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054B1 - 위생도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생도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054B1
KR100667054B1 KR1020017001321A KR20017001321A KR100667054B1 KR 100667054 B1 KR100667054 B1 KR 100667054B1 KR 1020017001321 A KR1020017001321 A KR 1020017001321A KR 20017001321 A KR20017001321 A KR 20017001321A KR 100667054 B1 KR100667054 B1 KR 10066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laze
sanitary ware
engobe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629A (ko
Inventor
토미오카유타카
호리우치사토시
카사하라신고
카와카미카츠히로
우에노토루
타카다히로유키
마츠모토유키나리
수다나루미츠
야마다시게유키
Original Assignee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9Coating or impregnation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기 소지 표면에 착색성의 제 1 유약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지 표면과 상기 제 1 유약층과의 사이에 엔고베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생도기 및 그의 제조방법{Sanitary wa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장기에 걸쳐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유지하는 대변기, 소변기, 세면기, 세면대 등의 위생도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생도기의 표면이 미관(美觀)을 가지고 청결한 것은 위생상 및 미관상 중요하다. 또한, 그와 같은 상태가 장기에 걸쳐 유지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위생도기 표면을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유지하고 미관을 유지하기 위해, 계면활성제, 산, 알칼리 등의 세제를 수세미나 브러시에 묻혀 강하게 위생도기 표면을 문지르는 일이 흔히 행해지고 있다. 즉, 세제에 의한 화학적 세정력 및 수세미나 브러시로 문지름으로 인해 생기는 물리적 세정력에 의해 표면의 오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정작업은 경노동이라 할 수는 없어, 그 빈도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 계면활성제가 함유되는 배수에 의한 환경오염이 지적되고 있기에, 계면활성제의 사용도 그의 양 및 빈도에 있어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 비추어, 위생상 및 미관상 우수한 표면을 갖는 위생도기에 관해 몇가지 제안이 제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위생도기 표면에 불소 수지 또는 플루오로 알킬기를 함유하는 실록산 수지를 피복하여, 표면 에너지를 저하시켜, 오물이 부착하기 어려운 표면으로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 표면을 될 수 있는 한 매끄럽게 함으로 인해, 오물이 위생도기 표면에 강하게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려고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표면의 상태와 오물이 부착하기 어려운 정도, 내구성, 광택의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종래 충분한 검토가 행해지지 않은 상태이며, 평활한 표면이면 오물이 부착하기 어렵고 미관상 바람직하다고 하는 정도의 개념적인 인식을 기초로 하여, 평활한 표면을 가지는 위생도기가 제안되었을 뿐이며, 구체적인 실현수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안도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번에 유약(釉藥)층의 구조를 연구하여, 외관 불량을 수반함이 없이, 오물이 최대한 부착하기 어렵고, 또한 한번 부착한 오물이라 해도 약한 수류(水流)에 의해 제거되는 위생도기를 얻을 수 있다는 지견(知見)을 얻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외관불량을 수반함이 없이 오물이 최대한 부착하기 어렵고, 한번 부착한 오물이어도 약한 수류에 의해 제거되는 위생도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도기는 도기 소지(素地) 표면에 착색성의 제 1 유약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지 표면과 상기 제 1 유약층 사이에는 엔고베(engobe)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생도기」란, 화장실 및 세면소 주변에서 사용되는 도기제 기기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대변기, 소변기, 변기의 여과기, 변기 탱크, 세면대의 세면기, 세면대 등을 의미한다.
「50% 입경(粒徑)」이란,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된 입도 분포 측정 데이터에 있어서의 미립자 측으로부터의 입자 체적의 누적이 50%에 달했을 때의 입자의 입경을 의미한다.
