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685B1 - 사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사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685B1
KR102341685B1 KR1020210143117A KR20210143117A KR102341685B1 KR 102341685 B1 KR102341685 B1 KR 102341685B1 KR 1020210143117 A KR1020210143117 A KR 1020210143117A KR 20210143117 A KR20210143117 A KR 20210143117A KR 102341685 B1 KR102341685 B1 KR 10234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transfer
cutting
unit
candy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훈
Original Assignee
구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영훈 filed Critical 구영훈
Priority to KR102021014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685B1/ko
Priority to PCT/KR2021/015367 priority patent/WO202307495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6Batch-rolling, rope-forming, or siz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12Apparatus for moulding candy in the plastic st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탕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바디 및 베이스 바디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벽이 구비된 베이스 본체와, 베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배치된 사탕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와, 베이스 본체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제1 이송부를 통해 베이스 본체에서 이송된 사탕 반죽물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와, 제1 가압부와 근접되게 마련되어 제1 가압부에서 가압된 사탕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와, 제1 가압부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제2 이송부를 통해 제1 가압부에서 이송된 사탕 반죽물을 다시 가압하는 제2 가압부와, 제2 가압부에서 이송된 사탕 반죽물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탕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CANDY}
본 발명은, 사탕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탕 반죽물을 자동으로 가압하여 반죽한 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할 수 있는 사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탕은 당류를 주원료로 하는 과자의 총칭으로서, 일반적으로 사탕은 물엿과 설탕을 바탕으로 하여 인공향료나 인공색소 등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이를 고온에 가열하여 농축한 다음, 냉각 및 성형시켜 제조된다.
대체적으로 사탕은 그 성상이 딱딱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치아가 약한 사람은 특히 공기 기포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바삭바삭한 식감과 함께 부서지기 쉬운 상태의 사탕의 형태를 선호한다.
한편 이전의 사탕 제조장치는 사탕 원료를 용해한 후 일정 형상을 갖춘 사탕 반죽물을 사람이 직접 반죽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31521호(이해경) 2021. 03. 1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탕 반죽물을 자동으로 가압하여 반죽한 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할 수 있는 사탕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벽이 구비된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배치된 사탕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베이스 본체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본체에서 이송된 상기 사탕 반죽물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가압부와 근접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가압부에서 가압된 상기 사탕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가압부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를 통해 상기 제1 가압부에서 이송된 상기 사탕 반죽물을 다시 가압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서 이송된 상기 사탕 반죽물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이송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제1 이송프레임; 및 상기 제1 이송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을 상기 제1 가압부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바디에는 하단부가 뽀쪽하게 마련된 이송 경사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와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중앙부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판; 상기 제1 바디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의 양측을 밀거나 상기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1 가압바디; 상기 한 쌍의 제1 가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바디를 상기 제1 회전판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이동실린더; 상기 복수의 제1 이동실린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승강판; 및 상기 복수의 제1 승강판을 승강시켜 상기 한 쌍의 제1 가압바디와 상기 복수의 제1 이동실린더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1 승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바디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축; 상기 복수의 이동 가이축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가압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제2 이송프레임; 및 상기 제2 이송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이송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며 상기 사탕 반죽물을 상기 제2 가압부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1 바디와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중앙부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판; 상기 제2 바디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의 양측을 밀거나 상기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2 가압바디; 상기 한 쌍의 제2 가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바디를 상기 제2 회전판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이동실린더; 상기 복수의 제2 이동실린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승강판; 및 상기 복수의 제2 승강판을 승강시켜 상기 한 쌍의 제2 가압바디와 상기 복수의 제2 이동실린더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2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사탕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압바디 중 하나의 제1 가압바디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1 회전판의 상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바닥부; 상기 제1 바닥부의 일측부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전방수직부; 상기 제1 전방수직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경사면부; 상기 제1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수평하게 마련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바닥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후방수직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가압바디는 상기 하나의 제1 가압바디에 마련된 제1 전방수직부가 마련되지 않고 상기 제1 