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022B1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022B1
KR100807022B1 KR1020070078345A KR20070078345A KR100807022B1 KR 100807022 B1 KR100807022 B1 KR 100807022B1 KR 1020070078345 A KR1020070078345 A KR 1020070078345A KR 20070078345 A KR20070078345 A KR 20070078345A KR 100807022 B1 KR100807022 B1 KR 10080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tton
display
user
cellula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030A (ko
Inventor
히로야스 하마무라
요시따까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절첩 상태의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다양한 종류의 설정과 선택과 제어가 수행될 수 있고 휴대폰이 증진된 조작성과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조작부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의 보조 표시측 상의 표면에 배열된다. 휴대폰(1)은 절첩 상태에서 제2 몸체(3)에 대향된 제1 몸체(2)의 표면에 있는 제1 표시부(5)를 포함하며, 제1 표시부(5)로부터 떨어진 제1 몸체(2)의 이면에 배열된 제2 표시부(20), 영상 촬영부(21) 및 복수개의 조작부(23, 24a, 24b)를 포함한다.
휴대폰, 제1 몸체, 제2 몸체, 제1 표시부, 제2 표시부, 영상 촬영부, 조작부

Description

휴대폰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사진 촬영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이하,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휴대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휴대폰의 형상은 대략 세 가지 유형, 즉 직선형, 플립형 및 클램셸(clamshell)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클램셸형 휴대폰은 절첩될 때 작은 크기로 될 수 있어서 이에 대한 요구가 다른 유형의 휴대폰보다 높다.
최근, 주 액정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이면 상에 액정 보조 표시부가 마련된 이런 휴대폰이 출시되었으며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폰도 나와 있다.
도17은 카메라를 구비한 종래의 클램셸형 휴대폰(100)(2002년 1월 출시. 제조자: 샤프 가부시키 가이샤, 모델명: SH251i)의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휴대폰(100)은 제1 몸체(101)와 제2 몸체(102)를 포함한다. 제1 몸체(101)와 제2 몸체(102)는 힌지(103)를 거쳐 서로 연결되며 절첩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힌지(103) 둘레에서 상호 회전 가능하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에는 제1 몸체(101)에 제1 표시부(104)가 마련된다. 제1 표시부(104)는 제1 표시부(104)가 절 첩 상태에서 휴대폰(100)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제1 표시부(104)(즉, 주 표시부)는 액정 표시부나 EL 표시부를 포함하며 몸체 내에 배열된 제1 표시 구동부를 거쳐 전송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휴대폰(100)에는 제1 몸체(101)의 이면에 안테나부(105)와 나선부(106)가 마련된다. 휴대폰(100)에는 제1 몸체(101)의 측면에 카메라 기능을 위한 제2 셔터 버튼(107)이 마련된다. 휴대폰(100)에는 또한 그 상부에 통화에 사용되는 제1 확성 스피커(108)가 마련된다.
개폐 검출기(109)는 휴대폰(100)이 절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이다. 소형 돌기(109a)가 힌지(103)에 가깝게 제1 몸체(101)의 하부에 형성되며 소형 개구(109b)가 힌지(103)에 가깝게 제2 몸체(102)의 상부에 형성된다. 검출 스위치(도시 안됨)가 개구(109b) 내에 배열된다. 개폐 검출기(109)는 돌기(109a)와 개구(109b)와 검출 스위치를 포함한다. 휴대폰(100)이 절첩될 때 제1 몸체(101) 상의 돌기(109a)는 제2 몸체(102)의 개구(109b)로 들어가서 검출 스위치(도시 안됨)를 작동함으로써 몸체 내에 배열된 제어부가 휴대폰(100)이 절첩되었는지를 검출한다.
이하, 종래 휴대폰(100)의 제2 몸체(10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 버튼부(110)는 숫자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를 포함한다. 기능 버튼 그룹(111)은 휴대폰에서 다양한 종류의 설정과 기능 선택을 달성하기 위한 버튼 그룹이다.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버튼(112)과 후술할 카메라 기능을 위한 제1 셔터 버튼(113)과 메일 기능 및 안내 표시를 위한 메일/안내 버튼(114)과 호출 및 스피커 수신을 개시하기 위한 호출 및 스피커 수신 버튼(115)과 기능 선택 스크린에 대한 결정뿐만 아니라 업(up)/다운(down) 및 좌/우 선택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4방향 버튼 및 결정 버튼으로 구성된 다중 안내 버튼(116)이 있다. 제2 몸체(102)에는 그 하부에 통화 마이크로폰(117)이 마련된다.
종래의 휴대폰에서, 힌지(103), 기능 버튼 그룹(111), 입력 버튼 그룹(110) 및 통화 마이크로폰(117)은 제2 몸체 상에 연속해서 배열된다.
도18은 도17에 도시된 휴대폰(100)의 이면측의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9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100)의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0은 절첩 상태의 휴대폰(100)의 외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1 몸체(101)의 이면에는 제2 표시부(120), 카메라부(121), 광원부(121) 및 상술한 안테나부(105)가 마련된다.
제2 표시부(120)는 휴대폰(100)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위치를 차지하도록 배열된다. 제2 표시부(120)(보조 표시부)는 액정 표시부 또는 EL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2 표시부(120)는 몸체에 배열된 제2 표시부 구동부를 거쳐 전송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카메라부(121)는 이미징 렌즈, CCD(Charge Coupled Device) 영상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onductor) 영상 센서와 같은 이미징 소자 및 RGB(즉 삼색 컬러)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21)에서, 컬러 필터는 대상에 의해 반사되어 이미징 렌즈를 거쳐 전달된 광으로부터 RGB로 된 삼색광을 생성한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21)는 휴대폰(100)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위치를 차지하도록 배열된다.
광원부(122)는 카메라부(121)로 영상을 촬영할 때 보조 광원으로서 사용된 다. 일반적으로, 많은 종류의 종래 보조 광원은 크세논 튜브를 이용한다. 그러나, 최근 몇몇 종류의 보조 광원은 화이트 광을 발광하기 위해 동시에 턴-온되는 레드, 그린 및 블루 LED를 이용한다.
제2 몸체(102)에는 이면에 배터리를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부(123)와 울림 음조를 작동하기 위한 제2 스피커(124)가 마련된다.
이하, 도21a 및 도21b를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폰(100)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1a는 대상의 사진을 촬영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촬영자는 휴대폰(100)을 개방해서 카메라부(121)를 대상으로 향하게 하고 제1 표시부(104)를 파인더(finder)로 사용한다. 도21b는 촬영자가 촬영자 자신의 사진을 촬영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이 경우, 촬영자는 촬영자가 촬영될 사진을 보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파인더로서 제2 표시부(120)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휴대폰은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방지하기 위해 근원 영상을 측방향으로 역전시킴으로써 제2 표시부(120) 상에 반사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자는 제1 몸체(101)의 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셔터 버튼(113)이나 제2 셔터 버튼(107)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도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자는 절첩 상태로 휴대폰(100) 상의 제2 셔터 버튼(107)을 조작함으로써 사진을 촬영한다. 그러나, 사진은 개방 상태의 휴대폰(100)에 의해서도 촬영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촬영자는 제1 몸체(101)의 측면 상에 배열된 제2 셔터 버튼(107)을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카메라를 구비한 클램셸형 휴대폰 에서도, 사용자가 보조 표시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선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거나 바람직하다.
클램셸형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제1 몸체(101)의 측면 상에 배열된 셔터 버튼(107)을 제외한 입력부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없다. 카메라 모드에서, 보조 표시부(120)는 단지 파인더로서 사용된다. 대기 모드에서, 보조 표시부(120)는 대기 스크린, 시계, 메일 도착 등을 표시한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개방 상태의 휴대폰을 조작하는 사용자에 의해 보조 표시부(120) 상의 자동 표시를 위해 사전 설정된 것들이거나 항목일 뿐이다.
따라서, 촬영자가 예컨대 카메라 모드에서 카메라부(121) 옆에 배열된 광원부(122)로부터의 광량을 제어하고자 할 때, 휴대폰을 개방해서 주 표시부(104) 상에 표시된 제어된 광량을 보면서 제2 몸체(102) 상의 키이를 조작해야만 한다. 마찬가지로, 대기 스크린이나 시계 표시를 설정하기 위해, 촬영자는 휴대폰을 개방해서 주 표시부(104)를 보면서 이런 설정을 수행해야만 한다. 또한, 보조 표시부(120)가 메일의 도착을 표시할 때, 촬영자는 메일의 내용을 읽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해서 주 표시부(104)를 봐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는 절첩 상태에서 휴대폰의 외면 상에 위치되지만, 이런 표시를 위한 조작은 휴대폰을 개방한 후에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는 번거로운 조작이다.
절첩 상태의 휴대폰의 몸체의 방향은 개방 상태의 몸체 방향에서 역전된다. 사용자가 휴대폰의 상태를 예컨대 절첩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할 때, 사용자는 손 위에 있는 휴대폰의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조 표시부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제1 몸체 및 제2 몸체와 제1 몸체 및 제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1 몸체 및 제2 몸체가 서로에 대해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을 제공한다.
휴대폰은 또한 절첩 상태에서 제2 몸체에 대향된 제1 몸체의 표면 상에 배열된 제1 표시부를 포함한다.
휴대폰에는 또한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몸체의 이면에 제2 표시부와 영상 촬영부와 휴대폰의 절첩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조작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서 사용되는 제2 표시부 및 복수개의 조작부가 절첩 상태의 휴대폰의 외측 상에 배열된다. 이로써,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제어량 변경 등 뿐만 아니라 영상 촬영 기능 선택과 제2 표시부 상에서의 표시 선택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절첩된 휴대폰 상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개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광의 강도와 광량과 같은 제어량의 변경뿐만 아니라 카메라 작동, 광원부 턴-온 및 그림 문자 표시 선택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폐쇄 상태의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제어량의 선택이나 변경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제2 표시부는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는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조건의 제어 및 촬영된 영상의 처리가 상술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촬영 조건의 제어 및 촬영된 영상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양호하게는, 조작부중 하나는 셔터 버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중 하나는 셔터 버튼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촬영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셔터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 절첩된 휴대폰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조작부는 촬영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촬영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촬영 조건을 제어하기 위해 조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된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촬영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조작부는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하기 위해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된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조작부는 제어 버튼 및 조작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제어 버튼 및 조작 버튼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촬영 조건을 제어하고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하기 위해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과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휴대폰의 이면 상의 다른 위치에 각각 배열할 필요가 없으며 양 버튼으로서 기능하는 버튼을 배열하기만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버튼 및 조작 버튼 모두로서 기능하는 버튼은 휴대폰의 크기와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으며, 이로써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많은 경우, 제어 버튼과 조작 버튼은 유사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 버튼(전진(forward) 버튼) 및 "-" 버튼(후진(backward) 버튼)으로서 사용되며, 이로써 이중 또는 다중 목적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영상 촬영부와 동일한 표면 상에 위치된 조명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작부가 단기간 동안 눌려지면, 조명부는 누르는 동안에만 발광 한다. 조작부가 소정 시간보다 장기간 동안 계속해서 눌려지면, 조명부는 그 모드를 연속-온 모드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가 단기간 동안 눌려지면, 조명부는 누르는 동안에만 발광한다. 이것이 장기간 동안 계속 눌려지면, 조명부는 그 상태를 연속-온 상태로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를 단기간 동안 또는 장기간 동안 누름으로써 조명부의 온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단기간 누르는지 또는 장기간 누르는지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제어가 선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작 버튼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서 휴대폰의 크기 및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다양한 광 컬러의 광을 발광하고 영상 촬영부와 동일한 표면 상에 배열된 조명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작부가 단기간 동안 눌려지면, 광 컬러는 변경된다. 조작부가 소정 시간보다 장기간 동안 계속해서 눌려지면, 조명부는 그 모드를 연속-온 모드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단기간 동안 누르면, 광 컬러는 변경된다. 사용자가 조작부를 장기간 동안 누르면, 모드는 그 모드를 연속-온 모드로 변경한다. 따라서, 조명부의 광 컬러 및 온/오프 선택이 조작부를 단기간 동안 누르는지 장기간 동안 누르는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또한, 단기간 누르는지 장기간 누르는지에 따른 제어를 선택함으로써, 조작 버튼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많은 종류의 제어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휴대폰의 크기와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조명부 및 조명 광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조작부는 조명부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광량 제어 버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조명부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광량 제어부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량 제어 버튼을 조작함으로서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절첩된 휴대폰 상에서 조명부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서로 다른 컬러의 복수개의 LED로 형성된 조명부와 조명부에서 발광하는 LED를 변경하는 광 컬러 변경부를 포함한다. 조작부는 조명부의 광 컬러를 변경하기 위한 광 컬러 변경 버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조명부의 광 컬러를 변경하기 위한 광 컬러 변경 버튼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광 컬러 변경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광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절첩된 휴대폰 상에서 조명부의 광 컬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전화 착신 이력을 저장하는 전화 착신 이력 저장부를 포함한다. 조작부는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전화 착신을 다른 전화 착신 이력으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전화 착신 이력을 다른 전화 착신 이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된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전화 착신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 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제2 표시부 상에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작부는 다른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선택해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다른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선택해서 표시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그 내용이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수신된 메일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텔레비젼 튜너 및 텔레비젼 신호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표시부는 텔레비젼 신호 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조작부는 텔레비젼 방송파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채널 선택 버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는 텔레비젼 신호 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조작부는 텔레비젼 방송파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채널 선택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수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2 표시부 상에서 텔레비젼을 시청할 때에도, 사용자는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하거나 숫자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절첩 상태를 유지하면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작부는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조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절첩 상태에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할 때, 사용자는 숫자 버튼 등을 조작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하기 않고도 재생될 노래나 선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작부는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 버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 버튼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부에 의해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음량을 제어하기 위해 절첩 상태에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할 때, 사용자는 휴대폰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면서 음량을 변경할 수 있고 숫자 버튼 등을 조작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할 필요가 없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복수개의 조작부는 제어 항목 선택부 및 제어량 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항목 선택부 및 제어량 선택부뿐만 아니라 제2 표시부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의 외측 상에 배열된다.