「중심선 평균 조도(粗度)(Ra)」란, 조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부터 그의 중심선의 방향으로 측정 길이 1의 부분을 빼내고, 이 빼낸 부분의 중심선을 X축, 종배율의 방향을 Y축으로 하고, 조도 곡선을 y=f(x)로 나타냈을 때, 다음 식에 의해 구해지는 값을 마이크로미터(㎛)로 나타낸 것을 가리킨다.
[수식 1]
Figure 112001002024182-pct00001
본 발명에서 중심선 평균 조도(Ra)의 측정은 JIS-B0601(1994년)에 의한 정의와 표시에 따라, JIS-B0651(1996년)에 준거한 촉침(觸針)식 표면 조도 측정장치에 의해 실시된다. 이들 JIS 기준은 일본공업규격(일본국 도쿄도 미나토쿠 아카사카4-1-24)으로부터 그의 영문 번역문과 함께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그 측정장치의 개략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이 도면에서, 검출기(11)는 촉침(12)과 스키드(skid)(13)를 구비하고, 검출기(11)는 고정장치(15) 위에 있는 시료(14)의 표면을 피더(16)에 의해 보내면서 수직방향의 변위를 검출한다. 이 변위를 확대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지시장치 또는 기록장치에 표시함으로써 표면 조도 곡선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생도기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이 도면에서, 부호 1은 도기 소지, 부호 2는 제 1 유약층(착색성 유약층), 부호 3은 제 2 유약층(투명성 유약층), 부호 4는 엔고베 중간층이다.
도 2는 JIS-B0651(1996년)에 준거한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위생도기는 도기 소지 표면에 착색성의 제 1 유약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지 표면과 상기 제 1 유약층의 사이에는 엔고베(engobe)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생도기의 표면에는 착색성 유약층이 1층 형성되어 있을 뿐이지만, 이 경우, 착색성분인 유탁제 입자나 안료입자 등의 입자 모양의 물질이 유약면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자들이 알고 있는 한에서는, 위생도기의 분야에서 그 표면의 조도는 최소한 Ra가 0.1 ㎛ 정도인 것이 시판되고 있을 뿐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성의 제 1 유약층 위에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을 설치하여, 상기 입자 모양 물질에 의한 요철 형성을 저감시켰다. 그 결과, 제 2 유약층, 즉, 표면 유약층의 Ra는 0.07 ㎛ 미만이 되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위생도기는 노란기, 변, 곰팡이, 요석, 그 외의 오물이 부착하기 어려워지고, 또 아무리 부착해도 약한 수류에 의해 제거되어버린다. 그 결과, 장기간에 걸쳐 청결한 도기 표면을 빈번한 세정조작 없이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평활한 표면이면 오물이 부착하기 어렵다는 지견은 종래에 존재했다. 그러나, 그 효과의 정도는 종래의 지견에서 보면 지극히 현저하고, 놀라울 정도로 예상을 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위생도기는 표시기에 의한 오물이 물과의 접촉에 의해 떠오르고, 물이 흐르면 제거되어버린다. 또, 샐러드 오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물때나 요석의 부착도 극히 어렵고, 부착해도 간단히 제거된다. 이와 같은 고도로 오물이 부착하기 어렵고 오물이 제거되기 쉬운 것은 종래의 지견으로는 도저히 예측할 수 없는 의외의 것이었다.
