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246B1 -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으로얻어지는 디스크형 식품 반죽 - Google Patents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으로얻어지는 디스크형 식품 반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246B1
KR100926246B1 KR1020077027692A KR20077027692A KR100926246B1 KR 100926246 B1 KR100926246 B1 KR 100926246B1 KR 1020077027692 A KR1020077027692 A KR 1020077027692A KR 20077027692 A KR20077027692 A KR 20077027692A KR 100926246 B1 KR100926246 B1 KR 100926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ough
spreading
roller
spreading roller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303A (ko
Inventor
미치오 모리카와
토라히코 하야시
타카마사 츠치다
히로시 에바타
노리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0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5885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12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383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760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538406B2/ja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4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 A21C11/008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by press-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2Emboss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칠 때, 식품 반죽과 펼침 롤러의 사이에 슬립을 생기게 하지 않고, 또한 식품 반죽에 오그라듦을 생기게 하지 않고 균일하게 펴는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으로 얻어지는 디스크형 식품 반죽을 제공한다. 테이블(7) 상에 배치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3)을 편평하게 펴는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 가능한 승강 가대에,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고 또 자전 가능한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펼침 롤러를 상기 식품 반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 반죽을 펼칠 때, 상기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되는 경우보다 고속으로 상기 펼침 롤러를 자전하여 식품 반죽을 펴는 것으로, 상기 식품 반죽에 대한 상기 펼침 롤러의 상대적인 가압 속도는, 초기의 가압 속도보다 말기의 가압 속도를 작게 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77027692
식품 반죽, 펼침 롤러, 펼침 장치, 회전테이블, 공전용 모터.

Description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으로 얻어지는 디스크형 식품 반죽{METHOD AND DEVICE FOR SPREADING FOOD DOUGH AND DISK-LIKE FOOD DOUGH OBTAIN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치즈를 내포한 피자 반죽(dough) 등의 내용물(fillings)을 싼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품 반죽, 파이 반죽, 빵 반죽, 또는 내용물이 있는 파이 반죽이나 빵 반죽 등의 덩어리 형상(하나의 덩어리)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치는(rolling) 펼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 반죽과 펼침을 행하는 펼침 롤러 사이에 슬립을 생기게 하지 않고, 또한 펼침 종료 직후에 식품 반죽에 큰 비틀림 수축을 발생시키지 않고, 식품 반죽을 균일하게 펼칠 수 있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식품 반죽의 덩어리를 펼침으로써 디스크형으로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파이 반죽, 피자 반죽, 빵 반죽 등의 적절한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칠 때, 식품 반죽을 대략 구(球) 형상, 직사각형상, 두꺼운 원반형 등, 편평하게 펼쳤을 때에 형상이 얇은 디스크형, 타원형, 거의 사각형 등이 되도록, 식품 반죽을 적절한 형상의 하나의 덩어리로 하고, 이 한 덩어리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특허문헌 1, 2, 3 참조).
또한, 식품 반죽을 디스크형으로 성형하는 장치로서는 반죽 분말로 만들어진 베이스 재료를 자동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이 컨베이어 벨트 상방에는 필요한 반죽분말 재료의 주변 형상에 일치하는 형상의 커터를 구비한 왕복 운동 압발(押拔) 다이스가 배치되고, 컨베이어 벨트의 하방에는 회전 디스크가 제공되고, 이 회전디스크 상면에는 복수의 작은 롤러가, 적어도 1개의 소용돌이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이 롤러는 압발 다이스가 하강하였을 때,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면을 가압하도록 행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또한, 내용물(filling)이 있는 식품 반죽으로서는 빵 반죽 중에 기름 성분층으로서의 크림치즈, 또는 유성 소스가 채워진 피자 크러스트가 제시되고, 성형 수단으로서, 팥소가 들어간 찐빵과 같이, 빵 반죽으로 기름 성분물을 둘러싼 반죽 덩어리를 얻은 후, 이것을 상하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 장치로 대략 타원형 크러스트로 하고, 이 타원형 크러스트를 90° 회전하여 재차 롤러 장치로 펼쳐서, 거의 디스크형의 크러스트를 얻을 수 있다(특허문헌 5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소)32-3040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소)58-32847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57-129634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293447호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32660호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식품 반죽을 배치하는 테이블의 상방에 상하 동작 가능하게 또한 수직 축선 둘레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롤러지지부재에, 상기 식품 반죽을 펼치기 위한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제공하는 구성이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장치는 식품 반죽을 배치 가능하게 또한 수평으로 회전 가능한 테이블의 상방 위치에, 상기 식품 반죽을 펼치기 위한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제공하는 롤러지지부재를 상하 동작 가능하게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테이블 상의 식품 반죽에 대하여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식품 반죽을 가압하고, 또한 공전시킴과 동시에 종동적으로 자전하여,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펼침 롤러를 공전시킴으로써, 종동적으로 펼침 롤러의 자전이 행해진다. 따라서, 식품 반죽과 펼침 롤러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여 식품 반죽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펼침 롤러의 진행방향의 앞쪽에, 펼침 롤러를 따르는 방향으로 리브 형상의 부조(embossment)가 있으면, 이 부조가 펼침 롤러에 의해서 전방을 향하여 가압되어 이동하는 경향이 있어, 식품 반죽을 균일한 두께로 펼치기 위해서는 시간을 요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죽이 비교적 딱딱한 경우에는 펼침 경향이 약하기 때문에 더욱 어렵다.
특허문헌 3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특허문헌 4는 복수의 작은 롤러에 의한 펼침 누름이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
특허문헌 5에 있어서는 펼쳐지는 반죽을 적어도 2회 방향을 바꾸어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효율 면에서 문제가 있다. 게다가, 펼쳐진 반죽형상이 원형으로 되지 않는 등의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테이블에 대하여 식품 반죽을 공급하고,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친 후, 펼쳐진 식품 반죽을 상기 테이블로부터 취출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 능률 향상을 도모함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 1 관점으로서는, 테이블 상에서 구름 운동하는 펼침 롤러에 의해,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된 식품 반죽을 펴는 방법으로서, 상기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되는 경우의 자전 속도보다 고속으로 상기 펼침 롤러를 자전시키고, 상기 식품 반죽을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이블 상에 배치된 식품 반죽을 상기 테이블 상에서 구름 운동하는 펼침 롤러에 의해서 펴는 장치로서, 상기 펼침 롤러를 공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와, 상기 펼침 롤러를 자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펼침 롤러로부터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하는 경우의 자전 속도보다 고속으로 상기 펼침 롤러를 자전시키도록 상기 제 2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식품 반죽을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이블 상에 배치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펴는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 가능한 승강 가대에,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고 또한 자전 가능한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펼침 롤러를 상기 식품 반죽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 반죽을 펼칠 때, 상기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되는 경우보다 고속으로 상기 펼침 롤러를 구동자전시켜서 식품 반죽을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반죽에 대한 상기 펼침 롤러의 상대적인 가압 속도를, 미리 정한 감속률로서 초기의 가압 속도보다 말기의 가압 속도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있어서, 초기의 가압 속도는 소정 시간 또는 식품 반죽이 소정 두께로 될 때까지 거의 등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있어서, 말기의 가압 속도는 점차로 감속 또는 단계적으로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이블 상에 배치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치기 위한 식품 반죽 펼침 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 가능한 승강 가대와, 상기 승강 가대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고 또한 자전 가능한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와, 이 펼침 롤러를 구동 자전시키기 위한 자전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있어서, 펼침 롤러는 복수개 제공되고, 각각의 펼침 롤러에 대응하여 자전용 모터가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있어서, 펼침 롤러는 복수개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펼침 롤러를 구동 자전시키기 위한 자전용 모터는 펼침 롤러보다 적은 수이며, 이 자전용 모터와 상기 각 펼침 롤러는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연동하여 연결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공전시키기 위한 공전용 모터를 구비하고, 이 공전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공전되는 상기 펼침 롤러의 자전 속도를,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되는 경우보다 고속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자전용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 회전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시키기 위한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이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의 구동 패턴을 제어하는 구동 패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식품 반죽 펼침 장치로부터 펼침작업위치를 지나서 반출위치로 이동 가능한 식품 반죽 반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이블 상에 배치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치기 위한 식품 반죽 펼침 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고 또한 자전 가능한 원뿔 형상의 펼침 롤러와, 이 펼침 롤러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링 형상의 가이드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 또는 상기 펼침 롤러의 적어도 한쪽이 상하 동작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공전시키기 위한 공전용 모터를 구비하고, 이 공전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공전되는 상기 펼침 롤러의 자전 속도를,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되는 경우보다 고속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가이드 기어의 이빨(tooth)의 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시키기 위한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이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의 구동 패턴을 제어하는 구동 패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으로서는 테이블 상에 배치된 거의 구 형상의 식품 반죽을, 테이블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테이블 상방에서 강제적으로 공전하고 또한 자전하는 펼침 롤러에 의해서 디스크형으로 성형함에 있어서, 상기 펼침 롤러와 테이블의 간격을 서서히 작게 함으로써, 펼침 롤러의 헤드부를 상기 식품 반죽의 중앙부에 접촉시켜서 상기 식품 반죽을 가압하여 편평하게 하고, 또한 상기 간격을 작게 함에 따라서, 펼침 롤러의 반죽 접촉면을 증대시켜 식품 반죽을 서서히 식품 반죽의 중앙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펼쳐서 디스크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략 구형의 식품 반죽은 내용물이 있는 식품 반죽을 디스크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또한, 테이블 상에 식용 가능한 입자 형상물을 살포함으로써 배치된 식품 반죽 바닥면에 식용 가능한 입자 형상물을 부착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또한, 식품 반죽을 펼침에 있어서, 식품 반죽이 배치되는 테이블을 중앙에 대하여 둘레 가장자리의 위치에 갭을 형성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성형된 디스크형의 식품 반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으로서는 수평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테이블과, 이 회전테이블의 상방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펼침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테이블 또는 상기 펼침 롤러의 적어도 한쪽을 상하 동작 가능하게 구비하는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의해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펴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으로서, 상기 펼침 롤러의 회전 속도는 상기 회전테이블과 펼침 롤러가 접촉하여 펼침 롤러가 종동 회전될 때의 회전 속도보다 약간 고속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있어서, 식품 반죽이 상기 펼침 롤러에 접촉할 때까지는 상기 회전테이블을 정지상태 또는 저속 회전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식품 반죽이 상기 펼침 롤러에 접촉한 후에 상기 회전테이블을 소정의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테이블과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상기 식품 반죽을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는, 상기 펼침 롤러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는 상기 펼침 롤러 및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정지하고, 그 후에 역회전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반죽에 대한 상기 펼침 롤러의 상대적인 가압 속도를, 미리 정한 감속률로써 초기의 가압 속도보다 말기의 가압 속도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있어서, 초기의 가압 속도는 소정 시간 또는 식품 반죽이 소정 두께로 될 때까지 거의 등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있어서, 말기의 가압 속도는 점차로 감속 또는 단계적으로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치기 위한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로서, 상기 식품 반죽을 배치 가능하고 또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테이블과, 이 회전테이블의 상방에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펼침 롤러를 제공하고, 상기 회전테이블 또는 상기 펼침 롤러의 적어도 한쪽을 상하 동작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시키기 위한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이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의 구동 패턴을 제어하는 구동 패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에, 식품 반죽이 배치된 트레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트레이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의 모터 및 상기 펼침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이 제어장치에,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 상기 펼침 롤러의 감속 패턴을 저장한 패턴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 및 펼침 롤러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자유롭게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3 관점에 의하면, 식품 반죽과 펼침 롤러 사이의 슬립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식품 반죽을 펴는 작용이 효과적으로 행해져서, 식품 반죽을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펼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펼침 롤러를 강제적으로 공전과 자전시킴으로써, 접촉하여 가압되는 식품 반죽을 펼침 롤러가 반경방향(방사방향)으로 균일하게 펼치고, 또한, 반죽의 두께를 균일하게 펼칠 수 있다.
