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050A - 블로워모터 - Google Patents

블로워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050A
KR20180020050A KR1020160104535A KR20160104535A KR20180020050A KR 20180020050 A KR20180020050 A KR 20180020050A KR 1020160104535 A KR1020160104535 A KR 1020160104535A KR 20160104535 A KR20160104535 A KR 20160104535A KR 20180020050 A KR20180020050 A KR 20180020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cover
front cover
blower motor
cover 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477B1 (ko
Inventor
정진근
Original Assignee
효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4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7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ro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워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드커버 조립체와,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와 체결되는 프론트커버 조립체가 서로 체결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와 프론트커버 조립체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아마츄어가 삽입되되, 상기 아마츄어의 회전축은 엔드커버 또는 프론트커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커버와 엔드커버가 내설되는 중공체 형상의 팬이 장착되어 프론트커버와 엔드커버의 내부에 아마츄어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 특징인 블로워모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동 흡수 및 냉각효율을 향상된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로워모터{Blower motor}
본 발명은 블로워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드커버 조립체와,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와 체결되는 프론트커버 조립체가 서로 체결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와 프론트커버 조립체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아마츄어가 삽입되되, 상기 아마츄어의 회전축은 엔드커버 또는 프론트커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커버와 엔드커버가 내설되는 중공체 형상의 팬이 장착되어 프론트커버와 엔드커버의 내부에 아마츄어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 특징인 블로워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내부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모터에 팬을 장착하는 블로워모터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블로워모터의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1-0021034호에 아마츄어 어셈블리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우징에 내장되는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로서, 정류자가 안착되는 안착홈부; 브러시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브러시가 상기 정류자의 측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안착홈부의 측부에 연장 형성되는 브러시 홀더부; 및 탄성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안착홈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유닛이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가 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5727호에 플랜지를 가진 모터커버의 수용부에 블로워모터의 하우징이 끼워져 조립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커버의 수용부 내면에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블로워모터로부터 상기 모터커버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도록 방진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방진부재에는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조립체가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869170호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자와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하는 아마추어 샤프트가 구비된 아마추어 조립체와; 상기 아마추어 조립체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아마추어 조립체가 내재되게 설치된 모터몸체와; 상기 모터몸체가 내재되고 공기유입구와 연통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모터몸체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모터몸체와 아마추어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로워모터 어셈블리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로워모터는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며, 또한 진동 흡수 및 냉각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동 흡수 및 냉각효율을 향상시킨 블로워모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블로워모터는 엔드커버 조립체와,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와 체결되는 프론트커버 조립체가 서로 체결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와 프론트커버 조립체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아마츄어가 삽입되되, 상기 아마츄어의 회전축은 엔드커버 또는 프론트커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커버와 엔드커버가 내설되는 중공체 형상의 팬이 장착되어 프론트커버와 엔드커버의 내부에 아마츄어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동 흡수 및 냉각효율을 향상된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쿨링동작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 프론트커버 조립체, 아마츄어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 아마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1실시에 따른 평면 개요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1실시에 따른 브러시 조립도.
도 11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2실시에 따른 실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2실시에 따른 평면 개요도.
도 13 내지 도 14는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2실시에 따른 브러시 사용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프론트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회전자에 코일이 권선된 공정도.
도 17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회전자의 코일이 권선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조립공정도.
본 발명 블로워모터는 엔드커버 조립체(100)와,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100)와 체결되는 프론트커버 조립체(200)가 서로 체결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100)와 프론트커버 조립체(200)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아마츄어(300)가 삽입되되, 상기 아마츄어(300)의 회전축(310)은 엔드커버(110) 또는 프론트커버(2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커버(210)와 엔드커버(110)가 내설되는 중공체 형상의 팬(430)이 장착되어 프론트커버(210)와 엔드커버(110)의 내부에 아마츄어(3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아마츄어(300)는 회전축(310)과 회전자(320)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회전자(320)는 상기 회전축(310)이 중심부에 삽설되는 코어(321)와, 상기 코어(321)에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티스(322)와, 상기 티스(322) 간에 형성된 공간인 슬롯(323)과, 상기 회전축(310) 상에 코어(32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정류자(325) 및 상기 티스(322)와 정류자(325) 간에 감겨 있는 코일(324)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커버(120)의 외측면에는 플랜지(410)가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410)의 외측면에는 플랜지커버(420)가 체결되되, 상기 프론트커버(120)와 엔드커버(11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중공체 형상의 팬(430)이 플랜지(410)에 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100)에는 엔드커버(110)와 브러시(12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블로워모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쿨링동작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 프론트커버 조립체, 아마츄어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 아마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모터(M)는 엔드커버 조립체(100)와,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100)와 체결되는 프론트커버 조립체(200)가 서로 체결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100)와 프론트커버 조립체(200)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아마츄어(300)가 삽입되어 있되, 상기 아마츄어(300)의 회전축(310)이 엔드커버(110) 또는 프론트커버(2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아마츄어(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 회전자(320)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회전자(320)는 코어(321), 티스(322), 슬롯(323), 코일(324), 정류자(32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M)에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팬(430)이 장착되어 있다.
