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692B1 -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692B1
KR100849692B1 KR20077004025A KR20077004025A KR100849692B1 KR 100849692 B1 KR100849692 B1 KR 100849692B1 KR 20077004025 A KR20077004025 A KR 20077004025A KR 20077004025 A KR20077004025 A KR 20077004025A KR 100849692 B1 KR100849692 B1 KR 10084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mote operation
ecu
request signa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0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158A (ko
Inventor
아츠시 와타나베
나오키 다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원격조작제어장치에 있어서, 차내통신유닛(30)은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요청하기 위해 센터(24)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32)을 예비점검요청유닛이 요청한다.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에 의한 점검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 원격구동유닛이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한다.

Description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REMOTE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REMOTE OPER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에 따라 소정의 차내장치(in-vehicle apparatus)의 원격구동조작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원격조작제어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원격조작제어시스템은 자동차 및 차내장치와 같은 제어장치, 센터 및 사용자가 지니는 이동단말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이동단말 상의 조작에 따라, 원격조작제어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단말, 센터 및 제어장치의 연결을 형성하여, 원격 제어에 의해 멀리 떨어진 장소에 있는 제어장치들이 조작된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296860호 참조.
상술된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의 원격 조작의 내용이 이동단말 상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다면, 이들 특정된 원격 조작의 내용은 이동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센터로 전송되고, 상기 원격 조작의 내용은 센터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어장치들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들은 전송되는 원격 조작 의 내용에 따라 원격으로 구동된다.
그런데, 이동단말의 조작은, 상기 제어장치들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차량을 가시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다. 많은 경우에, 사용자는 차량이 제어장치들의 원격 조작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상태에 있는 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 만일 제어장치들의 원격 조작이 실제로 차량이 적절한 상태에 있지 않을 때 수행된다면, 차량의 안전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된 시스템에서는, 제어장치들의 원격 조작을 수행할 때 차량이 원격 조작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상태에 있는 지의 여부에 관한 점검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술된 시스템은 차량의 안전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상술된 문제점들이 해결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에 대한 차량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요청하기 위해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차내통신유닛;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을 요청하는 예비점검요청유닛; 및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에 의한 점검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는 원격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요청하기 위해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되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후, 상기 요청하는 단계에서의 점검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은, 상기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요청된 다음,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에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은,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수신되지만, 차량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결코 수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에 대한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요청하기 위해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차내통신유닛;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을 요청하는 강제조작요청유닛; 및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강제조작요청유닛에 의한 조작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는 원격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요청하기 위해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되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후, 상기 요청하는 단계에서의 조작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은, 상기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조작이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요청된 다음,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에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은,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수신되지만, 차량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결코 수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에 대한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에 대한 차량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주된 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방향지시등의 점멸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방향지시등의 소등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방향지시등의 소등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방향지시등의 소등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차량도어의 잠금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차량도어의 잠금해제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서 창문을 닫는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도 10은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서 창문을 연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은, 차량 내에 구비된 차내장치(20), 여하한의 이동전화인 이동단말(22), 차량 운전자 또는 소유자와 같은 보통의 차량 이용자가 지니거나 소유한 개인용 컴퓨터 또는 PDA, 및 상기 차내장치(20)와 이동단말(22)간에 교환되는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하는 센터(24)를 포함하여 이루 어진다. 상기 차내장치(20)의 예로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도어, 파워윈도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은 구체적으로 차내장치의 구동 조작(예컨대, 방향지시등의 점멸과 소등, 도어의 잠금과 잠금해제, 파워윈도우의 열고 닫음 등)을 직접 수행하거나 또는 차내장치의 구동 조작을 센터(24)를 통한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서 내리는 자동차 이용자를 위해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로컬 조작"이란 용어는 차량 이용자가 상술된 차내장치를 직접 조작한다(자동차키 및 자동차의 무선 통신에 의한 무선 조작을 포함함)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원격 조작"이란 용어는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이 상술된 차내장치를 센터(24)를 통해 원격으로 조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차내장치(20)에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센터(24)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모듈(DCM)(30)이 제공되고, 통신선(32)을 통해 DCM(30)에 연결된 컴퓨터로 구성되는 마스터전자제어유닛(마스터 ECU)(34)이 제공된다.
DCM(30)은 시간을 측정하는 클럭기능과 상기 차내장치(20)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센터(24)에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DCM(30)은 또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센터(24)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도 가진다.
마스터 ECU(34)는 ROM과 같은 기억장치에 사전에 미리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된다. 마스터 ECU(34)는 차량의 전화번호 및 센터(24)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차량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를 구비한다. 전송 데이터 는 통신선(32)을 통해 마스터 ECU(34)와 DCM(30)간에 교환된다.
상기 차내장치(20)에는 또한 상술된 마스터 ECU(34)보다 낮은 계층에 있는 각종 전자제어유닛(슬레이브 ECU)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ECU그룹(36)이 제공된다.
이들 슬레이브 ECU들은 로컬 조작이 차량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차내장치들을 제어하고, 차량 내로의 침입자를 검출하며, 무선 경적의 울림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들이다.
마스터 ECU(34)는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어ECU그룹(36)의 각각의 슬레이브 ECU를 요청할 수 있다. 마스터 ECU(34)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제어ECU그룹(36)의 슬레이브 ECU 및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차내장치의 조합을 특정하는 테이블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제공되는 슬레이브 ECU는 대응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는 슬레이브 ECU와 상이한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해 2이상의 슬레이브 ECU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ECU그룹(36)은, 본체 구동 ECU(30), 운전석측 도어 ECU(D 좌석 도어 ECU)(42), 조수석측 도어 ECU(P 좌석 도어 ECU)(44), 후방우측좌석측 도어 ECU(RR 좌석 도어 ECU)(46), 후방좌측좌석측 도어 ECU(RL 좌석 도어 ECU)(48), 키 매칭을 위한 매칭 ECU(50) 및 경적구동 ECU(52)를 포함하여, 제1버스(38)를 통해 마스터 ECU(34)와 연결된 슬레이브 ECU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상기 제어ECU그룹(36)은 또한 운전석측 파워윈도우 ECU(D 좌석 PW-ECU)(60), 조수석측 파워윈도우 ECU(P 좌석 PW-ECU)(62), 후방우측좌석측 파워윈도우 ECU(RR 좌석 PW-ECU)(64), 및 후방좌측좌석측 파워윈도우 ECU(RL 좌석 PW-ECU)(66)를 포함하여, 제2버스(54)를 통해 상술된 본체 구동 ECU(40)와 연결된 슬레이브 ECU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 구동 ECU(40)는 상기 제1버스(38)측의 슬레이브 ECU와 그리고 상기 제2버스(54)측의 슬레이브 ECU와 2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1버스(38) 및 제2버스(54)는 정보의 전송 속도가 상이할 수도 있다.
만일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예컨대,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방향지시등의 점등 또는 소등, 파워윈도우의 열고 닫음)이 센터(24)로부터 요청된다면, 마스터 ECU(3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된 경우에만, 마스터 ECU(34)가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에 대한 원격 조작을 요청하는 조작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
본체 구동 ECU(40)는, 마스터 ECU(34)로부터 공급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과 관련된 조작 요구 신호가 수신될 때, 조작 지령 신호를 원격 조작을 실시하는 상기 ECU 및 릴레이로 출력한다.
차체의 전방, 후방 및 측방에 제공되는 방향지시등을 점멸하는 비상점멸릴레이(hazard flasher relay; 70) 및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비상 스위치(72)가 본체 구동 ECU(40)에 연결된다.
계기판에 배치되는 방향지시등의 좌우 동시 점멸을 만들기 위한 스위치의 ON 조작 및 차량 탑승자에 의한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 또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수신되는 경우(이는 후술함), 본체 구동 ECU(40)는 상기 방향지시등의 좌우 동시 점멸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비상점멸릴레이(70)를 턴 온시킨다.
비상 스위치(72)는 방향지시등의 점멸을 나타내는 신호를 본체 구동 ECU(40)에 공급한다. 본체 구동 ECU(40)는 비상 스위치(72)의 상태를 토대로 방향지시등의 점멸 또는 턴 오프를 검출한다.
D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변경하는 도어록모터(74) 및 상기 D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즉, 잠금 및 잠금해제)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위치스위치(76)가 D 좌석 도어 ECU(42)에 연결된다.
자동차키가 키실린더에 삽입되어 차량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키 내에 제공된 잠금/해제 버튼이 상기 차량 탑승자에 의해 눌려져 자동차와 자동차키간의 무선 통신이 점검되거나, 또는 자동차키를 지닌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접근하여, D 좌석 도어놉에 배치된 소정의 스위치가 눌려져 자동차와 자동차키간에 무선 통신이 점검되거나, 또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수신되면, D 좌석 도어 ECU(42)는 잠금과 잠금해제간에 D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지령 신호를 도어록모터(74)에 공급한다.
도어록위치스위치(76)의 출력신호는 D 좌석 도어 ECU(42)에 공급된다. D 좌석 도어 ECU(42)는 도어록위치스위치(76)의 상태를 토대로 D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검출한다. D 좌석 도어 ECU(42)는 D 좌석 도어의 코티지 램프 스위치의 상태 를 토대로 D 좌석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이와 유사하게, P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변경하는 도어록모터(78), 및 상기 P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위치스위치(80)가 P 좌석 도어 ECU(44)에 연결된다.
자동차키가 키실린더에 삽입되어 차량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키 내에 제공된 잠금/해제 버튼이 상기 차량 탑승자에 의해 눌려져 자동차와 자동차키간의 무선 통신이 점검되거나, 또는 자동차키를 지닌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접근하여, D 좌석 도어놉에 배치된 소정의 스위치가 눌려져 자동차와 자동차키간에 무선 통신이 점검되거나, 또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수신되면, P 좌석 도어 ECU(44)는 잠금과 잠금해제간에 P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지령 신호를 도어록모터(78)에 공급한다.
도어록위치스위치(80)의 출력신호는 P 좌석 도어 ECU(44)에 공급된다. P 좌석 도어 ECU(44)는 도어록위치스위치(80)의 상태를 토대로 P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검출한다. P 좌석 도어 ECU(44)는 P 좌석 도어의 코티지 램프 스위치의 상태를 토대로 P 좌석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RR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변경하는 도어록모터(82), 및 상기 RR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위치스위치(84)가 RR 좌석 도어 ECU(46)에 연결된다.
자동차키가 키실린더에 삽입되어 차량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키 내에 제공된 잠금/해제 버튼이 상기 차량 탑승자에 의해 눌려져 자동차와 자동차키간의 무선 통신이 점검되거나, 또는 자동차키를 지닌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접근하여, D 좌석 도어놉에 배치된 소정의 스위치가 눌려져 자동차와 자동차키간에 무선 통신이 점검되거나, 또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수신되면, RR 좌석 도어 ECU(46)는 잠금과 잠금해제간에 RR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지령 신호를 도어록모터(82)에 공급한다.