반죽을 펼침에 있어서, 우선 펼침 롤러의 헤드부가 식품 반죽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가압하여 편평하게 하고, 또한 상기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펼침 롤러에서의 반죽의 접촉면의 증가에 따라서, 식품 반죽을 방사방향으로 펼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이 있는 거의 구형상의 식품 반죽을 펼침으로써, 내용물이 반죽 내에서 균일하게 펼쳐진 층이 진 부분(layered portion: 이하 '층형부' 라고 함)과, 반죽만으로 이루어지는 외주 가장자리에 의한 디스크형 반죽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 디스크형 반죽을 구울 경우, 층형부와 둘레 가장자리에서 온도의 차이에 의해 층형부는 얇고, 주변 가장자리는 부풀어 오르는 제품이 얻어진다.
또한, 식품 반죽의 바닥면에 식용 가능한 입자 형상물을 부착하여 펼침으로써 테이블 면과의 입자 형상물의 부착 장식을 식품 반죽의 펼침과 동시에 행하기 때문에, 공정이 간략화될 수 있다.
또한, 식품 반죽을 펼칠 때에, 식품 반죽이 배치되는 테이블을 중앙에 대하여 둘레 가장자리의 위치에 갭을 형성하여 식품 반죽을 펼치면, 펼쳐진 식품 반죽은 식품 반죽의 안쪽과 비교하여 주변가장자리의 부분이 두꺼운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각종 복합 형상의 식품 반죽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 펼침 장치의 주요 부분을 개념적,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 펼침 장치의 주요 부분을 개념적,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설명도.
도 3a 내지 도 3c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의 설명도.
도 4는 제 1 관점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 반죽 펼침 장치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 설명도.
도 5는 제 1 관점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 펼침 장치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 설명도.
도 6은 제 1 관점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 펼침 장치의 펼침 롤러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식품 반죽을 펼칠 때의, 식품 반죽에 대한 펼침 롤러의 상대적인 하강 속도, 펼침 롤러와 벨트 컨베이어의 간격, 식품 반죽의 펼침 면적, 평균 반경의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도 8a 내지 도 8d는 식품 반죽을 펼칠 때의, 식품 반죽에 대한 펼침 롤러의 상대적인 하강 속도, 펼침 롤러와 벨트 컨베이어의 간격, 식품 반죽의 펼침 면적, 평균 반경의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도 9a 내지 도 9d는 식품 반죽을 펼칠 때의, 식품 반죽에 대한 펼침 롤러의 상대적인 하강 속도, 펼침 롤러와 벨트 컨베이어의 간격, 식품 반죽의 펼침 면적, 평균 반경의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식품 반죽을 펼칠 때의, 식품 반죽에 대한 펼침 롤러의 상대적인 하강 속도, 펼침 롤러와 벨트 컨베이어의 간격, 식품 반죽의 펼침 면적, 평균 반경의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식품 반죽을 펼칠 때의, 식품 반죽에 대한 펼침 롤러의 상대적인 하강 속도, 펼침 롤러와 벨트 컨베이어의 간격, 식품 반죽의 펼침 면적, 평균 반경의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제어장치에서의 주요한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내용물이 있는 식품을 펼치는 작용 설명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 의해 생산된 식품 반죽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입자 형상물을 살포하여 식품을 펼치는 작용 설명도.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테이블 부분에 형성된 갭에 의한 작용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벨트 컨베이어 상의 원형 형상의 볼록부에 의해 구성된 갭에 의한 작용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의 주요 부분을 개념적,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제어장치의 주된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의 설명도.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의 설명도.
도 22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 펼침 장치의 주요한 구성을 개 념적 및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설명도.
도 1, 도 2에 개념적 및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서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 반죽 펼침 장치(1)는, 적절한 형상의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3)을 배치하는 테이블의 일례로서 카운터(5)를 구비하고, 이 카운터(5)에는 상기 식품 반죽(3)을 반송하기 위한 식품 반죽 반송수단의 일례로서의 벨트 컨베이어(7)가 제공된다. 이 벨트 컨베이어(7)는 식품 반죽(3)의 공급 위치(9A)로부터 펼침작업위치(9B)를 지나서, 반출위치(9C)로 식품 반죽을 순차척으로 이송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7)는 연속된 구성으로서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공급위치(9A), 펼침작업위치(9B), 반출위치(9C)로 분할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펼침작업위치(9B)에서 상기 카운터(5)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임(11, 상세한 구성은 생략)이 제공되고, 이 상부 프레임(11)에 제공된 상하방향의 가이드 부재(13)에는 상기 카운터(5)에 대하여 승강 가대(15)가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승강 가대(15)의 상하 동작은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 서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볼-나사 기구 등과 같은 적절한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로서의 상하 작동 장치(도시 생략)의 작동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것이다.
상기 승강 가대(15)에는 공전용 모터(17)가 장착되고, 이 공전용 모터(17)의 출력축에는 롤러지지부재(19)가 지지된다. 상기 롤러지지부재(19)는 공전용 모터(17)의 출력축에 설치된 허브 부분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지지 아암(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아암(21)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제공되고, 또한 하부측에서의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즉 끝이 넓어지는 형으로 경사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 아암(21)의 하단부에는 원뿔 형상의 펼침 롤러(2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펼침 롤러(23)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전용 모터(25)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상기 펼침 롤러(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전할 때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또한 각 펼침 롤러(23)의 헤드부는 상기 공전용 모터(17)에서의 출력축의 축심의 연장선에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되어있다. 그리고 각 펼침 롤러(23)에서의 최하부의 모선(母線)은 수평이고, 또한 동일 평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하 작동 장치(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서 승강 가대(15)가 상하 동작할 수 있고, 공전용 모터(17)의 구동에 의해 롤러지지부재(19)를 통하여 각각의 펼침 롤러(23)가 공전할 수 있다. 또한, 각 자전용 모터(25)의 구동에 의해 각 펼침 롤러(23)가 자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펼침작업위치(9B)에 배치된 식품 반죽(3)에 대하여 펼침 롤러(23)가 공전하는 동시에 자전하고, 또한 펼침 롤러(23)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식품 반죽(3)을 가압함으로써, 식품 반죽(3)을 편평하게 펼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1)에는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27)가 제공되는 동시에, 상기 공급위치(9A)로부터 상기 펼침작업위치(9B)로 이송되는 식품 반죽(3)을 검지하는 식품 반죽 검지수단(29)이 제공된다. 이 식품 반죽 검지수단(29)은 상기 공급위치(9)로부터 상기 펼침작업위치(9B)로 이송되는 식품 반죽(3)을 광학적으로 검지하는 광학센서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공급위치(9A)에 공급된 식품 반죽(3)이 펼침작업위치(9B)로 이송된 후, 상기 제어장치(27)의 제어하에 공전용 모터(17)가 구동하여 펼침 롤러(23)를 공전시키고, 또한 자전용 모터(25)의 구동에 의해서 펼침 롤러(23)를 자전시키고, 승강 가대(15)가 하강하여 펼침 롤러(23)에 의해 식품 반죽(3)이 가압됨으로써, 식품 반죽(3)이 편평하게 펼쳐지는 것이다(도 3 참조).
이때, 펼침 롤러(23)는 자전용 모터(25)에 의해, 공전용 모터(17)의 구동에 의한 공전에 의해서 종동적으로 구름 운동되는 경우의 자전 속도보다 고속으로 자전된다. 즉, 펼침 롤러(25)의 자전 속도는 종동적인 구름 운동에 기인하는 자전 속도(이하, 종동 자전 속도라고 부름)보다 약간 고속으로 자전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펼침 롤러(23)는 상기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05 내지 1.4배 정도의 속도로서 구동 자전된다.