한편, 착색성의 제 1 유약층 상에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을 설치하는「2층 유약층 구조」의 위생도기를 제조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변기, 세면기 등의 대형 복잡 형상품인 위생도기는 종래 위생도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약원료(천연원료인 규사(석영), 장석 등을 주원료로 하고, 그 외의 착색을 위한 유탁제로서의 지르콘 및 안료를 첨가)로 도자기 소지 위에 설치한 착색성의 제 1 유약층 상에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을 설치하는「2층 유약층 구조」를 형성하려고 하면, 소성 과정에서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이 승온(昇溫)중에 제 1 유약층보다도 빨리 용융하기 때문에 그 용융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지로부터 대량으로 생성하는 가스가 제 2 유약층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방출되기 어려워지고, 기포 잔류에 수반하는 반점 모양 등의 외관 불량이나 기포 잔류에 수반하는 국소적 표면융기에 의한 평활성의 악화를 초래하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기 소지와 착색성의 제 1 유약층 사이에 엔고베층을 형성했다. 엔고베층을 개재시킴으로써, 제 1 유약층 및 제 2 유약층이 소성 중에 소지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어, 반점 모양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제 2 유약층 표면의 평활성이 상기 가스의 영향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자들이 얻은 지견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유약 조성에 크게 좌우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조성의 바람직한 범위, 및 보다 바람직한 범위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에서, 유탁제인 지르콘 및 안료는 비교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의 조성과 착색성의 제 1 유약층에서의 유탁제 및 안료를 제외한 조성을 비교했을 경우, 제 2 유약층 속의 Al2O3 및 SiO2 성분을 많게 하면, 제조 결함을 수반하지 않고 소성할 수 있는 온도의 폭이 넓어지므로, 제조가 용이해진다.
<착색성의 제 1 유약층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조성>
바람직한 범위(중량%) 보다 바람직한 범위(중량%)
SiO2 52∼80 57∼80
Al2O3 5∼14 5∼12
Fe2O3 0∼0.4 0∼0.4
MgO 0.5∼4.0 0.5∼3.5
CaO 6∼17 8∼17
ZnO 3∼11 3∼10
K2O 1∼5 1∼5
Na2O 0.5∼2.5 0.5∼2.5
ZrO2 0.1∼15 0.1∼15
안료 0.001∼20 0.001∼20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조성>
바람직한 범위(중량%) 보다 바람직한 범위(중량%)
SiO2 53∼82 58∼82
Al2O3 5.5∼16 6∼16
Fe2O3 0∼0.4 0∼0.4
MgO 0.5∼4.0 0.5∼3.5
CaO 6∼17 6∼15
ZnO 3∼11 3∼10
K2O 1∼5 1∼5
Na2O 0.5∼2.5 0.5∼2.5
본 발명에서,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1∼0.5 ㎜ 정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4 ㎜이다.
또, 착색성의 제 1 유약층의 두께도 적절히 결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1∼1.0 ㎜ 정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7 ㎜이다. 이와 같은 두께로 하면, 귀갑 모양이나 유약이 벗겨지는 등의 제조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에 은, 구리, 아연 또는 그의 화합물, 고용체 등의 항균 금속을 첨가해도 좋다. 그렇게 하면 항균기능도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소지 표면과 상기 제 1 유약층 사이에 형성된 엔고베층은 소지보다 기공률이 작은 치밀한 층으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소지로부터의 가스가 제 1 유약층 또는 제 1 및 제 2 유약층을 통해 핀홀로서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기능을 엔고베층이 가지게 되고, 반점 모양 등의 외관불량이 발생하기 더욱 어려워짐과 동시에, 제 2 유약층 표면의 평활성이 상기 가스의 영향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위생도기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엔고베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제공하도록 한다.
엔고베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소지로부터의 가스의 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쉽게 된다. 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엔고베층을 형성하는 부분은 주로 상기 소지 표면의 안팎 양면에 제 1 유약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또한 그 한쪽 면에만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세면기의 볼(bowl) 형성부 등의 외관상 중요한 부위에 있어서의 소지로부터의 가스의 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생도기는 구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대변기, 소변기, 변기의 여과기 등의 변기의 형태가 된다. 변기에 있어서는 볼 부분, 트랩 부분, 림 부분의 아랫면에 노랗게 물든 오물 등이 유효하게 방지되거나 제거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위생도기는 세면대의 세면기 또는 세면대의 형태가 된다. 세면기 또는 세면대에 있어서는, 볼 부분의 비누 오물이나 물때 오물 등이 유효하게 방지되거나 쉽게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위생도기는 엔고베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위생도기 기재(基材)의 성형 소지에 적용하는 공정, 제 1 유약층을 형성하기 위한 착색성 유약 원료를 엔고베층 상에 적용하는 공정, 제 2 유약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성 유약 원료를 제 1 유약층 상에 적용하는 공정, 소성(燒成)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위생도기 기재의 성형 소지는 종래 알려진 도기 소지이면 된다. 즉, 규사, 장석, 점토 등을 원료로 하여 조제한 위생도기 소지 슬립(slip)을 적절히 성형한 것이어도 좋다.
