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304B1 - 공조용덕트 - Google Patents

공조용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304B1
KR100314304B1 KR1019950058207A KR19950058207A KR100314304B1 KR 100314304 B1 KR100314304 B1 KR 100314304B1 KR 1019950058207 A KR1019950058207 A KR 1019950058207A KR 19950058207 A KR19950058207 A KR 19950058207A KR 100314304 B1 KR100314304 B1 KR 10031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pins
discharge
c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630A (ko
Inventor
요시유키 곤도
쓰요시 사쿄
요시미 이와세
사다히사 도미타
가즈노리 고마쓰
가즈히사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치 류이치
Publication of KR97003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충분한 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는 공조용 덕트를 제공한다. 화살표(12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내에 회동가능한 가동분출구(12)의 공기의 방출부를 테이퍼면(21)에 형성하고, 이 테이퍼면(21)에 이어지는 본체(20)의 하방부분을, 공기의 방출을 불능으로 하는 벽면(27)에 형성하고, 본체(20)는 또한 핀(22)의 안내면이 덕트(10)의 연직방향 신장부(11)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는 형태, 예를 들면 직교하도록, 당해 핀(22)의 각각을 배열하는 동시에, 이들의 핀(22)중, 인접하는 핀(22)의 각각의 방출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연직방향 신장부(11)에 먼 쪽에 위치하는 핀의 단부가 연직방향 신장부(11)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단부보다 돌출하도록, 이들의 양단부의 사이에 단차(段差)(28)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공조용 덕트
본 발명은 유압쇼벨 등의 차량에 구비되는 운전실의 공조(空調)장치에 접속되는 공조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제11도는 종래의 운전장치에 접속되는 공조용 덕트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 제11도에 나타낸 종래기술은, 예를 들면 유압쇼벨의 운전실에 구비된다. 제11도에 나타낸 공조용 덕트(50)는 도시하지 않은 운전실을 공조하는 도시하지 않은 공조장치에 고정된다. 공조장치는 예를 들면 운전석의 후부하방에 배치되고, 덕트(50)의 도시하지 않은 수평방향 신장부의 말단부가 공조장치의 토출구에 고정되는 동시에 , 그 도시하지 않은 수평방향 신장부의 앞쪽이 운전실의 바닥에 따라서 연설된다. 그 도시하지 않은 수평방향 신장부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운전석의 전방위치에서 , 위쪽으로 향하여 절곡되어, 제11도에 나타낸 연직방향 신장부(51)로 되고, 또한 소정의 높이위치, 예를 들면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높이위치에서,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얼굴에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1도에 나타낸 수평방향 신장부(52)로 되고, 이 수평방향 신장부(52)의 선단에 분출구(53)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출구(53)는 화살표(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50)를 통하여 도입된 공기의 방출부를 형성하는 수직면(54)을 가지는 동시에,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회동가능한 핀(fin)(55)과, 이들의 핀(55)을 서로 동일 경사로 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수단, 즉 연결로드(56)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면(54)에 면하도록 위치하는 핀(55)의 일단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핀(55)의 타단부의 각각은 연결로드(56)와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연결로드(56)는 수직면(54)의 앞면부분에 배치되어 수매의 핀(55)에 계합하는 도시하지 않은 노브를 조작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핀(55)의 각각은 동일 형상치수로 설정되는 동시에, 기본적으로 덕트(50)의 수평방향 신장부(52)에 따르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55)이 수평으로 되도록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공조장치에서 작성된 공기가 덕트(50)에 도입되고, 화살표(57)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수평방향 신장부(52)로부터 핀(55)의 상하면 즉 안내면에 따라서 흐르고, 이 공기는 수직면(54)의 개구부분으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운전실내에 방출되어, 도시하지않은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얼굴에 향하여, 각 핀(55) 사이를 통과하는 풍량이 공급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노브를 조작하면, 연결로드(56)를 통하여 핀(55)의 각각이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동일 경사로 되어, 수직면(54)으로부터의 공기의 방출방향을 경사상방향으로 또는 경사하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서는, 덕트(50)의 수평방향 신장부(52)의 선단에 분출구(53)를 일체로 고정하고 있으므로, 이 분출구(53)로부터 분출되는 바람의 방향은 핀(55)에 의하여 변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평균적 체격을 기준으로 하여 덕트(50)를 설치한 경우, 그 평균적 체격보다 큰 운전자라든가 작은 운전자의 경우에, 그들 운전자의 얼굴 등에 충분한 풍량이 공급되지 않고, 해당하는 운전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없는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운전석의 운전자의 얼굴에 바람을 공급하는 것을 고려하여 덕트(50)를 설치했을 때에는, 예를 들면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운전실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앞창이나, 운전자의 측면측에 위치하는 옆창에 , 서리제거나, 흐림방지를 위한 바람을 공급할 수 없고, 따라서 이들의 서리제거나, 흐림방지를 