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364B1 -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 Google Patents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364B1
KR100843364B1 KR1020020009201A KR20020009201A KR100843364B1 KR 100843364 B1 KR100843364 B1 KR 100843364B1 KR 1020020009201 A KR1020020009201 A KR 1020020009201A KR 20020009201 A KR20020009201 A KR 20020009201A KR 100843364 B1 KR100843364 B1 KR 10084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cam
thread
upper thread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133A (ko
Inventor
이시이카즈아키
카스가토시아키
오가타타카히로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05B3/08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for buttonholes with eyelet en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실절단 장치의 구동원을 다른 기구와 독립시켜 다양한 봉제방법이나 디자인으로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윗실을 절단하여 고정하는 윗실절단 가위(80)를 갖는 윗실절단장치(70)와, 밑실을 절단하여 고정하는 밑실절단 가위(52)를 갖는 밑실절단장치(50)와, 윗실 및 밑실의 고정해제를 행하는 솔레노이드(76)(66)와, 보턴구멍 사뜨기의 형상과 봉제시작위치 및 봉제종료위치를 입력설정하는 조작패널(100)과, 조작패널(1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113)과, 이 데이터를 읽어내어 Y이송 구동수단(13) 및 바늘진동기구에 의해 재봉틀 바늘(9)과 천누름 수단을 상대이동시키고, 봉제시작위치로부터 봉제종료위치까지 봉제한 후 윗실절단장치(70)와 밑실절단장치(50)를 작동시켜 윗실 및 밑실을 절단·고정 및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CPU(111)를 구비하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1)이다.

Description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A SEWING MACHINE FOR OVERLOCKING BOTTON HO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로서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의 천이송 기구와 바늘의 승강기구를 주로 나타내는 투시도.
도 3은 도 1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의 바늘의 승강기구와 바늘진동기구를 주로 나타내는 투시도.
도 4는 윗실절단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윗실절단장치 및 밑실절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윗실절단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윗실절단장치 및 밑실절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밑실절단장치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9는 도 1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의 제어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0은 조작패널의 정면도.
도11은 조작패널로부터 입력가능한 파라메터를 도시하는 데이터 테이블이다.
도12는 도11의 각 데이터 항목과, 보턴구멍 사뜨기와의 대응을 설명하는 도면.
도13은 봉제시작위치와 봉제종료위치를 다른 위치에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는 대형의 천누름부를 사용할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2개 연속봉제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b)는 천누름부에 대해 임의의 설정위치에서 봉제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도15는 천누름부에 대해 임의의 설정위치에서 봉제하는 것의 메리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6은 회전수에 따라 윗실 및 밑실의 고정을 해제하는 타이밍을 보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이종패턴 연속봉제를 위한 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보턴구멍 사뜨기의 제너럴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19는 도 18안의 봉제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도20은 봉제개시시의 윗실·밑실의 해방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21은 이종패턴 연속봉제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22는 제 2실시의 형태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서의 윗실절단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3은 도22의 윗실절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24는 제 2실시예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서의 밑실절단장치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25는 도24의 밑실절단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5: 재봉틀 모터
6: 상축(주축) 9: 바늘
12: 북 13: Y이송 구동수단
15,15': 천누름부 50,230: 밑실절단장치(밑실절단수단)
52: 밑실가위 66: 솔레노이드(작동수단)
70,200: 윗실절단장치(윗실절단수단) 76: 솔레노이드(작동수단)
80: 윗실가위 100: 조작패널
110: 제어회로 111: CPU(제어수단)
112: ROM 113: RAM(기억수단)
122: 바늘위 위치센서 123: TG발생기(검출수단)
본 발명은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피봉제물에 대해 보턴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주위에 사뜨기를 실시하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서는 천누름등에 의해 고정한 피봉제물을 천이송 기구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보내면서 상하실을 얽히게 하여 솔기를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재봉틀에는 솔기를 형성한 후 가위에 의해 윗실 및 밑실 각각을 절단하는 실절단 장치가 배치된다. 종래 상하의 실절단장치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천누름부를 상승시키는 기구와 연동하여 가위에 의해 실을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절단 후는 그 대로 윗실 및 밑실을 가위로 끼운 상태로 고정하고 다음의 봉제개시시에 천이송기구에 기계적으로 연동시켜 일정한 타이밍으로 가위를 벌림에 따라 자연히 솔기 안에 실단이 말려들어가도록 구성되었다. 즉 종래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서는 천이송 기구의 천이송판이 봉제개시후에 일정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데 연동하여 실절단 장치에 의한 상하실의 고정을 해방한다.
상기와 같은 재봉틀에 있어서 소정의 봉제시작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봉제를 종료한 경우, 천이송판이나 천이송기구는 기계적으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다음의 봉제를 개시하게 되면 가위의 해방타이밍이 어긋나 천에 남는 실단 길이를 제어할 수 없고, 실단의 솔기 안에 깔끔하게 감아 넣어을 수 없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예를들면 윗실 및 밑실을 해방가능한 천이송 위치에서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하면 천누름부 상승시점에서 윗실 및 밑실을 해방하기 때문에 실고정불량이 발생하고, 이런 종류의 재봉틀의 특징으로서 실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실단이 바늘로부터 빠져 사뜨기를 시작할 수 없어 다음 사이클의 봉제가 불가능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와같은 이유에 의해 상기 종래의 재봉틀에 있어서는 봉제종료위치를 봉제시작위치에 일치해야 하므로 문제가 있었다.
또 최근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봉제형상패턴의 바리에이션을 많이 갖고 있지만 상기와 같이 봉제시작의 실 처리를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봉제시작위치까지 꿰매야 하므로 원하는 디자인으로 봉제한 후 다시 봉제시작위치까지 봉제탈락을 해야 하므로 봉제품의 솔기가 보기 좋지 않게 되어 상품가치를 저하시킬 염려가 있음과 동시에 사이클타임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봉제대상물에 따라서는 사뜨기형성 전에 보턴구멍을 형성하는(선메스) 쪽이 봉제가 깨끗하게 완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 보턴구멍을 형성하는 천절단 메스의 메스길이보다도 형성해야 할 보턴구멍 쪽이 길 때 천이송 기구에 의해 천을 보내면서 여러번의 천절단 동작을 행하는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재봉틀에 의해 선메스에 의한 봉제를 행할 경우에는 천절단을 위해 천이 보내지면 가위가 벌어져 실을 떨어지게 하므로 천고정이 불가능하여 다음의 봉제개시시에 솔기가 형성되지 않게 되었다. 이 때문에 선메스 쪽이 바람직한 봉제시에 있어서도 반드시 사뜨기 후에 보턴구멍을 형성해야 했었다.
또한 천누름의 상승과 실절단 동작이 연동함으로써 봉제물의 디자인 등의 상황에 따라 천누름부로 옷감을 누른 상태로 실절단 동작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어도 그것은 불가능하였다.
이와같이 종래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서는 실절단 장치를 다른 기구에 연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동작시기 등에 제약이 많고, 봉제방법이나 디자인의 다양성에 충분히 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실절단 장치를 다른 기구와는 독립시켜 종래보다도 다양한 봉제방법이나 디자인으로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예를들면 도 1 ~ 도 21과 같이,
윗실이 지나고, 주축(상축 (6))의 회전에 의해 피봉제물에 대해 상하이동하는 바늘(9)과, 피봉제물의 아래쪽에 있어 밑실을 공급하는 북(12)과, 피봉제물을 누르는 천누름 수단(천누름부(15), 천이송판 (14))과, 보턴구멍의 주위에 사뜨기 솔기를 형성하도록 바늘과 천누름 수단중 한가지 이상을 이동시키는('상대적 이동'이라고도 함) 이동수단(Y이송구동수단(13) 및 바늘진동기구)과, 윗실을 절단하고 절단후의 윗실을 고정하는 윗실가위(80)를 갖는 윗실절단수단(윗실절단장치(70))과, 밑실을 절단하고 절단후의 밑실을 고정하는 밑실가위(52)를 갖는 밑실절단수단(밑실절단장치(50))을 구비한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윗실가위에 의한 윗실고정의 해방과, 밑실가위에 의한 밑실고정의 해방의 각각을 행하기 위한 작동수단(솔레노이드(76)(66))과,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로서 보턴구멍 사뜨기의 형상과 봉제시작 위치 및 봉제종료 위치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조작패널(100))과,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RAM(113))과, 기억수단에 기억된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를 읽어내어 이동수단에 의해 바늘과 천누름 수단을 상대이동시키고 봉제시작 위치로부터 봉제종료 위치까지 봉제한 후 윗실절단수단과 밑실절단수단을 작동시켜 윗실 및 밑실 각각을 절단, 고정 및 해방시키는 제어수단(CPU(1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이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윗실가위에 의한 윗실고정의 해방과, 밑실가위에 의한 밑실고정의 해방의 각각을 행하기 위한 작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윗실·밑실의 해방은 독립한 구동원에 의해 동작하여 종래와 같이 천이송 기구에 의한 제약이 없어진다. 따라서 청구항 1과 같이 입력수단을 통해 봉제시작위치 및 봉제종료위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여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봉제시작위치와 봉제종료위치를 다른 위치가 되는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봉제종료위치를 봉제시작위치에 일치시키기 위한 쓸데없는 봉제탈락은 없어지고, 그 만큼 외관이 좋아져 봉제품질이 향상하고 사이클 타임도 단축가능하다.
또 이와같이 실 해방의 구동원과 천이송장치를 따로 했기 때문에 봉제전에 천을 보내면서 보턴구멍을 형성하는 선메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솔기의 디자인이나 봉제방법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 어서,
입력수단을 통해 윗실가위 및 밑실가위에 의한 상하실 각각의 해방타이밍을 각각 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어수단은 설정된 타이밍을 기초로 작동수단을 구동하여 봉제개시직후에 윗실 및 밑실 각각을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입력수단으로 입력한 타이밍으로 윗실·밑실의 각각에 대해 해방되는 것으로부터 봉제조건, 예를들면 옷감이나 실의 종류, 보턴구멍 사뜨기의 길이나 폭 등에 따라 솔기 안에 실단이 무리없이 깨끗하게 가려지도록 사뜨기를 형성할 수 있어 보다 더 봉제완성이 좋아진다.
여기서 타이밍의 구체적인 입력값으로서는 바늘 수나 시간, 또는 천이송의 거리 등을 들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주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TG 발생기(123))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주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며,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타이밍을 적절히 변경제어하여 윗실 및 밑실을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봉제시에는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주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고,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타이밍을 적절히 변경제어하여 윗실·밑실을 해방하는 것으로 실제의 봉제상황에 따른 시기에 실을 해방하므로 한층 봉제완성이 좋다.
청구항 1 ~ 3과 같이 봉제시작위치 및 봉제종료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천누름부의 어디에 솔기를 형성할 지도 설정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천누름 수단은 피봉제물에 형성하는 보턴구멍 사뜨기를 둘러싸도록 피봉제물을 누르는 천누름부(15,15')를 구비하고, 입력수단을 통해 천누름부에 대한 보턴구멍 사뜨기의 위치를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천누름부의 크기나, 옷감(피봉제물)의 상태 등에 의해 천누름에 대한 봉제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봉제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보턴구멍 사뜨기 솔기를 형성하는 옆에 옷감의 단부나 절단선이 있어 그것들을 피해 천누름에 의해 천을 누르고자 할 경우에 유용하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 3에 기재한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천누름 수단은 피봉제물에 형성하는 보턴구멍 사뜨기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봉제개소를 둘러싸도록 피봉제물을 누르는 천누름부(15')를 구비하고, 입력수단을 통해 여러개소의 개수를 여러개 설정가능함과 동시에 여러개의 봉제개소의 각 봉제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설정가능하며, 제어수단은 천누름부를 상승시키지 않고 이동수단에 의해 바늘과 천누름 수단을 상대이동시키면서 여러개의 봉제개소를 연속하여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여러개의 봉제개소를 둘러싸는 크기의 천누름부를 이용하여 천누름부를 상승시키지 않고 여러개의 봉제개소를 연속하여 봉 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클 타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각 봉제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봉제위치 그 자체라도 좋으며 최초의 솔기에 대해서는 봉제위치 그 자체를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대해서는 최초의 솔기에 대한 거리나 서로 인접하는 솔기끼리의 간격이라도 좋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보턴구멍 사뜨기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봉제개소」라 함은 일반적인 셔츠나 블라우스의 앞단추와 같이 완전히 같은 보턴구멍 사뜨기를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지만 한 종류의 보턴구멍 사뜨기 솔기와 자수모양의 조합이라도 좋다.