바닥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1 경사면부의 하단부가 연결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바닥부는 상기 제1 수평부 보다 길게 마련되고, 한 쌍의 제2 가압바디 중 하나의 제2 가압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2회전판의 상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바닥부; 상기 제2 바닥부의 일측부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전방수직부; 상기 제2 전방수직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경사면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수평하게 마련되는 제2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 바닥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후방수직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2 가압바디는 상기 하나의 제2 가압바디에 마련된 제2 전방수직부가 마련되지 않고 상기 제2 바닥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하단부가 연결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제2 수평부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는, 복수의 커팅 가이드홈이 마련된 커팅 베이스바디, 상기 커팅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포스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포스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이 구비된 커팅 본체; 양측부가 상기 복수의 포스트 프레임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커팅 승강프레임; 상기 커팅 승강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하는 복수의 커팅날; 및 일측부는 상기 커팅 승강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커팅 승강프레임을 상기 복수의 커팅 가이드홈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커팅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탕 반죽물을 자동으로 가압하여 반죽한 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할 수 있는 사탕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탕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이송부에 의해 사탕 반죽물이 베이스 본체에서 제1 가압부로 이송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이송부에 의해 사탕 반죽물이 제1 가압부의 제1 회전판으로 이송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한 쌍의 제1 가압바디로 가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이송부로 제1 가압부에서 가압된 사탕 반죽물을 제2 가압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한 쌍의 제2 가압바디로 가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탕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이송부에 의해 사탕 반죽물이 베이스 본체에서 제1 가압부로 이송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이송부에 의해 사탕 반죽물이 제1 가압부의 제1 회전판으로 이송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한 쌍의 제1 가압바디로 가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이송부로 제1 가압부에서 가압된 사탕 반죽물을 제2 가압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한 쌍의 제2 가압바디로 가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탕 제조장치(1)는, 베이스 본체(100)와, 베이스 본체(100)에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배치된 사탕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200)와, 베이스 본체(100)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제1 이송부(200)를 통해 베이스 본체(100)에서 이송된 사탕 반죽물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300)와, 제1 가압부(300)와 근접되게 마련되어 제1 가압부(300)에서 가압된 사탕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400)와, 제1 가압부(300)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제2 이송부(400)를 통해 제1 가압부(300)에서 이송된 사탕 반죽물을 다시 가압하는 제2 가압부(500)와, 제2 가압부(500)에서 이송된 사탕 반죽물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하는 커팅부(600)를 구비한다.
베이스 본체(100)는, 사탕 원료를 용해하여 마련된 사탕 용해액이 식어서 겔(gel) 형태의 사탕 반죽물이 되도록 마련되는 영역이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와, 베이스 바디(110)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벽(120)과, 한 쌍의 측벽(120)과 근접되게 마련되어 제1 이송부(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송 가이드레일(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탕 용해액은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놓여져 식을 수 있고 사용자의 외력 또는 별도의 교반 장치에 의해 저어져 식을 수 있다.
제1 이송부(200)는,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서 식어서 된 사탕 반죽물을 제1 가압부(300) 쪽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이송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된 이송 가이드레일(130)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제1 이송프레임(210)과, 제1 이송프레임(210)에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을 제1 가압부(300)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바디(220)를 포함한다.
제1 이송부(200)의 제1 이송프레임(210)은, 베이스 본체(100)의 측벽(120)에 근접되게 배치된 이송 가이드레일(130)에 지지되어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이송프레임(210)은 공지된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송프레임(210)은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되는 벨트에 연결되어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이송프레임(210)은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된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피니언 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제1 이송부(200)의 제1 이송바디(220)에는, 이송 경사면부(221)가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을 용이하게 제1 가압부(300) 쪽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이송바디(220)는 이송 경사면부(221)에 의해 하단부가 뾰족하게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압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와 근접되게 마련되며 제1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사탕 반죽물을 양측부를 밀어서 반죽하거나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가압하여 사탕 반죽물을 반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압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와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1 바디(310)와, 제1 바디(310)의 중앙부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판(320)과, 제1 바디(310)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의 양측을 밀거나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1 가압바디(330)와, 한 쌍의 제1 가압바디(330)에 연결되어 한 쌍의 가압바디를 제1 회전판(320)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이동실린더(340)와, 복수의 제1 이동실린더(340)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승강판(350)과, 복수의 제1 승강판(350)을 승강시켜 한 쌍의 제1 가압바디(330)와 복수의 제1 이동실린더(340)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1 승강실린더(360)를 포함한다.
