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665B1 - 전자석클러치 - Google Patents

전자석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665B1
KR100430665B1 KR1019970017372A KR19970017372A KR100430665B1 KR 100430665 B1 KR100430665 B1 KR 100430665B1 KR 1019970017372 A KR1019970017372 A KR 1019970017372A KR 19970017372 A KR19970017372 A KR 19970017372A KR 100430665 B1 KR100430665 B1 KR 10043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grooves
groove
resin
box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435A (ko
Inventor
유끼 사까모또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7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1Means for electric connection of the coils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형의 환형 자기 하우징 및 상기 환형 자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코일을 구비한 전자석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가 코일의 한쌍의 단부 부분을 전기 동력 원을 갖춘 외부 전기 회로에 연결된 한쌍의 리드 와이어에 연결하고, 한쌍의 채널형 터미널이 각각 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의 한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커넥터는 내부 바닥 표면에 형성된 제 1 그루브, 제 2 그루브, 한쌍의 제 3 그루브 및 한쌍의 제 4 그루브를 포함하는 박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그루브는 제 3 그루브와 제 4 그루브를 수직으로 교차하고, 코일의 한쌍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 1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안정되게 배치되고 그리고 이와 반대로 다이어오드로 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리드 와이어는 제 2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안정되게 배치되며, 한쌍의 터미널이 한쌍의 제 3 및 제 4 그루브내에 각각 수용되는 한편 상기 코일의 한쌍의 단부 부분과 다이어오드의 한쌍의 리드 와이어가 한쌍의 터미널의 한쌍의 슬릿내에 각각 강제로 수용된다.

Description

전자석 클러치{ELECTROMAGNETIC CLUTCH}
본 발명은 전자석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자석 클러치의 부품과 관련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석 클러치는 종래기술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종종 자동차 엔진으로부터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압축기로의 동력 전달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석 클러치는 일본 특허 출원 공고 제 2-253014(JP '014)에 기술되어 있다.
JP '014에 기술된 전자석 클러치의 전체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클러치 조립체(10)는 압축기 하우징(도시되지 않았음)으로부터 주변 구동축(20)으로 돌출된 환형의 관형 연장부(11)의 외부 원주 부분상에 배치된다. 구동축(20)은 베어링(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압축기 하우징(도시되지 않았음)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클러치(10)는 베어링(12)에 의해 관형 연장부(11)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30)를 구비한다.
로터(30)는 단면도에서와 같이 U자형의 형태를 갖추며 외부 원통형 부분(31), 내부 원통형 부분(31), 축선 단부 판 부분(33)을 구비한다. 단부 판 부분(33)은 하나의 축선 단부에서 외부 및 내부 원통형 부분(31 및 32)을 연결시킨다. 도르래(34)가 로터(30)의 외부 원통형 부분(31) 둘레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도르래(34)는 벨트(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자동차 엔진(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관형 연장부(11)를 너머 연장되는 허브(40)는 볼트(41)에 의해 구동축(20)의 외부 터미널 단부에 고정된다. 환형 전기자 판(50)은 다수의 판 스프링(60)을 통해 허브(40)에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판 스프링(60)은 전기자 판(50)이 로터(30)의 단부 판 부분(33)을 향해 축 운동되게 한다. 각 판 스프링(60)의 한 단부는 리벳(51)에 의해 전기자 판(50)에 고정되고, 그리고 다른 단부는 리벳(52)에 의해 허브(40)에 고정된다. 전기자 판(50)은 그 내부의 예정된 축 공기 갭 'G'에 의해 로터(30)의 단부 판 부분(33)에 면하게 된다.
전자석(70)은 환형 중간 공간(711)이 그 내부에 형성되도록 단면이 U자형태를 갖는 요크(yoke)(71) 및 요크(71)의 환형 중공형 공간(711)내에 배치된 전자석 코일(72)을 구비한다. 코일(72)은 코일(72)이 제 1 단부 부분(72a) 및 상기 제 1 단부 부분(72a)에 마주하는 제 2 단부 부분(72b)을 갖도록 단일 도전 와이어를 수회 감아서 제조된다. 코일(72)의 단일 리드 와이어는 절연 재료의 박층으로 피복된다. 요크(71)는 구동축(20)과 동심이고 그리고 환형 부착판(73)에 의해 압축기 하우징(도시되지 않았음)상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요크(71)는 이것이 공기 갭을 에워싸도록 로터(30)의 환형 중공 부분(35)내에 배치된다. 전자석(70)의 코일(72)에 통전될 때, 전기자 판(50)은 로터(30)의 단부 판 부분(33)으로 이끌린다. 이에 따라, 구동축(20)이 회전되면서 로터(30)는 엔진에 의해 회전된다. 만약 전자석(70)의 코일(72)이 통전되지 않을 때는, 전기자 판(50)은 판 스프링(60)의 반동 강도로 인해 로터(30)의 단부 판 부분(33)으로부터 분리된다. 로터(30)는 엔진 출력에 응답하여 회전되지만, 그러나 구동축(20)은 회전되지 않는다.
클러치 조립체(10)는 전기 동력원으로서 자동차 설치된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외부 전기 회로(도시되지 않았음)에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을 접속하는 커넥터(80)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 2에서의 커넥터(8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커넥터(80)는 개방 단부를 갖춘 박스 부재(81)와 박스 부재(81)의 개방 단부를 단단히 피복하는 분리 피복 부재(82)를 구비한다. 박스 부재(81)는 장방형의 평행한 배관형태이고 절연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한쌍의 터미널(83 및 84)은 박스 부재(81)내에 부분적으로 내장된다. 터미널(83 및 84)을 박스 부재(81)에 내장하는 것은 박스 부재(81)가 주형 형성될 때 행하여진다. 터미널(83 및 84)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 1 슬릿(83a) 및 분리 제 2 슬릿(83b)은 박스 부재(81)의 내부 중공형 공간(810)에 노출된 부분에서 터미널(83)에서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 1 슬릿(84a) 및 분리 제 2 슬릿(84b)은 박스 부재(81)의 내부 중공형 공간(810)에 노출된 부분에서 터미널(84)에서 형성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은 고무로 제조된 부싱(74)을 통해 요크(71)의 환형 바닥 부분(712) 및 환형 부착 판(73)을 관통한다. 터미널(83)에 평행하게 배열된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은 박스 부재(81)의 내부 중공형 공간(810)으로 유도되고, 그리고 이어서 터미널(83)의 슬릿(83a)으로 강제로 삽입되어 터미널(8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이 터미널(83)의 슬릿(83a)으로 강제로 삽입될 때,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의 외부 표면에 피복된 절연재료가 벗겨져서 터미널(83)과의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해 충분한 도전 면적이 노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이 코일(72)의 제 2 단부 부분(72b) 및 터미널(84)의 슬릿(84a)사이의 관계에도 적용된다.
