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492A - 스피닝 릴의 릴 본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릴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492A
KR20080110492A KR1020080052713A KR20080052713A KR20080110492A KR 20080110492 A KR20080110492 A KR 20080110492A KR 1020080052713 A KR1020080052713 A KR 1020080052713A KR 20080052713 A KR20080052713 A KR 20080052713A KR 20080110492 A KR20080110492 A KR 20080110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eel
inclined surface
roto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583B1 (ko
Inventor
히로카즈 히라오카
켄이치 스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8011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01K89/01081Guiding members on rotor axially rearward of spool
    • A01K89/01082Guiding members shiftable on rotor
    • A01K89/01083Guiding members shiftable on rotor to wind position by rotor dri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1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되돌림 부재의 경사면의 구배를 완만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되돌림 부재의 고정을 위한 공간을 작게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릴 본체(2)는 케이스부(2a)와 덮개부(2b)와 되돌림 부재(28)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2a)는, 원통부(27)와, 원통부(27)의 후부(後部)에 배치된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부(24a)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2b)는, 원통부(27)의 후면(後面)에 간극(間隙, 27b)를 두고 배치된 대략 반원형의 제2 플랜지부(24b)를 가지며, 케이스부(2a)에 고정 가능하다. 되돌림 부재(28)는 간극(27b)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되돌림 부재(28)는 간극(27b)에 배치 가능한 판상(板狀)의 배치부(28a)와, 배치부(28a)로부터 제1 플랜지부(24a)에 대향 가능한 위치까지 형성된 돌출부(28b)를 가지고, 돌출부(28b)는, 배치부(28a)로부터 전방(前方)으로 서서히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베일 반전 기구에 접촉 가능한 제1 경사면(28c)을 가지고 있다.
Figure P1020080052713
스피닝 릴, 릴 본체, 케이스부, 덮개부, 원통부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릴 본체{REEL UNIT FOR SPINNING REEL}
본 발명은, 릴 본체, 특히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한 베일 암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는 베일 반전 기구를 가지는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스풀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장대 취부 다리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권사(卷絲)용의 스풀과,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로터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는, 로터의 회전 기구 등의 각종 기구를 장착하는 기구 수납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부와, 기구 수납 공간을 덮는 덮개부를 가지고 있다.
로터에는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베일 암이 취부되어 있다. 로터는 제1 및 제2 로터 암을 가지고 있고, 제1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先端)에 베일 암이 취부되어 있다. 베일 암은, 제1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라인 롤러를 선단에 가지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양 베일 지지 부 재를 연결하는 베일을 가지고 있다. 이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였을 때, 베일 암을 로터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는 베일 반전 기구가 제1 로터 암에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에는, 베일 반전 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한 되돌림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는, 베일 암과 연동하여 릴 본체와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가지고 있고, 되돌림 부재는, 로터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따라 이동 부재를 릴 본체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압압(押壓)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통상, 덮개부는 릴을 전방(前方)으로부터 보아 우측에 배치되고, 로터는 줄 감기 시에 릴을 전방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경사면은 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일 암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반전시키는 타이밍은, 라인 롤러를 가지는 제1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대로부터 멀어진 위치, 즉 케이스부와 덮개부의 맞춤부의 가까이에 제1 베일 지지 부재가 배치될 때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많다. 베일 암 중에서 낚싯대를 잡는 손가락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제1 베일 지지 부재이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타이밍에서 베일 암을 반전시키면, 제1 베일 지지 부재가 손가락으로부터 멀어진다. 이 결과, 베일 암을 반전시켜도 낚싯대를 잡고 있는 손가락에 제1 베일 지지 부재가 접촉하기 어려워져,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되돌림 부재는 릴 본체의 장대 취부 다리부로부터 가급적으로 멀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에 설치된 되돌림 부재에는, 케이스부 의 전면(前面)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이나, 케이스부와 별체로 구성되어 케이스부와 덮개부의 사이에 고정된 것(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이 종래 알려져 있다.
한편, 릴 본체의 전부(前部)에 원통부를 설치하고, 원통부의 전부에 로터의 역전(逆轉)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를 장착 가능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원통부는, 릴 본체의 케이스부에 제1 플랜지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는, 덮개부의 전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부와 함께 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제2 플랜지부와 함께 로터의 후면(後面)을 커버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와 원통부의 후면의 사이에는, 실(seal) 부재를 장착하기 위함 등의 작은 간극(間隙)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53-3219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9916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03879호 공보
케이스부의 전면에 되돌림 부재를 일체 형성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별체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고정 부분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을 위한 공간이나 고정 구조가 불필요하게 되어, 릴 본체의 구성이 간소해진다. 그러나 되돌림 부재는, 안전성을 고려하면 케이스부와 덮개부의 맞춤부의 가까이에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케이스부만으로 경사면을 구성해야 한다. 이 때문에, 경사면의 구배가 가파른 것이 되어, 핸들을 돌려 베일 암을 되돌리는데 필요한 회전력, 이른바 리턴력이 커진다.
또한, 케이스부의 전면에 되돌림 부재를 일체 형성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낚시의 종류나 베일을 제동하는 베일 제동 기구의 유무 등의 사양에 따라서는, 리턴력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러나 되돌림 부재의 경사면의 구배를 변경하려고 하면, 통상은 형성형(型成形)에 의하여 제조되는 케이스부의 금형을 수정하지 않으면 안 되어, 경사면의 구배를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다.