제1 가압부(300)의 제1 바디(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와 붙도록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은 끊김없이 제1 바디(310)의 상면부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가압부(300)의 제1 회전판(320)은, 제1 바디(310)의 중앙부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을 일정 방향 예를 들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탕 반죽물은 제1 회전판(320)과 같이 회전되어 전체적으로 반죽될 수 있다.
제1 가압부(300)의 제1 가압바디(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가압바디(330) 중 하나의 제1 가압바디(330)는,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310)와 제1 회전판(320)의 상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바닥부(331)와, 제1 바닥부(331)의 일측부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전방수직부(332)와, 제1 전방수직부(332)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경사면부(333)와, 제1 경사면부(333)의 단부에서 수평하게 마련되는 제1 수평부(334)와, 제1 수평부(334)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어 제1 바닥부(331)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후방수직부(335)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방수직부(332)는 사탕 반죽물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고, 제1 경사면부(333)는 사탕 반죽물이 제1 경사면부(333)를 타고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나머지 하나의 제1 가압바디(330)는,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나의 제1 가압바디(330)에 마련된 제1 전방수직부(332)가 마련되지 않고 제1 바닥부(331)의 일단부와 제1 경사면부(333)의 하단부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3을 기준으로 제1 바닥부(331)의 우측단부와 제1 경사면부(333)의 하단부가 만나는 영역은 우측에 배치된 제1 가압바디(330)의 영역으로 뾰족하게 돌출되어 사탕 반죽물을 더 쉽게 뒤집을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닥부(331)는 제1 수평부(334)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가압바디(330)는 제1 이동실린더(340)에 의해 사탕 반죽물의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탕 반죽물의 양측부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가압바디(330)는 제1 승강실린더(360)에 의해 상승된 후 하강되어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가압바디(330)는 승강(상승 또는 하강)의 반복 동작으로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가압부(300)의 제1 이동실린더(340)는, 제1 바디(3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마련되며 제1 가압바디(330)와 연결되어 제1 가압바디(330)를 사탕 반죽물의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이동실린더(340)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1 바디(3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있는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에 연결되어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은 공지된 기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가압부(300)의 제1 승강판(350)에는, 제1 이동실린더(340)의 저면부가 브래킷에 의해 결합되고, 이때 제1 이동실린더(340)의 실린더 로드는 사탕 반죽물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승강판(350)은 제1 바디(3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마련된 제1 승강실린더(360)에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승강판(350)의 단부는 회동되게 축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가압부(300)의 제1 승강실린더(360)는, 제1 바디(3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마련되어 제1 승강판(35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승강실린더(360)는 제1 바디(3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있는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에 연결되어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승강실린더(360)와 제1 이동실린더(340)의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은 동일하여 하나의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으로 제1 이동실린더(340)와 제1 승강실린더(360)로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이송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부(300)와 근접되게 마련되어 제1 가압부(300)에서 가압된 사탕 반죽물을 제2 가압부(500)로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이송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310)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축(410)과, 복수의 이동 가이축에 마련되어 제2 가압부(50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블록(420)과, 이동 블록(420)에 마련되어 이동 블록(420)과 같이 이동되는 제2 이송프레임(430)과, 제2 이송프레임(430)에 마련되어 제2 이송프레임(430)과 같이 이동되며 사탕 반죽물을 제2 가압부(500)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바디(440)를 포함한다.
제2 이송부(400)의 이동 블록(420)은, 공지된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블록(420)은 복수의 이송 가이드축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마련되는 벨트나 체인에 연결되어 이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술한 벨트나 체인은 복수의 이송 가이드축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마련된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 이송부(400)의 제2 이송바디(440)는, 축으로 제2 이송프레임(430)에 회전되게 마련될 수 있고, 이 축의 단부는 복수의 이송 가이드축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마련된 모터나 실린더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 가압부(500)는, 제2 이송부(400)에 의해 이송된 사탕 반죽물의 양측부와 상면부를 다시 가압하여 반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가압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310)와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510)와, 제2 바디(510)의 중앙부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판(520)과, 제2 바디(510)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의 양측을 밀거나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2 가압바디(530)와, 한 쌍의 제2 가압바디(530)에 연결되어 한 쌍의 제2 가압바디(530)를 제2 회전판(520)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이동실린더(540)와, 복수의 제2 이동실린더(540)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승강판(550)과, 복수의 제2 승강판(550)을 승강시켜 한 쌍의 제2 가압바디(530)와 복수의 제2 이동실린더(540)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2 승강실린더(560)를 포함한다.