위해서는 그 외에 다른 덕트를 설치하는 등의 어떤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창의 서리제거나, 흐림방지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운전실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앞창에 향하여 바람을 분출하도록 덕트(50)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앞창에 인접하는 옆창에는 충분한 풍량이 공급되지 않아서, 그 옆창의 서리제거나, 흐림방지를 양호하게는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옆창에 대해서는 그 외에 어떤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충분한 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영역이 좁고, 이에 따라서 송풍대상이 일의적인 것에 한정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그 목적은 충분한 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는 공조용 덕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중의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은, 공조(空調)장치에 접속되는 동시에, 공기를 방출하는 방출부와, 공기를 방출부에 안내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분출구를 구비한 공조덕트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가 대략 수평면내를 회동가능한 가동분출구로 이루어지고, 이 가동분출구 핀의 안내면을, 가동분출구에 접속되는 덕트부분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는 형태로 되도록 당해 핀의 각각을 배열하는 동시에, 이들 핀중 인접하는 핀의 각각의 상기 방 출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端部)를, 상기 덕트부분에 먼 쪽에 위치하는 핀의 단부가 상기 덕트부분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단부보다 돌출하도록, 이들 양 단부의 사이에 단차(段差)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를 테이퍼면에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핀의 각각을 동일 형상치수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핀중의 상기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이 상기 방출부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근방의, 상기 테이퍼면에 이어지는 부분을, 공기의 방출을 불능으로 하는 벽면에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청구항 1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를 연직면에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핀의 각각의 형상치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핀중의 상기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상기 방출부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근방의, 상기 연직면에 이어지는 부분을, 공기의 방출을불능으로 하는 벽면에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청구항 1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1∼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각각의 양측에지부에,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청구항 17에 기재한 발명은, 앞창과 옆창을 가지는 운전실내에 배치되는 공조장치에 접속되는 동시에 공기를 상기 운전실에 방출하는 방출부와, 공기를 방출부에 안내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분출구를 구비한 공조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분출구를 상기 앞창과 상기 옆창과의 사이에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청구항 18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7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분출구 핀의 안내면을, 이 가동분출구에 접속되는 덕트부분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는 형태로 되도록 당해 핀의 각각을 배열하는 동시에, 이들 핀중 인접하는 핀의 각각의 상기 방출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상기 덕트부분에 먼 쪽에 위치하는 핀의 단부가 상기 덕트부분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단부보다 돌출하도록, 이들 양 단부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청구항 19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8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를 연직면에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핀의 각각의 경상치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핀중의 상기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핀의 상기 방출부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근방의, 상기 연직면에 이어지는 가동분출구의 부분을, 공기의 방출을 불능으로 하는 벽면에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청구할 20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8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상기 방출부를 연직면에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핀의 각각의 형상치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핀중의 상기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상기 방출부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근방의, 상기 연직면에 이어지는 부분을, 공기의 방출을 불능으로 하는 벽면에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청구항 21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8∼20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 상기 핀의 각각의 양측에지부에,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중의 청구항 11 또는 