따라서, 식품 반죽(3)과 펼침 롤러(23)의 사이에 슬립의 발생을 방지하고 식품 반죽(3)의 펼침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펼침 롤러(23)가 종동 자전 속도보다 약간 고속으로 구동 자전되는 것이므로, 펼침 롤러(23)의 진행방향의 앞쪽으로 예를 들면 밭이랑 형상의 솟아오름이 있는 경우, 상기 솟아오름 부분을 펼침 롤러(23)의 하측으로 끌어넣는 작용을 생기게 하여, 상기 솟아오름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펼침 롤러(23)의 원주 속도는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23)의 헤드측보다 바닥측이 크기 때문에, 식품 반죽(3)은 펼침 롤러(23)의 헤드측으로부터 바닥측으로(방사방향으로) 당겨지는 경향이 있고, 펼침 롤러(23)에 의한 가압 작용과, 고속의 구동 자전과의 작용이 어울려, 식품 반죽(3)의 상면이 평탄한 디스크 등의 적절한 형상으로 효과적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구형의 식품 반죽(3)을 사용하여 얇게 펼치므로, 디스크형의 식품 반죽으로 성형되었지만, 그 밖의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식품 반죽(3)을 얇게 펼치면 직사각형의 판형 반죽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펼침 롤러(23)를 종동 자전 속도로서 자전시키면서 식품 반죽(3)을 펼치는 경우와 비교하여 효율적으로 펼칠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펼침 롤러(23)의 구동 자전 속도를,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05배 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펼침 롤러(23)의 하측으로 식품 반죽(3)을 당겨서 넣는 작용이 작고, 식품 반죽(3)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펼침 롤러(23)의 구동 자전 속도를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0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펼침 롤러(23)의 구동 자전 속도를,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4배 이상으로 하면, 식품 반죽(3)에 있어서, 펼침 롤러(23)의 진행방향 앞쪽 부분이 펼침 롤러(23)의 하측으로 당겨지는 작용이 크게 되어, 식품 반죽(3)의 내부에 스트레스가 남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식품 반죽(3)의 펼침 작용을 종료하기 위해서 식품 반죽(3)으로부터 펼침 롤러(23)를 멀게 하면, 이러한 스트레스에 의해 식품 반죽(3)이 줄어드는 경향이 커지기 때문에, 그다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이미 이해되는 것처럼, 펼침 롤러(23)의 구동 자전 속도는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O5배 내지 약 1.4배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펼침 롤러(23)의 구동 자전 속도는 식품 반죽(3)의 물성 등에 있어서 적절하게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3)으로서는 예를 들면 뭉침 성형한 직후의 식품 반죽, 수십 분의 반죽 회복시간을 경과한 후의 식품 반죽, 발효 공정을 거친 후의 식품 반죽이나, 적절한 두께 등으로 적절하게 한번 펼쳐진 두꺼운 형태의 식품 반죽 등, 적절한 식품 반죽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펼침작업위치(9B)에서 편평하게 펼쳐진 식품 반죽(3)은 벨트 컨베이어(7)에 의해서 반출위치(9C)로 이송되고, 이 반출위치(9C)에서 다음 공정으로 반출된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소정 높이 위치의 식품 반죽(3)에 대하여 펼침 롤러(23)가 하강하여 상기 식품 반죽(3)을 펼치는 경우에 관해서 예시하였다. 그러나, 소정 높이 위치의 펼침 롤러(23)에 대하여 식품 반죽(3)을 상대적으로 상승시켜서 식품 반죽(3)의 펼침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식품 반죽(3)에 대하여 펼침 롤러(23)가 하강하는지, 펼침 롤러(23)에 대하여 식품 반죽이 상승하는지는 상대적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식품 반죽(3)을 지지한 벨트 컨베이어(7)의 일부가 상승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4는 제 1 관점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 펼침 장치를 개념적 및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는 구 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7)를, 식품 반죽(3)의 공급위치(9A), 펼침작업위치(9B), 반출위치(9C)에 대응하여 각각 개별의 벨트 컨베이어(7A, 7B, 7C)로 구분하여 설치하고, 또한 펼침작업위치(9B)에 대응한 벨트 컨베이어(7B)를, 상하 작동 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펼침 롤러(2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 벨트 컨베이어(7A, 7B, 7C)는 각각 대응하여 설치한 모터(도시생략)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정 높이 위치의 펼침 롤러(23)에 대하여 식품 반죽(3)이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7B)가 상승되기 때문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7B)를 포함하는 구성이 테이블에 상당하고, 상기 펼침 롤러(23) 등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1)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7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하게 되며, 승강 가대에 상당하는 것이다.
상기 펼침 롤러(23)를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프레임(11)에, 수직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통형의 회전축(31)의 하단부에 롤러지지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1)을 회전하기 위해서, 상부 프레임(11)에 설치된 모터 브래킷(33)에는 공전용 모터(17)가 장착되고, 이 공전용 모터(17)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기어(35A)에는 상기 회전축(31)의 상부에 설치한 종동 기어(35B)가 맞물려 있다. 즉, 공전용 모터(17)와 회전축(31)은 기어열 등과 같은 적절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롤러지지부재(1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펼침 롤러(23)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 브래킷(33)에는 자전용 모터(25)가 장착되고, 이 자전용 모터(25)와 상기 펼침 롤러(23)는 적절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즉,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축(31) 내에 상기 자전용 모터(25)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37)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이 회전축(37)의 하단부에 제공된 기어(39A, 베벨 기어)는 상기 롤러지지부재(1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축(41)의 일단부에 제공된 기어(39B, 베벨 기어)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축(41)의 타단측에 제공된 기어(39C)는 상기 펼침 롤러(23)의 축에 제공된 기어(39D)와 맞물려 있다. 즉, 자전용 모터(25)와 펼침 롤러(23)는 복수의 기어가 맞물린 기어열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기어열 대신에, 예를 들면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구성 등으로 할 수도 있고, 기어열로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인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한 것과 같은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제 1 관점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 펼침 장치를 개념적 및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는 식품 반죽을 트레이에 배치하여, 펼침 롤러의 하방 위치에 종동적으로 상기 트레이를 출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컨베이어 벨트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블(75)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식인 것으로 서, 펼침 롤러(7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에서는 테이블(75)이 상하 동작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펼침 롤러(73)가 상하 동작하여도 좋다.
상기 펼침 롤러(73)는 회전축(79), 및 롤러지지부재(76)를 통하여 상부 프레임(78)에 지지되고, 회전축(79)의 상단에는 펼침 롤러의 공전용 모터(77)가 장착된다. 또한, 펼침 롤러(73)에는 펼침 롤러(73)와 일체화된 피니언 기어(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78)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71)와 맞물리는 링 형상의 가이드 기어(72)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공전용 모터(77)에 의해서 펼침 롤러(73)가 공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71)와 가이드 기어(72)의 맞물림에 의해, 펼침 롤러(73)는 자전하게 된다. 펼침 롤러(73)의 공전 속도에 대한 자전 속도의 비는 상기 피니언 기어(71)와 가이드 기어(72)의 이빨의 수에 의해서 정해진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71)와 가이드 기어(72)의 이빨의 수는 공전용 모터(77)의 구동에 의해 공전되는 상기 펼침 롤러의 자전 속도를,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되는 경우보다 고속으로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피니언 기어(71)와 가이드 기어(72)를 이용하여 펼침 롤러를 자전시키도록 하였지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니언 기어(71)와 가이드 기어(72)를 마찰차로 바꾸어서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 소정 체적(소정 중량)의 한 덩어리의 식품 반죽(3)을 거의 구 형상으로 형성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T2)를 들여, 상기 식품 반죽(3)을 소정 두께로 펼치기 위해서, 테이블로서의 벨트 컨베이어(7; 7B)에 대한 펼침 롤러(23)의 상대적인 하강속도(3V)를 일정 속도(일반적으로 식품 반죽을 펼칠 때의 가압 속도 정도의 속도)로 유지하여 식품 반죽(3)을 펼치고, 식품 반죽(3)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로 펼쳐진 하강 위치에서 급정지하였다. 이 경우, 상기 벨트 컨베이어(7; 7B)와 펼침 롤러(23)의 간격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비례적으로 감소하여, 식품 반죽(3)의 평균적인 반경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곡선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식품 반죽(3)의 확대 면적은 상기 반경의 증가에 따라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로 근접함에 따라서 이차함수적으로 급격하게 확대된다.
