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343B1 -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343B1
KR100788343B1 KR1020020016342A KR20020016342A KR100788343B1 KR 100788343 B1 KR100788343 B1 KR 100788343B1 KR 1020020016342 A KR1020020016342 A KR 1020020016342A KR 20020016342 A KR20020016342 A KR 20020016342A KR 100788343 B1 KR100788343 B1 KR 10078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bobbin
coil assembly
splic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294A (ko
Inventor
박상진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3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1Means for electric connection of the coils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형으로 권취되는 전자코일(20)이 수용되는 보빈(30); 상기 전자코일(20)에서 인출되는 코일선(22)과 리드선(2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플라이스(40); 상기 보빈(3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부(52)상에는 상기 스플라이스(40)가 삽입·고정되고, 상측에는 상기 리드선(26)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하는 인출구(54)가 구비되는 돌출접속부(50); 상기 보빈(30)이 수용되며, 일측에는 상기 돌출접속부(50)를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하는 삽입홀(62)이 형성되는 코어링(60); 상기 코어링(60)의 하단부에 설치·고정되는 커버(70); 및 상기 리드선(26)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접속구(50)의 인출구(54)상에 강제 삽입되는 고무부시(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전자코일, 리드선, 보빈, 스플라이스, 코어링, 고무부시

Description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STRUCTURE CONNECTING LEAD WIRE OF FILED COIL ASSEMBLY}
도 1은 종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전자코일 22 : 코일선
26 : 리드선 30 : 보빈
40 : 스플라이스 50 : 돌출접속부
52 : 내부공간부 54 : 인출구
56 : 분리벽 60 : 코어링
62 : 삽입홀 70 : 커버
80 : 고무부시 90 : 결합후드
본 발명은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의 압축기용 클러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요소는 풀리 어셈블리(PULLEY ASSEMBLY), 디스크 및 허브 어셈블리(DISC & HUB ASSEMBLY) 및 필드코일 어셈블리(FIELD COIL ASSEMBLY)로 이루어진다.
그 중, 에폭시 타입과 하드셀 타입으로 구분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전원공급시 권취된 코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그에 따른 자기력으로 풀리의 디스크와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를 동력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자클러치가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의 구동력을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에 전달하게 하는 전기장치로서, 권취된 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압축기 에 대한 동력을 단속하여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하드셀 타입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 보빈(2) 및 커버(3)로 이루어지는 코일 어셈블리, 필드코어 어셈블리(코어링이라고도 함)(4), 매그 메이트 터미널(mag mate terminal)(5)과 전원연결용 점퍼(6) 등으로 구성되며, 그에 따른 전원공급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코일(1)에서 인출된 코일선(1')을 돌출접속부(7)의 관통공(8)을 통해 터미널삽입홈(9)상에 노출시킨 후, 매그 메이트 터미널(mag mate terminal)(5)을 상기 터미널삽입홈(9)에 삽입하여 상기 코일선(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리드선(11)의 단부에 연결·설치되는 전원연결용 점퍼(6)를 상기 돌출접속부(7)상에 결합시킴으로써 코일(1)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구조는 전원연결용 점퍼(6), 매그 메이트 터미널(mag mate terminal)(5) 등과 같은 구성요소가 사용됨으로써, 보빈(2)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 상기 전원연결용 점퍼(6) 및 매그 메이트 터미널(mag mate terminal)(5)의 형상이 복잡하여 금형 제작이 어려웠으며, 그로 인해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전체 제조공정이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금형비, 제조비용과 같은 비용발생요인이 추가적으로 생기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매그 메이트 터미널(mag mate terminal)(5)의 과다 삽입 또는 보빈(2) 측의 깨짐, 진동 등과 같은 외부 조건에 의해 코일(1)이 단선될 우려가 높았고, 실제로 그러한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전자코일과 리드선의 연결구조를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그 전기적 접속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링형으로 권취되는 전자코일이 수용되는 보빈; 상기 전자코일에서 인출되는 코일선과 리드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플라이스; 상기 보빈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부상에는 상기 스플라이스가 삽입·고정되고, 상측에는 상기 리드선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하는 인출구가 구비되는 돌출접속부; 상기 보빈이 수용되며, 일측에는 상기 돌출접속부를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코어링; 상기 코어링의 하단부에 설치·고정되는 커버; 및 상기 리드선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접속구의 인출구상에 강제 삽입되는 고무부시로 구성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링형으로 권취되는 전자코일(20)이 수용되는 보빈(30); 상기 전자코일(20)에서 인출되는 코일선(22)과 리드선(2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플라이스(40); 상기 보빈(3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부(52)상에는 상기 스플라이스(40)가 삽입·고정되고, 상측에는 상기 리드선(26)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하는 인출구(54)가 구비되는 돌출접속부(50); 상기 보빈(30)이 수용되며, 일측에는 상기 돌출접속부(50)를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하는 삽입홀(62)이 형성되는 코어링(60); 상기 코어링(60)의 하단부에 설치·고정되는 커버(70); 및 상기 리드선(26)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접속구(50)의 인출구(54)상에 강제 삽입되는 고무부시(80)로 구성된다.
상기 고무부시(80)는 보빈(3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26)을 지지·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 하단부가 상기 분리벽(56)에 지지되며, 상기 고무부시(80) 외에 변형이 적으면서도 강도가 뛰어난 여러 종류의 탄성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돌출접속부(50)의 인출구(54) 사이에 분리벽(5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벽(56)을 기준으로 양측 공간부에 상기 스플라이스(40)가 가로 방향으로 각 각 삽입·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플라이스(40) 설치공간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접속부(50)는 전면부가 개방되어 스플라이스(40)의 결합이 용이할 뿐 아니라 필요시 스플라이스(40)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된 전면부에는 결합후드(90)가 밀착·결합되어 진다.
상기 결합후드(90)는 돌출접속부(50)의 상측에서 분리벽(56)에 안착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원형의 인출구(54)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그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코일(미도시)에서 인출되는 코일선(22)을 스플라이스(4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선(26)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 상기 스플라이스(40)를 보빈(30) 돌출접속부(50)의 내부공간부(52)상에 형성되는 분리벽(56)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돌출접속부(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출구(54)를 통해 리드선(26)을 외부로 인출하여 1차로 고정한다.
그리고 별도의 결합후드(90)를 돌출접속부(50)의 개방된 전면부에 결합하여 스플라이스(40)와 리드선(26)을 2차로 고정한 후, 리드선(26)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부시(80)를 상기 인출구(54)상에 강제 삽입함으로써 리드선(26) 및 그와 연결되는 스플라이스(40)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상기에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본 고안은 결합후드를 이용하여 보빈의 돌출접속부를 결합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원연결용 점퍼 및 매그 메이트 터미널(mag mate terminal)이 필요없으므로 보빈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제조공정이 감소될 뿐 아니라 그 외형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금형비 및 제작단가 등과 같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월등히 효율적이다.