또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한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통해 여러개의 다른 보턴구멍 사뜨기 솔기의 패턴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종패턴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고, 이종패턴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를 기초로 여러종류의 보턴구멍 사뜨기를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다른 패턴의 보턴구멍 사뜨기를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이종패턴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는 여러 종류의 보턴구멍 사뜨기 솔기의 데이터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보턴구멍 사뜨기 봉제의 패턴에 덧붙여 보턴구멍 사뜨기와는 별도의 봉제패턴, 예를들면 그림이나 문자의 자수패턴 등을 포함해도 좋다.
다음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일예로서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1)은 베드부(2)와 종동부(3)와 암부(4)로 이루어진다. 이 재봉틀(1)은 승강동작과 좌우로의 바늘진동동작을 행하는 바늘(9), 천(피봉제물)을 누르는 천누름부(15), 하측에서 천을 고정함과 동시에 천이송 방향(Y방향)으로 전후이동하는 천이송판(14), 천누름부(15)의 상측에서 윗실을 절단하는 윗실절단장치(70)(도 4), 바늘판(55) 밑에서 밑실을 절단하는 밑실절단장치(50)(도 8), 천을 절단하여 보턴구멍을 형성하는 천절단 메스(16), 각 설정데이터 등의 입력을 행하는 입력수단으로서의 조작패널(100)(도 10) 및 이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1)을 제어하는 제어회로(110)(도 9)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천누름 수단을 구성하는 천누름부(15) 및 천이송판(14)은 양자에서 천을 끼워 고정함과 동시에 Y이송 구동수단(13)에 의해 구동되어 전후방향(Y 방향)으로 천을 보내도록 되어있다. 도 2와 같이 천누름부(15)는 천이송 부재(23)에 연결된 연결암(24)에 고정되는 한편 천이송판(14)은 천이송 부재(23)에 직접 연결된다. 이 천이송 부재(23)는 랙(22a)을 갖는 이송축(22)에 고정되고 Y이송 펄스모터(20)가 회전하면 피니온(20a)을 통해 구동되어 천누름부(15)와 천이송판(14)을 전후이동시킨다. 즉 Y이송 펄스모터(20), 이송축(22), 천이송 부재(23), 연결암(24)에 의해 Y이송 구동수단(13)이 구성된다.
또한 연결암(24)의 선단에는 도 4와 같이 후술하는 폐쇄판(25)이 고정되고, 천누름부(15)는 다시 그 앞쪽에 고정된다. 천누름부(15)는 누름봉(27) 등을 통해 밀어올리는 솔레노이드(127)(도 9)에 연결되어 이 솔레노이드(127)가 ON이 되면 상측을 향해 옷감을 해방하는 상태가 되고, 솔레노이드(127)가 OFF가 되면 하측을 향해 옷감을 협지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로 구동되는 천누름부(15)의 구성에 대해서는 주지하므로 상세는 생략한다.
바늘(9)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는 도 2와 도 3과 같이 상축(주축)(6), 재봉틀 모터(5), 크랭크캠(7)등으로 구성되고, 재봉틀 모터(5)의 회전구동을 크랭크캠(7)에 의해 승강운동으로 변환하여 바늘봉(8)에 전달하는 것으로 바늘(9)을 승강운동시킨다. 상축(6)은 산차(10a)(10b)를 상하단에 배치한 연결축(10)을 통해 하축(11)과 링크하고 있고, 이 하축(11)에 연결된 북(12)과 연동하도록 되어있다.
바늘(9)을 좌우로 흔드는 바늘진동기구는 어느 기선을 원점으로 하여 소정의 진동폭으로 바늘(9)을 흔드는 주 바늘진동기구와, 이 바늘진동폭을 변경하는 진동폭 변경기구 및 상기 기선을 좌우방향으로 변경하는 기선변경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도 3과 같이 주 바늘진동기구는 바늘봉 요동대(18), 바늘진동팔(49), 연결축(48), 연결레버(47), 바늘진동 캠레버(46), 삼각캠(35), 기어(42a)(42b) 등으로 구성되고 상축(6)의 회전운동을 삼각캠(35)에 전달하는 것으로 바늘진동 캠레버(46)를 소정의 진동폭으로 요동시키고 이 요동을 전달하여 바늘봉 요동대(18)를 지점(18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바늘(9)을 좌우방향으로 흔들도록 되어있다. 주 바늘진동기구에서는 바늘(9)이 1회째에 내리는 타이밍으로 바늘봉(8)을 기 선상으로 가져 가고, 2회째에 내리는 타이밍으로 바늘봉(8)을 기선에서 소정의 진동폭 량의 위치로 가져가도록 되어있다.
진동폭 변경기구는 바늘진동 이송펄스모터(41)의 회전에 의해 링크(36)(37), 연결링크(45)를 통해 바늘진동 캠레버(46)의 진동폭 량을 변경하는 것으로 바늘(9)의 진동폭 량을 변경한다.
기선변경기구는 기선 이송펄스모터(40)의 회전에 의해 기선변경용 레버(43)를 지점(43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고 기선용 레버(44)의 지점(44a)의 위치를 변경한다. 지점(44a)은 바늘진동 캠레버(46)의 요동운동의 원점을 결정하는 것으로 지점(44a)의 위치가 바뀌는 것으로 연결링크(45)를 통해 바늘진동 캠레버(46)의 요동운동의 원점이 바뀌고 바늘(9)의 바늘진동의 기선위치를 변경한다.
또한 이상의 바늘진동기구와, 상기 Y이송 구동수단(13)에 의해 본 발명의 이동수단이 구성된다.
바늘(9)의 근방에는 윗실절단장치(윗실절단수단)(70)과 밑실절단장치(밑실절단수단)(50)가 배치된다.
도4 ~ 도7을 기초로 윗실절단장치(70)에 대해 설명한다. 윗실절단장치(70)는 윗실가위(80)를 구비하고, 이 가위(80)를 동작시켜 윗실의 절단, 고정, 해방을 하는 것이다. 도 4, 도 5와 같이 연결암(24)의 선단부(24a)에는 폐쇄판(25)이 고정된다.
윗실절단장치(70)는 도 5와 같이 윗실절단동작을 행하는 윗실절단부(71)와, 윗실절단부(71)를 구동하는 윗실절단 구동부(72)로 이루어진다.
윗실절단부(71)는 개폐가 자유로운 윗실가위(80)와, 윗실가위(80)를 지지하는 지지팔(81)과, 지지팔(81)이 선단부에 부착된 축부(82)를 구비한다. 축부(82)는 암부(4) 하부에 고정된 축지지부(83)(83)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베어링(84)을 관통하고 있고 베어링(84)에 대해 접동 및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축부(82)의 선단부에는 지지팔(81)이 고정되고, 이 지지팔(81)의 선단부(81a)에는 천누름부(15)측을 향하도록 윗실가위(80)가 부착된다.
윗실가위(80)는 압착판(85a)이 부착되는 고정날(85)(도 4)과, 고정날(85)에 대해 핀(86b)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가동날(86)로 이루어지고, 가동날(86)에는 그 윗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캠접촉부(86a)가 배치된다.
다음 윗실절단 구동부(72)에 대해 설명한다. 윗실절단 구동부(72)는 윗실절단부(71)에 대해 윗실가위(80)를 닫는 동작(윗실을 절단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윗실가위 폐쇄수단과, 윗실가위(80)를 벌리는 동작(윗실을 푸는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윗실용 해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윗실가위 폐쇄수단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동부(3)에는 조작레버(87)의 기단부(우단부)가 전후방향의 축회전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부착된다. 조작레버(87)의 중간부에는 인장스프링(3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인장스프링(31)의 타단부는 암부(4)에 걸려있다. 인장스프링(3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도 5에 도시하는 화살표 d의 역방향)으로 조작레버(87)를 부세한다. 또한 조작레버(87)는 작업자가 직접 조작해도 좋고, 조작레버(87)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를 배치하여 작업자가 스위치 등을 조작하면 이 액튜에이터를 통해 조작레버(87)가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조작레버(87)의 기단부에 위쪽을 향해 굴림대 부착부(88)가 고정되고, 굴림대 부착부(88)의 상단부에 굴림대(89)가 배치된다. 이 굴림대(89)에 접촉하도록 요동체(28)가 배치된다. 요동체(28)는 그 기단부(우단부)가 상하방향의 축회전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암부(4)가 부착된다. 또한 요동체(28)의 뒷면에는 캠(28a)이 형성되고, 이 캠(28a)에 굴림대(89)가 접촉한다. 그리고 요동체(28)의 앞부는 회동팔(29)의 상부에 접촉한다. 회동팔(29)의 상부는 상기 축부(82)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회동팔(29)과 베어링부(84) 사이에는 압축스프링(30)이 축부(82)를 지나는 상태로 끼워져 배치된다. 압축스프링(30)은 회동팔(29)과 함께 축부(82)를 뒤쪽을 향해 부세한다.
조작레버(87)의 중간부에는 캠부재(32)의 오른쪽 부가 전후방향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속된다. 캠부재(32)의 좌단부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밑실절단레버(33)의 중간부에 접속된다. 밑실절단레버(3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그 하부는 베드부(2)의 내부를 향하고 있다. 밑실절단레버(33)의 상단부는 전후방향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종동부(2)에 부착된다. 밑실절단레버(33)의 중간부에는 압착체(34)가 고정된다. 압착체(34)의 선단부(34a)는 오른쪽을 향해 뻗어나오고 이 선단부(34a) 근방에 계탈부재(73)가 배치된다.
계탈부재(73)는 지지체(73a)와, 계탈체(73b)와, 압축스프링(73d)(도 7)을 구비한다. 지지체(73a)는 단면이 갈고리모양으로 형성되고, 연결암의 기부(24a)에 나사고정된다. 계탈체(73b)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체(35a) 위에 연결된다. 계탈체(73b)의 선단부에는 위쪽을 향해 절곡하는 계지부(73c)가 형성된다. 지지체(73a)와 계탈체(73b)사이에 압축스프링(73d)이 부착되고, 압축스프링(73d)은 지지체(73a)에 대해 계탈체(73b)를 위쪽으로 부세한다.
여기서 압착체(34)의 선단부(34a)는 계탈체(73b)의 상측에 근접하고 있다. 그리고 밑실절단레버(33)는 정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압착체(34)의 선단부(34a)가 계탈체(73b)를 압착스프링(73d)에 맞서 아래쪽을 향해 누르도록 되어있다.
한편 회동팔(29)의 중간부에는 굴림대(74)가 배치된다. 또한 회동팔(29)의 굴림대(74)의 바로 위에는 인장스프링(75)의 일단부가 걸려 있고, 인장스프링(75)의 타단부는 밑실절단레버(33)의 상단부에 걸려있다. 인장스프링(75)의 정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동팔(29)을 부세한다.
그리고 굴림대(74)는 캠부재(32)의 오른쪽부에 형성되는 캠부(32a)(32b)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 회동팔(29)의 시계방향의 회전이 억지된다. 여기서 캠부(32a) 및 캠부(32b)에 의해 캠부재(32)의 우단에 모서리부(32c)가 형성된다. 또 회동팔(29)의 하단부에는 앞쪽을 향해 돌출하는 계지갈고리(29a)가 배치된다. 이 계지갈고리(29a)은 계탈체(73b)의 계지부(35c)에 대해 계지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윗실가위를 해방하기 위한 윗실용 해방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윗실용 해방수단은 윗실가위(80)를 벌리기 위한 윗실용 해방구동수단과, 윗실가위(80)를 절단종료 후 제 2대기위치로부터 제 1대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윗실가위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윗실용 해방구동수단은 본 발명의 작동수단인 솔레노이드(76)와, 중간부에 있어 회전가능하게 상기 지지팔(81)에 부착되는 레버(77)와, 레버(77)를 부세하는 인장스프링(78)을 구비한다.
