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296A - 공조용 루버 - Google Patents

공조용 루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296A
KR20120067296A KR1020110134271A KR20110134271A KR20120067296A KR 20120067296 A KR20120067296 A KR 20120067296A KR 1020110134271 A KR1020110134271 A KR 1020110134271A KR 20110134271 A KR20110134271 A KR 20110134271A KR 20120067296 A KR20120067296 A KR 20120067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ouver
cover
wind direc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535B1 (ko
Inventor
히로키 다나카
에이지 가네시마
츠요시 가케가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 장치로부터 공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조화 공기를 취출구로부터 효율적으로 내뿜음으로써, 승차 공간에 있어서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루버 바닥부(12)의 상측에 장착되는 커버부(18)에는, 앞을 향해 개구한 취출구(21)를 설치하고, 이 커버부(18)의 내측 커버(19) 안의 공간부(19J)에는, 유입구(16)로부터 공간부(19J) 안에 상방향으로 유입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변경하여 취출구(21)를 향해 유통시키는 풍향 변경편(26?29)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취출구(21)에는, 조화 공기의 취출 방향을 상, 하로 가변하도록 조정하는 핀(22, 23, 24)을 설치한다. 따라서, 루버 바닥부(12)의 유입구(16)로부터 유입된 조화 공기는, 풍향 변경편(26?29)에 의해 취출구(21)를 향하여 유통하기 때문에, 핀(22, 23, 24)의 각도와 상관없이, 취출구(21)로부터 승차 공간으로 내뿜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용 루버{LOUVER FOR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공조 장치의 실내기로부터 공급되는 조화 공기를 승차 공간으로 내뿜는데 사용하기 적합한 공조용 루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각종 작업 기계, 비행기 등과 같이, 승차 공간에 탑승하여 조작을 행하는 것은, 그 승차 공간에 있어서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온도 등을 조정한 조화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조 장치가 조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에는 공조 덕트가 접속되고, 당해 공조 덕트의 선단측에는, 조화 공기를 승차 공간을 향하여 내뿜기 위한 공조용 루버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조용 루버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조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루버 바닥부와, 당해 루버 바닥부의 상측에 장착되고 배면측이 폐색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획정하는 커버부와, 당해 커버부의 배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앞을 향해 개구하여 설치되어 조화 공기를 승차 공간으로 내뿜는 취출구와, 당해 취출구에 설치되어 조화 공기의 취출 방향을 가변하도록 조정하는 핀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것에 의해, 공조 장치를 운전했을 때에는, 공조 덕트를 통해 공조용 루버에 조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루버 바닥부의 유입구로부터 상방향으로 유입된 조화 공기는, 커버부에 앞을 향해 개구한 취출구으로부터 승차 공간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이 취출구으로부터 조화 공기를 유출시킬 때에, 취출구에 설치한 핀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조화 공기의 취출 방향을 상, 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75156호
그런데,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에 의한 것에서는, 조화 공기의 취출구에 상, 하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핀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핀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방으로부터 하방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목표로 하는 높이 위치에 맞추어 조화 공기를 내뿜을 수 있다.
여기서, 공조 덕트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커버부 안에 유입되는 조화 공기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유통하기 때문에, 핀을 상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상태에서는, 상방향으로 유통하는 조화 공기가 핀에 대하여 예각으로 닿게 된다. 따라서, 핀에 닿은 조화 공기는, 그대로 핀을 따라 취출구로부터 내뿜을 수 있다.