엔고베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로서는, 통상의 소지 원료와 마찬가지로 도석, 점토, 장석 등의 천연광물 입자의 혼합물이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엔고베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의 구성은 도석 30∼50%, 점토 30∼50%, 용제 10∼30%로 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석 30∼50%, 점토 30∼50%, 용제 10∼30%로 하면, 엔고베층은 알맞은 용융, 소결 상태가 되기 쉽고, 안정되어 소지로부터의 가스의 차단기능을 갖게 된다.
또, 엔고베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 분체(粉體)의 50%입경(D50)은 6 ㎛ 이하로 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경으로 하려면, 상기 조성의 혼합물을 볼 밀(ball mill) 등으로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분쇄하여 얻을 수 있다.
원료 분체의 50%입경(D50)을 6 ㎛ 이하로 하면, 엔고베층을 그 아래의 소지층보다 기공률이 작은 치밀한 층으로 하기 쉽고, 소지로부터의 가스에의 차단기능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엔고베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위생도기 기재의 성형 소지의 표면에 적용할 때, 성형 소지의 일부분에 적용해도 좋고 전체에 적용해도 좋다. 성형 소지의 일부분이란, 예를 들어, 대변기에서의 볼 면, 트랩 부분, 림 부분 아랫면 등의 더러워지기 쉬운 일부분에의 적용을 가리킨다. 또한, 적용방법으로는 스프레이 코팅, 플로(flow) 코팅, 인쇄 등의 주지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제 1 유약층을 형성하기 위한 착색성 유약 원료란, 규사, 장석, 석회석 등의 천연 광물 입자의 혼합물, 비정질 유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원료에 안 료 및/또는 유탁제가 첨가된 것이다.
안료란, 예를 들어, 코발트 화합물, 철 화합물 등이며, 유탁제란, 예를 들어, 지르콘, 산화주석 등이다.
비정질 유약이란, 상기와 같은 천연 광물 입자 등의 혼합물로 구성된 유약 원료를 고온에서 용융하여 유리화시킨 유약을 말하며, 예를 들어, 프리트(frit) 유약이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 1 유약층을 형성하기 위한 착색성 유약 원료를 엔고베층 상에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 코팅, 플로 코팅, 인쇄 등의 주지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히, 습식 스프레이 코팅 또는 플로 코팅은 유약이 벗겨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제 2 유약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성 유약원료에는, (1) 비정질 유약, (2) 비정질 유약과 천연광물 입자와의 혼합물(이 경우, 양자의 합계에 대한 비정질 유약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99%가 좋고, 더 바람직하게는 60∼95%이다), (3) 천연광물 입자를 50%입경(D50)으로 6 ㎛ 이하까지 미세화한 것 중의 하나가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성 유약은 제 1 유약층 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적용한다. 여기서 일부분이란, 예를 들어, 대변기에서의 볼 면, 트랩 부분, 림 부분 아랫면 등의 더러워지기 쉬운 일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유약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성 유약 원료를 제 1 유약층 상에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 코팅, 플로 코팅, 인쇄 등의 주지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히 건식 스프레이 코팅이 바람직하다.
소성하는 공정에서는 800∼1300℃의 온도로 소성한다. 그렇게 하여, 성형 소지 및 엔고베층이 소결함과 동시에, 2개의 유약층이 고착하여 우수한 표면 평활성을 갖는 위생도기가 형성된다.