솔레노이드(76)는 암부(4)의 하부에 고정되고 앞쪽을 향해 뻗어나오는 로드(76a)를 전후로 진퇴시키도록 되어있다. 로드(76a)의 앞단은 레버(77)의 일단부에 접촉한다. 레버(77)에는 인장스프링(78)의 일단부가 걸려있고, 인장스프링(78)의 타단부는 재봉틀 프레임내에 걸려있다. 그리고 인장스프링(78)은 레버(77)의 일단부와 함께 로드(76a)를 뒤쪽으로 부세한다. 레버(77)의 타단부에는 오른쪽을 향해 뻗어나오는 개방캠부(77a)가 형성된다. 개방캠부(77a)는 캠접촉부(86a)의 왼쪽에 배치된다. 개방캠부(77a)의 우단부에는 제 1캠면(77b)과, 제 2캠면(77c)이 형성된다.
그리고 윗실용 해방구동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이 가위(80)를 벌린다. 윗실가위(80)가 닫혀있을 때 솔레노이드(76)가 Off상태로부터 On상태가 되면 로드(76a)가 인장스프링(78)에 맞서 앞쪽으로 밀려나온다. 이에 따라 레버(77)가 반시계방향(도 5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한다. 레버(77)의 회전에 따라 제 2캠면(77c)이 캠접촉부(86a)에 접촉하고 다시 레버(77)가 회전하면 결국에는 제 1캠면(77b)이 캠접촉부(86a)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개방캠부(77a)에 의해 캠접촉부(86a)가 밀려 가동날(86)이 회전하고(도 4의 화살표 g의 방향), 윗실가위(80)가 벌어진다. 솔레노이드(76)가 Off상태가 되면 인장스프링(78) 및 로드(76a)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지만 윗실가위(80)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윗실가위 이동수단은 솔레노이드(79)와, 솔레노이드(79)의 로드(79a)의 선단에 연결하는 링크부재(90)와, 링크부재(90)에 연결하는 압착체(91)와, 인장스프링(75)을 구비한다.
솔레노이드(79)는 베드부(2)의 상부에 고정된다(도 7). 솔레노이드(79)의 본체로부터 로드(79a)가 진퇴가능하도록 오른쪽으로 돌출한다. 로드(79a)의 선단부에는 링크부재(90)의 일단부가 상하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접속된다. 링크부재(90)의 타단부에는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압착체(91)의 기단부가 접속된다. 압착체(91)는 그 기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뻗고나서 오른쪽을 향해 절곡하고, 그 중간부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종동부(3)에 부착된다. 그리고 압착체(91)의 선단부(91a)가 상기 계탈체(73b)의 윗면에 근접한다.
그리고 계지갈고리(29a)가 계탈부재(73)의 계지부(73c)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인장스프링(75)의 부세력에 의해 계지갈고리(29a)가 계지부(73c)에 계지하고 있는 경우 윗실가위 이동수단은 다음과 같이 윗실해방후의 가위(80)를 이동시킨다. 즉 솔레노이드(79)가 Off상태로부터 On상태가 되면 로드(79a)가 왼쪽(도 5의 화살표 e방향)으로 끌린다. 이에 따라 압착체(91)는 정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압착체(91)의 회전에 따라 압착체(91)의 선단부(91a)가 계탈체(73b)를 아래쪽을 향해 밀어내린다. 이 때문에 계탈체(73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계지부(73c)와 계지갈고리(29a)의 계지가 해제된다. 계지가 해제되면 인장스프링(75)의 부세력에 의해 회동팔(29)이 축부(82)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회동팔(29) 및 축부(82)의 회전에 의해 지지팔(81)의 선단부에 부착된 윗실 가위(80)는 제 2대기위치로부터 더욱 왼쪽의 제 1대기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이 때 회동팔(29)의 회전은 굴림대(74)가 캠부재(32)에 접촉함으로써 정지한다.
다음 밑실절단장치(50)의 구성에 대해 도 5 및 도 8을 기초로 설명한다. 밑실절단장치(50)는 바늘판대(51)와, 바늘판대(51)의 밑면에 배치된 밑실가위(52)와, 벌어진 상태의 밑실가위(52)를 닫힌 상태로 하기 위한 밑실용 폐쇄수단(53)과, 닫힌 상태의 밑실가위(52)를 벌린 상태로 하기 위한 밑실용 해방수단(5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늘판대(51)는 베드부(2)내에 고정된 판모양의 부재로서 그 윗면에는 바늘판(55)이 고정된다. 바늘판(55)에는 재봉바늘(5)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공이 형성되고 바늘판대(51)의 아래쪽에 북 장치가 배치된다.
밑실가위(52)는 위메스(56)와, 아래메스(57)와, 판스프링(58)을 구비한다. 위메스(56)는 아래메스(57) 밑에 배치되지만 저면도인 도 8을 기초로 편의상 하측을 위메스(56)로 한다. 아래메스(57)는 바늘판대(51)의 밑면의 앞부에 그 기단부(57a)에 있어서 대략 수평면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부착된다. 위메스(56)는 아래메스(57)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위메스(56)에는 핀(56a)이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위메스(56)의 앞부에는 앞쪽을 향해 뻗어나오는 연출부(56b)가 형성된다. 그리고 판스프링(58)은 아래메스(57)에 고정된다.
다음 밑실용 폐쇄수단(5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밑실용 폐쇄수단(53)은 구동팔(60)과, 링크부재(61)와, 밑실절단링크(62)와, 보빈으로부터의 밑실을 끌어 당기는 밑실당김팔(63)과, 링크부재(64)와, 링크부재(65)를 구비한다. 상기 밑실절단레버(33)의 하단부에는 앞쪽을 향해 뻗어나오는 볼핀(59)이 배치된다. 그리고 전후로 뻗는 구동팔(60)의 후단부는 볼핀(59)에 볼죠인트되고 있다. 구동팔(60)은 그 중간부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베드부(2)내에 배치된다.
구동팔(60)의 앞단부는 링크부재(61)의 좌단부에 연결하고 링크부재(61)의 타단부는 밑실절단링크(62)의 후단부에 연결하고 있다. 밑실절단링크(62)는 그 중간부에 있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바늘판대(51)의 밑면에 부착되고 있다.
밑실절단링크(62)의 선단부에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밑실당김팔(63)의 중간가 부착되고, 또한 밑실당김팔(63)의 중간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링크부재(64)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링크부재(64)의 타단부는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아래메스(57)에 연결한다. 밑실당김팔(63)의 후단부에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링크부재(65)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링크부재(65)의 타단부는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바늘판대(51)에 연결한다.
밑실용 폐쇄수단(53)에 의해 벌어진 상태의 밑실가위(52)는 다음과 같이 하여 닫힌다. 즉 도 8의 밑실가위(52)가 벌어진 상태(아래메스(57)와 판스프링(58)의 선단이 위메스(56)에 대해 뒤쪽으로 벌어진 상태)에 있어서 구동팔(60)이 회전하면 링크부재(61), 밑실절단링크(62), 밑실당김팔(63) 및 링크부재(64)를 통해 아래메스(57)가 그 기단부(57a)를 중심으로 앞쪽을 향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아래메스(57)와 함께 위메스(56)가 앞쪽으로 이동하고 위메스(56)의 연출부(56b)가 바 늘판대(51)의 개구부(51a)를 형성하는 테두리부(51b)에 접촉한다. 그리고 위메스(56)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억지되고 아래메스(57)가 다시 앞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위메스(56)의 선단과 아래메스(57)의 선단이 합치하여 밑실가위(52)는 닫히고, 보빈으로부터 도출되는 밑실을 절단한다. 또한 밑실가위(52)는 닫혔을 때 판스프링(58)과 위메스(56)에 의해 밑실을 고정한다.
밑실용 해방수단(54)은 상기 핀(56a)을 눌러 밑실가위(52)를 벌리는 것이다. 밑실용 해방수단(54)은 본 발명의 작동수단인 솔레노이드(66)와, 링크부재(67)와, 작동팔(68)과, 인장스프링(69)을 구비한다. 솔레노이드(66)는 베드부(2)에 고정되어 그 출력축인 로드(66a)를 전후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것이다. 로드(66a)의 앞단부에는 거의 수평면안에서 회동가능하게 되도록 링크부재(67)의 후단부가 연결되고 있다. 링크부재(67)의 앞단부에는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작동팔(68)이 연결된다. 또한 작동팔(68)의 일단부에는 인장스프링(60)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또 작동팔(68)은 타단부에 있어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바늘판대(51)에 연결하며, 이 타단부로부터 상기 핀(56a)에 접촉할 수 있도록 연출(延出)핀(68a)이 형성된다. 인장스프링(69)의 타단부는 베드부(2)에 대해 고정되며 작동팔(68)을 밑에서 보아(도 8에 있어) 시계방향으로 부세한다.
그리고 밑실용 해방수단(54)에 의해 가위(52)는 다음과 같이 밑실을 해방한다. 솔레노이드(66)가 Off상태로부터 On상태가 되면 로드(66a)가 밀려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팔(68)이 인장스프링(69)에 맞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팔(68)의 연출핀(68a)이 핀(56a)을 누른다. 연출부(56b)와 테두리부(51b)의 접촉하지 않은 상태(즉 위메스(56)가 전진가능한 상태)에서 핀(56a)이 눌리게 되면 위메스(56)가 아래메스(57)에 대해 앞쪽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밑실가위(52)는 벌어짐과 동시에 고정하고 있던 밑실을 푼다. 그리고 솔레노이드(66)가 On상태에서 Off상태가 되면 인장스프링(69)의 부세력에 의해 작동팔(6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윗실절단장치(70) 및 밑실절단장치(50)의 동작을 설명한다. 재봉틀의 봉제 중 윗실절단장치(70) 및 밑실절단장치(50)는 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상태이다. 즉,
1. 조작레버(87)는 인장스프링(31)의 부세력에 의해 A의 위치에 있다.
2. 축부(82) 및 회동팔(29)은 압축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뒤쪽에 위치한다.
3. 도 7과 같이 인장스프링(75)에 의한 회동팔(29)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굴림대(74)가 캠부재(32)의 캠부(32b)에 접촉함으로써 억지된다.
4. 솔레노이드(79)는 Off상태로서 압착체(91)가 계탈체(73b)를 아래쪽으로 압착하지 않은 상태이다. 압착체(34)도 계탈체(73b)를 아래쪽으로 압착하지 않는다.
5. 계지갈고리(29a)는 계탈체(73b)의 윗면측에 위치한다.
6. 솔레노이드(76)는 Off로서 윗실가위(80)는 벌어진 상태이며, 제 1대기위치(위에서 보아 바늘(9)의 상하궤적으로부터 왼쪽으로 비스듬한 뒤의 위치)에 위치한다.
7. 솔레노이드(66)는 Off로서 밑실가위(52)가 벌어진 상태이다.
8. 위메스(56)의 연출부(56b)는 바늘판대(51)의 테두리부(51b)에 접촉하지 않고 밑실가위(52)는 초기위치에 있다.
보턴구멍 사뜨기를 종료한 후 작업자가 조작레버(87)를 조작하면 조작레버(87)가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5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7의 B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움직임 동안에 윗실절단장치(7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조작레버(87)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굴림대(89)가 요동체(28)의 캠(28a)을 따라 이동하면 요동체(28)가 앞쪽을 향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요동체(28)가 회동팔(29)과 함께 축부(82)를 앞쪽으로 민다. 축부(82)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윗실가위(80)는 앞쪽을 향해 이동한다.
한편 조작레버(87)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32)는 그 좌단부를 중심으로 도 7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캠부재(32)의 회전에 의해 밑실절단레버(33)가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캠부(32b)가 굴림대(74)를 오른쪽으로 민다.
밑실절단레버(33)의 회전에 따라 압착체(34)가 계탈체(73b)를 아래쪽으로 압착한다. 한편 굴림대(74)가 오른쪽으로 밀림으로써 회동팔(29)과 함께 축부(82)는 도 7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압착체(34)가 계탈체(73b)를 아래쪽으로 압착함으로써 계탈체(73b)가 계지갈고리(29a)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굴림대(74)가 캠부재(32)의 모서리부(32c)에 접촉할 때 까지 축부(8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축부(82)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윗실가위(80)는 오른 쪽의 절단위치로 이동한다.
