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597B1 - 버스 구조 및 입출력 버퍼 - Google Patents

버스 구조 및 입출력 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597B1
KR100212597B1 KR1019960058332A KR19960058332A KR100212597B1 KR 100212597 B1 KR100212597 B1 KR 100212597B1 KR 1019960058332 A KR1019960058332 A KR 1019960058332A KR 19960058332 A KR19960058332 A KR 19960058332A KR 100212597 B1 KR100212597 B1 KR 100212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signal
mode
bus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746A (ko
Inventor
마사오 다구치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98001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72Drivers or receivers
    • G06F13/4077Precharging or discha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6Bus impedance matching, e.g. termin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6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control or a clock signal, e.g. in order to apply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45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programm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 Dram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S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하여 충분한 소비전력 삭감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와 이 버스에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을 포함하는 장치는 종단 전압원, 종단 저항, 및 종단 전압원과 버스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 1 모드에서는 버스를 종단 저항을 통해 종단 전압원에 접속하고, 제 2 모드에서는 버스를 종단 전압원으로부터 분단하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 구조 및 입출력 버퍼
본 발명은 복수의 집적회로칩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주파수 신호에 의한 고속 데이타 전송과 저주파수 신호에 의한 저속 데이타 전송에 대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고속화에 따라서 LSI 칩간의 데이타 전송에 있어서도 보다 높은 주파수를 이용한 보다 고속의 데이타 전송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LSI 의 입출력 레벨인 TTL 레벨이나 CM0S 레벨에서는 신호 주파수가 50MHz 를 초과할때부터 신호의 반사의 영향이나 크로스토크의 영향이 커지고 정상적인 데이타 전송이 곤란하게 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신호 레벨을 1V 이하로 억제한 소진폭 신호를 이용하는 CTT(Center Tapped Termination)나 GTL(Gunning Trasnceiverc Logic)등의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도 주파수 한계나 칩의 소비전력등의 점에 있어서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발명자는 고속 소진폭 인터페이스 규격 SSTL(Stub Series Terminated Logic)를 제창하고, 이 규격은 JEDEC(미국전자공업회의 하부조직)에 의해서 업계 표준화 규격으로서 인지되었다. 도 20 에 SSTL 의 버스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TL 에서는 특성 임피던스 Z0를 갖는 버스(10)에 특성 임피던스 Z1를 갖는 스터브 부분(배선 분기 부분)(11)을 결합할때, 양쪽간에 저항 Rs 를 삽입한다. 이 저항 Rs 는 Z0/2+Rs=Z1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크기이다. 이 경우, 디바이스단에서 반사한 신호가 버스(10)로 복귀할때에, 스터브 부분(11)과 그 앞에서 임피던스의 정합이 취해지기 때문에 반사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송 신호에 과도응답이 나타나지 않고 고속의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여진다. 또한 SSTL 에서는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 전압 Vtt 가 종단 저항 Rt 를 통해 버스(10)에 접속되어 있다. 종단 전압 Vtt 는 전원전압보다도 낮게 설정되고, 또한 종단 저항 Rt 의 값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버스(10)의 종단에 있어서의 신호의 반사를 방지한다.
실사용시에 종단 전압 Vtt 는 약 1.5V 이고, 수신기(버스로부터의 신호 입력부)에서 사용하는 참조 기준전압 Vref 도 또한 약 1.5V 로 설정된다. 또 종단 저항Rt 는 약 50Ω, 저항 Rs 는 약 25Ω 이다.
상술의 SSTL 은 고속의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지만, 전력 절약성이 열악하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퍼서널 컴퓨터나 EWS 등에서는 예컨대 일정시간 키보드등으로부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 클록을 저속화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약하는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그러나, SSTL 에 준거하는 시스템에서는 신호 입력측에서 고속 데이타 전송용의 입력 버퍼가 필요하게 되고 이것이 많은 전력을 소비하며, 또한 버스측에서는 종단 저항 Rt 가 전력을 소비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서 SSTL 의 시스템에서는 단지 클록을 저속화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소비전력 저하가 달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SS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하여 충분한 소비전력 삭감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버스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고속 데이타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SSTL 의 본래의 주기능을 고려한 경우에는,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면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방책의 하나로서 SSTL 의 시스템에 내장하는 칩에 대하여 시스템의 고속 동작 특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을 부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SSTL 에 이용되는 칩은 용도의 다양성을 감안하여 LVTTL 에 기초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SSTL 에 이용되는 칩은 그대로 LVTTL 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어떤 칩을 LVTTL 을 이용한 상대적으로 저속의 시스템에 내장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칩을 SSTL 을 이용한 고속인 시스템에 내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특성을 칩에 부여하여 칩을 특수화시킨 경우, 그와 같은 칩은 LVT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적절히 사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LVTTL 의 시스템에도 사용가능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그와 같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칩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SS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하여 충분한 소비전력 삭감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버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LVTTL 의 시스템에도 사용가능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그와 같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발명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및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을 포함하는 장치는 종단 전압원, 종단 저항, 및 상기 종단 전압원과 상기 버스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버스를 상기 종단 저항을 통해 상기 종단 전압원에 접속하고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버스를 상기 종단 전압원으로부터 분단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 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신호를 제 1 주파수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신호를 제 2 주파수로 전송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제 2 주파수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3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제어신호에 의해서 온/오프가 제어되는 C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종단 저항은 상기 CMOS 트랜지스터의 내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4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3 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5 항의 발명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 및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 1 주파수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를 상기 제 1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주파수로 변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장치의 동작이 상기 제 2 주파수로 안정하게 동작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종단 전압을 상기 버스로부터 분단함으로써 상기 신호의 진폭을 증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6 항의 발명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및 상기 버스에 상기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 1 주파수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높은 제 2 주파수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를 종단 저항을 통해 종단 전압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신호의 상기 진폭이 안정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를 상기 제 1 주파수에서 상기제 2 주파수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7 항의 발명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제 1 주파수로 전송되는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신호를 수취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신호가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로 전송되는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신호를 수취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의 출력과 상기 제 2 버퍼의 출력을 결합하여 내부 회로에 공급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버퍼의 동작시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버퍼의 동작시의 소비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8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7 항 기재의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는 참조 기준전압과의 비교에 의해 상기 신호의 레벨을 판정하는 차동 증폭기이고, 상기 제 2 버퍼는 CMOS 트랜지스터에 의한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9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7 항 기재의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는 상기 제 1 모드외에 상기 제 2 모드에서도 동작하고, 참조 기준전압과의 비교에 의해 상기 신호의 레벨을 판정하는 제 1 차동 증폭기이고,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참조 기준전압과의 비교에 의해 상기 신호의 레벨을 판정하는 제 2 차동 증폭기이며,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폭이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0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9 항 기재의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상기 참조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참조 기준전압 내부 발생 수단과, 상기제 1 모드에서는 외부에서 인가된 상기 참조 기준전압을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에 공급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참조 기준전압 내부발생 수단에 의해서 내부 발생된 상기 참조 기준전압을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에 공급하는 스위치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1 항의 발명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의 출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를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상기 장치가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상기 장치가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2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1 항 기재의 출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구동능력 전환 수단은 제어신호를 수취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3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2 항 기재의 출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장치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4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2 항 기재의 출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참조 기준전압의 레벨을 판정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청구범위 제 15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2 항 기재의 출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설치된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6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1 항 기재의 출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는 전원 전압과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NMOS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의 접속점을 상기 제 1 버퍼와 상기 제 2 버퍼의 사이에 접속하여 상기 접속점에 나타나는 신호를 출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7 항의 발명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를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8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7 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능력 전환 수단은 제어신호를 수취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9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8 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0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8 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참조 기준전압의 레벨을 판정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1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8 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2 항의 발명에서는, 청구범위 제 18 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는 전원전압과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N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의 접속점을 상기 제 1 버퍼와 상기 제 2 버퍼와의 사이에 접속하여 상기 접속점에 나타나는 신호를 출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3 항의 발명에서는, DRAM 에 있어서,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데이타 신호를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데이타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를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데이타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데이타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4 항의 발명에서는, DRAM 에 있어서,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데이타 신호가 제 1 주파수로 전송되는 제 1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되고 상기 데이타 신호를 수취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데이타 신호가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로 전송되는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되고 상기 데이타 신호를 수취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의 출력과 상기 제 2 버퍼의 출력을 결합하여 내부 회로에 공급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버퍼의 동작시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버퍼의 동작시의 소비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5 항의 발명에서는, 버스 구동 방법에 있어서,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의 출력 버퍼에서 상기 신호를 제 1 버퍼로부터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모드 및 상기 신호를 제 2 버퍼로부터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모드를 가지며, 상기 제 1 버퍼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버퍼의 구동력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6 항의 발명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의 출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보다도 작은 구동력을 가지며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상기 장치가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상기 장치가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7 항의 발명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보다도 작은 구동력을 가지며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8 항의 발명에서는, DRAM 에 있어서,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데이타 신호를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보다도 작은 구동력을 가지며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데이타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데이타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데이타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SSTL 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버스 구조에 있어서, 종단 저항을 스위치 수단에 의해 버스로부터 분단함으로써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할 때에 충분한 소비전력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5 항 및 제 6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SS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하여 소비전력 삭감을 도모할 때에 스무스한 모드의 전환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7 항 내지 제 10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SSTL 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입력 버퍼에 있어서, 고속 동작에서 고소비전력의 버퍼와 저속 동작에서 저소비전력의 버퍼를 전환함으로써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할 때에 충분한 소비전력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출력 버퍼는 SSTL 의 시스템에서는 높은 출력 구동능력을 가지며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LVTTL 의 시스템에서는 낮은 출력 구동능력을 가지며 LVTTL 에서도 적절히 사용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장치의 출력 버퍼는 SSTL 의 시스템에서는 높은 출력 구동 능력을 가지며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LVTTL 의 시스템에서는 낮은 출력 구동 능력을 가지며 LVTTL 에서도 적절히 사용가능하도록 동작한다.
