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474B1 - 접착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474B1
KR100530474B1 KR10-2000-7002534A KR20007002534A KR100530474B1 KR 100530474 B1 KR100530474 B1 KR 100530474B1 KR 20007002534 A KR20007002534 A KR 20007002534A KR 100530474 B1 KR100530474 B1 KR 10053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lider
adhesive
groov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580A (ko
Inventor
바그너워베에
플라우브록게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라인하르트 뒤스폴 마시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하르트 뒤스폴 마시넨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인하르트 뒤스폴 마시넨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3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05C5/0266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adjustable in length, e.g. for coating webs of different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고융접착제(HK)의 도포장치(AV)는 접착제 공급부(2) 및 압력에 의하여 접착제를 유출(流出)시키는 조절가능한 노즐홈(3)을 가진 하우징(1)을 포함한다. 접착제의 도포폭(B)을 조절하기 위하여 직선적이며 연속적으로 서로 영(zero)위치에서 최대치의 변위(變位) 가능한 2개의 노즐슬라이더(4)를 사용하여 노즐홈(3)을 제어할 수 있다. 양쪽의 노즐슬라이더(4)는 서로 동기(同期)하거나 독립으로 변위되며, 양쪽의 노즐슬라이더(4)는 노즐홈(3)의 도포폭(B)의 중앙 영(zero)위치에서 같은 간격 및 다른 간격으로 서로 변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접착제 도포장치{ADHESIVE APPLICATOR DEVICE}
본 발명은 접착제 공급부와 접착제 유출의 조절가능한 노즐홈을 가지며, 상기의 것에 의해 도포장치가 소위 홈 노즐(slot nozzle)을 이루는 막, 종이 적층체, 베니어판등과 같은 재료상에 고용접착제(hot-melt adhesive)를 도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공지의 도포장치에서는 하우징이 판으로 된 마스크의 사용에 의해 도포폭을 가변가능한 실제상으로 일관된 노즐홈을 가지고 있다. 소망하거나 필요한 노즐홈의 폭에 따라서 이들의 마스크를 교환하지 않으면 아니되며, 이는 도포장치의 분해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복잡하고 시간이 걸린다.
제조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노즐홈이 닫혀지지 않기 때문에 공기가 장치에 유입되어 이로 인하여 접착제가 경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노즐홈은 수동으로 닫으나 이는 가끔 불충분하여 접착제가 경화하며 장치의 청소에 비용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도1은 일부 절단된 노즐체, 슬라이더,및 슬라이더안내부를 가진 접착도포장치의 예시도.
도2는 도포장치의 길이부분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도3은 도2에 의한 장치범위의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
도4는 노즐홈및 이송 나사축에 의해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를 가진 장치의 길이부분의 평면도.
도5는 수평으로 접착제를 공작물에 도포하는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6은 수직으로 접착제를 공작물에 도포하는 장치의 개략정면도도7은 에지트레이서(edge tracers)및 거리픽업수단에 의하여 노즐슬라이더의 세트 조절장치의 개략도.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의 결점을 해결하고 접착제 도포장치의 노즐홈을 각각 도포하는 폭으로 도포장치의 조립작업 없이 간단하게 개개의 조절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제조의 정지시간 중에는 노즐홈을 외부로부터 접착제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 닫을 수 있다.
본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범위 제1항의 제특징에 의하여 해결된다.
또 접착제가 유리한 접착제- 유동거리에서 노즐홈으로부터 공급에서 유출까지 유동중에 경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범위 제7항과 제8항의 특징에 의하여 해결된다.
또 노즐 유니트의 폭이 공작물의 폭, 또는 공작물 이동에 따라 간단하게 수동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 과제는 청구항 제9항, 또는 제10항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과제의 해결책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기타의 종속항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여 고온용융접착제를 도포하는 이 장치에서는 다음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1. 도포장치에서는 최소(zero)위치에서 최대설정까지 무단계로 상호 이동가능한 2개의 노즐 슬라이더에 의하여 노즐홈이 그 도포폭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조절은 도포장치의 분해작업 없이 실시가능하다. 이송나사축을 통하여 이들의 슬라이더가 수동에 의해 이동만이 이루어진다.
2. 슬라이더의 이러한 이동은 영(zero)위치에서 양측으로 동기(synchronous) 하고 또 슬라이더의 개별 이동에 의해 다른 크기로 선택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도포의 폭을 각각의 공작물에 개별적으로 합치할 수 있으며, 즉, 중앙의 , 또는 한 쪽의, 또는 중앙에서 벗어난 도포를 할 수 있다.
