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879A -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879A
KR20140071879A KR1020130113930A KR20130113930A KR20140071879A KR 20140071879 A KR20140071879 A KR 20140071879A KR 1020130113930 A KR1020130113930 A KR 1020130113930A KR 20130113930 A KR20130113930 A KR 20130113930A KR 20140071879 A KR20140071879 A KR 20140071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drag
spool
operating member
rece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068B1 (ko
Inventor
히로카즈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4007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06Wound springs with turns lying in cylindrical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에 있어서, 축 방향의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코일 용수철이어도 변형을 막는다.
[해결 수단]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부재(67)와, 조작 부재(67)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 부재(67)의 회전축 방향으로 신축(伸縮)하는 코일 용수철(73)과, 코일 용수철(73)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스풀(4)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받이 부재(66)와,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코일 용수철(73)과 받이 부재(66)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받이 부재(66)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접동(摺動) 부재(6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DRAG KNOB AND FISHING RE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은,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드래그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드래그 기구는,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와, 복수 매의 드래그 와셔(washer)로 이루어지는 마찰부로 주로 구성된다. 드래그 손잡이는,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이 부재와, 조작 부재와 받이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용수철을 가진다. 이 드래그 손잡이는, 조작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내부(內部)에 수용되는 코일 용수철을 신축(伸縮)시켜 받이 부재로의 압박력을 변화시킨다. 코일 용수철의 압박력이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받이 부재에 의한 마찰부로의 압압(押壓, 내리누르는 것)력이 변화하고, 드래그력이 조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래그 손잡이에 사용되는 코일 용수철은, 원형(圓形) 단면의 선재(線材)를 나선상(螺旋狀)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 시에 코일 용수철이 직경 방향으로 만곡(彎曲)할 우려가 있다. 이 직경 방향으로의 만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1에서는, 특허 문헌 2 및 3에 개시(開示)되는 바와 같은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선재를 나선상으로 하여 형성되는 코일 용수철을 드래그 손잡이로 사용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20551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9243호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실공평6-10226호
상술한 바와 같은 드래그 손잡이에 사용되는 각종의 코일 용수철은, 조작 부재를 회전시켰을 때에, 확대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비틀림이 생겨 변형하기 쉬울, 즉, 둘레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비틀림 변형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덧붙여, 이 비틀림 변형은,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코일 용수철을 이용한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에 있어서, 코일 용수철의 변형을 막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이다. 이 드래그 손잡이는, 조작 부재, 코일 용수철, 받이 부재, 및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 부재를 구비한다. 조작 부재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코일 용수철은, 조작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 신축한다. 받이 부재는, 코일 용수철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스풀에 드래그력을 부여한다. 접동 부재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코일 용수철과 받이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받이 부재보다도 마찰 계수가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일 용수철과 받이 부재와의 사이에 접동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받이 부재와의 마찰에 의하여 둘레 방향의 마찰력이 걸려 있던 코일 용수철에는, 접동 부재와의 마찰에 의하여 둘레 방향의 마찰력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받이 부재보다도 접동 부재 쪽이 마찰 계수가 작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에 대하여 걸리는 마찰력을 종래에 비하여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마찰력에 의한 코일 용수철의 비틀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이다. 이 드래그 손잡이는, 조작 부재, 코일 용수철, 받이 부재, 및 접동 부재를 구비한다. 조작 부재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코일 용수철은, 조작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 신축한다. 받이 부재는, 코일 용수철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스풀에 드래그력을 부여한다. 접동 부재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코일 용수철과 조작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조작 부재보다도 마찰 계수가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일 용수철과 조작 부재와의 사이에 접동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조작 부재와의 마찰에 의하여 둘레 방향의 마찰력이 걸려 있던 코일 용수철에는, 접동 부재와의 마찰에 의하여 둘레 방향의 마찰력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조작 부재보다도 접동 부재 쪽이 마찰 계수가 작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에 걸리는 마찰력을 종래에 비하여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마찰력에 의한 코일 용수철의 비틀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드래그 손잡이에 있어서, 코일 용수철의 축 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상이다. 코일 용수철을 축 방향의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코일 용수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코일 용수철의 직경 방향으로의 만곡을 막을 수 있다. 덧붙여, 코일 용수철의 축 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경우여도,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용수철에 걸리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의 비틀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드래그 손잡이이고, 코일 용수철이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coiled wave spring)이다. 코일 용수철을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동등(同等)의 압박력을 보지(保持)하면서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과,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드래그 손잡이를 가지고 있고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에 있어서, 코일 용수철의 비틀림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그 측면 단면도.
도 3은 스풀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스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드래그 손잡이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드래그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코일 용수철의 측면도.
도 8은 코일 용수철의 측면 단면도.
도 9는 변형예 1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의 측면 단면도.