도어록위치스위치(84)의 출력신호는 RR 좌석 도어 ECU(46)에 공급된다. RR 좌석 도어 ECU(46)는 도어록위치스위치(84)의 상태를 토대로 RR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검출한다. RR 좌석 도어 ECU(46)는 RR 좌석 도어의 코티지 램프 스위치의 상태를 토대로 RR 좌석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RL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변경하는 도어록모터(86), 및 상기 RL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위치스위치(88)가 RL 좌석 도어 ECU(48)에 연결된다.
자동차키가 키실린더에 삽입되어 차량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키 내에 제공된 잠금/해제 버튼이 상기 차량 탑승자에 의해 눌려져 자동차와 자동차키간의 무선 통신이 점검되거나, 또는 자동차키를 지닌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접근하여, D 좌석 도어놉에 배치된 소정의 스위치가 눌려져 자동차와 자동차키간에 무선 통신이 점검되거나, 또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수신되면, RL 좌석 도어 ECU(48)는 잠금과 잠금해제간에 RL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지령 신호를 도어록모터(86)에 공급한다.
도어록위치스위치(88)의 출력신호는 RL 좌석 도어 ECU(48)에 공급된다. RL 좌석 도어 ECU(48)는 도어록위치스위치(88)의 상태를 토대로 RL 좌석 도어의 잠금 위치를 검출한다. RL 좌석 도어 ECU(48)는 RL 좌석 도어의 코티지 램프 스위치의 상태를 토대로 RL 좌석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침입센서(90)는 매칭 ECU(50)에 연결된다. 침입센서(90)는 객실에 배치되어 상기 객실 내부를 촬영하는 여하한의 카메라, 전파, 초음파,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검출하는 감지센서, 차량시트에 부착된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센서 등일 수도 있다. 침입센서(90)는, 매칭 ECU(50)로부터의 구동 지령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상황 하에, 객실 내의 사람의 존재유무에 따라 신호를 매칭 ECU(50)에 출력한다.
매칭 ECU(50)는 검출이 가능한 상태에서 침입센서(9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지령이 침입센서(90)로 전송되면, 매칭 ECU(50)는 상기 침입센서(90)의 출력신호를 토대로 객실 내의 사람의 존재유무를 검출한다.
매칭 ECU(50)는 침입센서(90)의 검출이 보안 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여하한의 사람이 객실 내에 존재하는 지를 검출한 경우에 보안 경보를 만들어낸다.
객실 내의 송신기(92) 및 수신기(94)가 매칭 ECU(50)에 연결된다. 상기 객실 내의 송신기(92)는 차량 탑승자가 객실 내부를 향해 가져가는 자동차키의 응답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수신기(94)는 상기 객실 내의 송신기(92)에 의해 전송되는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자동차키에 의해 전송되는 응답 신호들을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매칭 ECU(50)는 자동차키의 객실 내의 점검이 차량 탑승자의 설정 조작에 의해 허용되는 상황 하에 상기 객실 내의 자동차키의 존재를 검출하여야 하고, 매칭 ECU(50)는 상기 객실 내의 송신기(92)가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요청이 전송된 후, 매칭 ECU(50)는 수신기(94)에 의해 수신되는 응답 신호의 존재유무에 기초하여 객실 내의 자동차키의 존재를 검출한다.
차량 내에 구비된 무선 경적(96)은 경적 구동 ECU(52)에 연결된다. 경적 구동 ECU(52)가 울림에 의해 객실 내에 위치하는 사람과 차량의 도어나 윈도우 부근에 있는 사람에게 주의를 주어야 하는 경우, 경적 구동 ECU(52)는 무선 경적(96)을 작동시킨다. 필요에 따라, 경적 구동 ECU(52)는 무선 경적(96)이 울림을 출력하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D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를 개폐하는 PW 모터(100)는 D 좌석 PW-ECU(60)에 연결된다. D 좌석 PW-ECU(60)는 지령 신호를 PW 모터(100)에 공급하여,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D 좌석에 배치된 개폐 스위치의 ON 동작이 차량 탑승자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 또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D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개폐되도록 한다.
PW 모터(100)는 D 좌석 PW-ECU(60)로부터 공급되는 지령 신호에 따라 D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개폐되도록 한다. D 좌석 PW-ECU(60)는 PW 모터(100)의 상태를 토대로 D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의 개폐 상태(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경우의 개방 위치를 포함함)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유사하게, P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를 개폐하는 PW 모터(102)는 P 좌 석 PW-ECU(62)에 연결된다. P 좌석 PW-ECU(62)가 D 좌석에 할당되는 P 좌석에 대한 P 좌석 또는 개폐 스위치에 할당되는 개폐 스위칭의 ON 동작이 차량 탑승자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 또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P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개폐되어야 한다는 지령 신호가 PW 모터(102)에 공급된다.
PW 모터(102)는 P 좌석 PW-ECU(62)로부터 공급되는 지령 신호에 따라 P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개폐되도록 한다. P 좌석 PW-ECU(62)는 PW 모터(102)의 상태를 토대로 P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의 개폐 상태(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경우의 개방 위치를 포함함)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RR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를 개폐하는 PW 모터(104)는 RR 좌석 PW-ECU(64)에 연결된다. RR 좌석 PW-ECU(64)가 D 좌석에 할당되는 RR 좌석에 대한 RR 좌석 또는 개폐 스위치에 할당되는 개폐 스위칭의 ON 동작이 차량 탑승자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 또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RR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개폐되어야 한다는 지령 신호가 PW 모터(104)에 공급된다.
PW 모터(104)는 RR 좌석 PW-ECU(64)로부터 공급되는 지령 신호에 따라 RR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개폐되도록 한다. RR 좌석 PW-ECU(64)는 PW 모터(104)의 상태를 토대로 RR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의 개폐 상태(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경우의 개방 위치를 포함함)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RL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를 개폐하는 PW 모터(106)는 RL 좌석 PW-ECU(66)에 연결된다. RL 좌석 PW-ECU(66)가 D 좌석에 할당되는 RL 좌석에 대한 RL 좌석 또 는 개폐 스위치에 할당되는 개폐 스위칭의 ON 동작이 차량 탑승자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 또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RL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개폐되어야 한다는 지령 신호가 PW 모터(106)에 공급된다.
PW 모터(106)는 RL 좌석 PW-ECU(66)로부터 공급되는 지령 신호에 따라 RL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개폐되도록 한다. RL 좌석 PW-ECU(66)는 PW 모터(106)의 상태를 토대로 RL 좌석 도어의 파워윈도우의 개폐 상태(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경우의 개방 위치를 포함함)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동 단말(22)은 ROM과 같은 기억장치에 사전에 미리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따라 조작된다. 상기 이동 단말(22)은 이동 단말(22)에 대응하는 차량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와 상기 이동 단말(22)의 전화번호, 및 상술된 센터(24)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단말(22)은 또한 통신망을 통해 센터(24)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단말(22)은 그 자체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센터(24)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센터(24)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단말(22)은 차량 이용자에 의해 행해진 수동 입력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 이용자에 대한 음성 출력 및 디스플레이 출력을 수행하는 입출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단말(22)은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예컨대 차내장치와 같은 센터(24)가 제공하는 정보의 원격 조작을 요청하기 위한 웹 스크린을 획득할 수 있 다.
상기 이동 단말(22)은 차량 이용자에 의해 상기 입출력부 내로 입력되는 내용을 외부 웹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웹 서버에 저장된 파일 및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입출력부에 대한 변경 조작에 의해 볼 수 있다.
상기 센터(24)에는 고속 연산이 가능한 호스트 컴퓨터와 센터(24)를 이용 중인 사용자, 이동 단말(22)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인 차량의 보통의 이용자의 식별정보, 및 전화번호와 같은 차량의 식별정보와 같은 고객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센터(24)는 ROM과 같은 기억장치에 미리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따라 조작된다. 상기 센터(24)는 통신망을 통한 무선 통신에 의해 차내장치(20) 및 이동 단말(22)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센터(24)는 그 자체 정보를 통신망, 차내장치(20) 및 센터(24) 내의 이동 단말(22)을 통해 상기 차내장치(20) 및 이동 단말(22)로 전송하는 기능으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센터(24)는 이동 단말(22)에 각종 차내장치들의 원격 조작을 요청하기 위한 웹 스크린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주된 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차내장치(20), 이동 단말(22) 및 센터(24)는 ROM에 각각 저장된 후술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조작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CD, DVD,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내장치의 조작 실패가 자발적으로 통보되거나 차량으로부터 멀리 있는 장소에서 상기 센터(24)로부터 이동 단말(22)을 통해 차량 이용자에게 통보되어, 차량 이용자가 방향지시등의 점멸 또는 소등을 실행하기 원하거나 또는 도난방지 혹은 조작실패관리를 위해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실행하기 원하거나, 또는 도난 방지 혹은 조작실패관리를 위해 차량 도어의 윈도우가 열린 개방 상태로부터 차량 도어의 윈도우를 어느 정도 혹은 완전히 닫기 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22)의 입출력부가 작동되어 웹 브라우저가 개시된다.
상기 센터(24)는 이동 단말(22)의 조작에 응답하여 차내장치(20)의 차내기기를 원격으로 구동하는데 필요한 원격 조작을 요청하는 포맷을 저장한다.
만일 소정의 조작이 웹 브라우저가 개시되는 상태에서 차량 이용자에 의해 수행된다면, 상기 이동 단말(22)은 상기 조작에 따라, 상기 센터(24) 및 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센터(24)가 구비한 원격 조작을 요청하기 위한 웹 스크린을 공급하도록 센터(24)에 요청한다.
상기 센터(24)는, 이동 단말(22)로부터의 요구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구에 따라 원격 조작을 요청하기 위한 웹 스크린을 이동 단말(22)에 공급한다.
상기 이동 단말(22)은 상술된 처리에 따라 센터(24)로부터의 원격 조작을 요 청하기 위한 웹 스크린을 획득한다.
상기 웹 스크린에는 이동 단말(22)의 조작에 의해 원격 조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원격 조작의 항목들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 단말(22)은, 원격 조작이 가능한 원격 조작의 모든 아이템에 제공되는 체크박스 내의 체크의 존재유무를 토대로 차량 이용자에 의한 원격 조작을 위해 어떤 차내기기들이 선택되는 지를 특정한다.
웹 스크린 내의 체크박스가 차량 이용자에 따른 조작에 의해 체크된 후에 전송 요청이 보내지면, 상기 이동 단말(22)은 상기 체크에 대응하는 차내기기의 원격 조작이 센터(24)에 요청되었는 지를 통보하기 위하여, 상기 원격 조작 요구 정보를 상기 센터(24)에 전송한다(단계 200).
상기 이동 단말(22)은 전송이 완료된 후에 상기 센터(24)와의 무선 통신의 연결을 종료한다.
상기 센터(24)가 원격 조작을 요청하기 위한 웹 스크린을 이동 단말(22)에 제공한 후, 상기 이동 단말(22)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조작 요구 정보가 상기 센터에서 수신되면, 상기 센터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22)에 대응하는 차량의 차내장치(20)와의 접속을 수립한다.
특정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요구된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요구 신호는, 이동 단말(22)에서의 조작에 의해 원격 조작 요구 정보에 대한 수신 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차내장치(20)로 전송된다(단계 202).