삭제
3. 노즐 슬라이더는 영(zero)위치에 가까운 길이 단부에 설치되는 혀 모양의 칼(tong-shaped swords), 또는 혀 모양의 칼을 갖인 원호V-모양 단면의 스트립(strips)으로 형성되고 이들의 원호V-모양슬라이더 스트립의 혀 모양의 칼은 적당한 슬라이더 안내부및 슬라이더 홈내에 있으며 압력에 의하여 도포할 접착제 때문에 슬라이더 스트립의 혀 모양의 칼은 슬라이더 안내부 및 노즐홈의 대향면으로 고정적으로 밀어 붙이게 되므로 언제나 홈 노즐폭의 각각 설정으로 , 또한 단부의 혀 모양의 칼이 영(zero)위치에서 상호 긴밀하게 접하는 홈 노즐의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에 대한 확실한 밀봉이 이루어진다.
4. 영(zero)위치에서의 슬라이더의 긴밀한 안내기구및 폐쇄에 의해 닫힌 접착제도포시스템이 얻어지므로, 장치의 정지상태에서 접착제가 (예컨대, 공기에 의하여) 외부에서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경화되는 일이 없다.
5.본 장치의 접착제 안내는 유리한 운동경로에서 이루어지며 이 운동경로에서 고온접착제는 유입에서 유출까지 항상 유동하고 있으며, 따라서 접착제가 경화 될 우려가 없다.
6. 본 장치 전체는 소수의 부품으로 간단하면서 저렴하게 구성되며, 조립이 용이하고 노즐홈 조절및 접착제 안내를 위한 계속 정비를 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이동재료에 수평및 수직으로 접착제 도포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7. 공작물(work piece)의 폭에 맞추어 노즐홈의 폭 조절은 이송 나사축및 직선안내부를 통하여 수동으로 간단하게 무단으로 이루어진다.
8. 노즐홈의 폭 조절은 통과하는 공작물의 폭, 또는 주행(직선,경사, 또는 지그재그주행)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확실하게 할수있다.
9. 통과하는 공작물의 각각의 절대폭을 검출하는 거리픽업(pickup)센서부는 정확한 접착제 도포를 위하여 접착제 계량장치를 제어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어 있으며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롤 재료, 스트립, 판 형태의 목재나 목재재료로 된 공작물(W)위에 고온용융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AV)는 접착제 공급요소(2)및 접착제 유출의 조절가능한 노즐홈(3)을 가진 하우징(1)을 가지고 있다.노즐홈(3)은 직선상으로 상호 이동가능한 2개의 노즐슬라이더(4)에 의하여 접착제 도포폭(B)의 조절이 가능하다.
양쪽의 노즐슬라이더(4)는 0에서 최대값 까지 무단계로 도포폭(B)으로 이동 가능하다. 영(零)위치는 노즐홈(3)의 폭 중앙이며, 이 폭의 중앙에서 양쪽의 노즐슬라이더(4)의 단부가 닿아서 노즐홈(3)을 폐쇄한다. 이 노즐홈 폭의 중앙에서 양쪽의 노즐슬라이더(4)는 상호 역방향의 최대의 이동행정까지 서로 떨어지므로, 노즐홈(3)은 완전히 열려지며, 최대홈의 폭을 따라 도포폭이(B)이 얻어진다.
양쪽의 노즐슬라이더(4)는 동기하여 함께 각각의 도포폭(B)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 양쪽 노즐슬라이더(4)는 서로 관계 없이 서로 역방향으로 움직인다.
양쪽 노즐슬라이더(4)는 노즐홈(3)의 도포폭(B)의 중앙(영위치)에서 같은 거리및 다른 거리로 서로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노즐슬라이더(4)만을 조정하며 다른 노즐슬라이더(4)는 조정하지 않거나 또는 한개의 노즐슬라이더(4)를 많게 또 다른 노즐슬라이더(4)를 적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영(zero)위치에 대하여 한쪽 또는중앙에서 벗어난 아교도포가 가능하다.
양쪽의 노즐슬라이더(4)는 동일하게 구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양쪽의 스트립 단부에서 스트립 가로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된 평평한 혀모양의 칼(sword)(6)을 가진 각각 하나의 슬라이더스트립(5)에 의하여 형성되며 혀모양의 칼(6)이 혀모양의 칼상의 노즐슬라이더 혀모앙의 칼(6)을 형성하고 있다.