되돌림 부재를 케이스부와 덮개부의 사이에 별체로 고정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경사면을 덮개부 측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면의 구배를 완만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부재가 경사면을 오를 때에, 고정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여, 고정 부분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 부분에 비교적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있어서, 되돌림 부재의 경사면의 구배를 완만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되돌림 부재의 고정을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되돌림 부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있어서, 되돌림 부재의 경사면의 구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한 베일 암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는 베일 반전 기구를 가지는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스풀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릴 본체이고, 케이스부와 덮개부와 장대 취부 다리부와 되돌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는, 전부에 로터의 회전축심과 동심(同芯)으로 설치된 원통부와, 원통부의 후부(後部)에 원통부와 동심으로 배치된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부와, 제1 플랜지부의 후방(後方)에 형성된 기구 수납 공간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는, 원통부의 후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제1 플랜지부와 함께 원형으로 형성된 대략 반원형의 제2 플랜지부를 가지고, 기구 수납 공간을 덮도록 케이스부에 고정 가능한 것이다. 장대 취부 다리부는 케이스부와 덮개부 중 어느 일방(一方)에 설치된 것이다. 되돌림 부재는, 베일 암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기 위하여, 제2 플랜지부와 원통부의 간극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부재이다. 되돌림 부재는, 제2 플랜지부의 전면과 원통부의 후면의 간극에 배치 가능한 판상(板狀)의 배치부와, 배치부로부터 로터의 줄 감기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플랜지부에 대향 가능한 위치까지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고, 돌출 부는, 배치부로부터 전방으로 서서히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베일 반전 기구에 접촉 가능한 제1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이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서는, 원통부의 후면과, 그것에 대향하여 배치된 덮개부의 제2 플랜지부의 전면과의 간극에 되돌림 부재의 판상의 배치부가 장착되고, 베일 반전 기구에 접촉 가능한 제1 경사면이 제1 플랜지부와 대향 가능한 위치까지 형성된 돌출부에 설치되어 있다.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에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덮개부의 제2 플랜지부로부터 제1 플랜지부에 대향한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1 경사면에 베일 반전 기구가 접촉하여 베일 암이 줄 감기 자세로 되돌아온다. 여기에서는, 되돌림 부재의 판상의 배치부가 제2 플랜지부와 원통부의 간극에 배치 가능하기 때문에,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의 간극에 판상의 배치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되돌림 부재를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로 협지(挾持)하여 고정하거나, 원통부 및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에 계지(係止)하여 고정하거나 할 수 있다. 이 배치부는 판상이기 때문에, 제1 플랜지부에 대향하는 돌출부를 설치하여도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려워져, 되돌림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랜지부에 배치 가능한 배치부로부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경사면을 케이스부뿐만 아니라 덮개부 측에도 형성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경사면의 구배를 완만하게 할 수 있어, 작은 힘으로 베일 암을 되돌릴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 플랜지부는, 전면에 줄 감기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경사면보다 구배가 가파르게 형성된 제2 경사면을 가지며, 베일 암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기 위한 되돌림부를 더 가지고, 돌출부는, 제2 경사면에 계합(係合)하는 제3 경사면을 제2 경사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이미 제2 경사면을 가지는 되돌림부가 형성된 릴 본체에 돌출부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의 제3 경사면이 되돌림부의 제2 경사면에 계합하여 되돌림부가 돌출부에 의하여 덮인다. 이것에 의하여, 베일 반전 기구가 접촉하는 접촉 경사면이 제2 경사면이 아니라, 그것보다 구배가 완만한 제1 경사면이 된다. 이 때문에, 되돌림부가 일체 형성된 릴 본체여도 돌출부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접촉 경사면의 구배를 완만하게 할 수 있어, 접촉 경사면의 구배를 변경 가능하게 된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배치부는, 제2 플랜지부의 노치(notch)부의 가장자리부에 계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가지고, 제2 플랜지부와 원통부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 경우에는, 노치부의 가장자리부에 의하여 계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되돌림 부재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노치부의 가장자리부에 되돌림 부재를 계지한 상태로 덮개부를 케이스부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의 간극에 되돌림 부재가 협지되어, 공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되돌림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협지란, 되돌림 부재가 원통부의 후면과 제2 플랜지부의 전면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고, 되돌림 부재의 배치부가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의 양방에 접촉하여 끼워져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의 간극에 배치부의 판상 부분이 배치되고 또한 노치부에 돌기부가 계지되며, 양자 중 어느 일방에 배치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여도 무방하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배치부는, 원통부 및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감합(嵌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합부를 가지고, 제2 플랜지부와 원통부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 경우에는, 원통부 또는 제2 플랜지부에 감합하는 감합부를 되돌림 부재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통부의 후면 또는 제2 플랜지부에 배치부의 감합부를 감합시킨 상태로 덮개부를 케이스부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의 간극에 되돌림 부재가 협지되어, 공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되돌림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협지란, 되돌림 부재가 원통부의 후면과 제2 플랜지부의 전면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고, 되돌림 부재의 배치부가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의 양방에 접촉하여 끼워져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의 간극에 배치부의 판상 부분이 배치되고 또한 감합부가 원통부 또는 제2 플랜지부에 감합하며, 양자 중 어느 일방에 배치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여도 무방하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4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배치부는, 원통부 및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오목부에 감합하는 감합부로서의 돌기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원통부 측이 오목부인 경우에는, 오목부를 원통부의 전측으로부터 관통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복잡한 형상의 케 이스부를 형성형에 의하여 제조하여도 오목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되돌림 부재는 케이스부에 비하여 단순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되돌림 부재를 형성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돌기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랜지부 측이 오목부인 경우는, 제2 플랜지부의 전면으로부터 오목부를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오목부의 형성이 용이한 것과 함께, 되돌림 부재는 케이스부에 비하여 단순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되돌림 부재를 형성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돌기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배치부는 원통부 및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나사 멈춤 고정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되돌림 부재를 원통부의 후면 또는 제2 플랜지부의 전면에 나사 멈춤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돌림 부재를 덜걱거림없이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되돌림 부재의 판상의 배치부가 제2 플랜지부와 원통부의 간극에 배치 가능하기 때문에,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의 간극에 판상의 배치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되돌림 부재를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로 협지하여 고정하거나, 원통부 및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에 계지하여 고정하거나 할 수 있다. 이 배치부는 판상이기 때문에, 제1 플랜지부에 대향하는 돌출부를 설치하여도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려워져, 되돌림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랜지부와 원통부의 간극에 배치 가능한 배치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제1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경사면을 케이스부뿐만 아니라 덮개부 측에 도 형성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경사면의 구배를 완만하게 할 수 있어 작은 힘으로 베일 암을 되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에 의하면, 이미 제2 경사면을 가지는 되돌림부가 형성된 릴 본체에 되돌림 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되돌림 부재의 제3 경사면이 되돌림부의 제2 경사면에 계합하여 되돌림부가 되돌림 부재에 의하여 덮인다. 이것에 의하여, 베일 반전 기구가 접촉하는 경사면이 제2 경사면이 아니라, 그것보다 구배가 완만한 제1 경사면이 된다. 이 때문에, 되돌림부가 일체 형성된 릴 본체여도 되돌림 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접촉 경사면의 경사를 완만하게 할 수 있어, 접촉 경사면의 구배를 변경 가능하게 된다.