청구범위 제 23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DRAM 은 레지스터에 격납한 정보에 의해서 출력 버퍼의 출력 구동능력을 제어함으로써 SSTL 의 시스템에서는 높은 출력 구동능력에 의해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LVTTL 의 시스템에 있어서도 낮은 출력 구동능력에 의해 적절하게 동작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 24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DRAM 은 레지스터에 격납한 정보에 의해 고속 동작에서 고소비전력의 입력 버퍼와 저속 동작에서 저소비전력의 입력 버퍼를 전환함으로써, SS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할 때에 충분한 소비전력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원리에 따른 버스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원리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원리의 제 1 실시예에서 고속 동작 모드에서 저속 동작 모드로 전환할때의 제어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원리의 제 1 실시예에서 저속 동작 모드에서 고속 동작 모드로 전환할때의 제어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의 제 2 원리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원리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원리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원리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원리 및 제 2 원리를 적용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 은 도 9 의 시스템에 이용되는 메모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1 은 도 10 의 메모리의 모드 레지스터에 격납되는 데이타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 는 도 9 의 시스템에서 저속 동작 모드에서 고속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3 은 도 9 의 시스템에서 고속 동작 모드에서 저속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4 는 도 10 의 메모리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3 원리에 의한 출력 버퍼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3 원리에 따른 출력 버퍼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17 은 도 16 의 출력 버퍼 유닛에서 이용되는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3 원리를 응용한 DRAM 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9 는 도 10 의 메모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0 은 SSTL 에 기초하는 종래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스 11 : 스터브 부분
13 : 메모리 20 : 출력 버퍼
21,22 : 스위치 수단 23 : 입력 버퍼
24 : MPU 30,30A,30B : 터미네이터 유닛
40 : 고속·고소비전력 버퍼 41 : 저속·저소비전력 버퍼
42 : 결합 수단 43 : 제 1 버퍼
44 : 제 2 버퍼 45 : 스위치 수단
50 : 고속·고소비전력 버퍼 60 : 저속·저소비전력 버퍼
70 : 신호 결합 유닛 80 : 제 1 버퍼
90 : 제 2 버퍼 100 : 인버터
120 : 출력 구동능력 전환 수단 130 : 출력 버퍼
140 : 출력 구동능력 전환 유닛 150,150A :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
160 : 참조 기준전압 내부 발생 회로
231 : 클록 버퍼 232,232A,232B : 명령 디코더
233,233A,233B :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
234 : I/O 데이타 버퍼/레지스터
235 : 제어신호 래치 236 : 모드 레지스터
237 : 열어드레스 카운터 238 : 메모리 코어
이하에 본 발명의 원리와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원리에 따른 버스 구조를 나타낸다. 도 1 의 버스 구조는 버스(10), 출력 버퍼(20)를 버스(10)에 접속하기 위한 저항 Rs, 종단 전압 Vtt 를 버스(10)에 접속하기 위한 종단 저항 Rt 및 스위치 수단(21,22)을 포함한다. 신호가 출력 버퍼(20)로부터 송출되어 버스(10)를 통해 입력 버퍼(23)에 전송된다. 입력 버퍼(23)에는 참조 전압 Vref 가 공급되고, 입력 신호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입력 신호의 하이 혹은 로우를 결정한다. 스위치 수단(21,22)에는 제어신호 S 가 공급되어 스위치 수단(21,22)의 개폐를 제어한다.
고속 동작(고소비전력) 모드에서는, 제어신호 S 에 의해서 스위치 수단(21,22)은 폐쇄되고, 도 1 의 버스 구조는 SSTL 의 버스 구조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 반사를 막음으로써 고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한 고속의 데이타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이 때, 종단 전압 Vtt 가 스위치 수단(21,22)과 종단 저항 Rt 를 통해 버스(10)에 접속되기 때문에, 버스(1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진폭은 비교적 작다.
저속 동작(저소비전력) 모드에서는, 제어신호 S 에 의해 스위치 수단(21,22)이 개방되어 종단 전압 Vtt 가 버스(10)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도 1 의 버스 구조는 LVTTL 의 버스 구조와 유사하게 된다. 즉, 저항 Rs 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LVTTL 과 등가이다. 이 때, 종단 전압 Vtt 가 분리되어 종단 저항 Rt 는 기능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버스(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신호의 진폭은 고속 동작 모드의 경우의 신호 진폭에 비해 커진다. 이 상태에서는 종단 저항 Rt 에서의 전력 소비가 제로이기 때문에, 고속 동작 모드의 경우에 비해 전력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주파수(클록 주파수)를 저하시킴으로써 저주파수로 대진폭의 신호 전송을 실현하는 것으로 전력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다.
도 2 에는 본 발명의 제 1 원리에 따른 신호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 에 있어서 도 1 과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기호로 참조되어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2 의 신호 전송 시스템은 버스(10), 출력 버퍼(20), 입력 버퍼(23), 저항 Rs, MPU(마이크로 프로세서)(24) 및 터미네이터 유닛(30)을 포함한다. 터미네이터 유닛(30)은 인버터(31), PMOS 트랜지스터(32), NMOS 트랜지스터(33), PMOS 트랜지스터(34) 및 NMOS 트랜지스터(35)를 포함한다. 여기서 PMOS 트랜지스터(32) 및 NMOS 트랜지스터(33)는 도 1 의 스위치 수단(21) 및 그것에 대응하는 종단 저항 Rt 에 상당하고, PMOS 트랜지스터(34) 및 NMOS 트랜지스터(35)가 도 1의 스위치 수단(22) 및 그것에 대응하는 종단 저항 Rt 에 상당한다. 즉, PMOS 트랜지스터(32) 및 NMOS 트랜지스터(33)의 쌍은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약 50Ω 의 내부 저항을 가짐으로써 종단 저항Rt 의 역할을 한다. PMOS 트랜지스터(34) 및 NMOS 트랜지스터(35)의 쌍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와의 쌍이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저항치의 비선형 특성을 억압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의 CMOS 타입이 사용하고 있지만, NMOS 트랜지스터 및 또 하나의 N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도 동일하게 실현된다. 이와 같은 NMOS 트랜지스터와 CM0S 와의 관계는 공지되어 있다.
MPU(24)는 제어신호 LP(도 1의 제어신호 S 에 대응)를 터미네이터 유닛(30)에 공급한다. 제어신호 LP는 MPU(24)에 의해서 고속 동작 모드시는 로우(논리 레벨 0)로 설정되고 저속 동작 모드시에는 하이(논리 레벨 1)로 설정된다.
제어신호 LP 가 로우인 경우, PMOS 트랜지스터(32) 및 PMOS 트랜지스터(34)는 온이 된다. 또한 이 때 인버터(31)의 출력은 하이가 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33) 및 NMOS 트랜지스터(35)도 온이 된다. 즉 버스(10)는 종단 저항 Rt 를 통해 종단 전압 Vtt 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2 의 신호 전송 시스템은 SSTL 에 준거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소진폭으로 고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신호 LP 가 하이인 경우, PMOS 트랜지스터(32) 및 PMOS 트랜지스터(34)는 오프가 된다. 또한 이 때, 인버터(31)의 출력은 로우가 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33) 및 NMOS 트랜지스터(35)도 오프가 된다. 즉, 버스(10)는 종단 전압 Vtt 에서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2 의 신호 전송 시스템은 LVTTL 에 유사한 구성으로 되고, 대진폭의 저주파수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즉, 저속인 전송 속도로 저소비전력의 시스템이 실현된다.
도 2 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버스 배선을 한개만 나타내었지만, 실제로는 버스의 배선 개수는 시스템 전체에서 100개 정도인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종단 저항의 수가 방대해져 MPU(24)로부터 예상하여 입력한 경우의 제어신호 LP 용의 단자의 입력 용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저속 동작(저소비전력) 모드/고속 동작(고소비전력) 모드의 전환을 순간적으로 끝낼 수 없다. 그래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서 양 모드간의 전환을 행한다.
도 3 은 고속 동작(고소비전력) 모드에서 저속 동작(저소비전력) 모드로 전환할때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 에서는 저속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명령이 MPU 로부터 발행된다.
단계 S2 에서는 명령에 응답하여 클록 주파수를 저하시킨다. 이 때, 종단 저항이 없는 상태에 있어서도 시스템이 동작 가능한 주파수까지 클록 주파수를 저하시킨다.
단계 S3 에서는 주파수가 저하된 클록에서 시스템 전체가 안정될 때까지 클록 펄스를 시스템에 계속 이송한다.
단계 S4 에서는 제어신호 LP 를 하이로 한다. 이로써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의 쌍(도 2 참조)이 오프가 되고 버스상의 신호 진폭이 커진다. 이것을 짧은 시간 범위로 생각하면, 트랜지스터 쌍이 오프가 되는 것은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저항치가 증대하는 형태로 발생된다. 따라서, 버스상의 신호 진폭은 서서히 증대한다.
도 4 는 저속 동작(저소비전력) 모드에서 고속 동작(고소비전력) 모드로 전환할때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1 에서는 고속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명령이 MPU 에서 발행된다.
단계 S12 에서는 제어신호 LP 를 로우로 한다. 이로써,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의 쌍(도 2 참조)이 온이 되고, 버스상의 신호 진폭이 작아진다. 이것을 짧은 시간 범위로 생각하면, 트랜지스터 쌍이 온이 되는 것은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저항치가 감소하는 형태로 발생된다. 따라서, 버스상의 신호 진폭은 서서히 감소한다.
단계 S13 에서는 버스상의 신호 진폭이 안정될 때까지 클록 펄스를 시스템에 계속 이송한다.