서지 전압 제거 장치(85)는 (전자석(70)의 코일(72)이 비통전된 후 즉시 생성된 전압) 서지 전압을 제거하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박스 부재(81)의 내부 중공형공간(810)내에 배치된다. 장치(85)는 다이어오드(85a) 및 이 다이어오드(85a)에 연결되고 서로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리드 와이어(85b 및 85c)를 구비한다. 서지 전압 제거 장치(85)는 한쌍의 리드 와이어(85b 및 85c)가 터미널(83 및 84)에 수직이 되도록 배향된다. 리드 와이어(85b)의 단부는 터미널(8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터미널(83)의 슬릿(83b)에 강제로 삽입된다. 이와 유사하게, 리드 와이어(85c)의 단부는 터미널(8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터미널(84)의 슬릿(84b)에 강제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다이어오드(85a)는 한쌍의 리드 와이어(85b 및 85c)에 의해 터미널(83 및 84)에 전기적으로 브릿지된다.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 및 리드 와이어(85b 및 85c)를 각각의 슬릿(83a 및 84a) 및 슬릿(83b 및 84b)으로 강제식 삽입을 완결시킨 후, 박스(81)의 개방 단부는 고무로 제조될 수 도 있는 탄성 재료의 팩킹 링(86)(도 1 에 도시됨)을 통해 절연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피복 부재(82)에 의해 단단히 차단된다.
슬릿(83a)에 대향되는 터미널(83)의 한 단부는 박스 부재(81)로부터 돌출된다. 이와 유사하게는, 슬릿(84a)에 대향되는 터미널(84)의 한 단부는 박스 부재(81)로부터 돌출된다. 터미널(83 및 84) 모두는 박스 부재(81)에 일체식으로 된 케이싱(87)에 내장된 한 단부를 갖춘다. 케이싱(87)은 각각 외부 전기 회로(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된 한쌍의 플러그(도시되지 않았음)에 터미널(83 및 84) 양쪽의 한단부에 연결되는 암형수용체(female) 케이싱에 연결된다.
도 3-5에 도시된 다른 전자석 클러치는 종래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나아가, 도 3-5에서 동일한 번호는 JP‘014의 도 1에 도시된 대응 부품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72a 및 72b)중 하나, 예를 들어, 제 1 단부 부분(72a)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클램핑에 의해 제 1 피복 리드 와이어(91)의 한단부에 연결된다. 이 클림핑 공정에서, 제 1 피복 리드 와이어(91)의 한 단부는 노출된다. 그 다음,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과 제 1 피복 리드 와이어(91)의 한 단부사이의 연결 영역은 전류 누출을 방지하도록 절연 플라스틱의 관형 부재(911)에 의해 단단히 에워싸인다.
도 4 및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 2 단부 부분(72b) 및 피복 리드 와이어(91)는 요크(71)의 환형 바닥 부분(712)을 통해 형성된 홀(도시되지 않았음)을 통해 통과되도록 배열된다. 코일(72)의 제 2 단부 부분(72b) 및 제 1 피복 리드 와이어(91)는 요크(71)를 통해 통과되고 그리고 각각 환형 부착 판(73)을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고무로 제조된 부싱(75 및 76)을 관통한다. 코일(72)의 제 2 단부 부분(72b)은 이 제 2 단부 부분(72b)의 터미널 단부를 스크류(77)를 사용하여 부착판(73)에 연결시킴에 의해 접지된다.
암형수용체 플러그(도시되지 않았음)는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클림핑에 의해 제 1 피복 리드 와이어(91)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이 클림핑 공정에서, 제 1 피복 리드 와이어(91)의 다른 단부는 노출된다. 암형수용체 플러그(도시되지 않았음)와 제 1 피복 리드 와이어(91)의 다른 단부는 전류 누출을 방지하도록 절연 플라스틱의 관형 부재(912)에 의해 단단히 에워싸인다. 제 1 피복 리드와이어(91)의 다른 단부에 제공된 암형수용체 플러그(도시되지 않았음)는 제 1 수형삽입체 플러그(92a)를 수용한다. 제 1 수형삽입체 플러그(92a)는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클림핑에 의해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의 한단부에 연결된다. 이 클림핑 공정에서,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의 한 단부는 노출된다. 제 1 수형삽입체 플러그(92a)와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사이의 연결영역은 전류 누출을 방지하도록 절연 플라스틱의 관형 부재(92b)에 의해 에워싸인다. 제 2 수형삽입체 플러그(92c)는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제 2 수형삽입체 플러그(92c)는 리드 와이어(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전기 동력원으로서 자동차에 설치될 수도 있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제 2 수형삽입체 플러그(92c)는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클림핑에 의해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이 클림핑 공정에서,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의 다른 단부는 노출된다. 제 2 수형삽입체(92c) 및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사이의 연결영역은 전류 누출을 방지하도록 절연 플라스틱의 관형 부재(92d)에 의해 에워싸인다.
다이어오드(85a)와 한쌍의 리드 와이어(85b 및 85c)를 갖춘 서지 전압 제거 장치(85)는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와 제 3 피복 리드 와이어(93)사이에 제공된다. 리드 와이어(85b)의 터미널 단부는 제 1 수형삽입체 플러그(92a)와 함께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의 한단부에 연결된다. 리드 와이어(85c)의 터미널 단부는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클림핑에 의해, 클림핑 터미널(94)을 사용함에 의해 제 3 피복 리드 와이어(93)의 한단부에 연결된다. 이 클림핑 공정에서, 제 3피복 리드 와이어(93)의 한 단부는 노출된다. 이에 따라, 다이어오드(85a)는 한쌍의 리드 와이어(85b 및 85c)를 통해 제 2 리드 와이어(92)의 한 단부와 제 3 리드 와이어(93)의 한 단부 사이에서 브릿지된다. 제 3 리드 와이어(93)의 다른 단부는 널리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클림핑에 의해 연결 터미널(95)에 연결된다. 이 클림핑 공정에서, 제 3 피복 리드 와이어(93)의 다른 단부는 노출된다. 연결 터미널(95)은 이 연결 터미널(95) 수단에 의해 압축기 하우징(도시되지 않았음)에 스크류(95a)에 의해 접지되어 제조된다.
절연 플라스틱의 관형 부재(96)는 제 2 피복 리드 와이어(92) 및 제 3 피복 리드 와이어(93)를 에워싸서 리드 와이어(85c)의 터미널 단부와 제 3 피복 리드 와이어(93)의 한 단부사이의 연결영역이 전기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그리고 외력에 의해 야기된 다이어오드(85a)에 대한 기계적 손상이 방지하도록 한다.
JP‘014에서,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 및 리드 와이어(85b 및 85c)는 미세하고, 만곡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들도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c)을 각각 슬릿(83a 및 84a)으로 강제로 삽입하고 그리고 리드 와이어(85b 및 85c)를 각각 슬릿(83b 및 84b)으로 강제로 삽입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밖에도,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 리드 와이어(85b 및 85c) 및 슬릿(83a, 84a, 83b, 및 84b)의 배열 때문에, 복잡하고 불연속적인 공정이 터미널(83 및 84)을 제조하는데 필요하다.
나아가, 코일(72)의 선은 단지 절연 재료의 박층으로 피복되기 때문에,요크(71) 및 커넥터(80)사이의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의 각각의 부품은 도 1에 예시된바와 같이, 전자석 클러치(10)의 외면에 노출된다. 이 부품은 외력에 의해 손상을 받을 수 도 있거나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부식될 수도 있고, 이들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도 3-5와 관련하여 보면, 피복 리드 와이어의 단부는 노출되고 이어서 클림핑에 의해 플러그와 터미널에 연결되기 때문에, 전자석 클러치(10)를 제조하는데 드는 시간이 증가한다.