<스피닝 릴의 개략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에 장착되고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과, 스풀축(15)과,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와, 드랙 기구(7)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베일 암(17)을 가지고, 릴 본체(2)의 전부에 전후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로터(3)로 안내된 낚싯줄이 외주면(外周面)에 감기는 것이며,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풀축(15)은, 릴 본체(2)에 전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에 스풀(4)이 드랙 기구(7)를 통하여 장착된 것이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의 회전을 로터(3)로 전달하는 것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로터 구 동 기구(5)의 회전에 따라 스풀축(15)을 전후 왕복 이동시켜, 낚싯줄을 스풀(4)에 균일하게 감아내기 위한 기구이다. 덧붙여, 핸들(1)은, 도 1에 도시하는 릴 본체(2)의 좌측과, 도 2에 도시하는 릴 본체(2)의 우측 중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2)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나 스풀(4)을 지지하는 케이스부(2a)와, 케이스부(2a)에 복수 개(예를 들어, 3개)의 고정 볼트(38)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덮개부(2b)와, 덮개부(2b)에 설치된 대체로 T자 형상의 장대 취부 다리부(2c)와, 덮개부(2b)의 전면에 배치된 되돌림 부재(28)를 주로 가지고 있다. 케이스부(2a) 및 덮개부(2b)의 후단부(後端部)는 케이스부(2a)에 고정된 커버 부재(2d)에 의하여 덮여 있다. 릴 본체(2)의 전부에는, 케이스부(2a) 및 덮개부(2b)에 각별하게 일체 형성된 제1 플랜지부(24a) 및 제2 플랜지부(24b)를 가지는 원형의 플랜지부(2e)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2a)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이며, 단조(鍛造)나 형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부재이다. 케이스부(2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側部)에 형성된 개구(開口, 25)와, 내부에 형성된 기구 수납 공간(26)과, 로터(3)의 릴 본체(2) 측에 형성된 원형의 요함부(凹陷部, 3a)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로터(3)의 회전축인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부(27)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부(2a)는, 상부(낚싯대 장착 측)에서는 릴 본체(2)의 대략 반분(半分)보다 약간 작 은 두께이지만, 하부에서는 그것보다 덮개부(2b) 측으로 돌출하여 대략 반분보다 약간 큰 두께를 가지고 있어, 상부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부(2b)의 상부는 릴 본체(2)의 두께의 대략 반분보다 약간 큰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서는 케이스부(2a)의 돌출에 수반하여 대략 반분보다 약간 작은 두께로 되어 있다.
기구 수납 공간(26)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27)는 피니언 기어(12)와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후부에 원통부(27)와 동심으로 형성된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부(24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24a)보다 덮개부(2b) 측으로 돌출한 원통부(27)의 후면(27a)과 제2 플랜지부(24b)의 전면(24c)의 사이에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0.5 ~ 3mm 정도의 간극(27b)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6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부분과 원통부(27)의 후면(27a)의 사이가 간극(27b)이며,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부분으로부터 후방(도 6 우측)이 제1 플랜지부(24a)의 두께이다.
원통부(27)의 중심에는 피니언 기어(12)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장착되는 지지 구멍(27c)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7)의 외주면에는 로터(3)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부재(65)를 장착하기 위한 환상(環狀)의 장착 홈(27d)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7)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역전 방지 기구(49)의 원웨이 클러치(52)가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덮개부(2b)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 금 등의 경금속제이며, 단조나 형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부재이다. 덮개부(2b)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a)의 개구(25)를 덮고 또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2 플랜지부(24b)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2b)에는 장대 취부 다리부(2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e)는, 도 3 ~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상(圓板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로터(3)의 후부에 형성된 원형의 요함부(3a, 도 2 참조)를 막도록 요함부(3a)의 단면(端面)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2e)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2a)에 일체 형성된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부(24a)와, 덮개부(2b)에 일체 형성되고 제1 플랜지부(24a)와 함께 원형으로 되도록 하는 반원형의 제2 플랜지부(24b)를 가지고 있다. 제1 플랜지부(24a)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베일 반전 기구(18)에 접촉 가능한 되돌림부(29)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되돌림부(29)는, 전방으로, 산형(山形)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되돌림 부재(28)의 제3 경사면(28i)에 계합하는 제2 경사면(29a)을 로터(3)의 줄 감기 회전 방향의 상류 측에 가지는 것과 함께, 하류 측에 제2 경사면(29a)보다 구배가 가파른 제4 경사면(29b)을 가지며, 그 사이에 평탄면(29c)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되돌림부(29)는 되돌림 부재(28)를 장착하지 않는 상태여도 베일 반전 기구(18)에 접촉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케이스부(2a)의 하부의 두께를 릴 본체(2)의 두께의 반분보다 약간 큰 두께로 하고 있기 때문에, 되돌림부(29)를 제1 플랜지부(24a)에 일체 형성하여도, 그 로터(3)의 줄 감기 방향 상류 측의 제2 경사면(29a)의 돌출 개시 위치를 릴 본체(2)의 반분의 위치보다 상류 측에 배치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24b)는 제1 플랜지부(24a)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 측에는 가로 가장자리부(24e) 및 세로 가장자리부(24f)를 가지는 노치부(24d)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24d)는 피니언 기어(12) 등을 배치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a) 및 덮개부(2b)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마스터 기어축(11a)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 구멍(22a, 22b)을 각별하게 가지고 있고, 핸들(1)의 장착 측과 역측의 축 지지 구멍은 방수 캡(35)이 돌려 끼워져 막혀 있다.