윗실가위(80)가 제 1의 대기위치로부터 절단위치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하면 가동날(86)의 캠접촉부(86a)가 폐쇄판(25)에 접촉하고, 캠접촉부(86a)가 폐쇄판(25)에 의해 상대적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날(86)이 고정날(85)에 대해 위쪽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가동날(86)의 회전에 의해 윗실가위(80)가 닫혀 윗실을 절단함과 동시에 바늘(9)에 이어지는 윗실을 고정한다.
또한 조작레버(87)가 B의 위치에서 C의 위치까지 조작되면 윗실절단장치(7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굴림대(89)가 요동체(28)의 캠(28a) 산을 넘게 되어 요동체(28)는 앞쪽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축부(82) 및 회동팔(29)이 뒤쪽으로 복귀됨과 동시에 윗실가위(80)는 폐쇄상태로 뒤쪽을 향해 이동한다.
한편 조작레버(87)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32)는 그 좌단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캠부재(32)의 회전에 의해 밑실절단레버(33)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모서리부(32c)에 접촉하는 굴림대(74)는 캠부(32a)에 접촉하게 된다. 굴림대(74)가 캠부(32a)에 접촉하면 인장스프링(75)의 부세력에 의해 회동팔(29)과 함께 축부(82)는 정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축부(82)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윗실가위(80)는 닫힌 상태에서 왼쪽으로 약간 이동한다.
여기서 조작레버(87)가 A의 위치에서 C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밑실절단장치(5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술과 같이 조작레버(87)의 회전에 의해 밑실절단레버(33)가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밑실절단레버(33)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구동팔(60)이 도 8에 있어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팔(60)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링크부재(61)를 통해 밑실절단링크(62)가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밑실절단링크(62)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밑실당김팔(63)이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밑실당김팔(63)은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보빈으로부터 도출되는 밑실을 끌어당긴다. 한편 밑실절단링크(62)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아래메스(57)가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아래메스(57)가 회전할 때 위메스(56)의 연출부(56b)가 바늘판대(51)의 테두리부(51b)에 접촉하고, 위메스(56)의 회전은 멈추며 한편 아래메스(57)는 계속하여 회전한다. 이에 따라 밑실가위(52)는 밑실당김팔(63)에 의해 끌어당겨진 밑실을 절단한다. 그리고 닫힌 상태의 밑실가위(52)는 절단후에 보빈에 이어지는 밑실을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조작레버(87)를 풀면 인장스프링(31)의 부세력에 의해 조작레버(87)는 A의 위치까지 되돌아온다. 이 때 윗실절단장치(7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조작레버(87)의 회전에 의해 굴림대(89)가 초기위치로 되돌아 온다. 이에 따라 요동체(28)가 일단 앞쪽으로 회전한 후 뒤쪽으로 회전하고,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이 요동체(28)의 회전에 따라 축부(82) 및 회동팔(29)도 일단 앞쪽으로 이동한 후 뒤쪽으로 이동하고,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윗실가위(80)의 전후의 위치관계는 제 1대기위치와 같아지게 된다.
한편 조작레버(87)의 복귀에 의해 캠부재(32)는 그 좌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7)으로 회전한다. 캠부재(32)의 회전에 따라 밑실절단레버(33)가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밑실절단레버(33)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라 압착체(34)는 계탈체(73b)로의 압착을 해제하고, 계탈체(73b)는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캠부재(32)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굴림대(74)가 캠부(32a)로부터 모서리부(32c) 그리고 캠부(32b)로 이동하면서 회동팔(29)이 인장스프링(75)의 부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축부(82)를 통해 윗실가위(80)는 왼쪽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굴림대(74)가 캠부(32b)로 이동했을 때 계탈체(73b)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므로 회동팔(29)의 계지갈고리(29a)가 계탈체(73b)의 계지부(35c)에 계지된다. 이에 따라 회동팔(29)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지되고 굴림대(74)와 캠부(32b)의 접촉이 해제된다. 따라서 윗실가위(80)의 왼쪽으로의 이동도 멈춘다.
이상과 같이 조작레버(87)가 C의 위치에서 A의 위치까지 되돌아 왔을 때는 윗실가위(80)의 전후의 위치관계는 제 1의 대기위치로 복귀하지만 좌우의 위치관계는 복귀되지 않는다. 이 위치는 상술한 절단종료후의 제 2의 대기위치이다. 제 2의 대기위치에 있는 윗실가위(80)는 닫혀 윗실을 고정한 상태이다.
여기서 조작레버(87)가 C의 위치로부터 A의 위치로 회전할 때 까지는 밑실절단장치(5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술과 같이 조작레버(87)의 회전에 의해 밑실절단레버(33)가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밑실절단레버(33)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구동팔(60)이 저면에서 보아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팔(60)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링크부재(61)를 통해 밑실절단링크(62)가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밑실절단링크(62)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밑실당김팔(63)은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밑실절단링크(62)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아래메스(57)는 위메스(56)와 함께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위메스(56)의 연출부(56b)와 바늘판대(51)의 테두리부(51b)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밑실가위(52)는 닫힌 상태에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어서 작업자에 의해 스타트 스위치(125)가 조작됨으로써 재봉틀은 다음 사이클의 봉제를 개시한다. 재봉틀의 봉제개시 후 윗실절단장치(70) 및 밑실절단장치(5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윗실절단장치(70)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76)가 Off상태에서 On상태가 되고 레버(77)가 반시계방향(도 5의 f방향)으로 회전한다. 레버(77)의 회전에 따라 제 2캠면(77c)이 캠접촉부(86a)에 접촉하고 캠접촉부(86a)는 결국에는 제 1캠면(77b)에 접촉한다. 따라서 개방캠부(77a)(제 2캠면(77c) 및 제 1캠면(77b))가 캠접촉부(86a)를 밀고, 도 4와 같이 가동날(86)이 시계방향(g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윗실가위(80)가 벌어짐과 동시에 윗실가위(80)는 고정하고 있던 윗실을 푼다. 윗실가위(80)가 벌어진 후 솔레노이드(76)가 Off상태가 됨으로써 로드(76a) 및 레버(77)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만 윗실가위(80)는 벌어진 상태 그 대로이 다.
그 후 솔레노이드(79)가 Off상태로부터 On상태가 되고 로드(79a)가 왼쪽(도 5의 e방향)으로 끌리게 된다. 이에 따라 압착체(91)가 회동하여 계탈체(73b)를 아래쪽을 향해 압착하고, 계지갈고리(29a)와 계탈체(73b)와의 계지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굴림대(74)가 캠부재(32)의 캠부(32b)에 접촉할 때 까지 인장스프링(75)의 부세력에 의해 회동팔(2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회동팔(29)의 회전과 함께 축부(82)가 회전하고 윗실가위(80)가 왼쪽으로 이동하며 결국에는 제 1의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윗실가위(80)가 제 1의 대기위치로 복귀한 후에 솔레노이드(79)는 Off상태가 되고 압착체(91)에 의한 아래쪽으로의 압착이 해제된다.
또 봉제가 개시하면 밑실절단장치(50)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66)가 Off상태로부터 On상태가 되고 로드(66a)가 앞쪽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팔(68)이 도 8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팔(68)의 연출핀(68a)이 핀(56a)을 누른다. 이에 따라 위메스(56)는 아래메스(57)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닫힌 상태의 밑실가위(52)가 벌어짐과 동시에 밑실을 푼다. 밑실가위(52)가 벌어진 후 솔레노이드(66)는 Off상태가 되고 작동팔(68)이 스프링(69)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팔(68)이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도 9에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1)의 제어회로(110)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어회로(110)는 도 9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111), ROM(Read Only Memory)(112), RAM(Random Access Memory)(113), 각 펄스모터의 구동을 행하 는 Y이송 펄스모터 드라이버(114), 기선이송 펄스모터 드라이버(115) 및 바늘진동 이송펄스모터 드라이버(116), 윗실가위 작동수단(여기서는 솔레노이드(76)(69))을 구동하는 윗실가위 드라이버(117), 밑실가위 작동수단(여기서는 솔레노이드(66))을 구동하는 밑실가위 드라이버(118), 재봉틀 모터(5)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재봉틀모터 드라이버(119), 밀어올리는 솔레노이드(127)를 구동제어하는 밀어올리는 솔레노이드 드라이버(126), 천절단 메스(16)를 하강시키는 천절단 메스 하강실린더(19)를 구동하는 실린더 드라이버(1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재봉틀모터 드라이버(119)에는 재봉틀 모터(5)외에 재봉틀 모터(5)의 회전량을 상축(6)의 회전각도로서 코드화하는 엔코더(121), 바늘(9)이 위쪽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바늘위 위치센서(122), 본 발명에서의 검출수단으로 상축(6)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TG(다코 제너레이터) 발생기(123) 등이 접속된다.
또한 CPU(111)에는 후술하는 조작패널(100)이나 천누름부(15)의 상승·하강을 지시하는 누름스위치(124) 및 재봉틀 모터(5)의 구동스타트를 지시하는 스타트 스위치(125) 등이 접속된다.
CPU(111)는 RAM(102)의 소정영역을 작업영역으로서 ROM(112)에 기억되고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조작패널(100)로부터 데이터나 접속된 각 종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각 드라이버를 통해 각 구동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이다.
ROM(112)에는 조작패널(100)로부터의 입력처리나 조작패널(100)을 통해 입력된 각종 봉제데이터를 기초로 보턴구멍 사뜨기 봉제를 위한 제어데이터(봉제시작에서 봉제종료까지의 모든 바늘낙하위치 등)를 연산하는 연산처리, 연산된 제어데이 터를 기초로 봉제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봉제처리 등이 포함되는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된다.
ROM(112)에는 도 11에서 도시하는 데이터 항목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가능한 데이터값의 범위, 후술하는 마이너스키(103b)와 플러스키(103c)의 1조작으로 증감할 수 있는 데이터의 단위값, 표준데이터값 등이 기억된다.
또한 ROM(112)에는 소정의 형상패턴의 보턴구멍 사뜨기를 행하기 위해 도 11의 모든 데이터값(No. 1~ No.23)에 대해 설정되는 패턴이 여러개 기억된다.
RAM(113)은 CPU(111)의 작업영역이 됨과 동시에 조작패널(100)을 통해 입력된 보턴구멍 사뜨기 솔기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본 발명의 기억수단이 된다.
도 10에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1)에 구비되는 조작패널(입력수단)(100)을 도시한다.
조작패널(100)은 각 종의 봉제파라메터를 설정입력하거나 설정값의 표시출력이나 봉제제어상의 에러의 표시출력을 행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1)이 놓여지는 재봉틀 테이블상에 배치된다.
조작패널(100)에는 스타트 조작부(101), 넘버조작부(102), 데이터값 입력조작부(103) 및 모드변환 조작부(104)가 배치된다.
스타트 조작부(101)에는 오퍼레이터가 봉제준비가 갖추어졌거나 재설정하는 뜻을 입력하기 위한 준비키(101a)와, 그 상태를 표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01b)가 배치된다.
넘버조작부(102)에는 넘버표시부(102a), 다운키(102b) 및 업키(102c)가 배치 된다. 넘버표시부(102a)에는 2행의 7세그먼트 표시부로 이루어지고, 데이터값을 입력하는 데이터항목의 넘버나 패턴넘버를 표시한다.
다운키(102b) 및 업키(102c)는 데이터항목의 넘버나 패턴넘버를 하나씩 비키게 하는 키로서, 다운키(102b)는 하나 늦추는 키, 업키는(102c)는 하나 앞당기는 키이다. 데이터항목의 내용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데이터값 입력조작부(103)에는 데이터값 표시부(103a), 마이너스키(103b), 플러스키(103c)가 배치된다. 데이터값 표시부(103a)는 4행의 7세그먼트 표시부로 이루어지고 각 데이터항목의 데이터값을 표시한다. 마이너스키(103b)와 플러스키(103c)는 데이터값을 소정의 단위값씩 증감시키는 키이다. 후술과 같이 각 데이터항목마다 소정의 단위값과 설정가능범위가 정해져 있어, 마이너스키(103b)를 누르면 데이터값이 단위값씩 작아지고, 플러스키(103c)를 누르면 데이터값이 단위값씩 커져가게 된다.