17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분출구가 연결되는 덕트부분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가동분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회동 범위에 상당하는 영역에 분출구로부터 바람을 분출시킬 수 있고, 충분한 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17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가동분출구를 운전실의 앞창과 옆창과의 사이에 배치하였으므로, 가동분출구의 회동범위를 최소한 앞창에 대향하는 위치와 옆창과 대향하는 위치를 포함하도록 미리 설정하여 둠으로써 , 예를 들면 앞창에 배설한 가동분출구로부터 바람을 분출시켜서 앞창의 서리제거 등을 실시한 후, 가동분출구를 옆창에 대향하도록 회동시키고, 그 위치에서 바람을 분출시켜서 옆창의 서리제거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1 또는 18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가동분출구의 각 핀의 안내면이 이 가동분출구에 접속되는 덕트부분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는 형태, 예를 들면 덕트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또한 덕트에서 먼 쪽에 위치하는 핀의 단부가 덕트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단부보다 돌출하도록, 각 핀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덕트에 도입된 공기를 상기 단차를 통하여 각 핀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에 대략 동량의 풍량으로 되도록 분배할 수 있는 동시에, 각 핀의 안내면이 공기의 흐름방향을 90° 변경시키는 역할을 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덕트의 연직방향 신장부와 분출구의 사이에, 공기의 흐름방향을 90° 변경하기 위한 수평방향 신장부를 배설하지 않고, 덕트의 연직방향 신장부 즉 직관(直管)을 형성하는 부분에 분출구를 직접 접속하고, 또한 분출구의 각 핀 사이로부터 대략 동량의 풍량을 운전실에 방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평방향 신장부를 생략함으로써, 수평방향 신장부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덕트를 짧게 제작할 수 있고, 그만큼 공기저항을 적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공조장치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고, 공조장치도 포함한 전체 구조의 제작비를 싸게 할 수 있고, 또 덕트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좁은 운전실내에 있어서의 덕트의 배치설계에 여유가 생겨서, 보다 작게 설정된 운전실이라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2 또는 19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근방의, 방출부인 테이퍼면에 이어지는 부분을, 공기의 방출을 불능으로 하는 벽면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덕트부분에 도입된 공기의 일부는 벽면에서 흐름이 저지되어, 반전하여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안내면에 따라서 진행하고, 덕트부분에 도입된 다른 공기에 합류하여, 상기 단차를 통하여 각 핀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에 정밀도 양호하게 분배할 수 있다. 또, 이 청구항 11 또는 18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핀의 각각을 동일 형상치수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핀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 청구항 13 또는 20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12 또는 19에 기재한 발명과 마찬가지로,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근방의, 방출부인 연직면에 이어지는 부분을, 공기의 방출을 불능으로 하는 벽면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덕트부분에 도입된 공기의 일부는 벽면에서 흐름이 저지되어, 반전하여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안내면에 따라서 진행하고, 덕트부분에 도입된 다른 공기에 합류하여, 상기 단차를 통하여 각 핀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에 정밀도 양호하게 분배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4 또는 21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핀의 양측에지부에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하였으므로, 핀의 양측에지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덕트에 도입된 공기를 원활히 방출부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공조용 덕트의 제1의 실시예를 제1도∼제8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제3도는 차량에 구비되는 운전실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예를 들면 유압쇼벨의 운전실(1)을 나타내고 있다. 이 운전실(1)은 바닥(2)과, 천정(3)과, 운전석(1a)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부(4)와, 운전석(1a)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부(5)와, 2개의 측면부(6)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부(4)에는, 앞창 즉 프론트유리가 배설되고, 후면부(5)의 상방부분에도 유리가 배설되어 있고, 측면부(6)중 하나에는 개폐가능한 출입구도어가 배설되고, 다른 측면부(6)에는 옆창(6a)이 배설되어 있다. 운전석(1a)의 후부하방에 위치하는 바닥(2) 위에는, 공조장치(7)가 배치되어있으며, 이 공조장치(7)의 공기 토출구에는, 3개의 덕트(8),(9),(10)의 각각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덕트(8),(9),(10)중, 덕트(10)가 이 제1의 실시예의 공조용 덕트를 구성하고 있다.
이 덕트(10)는 운전석(1a)의 측부하방에 위치하는 바닥(2)에 따라서 연설되고, 3개소의 절곡부를 가지는 동시에, 선단부분을 형성하는 연적방향 신장부(11)는, 예를 들면 운전석(1a)의 우전방의 전면부(4)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직관(直管)부분을 형성하는 연직방향 신장부(11)의 상단에 가동분출구(12)가 배설되어 있다. 이 분출구(12)는 화살표(12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내의 회동가능하게 연직방향 신장부(11)에 장착되어 있다.