되돌림 부재(28)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27)의 후면(27a)과 제2 플랜지부(24b)의 전면(24c)의 간극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되돌림 부재(28)는, 베일 반전 기구(18)에 접촉하여 베일 반전 기구(18)에 의하여 후술하는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되돌림 부재(28)는 제1 플랜지부(24a)에 형성된 되돌림부(29)에 계합한다.
되돌림 부재(28)는, 제2 플랜지부(24b)의 전면과 원통부(27)의 후면(27a)의 간극(27b)에 배치 가능한 판상의 배치부(28a)와, 배치부(28a)로부터 로터(3)의 줄 감기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플랜지부(24a)에 대향 가능한 위치까지 형성된 돌출부(28b)를 가지고 있다.
배치부(28a)는 대체로 제2 플랜지부(24b)와 같은 판상의 부분이며, 제2 플랜지부(24b)보다 약간 소경인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치부(28a)는, 제 2 플랜지부(24b)의 전면과 원통부(27)의 후면(27a)의 간극(27b)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다. 배치부(28a)의 내주 측에는, 노치부(24d)보다 약간 내측으로 튀어나온 노치부(28d)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28d)는, 노치부(24d)의 가로 가장자리부(24e) 및 세로 가장자리부(24f)보다 각각 내측으로 튀어나온 가로 가장자리부(28e) 및 세로 가장자리부(28f)를 가지고 있고, 그 후면에는, 노치부(24d)의 가로 가장자리부(24e) 및 세로 가장자리부(24f)에 각각 계지되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돌기부(28g, 28h)가 형성되어 있다. 배치부(28a)의 노치부(28d)의 양측의 직선적인 내단면(內端面, 28j, 28k)은, 원통부(27)와 제2 플랜지부(24b)의 간극(27b)의 단부에 접촉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돌기부(28g, 28h)를 노치부(24d)에 계지하는 것에 의하여, 되돌림 부재(28)의 배치부(28a)를 간극(27b)보다 약간 얇게 형성하여도, 되돌림 부재(28)의 내단면(28j, 28k)을 간극(27b)의 단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되돌림 부재(28)가 덜걱거리기 어려워진다.
돌출부(28b)는, 배치부(28a)의 외주부로부터 원통부(27)의 외주면보다 큰 원호(圓弧)로 되돌림부(29)에 계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8b)의 제1 경사면(28c)은, 배치부(28a)로부터 전방으로 서서히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되돌림부(29)의 제2 경사면(29a)을 덮도록 제1 플랜지부(24a)의 전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28b)의 제1 플랜지부(24a)와 후퇴하는 후면에는, 제2 경사면(29a)에 계합하여 접촉하는 제3 경사면(28i)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3 경사면(28i)이 제2 경사면(29a)에 접촉하여 돌출부(28b)가 되돌림부(29)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때문에, 베일 반전 기구(18)가 제1 경사면(28c)에 접촉하여 압압하여도 제1 경사면(28c)이 덜걱거리지 않게 된다.
커버 부재(2d)는, 예를 들어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도금 처리하거나 스테인리스 합금을 이용하거나 하여 손상되기 어렵게 한 것이며, 릴 본체(2)의 가장 손상되기 쉬운 부분을 보호하는 것이다. 커버 부재(2d)는 하단부(下端部)가 나사(37)에 의하여 케이스부(2a)에 고정되고, 상단부(上端部)는 케이스부(2a)에 탄성적으로 계지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로 이루어지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11)는, 핸들축(10)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기어축(11a)을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11a)은 마스터 기어와 일체 또는 별체로 설치되어 있다.