단계 S14 에서는 클록 주파수를 올린다.
또 도 2 의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개시시에 고속 동작 모드 혹은 저속 동작 모드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설정해 둔다.
도 5a 및 도b 는 본 발명의 제 2 원리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고, 이 입력 버퍼 유닛은 저속 동작(저소비전력) 모드 및 고속 동작(고소비전력) 모드의 양방에 대응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a 에 도시되는 입력 버퍼 유닛은 고속·고소비전력 버퍼(40), 저속·저소비전력 버퍼(41) 및 신호 결합 수단(42)을 포함한다.
고속·고소비전력 버퍼(40)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차동 입력형의 증폭기이고,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수취한다. 입력 신호와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비교하여, 입력신호가 참조 기준전압 Vref 보다 큰 경우에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신호가 참조 기준전압 Vref 보다 작은 경우에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고속·고소비전력 버퍼(40)는 제어신호 LP 를 수취하여 이것이 로우일 때에만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저속·저소비전력 버퍼(41)는 CMOS를 이용한 통상의 버퍼이다. 단, 저속·저소비전력 버퍼(41)는 제어신호 LP 를 수취하여 이것이 하이일 때만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신호 결합 수단(42)은 고속·고소비전력 버퍼(40) 혹은 저속·저소비전력 버퍼(41)로부터의 신호를 내부 회로에 공급한다.
고속 동작(고소비전력) 모드에서는 제어신호 LP 가 로우로 설정된다. 따라서, 고속·고소비전력 버퍼(40)가 사용되어 고주파수 신호의 데이타가 고속으로 내부 회로에 공급된다. 저속 동작(저소비전력) 모드에서는 제어신호 LP가 하이로 설정된다. 따라서, 저속·저소비전력 버퍼(41)가 사용되어 저주파수 신호의 데이타가 과잉의 전력 소비를 수반하는 일없이 내부 회로에 공급된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제 2 원리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 구성의 변형을 나타낸다. 도 5b 의 입력 버퍼 유닛은 제 1 버퍼(43)와, 제 2 버퍼(44)와, 스위치 수단(45)을 포함한다.
제 1 버퍼(43) 및 제 2 버퍼(44)는 모두 차동 입력형의 증폭기이다. 단, 제 1 버퍼(43)에서 이용되는 MOS 트랜지스터는 제 2 버퍼(44)에서 이용되는 MOS 트랜지스터에 비해 넓은 게이트폭을 가진다. 제 1 버퍼(43)의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폭은 예컨대, 제 2 버퍼(44)의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폭의 5배이다. 또한, 제어신호 LP가 제 1 버퍼(43)에 공급되고, 제 1 버퍼(43)의 동작/비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동작 모드에서는 제어신호 LP 가 로우이고, 제 1 버퍼(43)는 동작 상태가 되며, 저속 동작 모드에서는 제어신호 LP가 하이이고, 제 1 버퍼(43)는 비동작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고속 동작 모드에서는 제 1 버퍼(43)와 제 2 버퍼(44)가 병렬로 동작한다. 이 때, 제 2 버퍼(44)의 게이트폭을 기준 게이트폭으로 하고, 제 1 버퍼(43)의 게이트폭이 기준 게이트폭의 5배로 하면, 제 1 버퍼(43)와 제 2 버퍼(44)로 기준 게이트폭의 6배의 게이트폭의 입력 버퍼가 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이 빠르고, 고주파수의 신호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제 2 버퍼(44)의 소비전력의 거의 6배의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에 비해 저속 동작 모드에서는 제 2 버퍼(44)만이 동작한다. 이 때, 고속 동작 모드시에 비교하여 게이트폭이 1/6 이 되기 때문에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이 느리고, 저주파수의 신호 입력만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고속 동작 모드시에 비해 약 1/6 의 소비전력을 갖는다.
또 스위치 수단(45)은 제어신호 LP 의 제어에 의해 고속 동작 모드시에는 외부인가된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공급하고, 저속 동작 모드시에는 내부 발생시킨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단, 참조 기준전압 Vref 는 고속 동작 모드와 저속 동작 모드의 양쪽의 모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스위치 수단(45)은 본 발명의 제 2 원리에 필요한 것이 아니고, 참조 기준전압 Vref 의 부여 방법중의 한 예로 도시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 2 원리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에서는 고소비전력이지만 고속 데이타 전송에 알맞는 버퍼와, 저속 데이타 전송이지만 저소비전력인 버퍼를 제어신호의 값에 따라서 전환한다. 따라서, SSTL 에 준거한 시스템에 있어서 저속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소비전력의 삭감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신호는 외부 프로세서로부터 부여되지만, 제어신호 입력 단자를 설치하여 제어신호를 수취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DRAM 등에서는 모드 레지스터에 명령으로서 기록하여 칩 내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도 좋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원리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 의 입력 버퍼 유닛은 도 5a 에 나타낸 구성에 대응한다.
도 6 의 입력 버퍼 유닛은 고속·고소비전력 버퍼(50), 저속·저소비전력 버퍼(60), 신호 결합 유닛(70)을 포함한다.
고속·고소비전력 버퍼(50)는 PMOS 트랜지스터(51∼54), NMOS 트랜지스터(55∼57), PMOS 트랜지스터(58) 및 NMOS 트랜지스터(59)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58) 및 NMOS 트랜지스터(59)는 인버터를 구성하고, 공급된 제어신호 LP 를 반전하여 반전 제어신호 /LP 를 생성한다(/는 신호의 반전을 나타냄). 또한, PMOS 트랜지스터(52,53)와 NMOS 트랜지스터(55∼57)가 차동 증폭기를 구성한다. 차동 증폭기의 동작/비동작은 PMOS 트랜지스터(51,54)와 NMOS 트랜지스터(57)에 인가되는 반전 제어신호 /LP 에 의해 제어된다.
고속 동작 모드시, 제어신호 LP 는 로우이고, 반전 제어신호 /LP 는 하이가 된다. 이로써 PMOS 트랜지스터(51,54)는 오프가 되고, NMOS 트랜지스터(57)는 온이 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52,53)와 NMOS 트랜지스터(55∼57)가 차동 증폭기로서 동작한다. 차동 증폭기는 NMOS 트랜지스터(55)의 게이트 입력인 입력 신호와, NMOS 트랜지스터(56)의 게이트 입력인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비교한다. 입력 신호가 참조 기준전압 Vref 보다 높은 전압인 경우에 고속·고소비전력 버퍼(50)는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입력 신호가 참조 기준전압 Vref 보다 낮은 전압인 경우에는, 고속·고소비전력 버퍼(50)는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저속 동작 모드시, 제어신호 LP 는 하이이고, 반전 제어신호 /LP 는 로우가 된다. 이로써 PMOS 트랜지스터(51,54)는 온이 되고, NMOS 트랜지스터(57)는 오프가 된다. 따라서, 고속·고소비전력 버퍼(50)는 항상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저속·저소비전력 버퍼(60)는 PMOS 트랜지스터(61,62)와, NMOS 트랜지스터(63,64)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61,62)와 NMOS 트랜지스터(63,64)는 제어신호 LP 와 입력 신호를 2개의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를 구성한다.
고속 동작 모드시, 제어신호 LP 는 로우이다. 이로써 PMOS 트랜지스터(62)는 온이 되고, NMOS 트랜지스터(63)는 오프가 된다. 따라서, 저속·저소비전력 버퍼(60)는 항상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저속 동작 모드시, 제어신호 LP 는 하이이다. 이로써, PMOS 트랜지스터(61,62)와 NMOS 트랜지스터(63,64)로 이루어지는 NAND 회로는 신호 입력에 대한 인버터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저속·저소비전력 버퍼(60)는 신호 입력의 반전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결합 유닛(70)은 PMOS 트랜지스터(71,72)와, NMOS 트랜지스터(73,74)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71,72)와 NMOS 트랜지스터(73,74)는 NAND 회로를 구성한다. 고속 동작 모드와 저속 동작 모드의 각 모드에 있어서, 고속·고소비전력 버퍼(50)와 저속·저소비전력 버퍼(60)중 동작하고 있지 않는 쪽의 버퍼는 항상 하이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동작하고 있는 쪽의 버퍼는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를 공급한다. 따라서, NAND 회로인 신호 결합 유닛(70)의 출력은 반전 신호가 재차 반전되어 입력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되어 내부 회로에 공급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원리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 의 입력 버퍼 유닛은 도 5b 에 도시된 구성에 대응한다.
도 7 의 입력 버퍼 유닛은 제 1 버퍼(80), 제 2 버퍼(90) 및 인버터(100)를 포함한다.
제 1 버퍼(80)는 PMOS 트랜지스터(81∼83), NMOS 트랜지스터(84∼86), PMOS 트랜지스터(87,88) 및 NMOS 트랜지스터(89)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88) 및 NMOS 트랜지스터(89)는 인버터를 구성하고, 공급된 제어신호 LP 를 반전하여 반전 제어신호 /LP 를 생성한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81,82)와 NMOS 트랜지스터(84∼86)가 차동 증폭기를 구성한다. 이 차동 증폭기의 동작/비동작은 PMOS 트랜지스터(83,87)에 인가되는 반전 제어신호 /LP 에 의해서 제어된다.
