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147A -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147A
KR20040098147A KR1020030030350A KR20030030350A KR20040098147A KR 20040098147 A KR20040098147 A KR 20040098147A KR 1020030030350 A KR1020030030350 A KR 1020030030350A KR 20030030350 A KR20030030350 A KR 20030030350A KR 20040098147 A KR20040098147 A KR 20040098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e
die termination
write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045B1 (ko
Inventor
장성진
전영현
곽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045B1/ko
Priority to US10/792,623 priority patent/US7092299B2/en
Publication of KR2004009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3Voltage and signal distribution in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access lines, e.g. word-line, bit-line, cross-over resistance, propagation del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 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을 공개한다. 이 시스템은 제1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 제2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 및 제1 및 제2선택신호들을 발생하고,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들로 라이트 및 리드 명령을 발생하고,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들 각각의 대응하는 메모리들과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선택신호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관계없이 라이트 명령에 응답하여 라이트 신호 또는 더미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드 명령에 응답하여 리드 신호 또는 더미 리드 신호를 발생하는 명령어 디코더, 라이트 신호 또는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리드 신호 또는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회로, 및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수행하는 온 다이 종단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들로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간에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인에이블하여 신호를 종단하므로써 온 다이 종단 회로를 통하여 흐르는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 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Dual bank system, memory for use in this system, and on die termin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듀얼 뱅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 이 메모리의 신호 종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호 종단 기술은 시스템 보드상에 배치되는 신호 라인들에 종단 저항과 종단 전압을 연결하여 신호를 종단한다. 그러나, 시스템 보드상에 배치되는 신호 라인들이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시스템 보드상에 종단 회로를 배치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 다이 종단 기술이 개발되었다. 온 다이 종단 기술은 시스템 보드상에 종단 회로를 배치하여 신호를 종단하는 것이 아니라, 다이상에 종단 회로를 배치하여 신호를 종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 보드상에 종단 회로를 배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서 시스템 보드상에 신호 라인들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종래의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은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온 다이 종단 회로가 항상 인에이블되어 종단 전압을 데이터 입출력(또는, 입력) 패드들에 연결함으로써 신호를 종단한다.
따라서, 종래의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제어방법은 간단하지만, 신호 종단이 필요한 기간, 즉,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간이 아닌 기간에도 온 다이 종단 회로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온 다이 종단 회로를 통한 전류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회로들의 수는 데이터 입출력(또는, 입력) 패드들의 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메모리의 데이터 입출력(또는, 입력) 패드들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온 다이 종단 회로들의 수도 많아지게 되는데, 많은 수의 온 다이 종단 회로들이 신호 종단이 필요한 기간이외의 기간에도 동작을 수행하게되면, 온 다이 종단 회로들을 통하여 소모되는 전류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회로를 통한 누설 전류를 줄일 수 있는 듀얼 뱅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은 제1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 제2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 및 상기 제1 및 제2선택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들로 라이트 및 리드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들 각각의 대응하는 메모리들과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들 각각은 상기 제1 또는 제2선택신호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관계없이 상기 라이트 명령에 응답하여 라이트 신호 또는 더미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리드 명령에 응답하여 리드 신호 또는 더미 리드 신호를 발생하는 명령어 디코더,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회로,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수행하는 온 다이 종단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는 선택신호가 활성화되고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리드 신호를 발생하고,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더미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더미 리드 신호를 발생하는 명령어 디코더,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회로,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수행하는 온 다이 종단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제어회로는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 발생회로,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되거나, 상기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은 선택신호가 활성화되고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리드 신호를 발생하고,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더미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더미 리드 신호를 발생하는 명령어 디코딩 단계,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 