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22446A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22446A1
WO2019022446A1 PCT/KR2018/008255 KR2018008255W WO2019022446A1 WO 2019022446 A1 WO2019022446 A1 WO 2019022446A1 KR 2018008255 W KR2018008255 W KR 2018008255W WO 2019022446 A1 WO2019022446 A1 WO 20190224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unit
heat exchanger
outl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2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성석
강성호
이정은
이정재
조중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9526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7818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2776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22949B1/ko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33,98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42934B2/en
Priority to CN201880049891.6A priority patent/CN110997368B/zh
Publication of WO20190224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24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9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comprising additional venti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minimizes energy consumption, can independently perform air conditioning of all seats and rear seats, and can discharge unpleasant odors to the outside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n apparatus for cooling or heating a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air outside the vehicle into a vehicle interior or by heating or cooling the air in a vehicle interior.
  • Such an air conditio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ccordance with the independent structure of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the three-piece type in which the three uni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are incorporat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 semi-center type provided as a separat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of the three units are incorporated in the air conditioner case.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uch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 an indoor air inlet 21 and an outdoor air inlet 22 are formed at one side, and the indoor air inlet / And an air blowing fan 35 for blowing the inside air and the outside air to the air inlet 43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4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ir blowing fan 10,
  • an air conditioner case 40 in which an air conditioner 40 is installed.
  • the internal and external switching doors 23 are of various shapes such as a plate type, a dome type, a cylindrical type, and a hemispherical type, which receive less air pressure, depending on the purpos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mi-center type air conditioner 1 in the air conditioner.
  • an air inlet 43 is formed at an inlet side,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43, (10) for selectively introducing the inside air and the outside air through the air inlet port (22)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forcedly blowing air toward the air inlet port (43) .
  •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comprises an upper case formed by assembling left and right cases, and a lower case assemb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 An evaporator 41 and a heater core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 a temperature control doo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s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And a mode door (not shown) for performing various air conditioning modes are installed.
  • the blowing fan 35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43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and the blowing fan 35 is connected to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21 and 22,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air inlet 43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 the air blowing fan 35 forcibly blow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21 and 22 into the air inflow port 43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40 by rotation. Air flows into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21 and 22 downward to pass through the air blowing fan 35. The air blown out from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And flows into the air inlet 43 formed therein. That is, the air blowing fan 35 is provided below the inner and outer air inflow ports 21 and 22,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air blowing apparatus 10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 the air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device 1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41, (Not show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openings 44, so that the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It will be done.
  • an autonomous vehicle is an automobile that can carry out the main transport function.
  • the autonomous vehicle can det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out human intervention, and can operate the automatic navigation system.
  • sensing means such as radar, LIDAR, GPS, and computer vision technology to sense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More advanced sensing means may interpret the navigation means as well as identification means such as markings associated with obstacles.
  • the autonomous vehicle must be able to automatically update the map according to the sensor input so that it can maintain its path even in unregistered environments or conditions. All of these configurations can be controlled by the computer, not by people, so that they can actually control the vehicle drive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air conditioner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minimizes energy consumption, and can independently perform air conditioning for a plurality of areas including front seats and rear seats.
  •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an all-wheel air blower for discharging air to the front seat and a second air blower for discharging air to the back seat,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outdoor air of a vehicle flowing in from an air inlet;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air intake port can discharge an unpleasant odor when the vehicle is initially driven by the second blower rather than the all-wheel air blow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first unit and a second unit, wherein the first unit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and a heat exchanger,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is sucked into the second unit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then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areas in the cabin,
  •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dividually ventilating the plurality of areas by discharg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a heat exchanger selectively to each area of the plurality of areas.
  • the plurality of regions include a discharge unit that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unit and the discharge duct and through which air blown from the blower is selectively blown, wherein the first unit is provided with a cooling heat exchanger,
  • th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adiator heat exchanger inside.
  • the discharge unit includes an all-over discharge unit having an all-around heat exchanger in the inside thereof, an all-over discharge unit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air passing through the all-over-heat heat exchanger, and a deep heat exchanger in the interior.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passes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blower,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door through the front heat exchanger ,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postal control temperature control door through a backward heat exchanger.
  • the electric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front discharge opening for discharging win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Discharge; A front chest seat temperature adjusting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eat heat exchanger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wind blown out to the front chest outlet and a front chest seat temperature adjusting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eat heat exchang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ind blown out to the front chute outlet, And may include a heat sink temperature control door.