고속 동작 모드시, 제어신호 LP 는 로우이고, 반전 제어신호 /LP 는 하이가 된다. 이로써, PMOS 트랜지스터(83,87)는 오프가 되고, 또한 NMOS 트랜지스터(86)가 온이 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81,82)와 NMOS 트랜지스터(84∼86)가 차동 증폭기로서 동작한다. 차동 증폭기는 NMOS 트랜지스터(84)의 게이트 입력인 입력 신호와, NMOS 트랜지스터(85)의 게이트 입력인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비교한다. 입력 신호가 참조 기준전압 Vref 보다 높은 전압인 경우에 제 1 버퍼(80)는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입력 신호가 참조 기준전압 Vref 보다 낮은 전압인 경우에는 제 1 버퍼(80)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저속 동작 모드시, 제어신호 LP 는 하이이고, 반전 제어신호 /LP 는 로우가 된다. 이로써, PMOS 트랜지스터(83,87)는 온이 되고, NMOS 트랜지스터(86)는 오프가 된다. 이 때, PMOS 트랜지스터(81)는 오프가 된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87)가 온이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여하에 관계없이 NMOS 트랜지스터(84)는 오프가 된다. 따라서, 제 1 버퍼(80)의 출력은 항상 부동 상태가 된다.
제 2 버퍼(90)는 PMOS 트랜지스터(91,92)와, NMOS 트랜지스터(93,94)를 포함한다. 이들 트랜지스터는 차동 증폭기를 구성한다. 따라서, 동작 모드의 종류에 관계없이 입력 신호가 참조 기준전압 Vref 보다 높은 전압인 경우에 제 2 버퍼(90)는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입력 신호가 참조 기준전압 Vref 보다 낮은 전압인 경우에는 제 2 버퍼(90)는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인버터(100)는 PMOS 트랜지스터(101)와 NMOS 트랜지스터(102)를 포함한다. 고속 동작 모드시에는 제 1 버퍼(80)와 제 2 버퍼(90)는 모두 동작하고,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를 공급한다. 따라서, 인버터(100)의 출력은 반전 신호가 재차 반전되어 원래의 입력 신호로 되돌아간다. 저속 동작 모드시에는 제 1 버퍼(80)의 출력은 부유상태이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100)의 출력은 제 2 버퍼(9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반전한 원래의 입력 신호가 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원리에 따른 입력 버퍼 유닛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 의 입력 버퍼 유닛은 도 5b 에 도시된 구성에 대응한다. 도 8 에 있어서 도 7 과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번호에 의해서 참조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8 의 입력 버퍼 유닛은 도 7 의 입력 버퍼 유닛과 같이 제 1 버퍼(80), 제 2 버퍼(90) 및 인버터(100)를 포함한다. 단, 도 8 의 제 3 실시예의 입력 버퍼 유닛에 공급되는 참조 기준전압 Vref 은 저속 동작 모드에서는 이 입력 버퍼 유닛을 포함하는 칩의 내부에서 발생된다. 이 때문에 참조 기준전압 전환/내부 발생 회로는 PMOS 트랜지스터(110), 인버터(111,112), NMOS 트랜지스터(113,114) 및 저항 R1 과 R2 를 포함한다.
제어신호 LP 가 인버터(112)에 인력되고, 인버터(112)의 출력이 PMOS 트랜지스터(110)의 게이트 입력, 인버터(111)의 입력 및 NMOS 트랜지스터(114)의 게이트 입력에 공급된다. 또한, 인버터(111)의 출력이 NMOS 트랜지스터(113)의 게이트 입력에 공급된다. NMOS 트랜지스터(114,113)는 직렬로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114)의 소스측에 외부 참조 기준전압 Vref 가 입력되며, NMOS 트랜지스터(113)의 드레인측은 직렬 접속된 저항 R1 및 R2 사이의 결합점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10)의 드레인측은 직렬 접속된 저항 R1 및 R2 의 저항 R1 측에 접속되고 저항 R2 측은 접지된다.
고속 동작 모드시, 제어신호 LP 는 로우이고, 인버터(112)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110)는 오프가 되고, NMOS 트랜지스터(114)는 온이 된다. 이 때 인버터(111)의 출력은 로우이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113)는 오프이다. 따라서 외부 참조 기준전압 Vref 이 제 1 버퍼(80) 및 제 2 버퍼(90)에 공급된다. 또, 이 경우, PMOS 트랜지스터(110)가 오프되기 때문에, 저항 R1 및 R2 에 여분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전력 소비량이 절감된다.
저속 동작 모드시, 제어신호 LP 는 하이이고, 인버터(112)의 출력은 로우가 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110)는 온이 되고, 저항 R1 및 R2 에 전류가 흘러 양저항간의 결합점에 참조 기준전압 Vref 가 생성된다. 또 NMOS 트랜지스터(114)는 오프가 된다. 또한 인버터(111)의 출력은 하이가 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113)는 온이다. 따라서, 내부 생성된 참조 기준전압 Vref 이 제 1 버퍼(80) 및 제 2 버퍼(90)에 공급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원리에 따른 버스 구조와 본 발명의 제 2 원리에 따른 입력 버퍼를 이용한 시스템의 일예이다. 도 9 에 있어서 도 2 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번호로 참조되어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9 의 시스템은 터미네이터 유닛(30A,30B), 종단 저항 Rta, 버스(10), 복수의 스터브 부분(11), 각 스터브 부분(11)과 버스(10)의 사이에 삽입된 저항 Rs 및 각스터브 부분(11)에 접속된 드라이버(12)와 복수의 메모리(13)를 포함한다. 도 9 에 표시되는 터미네이터 유닛(30A,30B)은 2개로 분할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외에는 도 2 의 터미네이터 유닛(30)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종단 저항 Rta 가 터미네이터 유닛(30A,30B)과 버스(10)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터미네이터 유닛의 트랜지스터의 내부 저항뿐만아니라, 직렬로 접속된 저항 Rta 와 트랜지스터의 내부 저항을 모두 종단 저항으로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어신호 LP는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다.
도 10 은 메모리(13)(도 9)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이 메모리(13)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원리가 응용되고 있다. 도 10 의 메모리(13)는 일예로서 동기형 DRAM 으로 가정하며, 클록 버퍼(231), 명령 디코더(232),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 I/O 데이타 버퍼/레지스터(234), 복수의 제어신호 래치(235), 모드 레지스터(236), 복수의 열어드레스 카운터(237) 및 복수의 뱅크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코어(238)를 포함한다.
클록 버퍼(23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클록 신호를 버퍼링하고, 메모리(13)내의 각 블록에 동기 신호를 공급한다. 명령 디코더(232)는 명령 입력을 버퍼링하여 디코드하고, 디코드 결과를 제어신호 래치(235) 및 모드 레지스터(236)에 공급한다.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는 데이타 기록/독출의 대상이 되는 뱅크 어드레스 및 뱅크내 어드레스를 입력으로서 수취하여 버퍼링하고, 모드 레지스터(236), 열어드레스 카운터(237) 및 메모리 코어(238)에 공급한다. 여기서 모드 레지스터(236)에 공급되는 것은 메모리(13)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 어드레스 입력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타이고, 또한 메모리 코어(238)에 공급되는 것은 입력된 어드레스내의 행어드레스이다. I/O 데이타 버퍼/레지스터(234)는 데이타 신호의 입출력에 이용되는 버퍼/레지스터이고, 메모리 코어(238)에 대한 데이타 기록/독출시에 통과하는 버퍼이다.
제어신호 래치(235)는 명령 디코더(232)로부터 입력을 수취하여, 메모리 코어(238)의 각 뱅크에 대한 RAS, CAS, WE 등의 제어신호를 격납한다. 열어드레스 카운터(237)는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 및 모드 레지스터(236)로부터 입력을 수취한다. 모드 레지스터(236)로부터의 입력이 예컨대 버스트 모드를 지정할 때에, 열어드레스 카운터(237)는 연속한 열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열어드레스를 메모리 코어(238)의 각 뱅크에 공급한다.
도 10 에 있어서, 클록 버퍼(231), 명령 디코더(232),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 및 I/O 데이타 버퍼/레지스터(234)의 각 버퍼에는 본 발명의 제 2 원리에 따른 입력 버퍼가 이용된다. 즉 이들 입력 버퍼에서는 고소비전력이지만 고속 데이타 전송에 알맞는 버퍼와, 저속 데이타 전송이지만 저소비전력인 버퍼를 제어신호의 값에 따라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SSTL 에 준거한 시스템에 있어서 저속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소비전력의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레지스터(236)로부터 메모리(13)내의 각 버퍼에 대하여 제어신호 LP 가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모드 레지스터(236)는 버스트 길이, 버스트 타입, CAS 레이턴시(latency) 등의 정보를 격납하여, 이 정보에 따라서 열어드레스 카운터(237)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2 원리를 응용한 메모리(13)에서는 다시 고속 동작 모드 혹은 저속 동작 모드를 지정하는 정보를 격납하여, 이 정보에 따라서 제어신호 LP 를 제어한다. 제어신호 LP 는 상기 제 2 원리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고속 동작 모드시에 로우가 되고 저속 동작 모드시에는 하이가 된다.
도 11 은 메모리(13)의 모드 레지스터(236)에 격납되는 데이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A0 내지 A11 의 각 비트는 모드 레지스터(236) 설정을 위해 이용되는 메모리(13)의 입력핀에 대응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A0 내지 A2 는 버스트 길이를 지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비트 A3 는 순차인지 인터리브인지의 버스트 타입을 지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비트 A4 내지 A6 는 CAS 레이턴시를 지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한 A7 내지 A11 은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통상은 제로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비트 A7 를 이용하여 고속 동작(고소비전력) 모드인지 저속 동작(저소비전력)모드인지를 지정한다. 예컨대, 비트 A7 가 0으로 설정되었을 때에 메모리(13)는 저속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비트 A7 가 1로 설정되었을 때에 메모리(13)는 고속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도 12 는 메모리(13)의 모드 설정 및 모드 변경에 따른 클록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본 도면에서는 저속 동작 모드에서 고속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예가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록 CLK 은 당초 저속 동작 모드에 따른 대진폭의 저주파수 클록 신호로 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CKE 를 하이로하고, 신호/CS, /RAS, /CAS 및 /WE 를 로우로 함으로써 모드 레지스터(236)로의 데이타 설정이 행해진다. 이 때 핀 A0 내지 A11 에 입력되는 신호는 비트 A7 이 1이 되는 신호이다.