발생단계,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수행하는 온 다이 종단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 발생부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온 다이 종단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5a, b는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6a, b는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 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일반적인 듀얼 뱅크 시스템을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일반적인 듀얼 뱅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어부(10), 및 메모리 모듈(20)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 모듈(20)은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로 구성되고, 메모리들(20-11 ~ 20-1n)은 메모리 모듈(20)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메모리들(20-21 ~ 20-2n) 각각은 메모리 모듈(20)의 후면부에 메모리들(20-11 ~ 20-1n) 각각의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1에 나타낸 일반적인 듀얼 뱅크 시스템의 제어부(10)와 메모리들(20-11 ~20-1n, 20-21 ~ 20-2n)사이의 신호 전송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반전 칩 선택신호 라인(cs1bl)은 제어부(10)의 제1반전 칩 선택신호 단자(CS1B)를 통하여 출력되는 제1반전 칩 선택신호(cs1b)를 메모리들(20-11 ~ 20-1n)의 반전 칩 선택신호 단자(CSB)로 전송하고, 제2반전 칩 선택신호 라인(cs2bl)은 제어부(10)의 제2반전 칩 선택신호 단자(CS2B)를 통하여 출력되는 제2반전 칩 선택신호(cs2b)를 메모리들(20-21 ~ 20-2n)의 반전 칩 선택신호 단자(CSB)로 전송한다.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 라인(rasbl),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 라인(casbl),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라인(web), 및 어드레스 신호 라인(addl)은 제어부(10)의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 단자(RASB),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 단자(CASB),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단자(WEB), 및 어드레스 신호 단자(ADD)를 통하여 출력되는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rasb),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casb),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b), 및 어드레스 신호(add)를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의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 단자(RASB),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 단자(CASB),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단자(WEB), 및 어드레스 신호 단자(ADD)로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dq1l)은 제어부(10)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DQ1)를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dq1)를 메모리들(20-11, 20-21)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DQ)로 전송하고,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dq2l)은 제어부(10)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DQ2)를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dq2)를 메모리들(20-12, 20-22)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DQ)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입출력라인들(dqnl)은 제어부(10)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DQn)를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dqn)를 메모리들(20-1n, 20-2n)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DQn)로 전송한다.
도1에 나타낸 듀얼 뱅크 시스템은 제어부(10)가 "로우"레벨의 반전 칩 선택신호(cs1b)를 발생하면 메모리 모듈(20)의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이 선택되고, 제어부(10)가 "로우"레벨의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b)와 함께 데이터(dq1 ~ dqn)를 발생하면 메모리 모듈(20)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20-21), (20-12, 20-22), ..., (20-1n, 20-2n))로 데이터(dq1 ~ dqn)가 동시에 입력된다. 즉, 듀얼 뱅크 시스템은 메모리 모듈(20)의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이 선택되어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에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로도 데이터가 인가된다. 마찬가지로, 메모리 모듈(20)의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이 선택되어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에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로도 데이터가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에 메모리 모듈(20)의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뿐만아니라, 메모리 모듈(20)의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로도 데이터가 인가된다.
도2는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명령어 디코더(30), OR게이트들(OR1, OR2), 및 온 다이 종단(ODT) 제어신호 발생부(34)로 구성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령어 디코더(3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 신호들(clk, csb, rasb, casb, web)을 디코딩하여 라이트 신호(WE), 더미 라이트 신호(DWE), 더미 리드 신호(DRD), 및 리드 신호(RD)을 발생한다. OR게이트(OR1)는 라이트 신호(WE)와 더미 라이트 신호(DWE)를 논리합하여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을 발생한다. OR게이트(OR2)는 더미 리드 신호(DRD)와 리드 신호(RD)를 논리합하여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ODTDIS)를 발생한다. ODT 제어신호 발생부(34)는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활성화하고,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ODTDIS)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비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명령어 디코더(30)는 라이트 신호(WE), 및 리드 신호(RD)외에 더미 라이트 신호(DWE), 및 더미 리드 신호(DRD)을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아래의 표 1은 도2에 나타낸 구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의 표를 이용하여 도2에 나타낸 구성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명령어내부 명령어 csb rasb casb web ODTEN ODTDIS PODT
WE L H L L H L H
RD L H L H L H L
DWE H H L L H L H
DRD H H L H L H L
상기 표 1에서, L은 "로우"레벨을, H는 "하이"레벨을 각각 나타낸다.
