 굴곡하여 원통부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암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로터 암을 포함하고 있다. 원통부의 후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큰 링 형상의 대경부를 포함하고 있고, 대경부의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1 및 제2 접속부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베일 암은, 제1 및 제2 로터 암에 줄 권취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줄 권취 자세일 때에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여 감는다. 베일 암은, 제1 및 제2 로터 암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라인 롤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제2 베일 지지 부재를 연결하고 낚싯줄을 라인 롤러로 안내하는 베일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스피닝 릴에서는, 핸들을 회전시키면, 로터가 회전하여 베일 암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로 안내되고 스풀에 감겨진다.
이러한 스피닝 릴의 로터는, 회전 밸런스를 향상시키거나 캐스팅 때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경량화될 필요성이 있다. 로터를 경량화하는 것에 관해서는, 접속부로부터 암부에 걸쳐, 특히 라인 롤러가 장착되는 낚싯줄 안내측의 제1 접속부로부터 제1 암부에 걸쳐서 휨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줄 권취시에 라인 롤러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제1 암부를 외측으로 벌리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고, 이 힘에 저항하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1 접속부와 제1 암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부분은 경량화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강도가 유지되면서 경량화가 가능한 스피닝 릴의 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그 측면 단면도.
도 3은 로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V-IV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상기 다른 실시 형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그 도 5에 상당하는 도.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
도 13은 그 도 4에 상당하는 도.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의 로터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의 로터 주요부의 배면도.
도 16은 스풀의 변형예를 도시되어 있는 단면도.
도 17은 스풀의 변형예를 도시되어 있는 단면도.
도 18은 스풀의 변형예를 도시되어 있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3: 로터
15: 로터 본체
16: 베일 암
17: 커버 부재
17a: 제1 커버부
17b, 17c: 제2 커버부
17e: 제3 커버부
20: 원통부
20a: 대경부
21, 22: 로터 암
21a, 22a: 접속부
21b, 22b: 암부
21c, 22c: 돌기부
41a: 계합홈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후 이동하는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로터에 있어서, 로터 본체와, 베일 암과,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로터 본체는,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합성 수지제의 원통부와, 원통부의 후단부의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로부터 굴곡하여 상기 원통부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암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로터 암을 포함하고 있다. 베일 암은, 제1 및 제2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로터 암측에서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커버 부재는, 적어도 제1 로터 암의 외측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로터 본체보다 고강도 소재로 형성되며 로터 본체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로터에서는, 로터 본체가 합성 수지제이므로 금속제인 것에 비해 경량화를 꾀할 수가 있다. 그러나 합성 수지는 강도적으로는 약하기 때문에 휨강도를 유지하려고 하면 로터 암의 두께를 증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줄 권취시에 힘이 작용하는 제1 로터 암의 외측을 고강도 소재로 형성된 커버 부재로 덮어서, 제1 로터 암을 보강하고 있다. 커버 부재는, 외측으로부터 제1 접속부 및 제1 암부를 덮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삼차원적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로터 암에 힘이 작용할 때, 커버 부재에는 압축력이 아니라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서는, 로터 본체의 힘이 작용하기 쉬운 적어도 제1 로터 암 부분을 커버 부재로 보강하고 있으므로, 작용하는 힘을 커버 부재로 받는 것이 가능하고, 로터 본체의 휨강도를 저감하여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로터에 있어서, 강도를 유지하고 경량화를 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상기 제1 형태의 로터에 있어서, 베일 암은, 제1 및 제2 암부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안내용 라인 롤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제2 베일 지지 부재를 연결하고 낚싯줄을 라인 롤러로 안내하는 베일을 포함하며, 커버 부재는, 제1 로터 암의 제1접속부 및 제1 암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힘이 작용하는 제1 로터 암에만 보강 가능한 커버 부재를 제공하고 제2 로터 암에는 장식을 위한 경량 커버 부재를 제공할 수가 있으므로 로터가 보다 경량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상기 제2 형태의 로터에 있어서, 커버 부재가, 제2 로터 암의 제2 접속부 및 제2 암부의 외측에도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로터 암에도 커버 부재가 설치되므로, 로터의 회전 밸런스를 취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로터에 있어서, 커버 부재는, 원통부의 후면도 가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가 원통부의 후면도 가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의 휨강도를 더욱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로터에 있어서, 커버 부재는, 스텐레스 합금 및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제이다.