그밖에도, 전자석 클러치(1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자석 코일(72)을 요크(71)의 환형 중공형 공간(711)내에 고정되게 배치하고 그리고 먼지와 물방울을 추가하는 단계에서 전자석 코일(72)로 바람직하지 않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자석 코일(72)과 요크(71)사이에서 형성된 공기 갭을 채우는데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된다면, 제 1 단부 부분(72a)에 인접해 있는 제 1 리드 와이어(91)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의 부품은 수지의 열경화공정에서 생성된 열로 인해 손상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관련부품의 접속을 개선시킨 전자석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클러치는 U형의 단면적을 갖추고 그리고 코일이 환형 자기 하우징의 내부 중공형 공간내에 배치된 환형 자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석 코일 조립체를 구비한다. 도전성 소자는 전기 동력원을 구비하는 외부 전기 회로에 연결된다. 연결 소자는 코일과 도전성 소자를 도전되게 연결한다.
환형 자기 하우징은 외부 지름을 갖춘 제 1 환형 측벽 부분, 상기 제 1 환형 측벽 부분의 외부 지름보다 더 큰 내부 지름을 갖춘 제 2 환형 측벽 부분 및 제 1 및 제 2 환형 측벽 부분에 연결된 환형 바닥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은 절연 재료의 필름으로 피복되고 그리고 제 1 단부 부분 및 이 제 1 단부 부분에 마주하는 제 2 단부 부분을 구비한 감긴 단일의 도전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연결 소자는 개방된 상단 단부와 이 개방된 상단 단부에 배향된 차단된 바닥 단부를 갖춘 박스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박스 부재는 환형의 자기 하우징의 환형의 바닥 부분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감긴 단일의 도전성 와이어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은 환형의 자기 하우징의 환형 바닥 부분 및 상기 박스 부재의 차단된 바닥 단부를 관통한다.
도전성 소자는 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 및 각각 상기 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의 한 단부에 단단히 연결되는 한쌍의 터미널을 구비한다.
상기 박스 부재는 단일의 제 1 그루브, 한쌍의 제 2 그루브 및 차단된 바닥 단부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 3 그루브를 구비한다. 단일의 제 1 그루브, 한쌍의 제 2 그루브 및 한쌍의 제 3 그루브는 단일의 제 1 그루브가 한쌍의 제 2 그루브와 한쌍의 제 3 그루브양쪽을 교차하도록 배열된다.
각각이 한쌍의 터미널은 대향 측면 단부를 갖춘 평편한 상단부분, 각각 평편한 상단 부분의 대향 측벽 단부로부터 하향되어 돌출되는 한쌍의 측면 부분, 및 각각 터미널의 한쌍의 측면 부분이 돌출단부에서 형성된 한쌍의 제 1 슬릿을 구비한다.
감겨진 단일의 도전성 와이어의 제 1 및 제 2 부분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부품이 상기 제 1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설치되도록 배열된다.
한쌍의 터미널의 한쌍의 측면 부분은 각각 한쌍의 제 2 그루브와 한쌍의 제 3 그루브내에 수용되면서, 상기 단일의 제 1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놓여진 감겨진 단일의 도전성 와이어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부품은 각각 한쌍의 터미널의 한쌍의 제 1 슬릿내에 강제로 수용된다.
도 1은 JP‘014에 따른 전자석 클러치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박스 부재의 평면도.
도 3은 다른 종래기술의 전자석 클러치에 따른 전자석 클러치의 전자석 코일의 개략도.
도 4는 다른 종래기술의 전자석 클러치에 따른 전자석 클러치 전자석의 개략도.
도 5는 다른 종래기술의 전자석 클러치에 따른 전자석 클러치 커넥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클러치의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자석 클러치의 평면도.
도 8-10은 도 6에 도시된 전자석 클러치를 제조하는 공정 단계를 예시한 전자석 부품의 개략도.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전자석 클러치의 전자석 코일을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전자석 클러치의 전자석을 도시한 개략도.
도 13a-13f는 도 6에 도시된 전자석 클러치를 제조하는 공정 단계를 예시한 전자석 부품의 평면도.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커넥터의 개략도.
도 15a-15c는 도 6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조공정 단계를 예시한 커넥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러치 조립체 20 : 구동축
71 : 요크(yoke) 72 : 코일
72a, 72b, 72c, 72d : 제 1, 2, 3 및 4 단부 부분
100 : 커넥터(connector) 113 : 제 1 돌출부
114 : 제 2 돌출부
114a, 114b, 114c, 114d : 제 1, 2, 3, 및 4 그루브(groove)
117 : 제 1 돌출부 118 : 제 2 돌출부
120 : 뚜껑 부재 122, 123 : 측벽 부분
310, 320 : 터미널 850 : 서지(surge) 전압 제거 장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클러치의 전체 구조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동일한 번호는 도 1에 도시된 대응소자를 지시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추가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6에서, 클러치 조립체(10)는 자기 재료의 요크(71)의 환형 바닥 부분상에 고정되어 배치된 커넥터(100)를 구비한다. 커넥터(100)는 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201 및 202)를 사용하여 각각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을 연결한다.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201 및 202)의 다른 단부는 널리 공지된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클림핑에 의해 플러그(300)에 연결된다.
도 14에 있어서, 커넥터(100)는 개방 단부를 갖는 박스 부재(110) 및 박스 부재(110)의 개방 단부를 덮는 분리 뚜껑 부재(120)를 구비한다. 박스 부재(110) 및 뚜껑 부재(120)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 및 6-6 나이론 조성물이 될 수도 있는 절연재료로 제조된다.
뚜껑 부재(120)는 평편한 평면 부분(121)과, 평편한 평면 부분(121)의 길이방향의 대향단부에서 수직에서 하향되어 만곡되는 한쌍의 측벽 부분(122 및 123) 을 구비한다. 갈고리형 부분(122a)은 측벽 부분(122)의 터미널 에지에서 형성된다. 한쌍의 직사각형의 컷아웃 부분(122b)은 측벽 부분(122)의 터미널 에지에서 형성된다. 한쌍의 직사각형의 컷아웃 부분(122b)은 뚜껑 부재(120)의 길이방향 축X1과 관련하여 서로 일반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갈고리 부분(123a)은 측벽 부분(123)의 터미널 에지에서 형성된다. 한쌍의 직사각형의 컷아웃 부분(122b)과 동일한 한쌍의 직사각형의 컷아웃 부분(도시되지 않았음)은 측벽 에지 부분(123)에서 형성된다.
도 8 및 도 13a에서와 같이, 박스 부재(11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행한 배관 형태이며 그리고 박스 부재(110)의 대향되는 측면의 측벽(110a)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탭(tabs)(112)을 구비한다. 한쌍의 탭(112)은 각각 환형의 부착 판(73)의 하나의 외주 부분에 형성된 한쌍의 페그(732)와 단단히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도 15a-15c에 바람직하게 예시된바와 같이, 박스 부재(110)는 바닥 부분(11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돌출부(113)를 구비한다. 제 1 돌출부(113)는 일반적으로 절두 피라미드 형태이고 그리고 요크(71)의 환형 바닥 부분(712)의 하나의 외주 영역에서 형성된 홀(712a)내에 수용된다.
도 8 및 도 13a를 참조로 하면, 박스 부재(110)는 추가로 박스 부재(110)의 바닥 부분(111)의 내부 표면의 면적의 절반부로부터(도 13a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제 2 돌출부(114)를 더 구비한다. 각각의 한쌍의 제 2 돌출부(114)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행의 배관 형태이고 그리고 박스 부재(110)의 측면 측벽(110a)의 상부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한정된다. 한쌍의 제 2 돌출부(114)는 그들사이에서 예정된 거리로 박스 부재(110)의 길이방향 축 X2와 관련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열된다.