명령어 디코더(30)는 반전 칩 선택신호(csb)가 "로우"레벨이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 신호들(rasb, casb, web) 각각이 "하이"레벨, "로우"레벨, "로우"레벨이면, 즉, 외부로부터 라이트 명령이 인가되면 라이트 신호(WE)을 발생하고, 반전 칩 선택신호(csb)가 "하이"레벨이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 신호들(rasb,casb, web)이 "하이"레벨, "로우"레벨, "로우"레벨이면 더미 라이트 신호(DWE)을 발생한다. OR게이트(OR1)는 "하이"레벨의 라이트 신호(WE) 또는 더미 라이트 신호(DWE)이 발생되면 "하이"레벨의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를 발생한다. ODT 제어신호 발생부(34)는 "하이"레벨의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가 입력되면 "하이"레벨의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발생한다.
또한, 명령어 디코더(30)는 반전 칩 선택신호(csb)가 "로우"레벨이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 신호들(csb, rasb, casb, web) 각각이 "하이"레벨, "로우"레벨, "하이"레벨이면, 즉, 외부로부터 리드 명령이 인가되면 리드 신호(RD)을 발생하고, 반전 칩 선택신호(csb)가 "하이"레벨이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 신호들(csb, rasb, casb, web) 각각이 "하이"레벨, "로우"레벨, "하이"레벨이면, 더미 리드 신호(DRD)을 발생한다. OR게이트(OR2)는 "하이"레벨의 더미 리드 신호(DRD)이 발생되면 "하이"레벨의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ODTDIS)를 발생한다. ODT 제어신호 발생부(34)는 "하이"레벨의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ODTDIS)가 입력되면 "로우"레벨의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발생한다.
즉,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들은 반전 칩 선택신호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라이트 명령이 인가되면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활성화하고, 외부로부터 리드 명령이 인가되면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비활성화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들은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을 통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간에 맞추어서 온 다이 종단 회로가 인에이블되어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온 다이 종단 회로를 통하여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모리를 도1에 나타낸 듀얼 뱅크 시스템에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에 도1에 나타낸 메모리 모듈(20)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 내부의 온 다이 종단 회로를 모두 인에이블하여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로 인가되는 신호를 종단한다.
즉, 듀얼 뱅크 시스템이 실제적인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는 메모리와 실제적인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메모리로 데이터가 공통으로 인가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메모리로 인가된 데이터가 실제적인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는 메모리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제적인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메모리 내부의 온 다이 종단 회로를 동시에 인에이블하여 신호를 종단한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 발생부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지연 회로(40), 반전 및 지연회로(42), NOR게이트(NOR), 및 인버터(I1)로 구성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낸 회로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연 회로(40)는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를 제1소정 시간만큼 지연한다. 지연 및 반전 회로(42)는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ODTDIS)를 제2소정 시간만큼 지연한다. NAND게이트(NAND)와 인버터(I1)는 지연 회로(40)와 지연 및 반전 회로(42)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발생한다.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는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거나,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ODTDIS)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강제적으로 비활성화된다. 즉,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간동안 인에이블된다. 이는 지연 회로(40)와 지연 및 반전 회로(42)의 제1소정 시간과 제2소정 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서 가능하다.
도3에 나타낸 실시예의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 발생부는 지연 회로(40) 및 반전 및 지연회로(42)를 구비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연 회로(40) 및 반전 및 지연회로(42)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온 다이 종단 회로의 회로도로서, 인버터(I2), PMOS트랜지스터(P), NMOS트랜지스터(N), 및 저항들(Ru, Rd)로 구성되어 있다.