  • the backward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chest outlet which discharges wind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Discharge outlet; A rear chest temperature adjusting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heating heat exchanger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wind blown out to the rear chest outlet and a rear chest temperature adjusting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chest heat exchang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ind blown to the rear chute outlet, And a post-heat temperature control door.
  • the air inlet of the first unit includes an air inflow inlet, which is an inlet for sucking the vehicle interior, and an outside air inlet, which is an inlet for sucking the outside air of the vehicle. Prayer can be provided.
  • the first unit may include an air filter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cooling heat exchanger to remove foreign matter.
  • the first unit may include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that prevents leakage of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allows the condensed water to drain smoothly to the outside.
  • the second unit may include a blowing control doo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assage blown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 the blower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ducts so as to blow air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ducts.
  • the plurality of regions are communicated by the second unit and the discharge duct, and the first unit is provided with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adiator heat exchanger.
  • the separating means may b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oling heat exchanger so that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may be mixed to reach the separating means.
  •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doors, respectively, to control the air blown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include an all-purpose discharge unit having an all-around heat exchanger in the interior and an ai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air passed through the all-purpose heat exchanger is discharged; A back exhaust unit having a back exhaust heat exchanger inside and having a back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air passed through the back exhaust heat exchanger is formed; An air blower for blowing air to the electric discharge unit by sucking air from the first unit; And a second blower for sucking air from the first unit and blowing wind to the top discharge unit.
  • a windshield adjustment door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lower to block the wind flowing into the blower, and a tune control door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right vent to block the wind flowing into the second blower.
  • the electric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front discharge opening for discharging win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Discharge; A front chest seat temperature adjusting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eat heat exchanger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wind blown out to the front chest outlet and a front chest seat temperature adjusting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eat heat exchang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ind blown out to the front chute outlet, And may include a heat sink temperature control door.
  • the backward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chest outlet which discharges wind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Discharge outlet; A rear chest temperature adjusting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heating heat exchanger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wind blown out to the rear chest outlet and a rear chest temperature adjusting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chest heat exchang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ind blown to the rear chute outlet, And a post-heat temperature control door.
  • the discharging unit may include a PTC heater, a heater controller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 blower, and a heat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TC heater.
  • the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ll-wheel discharge unit having an all-wheel-drive PTC heater inside and having an all-wheel-drive-ai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air passed through the electric-motor-PTC heater is discharged; A back discharge unit having a built-in PTC heater therein and formed with a forward ai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passed through the rear PTC heater is discharged; An air blower for blowing air to the electric discharge unit by sucking air from the first unit; And a second blower for sucking air from the first unit and blowing wind along the upright vent to the upright discharge unit.
  • the upright vent may be disposed on an indoor floor of the vehicle, and an indoor air inlet may be formed on one side thereof.
  • the air ven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vent communicated with the air vent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can pass through the back ventilation unit.
  • the communication vent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vent doo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ommunication v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n inner / outer base oil inlet, a cooling heat exchanger, an all-wheel air outlet, a front air outlet, an overturned seat and a seatsheet, An all-steel blower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air outlet; A second blower for discharging the air flowing in from the air inlet to the back air outlet;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by the second blowe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 the all-wheel fan When the passenger is located on the seat, the all-wheel fan is operated.
  • the second fan is operat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fan or the second fan.
  • An all-wheel control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ll-wheel fan to open / close a flow of air to an air discharge port of the pre-stove;
  •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tray adjusting do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bl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right air outlet.
  • the air inlet includes an air inlet and an outdoor air inlet,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opening / closing the outle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let.
  • the indoor air inlet is closed for ventilation of the indoor air,
  • the second blower is operated so that the outside air from the outside air entering from the outside air inlet and / or the inside air from the room air inlet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by the second blower.
  • a first unit having an air inlet and a cooling heat exchanger
  • a second unit provided with the all-wheel fan, the second blower, an all-round control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air to the air to the pre-stall air outlet, and a tilt-adjust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low of air to the upright air outlet;
  • an exhaust heat exchange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pre-heating heat exchanger, the pre-discharge unit including the pre-discharge air outlet and the second unit, and the upright discharge unit including the upright air discharge outlet.
  • an air conditioner case having a cooling heat exchanger of the first unit, an all-wheel fan of the second unit, an all-oven heat exchanger of the electric-discharge unit, and an air discharge port of an oval, Can be disposed.