그러나, 핀을 하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켰을 때에는, 상방향으로 유통하는 조화 공기가 핀에 대하여 둔각으로 닿게 된다. 이 경우에는, 핀에 닿은 조화 공기가 커버부 안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조화 공기를 내뿜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 장치로부터 공조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조화 공기를 취출구로부터 효율적으로 내뿜을 수 있어, 승차 공간에 있어서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한 공조용 루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루버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조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루버 바닥부와, 당해 루버 바닥부의 상측에 장착되고 배면측이 폐색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획정하는 커버부와, 당해 커버부의 배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앞을 향해 개구하여 설치되어 조화 공기를 승차 공간으로 내뿜는 취출구와, 당해 취출구에 설치되어 조화 공기의 취출 방향을 가변하도록 조정하는 핀 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커버부 내의 공간부에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간부 안을 상방향으로 유입되는 조화 공기를 상기 취출구를 향하여 풍향을 바꾸는 풍향 변경편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풍향 변경편은, 상기 루버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복수 개 세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풍향 변경편은, 그 기단측이 상기 루버 바닥부에 장착되고, 중간부가 상기 공간부 안을 상측으로 연장하며, 선단측이 상기 취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커버부는, 내부에 상기 공간부를 획정하는 내측 커버와, 당해 내측 커버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겹쳐 설치된 외측 커버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취출구는, 상기 내측 커버의 개구와 외측 커버의 개구를 서로 겹침으로써 형성하며, 상기 핀은, 그 측방 위치에 설치한 지지 핀을 상기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 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 커버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풍향 변경편은, 유입구로부터 커버부의 공간부 안을 상방향으로 유입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변경함으로써, 이 조화 공기를 커버부에 앞을 향해 개구한 취출구를 향해 유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취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조화 공기는, 취출구에 설치한 핀을 하측으로 향하게 한 경우에도, 이 핀에 대하여 예각으로 닿게 된다. 이것에 의해, 조화 공기를 핀을 따르게 하도록 하여 취출구로부터 승차 공간으로 내뿜을 수 있다.
이 결과, 조화 공기는, 풍향 변경편에 의한 풍향의 변경에 의해 취출구를 향하여 유통시킬 수 있어, 핀의 각도와 상관없이, 승차 공간에 낭비 없이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화 공기를 승차 공간에 효율적으로 내뿜을 수 있기 때문에, 승차 공간에 있어서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풍향 변경편은, 루버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풍향 변경편을 복수 개 세워 설치함으로써, 유입구로부터 상방향으로 유입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복수 개의 풍향 변경편에 의해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풍향 변경편은, 그 기단측에 의해 루버 바닥부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풍향 변경편의 중간부는, 공간부 안을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조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상방향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풍향 변경편의 중간부를 따라 상측으로 흐른 조화 공기는, 풍향 변경편의 선단측의 경사에 의해 취출구를 향하여 풍향을 바꿀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겹치는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를 이용하여, 핀의 측방 위치에 설치한 지지 핀을 끼움으로써, 취출구의 위치에 당해 핀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를 서로 겹침으로써, 각각의 개구를 이용하여 취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캡 내의 구조를 도 1 중의 화살표 Ⅱ-Ⅱ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캡 박스를 떼어내서 운전석, 플로어 부재, 운전석, 공조 덕트, 공조용 루버 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용 루버를 단체(單體)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공조용 루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공조용 루버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1개의 부품으로서 일체 성형된 루버 바닥부와 각 풍향 변경편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루버 바닥부와 각 풍향 변경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상단 핀을 단체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중간단 핀을 단체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하단 핀을 단체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연결 레버를 단체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에 의한 공조용 루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공조용 루버를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2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토사의 굴삭작업 등에 사용되는 건설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압 셔블(1)은, 자주(自走)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고, 당해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의 전측(前側)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5는 상부 선회체(3)의 좌측 앞쪽에 설치된 캡으로, 당해 캡(5) 안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여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승차 공간으로 되어 있다. 캡(5)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6)와 캡 박스(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6은 캡(5)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플로어 부재로(도 2, 도 3 참조), 당해 플로어 부재(6)는, 전, 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6)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후술하는 운전석(8)이 설치되어 있다.
7은 플로어 부재(6)와 함께 캡(5)을 구성하는 캡 박스로, 당해 캡 박스(7)는, 플로어 부재(6) 상에 오퍼레이터의 승차 공간을 획정하는 것이다. 이 캡 박스(7)에는, 작업시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앞창(7A), 우측 창(7B) 등을 가지고, 좌측에는 오퍼레이터가 출입하는 승강구를 개폐하는 도어(7C)가 설치되어 있다.
8은 캡(5) 안에 위치하고 플로어 부재(6) 상에 설치된 운전석으로, 당해 운전석(8)은, 승차 공간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석(8)의 후측에는, 후술하는 공조 장치의 실내기(9)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9는 운전석(8)의 후측에 위치하고 플로어 부재(6) 상에 설치된 공조 장치의 실내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내기(9)는, 원하는 온도로 조정한 냉풍 또는 온풍을 조화 공기로서 캡(5) 안의 승차 공간에 공급함으로써, 당해 캡(5) 안을 오퍼레이터가 원하는 온도 환경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실내기(9)는, 전동식의 송풍 팬, 냉풍을 발생시키는 이배퍼레이터, 온풍을 발생시키는 히터 코어, 풍향을 전환하는 전환판(모두 도시 생략) 등을 내장하고 있다. 실내기(9)는 엔진 측에 설치되는 콘덴서, 컴프레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조 장치의 실외기(모두 도시 생략)와 접속되어 있다.