양쪽 슬라이더스트립(5)은 각각 하나의 각주상의 단면을 가지며, 삼각 연부에서 혀모양의 칼(6)이 단면 반쪽의 내면에 도출되어 있다. 혀모앙의 칼(6)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얇은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1)은 블록상의 노즐보디(7)와, 여기에 나사(9)에 의해 부착된 노즐홈(3)을 여는 이형단면 혀모양의 칼 슬라이더가이드(8)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스트립(5)은 혀모양의 칼(6)과는 반대측의 평평한 삼각표면(5a)으로, 접착제출구채널(10)을 가진 노즐보디(7)의 표면(7a)에 접하고 다른 양쪽의 평평한 삼각표면(5b)으로 양쪽의 슬라이더가이드(8)에 의해 열리는 노즐홈(3)과 결합되어 있다.
양쪽의 슬라이더가이드(8)는 노즐홈(3)의 양쪽에서 슬라이더가이드(8)로부터 약간 돌출된 밀폐스트립(8b)을 가지며, 이들의 밀폐스트립상 슬라이더가이드(8)에 일체로 형성되며 모따기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나타낸다. 혀모양의 칼은 혀모양의 칼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은 밀폐스트립(8b)의 외측과 동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가이드(8) 및 노즐보디(7)의 외측에는 슬라이더스트립(5)을 위해 슬라이더가이드(8)의 반대면(8a)의 간격을 안정화하여 접동체 종방향으로 뻗는 압력 패드(받침)(11)가 나사(12)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노즐보디(7)는 노즐슬라이더(4)와 반대측의 표면(7b)에, 노즐폭의 중앙에서 서로 떨어져 공통선로상의 거의 최대 홈의 폭까지 뻗는 각각 2개의 분배채널(13)을 가지며, 이들 분배통로에서 최대 슬리트 폭에 있는 단무에서 각각 1개의 분기채널(14)이 양쪽의 분배채널(13)의 전 길에 걸쳐 일관되게 뻗는 접착제출구채널(10)로 나와 있다.
노즐보디(7)에는 교환가능한 필터(2a), 접착제 공급도관(15) 및 노즐보디(7)내의 분배채널(13)에 유도되는 공급채널(16, 16a)을 갖는 접착제 공급요소(2)가 접속되어 있다.
분배채널(13)로 통하는 공급채널(l6a)은 슬리트 폭 중앙에 인접하는 분배채널(13)의 길이 범위이며 따라서 양쪽의 단부측 분기채널(14)에서 떨어져 있다. 채널(16a)(13)(14)및 접착제출구채널(14)의 배치및 구성에 의하여 접착제 안내부가 형성되며 이 안내부에서 고융접착제(HK)가 비교적 큰 순환로에서 노즐홈(3)까지 항상 움직이며 따라서 고융접착제(HK)의 경화되는 일이 없다.
양쪽의 노즐슬라이더(4)는 하우징(1)의 브래킷(1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손으로 돌릴 수 있는 각각 하나의 이송나사스핀들(18)에 의하여 서로 관계없이 무단계로 움직여진다. 각 노즐슬라이더(4)는 단부측에 부착되고 또 선형가이드(19)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송블록(20)을 통하여 이송 나사스핀들(18)상에 맞는 구동너트(21)에 연결되어 있다. 전송블록(20)은 접동편 단부에 부착되는 레버(20a) 및 선형가이드(19)에서 주행하며 또 레버(20a)의 위치를 정하는 가이드블록(20b) 및 가이드블록(20b)을 너트(21)로 결합하는 연결피스(20c)로 형성되어 있다.