도4에서, 종단 노드(A)는 데이터 입출력(또는, 입력) 패드(미도시)에 연결된다.
도4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가 인에이블되어, "하이"레벨로 천이하면, 인버터(I2)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NMOS트랜지스터(N)와 PMOS트랜지스터(P)가 온된다. 따라서, 저항들(Ru, Rd)로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이 공급되어 종단 노드(A)의 전압이 전압(VCC/2) 레벨로 되어 신호를 종단한다.
도5a, b는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로서, 메모리들이 더블 데이터 레이트(DDR;Double Data Rate)로 동작하고, 라이트 레이턴시가 4이고, 캐스 레이턴시가 5이고, 버스트 길이가 4인 경우의 라이트 명령과 리드 명령이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클럭신호(clk)의 상승 엣지에 응답하여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레벨, "하이"레벨, "로우"레벨, "로우"레벨의 제1반전 칩 선택신호(cs1b),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rasb),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casb), 및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b)가 각각 인가되면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은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트 신호(WE)을 발생한다. 그리고, 이때,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은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 라이트 신호(DWE)을 발생한다. 그러면,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은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트 신호(WE)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를 "하이"레벨로 천이하고,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은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 라이트 신호(DWE)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를 "하이"레벨로 천이한다. 따라서, 도5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 각각은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하이"레벨로 천이한다. 이에 따라,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의 온 다이 종단 회로가 동작하여 신호를 종단한다. 즉,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은 실제적인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지는 않지만,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로 인가되는 데이터가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로도 인가되기 때문에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를 종단한다.
라이트 명령이 인가된 후 2클럭 주기 후에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레벨, "하이"레벨, "로우"레벨, "하이"레벨의 제1반전 칩 선택신호(cs1b),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rasb),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casb), 및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b)가 각각 인가되면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은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신호(RD)을 발생한다. 그리고, 이때,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은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 리드 신호(DRD)을 발생한다. 그러면,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은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신호(RD)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ODTDIS)를 "로우"레벨로 천이하고,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은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 리드 신호(DRD)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ODTDIS)를 "로우"레벨로 천이한다. 따라서, 도5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 각각은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ODTDIS)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로우"레벨로 천이한다. 이에 따라,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의 온 다이 종단 회로가 동작을 중지한다. 즉, 후면부의 메모리들(20-21 ~ 20-2n)은 실제적인 리드 동작을 수행하지는 않지만, 내부적으로 더미 리드 신호(DRD)를 발생하여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중지한다.
즉,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은 라이트 신호 후에 리드 신호가 발생되면,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를 인에이블하고,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제어신호(PODT)를 강제적으로 디스에이블한다.
도6a, b는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로서, 메모리들이 더블 데이터 레이트(DDR;Double Data Rate)로 동작하고, 라이트 레이턴시가 4이고, 캐스 레이턴시가 5이고, 버스트 길이가 4인 경우에 라이트 명령이 인가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클럭신호(clk)의 상승 엣지에 응답하여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레벨, "하이"레벨, "로우"레벨, "로우"레벨의 제1반전 칩 선택신호(cs1b), 반전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rasb), 반전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casb), 및 반전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b)가 각각 인가되면 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은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트 신호(WE)을 발생한다. 그리고, 라이트 신호(WE)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가 "하이"레벨로 천이한다. 라이트 신호(WE)가 발생되는 경우의 동작은 상술한 도5a, b의 설명을 참고로 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은 라이트 신호(WE)가 "로우"레벨로 천이하면 라이트 명령(WE)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를 "로우"레벨로 천이한다. 그러면,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ODTEN)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가 "로우"레벨로 천이한다. 이에 따라,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이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중지한다.
