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669B1 -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669B1
KR100719669B1 KR1020000068690A KR20000068690A KR100719669B1 KR 100719669 B1 KR100719669 B1 KR 100719669B1 KR 1020000068690 A KR1020000068690 A KR 1020000068690A KR 20000068690 A KR20000068690 A KR 20000068690A KR 100719669 B1 KR100719669 B1 KR 10071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reaction
vinylene carbonate
formula
carried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348A (ko
Inventor
자이페르트베른하르트
베커질피아
네우슈쯔마르크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60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17/34Oxygen atoms
    • C07D317/40Vinylene carbonate; Substituted vinylene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모노할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서 승온에서 할로겐화수소제거제와 반응시키되, 사용되는 상기 유기 용매가 에틸렌 카보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의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0024330309-pat00001
Figure 112000024330309-pat00002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간단한 방식으로 또한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닐렌 카보네이트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VINYLENE CARBONATE,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용 첨가제로서, 표면 코팅제의 성분으로서 또는 폴리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단량체로서 상기 제조된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문헌 "J. Am. Chem. Soc., 77, 3789-3793(1955)"에서는, 제 1 합성 단계에서 에틸렌 카보네이트의 염소화에 의해 모노클로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제 2 단계에서, 에테르 중의 모노클로로에틸렌 카보네이트의 용액을 환류하에서 밤새도록 트리에틸아민과 반응시켜서 염화수소를 제거함으로써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수득한다. 에테르를 제거하고 증류시킨 후, 조질의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59%의 수율로 수득하고, 이는 추가의 정류에 의해 정제한다. 따라서, 이런 공정은 긴 반응 시간, 원하지 않는 성분(예: 용매)의 제거를 위한 반응 생성물의 비교적 복잡한 후처리, 및 목적 생성물의 비교적 낮은 수율의 불리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고수율의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를 가능케 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런 방법의 유리하고/하거나 바람직한 양태는 이하 청구항에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모노할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서 승온에서 할로겐화수소제거제와 반응시키되, 사용되는 유기 용매가 에틸렌 카보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의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0024330309-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0024330309-pat00004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할로겐화수소제거 반응에서의 용매로서 통상의 방법에 사용되는 에테르 대신에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사용한다. 이는 반응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간섭 화합물의 수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반응 혼합물의 후처리를 간소화시킨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공지된 방법에 비해 매우 높은 수율이 달성된다.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내의 비수성 전해질용 용매로서의 특정 용도에서는, 반응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고 대신에 이런 유형의 비닐렌 카보네이트/에틸렌 카보네이트 혼합물이 이런 용도를 위해 실질적으로 요구된다.
실험에서, 비닐렌 카보네이트가 매우 감온성이며, 60℃ 이상의 온도에서 수시간내에 및 80℃ 이상의 온도에서 수분내에도 분해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거 반응은 일반적으로 더욱 높은 온도에서 더욱 높은 수율로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할로겐화수소제거 반응이 40 내지 80℃ 범위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60℃에서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반응은 1 내지 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내에 완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조건하에서, 조질의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수율은 통상적으로 80%보다 높다.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용액, 아민, 알킬아미드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질소 화합물과 같은 통상의 할로겐화수소제거제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트리알킬아민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화학식 2의 모노할로에틸렌 카보네이트로서 모 노클로로에틸렌 카보네이트의 존재하에서 특히 유리하게 진행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반응에 보호 기체 대기를 사용하여 분해 반응을 막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적합한 보호 기체의 예로는 질소 및 불활성 기체(예: 아르곤)가 있다. 따라서, 반응 생성물로서 수득되는 비닐렌 카보네이트에 통상 사용되는 안정화제는 사용될 필요가 없다.