실시예
(비교예 1)
[표 1]
유약 기재 중량%
SiO2 55∼80
Al2O3 5∼13
Fe2O3 0.01∼0.4
MgO 0.8∼3.0
CaO 8∼17
ZnO 3∼8
K2O 1∼4
Na2O 0.5∼2.5
ZrO2 0.1∼15
안료 0.001∼20
표 1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유약 원료 2 Kg와 물 1 Kg 및 구석(球石) 4 Kg을 용적 6리터의 도기성 포트에 넣고,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를 사용한 분쇄후의 착색성 유약 슬러리의 입도 측정 결과가, 10 ㎛ 이하가 65%, 50% 평균입경(D50)이 6.5 ㎛ 정도가 되도록 볼 밀에 의해 분쇄했다. 여기서 얻어진 유약 슬러리를 유약 A라고 한다.
다음에, 규사, 장석, 점토 등을 원료로 하여 조제한 위생도기 소지 슬립을 사용하여 볼 면의 뒷쪽은 적용할 필요가 없는 언더 카운터식의 세면기를 제작하고, 유약 A를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그 후, 1100∼1200℃에서 소성하여 시료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세면기에 대해, 유약 표면 조도(Ra)의 측정 및 제조상의 외관 결점의 확인을 행했다.
표면 조도는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JIS-B0651)를 사용하여 중심선 표면 조도(Ra)를 측정했다.
제조상의 외관 결점은 외관 검사에 의해 확인했다.
(비교예 2)
[표 2]
유약 기재 중량%
SiO2 52∼76
Al2O3 6∼14
MgO 0.5∼4.0
CaO 6∼17
ZnO 3∼11
K2O 1∼5
Na2O 0.5∼2.5
표 2의 조성으로 구성되는 원료와 비정질 유약을 양자의 합계에 대한 비정질 유약의 비율이 50∼99중량%가 되도록 조정한 투명성 유약 원료 2 Kg과 물 1 Kg 및 구석(球石) 4 Kg을 용적 6리터의 도기성 포트에 넣고,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를 사용한 분쇄후의 투명성 유약 슬러리의 입도 측정 결과가, 10 ㎛ 이하가 67%, 50% 평균입경(D50)이 6.0 ㎛가 되도록 볼 밀에 의해 분쇄를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유약 슬러리를 유약 B라고 한다.
다음에, 규사, 장석, 점토 등을 원료로 하여 조제한 위생도기 소지 슬립을 사용하여, 볼 면의 뒷쪽도 적용할 필요가 있는 벽걸이식의 세면기를 제작하고, 하층으로서 유약 A를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또 그 위에 상층으로서 유약 B를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도포했다. 그 후, 1100∼1200℃로 소성하여 시료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세면기에 대해, 유약 표면 조도(Ra)의 측정 및 제조상의 외관 결점의 확인을 행했다.
표면 조도는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JIS-B0651)를 사용하여, 중심선 표면 조도(Ra)를 측정했다.
제조상의 외관 결점은 외관 검사에 의해 확인했다.
(실시예 1)
도석 30∼50%, 점토 30∼50%, 장석 10∼30%가 되도록 조정한 엔고베 원료 2 Kg과 물 2 Kg 및 구석 4 Kg을 용적 6리터의 도기성 포트에 넣고,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를 사용한 분쇄후의 착색성 유약 슬러리의 입도 측정 결과가, 10 ㎛ 이하가 62%, 50% 평균입경(D50)이 7 ㎛ 정도가 되도록 볼 밀에 의해 분쇄했다. 여기서 얻어진 엔고베층 원료 슬러리를 슬러리 C라고 한다.