양쪽의 이송나사스핀들(18)은 이동시킬 각각의 이송나사스핀들(18)상에 결합된 크랭크핸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 때문에 이송나사스핀들(18)은 그 단부의 하나에 결합된 다각형부(18a)를 가지고 있다. 결합된 다각형부(18a)를 갖는 이들 이송나사축부는 조작단부로서 장치에서 한쪽으로 나란히 유도되어 있다. 양쪽의 이송나사스핀들(18)은 다른길이 이며, 한쪽의 이송나사스핀들(18)은 조작단부(나사단부)에서 제1의 노즐슬라이더(4)에 접하고 다른 긴쪽의 이송나사스핀들(18)은 제2의 노즐슬라이더(4)에 접하여 있다.22로 고융접착제(HK)를 가열하는 전기구조단위(23) 및 압력을 걸어 고융접착제(HK)를 도포하는 압력기구가 표시되어 있다.장치(AV)는 수직으로 주행하는 공작물(W)(도5)에서 수평방향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동작하나, 도6에 의하여 수평으로 되고 또한/또는 주행하는 공작물(W)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도7은 일관된 공작물(W)에 의하여 제어되어 장치(AV)의 전기적 노즐슬라이더의 위치설정및 작업준비검출용의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이 장치에 의하며 양쪽의 노즐슬라이더(4)는 일관된 공작물인 공작물(W)의 에지(edge)(K)와 공동작용하는 에지트레이서(30)에 의하여 상호 관계없이 노즐홈(3)의 도포폭(B) 및 공작물인 공작물(W)에 대한 그 위치가 제어가능하며, 또한/또는 거리픽업(31)에 의하여 각각의 노즐홈 도포폭(B)이 검출되어 얻어진 노즐홈 도포폭(B)이 전기신호(S)로서 접착제 계량장치에 전달된다.양쪽의 에지트레이서(30)는 공작물 에지(edge)(K)와 공동작용하는 각각의 하나의 센서(32)를 가지며 노즐슬라이더(4)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각각의 하나의 센서(32)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공작물 에지(edge)(K)가 에지트레이서(30)의 센서(32)를 덮을 정도는 전기신호(S)을 일으키며, 이 전기신호가 액추에이터(33)의 주행방향및 노즐슬라이더조절을 위한 이동량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33)에 전달된다. 공작물 에지(K)가 센서(32)를 덮는 크기에 따라서 노즐슬라이더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양쪽의 센서(32)가 대응하는 공작물 에지(K)에 의하여 각각 50%만이 덮혀 있으면 공작물인 공작물(W)의 정상통과가 존재하며 즉, 폭, 주행방향 및 공작물 주행이 같으며 전기신호가 액추에이터(33)에 전달하지 않고 노즐슬라이더(4)는 도시된 위치에 멈추어 있고 노즐홈(3)은 그폭을 유지한다.공작물인 공작물(W)의 폭이 크거나, 작거나, 또는 공작물(W)의 주행방향이 좌방향, 우방향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일관된 공작물(W)이 가로 요동하면, 한쪽 또는 다른쪽의 센서(32)가 크게, 또는 작게 덮히고. 변화하는 피복정도가 기록되며 전기신호(S)로서 한쪽, 또는 다른쪽 또는 양쪽의 액추에이터(33)에 전달되어 조작기가 그의 적당한 주행방향 및 들어가고 나오는 방향을 제어하므로 이것에 의하여 노즐슬라이더(4)가 변화한 도포폭(B)또는 노즐홈의 길이에 맞추어 조절되며, 또한 서로 관계 없이 개별적으로 함께 조절된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33)의 조작축-이송 나사축(33a)를 통하여 브래킷(34)이 이동되며, 그 결과 브래킷(34)에 고정되는 노즐슬라이더(4)의 혀모양의 칼(6)이 직선적으로 이동된다.거리픽업(31)은 양쪽의 에지트레이서(30)에 연결되며 에지트레이서(30)에 의하여 설정되는 노즐홈의 도포폭(B)에 따라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내외에 맞물리어 망원경모양으로 신축가능한 부재(31a)(31b)에 의한 이 길이 조절시에 거리픽업(31)에서 전기적인 슬라이드접점(31c)에 의하여 노즐슬라이더(4)의 혀모양의 칼(6)의 상호간격이 구해지며, 전기신호(S)로서 상부에 위치한 접착제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전달된다.에지트레이서(30)는 각각 하나의 브래킷(34)에 부착되며 각 브래킷(34)은 액추에이터(33)에 가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또 노즐슬라이더(4)에 상대 운동하지 않게 결합되고, 그 자체의 길이변화가 가능한 거리픽업(31)은 양쪽의 브래킷(34)사이에 설치되며, 그 양쪽의 길이단부가 연결점(35)에서 브래킷(34)에 고정되어 있다.따라서 거리픽업(31)은 움직이는 노즐슬라이더(4)에 따라서 브래킷(34)에 의하여 연행(連行)되며, 즉 들어가고 나오는 것이 가능하며, 그 때 혀모양의 칼(6), 또는 조절된 슬리트 도포폭(B)을 한정하는 노즐슬라이더(4)의 절대 상호 간격이 구해진다.거리픽업(31)에 의하여 노즐홈(3)의 절대폭이 항상 구해지며 따라서 공작물(W)의 정확한 폭에 걸쳐 접착제 계량에 의하여 제어되는 작당한 접착제량이 도포되며, 따라서 접착제 도포는 도포폭, 도포길이, 및 도포량에 있어 항상 최적이다.거리픽업(31)으로서 다른 보통의 측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도7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전동 액추에이터(33)는 서로 동축(同軸)으로 설치되며, 그의 조작축(33a)도 같은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또한 액추에이터(33)를 거리픽업(31)의 옆에 설치할 수 있으며, 톱니가 형성된 밸트, 체인과 같은 감는 전동장치에 의하여 구동이 이루어지며 즉 액추에이터(33)의 구동피니온에서 조작축(33a)위에 있는 기어(도시되지 않음)에 구동이 이루어진다.에지트레이서(30) 및 거리픽업(31)을 함께 접착제도포장치에 부속시키거나 또는 수동조절시 이 도포장치(AV)에 거리픽업(31)이 선택적으로 부속된다.
