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099B1 -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 Google Patents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099B1
KR100430099B1 KR10-1999-0006764A KR19990006764A KR100430099B1 KR 100430099 B1 KR100430099 B1 KR 100430099B1 KR 19990006764 A KR19990006764 A KR 19990006764A KR 100430099 B1 KR100430099 B1 KR 10043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ied
signal
control
clock signa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298A (ko
Inventor
김진상
여주천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099B1/ko
Priority to US09/517,267 priority patent/US6339631B1/en
Publication of KR2000005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2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semiconductor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1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capacitors as main elements of the stages
    • G11C19/182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capacitors as main elements of the stages in combination with semiconductor elements, e.g. bipolar transistors, diodes
    • G11C19/184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capacitors as main elements of the stages in combination with semiconductor elements, e.g. bipolar transistors, diodes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e.g. MOS-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Shift Register Typ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열(Pixel Row)을 구동하는 내장형 구동회로에서 액정셀을 구동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의 스테이지는 제1 제어단자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클럭신호를 로우라인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로우라인을 충전시킴과 아울러 제2 제어단자로부터의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 상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출력회로부와;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스타트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1 제어단자에 접속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고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2 제어단자에 접속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충/방전시키는 입력회로부와; 상기 제1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2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2 제어신호가 방전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출력전극에 접속된 입력전극 및 상기 저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충/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구비하여 필요한 클럭공급라인 수가 줄어들게 되고 레벨쉬프터의 수가 감소되는 등 외부제어회로가 단순화된다.

Description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Shift Register Circuit}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장치(Active Matrix Display Device)용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열(Pixel Row)을 구동하는 내장형 구동회로에서 액정셀을 구동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Television) 및 컴퓨터(Computer)의 표시장치로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들이 데이타 라인들과 셀렉트 라인들과의 교차부들에 각각 배열되어진 액정 매트릭스를 구비한다. 이들 셀렉트 라인들은 액정 매트릭스의 수평라인(로우라인)들로서 쉬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선택된다.
도 1에는 통상의 쉬프트 레지스터가 도시되어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는 종속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각각의 출력라인(41내지 4n)을 경유하여 n개의 로우라인들(ROW1내지 ROWn)에 각각 접속되어진 n개의 스테이지들(21내지 2n)을 구비한다. 제1 스테이지(21)에는 스타트펄스(SP)가 입력되고 제2 내지 제n 스테이지들(22내지 2n)은 이전 단의 출력신호(g1내지 gn-1)와 3개의 클럭신호(C1 내지 C3) 중 두 개의 클럭신호에 의해 화소열에 접속된 로우라인들(ROWi)을 선택하게 된다.
각 스테이지들(21내지 2n)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라인(4i)에 하이논리의 전압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5 NMOS 트랜지스터(T5)와, 출력라인(4i)에 로우논리의 전압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6 NMOS 트랜지스터(T6)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3 클럭신호(C3)와 스타트 펄스로서 이전 단의 출력신호(gn-1)가 동시에 공급된다. 이 때, 제3 NMOS 트랜지스터(T3)와 제4 NMOS 트랜지스터(T4)는 턴-온(Turn-on)되지만 제4 NMOS 트랜지스터(T4)의 W/L(단, W는 채널폭이며 L은 채널길이)이 제3 NMOS 트랜지스터(T3)보다 크기 때문에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이 기저전압(VSS)으로 으로 떨어진다. 기존 회로는 이처럼 레이쇼드 로직(Ratioed logic)으로 구성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이 충전되므로 제5 NMOS 트랜지스터(T5)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 때, 제1 클럭신호(C1)는 로우논리를 유지하게 되므로 출력라인(4i)에는 로우논리의 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이 하이논리인 상태에서, 제1 클럭신호(C1)는 하이논리로 제5 NMOS 트랜지스터(T5)의 드레인에 공급된다. 이 때,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제1 클럭신호(C1)의 입력라인과 제1 노드(P1) 사이에 접속된 제5 NMOS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와 드레인간 캐패시턴스(Cgd)에 의해 커플링(Coupling)되어 더욱 높은 레벨로 충전된다. 이에 따라, 출력라인(4i)에는 제1 클럭신호(C1)의 하이논리 전압이 거의 손실없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제1 클럭신호(C1)가 로우논리로 변하게 되면 제5 NMOS 트랜지스터(T5)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출력라인(4i) 상의 전압(Vout)이 로우논리로 변하게 된다.