추가로, 완전하고 균일한 반응을 위해서, 반응 성분들을 확실하게 잘 혼합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 출발 화합물로서 사용되는 모노할로에틸렌 카보네이트는, 예컨대 설푸릴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의 광화학적 할로겐화 또는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AIBN)-개시된 할로겐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공지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노할로에틸렌 카보네이트 중의 잔여량의 AIBN 또는 설푸릴 클로라이드도 허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존재하는 잔여량의 설푸릴 클로라이드는 예컨대 이에 상응하는 과량의 할로겐화수소제거제(예: 트리에틸아민)를 사용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통상의 방법에서는 수득된 조질의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후처리가 단순한 증류법에 의해 수행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런 경우에 원하지 않는 수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비닐렌 카보네이트가 가능한 최단 시간 동안 상응하는 증발 온도에서 확실하게 잔존하도록 해 주는 후처리 공정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다. 이는 예컨대 약 100℃의 욕조 온도 및 약 5밀리바의 압력에서 박막 증발기내에서 진공 증류법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이로써 할로겐화수소제거 반응 생성물로부터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약 75% 이상의 수율로 무색 생성물로서 직접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제조된 비닐렌 카보네이트는, 리튬 이온 전지용 첨가제로서(예컨대, 비수성 전해질용 용매로서), 표면 코팅제의 성분으로서 또는 폴리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단량체로서와 같은 다양한 용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중합반응에서는, 고분자량의 무색 중합체가 수득될 수 있고, 이것은 후속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수용성 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정밀 유리 교반기, 교반기 모터, 코일 응축기, 적하용 깔대기 및 액상의 온도계가 장착된 250㎖의 이중-재킷 4목 장치를 아르곤으로 플러싱한다. 이어, 클로로에틸렌 카보네이트 0.420몰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무수물) 84㎖를 아르곤으로 연속적으로 플러싱하면서 도입한다. 가열 욕조를 사용하여 내부 온도를 57.6℃로 상승시킨다. 이어, 트리에틸아민 0.630몰을 교반하면서 25분에 걸쳐 적하용 깔대기를 통해 적가하고, 이 동안 내부 온도는 56 내지 59℃로 유지한다. 트리에틸아민의 첨가를 완료하면,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약 60℃에서 교반한다. 이어, 과량의 트리에틸아민을 40℃의 욕조 온도 및 150밀리바의 압력에서 회전 증발기상에서 증류제거한다. 조질의 비닐렌 카보네이트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양은 이론치의 77.2%이다.
비교예 1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문헌 "J. Am. Chem. Soc., 77, 3789-3793(1955)"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본 비교예를 수행하기 위해, 실시예 1에 기술된 장치를 아르곤으로 플러싱한다. 이어, 클로로에틸렌 카보네이트 0.280몰 및 3급-부틸 메틸 에테르(초순도) 33.4㎖를 아르곤으로 플러싱하면서 상기 장치내에 도입하고, 가열 욕조를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37.8℃로 가온시킨다. 이어, 트리에틸아민 0.350몰을 교반하면서 50분에 걸쳐 적가용 깔대기를 통해 적가하고, 이 동안 내부 온도는 37 내지 40℃로 유지한다. 이어,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50분 동안 약 40℃에서 유지한다. 조질의 비닐렌 카보네이트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양은 이론치의 단 26.6%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조질의 비닐렌 카보네이트 혼합물을 박막 증발기(내부 직경: 40mm, 회전기의 길이: 25cm)내에서 진공 증류시킴으로써 후처리한다. 욕조 온도는 약 100℃이고, 압력은 약 5밀리바이다. 약 3㎖/분의 공급 속도에서, 약 70분 후에 맑고 연한 황색빛의 유상 증류물을 수득한다. 본 실시예 2에서 정제된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수율은 73.3%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방법으로 고수율의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수득한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2의 모노할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서 40 내지 80℃ 범위의 온도에서 할로겐화수소제거제와 반응시키되, 사용되는 유기 용매가 에틸렌 카보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의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7001660385-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7001660385-pat00006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을 60℃에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을 1 내지 4시간 동안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할로겐화수소제거제가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용액, 아민, 알킬아미드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질소 화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할로겐화수소제거제가 트리알킬아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모노할로에틸렌 카보네이트가 모노클로로에틸렌 카보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을 질소 및 불활성 기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보호 기체 대기하에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증류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박막 증발기내에서 진공 증류에 의해 분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리튬 이온 전지용 첨가제로서, 표면 코팅제의 성분으로서 또는 폴리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단량체로서 유용한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닐렌 카보네이트.