본 발명은 접착제 도포장치의 노즐홈을 간단히 각각의 도포영역에서 조립작업을 하지않고서도 도포장치에 개별적으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 접착제 도포장치인 것으로 생산정지 중에도 노즐홈을 접착제 영향을 밭지 않고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급 하우징과 접착제 유출 조정 노즐하우징으로 필름, 종이, 적충된 베니아등 재질위에서 고온 융해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용융된 접착제의 도포장치(AV)는 접착제 방출 요소(2)와 압력을 가하여 접착제를 내보내는 조절가능한 노즐홈(nozzle slot)(3)을 구비한 하우징(1)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홈(3)은 접착제 도포장치의 넓이(B)를 조절하기 위하여 0(영)으로부터 최대값까지 서로를 향하여 일직선으로 게속해서 이동이 가능한 양쪽 노즐슬라이더(nozzle slider)(4)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양 슬라이더 (4)는 서로를 향하여 동시에 또 독립적으로 이동하며 여기서 양 슬라이더(4)는 노즐홈(3)의 도포폭(B)의 중앙(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또는 다른 거리에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므로 유용한 접착제 도포장치이다.

Claims (19)

  1. 고융접착제(hot-melt adhesive)(HK)의 도포장치에 있어서, 접착제 공급요소(feeder element)(2)와 분기채널(branch channels)(14)을 가진 노즐보디(nozzle body)(7)와 접착제를 내보내는 조정가능 노즐홈(nozzle slot)(3)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1)을 가지며, 상기 노즐홈 안으로는 선형 조정가능 노즐슬라이더(nozzle sliders)(4)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각각 슬라이더 스트립(slider strip)(5)으로부터 돌출한 혀모양의 칼(tongue-shaped sword)(6)로 실(seal)을 형성하며,
    슬라이더 스트립(5)은 노즐보디(7)의 표면(7a)과 인접하며 상기 노즐보디(7)와 슬라이더스트립(5)사이에는 분기채널(14)로부터 각 단부에서 공급되는 노즐홈의 최대 폭에 걸쳐서 지나는 접착제출구채널(10)이 있으며,
    2개의 슬라이더스트립(5)은 각각 삼각형의 V-형 단면이며 상기 혀모양의 칼은 단면의 2등분선을 가진 평면상의 삼각형 코너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블록형 노즐보디(7)와 하우징(1)에 고정되어 노즐홈(3)을 노출되도록 한 단면스트립과 같은 형태인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slider guides)(8)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노즐홈(3)의 양측에 있는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8)는 각각 슬라이더가이드(8)를 지나 약간 돌출한 밀폐스트립(sealing strip)(8b)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가이드(8) 사이에는 혀모양의 칼(6)이 노즐홈의 외부와 같은 평면상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혀모양의 칼(6)의 반대 측에 있는 평탄 삼각표면(5a)을 가진 슬라이더스트립(5)은 접착제출구채널(10)을 가진 노즐보디(7)의 평탄표면(7a)과 인접하며 이들의 다른 두개의 평탄 삼각표면(5b)은 2개의 슬라이더 가이드(8)의 반대면(8a)에 형상맞춤(form-fitting)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들의 칼(6)은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8)에 의하여 노출되어 있는 노즐홈(3) 내부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노즐홈(3)의 양측에 있는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8)는 각각 슬라이더가이드(8)를 약간 넘어 돌출한 밀폐 스트립(8b)을 가지며, 그 사이에는 혀 모양의 칼(6)이 노즐홈의 외부와 동일평면상에 자리잡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압력패드(받침)(pressure pads)(11)는 슬라이더가이드(8)와 노즐보디(7)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어, 슬라이드스트립(5)을 위한 슬라이더가이드(8)의 반대면(8a)의 폭을 안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슬라이더(4)의 반대측 표면(7b)상에서 노즐보디(7)는 서로 분리되어 노즐홈의 폭의 중심으로부터 노즐홈의 대략 최대 폭까지 공통선로(common line)상에 걸쳐 있는 2개의 분배채널(distributor channels)(13)을 가지며, 노즐홈의 최대폭에 위치한 노즐홈의 각 단부로부터 도포제가 분기채널(branch channels)(14)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노즐보디(7)에 연결되어서 교환가능한 필터(2a)를 가진 접착제공급하우징(2)과 접착제공급도관(15)이 노즐보디(7)내의 분배채널(13)에 이르는 공급채널(16, 16a)이 있으며, 분배채널(13)내로 배출하는 공급채널(16a)은 홈 폭의 중심에 인접한 분배채널(13)의 길이방향 구역 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노즐슬라이더(4)는 하우징(1)의 브래킷(bracket)(17)에 자리 잡고 있는 수동 크랭킹(manually crankable)이 가능한 나사스핀들(18)을 가지고 각각 독립적이면서 연속적으로조정이 가능하며, 각 슬라이더(4)는 단부에 고정되고 선형가이드(linear guide)(19)에 부착된 슬라이딩이 가능한 부착 전송블록(transmission block)(20)에 의하여 구동너트(21)와 결합되며 여기에서 전송블록(20)은 슬라이더스트립 단부에 고정된 레버(20a), 