이전 단의 출력신호(gn-1)가 로우논리로 반전되어 제1 NMOS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공급되어 제1 NMOS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turn-off)시킨 후, 제3 클럭신호(C3)가 하이논리로서 제3 NMOS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제3 NMOS 트랜지스터(T3)를 턴-온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노드(P2)에는 공급전압(VCC)이 인가되므로 하이논리로 충전되어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이 제6 NMOS 트랜지스터(T6)와 제2 NMOS 트랜지스터(T2)를 동시에 턴-온시켜서 출력라인(4i) 상에 충전된 전압과 제1 노드(P1) 상의 전압을 기저전압(VSS)으로 떨어 뜨리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는 스타트펄스를 한 클럭(Clock)만큼 쉬프트시켜 출력라인(4i)을 충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는 3 개의 클럭신호가 필요하게 되며 스타트펄스신호까지 포함하여 외부에서 총 4개의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가 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클럭신호의 수가 줄어 들어 외부제어회로가 단순화되도록 한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쉬프트 레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상세 회로도.
도 3은 도 2에 스테이지의 입/출력신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쉬프트 레지스터의 입/출력신호 파형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상세 회로도.
도 7은 도 6에 스테이지의 입/출력신호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쉬프트 레지스터의 입/출력신호 파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61, 101 : 출력회로부 62, 102 : 입력회로부63, 103 : 방전회로부 T1∼T8 : NMOS 트랜지스터21∼2n, 121∼12n, 221∼22n, 12i, 22i : 스테이지41∼4n, 141∼14n, 241∼24n, 14i, 24i : 출력라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레지스터 회로의 스테이지는 제1 제어단자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클럭신호를 로우라인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로우라인을 충전시킴과 아울러 제2 제어단자로부터의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 상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출력회로부와;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스타트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1 제어단자에 접속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고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2 제어단자에 접속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충/방전시키는 입력회로부와; 상기 제1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2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2 제어신호가 방전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출력전극에 접속된 입력전극 및 상기 저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충/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구비한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레지스터 회로의 스테이지는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클럭신호를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함과 아울러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 상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출력회로부와, 상기 스타트신호 및 제2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입력회로부를 포함하는 기수번째 스테이지들과; 제3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함과 아울러 제4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 상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출력회로부와, 상기 스타트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및 제4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입력회로부를 포함하는 우수번째 스테이지들을 구비한다.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레지스터 회로의 스테이지는 제1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상기 로우라인에 접속된 출력전극 및 제1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을 가지는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저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입력전극, 상기 로우라인에 접속되는 출력전극 및 제2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을 가지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출력회로부와; 제2 클럭신호와 상기 스타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입력회로부와; 상기 제1 클럭신호가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되는 기간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회로부를 구비한다.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다음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쉬프트 레지스터는 m×n 화소어래이(Pixel Array)를 구동하기 위하여 스타트펄스 입력라인에 종속 접속되어진 n개의 스테이지들(121내지 12n)을 구비한다. 이들 n개의 스테이지들(121내지 12n)의 출력라인들(141내지 14n)은 화소어래이에 포함된 n개의 로우라인들(ROW1 내지 ROWn)에 각각 접속된다. 제1 스테이지(121)에는 스타트펄스(SP)가 공급되고 제1 내지 제n-1 스테이지들(121내지 12n-1)의 출력신호(g1내지 gn-1)는 각각 후단의 스테이지들에 스타트펄스로서 공급된다.
각 스테이지들(121내지 12n)은 위상반전된 제1 및 제2 클럭신호(C1,C2)가 각각 공급되는 제1 클럭단자(CLKA)와 제2 클럭단자(CLKB)를 구비한다. 기수번째 스테이지들(121,123,...,12n-1)의 제1 클럭단자(CLKA)에는 제1 클럭신호(C1)가 공급되며, 제2 클럭단자(CLKB)에는 제2 클럭신호(C2)가 공급된다. 이와 반대로 우수번째 스테이지들(122,124,...,12n)의 제1 클럭단자(CLKA)에는 제2 클럭신호(C2)가 공급되며, 제2 클럭단자(CLKB)에는 제1 클럭신호(C1)가 공급된다.
스타트펄스(SP), 제1 및 제2 클럭신호(C1,C2)가 도 5와 같이 공급되면 출력라인들(141내지 14n)은 순차적으로 하이논리의 펄스신호가 공급되어 화소어래이를 라인별로 순차구동하게 된다.