10은 캡(5) 안의 우측 끝에 설치된 공조 덕트로, 당해 공조 덕트(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기(9)로부터 공급되는 조화 공기를 승차 공간의 원하는 위치까지 유도하는 것이다. 공조 덕트(10)는, 기단측(基端側)이 실내기(9)의 조화 공기의 토출구에 접속되고, 선단측이 플로어 부재(6)의 우측을 전측으로 연장함과 함께 전측 위치에서 굴곡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덕트 본체(10A)(점선으로 도시)와, 당해 덕트 본체(10A)를 덮도록 설치된 대략 L자 형상의 덕트 커버(10B)와, 당해 덕트 커버(10B)의 발밑 위치에 설치된 발밑 취출구(10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덕트 본체(10A)의 선단부[덕트 커버(10B)의 전측 상부]에는 후술하는 공조용 루버(11)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용 루버(11)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11은 공조 덕트(10)의 덕트 본체(10A)의 선단부[덕트 커버(10B)의 전측 상부]에 설치된 공조용 루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공조용 루버(11)는, 공조 장치의 실내기(9)로부터 공조 덕트(10)를 통해 공급되는 조화 공기를, 캡(5) 안의 승차 공간으로 내뿜는 것이다. 이때에, 공조용 루버(11)는, 조화 공기의 취출 방향을 좌, 우 방향(수평 방향)과 상, 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가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공조용 루버(11)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5, 도 6의 좌측을 후측 또는 배면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전측으로 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공조용 루버(11)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 덕트(10)의 덕트 본체(10A)의 선단부에 접속되는 후술하는 루버 바닥부(12)와, 당해 루버 바닥부(12)의 상측에 장착된 커버부(18)와, 당해 커버부(18)의 전측에 개구하여 설치되어 조화 공기를 승차 공간으로 내뿜는 취출구(21)와, 당해 취출구(21)에 설치되어 조화 공기의 취출 방향을 상, 하 방향으로 가변하도록 조정하는 3장의 핀(22, 23, 24)과, 커버부(18) 안에 유입되는 조화 공기를 상기 취출구(21)를 향해 풍향을 바꾸는 풍향 변경편(26?29)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12는 공조용 루버(11)의 바닥부 측을 형성하는 루버 바닥부로, 당해 루버 바닥부(12)는, 공조용 루버(11)를 공조 덕트(10)에 장착하는 기부(基部)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루버 바닥부(12)는,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이 넓은 폭이 되는 대략 D자 형상의 외형을 가진 고리 형상의 바닥판부(13)와, 당해 바닥판부(13)의 주위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주연부(14)와, 상기 바닥판부(13)의 내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한 짧은 원통 형상의 감합 통부(15)와, 상기 바닥판부(13)와 감합 통부(15)의 내주측에 형성된 유입구(16)와, 당해 유입구(16)에 설치된 메시부(17)에 의하여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루버 바닥부(12)는, 후술하는 풍향 변경편(26~29)과 함께, 예를 들면 수지 재료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1개의 부품으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판부(13)의 전측 위치에는, 후술하는 나사 부재(30)가 삽입 통과되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13A)이 상, 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연부(14)의 전측에는, 후술하는 외측 커버(20)의 걸림 클로(20G)가 걸리는 걸림 홈(14A)이 설치되고, 후측에는, 외측 커버(20)의 걸림 돌기(20H)가 걸리는 걸림 클로(14B)가 설치되어 있다.
감합 통부(15)는, 공조 덕트(10)의 덕트 본체(10A)의 선단부 또는 당해 덕트 본체(10A)의 선단부와 접속 가능한 덕트 커버(10B)의 상부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감합하는 것이다. 이 감합 통부(15)에는, 공조 덕트(10)에 대하여 감합하였을 때에, 수평 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면서 빠짐을 방지하는 클로부(15A)가 1부분 또는 둘레 방향의 복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16)는, 상, 하 방향을 축선으로 하는 관통 구멍을 이루고, 이것에 의해, 공조 덕트(10)를 통해 공급되는 조화 공기는, 유입구(16)를 통하여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유통하게 된다.