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의 휨강도를 높게 유지하기 쉽다. 또한, 스텐레스 합금의 경우에는 커버 부재의 내식성을 향상할 수 있고,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에는 성형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형상에 대응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로터에 있어서, 커버 부재는,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로 강화된 섬유 강화 수지제이다. 이 경우에는 휨강도를 유지하고 더욱더 경량화를 꾀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가 채용된 스피닝 릴은, 핸들(1)을 포함하고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전방에 배치된 로터(3)와, 로터(3)의 전방에 배치된 스풀(4)을 포함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릴 본체(2)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2)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이고, 릴 몸체부(2a)와, 릴 몸체부(2a)의 도 1 윗쪽으로 연장하는 대략 "T"자 형상의 장대 장착부(2b)를 포함하고 있다. 릴 몸체부(2a)의 내부에는, 핸들(1)의 회전을 로터(3)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 전달 기구(도시되지 않음)나 핸들(1)이 로터(3)의 회전에 동기하여 스풀(4)을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릴 몸체부(2a)의 후단 하부는, 오실레이팅 기구를 수납하기 위해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되어 있다. 이 돌출부에는,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레스 성형된,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제 등의 경질 금속제의 커버 플레이트(10)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10)와 릴 몸체부(2a)의 사이에는 릴 본체(2)의 전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합성 수지제의 절연 부재(11)가 개재(介在)되어 있다.
로터(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 본체(15)와, 로터 본체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암(16)과, 로터 본체(15)의 후부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보강용 커버 부재(17)를 포함하고 있다.
로터 본체(15)는, 예를 들어, 나일론 66 등의 합성 수지제이고, 원통부(20)와, 원통부(20)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 로터 암(21, 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각 부분들은 경량화를 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0)는,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큰 링 형상의 대경부(20a)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 로터 암(21, 22)은, 대경부(20a)의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터 암(21, 22)은, 대경부(20a)의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경부(20a)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접속부(21a, 22a)와, 제1 및 제2 접속부(21a, 22a)로부터 굴곡하여 원통부(20)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암부(21b, 22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 접속부(21a, 22a)는, 대경부(20a)의 외주면으로부터 끝이 가늘어지도록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후 만곡하여 제1 및 제2 암부(21b, 22b)에 각각 연속하고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접속부(21a, 22a) 및 제1 및 제2 암부(21b, 22b)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경계부로 되어 있고, 경계부로 둘러싸인 외측 부분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로터 암(21)측의 외측 공간에는, 베일 암(16)을 줄 권취 자세와 줄 개방 자세에 유지하는 것과 함께,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키는 베일 반전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접속부(21a, 22a) 및 제1 및 제2 암부(21b, 22b) 중, 제1접속부(21a) 및 제1 암부(21b)의 만곡 부분에는, 줄 권취시에 제1 로터 암(21)이 외측으로 벌어질려고 하는 때에 큰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이 힘은 커버 부재(17)로 받으므로, 이 부분의 두께도 종래의 것보다 얇아지게 되어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베일 암(16)은,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베일 암(16)은, 제1 및 제2 로터 암(21, 22)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25, 26)와, 제1 베일 지지 부재(25)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라인 롤러(27)와, 선재로 구성되고 만곡한 베일(29)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25)는, 라인 롤러(27)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고정축 커버(28)를 포함하고 있고, 베일(29)은 고정축 커버(28)와 제2 베일 지지 부재를 연결하고 있다.
커버 부재(17)는,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서 두께가 얇아지고 휨강도가 저감된 로터 본체(15)를 보강함과 함께, 로터(3)의 다른 부분에 접촉하기 쉬운 부분을 가려서 로터(3)를 보호하고 손상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다. 커버 부재(17)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로터 본체(15)보다 고강도 소재로 만들어진 부재이며, 높은 휨강도를 가지고 있다. 커버 부재(17)는, 제1 및 제2 로터 암(21, 22)의 외측 공간을 가리도록 후방(도 2 우측)으로부터 로터 본체(15)에 장착 가능하다. 커버 부재(17)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만곡한 단부를 로터 본체(15)의 단부에 맞댄 상태로 로터 본체(15)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삼차원적으로 만곡한 형상이다.