이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의 입력신호들, 즉 스타트펄스(SP), 위상 반전되는 제1 및 제2 클럭신호(C1,C2), 공급전압(VCC) 및 기저전압(VSS)은 외부 제어회로로부터 공급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i(단, i는 2 이상의 자연수) 번째 스테이지(12i)에는 고전위 공급전압(VCC), 저전위 공급전압 또는 기저전압(VSS) 및 클럭신호들(CLKA,CLKB)을 생성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됨과 아울러 i 번째 로우라인(14i)에 접속되며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가 스타트신호로서 공급된다.이 스테이지(12i)는 제1 제어신호로서 공급되는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에 응답하여 제1 클럭신호(CLKA)를 상기 로우라인(14i)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로우라인(14i)을 충전시킴과 아울러 제2 제어신호로서 공급되는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14i) 상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출력회로부(61)와, 제2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을 충/방전시키는 입력회로부(62)와, 상기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과 상기 제1 클럭신호(CLKA)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을 충/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63)를 구비한다.출력회로부(61)는 제1 클럭단자(CLKA), 제1 노드(P1) 및 출력라인(14i)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5 NMOS 트랜지스터(T5)와, 기저전압(VSS)이 공급되고 제2 노드(P2)와 출력라인(14i)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6 NMOS 트랜지스터(T6)를 포함한다.입력회로부(62)는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가 공급되고 제2 클럭단자(CLKB)와 제1 노드(P1)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1 NMOS 트랜지스터(T1)와, 공급전압(VCC)이 공급되고 제2 클럭단자(CLKB)와 제2 노드(P2)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2 NMOS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방전회로부(63)는 기저전압(VSS)이 공급되고 제1 노드(P1)와 제2 노드(P2)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3 및 제4 NMOS 트랜지스터(T3,T4)를 포함한다.스타트펄스로서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와 제2 클럭단자(CLKB)에 공급되는 클럭신호(이하, 기수번째 스테이지로 가정하여 제2 클럭단자에 공급되는 클럭신호를 제2 클럭신호라 함)는 동시에 하이논리로 발생된다. 이 때, 제1 클럭단자(CLKA)에 공급되는 클럭신호(이하, 기수번째 스테이지로 가정하여 제1 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제1 클럭신호라 함)는 로우논리로 유지된다. 그러면 제2 클럭신호(C2)에 의해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가 턴-온된다. 제1 NMOS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므로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스타트펄스에 의해 하이논리로 충전되어 제4 및 제5 NMOS 트랜지스터(T4,T5)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 때, 제1 클럭신호(C1)는 로우논리를 유지하고 제2 NMOS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어 있으므로 제6 NMOS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되어 출력라인(14i)에는 로우논리의 전압이 공급되고 제3 NMOS 트랜지스터(T3)는 오프(off)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이 하이논리인 상태에서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와 제2 클럭신호(C2)가 로우논리로 반전되는 반면, 제1 클럭신호(C1)는 하이논리로 반전된다. 하이논리의 제1 클럭신호(C1)는 제5 NMOS 트랜지스터(T5)의 드레인과 제3 NMOS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에 공급되어 출력라인(14i)에는 하이논리의 전압이 공급되고 제3 NMOS 트랜지스터(T3)는 턴-온된다. 이 때,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제1 클럭단자(CLKA)와 제1 노드(P1) 사이에 접속된 제5 NMOS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와 드레인간 캐패시턴스(Cgd)에 의해 커플링(Coupling)되어 더욱 높은 레벨로 충전된다. 제4 NMOS 트랜지스터(T4)는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에 의해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3 NMOS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되면서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은 제3 및 제4 NMOS 트랜지스터(T3,T4)를 경유하여 기저전압(VSS)으로 방전된다. 이에 따라, 제6 NMOS 트랜지스터(T6)는 턴-오프되고, 출력라인(14i)에는 하이논리의 제1 클럭신호(C1)가 거의 손실없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제3 내지 제5 NMOS 트랜지스터(T3 내지 T5)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제6 NMOS 트랜지스터(T6)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 클럭신호(C2)가 다시 하이논리로 변하고 제1 클럭신호(C1)가 로우논리로 변하게 된다. 그러면 제2 클럭신호(C2)에 의해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는 턴-온되므로 로우논리의 스타트펄스에 의해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제1 NMOS 트랜지스터(T1)를 경유하여 방전되어 로우논리로 변하게 되고 공급전압(VCC)에 의해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은 하이논리로 변하게 된다.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이 로우논리로 변하게 됨에 따라 제4 및 제5 NMOS 트랜지스터(T4,T5)는 턴-오프된다. 그리고 로우논리의 제1 클럭신호(C1)는 제3 NMOS 트랜지스터(T3)를 턴-오프시키게 된다.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은 제3 및 제4 NMOS 트랜지스터(T3,T4)가 턴-오프되고 공급전압(VCC)이 공급되므로 하이논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에 의해 제6 NMOS 트랜지스터(T6)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출력라인(14i) 상의 전압(Vout)은 기저전압(VSS)으로 방전되어 로우논리로 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타트펄스 입력라인에 종속 접속되어지는 n개의 스테이지들(221내지 22n)을 구비한다. 이들 n개의 스테이지들(221내지 22n)의 출력라인들(241내지 24n)은 화소어래이에 포함된 n개의로우라인들(ROW1 내지 ROWn)에 각각 접속된다. 제1 스테이지(221)에는 스타트펄스(SP)가 공급되고 제1 내지 제n-1 스테이지들(221내지 22n-1)의 출력신호(g1내지 gn-1)는 각각 후단의 스테이지들에 스타트펄스로서 공급된다.