<로터(3)의 구성>
로터(3)의 회전축인 피니언 기어(12)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부(12a)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원통부(27)에 장착된 베어링(14a)과, 케이스부(2a)에 장착된 베어링(14b)을 통하여 각각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내주 측에는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랙 기구(7)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본체(16)와, 로터 본체(16)의 선단에 줄 개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17)과,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기 위하여 로터 본체(16)에 장착된 베일 반전 기구(18)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16)는, 케이스부(2a)에 스풀축(15)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양 로터 암(31, 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일체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전부에는 전벽(33)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을 피니언 기어의 전부(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전벽(33)의 전부에 로터(3) 고정용의 너트(13)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의 대향하는 후부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외방(外方)으로 볼록하게 만곡(彎曲)하면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 외주 측에는 베일 암(17)을 구성하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의 내부에는 베일 반전 기구(18)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로터 암(32)의 선단 외주 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로터 암(31)의 선단에 끼워진 취부 핀(39)에 의하여 제1 로터 암(31)에 요동 가능하게 취부된다. 이 취부 핀(39)은 걸림이 적은 육각 구멍붙이 볼트로 이루어지고, 그 머리부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와, 라인 롤러(41)를 사이에 두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된 고정축 커버(47)가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7)는 선단이 뾰족한 변형 원추형상이다. 고정축 커버(47)의 선단부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의 사이에는 선재(線材)를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0, 42), 라인 롤러(41), 베일(43) 및 고정축 커버(47)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베일 암(17)이 구성된다. 베일 암(17)은, 도 2에 도시하는 줄 감기 자세와, 줄 감기 자세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베일 반전 기구(18)의 구성>
베일 반전 기구(18)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18)는,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복귀시키는 것과 함께, 양 자세에서 그 상태를 보지(保持)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18)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31)에 형성된 수납 공간(48) 내에서 제1 로터 암(31)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토글 용수철 기 구(50)와, 수납 공간(48) 내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부재(51)와, 로터(3)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부재(65)를 가지는 로터 제동 기구(54)를 가지고 있다. 이 이동 부재(51)가 되돌림 부재(28)에 접촉한다.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베일 암(17)이 줄 감기 자세로 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로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1 로터 암(31) 내에 배치되고, 베일 암(17)을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보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일단(一端)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계지되고 타단(他端)이 제1 로터 암(31)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rod, 55)와, 로드(55)를 진출 측으로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57)을 가지고 있다. 로드(55)는, 선단에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계합 구멍(40a)에 계지되도록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향하여 꺽여 구부러진 계지부(55a)를 가지고 있다. 또한, 로드(55)는 중간부에 코일 용수철(57)의 선단부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 돌기(55b)를 가지고 있다. 계지 돌기(55b)에는 코일 용수철(57)의 선단이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는 와셔(washer, 56)가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코일 용수철(57)의 선단부로부터 로드(55)로 힘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이동 부재(51)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선재의 양단을 90도 다른 방향으로 꺾어 구부려 형성된 부재이다. 이동 부재(51)는, 도 7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제1 위치와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2 위치로, 제1 로터 암(31)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동 부재(5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51a)가 외주 측으로 꺾여 구부러져,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형 성된 대략 부채꼴 형상의 계합 홈(40b)에 계지되어 있다. 중간부(51b)는 로드(55)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제1 로터 암(3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후단부(51c)는 제1 로터 암(31)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36)을 관통하고, 로터 제동 기구(54)를 구성하는 제동 부재(65)에 약간 서로 겹쳐지는 위치까지 내방(內方)으로 돌출하여 있다. 가이드 홈(36)의 폭은 이동 부재(51)의 직경과 거의 같은 치수이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1)의 중간부(51b)의 직경 방향 내측은, 베일 암(17)의 요동에 연동하여 가이드 홈(36)을 따라 전후로 안내된다. 중간부(51b)와 후단부(51c)의 굴곡 부분의 외주 측은, 제1 로터 암(31) 내에 장착된 안내 부재(67)에 의하여 전후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안내되고 있다. 안내 부재(67)에는, 후단부(51c)가 끼워 넣어지도록 만곡한 오목 홈(67a)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67)에는,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압압 용수철(68)을 장착 가능한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의 장착 구멍(67b)이 오목 홈(67a)에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압압 용수철(68)은 압축 상태로 장착 구멍(67b)에 장착되어 있고, 이동 부재(51)의 중간부(51b)를 압압하는 것으로 후단부(51c)를 제동 부재(65)를 향하여 압박하고 있다. 압압 용수철(68)의 선단에는, 이동 부재(51)의 중간부(51b)의 외주면에 계합하도록 반원호상(半圓弧狀)의 오목부(69a)가 형성된 압압 부재(69)가 장착되어 있다. 압압 부재(69)는, 이동 부재(51)의 중간부(51b)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압압 용수철(68)의 압박력을 중간부(51b)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접촉하는 되돌림부(29)의 평탄면(29c)의 돌출량은, 제1 경사면(28c)에 후단부(51c)가 접촉한 이동 부재(51)가 베일 암(17)을 줄 감기 자세를 향하여 압압하였을 때에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死點)을 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베일 반전 기구(18)의 이동 부재(51)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되돌림 부재(28)를 되돌림부(29)에 계합하여 장착하고, 제1 경사면(28c)을 덮개부(2b) 측에도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1)에 접촉하는 경사면이 제2 경사면(29a)이 아니라, 그것보다 구배가 완만한 제1 경사면(28c)이 된다. 게다가, 제1 경사면(28c)은 덮개부(2b) 측에도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배가 완만한 제1 경사면(28c)에 이동 부재(51)가 매끄럽게 안내된다. 따라서, 핸들(1)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 시에 핸들에 작용하는 리턴력이 작아져, 작은 힘으로 베일 암(17)을 줄 감기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로터 제동 기구(54)는 줄 개방 자세로 베일 암(17)이 요동하였을 때 로터(3)를 제동하는 것이며, 이동 부재(51)와, 원통부(27)의 기단부(基端部) 측에 형성된 장착 홈(27d)에 장착된 제동 부재(65)를 가지고 있다. 즉, 이동 부재(51)는 베일 반전 기구(18)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로터 제동 기구(54)도 구성한다.
제동 부재(65)는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로터(3)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동 부재(65)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대략 반원 형상의 제1 제동 부재(65a) 및 제2 제동 부재(65b)의 2개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제동 부재(65a) 및 제2 제동 부재(65b)는, 외주에 형성된 환상 홈(65e)에 장착된 용수철 부재(66)에 의하여 원형상의 장착 홈(27d)에 압접되어 있다. 제동 부재(65)는, 장착 홈(27d)에 회전 가능하게 마찰 계합하는 마찰부(65c)와,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부(65d)를 가지고 있다. 계합부(65d)는 제동 부재(65)의 외주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후단부(51c)가 계합하는 계합 홈이다. 또한, 제동 부재(65)에는 계합부(65d)를 향하여 경사하는 테이퍼부(65f)가 복수 개소에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65f)는 후단부(51c)를 계합부(65d)로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된 경사면이다.