선형가이드(19)에서 이동하며 레버(lever)(20a)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블록(guide block)(20b), 상기가이드 블록(20b)을 너트(21)와 연결하는 연결피스(connecting piece)(2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2개의 노즐 슬라이더(4)는 지나는 공작물(work piece)(W)의 에지(edge)(K)에 작용하는 에지트레이서(edge tracers)(모서리추적자)(30)에 의하여 공작물(W)과 연관하여 노즐홈(3)의 폭(B)과 노즐홈(3)의 위치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해당 노즐홈폭(B)은 전기신호(S)로 거리픽업(distance pick-ups)(31)수단에 의하여 접착제계량장치로 전송(transmi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거리픽업(31)은 2개의 에지트레이서(edge tracers)(30)와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에지트레이서(30)에 의하여 설정된 노즐홈 폭(B)에 따라서 그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서, 노즐슬라이더(4)간의 절대거리를 결정하여 그것을 전기신호(S)로서 접착제계량제어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각 에지트레이서(30)는 브래킷(34)에 설치되고, 각 브래킷(34)은 액추에이터(actuator)(33)에 이동가능하게 연결 되어있으며 노즐슬라이더(4)에 고정 연결되어있으며, 길이가 가변되는 거리픽업(31)은 2개의 브래킷(34)간에 위치하고 그의 2개 길이방향 단부는 브래킷(34)의 연결점(3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에지트레이서(30)가 공작물(work piece)의 에지(K)에 의하여 커버될 정도로 전기신호(S)가 그의 운동방향과 이동거리에 대하여 액추에이터(33)에 부여되도록 활성화(activat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각 에지트레이서(30)는 브래킷(34)에 설치되고, 각 브래킷(34)은 액추에이터(33)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노즐슬라이더(4)에 고정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거리픽업(31)은 2개의 브래킷(34)사이에 배치되고, 그의 2개 길이방향단부는 브래킷(34)의 연결점(3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2개의 에지트레이서(30)는 각각 공작물의 에지(edge)(K)에 의하여 제어되는 센서(32)를 가지며, 각기 노즐슬라이더(4)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3)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에지트레이서(30)의 센서(32)가 공작물의 에지(K)에 의하여 커버되는 정도로 전기신호(S)가 그의 운동방향과 이동거리에 대하여 액추에이터(33)에 부여되도록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7. 고융접착제(HK)의 도포장치에 있어서, 접착제 공급요소(2)와 분기채널(14)을 가진 노즐보디(7)와 접착제를 내보내는 조정가능 노즐홈(3)을 포함하는 하우징(1)을 가지며, 상기 노즐홈 안으로는 선형 조정가능 노즐슬라이더(4)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각각 슬라이더스트립(5)으로부터 돌출한 혀모양의 칼(sword)(6)로 실(seal)을 형성하며,
    슬라이더스트립(5)은 노즐보디(7)의 표면(7a)과 인접하며, 상기노즐보디(7)와 슬라이더스트립(5)사이에는 분기채널(14)로부터 각 단부에서 공급되는 최대 노즐 홈 폭에 걸쳐서 지나는 접착제출구채널(10)이 있으며,
    노즐보디(7)에 연결되어있는 것으로서, 교환가능한 필터(2a)와 접착제공급도관(adhesive feeding conduit)(15)과 노즐보디(7)내 분배채널(13)에 이르는 공급채널(16, 16a)을 가진 접착제공급기 하우징(2)이 있으며, 분배채널(13)로 배출하는 공급채널(feeding channels)(16a)은 홈폭의 중심에 인접한 분배채널(13)의 길이방향구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8. 삭제
  19. 삭제
KR10-2000-7002534A 1998-07-09 1999-06-24 접착제 도포장치 KR100530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0728A DE19830728C2 (de) 1998-07-09 1998-07-09 Kleber-Auftragsvorrichtung
DE19830728.4 1998-07-09
PCT/EP1999/004395 WO2000002667A1 (de) 1998-07-09 1999-06-24 Kleber-auftra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580A KR20010030580A (ko) 2001-04-16
KR100530474B1 true KR100530474B1 (ko) 2005-11-23

Family

ID=787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534A KR100530474B1 (ko) 1998-07-09 1999-06-24 접착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65660B1 (ko)
EP (1) EP1027167B1 (ko)
JP (1) JP3887770B2 (ko)
KR (1) KR100530474B1 (ko)
AT (1) ATE314892T1 (ko)
AU (1) AU4900899A (ko)
CA (1) CA2305662C (ko)
DE (2) DE19830728C2 (ko)
DK (1) DK1027167T3 (ko)
ES (1) ES2257061T3 (ko)
WO (1) WO20000026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83B1 (ko) 2009-08-11 2011-12-20 장도일 풀사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21828U1 (de) * 1999-12-13 2000-07-27 Sm Klebetechnik Vertriebs Gmbh Auftragsvorrichtung