이로써,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제2 표시부에 의한 촬영 기능의 선택과 표시 선택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항목 선택, 다양한 종류의 제어량의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제어 항목 선택부를 조작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예컨대 광량 및 휘도 제어와 같은 제어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량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할 필요가 없으며, 휴대폰 제어량은 폐쇄 상태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제2 표시부는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표시한다. 복수개의 조작부는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메일의 내용을 종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 버튼과 다른 수신 메일의 내용을 선택해서 표시하기 위한 선택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은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몸체의 이면에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제2 표시부와 영상 촬영부와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메일의 내용을 종방향 및 측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게 하는 스크롤 버튼과 다른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선택해서 표시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 마련된다. 이로써,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제2 표시부 상의 메일을 표시할 수 있고 메일의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메일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폰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면서 메일을 점검하고 표시함으로써 메일의 내용을 읽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표시부 상의 메일을 읽고 숫자 버튼 등으로 판독될 메일을 선택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할 필요가 없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안테나, 텔레비젼 튜너 및 텔레비젼 신호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표시부는 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한다. 복수개의 조작부는 제2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텔레비젼 선택파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버튼과 음량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은 안테나, 텔레비젼 튜너 및 텔레비젼 신호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몸체의 이면에 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제2 표시부, 영상 촬영부,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텔레비젼 신호파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버튼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 버튼이 마련된다. 따라서,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제2 표시부는 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각 채널 버튼과 음량 버튼을 사용해서 채널과 음량을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개의 조작부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조작하기 위한 재생 조작부와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은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부를 포함하며,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몸체의 이면에 제2 표시부, 영상 촬영부, 오디오데이터의 재생을 조작하기 위한 재생 조작부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 버튼이 마련된다. 따라서,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재생 조작부와 음량 제어부를 조작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및/또는 기록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제2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제어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제어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할 필요가 없으며 절첩된 휴대폰의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제어량을 눈으로 점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복수개의 조작부는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촬영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 모드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촬영 모드는 복수개의 조작부로 촬영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의 제2 표시부를 보면서,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휘도, 광량 및/또는 광 컬러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렇게 제어된 양호한 조건 하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휴대폰은 절첩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양호하게는, 복수개의 조작부는 카메라 촬영 모드의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촬영된 영상을 가공하는 가공 모드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의 카메라 촬영 모드는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복수개의 조작부를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절첩 상태에 있는 휴대폰의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는 제2 표시부를 보면서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복수개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복수개의 조작부는 제1 결정 버튼, 제2 결정 버튼 및 제3 결정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작부는 제1 결정 버튼, 제2 결정 버튼 및 제3 결정 버튼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 개의 버튼을 사용함으로써, 제2 표시부 상에서 예컨대 촬영 기능의 선택과 표시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선택과, 다양한 제어량의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복수개의 조작부는 결정 버튼, 우 버튼 및 좌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작부는 결정 버튼, 좌 버튼 및 우 버튼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들 버튼을 사용함으로써, 제2 표시부 상에서 예컨대 촬영 기능 선택과 표시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선택과 다양한 제어량의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복수개의 조작부는 제1 결정 버튼, 제2 결정 버튼, 제3 결정 버튼, 제4 결정 버튼 및 제5 결정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작부는 제1 결정 버튼, 제2 결정 버튼, 제3 결정 버튼, 제4 결정 버튼 및 제5 결정 버튼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들 다섯 개의 버튼을 사용함으로써, 제2 표시부 상에서 예컨대 촬영 기능 선택과 표시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선택과 다양한 제어량의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복수개의 조작부는 결정 버튼, 업 버튼, 다운 버튼, 우 버튼 및 좌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작부는 결정 버튼, 업 버튼, 다운 버튼, 우 버튼 및 좌 버튼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들 버튼을 사용함으로써, 제2 표시부 상에서 예컨대 촬영 기능 선택과 표시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선택과 다양한 제어량의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영상 촬영부, 제2 표시부 및 복수개의 조작부가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몸체의 이면에 배열되며, 연결부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시작해서 영상 촬영부, 제2 표시부 및 복수개의 조작부의 순서로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는 영상 촬영부 및 조작부 사이에 어느 정도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영상 촬영부와 조작부(예컨대, 버튼) 사이에 배열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촬영 조작시 버튼을 누르기 위해 움직인 손으로 영상 촬영부를 우연히 덮는 것과 같은 상황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줌 설정과 같은 촬영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설정을 수행할 때 영상 촬영부의 위치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각각의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영상 촬영부를 만짐으로써 렌즈와 같은 부품을 긁거나 먼지가 부착 되는 것과 같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휴대폰의 내구성은 개선될 수 있고 그 성능은 유지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휴대폰은 절첩 상태에서 제1 몸체에 대향된 제2 몸체의 표면 상에 배열된 복수개의 숫자 버튼과 복수개의 조작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첩 상태의 휴대폰은 절첩 상태에서 제1 몸체에 대향된 제2 몸체의 표면 상에 위치된 복수개의 숫자 버튼과 복수개의 조작 버튼을 포함하며,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몸체의 이면 상에 위치된 제2 표시부와 영상 촬영부와 복수개의 조작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절첩 상태로 유지할 때, 복수개의 숫자 버튼과 조작 버튼은 복수개의 조작부와 동일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절첩 상태에서 휴대폰을 조작한 후 사용자가 휴대폰을 개방하기만 하더라도 버튼이 마련된 몸체 표면은 사용자쪽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으로 그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도 휴대폰을 매끄럽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제2 표시부와 복수개의 조작부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의 외측 상에 배열된다. 이로써, 휴대폰이 절첩 상태로 유지될 때에도, 사용자는 제2 표시부 상에서 영상 촬영 기능의 선택과 표시 선택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카메라의 작동, 광원부의 턴-온, 그림 문자 표시의 선택과 같은 복수개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부 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의 폐쇄 상태에서 선택될 수 있는 기능이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음으로 해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는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촬영 조건을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가공하기 위해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촬영 조건을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중 하나는 셔터 버튼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렇게 형성된 셔터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촬영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절첩 상태의 휴대폰으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제2 표시부와 셔터 버튼은 동일한 표면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진 촬영을 하기 위해 셔터 버튼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촬영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촬영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촬영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하기 위해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제2 표 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제어 버튼과 조작 버튼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촬영 조건을 제어하고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하기 위해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과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휴대폰의 이면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열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양 버튼으로서 기능하는 버튼을 배열하기만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버튼 및 조작 버튼 모두로서 기능하는 버튼은 휴대폰의 크기와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으며, 이로써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제어 버튼과 조작 버튼은 유사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 버튼(전진 버튼) 및 "-" 버튼(후진 버튼)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독립 버튼을 이용할 경우와 비교해 볼 때, 상술한 이중 또는 다중 목적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따라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단기간 동안 누를 때, 조명부는 단지 누르는 동안만 발광한다. 사용자가 조작부를 장기간 동안 계속해서 누를 때, 조명부는 그 모드를 연속-온 상태로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기간 동안 또는 장기간 동안 조작부를 누름으로써 조명부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서로 다른 종류의 제어가 단기간 누르는지 장기간 누르는지에 따라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버튼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휴대폰 의 크기와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단기간 동안 누르면, 조명부는 광 컬러를 변경한다. 사용자가 조작부를 장기간 동안 누르면, 조명부는 그 모드를 연속-온 모드로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를 단기간 동안 누르는지 장기간 동안 누르는지에 따라 조명부의 광 컬러의 선택과 턴-온/오프를 선택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또한, 단기간 누름과 장기간 누름에 따른 제어를 선택함으로써, 조작 버튼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많은 종류의 제어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휴대폰의 크기 및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조명부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광량 제어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량 제어 버튼을 조작함으로서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절첩된 휴대폰 상에서 조명부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조명부의 광 컬러를 변경하기 위한 광 컬러 변경 버튼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광 컬러 변경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광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절첩된 휴대폰 상에서 조명부의 광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전화 착신 이력을 다른 전화 착신 이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된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전화 착신 이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다른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선택해서 표시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그 내용이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수신 메일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는 텔레비젼 신호 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조작부는 텔레비젼 방송파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채널 선택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수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2 표시부 상에서 텔레비젼을 시청할 때에도, 사용자는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해서 숫자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절첩 상태를 유지하면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결국,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절첩 상태에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할 때, 사용자는 숫자 버튼 등을 조작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재생될 노래나 선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 버튼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부로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음량을 제어하기 위해 절첩 상태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할 때, 사용자는 휴대폰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면서 음량을 변경할 수 있고, 숫자 버튼 등을 조작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할 필요가 없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은 절첩 상태의 휴대폰의 외측 상에 배열된 제2 표시부, 제어 항목 선택부 및 제어량 선택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촬영 기능 및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의 선택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항목 선택, 다양한 종류의 제어량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예컨대 광량 및 휘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제어 항목 선택부를 조작할 수 있으며 제어량을 변경하기 위해 제어량 선택부를 조작할 수 있다. 제어 항목의 선택은 제어량의 선택에 대해 독립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것들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제어 항목의 선택 및 제어량의 변경은 휴대폰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런 조작을 위해 휴대폰을 개방할 필요가 없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는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폰에 의해 촬영되고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영상을 보면서 다양한 종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 도, 사용자는 다양한 제어 항목의 선택, 제어량의 변경,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위한 가공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에는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진 제1 몸체의 이면에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제2 표시부와 영상 촬영부와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메일의 내용을 종방향 및 측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게 하는 스크롤 버튼과 다른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선택해서 표시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 마련된다. 이로써,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제2 표시부 상에 메일을 표시할 수 있고 메일에 대한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메일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폰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면서 제2 표시부 상에서 메일을 점검하고 표시함으로써 메일의 내용을 읽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표시부 상의 메일을 읽고 숫자 버튼 등으로 읽을 메일을 선택하기 위해 휴대폰을 개방할 필요가 없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은 안테나, 텔레비젼 튜너 및 텔레비젼 신호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몸체의 이면에 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제2 표시부, 영상 촬영부,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텔레비젼 신호파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버튼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 버튼이 마련된다. 따라서,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제2 표시부는 텔레비젼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각 채널 버튼과 음량 버튼을 사용해서 채널과 음량을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은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부를 포함하며,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몸체의 이면에 제2 표시부, 영상 촬영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조작하기 위한 재생 조작부 및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 버튼이 마련된다. 따라서,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재생 조작부와 음량 제어부를 조작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및/또는 기록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제어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할 필요가 없으며, 절첩된 휴대폰의 제2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제어량을 시각적으로 점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조작부는 사용자가 절첩 상태로 유지되는 휴대폰 상에서 제어량을 보면서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동일 표면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의 카메라 촬영 모드는 복수개의 조작부로 촬영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첩 상태에서 휴대폰의 제2 표시부를 보면서,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의 휘도, 광량 및/또는 광 컬러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렇게 제어된 양호한 조건 하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절첩 상태를 유지하면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의 카메라 촬영 모드는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복수 개의 조작부를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절첩 상태에 있는 휴대폰의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는 제2 표시부를 보면서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복수개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기 전에 제2 표시부를 보면서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폰은 사용자에 의해 영상 제어되고 가공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 직후 촬영된 영상을 제어 및/또는 가공하고자 할 때, 영상 제어 및/또는 가공하기 위해 이미 저장된 영상을 읽는 것과 같은 조작이 필요없게 됨으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작부는 제1 결정 버튼, 제2 결정 버튼 및 제3 결정 버튼을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예컨대 절첩 상태의 휴대폰 상에서 촬영 기능의 선택과 제2 표시부 상의 표시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기능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카메라의 동작, 광원부 턴-온 및 그림 문자 표시의 선택과 같은 복수개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결정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의 폐쇄 상태에서 선택될 수 있는 기능은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음으로 해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작부는 결정 버튼, 우 버튼 및 좌 버튼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에도 촬영 조건을 제어하 거나 제2 표시부의 표시 설정을 선택할 때 우 버튼과 좌 버튼을 사용함으로써 제어량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우 및 좌 버튼뿐만 아니라 결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어량 설정의 선택과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량을 휴대폰의 폐쇄 상태에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음으로 해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작부는 제1 결정 버튼, 제2 결정 버튼, 제3 결정 버튼, 제4 결정 버튼 및 제5 결정 버튼을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예컨대 촬영 기능의 선택과 제2 표시부 상에서의 표시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에도 다양한 기능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결정 버튼, 제2 결정 버튼, 제3 결정 버튼, 제4 결정 버튼 및 제5 결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메뉴 모드의 선택, 키이-로크 상태의 설정, 광원부의 턴-온/오프, 카메라의 작동, 광원부의 턴-온, 그림 문자 표시의 선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이 폐쇄된 상태에서 선택될 수 있는 기능이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음으로 해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작부는 결정 버튼, 업 버튼, 다운 버튼, 우 버튼 및 좌 버튼을 포함한다. 이로써,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에도, 사용자는 제어 항목이 업 버튼 및 다운 버튼으로 선택되고 제어량이 우 버튼 및 좌 버튼 으로 변경되고 이렇게 이루어진 변경이 결정 버튼으로 결정되는 방식으로 촬영 조건을 제어할 수 있고 제2 표시부에 의한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업 또는 다운 버튼, 우 또는 좌 버튼 및 결정 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이로써 제어 또는 설정을 위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량을 변경할 수 있고 변경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량이 휴대폰이 폐쇄된 상태에서 변경될 수 있는 기능이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음으로 해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설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은 제어량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에 대해 독립적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설정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표시부는 영상 촬영부 및 각각의 버튼들 사이에 어느 정도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영상 촬영부와 버튼들 사이에 배열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촬영 조작시 버튼을 누르기 위해 움직인 손으로 영상 촬영부를 우연히 덮는 것과 같은 상황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줌 설정과 같은 촬영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설정을 수행할 때 영상 촬영부의 위치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각각의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영상 촬영부를 만짐으로써 렌즈와 같은 부품을 긁거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휴대폰의 내구성은 개선될 수 있고 그 성능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첩 상태의 휴대폰은 절첩 상태에서 제1 몸체에 대향된 제2 몸체의 표면 상에 위치된 복수개의 숫자 버튼과 복수개의 조작 버튼을 포함하 며, 제1 표시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몸체의 이면 상에 위치된 제2 표시부와 영상 촬영부와 복수개의 조작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절첩 상태로 유지할 때, 복수개의 숫자 버튼과 조작 버튼은 복수개의 조작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절첩 상태로 휴대폰을 조작한 후 사용자가 휴대폰을 개방하기만 하더라도 버튼이 마련된 몸체 표면은 사용자쪽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으로 그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도 휴대폰을 매끄럽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과, 특징들과, 태양들과,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취해진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조 표시부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마련된 클램셸형 휴대폰(1)의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휴대폰(1)은 제1 몸체(2) 및 제2 몸체(3)를 포함한다. 제1 몸체(2)는 힌지(4)를 거쳐 제2 몸체(3)에 연결된다. 제1 몸체(2) 및 제2 몸체(3)는 힌지(4)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며,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첩 구조를 제 공한다.