상기 센터(24)는 상기 전송이 완료된 후에 상기 차내장치(20)와의 무선 통신 접속을 종료한다.
상기 센터(24)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조작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차내장치(20)의 DCM(30)이 차내장치 및 센터(24)에서의 요구 수신 시간을 특정하고, 원격 조작이 요구된 것을 마스터 ECU(34)에 통보한다(단계 204).
만일 마스터 ECU(34)가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요구된 것을 DCM(30)으로부터 통보받으면,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가 DCM(30)으로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청할 것이다(단계 206).
그리하여,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ECU(34)가 현재 시간의 전송에 대한 요청에 대해 DCM(30)으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면(단계 208), 요구 수신 시간(이하, 센터 수신 시간이라 함) 및 상기 센터(24)에서 획득된 마스터 ECU(34)의 요구 수신 시간(이하, RS 수신 시간이라 함)이 매칭된다.
다음으로, 마스터 ECU(34)는 원격 조작이 실제로 요구되는 차내장치에 대한 원격 조작을 먼저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를 수행한다(단계 210).
구체적으로는,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에 대응하는 슬레이브 ECU는, 상기 차내장치와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의 점검을 위해 제공되는 슬레이브 ECU의 조합을 특정하는 테이블로부터 추출된다. 또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여야 하는 것을 요청하는 신호(승인요청신호)가 상기 제어ECU그룹(36)의 추출된 슬레이브 ECU에 전송된다. 그 후,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는 점검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승인신호)가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들에 대응하는 모든 슬레이브 ECU로부터 수신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이하, 차내장치들 각각에 대한 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모든 전제조건에 의한 판정 시의 결정 결과가 충족됨에 따라, 마스터 ECU(34)는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수행하는 처리(원격조작실행공정)를 수행한다(단계 212).
구체적으로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상기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를 구동하는 슬레이브 ECU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요청하는 신호(조작요구신호)를 마스터 ECU(34)가 전송한다.
슬레이브 ECU는,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대응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여하한의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마스터 ECU(34)는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의 실행을 금지하고, 슬레이브 ECU로의 조작요구신호의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하, 각각의 차내장치들에 대한 원격조작실행처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스터 ECU(34)가 원격조작실행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차기 차내장치의 원 격 조작에 대한 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를 수행한 후에 상기 처리가 금지된다면, 원격 조작의 완료 존재유무를 판정하는 처리(원격조작완료판정처리)를 수행할 것이다(단계 214).
구체적으로는, 조작 요구 신호가 슬레이브 ECU로 전송되면, 그 팩터가 특정되고, 상기 슬레이브 ECU로부터의 것 이후에 전송된 원격 조작에 관한 조작 응답을 토대로 상기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 지의 여부를 식별하면, 슬레이브 ECU에 대한 조작 요구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다.
마스터 ECU(34)는, 원격조작완료판정처리를 종료한 후에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가 DCM(30)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을 요청한다(단계 216).
그리하여, 현재 시간의 전송에 대한 요청을 위해 DCM(30)으로부터 전송된 현재 시간 정보가 획득된다면(단계 218), 완료 시간이 특정될 것이므로, 상기 원격 조작이 완료되거나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에 의해 종료되었다고 DCM(30)으로 통보될 것이다(단계 220).
원격 조작에 대한 조작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에는,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이유를 포함하는 통보가 수행된다.
마스터 ECU(34)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수신되면, DCM(30)은 센터(24) 및 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 접속을 형성하여, 그것을 상기 센터(24)로 전송한다(단계 222).
DCM(30)은 상기 전송이 완료된 후에 상기 센터(24)와의 무선 통신의 접속을 종료한다.
차량의 DCM(30)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수신되면, 상기 센터(24)는 이동 단말(22) 및 차량에 대응하는 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 접속을 형성하여, 그것을 상기 이동 단말(22)로 전송한다(단계 224).
상기 센터(24)는 상기 전송이 완료된 후에 상기 이동 단말(22)과의 무선 통신의 접속을 종료한다.
이동 단말(22)이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요청한 후, 상기 센터(24)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상기 통보의 결과를 디스플레이 또는 음향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서는, 차량 내에 구비된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차량 이용자가 조작하는 이동 단말(22)에 의해 실시되어, 상기 센터(24)를 통해 이동 단말(22)로부터 차내장치(20)로의 원격 조작 요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 이용자가 차량에 승차하지 않은 경우에도, 차량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이동 단말(22)의 조작에 의해 차내장치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 이용자가 차량 내의 차내장치의 수동 조작을 잊은 경우에 이동 단말(22)이 조작되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실현하고, 이러한 시프트에 의해 상기 차내장치를 원하는 상태로 원격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서는, 특정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센 터(24)로부터 요청되면, 차내장치(20)는 차량이 원격 조작이 실시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지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는 원격제어허용판정처리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점검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만, 원격 조작이 실제로 수행된다.
이에 따라, 차량이 차내장치의 요구되는 원격 조작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상황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서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 각각에 대한 원격조작실행처리 및 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1) 각각의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에 공통인 원격제어허용판정처리
차량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다음과 같은 전제조건 (a) 내지 (d) 모두가 충족될 때에만 유효하게 이루어진다: (a) 차량이 센터(24)로부터 원격 조작 요구를 수신한 시간(구체적으로는 RS 수신 시간)과 상기 센터(24)가 이동 단말(22)로부터 원격 조작 요구를 수신한 시간(구체적으로는 센터 수신 시간)간의 차이가 소정의 시간(예컨대, 10 분)을 초과하지 않음; (b) 차량이 운전 상태에 있지 않음; (c) 가능하다면, 센터(24)가 이동 단말(22)로부터 원격 조작 요구를 수신한 시간(구체적으로는 센터 수신 시간) 직후, 또는 이동 단말(22)이 원격 조작 요구를 센터(24)로 전송한 시간 직후에 로컬 조작이 수행되지 않음; 및 (d) 상호 모순되는 원격 조작 요구들이 거의 동시에 수신되지 않음. 그렇지 않다면, 즉 전제조건 (a) 내지 (d) 가운데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술된 (a)에 도시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판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마스터 ECU(34)는 상기 RS 수신 시간을 센터 수신 시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의 시간 이하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된 (b)에 도시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판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마스터 ECU(34)는 차량의 점화/시동 스위치의 상태 및 액세서리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점화/시동 스위치가 OFF이고, 액세서리 스위치가 OFF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된 (c)에 도시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판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마스터 ECU(34)는 이동 단말(22) 또는 센터 수신 시간에 따른 요청 시간을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와 관련된 로컬 조작이 수행된 시간과 비교한다. 그리하여, 마스터 ECU(34)는 로컬 조작이 상기 원격 조작이 요구된 시간과 거의 동시에 수행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ECU(34)가 각각의 슬레이브 ECU로부터의 정보를 토대로, 차내장치의 조작 종류 및 상기 로컬 조작의 발생 시간을 특정하고, 상기 로컬 조작이 수행되는 매 시간 또는 원격 조작 요구가 센터(24)로부터 수신된 후, 승인 요청이 각각의 슬레이브 ECU로 통보되며, 상기 요청에 대한 응 답이 각각의 슬레이브 ECU로부터 수신될 필요가 있다.
상술된 (d)에 도시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판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마스터 ECU(34)는 상호 모순적인 원격 조작 요구(예컨대, 비상점멸요구 및 비상소등요구)가 상기 센터(24)로부터 거의 동시에 수신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2) 비상 점멸
도 3은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가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방향지시등(비상등)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 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상기 원격 조작의 내용은 방향지시등의 점멸이다.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에서의 방향지시등을 점멸하는 원격 조작은, 상술된 (a) 내지 (d)에 도시된 전제조건들이 충족되고, 부가적으로 상기 방향지시등이 실제로 소등되었다는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유효하게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즉, 방향지시등이 실제로 점멸 중이면),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방향지시등이 실제로 점멸되고 있을 때에는 원격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마스터 ECU(34)는 상술된 (a) 내지 (d)에 도시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로서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방향지시등의 상태가 소등상태에 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승인 요청 신호는, 모든 슬레이브 ECU 가운데 승인 요청을 수행 하는 본체 구동 ECU(40)를 특정하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마스터 ECU(34)에 의해 전송된다. 그리하여, 상기 식별자에 의한 승인 요청 신호가 본체 구동 ECU(40)에 도달한다.
만일 방향지시등의 상태가 소등상태에 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마스터 ECU(34)로부터 수신된다면, 본체 구동 ECU(40)는 비상 스위치(70)의 상태를 토대로 방향지시등의 상태를 점검하고, 상기 점검의 결과를 응답 신호로서 마스터 ECU(34)에 전송한다.
방향지시등의 상태가 소등상태인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를 마스터 ECU(34)가 본체 구동 ECU(40)에 전송한 후, 마스터 ECU(34)는 상기 본체 구동 ECU(4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점검의 결과가 방향지시등의 소등상태이고, 상술된 (a) ~ (d)에 도시된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된 때에만, 마스터 ECU(34)는 방향지시등의 점멸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체 구동 ECU(4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받은 결과로서 상기 점검의 결과가 방향지시등의 점멸인 것으로 판정된다면, 또는 상기 (a) ~ (d)에 도시된 전제조건들 가운데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았다면, 마스터 ECU(34)는 방향지시등의 점멸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들 가운데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만일 마스터 ECU(34)가 상술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면, 마스터 ECU(34)는 원격조작실행처리로서 상기 방향지시등을 소등상태로부터 점멸상 태로 변경하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한다(단계 300).
이 때, 요구되는 원격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본체 구동 ECU(40)를 특정하는 식별자는 모든 슬레이브 ECU 가운데 포함되어 있지만, 상기 조작 요구 신호는 제1버스(38)를 통해 마스터 ECU(34)에 의해 전송되어, 본체 구동 ECU(40)에 도달한다.
방향지시등을 점멸하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마스터 ECU(34)로부터 수신되면, 본체 구동 ECU(40)는 비상점멸릴레이(70)를 턴 온시켜, 상기 방향지시등의 좌우 동시 점멸을 실행한다(단계 302).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는 동시에 마스터 ECU(34)로 전송된다(단계 304).
마스터 ECU(34)는, 방향지시등을 소등상태에서 점멸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된 이후 소정의 시간 T가 경과한 때, 상기 방향지시등의 스위치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한다(단계 306).
방향지시등을 소등하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마스터 ECU(34)로부터 수신되면, 본체 구동 ECU(40)는 비상점멸릴레이(70)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방향지시등의 스위치를 턴 오프시켜, 상기 방향지시등의 스위치가 턴 오프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를 동시에 마스터 ECU(34)로 전송한다(단계 308).
원격 점멸 조작 이후에 턴 오프의 원격 조작을 수행하는 것은 불필요하지만, 여러 경우에 있어서는 차량을 주차장 등에서 찾으려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차 위치를 알기 위하여 방향지시등을 점멸하기 위한 원격 조작이 실시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점멸의 연속 시간 및 전력 소비가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원격 턴 오프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원격 점멸 요구로부터 원격 턴-오프 요구까지의 시간은 차량 이용자의 관심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필요한 것은 단지 상기 센터(24)로부터 차량 이용자의 주의와 동조된 원격 조작 요구를 전송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된 전제조건 가운데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았다고 마스터 ECU(34)가 판정한다면, 마스터 ECU(34)는 원격조작실행처리를 금지하여, 본체 구동 ECU(40)의 방향지시등을 점멸하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원격 점멸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된다.