한쌍의 제 1 그루브(114a)는 각각 한쌍의 제 2 돌출부(114)의 상단 단부 표면에서 형성된다. 한쌍의 제 1 그루브(114a)는 서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한쌍의 제 2 그루브(114b)는 각각, 한쌍의 제 2 돌출부(114)의 상단 단부 표면에서 형성된다. 한쌍의 제 2 그루브(114b)가 또한 서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그루브(114a 및 114b)는 박스 부재(110)의 종축 X2의 방향으로 그들사이에서 예정된 거리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쌍의 제 3 그루브(114c)는 한쌍의 제 2 돌출부(114)중 하나(도 13a에서 우측)의 상단 단부 표면에서 형성된다. 한쌍의 제 3 그루브(114c)는 그들사이에서 예정된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쌍의 제 3 그루브(114c)가 박스 부재(110)의 종축 X2와 평행하게 추가로 배열된다.
한쌍의 제 4 그루브(114d)는 한쌍의 제 2 돌출부(114)중 하나(도 13a에서 좌측)의 상단 단부 표면에서 형성된다. 한쌍의 제 4 그루브(114d)는 그들사이에서예정된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쌍의 제 3 그루브(114d)가 또한 박스 부재(110)의 종축 X2와 평행하게 추가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 1, 제 2, 제 3 및 제 4 그루브(114a, 114b, 114c, 및 114d)는 제 1 및 제 3그루브(114a 및 114c)가 수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된다. 제 2 및 제 4 그루브(114b 및 114d)는 또한 수직에서 서로 교차하고 그리고 제 3 및 제 4 그루브(114c 및 114d)는 서로 평행하다.
한쌍의 만곡된 영역(115)은 한쌍의 제 2 돌출부(114)의 내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박스 부재(110)의 바닥 부분(111)의 내부 표면에서 형성된다. 한쌍의 원형 홀(116)은 한쌍의 만곡된 영역(115)의 내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박스 부재(110)의 바닥 부분(111)에서 형성된다.
제 1 구획 벽(117)은 박스 부재(110)의 바닥 부분(111)의 내부 표면에서 형성된다. 제 1 구획 벽(117)은 박스 부재(110)의 대향 측벽(110a)을 연결하고 그리고 예정된 거리의 일정한 간격으로 박스 부재(110)의 한쌍의 종방향 측벽중 하나에 (도 13a의 상단으로) 면한다. 제 1 구획 벽(117)의 상단 단부 표면은 박스 부재(110)의 측벽(110a)의 상부 면 보다 더 낮게 배열되지만, 제 2 돌출부(114)의 상단 단부 표면보다 더 높게 배열된다.
제 2 구획 벽(118)은 또한 박스 부재(110)의 바닥 부분(111)의 내부 표면에서 형성된다. 제 2 구획 벽(118)은 또한 박스 부재(110)의 대향 측 벽(110a)을 연결하고 그리고 예정된 거리의 일정한 간격으로 박스 부재(110)의 한쌍의 종방향 측벽중 하나에 (도 13a의 바닥으로) 면한다. 제 2 구획 벽(118)의 상단 단부 표면은 박스 부재(110)의 측벽(110a)의 상부 면 보다 더 낮게 배열되지만, 제 2 돌출부(114)의 상단 단부 표면보다 더 높게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구획 벽(117 및 118)을 제공함에 의해, 제 1,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131, 132, 133)은 제 1 및 제 2 구획 벽(117 및 118)사이에서, 제 1 구획 벽(117)과 한쌍의 길이방향 측벽(110b)중 하나(도 13a의 상단)사이에서 그리고 제 2 구획 벽(118)과 다른 길이방향 측벽(110b)사이에서(도 13a의 바닥) 각각 박스 부재(110)의 내부 중공형 공간내에 형성된다.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도 11에 도시된)과 (도 7에 도시된)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201 및 202)중 하나의 대응단부에 연결시키는 방법은 하기에 상세히 기술하였다.
제 1 단계에서, 도 8 및 13a에 도시되었듯이, 박스 부재(110)는 환형의 부착 판(73)의 하나의 외주 영역에 형성된 컷아웃 부분(733)에 수용되는 한편, 제 1 돌출부(113)는 바람직하게는 도 15a-15c와 같이 요크(71)의 환형 바닥 부분(712)의 하나의 외주 영역에 형성된 홀(712a)내에 수용된다. 이 단계에서, O 링 시일 소자(75)는 요크(71)의 홀(712a)의 외주의 위치에서 요크(71)의 환형 바닥 부분(712)과 박스(110)의 바닥 부분(111)사이에 탄성적으로 배치된다.
제 2 단계에서, 도 8 및 13a에 도시되어 있듯이, 환형 부착 판(73)의 한 외주부분에 형성된 한쌍의 페그(732)는 각각 박스 부재(110)의 한쌍의 탭과 단단히 맞물리도록 안쪽으로 만곡된다. 이 결과에 따라, 박스 부재(110)는 요크(71)의 환형 바닥 부분(712)상에 단단히 배치된다.
제 3 단계에서,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자석 코일(72)은 요크(71)의 환형 중공형 공간(711)내에 수용되는 한편,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은 박스 부재(110)의 바닥 부분(111)에 형성된 대응 원형 홀(116)을 통해 통과된다. 이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은 제 1 단부 부분(72a)이 제 2 부분(72b)보다 약간 더 길도록 직선으로 배열된다. 이 배열에 의해,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은 박스 부재(110)의 바닥 부분(111)에 형성된 대응 원형 홀(116)을 통해 용이하게 통과될 수 도 있다.
제 4 단계에서, 도 9 및 13b에 도시되어 있듯이, 대응 환형 홀(116)을 통해 통과되는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은 특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이어서 각각 한쌍의 제 1 그루브(114a)내에 느슨하게 수용되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진다. 이 조작에 의해, 코일(72)의 한쌍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은 각각, 한쌍의 제 1 그루브(114a)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안정되게 놓여진다. 나아가, 제 1 그루브(114a)(도 13a의 우측)중 하나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안정되게 놓인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의 부품은 한쌍의 제 3 그루브(114c)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그리고 또한 다른 제 1 그루브(114a)(도 13a의 좌측)중 하나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안정되게 놓인 코일(72)의 제 2 단부 부분(72b)의 부품은 한쌍의 제 4 그루브(114d)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제 5 단계에서, 도 13c에 도시되어 있듯이,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부분(72a 및 72b)사이에 관련된 공기 갭은 박스 부재(110)의 내부 중공형 공간내에 형성된 제 1 챔버 영역(131)에 의해 요크(71)(도 12에 도시됨)의 환형 중공형 공간(711)사이의 소통을 막도록 실리콘(116a)으로 채워진다.