도1을 참조하면, 휴대폰(1)은 제1 표시부(5)가 마련된 제1 몸체(2)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5)는 휴대폰(1)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 내측 위치를 차지하도록 배열된다. 제1 표시부(5)는 액정 표시부, EL(Electro Luminescent) 표시부 등을 포함한다. 제1 표시부(5)는 후술하는 제1 표시부 구동부(43)를 거쳐 마련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스피커(6)가 전화 통화 등에 사용하기 위해 제1 표시부(5) 위에 배열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제2 몸체(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몸체(3)는 숫자,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키이 등으로 형성된 입력 버튼 그룹(7)과 휴대폰(1)에서 다양한 종류의 설정 및 기능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버튼 그룹(8)과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버튼(9)과 셔터 기능을 부여하도록 조작될 제1 셔터 버튼(10)과 메일 기능을 선택하고 안내 표시를 수행하기 위한 메일/안내 버튼(11)과 호출을 시작하고 스피커를 통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시작/스피커 통화 버튼(12)과 기능 선택 스크린 상에서의 종방향 및 측방향 선택을 수행하고 선택을 결정하기 위한 4방향 버튼 및 결정 버튼을 갖는 다중 안내 버튼(13)을 포함한다. 이들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에는 그 하부에 마이크로폰(14)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힌지(4), 기능 버튼 그룹(8), 입력 버튼 그룹(7) 및 통화 마이크로폰(14)은 휴대폰(1)의 제2 몸체(3) 상에 이 순서대로 배열된다. 그러나, 이 순서는 상기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는 제1 표시부(5)로부터 떨어져 있는 이면에 힌지(4)에 가깝게 카메라부(21) 및 광원부(22)가 마련되며 이면에는 또한 힌지(4)로부터 조금 더 떨어져 있는 제2 셔터 버튼(23) 및 제2 조작 버튼(24a, 24b)뿐만 아니라 힌지(4)로부터 이격된 제2 표시부(20)가 마련된다.
제2 표시부(20)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1)의 몸체 상에서 외측 위치를 차지하도록 배열된다. 제2 표시부(20)는 액정 표시부, EL 표시부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표시부(20)는 제1 표시부(5)의 표시 영역보다 작은 표시 영역을 갖는다. 그러나, 제2 표시부(20)의 표시 영역은 제1 표시부(5)의 표시 영역 이상일 수 있다. 제2 표시부(20)는 촬영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고 후술할 제2 표시 구동부(44)를 거쳐 마련되며, 사용자에게 시간, 문자 영상, 라디오파 강도, 메일 수신 등을 알리기 위해 문자 영상의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5)와 제2 표시부(20)는 각각 개방된 또는 절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제1 몸체(2) 또는 제2 몸체(3)의 표면에 표시 스크린이 외향한 상태로 배열된다. 특히, 제2 표시부(20)는 제2 표시부(20)가 절첩 상태에서 외부로 향하도록 절첩 상태의 제1 몸체(2) 또는 제2 몸체(3)의 외부로 노출된 표면에 배열된다.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2 표시 구동부(44)는 제2 표시부(2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은 영상의 상부측이 힌지(4) 근처에 위치되도록 표시된다. 제2 표시부(20)는 그 상부측이 힌지(4)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절첩 상태의 휴대폰(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휴대폰(1)의 상태를 변경할 때 제2 몸체(3)의 방향이 변하지 않도록 상부 위치에 힌지(4)를 위치시킨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가 휴대폰(1)을 개폐할 때마다 손 위에 있는 휴대폰(1)의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결국,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된 영상은 촬영에 의해 촬영되거나 얻어진 영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 위에 있는 휴대폰(1)의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할 필요없이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볼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는 종래 위치, 즉 제1 몸체(2)의 이면 상의 위치 이외의 위치에 배열된다. 이로 인해 제1 몸체(2)의 이면에 대한 제한이 제거되거나 저감됨으로서 제2 표시부(20)는 종래 구조의 제2 표시부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표시부는 문서와 촬영된 영상과 같은 대량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1)은 제2 조작 버튼 그룹(24)을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폰(1)이 폐쇄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메일의 내용을 점검하거나 주소책을 참조하거나 복수개의 영상을 연속으로 표시하기 위해 제2 표시부(20) 상에 다양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휴대폰(1)을 조작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된 영상은 촬영된 영상, 즉 촬영 조작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휴대폰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제2 표시부(20)의 대형 스크린 상에서 촬영된 영상을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을 보기 위해 휴대폰(1)을 개폐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카메라부(21)는 사진 촬영 렌즈와, CCD 영상 센서나 CMOS 영상 센서와 같은 사진 촬영 소자와, RGB(즉 레드, 그린 및 블루)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단순화를 위해, 본 실시예의 카메라부(21)는 영상 촬영 소자로서, 이하 간단히 CCD(29)로 지칭될 CCD 영상 센서(29)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카메라부(21)에서, 대상에 의해 반사된 광은 사진 촬영 렌즈를 통과하며, 컬러 필터에 의해 CCD(29)로 진입하는 RGB 광선으로 전환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제1 표시부(5)로부터 떨어져 있는 이면 상에 배열된 카메라부(21)는 힌지(4)와 제2 표시부(20) 사이에 위치된다. 휴대폰(1)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면서 카메라부(21)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2 몸체(3)를 잡는다.
상술한 배열로 인해, 카메라부(21)는 힌지(4) 근처에 위치된다. 사용자가 제1 몸체(2)를 잡을 때, 사용자는 카메라부(21) 근처의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촬영 조작 중에 손으로 불안정하게 잡는 것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는 제2 표시부(20)가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제1 몸체(2)의 이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대상을 촬영할 때, 사용자는 불안정하게 잡는 것으로 인한 영향을 억제하면서 대형 스크린 상에서 자기 초상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광원부(22)는 카메라부(21)에 의한 사진 촬영을 위해 보조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크세논 램프가 보조 광원으로서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오늘날 몇몇 경우에는 RGB LED(Light Emitting Doide)가 사용되고 있다. 휴대폰(1)은 이와 같은 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LED는 백색광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동시에 턴-온된다.
제2 셔터부(23)는 제1 몸체(2)의 제1 표시부(5)로부터 떨어져 있는 이면의 중심에 배열되며, 휴대폰(1)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제2 표시부(20) 아래에 위치된다. 이런 제2 표시부(20)의 위치로 인해서, 사용자는 절첩된 휴대폰(1) 상에서 셔터 버튼(23)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고 셔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종래 구조에서, 사용자는 예컨대 제1 몸체의 측면 상에서 작은 크기와 그 위치로 인해 확인이 어려운 셔터 버튼을 확인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확인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제2 조작 버튼(24a, 24b)은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된 정보를 점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설정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제2 셔터 버튼(23)의 대향하는 양면 상에 배열된다. 이 위치에 제2 조작 버튼 그룹(24)을 배열함으로써, 사용자는 절첩 상태로 휴대폰(1) 상의 제2 조작 버튼(24a, 24b)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며,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제2 셔터 버튼(23)과 제2 조작 버튼(24a, 24b)은 다양한 기능을 턴-온/오프하고 특정 조작에 대한 결정 및 종료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조작 버튼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폰(1)에서, 이들 버튼은 예컨대 광원부를 작동하고 광원부를 턴-온/오프하고, 메뉴 스크린을 선택하고, 그림 문자 표시를 턴-온/오프하고, 카메라를 작동하고, 키이-로크를 턴-온/오프하고, 선택을 결정하고, 표시를 종료하고, 메일 내용을 표시하고, 제어 항목을 선택하고, MP3를 연주 및 중단시키고, 광 컬러를 변경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2 조작 버튼(24a, 24b)은 다양한 기능의 제어량의 변경(예컨대 업/다운 및 전진/후진)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어 버튼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폰(1)에서, 버튼(24a, 24b)은 예컨대 메뉴 스크린 상에서의 선택 및 전진/후진 변경과, 다양한 표시 영상의 전진/후진 변경과, 광량의 업/다운과, 광 컬러의 전진/후진 변경, 전화 착신 이력, 착신 메일 기록 등의 전진/후진 변경과, TV 채널의 업/다운과, MP3 작동에서 전진/후진 및 다음/이전의 선택과, 음량 업/다운과, 줌 제어에서의 줌-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2 조작 버튼(24a, 24b)은 제어 버튼이며, 다양한 종류의 제어량을 위해 플러스- 및 마이너스- 버튼으로서의 기능을 주로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셔터 버튼(23)은 제어 버튼으로서 이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제2 셔터 버튼(23)이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폰(1)을 개방하지 않고도 제2 셔터 버튼(23)과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어량의 변경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작동, 광원부의 턴-온이나 그림 문자 표시의 변경과 같은 복수 기능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폐쇄된 상태의 휴대폰(1) 상에서 변경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휴대폰(1)을 개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또한, 제2 표시부(20)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셔터 버튼(23)과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조작함으로써 촬영 조건을 제어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는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절첩된 휴대폰(1) 상에서 촬영 조건을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조작 버튼 및 제어 버튼 모두로서 작용하는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휴대폰(1)의 크기와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고, 이로써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어 버튼과 조작 버튼은 많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 버튼(전진 버튼) 및 "-" 버튼(후진 버튼)으로서 사용되며, 이중 또는 다중 목적 버튼이 양호하도록 유사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폰(1)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안테나부(25)와, 확장 가능한 나선부(26)와,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부(27)와 링어 토너(ringer toner)를 울리기 위한 제2 스피커(28)가 입력 버튼 그룹(7) 및 기능 버튼 그룹(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몸체(3)의 이면에 배열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제1 몸체(2)는 힌지(4)를 거쳐 제2 몸체(3)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시 안된) 가요성 회로 기판이 제1 몸체(2) 및 제2 몸체(3)를 서로 전기 접속하기 위해 힌지(4)내에 배열된다. 커넥터는 제1 몸체(2) 내에 배열된 여러 개의 기판에 가요성 회로 기판 및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 힌지(4)에 가깝게 제1 몸체(2)의 일부에 배열된다. 커넥터의 두께는 다른 것보다 제1 몸체(2)의 두께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카메라부(21)의 두께는 커넥터의 두께보다 작다. 따라서, 카메라부(21)가 커넥터 근처에 배열되더라도, 카메라부는 제1 몸체(2)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종래의 휴대폰에서, 카메라부는 제1 몸체(2)의 단부(도3의 하단부) 근처에 배열됨으로써, 카메라부의 두께는 안테나부를 제외한 제1 몸체(2)의 단부에 근접한 부분의 두께를 결정한다. 그러나, 카메라부(21)는 안테나부(25)와 제2 표시부(20) 사이, 따라서 힌지(4)에 가깝게 배열됨으로써 제1 몸체(2)의 중심부는 제2 표시부(20)의 두께를 보장할 수 있고 그 단부에 근접한 제1 몸체(2)의 부분에서 두께와 다른 크기는 더욱 저감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의 두께는 위치가 중심부로부터 단부로 이동할 때 곡선 모양으로 감소한다. 두께가 그 단부에 근접한 제1 몸체(2)의 단부, 따라서 절첩 상태의 휴대폰(1)의 하부에서 저감되는 이런 구조 또는 형상으로 인해서, 사용자는 예컨대 포켓 내로 휴대폰(1)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고,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제2 표시부(20)는 카메라부(21)와 제2 셔터 버튼(23) 또는 제2 조작 버튼(24a, 24b) 사이에 배열되기 때문에, 카메라부(21)는 제2 셔터 버튼(23) 또는 제2 조작 버튼(24a, 24b)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2 셔터 버튼(23) 또는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조작할 때 손으로 카메라부(21)를 우연히 만지거나 카메라부(21)의 시야를 덮는 것과 같은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카메라부(21)를 만져서 렌즈와 같은 부품을 긁는다거나 먼지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휴대폰의 내구성은 개선될 수 있으며 그 성능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1)은 힌지(4)가 상부 위치에 위치된 절첩된 휴대폰(1)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절첩된 휴대폰(1)을 잡는 사용자는 손으로 카메라부(21)를 덮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부(21)의 위치에 주의를 기울 이지 않고도 휴대폰(1)을 잡을 수 있다.
이하, 도5a 및 도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에 의한 사진 촬영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5a에 도시된 대상(30)의 사진을 촬영하는 일반적인 방식에서, 사용자는 휴대폰(1)을 열고, 제1 표시부(104)를 파인더로서 사용하면서 사진 촬영을 위해 카메라부(21)를 대상(30)으로 향하게 한다. 비록 일반적으로 셔터를 조작하기 위해 제1 셔터 버튼(10)이 사용되지만, 제1 몸체(2)의 이면 상에 배열된 제2 셔터 버튼(23)이 사용될 수 있다. 도5b는 사용자가 카메라부(21)로 사용자 자신의 사진을 촬영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이 방식에서, 사용자는 파인더로서 제2 표시부(20)를 사용하며, 촬영된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보면서 제2 셔터 버튼(23)을 누름으로써 셔터를 조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 제2 표시부(20) 상에 영상을 표시할 때, 휴대폰은 사용자가 영상을 볼 때 부자연스러음을 느낄 수 없도록 반사 영상, 즉 측방향으로 역전된 영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런 방식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1)으로 사용자 자신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휴대폰(1)의 상태는 절첩 상태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개방 상태의 휴대폰(1)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버튼은 절첩 상태에서 휴대폰(1)의 제1 몸체(2) 및 제2 몸체(3)의 동일면에 배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절첩 상태에서 휴대폰을 조작한 후 휴대폰(1)을 개방해서 조작할 때, 그리고 그 역의 경우, 사용자는 제2 몸체(3)를 계속 잡고 있으면 서 제1 몸체(2)를 개방하거나 폐쇄한 직후 버튼을 거쳐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에 있는 휴대폰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도 휴대폰(1)을 매끄럽게 조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의 안테나부(25)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휴대폰(1)의 제2 몸체(3)의 단면도이다. 안테나부(25)의 휩(whip)부(30)는 제2 몸체(3)의 좌측 단부에 회수 가능하게 배열된다. 나선부(26)는 몸체의 외측에 위치된다. 휩부(30)와 나선부(26)는 통화 조작시 라디오파의 강도에 따라 제2 몸체(3)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안테나부(25)는 휩부(30)와 나선부(26)를 포함하는 상기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F 형상의 내부 안테나(32)가 힌지(4) 근처의 제2 몸체(3)의 상부(도7a) 또는 제1 몸체(2)의 상부에 배열될 수 있다(도7b).
이하, 도8의 내부 블록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휴대폰(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폰(1)은 제1 표시부(5)와, 제2 표시부(20)와, 제1 셔터 버튼(10)과, 제2 셔터 버튼(23)과, 카메라부(21)와, 레드 LED(22R), 그린 LED(22G), 블루 LED(22B)를 갖는 광원부(22)와, 안테나부(25)와, 스피커부(28)와, 라디오부(50)와, 통신 제어부(51)와, 제1 메모리부(42)와, 제2 메모리부(48)와, 제3 메모리부(52)와, 제1 표시 구동부(43)와, 제2 표시 구동부(44)와, 제1 백라이트(45)와, 제2 백라이트(46)와, 오디오 재생부(40A), 조명광량 제어부(40B) 및 여러 부분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광 컬러 변경부(40C)를 포함하는 제어부(40)와, 화상 처리부(41)와, 반전 처리부(41A)와, 제1 조작 버튼 그룹(47)과, 제2 조작 버 튼 그룹(24)과, 개폐 검출부(49)를 포함한다.