그 후 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신호 LP 가 로우가 된다. 이로써 도 9 에 있어서 저항 Rta 및 터미네이터 유닛(30A,30B)을 통해 버스(10)가 종단 전압 Vtt 에 접속된다. 따라서, 버스는 SSTL 에 기초하는 고속 데이타 전송용으로 변경된다. 실제로는 제어신호 LP 가 로우가 되어도 터미네이터 유닛(30A,30B)의 트랜지스터의 내부 저항은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변화한다. 따라서 도 12 의 클록 CLK 또는 신호 A0 내지 A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 LP 가 로우가 되고 나서 버스상의 신호의 진폭은 서서히 감소해 간다. 신호가 감소하여 안정 상태가 될 때까지 복수개의 클록 펄스가 더미사이클로서 간과된다. 버스상의 신호의 진폭이 안정 상태가 되면 클록 CLK 이 고속화된다.
도 13 은 메모리(13)의 모드 설정 및 모드 변경에 따른 클록의 변화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본 도면에서는 고속 동작 모드에서 저속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예가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록 CLK 는 당초 고속 동작 모드에 따른 소진폭의 고주파수 클록 신호로 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CKE 를 하이로 하고, 신호 /CS, /RAS, /CAS 및 /WE 를 로우로 함으로써 모드 레지스터(236)로의 데이타 설정이 행하여진다. 이 때, 핀 A0 내지 A11 에 입력되는 신호는 비트 A7 가 0이 되는 신호이다. 이것과 동시에 클록 CLK 가 고속의 클록에서 저속의 클록으로 전환된다.
그 후 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신호 LP 가 하이가 된다. 이로써, 도 9 에 있어서 터미네이터 유닛(30A,30B)이 버스(10)를 종단 전압 Vtt 로부터 분단한다. 따라서 버스는 저소비전력·저속 데이타 전송용으로 변경된다. 실제로는 제어신호 LP 가 하이로 되어도 터미네이터 유닛(30A,30B)의 트랜지스터의 내부 저항은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변화한다. 따라서 도 12 의 클록 CLK 또는 신호 A0 내지 A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 LP 가 하이가 되고나서 버스상의 신호의 진폭은 서서히 증대해 간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원리를 응용한 메모리(13)의 변형예인 메모리(13A)를 나타낸다. 메모리(13A)에서는 메모리(13)의 명령 디코더(232) 및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가 명령 디코더(232A) 및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A)로 대체되어 있다. 여기서 명령 디코더(232A) 및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A)는 저속 동작·저소비전력의 버퍼이고 모드 전환 기능을 갖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서는 클록 버퍼(231)와 I/O 데이타 버퍼/레지스터(234)만이 고속 동작/저속 동작의 전환 기능을 갖고 있다. 우선 클록 버퍼(231)에 관해서는 클록 신호에는 고속성과 타이밍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저속 동작용 버퍼로서는 불충분하고, 고속 동작용 버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다른 버퍼에 관해서는 메모리(13A)의 외부에 버퍼 IC 를 넣어서 파형을 정형하면, 고속 동작시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명령 디코더(232A) 및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A)는 모드 전환 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다.
명령 입력이나 어드레스 입력은 신호의 흐름이 한방향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명령 입력이나 어드레스 입력에 대해서는 버퍼 IC 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데이타 입출력은 신호의 흐름이 쌍방향이기 때문에, 버퍼 IC 가 아니라 트랜시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트랜시버는 동작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I/O 데이타 버퍼/레지스터(234)는 고속 동작/저속 동작의 전환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3 원리에 따른 출력 버퍼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원리 및 제 2 원리는 어떤 SS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동작·고소비전력의 모드와 저속 동작·저소비전력의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충분한 전력의 삭감을 달성하는 것이었다. 이 제 3 원리는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동일한 칩을 SSTL 의 시스템에도 LVTTL 의 시스템에도 내장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5 의 출력 버퍼 유닛은 출력 구동능력 전환 수단(120)과 출력 버퍼(130)를 포함한다. 출력 버퍼(130)는 PMOS 트랜지스터(132,134)와 NMOS 트랜지스터(131,133)를 포함한다. 출력 구동능력 전환 수단(120)은 내부 회로에서 데이타 신호를 수취하고 출력 단자 L1 내지 L4 에 신호를 출력한다. 어떤 단자에 신호를 출력할지는 공급되는 제어신호 ST 에 의해서 결정된다.
출력 단자 L1 내지 L4 는 각각 출력 버퍼(130)의 트랜지스터(131∼134)의 게이트 입력에 공급된다. 본 도면에서는 NMOS 트랜지스터(131) 및 PMOS 트랜지스터(132)가 SSTL 의 시스템 및 LVTTL 의 시스템 양방에서 이용되고, NMOS 트랜지스터(133) 및 PMOS 트랜지스터(134)는 SSTL 의 시스템 전용이다.
LVTTL 의 시스템에 내장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 ST 가 예컨대 로우로 설정된다. 이 때 출력 구동능력 전환 수단(120)은 데이타 신호의 반전 신호를 출력 단자 L1 및 L2 에만 출력한다. 즉, 데이타 신호가 하이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 L1 및 L2 가 로우가 되도록, 출력 구동능력 전환 수단(120)이 동작한다. 따라서, 출력 버퍼(130)의 PMOS 트랜지스터(132)가 온이 되고, NMOS 트랜지스터(131)가 오프가 되어, 출력신호 Dout 으로서 하이 신호가 수득된다. 데이타 신호가 로우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 L1 및 L2 가 하이가 되도록 출력 구동능력 전환 수단(120)이 동작한다. 따라서, 출력 버퍼(130)의 PMOS 트랜지스터(132)가 오프가 되고, NMOS 트랜지스터(131)가 온이 되어 출력 신호 Dout 으로서 로우 신호가 수득된다.
SSTL 의 시스템에 내장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 ST 가 예컨대 하이로 설정된다. 이 때 출력 구동능력 전환 수단(120)은 데이타 신호의 반전 신호를 출력 단자 L1 내지 L4 전부에 출력한다. 즉, 데이타 신호가 하이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 L1 내지 L4 전부가 로우가 되도록 출력 구동능력 전환 수단(120)이 동작한다. 따라서, 출력 버퍼(130)의 PMOS 트랜지스터(132,134)가 온이 되고, NMOS 트랜지스터(131,133)가 오프가 되며, 출력 신호 Dout 으로서 하이 신호가 수득된다. 데이타 신호가 로우인 경우에는 출력 단자 L1 내지 L4 전부가 하이가 되도록 출력 구동능력 전환 수단(120)이 동작한다. 따라서, 출력 버퍼(130)의 PMOS 트랜지스터(132,134)가 오프가 되고, NMOS 트랜지스터(131,133)가 온이 되어 출력 신호 Dout 으로서 로우 신호가 수득된다.
이와 같이, LVTTL 의 시스템에 내장될 때에는 NMOS 트랜지스터(131) 및 PMOS 트랜지스터(132)가 출력 버퍼에서 이용된다. LVTTL 에서는 종단 저항이 없기 때문에, 이들 트랜지스터의 치수는 저항(도 20의 Rs)등에 의한 신호 반사에 대하여 신호파형이 가장 양호하게 되도록 한다. 출력 버퍼(130)의 구동력이 지나치게 크면, 예컨대 도 20 의 Rs 에 있어서 신호의 반사를 일으켜서 신호 파형이 흐트러진다. 구체적으로는 NMOS 트랜지스터(131)의 게이트폭이 200∼300μm 이고 게이트 길이가 1.2μm 정도, PMOS 트랜지스터(132)의 게이트폭이 800∼1000μm 이고 게이트 길이가 1.2μm 정도가 적당하다. 물론, 본 발명의 출력 버퍼 유닛을 도 20 의 Rs 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LVTTL 시스템에 내장할 수도 있다.
SSTL 의 시스템에 내장될 때에는 NMOS 트랜지스터(131,133)와 PMOS 트랜지스터(132,134)가 출력 버퍼에서 이용된다. 따라서, LVTTL 시스템에 내장하는경우보다도 큰 전류 구동력을 가지게 된다. SSTL 의 시스템에서는 신호 반사 방지를 위한 저항(도 20 의 Rs)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큰 전류 구동력으로 신호를 출력하여도 신호에 과도응답이 나타나는 일이 없으며, 전류 구동력의 큰 쪽으로부터 신속히 신호를 상승시킬 수 있다. SSTL 레벨은 LVTTL 레벨보다도 진폭이 작기 때문에, SSTL 레벨을 출력할 때는 LVTTL 레벨을 출력할 때보다도 전류 구동력이 작아도 충분히 고속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발명자의 검토 결과, SSTL 레벨의 출력시의 전류 구동력을 크게 한 쪽이 저항 Rs 까지의 전송 시간이 짧아지고, 전체적인면에서 보다 고속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SSTL 의 시스템에서는 NMOS 트랜지스터(131,133) 모두 게이트폭이 240μm 이고 게이트 길이가 1.2μm 정도, PMOS 트랜지스터(132,134) 모두 게이트폭이 900μm 이고 게이트 길이가 1.2μm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LVTTL 시스템에 내장하는 경우는 PMOS(132) 또는 NMOS(131)를 동작시키고, SSTL 시스템에 내장하는 경우는 PMOS(132,134) 또는 NMOS(131,133)를 동작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PMOS(132), NMOS(131)의 구동력을 각각 PMOS(134), NMOS(133)의 구동력보다도 큰 적당한 값으로 선택하면, LVTTL 시스템에 내장할 경우는 PMOS(134) 또는NMOS(133)를 동작시키고, SSTL 시스템에 내장할 경우는 PMOS(132) 또는 NMOS(131)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원리에 따른 출력 버퍼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동일한 칩을 SSTL 의 시스템에도 LVTTL 의 시스템에도 내장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3 원리에 따른 출력 버퍼 유닛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의 출력 버퍼 유닛은 출력 버퍼(130), 출력 구동능력 전환 유닛(140),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150) 및 참조 기준전압 내부 발생 회로(160)를 포함한다. 도 16 에 있어서 도 15 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참조되어 그 설명은 생략된다.