각 스테이지들(221내지 22n)은 순차적으로 위상지연되는 제1 내지 제3 클럭신호(C1 내지 C3) 중 두 개의 클럭신호가 각각 공급되는 제1 클럭단자(CLKA)와 제2 클럭단자(CLKB)를 구비한다. 3k+1(단, K는 0 이상의 정수) 번째 스테이지들(221,224,...)의 제1 클럭단자(CLKA)에는 제1 클럭신호(C1)가 공급되며, 제2 클럭단자(CLKB)에는 제3 클럭신호(C3)가 공급된다. 3k+2 번째 스테이지들(222,225,...)의 제1 클럭단자(CLKA)에는 제2 클럭신호(C2)가 공급되며, 제2 클럭단자(CLKB)에는 제1 클럭신호(C1)가 공급된다. 그리고 3k+3 번째 스테이지들(223,226,...)의 제1 클럭단자(CLKA)에는 제3 클럭신호(C3)가 공급되며, 제2 클럭단자(CLKB)에는 제2 클럭신호(C2)가 공급된다.
스테이지들(221내지 22n) 각각은 도 6과 같이 구성된다, 이들 스테이지들(221내지 22n)은 스타트펄스(SP), 제1 내지 제3 클럭신호(C1 내지 C3)가 도 9와 같이 공급되면 출력라인들(241내지 24n)에 입력 스타트펄스보다 한 클럭만큼 순차적으로 지연되는 하이논리의 펄스신호를 로우라인들(ROW1 내지 ROWn)에 공급하여 화소어래이를 라인별로 순차구동하게 된다.
도 9에 있어서, 노드 상의 전압(VP1,VP2)은 제1 스테이지(221) 내부의 제1 및 제2 노드(P1,P2)에서 나타난다.
3k+1번째 스테이지들(221,224,...)을 중심으로 각 스테이지들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타트펄스로서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가 하이논리로 공급되고 제2 클럭단자(CLKB)에 공급되는 제3 클럭신호(C3)는 스타트펄스에 동기되어 하이논리로 발생된다. 이 때, 제1 클럭단자(CLKA)에 공급되는 제1 클럭신호(C1)는 로우논리로 유지된다. 그러면 제3 클럭신호(C3)에 의해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가 턴-온된다. 제1 NMOS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므로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스타트펄스에 의해 하이논리로 충전되어 제4 및 제5 NMOS 트랜지스터(T4,T5)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 때, 제1 클럭신호(C1)는 로우논리를 유지하게 되므로 출력라인(14i)에는 로우논리의 전압이 공급되고 제3 NMOS 트랜지스터(T3)는 오프(off)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이 하이논리인 상태에서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와 제3 클럭신호(C3)가 로우논리로 반전되고 제1 클럭신호(C1)가 하이논리로 반전된다. 하이논리의 제1 클럭신호(C1)에 의해 출력라인(24i)에는 하이논리의 전압이 공급되고 제3 NMOS 트랜지스터(T3)는 턴-온된다. 이 때,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제5 NMOS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와 드레인간 캐패시턴스(Cgd)에 의해 커플링(Coupling)되어 더욱 높은 레벨로 충전된다. 제4 NMOS 트랜지스터(T4)는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에 의해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3 NMOS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되면서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은 제3 및 제4 NMOS 트랜지스터(T3,T4)를 경유하여 기저전압(VSS)으로 방전된다. 그리고 로우논리의 제3 클럭신호(C3)에 의해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는 턴-오프된다.