  • the first unit may include a first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unit, and a secon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uprising vent and formed below the first outlet.
  • the second blower is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air introduced by the second blower is blown toward the back air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blower i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
  • the blower is dispos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to directly control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 the evaporator is conventionally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heater core since the air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next.
  • the evaporator unit in which the evaporator is disposed, the pre-discharge unit in which the pre-heater core is disposed and the pre-heater unit in which the front heater core is dispose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volume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remarkably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 the use of one blower can individually discharge cold / hot air to all the seats, thereby saving energy.
  • the ventilation vent can be passed through the ventilation unit, the ventilation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ll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by a simple configuration. Thus, energy can be greatly reduced.
  • the effect of blowing air to the electric discharge unit side by the blower and blowing air to the seat discharge unit side by the second blower independently blowing cold / have.
  • blower is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radiating heat exchanger, so that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front and rear heating heat exchangers can be directly controlled.
  •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r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unit to occupy a space, the unit in which the cooling heat exchanger is disposed and the unit in which the all-purpose heat exchanger is dispose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can be utilized.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of FIG.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FIG. 8 and the loop vent connected thereto.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ructure is arranged on the vehicle roof side in the vehicle to which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Fig. 10 is applied.
  •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figuration is arranged on the vehicle floor side in a vehicle to which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FIG. 10 is applied.
  • first unit 210 inflow inlet
  • outside air inlet 220 air inlet
  • cooling heat exchanger 240 air filter
  • auxiliary ventilation inlet port 380 auxiliary ventilation inlet port
  • Electric discharge unit 410 Electric heating heat exchanger
  • front seat air outlet port 421 front seat outlet port
  • a top discharge unit 510 a bottom heating heat exchanger
  • De-Frost discharge port 820 Central discharge port
  •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includes an air inlet 220 including an air inlet 210 and an air inlet 211, and a cooling heat exchanger 230 A second unit 300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unit 200 and having a blower 310 therein and a second unit 300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unit 300, An all-round discharge unit 400 having an air discharge opening 420 for discharging air passing through the all-over-air heat-transfer heat exchanger 410 and an air discharge opening 420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heat exchanger 410, And a top discharge unit 500 having an exchanger 510 and formed with a downstream air discharge port 520 through which the air passed through the downstream heat exchanger 510 is discharged.
  • the blower 310 is connected to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and the heat exchanger 4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oling heat exchanger "), unlike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air or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rough the blower, 510 and 510.
  • the indoor or out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the blower 310 and the heat exchangers 410 and 510 in order.
  • the discharge unit is provided with the heat exchanger, but the heat exchanger may be a heater core that dissipates heat or a PTC heat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cooling heat exchanger may be an evaporator that absorbs heat by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car.
  • 31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and the heater core 410 to directly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and the heater core 410, 510.
  •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r are arranged in a single unit to occupy a space, but the first unit 200 in whic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is disposed,
  • the air conditioner can be remarkably reduced in volume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can be utilized because the pre-discharge unit 500 in which the pre-heating heat exchanger 510 is dispose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have.
  • the single blower 310 can discharge independent wind only to the right rear seat, The wind can be discharged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 the first unit 200 includes a cooling heat exchanger 230 disposed therein and includes at one side an inflow inlet 210 as an inlet for sucking the vehicle interior or an outside air inlet 211 as an inlet for sucking outside air of the vehicle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ir inlet 220 to selectively introduce air or outside air into the air inlet 220.
  • a cooling heat exchanger 230 disposed therein and includes at one side an inflow inlet 210 as an inlet for sucking the vehicle interior or an outside air inlet 211 as an inlet for sucking outside air of the vehicle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ir inlet 220 to selectively introduce air or outside air into the air inlet 220.
  • the first unit 200 is provided with an air filter 240 between the air inlet 220 and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to remove foreign matter.
  •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is disposed in the first unit 200, the first unit 200 can prevent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from leaking and smoothly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denser 200.
  • the second unit 300 is provided with a blower 310 therein to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blow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unit 200 to the electromagnet discharge unit 400 or the back discharge unit 500.
  • a blower 310 therein to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blow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unit 200 to the electromagnet discharge unit 400 or the back discharge unit 500.
  •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discharge units 400 and 500 can be direct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 the blower 310 of the second unit 300 is constituted by a scroll cas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for forcibly blowing air toward the discharge units 400 and 500. That is, the blower 310 has a known structure in the prior ar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 31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200 and the discharge units 400 and 500.