출력 구동능력 전환 유닛(140)은 NOR 회로(141,142), NAND 회로(143,144), 및 인버터(145∼149)를 포함한다. 출력 구동능력 전환 유닛(140)은 TSC 신호, 데이타 신호 및 제어신호 ST 를 수취한다. TSC 신호는 3 상태 버퍼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이 신호가 하이일 때는 출력 단자 Dout 은 부유 상태가 된다. 신호를 출력할 때 TSC 신호는 로우로 설정된다.
우선 TSC 신호가 하이인 경우를 생각하면, 이 때, NOR 회로(141)의 출력은 항상 로우이다. 따라서, 인버터(147)의 출력 및 NAND 회로(143)의 출력은 모두 하이가 된다. 또한 TSC 신호의 반전 신호를 입력하는 NAND 회로(144)는 항상 하이를 출력한다. 따라서, 인버터(148)의 출력 및 NOR 회로(142)의 출력은 모두 로우가 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 L2 및 L4 가 하이, 출력 단자 L1 및 L3 가 로우가 되기 때문에, 출력 버퍼(130)의 트랜지스터는 모두 오프가 된다. 이로써, 출력 단자 Dout 은 부유 상태가 된다.
신호를 출력할 경우는 TSC 신호는 로우로 설정된다.
또한 제어신호 ST 는 LVTTL 시스템의 경우 로우이다. 이때 NAND 회로(143)의 출력, 즉 출력 단자 L4는 항상 하이가 된다. 또한 NOR 회로(142)에는 제어신호 ST 의 반전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NOR 회로(142)의 출력, 즉 출력 단자 L3 는 항상로우이다. 따라서, 입력 버퍼(130)의 NMOS 트랜지스터(133) 및 PMOS 트랜지스터(134)는 동작하지 않는다. TSC 신호가 로우이기 때문에 NOR 회로(141) 및 NAND 회로(144)는 인버터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인버터(148,147)의 출력, 즉 출력 단자 L1 및 L2 는 데이타 신호의 반전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입력 버퍼(130)의 출력 신호 Dout 은 트랜지스터(131,132)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타 신호가 된다.
SSTL 시스템의 경우, 제어신호 ST 는 하이이다. 따라서, 한쪽의 입력에 제어신호 ST 가 공급되는 NAND 회로(143)는 다른 한쪽의 입력에 대한 인버터로서 동작한다. 또한, 한쪽의 입력에 제어신호 ST 의 반전 신호가 입력되는 NOR 회로(142)는 다른 한쪽의 입력에 대한 인버터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출력 단자 L1 내지 L4 에는 데이타신호의 반전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입력 버퍼(130)의 출력 신호 Dout 은 트랜지스터(131∼134)에 의해서 구동되는 데이타 신호가 된다.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150)는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수신하여 참조 기준전압 Vref 의 레벨을 판정하고, LVTTL 일 때에는 제어신호 ST 를 로우로 하고, SSTL 일 때에는 제어신호 ST 를 하이로 한다. 입력되는 참조 기준전압 Vref 는 예컨대, LVTTL 의 경우에 3.3V 이고 SSTL 의 경우에 1.5V 이다.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150)는 저항 R1 내지 R3, 콘덴서C, PMOS 트랜지스터(151∼154) 및 NMOS 트랜지스터(155∼157)를 포함한다. 저항 R1 및 콘덴서C 는 하이컷트 필터를 구성한다. 하이컷트 필터를 통과한 참조 기준전압 Vref 는 PMOS 트랜지스터(153,154)와 NMOS 트랜지스터(155∼157)로부터 구성되는 차동 증폭기에 입력된다. 차동 층폭기의 다른 한쪽의 입력에는 직렬 접속된 저항 R2 및 R3 에 의해 생성된 판정 전압 V 가 공급된다. 이 판정 전압 V 는 약 2V 로 설정된다. 차동 증폭기는 참조 기준전압 Vref 와 판정 전압 V 를 비교하여 참조 기준전압이 큰 경우에는 로우의 제어신호 ST 를 출력한다. 반대로 참조 기준전압이 작은 경우에는 차동 증폭기는 하이의 제어신호 ST 를 출력한다.
하이컷트 필터를 통과한 참조 기준전압 Vref 는 또한 차동 증폭기의 전원측에 삽입된 PMOS 트랜지스터(151,152)에 공급된다. 이것은 LVTTL 일 때에 차동 증폭기의 전원을 컷트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참조 기준전압 Vref 가 LVTTL 의 레벨일 때에는 실제로 차동 증폭기는 작동하지 않고 로우의 제어신호 ST 를 출력한다.
참조 기준전압 내부 발생 회로(160)는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150)로 생성된 제어신호 ST 에 의해 제어된다. 참조 기준전압 내부 발생 회로(160)는 SSTL 의 경우에는 외부 입력된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칩내의 각 입력 버퍼에 공급하고, LVTTL 인 경우에는 내부 생성된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칩내의 각 입력 버퍼에 공급한다.
참조 기준전압 내부 발생 회로(160)는 인버터(161), NMOS 트랜지스터(162,163) 및 저항 R4 와 R5 를 포함한다. LVTTL 의 경우는 제어신호 ST 가 로우이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163)는 오프가 되고, 인버터(161)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또한, NMOS 트랜지스터(162)는 인버터(161)의 하이 출력을 수취하기 때문에 온이 된다. 저항 R4 및 R5 는 직렬 접속되어 전압 분할을 행하며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내부발생시킨다. 이 내부 발생된 참조 기준전압 Vref 가 NMOS 트랜지스터(162)를 통해 칩내의 각 입력 버퍼에 공급된다. SSTL 의 경우에는 제어신호 ST 가 하이이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162,163)는 각각 오프 및 온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외부 입력된 참조 기준전압 Vref 이 NMOS 트랜지스터(163)를 통해 칩내의 각 입력 버퍼에 공급된다.
도 17 은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15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7 의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150A)에서는 도 16 의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150)의 PMOS 트랜지스터(151,152)와 NMOS 트랜지스터(156)가 각각 극성이 반전되어 NMOS 트랜지스터(151A,152A)와 PMOS 트랜지스터(156A)로 되어 있다. 또한 저항 R2 및 R3 도 각각 저항 R2A 및 R3A 로 변경되어 있다.
도 17 의 참조 기준전압 판정 회로(150A)에 입력되는 참조 기준전압 Vref 는 예컨대, LVTTL 인 경우에 0V 이고 SSTL 인 경우에 1.5V 이다. 또한 직렬 접속된 저항 R2A 및 R3A 는 판정 전압 V 로서, 0V 와 1.5V 의 중간의 전압을 생성한다. 이로써 도 16 의 경우와 같이, LVTTL 일 때에 제어신호 ST 는 로우가 되고 SSTL 일 때에 제어신호 ST 는 하이가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원리의 실시예에서는 참조 기준전압 Vref 를 판정하여 구동력의 전환을 행하는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3 원리는 이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제어신호 ST 를 직접 외부에서 입력하는 단자를 설치하여도 좋으며, 또한 DRAM 등의 경우에는 모드 레지스터에 명령을 부여하여 논리적으로 제어신호 ST 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3 원리를 응용한 동기 DRAM 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 에 있어서 도 10 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번호로 참조되어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8 의 메모리(13B)는 도 10 의 메모리(13)와는 각 버퍼 부분 및 모드 레지스터가 다를뿐이다. 즉, 메모리(13B)는 클록 버퍼(231B), 명령 디코더(232B),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B), I/O 데이타 버퍼/레지스터(234B) 및 모드 레지스터(236B)를 포함한다. 클록 버퍼(231B), 명령 디코더(232B) 및 어드레스 버퍼/레지스터 뱅크 셀렉터(233B)는 고속 동작용의 버퍼이면 좋다. 단 SS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소비전력 삭감을 위해 저속 동작 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고속 동작(고소비전력)용 버퍼와 저속 동작(저소비전력)용 버퍼를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I/O 데이타 버퍼/레지스터(234B)는 본 발명의 제 3 원리에 따른 출력 버퍼를 이용한다. 모드 레지스터(236B)에는 SSTL 혹은 LVTTL 을 나타내는 정보가 격납되어 있으며, 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 ST 를 제어한다. 또한 모드 레지스터(236B)에 대한 이 정보의 설정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할 수 있다. 단 이 정보에 관한 모드 설정은 시스템 실장시나 시스템 개시시에 STTL 시스템인지 LVTTL 시스템인지를 지정함으로써 행하게 된다.
모드 레지스터(236B)로부터의 제어신호 ST 는 I/0 데이타 버퍼/레지스터(234B)에 공급된다. 이 제어신호 ST 에 기초하여 I/O 데이타 버퍼/레지스터(234B)의 출력 버퍼는 SSTL 의 시스템시에 출력 구동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원리에 따른 도 10 의 DRAM 에 있어서, 고속·고소비전력과 저속·저소비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 LP 는 모드 레지스터(236)에 격납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DRAM 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 NC 핀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소비전력 전환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 이들 핀의 몇개를 제어 입력 핀으로 하여도 좋다.
도 19 는 도 10 의 DRAM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9 에 있어서, 도 10 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번호에 의해서 참조되어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9 의 DRAM 은 모드 레지스터(236C) 및 제어신호 입력 버퍼(239)를 포함한다.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 LP 는 제어신호 입력 버퍼(239)에 외부로부터 입력된다. 제어신호 입력 버퍼(23)는 입력된 제어신호 LP 를 각 버퍼에 공급한다.