제 6 단계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자석 코일(72)과 요크(71)사이에 형성된 공기 갭은 전기 절연 특성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701)로 채워져서 전자석 코일(72)이 에폭시 수지(701)로 전체가 덮히도록 된다. 이 결과에 따라, 에폭시 수지(701)가 셋팅될 때, 전자석 코일(72)이 요크(71)의 환형 중공형 공간(711)내에 단단히 배치되고 그리고 먼지와 물방울이 전자석 코일(72)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밖에도, 이 단계에서, 요크(71)는 요크(71)의 환형 바닥 부분(712)이 수평 평면에 평행하도록 배향되고, 요크(71)가 상향으로 개방되도록 된다. 나아가, 제 5 단계의 차단 조작의 결과에 따라, 박스 부재(110)의 내부 중공형 공간내에 형성된 제 1 챔버 영역(131)으로의 에폭시 수지(701)의 바람직하지 않은 흐름이 방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O 링 시일 소자(75)가 요크(71)의 환형 바닥 부분(712)과 박스 부재(110)의 바닥 부분(111)사이에서 요크(71)의 홀(712a)의 외주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요크(71)의 환형 중공형 공간(711)으로부터 홀(712a)을 통해 요크(71)의 외면으로의 에폭시 수지(701)의 바람직하지 않은 누출은 방지된다.
상기 언급한 제 1 내지 제 6 단계는 하나의 조립라인에서 수행된다. 제 6 단계의 부분적으로 제조된 전자석 클러치(10)는 조립 라인으로부터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동되고, 그리고 요크(71)의 환형 중공형 공간(711)내의 에폭시수지(701)는 주변온도로 자연적으로 냉각된다. 저장부에서 임시적으로 저장된 부분 제조된 전자석 클러치(10)는 하기에 기술될 제 7 내지 제 10 단계에서 완성하기 위해 다른 분리 조립라인으로 이동된다.
제 7 단계에서, 도 9, 13d 및 13e에 도시되어 있듯이, 서지 압력 제거 장치(850)가 제공된다. 서지 압력 제거 장치(850)는 다이어오드(851) 및 이 다이어오드(851)에 연결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리드 와이어(852)를 구비한다. 서지 압력 제거 장치(850)는 한쌍의 리드 와이어(852)가 한쌍의 제 2 그루브(114b)에 평행하도록 배향된다. 이어서, 한쌍의 리드 와이어(852)는 각각 한쌍의 제 2 그루브(114b)내에서 느슨하게 수용된다. 이 조작에 의해서, 한쌍의 리드 와이어(852)는 각각 한쌍의 제 2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안정되게 놓여진다. 그밖에도, 제 2 그루브(114b)(도 13e의 우측)중 하나의 내부 바닥 표면에 안정되게 놓인 한쌍의 리드 와이어중 하나의 부품은 한쌍의 리드 제 3 그루브(114c)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그리고 또한 다른 제 2 그루브(114b)(도 13e의 좌측)의 내부 바닥 표면에 안정되게 놓인 다른 리드 와이어(852)의 부품은 한쌍의 제 4 그루브(114d)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제 8 단계에서,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한쌍의 터미널(310 및 320)이 제공된다. 한쌍의 터미널(310 및 320)은 각각 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201 및 202)의 한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201 및 202)는 전기 동력원으로서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는 전기 회로(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터미널(310)은 링 부분(311)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채널 부분(312) 및 링 부분(311)을 구비한다. 채널 부분(312)은 각각 평편한 바닥 영역(313)의 대향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 영역(314) 및 평편한 바닥 영역(313)을 포함한다. 한쌍의 측벽 영역(314)은 예정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쌍의 측벽 영역(314)들 사이의 거리는 한쌍의 제 3 그루브(114c)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디자인된다. 한쌍의 슬릿(315 및 316)은 측벽 영역(314)의 각각에 형성된다. 슬릿(315 및 316)은 채널 부분(312)의 실질적으로 전체 깊이로 측벽 영역(314)의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한쌍의 슬릿(315 및 316)은 예정된 거리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쌍의 측벽 영역(314)에 형성된 슬릿(315)은 채널 부분(312)의 측방향으로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배열된다. 또한, 한쌍의 측벽 영역(314)에 형성된 슬릿(316)은 채널 부분(312)의 측방향으로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배열된다. 한쌍의 슬릿(315 및 316)사이의 거리는 제 1 그루브와 제 2 그루브(114b)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디자인된다. 슬릿(315)의 폭은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의 지름 보다 약간 작도록 디자인되고 그리고 슬릿(316)의 폭은 서지 전압 제거 장치(850)의 리드 와이어(852)의 지름 보다 약간 작게 디자인된다.
이와 유사하게는, 터미널(320)은 링 부분(321)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채널 부분(322) 및 링 부분(321)을 구비한다. 채널 부분(322)은 각각 평편한 바닥 영역(323)의 대향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 영역(324) 및 평편한 바닥 영역(323)을 포함한다. 한쌍의 측벽 영역(324)은 예정된 간격으로 서로평행하게 배열된다. 한쌍의 측벽 영역(324)들 사이의 거리는 한쌍의 제 4 그루브(114d)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디자인된다. 한쌍의 슬릿(325 및 326)은 측벽 영역(314)의 각각에 형성된다. 슬릿(315 및 316)은 채널 부분(322)의 실질적으로 전체 깊이로 측벽 영역(324)의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한쌍의 슬릿(325 및 326)은 예정된 거리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쌍의 측벽 영역(324)에 형성된 슬릿(325)은 채널 부분(322)의 측방향으로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배열된다. 또한, 한쌍의 측벽 영역(324)에 형성된 슬릿(326)은 채널 부분(322)의 측방향으로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배열된다. 한쌍의 슬릿(325 및 326)사이의 거리는 제 1 그루브와 제 2 그루브(114b)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디자인된다. 슬릿(325)의 폭은 코일(72)의 제 2 단부 부분(72b)의 지름 보다 약간 작도록 디자인되고 그리고 슬릿(326)의 폭은 서지 전압 제거 장치(850)의 리드 와이어(852)의 지름 보다 약간 작게 디자인된다.
터미널(310)의 링 부분(311) 및 터미널(320)의 링 부분(321)은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클림핑에 의해 각각 피복 리드 와이어(201 및 202)의 한단부에 단단히 연결된다. 나아가, 피복 리드 와이어(201 및 202)의 각각의 한 단부는 상술한 클림핑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노출된다.
나아가, 각각의 터미널(310 및 320)은 슬릿(315, (325)) 및 (316, (326))을 형성하고 그리고 링 부분(311,(321)) 및 채널 부분(312, (322))을 형성하는 연속 공정에 의해 판 부재(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제조된다.