제3 내지 제5 NMOS 트랜지스터(T3 내지 T5)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 클럭신호(C1)가 다시 로우논리로 변하고 제3 클럭신호(C3)는 로우논리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로우논리의 제3 클럭신호(C3)에 의해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중간레벨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은 로우논리를 유지하게 된다. 출력라인(24i) 상의 출력전압(Vout)은 제5 NMOS 트랜지스터(T5)가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제1 클럭단자(CLKA) 쪽으로 방전되어 로우논리로 변하게 된다.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3 클럭신호(C3)가 하이논리로 반전되고 제1 클럭신호(C1)가 로우논리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3 클럭신호(C3)에 의해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가 턴-온되므로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제1 NMOS 트랜지스터(T1)를 경유하여 방전되어 로우논리로 변하게 되며, 제2 노드(P2) 상의 전압은 공급전압(VCC)에 의해 하이논리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쉬프트 레지스터를 3상 클럭으로 구동하게 되면 클럭신호간의 간격이 커지게 되므로 클럭 딜레이나 오버랩(overlap)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출력라인(24i) 상의 전압은 제5 NMOS 트랜지스터(T5)를 통하여 충/방전되므로 제6 NMOS 트랜지스터(T6)의 채널폭(channel width)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쉬프트 레지스터에서 스테이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의 i 번째 스테이지(12i,22i)에는 저전위 공급전압 또는 기저전압(VSS) 및 클럭신호들(CLKA,CLKB)을 생성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됨과 아울러 i 번째 로우라인(14i,24i)에 접속되며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가 스타트신호로서 공급된다.이 스테이지(12i, 22i)는 제1 제어신호로서 공급되는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에 응답하여 제1 클럭신호(CLKA)를 상기 로우라인(14i,24i)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로우라인(14i)을 충전시킴과 아울러 제2 제어신호로서 공급되는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14i,24i) 상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출력회로부(101)와, 제2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을 충/방전시키는 입력회로부(102)와, 상기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과 상기 제1 클럭신호(CLKA)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을 충/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103)를 구비한다.출력회로부(101)는 제1 클럭단자(CLKA), 제1 노드(P1) 및 출력라인(14i, 24i)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7 NMOS 트랜지스터(T7)와, 기저전압(VSS)이 공급되고 제2 노드(P2)와 출력라인(14i)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8 NMOS 트랜지스터(T8)를 포함한다.입력회로부(102)는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가 공급되고 제2 클럭단자(CLKB)와 제1 노드(P1)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 T2)와, 제2 클럭단자(CLKB)와 제2 노드(P2)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3 및 제4 NMOS 트랜지스터(T3,T4)를 포함한다.방전회로부(103)는 제1 클럭단자(CLKA)와 제2 노드(P2)에 접속된 제5 NMOS 트랜지스터(T5)와, 기저전압(VSS)이 공급되고 제1 노드(P1)와 제5 NMOS 트랜지스터(T5) 사이에 접속된 제6 NMOS 트랜지스터(T6)를 포함한다.도 6에 도시된 스테이지와 대비할 때, 도 10에 도시된 스테이지(12i)는 제1 노드(P1)를 충/방전시키는 트랜지스터와 제2 노드(P2)를 충전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를 각각 듀얼 게이트형 트랜지터들로 대신하여 트랜지스터의 낮은 문턱전압(Vth)에 의한 누설전류량을 최소화시켜 회로의 동작영역을 넓히게 된다.
스테이지의 동작을 도 7의 파형도를 결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스타트펄스로서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와 제2 클럭단자(CLKB)에 공급되는 클럭신호(이하, 기수번째 스테이지로 가정하여 제2 클럭단자에 공급되는 클럭신호를 제2 클럭신호라 함)는 동시에 하이논리로 발생된다. 이 때, 제1 클럭단자(CLKA)에 공급되는 클럭신호(이하, 기수번째 스테이지로 가정하여 제1 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제1 클럭신호라 함)는 로우논리로 유지된다. 그러면 제2 클럭신호(C2)에 의해 제1 내지 제4 NMOS 트랜지스터(T1 내지 T4)가 턴-온된다.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가 턴-온되므로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스타트펄스에 의해 하이논리로 충전되어 제6 및 제7 NMOS 트랜지스터(T6,T7)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 때, 제1 클럭신호(C1)는 로우논리를 유지하게 되므로 출력라인(14i)에는 로우논리의 전압이 공급되고 제5 NMOS 트랜지스터(T5)는 오프(off)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이 하이논리인 상태에서 이전 단의 출력신호(gi-1)와 제2 클럭신호(C2)가 로우논리로 반전되고 제1 클럭신호(C1)가 하이논리로 반전된다. 하이논리의 제1 클럭신호(C1)는 제5 NMOS 트랜지스터(T5)의 드레인과 제3 NMOS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에 공급되어 출력라인(14i)에는 하이논리의 전압이 공급되고 제5 NMOS 트랜지스터(T5)는 턴-온된다. 이 때,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제7 NMOS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와 드레인간 캐패시턴스(Cgd)에 의해 커플링(Coupling)되어 더욱 높은 레벨로 충전된다. 제6 NMOS 트랜지스터(T6)는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에 의해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5 NMOS 트랜지스터(T5)가 턴-온되면서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은 제5 및 제6 NMOS 트랜지스터(T5,T6)를 경유하여 기저전압(VSS)으로 방전된다. 이에 따라, 제8 NMOS 트랜지스터(T8)는 턴-오프되고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 레벨은 더욱 높은 레벨로 충전되어 출력라인(14i)에는 하이논리의 제1 클럭신호(C1)가 거의 손실없이 공급된다.