또한, 점멸 조작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방향지시등을 점멸하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전송된 후에 소정의 시간 내에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이유로 마스터 ECU(34)는 원격 점멸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를 DCM(30)을 통해 상기 센터(24)로 전송한다.
다른 한편으로, 점멸 조작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방향지시등을 점멸하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전송된 후에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된 경우에는, 원격 점멸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상기 센터(24)로 전송한다.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방향지시등을 점멸하기 위한 원격 조작이 요청된다면, 상기 방향지시등의 상태가 소등상태에 있는 지(또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마스터 ECU(34)로부터 슬레이브 ECU(구체적으로는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된다. 상기 원격 조작의 실행은, 상기 점검의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만 개시 및 수행된다.
(3) 비상등 소등
도 4 내지 도 6은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가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방향지시등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 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상기 원격 조작의 내용은 방향지시등의 소등이다.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에서의 방향지시등의 스위치를 턴 오프시키는 원격 조작은, 상술된 (a) ~ (d)에 도시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고, 또한 (e) 사람이 객실 내에 있지 않음, (f) 자동차키가 객실 내에 있지 않음, 및 (g) 방향지시등이 실제로 점멸되고 있음과 같은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에 유효하게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즉, (a) ~ (g)에 도시된 전제조건 가운데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방향지시등이 실제로 턴 오프될 때에는 원격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마스터 ECU(34)는 상술된 (a) ~ (d)에 도시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로서 충족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하여, 상기 (e) 및 (f)의 전제조건들이 충족되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로 전송되며, 상기 방향지시등의 상태가 점멸 상태에 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는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ECU(34)가 우선 침입검출이 가능한 활성 상태에서 구동될 침입센서(90)를 요청하는 구동 신호를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로 공급한다(단계 400).
만일 침입센서(90)의 구동이 마스터 ECU(34)로부터 요청된다면, 매칭 ECU(50)는 상기 침입센서(90)를 구동시켜, 상기 침입센서(90)를 침입검출이 가능한 활성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402).
상기 침입센서(90)가 구동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는 동시에 마스터 ECU(34)로 전송된다(단계 404).
다음으로, 마스터 ECU(34)는 침입센서(90)의 검출 결과가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로 통보되어야 하는 것을 요청한다. 즉, 사람이 객실 내에 있지 않은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로 전송된다(단계 406).
침입센서(90)의 검출결과의 통보가 마스터 ECU(34)로부터 요청된다면, 매칭 ECU(50)는 상기 침입센서(90)의 출력 신호를 토대로 객실 내의 여하한의 사람의 존재유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 결과를 응답 신호로서 마스터 ECU(34)로 전송한다(단계 408).
마스터 ECU(34)는 매칭 ECU(50)로부터 수신되는 침입센서(90)의 검출 결과의 응답 결과로서 사람이 객실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 모든 여타의 전제조건들이 충족된 경우에만, 마스터 ECU(34)는 방향지시등의 턴 오프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매칭 ECU(5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의 결과로서, 여하한의 사람이 객실 내에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마스터 ECU(34)는 상기 방향지시등의 턴 오프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여하한의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매칭 ECU(50)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된 후, 마스터 ECU(34)는 침입센서(90)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침입센서(90)가 침입 검출이 불가능한 비활성 상태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청하는 요구 신호를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로 공급한다(단계 410).
만일 침입센서(90)의 구동 정지가 마스터 ECU(34)로부터 요청된다면, 매칭 ECU(50)는 상기 침입센서(90)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침입센서(90)를 침입 검출이 불가능한 비활성 상태로 변경시켜, 상기 침입센서(90)의 구동이 중단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마스터 ECU(34)로 동시에 전송한다(단계 412).
마스터 ECU(34)는 객실 내에 자동차키가 있는 지의 점검을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로 요청한다. 즉, 자동차키가 객실 내에 있지 않은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를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로 전송한다(단계 500).
만일 객실 내에 자동차키가 있는 지의 점검이 마스터 ECU(34)에 의해 요청된 다면, 매칭 ECU(50)는 객실 내의 송신기(92)가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자동차키가 객실 내에 있는 지의 점검을 실시하고(단계 502), 매칭 ECU(50)는 상기 매칭 결과를 응답 신호로서 마스터 ECU(34)로 전송한다(단계 504).
만일 마스터 ECU(34)가 매칭 ECU(50)로부터 객실 내의 자동차키에 관한 점검 결과의 응답을 수신하는 결과로서, 자동차키가 객실 내에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면, 여타의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마스터 ECU(34)가 방향지시등의 소등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매칭 ECU(5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결과로서 자동차키가 객실 내에 있다고 판정한다면, 마스터 ECU(34)는 상기 방향지시등의 소등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들 중 하나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만일 방향지시등의 상태가 점멸 상태에 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마스터 ECU(34)로부터 수신된다면, 본체 구동 ECU(40)는 비상 스위치(70)의 상태를 토대로 상기 방향지시등의 상태를 점검하여, 응답 신호로서 상기 점검의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마스터 ECU(34)로 전송한다.
만일 마스터 ECU(34)가 상기 점검의 결과가 방향지시등의 점멸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면, 상기 방향지시등의 상태가 점멸 상태에 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를 마스터 ECU(34)가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한 후에 상기 본체 구동 ECU(4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결과로서, 여타의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된 경우에만, 마스터 ECU(34)가 상기 방향지시등의 소등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점검의 결과가 본체 구동 ECU(4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결과로서 방향지시등을 소등한 것으로 판정된다면, 마스터 ECU(34)는 상기 방향지시등의 소등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들 중 하나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만일 마스터 ECU(34)가 상술된 모든 전제조건 (a) ~ (g)가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면, 마스터 ECU(34)는 원격조작실행처리로서 상기 방향지시등을 점멸 상태로부터 소등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한다(단계 600).
방향지시등을 턴 오프시키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마스터 ECU(34)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본체 구동 ECU(40)는 비상점멸릴레이(70)를 턴 오프시켜, 상기 방향지시등을 턴 오프시킨다(단계 602).
방향지시등이 턴 오프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는 마스터 ECU(34)로 동시에 전송된다(단계 604).
다른 한편으로, 마스터 ECU(34)가 상술된 여하한의 전제조건 (a) ~ (g)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마스터 ECU(34)는 원격조작실행처리를 금지하여, 상기 방향지시등을 턴 오프시키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원격 소등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는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된다.
또한, 소등 조작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상기 방향지시등의 스위치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전송된 이후 소정의 시간 내 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마스터 ECU(34)는 이러한 이유로 원격 소등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를 DCM(30)을 통해 상기 센터(24)로 전송한다.
다른 한편으로, 소등이 소정의 시간 내에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방향지시등을 턴 오프시키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전송된 이후에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소등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상기 센터(24)로 전송된다.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방향지시등의 스위치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원격 조작이 요청된다면, 사람과 자동차키가 객실 내에 있지 않다는 것과, 방향지시등이 점멸 상태에 있다는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마스터 ECU(34)로부터 슬레이브 ECU(구체적으로는 매칭 ECU(50))로 전송된다. 원격 조작의 실행은 상기 점검의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만 개시 및 수행된다
(4) 도어 잠금
도 7은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가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차량 도어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 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상기 원격 조작의 내용은 도어 잠금이다.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 내의 차량 도어를 잠그는 원격 조작은, 상술된 (a) ~ (f)에 도시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고, 또한 (h) 모든 차량 도어가 닫혀 있음, 및 (i) 차량 도어 어느 것도 잠겨있지 않음과 같은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는 경 우에 유효하게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즉, 이들 전제조건들 가운데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차량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 도어를 잠그려는 뜻이 없고, 모든 차량 도어가 실제로 잠겨 있을 때에는 상기 차량 도어를 잠그기 위한 원격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마스터 ECU(34)는 상술된 (a) ~ (f)에 도시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로서 충족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하여, 상기 (h) 및 (i)의 전제조건들이 충족되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된다.
만일 상기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는 지의 점검이 마스터 ECU(34)로부터 요청된다면, 본체 구동 ECU(40)는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각각의 도어 ECU(42~48)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만일 모든 차량 도어가 닫혀 있는 지의 점검과 여하한의 차량 도어가 잠겨있지 않은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본체 구동 ECU(40)를 통해 마스터 ECU(34)로부터 수신된다면, 각각의 도어 ECU(42~48)는 코티지 램프 스위치의 상태를 토대로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를 점검하여, 응답 신호로서 상기 점검의 결과를 마스터 ECU(34)로 전송한다. 그리하여, 각각의 도어 ECU(42~48)는 도어록위치스위치(76, 80, 84, 88) 중 대응하는 것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 위치를 점검하여, 상기 점검의 결과를 응답 신호로서 마스터 ECU(34)로 전송한다.
마스터 ECU(34)는, 전제조건 (h) 및 (i)가 충족되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들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된 후에 도어 ECU(42~48)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결과로서, 모든 차량 도어가 닫혀 있고 상기 차량 도어 중 적어도 하나가 잠겨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술된 (a) ~ (f)에 도시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된 경우에만, 마스터 ECU(34)는 모든 차량 도어를 잠그는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어 ECU(42~48)로부터의 응답 신호들을 수신한 결과로서, 여하한의 차량 도어가 열려 있거나 모든 차량 도어가 잠겨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또는 상술된 (a) ~ (f)에 도시된 여하한의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차량 도어를 잠그는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들 가운데 한 가지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만일 마스터 ECU(34)가 상술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면, 마스터 ECU(34)는 침입 검출이 가능한 활성 상태로 설정될 침입센서(90)를 요청하는 요구 신호를, 원격조작실행처리로서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로 전송한다(단계 700).
만일 침입센서(90)의 설정이 마스터 ECU(34)로부터 요청된다면, 매칭 ECU(50)는 침입센서(90)를 구동시켜, 상기 침입센서(90)를 침입 검출이 가능한 활성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하여, 매칭 ECU(50)는 상기 침입센서(90)가 구동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동시에 마스터 ECU(34)에 전송한다(단계 702).
마스터 ECU(34)는 잠겨 있지 않은 차량 도어를 잠그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한다(단계 704).
만일 도어 잠금 조작이 마스터 ECU(34)로부터 요청된다면, 본체 구동 ECU(40)는 도어 ECU(42~48)에 대한 상기 조작을 요청하는 조작 요구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전송한다(단계 706). 이 경우에 필요한 것은 단지 실제로 잠겨 있지 않은 차량 도어를 제어하는 1이상의 도어 ECU(42~48)에 상기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만일 조작 요구 신호가 본체 구동 ECU(40)를 통해 마스터 ECU(34)로부터 수신된다면, 도어 ECU(42~48) 중 하나가 잠겨 있지 않은 차량 도어를 잠금 위치로 변경하기 위한 지령 신호를 도어록모터(74, 78, 82, 86) 중 대응하는 것에 공급하여, 잠겨 있지 않은 차량 도어가 잠기게 된다(단계 708).