제어부(40)는 셔터 조작 기능, 백라이트 기능, 보조 광원 기능 및 표시 기능과 같은 다양한 부분의 기능을 제어한다. 영상 처리부(41)는 (도시 안된) 증폭부, A/D(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부 및 신호 처리부를 가지며 반전 처리부(41A)도 포함한다. 증폭부는 카메라부(21)로부터 제공된 RGB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해서 A/D 변환부로 증폭된 신호를 제공한다. A/D 변환부는 RGB에 대응하고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전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신호 처리부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신호 처리부는 A/D 변환부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픽셀 삽입 처리와 같은 신호 처리를 실행하며 이렇게 처리된 데이터를 반전 처리부(41A)로 제공한다. 반전 처리부(41A)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40)가 반전 처리 신호(55)를 발할 때, 반전 처리부(41A)는 대응 영상을 180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180도 반전을 실행한다. 반전 처리부(41A)가 반전 제어 신호(55)를 수신하지 않을 때, 반전 처리부(41A)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그 상태로 출력한다. 반전 처리부(41A)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는 제1 메모리(42) 및 제2 메모리(48)로 제공된다.
카메라부(21)와 영상 처리부(41)는 대상(3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해서 이것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고 각각의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로서 신호를 제공하는 사진 촬영부를 형성한다. 제1 메모리(42) 및 제2 메모리(48)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연속 제공된 복수개의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예컨대, 새롭게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해서 저장하기 위해, 제1 메모리(42) 및 제2 메모리(48)에 저장된 복수개의 데이터에 포함되고 장기간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이런 영상 데이터를 수신된 새로운 영상 데이터로 겹쳐쓰기 위한 제어가 수행된다.
제어부(40)는 제1 표시 구동부(43) 및 제2 표시 구동부(44)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각각 제1 표시 구동부(43) 및 제2 표시 구동부(44)로 판독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메모리(42) 및 제2 메모리(48)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제1 표시 구동부(43) 및 제2 표시 구동부(44)는 제1 표시부(5) 및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될 데이터에 따라, 따라서 제1 메모리(42) 및 제2 메모리(48)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제1 표시부(5) 및 제2 표시부(20)의 픽셀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제1 백라이트(45)와 제2 백라이트(46)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표시된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 제1 표시부(5) 및 제2 표시부(20)로 광을 방출한다. 제어부(40)는 제1 백라이트(45) 및 제2 백라이트(46)의 턴-온/오프를 제어하며 이것들의 휘도도 제어한다. 제1 백라이트(45)와 제2 백라이트(46) 각각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표시부(5)가 영상을 표시할 때 제1 백라이트(45)를 턴-온하기 위한 제어가 수행된다. 제2 표시부(20)가 영상을 표시할 때 제2 백라이트(46)를 턴-온하기 위한 제어가 수행된다. 제1 백라이트(45)와 제2 백라이트(46)는 사용자가 턴-오프를 위한 소정의 조작을 수행할 때까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백라이트(45)와 제2 백라이트(46)는 턴-온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 턴-오프될 수 있다.
제1 조작 버튼 그룹(47)은 상술한 제2 몸체(3) 상에 배열된 입력 버튼 그룹(7)과 기능 버튼 그룹(8)을 포함한다. 제2 조작 버튼 그룹(24)은 제1 몸체(2) 상에 배열된 조작 버튼(24a, 24b)을 포함한다.
제1 셔터 버튼(10)과 제2 셔터 버튼(23)은 셔터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눌려질 수 있다. 제1(또는 제2) 셔터 버튼(10)(또는 23)이 눌려질 때, 셔터 명령(56)(또는 57)이 제어부(40)로 전송된다. 제어부(40)가 셔터 명령(56)(또는 57)을 수신할 때, 제어부(40)는 일시 저장을 위해 제1 메모리(42) 및 제2 메모리(48)에 연속으로 기록된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저장될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제3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이로써, 제3 메모리(52)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순화를 위해서, 제1 메모리(42) 및 제2 메모리(48)에 저장된 최종 영상은 제3 메모리(52)에서 판독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개폐 검출부(49)는 휴대폰(1)이 절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스위치(도시 안됨)가 힌지(4) 내에 배열된다. 검출 상태(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53)가 제어부(40)로 전송된다. 제어부(40)는 검출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검출 신호(53)에 기초해서 휴대폰(1)이 절첩(폐쇄)되었는지 개방되었는지를 검출한다.
라디오파를 거쳐 (도시 안된) 기지국과 라디오 통신을 수행할 때, 안테나부(25), 라디오부(50) 및 통신 제어부(51)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서 음성 데이터, 문서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을 전송하고 수신한다. 제어부(40)는 제3 메모 리(52)에 이렇게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은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폰(1)은 안테나부(25) 상에 수신된 라디오파로부터 라디오 통신파와 텔레비젼 방송 신호파를 분리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58)를 포함한다. 디멀티플렉서(58)는 라디오부(50)로 라디오 통신파를 전송하며 튜너(59)로 텔레비젼 신호 방송파를 전송한다. 텔레비젼 신호 방송파를 수신한 튜너(59)는 신호 처리 회로(60)에 수신된 채널의 신호를 제공한다. 신호 처리 회로(60)는 튜너(59)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한다. 제어부(40)의 제어 하에서, 비디오 신호는 제1 표시부(5) 또는 제2 표시부(20)로 제공된다. 제어부(40)의 제어 하에서, 오디오 신호는 제1 스피커(6) 또는 제2 스피커(28)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제1 조작 버튼 그룹(47) 또는 제2 조작 버튼 그룹(24)을 누름으로써 수신된 채널을 원하는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조작 버튼 그룹(47) 또는 제2 조작 버튼 그룹(24)을 누르는 것에 기초해서, 제어부는 수신된 채널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해 튜너(59)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튜너(59)는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채널을 변경한다.
제어부(40)는 개폐 검출부(49)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제1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변경한다. 개폐 검출부(49)가 휴대폰(1)이 절첩 상태에 있음을 검출할 때, 제어부(40)는 제1 메모리(42)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2 표시 구동부(44)로 제공하며 제2 표시 부(20) 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개폐 검출부(49)가 휴대폰(1)이 절첩되지 않음(즉, 개방되었음)을 검출할 때, 제어부(40)는 제1 메모리(42)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1 표시 구동부(43)로 제공하며 제1 표시부(5) 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1)이 절첩될 때, 카메라부(21)의 촬영 방향은 외향한다. 휴대폰(1) 사용자가 아닌 대상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는 휴대폰(1)을 개방해서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1)를 사용자와 대향된 대상(30)으로 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제1 표시부(5)는 카메라부(21)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영상 촬영 조작 중에 제1 표시부(5)를 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는 휴대폰(1)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고,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부(21)가 사용자에게 향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2 표시부(20)는 카메라부(21)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2 표시부(20)를 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폰(1)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 몸체(3)를 고정 위치에 유지하면서 휴대폰(1)의 제1 몸체(2)를 단지 개폐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영상 촬영 조작 동안 파인더로서 사용될 부분은 촬영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표시부(5, 20) 사이에 적절히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는 대상을 변경하기 위해 손 위에 있는 제2 몸체(3)의 위치나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결국, 사용자는 간편하게 대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조작성과 편리함은 개선된다.
이하, 제1 백라이트(45) 및 제2 백라이트(46)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40)는 개폐 검출부(49)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제1 백라이트(45) 및 제2 백라이트(46)를 선택적으로 턴-온 및 오프를 한다. 개폐 검출부(49)가 휴대폰(1)이 절첩 상태에 있다고 검출할 때, 제어부(40)는 제2 표시부(20)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2 백라이트(46)를 턴-온한다. 개폐 검출부(49)가 휴대폰(1)이 개방 상태에 있다고 검출할 때, 제어부(40)는 제1 표시부(20)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백라이트(45)를 턴-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이외의 대상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고자 할 때, 제1 표시부(5)는 파인더로서 사용되며 카메라부(21)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조작에서, 제1 백라이트(45)는 제1 표시부(5)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턴-온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사진을 촬영하고자 할 때, 제2 표시부(20)는 파인더로서 사용되며, 제2 표시부(20)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조작에서, 제2 백라이트(46)는 제2 표시부(20)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턴-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1)이 절첩되거나 개방될 때, 파인더로서 사용될 표시부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를 턴-온하기 위한 제어가 수행됨으로써 표시된 영상은 보다 가시적으로 되고 가시성이 개선된다.
제어부(40)에는 MP3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부(40A)가 마련된다. 다운로드에 의해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접속된 케이블을 거쳐 휴대폰(1)으로 획득 된 MP3 데이터는 제3 메모리(52)에 저장되며 오디오 재생부(40A)는 스피커(28)로부터 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MP3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MP3 데이터 재생에서 음량 제어, 작동/중단 및 전진/후진 공급을 위한 조작과 관련해서, 사용자는 제1 조작 버튼 그룹(47) 또는 제2 조작 버튼 그룹(24)을 누름으로써 의도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와 오디오 재생부(40A)는 제1 조작 버튼 그룹(47) 또는 제2 조작 버튼 그룹(24)을 누르는 것에 기초해서 음량과 재생 상태를 변경한다.
제어부(40)는 광원부(22)의 광량을 제어하는 조명광량 제어부(40B)와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컬러를 변경하는 광 컬러 변경부(40C)를 포함한다. 조명광량 제어부(40B)는 사용자가 제1 조작 버튼 그룹(47) 또는 제2 조작 버튼 그룹(24)을 누를 때 광원부(22)의 광량을 손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조명광량 제어부(40B)는 카메라부(21)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주변 휘도를 검출함으로써 광량을 자동적으로 증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 컬러 변경부(40C)는 LED(22R, 22G, 22B)의 조합에 따라 화이트로부터 예컨대 레드, 그린, 블루, 옐로우, 퍼플 및 라이트 블루로 광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광 컬러는 사용자가 제1 조작 버튼 그룹(47) 또는 제2 조작 버튼 그룹(24)을 누르는 것에 기초해서 발광을 조작함으로써 의도된 컬러로 변경될 수 있다.
도9는 제2 셔터 버튼(23)가 제2 조작 버튼(24a, 24b)에 할당된 기능을 도시한 표이다. 휴대폰(1)은 두 개의 모드, 즉 정상 모드와 카메라 모드를 갖는다. 휴대폰(1)의 전원-온후, 휴대폰(1)은 정상 모드에서 작동한다. 촬영을 위해, 휴대폰(1)은 카메라 기능을 작동하고 파인더로서 표시부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 모드로 절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셔터 버튼(23) 및 제2 조작 버튼(24a, 24b)에 대한 할당이 도9에 도시된 모든 기능의 선택과 모든 제어량의 변경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예컨대, 휴대폰(1)의 제조자는 상기 버튼에 이들 중에서 필요한 기능과 크기에 대한 선택/변경만을 할당할 수 있다. 도9에서, 음영 항목에 대응하는 버튼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결정 버튼으로서 이용되며, 비음영 항목에 대응하는 버튼은 제어량을 변경하기 위한 다양한 방향성 버튼으로서 이용된다.
전원-온후 휴대폰(1)에 또는 이로부터 호출이 없을 때, 이 상태는 일반적으로 대기 상태로 지칭된다. 제2 표시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대기 영상이나 시계 등을 나타내는 대기 스크린을 표시한다. 제2 표시부(20)는 대기 스크린 상에 도10에 도시된 그림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조작 버튼(24a)을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그림 문자 표시를 턴 온/오프할 수 있다.
1초 이상 제2 조작 버튼(24a)을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제2 셔터 버튼(23) 및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로크(lock)할 수 있다. 제2 셔터 버튼(23) 및 제2 조작 버튼(24a, 24b)은 휴대폰(1)이 절첩될 때에도 외부에 노출된 표면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버튼은 접촉 등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우연히 눌려질 수 있다. 이들 버튼을 로크함으로써, 제2 셔터 버튼(23) 및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이와 같이 의도하지 않고 누르는 것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1초 이상 동안 제2 조작 버튼(24a)을 누름으로써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b)을 누를 때, 광원부(22)는 이것이 눌려진 상태 에서 턴-온된다. 제2 조작 버튼(24b)이 1초 이상 눌린 상태로 유지될 때, 광원부(22)는 연속-온 상태로 변경된다. 사용자가 연속-온 상태에서 1초 이상 버튼을 누를 때, 광원부(22)는 턴-오프된다. 이런 설정에 의해, 사용자는 광원부(22)가 수동으로 턴-온/오프될 수 있고 항상 플래시램프와 마찬가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광원부(22)의 발광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조작성과 편리함을 개선한다. 단기간 누름과 장기간 누름 사이에서 제어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조작 버튼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여러 종류의 제어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휴대폰의 크기와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제2 셔터 버튼(23)을 누를 때, 제2 표시부는 그 하부 영역 상에 좌측 화살표, 항목의 선택 및 우측 화살표를 이 순서대로 표시한다. 이 경우, 제2 조작 버튼(24b)은 연속적인 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조작 버튼(24b)이 눌려질 때마다, 제2 표시부(20)는 화살표들 사이의 영역에 웰페이퍼(wallpaper) 설정, 영상 점검, 광량, 광 컬러, 전화 착신, 메일 도착, 표시 종료 및 웰페이퍼 설정을 이 순서대로 연속해서 표시한다. 제2 조작 버튼(24a)은 후진 선택 버튼이며, 메일 도착, 전화 착신, 광 컬러, 광량, 영상 점검, 웰페이퍼 설정, 표시 종료 및 메일 도착의 순서에서 선택 항목을 이 순서대로 변경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 24b)으로 항목을 선택한 후 이런 상황에서 결정 키이로서 기능하는 제2 셔터 버튼(23)을 누를 때, 휴대폰(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대한 조작을 시작한다.
웰 페이퍼 설정 모드는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된 대기 스크린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 휴대폰(1)의 제3 메모리(52)에 저장된 웰 페이퍼 영상 또는 촬영된 영상과 같은 영상 파일, 시계 기능, 애니메이션 및 JAVA(등록 상표) 응용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누를 때마다,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된 내용은 변경된다. 제2 셔터 버튼(23)을 누름으로써, 설정은 완료되며, 휴대폰(1)의 상태는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영상 점검 모드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되어서 제3 메모리(52)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해서 점검하기 위한 모드이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전진) 또는 24b(후진))을 누를 때마다, 제2 표시부(20)는 그 위에 표시된 촬영된 영상을 연속으로 변경한다. 다른 영상으로부터 이것들을 구별함으로써 단지 촬영된 영상만을 표시하기 위해 휴대폰(1)은 제3 메모리의 소정 폴더 내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도록 사전 설정될 수 있으며, 이 폴더에 저장된 영상은 연속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르게는, 이런 영상을 저장할 때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파일에 대해 플래그가 배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플래그 배정된 영상 파일만이 표시될 수 있다.