용수철 부재(66)는, 제동 부재(65)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 홈(65e)에 장착되는 원호상의 철사 형상 부재이며, 내측 방향으로 압박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용수철 부재(66)는, 제동 부재(65)에 장착하기 위하여 양 단부의 사이가 개구하고 있고, 환상 홈(65e)으로부터 빠짐 방지하기 위하여 일방의 단부가 직경 방향으로 꺽여 구부러져 계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베일 반전 기구(18)에서는,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 부재(51)는,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후단부(51c)가 가이드 홈(36)으로 안내되어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는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제동 부재(65)의 계합부(65d)에 계합한다. 이때, 로터 제동 기구(54)에서는 로터(3)와 함께 제동 부재(65)가 회전하면, 마찰부(65c)는 장착 홈(27d)과 마찰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3)가 제동된다.
또한, 제2 위치에서 핸들(1)의 조작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되돌림 부재(28)의 제1 경사면(28c)에 접촉하고, 이동 부재(51)가 제1 위치를 향하여 전방으로 압압되어,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을 넘은 시점에서 베일 암(17)은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한다.
로터(3)의 원통부(27)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역전을 금지, 해제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49)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49)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2)를 가지고 있고, 원웨이 클러치(52)를 케이스부(2a)의 하부에 배치된 전환 레버(53)의 조작에 의하여,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하여 로터(3)의 역전을 금지, 해제한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랙 기구(7)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전단(前端)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스커트부(4b)는 로터(3)의 원통부(30)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 시에는 역전 방지 기구(49)에 의하여 로터(3)를 역전 금지 상태로 하여 손으로 베일 암을 잡고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키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후방 측으로 넘어가고, 베일 반전 기구(18)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로 넘어간 상태에서는 스풀(4)로부터의 낚싯줄을 용이하게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줄 감기 자세로부터 줄 개방 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 토글 용수철 기구(50)에서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회전에 의하여 로드(55)가 서서히 퇴입(退入)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제2 위치에 이른다. 이때, 사점을 넘을 때까지는 퇴입한다. 사점을 넘으면, 로드(55)가 코일 용수철(57)의 압박력에 의하여 진출하여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 측으로 전환하는 것과 함께 그 자세로 보지한다.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면, 이 요동에 수반하여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는 제동 부재(65)의 계합부(65d)에 계합한다. 그리고, 로터(3)와 함께 제동 부재(65)가 회전하면, 마찰부(65c)는 장착 홈(27d)과 마찰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3)가 제동된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캐스팅 후에,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한 채의 상태로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제동 부재(65)와 함께 줄 감기 방향(도 4 및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일 암(17)이 베일 반전 기구(18)에 의하여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되돌림 부재(28)를 원통부(27)의 후면(27a)와 제2 플랜지부(24b)의 전면(24c)의 간극(27b)에 장착하고, 제1 경사면(28c)을 되돌림부(29)의 제2 경사면(29a)을 덮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동 부 재(51)의 후단부(51c)가 경사면에 접촉하는 위치가 되돌림 부재(28)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덮개부(2b) 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접촉하는 제1 경사면(28c)의 구배가 완만해지므로, 작은 힘으로 베일 암을 되돌릴 수 있어 핸들(1)을 돌릴 때의 위화감이 감소한다.
게다가, 되돌림 부재(28)의 판상의 배치부(28a)가 제2 플랜지부(24b)와 원통부(27)의 간극(27b)에 배치 가능하기 때문에, 원통부(27)와 제2 플랜지부의 간극(27b)에 판상의 배치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되돌림 부재(28)를 원통부와 제2 플랜지부(24b)로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배치부(28a)는 판상이기 때문에,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려워져, 되돌림 부재(28)를 고정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제2 경사면(29a)을 가지는 되돌림부(29)가 형성된 릴 본체(2)에 되돌림 부재(28)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되돌림 부재(28)의 제3 경사면(28i)이 되돌림부(29)의 제2 경사면(29a)에 계합하여 되돌림부(29)가 되돌림 부재(28)에 의하여 덮인다. 이것에 의하여, 베일 반전 기구(18)의 이동 부재(51)가 접촉하는 경사면이 제2 경사면(29a)이 아니라, 그것보다 구배가 완만한 제1 경사면(28c)이 된다. 이 때문에, 되돌림부(29)가 일체 형성된 릴 본체(2)여도, 되돌림 부재(28)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부재(51)가 접촉하는 경사면이 제2 경사면(29a)이 아니라 제1 경사면(28c)으로 되어, 접촉하는 경사면의 구배가 완만해져 경사면의 구배를 변경 가능해진다.
게다가, 케이스부나 덮개부와 별체의 되돌림 부재를 뒤에서부터 장착하는 것 만으로 이동 부재가 접촉하는 경사면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돌림부를 가지는 기존의 릴 본체에 뒤에서부터 되돌림 부재를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경사면의 구배를 변경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기구 수납 공간(26)에 로터 구동 기구(5)나 오실레이팅 기구(6) 등의 기구의 수납을 완료하고, 덮개부(2b)를 케이스부(2a)에 고정하기 전에 되돌림 부재(28)를 장착한다. 되돌림 부재(28)는, 제2 플랜지부(24b)의 노치부(24d)의 가로 가장자리부(24e) 및 세로 가장자리부(24f)에 돌기부(28g, 28h)를 계지한 상태로 제2 플랜지부(24b)에 장착되고, 이 상태로 덮개부(2b)를 케이스부(2a)로부터 삽입된 3개의 고정 볼트(38)에 의하여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되돌림 부재(28)가, 제2 플랜지부(24b)의 전면(24c)과 원통부(27)의 후면(27a)의 간극(27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1 경사면(28c)의 구배를 변화시킨 복수종의 되돌림 부재를 준비하면, 릴의 기종이나 크기에 따라 경사면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덮개부(2b)에 장대 취부 다리부(2c)가 일체 성형되어 있었지만, 케이스부(2a)에 장대 취부 다리부(2c)를 일체 성형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플랜지부(24b)의 노치부(24d)에 되돌림 부재(28)의 후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부(28g, 28h)를 계지시켰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돌림 부재(128)의 배치부(128a)의 전면에, 적어도 한 개(예를 들어 2개)의 원기둥 형상 의 돌기부(감합부의 일례, 128g, 128h)를 형성하고, 원통부(127)의 후면(127a)에 형성된 오목부(127e)에 감합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돌기부를 되돌림 부재(128)의 후면에 형성하여 제2 플랜지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감합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돌기부가 원기둥 형상이 아니라 비원형 단면의 것이면, 평면적인 위치 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돌기부 및 오목부는 하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원기둥 형상의 돌기부여도, 되돌림 부재의 내측단(127j, 127k)이 간극(127b)의 단면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는 경우는, 회전 멈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나여도 무방하다.