피복 리드 와이어(201)의 한단부에 제공된 터미널(310)은 한쌍의 측벽영역(314)이 한쌍의 제 3 그루브(114c)와 일직선이 되게 배열되고 그리고 측벽 영역(314)의 각각의 슬릿(315)은 제 1 그루브(114a)와 일직선이 되게 배열되도록 배향되고 그리고 측벽 영역(314)의 각각이 슬릿(316)은 제 2 그루브(114b)와 일직선이 되게 배열된다. 이어서, 터미널(310)은 한쌍의 측벽 영역(314)이 대응되는 제 3 그루브(114c)내에 수용되도록 하향되어 이동된다. 한쌍의 측벽 영역(314)이 대응하는 제 3 그루브(114c)내에 맞추어지게 수용될 때, 제 1 그루브(114a)(도 13f의 우측)중 하나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안정되게 놓여진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의 부품은 각각의 측벽 영역(314)의 슬릿(315)내에 강제로 수용된다. 이 결과에 따라, 예를 들어,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의 외부 표면상에 피복된 에나멜일수도 있는 절연재료는 터미널(310)과 전기 접속되게 충분한 도전성 면적을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계획대로 탈피복된다. 이에 따라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과 터미널(310)사이의 충분한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밖에도, 한쌍의 측벽 영역(314)이 대응 제 3 그루브(114c)에 적절하게 수용될 때, 제 2 그루브(114b)(제 13f의 우측)중 하나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안정되게 놓여진 한쌍의 리드 와이어(852)중 하나가 각각의 측벽 영역(314)의 슬릿(316)내에 강제로 수용된다. 이 결과에 따라, 한쌍의 리드 와이어(852)중 하나와 터미널(310)중 하나와 터미널(310)사이의 충분한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코일(72)의 제 2 단부 부분(72b) 및 서지 전압 제거 장치(850)의 다른 리드 와이어(852)와 터미널(320)을 전기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방법은 상술한 것과 유사하지만, 이들의 추가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 및 서지 전압 제거 장치(850), 및 한쌍의 터미널(310 및 320)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박스 부재(310)의 내부 중공형 공간내에 배치된다.
제 9 단계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구획 벽(117 및 118)사이의 박스 부재(110)의 내부 중공형 공간내에 형성된 제 1 챔버 영역(131)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119)와 같은 기경성 수지(가열하지 않고 경화된 수지) 전기 절연 재료로 채워진다. 이에 따라,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 및 서지 전압 제거 장치(850), 및 한쌍의 터미널(310 및 320)은 아크릴 수지(119)로 전체가 피복된다. 이 결과에 따라, 아크릴 수지(119)가 경화된 후, 상기 언급한 소자는 박스 부재(110)의 내부 중공형 공간의 제 1 챔버(131)내에 단단히 배치되고 그리고 먼지와 수증기 방울이 박스 부재(110)의 내부 중공형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밖에도, 과량의 아크릴(119)은 제 1 챔버 영역(131)으로 부어진다면, 과량의 아크릴 수지(119)가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132 및 133)에 의해 수용되어 박스(110)로부터 아크릴 수지(119)의 누출이 방지된다. 제 10단계에서, 도 15c에 도시된바와 같이, 피복 재료(120)는 제 1 챔버 영역(131)내의 아크릴 수지(119)가 경화되기 전에 박스 부재(110)에 고정된다. 이 단계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기술되어있다.
도 1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뚜껑 부재(120)는 이 뚜껑 부재(120)의 측벽 부분(123)의 터미널 에지에서 형성된 갈고리 형 부분(123a)은 박스 부재(110)의 한쌍의 종방향 측벽(110b)중 하나에 형성된 슬롯(110c)과 맞물리도록 배향된다. 이 조작 후에, 화살표 ' F '에 의해 지시된 하향 힘이 뚜껑 부재(120)에 가해져서, 이 뚜껑 부재(120)의 측벽 부분(122)의 터미널 에지에 형성된 갈고리형 부분(122a)은 도 15b에 예시된바와 같이 박스 부재(110)(도 15b의 우측)의 다른 종방향 측벽 (110b)에 근접하도록 하향되어 이동된다.
힘 " F "을 연속적으로 수용함에 의해, 갈고리 형 부분(122a)은 박스 부재(110b)의 다른 종방향 측벽(110b)의 내부 표면(도 15c의 우측)을 따라 하향되어 이동되고, 그리고 박스 부재(110)의 다른 종방향 측벽(110b)에 형성된 슬롯(110c)내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뚜껑 부재(120)는 도 15c에 예시된바와 같이, 박스 부재(110)에 단단히 고정된다.
나아가, 도 13f 및 도 14 에 도시된바와 같이, 한쌍의 종방향 측벽(110b)의 각각의 상부 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모깍은 부분(110e)이 갈고리 형 부분(122a 123a)과 슬롯(110c)사이의 결합 조작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단부 부분(72a) 및 터미널(310)사이의 전기 결합은 단지 대응 제 3 그루브(114c)내의 한쌍의 측벽 영역(314)을 단단히 수용하는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1 단부 부분(72a)이 정밀하고 그리고 용이하게 굽혀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코일(72)의 제 1 단부 부분(72a)과 터미널(310)을 전기 결합하는데는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이와 유사하게, 코일(72)의 제 2 단부 부분(72b)과 터미널(320)사이 그리고 한쌍의 리드 와이어(852)와 대응 터미널(310 및 320)사이에서 결합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은 장점이 얻어진다.
그밖에도, 각각의 터미널(310 및 320)의 각각은 연속 형성 공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터미널(310 및 320)은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은 전자석 클러치(10)의 외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은 외력 또는 환경,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나아가, 피복 리드 와이어(201 및 202)의 한 단부가 대응 터미널(310 및 320)에 대응 터미널(310 및 320)에 연결되는 상황과는 달리 전자석 클러치(10)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클림핑 조작이 필요하지 않아서, 전자석 클러치(10)를 제조하는 필요로 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대응 피복 리드 와이어(201 및 202)의 한단부에 제공된 터미널(310 및 320)이 전자석 코일(72)과 요크(71)사이에 형성된 공기 갭내에 채워진 에폭시 수지(701)가 주변 온도로 냉각되는 시간이후에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 및 한쌍의 리드 와이어(852)와 전기적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코일(72)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72a 및 72b)에 인접해 있는 각각의 리드 와이어(201 및 202)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의 부품은 에폭시 수지(701)의 열경화 공정에 의해 생성된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은 청구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해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석 클러치(10)를 제조하는 필요로 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외력 및 주위 환경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그리고 피복 부재의 부품이 생성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Claims (22)

  1. a) U형 단면적을 갖춘 환형 자기 하우징 및 상기 환형 자기 하우징 내부의 중공형 공간내에 배치된 코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석 코일 조립체,
    b) 전기 동력원을 구비한 외부 전기 회로에 연결된 도전성 소자, 및
    c) 상기 도전성 소자와 상기 코일을 도전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석 클러치로서,
    상기 환형 자기 하우징은 소정의 외경을 갖는 제 1 환형 측벽 부분, 상기 제 1 환형 측벽 부분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제 2 환형 측벽 부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환형 측벽 부분을 각각의 축선방향 단부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환형 바닥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은 절연 재료의 필름으로 피복되어 감겨져 있는 감긴 단일 도전성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제 1 단부 부분 및 상기 제 1 단부 부분에 마주하는 제 2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 소자는 개방된 상단 단부 및 상기 개방된 상단 단부에 마주하는 차단된 바닥 단부를 갖춘 박스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박스 부재는 상기 환형 자기 하우징의 상기 환형 바닥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감긴 단일 도전성 와이어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은 상기 환형 자기 하우징의 환형 바닥 부분 및 상기 박스 부재의 차단된 바닥 단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도전성 소자는 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 및 각각 상기 한쌍의 피복 리드 와이어의 한쪽 단부에 단단히 연결되는 