광량 모드는 광원부(22)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이다.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량 모드에서, 제2 표시부(20)는 그 최하부 영역에 좌우 화살표와 현재 광량을 지시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서 수평 연장된 지시자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밝음) 또는 24b(어둠))을 누를 때마다, 지시자는 그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저감시키며, 동시에 광원부(22)의 광량은 변경된다. 사용자가 1초 이상의 장기간 동안 좌 버튼(제2 조작 버튼(24b))을 누를 때, 광원부(22)는 발광을 중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절첩된 휴대폰을 개방하지 않고도 광원부(22)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해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제1 몸체(2)의 이면 상에 배열된 버튼(23, 24a, 24b)를 사용함으로써, 도12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원부(22)의 광량은 제어될 수 있다. 이하, 광량 제어 모드가 메뉴 스크린 상에서 광량 제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소정의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된 후 수행된 절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폰(1)이 광량 제어 모드로 들어갈 때, 제어부(40)는 제3 메모리(52)로부터 광량 데이터(LX)를 판독하고 단계(S10)에서 광량 데이터(LX)에 기초한 광량으로 광원부를 턴-온한다. 광원부(22)가 이미 온이라면, 사실상 어떠한 변경도 일어나지 않는다.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이면 상에 배열된 버튼(23, 24a 또는 24b)을 누르는지 여부를 검출한다(단계(S11)). 버튼이 눌려질 때, 제어부(40)는 사용자가 누르는 버튼을 검출하며, 메모리에 검출된 버튼의 고유 번호를 저장한다(단계(S12)). 그 후, 계수값(I)은 사용자가 버튼을 보통 시간 동안(단기간 누름) 누르는지 장기간 누르는지(장기간 누름)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된다(단계(S13)). 10 밀리초후, 계수값(I)은 1씩 증가된다(단계(S14)).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안, 계수값(I)은 10 밀리초 경과시마다 1씩 증가된다(단계(S15)). 사용자가 버튼을 해제할 때(단계(S15)에서 "예"), 눌려진 버튼에 대응하는 처리가 시작된다(단계(S16)).
사용자가 우 버튼을 누를 때, 제어부(40)는 버튼이 눌려진 위치에서 유지된 시간(계수값(I))을 검출한다(단계(S17)). 계수값(I)이 100보다 클 때, 제어부(40)는 장기간 누름이 수행되었음을 검출한다. 이 경우, 우 버튼을 장기간 누르는 것에 대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차는 단계(S27)를 거쳐 단계(S21)로 이동한다. 계수값(I) 100 이하일 때, 제어부(40)는 광량(LX)이 최대값 10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출한다(단계(S18)). 광량(LX)이 최대값 10 이상일 때(단계(S18)에서 "아니오"), 광량은 더욱 증가될 수 없음으로 해서 절차는 단계(S27)를 거쳐 단계(S21)로 이동한다. 광량(LX)이 10보다 작을 때(단계(S18)에서 "예"), 제어부(40)는 광량(LX)의 값을 1씩 증가시키며(단계(S19)) 제2 표시부 상의 광량(LX)의 값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를 표시하면서 광량(LX)으로 광원부를 턴-온한다.
사용자가 결정 버튼을 누를 때, 제어부(40)는 버튼이 눌린 위치에서 유지된 시간(계수값(I))을 검출한다(단계(S22)). 계수값(I)이 100보다 크면, 제어부(40)는 장기간 누름이 수행되었음을 검출한다. 이 경우, 결정 버튼을 장기간 누르는 것에 대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차는 단계(S27)를 거쳐 단계(S21)로 이동한다. 계수값(I)이 100 이하일 때(단계(S22)에서 "아니오"), 이는 사용자가 광량 제어를 종료하였음을 의미함으로써 제어부(40)는 현재 광량(LX)을 유지하기 위해 광량 제어 모드를 종료한다.
사용자가 좌 버튼을 누를 때, 제어부(40)는 버튼이 눌려진 위치에서 유지된 시간(계수값(I))을 검출한다(단계(S23)). 계수값(I)이 100보다 클 때(단계(S23)에서 예), 제어부(40)는 장기간 누름이 수행되었음을 검출한다. 이 경우, 좌 버튼을 장기간 누른다는 것은 광의 턴-오프를 의미하므로 광량(LX)은 0으로 설정된다(단 계(S26)). 계수값(I) 100 이하일 때(단계(S23)에서 "아니오"), 제어부(40)는 광량(LX)이 최대값 1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출한다(단계(S24)). 광량(LX)이 0일 때, 광량은 더 감소될 수 없음으로 절차는 단계(S27)를 거쳐 단계(S21)로 이동한다. 광량(LX)이 1 이상일 때(단계(S24)에서 "예"), 제어부(40)는 광량의 값을 1씩 감소시키며(단계(S25)), 제2 표시부 상에 광량(LX)의 값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를 표시하면서 감소된 광량(LX)으로 광원부를 턴-온한다.
절차가 단계(S21)로 이동할 때, 절차는 단계(S28)로 계속해서 이동하고 광량을 제어하는 절차가 다시 수행된다.
도11b는 예로서 광량(LX)의 값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를 표시한 도면이다(단계(S20)). 광량(LX)을 1씩 증가시키면 좌측으로부터 시작한 블록 영상은 1씩 증가하며, 광량(LX)이 최대값 10에 도달할 때 모든 블록 영상이 표시된다. 도11a는 제2 표시부 상에서 실제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량과 제어 버튼을 시각적으로 표시한 제2 표시부(20)가 휴대폰(1)의 동일면 상에 배열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어량을 보면서 절첩 상태의 휴대폰(1) 상에서 버튼을 조작할 수 있음으로 해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후술하는 다양한 제어 모드에서, 막대는 사용자가 절첩 상태의 휴대폰(1) 상에서 제어량을 보면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사한 방식으로 표시된다.
광 컬러 모드는 광원부(22)의 광 컬러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이다. 광원부(22)는 레드 LED(22R), 그린 LED(22G) 및 블루 LED(22B)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LED는 화이트 광 이외에도 레드, 그린, 블루, 옐로우, 퍼플 또는 라이트 블루 의 광을 방출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전진) 또는 24b(후진))을 누를 때마다, 광원부(22)는 이로부터 발광된 광의 컬러를 변경한다. 사용자가 좌 버튼(제2 조작 버튼(24b))을 1초 이상 눌러서 장기간 누름을 수행할 때, 광원부(22)는 발광을 중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작 버튼(24a 또는 24b)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절첩된 휴대폰(1)을 개방하지 않고도 광원부(22)의 광 컬러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전화 착신 이력 모드는 전화 착신의 기록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제3 메모리(52)는 전화 착신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기 때문에, 휴대폰(1)이 전화 착신을 수신한 후 시간과 호출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0)는 전화 착신 시간과 전화 번호 또는 호출자의 성명을 표시하며 제2 표시부는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신규 호출) 또는 24b(구 호출))을 누를 때마다 전화 착신 이력의 내용을 변경한다. 이런 방식에서,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1)을 개방하지 않고도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된 전화 착신 이력을 선택하기 위해 제2 조작 버튼(24a 또는 24b)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메일 표시 모드는 휴대폰(1)에 의해 수신된 메일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모드이다. 제2 표시부(20)는 수신된 메일의 제목과 송신자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2셔터 버튼(23)을 누를 때, 제2 표시부(20)는 메일의 내용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후속 메일) 또는 24b(선행 메일))을 누를 때마다, 제2 표시부(20)는 수신 기록을 변경한다. 메일 표시 모드는 사용자가 제2 셔터 버튼(23)을 장기간 누를 때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절첩 상태의 휴대폰(1)을 개방하지 않고도 제2 조작 버튼(24a 또는 24b)을 누름으로써 그 내용이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된 수신된 메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사용자는 제1 몸체(2)의 이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버튼(23, 24a, 24b)을 사용하여 도13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해서 설명되는 다음 방식으로 제2 표시부(20)에 메일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소정의 조작을 거쳐 제2 표시부(20)의 메뉴 스크린 상의 메일 내용 표시 모드를 선택하고 휴대폰(1)이 메일 내용 표시 모드로 진입한 후 수행된 절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메뉴 스크린 상에서의 선택을 제외하고, 휴대폰(1)은 휴대폰(1)이 메일을 수신한 후 사용자가 5초 내에서 버튼을 누를 때 메일 내용 표시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폰(1)이 메일 내용 표시 모드로 진입할 때, 제어부(40)는 제3 메모리(52)의 제1 위치에서 메일을 판독해서 제2 표시부(20) 상에 제1 메일의 송신자 및 제목을 표시한다. 메모리의 메일 박스에서, 제1 위치에서의 메일로부터 시작하는 메일 번호를 나타내는 값(MX)이 메일에 각각 할당된다. 이 경우, 메일 번호(MX)는 "1"로 설정된다(단계(S30)). 그 후,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이면 상에 배열된 버튼(23, 24a 또는 24b)을 누르는지 여부를 검출한다(단계(S31)). 버튼이 눌려질 때, 제어부(40)는 사용자가 누른 버튼을 검출하거나 특정해서, 이렇게 검출된 버튼에 대한 고유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S32)). 그 후, 계수값(I)은 사용자가 정상 시간 동안 또는 정상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버튼을 누르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된다(단계(S33)). 10초후, 계수값(I)은 1씩 증가한 다(단계(S34)).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안, 계수값(I)은 10 밀리초가 경과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사용자가 버튼 누르기를 중단할 때, 눌려진 버튼에 대응하는 절차가 시작한다(단계(S36)).
사용자가 우 버튼을 누를 때, 제어부(40)는 버튼이 눌려진 시간(계수값(I))을 검출한다(단계(S37)). 계수값(I)이 100보다 클 때, 제어부(40)는 장기간 누름이 수행되었음을 검출한다. 이 경우, 우 버튼을 장기간 누르는 것에 대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차는 단계(S47)를 거쳐 단계(S41)로 이동한다. 계수값(I) 100 이하일 때, 제어부(40)는 메일 번호(MX)가 저장된 메일의 최대 번호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출한다(단계(S38)). 메일 번호(MX)가 저장된 메일의 최대 번호 이상일 때, 후속 메일은 없으므로 절차는 단계(S47)를 거쳐 단계(S41)로 이동한다. 메일 번호(MX)가 저장된 메일의 최대 번호보다 작을 때, 제어부(40)는 메일 번호(MX)를 1씩 증가시키며(단계(S39)), 제어부(40)는 표시 메모리에 표시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제2 표시부는 메일 번호(MX)를 갖는 메일의 송신자 및 제목을 표시한다(단계(S40)).
사용자가 결정 버튼을 누를 때, 제어부(40)는 버튼이 눌린 시간(계수값(I))을 검출한다(단계(S42)). 계수값(I)이 100보다 클 때, 제어부(40)는 장기간 누름이 수행되었음을 검출한다. 이 경우, 결정 버튼을 장기간 누르는 것은 사용자가 메일 표시를 종료하고자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메일 표시 모드를 종료한다. 계수값(I)이 100 이하일 때, 제어부(40)는 제2 표시부(20) 상에 메일 번호(MX)를 갖는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고, 절차는 단계(S47)를 거쳐 단계(S41)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좌 버튼을 누를 때, 제어부(40)는 버튼이 눌려진 시간(계수값(I))을 검출한다(단계(S44)). 계수값(I)이 100보다 클 때(단계(S23)에서 예), 제어부(40)는 장기간 누름이 수행되었는지를 검출한다. 이 경우, 좌 버튼의 장기간 누름에 대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차는 단계(S47)를 거쳐 단계(S41)로 이동한다. 계수값(I)이 100 이하일 때, 제어부(40)는 메일 번호(MX)가 1보다 큰지 여부를 검출한다(단계(S45)). 메일 번호(MX)가 1 이하일 때, 이 번호를 갖는 메일은 첫번째 메일이며, 이로써 절차는 단계(S47)를 거쳐 단계(S41)로 이동한다. 메일 번호(MX)가 1보다 클 때, 제어부(40)는 메일 번호(MX)의 값을 1씩 감소시킨다(단계(S46)). 제2 표시부(20) 상에 메일 번호(MX)에 대한 메일의 송신자 및 제목을 표시하기 위해, 제어부(40)는 표시 메모리에 이런 표시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한다(단계(S40)). 절차는 단계(S41)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단계(S48)로 이동함으로써, 제어부(40)는 메일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일의 전송자 및 제목에 대한 전진/후진 표시, 메일 내용의 표시 및 메일 표시 모드의 종료를 위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휴대폰(1)에 대해 세 개의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1)은 대기중에 대응하는 선택 항목이 선택될 때 전화 착신 이력 모드 또는 메일 표시 모드로 진입한다. 이런 선택 조작 이외에도, 사용자는 호출이나 메일을 수신할 때 제2 셔터 버튼(23)을 누름으로써 이런 모드를 선택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0)는 호출이나 메일을 수신한 후 소정 시간 동안 특정 표시 를 수행한다. 이런 특정 표시가 수행될 때 사용자가 제2 셔터 버튼(23)을 누르면, 휴대폰(1)은 이전 선택 항목을 표시하지 않고도 전화 착신 이력 모드 또는 메일 표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휴대폰(1)에는 텔레비젼 튜너(59)가 마련되기 때문에, 제2 표시부(20)는 텔레비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텔레비젼 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채널을 선택하거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해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셔터 버튼(23)을 누름으로써 채널 선택 및 음량 제어로부터 의도된 조작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표시부(20) 상의 텔레비젼을 시청할 때, 사용자는 숫자 버튼 등을 조작하기 위해 휴대폰(1)을 개방하지 않고도 채널을 변경할 수 있지만, 휴대폰(1)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면서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조작함으로써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또한, 휴대폰(1)으로 텔레비젼 프로그램의 소리를 청취할 때, 사용자는 숫자 버튼 등을 조작하기 위해 휴대폰(1)을 개방하지 않고도 음량을 변경할 수 있고 휴대폰(1)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면서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조작함으로써 음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사용자는 휴대폰(1)의 제3 메모리에 저장된 MP3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셔터 버튼(23)과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1)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할 때, 사용자는 숫자 버튼 등을 조작하기 위해 휴대폰(1)을 개방하지 않고도 재생될 선율이나 노래를 변경할 수 있고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조작함으로서 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이하, 카메라 모드에서 제2 셔터 버튼(23)과 제2 조작 버튼(24a, 24b)에 대한 조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대기 중에 제2 셔터 버튼(23)에 대한 장기간 누름을 수행할 때, 카메라부(21)가 작동되며 휴대폰(1)은 카메라 모드로 진입한다. 사용자가 카메라 모드에서 셔터 버튼(23)을 누를 때, 셔터가 작동한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b)을 누를 때, 광원부(22)는 매번의 버튼 누름에 반응해서 화이트, 레드, 그린, 블루, 옐로우, 퍼플, 라이트 블루 및 화이트의 순서로 광 컬러를 변경하며, 제2 조작 버튼(24b)이 눌린 동안에만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조작 버튼(24b)이 1초 이상 계속해서 눌릴 때, 광원부(22)는 연속-온 상태로 변경된다. 제2 조작 버튼(24b)이 연속-온 상태에서 1초 이상 계속해서 눌릴 때, 광원부(22)는 턴 오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작 버튼(24b)을 단기간 누르는지 장기간 누르는지에 따라서 광원부(22)의 온/오프 선택뿐만 아니라 광원부(22)의 광 컬러의 선택이 가능하며,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단기간 누름과 장기간 누름에 따른 제어를 변경함으로써, 조작 버튼의 수를 증가시키기 않고도 다종 제어의 수행할 수 있고 휴대폰(1)의 크기 및 부품 숫자를 증가시킴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을 누를 때, 설정이 카메라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을 한 번 누를 때, "ZOOM"이라는 문자가 제2 표시부(20)의 최하부 영역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정 키이로서 기능하는 제2 셔터 버튼(23)을 순서대로 누름으로써, 휴대폰(1)은 줌 제어 모드로 진입한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제2 셔터 버튼(23)을 누르지 않고 제2 조작 버튼(23a)을 계속 누르면, 모드는 줌 제어 모드, 휘도 제어 모드, 광량 제어 모드, 광 컬러 모드 및 제어 종료 모드의 순서로 변경된다. 의도하는 제어 항목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의도하는 제어 모드에 휴대폰(1)을 놓기 위해 결정 버튼으로서 기능하는 제2 셔터 버튼(23)을 누른다.