즉,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의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PODT)는 라이트 신호(WE)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되고, 라이트 신호(WE)가 비활성화되면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은 전면부와 후면부의 메모리들(20-11 ~ 20-1n, 20-21 ~ 20-2n)로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간에 맞추어서 온 다이 종단 회로가 동작되게 함으로써 온 다이 종단 회로를 통하여 흐르는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 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제어방법을 DDR 메모리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DDR 메모리가 아닌 다른 종류의 메모리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듀얼 뱅크 시스템의 메모리 모듈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메모리들이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시스템 보드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메모리들이 장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온 다이 종단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 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은 메모리들로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간에 맞추어서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인에이블하여 신호를 종단하므로써 온 다이 종단 회로를 통하여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제1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
    제2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 및
    상기 제1 및 제2선택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들로 라이트 및 리드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들 각각의 대응하는 메모리들과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들 각각은
    상기 제1 또는 제2선택신호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관계없이 상기 라이트 명령에 응답하여 라이트 신호 또는 더미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리드 명령에 응답하여 리드 신호 또는 더미 리드 신호를 발생하는 명령어 디코더;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회로;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수행하는 온 다이 종단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뱅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 각각의 상기 명령어 디코더는
    상기 제1선택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리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제1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더미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더미 리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뱅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 각각의 상기 명령어 디코더는
    상기 제2선택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리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더미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더미 리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뱅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회로는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 발생회로;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되거나, 상기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뱅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 다이 종단 회로는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어 전원전압을 전송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와 종단 노드사이에 연결된 풀업 저항;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어 접지전압을 전송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종단 노드와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사이에 연결된 풀다운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뱅크 시스템.
  6. 선택신호가 활성화되고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리드 신호를 발생하고,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더미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더미 리드 신호를 발생하는 명령어 디코더;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회로;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수행하는 온 다이 종단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회로는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 발생회로;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되거나, 상기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 다이 종단 회로는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어 전원전압을 전송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와 종단 노드사이에 연결된 풀업 저항;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어 접지전압을 전송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종단 노드와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사이에 연결된 풀다운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9. 선택신호가 활성화되고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리드 신호를 발생하고, 선택신호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라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더미 라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드 명령이 입력되면 더미 리드 신호를 발생하는 명령어 디코딩 단계;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 발생단계;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동작을 수행하는 온 다이 종단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 발생단계는
    상기 라이트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라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리드 신호 또는 상기 더미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온 다이 종단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되거나, 상기 온 다이 종단 디스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온 다이 종단 제어신호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KR1020030030350A 2003-05-13 2003-05-13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KR10054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350A KR100541045B1 (ko) 2003-05-13 2003-05-13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US10/792,623 US7092299B2 (en) 2003-05-13 2004-03-03 Memo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selective on-die ter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350A KR100541045B1 (ko) 2003-05-13 2003-05-13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147A true KR20040098147A (ko) 2004-11-20