분출구(12)는 제4도,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각을 형성하고, 위쪽으로 테이퍼진 형상의 본체(20)와, 이 본체(20)에 형성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테이퍼면(21)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의 방출부와, 본체(20)의 내부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段), 각각 축(2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열되고, 또한 각각 상하면에 공기의 안내면을 가지는 핀(fin)(22)과, 이들의 핀(22)의 타단부의 각각이 상대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핀(22)을 회동시키는 연결로드(25)와, 예를 들면 3매의 핀(22)에 계착되도록 테이퍼면(21)부분에 장착되고, 상하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전술한 3매의 핀(22)을 통하여 연결로드(2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브(2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노브(26)와 연결로드(25)는 수평면에 대한 핀(22)의 경사가 모두 동일하게 되도록, 이들의 핀(22)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전술한 핀(22)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면이 덕트(10)의 연직방향 신장부(11)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는 형태로 되도록, 예를들면 연직방향 신장부(11)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형태로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이들의 핀(22)은 각각의 일단부를 방출부를 구성하는 테이퍼면(21)에 면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동시에, 각각의 타단부를 계단형으로 배치하고 있다. 즉, 인접하는 핀(22)의 타단부중, 덕트(10)의 연직방향 신장부(11)에서 먼 쪽에 위치하는 핀(22)의 타단부가 연직방향 신장부(11)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22)의 타단부보다 돌출하도록, 이들의 양 타단부의 사이에 단차(段差)(28)를 형성하고 있다. 이 단차(28)는 각 인접하는 핀(22) 사이의 각각이 모두 동등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22)의 각각의 양측에지부에는,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절결(30)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후술할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핀(22)의 각각은 길이치수 t1를 포함하여 모두 동일 형상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또 인접하는 핀(22) 사이의 간격치수 t2도 각각 동등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 덕트(10)의 연직방향 신장부(11)에 가장 가까운 쪽인 최하단의 핀(22)의 전술한 일단부의 근방의, 상기 테이퍼면(21)에 이어지는 본체(20)부분을, 연직방향 신장부(11)에 도입된 공기의 방출을 불능으로 하는 벽면(27)에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분출구(12)는 제4도에 나타낸 축심(12b)을 중심으로 하여,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전면부(4)에 테이퍼면(21)이 대향하는 위치, 운전석(1a)에 앉은 운전자의 얼굴 등에 테이퍼면(21)이 대향하는 위치 , 및 제2도에 나타낸 측면부(6)의 옆창(6a)에 테이퍼면(21)이 대향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제5도,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22)의 각각이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있을 때, 제1도에 나타낸 공조장치(7)를 구동하면, 이 공조장치(7)에서 작성된 공기가 덕트(8),(9),(10)에 도입된다. 이 중, 덕트(10)에 도입된 공기는 연직방향 신장부(11)에 도입된다. 이 연직방향 신장부(11)에 도입된 공기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출구(12)에 유입하지만, 그 일부는 화살표(3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27)에서 흐름이 규제되어, 반전하여 최하단의 핀(22)의 하면의 안내면에 의하여 안내되어, 분출구(12)에 유입한 다른 공기와 합류히여 상승한다. 이 때, 인접하는 핀(22) 사이에 형성된 각 단차(28)에 의하여, 상기 합류한 공기는 각 핀(22)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에 분배되어 공급된다. 또, 이때 덕트(10)의 연직방향 신장부(11)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각 핀(12)이 대략 직교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므로, 연직방향 신장부(1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그 흐름방향이 90° 변한다. 그리고, 특히 각 핀(22)의 양측에 지부 부근의 공기는 제7도의 화살표(3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핀(22)의 절결(30)을 통과하므로, 이들의 각 핀(22)의 양에지부 부근에서 공기의 와류를 발생하지 않고, 보다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핀(22)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에 도입된 공기는 테이퍼면(21)의 개구부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운전실(1)내에 방출되어 , 풍량의 불균일이 적은 바람이 공급된다.