또한, 유입구(16) 안에 설치된 메시부(17)는,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 덕트(10)의 덕트 본체(10A) 안에 동전, 휴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메시부(17)는, 큰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육각형상의 통기 구멍(17A)을 인접하여 다수 개 늘어놓음으로써, 소위 허니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메시부(17) 상에는, 후술하는 풍향 변경편(26?29)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18은 루버 바닥부(12)의 상측에 장착된 커버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커버부(18)는, 후술하는 내측 커버(19)와 외측 커버(20)를 서로 겹침으로써 이중 구조로서 형성되어 있다.
먼저, 내측 커버(19)는,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부근이 가장 높아지는 볼록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폐색된 후측이 배면부(19A)가 되며, 당해 배면부(19A)와 반대측의 전측이 정상부로부터 바닥부까지 대략 직선 형상(평면 형상)으로 연장된 사면부(19B)가 되어 있다. 또한, 사면부(19B)에는, 예를 들면, 상측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하측이 직사각형상을 이룬 대략 D자 형상의 개구(1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9C)의 좌, 우 방향의 측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후술하는 외측 커버(20)의 상단 노치부(20D), 중간단 노치부(20E), 하단 노치부(20F)에 대응하도록, 상, 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단 누름부(19D), 중간단 누름부(19E), 하단 누름부(19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커버(19)의 전측에는, 루버 바닥부(12)를 구성하는 바닥판부(13)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1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19G)이 형성되고, 후측에는, 외측 커버(20)의 걸림 클로(20J)에 걸리는 걸림 단부(段部)(19H)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오목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내측 커버(19) 안에는 공간부(19J)가 획정되고, 이 공간부(19J)에는 후술하는 풍향 변경편(26?29)이 배치되어 있다.
외측 커버(20)는, 내측 커버(19)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설치되고, 당해 내측 커버(19)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당해 내측 커버(19)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 커버(20)는, 후측이 배면부(20A)가 되고, 반대측의 전측이 사면부(20B)가 되며, 당해 사면부(20B)에는 대략 D자 형상의 개구(2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20C)의 좌, 우의 측변부에는, 상기 서술한 내측 커버(19)의 상단 누름부(19D), 중간단 누름부(19E), 하단 누름부(19F)에 대향하도록, 상단 노치부(20D), 중간단 노치부(20E), 하단 노치부(20F)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루버 바닥부(12)에 장착되는 외부 커버(20)의 하부에는, 그 전측에 위치하여 루버 바닥부(12)를 구성하는 주연부(14)의 걸림 홈(14A)에 걸리는 걸림 클로(20G)가 설치되고, 배면측에는, 주연부(14)의 걸림 클로(14B)가 걸리는 걸림 돌기(20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 돌기(20H)보다 상측에는, 내측 커버(19)의 걸림 단부(19H)와 걸리는 걸림 클로(20J)가 설치되어 있다.
21은 커버부(18)의 배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앞을 향해 개구하여 설치된 취출구이다. 이 취출구(21)는, 내측 커버(19)의 개구(19C)와 외측 커버(20)의 개구(20C)를 서로 겹침으로써, 예를 들면, 상측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하측이 직사각형상을 이룬 대략 D자 형상의 개구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취출구(21)는, 공조 덕트(10)로부터 공조용 루버(11) 안으로 유입된 조화 공기를 승차 공간으로 내뿜음으로써, 루버 바닥부(12)의 유입구(16)에 의한 조화 공기의 흐름 방향(대략 수직 방향)과 다른 가로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취출구(21)는, 후술하는 각 핀(22, 23, 24)이 설치되어 있다.
22는 취출구(21)의 상측 부분을 폐색하도록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단 핀(fin)으로, 당해 상단 핀(22)의 좌, 우 방향의 가장자리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하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회전운동 지점이 되는 지지 핀(pin)(22A)이 좌, 우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 핀(22A)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중간단 핀(23)과 하단 핀(24)과 연동하여 회전운동하기 위한 연동 아암(22B)이 지지 핀(22A)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단 핀(22)의 내측면에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판 형상의 리브(22C)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단 핀(22)은, 각 지지 핀(22A)이 내측 커버(19)의 상단 누름부(19D)와 외측 커버(20)의 상단 노치부(20D) 사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각 지지 핀(2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다.