도 10은 변형예 2에 관련되는 코일 용수철의 측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은,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과, 스풀(4) 내에 수용되는 드래그 기구(60) 및 드래그 발음 기구(85)를 구비한다. 로터(3)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면(外周面)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前後)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덧붙여, 핸들(1)은, 릴 본체(2)의 좌측과, 릴 본체(2)의 우측 중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開口)(2d)를 가지는 릴 보디(2a)와, 개구(2d)를 막도록 릴 보디(2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 부재(2b)와, 릴 보디(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으로 연장되는 장대 취부(取付) 다리(2c)를 가진다.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로 할 수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후술하는 로터 구동 기구(5) 및 오실레이팅(oscillating) 기구(6)가 설치된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이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의 핸들축(10)이 고정되는 메인 기어축(11a)과 함께 회전하는 메인 기어(11)와, 이 메인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진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되고, 그 전부(12a)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後端部)가, 릴 보디(2a)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하여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축(회전축의 일례)(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동(同)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下方)에 평행으로 배치된 나축(螺軸, 왕복 나선상 홈(교차하는 나선상 홈)이 형성된 축)(21)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先端)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진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와 맞물린다.
스풀축(15)은, 피니언 기어(12)의 중심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된다. 스풀축(15)은, 오실레이팅 기구(6)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내부를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스풀축(15)은, 중간부가 너트(13) 내에 장착된 베어링(16)에 의하여, 후부(後部)가 피니언 기어(12)의 후부 내주면(內周面)에 의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덧붙여, 스풀축(15)은 회전 불가능하고, 피니언 기어(12)는 스풀축(1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스풀축(15)이 피니언 기어(12)와 상대 회전하면서 전후 이동할 때에, 피니언 기어(12)에 스풀축(15)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축(15)의 표면에는 무전해 Ni 도금이 입혀져 있다. 스풀축(15)의 선단에는, 서로 평행한 면으로 구성된 회전 멈춤을 위한 계지(係止, 걸어 맞추어 고정되는 것)면(15a)과, 드래그 조정용의 수나사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원통부(圓筒部)(30)와, 원통부(30)의 측방(側方)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진다. 원통부(30)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일체(一體)로 성형된다.
원통부(30)의 전부에는 전벽(前壁)(30a)이 형성되고, 이 전벽(30a)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0b)가 설치된다. 보스부(30b)의 중심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을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한다. 전벽(30a)의 전부에는 너트(13)가 배치되고, 이 너트(1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에 로터(3)가 고정된다.
제1 로터 암(31)은, 원통부(30)로부터 외방(外方)을 향하여 볼록상(狀)으로 만곡하여 전방(前方)으로 연장된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 외주 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가 장착된다. 제2 로터 암(32)은, 원통부(30)로부터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2 로터 암(32)의 선단 외주 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와의 사이에는, 선재를 대략 U상(狀)으로 만곡시킨 베일(43)이 고정된다. 이들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제2 베일 지지 부재(42),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하여, 베일 암(44)은 구성된다. 베일 암(44)은, 도 1에 도시하는 줄 안내 자세와 그것으로부터 반전(反轉)한 줄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전(逆轉)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된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내륜(內輪)이 유전(遊轉)하는 롤러형의 원웨이(one way) 클러치(51)와, 원웨이 클러치(51)를 작동 상태(역전 금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레버(도시 생략)를 가진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풀축(15)의 선단에 장착된다. 스풀(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줄 감기 몸통부(4a)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전단(前端)에 일체 형성된 전(前) 플랜지부(4c)를 가진다. 스풀(4)의 내부에는, 설정된 드래그력이 스풀(4)에 작용하도록 스풀(4)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60)와, 드래그 작동 시에 발음하는 드래그 발음 기구(85)가 수납된다.
줄 감기 몸통부(4a)는, 원통상(圓筒狀)의 부재이고, 외주면은 스풀축(15)과 평행한 둘레 면으로 구성된다. 줄 감기 몸통부(4a)는,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부(4d)와, 통상부(4d)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된 원판상(圓板狀)의 지지 벽부(4e)와, 지지 벽부(4e)의 내주 측에 형성되는 통상의 축지(軸支,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부(4f)를 가진다.
스커트부(4b)는,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방(後方)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後) 플랜지부(4h)와, 후 플랜지부(4h)의 외주 측으로부터 후방으로 통상으로 연장되는 원통부(4i)를 가진다. 이 원통부(4i)의 내측(內側)에 로터(3)의 원통부(30)가 배치된다.
전 플랜지부(4c)의 외주면에는, 낚싯줄을 줄 감기 몸통부(4a)로부터 부드럽게 방출하기 위한 금속제의 스풀 링(20)이 장착된다. 스풀 링(20)은, 앞쪽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傾斜面)(20a)을 가진다. 스풀 링(20)은, 링 고정 부재(19)에 의하여 전 플랜지부(4c)에 고정된다. 링 고정 부재(19)는, 전 플랜지부(4c)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통상의 암나사부(4j)에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감기 몸통부(4a)의 내부에 있어서, 지지 벽부(4e)의 전방에는, 드래그 기구(60)를 수납하기 위한 드래그 수납 통부(52)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래그 수납 통부(52)의 전방에는, 축지부(4f)로 스풀(4)을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통부(53)가 장착되어 있다.