또, 노브(26)를 적절히 상하동시킴으로써, 3매의 핀(22)을 통하여 연결로드(25)가 상하동하고, 이로써 각 핀(22)의 각각이 수평면에 대하여 동일 정도 경사져서, 테이퍼면(21)의 개구부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경사상방향으로, 또는 경사하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분출구(12)를 운전석(1a)에 앉은 운전자의 얼굴 등에 대향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얼굴 등에 예를 들면 서늘한 바람을 공급할 수 있고, 또 분출구(12)를 운전실(1)의 전면부(4)에 대향하도록 회동함으로써, 전면부(4)에 배치되는 앞창(4a)에 서리제거를 위한 온풍이나, 흐림방지를 위한 바람을 공급할 수 있고, 또 분출구(12)를 운전실(1)의 제3도의 우측에 위치하는 측면부(6)에 대향시키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옆창(6a)에 서리제거를 위한 온풍이나, 흐림방지를 위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제8도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풍량특성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테이퍼면(21)의 각도를 연직면에 대하여 15° 경사지도록 설정하고, 덕트(10)에 풍량 Q=255㎥/hr를 공급한 바, 최하방의 핀(22)의 하측의 통로에서는 12㎥/hr로 비교적 적은 풍량이지만,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35㎥/hr, 40㎥/hr, 43㎥/hr, 45㎥/hr, 52㎥/hr의 풍량이 각각 얻어져서, 각 핀(22) 사이의 통로로부터 대략 동등한 풍량을 방출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핀(22) 사이에 단차(28)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덕트(10)에 도입된 공기를 상기 단차(28)를 통하여 각 핀(22)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에 대략 동량의 풍량으로 되도록 분배할 수 있는 동시에, 각 핀(22)의 안내면이 공기의 흐름방향을 90° 변경시키는 역할을 행하고, 따라서, 예를 들면 덕트(10)의 연직방향 신장부(11)와 분출구(12)의 사이에, 공기의 흐름을 90° 변경하기 위한 수평방향 신장부를 배설하지 않고, 덕트(10)의 연직방향 신장부(11) 즉 직관을 형성하는 부분에 분출구(12)를 직접으로 접속하고, 또한 분출구(12)의 각 핀(22) 사이로부터 대략 동량의 풍량을 운전실(1)에 방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술한 수평방향 신장부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덕트(10)를 짧게 제작할 수 있고, 그만큼 공기저항을 적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공조장치(7)의 용량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공조장치(7)도 포함한 전체 구조의 제작비를 싸게 할 수 있다. 또, 덕트(10)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좁은 운전실(1)내에 있어서의 덕트(10)의 배치설계에 여유가 생겨서, 보다 작게 설정된 운전실이라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분출구(12)의 테이퍼면(21)에 이어져서 벽면(27)을 형성하고, 덕트(10)에 도입된 공기의 일부를 벽면(27)에서 반전시켜서, 최하단의 핀(22)의 하면을 형성하는 안내면에 따라서 도입하도록되어 있으므로, 운전실(1)내에 방출되는 공기의 전량을 각 단차(28)에서 정밀도 양호하게 분배시킬 수 있다. 또, 핀(22)의 각각을 동일 형상치수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핀(22)의 제작이 용이하고, 이 핀(22)의 제작비도 싸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는, 핀(22)의 양측에지부에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절결(3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핀(22)의 양측에지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와류의 발생을 방지하고, 덕트(10)에 도입된 공기를 원활하게 방출부를 형성하는 테이퍼면(21)으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공기저항을 억제할 수있다.
또한, 이 제1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출구(12)를 운전자에 대향시켜서 서늘한 바람을 공급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바람직한 풍감(風感)을 줄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의 체격이 평균보다 큰 경우, 또는 평균보다 작은 경우 등에, 운전자의 얼굴 등에 바람이 잘 닿지 않을 때에는, 분출구(12)를 약간 움직여서 조정하여, 대응시킬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분출구(12)를 전면부(4)의 앞창(4a)에 대향시키거나, 또는 측면부(6)의 옆창(6a)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온풍을 분출시킴으로써, 앞창(42)이나 옆창(6a)에 부착한 서리의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분출구(12)를 전면부(4)의 앞창(4a)에, 또는 측면부(6)의 옆창(6a)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바람을 분출시킴으로써, 앞창(4a)이나 옆창(6a)의 흐림방지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의 실시예에서는, 분출구(12)를 회동시킴으로써, 충분한 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영역을 넓게 할 수 있고, 송풍대상을 확대시켜서, 다기능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덕트를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 한다.
이 제9도에 있어서, (11)은 전술한 덕트(10)의 연직방향 신장부(11)와 동등한 연직방향 신장부이다. 이 제2의 실시예에서는, 연직방향 신장부(11)의 상단에 장착되는 가동분출구(41)의 형상만이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상이하다. 이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 제9도의 화살표(41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출구(41)는 소정의 범위의 수평면내에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9도에 나타낸 분출구(41)는 본체(42)의 개구면, 즉 공기를 방출하는 방출부를 연직면(43)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42)의 내부에 복수단 배열되는 핀(44)은 최하방에 위치하는 핀(44)의 길이치수 (전술한 제8도의 치수 t1에 상당하는 치수)를 최소 치수로 설정하고, 위에 위치하는 핀(44)은 차례로 그 길이치수가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제1의 실시예와 동등하다. 예를 들면, 핀(44)은 연직방향 신장부(11)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형태로 되도록 배열하고 있다. 또, 이들의 핀(44)은 각각의 일단부를 방출부를 구성하는 연직면(43)에 면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동시에, 각각의 타단부를 계단형으로 배치하고 있다. 즉, 인접하는 핀(44)의 타단부중, 연직방향 신장부(11)에서 먼 쪽에 위치하는 핀(44)의 타단부가 연직방향 신장부(11)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44)의 타단부보다 돌출하도록, 이들의 양 타단부의 사이에 단차(45)를 형성하고있다. 