제5 내지 제7 NMOS 트랜지스터(T5 내지 T7)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제8 NMOS 트랜지스터(T8)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 클럭신호(C2)가 다시 하이논리로 변하고 제1 클럭신호(C1)가 로우논리로 변하게 된다. 그러면 제2 클럭신호(C2)에 의해 제1 내지 제4 NMOS 트랜지스터(T1 내지 T4)는 턴-온되므로 로우논리의 스타트펄스에 의해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은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T1,T2)를 경유하여 방전되면서 로우논리로 변하게 된다. 제1 노드(P1) 상의 전압(VP1)이 로우논리로 변하게 됨에 따라 제6 및 제7 NMOS 트랜지스터(T6,T7)는 턴-오프된다. 그리고 로우논리의 제1 클럭신호(C1)는 제3 NMOS 트랜지스터(T3)를 턴-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로우논리의 제1 클럭신호(C1)에 의해 제5 NMOS 트랜지스터(T5)는 턴-오프되므로 하이논리의 제2 클럭신호(C2)에 의해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은 하이논리로 변하게 된다. 이 제2 노드(P2) 상의 전압(VP2)에 의해 제8 NMOS 트랜지스터(T8)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출력라인(14i) 상의 전압은 기저전압(VSS)으로 방전되어 로우논리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테이지(12i)는 도 8과 같은 3상 클럭신호에 의해서도 동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는 2상 클럭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필요한 클럭공급라인 수가 줄어들게 되고 레벨쉬프터의 수가 감소되는 등 외부제어회로가 단순화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는 3상 클럭신호를 공급하여 동작시키면 클럭신호간의 간격이 커지게 되므로 클럭의 딜레이나 오버랩에도 안정화된 동작으로 화소어래이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18)

  1. 고전위 공급전압, 저전위 공급전압 및 클럭신호들을 생성하는 수단에 접속됨과 아울러 로우라인들에 접속되어 이전 단의 출력신호가 스타트신호로서 공급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로 구성되어 상기 로우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제1 제어단자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클럭신호를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로우라인을 충전시킴과 아울러 제2 제어단자로부터의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 상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출력회로부와;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스타트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1 제어단자에 접속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고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2 제어단자에 접속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충/방전시키는 입력회로부와;
    상기 제1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2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2 제어신호가 방전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출력전극에 접속된 입력전극 및 상기 저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충/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럭신호는 서로 상반된 위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클럭신호 중 어느 하나에 동기되어 상기스테이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제1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상기 로우라인에 접속되는 출력전극 및 상기 제1 제어단자에 접속되는 제어전극을 가지는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저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입력전극, 상기 로우라인에 접속되는 출력전극 및 상기 제2 제어단자에 접속되는 제어전극을 가지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제1 클럭신호가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되는 기간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7. 삭제
  8. 고전위 공급전압, 저전위 공급전압 및 클럭신호들을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에 접속됨과 아울러 로우라인들에 접속되어 이전 단의 출력신호가 스타트신호로서 공급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로 구성되어 상기 로우라인들을 충방전시키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클럭신호를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함과 아울러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 상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출력회로부와, 상기 스타트신호 및 제2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입력회로부를 포함하는 기수번째 스테이지들과;
    제3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함과 아울러 제4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 상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출력회로부와, 상기 스타트신호 및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및 제4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입력회로부를 포함하는 우수번째 스테이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에는 서로 상반되는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1 및 제2 클럭신호가 상기 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 공급되며;
    상기 제1 클럭신호는 상기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출력회로부 입력단과 상기 우수번째 스테이지의 입력회로부 입력단에 공통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 클럭신호는 상기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입력회로부 입력단과 상기 우수번째 스테이지의 출력회로부 입력단에 공통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번째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제1 클럭신호가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되는 기간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회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우수번째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되는 기간에 상기 제4 제어신호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회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1. 고전위 공급전압, 저전위 공급전압 및 클럭신호들을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에 접속됨과 아울러 각각 하나의 로우라인에 접속되어 이전 단의 출력신호가 스타트신호로서 공급되어 상기 로우라인을 충방전시키는 다수 개의 스테이지들로 이루어진 쉬프트 레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제1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상기 로우라인에 접속된 출력전극 및 제1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을 가지는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저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입력전극, 상기 로우라인에 접속되는 출력전극 및 제2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을 가지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출력회로부와;
    제2 클럭신호와 상기 스타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입력회로부와;
    상기 제1 클럭신호가 상기 로우라인에 공급되는 기간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에는 서로 상반되는 위상을 가지는 2상 클럭신호가 상기 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 공급되며;
    상기 2상 클럭신호들 각각은 기수번째와 우수번째로 나뉘어 상기 스테이지의 입력 회로부와 출력회로부의 입력단에 교번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에는 순차적으로 위상지연되는 3상 클럭신호가 상기 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 공급되며;
