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108B1 - 광학 주사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주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108B1
KR100651108B1 KR1020040042786A KR20040042786A KR100651108B1 KR 100651108 B1 KR100651108 B1 KR 100651108B1 KR 1020040042786 A KR1020040042786 A KR 1020040042786A KR 20040042786 A KR20040042786 A KR 20040042786A KR 100651108 B1 KR100651108 B1 KR 10065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on mirror
laser beam
scanning device
optical scann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388A (ko
Inventor
나까하따히로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광학 주사 장치는 다각 미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다각 미러에 입사하는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을 편향시키는 회전식 다각 미러와, 제1 레이저 비임을 투과시키는 제1 광학 부재와, 제2 레이저 비임을 투과시키는 제2 광학 부재와, 제1 광학 부재에 의해 반사된 제1 레이저 비임이 제2 광학 부재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광학 부재에 의해 반사된 제1 레이저 비임을 차단하기 위해 제1 광학 부재와 제2 광학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레이저 비임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광학 주사 장치, 다각 미러, 레이저 빔, 플레어, 광학 부재

Description

광학 주사 장치{OPTICAL SCANN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소음 면에서의 특징을 도시한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 내의 플레어(flare)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 내의 플레어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 내의 플레어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통상적인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광학 주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광학 주사 장치의 기본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각 미러
2a, 2b : 제1 초점 렌즈
3a, 3b : 제2 초점 렌즈
5 : 하우징
6 : 리브
6a : 슬릿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등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노광 장치로서 양호하게 이용되는 광학 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플레어를 구조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광학 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탄생하게 된 배경 기술이 설명될 것이다.
도10은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도면이다. (이후에 감광 부재로 언급될) 황색, 적색, 청색 및 흑색 컬러용 다중 화상 담지 부재를 하나씩 포함한다. 감광 드럼은 전기 전도성 기판 및 기판 상에 코팅된 감광층을 포함한다. 감광 부재의 주연면이 광학 주사 장치로부터 투사된 레이저 광의 비임에 노광됨에 따라, 정전 잠상은 감광 부재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도10에서, 도면 부호 21은 레이저 광의 비임을 도시되지 않은 화상 판독 장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형성 데이터로 변조하면서, 레이저 광의 비임을 투사하는 광학 주사 장치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22는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에 마찰로 대전된 토너의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23은 한 장의 전사 용지에 감광 드럼 상의 전술된 토너 화상을 운반하기 위한 중간 전사 벨트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24는 토너 화상이 형성될 전사 용지 시트를 저장하는 급지 카세트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25는 전사 용지 상에 방금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전사 용지에 열 정착하는 정착 장치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26은 토너 화상이 방금 정착된 전사 용지가 축적하여 배출되는 분배 트레이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27은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너를 나타낸다.
전술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 형성 공정은 이하와 같다. 우선, 광의 비임은 화상 형성 데이터로 변조되면서 광학 주사 장치로부터 대전 장치에 의해 대전된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으로 투사된다. 그 결과, 정전 잠상은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그 후, 마찰 대전된 토너는 정전 잠상에 부착되어, 전술된 현상 장치 내의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에 토너의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이후에 토너 화상으로서 간단히 언급될) 토너로 형성된 화상은 감광 드럼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 상으로 전사된다. 그 후,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하부에 위치된 급지 카세트로부터 분배된 한 장의 전사 용지에 전사되며, 화상은 전사 용지에 형성된다. 전사 용지 상의 토너 화상은 정착 장치에 의해 전사 용지에 정착된다. 그 후, 전사 용지는 분배 트레이 내로 배출된다.