한쌍의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박스 부재는 단일의 제 1 그루브, 한쌍의 제 2 그루브 및 차단된 바닥 단부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 3 그루브를 구비하고, 단일의 제 1 그루브, 한쌍의 제 2 그루브 및 한쌍의 제 3 그루브는 단일의 제 1 그루브가 한쌍의 제 2 그루브와 한쌍의 제 3 그루브를 교차하도록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한쌍의 터미널은 대향 측면 단부를 갖춘 평편한 상단 부분, 각각 평편한 상단 부분의 대향 측벽 단부로부터 하향되어 돌출되는 한쌍의 측면 부분, 및 각각 터미널의 한쌍의 측면 부분의 돌출단부에서 형성된 한쌍의 제 1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감긴 단일 도전성 와이어의 제 1 및 제 2 부분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 1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설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한쌍의 터미널의 상기 한쌍의 측면 부분은 각각 한쌍의 제 2 그루브와 한쌍의 제 3 그루브내에 수용되면서, 상기 단일의 제 1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놓여진 상기 감긴 단일 도전성 와이어의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부품은 각각 한쌍의 터미널의 한쌍의 제 1 슬릿내에 강제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클러치의 조작이 종결된 시간후에 즉시 발생되는 서지 전압을 제거하고, 다이어오드와 서로로부터 반대로 연장되는 한쌍의 리드 와이어를 구비하는 서지 전압 제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 부재는 한쌍의 상기 제 2 그루브와 한쌍의 제 3 그루브를 교차되도록 배열된 단일 제 4 그루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서지 전압 제거 장치의 한쌍의 리드 와이어는 상기 제 4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설치되게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한쌍의 터미널은 각각 상기 터미널의 각각의 상기 측면 부분의 돌출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 2 슬릿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4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에 설치된 상기 서지 전압 제거 장치의 상기 한쌍의 리드 와이어는 상기 한쌍의 터미널의 상기 한쌍의 측면 부분이 한쌍의 상기 제 2 그루브와 한쌍의 상기 제 3 그루브내에 각각 수용될 때, 상기 한쌍의 터미널의 상기 한쌍의 제 2 슬릿내에 강제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환형 자기 하우징사이에 형성된 갭은 제 1 수지로 채워지고, 상기 제 1 수지는 상기 코일을 피복하도록 가열함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석 클러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가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석 클러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가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부재의 내부 중공형 공간은 상기 제 1 수지가 정상 온도로 냉각된 후 상기 단일 제 1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설치된 상기 감긴 도전 와이어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각각의 부품과 상기 한쌍의 터미널을 피복하기 위해 가열하지 않고 경화된 제 2 수지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석 클러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가 전기 절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가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9. 제 6 항에 있어서, 한쌍의 대향 종방향 단부로부터 하향되어 연장된 한쌍의 측벽 부분과 상기 한쌍의 측벽 부분의 돌출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갈고리형 부분을 포함하는 분리 뚜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박스 부재는 대향되어 개방 상단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박스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제 2 수지가 경화되는 시간 전에, 상기 한쌍의 갈고리형 부분과 상기 한쌍의 슬롯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서로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부재는 상기 내부 중공형 공간을 제 1, 제 2 및 제 3챔버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차단된 바닥 단부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구획 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이 상기 박스 부재의 종방향 축을 따라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챔버 영역이 상기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사이에 샌드위치식으로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챔버 영역은 상기 단일 제 1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 및 한쌍의 터미널상에 설치된 상기 감긴 단일 도전성 와이어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부품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은 과량의 제 2 수지가 상기 제 1 챔버 영역으로 부어질 지라도 상기 제 1 챔버 영역으로부터의 과류 제 2 수지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긴 단일 도전성 와이어가 에나멜 필름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제 1 그루브, 한쌍의 상기 제 2 그루브 및 한쌍의 상기 제 3 그루브는 상기 단일 제 1 그루브가 한쌍의 상기 제 2 그루브와 한쌍의 상기 제 3 그루브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환형 자기 하우징사이에 형성된 공기 갭은 상기 코일을 피복하도록 가열하여 경화된 제 1 수지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가 전기 절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가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부재의 내부 중공형 공간은 상기 단일 제 1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상에 설치된 상기 감긴 단일 도전성 와이어의 상기 단일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각각의 부품을 피복하기 위해 가열하지 않고 경화된 제 2 수지로 채워지고, 상기 서지 전압 제거 장치의 상기 한쌍의 리드 와이어는 상기제 1 수지가 정상 온도로 냉각 돈후, 상기 단일 제 4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과 상기 한쌍의 터미널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가 전기 절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는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한쌍의 대향 종방향 단부로부터 하향되어 연장된 한쌍의 측벽 부분과 상기 한쌍의 측벽 부분의 돌출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갈고리형 부분을 포함하는 분리 뚜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박스 부재는 대향되어 개방 상단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박스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제 2 수지가 경화되는 시간 전에, 상기 한쌍의 갈고리형 부분과 상기 한쌍의 슬롯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서로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부재는 상기 내부 중공형 공간을 제 1, 제 2 및 제 3챔버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차단된 바닥 단부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제 1 및 제 2 구획 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이 상기 박스 부재의 종방향 축을 따라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챔버 영역이 상기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사이에 샌드위치식으로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챔버 영역은 상기 단일 제 1 그루브의 내부 바닥 표면에 설치된 상기 감긴 단일 도전성 와이어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부분의 각각의 부품, 상기 단일의 제 4 그루브의 바닥 표면상에 설치된 상기 서지 전압 제거 장치의 상기 한쌍의 리드 와이어 및 상기 한쌍의 터미널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챔버 영역은 과량의 제 2 수지가 상기 제 1 챔버 영역으로 부어질지라도 상기 제 1 챔버 영역으로부터의 과류의 제 2 수지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긴 단일 도전성 와이어가 에나멜 필름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클러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제 1 그루브, 한쌍의 상기 제 2 그루브, 한쌍의 상기 제 3 그루브 및 상기 단일 제 4 그루브는 상기 단일 제 1 그루브와 제 4 그루브가 서로 평행하고 그리고 상기 단일 제 1 및 제 4 그루브는 한쌍의 상기 제 2 그루브와 한쌍의 상기 제 3 그루브와 수직으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석클러치.