줌 제어 모드는 촬영 조작시 줌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이다. 상술한 광량 제어 모드와 마찬가지로, 제2 표시부(20)는 그 최하부 영역에 현행 줌 상태를 지시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지시자뿐만 아니라 좌우 화살표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줌-인) 또는 24b(줌-아웃))을 누르는 시간마다, 지시자는 길이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며, 동시에 줌 작동 상태가 제어된다. 줌 제어후 제2 셔터 버튼(23)이 눌려질 때, 제어 모드는 종료하며 제2 셔터 버튼(23)을 누름으로써 셔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휘도 제어 모드는 촬영된 영상의 휘도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이다. 상술한 광량 모드와 마찬가지로, 제2 표시부(20)는 그 최하부 영역에 현재 휘도를 지시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지시자뿐만 아니라 좌우 화살표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밝음) 또는 24b(어둠))을 누를 때마다, 지시자는 그 길이가 감소하거나 증가하며 제어부(40)는 표시된 영상의 휘도를 제어한다.
상술한 예에서, 휘도는 셔터 조작 전에 제어된다. 그러나, 휘도 제어의 타이밍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표시부는 사용자가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이미 촬영된 영상에 대한 휘도 제어가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사용자 점검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휘도 제어를 요구할 때, 휴대폰은 휘도 제어 모드로 진입한다. 이 경우, 휘도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된 영상은 제3 메모리(52)에 저장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영상 제어가 허용된다면, 촬영된 영상의 휘도 제어와 더불어 프레임과 같은 영상 장식의 응용뿐만 아니라 영상의 색조 및 터치에 대한 제어가 제2 셔터 버튼(23) 및 제2 조작 버튼(24a, 24b)을 사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영상을 촬영해서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제2 표시부(20) 상에서 촬영된 영상을 보면서 촬영 영상을 가공하며, 이로써 사용자는 이미 영상 제어 또는 가공을 받은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 직후 촬영된 영상을 제어 및/또는 가공하고자 할 때, 이미 저장된 영상을 판독하고 이렇게 판독된 영상에 대한 영상 제어/가공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광량 모드는 광원부(22)로부터 방출된 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이다. 제2 표시부(20)는 그 최하부 영역에 현재 광량을 지시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지시자뿐만 아니라 좌우 화살표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밝음) 또는 24b(어둠))을 누를 때마다, 지시자는 그 길이가 감소하거나 증가하며, 동시에 광원부(22)의 광량은 변경된다.
광 컬러 모드는 광원부(22)의 광 컬러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이다. 광원부(22)는 레드 LED(22R), 그린 LED(22G) 및 블루 LED(22B)를 갖기 때문에, 이들 LED는 화이트 광 이외에도 예컨대 레드, 그린, 블루, 옐로우, 퍼플 및 라이트 블루의 광을 방출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조작 버튼(24a(전진) 또는 24b(후진))을 누를 때마다, 광원부(22)는 광의 컬러를 변경한다.
도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4에 도시된 휴대폰(70)에는 제1 몸체(71)의 이면에 힌지(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 표시부(20)뿐만 아니라 힌지(4)에 가깝게 위치된 카메라부(21)와 광원부(22)가 마련된다. 휴대폰(70)의 특유한 특징인 다중 버튼(72)이 힌지(4)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표시부(20)의 측면에 인접해서 배열된다. 다중 버튼(72)은 다섯 개의 버튼, 즉 셔터/결정 버튼(72a), 업 버튼(72b), 다운 버튼(72c), 우 버튼(72d) 및 좌 버튼(72e)의 통합 버튼에 대응한다. 상술한 휴대폰(1)의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인용 부호를 갖는다.
도15는 다중 버튼(72)에 할당된 기능을 나타내는 표이다.
휴대폰(70)은 두 개의 모드, 즉 정상 모드와 카메라 모드를 갖는다. 전원-온후, 휴대폰(70)은 정상 모드에 있다.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는 카메라 기능을 작동하고 표시부를 파인더로서 사용하기 위해 휴대폰(70)을 카메라 모드로 변경해야만 한다.
다중 버튼(72)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제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업 버튼(72b) 및 다운 버튼(72c)을 누를 수 있으며, 업 버튼(72b) 및 다운 버튼(72c)으로 선택된 설정 모드에서 제어량을 변경하기 위해 좌 버튼(72e) 및 우 버튼(72d)을 누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정상 모드에서 대기 중에 다운 버튼(72c)을 한 번 누를 때, 광원부 온/오프 설정이 선택된다. 다운 버튼(72c)이 이어서 두 번 눌려질 때, 영상 점검 모드가 선택된다. 우 버튼(72d)이 영상 점검 모드에서 눌려질 때, 제2 표시부(20)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되어 이미 제3 메모리(52)에 저장된 영상을 연속으로 표시한다. 역으로, 좌 버튼(72e)을 누름으로써, 제2 표시부(20)는 영상을 연속해서 역으로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업 버튼(72b) 및 다운 버튼(72c)을 조작함으로써 광원 온/오프 및 영상 점검 모드와 같은 제어 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업 버튼(72b) 및 다운 버튼(72c)을 조작함으로써 제어량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 항목의 선택은 제어량의 선택에 대해 독립적이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폐쇄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어 항목의 선택과 제어량의 선택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런 선택과 변경을 위해 휴대폰을 개방할 필요가 없음으로 해서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또한, 제2 표시부(20)는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70)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제어 항목의 선택과 제어량의 변경과 카메라부(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 업 버튼(72b) 및 다운 버튼(72c)은 제어 항목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예컨대, 다중 버튼(72)의 모든 버튼(72a 내지 72e)은 그림 문자 표시의 온/오프 선택, 키이 로크, 광원 온/오프 등을 위한 결정 버튼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16은 도15의 할당에 기초해서 개조된 다중 버튼(72)에 할당된 조작을 도시한 표이다. 정상 모드와 카메라 모드 외에도, 휴대폰(70)은 여러 개의 조작 모드, 즉 서로에 대해 독립적인 메일 표시 모드, TV 모드 및 MP3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휴대폰(70)은 휴대폰(70)이 메일을 수신한 직후 또는 사용자가 특정 조작(즉, 결정 버튼(72a)에 대한 이중 클릭)을 수행할 때 메일 표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일 표시 모드에서 결정 버튼(72a)을 누를 때, 제2 표시부(20)는 최종 메일의 내용을 표시한다. 메일의 내용이 너무 길어서 메일을 제2 표시부(20) 상에 완전히 표시하지 못한다면, 표시부(20)는 단지 내용의 일부만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메일의 후속 부분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제2 표시부(20)의 스크린 상에 내용을 스크롤 업하기 위해 다운 버튼(72c)을 누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일의 시작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제2 표시부(20)의 스크린 상에 메일을 스크롤 다운하기 위해 업 버튼(72b)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표시된 메일에 바로 선행하는 구 메일을 표시하기 위해 좌 버튼(72e)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표시된 메일 바로 다음의 새로운 메일을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하기 위해 우 버튼(72d)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일 표시 모드를 종료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휴대폰(70)이 대기 모드로 복귀하도록 결정 버튼(72a)을 이중 클릭할 수 있으며 제2 표시부(20)는 대기 스크린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70)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제2 표시부(20) 상에 메일을 표시하고 메일을 스크롤하고 다른 메일을 표시하기 위해 휴대폰(70)을 조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메일 내용을 읽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1 표시부(5) 상의 메일을 읽고 숫자 버튼 등으로 읽으려는 메일을 선택하기 위해 폐쇄된 상태의 휴대폰(70)을 개방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휴대폰(70)을 절첩 상태로 유지하면서 우 버튼(72d) 및 좌 버튼(72e)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될 메일을 변경할 수 있으며, 업 버튼(72b) 및 다운 버튼(72c)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된 메일을 스크롤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수행할 때, 휴대폰(70)은 TV 모드로 진입한다. 도15에 도시된 다중 버튼(72)에 할당된 기능에 따르면, 우 버튼(72d) 및 좌 버튼(72e)은 음량 제어용 버튼뿐만 아니라 수신 채널의 선택을 위한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결정 버튼(72a)을 누름으로써, 기능은 수신 채널 선택과 음량 제어 사이에서 변경된다. 본 예에서, 우 버튼(72d)과 좌 버튼(72e)은 수신 채널 선택에 할당되며 업 버튼(72b)과 다운 버튼(72c)은 음량 제어에 할당에 할당됨으로써 조작이 단순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70)이 절첩 상태에서 유지되더라도, 사용자는 제2 표시부(20)에 의해 텔레비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휴대폰(70)을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채널과 음량을 변경하기 위해 채널 버튼과 음량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수행할 때, 휴대폰(70)은 MP3 모드로 진입한다. 도15에 도시된 다중 버튼(72)에 할당된 기능에 따르면, 우 버튼(72d) 및 좌 버튼(72e)은 음량 제어용 버튼뿐만 아니라 작동 또는 재생 조작을 위한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결정 버튼(72a)을 누름으로써, 기능은 재생 조작과 음량 제어 사이에서 변경된다. 본 예에서, 우 버튼(72d)과 좌 버튼(72e)은 재생 조작에 할당되며 업 버튼(72b)과 다운 버튼(72c)은 음량 제어에 할당됨으로써 조작이 단순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70)이 절첩 상태에서 유지되더라도, 사용자는 음량 제어부, 즉 업 버튼(72b) 및 다운 버튼(72c)뿐만 아니라 재생 조작부, 즉 우 버튼(72d) 및 좌 버튼(72e)을 조작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기록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성과 편리함이 개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70)에는 결정 버튼이나 방향성 버튼으로서 기능하는 복수개의 조작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휴대폰(70)이 절첩 상태에 있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제어, 설정 및 변경이 수행될 수 있으며 휴대폰(70)을 개방하는 조작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휴대폰(70)은 콤팩트한 상태, 즉 절첩 상태로 유지되면서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편리함이 개선된다. 버튼의 배열이 고안되었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성이 개선된다.
비록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이것들은 단지 설명과 예로서 설명된 것이고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외양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된 휴대폰의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된 휴대폰의 외양을 도시한 측면도.
도5a 및 도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사용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단면도.
도7a 및 도7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버튼에 할당된 조작을 도시한 표.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그림 문자 표시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11a 및 도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광량 제어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광량 제어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메일 점검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 상태의 다른 휴대폰의 외양을 도시한 입면도.
도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휴대폰의 버튼에 할당된 조작을 도시한 표.
도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휴대폰의 버튼에 할당된 조작을 도시한 표.
도17은 종래 휴대폰의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18은 종래 휴대폰의 외양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19는 절첩된 종래 휴대폰의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20은 절첩된 종래 휴대폰의 외양을 도시한 측면도.
도21a 및 도21b는 종래 휴대폰의 사용 방식을 도시한 도면.

Claims (20)

  1. 카메라 모드 및 음성 재생 모드를 갖는 휴대폰(1)이며,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과,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접속하기 위한 연결부(4)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는 표시부(20)와,
    상기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면에 배치되고, 숫자 및 문자의 입력을 접수하는 키(7)와,
    상기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의 외면에 배치되고, 피사체를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촬상부(21)와,
    음성 데이터를 보존하는 음성 데이터 기억부(52)와,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성 재생부(40A)와,
    상기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음성 재생의 명령을 접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조작부(23)와,
    상기 접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재생 모드 시에 상기 제1 조작부에 대한 조작을 로크하는 키 로크 스위치(24a)와,
    상기 접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폰에 대한 명령을 접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작부(24b)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모드 시에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촬상부의 줌을 조정하기 위한 기능으로 할당되고,
    상기 음성 재생 모드 시에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음성 재생부에 재생되는 음성 데이터의 음량을 조정하기 위한 기능으로 할당되는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로크 스위치가 길게 눌리면, 상기 휴대폰은 키 로크 상태로 절환하는 휴대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로크 스위치가 길게 눌리면, 상기 휴대폰의 키 로크 상태가 해제되는 휴대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드 시에 상기 표시부(20)는 파인더로서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휴대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20)는 상기 촬상부에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휴대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는 조정량을 시각적으 로 표시하는 휴대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재생 조작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휴대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드와 상기 다른 모드는 서로 배타적인 휴대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는 MP3 형식의 데이터인 휴대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에 상기 촬상부의 동작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정 버튼을 더 구비하는 휴대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조건은 상기 촬상부에 대해 부여되는 광량의 조정을 포함하는 휴대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는 버튼을 더 구비하는 휴대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에 배치된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의 음량을 조정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버튼을 더 구비하는 휴대폰.
  14. 제1항에 있어서, 조정 항목 선택부와,
    조정량 선택부를 상기 휴대폰의 외면에 더 구비하는 휴대폰.
  1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화 착신의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부(5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 중 하나의 조작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전화 착신을 다른 전화 착신으로 절환하는 휴대폰.
  16. 제1항에 있어서, 메일을 수신하는 수신부(50, 51)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메일의 내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4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 중 하나의 조작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일을 다른 메일로 절환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휴대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 중 하나의 조작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메일의 내용을 상하 또는 좌우로 스크롤 표시하는 스크롤 버튼을 포함하는 휴대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을 기초로 하여 상기 카메라 모드와 상기 다른 모드를 절환하는 휴대폰.