되돌림 부재(128)에 돌기부(128g, 128h)를 설치하는 경우는, 덮개부를 케이스부에 고정하기 전에 원통부(127)에 되돌림 부재(128)를 후방으로부터 장착하여 두고, 그 후에 덮개부를 케이스부에 나사 멈춤 고정하면 된다. 덧붙여,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되어 있지 않은 부재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되돌림 부재를 제1 플랜지부 또는 원통부에 계지 또는 감합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돌림 부재(228)를 원통부(227)의 후면(227a)에 접시 나사 등의 나사 부재(234)에 의하여 나사 멈춤 고정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되돌림 부재(228)의 배치부(228a)의 후면에는, 나사 부재(234)가 계합하는 적어도 한 개(예를 들어 2개)의 테이퍼 카운터보어(counterbore) 구멍(228g, 228h)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원통부(227)에 나사 구멍(227e)을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탭핑 나사를 이용하는 경우 는 나사 구멍이 아니라 단순한 구멍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원통부(227)가 아니라 제2 플랜지부 측에 나사 구멍 또는 구멍을 형성하여, 되돌림 부재의 전면 측으로부터 나사 부재에 의하여 제2 플랜지부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되돌림 부재(228)의 내측단(228j, 228k)이 간극(227b)의 단면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는 경우는, 회전 멈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나사 부재는 하나여도 무방하다.
되돌림 부재(228)를 원통부(227)에 나사 멈춤 고정하는 경우는, 덮개부를 케이스부에 고정하기 전에 원통부(227)에 되돌림 부재(228)를 나사 고정하여 두고, 그 후에 덮개부를 케이스부에 나사 멈춤 고정하면 된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부에 되돌림부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제1 플랜지부에 되돌림부가 없는 경우에는, 되돌림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되돌림 부재에 일체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되돌림 부재(328)는, 덮개부(302b)의 제2 플랜지부(324a)와 원통부(327)의 간극에 배치되는 배치부(328a)와, 배치부(328a)로부터 케이스부(302a)의 제1 플랜지부(324a)에 대향하는 위치에 연장되는 돌출부(328b)를 구비하고 있다. 배치부(328a)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다. 돌출부(328b)는 제1 경사면(328c)과 제3 경사면(329b)과 평탄면(329c)을 가지고 있다. 제1 경사면(328c)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3 경사면(329b) 및 평탄면(329c)은 되돌림부(29)에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28b)가 상기 실시예의 돌출부(28b)와 되돌림부(29)를 일체 형성한 것과 같은 형상이다. 이 경우에는, 별체의 되돌림 부재(328)에 이동 부재(51)가 접촉하는 접촉면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배치 부에서의 응력 집중을 방지하여 다양한 구배의 경사면을 준비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28b)에 제1 경사면(328c)에 더하여 제3 경사면(329b)이나 평탄면(329c)을 형성하였지만, 돌출부(328b)에 필수적인 경사면은 제1 경사면(328c)이며, 돌출부(328b)에 제3 경사면(329b)이나 평탄면(329c)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베일 반전 기구를 도시하는 릴 본체의 정면 부분도.
도 5는 베일 반전 기구를 도시하는 릴 본체의 저면 부분도.
도 6은 원통부와 되돌림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베일 반전 기구를 도시하는 제1 로터 암의 단면 부분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릴 본체 2a, 302a : 케이스부
2b, 302b : 덮개부 2c : 장대 취부 다리부
3 : 로터 4 : 스풀
17 : 베일 암 18 : 베일 반전 기구
24a, 24b, 324a, 324b : 제1 및 제2 플랜지부
24c : 전면 24d : 노치부
26 : 기구 수납 공간 27, 127, 227 : 원통부
27a, 127a, 227a : 후면 27b, 127b, 227b : 간극
28, 128, 228, 328 : 되돌림 부재 28a, 128a, 228a, 328a : 배치부
28b, 328b : 돌출부 28c, 328c : 제1 경사면
28i : 제3 경사면 28g, 28h, 128g, 128h : 돌기부
29 : 되돌림부 29a : 제2 경사면

Claims (6)

  1.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한 베일 암을 상기 줄 개방 자세로부터 상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는 베일 반전 기구를 가지는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스풀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이고,
    전부(前部)에 상기 로터의 회전축심과 동심(同芯)으로 설치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부(後部)에 상기 원통부와 동심으로 배치된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후방(後方)에 형성된 기구 수납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면(後面)에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플랜지부와 함께 원형으로 형성된 대략 반원형의 제2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기구 수납 공간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고정 가능한 덮개부와,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덮개부 중 어느 일방(一方)에 설치된 장대 취부 다리부와,
    상기 베일 암을 상기 줄 개방 자세로부터 상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기 위하여, 상기 원통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의 간극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되돌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되돌림 부재는, 상기 원통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의 간극에 배치 가능한 판상(板狀)의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로부터 상기 로터의 줄 감기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랜지부에 대향 가능한 위치까지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치부로부터 전방(前方)으로 서서히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일 반전 기구에 접촉 가능한 제1 경사면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전면(前面)에 상기 줄 감기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보다 구배가 가파르게 형성된 제2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베일 암을 상기 줄 개방 자세로부터 상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기 위한 되돌림부를 더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경사면에 계합(係合)하는 제3 경사면을 상기 제2 경사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에는 내주 측에 노치(notch)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상기 노치부의 가장자리부에 계지(係止)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원통부에 의하여 협지(挾持)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원통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감합(嵌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원통부에 의하여 협지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원통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오목부에 감합하는 상기 감합부로서의 돌기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원통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나사 멈춤 고정 가능한,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20080052713A 2007-06-15 2008-06-04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1432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8323A JP4892416B2 (ja) 2007-06-15 2007-06-15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JP-P-2007-00158323 2007-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492A true KR20080110492A (ko) 2008-12-18
KR101432583B1 KR101432583B1 (ko) 2014-08-21

Family

ID=3977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713A KR101432583B1 (ko) 2007-06-15 2008-06-04 스피닝 릴의 릴 본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07602B2 (ko)