Claims (3)

  1. 링형으로 권취되는 전자코일(20)이 수용되는 보빈(30);
    상기 전자코일(20)에서 인출되는 코일선(22)과 리드선(2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플라이스(40);
    상기 보빈(3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부(52)상에는 상기 스플라이스(40)가 삽입·고정되고, 상측에는 상기 리드선(26)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하는 인출구(54)가 구비되는 돌출접속부(50);
    상기 보빈(30)이 수용되며, 일측에는 상기 돌출접속부(50)를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하는 삽입홀(62)이 형성되는 코어링(60);
    상기 코어링(60)의 하단부에 설치·고정되는 커버(70); 및
    상기 리드선(26)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접속구(50)의 인출구(54)상에 강제 삽입되는 고무부시(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접속부(50)의 내부공간부(52) 중앙에 분리벽(56)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56)을 기준으로 양측 공간부에 상기 스플라이스(40)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접속부(50)는 전면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전면부에 결합후드(90)가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KR1020020016342A 2002-03-26 2002-03-26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KR10078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42A KR100788343B1 (ko) 2002-03-26 2002-03-26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42A KR100788343B1 (ko) 2002-03-26 2002-03-26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294A KR20030077294A (ko) 2003-10-01
KR100788343B1 true KR100788343B1 (ko) 2007-12-27

Family

ID=3237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342A KR100788343B1 (ko) 2002-03-26 2002-03-26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0996B (zh) * 2018-06-11 2023-06-23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磁线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4623A (ja) * 1990-07-03 1992-02-28 Shimizu Corp 地中施設の躯体構造
JPH08334131A (ja) * 1995-06-06 1996-12-17 Ogura Clutch Co Ltd 電磁連結装置
JPH09296830A (ja) * 1996-05-07 1997-11-18 Sanden Corp 電磁連結装置
JPH11166562A (ja) * 1996-12-16 1999-06-22 Ogura Clutch Co Ltd 電磁連結装置
KR200382537Y1 (ko) * 1998-12-28 2005-07-28 한라공조주식회사 보빈어셈블리및이것을이용한전자석클러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4623A (ja) * 1990-07-03 1992-02-28 Shimizu Corp 地中施設の躯体構造
JPH08334131A (ja) * 1995-06-06 1996-12-17 Ogura Clutch Co Ltd 電磁連結装置
JPH09296830A (ja) * 1996-05-07 1997-11-18 Sanden Corp 電磁連結装置
JPH11166562A (ja) * 1996-12-16 1999-06-22 Ogura Clutch Co Ltd 電磁連結装置
KR200382537Y1 (ko) * 1998-12-28 2005-07-28 한라공조주식회사 보빈어셈블리및이것을이용한전자석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294A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6058B1 (en) Field coil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lutch for a compressor
JP3069044B2 (ja) 電磁連結装置
KR100677736B1 (ko) 필드코일 어셈블리 구조
US20130064700A1 (en) Cooling Fan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CN101435471B (zh) 用于制造压缩机的电磁离合器的连接器的方法
KR101067249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US10903704B2 (en) Fan motor for air conditioner
EP1521347A1 (en) Motor
KR100788343B1 (ko)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JPH1118353A (ja) 小型モータ
KR101162057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US6707365B2 (en)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KR101162054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서지방지소자 고정구조
KR101112600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20180020050A (ko) 블로워모터
KR20040034100A (ko)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KR101371630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접지터미널 설치구조
JPH07163117A (ja) アウターロータ型ブラシレスdcモータ
KR20040006357A (ko) 필드코일 조립체의 다이오드 설치구조
KR100591958B1 (ko) 클러치 전원공급용 와이어 연결을 위한 보빈
JP3098044U (ja) ファンモータのリード線引出構造
JP2004215475A (ja) チョークコイル内藏型直附式コネクタが裝着されたコンデンサ用モータ
KR20040008784A (ko) 전자클러치용 전자석 조립체
CN115143204A (zh) 电磁耦合装置
JPH07231616A (ja) ブラシ保持器及びそのブラシ保持器を備えた整流子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