또한 동일하게 제 3 원리에 따른 도 18 의 DRAM 에 있어서, 제어신호 ST 를 현재 미사용의 NC 핀으로부터 입력하여도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SSTL 의 시스템으로 이용되는 버스 구조에 있어서, 종단 저항을 스위치 수단에 의해 버스로부터 분단함으로써,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할 때에 충분한 소비전력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5 항 및 제 6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SS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하여 소비전력 삭감을 도모할 때에 스무스한 모드의 전환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7 항 내지 제 10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SSTL 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입력 버퍼에 있어서, 고속 동작의 고소비전력 버퍼와 저속 동작의 저소비전력 버퍼를 전환함으로써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할때에 충분한 소비전력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출력 버퍼는 SSTL 의 시스템에서는 높은 출력 구동능력을 가지고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LVTTL 의 시스템에서는 낮은 출력 구동능력을 가지고 LVTTL 에서도 적절히 사용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장치의 출력 버퍼는 SSTL 의 시스템에서는 높은 출력 구동능력을 가지고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LVTTL 의 시스템에서는 낮은 출력 구동 능력을 가지고 LVTTL 에서도 적절히 사용가능하도록 동작한다.
청구범위 제 23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DRAM 은 레지스터에 격납한 정보에 의해서 출력 버퍼의 출력 구동 능력을 제어함으로써 SSTL 의 시스템에서는 높은 출력 구동능력에 의해 SSTL 의 고속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LVTTL 의 시스템에 있어서도 낮은 출력 구동능력에 의해 적절히 동작가능하다.
청구범위 제 24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DRAM 은 레지스터에 격납한 정보에 의해 고속 동작의 고소비전력 입력 버퍼와 저속 동작의 저소비전력 입력 버퍼를 전환함으로써, SSTL 의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전송 모드에서 저속 전송 모드로 전환할 때에 충분한 소비전력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28)

  1.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와,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종단 전압원과;
    종단 저항과;
    상기 종단 전압원과 상기 버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버스를 상기 종단 저항을 통해 상기 종단 전압원에 접속하고,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버스를 상기 종단 전압원으로부터 분단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신호를 제 1 주파수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신호를 제 2 주파수로 전송하며, 상기 제 1 주파수는 상기 제 2 주파수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제어신호에 의해서 온/오프가 제어되는 C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종단 저항은 상기 CMOS 트랜지스터의 내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와,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 1 주파수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를 상기 제 1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주파수로 변화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장치의 동작이 상기 제 2 주파수에서 안정하게 동작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c) 상기 종단 전압을 상기 버스로부터 분단함으로써 상기 신호의 진폭을 증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와,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 1 주파수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높은 제 2 주파수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버스를 종단 저항을 통해 종단 전압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신호의 상기 진폭이 안정하게 될때까지 대기하는 단계와;
    c)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를 상기 제 1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주파수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제 1 주파수로 전송되는 제 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신호를 수취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신호가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로 전송되는 제 2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신호를 수취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의 출력과 상기 제 2 버퍼의 출력을 결합하여 내부 회로에 공급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버퍼의 동작시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버퍼의 동작시의 소비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는 참조 기준전압과의 비교에 의해 상기 신호의 레벨을 판정하는 차동 증폭기이고, 상기 제 2 버퍼는 CMOS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는 상기 제 1 모드외에 상기 제 2 모드에서도 동작하고 참조기준전압과의 비교에 의해 상기 신호의 레벨을 판정하는 제 1 차동 증폭기이고,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 접속되고 상기 참조 기준전압과의 비교에 의해 상기 신호의 레벨을 판정하는 제 2 차동 증폭기이며,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폭이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참조 기준전압 내부 발생 수단과;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외부에서 인가된 상기 참조 기준전압을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에 공급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참조 기준전압 내부 발생 수단에 의해서 내부 발생된 상기 참조 기준전압을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에 공급하는 스위치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11.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의 출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를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상기 장치가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상기 장치가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버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능력 전환 수단은 제어신호를 수취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버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버퍼.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참조 기준전압의 레벨을 판정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버퍼.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설치된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버퍼.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는 전원전압과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NMOS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의 접속점을 상기 제 1 버퍼와 상기 제 2 버퍼의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점에 나타나는 신호를 출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버퍼.
  17.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를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능력 전환 수단은 제어신호를 수취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참조 기준전압의 레벨을 판정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는 전원전압과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NMOS 트랜지스터의 사이의 접속점을 상기 제 1 버퍼와 상기 제 2 버퍼의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점에 나타나는 신호를 출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데이타 신호를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데이타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버퍼를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환하는 구동 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데이타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데이타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24.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데이타 신호가 제 1 주파수로 전송되는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되어 상기 데이타 신호를 수취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데이타 신호가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로 전송되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데이타 신호를 수취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의 출력과 상기 제 2 버퍼의 출력을 결합하여 내부 회로에 공급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버퍼의 동작시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버퍼의 동작시의 소비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25.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의 출력 버퍼에서, 상기 신호를 제 1 버퍼로부터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신호를 제 2 버퍼로부터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모드를 가지며, 상기 제 1 버퍼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버퍼의 구동력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구동 방법.
  26.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의 출력 버퍼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보다도 작은 구동력을 가지며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상기 장치가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상기 장치가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버퍼.
  27.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보다도 작은 구동력을 가지며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레지스터에 격납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데이타 신호를 버스에 송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보다도 작은 구동력을 가지며 상기 제 1 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데이타 신호를 상기 버스에 송출하는 제 2 버퍼와;
    상기 제 1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버퍼만을 구동하는 제 2 모드를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환하는 구동능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에 상기 데이타 신호를 송출하는 경로에 설치된 상기 데이타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저항과 상기 버스를 종단 전압에 접속하는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1 모드를 사용하고, 상기 종단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KR1019960058332A 1996-07-03 1996-11-27 버스 구조 및 입출력 버퍼 KR100212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73910A JPH1020974A (ja) 1996-07-03 1996-07-03 バス構造及び入出力バッファ
JP96-173910 1996-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746A KR980010746A (ko) 1998-04-30
KR100212597B1 true KR100212597B1 (ko) 1999-08-02

Family

ID=1596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332A KR100212597B1 (ko) 1996-07-03 1996-11-27 버스 구조 및 입출력 버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5949252A (ko)
EP (5) EP1308850A3 (ko)
JP (1) JPH1020974A (ko)
KR (1) KR100212597B1 (ko)
DE (2) DE69627999T2 (ko)
TW (1) TW32553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690B1 (ko) * 2002-06-21 2007-02-09 인텔 코오퍼레이션 메모리 버스 종단
US8391088B2 (en) 2010-11-09 2013-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seudo-open drain type output driver having de-emphasis func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5698B2 (en) 2001-08-29 2004-11-30 Altera Corporation Programmable high speed I/O interface
KR100278648B1 (ko) * 1997-04-30 2001-01-15 윤종용 반도체장치및방법
TW381385B (en) * 1997-08-20 2000-02-01 Advantest Corp Signal transmission circuit, CMOS semiconductor device and circuit board
US6822267B1 (en) * 1997-08-20 2004-11-23 Advantest Corporation Signal transmission circuit, CMOS semiconductor device, and circuit board
US7065682B1 (en) * 1997-12-19 2006-06-20 Micron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nitoring tests run on a personal computer
US6108740A (en) * 1998-10-14 2000-08-22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ting a bus such that stub length requirements are met
JP2000122761A (ja) * 1998-10-14 2000-04-28 Hitachi Ltd バス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メモリシステム
US6441627B1 (en) 1998-10-26 2002-08-27 Micron Technology, Inc. Socket test device for detecting characteristics of socket signals
JP4226710B2 (ja) 1999-01-25 2009-02-18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入力バッファ回路、及び半導体装置の動作試験方法
US6611552B2 (en) * 1999-01-28 2003-08-26 Intel Corporation Universal serial bus transceiver and associated methods
US6222389B1 (en) * 1999-03-25 2001-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sisted gunning transceiver logic (AGTL) bus driver
US6424177B1 (en) * 1999-06-28 2002-07-23 Broadcom Corporation Universal single-ended parallel bus
US6715014B1 (en) * 2000-05-25 2004-03-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dule array
US6510100B2 (en) * 2000-12-04 2003-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nchronous memory modules and memory systems with selectable clock termination
US6552569B2 (en) 2000-12-22 2003-04-2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Dual purpose low power input circuit for a memory device interface
US6658523B2 (en) * 2001-03-13 2003-12-02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latency levelization for read data
TW588235B (en) * 2001-04-02 2004-05-21 Via Tech Inc Motherboard with less power consumption
JP3799251B2 (ja) 2001-08-24 2006-07-19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メモリデバイス及びメモリシステム