도11은 도10의 화상 형성 장치의 광학 주사 장치의 도면이다. 광학 주사 장치는 대칭이며, 그의 좌측 반부는 우측 반부에 대해 대칭이다. 따라서, 도면의 도면 부호는 장치의 우측 반부의 것들만 나타낸다. 이 광학 주사 장치는 레이저 광의 2개의 비임이 대향 방향으로부터 단일 다각 미러(28) 상에 투사되고, 4개의 감광 드럼이 각각 노출 광의 4개의 비임(E1 내지 E4)에 노광되는 유형의 것이다. 이는 경사 입사형이며, 그의 제2 초점 렌즈는 레이저 광의 비임이 분리된 후에 제2 초점 렌즈를 통해 투과되도록 배치된다. 경사 입사 광학 시스템은, 레이저 광의 1 개의 비임을 레이저 광의 2개의 비임, 즉 레이저 광의 상부와 하부 광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레이저 광의 원래 비임이 다각 미러에 의해 편향된 후에, 레이저 광의 2개의 비임이 다각 미러의 회전 방향 및 다각 미러의 반사면에 대한 법선으로 한정되는 평면(도면의 X-Y 평면)인 도12의 기본 평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다각 미러(28)의 반사면을 타격하도록 투사되는 광학 시스템을 의미한다.
다각 미러(28)에 의해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2개의 비임은 제1 초점 렌즈(29)를 통해 투과된다. 감광 드럼측 상에 진행하는 레이저 광의 비임은 분리된 편향 미러(31c)를 향해 하향으로 편향된다. 레이저 광의 2개의 비임은 상이한 각도로 제1 초점 렌즈(29)로 진입한다. 따라서, 원통형 렌즈는 제1 초점 렌즈(29)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부주사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대해 레이저 광의 비임을 초점을 맞추는 것은 레이저 광의 2개의 비임의 경로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2 초점 렌즈(30)에 의해 행해진다. 레이저 광의 비임(E-2)은 하향으로 진행하여, 레이저 광의 다른 비임과 교차한다. 그 후, 이는 편향 미러(31c)와 광학 주사 장치의 하우징의 하부면 상에 위치되는 편향 미러(31b)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초점 렌즈를 통해 투과되고, 편향 미러(31b)에 의해 편향된다. 그 후, 이는 제1 초점 렌즈 옆의 영역을 통해 진행하며, 감광 드럼의 주연면에 도달하여, 이를 노광시킨다. 감광 드럼의 좌단부 및 감광 드럼의 우단부 상에 각각 투사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E1, E4)은 하나씩 분리된 편향 미러의 바로 아래로 진행하며, 제2 초점 렌즈를 통해 진행하며, 편향 미러(31a)에 의해 편향되어서, 이에 의해 각각 우측 및 좌측 단부 상의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으로 투사된다. 분리된 편향 미러는 광속이 성분 공차, 다각 미러 모터의 위상 에러 등으로 인해 상실되지 않도록 위치 설정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광학 주사 장치는 이하의 구조적 문제를 갖는다. 즉, 각 쌍의 광학 부품은 다각 미러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제1 초점 렌즈의 진입 평면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는 다각 미러의 상부면 및 하부면 근처에 진행하며, 플레어를 초래한 제1 초점 렌즈로부터 다각 미러의 대향측 상에 위치되는 제1 초점 렌즈를 통해 투과하며, 편향 미러에 의해 편향되며, 부적절한 감광 드럼 상으로 투사되어서, 농도 편차 등의 화상 결함을 초래한다. 레이저 광의 각 비임은 진동 방식으로 다각 미러에 의해 편향된 후에, 약 10% 이하만큼 렌즈에 의해 편향된다. 따라서, 코팅 처리를 렌즈에 제공하는 것이 공통적인 실행이다. 그러나, 렌즈에 특수 코팅 등을 제공하는 것은 광학 주사 장치 비용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렌즈에 반사 방지 코팅을 제공하는 것은 플레어의 소멸을 보장하지 않으며, 렌즈에 반사 방지 코팅이 제공되더라도, 플레어가 렌즈에 의해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플레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다중 레이저 비임형 광학 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 광의 비임이 진동 방식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다각 미러에 의해 편향되는 광학 시스템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광학 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각 미러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다각 미러를 타격하는 지점이 상이한 레이저 광의 제1 및 제2 비임을 진동 방식으로 편향시키는 회전 다각 미러와,
레이저 광의 제1 비임이 투과되는 제1 광학 부재와,
레이저 광의 제2 비임이 투과되는 제2 광학 부재와,
제1 광학 부재에 의해 반사되는 레이저 광의 제1 비임의 일부가 제2 광학 부재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광학 부재에 의해 반사되는 레이저 광의 제1 비임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해 제1 광학 부재와 제2 광학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플레어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을 고려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 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다각 미러 및 그 인접부가 도시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장착되며, 광의 비임을 화상 형성 정보로 변조하면서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에 레이저 광의 비임을 투사함으로써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에 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주사 장치 이외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의 일부는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을 것이며, 그에 대한 설명은 도10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는 4개의 반사면, 즉 대향하는 2개의 반사면의 2쌍을 갖는 단일 다각 미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이저 광의 2쌍의 비임, 즉 레이저 광의 4개의 비임 전체는 1쌍의 제1 초점 렌즈로, 렌즈당 2개의 비임이 진입하며, 하나씩 4개의 감광 드럼을 노광한다.