이 단차(45)는 각 인접하는 핀(44) 사이의 각각과도 동등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 연직방향 신장부(11)에 가장 가까운 쪽인 최하단의 핀(44)의 근방의, 연직면(43)에 이어지는 본체(42)부분을, 연직방향 신장부(11)에 도입된 공기를 방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벽면에 형성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핀(44)의 각각의 양측에지부에는,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지만, 연동수단을 구성하는 노브나 연결로드도 구비하고 있다. 기타에 대해서도 제1의 실시예와 동등하고, 연직방향 신장부(11)를 가지는 덕트는, 예를 들면 유압쇼벨의 운전실내에 구비되는공조장치의 토출구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의 실시예외 마찬가지로, 덕트의 연직방향 신장부(11) 즉 직관을 형성하는 부분에 분출구(41)를 직접으로 접속하고, 또한 단차(45)를 통하여 분출구(41)의 각 핀(44) 사이의 통로로부터 대략 동량의 풍량을 운전실에 방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연직방향 신장부(11)를 포함하는 덕트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서, 그만큼 공기 저항을 적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공조장치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서, 공조장치도 포함한 전체 구조의 제작비를 싸게 할 수 있다. 또,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좁은 운전실내에 있어서의 덕트의 배치설계에 여유가 생겨서, 보다 작게 설계된 운전실이라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분출구(41)의 연직면(43)에 이어져서 벽면을 형성하고, 덕트에 도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그 벽면에서 반전시켜서, 최하단의 핀(44)의 하면을 형성하는 안내면에 따라서 도입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운전실내에 방출되는 공기의 대략 전량을 각 단차(45)에서 정밀도 양호하게 분배시킬 수 있다.
또한, 화살표(4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출구(41)가 수평면내에서 회동가능하므로, 운전자에의 서늘한 바람의 공급, 앞창(4a)이나 옆창(6a)의 서리제거를 위한 온풍의 공급, 흐림방지를 위한 바람의 공급 등에 활용할 수 있고,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의 실시예에서도 충분한 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영역을 넓게 할 수 있고, 송풍대상을 확대시켜서, 다기능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조용 덕트가 구비되는 차량의 일예로서 유압쇼벨을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 유압쇼벨에 적용되는 것에는 한하지 않고, 운전실을 가지는 다른 건설기계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또,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분출구(12) 등을 운전실(1)의 전면부(4) 부근에 배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분출구(12)를 후면부(5)나 측면부(6) 부근의 원하는 쪽에 배치해도 된다.
또,상기 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22,44)의 각각의 양측에지부에 절결(30)을 형성하였으나, 이와 같이 절결(30)을 형성하는 대신에, 핀(22)의 형상을 예를 들면 반원판형으로 형성하고, 이로써 본체(20,42)의 내벽과 반원판형의 핀(22)의 양측에지부와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을 양호하게 하는 공극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조용 덕트(10)의 중도부분의 길이를 가변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연직방향 신장부(11)를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배설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서는, 충분한 풍량이 공급되는 영역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덕트를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 한다.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 분출구(12)의 본체(20) 하단부에는 관통공(60)이 형성된 연출부(61)가 배설된다. 또한, 그 연출부(61)에는 또는 구형(球形)요부(62)가 형성된다. 분출구(12)가 접속된 덕트의 연직방향 신장부(11)의 단부는 구형체(64)로 형성되어 관통개구(63)를 통하여 관통공(60)과 연통되어 있다. 구형체(64)는 분출구(12)의 구형요부(62)에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진다. 바꾸어 말하면, 분출구 (12)는 덕트(10)의 연직방향 신장부(11)의 단부를 에워싸고, 그 단부에 대하여 3차윈적으로 슬라이드가능하다. 또한, 분출구(12)의 슬라이드가 정지된 위치에서, 이 분출구(12)는 슬라이드가 정지된 시간에 있어서의 공간상의 정지방향을 유지하면서 지지된다. 다른 구성은, 예를 들면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3의 실시예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분출구(12)를 3차원적으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풍량으로 공급될 수 있는 영역이 제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욱 넓어질 수 있다.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분출구(12)의 접속구조, 즉 구형요부(62)와 구형체(64)와의 조합은 제9도에 나타낸 전술한 제2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분출구(41)는 덕트(11)의 단부에 대하여 3차원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덕트가 구비되는 운전실을 나타내고, 공조용 덕트가 명료하게 도시되도록, 앞창은 부분적으로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옆창 및 뒤창은 도시를 생략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운전실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운전실의 평면도.
제4도는 제1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분출구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분출구의 요부 종단면도.
제6도는 제4도에 나타낸 분출구의 핀의 배치형태, 및 이 배치형태에 따르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제7도는 제4도에 나타낸 분출구의 요부 횡단면도.