커버 부재(17)는, 대경부(20a)의 외주면 및 그 후면 및 제1 및 제2접속부(21a, 22a)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17a)와, 제1 커버부(17a)의 양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제1 및 제2 암부(21b, 22b)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한 쌍의 제2 커버부(17b, 17c)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버부(17a)의 중심에는, 원통부(20)의 후단면에 끼워 넣어지는 원형의 개구(17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부(17a)에는, 개구(17d)를 사이에 두고 관통공을 포함하는 보스부(31a, 31b)가 형성되어 있고, 보스부(31a, 31b)에 삽입된 소나사(32a, 32b)에 의해 로터 본체(15)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제2 커버부(17b, 17c)에도 각각 관통공 부착 보스부(33a, 33b)가 형성되어 있고, 보스부(33a, 33b)에 삽입된 소나사(34a, 34b)에 의해 로터 본체(15)에 체결되어 있다.
제1 커버부(17a) 및 제2 커버부(17b)가 로터 본체(15)를 가리는 부분에서 표면과 교차하는 단면의 폭방향의 양단은, 도 4(제1 커버부(17a)) 및 도 5(제2 커버부(1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 본체(15)의 폭방향의 양단보다 돌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커버부(17a) 및 제2 커버부(17b, 17c)의 폭방향 치수 W1 및 W2는, 로터 본체(15)의 대경부(20a) 및 로터 암(22)의 치수 W3 및 W4보다 1 mm 크다. 이러한 치수로 하면, 양단에서 제1 및 제2 커버부(17a, 17b, 17c)가 로터 본체(15)보다 0. 5 mm 돌출한다. 그리고 상기 치수 W1와 W2의 차이는, 0. 5 mm∼6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커버부(17a, 17b, 17c)의 치수 W1 및 W2와 로터 본체(15)의 치수 W3 및 W4와의 차이가 0. 5 mm 미만이면, 양단에서 0. 25 mm 미만 밖에 제1 및 제2 커버부(17a, 17b, 17c)가 돌출하지 못하고, 로터 본체(15)와의 단차가 너무 작아서, 로터 본체(15)에 어떤 것이 접촉하기 쉬워진다. 또한, 6 mm를초과하면, 양단에서의 돌출량이 너무 커져서, 단차 부분이 눈에 띄어서 미관상 안 좋아지는 것과 동시에, 단차 부분에 쓰레기 등의 이물이 퇴적되기 쉬워진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플랜지 부착 원통형 부재이다. 스풀(4)은, 로터(3)의 회전에 동기하여 전후 이동하여, 베일 암(16)에 의해 안내된 낚싯줄을 외주면에 대략 균일하게 권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피닝 릴에서는, 휨강도가 강한 커버 부재(17)가 접속부(21a, 22a)의 굴곡 부분을 커버하여 보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줄 권취시에 제1 로터 암(21)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라인 롤러(27)에 힘이 작용해도, 제1 로터 암(21)이 벌어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로터 본체(15)의 두께 저감을 꾀해서 휨 강도가 저하하더라도, 로터 전체로서는 충분한 휨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더욱이 커버 부재(17)가 로터 본체(15)를 가리는 것과 동시에 로터 본체(15)보다 돌출하고 있으므로, 로터 본체(15)에 어떤 것이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로터 본체(15)가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로터(3)의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서 로터 본체(15)를 합성 수지제로 하여 휨강도가 저하하더라도, 로터 전체의 휨강도가 부족하지는 않다.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커버부(17a)와 한 쌍의 제2 커버부(17b, 17c)를 일체로 형성했지만,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것들을 별도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커버부(117a)의 양단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 이부(118a, 118b)를 형성하고, 로터 본체(15)에 제1 커버부(117a)를 체결함과함께, 그 이부(118a, 118b)를 가리도록 제2 커버부(117b, 117c)를 접속부(21a, 22a) 및 암부(21b, 22b)에 체결하면 좋다. 이 때문에, 이부(118a, 118b)에는, 보스부(31a, 31b)가 형성되고, 소나사(32a, 32b)를 캐 커버부(117b, 117c)로부터 보스부(131a, 131b)를 관통시켜 로터 본체(15)에 제1 커버부(117a) 및 제2 커버부(117b, 117c)를 체결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커버부(117b, 117c)는, 보스부(33a, 33b)를 관통하는 소나사(34a, 34b)에 의해도 로터 본체(15)에 체결되어 있다.