EP1852976B1 (en) * 2001-08-29 2009-12-02 Altera Corporation Programmable high-speed I/O interface
JP4317353B2 (ja) * 2001-10-19 2009-08-19 三星電子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の能動終端抵抗の制御装置及び方法
US7702293B2 (en) * 2001-11-02 2010-04-20 Nokia Corporation Multi-mode I/O circuitry supporting low interference signaling schemes for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US6937111B2 (en) 2001-11-21 2005-08-30 Hynix Semiconductor Inc. Device and system having self-terminated driver and active terminator for high speed interface
US6825692B1 (en) 2002-01-25 2004-11-30 Altera Corporation Input buffer for multiple differential I/O standards
KR100422451B1 (ko) 2002-05-24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다이 터미네이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어회로
US6836142B2 (en) * 2002-07-12 2004-12-28 Xilinx, Inc. Asymmetric bidirectional bus implemented using an I/O device with a digitally controlled impedance
JP4221238B2 (ja) 2002-09-26 2009-02-12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メモリモジュール
US6711091B1 (en) * 2002-09-27 2004-03-23 Infineon Technologies Ag Indication of the system operation frequency to a DRAM during power-up
JP3808026B2 (ja) 2002-10-23 2006-08-0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KR100480916B1 (ko) * 2002-10-30 2005-04-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류 소모를 줄인 입력 버퍼 회로
US20040098545A1 (en) * 2002-11-15 2004-05-20 Pline Steven L. Transferring data in selectable transfer modes
KR100464437B1 (ko) * 2002-11-20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온칩 dc 전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odt 회로와odt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메모리장치를 채용하는메모리 시스템
US7142461B2 (en) * 2002-11-20 2006-11-28 Micron Technology, Inc. Active termination control though on module register
US20050052912A1 (en) * 2003-09-04 2005-03-10 Mike Cogdill Circuit and system for addressing memory modules
KR100582358B1 (ko) * 2003-12-29 2006-05-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기억 소자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구동 회로 및 방법
TWI260415B (en) * 2004-03-31 2006-08-21 Nanya Technolog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US7173450B2 (en) * 2004-06-01 2007-0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us controller
US20050289284A1 (en) * 2004-06-24 2005-12-29 Ge Chang High speed memory modules
US7295042B2 (en) * 2004-07-20 2007-11-13 Analog Devices, Inc. Buffer
US7188208B2 (en) * 2004-09-07 2007-03-06 Intel Corporation Side-by-side inverted memory address and command buses
KR100670702B1 (ko) 2004-10-30 2007-0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365570B2 (en) * 2005-05-25 2008-04-29 Micron Technology, Inc. Pseudo-differential output driver with high immunity to noise and jitter
US7355450B1 (en) 2005-05-27 2008-04-08 Altera Corporation Differential input buffers for low power supply
JP2009508596A (ja) 2005-09-19 2009-03-05 ヒストジェニ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細胞支持基材及びその調製方法
JP4524662B2 (ja) 2005-10-21 2010-08-18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チップ
JP2008042376A (ja) * 2006-08-03 2008-02-21 Fujitsu Ltd 双方向伝送回路及び送受信素子
US7945793B2 (en) 2006-08-11 2011-05-17 Intel Corporation Interface frequency modulation to allow non-terminated operation and power reduction
KR100857427B1 (ko) * 2006-11-13 2008-09-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입력 버퍼 회로
US20080162766A1 (en) * 2006-12-29 2008-07-03 Blaise Fanning Signal techniques for bus interfaces
CN101617371B (zh) * 2007-02-16 2014-03-26 莫塞德技术公司 具有多个外部电源的非易失性半导体存储器
JP2007200354A (ja) * 2007-04-13 2007-08-09 Fujitsu Ltd シリアルバス高速化回路
US20090034415A1 (en) * 2007-07-30 2009-02-05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7616025B1 (en) * 2007-08-14 2009-11-10 Actel Corporation Programmable logic device adapted to enter a low-power mode
US7733118B2 (en) * 2008-03-06 2010-06-08 Micron Technolog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riving a signal off an integrated circuit
US7786754B2 (en) * 2008-09-09 2010-08-31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High speed digital signa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reflected signals to increase total delivered current
KR20120076814A (ko) * 2010-12-30 2012-07-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칩,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US9130557B2 (en) * 2012-12-03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method of input/output interface
USRE49506E1 (en) 2012-12-03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low speed mode selection for output driver circuits of a memory interface
US9088445B2 (en) * 2013-03-0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terminating signals on a bidirectional bus based on bus speed
US8912819B2 (en) * 2013-03-18 2014-12-16 Mediatek Inc. Termination circuits capable of receiving data signals in different formats for performing impedance matching
US9152214B2 (en) * 2013-05-16 2015-10-06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Dynamic load and priority based clock scaling for non-volatile storage devices
KR20150066659A (ko) * 2013-12-06 2015-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이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WO2015193992A1 (ja) * 2014-06-18 2015-12-23 ゼンテルジャパン株式会社 半導体回路装置及び半導体メモリシステム
US10077420B2 (en) 2014-12-02 2018-09-18 Histogenics Corporation Cell and tissue culture container
US9910482B2 (en) * 2015-09-24 2018-03-06 Qualcomm Incorporated Memory interface with adjustable voltage and termination and methods of use
KR102529187B1 (ko) * 2016-03-31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통신 규격들을 지원하는 수신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10425361B2 (en) 2017-03-16 2019-09-24 Trane International Inc. Dynamic allocation of termination resistors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12737565B (zh) * 2021-04-02 2021-06-25 深圳市中科蓝讯科技股份有限公司 接口电路及芯片
US11830535B2 (en) * 2021-10-01 2023-11-28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Receiver circuit,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2647A (en) * 1982-08-20 1984-09-18 Motorola, Inc. Circuit for interfacing with both TTL and CMOS voltage levels
US4719369A (en) * 1985-08-14 1988-01-12 Hitachi, Ltd. Output circuit having transistor monitor for matching output impedance to load impedance
US4748426A (en) * 1986-11-07 1988-05-31 Rodime Plc Active termination circuit for computer interface use
FR2606624A1 (fr) 1986-11-14 1988-05-20 Thomson Cgr Installation d'imagerie par resonance magnetique nucleaire
DE3832378C1 (ko) * 1988-09-23 1989-12-07 Eurosil Electronic Gmbh, 8057 Eching, De
JP2880737B2 (ja) * 1989-09-29 1999-04-12 株式会社東芝 平行バス終端装置
US5387824A (en) * 1989-12-01 1995-02-07 Vlsi Technology, Inc. Variable drive output buffer circuit
US5029284A (en) * 1990-04-30 1991-07-02 Motorola, Inc. Precision switchable bus terminator circuit
JPH04223617A (ja) * 1990-12-25 1992-08-13 Ricoh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インターフェース
US5107230A (en) * 1991-04-26 1992-04-21 Hewlett-Packard Company Switched drivers providing backmatch impedance for circuit test systems
US5153450A (en) * 1991-07-16 1992-10-06 Samsung Semiconductor, Inc. Programmable output drive circuit
US5274671A (en) * 1991-08-14 1993-12-28 Hewlett Packard Company Use of output impedance control to eliminate mastership change-over delays i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US5382841A (en) * 1991-12-23 1995-01-17 Motorola, Inc. Switchable active bus termination circuit
JP2813103B2 (ja) * 1992-06-15 1998-10-22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EP0883248B1 (en) * 1992-06-15 2006-08-09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input/output interface adapted for small-amplitude operation
US5479123A (en) * 1993-06-18 1995-12-26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Externally programmable integrated bus terminator for optimizing system bus performance
US5381824A (en) 1993-09-02 1995-01-17 Standard Keil Industries, Inc. Regulator
US5440248A (en) 1994-01-31 1995-08-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saver differential input buffer
US5602494A (en) * 1995-03-09 1997-02-11 Honeywell Inc. Bi-directional programmable I/O cell
US5781028A (en) * 1996-06-21 1998-07-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switched data bus termination
US5731711A (en) * 1996-06-26 1998-03-24 Luc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ircuit chip with adaptive input-output port
JPH1188146A (ja) * 1997-09-04 1999-03-30 Fujitsu Ltd レベル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690B1 (ko) * 2002-06-21 2007-02-09 인텔 코오퍼레이션 메모리 버스 종단
US8391088B2 (en) 2010-11-09 2013-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seudo-open drain type output driver having de-emphasis func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8848A3 (en) 2005-09-14
DE69627999D1 (de) 2003-06-12
EP0818734B1 (en) 2003-05-07
US5949252A (en) 1999-09-07
TW325539B (en) 1998-01-21
EP1308847A2 (en) 2003-05-07
EP1308850A2 (en) 2003-05-07
DE69627999T2 (de) 2003-11-27
EP1308848A2 (en) 2003-05-07
EP0818734A3 (en) 1998-05-06
EP1308849A2 (en) 2003-05-07
KR980010746A (ko) 1998-04-30
EP0818734A2 (en) 1998-01-14
US6154047A (en) 2000-11-28
EP1308849A3 (en) 2005-09-14
US6480030B1 (en) 2002-11-12
EP1308847A3 (en) 2005-09-14
JPH1020974A (ja) 1998-01-23
DE69638067D1 (de) 2009-12-17
EP1308850A3 (en) 2005-09-14
EP1308847B1 (en)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597B1 (ko) 버스 구조 및 입출력 버퍼
US7034565B2 (en) On-die termination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on-chip DC current, and memory system including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US6034555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input/output interface adapted for small-amplitude operation
US7894275B2 (en) Methods of communicating data using inversion and related systems
KR20040098147A (ko)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JPH09251336A (ja) 入出力装置
KR100483641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및 메모리 시스템
JP2009252322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KR100532431B1 (ko) 부정합되는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및 터미네이션 방법
KR20050099096A (ko)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US68860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signal pins on an interface between a system controller and peripheral integrated circuits
US5983314A (en) Output buffer having inherently precise data masking
KR20070081881A (ko)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다이나믹 온다이터미네이션 회로및 그 방법
US7449924B2 (en) Latch-based serial port output buffer
US5629645A (en) Transmission-line-voltage control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ontrol circuit
US5850154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circuit
JP3484066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3634603B2 (ja) 信号伝送回路
US6556051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both supports including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 module and double data rate (DDR) DRAM module
KR20010004652A (ko) 데이타 출력버퍼
US20020067647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0753076B1 (ko) 전원 공급장치
KR20000043231A (ko) 데이타 출력장치
KR20000004741A (ko) 입력커패시턴스 감소형 모듈을 가지는 pcb
KR20010003991A (ko) 개선된 입출력 구조를 갖는 패킷 명령어 구동형 메모리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