제8도는 제1의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풍량특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덕트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덕트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11도는 종래의 공조용 덕트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운전실, (4): 전면부, (6): 측면부, (6a): 옆창, (7): 공조장치, (10): 공조용 덕트, (11): 연직방향 신장부, (12): 가동분출구, (12a): 화살표, (12b): 축심, (20): 본체, (21): 테이퍼면 (방출부), (22): 핀, (23): 축, (24): 축, (25): 연결로드, (26): 노브, (27): 벽면, (28): 단차, (30): 절결, (41): 가동분출구, (41a): 화살표, (42): 본체, (43): 연직면, (44): 핀, (45): 단차.

Claims (8)

  1. 공조(空調)장치에 연견 설치된 덕트의 단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방출하는 분출구를 구비한 공조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가, 외각을 구성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부와, 이 방출부에 설치된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가 상기 덕트의 단부에 수평 방향의 전체 외주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덕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안내면이 상기 덕트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는 형태로 되도록 당해 핀의 각각을 배열하는 동시에, 이들 핀중 인접하는 핀의 각각의 상기 방출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端部)를, 상기 덕트부분에 먼 쪽에 위치하는 핀의 단부가, 상기 덕트부분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단부보다 돌출하도록 이들 양 단부의 사이에 단차(段差)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덕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를 테이퍼면에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핀의 각각을 동일 형상치수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핀중의 상기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상기방출부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근방의, 상기 테이퍼면에 이어지는 부분을, 공기의 방출을 불능으로 하는 벽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덕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를 연직면에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핀의 각각의 형상치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핀중의 상기 덕트부분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핀의 상기 방출부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근방의, 상기 연직면에 이어지는 부분을, 공기의 방출을 불능으로 하는 벽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덕트.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각각의 양측 에지부에,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절결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덕트.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안내면의 경사가 서로 같아지도록, 이들 핀을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덕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가 앞창과 옆창을 가지는 운전실내의 상기 앞창과 옆창의 사이에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덕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이 유압쇼벨의 운전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덕트.
KR1019950058207A 1994-12-28 1995-12-27 공조용덕트 KR100314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27284 1994-12-28
JP1994-327284 1994-12-28
JP32728494A JP3325414B2 (ja) 1994-12-28 1994-12-28 空調用ダク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630A KR970034630A (ko) 1997-07-22
KR100314304B1 true KR100314304B1 (ko) 2002-04-24

Family

ID=1819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8207A KR100314304B1 (ko) 1994-12-28 1995-12-27 공조용덕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43080A (ko)
EP (1) EP0719665B1 (ko)
JP (1) JP3325414B2 (ko)
KR (1) KR100314304B1 (ko)
CN (1) CN1103032C (ko)
AU (1) AU713148B2 (ko)
DE (1) DE6951337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5283C2 (de) * 1997-02-12 1999-04-01 Daimler Benz Ag Belüftungsdüse für Fahrzeuginnenräume
GB2334780A (en) * 1998-02-28 1999-09-01 Rover Group A vehicle
JP4022365B2 (ja) * 2000-11-06 2007-12-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温風吹出し装置
DE10159589B4 (de) * 2001-12-05 2006-01-05 Terex Germany Gmbh & Co. Kg Anordnung einer Klimaanlage
ATE359929T1 (de) * 2002-03-15 2007-05-15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Belüftungsdüse für lüftungssysteme
US20060151162A1 (en) * 2003-06-30 2006-07-13 Behr Gmbh & Co Kg Louvre for an air-conduction housing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US6896609B2 (en) * 2003-07-22 2005-05-24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Driver/entry ventilation system for a bus
KR20060030760A (ko) * 2004-10-06 200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R2881993B1 (fr) * 2005-02-14 2010-10-08 Key Plastics Int Aerateur a ailettes pivotantes et a ailettes rotatives pour vehicule, notamment pour automobile
JP4350054B2 (ja) * 2005-03-14 2009-10-21 株式会社クボタ 運転キャビン構造