모드변환 조작부(104)에는 패턴넘버의 설정모드로 변환하는 패턴넘버키(104a)와, 데이터입력 모드로 변환하는 데이터키(104b)가 배치된다. 패턴넘버키(104a) 및 데이터키(104b)상에는 각각 LED 등의 표시기(104c)(104d)가 배치되고, 이들의 점등에 의해 패턴넘버 설정모드나 데이터입력 모드를 오퍼레이터에 알릴 수 있도록 되어있다.
작업자는 우선 패턴넘버키(104a)를 조작하여 원하는 패턴넘버를 도 11의 패턴 No. 1,2,3,4,…안에서 선택하고, 이어서 데이터키(104b)를 조작하여 각 데이터항목을 선택하며, 데이터값 입력조작부(103)에 있어서 데이터값을 설정·변경한다. 또한 패턴넘버를 선택하는 것으로 그 패턴마다 미리 데이터값이 설정되므로 그 데이터값으로 좋은 경우에는 변경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조작패널(100)로부터 입력가능하고 보턴구멍 사뜨기 솔기의 형상·크기 등을 결정하는 봉제데이터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는 조작패널로부터 입력가능한 데이터항목을 나타내는 데이터 테이블을, 도 12에는 도 11의 각 데이터항목이 보턴구멍 사뜨기의 어느 부분의 길이를 나타내는 지를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12에는 보턴구멍 사뜨기 솔기 u0의 각 부에, 각 데이터 항목명과 데이터넘버를 기재하고 있다.
보턴구멍 사뜨기 솔기 u0에 관해 조작패널(100)로부터 입력가능한 데이터항목은 도 11의 데이터 테이블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즉 데이터넘버 1~16은 보턴구멍의 길이인 천절단 길이데이터(보턴구멍 홈 u1의 길이), 메스홈 오른쪽 폭 데이터(보턴구멍 홈 u1과 우측봉제부 u2의 좌단과의 거리), 메스홈 왼쪽 폭 데이터(보턴구멍 홈 u1과 좌측봉제부 u2의 우단과의 거리), 사뜨기폭 데이터(측봉제부 u2의 좌우폭 길이), 빗장고정길이 데이터(빗장고정부 u3의 세로길이), 틈길이 데이터인 틈데이터(위빗장고정부 u3의 하단과 보턴구멍 홈 u1의 상단과의 거리) 및 제 2틈데이터(아래빗장 고정부 u3의 상단과 보턴구멍 홈 u1의 하단과의 거리), 평행부 핏치데이터(측봉제부 u2의 2바늘간의 종방향의 거리), 빗장고정부 핏치데이터(빗장고정부 u3의 2바늘간의 종방향의 거리), 빗장고정폭 오른쪽 보정데이터(빗장고정부 u3의 우단과 우측봉제부 u2의 우단과의 어긋남 길이), 빗장고정 폭 왼쪽 보정데이터(빗장고정부 u3의 좌단과 좌측봉제부 u2의 좌 단과의 어긋남 길이), 왼쪽 평행부 장력데이터(좌측봉제부 u2의 봉제시의 실 장력), 오른쪽 평행부 장력데이터(우측봉제부 u2의 봉제시의 실 장력), 제 1빗장고정부 장력데이터(위빗장고정부 u3의 봉제시의 실 장력), 제 2빗장고정부 장력데이터(아래빗장 고정부 u3의 봉제시의 실 장력), 최고속 제한데이터(재봉틀 회전수의 최고제한수) 등의 각 항목이다.
또 도 11의 데이터 넘버 17~2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데이터항목이다.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사뜨기를 도 13(a)와 같이 좌측 봉제부의 A점부터 봉제시작한 경우, 도 13(b)와 같이 같은 A점에서 봉제종료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솔레노이드(76)(79)(66)를 배치하여 실절단 후의 윗실절단장치(70), 밑실절단장치(50)의 동작을 천이송이나 눌러올리는 등의 다른 기구와는 독립시키는 것으로부터 종래와 같이 봉제종료위치를 봉제시작위치에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봉제시작위치, 봉제종료위치를 각각 따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재봉틀(1)에서는 데이터 No. 19「봉제시작위치」, No.20「봉제종료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봉제시작위치」로서 A점을 설정하고, 「봉제종료위치」로서 도 13(c)의 B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들의 데이터는 솔기가 형성되는 방향인 Y'방향(천이송 방향과는 역방향)에서의 원점위치를 「0」으로 하여 「0.00~5.00」mm의 범위에서 0.1mm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봉제시작위치 및 봉제종료위치는 모두 기선상의 좌측봉제부의 내측이다.
또한 종래는 실절단과 천누름을 올리는 동작이 연동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사뜨기를 종료할 때 마다 천누름부를 올려야 했었다. 또 천이송과 실의 해방이 관 련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개시시에 천이송수단(Y이송 구동수단)을 기계적으로 원점위치로 해야 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관련이 없기 때문에 한번에 여러개의 솔기를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고(연속봉제), 천누름부에 대한 봉제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보턴구멍에 걸치는 에어리어를 커버할 수 있는 매우 긴 천누름부를 사용하면 하나의 보턴구멍 사뜨기 후 천누름부를 떼어내지 않고 다음의 사뜨기 위치에서 보턴구멍 사뜨기를 행할 수 있다.
즉 재봉틀(1)에서는 데이터 No. 17「봉제 개수」, No. 18「봉제 간격」, No.23「봉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봉제 개수」는 「1~5」개의 범위로 설정가능하다. 예를들면 도 14와 같이 Y방향으로 충분히 긴 천누름부(15')를 사용하도록 하여 도 14(a)와 같이 2개의 보턴구멍 사뜨기(B1,B2)를 형성할 경우에는 「2」로 설정한다. 또 도 14(b)와 같이 보턴구멍 사뜨기(B3)를 한개 형성할 경우에는 「1」로 설정하다.
「봉제 간격」은 도 14(a)와 같이 여러개의 보턴구멍 사뜨기를 형성할 경우에, 서로 인접하는 솔기의 원점간의 거리(W)를 설정하는 것으로 「0~100」mm의 범위에서 1mm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No. 23「봉제 위치」는 Y이송 구동수단(13)의 기계적인 원점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장 최초에 형성하는 솔기의 원점위치(상기 「봉제시작위치 」의 원점이 되는 위치), 즉 도 14(a)이면 「01」, 도 14(b)에서는 「02」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 값은 「0~100」mm의 범위에서 1mm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설정에 의해 천누름부(15')의 틀내의 어떤 위치에서 봉제할 지를 설정하게 된다.
데이터 No.23「봉제 위치」에 의해 천누름내의 봉제위치가 자유롭게 설정가능하기 때문에 옷감의 단부근방에서 봉제할 경우에 유리하다. 종래라면 임시로 긴 천누름부(15')를 이용하도록 하면 솔기형성위치와 천이송의 위치는 고정적이므로 도 15(a)와 같이 옷감(S)의 단부(S1)근방에서 보턴구멍 사뜨기(B4)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 천누름부(15')가 들뜨게 되어 이 경우 천누름부(15')를 보다 짧은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천누름부(15')의 틀내의 봉제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면 도 15(b)와 같이 단부(S1)를 피하도록 하여 천누름부(15')에 대해 봉제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천누름부(15')를 교환할 필요는 없다.
덧붙여 윗실절단장치(70)·밑실절단장치(50)에 있어서 윗실·밑실의 해방을 솔레노이드(76), 솔레노이드(66)라는 독립된 작동수단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봉제개시시의 윗실·밑실의 해방의 타이밍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거기서 도 11의 데이터 No.21「윗실해방 타이밍」, No. 22「밑실해방 타이밍」에 있어서 봉제시작에서의 바늘수「1~20」의 범위내에서 설정한다.
또한 상기 ROM(112)내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테이블(t1)이 기억된다. 이 테이블(t1)에는 상축의 회전수에 따른 윗실·밑실 각각에 대한 해방타이밍의 보정바늘수가 설정된다. 예를들면 회전수가 「400」이면 윗실·밑실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보정바늘수는 「0」이며, 이 경우에는 데이터 No.21「윗실해방 타이밍」, No.22「밑실해방 타이밍」에서 설정한 타이밍으로 실은 해방된다. 회전수가 「3000」이면 윗실에 대해서는 「3」바늘분, 밑실에 대해서는 「2」바늘분, 데이터 No.21, No.22에서 설정한 값에서 빼고 그만큼 보다 빨리 실을 해방할 수 있게 된다. 즉 테이블(t1)은 봉제스피드가 빠른 경우에는 빠른 타이밍으로 실을 해방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의 패턴넘버 중 No.「60」「61」은 다른 패턴을 연속하여 봉제하는 「이종패턴 연속봉제」의 패턴이다. 예를들면 조작패널(100)로 패턴「60」을 선택하면 데이터 항목 대신 이종패턴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의 일예로서의 도 17의 테이블(t2)과 같이 각 공정의 내용과 그 봉제위치를 설정해 간다. 각 공정마다 하나의 솔기형상의 패턴넘버를 설정하도록 되어있고 그 공정은 선택한 패턴넘버에 따른 봉제데이터로 봉제된다. 「봉제위치」는 공정 1에 대해서는 상기 데이터 No.23「봉제 위치」와 마찬가지로 천이송의 원점위치로부터의 거리이며, 그 외의 공정에서는 앞의 공정과의 거리이다.
도 17에서는 예를들면 공정 1에서는 「1」, 공정 2에서는 「2」로, 이후 공정 5까지 이를 반복하여, 봉제위치에 대해서는 공정 1에 대해서는 「30」으로 하고, 그 이외는 「70」으로 설정했다. 이와같이 설정하면 패턴 No.1과 패턴 No.2에 의거하는 사뜨기를 번갈아 반복함과 동시에 각 솔기간의 거리는 70mm가 된다.
도 18 ~ 도 21에, 상기 구성을 갖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1)에 있어서 CPU(111)의 제어하에서 행해지는 각 처리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했다.
도 18에는 보턴구멍 사뜨기의 제너럴 플로우를 도시했다.
도 18의 플로우는 예를들면 재봉틀(1)의 전원이 ON했을 때 개시한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조작패널(100)의 설정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2에 있어서 준비키(101a)가 조작되었는 지를 판정하여 조작되고있으면 스텝 S3으로 이행하고 조작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1로 복귀한다.
스텝 S3에서는 조작패널(100)을 통해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바늘낙하위치를 연산하는 처리를 행하고, 이어서 스텝 S4에 있어서 준비키(101a)가 눌러졌는 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준비키(101a)가 눌러지지 않았으면 재차 스텝 S1로 되돌아가 재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 S4에서 준비키(101a)가 눌러지지 않았으면 스텝 S5로 이행하고 여기서 작업자에 의해 봉제물이 셋트된다. 이어서 스텝 S6에 있어서 스타트 스위치(125)가 ON되었는 지를 판정한다.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스타트 스위치(125)가 ON이 되면 스텝 S7로 이행하여 여기서 사뜨기, 보턴구멍 벌림, 실절단 등을 포함하는 봉제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6에서 스타트 스위치(125)가 ON이 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스텝 S4로 복귀한다.
도 19에는 상기 스텝 S7의 봉제처리의 플로우를 도시했다. 우선 스텝 J1에 있어 도 11의 데이터 No.17「봉제 개수」안의 첫번째로서 「M=1」로 카운트한다. 이어서 스텝 J2에 있어서 데이터 No.23에서 설정한 「봉제위치」까지 Y이송 펄스모터(20)에 의해 Y방향으로 천을 보낸다. 또한 스텝 J3에 있어 데이터 No.19로 설정한 「봉제시작위치」까지 Y방향으로 천을 보낸다.