EP (1) EP2002716B1 (ko)
JP (1) JP4892416B2 (ko)
KR (1) KR101432583B1 (ko)
CN (1) CN101322484B (ko)
AT (1) ATE460077T1 (ko)
DE (1) DE602008000775D1 (ko)
MY (1) MY141367A (ko)
SG (1) SG148931A1 (ko)
TW (1) TWI3955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2416A1 (en) * 2008-04-08 2012-11-22 Gary Bennis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Manual Bale Lock and Bale Release Mechanisms
US9101119B2 (en) * 2011-05-13 2015-08-11 The Bohning Company, Ltd Bowfishing reel
US8966808B2 (en) * 2011-06-08 2015-03-03 Rex H. Huang Quick release fly reel adapter
JP6145606B2 (ja) * 2012-12-20 2017-06-1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本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6457258B2 (ja) * 2014-12-19 2019-01-2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EP3469894B1 (en) * 2016-06-08 2022-06-08 Globeride,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JP6831194B2 (ja) * 2016-09-01 2021-02-17 株式会社シマノ ロータ駆動部防水構造およ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6964998B2 (ja) * 2017-03-08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6965074B2 (ja) * 2017-09-22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7013204B2 (ja) * 2017-10-27 2022-01-3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7143116B2 (ja) * 2018-05-18 2022-09-2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JP7137967B2 (ja) * 2018-05-28 2022-09-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7212516B2 (ja) * 2018-12-27 2023-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WO2020257651A1 (en) 2019-06-21 2020-12-24 Biz Outdoors, Inc. Left handed fishing reel
CN110214759B (zh) * 2019-07-22 2021-09-10 鹤山市仲德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纺车式渔轮主体及其加工工艺
US11576362B2 (en) 2019-11-14 2023-02-14 Rex H. Huang Quick-release fishing rod butt s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2191U (ko) 1976-08-27 1978-03-20
JPS5821263A (ja) * 1981-07-31 1983-02-08 Fuji Xerox Co Ltd 複写機等の入出力制御装置
JPS5921663Y2 (ja) * 1981-08-03 1984-06-27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ベ−ルア−ム反転装置
US4932616A (en) * 1988-09-12 1990-06-12 Berkley, Inc. Bail release mechanism for a spinning fishing reel
JP2585181Y2 (ja) * 1993-04-14 1998-11-1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3839972B2 (ja) 1998-09-17 2006-11-0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防水構造
US6056220A (en) * 1998-11-05 2000-05-02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with trip link for repositioning a bail assembly
JP3840008B2 (ja) 1999-10-13 2006-11-0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365983B2 (ja) * 2000-04-18 2009-11-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TW474782B (en) 2000-06-23 2002-02-01 Shimano Kk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JP4553495B2 (ja) * 2001-01-24 2010-09-2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JP2002306032A (ja) * 2001-04-16 2002-10-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3189767A (ja) * 2001-12-25 2003-07-0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3934512B2 (ja) * 2002-08-28 2007-06-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746033B2 (ja) * 2002-10-25 2006-02-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4147557A (ja) * 2002-10-30 2004-05-2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US7028937B2 (en) * 2003-02-05 2006-04-18 Shimano Inc. Reel unit for spinning reel
JP2004236568A (ja) * 2003-02-05 2004-08-2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266719B2 (ja) * 2003-06-13 2009-05-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7054016A (ja) * 2005-08-26 2007-03-0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7659581B2 (en) 2005-11-30 2010-0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istor with dielectric stressor element fully underlying the active semiconductor region
US7275705B1 (en) * 2006-09-07 2007-10-02 Shakespeare Company, Llc Spinning reel having two-piece frame and leg assembly with concealable attachment points
SG144041A1 (en) * 2006-12-21 2008-07-29 Shimano Kk Reel unit of spinn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2716A1 (en) 2008-12-17
MY141367A (en) 2010-04-16
JP4892416B2 (ja) 2012-03-07
SG148931A1 (en) 2009-01-29
EP2002716B1 (en) 2010-03-10
JP2008306988A (ja) 2008-12-25
KR101432583B1 (ko) 2014-08-21
DE602008000775D1 (de) 2010-04-22
US20080308663A1 (en) 2008-12-18
ATE460077T1 (de) 2010-03-15
TWI395546B (zh) 2013-05-11
TW200932104A (en) 2009-08-01
US7607602B2 (en) 2009-10-27
CN101322484B (zh) 2011-12-14
CN101322484A (zh)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0492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08306988A5 (ko)
KR102231270B1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KR20110019714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KR101549602B1 (ko) 레버 드랙 릴의 역전 방지 기구
KR101048726B1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KR101185510B1 (ko) 드래그 조작 부재의 장착 구조
KR101265999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10129317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2061068B1 (ko)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KR20080000504A (ko)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KR20090113756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TW201206338A (en) Master gear assembly
KR100471572B1 (ko) 스피닝릴의페이스기어
KR20140103819A (ko)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스피닝 릴의 스풀
KR101031524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KR20100130145A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손잡이
KR20050027020A (ko) 스피닝 릴의 로터
KR101031523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20040038681A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436219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422954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20110019701A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20040044345A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