본체 구동 ECU(40)는, 도어 잠금을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도어 ECU(42~48)로 전송된 후, 상기 도어 잠금이 요청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의 통보를 마스터 ECU(34)로 전송한다(단계 710).
도어 ECU(42~48)는, 잠겨 있지 않은 차량 도어를 잠그는 처리가 수행된 후, 도어록위치스위치의 상태를 토대로 검출된 도어록위치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ECU(34)로 전송한다(단계 712).
다른 한편으로, 마스터 ECU(34)가 상술된 여하한의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면, 마스터 ECU(34)는 원격제어실행처리를 금지하여, 도어 잠금을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상기 본체 구동 ECU(40)에 전송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원격 잠금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된다.
또한, 도어 잠금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상기 차량 도어를 잠그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전송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마스터 ECU(34)는 이러한 이유로 원격 잠금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를 DCM(30)을 통해 상기 센터(24)로 전송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어 잠금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도어 잠금을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전송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잠금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상기 센터(24)로 전송된다.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도어를 잠그기 위한 원격 조작이 요청된다면, 사람과 자동차키가 객실 내에 있지 않다는 것과, 모든 차량 도어가 닫혀 있고 여하한의 차량 도어가 잠겨 있지 않다는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가 필요에 따라 본체 구동 ECU(40)를 통해, 마스터 ECU(34)로부터 슬레이브 ECU(구체적으로는 매칭 ECU(50) 및 도어 ECU(42~48))로 전송된다. 원격 조작의 실행은 상기 점검의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만 개시 및 수행된다
(5) 도어 잠금해제
도 8은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가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 내의 차량 도어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 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상기 원격 조작의 내용은 도어 잠금해제(도어잠금취소)이다.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도어를 여는 원격 조작은, 상술된 (a) ~ (d)에 도시된 조건들이 충족되고, 부가적으로는 상기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잠금 조작이 수행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은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유효하게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만일 마스터 ECU(34)가 상술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의 결과로서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면, 마스터 ECU(34)는 원격조작실행처리로서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잠겨 있는 차량 도어를 열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한다(단계 800).
만일 마스터 ECU(34)로부터 도어 잠금해제를 위한 조작이 본체 구동 ECU(40)에 요청된다면,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도어 ECU(42~48)로부터 상기 조작을 요청하는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단계 802).
이 때, 필요한 것은 단지 상기 조작 요구 신호의 전송이 잠겨 있는 차량 도어를 적어도 실제로 제어하는 도어 ECU(42~48)에 대해 수행되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본체 구동 ECU(40)를 통한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 신호가 도어 ECU(42~48)에 의해 수신된다면, 각각의 도어 ECU(42~48)는 잠겨 있는 차량 도어를 해제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지령 신호를 도어록모터(74, 78, 82, 86)로 공급하여, 잠겨 있는 차량 도어가 열리도록 한다(단계 804).
본체 구동 ECU(40)는, 도어 잠금해제를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도어 ECU(42~48)에 전송한 후, 도어 잠금해제의 요청이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의 마스터 ECU(34)로의 통보를 수행한다(단계 806).
도어 ECU(42~48)는, 잠겨 있는 차량 도어를 열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도어록위치스위치의 상태를 토대로 검출된 도어록위치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ECU(34)로 전송할 것이다(단계 808).
다른 한편으로, 마스터 ECU(34)가 상술된 여하한의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면, 마스터 ECU(32)는 원격제어실행처리를 금지하여, 도어 잠금해제를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본체 구동 ECU(40)에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마스터 ECU(34)는 이러한 이유로 원격 잠금해제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한다.
차량 도어를 열기 위하여 마스터 ECU(34)에 대한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한 후에는, 도어 잠금해제가 소정의 시간 내에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러한 이유로 원격 잠금해제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어 잠금해제가 소정의 시간 이내에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도어 잠금해제를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한 후에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잠금해제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도어를 열기 위한 원격 조작이 요청된다면, 상기 원격 잠금 조작이 수행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잠금해제 요구가 수신된 경우에만, 대응하는 원격 조작이 수행되어, 상기 차량 도어가 열리게 되고, 잠겨 있는 상태가 취소된다.
(6) 도어 윈도우 닫음
도 9는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가 차량 도어의 파워윈도우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상기 원격 조작의 내용은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서의 도어 윈도우 닫기이다.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 윈도우를 닫는 원격 조작은 상술된 (a) 내지 (f) 및 (h)에 도시된 조건들과 부가적으로는 차량 도어의 파워윈도우들이 하나도 닫혀 있지 않은 전제조건인 (j)가 충족된 경우에 유효하게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모든 파워윈도우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원격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마스터 ECU(34)는 상술된 (a) 내지 (f)에 도시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는 지의 점검과 상술된 (j)의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를 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로서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한다.
만일 본체 구동 ECU(40)가 (j)에 도시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점검을 위한 요청을 마스터 ECU(34)로부터 수신한다면, 본체 구동 ECU(40)는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각각의 도어 ECU(42~48)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만일 각각의 도어 ECU(42~48)가 본체 구동 ECU(40)를 통해 마스터 ECU(34)로부터 (j)에 도시된 어느 차량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닫혀 있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면, 상기 도어 ECU는 상기 도어 윈도우의 개폐 상태를 점검하여, 응답 신호로서 윈도우 개방 또는 윈도우 폐쇄의 점검의 결과를 전송함으로써, 마스터 ECU(34)에 결과를 보낸다.
(j)의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승인 요청 신호가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된 후, 각각의 도어 ECU(42~48)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결과로서, 마스터 ECU(34)가 파워윈도우 어느 것도 닫혀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면, 상술된 (a) ~ (f) 및 (h)에 도시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된 경우에만, 상기 파워윈도우를 닫는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모든 파워윈도우들이 닫혀 있거나, 상술된 (a) ~ (f) 및 (h)에 도시된 여하한의 전제조건들이 각각의 도어 ECU(42~48)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결과로서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된다면, 마스터 ECU(34)는 파워윈도우를 닫는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모든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만일 마스터 ECU(34)가 상술된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된 것으로 판정한다면, 원격조작실행처리로서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에 대해 소정의 규칙(예컨대, 2초 울림과 2초 중지 반복)에 따라 무선 경적(96)이 울려야 하는 것을 먼저 요청하는 요구 신호가 전송된다(단계 900).
만일 무선 경적(96)의 울림이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에 요청된 다면,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경적 구동 ECU(52)로부터의 울림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단계 902).
경적 구동 ECU(52)는, 매칭 ECU(50)를 통해 마스터 ECU(34)로부터 무선 경적(96)의 울림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규칙에 따라 무선 경적(96)을 울리게 된다(단계 904).
이러한 무선 경적(96)의 울림에 따르면, 자동차 주변에 있는 사람과 자동차 안의 탑승자에게 차후에 윈도우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는 것을 통보할 수 있게 된다.
매칭 ECU(50)는, 경적 구동 ECU(52)에 대한 울림 요구가 전송되는 경우, 마스터 ECU(34)에 대해 무선 경적(96)의 울림이 요청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의 통보를 수행할 것이다(단계 906).
다음으로, 마스터 ECU(34)는 침입 검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매칭 ECU(50)에 대해 침입센서(90)가 취소되어야 하는 것을 요청하는 요구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전송한다(단계 908).
만일 침입센서(90)의 취소가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에 요청된다면, 상기 침입센서(90)의 구동 중단을 실행할 것이고, 그것을 침입 검출이 불가능한 상태로 변경할 것이며, 침입센서(90)의 구동이 중단되어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마스터 ECU(34)에 동시에 전송된다(단계 910).
이러한 침입센서(90)의 취소는, 윈도우가 PW 모터(100~106)에 의해 개폐 구동을 실행할 때에 진동이 발생하여, 침입센서(90)가 잘못된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또한, 이 경우에 침입 검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침입센서(90)를 취소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 감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마스터 ECU(34)에는, 매칭 ECU(50)로부터 취소된 침입센서(90)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에 대해 소정의 규칙(예컨대, 상술된 단계 900의 규칙과 상이한 0.5초 울림과 상이한 0.5초 중지에 의한 반복)을 따라 무선 경적(96)이 울려야 하는 것을 요청하는 요구 신호가 전송된다(단계 912).
만일 무선 경적(96)의 울림이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에 요청된다면, 경적 구동 ECU(52)로부터의 울림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전송할 것이다(단계 914).
경적 구동 ECU(52)는, 매칭 ECU(50)를 통한 마스터 ECU(34)로부터의 무선 경적(96)의 울림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규칙에 따라 무선 경적(96)을 울리게 된다(단계 916).
이러한 무선 경적(96)의 울림에 따르면, 자동차 주변에 있는 사람과 자동차 안의 탑승자에게 윈도우가 자동으로 닫히거나 작동된다는 것을 통보할 수 있게 된다.
매칭 ECU(50)는, 경적 구동 ECU(52)에 대한 울림 요구가 전송되는 경우, 마스터 ECU(34)에 대해 무선 경적(96)의 울림이 요청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의 통보를 수행할 것이다(단계 918).
다음으로, 마스터 ECU(34)는 현재 개방된 윈도우를 닫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한다(단계 920).
만일 윈도우를 닫기 위한 조작이 마스터 ECU(34)로부터 본체 구동 ECU(40)에 요청된다면, 제2버스(54)를 통해 PW-ECU(60~66)으로부터의 조작을 요청하는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단계 922).
본체 구동 ECU(40)를 통한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PW-ECU(60~66)는 PW 모터(100~106)가 윈도우를 열게 하고, 한 상태로부터 폐쇄하여 닫힌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지령 신호가 공급 및 개방된다(단계 924).
PW-ECU(60~66)는, 열린 윈도우를 닫는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본체 구동 ECU(40)로 상기 처리 결과를 알릴 것이다(단계 926).
만일 PW-ECU(60~66)로부터의 응답 결과가, 본체 구동 ECU(40)가 PW-ECU(60~66)에 대해 윈도우의 폐쇄 요구에 주목한 후에 수신된다면, 상기 결과를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를 마스터 ECU(34)에 전송할 것이다(단계 928).
마스터 ECU(34)에는, 본체 구동 ECU(40)를 통한 PW-ECU(60~66)로부터의 조작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침입센서(90)의 취소 상태가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에 대해 취소되어야 하는 것을 요청하는 요구 신호가 전송된다(단계 930).
만일 침입센서(90)의 취소 해제가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에 요청된다면, 상기 침입센서(90)의 구동 중단을 취소할 것이고, 그것을 침입 검출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할 것이며, 침입센서(90)의 구동이 중단되어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마스터 ECU(34)에 동시에 전송될 것이다(단계 932).
다른 한편으로, 상술된 여하한의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마스터 ECU(34)가 판정한다면, 원격조작실행처리를 금지할 것이고, 이러한 이유로 상기 원격 윈도우 폐쇄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를 DCM(30)을 통해 센터(24)에 전송할 것이다.
윈도우를 닫기 위해 마스터 ECU(34)에 대해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한 후, 또한 닫힌 상태가 소정의 시간 내에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러한 이유로 원격윈도우폐쇄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된다.