스텝 J14로 이행하여 여기서 재봉틀 모터(5) 등을 구동하고 상기 스텝 S3에 있어서 구한 바늘낙하 위치에 바늘(9)을 떨어뜨리면서 사뜨기 솔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천절단 메스(16)를 구동하여 소정길이(도 11, 데이터 No.1)의 보턴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윗실절단장치(70), 밑실절단장치(50)를 상술과 같이 구동하여 실절단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스텝 J5에 있어서 상기 스텝 J1의 M값이 데이터 No.17의 「봉제 개수」인지를 판정한다. 봉제 개수이면 스텝 J8로 이행하여 밀어올리는 솔레노이드(127)를 구동하고 천누름부(15)를 상승시켜 이 처리를 마친다.
한편 스텝 J5에서 M이 봉제 개수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스텝 J6에 있어서 「M=M+1」으로 카운트한다. 이어서 스텝 J7에 있어 상기 데이터 No.18에서 설정한 「봉제 간격」만큼 천을 보내고, 스텝 J9에 있어서 「봉제시작위치」까지 Y방향으로 천을 보낸 후 스텝 J4로 복귀하여 다음의 봉제를 행한다.
도 20에는 봉제개시시의 윗실·밑실의 해방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냈다. 이 처리는 우선 스텝 J10에 있어서 바늘이 상사점에 위치하고 있다는 뜻의 바늘위 위치센서(122)로부터의 개입신호가 입력함으로써 개시한다. 이어서 스텝 J11에 있어서 바늘수 카운트에 「1」을 더한다.
다음에 스텝 J12에 있어서 TG발생기(123)로부터 현재의 회전수를 취득한다. 이어서 스텝 J13에 있어서 도 11의 데이터 No.21에서 설정한 「윗실해방 타이밍」의 바늘 수로부터 스텝 J12에서 취득한 회전수에 의해 도 16의 테이블(t1)에서 구한 바늘 수(바늘수 보정)를 빼고 윗실을 해제할 타이밍의 바늘 수를 구한다.
스텝 J14에서는 스텝 J13과 마찬가지로 도 11의 데이터 No.22에서 설정한 「 밑실해방 타이밍」의 바늘 수로부터 스텝 J12에서 취득한 회전수에 의해 도 16의 테이블(t1)에서 구한 바늘 수(바늘수 보정)를 빼고 밑실을 해제할 타이밍의 바늘 수를 구한다.
이어서 스텝 J15에 있어서 현재 봉제하고 있는 바늘 수가 스텝 J13에서 구한 바늘수 이상인 지를 판정하여 바늘 수 이상이라고 판정하면 스텝 J16으로 이행하여 여기서 윗실절단장치(70)(솔레노이드(76))를 구동하고 윗실의 고정을 해제하여 스텝 J17로 이행한다.
스텝 J15에서 스텝 J13에석 구한 바늘 수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그대로 스텝 J17로 이행한다. 스텝 J17에서는 현재 봉제되고 있는 바늘수가 스텝 J14에서 구한 바늘 수 이상인 지를 판정하여 바늘 수 이상이라고 판정하면 스텝 J18로 이행하고 여기서 밑실절단장치(50)(솔레노이드(66))를 구동하여 밑실의 고정을 해제하고 이 처리를 마친다. 스텝 J17에서 스텝 J14에서 구한 바늘 수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그 대로 이 처리를 마친다.
도 21에는 도 17의 테이블(t2)과 같이 설정한 이종패턴 연속봉제처리의 플로우를 도시했다. 이 처리는 스타트 스위치(125)가 조작되면 개시하고, 우선 스텝 J20에 있어서 공정 수를 「N=1」로서 카운트한다. 이어서 스텝 J21에 있어서 N번째 여기서는 첫번째의 공정의 봉제위치까지 Y방향으로 천을 보내고, 스텝 J22에 있어서 「봉제시작위치」까지 Y방향으로 천을 보낸다.
이어서 스텝 J23으로 이행하여 N번째, 여기서는 첫번째의 패턴봉제를 행하여 스텝 J24에 있어서 N에 1을 더하고, 새로운 N으로서 카운트하여 스텝 J25로 이행한 다. 스텝 J25에서는 스텝 J24에서 카운트한 「N」번째의 공정이 테이블(t2)에 있어 설정되었는 지를 판정하여 설정되어있으면 스텝 J21로 되돌아가 N번째의 공정의 패턴에 따라 봉제를 행한다. 스텝 J25에서 「N」번째의 공정이 설정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이 처리를 마친다.
이상의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1)에 의하면 윗실가위(80)에 의한 윗실의 해방을 솔레노이드(76)에 의해 행하고, 밑실가위(52)에 의한 밑실의 해방을 솔레노이드(66)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했다. 즉 윗실·밑실의 해방은 종래와 같이 천이송 기구 등의 다른 기구와 연동시키지 않고 독립된 구동원을 이용한다. 따라서 천이송 장치에 의한 제약이 없어진다.
따라서 조작패널(100)을 통해 봉제시작위치(도 11의 데이터 No.19) 및 봉제종료위치(데이터 No.20)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CPU(111)의 제어하에서 봉제시작위치와 봉제종료위치를 다른 위치가 되는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필요없는 봉제탈락은 없어져 그 만큼 외관이 좋아지게 되어 봉제품질이 향상하고 사이클타임도 단축가능하다.
또 이와같이 실 해방의 솔레노이드(76)(66)를 천이송기구와는 독립시키는 것으로 봉제 전에 천을 보내면서 보턴구멍을 형성하는 선메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재봉틀(1)에 의하면 다양한 솔기의 디자인이나 봉제방법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윗실·밑실 각각 다른 작동수단으로 실을 해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패널(100)을 통해 윗실·밑실 각각에 대해 윗실해방 타이밍(데이터 No.21), 밑실 해방 타이밍(데이터 No.22)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조건, 예를들면 옷감이나 실의 종류, 보턴구멍 사뜨기의 길이나 폭 등에 따라 솔기 안에 실단이 무리없이 깨끗하게 가려지도록 적절한 타이밍으로 실을 해방할 수 있어 더욱 더 봉제마무리가 좋아지게 된다.
덧붙여 도 16에 도시한 테이블(t1)을 기초로 봉제개시시에 회전수가 빠른 만큼 빠른 타이밍으로 실의 고정을 해제하므로 실제의 봉제상황도 고려하게 되어 더욱 더 봉제마무리가 좋다.
또 조작패널(100)을 통해 데이터 No. 23「봉제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천누름부(15)(15')에 대한 솔기형성위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천누름의 크기나 옷감(피봉제물)의 상태 등에 따라 천누름부에 대한 봉제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종래라면 천누름부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 경우라도 봉제위치의 변경만으로 적절한 봉제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덧붙여 연속봉제가 가능하고 조작패널(100)을 통해 데이터 No.17에서「2」이상의 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천누름부(15')와 같은 큰 천누름부를 이용하여 천누름부를 상승시키지 않고 여러개의 보턴구멍 사뜨기를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클 타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특히 테이블(t2)(도 17)에서 설정한 이종패턴 연속봉제에 따르면 다른 패턴의 보턴구멍 사뜨기를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다양한 디자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봉제후 조작레버(87)를 조작하여, 그 기계적인 동작을 전달하는 것으로 윗실·밑실을 절단하고, 그 후 윗실가위(80)의 이동에 솔레노이드(79), 윗실·밑실의 해방에 솔레노이드(76)(66)를 작동수단으로 이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윗실절단장치, 밑실절단장치에서의 각종 동작, 즉 실절단, 실절단 후의 이동, 실 해방의 전부를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해도 좋고, 그 때 하나의 솔레노이드로 2개이상의 동작을 행하는 구성을 취해도 좋다.
또 이종패턴 연속봉제의 경우, 보턴구멍 사뜨기와는 다른 봉제패턴, 예를들면 자수모양과 같은 봉제패턴도 포함하여 연속해서 봉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 2의 실시형태>
도 22 ~ 도 25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제 2실시예의 재봉틀은 주요구성은 제 1실시의 형태의 재봉틀(1)과 대략 같으며 윗실절단장치 및 밑실절단장치만 다르므로 다음에서는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윗실절단장치·밑실절단장치의 작동수단으로서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예를들면 다음의 윗실절단장치(200)·밑실절단장치(230)와 같이 펄스모터라도 좋다. 도 22 ~ 도 25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2 및 도 23과 같이 윗실절단장치(200)는 윗실가위(80)와, 펄스모터(201)를 구동원으로 하여 윗실가위(80)를 개폐함과 동시에 윗실가위(80)를 이동시키는 윗실가위 구동기구(202)를 구비한다.
윗실가위 구동기구(202)는 펄스모터(201), 레버(77)와, 캠기구(204)와, 윗실절단토대(205)와, 캠부재(207)(210)와, 래치캠(208)(211)과, 인장스프링(209)(212)을 구비한다.
암부(4)에 토대(203)가 배치되어 있고 토대(203)에 윗실가위 구동기구(202)가 부착되고 있다. 펄스모터(201)의 구동축(201a)은 토대(203)로부터 오른쪽을 향해 돌출하고 토대(203)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토대(203)의 하부 후단부에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회전토대(206)가 배치된다. 회전토대(206)에는 토대(203)에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된 윗실절단토대(205)의 후단부가 회전토대(206)에 대해 전후로 자유롭게 접동하도록 접속된다.
또 토대(203)의 왼쪽 면에는 캠부재(207)가 고정된다. 캠부재(207)의 앞단부에는 캠면(207a)이 형성된다.
또한 토대(203)의 왼쪽 면에는 갈고리모양으로 형성된 래치캠(208)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래치캠(208)에는 인장스프링(209)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인장스프링(209)의 타단부는 토대(203)에 연결하고 있다. 인장스프링(209)은 오른쪽에서 보아(도 23에 있어서)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래치캠(208)을 부세한다. 래치캠(208)의 하단부에 캠면(208a)이 형성된다.
한편 윗실절단토대(205)의 오른쪽 면에 캠면(210a)이 형성되는 캠부재(210)가 고정된다. 그리고 윗실절단토대(205)의 전후이동에 따라 캠면(210a)은 캠면(207a)에 대해 접리하게 된다.
또 윗실절단토대(205)의 왼쪽 면에 래치캠(211)은, 그 상단부에 형성된 캠면(211a)이 윗실절단토대(205)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되고 있다.
이 캠면(211a)과, 래치캠(208)의 캠면(208a)이 접촉한 상태에서 래치캠(211)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래치캠(208)은 인장스프링(209)의 부세력에 맞서 그 후단부를 중심으로 위쪽을 향해 회전한다. 그리고 결국에는 캠면(208a)과 캠면(211a)과의 접촉이 풀리고, 래치캠(211)의 오른쪽면에 래치캠(208)의 왼쪽 면이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윗실절단토대(205)의 중간부에는 윗실절단토대(205)를 오른쪽으로 부세하는 인장스프링(212)이 연결된다. 이 인장스프링(212)에 의해 윗실절단토대(205)는 회전토대(206)를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부세된다. 그러나 래치캠(211)의 오른쪽 면과 래치캠(208)의 왼쪽 면이 닿으면 윗실절단토대(205)의 오른쪽으로의 회전이 억지되게 된다.
또 제 1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레버(77)는 그 중간부에 있어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윗실절단토대(205)의 오른쪽 면에 부착된다. 레버(77)는 인장스프링(78)에 의해 뒤쪽으로 부세된다.
윗실절단토대(205)의 앞단부에 윗실가위(80)가 배치된다. 또한 윗실절단토대(205)의 앞단부에는 폐쇄판(25)이 배치된다.
또 펄스모터(201)의 구동축(201a)에는 캠기구(204)가 연결된다. 캠기구(204)는 구동축(201a)에 부착된 구동캠(213)과, 구동캠(213)에 부착된 전후캠팔(214) 및 가위캠팔(215)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캠(213)은 토대(203)의 우측에 배치된 대략 원반모양의 부재로서, 그 중 앙부가 상기 구동축(201a)에 고정되어 구동축(201a)과 함께 회전한다. 구동캠(213)에는 제 1캠구멍(213b)과 제 2캠구멍(213c)이 형성된다. 구동캠(213)에는 외측으로 나오도록 검출부(213a)가 형성되고, 이 검출부(213a)의 엣지(213d)를 센서(218)가 검출한다. 센서(218)는 엣지(213d)를 검출함으로써 구동캠(213)의 회전각도가 초기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이다.