다음에, 규사, 장석, 점토 등을 원료로 하여 조제한 위생도기 소지 슬립을 사용하여, 볼 면의 뒷쪽도 착색성 유약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 벽걸이식 세면기를 제작하고, 볼 면의 바깥쪽에 엔고베층으로서 슬러리 C를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또한, 볼 면의 안팎 양면을 포함한 필요한 부분에 착색성의 하층 유약 A를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또한 그 위에 볼 면의 뒷쪽을 제외한 필요한 부분에 투명성 상층 유약 B를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도포했다. 그 후, 1100∼1200℃에서 소성하여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세면기에 대해, 유약 표면 조도(Ra)의 측정 및 제조상의 외관 결점의 확인을 행했다.
표면 조도는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JIS-B0651)를 사용하여, 중심선 표면 조도(Ra)를 측정했다.
제조상의 외관 결점은 외관 검사에 의해 확인했다.
(실시예 2)
도석 30∼50%, 점토 30∼50%, 장석 10∼30%이 되도록 조정한 엔고베 원료 2 Kg과 물 2 Kg 및 구석 4 Kg을 용적 6리터의 도기성 포트에 넣고,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를 사용한 분쇄후의 착색성 유약 슬러리의 입도 측정 결과가, 10 ㎛ 이하가 71%, 50% 평균입경(D50)이 5 ㎛ 정도가 되도록 볼 밀에 의해 분쇄했다. 여기서 얻어진 엔고베층 원료 슬러리를 슬러리 D라고 한다.
다음에, 규사, 장석, 점토 등을 원료로 하여 조제한 위생도기 소지 슬립을 사용하여, 볼 면의 뒷쪽도 착색성 유약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 벽걸이식의 세면기를 제작하고, 볼 면의 겉쪽에 엔고베층으로서 슬러리 D를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도포했다.
또한, 볼 면의 안팎 양면을 포함한 필요한 부분에 착색성의 하층 유약 A를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그 위에 볼 면의 안쪽을 제외한 필요한 부분에 투명성의 상층 유약 B를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도포했다. 그 후, 1100∼1200℃로 소성하여 시료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세면기에 대해서, 유약 표면 조도(Ra)의 측정, 및 제조상의 외관 결점의 확인을 행했다.
표면 조도는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JIS-B0651)를 사용하여, 중심선 표면 조도(Ra)를 측정했다.
제조상의 외관 결점은 외관 검사에 의해 확인을 행했다.
각각의 결과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지 표면에 소지로부터의 가스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엔고베를 적용하여, 엔고베층을 형성함으로써, 제품 형상, 제 1 착색성 유약층의 적용 부위 등에 관계없이, 반점 모양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
외관 표면의 조도(Ra)
(비교예 1) 양호 0.110 ㎛
(비교예 2) 부분적으로 약간 반점모양 0.060
(실시예 1) 거의 양호 0.055
(실시예 2) 양호 0.050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 형상, 제 1 착색성 유약층의 적용 부위 등에 상관없이, 외관이 양호하고, 장기에 걸쳐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유지하는 위생도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1)

  1. 도기 소지(素地) 표면에 착색성의 제 1 유약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투명성의 제 2 유약층이 형성되어 있는 위생도기로서, 상기 소지 표면과 상기 제 1 유약층 사이에는 엔고베(engobe)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약층 표면의 표면 조도는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장치(JIS-B0651)로 측정한 때 Ra가 0.07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성의 제 1 유약층에는 유탁제 입자 또는 안료 입자로 이루어진 입자 모양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고베층이 상기 소지보다 기공률이 작은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도기에는 상기 엔고베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고베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주로 상기 소지 표면의 안팎 양면에 제 1 유약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그의 한쪽 면에만 엔고베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
  6. 삭제
  7. 제 1 항에 기재된 위생도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엔고베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위생도기 기재(基材)의 성형 소지(素地)에 적용하는 공정, 제 1 유약층을 형성하기 위한 착색성 유약 원료를 상기 엔고베층 상에 적용하는 공정, 제 2 유약층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성 유약 원료를 상기 제 1 유약층상에 적용하는 공정,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엔고베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는 50%입경(粒徑)(D50)이 6 ㎛ 이하의 분체 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엔고베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는 도석 30∼50%, 점토 30∼50%, 용제 10∼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도기에 상기 엔고베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의 제조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고베층을 형성하는 부분은 주로 상기 소지 표면의 안팎 양면에 제 1 유약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그의 한쪽 면에만 엔고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도기의 제조방법.