도1에서, 도면 부호 1은 레이저로부터 투사된 레이저 광의 비임을 편향시키는 다각 미러(회전 다중면 미러)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2a 및 2b는 하나씩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에서 레이저 광의 비임을 스폿으로 초점을 맞추는 제1 초점 렌즈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3a는 제1 초점 렌즈와 함께 감광 드럼의 주연면 상에서 레이저 광의 비임을 스폿으로 초점을 맞추는 제2 초점 렌즈를 나타낸다. 제1 초점 렌즈 및 제2 초점 렌즈의 조합은 fθ렌즈라고 언급된다. 제1 초점 렌즈(2a, 2b)는 다각 미러 상의 입사각이 상이한 레이저 광의 2개의 비임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 따라서, 이들은 부주사 방향에 대해서 광을 굴절시키지 않는 원통형 렌즈이다.
도면 부호 4는 전술된 제1 초점 렌즈들 중 하나를 통해 투과된 레이저 광의 비임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편향 미러이며, 도면 부호 5는 광학 주사 장치의 다양한 광학 요소가 지지되거나 광학 주사 장치의 다양한 광학 요소가 정착되는 광학 주사 장치의 하우징이다. 도면 부호 6은 제1 초점 렌즈를 지지하는 하우징(5)의 리브이다. 광학 요소는 제1 초점 렌즈(2a, 2b), 제2 초점 렌즈(3a) 및 편향 미러(4)를 포함한다. 제1 초점 레즈(2a, 2b)는 제1 광학 요소를 구성하며, 하우징(5)은 광학 요소 보유 부재를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레이저 광의 4개의 비임은 도면의 하부에 위치된 도시되지 않은 4개의 광원으로부터 투사된다. 레이저 광의 4개의 비임 중 2개는 진동 방식으로 다각 미러(1)에 의해 좌향으로 편향되며, 나머지 2개는 진동 방식으로 다각 미러(1)에 의해 우향으로 편향된다. 레이저 광의 각 비임은 다각 미러(1)의 반사면에 대한 입사각에 있어 경사진다. 진동 방식으로 다각 미러에 의해 편향된 후에, 레이저 광의 2개의 비임의 주어진 세트 중 하나는 제1 초점 렌즈를 통해 투과되며, 제2 초점 렌즈(3)의 광학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편향 미러(4)에 의해 편향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편향 미러(4) 바로 아래로 진행되며, 감광 드럼 중 하나를 향해 (도시되지 않은) 다른 편향 미러에 의해 편향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광학 주사 시스템의 경우에, 종래 기술에 따른 전술된 광학 주사 장치의 경우에서와 같이, 레이저 광의 비임은 제1 초점 렌즈의 진입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되고(편향되고), 다각 미러(1)에 대해 레이저 광의 비임을 반사한 제1 초점 렌즈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다른 제1 초점 렌즈를 통해 투과되고, 이 레이저 광의 비임에 의해 노광되지 않도록 감광 드럼 상에 투사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이 후, 플레어로 언급될) 레이저 광의 비임의 불필요한 부분은 제1 초점 렌즈(2a)를 지지하는 하우징(5)에 도1에 도시된 슬릿(6a)을 갖는 리브(6)가 제공됨으로써 차단된다. 이 경우, 리브(6)는 플레어 차단 부재를 구성한다. 특히, 하우징(5)에는 리브(6)가 제공되며, 리브(6)의 표면들 중 하나는 제1 초점 렌즈를 정밀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해 제1 초점 렌즈가 접촉하여 위치되는 기본 표면(위치 설정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광학 주사 장치에 전용 플레어 차단 부품을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또한, 어떠한 부품도 개재하지 않아서, 광학 주사 장치에 수직 측정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서, 플레어를 차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면에서, 슬릿(6a)의 높이(h1)는 이후에 논의될 이유로 인해 다각 미러(1)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다음으로, 플레어 차단 원리는 도1에 도시된 광학 주사 장치의 부분의 단면도인 도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 부호 7은 회전 다각 미러에 의해 진동 방식으로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이며, 도면 부호 8은 제1 초점 렌즈(2b)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이다. 