ES2462949T3 (es) 2007-08-30 2014-05-26 Victor Toso Dispositivo de soporte dorsal ajustable
JP5577108B2 (ja) * 2010-01-22 2014-08-20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JP5483456B2 (ja) * 2010-12-15 2014-05-07 日立建機株式会社 空調用ルーバ
WO2012108232A1 (ja) * 2011-02-07 2012-08-1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DE102011115178B4 (de) * 2011-09-28 2014-10-09 Audi Ag Luftausströmer eines Lüftungs- und Heizungsmoduls für Kraftfahrzeuge mit einer Umschaltung zwischen einer Spotstellung und einer Diffusstellung
ITTO20130418A1 (it) * 2013-05-24 2014-11-25 Denso Thermal Systems Spa Sistema di filtrazione aria in cabina per macchine agricole
JP6512027B2 (ja) * 2015-08-18 2019-05-1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装置
KR102429172B1 (ko) * 2016-12-21 2022-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CN112032853A (zh) * 2020-08-28 2020-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风机格栅、外机壳体、系统及其配置方法
DE102021116993A1 (de) 2021-07-01 2021-12-16 Audi Aktiengesellschaft Luftleitanordn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DE102022108310A1 (de) 2022-04-06 2023-10-12 Novares Löhne GmbH Lüftungseinrichtung für eine Fahrgastzelle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37426U1 (de) * 1984-04-05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Vorrichtung zur Belüftung des Innenraumes vo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US2314850A (en) * 1940-12-21 1943-03-23 Robert Mitchell Co Ltd Air vent
US3018711A (en) * 1958-04-07 1962-01-30 Novi Equipment Co Duct structure
FR1366130A (fr) * 1963-05-28 1964-07-10 Applic Ind Soc Et Bouche de distribution d'air utilisable en particulier pour l'aération ou le chauffage des véhicules
DE2525917C2 (de) * 1975-06-11 1983-11-10 Schmidt Reuter Ingenieurgesellschaft mbH & Co KG, 5000 Köln Anordnung zum Belüften oder Klimatisieren von Aufenthaltsräumen
DE2702334A1 (de) * 1976-05-21 1977-12-08 Schmid Reuter Ingenieurgesell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lueftung und/oder klimatisierung von aufenthaltsraeumen
DE3415241A1 (de) * 1984-04-21 1985-10-31 Webasto-Werk W. Baier GmbH & Co, 8035 Gauting Ausstroemer zum einbau in kraftfahrzeuge
JPS61246539A (ja) * 1985-04-25 1986-11-01 Nippon Plast Co Ltd 空調装置の風向変更装置
US4633770A (en) * 1985-12-09 1987-01-06 General Electric Company Variable discharge grill for room air conditioner
DE3610894A1 (de) * 1986-03-24 1987-10-08 Kreis Truma Geraetebau Luftverteiler fuer luftheizeinrichtungen
JPH0765798B2 (ja) * 1989-01-24 1995-07-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ポットエアコン
JP2544232B2 (ja) * 1990-05-22 1996-10-1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空調装置
JPH04324047A (ja) * 1991-02-27 1992-11-13 Nippondenso Co Ltd スポット空調装置
DE9109567U1 (ko) * 1991-08-02 1991-10-31 Kerpen, Detlef, Dipl.-Wirtsch.-Ing., 5060 Bergisch Gladbach, De
JPH0599479A (ja) * 1991-10-11 1993-04-20 Nippondenso Co Ltd スポツト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75156A (ja) 1996-07-09
CN1131264A (zh) 1996-09-18
EP0719665A1 (en) 1996-07-03
CN1103032C (zh) 2003-03-12
AU713148B2 (en) 1999-11-25
US5643080A (en) 1997-07-01
DE69513376T2 (de) 2000-04-13
DE69513376D1 (de) 1999-12-23
AU4066695A (en) 1996-07-04
EP0719665B1 (en) 1999-11-17
KR970034630A (ko) 1997-07-22
JP3325414B2 (ja) 200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4304B1 (ko) 공조용덕트
DE112014001828B4 (de) Luftgebläsevorrichtung
US6530831B1 (en) Ventilating, heating and air-conditio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EP3632726B1 (en) Air diffuser for a vehicle
KR20070005263A (ko) 차량용 제상덕트의 유로구조
JP5827099B2 (ja) レジスタ
KR20120067296A (ko) 공조용 루버
JP4516569B2 (ja) 自動車空調装置の空気案内ハウジング用ドア
JP2007508174A (ja) 車室空気調和システム用部材および車室空気調和システム
JP6371533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9300942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11348602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デフロスタ構造
JP3800451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1063343A (ja) 建設機械の空調装置
JPS60200039A (ja) 空気調和用風向調整装置
JP200819511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8188037A (ja) 運転室の空調装置の吹き出し口構造
WO2020230548A1 (ja) 車両用エアコン装置
KR20200049082A (ko)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JP4106322B2 (ja) 鉄道車両
JP7226076B2 (ja) 空気吹出部
KR1026351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4355449U (zh) 用于车辆的通风装置及包括该通风装置的车门
JP4801811B2 (ja) 吹出しグリル
JP2023087318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