다음으로, 동일 체적(동일 중량)의 식품 반죽(3)을 마찬가지로 거의 구 형상으로 형성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인 하강속도(2V)를, 상술한 하강속도(3V)의 2/3로 설정하고, 상기 시간(T2)의 1.5배인 시간(T3)을 들여 식품 반죽(3)의 펼침 작업을 하였을 때의 각 데이터는 도 8b, 도 8c,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경우에도, 도 8c로부터 이해되는 것처럼, 식품 반죽(3)의 면적은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에 근접함에 따라서 이차함수적으로 급격하게 확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 반죽(3)을 펼칠 때, 식품 반죽(3)의 펼침 면적이 급격하게 확대되면(확대율이 큼), 식품 반죽(3)에 무리한 잡아당김 등이 작용하여 크게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술한 것과 거의 동일 체적의 구형상의 식품 반죽을 사용하여,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의 시간(T1)에 있어서는 하강 속도(3V)로서 고속으로 하강하고, 시간(T1) 후에 반비례적으로 하강 속도를 감속하여, 식품 반죽(3)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가 되는 하강 위치에 정지시키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반죽(3)의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 부근에서의 면적 확대는 완만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의 하강 속도를 3V로 하고, 시간(T1) 후에, 간격이 등비적으로 감소하도록 하강 속도를 감속하고, 식품 반죽(3)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가 되는 하강 위치에 정지하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 부근에서 식품 반죽(3)의 펼침 면적의 급격한 확대를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속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즉, 벨트 컨베이어(7) 상에 배치되는 식품 반죽(3)에 대하여 펼침 롤러(23)를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가압하여, 식품 반죽(3)을 펼칠 때, 식품 반죽(3)에 대한 펼침 롤러(23)의 가압 속도(상대적인 하강 속도)는 초기에는 큰 가압 속도라도,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 부근에서의 말기의 가압 속도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초기의 소정 시간 또는 식품 반죽(3)이 초기의 소정 두께(목표 두께보다 상당히 두꺼운 두께)가 되기까지의 가압 속도는 거의 등속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장치(27)는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고, 그 주요한 구성은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 은 구성이다. 즉, 제어장치(27)에는 입력수단(43)이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식품 반죽 검지수단(29)에 상당하는 센서가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7)에는 연산수단(45)이 제공되는 동시에, 상기 공전용 모터(17)의 회전 및 자전용 모터(25)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 속도 제어수단(47)이 제공된다. 이 회전 속도 제어수단(47)에는 공전용 모터(17)의 회전 속도가 확정되면, 이 확정된 공전용 모터(17)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자전용 모터(25)의 회전 속도를 연산하기 위한 자동속도 연산수단(49)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속도 제어수단(47)은 모터 드라이버(51, 53)를 통하여 상기 공전용 모터(17), 자전용 모터(25)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7)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7)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용 모터(55)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반송속도 제어수단(57)이 제공되고, 이 반송속도 제어수단(57)과 상기 컨베이어용 모터(55)는 모터 드라이버(59)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7)에는 상기 식품 반죽(3)에 대한 상기 펼침 롤러(23)의 상대적인 하강 속도(가압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패턴 제어수단(61)이 제공되고, 이 구동 패턴 제어수단(61)에는 상기 식품 반죽(3)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23)를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시키기 위한 상하 작동 장치(62,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가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7)에는 예를 들면 도 9a, 도 10a,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절한 하강 속도 패턴이 저장되는 동작 패턴 메모리(63)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반송속도 제어수단(57)의 제어하에 컨베이어용 모터(55)가 일정 속도로 회전되어, 벨트 컨베이어(7)가 일정 속도로 회전 주행될 때, 필요한 크기의 한 덩어리의 식품 반죽(3)을 공급위치(9A)에서 벨트 컨베이어(7) 상에 올려놓으면, 펼침작업위치(9B)로 이송된다. 식품 반죽(3)이 펼침작업위치(9B)로 이송될 때에, 식품 반죽 검지수단(29, 센서)의 검지신호가 연산수단(45)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29)의 위치를 식품 반죽(3)이 통과하는 시간으로부터 식품 반죽(3)의 이송 방향의 치수가 연산되고, 또한 이송 방향의 중심위치가 연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 반죽(3)의 이송 방향의 중심위치가 구해지면, 상기 센서(29)가 식품 반죽(3)의 이송 방향의 선단을 검지하였을 때로부터, 상기 식품 반죽(3)의 중심위치가 펼침작업위치(9B)의 중앙위치에 도달하는 도달시간이 상기 연산수단(45)에 의해서 연산된다. 그리고, 상기 도달시간의 계시가 행해져서, 도달시간에 도달하면, 반송속도 제어수단(57)에 정지신호가 출력되고, 벨트 컨베이어(7)의 회전이 정지된다. 즉, 식품 반죽(3)은 펼침작업위치(9B)의 중앙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식품 반죽(3)의 중심위치를 펼침작업위치(9B)의 중앙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서는 센서(29)에 의해서 식품 반죽(3)의 뒷부분을 검지하여 식품 반죽(3)의 중심위치를 연산하였을 때, 상기 센서(29)로부터 펼침작업위치(9B)의 중앙위치까지의 거리로부터, 상기 센서(29)로부터 상기 중심위치까지의 거리를 감산한 분만큼 식품 반죽(3)을 이송하여 정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 반죽(3)이 펼침작업위치(9B)에 위치 결정되면, 다음으로, 회전 속도 제어수단(47)의 제어하에 공전용 모터(17)가 회전 구동되어, 펼침 롤러(23)가 공전되는 동시에 자전용 모터(25)가 회전 구동되고, 펼침 롤러(23)가 자전된다. 이때, 공전용 모터(17)의 회전 속도가 확정되면, 공전에 의한 펼침 롤러(23)의 종동 자전 속도보다 약 1.05 내지 1.4배의 고속으로 펼침 롤러(23)의 자전이 행하여지도록, 상기 자전용 모터(25)의 회전 속도가 자전 속도 연산수단(49)에 의해서 연산되고, 이 연산결과에 의해서 자전용 모터(25)의 회전이 제어된다.
또한, 펼침 롤러(23)의 종동 자전 속도에 대하여 구동 자전 속도를 약 1.05 내지 1.4배의 범위의 몇 배로 할지는 식품 반죽(3)의 물성 등에 의해서 임의로 선정할 수 있고, 몇 배로 할지의 계수는 입력수단(43)으로부터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펼침 롤러(23)의 공전 속도와 구동 자전 속도의 관계에 대한 과거의 실적 데이터나 실험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데이터 메모리(도시생략)를 검색하여, 이 데이터 메모리로부터 검색한 적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펼침 롤러(23)의 공전 속도, 구동 자전 속도를 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펼침 롤러(23)가 공전되고 또한 자전되면, 구동 패턴 제어수단(61)의 제어하에 상하 작동 장치(62)의 동작이 제어되고, 식품 반죽(3)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23)가 상대적으로 하강되어, 식품 반죽(3)의 펼침이 행해진다. 이 때, 동작 패턴 메모리(63)에 미리 저장된 구동 패턴으로부터 적정한 구동 패턴을 검색하고, 이 검색한 구동 패턴을 기초로 하여 상하 작동 장치(62)의 동작을 제 어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a 내지 도 11a에 도시한 0 내지 T1, T1 내지 T2, T2 내지 T3의 각 분할시간에 대응한 하강 속도를 입력수단(43)으로부터 연산수단(45)에 입력한 결과에 기초하거나, 또는 미리 정한 소정의 하강 속도에 대하여, 연산수단(45)에 의해서 각 분할 시간마다 미리 정한 감속률에서의 하강 속도가 연산되고, 이 연산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패턴 제어수단(61)에 의해 상하 작동 장치(62)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식품 반죽(3)을 펼칠 때의 상하 작동 장치(62)의 동작 패턴은 식품 반죽(3)의 물성에 대응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작동 장치(62)의 작동에 의해서 펼침 롤러(23)가 식품 반죽(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식품 반죽(3)이 편평하게 펼쳐지면, 식품 반죽(3)은 반출위치(9C)로 이송되고 다음 공정으로 반출된다.
이상과 같은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것처럼, 종동 자전 속도보다 고속의 구동 자전 속도로 자전되는 펼침 롤러(23)를 공전하면서 식품 반죽(3)을 상대적으로 가압하고, 식품 반죽(3)을 펼칠 때, 식품 반죽(3)에 대한 펼침 롤러(23)의 초기의 가압 속도보다 말기의 가압 속도를 작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식품 반죽(3)과 펼침 롤러(23)의 사이에 슬립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식품 반죽(3)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펼침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식품 반죽(3)에 대한 펼침 롤러(23)의 가압 속도(상대적인 하강 속도) 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적절한 가압 위치(하강 위치)에 하강 정지(가압 중지)를 구비한 동작 패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식품 반죽(3)의 성질에 대응하여 적정한 동작 패턴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승강대(15) 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7B)를 상하 동작시키기 위한 상기 상하 작동 장치(62)의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9a, 도 10a,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는 고속(3V)으로 상하 동작하고, 그 후에 감속된 속도로 상하 동작하는 동작 패턴의 지령에 대하여 양호한 응답성으로 동작하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서보 모터와 볼-나사 기구의 조합에 의한 서보기구나,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은 유공압 작동 기구나 캠 기구 등 여러 가지 구성이나 이들의 적당한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의 상하 동작 속도를 고속으로 행하고, 다음으로 점차 저속이 되도록 감속하여 상하 동작하는 것이므로, 고속화가 용이한 유공압 작동 기구와, 제어가 용이한 볼-나사 기구나 또는 예를 들면 내용물을 싸는 기기 등과 같은 적절한 캠 기구와의 조합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상하 작동 장치(62)의 구성으로서는 적절한 필요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같고, 같은 구성, 기능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펼침 롤러(23)의 투영 단면으로서 본 경우 에, 원뿔의 꼭지각이 60°인 이등변 삼각형이고, 그 경사변이 되는 펼침 롤러(23)의 사면의 모선(M; 반송면(7)과 마주 향하는 모선, 도 17 참조)을 벨트 컨베이어(7)의 반송면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펼침 롤러(23)의 투영 단면에 있어서 원뿔의 꼭지각이 60°인 이등변 삼각형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욱 예각이거나, 또는 둔각인 원뿔형상을 갖는 펼침 롤러(23)이어도 좋다.
또한, 펼침 롤러(23)의 꼭지점의 위치가, 벨트 컨베이어(7)상의 펼침 롤러(23)가 공전하는 가상원(C; 도 2 참조)의 중심과 거의 일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펼침 롤러(23)의 모선(M)의 전체 길이가 상기 가상원(C)의 반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있다. 이 가상원(C)이, 펼침 롤러(23)에 의해서 식품 반죽(3)을 디스크형으로 펼치는 크기가 된다.
도 13은 예를 들면 치즈크림 등의 내용물(F)이 있는 거의 구 형상 빵 반죽을 디스크형으로 성형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충전된 식품 반죽이 벨트 컨베이어(7)에서 반송되고, 식품 반죽(3)이 반송면과 간격을 두고 대기하는 펼침장치(11)의 하방 위치에서 정지한다. 정지위치는 테이블(5)에 설치된 식품 반죽 검지수단(29, 센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장치(27)의 지령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7)를 정지시켜 위치 결정된다.
펼침 롤러(23)는 식품 반죽(3)에 접촉하기 전부터 구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승강 가대(15)가 작동하여 식품 반죽 펼침 장치(1)의 펼침 롤러(23)가 하강함으로써, 펼침 롤러(23)의 헤드부(23A)가 식품 반죽(3)의 중앙부에 접촉한다. 펼침 롤러(23)를 평면 도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공전)시킴과 동시에, 공전방향으로 강제 구동에 의해 자전하도록 하여, 펼침 롤러(23)의 헤드부(23A)가 식품 반죽(3)에 접촉시키고, 또한 서서히 펼침 롤러(23)를 하강시켜, 소정 시간 접촉하여 눌러서 펼침을 행한다.