다른 한편으로, 윈도우를 닫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가 전송된 후, 닫힌 상태가 소정의 시간 내에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윈도우폐쇄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된다.
이러한 관점 및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파워윈도우를 닫는 원격 조작이 본체 구동 ECU(40)를 통해, 필요하다면 슬레이브 ECU(매칭 ECU(50) 및 도어 ECU(42~48)에 대해 사람과 자동차키가 객실 내에 있지 않다는 전제조건)를 통해 마스터 ECU(34)로부터 요청되고, 구체적으로는 닫힌 모든 차량 도어 및 닫히지 않은 윈도우가 승인 요청이 수행되어, 점검이 가능한 경우에만 개시되는 원격 조작이 수행된다는 것이 충족된다.
(7) 도어 윈도우 개방
도 10은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차내장치가 차량 도어의 파워윈도우인 경우에 수행되는 하위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상기 원격 조작의 내용은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서의 도어 윈도우 열기(윈도우 닫기 취소)이다.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 윈도우를 여는 원격 조작은 상술된 (a) 내지 (d)에 도시된 조건들과 부가적으로는 상기 (6)에 도시된 원격 윈도우 폐쇄 조작이 수행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유효하게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만일 마스터 ECU(34)가 원격조작허용판정처리의 결과로서 상술된 모든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정한다면, 원격조작실행처리로서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에 대해 소정의 규칙(예컨대, 2초 울림과 2초 중지 반복)에 따라 무선 경적(96)이 울려야 하는 것을 먼저 요청하는 요구 신호가 전송된다(단계 1000).
만일 무선 경적(96)의 울림이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에 요청된다면,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경적 구동 ECU(52)로부터의 울림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단계 1002).
경적 구동 ECU(52)는, 매칭 ECU(50)를 통해 마스터 ECU(34)로부터 무선 경적(96)의 울림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규칙에 따라 무선 경적(96)을 울리게 된다(단계 1004).
이러한 무선 경적(96)의 울림에 따르면, 자동차 주변에 있는 사람과 자동차 안의 탑승자에게 차후에 윈도우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는 것을 통보할 수 있게 된다.
매칭 ECU(50)는, 경적 구동 ECU(52)에 대한 울림 요구가 전송되는 경우, 마 스터 ECU(34)에 대해 무선 경적(96)의 울림이 요청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의 통보를 수행할 것이다(단계 1006).
다음으로, 마스터 ECU(34)는 침입 검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매칭 ECU(50)에 대해 침입센서(90)가 취소되어야 하는 것을 요청하는 요구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전송한다(단계 1008).
만일 침입센서(90)의 취소가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에 요청된다면, 상기 침입센서(90)의 구동 중단을 실행할 것이고, 그것을 침입 검출이 불가능한 상태로 변경할 것이며, 상기 침입센서(90)의 구동이 중단되어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마스터 ECU(34)에 동시에 전송된다(단계 1010).
이러한 침입센서(90)의 취소는, 윈도우가 PW 모터(100~106)에 의해 개폐 구동을 실행할 때에 진동이 발생하여, 침입센서(90)가 잘못된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또한, 이 경우에 침입 검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침입센서(90)를 취소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 감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마스터 ECU(34)에는, 매칭 ECU(50)로부터 취소된 침입센서(90)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에 대해 소정의 규칙(예컨대, 상술된 단계 1000의 규칙과 상이한 0.5초 울림과 상이한 0.5초 중지에 의한 반복)을 따라 무선 경적(96)이 울려야 하는 것을 요청하는 요구 신호가 전송된다(단계 1012).
만일 무선 경적(96)의 울림이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에 요청된 다면, 경적 구동 ECU(52)로부터의 울림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전송할 것이다(단계 1014).
경적 구동 ECU(52)는, 매칭 ECU(50)를 통한 마스터 ECU(34)로부터의 무선 경적(96)의 울림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규칙에 따라 무선 경적(96)을 울리게 된다(단계 1016).
이러한 무선 경적(96)의 울림에 따르면, 자동차 주변에 있는 사람과 자동차 안의 탑승자에게 윈도우가 자동으로 개방 조작을 실시한다는 것을 통보할 수 있게 된다.
매칭 ECU(50)는, 경적 구동 ECU(52)에 대한 울림 요구가 전송되는 경우, 마스터 ECU(34)에 대해 무선 경적(96)의 울림이 요청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의 통보를 수행할 것이다(단계 1018).
다음으로, 마스터 ECU(34)는 닫힌 윈도우를 열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제1버스(38)를 통해 본체 구동 ECU(40)로 전송한다(단계 1020).
만일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윈도우 개방을 위한 조작이 본체 구동 ECU(40)에 요청된다면, 제2버스(54)를 통해 PW-ECU(60~66)으로부터의 조작을 요청하는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단계 1022).
PW-ECU(60~66)에는, 본체 구동 ECU(40)를 통한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조작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PW 모터(100~106) 상의 윈도우를 닫고, 한 상태로부터 열며, 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지령 신호가 공급되어, 닫힌 윈도우가 활짝 열리게 된다(단계 1024).
이러한 원격 윈도우 개방 조작은 직전에 수행된 원격 윈도우 폐쇄 조작을 취소하므로, 상기 윈도우의 개방은 원격 윈도우 폐쇄 조작이 수행되기 전에 윈도우가 위치한 개구에 대해 수행된다.
PW-ECU(60~66)는, 닫힌 윈도우를 여는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본체 구동 ECU(40)로 상기 처리 결과를 알릴 것이다(단계 1026).
만일 PW-ECU(60~66)로부터의 응답 결과가, PW-ECU(60~66)에 대해 윈도우의 해제 요청에 본체 구동 ECU(40)가 주목한 후에 수신된다면, 상기 결과를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를 마스터 ECU(34)에 전송할 것이다(단계 1028).
마스터 ECU(34)에는, 본체 구동 ECU(40)를 통한 PW-ECU(60~66)로부터의 조작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침입센서(90)의 취소 상태가 제1버스(38)를 통해 매칭 ECU(50)에 대해 취소되어야 하는 것을 요청하는 요구 신호가 전송된다(단계 1030).
만일 침입센서(90)의 취소 해제가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에 요청된다면, 상기 침입센서(90)의 구동 중단을 취소할 것이고, 그것을 침입 검출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할 것이며, 침입센서(90)의 구동이 중단되어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마스터 ECU(34)에 동시에 전송된다(단계 1032).
다른 한편으로, 상술된 여하한의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마스터 ECU(34)가 판정한다면, 마스터 ECU(34)는 원격조작실행처리를 금지할 것이고, 이러한 이유로 상기 원격 윈도우 개방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를 DCM(30)을 통해 센터(24)에 전송할 것이다.
윈도우를 열기 위해 마스터 ECU(34)에 대해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한 후, 또 한 개방이 소정의 시간 내에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러한 이유로 해서 원격 윈도우 개방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된다.
다른 한편으로, 윈도우를 열기 위한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한 후, 개방이 소정의 시간 내에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 윈도우 개방 조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원격 조작 완료의 통보가 DCM(30)을 통해 센터(24)로 전송된다.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파워윈도우를 여는 원격 조작이 요청되는 경우, 원격 윈도우 폐쇄 조작이 수행된 이후 소정의 시간 내에 해제 요청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원격 조작이 수행되고, 차량 도어의 파워윈도우가 활짝 개방되며, 닫힌 상태가 취소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원격조작제어시스템으로 설정된다.
만일 특정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차내장치(20)에 의해 센터(24)로부터 요청된다면, 마스터 ECU인 마스터 ECU(34)로부터 상기 제어ECU그룹(36)의 슬레이브 ECU에 대해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 점검되어야 하는 것이 요청될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요구를 응답한 전제조건의 점검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와 각각의 슬레이브 ECU가 마스터 ECU(34)로 전송하는 지를 점검하는 경우,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실제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차량이 요구되는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수행하지만, 상기 차량이 이를 위해 적절한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예컨대 사람이나 자동차키가 방향지시등의 소등이나 차량 도어의 잠금에 관한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상태로 객실 내에 있는 경우, 파워윈도우의 폐쇄에 관한 원격 조작이 요구되는 상태로 모든 윈도우들이 폐쇄되면, 상기 원격 조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이나 자동차키 중 어느 것도 객실 내에 남겨지지 않기 때문에,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실시할 때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원격 조작을 위한 쓸모없는 데이터가 마스터 ECU(34)와 각각의 슬레이브 ECU 사이의 버스 내로 이동하지 못하여, 원격 조작이 불필요한 상황에서 수행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ECU(34)는 원격 조작이 수행되는 차내장치에 대응하는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제어ECU그룹(36)의 슬레이브 ECU와 상기 차내장치의 조합을 특정하는 테이블을 구비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원격 조작 요구 신호가 센터(24)로부터 차내장치(20)로 전송되고, 적어도 원격 조작의 요구에 대한 지원인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의 내용 및 종류가 포함된다면, 차내장치(20)에서의 처리가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 및 그 원격 조작 요구 신호에 대한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점검을 위해 제공되는 슬레이브 ECU에 관한 정보를 포함 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에 따르면,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센터(24)로부터 차내장치(20)에 요구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들 가운데 한 가지는 (a) 차량이 센터(24)로부터 원격 조작 요구를 수신한 시간(구체적으로는 RS 수신 시간)과 상기 센터(24)가 이동 단말(22)로부터 원격 조작 요구를 수신한 시간(구체적으로는 센터 수신 시간)간의 차이가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기 RS 수신 시간이 상기 센터(24)와 차내장치(20)간의 무선송신선에서의 통신 지연으로 인하여 상기 센터 수신 시간으로부터 현저하게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만일 차내장치(20)의 원격 조작이 이러한 상황에서 수행된다면, 상기 차내장치는 차량 이용자가 이미 차량 내에 또는 주위에 있을 가능성이 있더라도 예상치 못한 타이밍으로 갑자기 구동되는데, 이는 원격 조작에 대한 차량의 안전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지연이 발생할 때에 차내장치(20)의 원격 조작이 금지되고, 통신 지연으로 인하여 예상치 못한 타이밍으로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어, 상기 차량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들 가운데 한 가지는 (c) 로컬 조작이 상기 센터(24)가 이동 단말(22)로부터 원격 조작 요구를 수신한 시간(구체적으로는 센터 수신 시간) 직후 또는 상기 이동 단말(22)이 가능하다면 상기 원격 조작 요구를 상기 센터(24)로 전송한 후에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동일한 차내장치에 대한 로컬 조작 및 원격 조작이 거의 동시에 충돌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안전성을 보장하거나 상기 차량을 탑승하는 사람의 관심에 선호도를 주기 위하여,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요청되는 원격 조작보다는 오히려 차량 부근에 있거나 상기 차량의 객실 내부에 있는 차량 이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로컬 조작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차내장치에 대한 로컬 조작 및 원격 조작이 거의 동일한 주기로 충돌되는 경우에 상기 원격 조작이 금지되어, 상기 원격 조작이 불필요하게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로컬 조작을 수행한 사람의 관심에 대한 선호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파워윈도우의 개폐의 원격 조작이 요청된다면, 침입센서(90)가 취소되어 검출이 불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고, 무선 경적(96)이 울려야 되는 원격 조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 및 경적 구동 ECU(52)로 요청된다. 즉, 원격 윈도우 개방 조작 또는 폐쇄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공회전 상태를 구동하기 위해 침입센서(90)를 취소하는 무선 경적(96) 및 상기 조작을 울리는 조작이 요청된다. 그리하여, 침입센서(90)가 상기 구동에 의해 취소되는 경우, 상기 조작 요구에 의한 공회전 상 태가 점검되고, 무선 경적(96) 울림이 점검되며, 상기 원격 윈도우 개방 조작 또는 폐쇄 조작이 수행된다.