  • the front and rear seat discharge units 400 and 500 are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unit 300 so that air controlled by the blower 310 flows into the front and rear seat discharge units 400 and 500.
  • a blowing control door 320 for regulating the opening degree of a passage for blowing air into the duct 500.
  •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is provided with a front seat discharge opening 421 which is a discharge opening for discharging wind to the vehicle interior and a electric discharge opening 422 and a front discharge opening 421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discharged to the front seat discharge opening 421
  • a control door 411 and a transfer door temperature control door 412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422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e-
  • the back discharge unit 500 includes a rear discharge opening 521 and a rear discharge opening 522, a rear discharge temperature control door 511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rear discharge opening 521, A post-pile heat control door 512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post-pile outlet 52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ost-pile heat exchanger 5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ull-discharge unit 400 and the full-discharge unit 500.
  • a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including the full-discharge discharge unit 400 and the full discharge unit 500 may be used.
  •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220 of the first unit 200 passes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by the blower 310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second unit 300.
  • the air sucked into the second unit 300 can be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areas via the discharging unit.
  • a discharge duct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unit 300 and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areas is provided, and a separate heat exchanger may b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areas.
  • the air sucked into the second unit 300 can be discharged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rough a heat exchanger selective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areas.
  •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maximize the effect in the autonomous vehicle, especially i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zones, since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such as the temperature control, the cooling / heating mode, and the airflow control.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220 of the first unit 200 by the blower 310 is blown to the second unit 300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 the blower 310 of the second unit 300 blows wind toward the discharge units 400 and 500.
  • the wind blowing amount can be adjusted by the blowing air control door 320 to the pre-discharge unit 400 or the back discharge unit 500.
  • a wind controllable door 320 for selectively blowing air to the discharge units 400 and 500 is provided, so that the air blown from the second unit 300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blown into all or a portion of the vehicle.
  • the opening of the airflow control door 320 all of the wind can be blown to the windshield, or all winds can be blown to the windshield, or all the windshields can be blown It is possible to blow 90% of the wind to provide cold air to the user who boarded on the roof.
  • the discharging unit is provided with two front and rear seats, but it may be provided with three or more front, rear, upward, downward, and side directions.
  • the separating unit 312 separates the wind blown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is provided with a front door temperature control door 411 or a front door temperature control door 412 to selectively and independently open / close the front door 421 and the front door 422, Can be discharged.
  • the airflow control door 320 closes the passageway with the pre-discharge unit 400, Thereby opening the passage. Then, the back-side heat exchanger 510 is operated, the rear-side temperature control door 511 closes the passage, and the after-air outlet 520 opens the passage.
  • the air flow control door 320 blocks the passage to the back seat discharging unit 500, Thereby opening the passage. Then, the front seat heat exchanger 410 is not operated, the front door temperature control door 412 closes the passageway, and the front passageway temperature control door 411 opens the passageway.
  •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ular air-conditioning system 100 does not use the air blowing control door 320 for blowing wind to the seat back discharge unit 500, but a second blower 330 is additionally provided .
  • the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100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220 including an air inlet inlet 210 and an air inlet 211, and a first unit 210 having a cooling heat exchanger 230 therein
  • An overturning heat exchanger 410 having an inside air heat exchanger 410 and an air discharge port 420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heat exchanger 410 is discharged
  • a back exhaust unit 500 provided with an exchanger 510 and formed with a back air outlet 520 through which the air passed through the back heating heat exchanger 510 is discharged
  • And separating means 312 for separating the wind.
  • a second blower 330 for blowing wind to the back discharge unit 500 is further provided. Accordingly, the blower 310 blows wind toward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and the second blower 330 blows wind toward the back discharge unit 500.
  •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blower for blowing wind to each of them.
  •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one first unit 200 including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can b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
  • the separating means 312 has a function of being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unit 200 and partitioning the col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so that the cold air is individually blown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 the separating means 312 may be a partition or a duct separating the wind blown by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so as to be selectively blown.
  • a convex vent 340 may be formed.
  • a plurality of control doors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parating means 312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to individually regulate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That is, by the plurality of control doors, it is possible to take as many cold winds as necessar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 the blower 310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n electromagnet control door 311 for controlling the wind flowing into the ventilator 310 and the wind vent 3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entilator 340, A door 341 may be provided.