전후캠팔(214)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그 중간부에 있어 토대(203)에 접속된다. 전후캠팔(214)의 상부에는 제 2캠구멍(213c)에 자유롭게 접동하도록 결합하는 캠플로어(214a)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핀(216)이 배치된다. 핀(216)은 윗실절단토대(205)에 형성되는 가늘고 긴 관통공(205a)에 자유롭게 접동하도록 결합한다. 가위캠팔(215)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그 중간부에 있어 토대(203)에 접속된다. 가위캠팔(215) 상부에는 제 1캠구멍(213b)에 자유롭게 접동하도록 결합하는 캠플로어(215a)가 배치되고, 가위캠팔(215)의 하부에는 레버(77)의 타단부에 근접하도록 핀(217)이 배치된다.
또한 도 22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정확하게는 제 1캠구멍(213b)과 제 2캠구멍(213c)의 각각은 구동캠(213)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원호로 이루어지는 캠홈과, 서서히 거리가 변화하는 원호로 이루어지는 캠홈이 여러개 연속하여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구동캠(213)이 펄스모터(201)에 구동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캠구멍(213b)과 제 2캠구멍(213c)에 끼워진 캠플로어(215a)(214a)는 구동캠(213)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거나 또는 떨어지거나 다가가거나 한다. 이 떨어지거나 다가갈 때 캠플로어(215a)(214a) 를 통해 가위캠팔(215), 전후캠팔(214)이 소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전후캠팔(214)의 회전에 의해 핀(216)을 통해 윗실절단토대(205)가 전후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또 가위캠팔(215)의 회전에 의해 핀(217)을 통해 레버(77)가 회전동작하게 된다.
다음 밑실절단장치(2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와 같이 밑실절단장치(230)는 제 1실시의 형태에 관한 밑실절단장치(50)와 거의 같은 구성인 밑실가위(52), 밑실용 폐쇄수단(240), 밑실용 해방수단(245)을 구비하고, 또한 구동수단(233)을 구비한다.
구동수단(233)은 펄스모터(231)와, 제 2구동캠(234)과, L자모양의 제 1링크팔(235)과, L자모양의 제 2링크팔(236)을 구비한다.
펄스모터(231)는 베드부(2)내부에 고정된 토대(232)(도 24에 있어서 도면 생략)의 밑면에 지지된다. 펄스모터(231)의 구동축(231a)은 토대(232)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하고 있고 토대(23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제 2구동캠(234)은 토대(232)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 2구동캠(234)은 거의 원반상의 부재로서, 그 중앙부(회전중심)가 구동축(231a)에 고정되고, 구동축(231a)과 함께 회전한다. 제 2구동캠(234)의 외주부에는 검출부(234a)가 형성되고, 이 검출부(234a)의 엣지(234d)를 센서(237)가 검출한다. 센서(237)는 엣지(234d)를 검출함으로써 제 2구동캠(234)의 회전각도가 초기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이다.
제 2구동캠(234)은 제 1캠구멍(234b)과 제 2캠구멍(234c)이 형성된다.
L자모양의 제 1링크팔(235)은 그 절곡부에 있어 상하방향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베드부에 부착된다. 제 1링크팔(235)의 일단부에는 제 1캠구멍(234b)에 자유롭게 접동하도록 결합하는 캠플로어(235a)가 배치된다. 그 타단부는 밑실용 폐쇄수단(240)의 링크부재(241)의 후단부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한다. 링크부재(241)의 앞단부는 밑실절단링크(242)의 일단부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한다.
L자형의 제 2링크팔(236)은 그 절곡부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베드부에 부착된다. 제 2링크팔(236)의 일단부에는 제 2캠구멍(234c)에 자유롭게 접동하도록 결합하는 캠플로어(236a)가 배치된다. 그 타단부는 밑실용 해방수단(245)의 링크부재(67)의 후단부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한다.
제 2구동캠(234)의 제 1캠구멍(234b) 및 제 2캠구멍(234c)의 각각은 도 25와 같이 구동캠(234)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캠홈과, 거리가 변화하는 캠홈이 여러개 연속하여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제 2구동캠(234)이 펄스모터(231)에 구동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캠구멍(234b)과 제 2캠구멍(234c)에 끼워진 캠플로어(235a)(236a)는 제 2구동캠(243)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거나 또는 떨어지거나 다가가거나 한다. 이 떨어지거나 다가갈 때 캠플로어(235a)(236a)를 통해 L자모양의 제 1링크팔(235), L자모양의 제 2링크팔(236)이 소정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제 1링크팔(235)의 회전에 의해 밑실가위(52)가 닫히고, 제 2링크팔(236)의 회전에 의해 밑실가위(52)가 벌어지게 된다.
다음에 윗실절단장치(200), 밑실절단장치(2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재봉틀의 봉제 중, 윗실절단장치(200)는 다음의 초기상태이다.
1. 엣지(213d)는 센서(218)에 의해 검지되고 펄스모터(201) 및 구동캠(213)은 초기상태의 회전위치에 있다. 캠플로어(214a), 캠플로어(215a) 각각은 제 2캠구멍(213c), 제 1캠구멍(213b)의 거의 중심에 위치한다.
2. 레버(77)는 인장스프링(78)의 부세력에 의해 뒤쪽에 위치한다. 또 윗실가위(80)는 소정의 대기위치에서 벌어진다.
3. 래치캠(211)의 오른쪽 면과 래치캠(208)의 왼쪽 면이 접촉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212)에 의한 윗실절단토대(205)의 오른쪽으로의 회전이 억지된다.
4. 캠부재(210)의 캠면(210a)은 캠부재(207)의 캠면(207a)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 밑실절단장치(230)는 다음의 초기상태이다.
1. 엣지(234d)는 센서(237)에 검지되고 펄스모터(231) 및 제 2구동캠(234)은 초기상태의 회전위치에 있다.
2. 캠플로어(235a), 캠플로어(236a)는 각각 제 1캠구멍(234b), 제 2캠구멍(234c)의 거의 중심(도 24의 S점, R점)에 위치한다.
3. 위메스(56)의 연출부(56b)는 바늘판대(51)의 테두리부(51b)에 접촉하지 않고 밑실가위(52)는 소정의 대기위치에 있어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봉제종료후에 펄스모터(201)가 정회전하면 구동캠(213)은 반시계방향(도 23의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하고, 캠플로어(215a)는 제 1캠구멍(213b)를 따라 접동하지만 이 때 캠플로어(215a)와 구동캠(213)의 중심과의 거리는 일정하여 가위캠팔(215)은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구동캠(213)의 회전에 의해 캠플로어(214a)는 제 2캠구멍(213c)을 따라 접동한다. 이 때 제 2캠구멍(213c)의 형상에 따라 구동캠(213)의 중심과 캠플로어(214a)와의 거리가 커진다. 따라서 캠플로어(214a)가 뒤쪽으로 이동하고, 전후캠팔(214)은 시계방향(도 23의 화살표 h)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핀(216)이 앞쪽을 향해 회전하고, 윗실절단토대(205)가 앞쪽으로 이동한다. 윗실절단토대(205)와 함께 래치캠(211)이 앞쪽으로 이동하면 래치캠(211)의 오른쪽 면과 래치캠(208)의 왼쪽 면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캠면(207a)과 캠면(210a)과의 거리도 커진다. 래치캠(211)의 오른쪽 면과 래치캠(208)의 왼쪽 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인장스프링(212)의 부세력에 의해 윗실절단토대(205)의 앞단부가 회전토대(206)를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으로 회전한다.
윗실절단토대(205)의 오른쪽으로의 회전에 의해 캠접촉부(86a)가 폐쇄판(25)에 접촉한다. 그리고 제 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윗실가위(80)가 닫히게 된다. 윗실가위(80)는 닫힘으로써 윗실을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한 윗실을 고정한다.
절단후 다시 구동캠(21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캠플로어(214a)와 구동캠(213)의 중심과의 거리는 일정하다. 따라서 전후캠팔(214)은 회전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윗실절단토대(205)의 앞쪽으로의 이동도 정지한다.
그 후 펄스모터(201)는 역회전하고, 펄스모터(201)의 구동축(201a)이 초기상태로 복귀하면 정지한다. 이 역회전에 의해 구동캠(213)이 시계방향(도 23의 화살표 j방향)으로 회전하고, 캠플로어(215a)를 통해 가위캠팔(215)은 회전하지 않지만 캠플로어(214a)를 통해 전후캠팔(214)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윗실절단토대(205)가 뒤쪽으로 이동한다.
윗실절단토대(205)와 함께 캠부재(210)가 뒤쪽으로 이동하면 캠면(210a)과 캠면(207a)이 접촉한다. 또한 윗실절단토대(205)와 함께 캠부재(210)가 뒤쪽으로 이동하면 캠부재(210) 및 캠부재(207)와의 접촉에 의해 윗실절단토대(205)의 앞단부가 인장스프링(212)의 부세력에 맞서 왼쪽으로 회전한다.
또 봉제종료 후 밑실절단장치(230)의 펄스모터(231)가 정회전하면 제 2구동캠(234)이 시계방향(도 24의 n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캠플로어(236a)는 제 2캠구멍(234c)을 따라 접동하지만 캠플로어(236a)와 제 2구동캠(234)의 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하므로 제 2링크팔(136)은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캠플로어(235a)는 제 1캠구멍(234b)을 따라 접동하고 제 1캠구멍(234b)의 형상에 따라 제 2구동캠(234)의 중심과 캠플로어(235a)와의 거리가 작아진다. 따라서 캠플로어(235a)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제 1링크팔(235)은 저면에서 보아(도 24의 상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링크팔(235)의 회전에 따라 밑실당김팔(6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아래메스(5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밑실당김팔(63)이 회전하면서 밑실을 아래메스(57)측으로 끌어당긴다. 한편 아래메스(57)의 회전에 의해 밑실가위(52)가 닫히고 당겨진 밑실을 절단하여 고정한다.
밑실절단 후 다시 제 2구동캠(23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이 때는 캠플로어(235a)와 제 2구동캠(234)의 회전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하여 제 1링크팔(235)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밑실가위(52)도 회전하지 않고 닫힌 상태에서 절단위치에 위치한다.
그 후 펄스모터(231)는 역회전하고, 펄스모터(231)의 구동축(231a)이 초기상태로 되돌아가면 정지한다. 펄스모터(231)가 역회전하면 제 2구동캠(23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캠플로어(236a)를 통해 제 2링크팔(236)은 회전하지 않지만 캠플로어(235a)를 통해 제 1링크팔(23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링크팔(235)의 회전에 따라 밑실가위(52)는 닫힌 상태에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어서 작업자에 의해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되면 재봉틀은 다음 사이클의 봉제를 개시한다. 봉제개시시, 펄스모터(201)는 역회전하고, 구동캠(213)은 시계방향(도 23의 j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시에는 캠플로어(214a)와 구동캠(213)의 회전중심과의 거리는 일정하므로 전후캠팔(214)은 회전하지 않고 윗실절단토대(205)도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캠플로어(215a)와 구동캠(213)의 회전중심과의 거리는 작아진다. 따라서 캠플로어(215a)는 뒤쪽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위캠팔(215)은 도 23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핀(217)이 앞쪽을 향해 이동한다. 더욱이 핀(217)이 레버(77)의 타단부를 앞쪽으로 밀고, 레버(77)가 인장스프링(78)에 맞서 반시계방향(도 2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레버(77)의 회전에 의해 개방캠부(77a)가 캠접촉부(86a)를 밀고 윗실가위(80)는 벌어져 윗실을 해방한다.
윗실해방 후 다시 구동캠(2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캠플로어(215a)와 구동캠(213)의 회전중심과의 거리는 일정하므로 가위캠팔(215)은 회전하지 않고 가위캠팔(215)은 레버(7)를 앞쪽으로 민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동시에 캠플로어(214a)도 제 2캠구멍(213c)을 따라 접동하지만 이 때 구동캠(213)의 회전중심과 캠플로어(214a)와의 거리는 작아진다. 이에 따라 전후캠팔(21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핀(216)이 뒤쪽을 향해 회전한다. 더욱이 윗실절단토대(205)와 함께 캠부재(210)가 뒤쪽을 향해 이동하고, 캠부재(207)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실절단토대(205)가 인장스프링(212)의 부세력에 맞서 왼쪽으로 회전한다.