우선, 펼침 롤러(23)의 헤드부(26A) 부근의 경사면이 식품 반죽(3)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반죽 중앙 상부를 가압하여 편평하게 한다(도 13a 참조). 이것은 디스크형으로 성형되는 식품 반죽(3)의 중앙이 되는 위치가 최초로 가압되기 때문에 구형의 펼침 성형에 있어서 식품 반죽(3)의 자리가 안정된다. 이때, 펼침 롤러(23)의 자전은 반죽과의 마찰회전이 아니고, 모터(17, 25)의 구동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전과 자전이 행해지는 것이며, 펼침 롤러(23)의 반죽에 접촉하는 면이 적어도, 반죽에 대하여 주름을 만들지 않아, 매끄럽게 회전 가압하여 편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서서히 펼침 롤러(23)가 하강하여 펼침 롤러(23)의 식품 반죽(3)에 접촉하는 면이 늘어남에 따라, 펼침 롤러(23)의 접촉에 의해서, 식품 반죽(3)은 펼침 롤러(23)의 원주 속도가 빠른 방향(밑변 방향)으로 펼쳐진다(도 13b, 도 13c 참조).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반죽(3)에 내포재(내용물(F))가 있는 경우에는, 식품 반죽(3)은 내포재와 함께, 펼쳐지면서 방사방향으로 펼침되고, 균일한 디스크형의 내용물(F)이 있는 층형의 식품 반죽(3)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펼침 롤러(23)는 상승하여 반송면으로부터 멀어져 식품 반죽(3)과의 접촉이 없어지고 소정 위치에서 정지한다. 벨트 컨베이어(7)가 구동을 개시하여 디스크형으로 펼쳐진 식품 반죽(3)이 하류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펼침 롤러(23)의 회전 속도, 자전 속도, 접촉하여 눌러진 펼침 시간 등의 여러 가지 조건은 식품 반죽(3)의 성질(딱딱함 및 부드러움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준비되는 펼침 롤러(23)의 개수의 차이에 의해서도 식품 반죽(3)에 접촉하는 회수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조건의 변경이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식품 반죽(3)의 펼침 성형을 치즈 피자 파이 반죽(도 14a)을 펼쳐서, 디스크형의 피자 파이 반죽으로 성형하여, 속에 있는 치즈가 균일하게 펼쳐진 층형 부분과 피자 반죽만의 둘레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디스크형 반죽이 얻어진다(도 14b 참조). 이것을 구운 경우에, 속에 있는 치즈의 층형 부분은 얇게 된 상태에서, 주변가장자리(E)는 부풀어 오른 피자를 얻을 수 있다(도 14 c 참조).
도 15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7)의 반송면에 식용 가능한 입자 형상물(참깨, 빵가루, 잡곡의 종류 등)이 일정하게 살포됨으로써, 식품 반죽(3)을 그 위에 배치하여, 식품 반죽(3)의 바닥면에 상기 입자 형상물(S)이 부착된 상태에서 새로운 식품 반죽(3)을 펼침 성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참깨를 식품 반죽 바닥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식품 반죽 상면으로부터 펼침 롤러(23)로 펼침 처리를 하면, 반죽의 펼침 성형과 참깨의 부착장식을 동시에 하나의 공정에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죽 바닥면에 참깨를 확실하게 압착하여 부착시킬 수 있고, 그리고 식품 반죽 바닥면에 입자 형상물(S)이 부착된 새로운 식품 반죽(3)을 얻을 수 있다.
도 16은 식품 반죽(3)을 펼침 성형할 때, 테이블(5)로서의 반송면에 단차(갭 G)를 형성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반송면 상의 식품 반죽(3)이 배치되는 위치에 반송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받침대(60)를 설치하고 있다. 받침대(60)는 펼침 롤러(23)로 식품 반죽(3)이 펼쳐질 때 식품 반죽(3)의 상기 위치 중앙이 반송면보다 상승함으로써, 상기 위치의 둘레 가장자리에 단차(갭 G)가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펼침 롤러(23)와 반송면의 틈이 중앙부에 비하여 둘레 가장자리가 두꺼운 형상으로 반죽의 펼침 성형을 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펼침 롤러(23)에 의해서 펼쳐진 식품 반죽(3)은 외주 가장자리가 두꺼운 반죽을 성형할 수 있다. 이 성형된 식품 반죽(3)을 상하 반전시킴으로써, 도 16c에 도시되는 중앙이 오목부에서 주변가장자리(E)가 부풀어 오른 가장자리가 있는 식품 반죽(3)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상하 동작하는 받침대(60)의 대신에 벨트 컨베이어의 반송면에 받침대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여 단차(갭 G)를 구성하여도 좋다(도 17 참조).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반죽의 펼침장치(1)는 베이스 부재(103) 상에 직립 설치된 복수의 지주(105)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각 지주(105)에 지지된 상부 지지부재(107)를 구비한 구성의 지지 프레임(10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09)의 구성으로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지지부재(107)를 편측지지식(片持式)의 지지구성으로서, 전체적 구성을 U자 형상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103)와 상부 지지부재(107)의 사이의 공간의 전측 및 좌우 양측의 3방향이 개방되는 구성이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 내에서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을 할 때, 상기 공간에 대한 식품 반죽의 반출입(搬出入)의 자유도가 커지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103)와 상기 상부 지지부재(107)의 사이의 공간 내에는, 적절한 형상의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111)을 위치시킬 수 있는 회전테이블(113)이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103)에는 예를 들면 볼-나사 기구에 의한 상하 동작 장치나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적절한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115)가 장치되고, 이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115)에 의해서 상하 동작되는 승강 부재(117)에는 예를 들면 서보 모터 등과 같은 적절한 모터(M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M1)에 의해서 수평으로 회전되는 회전 플랜지(119)에 상기 회전테이블(113)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모터(M1)를 구동하고, 또한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115)를 작동함으로써, 회전테이블(113)을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하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상기 모터(M1)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11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회전테이블(113)의 회전 속도 및 상하 동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전테이블(113)에 대한 식품 반죽(111)의 반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 도록, 상기 회전테이블(113)의 상면은 식품 반죽(111)이 배치된 트레이(121)를 배치 가능하고 또한 트레이(121)를 위치 결정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회전테이블(113)에는 상기 트레이(121)를 회전테이블(113) 상에 배치하였을 때, 상기 트레이(121)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트레이(121)의 위치 결정을 하는 위치 결정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트레이(121)의 위치 결정을 하는 트레이 위치 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 위치 결정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트레이(121)의 결합부의 일례로서, 본 예에 있어서는 트레이(121)에 설치한 결합구멍(123)으로서 예시하고, 상기 위치 결정 결합부의 일례로서, 상기 결합구멍(123)에 결합하는 적절한 수의 위치 결정 핀(125)을 회전테이블(113)에 설치한 경우에 관해서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합부와 위치 결정 결합부의 관계는 상대적인 것이며, 트레이(121)에 위치 결정 핀(125)을 설치하고, 회전테이블(113)에 결합구멍(123)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와 위치 결정 결합부의 관계는 회전테이블(113) 상에 트레이(121)를 배치하였을 때, 회전테이블(113)에 대하여 소정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치 결정할 수 있으면 된다. 따라서, 회전테이블(113) 또는 트레이(121)의 한쪽에 수형부(雄部), 다른 쪽에 암형부(雌部)를 구비하여, 상기 수형부와 암형부를 결합하거나 또는 고정함에 의해서 위치 결정을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석을 이용한 경우, N극, S극의 한쪽이 수형부에 상당하고, 다른쪽이 암형부에 상당하게 된다. 즉, 회전테이블(113) 상에 트레 이(121)를 배치하였을 때, 소정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치 결정하기 위한 트레이 위치 결정 기구로서는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107)의 하면에는 지지 브래킷(127)이 설치되고, 이 지지 브래킷(127)에는 복수의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12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각 펼침 롤러(129)를 개별로 회전 구동하기 위해서, 각각의 펼침 롤러(129)는 상기 지지 브래킷(127)에 장착한, 예를 들면 서보 모터 등과 같은 각 모터(M2)에 각각 연동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각 모터(M2)를 구동시킴으로써, 각 펼침 롤러(129)를 회전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터(M2)를 1개로 하여, 예를 들면 기어열 등의 전달기구를 통하여 각 펼침 롤러(129)가 연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펼침 롤러(129)는 수평인 동일 원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각 펼침 롤러(129)에서의 하측의 모선이 수평이 되도록, 또한 동일 수평면에 접하도록, 각각의 축심은 경사져 있다. 그리고, 각 펼침 롤러(129)의 헤드부는 상기 회전테이블(113)의 축심의 연장선상에 거의 일치하도록 1개소에 집합하고 있다. 상기 각 펼침 롤러(129)의 회전 속도는 회전테이블(113)에 각 펼침 롤러(129)가 접촉하여, 회전테이블(113)의 회전에 의해 종동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자전 속도(이하, 종동 자전 속도라고 부름)보다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 구동되는 속도(이하, 구동 자전 속도라고 부름)는 상기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05 내지 1.4배 정도의 회전 속도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회전테이블(113)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시키고, 또한 각 펼침 롤러(129)를 모터(M2)에 의해서 회전 구동시켜, 회전테이블(113) 상에 배치된 식품 반죽(111)을 펼침 롤러(129)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점차로 편평하게 펼치는 것이다(도 20, 도 21 참조). 또한, 도 21은 식품 반죽(111) 내에 내포재(111A)를 수용한 구성의 식품 반죽(111)을 도시하고, 또한 트레이(121)의 상면에 볼록 형상부(121A)를 구비한 트레이(121)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볼록 형상부(121A)를 트레이(121)에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는 편평하게 펼쳐진 식품 반죽(111)에 상기 볼록 형상부(121A)가 전사되어 오목부(111B)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113)이 회전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하는 동시에, 펼침 롤러(129)를 회전 구동하여 식품 반죽(111)을 펼침(연신)할 때, 상기 모터(M1, M2) 및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115)의 동작은 제어장치(131; 도 19 참조)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131)는 상기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115)에 의한 회전테이블(113)의 상하 동작 패턴이나 상기 회전테이블(113)의 회전 속도 및 상기 펼침 롤러(129)의 회전 동작 패턴 등을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상하 동작 패턴의 다수의 종류를 미리 저장한 동작 패턴 메모리(133)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 소정 체적(소정 중량)의 한 덩어리의 식품 반죽(111)을 거의 구형상으로 형성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T2)를 들여 상기 식품 반죽(111)을 소정 두께로 펼치기 위해서, 펼침 롤러(129)에 대한 회전테이블(113)의 상대적인 상승 속도(3V)를 일정 속도(일반적으로 식품 반죽을 펼침을 할 때의 가압 속도 정도의 속도)로 유지하여 식품 반죽(111)을 펼쳐서, 식품 반죽(111)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로 펼쳐진 상승 위치에서 급정지하였다. 이 경우, 상기 회전테이블(113)과 펼침 롤러(129)의 간격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비례적으로 감소하고, 식품 반죽(111)의 평균적인 반경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곡선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식품 반죽(111)의 확대 면적은 상기 반경의 증가에 따라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에 근접함에 따라서 이차함수적으로 급격하게 확대된다.