이와 유사하게, 원격 조작을 수행하기 전에 차량 도어의 잠금에 대한 원격 조작이 요청된다면, 침입 검출이 가능한 상태로서 어떤 침입센서(90)가 설정되어야 하는 지가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로 요청될 것이다.
즉, 원격 잠금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침입센서(90)를 구동 상태로 설정하는 조작이 요청된다.
그리하여, 침입센서(90)가 상기 조작 요구에 의해 구동 상태로서 설정된 것을 점검하는 경우, 원격 잠금 조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윈도우 개방 조작, 폐쇄 조작 또는 원격 잠금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요청된 조작을 강제적으로 수행하는 것과 전제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요청된다.
이 경우, 요청된 조작이 강제적으로 수행되어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원격 조작이 금지된다.
그러므로, 원격 조작의 실행에서 비롯되어 침입센서(90)가 잘못된 검출을 실시하는 상기 실시예에 따라 수행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원격 조작은 무선 경적(96)이 울리지 않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차내장치 등의 원격 조작을 수행할 때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청구범위에서의 차내통신유닛은 상술된 실시예에서 DCM(30)에 대응하고, 청구범위에서의 차내전자제어유닛은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제어ECU그룹(36)의 각각의 슬레이브 ECU에 대응하며, 상기 청구범위에서의 각각의 예비점검요청유닛, 원격구동유닛, 타임아웃금지유닛, 충돌금지유닛 및 강제조작요청유닛은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마스터 ECU(34)에 각각 대응한다.
더욱이, 청구범위에서의 수신하는 단계는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DCM(30)에 의해 센터(24)로부터 원격 조작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 대응한다. 청구범위에서의 점검 요청 단계는, 예컨대 마스터 ECU(34)에 의하여 수행되는 도 4의 하위 처리순서에서의 단계 406의 처리 및 도 5의 하위 처리순서에서의 단계 500의 처리에 대응한다.
더욱이, 청구범위에서의 조작 요청 단계는, 예컨대 마스터 ECU(34)에 의하여 수행되는 도 7의 처리순서에서의 단계 700의 처리, 도 9의 하위 처리순서에서의 단계 900, 908, 912의 처리, 및 도 10의 하위 처리순서에서의 단계 1000, 1008, 1012의 처리에 대응한다. 청구범위에서의 원격 조작 단계는 마스터 ECU(34)에 의해 수행되는 도면에서의 단계 300, 600, 704, 800, 920, 1020의 처리에 대응한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 잠금해제는 원격 잠금을 취소하는 것이고, 원격 윈도우 개방은 원격 윈도우 폐쇄를 취소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들 원격 조작들은 소정의 전제조건이 충족될 때 정상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비상 점멸, 비상 소등, 차량 도어 잠금, 차량 도어 잠금해제, 파워윈도우 폐쇄, 및 파워윈도우 개방은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의 예로서 기술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의 다른 예로는, 차량 이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슬라이드 루프, 수트케이스, 백 도어 등의 개폐와, 에어컨디셔너 및 엔진의 턴 온 및 턴 오프 및 전조등, 안개등, 소형 램프, 실내등 등의 점등 및 소등을 들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 잠금을 비상 턴 오프하는 원격 요구 또는 윈도우 폐쇄가 실시되는 경우,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점검은 마스터 ECU(34)로부터 복수의 슬레이브 ECU(전체 수)로 요청되지만, 슬레이브 ECU의 시퀀스에 대해 마스터 ECU(34)에 의해 승인을 수집하여야 하는 슬레이브 ECU 또는 마스터 ECU(34)가 사전에 미리 구비한 테이블 상의 승인 요청을 수행하여야 하는 마스터 ECU(34)의 시퀀스를 특정하는 것으로도 적합하다.
예를 들면, 비상 턴 오프의 원격 요구가 실시되는 경우,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는 지의 여부를 본체 구동 ECU(40)에 문의한다.
전제조건이 다음에 충족될 때, 사람이 객실 내에 있는 지의 여부를 매칭 ECU(50)에 문의하고, 상기 전제조건이 다음에 충족될 때, 자동차키가 객실 내에 있는 지의 여부를 매칭 ECU(50)에 문의하는 것으로도 적합하다.
각각의 슬레이브 ECU가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승인 요청에 따라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요청되는 시간이 장시간인 상기 경우에 마스터 ECU(34)로부터의 승인 요청을 수행하여야 하는 슬레이브 ECU의 시퀀스에 대해 적합하다.
이는 마스터 ECU(34) 및 각각의 슬레이브 ECU가 하나인 제1버스(38)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마스터 ECU(34)가 복수의 슬레이브 ECU 가운데 하나마다 승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점검이 일시적으로 임의로 이루어지는 단 시간으로 승인 요청이 이루어진다면, 점검이 이루어지는 장시간으로부터의 응답인 모든 슬레이브 ECU에 대한 시간 지연들이 지체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점검을 위한 처리에서의 전제조건을 점검하여야 한다. 이는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를 가능한 많이 점검하는 경우,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윈도우 폐쇄의 원격 요구가 상술된 실시예에서 실시되는 경우에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승인 요청 신호가 마스터 ECU(34)에 링크된 매칭 ECU(50)로, 제1버스(38) 및 제2버스(54)에 연결된 PW-ECU(60~66)으로 본체 구동 ECU(40)를 통해 전송되고, 복수의 그리고 그 슬레이브 ECU와 접속하는 복수의 버스들과 전제조건을 점검하여야 하는 슬레이브 ECU가 있는 경우, 마스터 ECU(34)로부터 매칭 ECU(50)로의 승인 요청 신호의 전송 및 본체 구동 ECU(40)로부터 각각의 PW-ECU(60~66)로의 승인 요청 신호의 전송을 병렬로 배치하여, 그들을 수행하는 것으로도 적합하다.
승인 요청 신호를 마스터 ECU(34), 매칭 ECU(50) 및 하나의 PW-ECU(60~66)마다 순서대로 전송하는 것이 불필요하며, 상기 구성예에 따르면, 모든 전제조건들이 충족되는 지를 점검할 때의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레이브 ECU가 접속되는 복수의 버스가 있는 경우에는, 버스들 가운데 하나에 연결된 슬레이브 ECU로부터 순차적으로 승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도 적합하다.
모든 슬레이브 ECU에서의 승인 요청을 수행하여야 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을 특정하는 식별자가 마스터 ECU(34)로부터 각각의 슬레이브 ECU로 전송되는 전제조건이 상술된 실시예에서 충족되는 지의 점검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신호에 주어지지만, 전제조건을 점검하여야 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ECU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승인 요청 신호에 그들의 모든 슬레이브 ECU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적합하다.
슬레이브 ECU는 단지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지를 점검할 필요가 없거나 확인 처리(응답 신호의 전송이 포함됨)를 수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상기 구성예에 따라 확인 처리를 수행하는 점검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전제조건의 확인 처리의 효율성의 증가 및 버스 상의 통신 트래픽의 집중 방지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검하여야 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ECU는 다중 통신인 경우 동시에 확인 처리를 개시할 수 있으므로, 전제조건의 확인 처리의 효율성의 증가 및 버스 상의 통신 트래픽의 집중 방지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인 요청 신호가 마스터 ECU(34)로부터 각각의 슬레이브 ECU로 전송된 후, 각각의 슬레이브 ECU로부터의 모든 응답 신호들이 마스터 ECU(34)로 전송되지만, 버스 상의 통신 트래픽이 집중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점검되고 있는 슬레이브 ECU의 시퀀스는 사전에 미리 제공된다. 각각의 슬레이브 ECU는, 전제조건이 충족된 것을 점검할 때에 상기 응답 결과를 하류 슬레이브 ECU에 통보한다. 상기 하류 슬레이브 ECU는, 그 자체 전제조건이 충족되어 상기 전제조건이 상류 슬레이브 ECU로부터 충족된 것을 나타내는 승인 신 호가 수신된 경우, 그 자체 전제조건이 충족된 것을 나타내는 승인 신호를 다음 슬레이브 ECU로 전송한다.
그리하여, 하류 슬레이브 ECU가 존재하지 않는 단부의 슬레이브 ECU는, 그 자체 전제조건이 충족되어 상기 전제조건이 상류 슬레이브 ECU로부터 충족된 취지의 승인이 수신되는 경우, 그 자체 전제조건이 충족된 취지의 승인을 마스터 ECU(34)로 전송한다.
상기 구성예에 따르면, 전제조건의 확인 처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상기 버스 상의 통신 트래픽의 집중 방지가 가능해지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슬레이브 ECU로부터 전송되는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집중될 수 있어 소정 시간에 마스터 ECU(34)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센터(24)와 통신하는 DCM(30) 및 차내장치의 원격 조작이 실시되도록 각각의 슬레이브 ECU에 조작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ECU(34)는 별도의 유닛으로 사용된다. 대안적으로는, DCM(30)과 마스터 ECU(34)가 하나로 합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마스터 ECU(34)와 매칭 ECU(50)가 별도의 유닛으로 사용된다. 대안적으로는, 마스터 ECU(34)와 매칭 ECU(50)가 하나로 합체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원격조작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요청하기 위해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차내통신유닛;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되면, 해당 차량에서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을 요청하는 예비점검요청유닛; 및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된 후,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에 의한 점검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는 원격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제조건은, 상기 센터가, 해당 차량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동요청신호의 송신의 요구를 수신한 시각과, 상기 차내통신유닛이, 센터로부터 상기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한 시각과의 차이가 소정시간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이라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구동유닛은,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에 의한 점검이 요청된 후,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보가 수신될 때,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에 의한 점검이 요청되는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은, 차내장치의 조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아닌 차내전자제어유닛으로서, 차내장치의 조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과는 상이한 차내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은,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소정의 차내장치의 각각의 조작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차내전자제어유닛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구동유닛은,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제공되는 차내전자제어유닛과 원격으로 제어되는 소정의 차내장치의 조합을 특정하는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제공되는 복수의 차내전자제어유닛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은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들에 의한 점검을 수행하는 시퀀스 또 는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들로부터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는 통보들을 수집하는 시퀀스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구동유닛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은,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들의 시퀀스로 상기 복수의 차내전자제어유닛들에 점검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내전자제어유닛들이 복수의 버스에 연결된 경우,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은 상기 각각의 버스에 병렬로 연결된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들에 점검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내전자제어유닛들이 제1버스 또는 제2버스에 연결된 경우, 상 기 예비점검요청유닛은 상기 제1버스 및 상기 제2버스 중 어느 하나에 보다 일찍 연결된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들에 점검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내전자제어유닛들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여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점검요청신호는, 점검을 위해 제공되는 모든 차내전자제어유닛들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내전자제어유닛 각각은,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에 대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어 다른 차내전자제어유닛들이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에 대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보를 수신하기 위해 제공되었다는 것을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점검요청신호에 응답하여 판정되는 경우, 한 차내전자제어유닛이 상기 통보를 각각의 다른 차내전자제어유닛들에 각각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차내전자제어유닛들 가운데 어느 것도 상기 통보를 수신하도록 제공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차내전자제어유닛이 상기 통보를 상기 원격구동유닛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시간과 상기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시간간의 차이가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예비점검요청유닛의 점검 요청을 금지하고, 상기 원격구동유닛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는 것을 금지하는 타임아웃금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내통신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의 내용이 차량 운전자에 의해 차량에서 직접 수행되는 차량 로컬 조작의 내용과 충돌되는 경우, 상기 원격구동유닛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는 것을 금지하는 충돌금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15. 센터로부터 송신되는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요청하는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센터로부터의 상기 구동요청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해당 차량에서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성립하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상기 원격조작되는 차내장치에 대응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에 대하여 요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센터로부터의 상기 구동요청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2 단계에서의 상기 확인의 요구에 의하여 상기 전제조건이 성립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내장치를 원격조작시키는 제3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원격조작되는 상기 차내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차내전자제어유닛에 대하여, 상기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차내전자제어유닛부터 순서대로 상기 확인을 요구하는 확인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방법.