23은 취출구(21)의 상, 하 방향의 중간 부분을 폐색하도록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중간단 핀(fin)으로, 당해 중간단 핀(23)은, 상단 핀(22)의 하측에 배치된 좌, 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판체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단 핀(23)에는, 상기 서술한 상단 핀(22)과 대략 마찬가지로, 좌, 우 방향의 가장자리에 회전운동 지점이 되는 지지 핀(pin)(23A)이 설치되고, 당해 각 지지 핀(23A)의 선단부에 연동 아암(23B)이 설치되며, 내측에 위치하는 면에 리브(23C)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단 핀(23)은, 각 지지 핀(23A)이 내측 커버(19)의 중간단 누름부(19E)와 외측 커버(20)의 중간단 노치부(20E) 사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각 지지 핀(23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다.
24는 취출구(21)의 하측 부분을 폐색하도록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단 핀(fin)으로, 당해 하단 핀(24)은, 중간단 핀(23)의 하측에 배치된 좌, 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판체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 핀(24)에는, 상기 서술한 상단 핀(22)과 대략 마찬가지로, 좌, 우 방향의 가장자리에 회전운동 지점이 되는 지지 핀(pin)(24A)이 설치되고, 당해 각 지지 핀(24A)의 선단부에 연동 아암(24B)이 설치되며, 내측에 위치하는 면에 리브(24C)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단 핀(24)은, 각 지지 핀(24A)이 내측 커버(19)의 하단 누름부(19F)와 외측 커버(20)의 하단 노치부(20F) 사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각 지지 핀(2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다.
25는 각 핀(22, 23, 24)의 좌, 우 양측에 설치된 연결 부재(한쪽만 도시)로, 당해 연결 부재(25)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판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의 장착 구멍(25A, 25B, 2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25)의 장착 구멍(25A)에는 상단 핀(22)의 연동 아암(22B)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착 구멍(25B)에는 중간단 핀(23)의 연동 아암(23B)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 구멍(25C)에는 하단 핀(24)의 연동 아암(24B)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연결 부재(25)는, 3장의 핀(22, 23, 24)의 회전운동 동작(개폐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다.
26?29는 커버부(18) 안에 설치된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인 복수 개의 풍향 변경편을 나타내고 있다. 이 풍향 변경편(26?29)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 바닥부(12)의 유입구(16)로부터 공간부(19J) 안을 상방향으로 유입되는 조화 공기를 취출구(21)를 향하여 풍향을 바꾸는 것이다. 여기서, 풍향 변경편(26?29)은, 루버 바닥부(1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복수 개 세워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 후 방향으로 4열로, 전측으로부터 2개, 1개, 2개, 1개의 순서로 합계 6개 설치되어 있다. 이 풍향 변경편(26?29)의 개수와 배치 형태는, 메시부(17)의 통기 구멍(17A)의 크기, 배치 또는 장착되는 부재의 구조 등에 의해 변경되는 것으로, 이 개수, 형상,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개의 풍향 변경편(26?29) 중, 최전부(제1열)에 위치하는 2개의 풍향 변경편(26)은, 메시부(17)의 전측 가까이에 위치하는 통기 구멍(17A)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풍향 변경편(26)은, 하측의 기단부(26A)가 통기 구멍(17A)의 주위에 고착되고, 중간부(26B)가 기단부(26A)로부터 공간부(19J) 안을 상측으로 연장되고, 선단부(26C)가 중간부(26B)의 상부로부터 취출구(21)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단부(26A)와 중간부(26B)는, 앞측이 개구하도록 상, 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반원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반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기단부(26A)와 중간부(26B)는, 메시부(17)의 통기 구멍(17A) 주위에 설치할 수 있어, 당해 통기 구멍(17A)의 조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이 조화 공기를 선단부(26C)를 향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선단부(26C)는, 예를 들면, 취출구(21)[폐쇄된 상태의 각 핀(22, 23, 24)]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것과 같은 각도를 가지고 가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부(26C)는, 통기 구멍(17A)으로부터 기단부(26A), 중간부(26B)를 따라 상방향으로 흐르는 조화 공기의 흐름의 방향(풍향)을 바꾸어, 조화 공기를 전측으로 개구한 취출구(21)[각핀(22, 23, 24)]를 향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풍향 변경편(26)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2열의 풍향 변경편(27)은, 그 높이 치수가 제1열의 풍향 변경편(26)의 높이 치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 