드래그 수납 통부(52)의 내부에는, 드래그 기구(60)의 후술하는 마찰부(62)가 수납된다. 드래그 수납 통부(52)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예를 들어, 8개)의 반원형(半圓形)의 계지 오목부(52a)를 내주면에 가진다. 또한, 스풀(4)의 지지 벽부(4e)에는, 복수(예를 들어 8개)의 계합(係合, 걸어 맞추는 것) 구멍(4g)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드래그 수납 통부(52)는, 그 각 계합 구멍(4g)에 계합하는 복수(예를 들어, 8개)의 계합 돌기(52b)를 후면(後面)에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수납 통부(52)는 스풀(4)과 일체 회전한다.
지지 통부(53)는, 줄 감기 몸통부(4a)의 통상부(4d)의 내주면에 감합(嵌合)하는 장착 통부(53a)와, 장착 통부(53a)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되는 원형 벽부(53b)와, 원형 벽부(53b)의 내주 측에 형성되는 통상의 축지부(53c)를 가진다. 장착 통부(53a)의 전측(前側) 외주면(53e)은, 후측(後側) 외주면(53f)보다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고 통상부(4d)의 내주면에 감합한다. 이 전측 외주면(53e)에는, 통상부(4d)와 지지 통부(53)와의 간극(間隙)으로부터 액체가 지지 통부(53)의 후방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O링(54)이 장착된다. O링(54)은, 지지 통부(53)의 전측 외주면(53e)에 형성된 환상(環狀) 홈(53d)에 장착된다. 장착 통부(53a)의 후면은, 드래그 수납 통부(52)의 전면(前面)에 접촉한다. 지지 통부(53)는, 그 전방에서 스풀(4) 내부에 장착되는 선재제의 빠짐 방지 용수철(55)에 의하여, 드래그 수납 통부(52)와 함께 빠짐 방지된다. 빠짐 방지 용수철(55)은, 줄 감기 몸통부(4a)의 전면과 링 고정 부재(19)의 후면과의 간극에서 스풀(4) 내에 보지된다.
스풀축(15)의 외주면에는, 제1 지지부(56) 및 제2 지지부(57)가 끼워 넣어지고, 이 제1 지지부(56) 및 제2 지지부(57)에는 2개의 베어링(58a, 58b)이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4)을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지지부(56)는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지지부(56)는, 테두리부(56a)와 테두리부(56a)보다도 소경(小徑)의 통부(56b)를 가지는 테두리붙이 원통상의 부재이다. 제1 지지부(56)는, 드래그 손잡이(61)와 마찰부(62)와의 사이에, 양자(兩者)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제1 지지부(56)의 통부(56b)의 외주면에는, 베어링(58a)의 내륜이 코킹(caulking) 고정된다. 베어링(58a)의 외륜(外輪)은, 지지 통부(53)의 축지부(53c)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지지부(56)의 통부(56b)의 외주면에 대하여 베어링(58a)을 간단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57)는, 스풀축(15)의 전측 부분에 형성되는 계지면(15a)의 후부에 고정된다. 제2 지지부(57)는, 소경부(57a)와 대경부(57b)를 가지는 대소 2단의 단붙이 통상의 부재이다. 소경부(57a)에는 베어링(58b)의 내륜이 장착된다. 베어링(58b)의 외륜은, 줄 감기 몸통부(4a)의 축지부(4f)에 장착된다. 대경부(57b)에는, 서로 평행한 면으로 구성된 제1 계지면(57c)과, 제1 계지면과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계지면(57d)이 형성된다. 이 제1 계지면(57c)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멈춤 나사(59)에 의하여, 제2 지지부(57)는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멈춤 나사(59)는, 슬리팅(slitting)붙이의 중공(中空)의 세트 스크류(set screw)를 이용한 것이고, 제1 계지면(57c)을 통하여 계지면(15a)을 관통하는 나사 구멍에 틀어넣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풀(4)의 지지 구조에서는, 줄 감기 몸통부(4a)의 지지 벽부(4e)의 전방에 지지 통부(53)를 설치하고, 지지 통부(53)에 베어링(58a)을 배치하기 때문에, 축지부(4f)에 2개의 베어링을 나란히 놓는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2개의 베어링(58a, 58b)의 축 방향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4)의 지지 간격이 넓어지고, 스풀(4)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드래그 기구의 구성〕
드래그 기구(60)는, 스풀(4)의 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동하여 스풀(4)에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기구(60)는, 드래그 손잡이(61)와, 예를 들어 4매의 드래그 와셔(62a ~ 62d)를 가지는 마찰부(62)를 구비한다.
〔드래그 손잡이의 구성〕
드래그 손잡이(6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67), 코일 용수철(73), 받이 부재(66), 및 접동 부재(63)를 구비한다. 또한, 드래그 손잡이(61)는, 조작 부재(67)와 받이 부재(66)를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74)와, 드래그 손잡이(61)와 스풀(4)과의 간극을 실(seal)하기 위한 제1 실 부재(64)와, 받이 부재(66)와 조작 부재(67)와의 간극을 실하는 제2 실 부재(65)와, 받이 부재(66)와 조작 부재(67)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손잡이 발음 기구(68)를 더 가진다.