KR100541045B1 KR100541045B1 (ko) 2006-01-10

Family

ID=3341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350A KR100541045B1 (ko) 2003-05-13 2003-05-13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92299B2 (ko)
KR (1) KR100541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556B1 (ko) * 2004-03-29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이 장치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회로
KR100578649B1 (ko) * 2004-04-20 2006-05-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다이 터미네이션 제어 회로 및 온-다이 터미네이션제어 신호 생성 방법
KR100605601B1 (ko) 2004-05-06 2006-07-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위칭 노이즈를 감소시킨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516281B2 (en) * 2004-05-25 2009-04-07 Micron Technology, Inc. On-die termination snooping for 2T applications in a memory system implementing non-self-terminating ODT schemes
US7574634B2 (en) * 2004-06-21 2009-08-11 Micron Technology, Inc. Real time testing using on die termination (ODT) circuit
US7138823B2 (en) * 2005-01-20 2006-11-21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dependent control of on-die termination for output buffers of a memory device
US8244971B2 (en) 2006-07-31 2012-08-14 Google Inc.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8438328B2 (en) 2008-02-21 2013-05-07 Google Inc. Emulation of abstracted DIMMs using abstracted DRAMs
US8796830B1 (en) 2006-09-01 2014-08-05 Google Inc. Stackable low-profile lead frame package
US8359187B2 (en) 2005-06-24 2013-01-22 Google Inc. Simulating a different number of memory circuit devices
US8386722B1 (en) 2008-06-23 2013-02-26 Google Inc. Stacked DIMM memory interface
US7386656B2 (en) 2006-07-31 2008-06-10 Metaram, Inc. Interface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management operations in conjunction with only a portion of a memory circuit
US8335894B1 (en) * 2008-07-25 2012-12-18 Google Inc. Configurable memory system with interface circuit
US9542352B2 (en) 2006-02-09 2017-01-10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mmand scheduling constraints of memory circuits
US20080028136A1 (en) 2006-07-31 2008-01-31 Schakel Keith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 management of memory modules
US8111566B1 (en) 2007-11-16 2012-02-07 Google, Inc. Optimal channel design for memory devices for providing a high-speed memory interface
US20080082763A1 (en) 2006-10-02 2008-04-03 Metara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emory circuits by a system or component thereof
US8055833B2 (en) 2006-10-05 2011-11-08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capacity, performance, and flexibility of flash storage
US8081474B1 (en) 2007-12-18 2011-12-20 Google Inc. Embossed heat spreader
US8169233B2 (en) 2009-06-09 2012-05-01 Google Inc. Programming of DIMM termination resistance values
US8397013B1 (en) 2006-10-05 2013-03-12 Google Inc. Hybrid memory module
US8130560B1 (en) 2006-11-13 2012-03-06 Google Inc. Multi-rank partial width memory modules
US8077535B2 (en) 2006-07-31 2011-12-13 Google Inc. Memory refresh apparatus and method
US8089795B2 (en) 2006-02-09 2012-01-03 Google Inc. Memory module with memory stack and interface with enhanced capabilities
US8060774B2 (en) 2005-06-24 2011-11-15 Google Inc. Memory systems and memory modules
US8090897B2 (en) 2006-07-31 2012-01-03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 aspect of a memory circuit
US8041881B2 (en) 2006-07-31 2011-10-18 Google Inc. Memory device with emulated characteristics
US8327104B2 (en) 2006-07-31 2012-12-04 Google Inc. Adjusting the timing of signals associated with a memory system
KR100670674B1 (ko) * 2005-06-30 2007-0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DE102005036528B4 (de) * 2005-07-29 2012-01-26 Qimonda Ag Speicherbaustei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peicherbausteins
US7560956B2 (en) * 2005-08-03 2009-07-1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based on a determination of the availability of internal clock signals
US7379316B2 (en) * 2005-09-02 2008-05-27 Metaram,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stacking DRAMs
US7259585B2 (en) * 2005-09-28 2007-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 on-die termination for improved power management and thermal distribution
US9632929B2 (en) 2006-02-09 2017-04-25 Google Inc. Translating an address associated with a command communicated between a system and memory circuits
JP4615461B2 (ja) * 2006-03-10 2011-01-1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メモリコントローラ
US7486104B2 (en) * 2006-06-02 2009-02-03 Rambus Inc. Integrated circuit with graduated on-die termination
KR100744004B1 (ko) * 2006-06-30 2007-07-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및그의 구동방법
US7724589B2 (en) 2006-07-31 2010-05-2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aying a signal communicated from a system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memory circuits