이외는,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열의 풍향 변경편(27)은, 기단부(27A), 중간부(27B) 및 선단부(27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풍향 변경편(27)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3열의 풍향 변경편(28)은, 그 높이 치수가 제2열의 풍향 변경편(27)의 높이 치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 이외는,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3열의 풍향 변경편(28)은, 기단부(28A), 중간부(28B) 및 선단부(28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풍향 변경편(28)의 후측에 위치하는 최후열(제4열)의 풍향 변경편(29)은, 그 높이 치수가 제3열의 풍향 변경편(28)의 높이 치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 이외는,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4열의 풍향 변경편(29)은, 기단부(29A), 중간부(29B) 및 선단부(29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30은 루버 바닥부(12)와 커버부(18)에 걸쳐서 설치된 나사 부재이다. 이 나사 부재(30)는, 루버 바닥부(12)의 상측에 커버부(18)를 장착한 상태로, 루버 바닥부(12)를 구성하는 바닥판부(13)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13A)에 하측으로부터 삽입 통과하여, 커버부(18)를 구성하는 내측 커버(19)의 나사 구멍(19G)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양자 사이를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공조용 루버(11)는, 취출구(21)의 각 핀(22, 23, 24)을 하방향으로 개구시킨 경우에도, 각 풍향 변경편(26?29)의 선단부(26C?29B)에 의해, 각 핀(22, 23, 24)의 내면에 대하여 조화 공기를 예각이 되는 각도(α)[각 핀(22, 23, 24)에서 대략 공통의 각도가 되기 때문에 상단 핀(22)에만 도시하고 있다]로 닿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핀(22, 23, 24)의 내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닿은 조화 공기는, 커버부(18) 안으로 역류하지 않고, 그대로 취출구(21)로부터 내뿜을(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풍향 변경편(26?29)은,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여 높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측에 위치하는 풍향 변경편(26?28)에 방해받지 않고, 취출구(21)를 향하여 많은 조화 공기를 효율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풍향 변경편(26?29)과 루버 바닥부(12)와 메시부(17)는, 1개의 부품으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루버 바닥부(12)를 커버부(18)와 별개로 설치하고, 당해 루버 바닥부(12)의 유입구(16)에 설치한 메시부(17)로부터 상측으로 세워 각 풍향 변경편(26?29)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형을 사용하여 각 풍향 변경편(26?29)을 1회의 성형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기 서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캡(5)에 탑승하고, 주행용의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한편, 캡(5) 안의 오퍼레이터는, 좌, 우의 작업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 등을 동작시켜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유압 셔블(1)의 작업시에는, 캡(5) 안의 승차 공간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공조 장치를 운전하여 승차 공간에 조화 공기를 공급한다. 이 공조 장치의 운전시에, 실내기(9)로부터의 조화 공기는, 공조 덕트(10)의 덕트 본체(10A)를 거쳐서 캡(5)(승차 공간)의 전측까지 유도되어 공조용 루버(11)에 유입된다. 그리고, 공조용 루버(11)에 유입된 상방향의 조화 공기는, 풍향 변경편(26?29)에 의해 앞을 향해 개구된 취출구(21)를 향하여 안내할 수 있고, 각 핀(22, 23, 24) 사이를 통과하여 승차 공간 내에 내뿜을 수 있다.
이때에, 공조용 루버(11)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취출구(21)를 전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캡 박스(7)의 앞창(7A)의 혼탁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취출구(21)를 후측 내지 우측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우측 창(7B)의 혼탁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취출구(21)를 오퍼레이터가 향하게 함으로써, 조화 공기를 오퍼레이터를 향하여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각 핀(22, 23, 24)을 상, 하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조화 공기의 취출 방향을 상, 하로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조용 루버(11)의 커버부(18) 안에는, 루버 바닥부(12)의 유입구(16)로부터 상방향으로 유입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바꾸어, 커버부(18)에 앞을 향해 개구하여 설치된 취출구(21)를 향하는 각 풍향 변경편(26?29)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취출구(21)를 향하여 흐르는 조화 공기는, 당해 취출구(21)에 설치한 각 핀(22, 23, 24)을 하측을 향한 경우에도, 당해 각 핀(22, 23, 24)에 대하여 예각으로 닿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각 핀(22, 23, 24)을 따르게 하도록 조화 공기를 취출구(21)로부터 승차 공간으로 내뿜을 수 있다.