제2 가압부(500)의 제2 바디(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310)와 붙도록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은 끊김없이 제2 바디(510)의 상면부로 이송될 수 있다.
제2 가압부(500)의 제2 회전판(520)은, 제2 바디(510)의 중앙부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을 일정 방향 예를 들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탕 반죽물은 제2 회전판(520)과 같이 회전되어 전체적으로 반죽될 수 있다.
제2 가압부(500)의 제2 가압바디(5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2 가압바디(530) 중 하나의 제2 가압바디(530)는,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510)와 제2 회전판(520)의 상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바닥부(531)와, 제2 바닥부(531)의 일측부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전방수직부(532)와, 제2 전방수직부(532)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경사면부(533)와, 제2 경사면부(533)의 단부에서 수평하게 마련되는 제2 수평부(534)와, 제2 수평부(534)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어 제2 바닥부(531)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후방수직부(535)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전방수직부(532)는 사탕 반죽물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고, 제2 경사면부(533)는 사탕 반죽물이 제2 경사면부(533)를 타고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나머지 하나의 제2 가압바디(530)는,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나의 제2 가압바디(530)에 마련된 제2 전방수직부(532)가 마련되지 않고 제2 바닥부(531)의 일단부와 제2 경사면부(533)의 하단부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6을 기준으로 제2 바닥부(531)의 우측단부와 제2 경사면부(533)의 하단부가 만나는 영역은 우측에 배치된 제2 가압바디(530)의 영역으로 뾰족하게 돌출되어 사탕 반죽물을 더 쉽게 뒤집을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닥부(531)는 제2 수평부(534)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2 가압바디(530)는 제2 이동실린더(540)에 의해 사탕 반죽물의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탕 반죽물의 양측부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2 가압바디(530)는 제2 승강실린더(560)에 의해 상승된 후 하강되어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2 가압바디(530)는 승강(상승 또는 하강)의 반복 동작으로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2 가압부(500)의 제2 이동실린더(540)는, 제2 바디(5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마련되며 제2 가압바디(530)와 연결되어 제2 가압바디(530)를 사탕 반죽물의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이동실린더(540)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2 바디(5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있는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에 연결되어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은 공지된 기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가압부(500)의 제2 승강판(550)에는, 제2 이동실린더(540)의 저면부가 브래킷에 의해 결합되고, 이때 제1 이동실린더(340)의 실린더 로드는 사탕 반죽물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승강판(550)은 제2 바디(5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마련된 제2 승강실린더(560)에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승강판(550)의 단부는 회동되게 축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가압부(500)의 제2 승강실린더(560)는, 제2 바디(5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마련되어 제2 승강판(55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승강실린더(560)는 제2 바디(510)의 좌우측에 마련된 프레임에 있는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에 연결되어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승강실린더(560)와 제2 이동실린더(540)의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은 동일하여 하나의 유압 또는 공압 공급원으로 제2 이동실린더(540)와 제2 승강실린더(560)로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
커팅부(600)는, 제2 가압부(500)에서 이송된 사탕 반죽물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팅부(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커팅 가이드홈(611a)이 마련된 커팅 베이스바디(611)와 커팅 베이스바디(611)의 상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포스트 프레임(612)과 복수의 포스트 프레임(612)에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613)이 구비된 커팅 본체와, 양측부가 복수의 포스트 프레임(612)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커팅 승강프레임(620)과, 커팅 승강프레임(620)에 마련되어 사탕 반죽물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하는 복수의 커팅날(630)과, 일측부는 커팅 승강프레임(620)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커버 프레임(613)에 연결되어 커팅 승강프레임(620)을 복수의 커팅 가이드홈(611a)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커팅 실린더(6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사탕 반죽물의 커팅 시 커팅 베이스바디(611)에 마련된 복수의 커팅 가이드홈(611a)에 복수의 커팅날(630)의 단부가 삽입되어 사탕 반죽물의 커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커팅날(630)에 사탕 반죽물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팅 승강프레임(620)의 양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621)가 마련되고, 가이드 롤러(621)는 포스트 프레임(612)에 마련된 가이드홈(612a)에 가이드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사탕 제조장치
100 : 베이스 본체 110 : 베이스 바디
120 : 측벽 130 : 이송 가이드레일
200 : 제1 이송부 210 : 제1 이송프레임
220 : 제1 이송바디 211 : 이송 경사면부
300 : 제1 가압부 310 : 제1 바디
320 : 제1 회전판 330 : 제1 가압바디
331 : 제1 바닥부 332 : 제1 전방수직부
333 : 제1 경사면부 334 : 제1 수평부
335 : 제1 후방수직부 340 : 제1 이동실린더
350 : 제1 승강판 360 : 제1 승강실린더
400 : 제2 이송부 410 : 이동 가이드축
420 : 이동 블록 430 : 제2 이송프레임
440 : 제2 이송바디 500 : 제2 가압부
510 : 제2 바디 520 : 제2 회전판
530 : 제2 가압바디 531 : 제2 바닥부
532 : 제2 전방수직부 533 : 제2 경사면부
534 : 제2 수평부 535 : 제2 후방수직부