    상기 3상 클럭신호 중 위상차를 가지는 두 개의 클럭신호들이 상기 스테이지 각각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신호는 상기 제2 클럭신호보다 적어도 한 클럭 이상 지연되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회로부는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스타트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에 접속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고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에 접속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회로부는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스타트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2 클럭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전극에 접속된 입력전극 및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에 접속된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통으로 공급되는 제어전극 및 입력전극과, 상기 제2 클럭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출력전극에 접속된 입력전극 및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제어전극에 접속된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4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제1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2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전극 및 상기 제2 제어신호가 방전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어전극,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전극에 접속된 입력전극 및 상기 저전위 공급전압이 공급되는 출력전극을 가지는 제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클럭신호가 하이레벨을 유지하는 기간에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에 상기 제1 클럭신호를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클럭신호가 로우레벨을 유지하는 기간에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우라인 상의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신호의 입력라인 쪽으로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KR10-1999-0006764A 1999-03-02 1999-03-02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KR100430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764A KR100430099B1 (ko) 1999-03-02 1999-03-02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US09/517,267 US6339631B1 (en) 1999-03-02 2000-03-02 Shift regi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764A KR100430099B1 (ko) 1999-03-02 1999-03-02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298A KR20000059298A (ko) 2000-10-05
KR100430099B1 true KR100430099B1 (ko) 2004-05-03

Family

ID=1957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764A KR100430099B1 (ko) 1999-03-02 1999-03-02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39631B1 (ko)
KR (1) KR100430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404B1 (ko) * 2002-07-02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303280B1 (ko) * 2005-12-28 2013-09-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장치, 표시장치 및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1208A (ja) * 1994-08-26 1996-03-08 Fuji Electric Co Ltd 水車,ポンプ水車の振動伝播低減装置
KR100698239B1 (ko) * 2000-08-30 2007-03-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JP2002133890A (ja) * 2000-10-24 2002-05-10 Alps Electric Co Ltd シフトレジスタ
KR100752602B1 (ko) * 2001-02-13 200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4761643B2 (ja) * 2001-04-13 2011-08-31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シフトレジスタ、駆動回路、電極基板及び平面表示装置
JP4439761B2 (ja) * 2001-05-11 2010-03-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
US7154984B2 (en) * 2002-06-14 2006-1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IFO-register and digital signal processor comprising a FIFO-register
TW564429B (en) * 2002-08-08 2003-12-01 Au Optronics Corp Shift register circuit
GB2397710A (en) * 2003-01-25 2004-07-28 Sharp Kk A shift register for an LCD driver, comprising reset-dominant RS flip-flops
KR100917009B1 (ko) * 2003-02-10 200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지스터의 구동 방법과 쉬프트 레지스터의 구동 방법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
KR20040097503A (ko) * 2003-05-12 2004-11-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CN100359607C (zh) * 2003-06-04 2008-01-0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电路
JP4522057B2 (ja) * 2003-06-30 2010-08-11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989340B1 (ko) * 2003-07-18 2010-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012972B1 (ko) * 2003-12-30 2011-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장치
KR20050079718A (ko) * 2004-02-06 2005-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시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7289594B2 (en) * 2004-03-31 2007-10-30 Lg.Philips Lcd Co., Ltd. Shift registr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I233125B (en) * 2004-06-24 2005-05-2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Shift register and a shift register
JP4899327B2 (ja) * 2005-03-15 2012-03-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シフトレジスタ回路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並びに駆動制御装置
JP4993544B2 (ja) * 2005-03-30 2012-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シフトレジスタ回路
US7203264B2 (en) * 2005-06-28 2007-04-10 Wintek Corporation High-stability shift circuit using 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s
KR101137847B1 (ko) * 2005-06-30 2012-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667075B1 (ko) * 2005-07-22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646992B1 (ko) * 2005-09-13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제어선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0658269B1 (ko) 2005-09-20 2006-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0729099B1 (ko) * 2005-09-20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0658284B1 (ko) * 2005-09-30 2006-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US9153341B2 (en) 2005-10-18 2015-10-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hift register,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762690B1 (ko) * 2005-11-07 2007-10-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US7612770B2 (en) * 2005-12-15 2009-11-03 Tpo Displays Corp. Systems for displaying images
US7430268B2 (en) * 2006-01-05 2008-09-30 Au Optronics Corporation Dynamic shift register with built-in disable circuit
JP4993917B2 (ja) * 2006-02-07 2012-08-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KR100776510B1 (ko) * 2006-04-18 2007-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주사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TWI338877B (en) * 2006-05-04 2011-03-11 Chi Mei El Corp A shift register circuit and a pull high element thereof
US7738622B2 (en) * 2006-06-23 2010-06-15 Lg Display Co., Ltd. Shift register
TWI427602B (zh) * 2006-10-17 2014-02-21 Semiconductor Energy Lab 脈衝輸出電路、移位暫存器及顯示裝置