즉, 엔드커버(110)에 플랜지(410)가 결합되고, 또한 상기 플랜지(410)의 하면에 플랜지커버(420)가 결합되며, 플랜지(410)의 상면에는 팬(430)이 장착된다,
상기 팬(430)은 전체적인 형상이 중공체 형상으로서, 한 쌍의 링 사이에 복수의 블레이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표시된 화살표는 공기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플랜지(410)와 플랜지커버(420) 사이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로를 통해 모터(M)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엔드커버(110)에 형성된 냉각홀(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냉각홀(111)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1실시에 따른 평면 개요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엔드커버 조립체(100)는 중심부에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의 엔드커버(110)와, 상기 엔드커버(110)의 상면에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브러시(120)와, 터미널(161)이 장착되는 콘덴서 조립부(16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브러시(120) 사이의 엔드커버(110)에는 상하로 관통된 냉각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엔드커버(110)의 중공홀로는 아마츄어(300)의 회전축(310)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1실시에 따른 브러시 조립도이다.
특히,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에 따른 브러시(120)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 홀더(13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브러시 홀더(130)에는 브러시 홀더(130)로부터 브러시(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브러시 홀더(130)의 개구부 측에 장착되는 브러시 홀더 캡(14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브러시 홀더 캡(140)은 브러시 홀더(13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때, 회전축(310)에 대향하는 브러시 홀더(130)의 일면은 내외부로 관통된 전면홀(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홀(132)을 통해 브러시 홀더(130)의 내부에 삽입된 브러시(120)의 일면이 돌출되어 회전축(310)에 접촉하게 되며, 브러시 홀더(130)의 내부에는 스프링(150)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브러시(120)는 항상 회전축(310)에 접촉하고 있게 된다.
이에, 상기 브러시 홀더(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브러시(120)는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방사형 방향으로 이동가능함으로써 길이가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 홀더(130)의 측면에는 탄성력이 있는 삽입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31)에 대응하도록 브러시 홀더 캡(140)의 측면에는 삽입돌기(1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141)이 형성되어 있어, 브러시 홀더 캡(140)의 삽입홀(141)에 브러시 홀더(130)의 삽입돌기(131)가 삽입됨으로써 브러시 홀더(130)와 브러시 홀더 캡(140)은 서로 결속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삽입돌기(131)는 끝단부의 둘레가 크게 형성되어, 몸체 부분과는 둘레의 차이로 인해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끝단부로 향할수록 뾰족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브러시 카드(140)의 삽입홀(141)에 삽입이 용이하게 되며, 삽입된 후에는 단턱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엔드커버(110)의 상면에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쵸크코일(170)이 장착되게 되는데, 상기 쵸크코일(170)은 고정부재(18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80)는 엔드커버(110)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탄성체(181)와 상기 탄성체(181)의 상단에 탄성체(181)보다 큰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된 걸림돌기(18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걸림돌기(182)의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이 된다.
이에, 한 쌍의 고정부재(180)가 서로 걸림돌기(182)의 경사면이 마주보도록 하여 일정간격 이격되게 엔드커버(11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180) 사이에 쵸크코일(170)이 삽입장착되는 것으로, 한 쌍의 고정부재(180)는 쵸크코일(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더 형성됨으로써 쵸크코일(170)은 더욱 견고하게 결속되는 것이다.