JP5019573B2 (ja) 2006-10-18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モリ制御回路とメモリシステム、及びそのメモリ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US8599631B2 (en) 2006-12-21 2013-12-03 Rambus Inc. On-die termination of address and command signals
US7595657B2 (en) * 2007-05-01 2009-09-29 Sony Corporation Dynamic dual control on-die termination
US8080874B1 (en) 2007-09-14 2011-12-20 Google Inc. Providing additional space between an integrated circuit and a circuit board for positioning a component therebetween
US8250287B1 (en) * 2008-12-31 2012-08-21 Micron Technology, Inc. Enhanced throughput for serial flash memory, including streaming mode operations
JP2010219751A (ja) * 2009-03-16 2010-09-3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KR101789077B1 (ko) * 2010-02-23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데이터 출력 버퍼, 반도체 메모리 장치, 메모리 모듈,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의 구동 방법, 데이터 출력 버퍼의 구동 방법 및 온-다이 터미네이션 트레이닝 방법
JP2013534100A (ja) 2010-06-17 2013-08-29 ラムバ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平衡したオンダイターミネーション
KR101841622B1 (ko) 2010-11-04 2018-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 가지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8988102B2 (en) 2011-02-02 2015-03-24 Rambus Inc. On-die termination
KR20120098027A (ko) * 2011-02-28 2012-09-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919145B1 (ko) 2012-03-30 2018-11-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모듈
US8928349B2 (en) 2012-07-25 2015-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die termination circui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KR20170005328A (ko) * 2015-07-03 2017-01-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US10340022B2 (en) * 2017-05-16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including on-die-termination circuit and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nonvolatile memory
KR102471160B1 (ko) 2017-05-16 2022-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다이-터미네이션 회로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
US11003387B2 (en) * 2017-11-28 2021-05-1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Combined data and control for multi-die flash
KR20190113507A (ko) * 2018-03-27 2019-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랭크들의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셋팅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메모리 시스템
US11081191B2 (en) 2019-06-18 2021-08-0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ynamic switching for improved power utilization
TWI831035B (zh) * 2021-08-02 2024-02-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資料儲存系統與終端電路控制方法
TWI829103B (zh) * 2022-03-02 2024-01-11 群聯電子股份有限公司 記憶體控制方法、記憶體儲存裝置及記憶體控制電路單元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9251B2 (ja) * 2001-08-24 2006-07-19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メモリデバイス及びメモリシステム
US6538951B1 (en) * 2001-08-30 2003-03-25 Micron Technology, Inc. Dram active termination control
US6754129B2 (en) * 2002-01-24 2004-06-2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module with integrated bus 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92299B2 (en) 2006-08-15
KR100541045B1 (ko) 2006-01-10
US20040228196A1 (en)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045B1 (ko) 듀얼 뱅크 시스템, 이 시스템에 사용을 위한 메모리, 및이 메모리의 온 다이 종단 방법
KR100464437B1 (ko) 온칩 dc 전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odt 회로와odt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메모리장치를 채용하는메모리 시스템
US7372768B2 (en) Memory with address management
US5949252A (en) Bus configuration and input/output buffer
US6338113B1 (en) Memory module system having multiple memory modules
JP3825862B2 (ja) 同期型ダイナミ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US553516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327613B2 (en) Input circuit for a memory device
US626012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operates in synchronism with a clock signal
KR20010050192A (ko) 반도체 장치
US6337833B1 (en) Memory device
US5812492A (en)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can correspond to high speed external clock signal
US648377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asking data to be written
KR100650845B1 (ko)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버퍼 제어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메모리 모듈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어 동작 방법
KR20020034216A (ko) 로오 버퍼를 내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260071B1 (ko)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70081881A (ko)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다이나믹 온다이터미네이션 회로및 그 방법
EP0404013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n improved write control circuit
US5983314A (en) Output buffer having inherently precise data masking
KR20010009843A (ko) 디디알 에스디램의 읽기 동작을 위한 데이터 스위치 제어 신호발생 회로
KR100323254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KR20050067528A (ko) 반도체 기억 소자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구동 회로 및 방법
JP2014170605A (ja) 半導体装置
CN111028871B (zh) 用于将电压提供到其间安置有时钟信号线的导电线的设备及方法
KR100818102B1 (ko) 컬럼 어드레스 선택 신호 발생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