받이 부재(66)는, 코일 용수철(73)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스풀(4)에 드래그력을 부여하기 위한 부재이다. 받이 부재(66)는, 링상(狀)의 테두리부(66a)와, 테두리부(66a)보다도 소경의 원통부(66b)를 가지는 테두리붙이 통상의,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다. 받이 부재(66)는,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원통부(66b)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5)의 계지면(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타원상(楕圓狀)의 계지 슬롯(66c)이 형성된다. 원통부(66b)의 외주면의 제1 실 부재(64)의 장착 부분의 후부에는, 환상 홈(66d)이 형성된다. 이 원통부(66b)의 후단면이 제1 지지부(56)를 통하여 마찰부(62)의 드래그 와셔(62a)에 당접한다.
조작 부재(67)는, 받이 부재(66)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받이 부재(66)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 부재(67)는,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이고, 스풀축(15)에 나합하는 것과 함께, 테두리부(66a)를 덮도록 받이 부재(66)를 향하여 통상으로 돌출하는 부재이다. 조작 부재(67)는, 손잡이체(71)와, 손잡이체(71)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축(15)에 나합하는 너트부(72)를 가진다.
손잡이체(71)는, 합성 수지제의 손잡이 본체(75)와, 손잡이 본체(75)의 전면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원판상의 커버부(76)와, 커버부(76)의 전면에 직경 방향을 따라 고정된 금속제의 조작 손잡이(77)를 가진다.
손잡이 본체(75)는, 원판부(75a)와, 원판부(75a)보다도 소경의 통상의 돌출부(75b)를 가진다. 원판부(75a)의 배면(背面) 측으로부터는, 4개의 볼트 부재(80a ~ 80d)가 삽입되고, 커버부(76)를 관통하여 조작 손잡이(77)에 틀어넣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부(76)와 조작 손잡이(77)가 손잡이 본체(75)에 고정된다.
돌출부(75b)는, 받이 부재(66)의 테두리부(66a)를 덮도록 받이 부재(66)를 향하여 통상으로 돌출한다. 돌출부(75b)로 덮이는 받이 부재(66)의 테두리부(66a)는, 돌출부(75b)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74)에 의하여 빠짐 방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받이 부재(66)와 조작 부재(67)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손잡이 본체(75)의 내주부에는, 너트부(72)를 수납하기 위한 너트 수납부(75c)가 형성된다. 너트 수납부(75c) 내에 있어서, 너트부(72)는 손잡이 본체(75)에 대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커버부(76)는, 손잡이 본체(75)의 원판부(75a)의 전면 및 외주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 결과, 드래그 손잡이(61)의 기구 부분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손잡이 본체(75)는 스풀(4) 내에 가려져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된다. 커버부(76)의 전면은, 중심 부분을 향하여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움푹 들어간다. 조작 손잡이(77)는, 커버부(76)의 직경을 따라 배치되고, 전방으로 돌출한다.
연결 부재(74)는, 탄성(彈性)을 가지는 금속 선재를 꺾어 구부려 형성된 부재이다. 연결 부재(74)는, 대략 정방형의 모퉁이에 상당하는 4개의 각부(角部)(74a)를 가지는 C자 형상의 용수철 부재이다. 연결 부재(74)는, 돌출부(75b)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 홈에 각부(74a)가 계지되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75b)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연결 부재(74)는, 각부(74a)의 사이의 3개의 원호부(圓弧部)(74b)가 테두리부(66a)의 후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받이 부재(66)를 빠짐 방지한다.
너트부(72)는, 예를 들어 육각 너트이고, 스풀축(15)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5b)에 나합한다. 너트부(72)는, 손잡이 본체(75)와 일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15)을 따라 이동하여 코일 용수철(73)을 신축시킨다.