TWI351006B (en) * 2007-02-02 2011-10-21 Ind Tech Res Inst Level shifter for gate driver
KR101327858B1 (ko) * 2007-03-30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JP4968681B2 (ja) * 2007-07-17 2012-07-04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半導体回路と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並びにその駆動方法
CN101354924B (zh) * 2007-07-23 2013-03-13 奇晶光电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电路与其上拉单元
WO2009034750A1 (ja) * 2007-09-12 2009-03-19 Sharp Kabushiki Kaisha シフトレジスタ
WO2009034749A1 (ja) * 2007-09-12 2009-03-19 Sharp Kabushiki Kaisha シフトレジスタ
TWI380274B (en) * 2008-02-21 2012-12-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Shift regis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lcd)
TWI379310B (en) * 2008-08-27 2012-12-11 Au Optronics Corp Shift register
TWI397883B (zh) * 2008-09-19 2013-06-01 Hannstar Display Corp 積體閘極驅動電路及其驅動方法
TW201015510A (en) * 2008-10-06 2010-04-16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Shift register circuit and display module
TWI437823B (zh) * 2010-12-16 2014-05-11 Au Optronics Corp 移位暫存器電路
KR101939233B1 (ko) * 2012-05-11 2019-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2867475A (zh) * 2012-09-13 2013-0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栅极驱动电路及显示装置
CN103280200B (zh) * 2013-04-22 2015-0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栅极驱动电路与显示器件
US20160240159A1 (en) * 2013-10-08 2016-08-18 Sharp Kabushiki Kaisha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CN103700355B (zh) 2013-12-20 2016-05-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位寄存器单元、栅极驱动电路及显示器件
CN104751769A (zh) 2013-12-25 2015-07-0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扫描驱动器及使用该扫描驱动器的有机发光显示器
TWI654613B (zh) * 2014-02-21 2019-03-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及電子裝置
CN105895046B (zh) * 2016-06-22 2018-1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栅极驱动电路以及显示设备
CN108564908B (zh) * 2018-01-31 2021-05-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位寄存器及其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显示装置
CN117136409A (zh) * 2022-03-23 2023-1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及其驱动方法、扫描驱动电路、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4691A (ko) * 1983-12-16 1985-07-25 에이취. 이보트슨 시프터 레지스터
US4672453A (en) * 1984-07-10 1987-06-09 Nec Corporation Contact type image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4720815A (en) * 1985-05-20 1988-01-19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form of shift register with two-phase clock signal supply
WO1993003685A1 (en) * 1991-08-19 1993-03-04 Mark Allen Eberbach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2082A (en) * 1991-02-28 1993-06-2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A. Shift register useful as a select line scann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5136622A (en) * 1991-02-28 1992-08-04 Thomson, S.A. Shift register, particularly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US5434899A (en) * 1994-08-12 1995-07-1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A. Phase clocked shift register with cross connecting between stages
FR2743662B1 (fr) * 1996-01-11 1998-02-13 Thomson Lcd Perfectionnement aux registres a decalage utilisant des transistors mis de meme polari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4691A (ko) * 1983-12-16 1985-07-25 에이취. 이보트슨 시프터 레지스터
US4672453A (en) * 1984-07-10 1987-06-09 Nec Corporation Contact type image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4720815A (en) * 1985-05-20 1988-01-19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form of shift register with two-phase clock signal supply
WO1993003685A1 (en) * 1991-08-19 1993-03-04 Mark Allen Eberbach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404B1 (ko) * 2002-07-02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303280B1 (ko) * 2005-12-28 2013-09-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장치, 표시장치 및 전자장치
US8643400B2 (en) 2005-12-28 2014-02-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177667B2 (en) 2005-12-28 2015-11-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396676B2 (en) 2005-12-28 2016-07-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984640B2 (en) 2005-12-28 2018-05-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39631B1 (en) 2002-01-15
KR20000059298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099B1 (ko)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KR100698239B1 (ko)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US7639217B2 (en) Scan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438525B1 (ko)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KR100281336B1 (ko)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US8493312B2 (en) Shift register
JP4181710B2 (ja) シフトレジスタ
US6300928B1 (en) Scanning circuit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20230306891A1 (en) Shift Register, Gate Driving Circuit,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KR100838653B1 (ko)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100857479B1 (ko)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137880B1 (ko) 쉬프트 레지스터 및 그 구동 방법
EP1847983B1 (en) Scan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US7443944B2 (en) Shift register, image display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and signal generation circuit
WO2018188285A1 (zh) 移位寄存器单元、栅极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
US11769457B2 (en) Shift register unit set,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KR100658284B1 (ko)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US20150262703A1 (en) Shift register, display device provided therewith, and shift-register driving method
KR20080031114A (ko)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08217902A (ja) シフトレジスタ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CN112740311A (zh) 移位寄存器及其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显示装置
US6236256B1 (en) Voltage level converters
KR20130110306A (ko) 쉬프트 레지스터
GB2360650A (en) A shift register stage for driving an LCD pixel row, with rapid row discharge
KR100776500B1 (ko)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