쵸크코일(170)이 전자파를 차단하는 원리는 널리 공지된 관용의 기술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엔드커버(110)의 가이드홀(112)에는 브러시 홀더(130)가 장착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홀(112)의 양 측면에는 상부로 복수의 결합돌기(113)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13)에 삽입되도록 일측면에 상하로 길게 결합홈(135)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134)가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34)의 타측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결합홈(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135)에 대응하도록 브러시 홀더(13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도 결합돌기(1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2실시에 따른 실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2실시에 따른 평면 개요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에 따른 엔드커버 조립체(100)는 중심부에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의 엔드커버(110)와, 상기 엔드커버(110)의 상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홀(112)과, 상기 가이드홀(11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브러시(120)와, 터미널(161)이 장착되는 콘덴서 조립부(16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브러시(120) 간에는 엔드커버(110)와 후술할 프론트커버(200)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발산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냉각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4는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2실시에 따른 브러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커버 조립체의 제2실시에 따른 브러시(120)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 홀더(13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브러시 홀더(130)에는 브러시 홀더(130)로부터 브러시(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브러시 홀더(130)의 개구부 측에 장착되는 브러시 홀더 캡(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 홀더(130)의 길이방향의 외측면에는 리브(12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돌출형성된 리브(121)는 가이드홀(11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리브(121)로 인해 진동흡수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브러시 홀더(130)의 형상 및 브러시 홀더 캡(140)과의 체결관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15는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프론트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커버(21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고정자(220)가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있되, 본 발명에서 고정자(200)는 4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회전자에 코일이 권선된 공정도, 도 17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회전자의 코일이 권선 모식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코어(321)의 티스(322)와 정류자(325)의 세그먼트는 각각 17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블로워모터 회전자의 코일 권선방법은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세크먼트외 티스(313)를 지칭할 때, 정류자(325)와 코어(321)의 표현은 생략하도록 한다.
1번 세그먼트에서 시작하여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11번 티스와 1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12번 티스와 15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9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1단계;
9번 세그먼트에서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2번 티스와 3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3번 티스와 6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17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2단계;
17번 세그먼트에서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11번 티스와 14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8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하는 3단계;
8번 세그먼트에서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1번 티스와 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2번 티스와 5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16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4단계;
16번 세그먼트에서 13번 티스와 1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10번 티스와 13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7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5단계;
7번 세그먼트에서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17번 티스와 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1번 티스와 4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15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6단계;
15번 세그먼트에서 12번 티스와 13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9번 티스와 12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6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7단계;
6번 세그먼트에서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17번 티스와 3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14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8단계;
14번 세그먼트에서 11번 티스와 1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8번 티스와 11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5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9단계;
5번 세그먼트에서 2번 티스와 3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15번 티스와 1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16번 티스와 2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13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10단계;
13번 세그먼트에서 10번 티스와 1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6번 티스와 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7번 티스와 10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4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11단계;
4번 세그먼트에서 1번 티스와 2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14번 티스와 1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15번 티스와 1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12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12단계;
12번 세그먼트에서 9번 티스와 10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5번 티스와 6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6번 티스와 9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3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13단계;