DE10023895B4 (de) * 2000-05-18 2012-06-21 "Inatec Innovative Auftragstechnologie" Gmbh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Klebstoffauftrags
ITBO20010315A1 (it) * 2001-05-18 2002-11-18 Scm Group Spa Gruppo distributore di colla in particolare per macchine per la lavorazione di pannelli di legno
KR100418791B1 (ko) * 2001-06-14 2004-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속 시일링 도포시스템
ES2211294B1 (es) * 2002-07-12 2005-06-01 Jesus Francisco Barberan La Torre Perfeccionamientos en los cabezales de aplicacion de colas termofusibles.
DE20216794U1 (de) * 2002-10-30 2004-03-11 Nordson Corporation, Westlake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Fluid
FR2856941B1 (fr) * 2003-07-01 2006-08-11 Bostik Findley Sa Dispositif et procede d'enduction
DE10331325A1 (de) * 2003-07-10 2005-02-03 Voith Paper Patent Gmbh Auftragsvorrichtung mit verstellbarer Auftragsbreite
DE10333121B4 (de) * 2003-07-21 2006-01-19 Kodak Polychrome Graphic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Material
DE102005015295A1 (de) * 2005-04-01 2006-10-19 Billhöfer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chichten eines metallischen Trägermaterials
DE202005006300U1 (de) 2005-04-19 2005-07-07 Delle Vedove Maschinenbau Gmbh Klebstoffschmelzer und Schlitzdüsenauftragsaggregat
DE102006007555B4 (de) * 2006-02-16 2019-09-19 Illinois Tool Works Inc. Klebstoffauftragsystem und Verfahren zum kontaktlosen Auftragen eines Klebstofffilms auf ein flächiges Substrat
ES2332487B1 (es) * 2007-11-06 2010-09-29 Jesus Fco. Barberan Latorre Perfeccionamientos en los cabezales de aplicacion de productos termofusibles con salida por ranura.
FI119740B (fi) * 2007-12-11 2009-02-27 Metso Paper Inc Järjestely ja menetelmä tasolta syöttävän verhopäällystimen applikointileveyden säätämiseksi
IT1396969B1 (it) * 2009-12-18 2012-12-20 Scm Group Spa Metodo di incollaggio
CN104437975B (zh) * 2013-09-22 2017-04-26 宸美(厦门)光电有限公司 涂布装置以及涂布方法
JP6303526B2 (ja) * 2014-01-21 2018-04-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剤塗布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KR20180104770A (ko) 2016-02-12 2018-09-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능동 제어식 코팅 폭을 가진 슬롯 다이
ES2684671T3 (es) * 2016-03-03 2018-10-04 Robatech Ag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aplicar adhesivo sobre un sustrato
US11040366B2 (en) * 2018-09-18 2021-06-22 Canon Kabushiki Kaisha Dispenser shield with adjustable aperture to improve drop placement and residual layer thickness
CN111632781B (zh) * 2020-06-11 2021-01-08 宁波震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电机铁芯级进模的自动喷胶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23632A1 (de) * 1974-05-15 1975-11-27 Agfa Gevaert Ag Vorrichtung zum beschichten von papieroder folienbahnen
US4248579A (en) * 1979-10-10 1981-02-03 Jyohoku Seiko Co., Ltd. Film extrusion die
JPS58501135A (ja) * 1981-07-21 1983-07-14 ビレタ−・クンストストツフプルヴア−・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表面部分塗布方法及び装置
US4502304A (en) * 1984-05-01 1985-03-05 Dexter Chemical Corporation Foam applicator for wide fabrics
JPH0628217Y2 (ja) * 1988-02-10 1994-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リットコータの塗布幅調整装置
US5435847A (en) * 1989-09-01 1995-07-25 Fuji Photo Film Co., Ltd. Coating apparatus