도2에는 진동 방식으로 우향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도, 제1 초점 렌즈(2a)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도 도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레이저 광의 비임으로서 얻어진 플레어는 제1 초점 렌즈(2b)의 진입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되고(편향되고), 다각 미러(1)에 대해 제1 초점 렌즈(2b)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 설정되는 제1 초점 렌즈(2a)를 지지하는 하우징(5)의 리브(6)에 의해 차단된다. 도2로부터 명백해질 바와 같이, 레이저 광의 비임의 입사각을 보다 크게 설정할수록 플레어가 렌즈로 진입하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초점의 견지에서, 입사각을 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은 불리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어는 제1 초점 렌즈(2b)에 의해 반사된(편향된) 후에, 제1 초점 렌즈(2b)로부터 다각 미러(1)의 대향측에 있는 제1 초점 렌즈(2a)를 향해 진행한다. 따라서, 플레어는 제1 초점 렌즈(2a)에 의해 진동 방식으로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과는, 각도가 대략 동일하더라도 높이가 다르다. 따라서, 플레어 차단 리브(6)는 제1 초점 렌즈(2a)에 의해 진동 방식으로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이 리브(6)의 슬릿(6a)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뿐만 아니라, 제1 초점 렌즈(2b)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를 차단하여야 한다.
그러나, 리브를 다각 미러(1)의 근방에 배치할 때, 소음, 특히 휘파람같은 소리의 증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다각 미러(1) 또는 다각 물체는 고속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리브와 같은 이러한 벽이 다각 미러(1)의 옆에 존재한다면, 다각 미러(1)의 각 코너와 리브(6) 사이의 압력의 변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어, 작동 소음에 추가되기 쉽다. 도3은 다각 미러(1)의 외접원으로부터 리브(6)까지의 거리와 다각 미러(1)로 인해 발생된 휘파람같은 소리의 양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 경우, 리브(6)의 슬릿(6a)의 하부 에지는 다각 미러(1)의 하부면과 높이가 동일하다. 리브(6)가 다각 미러(1)에 가까울수록 소음 레벨이 높아지며, 리브(6)가 다각 미러(1)로부터 약 5mm 이상 이격되어 위치될 때 리브(6)의 존재가 소음 레벨에 작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다.
리브(6)의 슬릿(6a)의 높이가 다각 미러(1)의 두께 이상일 때, 리브(6)의 존재가 소음 레벨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작다. 따라서, 플레어 가 차단될 수 있는 한, 리브(6)의 슬릿(6a)의 높이는 다각 미러(1)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다각 미러(1)에 대해 구성이 유사한 또 다른 리브를 대칭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불필요하다.