다음에, 동일 체적(동일 중량)의 식품 반죽(111)을 동일하게 거의 구 형상으로 형성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인 상승 속도(2V)를, 상술한 상승 속도 3V의 2/3로 설정하고, 상기 시간(T2)의 1.5배의 T3을 들여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을 하였을 때의 각 데이터는 도 8b, 도 8c,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경우에도, 도 8c로부터 이해되는 것처럼, 식품 반죽(111)의 면적은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에 근접함에 따라서 이차함수적으로 급격하게 확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 반죽(111)을 펼칠 때, 식품 반죽(111)의 펼침 면적이 급격하게 확대되면(확대율이 큼), 식품 반죽(111)에 무리한 당겨짐 등이 작용하여 손상을 크게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술한 것과 거의 동일 체적의 구형상의 식품 반죽을 사용하여,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의 시간(T1)에 있어서는 상승 속도(3V)로서 고속으로 상승하고, 시간(T1) 후에 반비례적으로 상승 속도를 감속하여, 식품 반죽(111)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가 되는 상승 위치에 정지하며,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반죽(111)의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 부근에서의 면적 확대가 완만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의 상승 속도를 3V로 하고, 시간(T1) 후에, 간격이 등비적으로 감소하도록 상승 속도를 감속하여, 식품 반죽(11)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가 되는 상승 위치에 정지하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 부근에서의 식품 반죽(11)의 펼침 면적의 급격한 확대를 억제할 수 있었다. 더욱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속한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즉, 회전테이블(113) 상에 배치되는 식품 반죽(111)에 대하여 펼침 롤러(129)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가압하여, 식품 반죽(111)을 펼칠 때, 식품 반죽(111)에 대한 펼침 롤러(129)의 가압 속도(상대적인 상승 속도)는 초기에 있어서는 큰 가압 속도이더라도, 목표로 하는 소정 두께 부근에서의 말기의 가압 속도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초기의 소정 시간 또는 식품 반죽(111)이 초기의 소정 두께(목표 두께보다 상당히 두꺼운 두께)가 되기까지의 가압 속도는 거의 등속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 반죽 펼침 장치(1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장치(131)는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하고 있고, 이 제어장치(131)에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상승 속도의 각 동작 패턴을 미리 저장한 상기 동작 패턴 메모리(133)가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제어장치(131)에는 연산수단(135)이 제공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M1, M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속도 제어수단(137, 139)이 각각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속도 제어수단(137, 139)의 제어하에 상기 모터(M1, M2)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드라이버(141, 143)가 각각 접속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제어장치(131)에는 기동 스위치나 상기 식품 반죽(111)의 물성에 대응하여 동작 패턴을 선택하는 패턴 선택 스위치 등을 갖는 입력수단(145)이 접속하는 동시에, 선택된 동작 패턴의 패턴에 따라서 상기 회전테이블(113)의 상대적인 상승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패턴 제어수단(147)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회전테이블(113) 상에, 식품 반죽(111)이 중앙부에 배치된 트레이(121)를 설정한 후, 입력수단(145)에 구비한 기동 스위치를 온(ON) 동작함으로써, 식품 반죽 펼침 장치(1)의 동작이 개시된다. 초기에 있어서는 동작 패턴 메모리(133)에 미리 저장된 초기 동작 패턴에 따라서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상하 작동 장치; 115)가 작동되고, 회전테이블(113)이 상대적으로 상승된다. 또한, 회전테이블(113)은 정지상태 또는 미리 설정하는 초기 조건의 저속 회전으로 회전된다. 즉, 회전테이블(113)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서 식품 반죽(111)에 위치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저속 회전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펼침 롤러(129)도 정지상태 또는 회전테이블(113)의 회전에 대응하여 저속 회전으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113)이 상승되어, 식품 반죽(111)이 펼침 롤러(129)에 접촉하면, 회전테이블(113)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된다. 그렇게 하면, 펼침 롤러(129)는 회전테이블(113)의 회전에 의해 종동 회전될 때의 종동 자전 속도의 1.05 내지 1.4배의 회전 속도가 되도록 연산수단(135)에 의 해 연산되고, 회전 속도 제어수단(139)의 제어하에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113)의 상승 속도는 입력수단(145)의 입력에 의해서 동작 패턴 메모리(133)로부터 미리 선택된 동작 패턴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식품 반죽(111)이 펼침 롤러(129)에 접촉하였는지의 여부의 검출은 다음과 같이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상기 펼침 롤러(129)의 하측의 모선에 거의 일치하는 위치를 광선이 가로지르도록 광센서(149)를 구비하고, 이 광선이 차단되었을 때에 펼침 롤러(129)에 식품 반죽(111)이 접촉한 것으로서 검지할 수 있다. 회전테이블(113)의 상승 속도가 거의 일정하고, 또한 트레이(121)의 두께 및 식품 반죽(111)의 두께가 거의 일정한 경우에는, 최하강 위치로부터 회전테이블(113)의 상승을 개시하여, 미리 설정한 소정 시간 경과시에, 식품 반죽(111)이 펼침 롤러(129)에 접촉한 것으로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센서 등과 같은 센서에 의해서 회전테이블(113)의 상하 동작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회전테이블(113) 상의 트레이(121)와 펼침 롤러(129)가 접촉한 위치를 상하방향의 원점위치에 설정한다. 그리고, 최하강 위치로부터 회전테이블(113)을 상승할 때, 원점위치에 대하여 트레이(121) 상의 식품 반죽(111)의 두께에 상당하는 위치에 상승 근접한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 식품 반죽(111)이 펼침 롤러(129)에 접촉한 것으로서 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113)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펼침 롤러(12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또한 상기 펼침 롤러(129)를 모터(M2)에 의해서 회전 구동시키고, 회전테이블(113) 상의 식품 반죽(111)을 편평하게 펼칠 때, 회전테이 블(113)의 회전에 의해서 종동적으로 펼침 롤러(129)가 회전되는 경우의 종동 자전 속도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129)는 모터(M2)에 의해서 약 1.05 내지 1.4배 정도의 속도로써 회전 구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식품 반죽(111)과 펼침 롤러(129)의 사이에 슬립을 생기게 하지 않고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펼침 롤러(129)가 종동 자전 속도보다 약간 고속으로 구동 자전되는 것이므로, 펼침 롤러(129)의 진행방향의 전측에 예를 들면 리브 형상의 부조가 있는 경우, 상기 부조 부분을 펼침 롤러(129)의 하측으로 끌어넣는 작용을 생기게 하여, 상기 약간의 부조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펼침 롤러(129)의 원주 속도는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129)의 헤드측보다 바닥부측이 크기 때문에, 식품 반죽(111)은 펼침 롤러(129)의 헤드측으로부터 바닥부측으로(방사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경향이 있고, 펼침 롤러(129)에 의한 가압 작용과, 고속의 구동 자전의 작용이 서로 어울려, 식품 반죽(111)의 상면이 평탄한 디스크 등의 적절한 형상으로 효과적으로 펼칠 수 있다.
즉, 펼침 롤러(129)를 종동 자전 속도로써 자전하면서 식품 반죽(111)을 펼치는 경우에 비하여 효율적으로 펼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펼침 롤러(129)의 구동 자전 속도를,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05배 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펼침 롤러(129)의 하측으로 식품 반죽(111)을 끌어넣는 작용이 작고, 식품 반죽(111)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펼침 롤러(129)의 구동 자전 속도를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0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펼침 롤러(129)의 구동 자전 속도를,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4배 이상으로 하면, 식품 반죽(111)에 있어서, 펼침 롤러(129)의 진행방향 앞쪽 부분이 펼침 롤러(129)의 하측으로 당겨지는 작용이 커져, 식품 반죽(111)의 내부에 스트레스가 남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용을 종료하기 위해서 식품 반죽(111)으로부터 펼침 롤러(129)를 멀게 하면, 상기 스트레스에 의해 식품 반죽(111)이 줄어드는 경향이 커지기 때문에, 그다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이미 이해된 바와 같이, 펼침 롤러(129)의 구동 자전 속도는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05배 내지 약 1.4배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펼침 롤러(129)의 구동 자전 속도는 식품 반죽(111)의 물성 등에 있어서 적당하게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식품 반죽(111)으로서는 예를 들면 뭉침 성형한 직후의 식품 반죽, 수 십분의 반죽 회복시간을 경과한 후의 식품 반죽, 발효 공정을 거친 후의 식품 반죽이나, 적절한 두께 등에 적당하게 한번 펼쳐진 두꺼운 형의 식품 반죽 등, 적절한 식품 반죽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 반죽(111)을 펼쳐서,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이 말기로 되면, 상기 펼침 롤러(129)의 회전은 저속으로 제어된다. 즉, 식품 반죽(111)이 펼침 롤러(129)에 접촉하고 나서 시간(T3)에서 동작을 종료하는 패턴을, 상기 동작 패턴(133)으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한 동작 패턴에 따라서, 구동 패턴 제어수단(147)의 제어하에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115)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을 때, 동작 패턴을 정의하는 시간(T2)과 시간(T3, 도 9 내지 도 11 참조)의 중간을 나타내는 시간 T{T≒(T2+T3)/2}을 경과하면, 구동 패턴 제어수단(147)으로부터 회전 속도 제어수단(139)으로, 시간 T를 경과한 신호가 입력된다. 그렇게 하면, 회전 속도 제어수단(139)은 모터 드라이버(43)를 통하여 모터(M2)를, 메모리(도시 생략)에 미리 설정한 저속도 패턴에 따라서, 모터(M2)의 회전을 저속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 식품 반죽(111)을 필요 이상으로 펼치는 것이 억제되어, 식품 반죽(111)의 중앙부 부근에 파손을 생기게 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이 말기로 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펼침 작업 말기 검지수단의 구성으로서는, 동작 패턴을 정의하는 시간에 의존하지 않고, 회전테이블(113)의 상하 동작위치를 검출하는 리니어 센서 등의 상하위치 검지수단에 의해서, 회전테이블(113)이 미리 설정한 소정 위치에 상승한 것을 검지하였을 때, 펼침 작업이 말기로 된 것으로서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식품 반죽(111)이 배치된 트레이(121)를 회전테이블(113) 상에 설정하여,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을 하는 것이므로 회전테이블(113) 상으로의 식품 반죽(111)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 반죽(111)을 얇게 펼친 후는 트레이(121)에 식품 반죽(111)이 배치된 상태 그대로 트레이(121)를 회전테이블(113)로부터 떼어내면 좋으며, 얇은 식품 반죽(111)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시의 말기에, 펼침 롤러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펼쳐진 식품 반죽(111)의 내부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수단으로서는,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시의 말기에, 회전테이블(113) 및 펼침 롤러(129)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키고, 역회전시켜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용을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 회전테이블(113) 및 펼침 롤러(129)의 회전을 역회전시키는 것은, 다음과 같이 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113)을 정회전시키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정회전하는 펼침 롤러(129)에 의해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을 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펼침 작업 말기 검지수단에 의해서 펼침 작업의 말기를 검지하였을 때에, 회전테이블(113) 및 펼침 롤러(129)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회전테이블(113)을 하강하여, 식품 반죽(111)과 펼침 롤러(129)를 멀게 한다.