KR1019970017372A 1996-05-07 1997-05-07 전자석클러치 KR100430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6-112233 1996-05-07
JP8112233A JP3069044B2 (ja) 1996-05-07 1996-05-07 電磁連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435A KR970075435A (ko) 1997-12-10
KR100430665B1 true KR100430665B1 (ko) 2004-07-16

Family

ID=1458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372A KR100430665B1 (ko) 1996-05-07 1997-05-07 전자석클러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12044A (ko)
EP (1) EP0806583B1 (ko)
JP (1) JP3069044B2 (ko)
KR (1) KR100430665B1 (ko)
CN (1) CN1144957C (ko)
BR (1) BR9703066A (ko)
DE (1) DE6970017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329A (ko) * 2011-05-25 2012-12-05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 클러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288B2 (ja) * 1996-07-23 2000-10-16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JP3396145B2 (ja) * 1996-12-16 2003-04-14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JP3925880B2 (ja) * 1998-01-19 2007-06-06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US6371270B1 (en) * 1999-07-05 2002-04-16 Sande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lutch
JP2001211640A (ja) * 2000-01-20 2001-08-03 Hitachi Ltd 電子装置と半導体集積回路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1317564A (ja) 2000-02-29 2001-11-16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用ヨーク
DE10109378B4 (de) * 2000-02-29 2004-10-14 Sanden Corp., Isesaki Elektromagnetanordnung für elektromagnetisches Gerät
JP2001241468A (ja) 2000-02-29 2001-09-07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用ヨーク
KR100697708B1 (ko) * 2001-01-02 2007-03-21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오프 노이즈 차단구조
KR100697709B1 (ko) * 2001-01-02 2007-03-21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오프 노이즈 차단구조
JP2003074596A (ja) * 2001-09-03 2003-03-12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用ヨーク
JP2003130087A (ja) * 2001-10-30 2003-05-08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用ヨーク
KR100788343B1 (ko) * 2002-03-26 2007-12-27 한라공조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KR20040008784A (ko) * 2002-07-19 2004-01-31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클러치용 전자석 조립체
JP2004190853A (ja) * 2002-11-28 2004-07-08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マグネット式クラッチ装置
DE602004027704D1 (de) * 2003-01-29 2010-07-29 Halla Climate Control Corp Montagestruktur für feldspule
KR100547042B1 (ko) * 2003-03-27 2006-01-31 우리산업 주식회사 방전소자부의 내장형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US6817459B1 (en) * 2003-05-20 2004-11-16 Delphi Technologies, Inc. Direct method of terminating the ground coil terminal to coil housing
JP4473042B2 (ja) * 2004-05-26 2010-06-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検出装置、ワイヤーハーネス、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端子ホルダ
KR101104274B1 (ko) * 2004-10-08 2012-0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100577548B1 (ko) 2005-03-21 2006-05-10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 및 그제조방법
KR100652246B1 (ko) * 2005-07-20 2006-12-01 우리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컴프레서에 결합되는 마그네틱 클러치용 필드코일어셈블리의 전원 연결부
JP2007176464A (ja) * 2005-12-28 2007-07-12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移動体用の動力ユニット
KR101067249B1 (ko) * 2006-05-03 2011-09-27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101369608B1 (ko) * 2007-05-30 2014-03-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의 리드와이어 고정장치
KR101152014B1 (ko) * 2008-05-06 2012-06-08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제조방법
JP5600034B2 (ja) * 2009-08-28 2014-10-01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JP5368937B2 (ja) * 2009-10-26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イル端子
CN102063993B (zh) * 2009-11-17 2015-03-11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压缩机离合器的线圈及其制造方法
EP2339196B1 (en) * 2009-12-22 2015-11-04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for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I123568B (fi) 2011-03-24 2013-07-15 Kone Corp Sähkömagneettinen jarru
JP5765706B2 (ja) * 2011-04-28 2015-08-19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JP2013164149A (ja) * 2012-02-13 2013-08-22 Denso Corp 電磁クラッチ
JP2013174272A (ja) 2012-02-23 2013-09-05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
WO2014063048A1 (en) * 2012-10-18 2014-04-24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Omnidirectional electromagnet
WO2014157301A1 (ja) * 2013-03-29 2014-10-02 サンデン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WO2015095944A1 (en) * 2013-12-27 2015-07-02 Robert Bosch Limitada Diode accomodation core
CN104315032A (zh) * 2014-08-19 2015-01-28 上海金山易通汽车离合器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空调离合器线圈环部件及制作方法
ITUB20169987A1 (it) * 2016-01-14 2017-07-14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Connettore per bobina magnetica
JP6176345B2 (ja) * 2016-03-01 2017-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クラッチの製造方法
CN111692703B (zh) 2019-03-15 2023-04-25 开利公司 空气调节系统的故障检测方法
JP2022155782A (ja) * 2021-03-31 2022-10-14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78257A (en) * 1968-08-16 1972-06-21 Bsr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bobbin assemblies
US4181393A (en) * 1978-03-17 1980-01-01 Amp Incorporated Interconnecting means for coil windings and overload protector
US4419536A (en) * 1979-10-23 1983-12-06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Means for affixing an electronic component on a supporting medium
JPS56138529A (en) * 1980-03-31 1981-10-29 Hitachi Ltd Electromagnetic clutch
US4432446A (en) * 1980-06-28 1984-02-21 Nippondenso Co., Ltd.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JPS57135680A (en) * 1981-02-12 1982-08-21 Murata Mfg Co Ltd Flyback transformer
US4503413A (en) * 1982-12-09 1985-03-05 Telefonbau Und Normalzeit Gmbh Spool for transformer in power supply device
JPS60193309A (ja) * 1984-03-15 1985-10-01 Murata Mfg Co Ltd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US4557544A (en) * 1984-12-17 1985-12-10 Amp Incorporated Terminal for connecting a lead wire to a coil wire
DE3816965C2 (de) * 1988-05-18 1993-11-04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orrichtung zur ermittlung von fadenbruch bei einer ringspinn- oder zwirnmaschine
JP2744442B2 (ja) * 1988-10-15 1998-04-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ランス
JPH0648020B2 (ja) * 1989-03-28 1994-06-22 小倉クラツチ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US5307038A (en) * 1989-03-28 1994-04-26 Ogura Clutch Co., Ltd.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US4935713A (en) * 1989-06-12 1990-06-19 Ford Motor Company Field coil assembly for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clutch
JP2568051Y2 (ja) * 1989-10-13 1998-04-08 サンデン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の励磁装置
US5225801A (en) * 1990-04-28 1993-07-06 Toyo Denso Kabushiki Kaisha Ignition coil device for engine
US5138293A (en) * 1990-09-17 1992-08-11 Ogura Clutch, Co., Ltd.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US5320206A (en) * 1993-05-03 1994-06-14 Ogura Corporation Coil mounting and terminals for an electromagnetic clutch
US5508671A (en) * 1994-08-09 1996-04-16 Qgura Clutch Co., Ltd.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DE9417532U1 (de) * 1994-11-02 1996-03-07 Bosch Gmbh Robert Verbindungsanordnung im Automobilbau
JP2770938B2 (ja) * 1995-03-08 1998-07-02 サンデン株式会社 電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329A (ko) * 2011-05-25 2012-12-05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 클러치
KR101720803B1 (ko) * 2011-05-25 2017-03-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12044A (en) 1998-09-22
KR970075435A (ko) 1997-12-10
EP0806583B1 (en) 1999-04-14
CN1170097A (zh) 1998-01-14
CN1144957C (zh) 2004-04-07
EP0806583A1 (en) 1997-11-12
DE69700176T2 (de) 1999-09-23
BR9703066A (pt) 1998-09-01
JP3069044B2 (ja) 2000-07-24
JPH09296830A (ja) 1997-11-18
DE69700176D1 (de) 199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665B1 (ko) 전자석클러치
EP1592896B1 (en) Assembling structure of field coil
EP1253606B1 (en) Stick-type ignition coil having improved structure against crack or dielectric discharge
US5307038A (en)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US5508671A (en)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KR20060121095A (ko) 전기 모터용 고정자
US6724289B2 (en) Ignition apparatus having feature for shielding the HV terminal
KR100199300B1 (ko)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 유닛
KR102259901B1 (ko)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US20020158740A1 (en) Ignition apparatus having reduced electric field HV terminal arrangement
KR970001126B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KR20040023691A (ko) 밀폐형 압축기의 전동기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5485135A (en) Ignition coil assembly filled with resinous material
RU2115969C1 (ru) Катушка зажигания для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10176726A (ja) 電磁連結装置
JPH1118353A (ja) 小型モータ
US6191674B1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707365B2 (en)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KR101162057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US4803454A (en) Ignition coil
US5781092A (e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20154459A1 (en) Electricals package integrating run capacitor, motor protector and motor starter
KR101952759B1 (ko) 전자클러치의 코일어셈블리
US10998128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678423B1 (ko) 전자클러치의 코일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