  11. 제 3 항에 있어서,
    반응을 2시간 동안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할로겐화수소제거제가 트리에틸아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68690A 1999-11-19 2000-11-18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100719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5944.9 1999-11-19
DE19955944A DE19955944A1 (de) 1999-11-19 1999-11-19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encarbonat und dess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348A KR20010060348A (ko) 2001-07-06
KR100719669B1 true KR100719669B1 (ko) 2007-05-17

Family

ID=792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690A KR100719669B1 (ko) 1999-11-19 2000-11-18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395908B1 (ko)
EP (1) EP1101762B1 (ko)
JP (2) JP4927249B2 (ko)
KR (1) KR100719669B1 (ko)
CN (1) CN1139585C (ko)
BR (1) BR0005488A (ko)
CA (1) CA2326297A1 (ko)
DE (2) DE19955944A1 (ko)
RU (1) RU227135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5944A1 (de) * 1999-11-19 2001-07-19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encarbonat und dessen Verwendung
CN100585935C (zh) 2002-07-15 2010-01-27 宇部兴产株式会社 非水电解液和锂电池
KR100874326B1 (ko) * 2002-11-27 2008-12-18 나노크리스탈주식회사 비닐렌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DE102004014629A1 (de) * 2004-03-19 2005-10-06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s Element
DE102005021964A1 (de) 2005-05-12 2006-11-16 Lanxes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encarbonat
DE102005021967A1 (de) * 2005-05-12 2006-11-16 Lanxess Deutschland Gmbh Hochreines Vinylencarbonat sowie ein Verfahren zur Reinigung von Vinylencarbonat
DE102005021968A1 (de) * 2005-05-12 2006-11-16 Lanxes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encarbonat
DE102005021966A1 (de) 2005-05-12 2006-11-16 Lanxes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Reinigung von Vinylencarbonat
CN100352813C (zh) * 2005-08-22 2007-12-05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碳酸亚乙烯酯的制备方法
CN100448864C (zh) * 2005-11-04 2009-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碳酸亚乙烯酯的制备方法
CN101210006B (zh) * 2006-12-29 2010-11-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碳酸亚乙烯酯的制备方法
CN101279968B (zh) * 2007-04-06 2011-03-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碳酸亚乙烯酯的储存方法
EP2045249B1 (en) 2007-09-24 2011-10-26 Evonik Degussa GmbH Process for preparing monochloroethylene carbonate and subsequent conversion to vinylene carbonate
CN101417993A (zh) * 2007-10-26 2009-04-29 埃沃尼克德古萨有限责任公司 一氯碳酸亚乙酯的制备方法及其随后转化成碳酸亚乙烯酯的方法
CN101931107B (zh) * 2009-06-24 2012-10-10 聚和国际股份有限公司 用于电化学装置的电解液及其电化学装置
CN102351837A (zh) * 2011-11-18 2012-02-15 太仓华一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碳酸亚乙烯酯的新方法
JP5936947B2 (ja) * 2012-08-09 2016-06-22 三菱化学株式会社 高純度ビニ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CN103113343B (zh) * 2013-01-21 2015-10-28 张家港瀚康化工有限公司 防止碳酸亚乙烯酯变色的处理方法
CN106749155B (zh) * 2017-01-06 2019-04-26 淮安瀚康新材料有限公司 一种微通道反应制备碳酸亚乙烯酯的方法
CN106905288B (zh) * 2017-03-01 2019-05-31 山东永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碳酸亚乙烯酯的制备方法
CN109134421A (zh) * 2018-02-26 2019-01-04 江苏长园华盛新能源材料有限公司 从氟代碳酸乙烯酯前馏分中回收碳酸亚乙烯酯的方法
CN113336736A (zh) * 2021-05-31 2021-09-03 多氟多新材料股份有限公司 碳酸亚乙烯酯的制备方法
CN113527251B (zh) * 2021-09-01 2022-10-21 上海如鲲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碳酸亚乙烯酯的制备方法
KR20230134980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테크늄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비닐렌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14957193B (zh) * 2022-05-11 2023-07-28 内蒙古源宏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绿色合成碳酸亚乙烯酯的方法