  19. 제18항에 있어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모드 시에 상기 음성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을 조정하는 휴대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상을 상하 반대로 하여 표시하기 위한 반전 제어 신호(55)를 출력하고, 상기 반전 제어 신호가 부여되었을 때에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약 180도 회전하도록 약 180도 회전 처리를 하여 출력하고, 반전 제어 신호가 부여되지 않을 때에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는 휴대폰.
KR1020070078345A 2002-10-11 2007-08-06 휴대폰 KR100807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9430A JP2004135177A (ja) 2002-10-11 2002-10-11 携帯電話機
JPJP-P-2002-00299430 2002-10-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247A Division KR20070039001A (ko) 2002-10-11 2007-03-13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030A KR20070093030A (ko) 2007-09-17
KR100807022B1 true KR100807022B1 (ko) 2008-02-25

Family

ID=32025600

Famil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452A KR100565395B1 (ko) 2002-10-11 2003-10-10 휴대폰
KR1020050101606A KR100619198B1 (ko) 2002-10-11 2005-10-27 휴대폰
KR1020060029244A KR100633834B1 (ko) 2002-10-11 2006-03-31 휴대폰
KR1020060057762A KR100683078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7A KR100683082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5A KR100683080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1A KR100683077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3A KR100683079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4A KR100683081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100560A KR100710095B1 (ko) 2002-10-11 2006-10-17 휴대폰
KR1020070024247A KR20070039001A (ko) 2002-10-11 2007-03-13 휴대폰
KR1020070025791A KR100779333B1 (ko) 2002-10-11 2007-03-16 휴대폰
KR1020070026866A KR100719992B1 (ko) 2002-10-11 2007-03-20 휴대폰
KR1020070077599A KR100807018B1 (ko) 2002-10-11 2007-08-02 휴대폰
KR1020070077601A KR100807019B1 (ko) 2002-10-11 2007-08-02 휴대폰
KR1020070077922A KR100807021B1 (ko) 2002-10-11 2007-08-03 휴대폰
KR1020070077923A KR100807020B1 (ko) 2002-10-11 2007-08-03 휴대폰
KR1020070078345A KR100807022B1 (ko) 2002-10-11 2007-08-06 휴대폰
KR1020070078344A KR100807023B1 (ko) 2002-10-11 2007-08-06 휴대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452A KR100565395B1 (ko) 2002-10-11 2003-10-10 휴대폰
KR1020050101606A KR100619198B1 (ko) 2002-10-11 2005-10-27 휴대폰
KR1020060029244A KR100633834B1 (ko) 2002-10-11 2006-03-31 휴대폰
KR1020060057762A KR100683078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7A KR100683082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5A KR100683080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1A KR100683077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3A KR100683079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057764A KR100683081B1 (ko) 2002-10-11 2006-06-27 휴대폰
KR1020060100560A KR100710095B1 (ko) 2002-10-11 2006-10-17 휴대폰
KR1020070024247A KR20070039001A (ko) 2002-10-11 2007-03-13 휴대폰
KR1020070025791A KR100779333B1 (ko) 2002-10-11 2007-03-16 휴대폰
KR1020070026866A KR100719992B1 (ko) 2002-10-11 2007-03-20 휴대폰
KR1020070077599A KR100807018B1 (ko) 2002-10-11 2007-08-02 휴대폰
KR1020070077601A KR100807019B1 (ko) 2002-10-11 2007-08-02 휴대폰
KR1020070077922A KR100807021B1 (ko) 2002-10-11 2007-08-03 휴대폰
KR1020070077923A KR100807020B1 (ko) 2002-10-11 2007-08-03 휴대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344A KR100807023B1 (ko) 2002-10-11 2007-08-06 휴대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8) US7346376B2 (ko)
EP (7) EP1780988B1 (ko)
JP (1) JP2004135177A (ko)
KR (19) KR100565395B1 (ko)
CN (13) CN1964382B (ko)
DE (7) DE60334937D1 (ko)
HK (10) HK1099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177A (ja) * 2002-10-11 2004-04-30 Sharp Corp 携帯電話機
JP4292795B2 (ja) * 2002-12-13 2009-07-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
TW572503U (en) * 2003-01-20 2004-01-11 Benq Corp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screen and image sensor
JP4053444B2 (ja) * 2003-03-07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WO2004086734A1 (ja) * 2003-03-24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折畳型携帯通信端末装置
US8071028B2 (en) * 2003-06-12 2011-12-06 Abbott Diabetes C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management in data communication systems
US7145558B2 (en) * 2003-09-03 2006-12-05 Motorola, Inc. Selective illumination of regions of an electronic display
US20050096082A1 (en) * 2003-11-03 2005-05-05 Chin-Wei Chang Duo-display mobile phone
JP2005167909A (ja) * 2003-12-05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型電話装置
US20050130703A1 (en) * 2003-12-16 2005-06-16 Curitel Communications, Inc. Mobile terminal displaying TV image on both main and sub display units
JP4118231B2 (ja) * 2003-12-17 2008-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FI20031908A0 (fi) * 2003-12-29 2003-12-29 Nokia Corp Menetelmä medialeikkeen koostamiseksi liikkuvassa päätelaitteessa, menetelmää hyödyntävä päätelaite ja ohjelmalliset välineet menetelmän toteuttamiseksi
JP4363205B2 (ja) * 2004-02-05 2009-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装置
US20050188406A1 (en) * 2004-02-23 2005-08-25 Gielow Christopher 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s and media cont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388590B2 (en) * 2004-02-27 2008-06-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color scheme to communic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 computing device
EP1589407B1 (en) * 2004-04-22 2007-10-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trol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
US20060089174A1 (en) * 2004-04-29 2006-04-27 Tapwave, Inc.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a physical butt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7675545B2 (en) * 2004-05-05 2010-03-09 Nuvoton Technology Corporation Camera module having image processing procedure and method for integrating the same with host
KR100617143B1 (ko) * 2004-05-20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917B1 (ko) * 2004-05-21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지털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휴대용 디지털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0162B1 (ko) * 2004-05-28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엘씨디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JP4585795B2 (ja) 2004-06-03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007342B2 (ja) * 2004-06-08 2007-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及び画像データ供給方法
KR100575787B1 (ko) * 2004-06-15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다이버시티 안테나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282593A1 (en) * 2004-06-21 2005-12-22 Spence Michael F Mechanical layout and component placement for thin clamshell phone
US7274954B2 (en) 2004-06-21 2007-09-25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US20050282595A1 (en) * 2004-06-21 2005-12-22 Spence Michael F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EP1785864B1 (en) * 2004-06-30 2017-05-03 Vodafone Group PLC Linkage oper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62937A4 (en) * 2004-06-30 2012-04-04 Vodafone Plc INTERCONNEC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779318B2 (ja) * 2004-07-09 2011-09-2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分析システム
US20060030370A1 (en) * 2004-08-05 2006-02-09 Mobile (R&D) Ltd. Custom idle screen for a mobile device
JP4537147B2 (ja) * 2004-08-06 2010-09-01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メッセージ表示方法及びメッセージ表示プログラム
US20060040644A1 (en) * 2004-08-17 2006-02-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photos to default send-to recipient for mobile telephone messaging
JP2006065611A (ja) * 2004-08-27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システム
KR100604323B1 (ko) * 2004-08-28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내장형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US7721227B2 (en) * 2004-09-23 2010-05-18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describing alternative actions caused by pushing a single button
KR100662358B1 (ko) 2004-10-0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플레이어 조작 키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44844A (ko) 2004-11-03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채널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JP4430002B2 (ja) * 2004-11-03 2010-03-10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プログラム情報の表示装置及び方法
US20070075956A1 (en) * 2004-11-04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terminal apparatus
JP2008522527A (ja) * 2004-12-02 2008-06-26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無線電話信号を消去するように適合させた内蔵型平面テレビアンテナを有するモバイル電話
KR100630068B1 (ko) * 2005-01-25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2006211394A (ja) * 2005-01-28 2006-08-10 Toshiba Corp 折り畳み型携帯端末装置
JP5188010B2 (ja) * 2005-02-16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227765A (ja) * 2005-02-16 2006-08-31 Tambourine Producers Inc 情報端末装置及びアラーム発生方法
JP4189928B2 (ja) * 2005-02-18 2008-12-03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型電子装置、携帯型電子装置の機能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73737B2 (en) * 2005-04-11 2011-07-05 Sandisk Il Ltd. Storage device with illuminated panel
KR20060108068A (ko) * 2005-04-12 200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종류별 방송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JP4442497B2 (ja) * 2005-04-14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および撮像制御装置
US7526326B2 (en) * 2005-05-13 2009-04-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andheld wireless communicators with reduced free-space, near-field emissions
US7460893B2 (en) * 2005-05-17 2008-12-02 Nokia Corporation Display chang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890134B2 (en) * 2005-06-13 2011-02-15 Dyna Llc Communications device methods and apparatus including ergonomic key layout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KR20060133389A (ko) * 2005-06-20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7283841B2 (en) * 2005-07-08 2007-10-16 Microsoft Corporation Transforming media device
US20070008239A1 (en) * 2005-07-08 2007-01-11 Microsoft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interactive display
EP1746815A3 (en) 2005-07-21 201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digit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KR100714703B1 (ko) 2005-07-21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디지털 장치
KR100742590B1 (ko) * 2005-09-02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모드전환방법
KR100841310B1 (ko) 2005-09-12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US20070063968A1 (en) * 2005-09-20 2007-03-22 Bodil Veig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WM291145U (en) * 2005-09-21 2006-05-21 Micro Star Int Co Ltd Digital audio/video receiver with built-in antenna
US7461948B2 (en) * 2005-10-25 2008-12-09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Multiple light emitting diodes with different secondary optics
JP4405457B2 (ja) * 2005-10-28 2010-01-27 京セラ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US20070126877A1 (en) * 2005-12-01 2007-06-07 Hong-Seok Yang Multifunctional video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070159801A1 (en) * 2005-12-21 2007-07-12 Motorola, Inc. Insert molded flexible circuit with stiffener and flip hous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70216666A1 (en) * 2006-03-17 2007-09-20 Khaled Anis Television display system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69202A1 (en) * 2006-05-17 2007-11-22 Motorola, Inc. Camera lens cover and reflector for mobile station
JP4923753B2 (ja) * 2006-06-06 2012-04-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装置、プロジェクタの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の表示処理プログラム
KR100710272B1 (ko) * 2006-07-20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예약방법
JP2008040019A (ja) * 2006-08-03 2008-02-21 Toshiba Corp 携帯端末
US7643745B2 (en) * 2006-08-15 2010-01-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with auxiliary camera function
KR100836434B1 (ko) 2006-08-17 2008-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802719B2 (en) * 2006-09-29 2010-09-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multiple transaction options in a portable device
KR100782509B1 (ko) * 2006-11-23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JP2008131597A (ja) * 2006-11-24 2008-06-05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US20080172611A1 (en) * 2007-01-12 2008-07-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hree-dimensional content-navigation systems and terminals incorporating the same
JP4583392B2 (ja) * 2007-02-19 2010-11-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の制御方法
JP4803532B2 (ja) * 2007-04-06 2011-10-2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KR101328950B1 (ko) * 2007-04-24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단말기
US20080295032A1 (en) * 2007-05-25 2008-11-27 Richard Gioscia Button panel configuration and design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090019055A1 (en) * 2007-07-13 2009-01-15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content displayed by an electronic device
CN101779331A (zh) * 2007-08-09 2010-07-14 日本电气株式会社 可折叠便携式无线电装置
JP4260215B1 (ja) 2007-08-29 2009-04-30 任天堂株式会社 撮像装置
US8917985B2 (en) * 2007-08-29 2014-12-23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US8177441B2 (en) 2007-08-29 2012-05-15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US20090061923A1 (en) * 2007-08-31 2009-03-05 Motorola,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loped ear portion
JP5586826B2 (ja) * 2007-09-28 2014-09-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9330180B2 (en) * 2007-10-02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87510B1 (ko) * 2007-10-02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3473B1 (ko) 2007-11-20 201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JP5232452B2 (ja) * 2007-11-28 2013-07-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情報装置及びその機能規制方法
US9420079B2 (en) * 2007-12-19 2016-08-1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images with data
JP4565002B2 (ja) 2007-12-28 2010-10-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TWI413396B (zh) * 2008-02-12 2013-10-21 Wistron Corp 手機及其操作方法
EP2249552B1 (en) * 2008-02-29 2013-04-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navigating through notifications
US8875042B2 (en) 2008-02-29 2014-10-2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navigating through notifications
JP2009214026A (ja) * 2008-03-11 2009-09-24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US7967196B1 (en) * 2008-03-28 2011-06-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lectronic wallet ready to pay timer
US8164655B2 (en) * 2008-05-19 2012-04-24 Spatial Ca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currently playing multiple images from a storage medium
JP5241324B2 (ja) * 2008-05-27 2013-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JP4181211B1 (ja) * 2008-06-13 2008-11-1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おいて実行される起動用プログラム