540 : 제2 이동실린더 550 : 제2 승강판
560 : 제2 승강실린더 600 : 커팅부
611 : 커팅 베이스바디 611a : 커팅 가이드홈
612 : 포스트 프레임 612a : 가이드홈
613 : 커버 프레임 620 : 커팅 승강프레임
621 : 가이드 롤러 630 : 커팅날
640 : 커팅 실린더 10 : 사탕 반죽물

Claims (3)

  1.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벽이 구비된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배치된 사탕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베이스 본체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본체에서 이송된 상기 사탕 반죽물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가압부와 근접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가압부에서 가압된 상기 사탕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가압부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를 통해 상기 제1 가압부에서 이송된 상기 사탕 반죽물을 다시 가압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서 이송된 상기 사탕 반죽물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이송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제1 이송프레임과, 상기 제1 이송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을 상기 제1 가압부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바디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1 이송바디에 하단부가 뽀쪽하게 마련된 이송 경사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와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중앙부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판과, 상기 제1 바디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의 양측을 밀거나 상기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1 가압바디와, 상기 한 쌍의 제1 가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바디를 상기 제1 회전판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이동실린더와, 상기 복수의 제1 이동실린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승강판과, 상기 복수의 제1 승강판을 승강시켜 상기 한 쌍의 제1 가압바디와 상기 복수의 제1 이동실린더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1 승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바디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축과, 상기 복수의 이동 가이축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가압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제2 이송프레임과, 상기 제2 이송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이송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며 상기 사탕 반죽물을 상기 제2 가압부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1 바디와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중앙부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판과, 상기 제2 바디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의 양측을 밀거나 상기 사탕 반죽물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2 가압바디와, 상기 한 쌍의 제2 가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바디를 상기 제2 회전판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이동실린더와, 상기 복수의 제2 이동실린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승강판과, 상기 복수의 제2 승강판을 승강시켜 상기 한 쌍의 제2 가압바디와 상기 복수의 제2 이동실린더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2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사탕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가압바디 중 하나의 제1 가압바디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1 회전판의 상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바닥부와, 상기 제1 바닥부의 일측부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전방수직부와, 상기 제1 전방수직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경사면부와, 상기 제1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수평하게 마련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바닥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후방수직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가압바디는 상기 하나의 제1 가압바디에 마련된 제1 전방수직부가 마련되지 않고 상기 제1 바닥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1 경사면부의 하단부가 연결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닥부는 상기 제1 수평부 보다 길게 마련되고,
    한 쌍의 제2 가압바디 중 하나의 제2 가압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2 회전판의 상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의 일측부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전방수직부와, 상기 제2 전방수직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경사면부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수평하게 마련되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 바닥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후방수직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2 가압바디는 상기 하나의 제2 가압바디에 마련된 제2 전방수직부가 마련되지 않고 상기 제2 바닥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하단부가 연결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제2 수평부 보다 길게 마련되는 사탕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복수의 커팅 가이드홈이 마련된 커팅 베이스바디, 상기 커팅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포스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포스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이 구비된 커팅 본체와,
    양측부가 상기 복수의 포스트 프레임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커팅 승강프레임;
    상기 커팅 승강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사탕 반죽물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하는 복수의 커팅날과,
    일측부는 상기 커팅 승강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커팅 승강프레임을 상기 복수의 커팅 가이드홈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커팅 실린더를 포함하는 사탕 제조장치.