코일 용수철(73)은, 조작 부재(67)의 회전에 의하여, 스풀축(15) 방향으로 신축한다. 코일 용수철(73)은, 조작 부재(67)와 받이 부재(66)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코일 용수철(73)과 받이 부재(66)와의 사이에 접동 부재(63)가 배치되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73)은, 조작 부재(67)와 접동 부재(6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덧붙여, 코일 용수철(73)은 압축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 용수철(7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의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코일 용수철(73)은,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선재를 나선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코일 용수철(73)의 내경(內徑)은, 스풀축(15)의 외경(外徑)보다도 크고, 코일 용수철(73)과 스풀축(15)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접동 부재(63)는, 코일 용수철(73)과 받이 부재(66)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접동 부재(63)는, 코일 용수철(73)의 압박력에 의하여 받이 부재(66)에 압압된다. 접동 부재(63)는 링상의 부재이고, 그 내경 및 외경은, 코일 용수철(73)과 거의 같다. 접동 부재(63)는, 받이 부재(66)보다도 작은 마찰 계수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동 부재(63)는, 예를 들어 와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1 실 부재(64)는, 예를 들어 합성 고무제의 원판상의 부재이다. 제1 실 부재(64)는, 스풀(4)의 지지 통부(53)의 장착 통부(53a)의 내주면과 받이 부재(66)의 원통부(66b)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실 부재(64)는, 환상 홈(66d)에 장착되는 스냅 링(snap ring)(70)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제1 실 부재(64)는, 내주면이 받이 부재(66)의 원통부(66b)에 장착되고, 외주부가 지지 통부(53)의 장착 통부(53a)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제1 실 부재(64)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원판상의 보강판(81)이 매설된다. 보강판(81)은, 제1 실 부재(64)의 성형 시에 금형 내에 삽입되고, 인서트 성형된다. 제1 실 부재(64)의 외주부에는, 장착 통부(53a)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짐 단면의 립부(64a)가 형성된다. 립부(64a)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한다. 또한, 직경 방향의 도중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단면 삼각형상의 환상 돌기부(64b)가 형성된다. 이 환상 돌기부(64b)가 제2 실 부재(65)의 배면에 접촉한다. 또한, 제1 실 부재(64)의 립부(64a)의 전면도 제2 실 부재(65)의 외주면의 후단부에 접촉한다.
제2 실 부재(65)는, 예를 들어, 합성 고무제의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재이다. 제2 실 부재(65)는, 제1 실 부재(64)와 조작 부재(67)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실 부재(65)는, 조작 부재(67)의 손잡이 본체(75)의 돌출부(75b)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한 통상의 접촉부(65a)와, 접촉부(65a)의 내주 측에 형성되고 돌출부(75b)의 후단면에 계합하는 환상 오목부(65b)와, 받이 부재(66)의 원통부(66b)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원판부(65c)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래그 손잡이(61)에서는, 받이 부재(66)와 조작 부재(67)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 부재(65)가, 조작 부재(67)의 돌출부(75b)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통상의 접촉부(65a)를 가지고, 이 제2 실 부재(65)에 의하여 받이 부재(66)와 조작 부재(67)와의 간극이 실된다. 또한, 스풀(4)과 받이 부재(66)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실 부재(64)에 의하여 스풀(4)과 받이 부재(66)와의 사이가 실된다. 여기에서는, 제2 실 부재(65)가 통상의 접촉부(65a)에서 조작 부재(67)의 손잡이 본체(75)의 돌출부(75b)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 부재(64)와 제2 실 부재(65)를 일체 형성한 경우에, 제1 실 부재(64)에 수압이 작용하여 눌러 내려져도, 제2 실 부재(65)가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2개의 실 부재(64, 65)에 수압이 작용하여도, 받이 부재(66)와 조작 부재(67)와의 사이로부터 드래그 손잡이의 내부로 액체가 유입하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제1 실 부재와 제2 실 부재는 별체(別體)이기 때문에, 제1 실 부재(64)가 변형하여도 제2 실 부재(65)는 보다 변형하기 어려워지고, 드래그 손잡이(61)의 내부로 액체가 한층 더 유입하기 어려워진다.
손잡이 발음 기구(68)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출(音出) 오목부(69a)를 가지는 음출 원판(69)과, 손잡이 본체(75)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는 타격 핀(82)과, 타격 핀(82)을 음출 오목부(69a)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83)을 가진다. 타격 핀(82)은, 중앙 부분이 대경이고 선단 및 후단이 소경이며 한층 더 선단이 반구상(半球狀)으로 둥글게 된 핀이고, 드래그 조작 시에 조작 부재(67)와 받이 부재(66)가 상대 회전하면, 음출 오목부(69a)와의 충돌을 반복하여 발음한다.
음출 원판(69)은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그 전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음출 오목부(69a)가 형성된다. 음출 원판(69)의 후면에는, 테두리부(66a)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구멍(66e)에 감합하는 복수의 연결 돌기(69b)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음출 원판(69)은, 받이 부재(66)에 대하여 회전 멈춤된다.
〔마찰부의 구성〕
마찰부(62)는, 복수(예를 들어 4매)의 드래그 와셔(62a ~ 62d)를 가진다. 드래그 와셔(62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이 부재(66)에 제1 지지부(56)를 통하여 접촉하고, 또한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금속제의 원판 부재이다. 드래그 와셔(62b)는, 스풀(4)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한 금속제의 원판 부재이다. 드래그 와셔(62c)는, 드래그 와셔(62a)와 마찬가지로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금속제의 원판 부재이다. 드래그 와셔(62d)는, 스풀(4) 및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예를 들어 펠트(felt)제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제의 원판 부재이다. 드래그 와셔(62a, 62c)의 중심부에는, 스풀축(15)의 선단 측에 형성되는 계지면(15a)에 계합하는 타원형의 계지 슬롯(62e)이 형성된다. 드래그 와셔(62b)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예를 들어 8개)의 귀부(62f)가 형성된다. 이 귀부(62f)는, 드래그 수납 통부(52)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계지 오목부(52a)에 계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와셔(62b)는, 스풀(4)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드래그 와셔(62a ~ 62d)는, 지지 통부(53)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56)에 의하여 빠짐 방지된다. 따라서 지지 통부(53)의 전방에 배치되는 빠짐 방지 용수철(55)을 떼어내지 않으면, 드래그 와셔(62a ~ 62d)는 착탈할 수 없다.