윗실절단토대(205)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래치캠(211)의 캠면(211a)이 래치캠(208)의 캠면(208a)에 접촉한다. 또한 윗실절단토대(205)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캠면(211a)이 캠면(208a)을 밀고, 래치캠(208)이 그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전한다. 결국에는 래치캠(211)이 래치캠(208)의 왼쪽으로 이동하고, 캠면(211a)과 캠면(208a)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그 후 래치캠(208)은 인장스프링(209)의 부세력에 의해 그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이 윗실절단토대(205)의 왼쪽으로의 회전시에 래치캠(208)의 왼쪽 면과 래치캠(211)의 오른쪽 면이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201)의 역회전이 정지해도 윗실절단토대(205)의 오른쪽으로의 회전은 억지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윗실절단토 대(205)의 좌우위치는 초기상태와 같아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윗실가위(80)는 벌어진 상태에서 대기위치로 되돌아가 초기상태가 된다.
이어서 펄스모터(201)가 정회전하면 구동캠(21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캠플로어(215a)를 통해 가위캠팔(215)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위캠팔(215)은 레버(77)를 앞쪽으로 민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한편 캠플로어(214a)를 통해 전후캠팔(21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핀(216)이 앞쪽을 향해 회전한다. 더욱이 윗실절단토대(205)와 함께 캠부재(210)가 앞쪽을 향해 이동하고 결국에는 윗실절단토대(205)의 전후위치는 초기상태와 같은 위치가 된다.
또한 구동캠(2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캠플로어(214a)와 구동캠(213)의 회전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하므로 전후캠팔(214)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윗실절단토대(205)는 초기상태 그대로 이동하지 않고 윗실가위(80)도 대기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캠플로어(215a)를 통해 가위캠팔(21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핀(217)이 뒤쪽을 향해 회전한다. 이에 따라 레버(77)가 인장스프링(78)의 부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개방캠부(77a)가 캠접촉부(86a)로부터 멀어진다.
이어서 제어장치가 펄스모터(231)를 역회전 시키면 제 2구동캠(234)은 반시계방향(도 24의 m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시에 캠플로어(235a)와 제 2구동캠(234)의 회전중심과의 거리는 일정하므로 제 1링크팔(235)은 회전하지 않고 밑실가위(52)도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제 2구동캠(234)의 회전중심과 캠플로어(236a)와의 거리는 작아짐에 따라 제 2링크팔(236)은 저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링크팔(236)의 회전에 따라 작동팔(68)이 저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작동팔(68)의 선단부의 연출핀(68a)이 핀(56a)을 누른다. 이에 따라 위메스(56)가 회전하여 닫힌 상태의 밑실가위(52)가 벌어짐과 동시에 밑실을 푼다.
또한 제 2구동캠(23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때 캠플로어(236a)와 제 2구동캠(234)의 회전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하므로 제 2링크팔(236)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밑실가위(52)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펄스모터(231)가 정회전하면 제 2구동캠(23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캠플로어(235a)를 통해 제 1링크팔(235)은 회전하지 않고 밑실가위(52)도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캠플로어(236a)를 통해 제 2링크팔(236)은 저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링크팔(236)의 회전에 따라 작동팔(68)이 저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팔(68)의 연출핀(68a)과 핀(56a)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밑실절단장치(230)는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의 제 2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윗실절단장치(200)에는 펄스모터(201)를, 밑실절단장치(230)에는 펄스모터(231)를 배치하여, 이들 한 대의 모터로 실절단, 실의 고정 및 실의 해방을 행하도록 구성하며, 이들의 동작을 천이송 등 다른 기구와는 독립적으로 구동시켰다. 따라서 상술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작동수단으로서는 모터, 솔레노이드의 것을 도시했지만 그 외에 실린더 등을 들 수 있고, 또 윗실용, 밑실용 각각에 배치되어도 좋으며 하나의 작동수단을 양쪽의 해방에 이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효과를 들면 윗실가위에 의한 윗실의 해방과, 밑실가위에 의한 밑실의 해방의 각각을 행하기 위한 작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윗실·밑실의 해방은 종래와 같이 천이송 기구 등의 다른 기구와 연동하지 않고 독립된 구동원을 이용한다. 따라서 입력수단을 통해 봉제시작위치 및 봉제종료위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여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봉제시작위치와 봉제종료위치를 다른 위치가 되도록 솔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없는 봉제탈락은 없어지게 되어 그 만큼 외관이 좋아지고 봉제품질이 향상되며 사이클 타임도 단축할 수 있다.
또 이와같이 실 해방의 구동원과 천이송 기구를 따로 했기 때문에 봉제전에 천을 보내면서 보턴구멍을 형성하는 선메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디자인이나 봉제방법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윗실이 지나고, 주축의 회전에 의해 피봉제물에 대해 상하이동하는 바늘과,
    피봉제물의 아래쪽에 있어 밑실을 공급하는 북과,
    피봉제물을 누르는 천누름 수단과,
    보턴구멍의 주위에 사뜨기 솔기를 형성하도록 바늘과 천누름 수단중 한가지 이상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윗실을 절단하여 절단후의 윗실을 고정하는 윗실가위를 갖는 윗실절단수단과,
    밑실을 절단하여 절단후의 밑실을 고정하는 밑실가위를 갖는 밑실절단수단을 구비한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윗실가위에 의한 윗실고정의 해방과, 밑실가위에 의한 밑실고정의 해방의 각각을 행하기 위한 작동수단과,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로서 보턴구멍 사뜨기의 형상과 봉제시작위치 및 봉제종료위치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 기억된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를 읽어내어,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바늘과 천누름 수단중 한가지 이상을 이동시키고 봉제시작위치로부터 봉제종료위치까지 봉제한 후 윗실절단수단과 밑실절단수단을 작동시켜 윗실 및 밑실 각각을 절단, 고정 및 해방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통해 윗실가위 및 밑실가위에 의한 윗실 및 밑실 각각의 해방타이밍을 각각 따로 설정가능하며,
    제어수단은 설정된 해방타이밍을 기초로 작동수단을 구동하고, 봉제개시직후에 윗실 및 밑실 각각을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3. 제 2항에 있어서,
    주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주축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설정된 해방타이밍을 변경제어하여 윗실 및 밑실을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누름 수단은 피봉제물에 형성하는 보턴구멍 사뜨기를 둘러싸도록 피봉제물을 누르는 천누름부를 구비하고,
    입력수단을 통해 천누름부에 대한 보턴구멍 사뜨기의 위치를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누름 수단은 피봉제물에 형성하는 보턴구멍 사뜨기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봉제개소를 둘러싸도록 피봉제물을 누르는 천누름부를 구비하고,
    입력수단을 통해 여러개의 봉제개소를 설정가능함과 동시에 여러개의 봉제개소의 각 봉제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설정가능하며,
    제어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바늘과 천누름 수단중 한가지 이상을 이동시키면서 여러개의 봉제개소를 연속하여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6. 제 4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입력수단을 통해 여러개의 다른 보턴구멍 사뜨기 솔기의 패턴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종패턴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이종패턴 보턴구멍 사뜨기 데이터를 기초로 여러종류의 보턴구멍 사뜨기를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KR1020020009201A 2001-02-23 2002-02-21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KR100843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48891 2001-02-23
JPJP-P-2001-00048891 2001-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33A KR20020069133A (ko) 2002-08-29
KR100843364B1 true KR100843364B1 (ko) 2008-07-02

Family

ID=1891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201A KR100843364B1 (ko) 2001-02-23 2002-02-21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43364B1 (ko)
CN (1) CN1213184C (ko)
CZ (2) CZ303869B6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697B1 (ko) 2007-03-06 2010-09-24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9792B2 (ja) * 2006-10-30 2012-03-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鳩目穴かがりミシン及び、鳩目穴かがりミシンプログラム
CZ2016184A3 (cs) * 2016-03-31 2017-10-11 Amf Reece Cr, S.R.O. Způsob a zařízení k šití šikmých knoflíkových díre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635A (ja) * 1991-05-27 1993-05-14 Brother Ind Ltd 穴かがりミシン
JP2000024346A (ja) * 1999-07-02 2000-01-25 Juki Corp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1038079A (ja) * 1999-07-28 2001-02-13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装置
KR100402537B1 (ko) * 1998-05-25 2003-10-22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단추구멍 재봉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53017A (ko) * 1956-02-17 1956-12-15
GB888971A (en) * 1958-04-28 1962-02-07 Sdruzeni Podniku Textilniho St Device for sewing button-holes
US4055130A (en) * 1976-02-17 1977-10-25 The Singer Company Bight stop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DE8313114U1 (de) * 1983-05-04 1983-09-29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Knopflochnaehmaschine mit einer fadenklemmvorrichtung fuer den nadelfaden
CS261976B1 (cs) * 1987-01-05 1989-02-10 Frantisek Prudil Způsob zhotovování knoflíkové dírky s odstřiženým koncem alespoň jedné niti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způsobu
CN2128638Y (zh) * 1992-07-24 1993-03-24 黄阮黔 通用圆头锁眼器
DE19801226C1 (de) * 1998-01-15 1999-08-12 Duerkopp Adler Ag Fadenabschneidvorrichtung für eine Augenknopflochnähmaschine
DE19807772C2 (de) * 1998-02-24 2001-02-22 Duerkopp Adler Ag Augenknopfloch-Nähmaschine
JPH11319349A (ja) * 1998-05-19 1999-11-24 Juki Corp 針振りミシン
DE19828788C1 (de) * 1998-06-27 1999-09-30 Duerkopp Adler Ag Augenknopfloch-Nähmaschine
CZ9900746A3 (cs) * 1999-03-04 2001-01-17 Amf Reece Cr, A.S. Zařízení pro sevření odstřižené spodní nitě na dírkovacím šicím stroji
JP4286963B2 (ja) * 1999-04-28 2009-07-01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針振り装置
CZ228799A3 (cs) * 1999-06-23 2000-01-12 Dürkopp Adler AG Šicí stroj k obšívání knoflíkových dírek s očkem
JP2001038083A (ja) * 1999-08-03 2001-02-13 Brother Ind Ltd 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ボタン穴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635A (ja) * 1991-05-27 1993-05-14 Brother Ind Ltd 穴かがりミシン
KR100402537B1 (ko) * 1998-05-25 2003-10-22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단추구멍 재봉기
JP2000024346A (ja) * 1999-07-02 2000-01-25 Juki Corp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1038079A (ja) * 1999-07-28 2001-02-13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697B1 (ko) 2007-03-06 2010-09-24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02666A3 (cs) 2003-12-17
KR20020069133A (ko) 2002-08-29
CZ304418B6 (cs) 2014-04-23
CN1213184C (zh) 2005-08-03
CN1372029A (zh) 2002-10-02
CZ303869B6 (cs)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4769B2 (ja) 穴かがりミシン
JP2002355453A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KR100843364B1 (ko)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TWI454602B (zh) Sewing machine
JP4530526B2 (ja) 糸切り装置
JP3940588B2 (ja) 穴かがりミシンの下糸切断装置
JP4416983B2 (ja)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3897641B2 (ja) ミシン
JPS62101285A (ja) ミシン
JP4108997B2 (ja)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TW567262B (en) Buttonhole sewing machine
JP2000061184A (ja) 2本針ミシンおよび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JP4316069B2 (ja)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4920840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4404974B2 (ja)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JP4219651B2 (ja) ミシンの糸保持装置
JPH0260686A (ja) 零送り設定スタートミシン
JP4739587B2 (ja) ボタン付け用ミシン
JP5059264B2 (ja)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H0510796Y2 (ko)
JP2873128B2 (ja) ミシン
JPH05293277A (ja) ミシン
JP2001224875A (ja) ボタン付けミシンのボタン浮かし装置
JP2006255092A (ja) ミシン
JPH01230388A (ja) 自動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