이 결과, 공조 장치의 실내기(9)로부터 공조 덕트(10)를 통해 공급되는 조화 공기는, 각 풍향 변경편(26?29)에 의한 풍향의 변경에 의해 취출구(21)를 향하여 유통시킬 수 있고, 각 핀(22, 23, 24)의 각도와 상관없이, 승차 공간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캡(5) 안의 승차 공간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루버 바닥부(12)의 유입구(16)에는, 다수 개의 통기 구멍(17A)으로 이루어지는 메시부(1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잘못해서 동전, 휴지 등의 이물질이 취출구(21)로부터 커버부(18) 안으로 들어간 경우에도, 메시부(17)는 공조 덕트(10)의 덕트 본체(10A) 측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각 풍향 변경편(26?29)은, 하측의 기단부(26A?29A)를 메시부(17)의 통기 구멍(17A)의 주위에 고착하고, 중간부(26B?29B)를 기단부(26A)로부터 공간부(19J) 안을 향해 상측으로 연장하고, 선단부(26C?29C)를 중간부(26B)의 상부로부터 취출구(21)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기단부(26A?29A)와 중간부(26B?29B)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부(26A?29A)와 중간부(26B?29B)는, 각 통기 구멍(17A)을 통과하는 조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조화 공기를 선단측의 선단부(26C?29C)까지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통기 구멍(17A)을 통과하여 상방향으로 흐르는 조화 공기는, 선단부(26C?29C)에 닿게 함으로써 풍향을 바꾸어 취출구(21)를 향해 유통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조화 공기의 진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 후 방향으로 4열로 설치한 풍향 변경편(26?29)은,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여 높이 치수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풍향 변경편(27?29)은, 전측에 위치하는 각 풍향 변경편(26?28)에 방해받지 않고, 취출구(21)를 향하여 많은 조화 공기를 효율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취출구(21)의 전체 면으로부터 조화 공기를 내뿜을 수 있어, 냉방 운전, 난방 운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겹쳐지는 내측 커버(19)와 외측 커버(20)를 이용하여, 각 핀(22, 23, 24)의 지지 핀(22A, 23A, 24A)을 끼움으로써, 취출구(21)의 위치에 당해 각 핀(22, 23, 24)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19)의 개구(19C)와 외측 커버(20)의 개구(20C)를 서로 겹침으로써, 각각의 개구(19C, 20C)를 이용하여 취출구(21)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루버 바닥부(12)를 커버부(18)와 별개로 설치하고, 당해 루버 바닥부(12)의 유입구(16)에 설치한 메시부(17)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서 각 풍향 변경편(26?29)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형을 이용하여 각 풍향 변경편(26?29)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루버 바닥부(12)와 메시부(17)와 각 풍향 변경편(26?29)을, 1개의 부품으로서 일체 성형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 부착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루버 바닥부(12)의 유입구(16)에 메시부(17)를 설치하고, 당해 메시부(17)에 각 풍향 변경편(26?29)을 장착함으로써, 당해 각 풍향 변경편(26?29)을 커버부(18) 안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내측 커버(19')의 좌, 우의 측부 사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풍향 변경편(41?44)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의해도,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루버 바닥부(12)의 유입구(16)로부터 상방향으로 유입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바꾸어서 취출구(21)를 향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18)를 외측 커버(20)와 내측 커버(19)의 2부재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커버부를 1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공조용 루버(11)를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셔블(1)의 캡(5) 안에 배치한 경우를 예에 들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조용 루버(11)는, 예를 들면 자동차, 비행기 등의 승차 공간을 가지고, 공조 장치를 구비한 것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5 : 캡 9 : 실내기
10 : 공조 덕트 10A : 덕트 본체
11 : 공조용 루버 12 : 루버 바닥부
16 : 유입구 17 : 메시부
17A : 통기 구멍 18 : 커버부
19, 19' : 내측 커버 19A, 20A : 배면부
19C, 20C : 개구 20 : 외측 커버
21 : 취출구 22 : 상단 핀
23 : 중간단 핀 24 : 하단 핀
26?29, 41?44 : 풍향 변형편 26A?29A : 기단부
26B?29B : 중간부 26C?29C : 선단부

Claims (4)

  1.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조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루버 바닥부와, 당해 루버 바닥부의 상측에 장착되고 배면측이 폐색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획정하는 커버부와, 당해 커버부의 배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앞을 향해 개구하여 설치되어 조화 공기를 승차 공간으로 내뿜는 취출구와, 당해 취출구에 설치되어 조화 공기의 취출 방향을 가변하도록 조정하는 핀(fin)으로 이루어지는 공조용 루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내의 공간부에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간부 안을 상방향으로 유입되는 조화 공기를 상기 취출구를 향하여 풍향을 바꾸는 풍향 변경편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루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변경편은, 상기 루버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복수 개 세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공조용 루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변경편은, 그 기단측이 상기 루버 바닥부에 장착되고, 중간부가 상기 공간부 안을 상측으로 연장하며, 선단측이 상기 취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공조용 루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부에 상기 공간부를 획정하는 내측 커버와, 당해 내측 커버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겹쳐 설치된 외측 커버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취출구는, 상기 내측 커버의 개구와 외측 커버의 개구를 서로 겹침으로써 형성하며,
    상기 핀은, 그 측방 위치에 설치한 지지 핀(pin)을 상기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 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 커버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공조용 루버.