KR1020210143117A 2021-10-25 2021-10-25 사탕 제조장치 KR10234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117A KR102341685B1 (ko) 2021-10-25 2021-10-25 사탕 제조장치
PCT/KR2021/015367 WO2023074955A1 (ko) 2021-10-25 2021-10-28 사탕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117A KR102341685B1 (ko) 2021-10-25 2021-10-25 사탕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685B1 true KR102341685B1 (ko) 2021-12-20

Family

ID=7903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117A KR102341685B1 (ko) 2021-10-25 2021-10-25 사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1685B1 (ko)
WO (1) WO202307495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569A (ko) * 2004-12-20 2005-01-21 여남구 반죽물을 일정형태로 성형시키는 반죽물 성형장치
KR20080011303A (ko) * 2005-06-03 2008-02-01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으로얻어지는 디스크형 식품 반죽
KR20180062154A (ko) * 2016-11-30 2018-06-08 이남순 제과용 절단장치
KR101934352B1 (ko) * 2018-03-09 2019-01-02 이준영 브리또 제조장치 및 브리또 제조방법
KR102231521B1 (ko) 2019-07-01 2021-03-23 이해경 이미지가 삽입된 사탕 및 사탕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3126B (zh) * 2019-09-18 2022-05-10 凤台县晶谷粮油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米糖生产的揉捻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569A (ko) * 2004-12-20 2005-01-21 여남구 반죽물을 일정형태로 성형시키는 반죽물 성형장치
KR20080011303A (ko) * 2005-06-03 2008-02-01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식품 반죽의 펼침 방법 및 장치, 및 상기 방법으로얻어지는 디스크형 식품 반죽
KR20180062154A (ko) * 2016-11-30 2018-06-08 이남순 제과용 절단장치
KR101934352B1 (ko) * 2018-03-09 2019-01-02 이준영 브리또 제조장치 및 브리또 제조방법
KR102231521B1 (ko) 2019-07-01 2021-03-23 이해경 이미지가 삽입된 사탕 및 사탕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4955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44859Y (zh) 一种生产仿天然石材瓷砖的布料设备
CN204191467U (zh) 一种曲奇饼干成型机
KR102341685B1 (ko) 사탕 제조장치
CN204019716U (zh) 一种异型砖的制砖设备
CN115969066A (zh) 一种米制品饵块饵片机器
CN110877396A (zh) 一种龙门式全自动纯静压制砖机
CN212329330U (zh) 一种铝材折弯设备
JP6675532B2 (ja) おにぎり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104015245A (zh) 一种异型砖的制砖设备及其方法
CN217038735U (zh) 模具制备糖块脱料装置
CN219108604U (zh) 一种饼干成型装置
CN215302816U (zh) 连续式的糖果成型模具
CN214593900U (zh) 一种饼干压缩成型装置
CN211027998U (zh) 一种注塑模具铸造用加工设备
JP2007143489A (ja) 原料肉の自動送給装置
CN205431792U (zh) 一种用于制作冷冻生坯包子的装置
CN212667883U (zh) 一种爆珠灌装机出料口的袋子夹紧机构
JPH0884553A (ja) 餃子麺皮の製造方法
CN218838149U (zh) 一种自动上料冲压线
CN216796390U (zh) 一种具有夹心的球形糖壳制备装置
CN220174604U (zh) 一种鞋生产用鞋底裁切设备
CN216452943U (zh) 一种面包自动脱模倒料设备
CN219402312U (zh) 一种全自动粉末压机成品摆放机构
CN221021545U (zh) 一种可调节墙板模具
CN219837875U (zh) 一种便于排废的模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