3번 세그먼트에서 17번 티스와 1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13번 티스와 1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14번 티스와 17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11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14단계;
11번 세그먼트에서 8번 티스와 9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4번 티스와 5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5번 티스와 8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2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15단계;
2번 세그먼트에서 16번 티스와 17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12번 티스와 13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13번 티스와 16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10번 세그먼트에 걸리도록 하는 16단계;
10번 세그먼트에서 7번 티스와 8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입된 후 3번 티스와 4번 티스 사이의 슬롯으로 인출되어 4번 티스와 7번 티스에 시계방향으로 1회 감긴 다음 1번 세그먼트에서 결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7단계;의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1단계의 작업으로 돌아가 17단계의 권선작업을 반복하도록 한다.
이에, 상술한 블로워모터의 조립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18은 본 발명 블로워모터의 조립공정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로워모터에 관한 것으로, 볼로워모터는 아마츄어(300)와 엔드커버(110)가 포함된 엔드커버 조립체(100) 및 프론트커버(210)가 포함된 프론트커버 조립체(200)로 이루어진 모터(M)를 조립하는 1단계; 상기 1단계 공정에 의해 조립된 모터(M)에 팬(430)이 포함된 모터팬(400)을 조립하는 2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조립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2단계 공정은 1단계 공정에 의해 조립된 모터(M)의 전·후단에 절연체의 슬리브(440)를 조립하는 2-1단계;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100)에 플랜지(410)와 플랜지커버(420)를 조립하는 2-2단계; 상기 프론트커버 조립체(200)에 팬(430)을 조립하는 2-3단계;공정을 포함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3단계 공정 후에는 베어링을 장착하는 2-4단계 공정이 추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동 흡수 및 냉각효율을 향상된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엔드커버 조립체
110. 엔드커버 111. 냉각홀 112. 가이드홀
113. 결합돌기
120. 브러시
130. 브러시 홀더 131. 삽입돌기 132. 전면홀
133. 결합돌기 134. 연결부재 135. 결합홈
136. 리브
140. 브러시 홀더 캡 141. 삽입홀
150. 스프링
160. 콘덴서 조립부
170. 쵸크코일
180. 고정부재 181. 탄성체 182. 걸림돌기
200. 프론트커버 조립체
210. 프론트커버
220. 고정자
300. 아마츄어
310. 회전축
320. 회전자 321. 코어
322. 티스 323. 슬롯 324. 코일
325. 정류자
400. 블로워모터
410. 플랜지
420. 플랜지커버
430. 팬
440. 슬리브
M. 모터

Claims (3)

  1. 엔드커버 조립체(100)와,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100)와 체결되는 프론트커버 조립체(200)가 서로 체결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커버 조립체(100)와 프론트커버 조립체(200)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아마츄어(300)가 삽입되되, 상기 아마츄어(300)의 회전축(310)은 엔드커버(110) 또는 프론트커버(2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커버(210)와 엔드커버(110)가 내설되는 중공체 형상의 팬(430)이 장착되어 프론트커버(210)와 엔드커버(110)의 내부에 아마츄어(3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 특징인 블로워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300)는 회전축(310)과 회전자(320)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회전자(320)는 상기 회전축(310)이 중심부에 삽설되는 코어(321)와, 상기 코어(321)에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티스(322)와, 상기 티스(322) 간에 형성된 공간인 슬롯(323)과, 상기 회전축(310) 상에 코어(32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정류자(325) 및 상기 티스(322)와 정류자(325) 간에 감겨 있는 코일(324)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블로워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커버(120)의 외측면에는 플랜지(410)가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410)의 외측면에는 플랜지커버(420)가 체결되되, 상기 프론트커버(120)와 엔드커버(11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중공체 형상의 팬(430)이 플랜지(410)에 체결되는 것이 특징인 블로워모터.
KR1020160104535A 2016-08-17 2016-08-17 블로워모터 KR10192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35A KR101920477B1 (ko) 2016-08-17 2016-08-17 블로워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35A KR101920477B1 (ko) 2016-08-17 2016-08-17 블로워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50A true KR20180020050A (ko) 2018-02-27
KR101920477B1 KR101920477B1 (ko) 2018-11-20

Family

ID=6139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35A KR101920477B1 (ko) 2016-08-17 2016-08-17 블로워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57B1 (ko) * 2018-04-12 2019-07-25 뉴모텍(주) 듀얼 팬 모터
KR20200038055A (ko) * 2018-10-02 2020-04-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663B2 (ja) * 1995-12-27 2001-01-22 日新電機株式会社 電子除湿器
JP2013051788A (ja) * 2011-08-30 2013-03-14 Asmo Co Ltd 回転電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57B1 (ko) * 2018-04-12 2019-07-25 뉴모텍(주) 듀얼 팬 모터
WO2019198915A1 (en) * 2018-04-12 2019-10-17 New Motech Co., Ltd. Motor for dual fans with one shaft
US11371516B2 (en) 2018-04-12 2022-06-28 New Motech Co., Ltd. Motor for dual fans with one shaft
KR20200038055A (ko) * 2018-10-02 2020-04-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477B1 (ko)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7315B2 (en) Automotive alternator having cooling fan coupled to rotor shaft
JP5683098B2 (ja) 電気モータ
US11133723B2 (en) Electric motor and radiator fan
US3444402A (en) Small electric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JPH0753402Y2 (ja) ブラシ装置
KR20160094328A (ko) 전기 모터
JP2017189093A (ja) ステータ、これを備えるモータ、及びこれを製作する方法
KR20150009891A (ko) 모터
JP2005246063A (ja) 洗濯機等のための電動機駆動ポンプ
KR101920477B1 (ko) 블로워모터
JP2694949B2 (ja) 永久磁石直流モータ
JP6353439B2 (ja) 電磁クラッチ
CN110679066A (zh) 带有热配合轴承的旋转电机
WO2017170297A1 (ja) モータ
KR101908574B1 (ko) 블로워모터의 브러시 구조
US20120216764A1 (en) Engine cooling system and motor therefor
KR101908559B1 (ko)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KR101908550B1 (ko) 블로워모터 조립방법
KR101939695B1 (ko) 방열이 용이한 dc모터 구조
KR101908555B1 (ko) 방열이 용이한 dc모터 조립방법
WO2019119803A1 (zh) 风机组件及家用电器
KR101848084B1 (ko) 블로워모터의 엔드커버 조립체
KR20110008749A (ko) 분할 스큐 코어 구조의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bldc 모터 및 배터리 쿨링장치
KR20180020059A (ko) 블로워모터의 브러시 구조
KR100901305B1 (ko) 직류 모터용 회전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