US8130275B2 (en) 2008-06-13 2012-03-06 Nintendo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hotographing application launch program executed by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TW201001367A (en) * 2008-06-27 2010-01-01 E Ten Information Sys Co Lt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I514864B (zh) * 2008-08-06 2015-12-21 Mass Internat Co Ltd 可視己身影像之可攜式裝置
TWI403156B (zh) * 2008-08-08 2013-07-21 尼康股份有限公司 Carrying information machines, photographic device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s
JP5348462B2 (ja) * 2008-08-12 2013-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その携帯端末におけるバックライト発光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29939B2 (en) * 2008-08-15 2012-03-06 Lenovo (Singapore) Pte. Ltd. Slate wireless keyboard charging and connection
US8089468B2 (en) * 2008-08-15 2012-01-03 Lenovo (Singapore) Pte. Ltd. Slate wireless keyboard connection and proximity display enhancement for visible display area
US20100062728A1 (en) * 2008-09-05 2010-03-11 Motorola, Inc, Tuning an electrically small antenna
US8346308B2 (en) * 2008-09-08 2013-0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US8848100B2 (en) 2008-10-01 2014-09-30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launch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providing photographing functionality
JP4675411B2 (ja) * 2008-12-17 2011-04-2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メラ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5765224B2 (ja) * 2009-03-31 2015-08-1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複数表示画面制御方法
US8190216B2 (en) * 2009-05-05 2012-05-29 Broadcom Corporation Mobile phone power-saving by usage learning
JP2011228939A (ja) * 2010-04-20 2011-11-10 Sanyo Electric Co Ltd 記録再生装置
US8811948B2 (en) * 2010-07-09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Above-lock camera access
US8970720B2 (en) 2010-07-26 2015-03-03 Apple Inc. Automatic digital camera photography mode selection
US20120019704A1 (en) * 2010-07-26 2012-01-26 Levey Charles I Automatic digital camera photography mode selection
TWM417734U (en) * 2011-03-18 2011-12-01 Benq Corp Monitor
US9182935B2 (en) 2011-09-27 2015-11-10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menu option
KR101867618B1 (ko) * 2011-12-21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음악재생 종료장치 및 방법
CN103220695B (zh) * 2012-01-20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网元状态的处理方法及装置
US9009630B2 (en) 2012-06-05 2015-04-14 Microsoft Corporation Above-lock notes
US9019415B2 (en) * 2012-07-26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camera shutter
US9609097B2 (en) * 2012-10-17 2017-03-28 Sony Corporatio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rotable about a casing
US20150193390A1 (en) * 2012-12-03 2015-07-09 Google Inc. Visited hyperlink appearance based on user activity
CN104619111B (zh) * 2013-11-01 2018-06-05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移动设备后盖释放机构、后盖以及相应的移动设备
US9712749B2 (en) 2014-02-27 2017-07-1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sides
CN104618580B (zh) * 2014-12-30 2017-10-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实现方法及终端
TWI566028B (zh) * 2015-02-17 2017-01-11 Zao-Lun Zhang Flashing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JP6702331B2 (ja) * 2015-09-07 2020-06-0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80462B1 (ko) * 2016-02-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7210221A1 (en) * 2016-05-31 2017-12-07 Rohinni, LLC Multi-function light apparatus
US10412281B2 (en) 2016-06-06 2019-09-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split imaging system
US9871954B2 (en) 2016-06-06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wo part device with camera and mechanical flap
JP6829015B2 (ja) * 2016-06-23 2021-02-10 マクセル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190342740A1 (en) * 2018-05-07 2019-11-07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Llc D/B/A Star Co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cover
KR102331023B1 (ko) 2020-03-06 2021-11-26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까마귀쪽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8899A (ja) * 1987-12-25 1989-07-04 Kawasaki Steel Corp ヒート・スクラッチのないステンレス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209150B2 (ja) * 1997-08-12 2001-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無線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576A (en) 1986-04-28 1989-02-28 Mobay Corporation Remote administration of hyaluronic acid to mammals
EP0560900B1 (en) 1990-12-03 1995-02-08 Vestar, Inc. Prevention of synovial adhesions
DE69216971T3 (de) * 1991-09-26 2004-05-19 Casio Computer Co., Ltd. Tragbarer Telefonapparat mit einer elektronischen Notizbuchfunktion
JPH06292195A (ja) * 1993-03-31 199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式tv電話
USRE39959E1 (en) * 1994-04-20 2007-12-25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822343A (ja) 1994-07-07 1996-01-23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処理装置
JPH08277224A (ja) 1995-02-07 1996-10-22 Shiseido Co Ltd 抗炎症剤
DE69614013T2 (de) * 1995-02-18 2002-03-14 Eaton Corp Einrichtung/Verfahren zur Steuerung des rollenden Anfahrens eines semi-automatischen, mechanischen Getriebes
JPH08294040A (ja) 1995-04-24 1996-11-05 Sony Corp 撮像装置
JP3518152B2 (ja) * 1996-03-27 2004-04-12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用端末装置
US6510325B1 (en) * 1996-04-19 2003-01-21 Mack, Ii Gawins A. Convertible portable telephone
US5901222A (en) * 1996-10-31 1999-05-04 Lucent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for portable telecommunication devices
KR200182508Y1 (ko) * 1999-12-17 2000-05-15 김기일 영상 및 음성 기록/재생 장치를 갖는 휴대폰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JPH11215217A (ja) 1998-01-23 1999-08-06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GB2334850A (en) * 1998-02-27 1999-09-01 Nokia Mobile Phones Ltd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keyboard cover mounted upon sliding rods
US6775361B1 (en) * 1998-05-01 2004-08-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playback apparatus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video camera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3123990B2 (ja) 1998-10-05 2001-01-1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端末
FI106904B (fi) * 1998-12-08 2001-04-30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ja ohjauselin
KR100310346B1 (ko) * 1998-12-19 2001-11-05 윤종용 텔레비전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
JP2000236376A (ja) 1999-02-16 2000-08-29 Denso Corp 携帯電話装置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1008151A (ja) 1999-06-18 2001-01-12 Fuji Photo Film Co Ltd 音再生機能付き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391938B1 (ko) 1999-07-07 2003-08-25 주식회사 보고테크 도어 잠금장치
AU6106000A (en) * 1999-07-15 2001-02-05 Khyber Technologies Corporation Handheld computer with detachable handset
JP2001053875A (ja) 1999-08-17 2001-02-23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
CN1142674C (zh) * 1999-08-19 2004-03-17 金宝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兼具资料传输功能的影像电话
KR100341987B1 (ko) * 1999-08-20 2002-06-26 윤종용 카메라가 실장된 휴대폰에서 사진/음성 동시 편집방법
JP3544152B2 (ja) * 1999-09-16 2004-07-21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画像表示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4201443B2 (ja) 1999-11-05 2008-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001136251A (ja) *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4529233B2 (ja) * 2000-02-21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複合端末の制御方法及び複合端末装置
US20030181226A1 (en) * 2000-02-23 2003-09-25 Kaoru Kawata Portable telephone battery pack and portable telephone equipped with the battery pack
KR100630127B1 (ko) 2000-03-15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JP4226188B2 (ja) 2000-04-07 2009-02-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ーディオ機能搭載デジタルカメラ
JP4385490B2 (ja) 2000-05-1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02082570A (ja) 2000-06-30 2002-03-22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その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2033809A (ja) 2000-07-14 2002-01-31 Sony Corp 携帯端末装置
JP4288553B2 (ja) * 2000-07-25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JP4049977B2 (ja) 2000-09-01 2008-02-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に用いられるレンズアダプタ
JP3784289B2 (ja) * 2000-09-12 2006-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メディア編集方法及びその装置
JP3631119B2 (ja) 2000-09-25 2005-03-23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情報端末機
JP3530475B2 (ja) 2000-09-25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3690585B2 (ja) 2000-09-27 2005-08-3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100491606B1 (ko) * 2000-09-29 2005-05-2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의표시제어방법
KR100452536B1 (ko) * 2000-10-02 2004-10-12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이동통신기지국 장치
US6947728B2 (en) * 2000-10-13 2005-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music data reproduction method by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and the program thereof
AU2002213966A1 (en) * 2000-10-18 2002-04-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s systems
JP2002141997A (ja) 2000-10-31 2002-05-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項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EP1211869A1 (de) * 2000-11-30 2002-06-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ideokamera mit integriertem Beleuchtungssystem für mobile Kommunikationsendgeräte
JP3730859B2 (ja) 2000-12-08 2006-01-0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2185589A (ja) * 2000-12-14 2002-06-28 Nec Access Technica Ltd 折畳式携帯電話機
JP4081738B2 (ja) 2000-12-15 2008-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2204298A (ja) 2000-12-28 2002-07-19 Kyocera Corp 携帯電話装置
JP2002232533A (ja) 2001-01-30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型携帯情報端未装置及びその情報表示方法
KR20010035318A (ko) 2001-02-02 2001-05-07 신용호 듀얼 폴더 타입 휴대폰
JP2002262164A (ja) 2001-02-27 2002-09-13 Minolta Co Ltd 撮影機能付電子機器
JP2002281135A (ja) * 2001-03-21 2002-09-27 Nec Viewtechnology Ltd 携帯電話
US6907276B2 (en) * 2001-03-21 2005-06-14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xternal display unit
JP2002281130A (ja) 2001-03-21 2002-09-27 Nec Saitama Ltd 移動体通信機
JP2002290523A (ja) 2001-03-22 2002-10-04 Minolta Co Ltd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US7173665B2 (en) *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906655B2 (ja) * 2001-07-03 2007-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3204377A (ja) * 2001-12-28 2003-07-18 Nec Corp 携帯型電子機器
CN1171751C (zh) * 2002-01-14 2004-10-20 马庆祥 车辆无线联网追踪管理防盗系统
KR20020030773A (ko) 2002-04-10 2002-04-25 주식회사 모닷텔 외부에 기능키가 마련된 폴더형 휴대전화기
JP3910112B2 (ja) * 2002-06-21 2007-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3726073B2 (ja) * 2002-07-01 2005-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080395B2 (ja) * 2002-08-02 2008-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04135177A (ja) * 2002-10-11 2004-04-30 Sharp Corp 携帯電話機
JP4007342B2 (ja) * 2004-06-08 2007-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及び画像データ供給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8899A (ja) * 1987-12-25 1989-07-04 Kawasaki Steel Corp ヒート・スクラッチのないステンレス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209150B2 (ja) * 1997-08-12 2001-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080B1 (ko) 2007-02-16
CN1964380A (zh) 2007-05-16
KR20060083941A (ko) 2006-07-21
EP1773036A3 (en) 2007-09-12
CN101552814B (zh) 2011-03-30
US7650171B2 (en) 2010-01-19
US20070298844A1 (en) 2007-12-27
DE60334938D1 (de) 2010-12-23
US20070298832A1 (en) 2007-12-27
KR20060083942A (ko) 2006-07-21
US7937122B2 (en) 2011-05-03
KR100807019B1 (ko) 2008-02-25
EP1773035B1 (en) 2010-11-10
US7751849B2 (en) 2010-07-06
DE60331397D1 (de) 2010-04-08
KR100565395B1 (ko) 2006-03-30
US20070032203A1 (en) 2007-02-08
HK1099165A1 (en) 2007-08-03
US20080070647A1 (en) 2008-03-20
US20070298831A1 (en) 2007-12-27
KR100807023B1 (ko) 2008-02-25
CN101552813A (zh) 2009-10-07
EP1773034B1 (en) 2010-11-10
KR20070039001A (ko) 2007-04-11
HK1104137A1 (en) 2008-01-04
KR100683082B1 (ko) 2007-02-16
US20080070646A1 (en) 2008-03-20
CN1964382A (zh) 2007-05-16
US20070298829A1 (en) 2007-12-27
US20080020719A1 (en) 2008-01-24
HK1101091A1 (en) 2007-10-05
CN101552811B (zh) 2013-02-06
EP1773034A2 (en) 2007-04-11
EP1780988A3 (en) 2007-07-25
EP1773032A3 (en) 2007-09-12
DE60334940D1 (de) 2010-12-23
EP1408673A3 (en) 2004-12-15
US7792556B2 (en) 2010-09-07
HK1104726A1 (en) 2008-01-18
US20080020796A1 (en) 2008-01-24
US7555323B2 (en) 2009-06-30
KR20060083944A (ko) 2006-07-21
CN1964381A (zh) 2007-05-16
KR20070093030A (ko) 2007-09-17
EP1780988A2 (en) 2007-05-02
EP1408673A2 (en) 2004-04-14
KR20060083940A (ko) 2006-07-21
KR20040033254A (ko) 2004-04-21
EP1773032B1 (en) 2010-11-17
KR100710095B1 (ko) 2007-04-20
CN1964384A (zh) 2007-05-16
KR20070093029A (ko) 2007-09-17
US7660613B2 (en) 2010-02-09
CN1964382B (zh) 2011-06-15
EP1780988B1 (en) 2010-11-10
US20070037617A1 (en) 2007-02-15
KR100807020B1 (ko) 2008-02-25
EP1773035A2 (en) 2007-04-11
EP1773033A2 (en) 2007-04-11
US7751859B2 (en) 2010-07-06
HK1106645A1 (en) 2008-03-14
EP1773033A3 (en) 2007-09-12
US7747296B2 (en) 2010-06-29
KR100807021B1 (ko) 2008-02-25
US7822444B2 (en) 2010-10-26
CN1498012A (zh) 2004-05-19
CN101552812A (zh) 2009-10-07
US20070032205A1 (en) 2007-02-08
JP2004135177A (ja) 2004-04-30
KR20060083945A (ko) 2006-07-21
KR20050107371A (ko) 2005-11-11
KR20070093026A (ko) 2007-09-17
US7787916B2 (en) 2010-08-31
US20070032204A1 (en) 2007-02-08
KR100779333B1 (ko) 2007-11-23
CN101552811A (zh) 2009-10-07
EP1773033B1 (en) 2010-12-01
EP1773034A3 (en) 2007-09-12
US20040072589A1 (en) 2004-04-15
US20070032202A1 (en) 2007-02-08
DE60334937D1 (de) 2010-12-23
US20070298830A1 (en) 2007-12-27
HK1100998A1 (en) 2007-10-05
EP1773036B1 (en) 2010-11-10
KR100633834B1 (ko) 2006-10-16
KR100683079B1 (ko) 2007-02-16
KR100683078B1 (ko) 2007-02-16
KR20060031842A (ko) 2006-04-13
CN1905711A (zh) 2007-01-31
CN1964384B (zh) 2011-06-08
CN100508531C (zh) 2009-07-01
CN1964383B (zh) 2012-07-18
HK1100997A1 (en) 2007-10-05
EP1773036A2 (en) 2007-04-11
EP1408673B9 (en) 2010-07-21
US7346376B2 (en) 2008-03-18
HK1106646A1 (en) 2008-03-14
KR20070039003A (ko) 2007-04-11
KR20070041469A (ko) 2007-04-18
HK1104138A1 (en) 2008-01-04
CN101552814A (zh) 2009-10-07
KR100619198B1 (ko) 2006-09-06
US20080070624A1 (en) 2008-03-20
CN101552810A (zh) 2009-10-07
US7937123B2 (en) 2011-05-03
EP1773035A3 (en) 2007-09-12
KR20060113619A (ko) 2006-11-02
CN1964383A (zh) 2007-05-16
CN101552812B (zh) 2011-03-30
KR20060083943A (ko) 2006-07-21
EP1408673B1 (en) 2010-02-24
KR20070093025A (ko) 2007-09-17
KR100719992B1 (ko) 2007-05-18
KR20070093024A (ko) 2007-09-17
DE60335222D1 (de) 2011-01-13
DE60335044D1 (de) 2010-12-30
EP1773032A2 (en) 2007-04-11
DE60334939D1 (de) 2010-12-23
KR100683077B1 (ko) 2007-02-16
HK1106899A1 (en) 2008-03-20
KR100683081B1 (ko) 2007-02-16
US20080064454A1 (en) 2008-03-13
US20080004068A1 (en) 2008-01-03
KR100807018B1 (ko) 2008-02-25
US7653420B2 (en) 2010-01-26
US7668577B2 (en) 2010-02-23
KR20070093027A (ko) 2007-09-17
CN1964385A (zh) 2007-05-16
US7787918B2 (en) 2010-08-31
US7650172B2 (en) 2010-01-19
CN1905711B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022B1 (ko) 휴대폰
KR100713042B1 (ko)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