  16. 원격조작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요청하기 위해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되면, 해당 차량에서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후, 상기 요청하는 단계에서의 점검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되,
    상기 전제조건은, 상기 센터가, 해당 차량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동요청신호의 송신의 요구를 수신한 시각과, 차내통신유닛이 센터로부터 상기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한 시각과의 차이가 소정시간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이라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방법.
  17. 원격조작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요청하기 위해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되면,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차내전자제어유닛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센터로부터의 구동요청신호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후, 상기 요청하는 단계에서의 조작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로서, 상기 조작이 실시되어 상기 전제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될 때, 상기 차내장치의 원격조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제조건은, 상기 해당 차량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않고, 차량 실내에 차량 키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조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내장치의 조작은, 비상등의 소등, 도어의 잠금 또는 파워윈도우의 페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제어장치.
KR20077004025A 2004-09-22 2005-09-14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 KR100849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5198A JP4239941B2 (ja) 2004-09-22 2004-09-22 遠隔操作制御装置および遠隔操作制御方法
JPJP-P-2004-00275198 2004-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158A KR20070038158A (ko) 2007-04-09
KR100849692B1 true KR100849692B1 (ko) 2008-07-31

Family

ID=3538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04025A KR100849692B1 (ko) 2004-09-22 2005-09-14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67578B2 (ko)
EP (1) EP1791731B1 (ko)
JP (1) JP4239941B2 (ko)
KR (1) KR100849692B1 (ko)
CN (1) CN100548754C (ko)
DE (1) DE602005012631D1 (ko)
WO (1) WO20060333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978B1 (ko) * 2016-07-05 2018-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용 제어 시스템
KR101814976B1 (ko) * 2016-07-05 2018-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제어 시스템, 차량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7884B2 (ja) 2005-01-11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装置を備える車両
JP4389879B2 (ja) 2005-07-07 2009-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モート操作システム、リモート操作装置及びサービスセンタ
JP4797867B2 (ja) * 2006-07-31 2011-10-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御システムのメッセージ管理装置及び車両用制御システム
US7772962B2 (en) * 2006-08-02 2010-08-10 Maciej Labowicz Multiple lock security system for cargo trailers
JP4853196B2 (ja) * 2006-09-19 2012-01-11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システム
US7363129B1 (en) * 2007-01-05 2008-04-22 Moon Valley Softwar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at interfaces with an automobile engine control unit
CN101470440B (zh) * 2007-12-29 2013-07-17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车辆遥控起动系统及方法
CN101727688B (zh) * 2008-10-31 2014-06-04 卡特彼勒公司 一种远程控制机器的系统和方法
JP5322773B2 (ja) * 2009-05-25 2013-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8390299B2 (en) * 2009-11-24 2013-03-05 Fluke Corporation Earth ground tester with remote control
US8433456B2 (en) * 2010-02-04 2013-04-30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of a vehicle
WO2012104964A1 (ja) * 2011-01-31 201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DE102011010922B4 (de) * 2011-02-10 2012-08-30 Novar Gmbh Gefahrenmeldeanlage
CN102541005B (zh) * 2011-12-30 2017-07-18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汽车远程控制装置和方法
US8768565B2 (en) 2012-05-23 2014-07-01 Enterprise Holdings, Inc.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0515489B2 (en) 2012-05-23 2019-12-24 Enterprise Holdings, Inc.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3770747B (zh) * 2012-10-26 2016-01-1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汽车的方法
JP6056424B2 (ja) * 2012-11-29 2017-01-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プログラム更新装置
WO2014097381A1 (ja) * 2012-12-18 2014-06-26 ボルボ ラストバグナー アクチエボラグ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CN103914059B (zh) * 2013-01-09 2017-02-01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远程总线诊断方法及其系统
DE102013201169B4 (de) 2013-01-24 2022-0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rnüberwachungs- und/oder Fernsteuerungssystem für Kraftfahrzeuge
DE202013100347U1 (de) 2013-01-24 2013-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darfsweise aktivierbares Fernsteuerungssystem für Kraftfahrzeuge
US9499128B2 (en) 2013-03-14 2016-11-22 The Crawford Group, Inc. Mobile device-enhanced user selection of specific rental vehicles for a rental vehicle reservation
JP2014216942A (ja) * 2013-04-26 2014-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プログラム
CN106576063B (zh) * 2014-08-08 2020-08-04 捷温有限责任公司 总线系统和总线系统控制方法
US10118592B2 (en) * 2015-08-04 2018-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agnostic port protection to body control module
DE102016217855B4 (de) * 2016-09-19 2018-12-20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Überwachungssystems eines Kraftfahrzeugs sowie ein Überwach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GB2559171B (en) * 2017-01-30 2020-06-03 Jaguar Land Rover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vehicle
US10358116B1 (en) * 2018-02-22 2019-07-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curity
CN110557326B (zh) * 2018-05-30 2021-10-08 陕西重型汽车有限公司 一种车载智能远程网关
CN111199597A (zh) * 2018-10-31 2020-05-26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及其娱乐系统的控制方法和系统、车辆钥匙
CN109213131A (zh) * 2018-11-22 2019-01-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故障诊断冲突的协调方法
JP7339332B2 (ja) * 2019-03-29 2023-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712861A (zh) * 2019-05-24 2020-09-2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遥控设备的控制方法和遥控设备
CN114519928B (zh) * 2020-09-25 2023-08-15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控制车辆的方法、装置、车辆、电子设备和介质
JP2022123671A (ja) * 2021-02-12 2022-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7428289B1 (ja) 2023-06-16 2024-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隔制御無効化装置、車両および遠隔制御無効化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6053A1 (en) * 2000-03-20 2001-09-26 Yuji Sumida Extendable stick
JP2003296860A (ja) 2002-04-01 2003-10-17 Nec Corp 遠隔操作/監視システム
DE10225787A1 (de) 2002-06-10 2003-12-1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zum Senden und/oder zum Empfang von Informationen in Verbindung mit einem Fahrzeug zum Steuern einer Funk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9479A (ja) 1985-11-28 1987-06-1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自動車ドアロツク制御装置
JP3377267B2 (ja) * 1993-12-17 2003-02-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自動車用エンジン始動装置
US6664888B1 (en) * 1997-12-16 2003-12-16 Vetronix Telemat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disabling certain functions of an automobile
US6130622A (en) * 1998-08-10 2000-10-10 Trw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venience function control having a rekey security feature
JP2001253320A (ja) * 2000-03-13 2001-09-18 Honda Motor Co Ltd 車両監視システム
US20020140545A1 (en) * 2000-08-18 2002-10-03 Peter Nietupski Integrated RKE and telematics system
US20020113686A1 (en) * 2001-02-22 2002-08-22 Ludwig Laboratories, Inc. Transceiver and related method
JP2003013645A (ja) 2001-07-03 2003-01-15 Suzuki Motor Corp 車両ロック制御装置、近接通信器、総合管理装置、車両ロックシステム、車両ロック制御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3077092A (ja) * 2001-09-03 2003-03-14 Hitachi Ltd 遠隔制御装置、車載装置および遠隔制御方法
US6816090B2 (en) * 2002-02-11 2004-11-09 Ayantra, Inc. Mobile asset security and monitoring system
JP4162978B2 (ja) 2002-11-29 2008-10-08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地図情報更新システム、地図更新情報提供装置および地図情報更新装置
FR2848951B1 (fr) * 2002-12-18 2006-09-08 Eileo Systeme et procede anti-demarrage pour vehicule, et application de ce systeme pour la gestion d'une flotte de vehicules
JP4507884B2 (ja) * 2005-01-11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装置を備える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6053A1 (en) * 2000-03-20 2001-09-26 Yuji Sumida Extendable stick
JP2003296860A (ja) 2002-04-01 2003-10-17 Nec Corp 遠隔操作/監視システム
DE10225787A1 (de) 2002-06-10 2003-12-1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zum Senden und/oder zum Empfang von Informationen in Verbindung mit einem Fahrzeug zum Steuern einer Funk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978B1 (ko) * 2016-07-05 2018-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용 제어 시스템
KR101814976B1 (ko) * 2016-07-05 2018-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제어 시스템, 차량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3332A1 (en) 2006-03-30
CN101014488A (zh) 2007-08-08
US7667578B2 (en) 2010-02-23
EP1791731A1 (en) 2007-06-06
KR20070038158A (ko) 2007-04-09
EP1791731B1 (en) 2009-02-04
DE602005012631D1 (de) 2009-03-19
CN100548754C (zh) 2009-10-14
JP4239941B2 (ja) 2009-03-18
US20080048844A1 (en) 2008-02-28
JP2006092130A (ja)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692B1 (ko)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
US8237544B2 (e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214199B2 (ja) 車両のドアアンロック装置
KR100766188B1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US9764699B2 (en) Position-based performance of a vehicle function in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4951064B2 (ja) アクセス装置の作動方法
JP413664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4556776B2 (ja) 車載制御装置
JP200309711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10231415A (ja) 車両用監視装置
JP200733273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GB2515005A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2006192967A (ja) 遠隔操作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載遠隔操作制御装置
JP2016142065A (ja) 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23620A (ja) 車両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CN107109862B (zh) 车辆用控制系统
JP4591189B2 (ja) 遠隔操作装置
JP2004211539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5228724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4428146B2 (ja) 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JP6899593B2 (ja) 装置及びプログラム等
JP2008050845A (ja) 車輌用施解錠制御装置
JP2021156159A (ja) 装置及びプログラム等
JP201022968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システム
JPH0976880A (ja) 車両用多重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警報装置及び盗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