그 후, 메모리(도시 생략)에 미리 설정한 저속도 패턴에 따라서 회전테이블(113) 및 펼침 롤러(129)를 역회전하여, 회전테이블(113)을 펼침 작업 말기의 상승 속도로써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식품 반죽(111)을 저속으로 역회전하는 펼침 롤러(129)에 접촉 가압하여, 약간의 시간 펼침 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 때, 펼침 롤러(129)의 역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는 정회전 시의 상기 말기에 저속 회전과 거의 같은 회전 속도이고, 회전 방향이 반대일 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펼침 작업의 말기에 회전테이블(113) 및 펼침 롤러(129)를 역회전하여 펼침 작업을 하면, 회전테이블(113) 및 펼침 롤러(129)를 정회전하여 펼침 작업을 할 때, 펼쳐지면서 꼬이는 경향이 있는 식품 반죽(111)의 꼬임 방향이 반대로 되기 때문에, 식품 반죽(111)의 내부의 스트레스가 유효하게 완화되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관점에 따른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 반죽 펼침 장치는 보다 간소화, 소형화를 도모한 것이며, 테이블(151)상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09)에 장착한 모터(M1)에는 감속장치(153)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이 감속장치(153)에는 회전축(155)이 수직이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155)에는 회전테이블(157)이 상하 동작만 자유롭게 지지된다. 즉 회전테이블(157)은 회전축(155)에 키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또한 회전축(155)에 대하여 상하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테이블(157)을 상하 동작시키기 위해서, 지지프레임(109)에 설치한 지지 브래킷(159)에 지지축(161)을 개재하여 벨크랭크(bell crank)형의 시프터 레버(163)가 상하로 요동(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시프터 레버(163)의 선단부는 상기 회전테이블(157)의 보스부에 형성한 둘레홈에 시프트핀이 상대적으로 회동 자유롭게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시프터 레버(163)의 타단측을 파지하여 상하 동작함으로써, 회전테이블(157)을 상하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회전테이블(157)상에는 식품 반죽(111)이 배치된 트레이(165)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프레임(109)에 설치한 조작부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167)를 눌러 온(ON)하면, 모터(M1, M2)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M2)는 회전테이블(157)에 펼침 롤러(129)가 접촉하여 종동적으로 회전되는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05 내지 1.4배 정도의 회전 속도로 펼침 롤러(129)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펼침 롤러(129)가 종동 자전 속도의 약 1.05 내지 1.4배 정도로 회전하도록 모터(M2)를 구동하는 구성으로서는, 모터(M2)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볼륨 등을 조작부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식품 반죽 펼침 장치에 있어서는 식품 반죽(111)이 배치된 트레이(165)를 회전테이블(157) 상에 설정한 후, 한쪽 손으로 시프터 레버(163)를 조작함으로써, 회전테이블(157)의 상대적인 상하 동작을 종동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쪽 손으로 온/오프 스위치(167)를 조작함으로써, 회전테이블(157) 및 펼침 롤러(129)의 회전 시기를, 모터(M1, M2)를 통하여 종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테이블(157), 펼침 롤러(129)의 회전 시기를, 회전테이블(157)의 상하 위치를 육안으로 보면서 종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식품 반죽(111)을 용이하게 소망의 두께로 펼칠 수 있다. 이 경우, 펼침 롤러(129)의 회전 속도는 종동 자전 속도보다 약간 큰 회전 속도이므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트레이(165)에 식품 반죽(111)이 배치된 상태로써 회전테이블(157)에 대하여 트레이(165)를 착탈할 수 있고, 식품 반죽(111)을 얇게 펼쳐진 경우라도 취급이 용이하다. 더욱이, 양손 조작인 것에 의해, 트레이(165)와 펼침 롤러(129)의 사이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지 않고,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런데,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품 반죽(111)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 펼침 롤러(129)의 회전을 저속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육안으로 식품 반죽(111)의 두께를 확인하여, 식품 반죽(111)이 거의 소정 두께로 펼침되었을 때에, 조작부에 구비된 볼륨 등의 조작수단을 조작하여 펼침 롤러(129)의 회전을 저속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167) 대신에 또는 별개로, 중립위치로부터 시계 회전 또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모터(M1, M2)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또한 손을 떼면 리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중립위치로 되돌아가서 모터(M1, M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형식의 선택 스위치를 채용하고, 이 실렉트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모터(M1, M2)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조작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식품 반죽(11)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 회전테이블(157) 및 펼침 롤러(129)의 회전을 정지하여, 식품 반죽(111)을 펼침 롤러(129)로부터 멀게 하고, 그 후에 저속으로 역회전하여, 식품 반죽(111)의 펼침을 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 정지 시의 회전테이블(157)의 상하 동작은 시프터 레버(163)의 조작에 의해서 행하여질 수 있다.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테이블 상에 배치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펴는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 가능하고, 또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고 또 자전 가능한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를 상기 테이블의 상방에 구비하고, 상기 펼침 롤러를 공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수단과, 상기 펼침 롤러를 자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식품 반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 반죽을 펼칠 때, 상기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되는 경우보다 고속으로 상기 펼침 롤러를 구동 자전시켜서 식품 반죽을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수평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테이블이고, 상기 회전테이블상에 배치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상기 펼침 롤러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식품 반죽을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식품 반죽이 상기 펼침 롤러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회전테이블을 정지상태 또는 저속 회전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식품 반죽이 상기 펼침 롤러에 접촉한 후에 상기 회전테이블을 소정의 고속 회전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테이블과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상기 식품 반죽을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 상기 펼침 롤러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 상기 펼침 롤러 및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정지하고, 그 후에 역회전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반죽에 대한 상기 펼침 롤러의 상대적인 하강 속도를, 미리 정한 감속률로서 초기의 하강 속도보다 말기의 하강 속도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초기의 하강 속도는 소정 시간 또는 식품 반죽이 소정 두께로 될 때까지 거의 등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말기의 하강 속도는 점차로 감속 또는 단계적으로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반죽은 대략 구형상의 식품 반죽이고, 상기 펼침 롤러와 테이블의 간격을 서서히 작게 함으로써, 펼침 롤러의 헤드부를 상기 식품 반죽의 중앙부에 접촉시켜 상기 식품 반죽을 가압하여 편평하게 하고, 또한 상기 간격을 작게 함에 따라서, 펼침 롤러의 반죽 접촉면을 증대시켜 식품 반죽을 서서히 식품 반죽의 중앙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펼쳐서 디스크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구형상의 식품 반죽은 내용물을 내포한 식품 반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상에 식용 가능한 입자 형상물을 살포함으로써, 테이블 상에 배치된 식품 반죽 바닥면에 식용 가능한 입자 형상물을 부착시켜서 펼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식품 반죽이 배치되는 테이블을 그 중앙에 대하여 둘레 가장자리의 위치에 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에 의해서 성형된 디스크형 식품 반죽.
  16. 테이블 상에 배치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상기 테이블 상을 구름 운동하는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에 의해 펴는 펼침 장치로서,
    상기 펼침 롤러를 공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수단과, 상기 펼침 롤러를 자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하는 경우의 자전 속도보다 고속으로 상기 펼침 롤러를 자전시키도록 상기 제 2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17. 테이블 상에 배치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치기 위한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 가능한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를 상기 테이블의 상방에 구비하고, 상기 펼침 롤러를 구동 자전시키기 위한 자전용 모터와, 상기 펼침 롤러를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전시키기 위한 공전용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서 종동적으로 자전되는 경우의 자전속도보다 높은 고속도로 유지하도록 상기 자전용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 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펼침 롤러는 복수개 제공되고, 각 펼침 롤러에 대응하여 자전용 모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펼침 롤러는 복수개 제공되고, 상기 각 펼침 롤러를 구동자전시키기 위한 자전용 모터는 펼침 롤러보다 작은 개수이고, 상기 자전용 모터와 상기 각 펼침 롤러는 동력전달기구를 거쳐 연동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식품 반죽 펼침 장치로부터 펼침작업위치를 지나서 반출위치로 이동 가능한 식품 반죽 반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공전용 모터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되는 회전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22.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또는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시키기 위한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이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의 구동 패턴을 제어하는 구동 패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에, 식품 반죽이 배치된 트레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트레이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24. 제 2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의 모터 및 상기 펼침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이 제어장치에, 식품 반죽의 펼침 작업의 말기에 상기 펼침 롤러의 감속패턴을 저장한 패턴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25. 제 21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 및 펼침 롤러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자유롭게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26. 테이블 상에 배치된 덩어리 형태의 식품 반죽을 편평하게 펼치기 위한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 가능하고 또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전 가능하고 또 자전 가능한 원뿔형상의 펼침 롤러와, 이 펼침 롤러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링 형상의 가이드 기어와,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공전시키기 위한 공전용 모터를 구비하고, 이 공전용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공전되는 상기 펼침 롤러의 자전속도를, 펼침 롤러가 공전되어 종동적으로 자전되는 경우보다 높은 고속도로 유지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가이드 기어의 이빨 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펼침 롤러를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시키기 위한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이 상하 동작용 액추에이터의 구동 패턴을 제어하는 구동 패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반죽의 펼침 장치.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77027692A 2005-06-03 2006-06-01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으로얻어지는 디스크형 식품 반죽 KR100926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3837 2005-06-03
JP2005163837 2005-06-03
JP2005210490A JP4588565B2 (ja) 2005-07-20 2005-07-20 食品生地を円板状に成形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で得られる円板状食品生地
JPJP-P-2005-00210490 2005-07-20
JP2005211278A JP4538387B2 (ja) 2005-06-03 2005-07-21 食品生地の延展方法及び装置
JPJP-P-2005-00211278 2005-07-21
JP2005376011A JP4538406B2 (ja) 2005-12-27 2005-12-27 食品生地の延展方法及び装置
JPJP-P-2005-00376011 200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303A KR20080011303A (ko) 2008-02-01
KR100926246B1 true KR100926246B1 (ko) 2009-11-12

Family

ID=3748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692A KR100926246B1 (ko) 2005-06-03 2006-06-01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으로얻어지는 디스크형 식품 반죽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123513B2 (ko)
EP (1) EP1889541B1 (ko)
KR (1) KR100926246B1 (ko)
CN (1) CN101188943B (ko)
AU (1) AU2006253327B2 (ko)
BR (1) BRPI0611330A2 (ko)
CA (1) CA2608105C (ko)
HK (1) HK1114747A1 (ko)
IL (1) IL186725A (ko)
MY (1) MY141612A (ko)
NZ (1) NZ562765A (ko)
TW (1) TWI298623B (ko)
WO (1) WO2006129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I20070148A1 (it) * 2007-05-23 2008-11-24 Iteca S P A Linea, metodo e stazione di lavorazione per la formatura di elementi discoidali di pasta alimentare, del tipo pizza o similari.