(b)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커버부(217a)를 커버하는 제3 커버부(217e)를 더 제공하고, 제2 커버부(217c)를 제1 커버부(217a)와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커버부(217b)를 제3 커버부(217e)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로터(3) 후단에 노출하는 소나사의 개수를 줄일 수가 있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17)가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텐레스 합금제였지만, 커버 부재(17)는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로 강화된 섬유 강화 합성 수지제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경량화도 꾀할 수가 있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본체(15)에 단부를 맞댄 상태로 커버 부재(17)를 장착했지만,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부를 포개어 맞추도록 장착해도 좋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317)에 단차부(317f)를 형성하고, 단차부(317f)가 로터 본체(115)의 외주측을 가리도록 양자를 포개어 맞추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본체(115)의 원통부(120)의 후단부에는 대경부가 형성되고 있지 않고, 원통부(120)의 후단부를 제1 커버부(317a)가 가리고 있다.
또한, 도 10,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본체(215)의 원통부(220)의 외주부에 단차부(215a)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215a)를 커버 부재(417)의 단차부(417f)로 가리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 비해,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줄일 수가 있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17)측(외측)으로부터 커버 부재(17)를 로터 본체(15)에 장착했지만,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커버부(517a)를 로터 본체(15)측으로부터 소나사(132a, 132b)에 의해 장착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커버부(517b, 517c)가, 소나사 대신에 요철 감합에 의해 암부(121b, 122b)에 장착되어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암부(121b, 122b)에는, 로터(3)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제1 및 제2 돌기부(121c, 121d, 122c, 122d)가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부(121c, 121d, 122c, 122d)는 대향하도록 안쪽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한편, 커버 부재(517)의 제2 커버부(517b, 517c)의 단부에는, 돌기부(121c, 121d, 122c, 122d)에 계합하는 위치에 계합홈(141a, 142a, 143a, 144a)을 포함하는 계합 부재(141, 142, 143, 14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계합 부재(141∼144)는, 단부 내주측에 암부(121b, 122b)를 향해 돌출하여 로터(3)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한 쌍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 부재(517)를 로터 본체(15)에 장착하는 경우에 슬라이드하여 암부(121b, 122b)에 계합한다.
그리고 상기 요철 계합 대신에, 소나사에 의해 내주측으로부터 제2 커버부(517b, 517c)를 암부(121b, 122b)에 체결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커버 부재(517)의 외측에 소나사나 소나사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이 없어지므로, 커버 부재(517)의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의장상으로도 바람직하고, 또한, 쓰레기 등의 이물이 부착하기 어려워진다.
(f)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17)에 의해 로터 본체(15)의 외측면 모두를 가렸지만, 커버 부재에 의해 제1 로터 암만을 가리도록 해도 좋다.
(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커버부(17a)는 소나사(32a, 32b)에 의해 로터 본체(15)에 체결되어 있었지만,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커버부(617a)에 형성된 계합부(617g)를 로터 본체(315)의 단부에 형성된 피계합부(315b)에 탄성 압입하여 계합해도 좋다. 이 경우는,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1 커버부(617a)를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커버부(617a)는, 제2 커버부(617b, 617c)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2 커버부(617b, 617c)는, 소나사에 의해 제1 암부(21b) 및 제2 암부(22b)에 체결되거나 혹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나사 대신에 요철 감합에 의해 제1 암부(21b) 및 제2 암부(22b)에 장착해도 좋다. 요철 감합에 의해 제2 커버부(617b, 617c)를 장착하는 경우는, 제1 커버부(617a)를 로터 본체(315)에 탄성 압입하여 계합하고, 또한, 제1 커버부(617a)와 일체로 성형된 제2 커버부(617b, 617c)를 슬라이드하여 제1 암부(21b) 및 제2 암부(22b)에 요철 감합하므로, 제1 커버부(617a) 및 제2 커버부(617b, 617c)의 장착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또한, 소나사나 소나사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커버부(717a)와 제2 커버부(717b, 717c)를 각각 별체로 형성하고, 제1 커버부(717a)를 로터 본체(415)에 탄성 압입하여 계합하고, 또한, 소나사(35a, 35b)에 의해, 각각 두 곳에서 체결해도 좋다. 이 경우는, 더욱 확실하게 제1 커버부(717a)를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커버부(717a)에는, 제2 커버부(717b, 717c)의 장착시에 있어서 제2 커버부(717b, 717c)에 의해 압압되는 상승 억제부(717h, 717i)가 각각 제2 커버부(717b, 717c)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제1 커버부(717a)가 소나사(35a, 35b)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h) 본 발명이 개시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도 16에 있어서, 스풀(104)은, 스풀축(12)의 선단에 드래그 기구(60)를 거쳐 장착되어 있다. 스풀(104)은, 합성 수지제의 줄 권취 몸통부(7)와, 줄 권취 몸통부(7)의 양단에 배치된 대경의 앞뒤 플랜지부(8a, 8b)와, 뒤 플랜지부(8b)의 외주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부(9)와, 뒤 플랜지부(8b) 및 스커트부(9)를 줄 권취 몸통부(7)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 부재(13)를 포함하고 있다.