또한, 이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와 다르게 구성된 광학 주사 장치의 경우에, 레이저 광의 비임의 각 쌍이 각 렌즈의 광학축에 대해 비대칭이 되기 위해서, 즉 레이저 광의 비임의 각 쌍이 서로 입사각이 상이하기 위해서는, 슬릿(6a)의 위 또는 아래에 있는 리브(6)의 부분만이 제공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의 변경에 있어서, 제1 초점 렌즈가 다각 미러(1)에 매우 근접할 때, 또는 슬릿(6a)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설정되도록 리브(6)를 위치시키는 것이 구조적으로 곤란할 때, 슬릿(9a)을 갖는 플레어 차단 리브(9)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점 렌즈(9b) 뒤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구성도 제1 실시예[도4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레어 차단 리브(9)가 제1 초점 렌즈(2b)의 옆에 위치된다. 그러나, 플레어 차단 리브(9)는 제1 초점 렌즈(2a)의 옆에 위치될 수 있음도 명백하다.]에 의해 실현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 경우, 슬릿(9a)의 높이가 다각 미러(1)의 두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은 불필요하며, 슬릿(9a)의 높이(g)는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다각 미러(1)로 인해 발생된 소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플레어를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실시예)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제2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의 부분은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면 부호 10은 광학 주사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덮개에 부착되는 원형 리브이다. 원형 리브(10)에는 레이저 광의 비임이 광원으로부터 다각 미러(1) 상으로 투사되는 입구와, 다각 미러(1)에 의해 진동 방식으로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이 각각 제1 초점 렌즈(2a, 2b)를 향해 진행하도록 허용하는 슬릿(10a, 10b)이 제공된다. 도면 부호 11은 도면의 우측에 위치된 제1 초점 렌즈(2b)의 진입 평면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이다. 도5 내지 도7은 우측의 렌즈에 의해 야기된 플레어만을 도시하며, 다각 미러(1)에 의해 진동 방식으로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렌즈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를 도시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의 원형 리브(10)의 슬릿(10a, 10b)의 높이(h2)는 다각 미러(1)의 두께와 동일하다. 원형 리브(10)의 축선은 다각 미러(1)의 축선과 일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원형 리브(10)는 플레어 차단 부재를 구성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도면의 우측에 있는 제1 초점 렌즈(2b)의 진입 평면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는 원형 리브(10)의 슬릿(10b)을 통해 진행하지만, 제1 초점 렌즈(2b)로부터 다각 미러(1)의 대향 측 상에 있는 리브(10)의 부분(10c)에 의해 차단된다. 렌즈의 에지부에 의해 초래된(편향된) 플레어는 다각 미러(1)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된 영역을 통해 진행한다. 따라서, 플레어를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원형 리브(10)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원형 리브(10)의 반경 방향으로 원형 리브(10)로부터 연장하는 리브(10d)를 원형 리브(10)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원형 리브(10)의 슬릿(10a, 10b)의 높이는 다각 미러(1)의 두께와 동 일하다. 따라서, 다각 미러(1)의 코너부 각각에 의해 야기되는 다각 미러(1)와 리브(10) 사이의 압력 변동은 비교적 작다. 