KR1020017001321A 1999-06-18 2000-06-16 위생도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67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12399 1999-06-18
JP11-172123 1999-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629A KR20010113629A (ko) 2001-12-28
KR100667054B1 true KR100667054B1 (ko) 2007-01-11

Family

ID=1593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321A KR100667054B1 (ko) 1999-06-18 2000-06-16 위생도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383646B1 (ko)
EP (1) EP1110924B1 (ko)
JP (1) JP3285035B2 (ko)
KR (1) KR100667054B1 (ko)
CN (1) CN1138723C (ko)
AT (1) ATE282014T1 (ko)
AU (1) AU766236B2 (ko)
DE (1) DE60015704T2 (ko)
ES (1) ES2232457T3 (ko)
ID (1) ID26916A (ko)
NZ (1) NZ516647A (ko)
PL (1) PL353479A1 (ko)
TR (1) TR200103620T2 (ko)
TW (1) TW572863B (ko)
WO (1) WO2000078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8263A (ja) * 2000-04-06 2001-12-18 Toto Ltd 衛生陶器
CN1673190B (zh) * 2004-03-24 2010-04-28 北京航空航天大学 多功能陶瓷涂层制备方法
EP1881892A4 (en) * 2005-05-09 2012-05-30 American Standard Int Inc ANTIMICROBIAL GLASS AND PORCELAIN LACQUER THROUGH TWO-LAYER GLASS WITH HIGH ZINC
US20080300129A1 (en) * 2005-12-28 2008-12-04 Caroma Insdustries Limited Ceramic ma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US7579084B2 (en) * 2005-12-28 2009-08-25 Caroma Industries Limited Ceramic ma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KR100758931B1 (ko) * 2006-01-03 2007-09-14 대화요업(주) 전사기법에 의한 상감청자효과를 내는 청자위생도기제조방법
EP2118038B1 (en) 2007-02-20 2017-06-14 Microban Products Company Ceramic glaze having antimicrobial property
US10159255B2 (en) 2008-02-16 2018-12-25 Microban Products Company Biocidal glazing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DE102009023497B4 (de) 2009-06-02 2012-04-19 Nanogate Ag Glasurzusammensetzung mit Glasplättchen verschiedener Größ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ierter Sanitärkeramik sowie Verwendung der Glasurzusammensetzung
ES2406354B1 (es) * 2011-09-20 2014-04-09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Csic) - Combinación y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esmaltes cerámicos bactericidas para productos cerámicos
CN104163618B (zh) * 2014-06-04 2016-01-20 德化县兰彩坊陶瓷有限公司 可优化水质的陶器及其制造工艺
CN105330342B (zh) * 2015-10-15 2017-08-04 蒙娜丽莎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立体装饰效果的一次烧超平喷墨渗花瓷质砖及其制造方法
EP3414287B1 (en) * 2016-02-08 2019-12-18 Kaleseramik Canakkale Kalebodur Seramik Sanayi Anonim Sirketi An inorganic antibacterial amorphous coating for ceramic surfaces
US9974310B2 (en) 2016-03-09 2018-05-22 Microban Products Company Ceramic additive formulation and method of making
US10899657B1 (en) 2016-03-09 2021-01-26 Microban Products Company Ceramic additive formulation and method of making
CN106365691B (zh) * 2016-08-30 2019-02-22 西安天时包装有限公司 仿旧陶瓷制作方法
US11844351B2 (en) 2016-10-31 2023-12-19 Microban Products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glazed ceramic article
JP2022184067A (ja) * 2021-05-31 2022-12-13 Toto株式会社 衛生陶器