〔드래그 발음 기구의 구성〕
드래그 발음 기구(85)는, 드래그의 작동에 의하여 스풀축(15)과 스풀(4)이 상대 회전하면 발음하는 기구이다. 드래그 발음 기구(8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후 플랜지부(4h)의 배면에 장착되고 스풀(4)과 일체 회전하는 제1 발음 부재(86)와, 제1 발음 부재(86)에 대하여 타격을 반복하는 제2 발음 부재(87)를 가진다.
제1 발음 부재(86)는, 테두리붙이 원통 형상이고, 내주면에 원호상(圓弧狀)의 다수의 음출 오목부(86a)가 형성되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제1 발음 부재(86)의 후면에는 명판(名板)(88)이 배치되고, 명판(88)과 함께, 제1 발음 부재(86)는 후 플랜지부(4h)의 배면에 나사 멈춤된다.
제2 발음 부재(87)는, 음출 오목부(86a)를 향하여 진퇴하는 2개의 타격 핀(87a)과, 2개의 타격 핀(87a)을 음출 오목부(86a)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2개의 용수철 부재(87b)를 가진다. 타격 핀(87a)은, 제2 지지부(57)의 한 쌍의 제2 계지면(57d)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통상의 수납 부재(89)에 수납된다. 수납 부재(89)는, 타격 핀(87a)을 진퇴 가능하게 수납하는 2개의 수납 홈(89c)을 가지는 후육(厚肉) 원통상의 수납 본체부(89a)와, 수납 본체부(89a)에 나사 멈춤되고 수납 홈(89c)을 막는 것과 함께, 한 쌍의 제2 계지면(57d)에 계합하는 원판상의 커버(89b)를 가진다. 수납 본체부(89a)의 2개의 수납 홈(89c)은, 수납 본체부(89a)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고, 개구 측의 2개의 수납 홈(89c)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커버(89b)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제2 계지면(57d)에 계합하는 계지 슬롯(89d)이 형성된다. 수납 부재(89)와, 스풀(4)의 지지 벽부(4e)와의 사이에는 와셔(101)가 배치된다.
커버(89b)의 후면에는, 제2 지지부(57)의 제1 계지면(57c)에 계합하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3매의 스풀 위치 조정 와셔(102)와, 스풀(4)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2매의 규제 와셔(103, 104)가 장착된다. 규제 와셔(103, 104)는, 스풀축(15)의 계지면(15a)에 계합하는 계지 슬롯(103a, 104a)이 내주부에 형성되고,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다. 규제 와셔(104)는, 단붙이 와셔이고, 규제 와셔(103)로 제3 실 부재(105)를 보지한다. 제3 실 부재(105)의 외주부는, 제1 발음 부재(86)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제3 실 부재(105)는, 스풀(4)의 후면으로부터 마찰부(62)를 포함하는 스풀(4) 내부로의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릴의 조작 및 동작〕
낚시를 행하기 전에 물고기의 크기나 종류에 맞추어 스풀(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 즉 드래그력을 조정한다. 드래그력을 조정하려면, 드래그 손잡이(61)를 돌린다. 드래그 손잡이(61)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스풀축(15)에 나합하는 너트부(72)가 배면 방향(도 3, 5의 우방향(右方向))으로 진행한다. 코일 용수철(73)은 너트부(72)의 진행에 의하여, 접동 부재(63)를 통하여 받이 부재(66)를 배면 방향으로 압박하고, 받이 부재(66)는, 코일 용수철(73)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스풀(4)에 드래그력을 부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받이 부재(66)가 제1 지지부(56)를 통하여 마찰부(62)를 압압하고, 마찰부(62)를 구성하는 각 드래그 와셔(62a ~ 62d)가 각각 마찰력으로 서로 계합하는 것으로 스풀(4)에 드래그력을 부여한다. 이때, 받이 부재(66)와 조작 부재(67)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타격 핀(82)이 음출 오목부(69a)로의 충돌을 소정 간격으로 반복하여, 명확하고 경쾌한 클릭음이 발생한다. 덧붙여, 드래그 손잡이(6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만큼, 드래그력은 커진다.
캐스팅(casting) 시에는,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한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44)이 베일 반전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줄 감기 위치로 복귀하고, 낚싯줄이 베일(43)로부터 라인 롤러(41)로 이동하여 스풀(4)에 감긴다.