따라서, 다각 미러(1)의 회전으로 인해 얻어진 휘파람 같은 소리는 리브(10)의 존재로 인해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슬릿(10a, 10b) 위의 원형 리브(10)의 부분은 광학 주사 장치의 상부 덮개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슬릿(10a, 10b) 아래의 원형 리브(10)의 부분은 광학 주사 장치의 하우징(5)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효과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효과와 동일하다. 즉, 하우징(5) 및 덮개는 각각 광학 요소 보유 하부 및 상부 부재를 구성하며, 덮개가 제공되는 리브는 플레어 차단 부재의 제1 구조부를 구성하며, 하우징(5)에 제공되는 리브는 플레어 차단 부재의 제2 구조부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상부 및 하부 리브는 그의 축선이 서로 일치하는 한, 직경이 상이할 수 있으며, 그의 효과는 직경이 동일할 때와 동일하다. 또한, 원형 리브는 덮개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5)에 부착될 수 있다. 명백하게, 이러한 구성의 효과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가 플레어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각 미러(1)가 휘파람같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광학 주사 장치의 부분은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면 부호 12는 광학 주사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덮개에 제공되는 리브(플레어 차단 부재)를 나타낸다. 이 리브(플레어 차단 부재)(12)는 다각 미러(1)의 바로 위에 위치된다. 리브(12)는 모터의 회전 축과 같은 운동 부품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다각 미러(1)의 상부면에 가능한 근접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경사 입사형의 광학 주사 장치(광학 시스템)의 경우에, 제1 초점 렌즈(2a, 2b)는 장치의 부주사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광을 굴절시킬 수 없는 원통형 렌즈이다. 따라서, 레이저 광속이 제2 초점 렌즈(3a, 3b)를 향해 진행함에 따라, 제2 초점 렌즈(3a, 3b)로 진입할 때까지 부주사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확장한다. 따라서, 플레어 차단 리브가 다각 미러(1)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되는 경우에, 플레어는 플레어 차단 리브와 다각 미러(1) 사이에서 다각 미러에 의해 진동 방식으로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과 때때로 중첩하여, 이에 의해 플레어만을 차단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입사각이 비교적 크거나, 제1 초점 렌즈(2a, 2b)가 다각 미러(1)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될 때, 이 실시예의 구성은 플레어를 충분하게 차단하면서 다각 미러(1)에 의해 발생된 휘파람같은 소리가 플레어 차단 리브의 존재로 인해 증가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권할 만하다.
이 실시예에서, 플레어 차단 리브(12)는 다각 미러(1) 바로 위에 있다. 즉, 이 실시예의 광학 주사 장치는 다각 미러(1)가 회전할 때 다각 미러(1)와 플레어 차단 리브(12) 사이의 압력이 변동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레어 차단 리브(12)의 존재가 다각 미러(1)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된 휘파람같은 소리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도9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13은 다각 미러(1)에 의해 진동 방식으로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이며, 도면 부호 14는 도 면의 우측에 있는 제1 초점 렌즈(2b)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이다. 도9는 다각 미러에 의해 도면의 우측으로 편향된 레이저 광의 비임과, 제1 초점 렌즈(2a)에 의해 초래된 플레어를 도시하지 않는다. 이 구성의 경우, 다각 미러(1) 위의 영역을 향해 유도된 플레어는 다각 미러(1)의 바로 위에 위치 설정된 플레어 차단 리브(12)에 의해 차단되는 반면, 다각 미러(1) 아래의 영역을 향해 유도된 플레어는 제1 초점 렌즈(2a)를 지지하는 부분(15)에 의해 차단된다.