줄 권취 몸통부(7)는, 예를 들어 나일론 66 등의 합성 수지제이고, 스풀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것이다. 줄 권취 몸통부(7)는, 내주부에 드래그 기구(60)가 장착되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줄 권취 몸통부(7)의 후단부에는, 너트 부재(13)가 나사 고정되는 수나사부(7a)가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줄 권취 몸통부(7)의 전단부에는, 앞 플랜지부(8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줄 권취 몸통부(7)의 외주면에는, 통 형상의 외장 부재(14)가 장착되어 있다. 외장 부재(14)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두께 0. 6 mm의 얇은 판자를 프레스 성형하여 얻을 수 있는 금속제이다. 외장 부재(14)는, 합성 수지제의 줄 권취 몸통부(7)를 보강함과 함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장착되어 있다. 외장 부재(14)의 전단은, 앞 플랜지부(8a)에 걸쳐 약간 바깥쪽으로 만곡하고 있다. 외장 부재(14)는, 뒤 플랜지부(8b) 및 스커트부(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들에서 대소 2단의 계단식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금속제의 얇은 판자로 뒤 플랜지부(8b) 및 스커트부(9)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스풀(4)의 경량화를 꾀할 수가 있으면서도, 금속 광택이 있는 고급감이 높은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외장 부재(14)에는, 낚싯줄의 권회 시작단의 매듭을 수납하기 위한 관통공(14a)이 뒤 플랜지부(8b)의 근방에 한 개소 형성되어 있다.
줄 권취 몸통부(7)에는, 후술하는 드래그 기구(60)의 작동에 의해 발음하는 드래그 발음 기구(93)가 장착되어 있다. 줄 권취 몸통부(7)의 내주측에는, 전후 한 쌍의 베어링(55, 56)이 장착되어 있고, 줄 권취 몸통부(7)는, 베어링(55, 56)에 의해 스풀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앞 플랜지부(8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줄 권취 몸통부(7)와 일체로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플랜지 형상의 부재이다. 앞 플랜지부(8a)에서 낚싯줄이 접촉하는 외주 부분은 일부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고, 그곳에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 등의 경질 금속의 얇은 판자(예를 들어 0. 6 mm의 두께)를 컬링 가공하여 형성된 커버 부재(19)가 끼워 넣어져 있다. 커버 부재(19)는, 비교적 부드러워서 손상되기 쉬운 합성 수지제의 앞 플랜지부(8a)의 낚싯줄 접촉 부분이 손상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19)는, 앞 플랜지부(8a)의 전면 외측부로부터 외주부를 지나 후면 내주측까지 컬링 가공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9)의 후면측 단부는 외장 부재(14)의 전단 만곡부와 맞대어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앞 플랜지부(8a)를 줄 권취 몸통부와 별체로 하여 전체를 스텐레스 합금제로 해도 흠집은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앞 플랜지부(8a) 전체를 스텐레스 합금제로 하면, 앞 플랜지부(8a)의 중량이 무거워져 스풀(4)의 경량화를 저해한다. 그래서, 합성 수지제의 경량의 앞 플랜지부(8a)의 낚싯줄 접촉 부분에 경질의 얇은 판자제의 커버 부재(19)로 가리기는 것에 의해, 경량화를 꾀하면서 앞 플랜지부(8a)가 손상되기 어렵게 하고, 앞 플랜지부(8a)의 내마모성이나 내구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뒤 플랜지부(8b)는, 원판 형상의 부분이고, 그 후방으로 줄 권취 몸통부(7)의 수나사부(7a)가 돌출하고 있다.