〔특징〕
(1)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61)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4)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60)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이다. 이 드래그 손잡이(61)는, 조작 부재(67), 코일 용수철(73), 받이 부재(66), 및 접동 부재(63)를 구비한다. 조작 부재(67)는,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코일 용수철(73)은, 조작 부재(67)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 부재(67)의 회전축 방향(도 1, 2, 3, 5의 좌우 방향)으로 신축한다. 받이 부재(66)는, 코일 용수철(73)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스풀(4)에 드래그력을 부여한다. 접동 부재(63)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코일 용수철(73)과 받이 부재(66)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받이 부재보다도 마찰 계수가 작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우선, 종래는, 코일 용수철(73)과 받이 부재(66)가 접촉하고 있었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73)에는, 받이 부재(66)와의 마찰에 의한 마찰력이 걸려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 용수철(73)과 받이 부재(66)와의 사이에 접동 부재(63)가 배치되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73)에는, 접동 부재(63)와의 마찰에 의한 둘레 방향의 마찰력이 걸린다. 그리고 받이 부재(66)보다도 접동 부재(63) 쪽이 마찰 계수가 작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73)에 걸리는 마찰력을 종래에 비하여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마찰력에 의한 코일 용수철(73)의 비틀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코일 용수철(73)은, 그 축 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상이다. 이와 같은 형상의 코일 용수철(73)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코일 용수철(73)의 직경 방향으로의 만곡을 막을 수 있다. 덧붙여, 코일 용수철(73)의 축 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경우여도,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용수철에 걸리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73)의 비틀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4)과, 드래그 손잡이(61)를 가지고 있고 스풀(4)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6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손잡이(61)에 사용되는 코일 용수철(73)에 걸리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73)의 비틀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각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1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동 부재(63)는 코일 용수철(73)과 받이 부재(66)와의 사이에 배치되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 부재(63)는 코일 용수철(73)과 조작 부재(6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서는, 접동 부재(63)가, 코일 용수철(73)과 받이 부재(66)와의 사이와, 코일 용수철(73)과 조작 부재(67)와의 사이의 양방(兩方)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변형예 1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61)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4)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60)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이다. 이 드래그 손잡이(61)는, 조작 부재(67), 코일 용수철(73), 받이 부재(66), 및 접동 부재(63)를 구비한다. 조작 부재(67)는,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코일 용수철(73)은, 조작 부재(67)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 부재(67)의 회전축 방향으로 신축한다. 받이 부재(66)는, 코일 용수철(73)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스풀(4)에 드래그력을 부여한다. 접동 부재(63)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코일 용수철(73)과 조작 부재(67)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조작 부재(67)보다도 마찰 계수가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일 용수철(73)과 조작 부재(67)와의 사이에 접동 부재(63)가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조작 부재(67)와의 마찰에 의하여 둘레 방향의 마찰력이 걸려 있던 코일 용수철(73)에는, 접동 부재(63)와의 마찰에 의하여 둘레 방향의 마찰력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조작 부재(67)보다도 접동 부재(63) 쪽이 마찰 계수가 작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73)에 걸리는 마찰력을 종래에 비하여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마찰력에 의한 코일 용수철(73)의 비틀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2
코일 용수철(73)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이어도 무방하다. 상세하게는, 코일 용수철(73)은, 선재를 축 방향으로 요철시키고, 이 요철을 선회(旋回) 방향으로 연속시키는 파상(波狀)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코일 용수철(73)은, 서로 이웃하는 선재의 볼록부끼리 또는 오목부끼리가 대향하고, 대향하는 볼록부끼리가 정점(頂點)에서 접촉한다. 이와 같이 코일 용수철(73)을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동등의 압박력을 보지하면서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변형예 3
코일 용수철(73)은, 축 방향의 단면이 원형이어도 무방하다. 즉, 단면이 원형인 선재를 나선상으로 하여 형성된 코일 용수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코일 용수철(73)에 관련되는 마찰력을 저감하여, 코일 용수철(73)의 비틀림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변형예 4
접동 부재(63)는, 코일 스프링(73)과 접촉하는 면, 및 받이 부재(66)와 접촉하는 면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의 면은 평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73), 접동 부재(63), 및 받이 부재(66) 간의 접동을 보다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윤활유나 그리스(greas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윤활유나 그리스를 보지하기 위하여, 접동 부재(63)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홈은, 직경 방향을 따라 연속적 또는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 외에도, 접동 부재(63)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2: 릴 본체
4: 스풀
60: 드래그 기구
61: 드래그 손잡이
63: 접동 부재
66: 받이 부재
67: 조작 부재
73: 코일 용수철

Claims (5)

  1.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이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 신축(伸縮)하는 코일 용수철과,
    상기 코일 용수철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상기 스풀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받이 부재와,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용수철과 상기 받이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받이 부재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접동(摺動) 부재
    를 구비하는, 드래그 손잡이.
  2.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이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 신축하는 코일 용수철과,
    상기 코일 용수철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상기 스풀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받이 부재와,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용수철과 상기 조작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접동 부재
    를 구비하는, 드래그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용수철은, 축 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상인, 드래그 손잡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용수철은,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coiled wave spring)인, 드래그 손잡이.