이 경우에, 다각 미러(1) 아래의 영역을 향해 유도된 플레어가 다각 미러(1)에 의해 진동 방식으로 편향되는 레이저 광의 비임과 중첩하지 않도록 광학 주사 장치가 구성되는 한, 플레어 차단 리브의 위치 설정과 관련하여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한 쌍의 플레어 차단 리브가 다각 미러(1)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위치 설정될 필요는 없다. 명백하게, 플레어 차단 리브는 덮개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5)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효과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다각 미러(1)에 의해 발생된 휘파람같은 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플레어를 차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의 다중 비임이 회전 다각 미러에 의해 대향하는 2방향으로 진동 방식으로 편향되는 광학 시스템에서 발생된 플레어의 영향이 소멸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설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적용은 이하의 청구의 범위 또는 개선 목적 내에 있을 수 있는 변형 또는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1)

  1. 광학 주사 장치이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을 편향시키는 회전식 다각 미러와,
    제1 레이저 비임을 투과시키는 제1 광학 부재와,
    제2 레이저 비임을 투과시키는 제2 광학 부재와,
    제1 레이저 비임 차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은 상기 다각 미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다각 미러에 입사하며,
    상기 제1 레이저 비임 차단 부재는 상기 제1 광학 부재에 의해 반사된 제1 레이저 비임이 상기 제2 광학 부재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광학 부재에 의해 반사된 제1 레이저 비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 광학 부재와 상기 제2 광학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주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비임 차단 부재는 상기 다각 미러와 상기 제2 광학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주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비임 차단 부재와 상기 다각 미러 사이의 거리가 5mm보다 작지 않은 광학 주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부재에 의해 반사된 제2 레이저 비임이 상기 제1 광학 부재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광학 부재에 의해 반사된 제2 레이저 비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다각 미러와 상기 제1 광학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레이저 비임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비임 차단 부재는 서로 일체로 된 광학 주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비임 차단 부재는 제2 레이저 비임이 상기 제2 광학 부재쪽으로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비임은 상기 다각 미러의 회전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각 미러에 입사하는 광학 주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비임은 대향 방향으로 상기 다각 미러의 회전 평면과 교차되는 광학 주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레이저 비임 및 제2 레이저 비임은 상기 다각 미러의 대향 표면들에 입사하는 광학 주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부재 및 상기 제2 광학 부재는 상기 회전식 다각 미러의 회전 중심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는 광학 주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주사 장치는 제1 및 제2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장치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감광 부재는 제1 레이저 비임에 화상 방향으로 노광되며, 상기 제2 감광 부재는 제2 레이저 비임에 화상 방향으로 노광되는 광학 주사 장치.
KR1020040042786A 2003-06-13 2004-06-11 광학 주사 장치 KR100651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9170A JP5013652B2 (ja) 2003-06-13 2003-06-13 走査式光学装置
JPJP-P-2003-00169170 2003-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388A KR20040107388A (ko) 2004-12-20
KR100651108B1 true KR100651108B1 (ko) 2006-12-01

Family

ID=3329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786A KR100651108B1 (ko) 2003-06-13 2004-06-11 광학 주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72087B2 (ko)
EP (1) EP1486335B1 (ko)
JP (1) JP5013652B2 (ko)
KR (1) KR100651108B1 (ko)
CN (1) CN1296748C (ko)
DE (1) DE60200402461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9082A (ja) * 2004-07-26 2006-02-09 Brother Ind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走査ユニット、レンズセット、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25623B2 (ja) * 2004-09-13 2012-05-09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89434B2 (ja) * 2004-12-15 2011-05-25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34819B2 (ja) * 2005-02-22 2011-02-16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584789B2 (ja) * 2005-03-16 2010-11-24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37792A (ja) * 2005-06-03 2006-12-14 Canon Inc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081365B2 (en) * 2005-06-30 2011-12-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Optical scanner and image-forming device
JP4574477B2 (ja) * 2005-07-20 2010-11-04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19446B2 (ja) * 2005-09-02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86261B2 (ja) * 2005-09-06 2011-10-05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71498A (ja) * 2005-12-21 2007-07-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880302B2 (ja) 2005-12-26 2012-02-22 株式会社リコー 光偏向器、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16273B2 (ja) * 2006-09-19 2013-01-09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遮光材、フレア光の遮蔽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323739A1 (en) * 2006-12-22 2009-12-31 Uv Tech Systems Laser optical system