DE4130432C2 (de) * 1991-09-13 1995-04-06 Kuesters Eduard Maschf Auftragselement für flüssiges, schaumförmiges oder pastenförmiges Auftragsmedium
JP3020682B2 (ja) * 1991-09-13 2000-03-15 三菱化学株式会社 ダイコ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塗布幅調節治具
JPH05293419A (ja) * 1992-04-16 1993-11-09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装置
DE9206304U1 (ko) * 1992-05-11 1992-09-17 Nordson Corp., Westlake, Ohio, Us
DE69315268T2 (de) * 1992-07-17 1998-05-28 Cloeren Co Interne Randbegrenzungsvorrichtung
JP2529812B2 (ja) * 1992-10-27 1996-09-04 三菱化学株式会社 ダイコ―タ
KR100272064B1 (ko) * 1992-10-27 2000-12-01 미우라 아끼라 다이 도장기
US5305955A (en) * 1993-03-25 1994-04-26 Illinois Tool Works Inc. Nozzle bar with adjustable pattern
JPH08103711A (ja) * 1994-10-04 1996-04-23 Chugai Ro Co Ltd ダイコータ
JPH08182955A (ja) * 1994-12-28 1996-07-16 Tdk Corp エクストクルージョン型の塗布装置
JP3599402B2 (ja) * 1995-01-31 2004-12-08 株式会社共和 押出塗工機
DE19631888A1 (de) * 1996-08-07 1998-02-12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Auftragwerk zum direkten oder indirekten Auftragen eines flüssigen oder pastösen Streichmediums auf eine laufende Materialbahn, insbesondere aus Papier oder Kart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83B1 (ko) 2009-08-11 2011-12-20 장도일 풀사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913023D1 (de) 2006-03-30
ES2257061T3 (es) 2006-07-16
JP2002520139A (ja) 2002-07-09
US6565660B1 (en) 2003-05-20
DE19830728C2 (de) 2001-08-02
CA2305662C (en) 2009-09-29
DE19830728A1 (de) 2000-01-13
JP3887770B2 (ja) 2007-02-28
DK1027167T3 (da) 2006-05-15
EP1027167A1 (de) 2000-08-16
ATE314892T1 (de) 2006-02-15
WO2000002667A1 (de) 2000-01-20
EP1027167B1 (de) 2006-01-04
CA2305662A1 (en) 2000-01-20
AU4900899A (en) 2000-02-01
KR20010030580A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474B1 (ko) 접착제 도포장치
US4735169A (en) Adhesive applicator assembly
EP2078595B1 (en) Glue distributing apparatus
JP3411606B2 (ja) 接着剤付与装置
EP057901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pplying discrete coatings
CA2108197C (en) Thin plate cutting/jointing apparatus
EP0216199B1 (en) Multi-orifice zero cavity nozzle dispenser
KR100612105B1 (ko) 플라스틱 막을 고온의 공기로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의 가열된 공기의 온도 조정 방법
SI9200173A (en) Device for feeding a non-woven web, particulary a mineral wool web, onto a receiving conveyor
US5862993A (en) Slot nozzle
EP1260277A2 (en) A glue distribution unit in particular for machines which process wooden panels
US9044773B2 (en) Device with slotted nozzle assembly for dispensing fluid
JP2002153798A (ja) 自由流動接着剤をストリップ材に塗布する装置
JP2752728B2 (ja) スリットノズル
JP2007504942A (ja) 紙/板紙ウェブ塗布機
US5266167A (en) Method of roll cooling in a paper machine
FI69590C (fi) Saett vid tillfoersel av vaetska till en baedd av traepartiklar avsedda att pressas till skivor samt en anordning genomfoerande av saettet
US3284015A (en) Web registration and tensioning means
FI882082A0 (fi) Laite liikkuvan paperi- tai kartonkirainan päällystämiseksi
FI81991C (fi) Massivlimskivepress.
CN210906733U (zh) 一种单张木皮专用涂胶头
JPS61120655A (ja) 粘稠またはペースト状材料の塗布装置
EP1535869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strip of foil material along a straight path
FI61534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dosering av bestrykningsmedel pao roerligt underlag
CA2278160A1 (en) Device for applying an endless tape to an endless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