CN114933332A (zh) * 2022-06-06 2022-08-23 安徽博石高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原料生产锰酸锂的方法
CN115894429A (zh) * 2022-12-16 2023-04-04 山东阳谷华泰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碳酸亚乙烯酯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7279A (en) * 1964-10-21 1969-07-22 Jefferson Chem Co Inc Vinylene carbonate production
JPH11180974A (ja) * 1997-12-15 1999-07-06 Mitsubishi Chemical Corp ビニ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1353A (en) * 1960-08-26 1962-06-26 Baker Chem Co J T Process for preparing vinylene carbonate
US4353831A (en) * 1981-02-02 1982-10-12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alkylene carbonates
EP0543249B1 (de) * 1991-11-22 1996-04-10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ylencarbonaten
JP4463333B2 (ja) * 1998-03-11 2010-05-19 三井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液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368832B2 (ja) * 1998-07-10 2003-01-20 宇部興産株式会社 ビニ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JP3438636B2 (ja) * 1998-08-27 2003-08-18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DE19955944A1 (de) * 1999-11-19 2001-07-19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encarbonat und dessen Verwend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7279A (en) * 1964-10-21 1969-07-22 Jefferson Chem Co Inc Vinylene carbonate production
JPH11180974A (ja) * 1997-12-15 1999-07-06 Mitsubishi Chemical Corp ビニ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92107A (ja) 2012-05-17
CA2326297A1 (en) 2001-05-19
DE50001321D1 (de) 2003-04-03
DE19955944A1 (de) 2001-07-19
BR0005488A (pt) 2001-08-07
EP1101762B1 (de) 2003-02-26
EP1101762A1 (de) 2001-05-23
KR20010060348A (ko) 2001-07-06
CN1304935A (zh) 2001-07-25
JP2001158783A (ja) 2001-06-12
JP4927249B2 (ja) 2012-05-09
CN1139585C (zh) 2004-02-25
US20020107407A1 (en) 2002-08-08
US6395908B1 (en) 2002-05-28
RU2271356C2 (ru)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669B1 (ko) 비닐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FR2724380A1 (fr) Methode de preparation d'un sulfonimide ou de son sel
US6362363B1 (en) Synthesis of vinyl carbonates for use in producing vinyl carbamates
KR20070101716A (ko) 1,3-프로펜설톤의 제조방법
WO2021066155A1 (ja) パーフルオロ(2,4-ジメチル-2-フルオロホルミル-1,3-ジオキソラン)の製造方法
EP3606907B1 (en) Racemic beta-aminosulfone compounds
JP6183645B2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395069B2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98922A (ja) 不飽和の環状オルトエステルの製造方法
NAGASHIMA et al. Syntheses and Reactions of Phenylthio-and Propylthioacetylenic Compounds
JP2002529460A (ja) モノハロゲン化2−オキソ−1,3−ジオキソランの製造方法
JP2692123B2 (ja) ヒドロキシ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JP5573079B2 (ja) 3−メルカプト−1−プロパノールの製造方法
JP2016094348A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04868A (ko) 폴리플루오로알킬실란
JP2015168651A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S591693B2 (ja) 2−モノ置換−2−シクロペンテノン類の製造方法
JP2003034667A (ja) トリフルオロメチルノルボルネンカルボン酸−第三級−ブチル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68621A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94365A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40316A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0813B2 (ja) 3,3′−ジニトロジフエニルエ−テルの製造方法
JP2016155784A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57775A (ja) ジ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S593013A (ja) 1,3,3,5,5−ペンタハロ−1−チア−2,4,6−トリアザ−3,5−ジホスホリン−1−オキシド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