JP5388418B2 (ja) * 2007-02-19 201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83805B2 (ja) * 2007-05-01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197045B2 (ja) * 2008-02-13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219548B2 (ja) * 2008-02-22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5219549B2 (ja) * 2008-02-22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5116559B2 (ja) * 2008-05-08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247371B2 (ja) * 2008-11-19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300505B2 (ja) 2009-01-21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の調整方法
JP2010271570A (ja) * 2009-05-22 2010-12-02 Canon Inc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5150568B2 (ja) * 2009-06-29 2013-02-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75138B2 (ja) * 2010-04-30 2012-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TWI412873B (zh) * 2011-04-29 2013-10-21 Univ Nat Changhua Education 投影裝置
JP5089792B2 (ja) * 2011-05-30 2012-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式光学装置
JP5915011B2 (ja) * 2011-07-11 2016-05-11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41074B2 (ja) 2012-04-25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053314B2 (ja) 2012-04-26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242547A (ja) 2012-04-26 2013-12-05 Canon Inc 光走査装置及び該光走査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015248B2 (ja) * 2012-08-29 2016-10-26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03111B2 (ja) * 2014-04-24 2017-09-27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6478560B2 (ja) 2014-10-29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6212528B2 (ja) 2015-11-06 2017-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2018060092A (ja) 2016-10-06 2018-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6882002B2 (ja) 2017-02-15 2021-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の筐体及び光走査装置
JP7005150B2 (ja) 2017-02-15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32637A (ja) 2017-02-15 2018-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の製造方法、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40562B2 (ja) 2017-02-15 2021-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18514B2 (ja) 2017-02-15 2021-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の筐体及び光走査装置
JP6882001B2 (ja) 2017-02-15 2021-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87823B2 (ja) 2017-02-15 2021-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32643A (ja) 2017-02-15 2018-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87822B2 (ja) 2017-02-15 2021-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49493B2 (ja) 2017-03-10 2021-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616A (ja) 1983-04-12 1984-10-26 Canon Inc 光ビ−ム走査装置
JPH0635212Y2 (ja) * 1987-04-08 1994-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
JPH03264970A (ja) 1990-03-15 1991-11-26 Ricoh Co Ltd レーザ書込装置
JPH07134261A (ja) * 1993-11-10 1995-05-23 Toshiba Corp 光学装置
JPH09197315A (ja) * 1996-01-17 1997-07-31 Fuji Xerox Co Ltd 迷光防止装置
JP3566474B2 (ja) * 1996-11-18 2004-09-15 株式会社リコー 光ビーム走査装置
JPH11249056A (ja) * 1998-03-04 1999-09-17 Konica Corp レーザー露光装置
JP4235299B2 (ja) 1998-12-22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JP4469034B2 (ja) * 1999-07-26 2010-05-26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JP3875813B2 (ja) 1999-08-30 2007-01-31 株式会社リコー 複数ビーム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62950B2 (ja) * 2000-10-20 2006-12-27 株式会社リコー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24473B2 (ja) * 2000-11-29 2007-12-19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48727B2 (ja) * 2002-08-28 2008-09-10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6748C (zh) 2007-01-24
US20040263933A1 (en) 2004-12-30
KR20040107388A (ko) 2004-12-20
CN1573415A (zh) 2005-02-02
JP5013652B2 (ja) 2012-08-29
EP1486335A1 (en) 2004-12-15
JP2005004050A (ja) 2005-01-06
EP1486335B1 (en) 2009-12-16
DE602004024616D1 (de) 2010-01-28
US7072087B2 (en)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108B1 (ko) 광학 주사 장치
US75186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382501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5483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0889353B1 (en) Optical deflecting-scanning apparatus
JP2019191333A (ja) ポリゴンミラー、偏向器、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43176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307696A (ja) 走査光学装置
JP4794717B2 (ja) 光走査光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07120696A (ja) 光走査装置
JP4400743B2 (ja) 走査レンズ、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走査レンズの製造方法
JP4744117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06628B2 (ja) 光走査装置
JP2947952B2 (ja) 電子写真装置
JP2002328325A (ja) 走査光学装置
US6118464A (en) Beam scanning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color printer using deflection disk
JP6202940B2 (ja) 光ビーム出射装置、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0288747A (ja) 偏向走査装置
JPH07270695A (ja) 画像形成装置の走査光学装置
JP2012003137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356755A (ja) 光ビーム走査装置
JP2000267036A (ja) 走査光学装置
JPH06265808A (ja) 光ビーム走査光学系
JPH11337856A (ja) 走査光学装置
JPH10232361A (ja) 走査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