TWI823147B (zh) * 2021-09-17 2023-11-21 張志生 抗菌磁磚及其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6214B (de) * 1957-01-31 1958-03-13 Wessel Werk Ag Verfahren zum Erzeugen fehlerfreier Glasur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0394A (en) * 1971-01-20 1974-10-08 Scm Corp Composition and process for glazing ceramic ware
JPS63195157A (ja) * 1987-02-04 1988-08-12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焼成品の製造法
GB9108257D0 (en) * 1991-04-17 1991-06-05 Cookson Group Plc Glaze compositions
JPH05194012A (ja) * 1992-01-20 1993-08-03 Inax Corp 焼き物風衛生陶磁器製品の製造方法
ATE161523T1 (de) * 1992-07-01 1998-01-15 Proceram Bleifreie, durchsichtige, glaskeramische zusammensetzungen und daraus hergestellte gegenstände
JPH0632682A (ja) * 1992-07-20 1994-02-08 Inax Corp 施釉方法
US5962353A (en) * 1993-02-12 1999-10-05 Hercules Incorporated High productivity ceramic glaze
DE69408096T2 (de) * 1993-05-31 1998-06-10 Sumitomo Osaka Cement Co Antibakterielle und schlimmelabweisende glasurzusammensetzung für keramische produkte
DE19701080C1 (de) * 1997-01-15 1998-07-02 Bk Giulini Chem Gmbh & Co Ohg Verfahren zum Färben von Keramikoberfläch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6214B (de) * 1957-01-31 1958-03-13 Wessel Werk Ag Verfahren zum Erzeugen fehlerfreier Glasu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0924A1 (en) 2001-06-27
NZ516647A (en) 2002-08-28
DE60015704D1 (de) 2004-12-16
WO2000078689A1 (fr) 2000-12-28
TW572863B (en) 2004-01-21
CN1138723C (zh) 2004-02-18
ID26916A (id) 2001-02-22
EP1110924A4 (en) 2002-04-03
PL353479A1 (en) 2003-11-17
TR200103620T2 (tr) 2002-04-22
CN1302282A (zh) 2001-07-04
AU5250600A (en) 2001-01-09
AU766236B2 (en) 2003-10-09
JP3285035B2 (ja) 2002-05-27
KR20010113629A (ko) 2001-12-28
US6383646B1 (en) 2002-05-07
DE60015704T2 (de) 2005-12-22
EP1110924B1 (en) 2004-11-10
ES2232457T3 (es) 2005-06-01
ATE282014T1 (de) 2004-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054B1 (ko) 위생도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4157B1 (ko) 위생도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1134133A (ja) 清掃性に優れた衛生陶器
JP5482572B2 (ja) 防汚性マット調表面を有した衛生陶器
JP3567788B2 (ja) 衛生陶器
JP3837958B2 (ja) 衛生陶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8250A (ja) 衛生陶器
JP3531565B2 (ja) 衛生陶器の製造方法
JP3608429B2 (ja) 衛生陶器の製造方法
JP2002316885A (ja) 衛生陶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783466B2 (ja) 衛生陶器
JP3791238B2 (ja) 衛生陶器の製造方法
JP2001073435A (ja) 衛生陶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711209B2 (ja) 衛生陶器の製造方法
JP2003238274A (ja) 衛生陶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536782B2 (ja) 衛生陶器
JP3702703B2 (ja) 衛生陶器の製造方法
JP2002167292A (ja) 衛生陶器
JP2000178089A (ja) 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10428A (ja) 衛生陶器の製造方法
JP3572999B2 (ja) 評価用便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34782A (ja) 衛生陶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61689A (ja) 洗面器
JP2001048680A (ja) 衛生陶器
JP2002029869A (ja) 衛生陶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