  5.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드래그 손잡이를 가지고,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
    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KR1020130113930A 2012-12-04 2013-09-25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 KR102061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5031 2012-12-04
JP2012265031A JP6134133B2 (ja) 2012-12-04 2012-12-04 ドラグつまみ、及びこ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79A true KR20140071879A (ko) 2014-06-12
KR102061068B1 KR102061068B1 (ko) 2019-12-31

Family

ID=4948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930A KR102061068B1 (ko) 2012-12-04 2013-09-25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04387B2 (ko)
EP (1) EP2740354B1 (ko)
JP (1) JP6134133B2 (ko)
KR (1) KR102061068B1 (ko)
CN (1) CN103843738B (ko)
MY (1) MY172938A (ko)
TW (1) TWI6096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5742A1 (zh) * 2014-12-18 2016-06-23 陈勇 钓鱼用盘簧收线放线器
CN105660558B (zh) * 2014-12-18 2022-04-22 陈勇 钓鱼用盘簧收线放线器
ES2862104T3 (es) 2015-05-29 2021-10-07 Orbital Rotation Accessory Int Inc Aparato de agarre para equipo de ejercicio y método para fabricar el mismo
JP6711833B2 (ja) * 2015-07-31 2020-06-17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ダイアフラムダンパ装置用のコイルドウェーブスプリング及びダンパシステム
JP6968640B2 (ja) * 2017-09-19 2021-11-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および片軸受リール
JP7088670B2 (ja) * 2017-12-27 2022-06-21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及び釣り用リール
JP7065626B2 (ja) * 2018-01-31 2022-05-12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
JP7133417B2 (ja) * 2018-09-26 2022-09-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1691542S (ko) * 2020-12-23 2021-08-02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2356A (en) * 1959-12-02 1963-01-08 Walter F Leuthner Fishing line reel
JPS4218941Y1 (ko) * 1964-04-15 1967-11-01
FR2101265A5 (ko) 1970-07-08 1972-03-31 Carpano Ets Pons
US4488689A (en) * 1982-08-09 1984-12-18 Brunswick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a drag cartridge in a rear mounted drag reel
US4796828A (en) * 1982-08-09 1989-01-10 Zebco Corporation Cartridge rear mounted drag assembly and method
US4725012A (en) * 1986-06-30 1988-02-16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drag with duplex control
JPH0610226Y2 (ja) 1988-12-05 1994-03-16 三興線材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
JP2548345Y2 (ja) * 1990-11-27 1997-09-1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構造
US5857632A (en) * 1996-09-11 1999-01-12 Flylogic, Inc. Casting fishing reel with torque converter and clutch
JPH11155441A (ja) * 1997-11-28 1999-06-15 Mamiya Op Co Ltd 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299399A (ja) * 1998-04-24 1999-11-02 Ryobi Ltd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2002039243A (ja) 2000-07-25 2002-02-06 Toshikazu Okuno ウエーブコイルばね
JP2003210081A (ja) * 2002-01-22 2003-07-2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部品組立体
JP4187558B2 (ja) 2003-03-27 2008-11-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SG114660A1 (en) 2003-04-16 2005-09-28 Shimano Kk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4395341B2 (ja) * 2003-07-30 2010-01-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操作構造
DE602007003080D1 (de) * 2006-03-10 2009-12-17 Georgi Chivarov Angelrolle zum fliegenfischen
JP5184759B2 (ja) * 2006-05-26 2013-04-1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装置
US7344099B1 (en) * 2006-11-14 2008-03-18 Pure Fishing, Inc. Drag system for a spinning reel
WO2009036180A2 (en) * 2007-09-11 2009-03-19 U.S. Reel-Missouri, Llc Drag system for a spinning reel
JP5481101B2 (ja) 2009-06-08 2014-04-2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JP5467511B2 (ja) * 2010-02-09 2014-04-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12205517A (ja) * 2011-03-29 2012-10-25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08092A (ja) 2014-06-12
US20140151483A1 (en) 2014-06-05
EP2740354B1 (en) 2016-12-14
CN103843738B (zh) 2018-11-06
CN103843738A (zh) 2014-06-11
TW201422149A (zh) 2014-06-16
TWI609628B (zh) 2018-01-01
US9004387B2 (en) 2015-04-14
MY172938A (en) 2019-12-16
EP2740354A1 (en) 2014-06-11
KR102061068B1 (ko) 2019-12-31
JP6134133B2 (ja)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1879A (ko)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
US10010061B2 (en) Spinning reel
KR101442569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20140113475A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US9700033B2 (en) Coiled wave spring and drag knob
KR100938377B1 (ko) 낚시용 릴의 소리 발생 장치
JP2008005713A (ja) 釣り用リールの連結部材
TW200522862A (en) 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KR20030063240A (ko) 낚시용 릴의 부품조립체
JP520512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14168423A (ja) ドラグつまみ、及びこ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US7165736B2 (en) Rear drag operation structure for a spinning reel
JP417338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KR101403928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손잡이 조립체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JP2009148173A5 (ko)
JP2014138561A (ja) 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2014138561A5 (ko)
JP44550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438189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202308045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144020A (ja) 釣り用リールの発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