JP2009118812A (ja) * 2007-11-16 2009-06-04 Fuji Seiki Co Ltd 食品生地成形機
ITVI20070324A1 (it) * 2007-12-21 2009-06-22 Iteca S P A Macchina e linea per la lavorazione di pasta alimentare.
JP5116025B2 (ja) * 2008-01-21 2013-01-09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延展成形装置および食品生地延展成形方法
ITVI20080081A1 (it) * 2008-04-03 2009-10-04 Iteca S P A Apparato per la lavorazione controllata di pasta alimentare.
DE102011011049B4 (de) 2010-11-09 2015-03-05 Frit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gewickelten Teigprodukten in einer definierten Schlusslage
ITBS20110063A1 (it) * 2011-04-29 2012-10-30 Sigma S R L Macchina per stendere un impasto, in particolare per la preparazione della pizza
CN102845495A (zh) * 2012-04-28 2013-01-02 蓝锦国 一种加工薄酥饼的压机机头
CN103385272A (zh) * 2012-05-09 2013-11-13 阳政机械有限公司 双输送皮带传动间歇压饼成型方法及装置
CN103385340A (zh) * 2012-05-09 2013-11-13 侯长安 单面粘有颗粒状食料的薄饼加工机
CN103385267A (zh) * 2012-05-09 2013-11-13 侯长安 饼擀薄机构
AU2013272820B2 (en) * 2012-06-04 2015-08-27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Food dough rounding device and food dough rounding method
CN102919293A (zh) * 2012-10-29 2013-02-13 上海伟隆机械设备有限公司 多层带馅酥式月饼饼胚延压和起卷的组合装置
CN103125543B (zh) * 2013-03-23 2015-04-08 宋彬山 一种自动擀饼机
US9999231B2 (en) 2013-11-27 2018-06-19 Sfc Global Supply Chain, In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an irregular dough product
EP2962570B1 (en) 2014-07-02 2017-09-13 ITECA Impianti Tecnologici Alimentari Speciali S.P.A. Apparatus for forming disk-shaped elements of food dough
CN104770422A (zh) * 2015-05-07 2015-07-15 刘振鹏 一种机械式大饼制作装置
CN105211140B (zh) * 2015-10-23 2018-05-01 北京融诚经纬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设备
CN105875691B (zh) * 2016-06-28 2018-02-16 宿州国恩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饼类食品的制作方法
CN107593828A (zh) * 2017-09-11 2018-01-19 宿州市恒元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潼关肉夹馍的仿手工加工方法
IT201700111949A1 (it) * 2017-10-05 2019-04-05 Morello Forni Di Morello Marco & C S A S Metodo di formatura della pasta da pizza e macchina per la sua attuazione
CN111449100A (zh) * 2020-05-11 2020-07-28 安庆市不忆家食品有限公司 一种月饼生产用分切设备
BR102020015114B1 (pt) * 2020-07-24 2021-12-07 Metalúrgica Siemsen Ltda. Máquina de amassar e conformar massas alimentícias
KR102376105B1 (ko) * 2021-10-25 2022-03-17 구영훈 캔디 제조용 반죽장치
KR102341685B1 (ko) * 2021-10-25 2021-12-20 구영훈 사탕 제조장치
US11825851B2 (en) * 2022-02-20 2023-11-28 Metalúrgica Siemsen Ltda. Dough kneading and shaping machine
CN114831151A (zh) * 2022-04-29 2022-08-02 郑宇博 擀面杖组以及擀饺子皮机器人
CN115299474A (zh) * 2022-08-15 2022-11-08 广西宏艺机械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糕点成型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30Y1 (ko) 2002-09-19 2002-12-12 장귀복 홍두깨를 구비한 손칼국수 제조대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660C (ko) *
FR544097A (fr) * 1921-12-02 1922-09-14 Perfectionnements aux pétrins
US1628828A (en) * 1926-05-19 1927-05-17 William A Johnston Pie-rolling machine
GB320174A (en) * 1928-08-08 1929-10-10 William Morrison & Sons Leith Dough-working machine
GB320714A (en) 1928-08-13 1929-10-24 Frederick Baile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rtable trays, stands, tables and the like
US1977309A (en) * 1933-05-12 1934-10-16 Pie Bakeries Inc Pie trimmer and sealer
US2797651A (en) * 1956-01-27 1957-07-02 Miguel U Iruegas Mechanical pastry forming apparatus
JPS5832847B2 (ja) * 1981-02-03 1983-07-15 株式会社湯本製作所 手延素麺原料麺塊の押延ばし機
JPS5832847A (ja) 1981-08-20 1983-02-25 Mitsubishi Chem Ind Ltd (3−アミノプロポキシ)ビベンジル類
JPS6044885B2 (ja) * 1981-09-24 1985-10-05 株式会社湯本製作所 麺塊押し延ばし装置
JPS6045892B2 (ja) * 1983-06-01 1985-10-12 美珠 呉 麺類又はパン類の生地加工装置
JPS6044885A (ja) 1983-08-23 1985-03-11 Kawaguchiko Seimitsu Kk 時計用文字板
JPS6045892A (ja) 1983-08-23 1985-03-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トア−ドカ−ドの回数表示方式
US4514089A (en) * 1984-07-26 1985-04-30 Meynet Armando E Apparatus to process pizza dough
GB8420629D0 (en) 1984-08-14 1984-09-19 Alkmar Prod Ltd Making dough products
JPH01132660A (ja) * 1987-11-17 1989-05-25 Daicel Chem Ind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1252266A (ja) 1988-03-31 1989-10-06 Toa Kogyo Kk 餃子の皮の製造装置
JPH0279929A (ja) 1989-06-23 1990-03-20 Okonomi Foods Kk お好み焼の皮の製造装置
JPH0445134A (ja) 1990-06-12 1992-02-14 Mitsubishi Rayon Co Ltd 表面変性ジエチレングリコールビスアリルカーボネート成型物及びその製法
DE69003940T2 (de) * 1990-06-29 1994-02-10 Frisco Findus Ag Herstellung eines Teigproduktes.
JPH04293477A (ja) 1991-01-14 1992-10-19 Japan Tobacco Inc 未解除リーフ原料の解除機
JPH1132660A (ja) 1997-07-15 1999-02-09 Nippon Ham Kk ピザクラ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FR2768305A1 (fr) * 1997-09-15 1999-03-19 Joseph Zaccara Machine a etaler la pate a pizzas
EP1129621A1 (en) 2000-02-29 2001-09-05 Comas S.p.a. Dough-roll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the production of dough shapes for pizza
JP3811789B2 (ja) 2004-05-24 2006-08-23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用生地整形装置
JP3811790B1 (ja) * 2005-03-30 2006-08-23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用生地整形装置
TWI287969B (en) * 2005-03-30 2007-10-11 Kobird Co Ltd Dough proces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30Y1 (ko) 2002-09-19 2002-12-12 장귀복 홍두깨를 구비한 손칼국수 제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53327B2 (en) 2012-01-19
MY141612A (en) 2010-05-31
AU2006253327A1 (en) 2006-12-07
TWI298623B (en) 2008-07-11
WO2006129759A1 (ja) 2006-12-07
US20090162512A1 (en) 2009-06-25
EP1889541A1 (en) 2008-02-20
CA2608105C (en) 2010-05-11
CN101188943A (zh) 2008-05-28
NZ562765A (en) 2009-12-24
BRPI0611330A2 (pt) 2010-08-31
TW200721992A (en) 2007-06-16
KR20080011303A (ko) 2008-02-01
CN101188943B (zh) 2011-12-28
US8123513B2 (en) 2012-02-28
IL186725A (en) 2011-08-31
CA2608105A1 (en) 2006-12-07
IL186725A0 (en) 2008-02-09
EP1889541A4 (en) 2010-12-15
HK1114747A1 (en) 2008-11-14
EP1889541B1 (en)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246B1 (ko)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으로얻어지는 디스크형 식품 반죽
CN101491263B (zh) 用于碾平和形成食品面团的装置和方法
CN203105468U (zh) 一种披萨擀面机
JP2010521141A (ja) 自動ピザ調理販売装置
ITMO950042A1 (it) Macchina stendipasta con paitto superiore ad anelli azionati in successione, idonea a produrre dischi circolari di vario diametro,
RU2765244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пищевая тестораскаточная машина
CN107455410A (zh) 旋转叠堆机
US20150164088A1 (en) Apparatus for baking pancakes
CN103654479B (zh) 米饭压延装置
JP4538387B2 (ja) 食品生地の延展方法及び装置
JP4588565B2 (ja) 食品生地を円板状に成形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で得られる円板状食品生地
JP3600547B2 (ja) サンドイッチ形おむすびの製造装置
RU238313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катывания пищевого теста и дискообразное тесто, полученное этим способом
MX2007015238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estirar pasta alimenticia y pasta alimenticia en forma circular obtenida por el metodo.
JP4538406B2 (ja) 食品生地の延展方法及び装置
JPS6359858A (ja) 海苔巻用米飯供給機
JPH0370463B2 (ko)
CN117941720A (zh) 一种梅干菜薄饼的成型系统及其方法
JP2003210097A (ja) 食材の連続吐出装置
MXPA97007159A (es) Una maquina para aplanar pasta o ma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