KR1020110134271A 2010-12-15 2011-12-14 공조용 루버 KR101740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9200 2010-12-15
JP2010279200A JP5483456B2 (ja) 2010-12-15 2010-12-15 空調用ルー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296A true KR20120067296A (ko) 2012-06-25
KR101740535B1 KR101740535B1 (ko) 2017-05-26

Family

ID=4640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271A KR101740535B1 (ko) 2010-12-15 2011-12-14 공조용 루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83456B2 (ko)
KR (1) KR101740535B1 (ko)
CN (1) CN1025638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3300A1 (en) * 2013-12-27 2015-07-02 Hyundai Motor Company Air vent apparatus for vehicle
CN105509284A (zh) * 2015-12-18 2016-04-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导风板组件及空调器
CN105546637B (zh) * 2015-12-18 2019-07-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DE102017223126A1 (de) 2017-12-18 2019-06-19 Wirtgen Gmbh Bodenbearbeitungsmaschine mit Bedienpult mit verbessertem Vandalismusschutz
GB2582818B (en) 2019-04-05 2022-02-16 Dyson Technology Ltd Vehicle vent assembly
GB2582819B (en) * 2019-04-05 2024-01-03 Dyson Technology Ltd Vehicle ven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5917C2 (de) * 1975-06-11 1983-11-10 Schmidt Reuter Ingenieurgesellschaft mbH & Co KG, 5000 Köln Anordnung zum Belüften oder Klimatisieren von Aufenthaltsräumen
JPH0522750Y2 (ko) * 1986-10-03 1993-06-11
JP3325414B2 (ja) * 1994-12-28 2002-09-17 日立建機株式会社 空調用ダクト
JP3385993B2 (ja) * 1999-02-01 2003-03-1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のエアアウトレット
JP3364792B2 (ja) * 1999-03-11 2003-01-08 豊和化成株式会社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JP2001141295A (ja) * 1999-11-11 2001-05-25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吹き出し装置
CN2405789Y (zh) * 1999-12-15 2000-11-15 苏金泉 多用途汽车空调机
JP4022365B2 (ja) * 2000-11-06 2007-12-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温風吹出し装置
JP2006170509A (ja) * 2004-12-15 2006-06-29 Howa Kasei Kk レジスタ
JP5318518B2 (ja) * 2008-10-15 2013-10-16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吹出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83456B2 (ja) 2014-05-07
KR101740535B1 (ko) 2017-05-26
CN102563830A (zh) 2012-07-11
JP2012126248A (ja) 2012-07-05
CN102563830B (zh)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7296A (ko) 공조용 루버
JP3622483B2 (ja) 車両の空調装置
DE112014001828B4 (de) Luftgebläsevorrichtung
JP3325414B2 (ja) 空調用ダクト
JP637153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1626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002364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7090045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2120980A1 (ja) 空気吹出装置
JP2004203169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7061842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JP2007062575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709910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95838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695838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1704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029307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20100023185A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JP5191189B2 (ja) 旋回作業車
JP2010158922A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0714507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7159861A (ja) レジスタ
JP2009023530A (ja) 車室内用空気吹出装置
JP200829068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22080069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