스커트부(9)는, 뒤 플랜지부(8b)의 외주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부분이다. 스커트부(9)에는, 계단식의 요부(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9a)에 낚싯줄의 선단 부분을 계지하기 위한 낚싯줄 계지부(50)가 장착되어 있다. 요부(9a)와 낚싯줄 계지부(50)의 사이에는, 낚싯줄을 협지하기 위한 틈새가 생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13)는, 수나사부(7a)에 나합하여 외장 부재(14), 뒤 플랜지부(8b) 및 스커트부(9)의 일체 형성품을 줄 권취 몸통부(7)에 고정하고 있다. 너트 부재(13)는, 중심에 수나사부(7a)에 나합하는 암 나사부(13a)가 형성된,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탄성을 포함하는 링 부재이다. 너트 부재(13)의 후면에는, 너트 부재(13)을 돌리기 위한 전용 공구를 지지하기 위한 공구 계지부(13b)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낚싯줄 계지부(50)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측단면이 대략 "T" 형상인 부재이고, 너트 부재(13)의 후단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13c)에 장착되고, 돌기(13c)의 선단에 장착된 푸쉬 너트(5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풀(4)을 조립할 때에는, 제조시에 컬링 가공에 의해 커버 부재(19)가 앞 플랜지부(8a)에 끼워 넣어진 상태의 줄 권취 몸통부(7)에 외장 부재(14)를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낚싯줄 계지부(50)를 너트 부재(13)에 장착 고정하고, 너트 부재(13)에 대해서 줄 권취 몸통부(7)를 회전시켜 너트 부재(13)에 수나사부(7a)를 나사 고정하고, 외장 부재(14), 뒤 플랜지부(8b) 및 스커트부(9)의 일체 형성품을 줄 권취 몸통부(7)에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는, 스풀(4)의 앞 플랜지부(8a)가 합성 수지제이고, 또한, 그 낚싯줄 접촉 부분이 경질의 얇은 판자제의 커버 부재(19)로 가려져 있으므로,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을 유지하여 앞 플랜지부(8a)의 경량화를 꾀할 수가 있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스풀(104)에서는, 앞 플랜지부(8a)를 가리는 커버 부재(19a)의 전단을 노출시켰지만,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스풀(204)에서는, 커버 부재(19a)의 전단부의 단차를 고정 부재(40)로 가리고 있다.
도 17에 있어서, 커버 부재(19a)는, 앞 플랜지부(8a)의 전면으로부터 외주부를 지날 수 있는 후면 내주측까지 컬링 가공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9a)의 전면은, 고정 부재(40)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커버 부재(19a)의 후면측 단부는 외장 부재(14)의 전단 만곡부와 맞대어 접촉하고 있다.
고정 부재(40)는, 앞 플랜지부(8a)의 선단부에 복수 개의 볼트(41)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그 후면에서 커버 부재(19a)의 전면(前面)을 누르고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19a)의 전면을 압압하면서 가리면, 커버 부재(19a)를 컬링 가공했을 때에 앞 플랜지부(8a)의 요부와의 단차의 격차가 생겨도 단차가 눈에 띄기 어려워지는 것과 동시에, 단차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려워진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스풀(104, 204)에서는, 앞 플랜지부(8a)를 줄 권취 몸통부(7)과 일체로 형성했지만,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별체로 형성해도 좋다.
도 18에 있어서, 앞 플랜지부(108a)는, 줄 권취 몸통부(107)의 전단 외주 측에 장착되어 있다. 줄 권취 몸통부(107)의 앞부분에는 앞 플랜지부(108a)를 위치 결정함과 함께, 앞 플랜지부(108a)와 매끄럽게 연결하기 위한 돌기부(107b)가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줄 권취 몸통부(107)의 후면에는, 누름 링(113)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외장 부재(114)의 선단은 바깥쪽으로 만곡하고 있지 않고 통 형상이다.
누름 링(113)은, 외장 부재(114), 뒤 플랜지부(108b) 및 스커트부(109)의 일체 성형품을 줄 권취 몸통부(107)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누름 링(113)에 낚싯줄 계지부(50)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앞 플랜지부(108a)는, 줄 권취 몸통부(107)의 전단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고, 줄 권취 몸통부(107)의 내주측에 나합하는 플랜지 고정 부재(42)에 의해 줄 권취 몸통부(107)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 부재(119)는, 앞 플랜지부(108a)의 외주부를 가리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는 플랜지 고정 부재(42)에 의해 가려져 있다.
이와 같이 앞 플랜지부(108a)를 줄 권취 몸통부(107)와 별체로 형성할 경우에도, 앞 플랜지부(108a)의 낚싯줄 접촉 부분을 경질의 얇은 판자재를 컬링 가공하여 얻을 수 있던 커버 부재(119)로 가리는 것에 의해, 경량화를 꾀하면서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 본체의 힘이 작용하기 쉬운 적어도 제1 로터 암 부분을 커버 부재로 보강하고 있으므로, 작용하는 힘을 커버 부재로 받을 수가 있어 로터 본체의 휨강도를 낮게 하여 두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로터에 있어서, 강도를 유지하여 경량화를 꾀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후 이동하는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스피닝 릴의 로터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합성 수지제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부의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로부터 굴곡하고 상기 원통부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암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로터 암을 포함하는 로터 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로터 암측에서 낚싯줄을 상기 스풀로 안내하기 위한 베일 암과,
    적어도 상기 제1 로터 암의 외측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터 본체보다 고강도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 본체를 보강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암은, 상기 제1 및 제2 암부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안내용 라인 롤러와,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베일 지지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낚싯줄을 상기 라인 롤러로 안내하는 베일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로터 암의 제1 접속부 및 제1 암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2 로터 암의 제2 접속부 및 제2 암부의 외측에도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후면도 가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스텐레스 합금 및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제인, 스피닝 릴의 로터.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한 섬유로 강화된 섬유 강화 수지제인, 스피닝 릴의 로터.
KR1020020028457A 2001-05-22 2002-05-22 스피닝 릴의 로터 KR20020089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2267 2001-05-22
JP2001152267A JP2002335822A (ja) 2001-05-22 2001-05-22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1157004A JP2002345368A (ja) 2001-05-25 2001-05-25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JP-P-2001-00157004 2001-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203A true KR20020089203A (ko) 2002-11-29

Family

ID=2661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457A KR20020089203A (ko) 2001-05-22 2002-05-22 스피닝 릴의 로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175236A1 (ko)
EP (1) EP1260138A1 (ko)
KR (1) KR20020089203A (ko)
CN (1) CN1386410A (ko)
SG (1) SG1043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631A (ko) * 2009-01-28 2010-08-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로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0185A1 (en) * 2003-09-11 2005-04-28 Shimano Kk Rotor for spinning reel
JP4963289B2 (ja) * 2007-12-18 2012-06-2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CN101933499B (zh) * 2009-06-29 2013-08-14 大和精工株式会社 钓鱼用旋转卷线器
JP6132543B2 (ja) * 2012-12-20 2017-05-2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389370B2 (ja) * 2014-03-28 2018-09-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664975B2 (ja) * 2016-01-25 2020-03-1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6664974B2 (ja) * 2016-01-25 2020-03-1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08990928B (zh) * 2017-06-07 2021-11-09 纯钓日本公司 钓鱼用纺车式渔轮
WO2020257651A1 (en) 2019-06-21 2020-12-24 Biz Outdoors, Inc. Left handed fish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836B2 (ja) 1998-11-11 2006-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反射型光変調素子及び投写型表示装置
JP4445094B2 (ja) * 1999-10-27 2010-04-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0157004A (ja) 2000-01-01 2000-06-13 Fuji Trailer Seisakusho:Kk 整畦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631A (ko) * 2009-01-28 2010-08-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6410A (zh) 2002-12-25
US20020175236A1 (en) 2002-11-28
EP1260138A1 (en) 2002-11-27
SG104324A1 (en) 200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999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101759072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EP2002716B1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US20060071107A1 (en) 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a fishing reel
KR10129317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20020089203A (ko) 스피닝 릴의 로터
KR100654384B1 (ko) 스피닝 릴의 로우터
KR20060090574A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KR20130111334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및 스피닝 릴
KR2009006620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US7077351B2 (en) Dual-bearing reel
KR100788101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20050027033A (ko) 이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KR10104872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KR100692643B1 (ko) 스피닝릴의 스풀
KR100877307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20100130145A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손잡이
KR20040107370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JP200233582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KR2004007162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장착 구조
KR102054240B1 (ko)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스풀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KR101031523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1071671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및 그 커버 부재
JP200326507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