  • an electromagnet control door 311 for controlling the wind flowing into the ventilator 310
  • the wind vent 3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entilator 340
  • a door 341 may be provided.
  • blower 310 and the second blower 330 when any one of the blower 310 and the second blower 330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nd from flowing backward from the other blowers by the front seat control door 311 and the rear seat control door 341.
  •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and the separating means 3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is completely mixed and reaches the separating means 312 .
  •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also includes a front door temperature control door 411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discharged to the front door discharge port 421 and a front door temperature control door 411 having the front door discharge port 421 and the electric discharge port 422, A heat transfer door 412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discharged to the stover discharging opening 42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e-heating heat exchanger 410.
  • the back discharge unit 500 is provided with a rear discharge opening 521 and a rear discharge opening 522 and is provided with a rear discharge temperature adjusting door 511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discharged to the rear discharge opening 521,
  • a post-pile heat control door 512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discharged to the pile outlet 52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ost-pile heat exchanger 510.
  •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ront seat heat exchanger 410 and the rear seat heat exchanger 510 are connected to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470 and a rear seat PTC heater 570 And the temperature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and rear air discharge ports 420 and 520 is adjusted by directly controlling the duty of the PTC heaters 470 and 570 by the heater control unit 9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
  • the heater control unit 900 directly controls the heaters 470 and 570 without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temperature control doors 411, 412, 511 and 512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heater core.
  •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includes a first unit 200 having an air inlet 220 and a cooling heat exchanger 230 therein, and an all-steel PTC heater 470
  • the PTC heater 570 is provided in the front seat PTC heater 570.
  • the front seat PTC heater 570 is installed in the front seat PTC heater 570.
  • the front seat PTC heater 570 is installed in the front seat PTC heater 570, A blower 310 for blowing air to the pre-discharge unit 400 by sucking air from the first unit 200, and a blower 310 for blowing air to the pre- A second unit 300 having a second blower 330 for sucking air from the first unit 200 and blowing wind along the upright ventilation unit 340 to the upright discharge unit 500, And a heater control unit 900 for controlling the all-around PTC heater 470 and the upright PTC heater 570.
  • the upright vent 340 may be disposed on an indoor floor of the vehicle, and an indoor air inlet 3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right vent 340. Accordingly, when the room air inlet 350 is opened in the heating mode, the room air passes through the PTC heater 57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thereby realizing rapid heating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100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vent 490 through which the wind passing through the blower 310 can pass through the backward discharge unit 500.
  • the blower 310 can be blown simultaneously to the electromagnet discharge unit 400 and the back discharge unit 500, and the back discharge unit 500 can blow wind from the blower 310 and the second blower 330 .
  • the communication vent 49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vent door 491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ommunication vent 490.
  • the communication vent 490 is shown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upright discharge unit 500 at a stage before passing through the all-over-air heat exchanger 410,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fan 330 is not used and the fan 310 can be used to discharge the cold / hot air to the all-round cool air and the back air.
  • the blower 310 and the second blower 330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to blow cold air strongly.
  • the reduction of energy in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a very important par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when a passenger is required to be depressed in a state where the occupant is only board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ergy greatly.
  •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100 includes an internal / external base oil inlet 220 including an internal air inlet 210 and an external air inlet 211, and a cooling heat exchanger 230 A first unit 200 provided; A second unit 300 having a plurality of blowers for sucking air from the first unit 200 and a plurality of separating units for separating air to be blown to the plurality of discharging units; And a plurality of discharging units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plurality of regions by introducing air into the plurality of blowers and separating means.
  •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may include an electret discharge unit 400 and a back discharge unit 500.
  •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includes an electric seat temperature regulating door 430 and an electric oven heat exchanger 410 and includes an electric oven discharge port 420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through the electric oven heat exchanger 410, And a front seat mode door 4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eat air outlet 420.
  • the seat back discharge unit 500 is provided with a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530 and a rear seat heat exchanger 510, A starboard air outlet 520 through which the air passed through the exchanger 510 is discharged and a starboard mode door 550 which opens and closes the starboard air outlet 520 are formed.
  • the discharge uni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with two discharge units as the pre-discharge unit 400 and the back discharge unit 500.
  • a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including a path.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blower to blow air to each of them.
  • the plurality of blowers provided in the second unit 300 include an all-wheel fan 360 for blowing air to the pre-discharge unit 400 by sucking air from the first unit 200, A second blower 330 for sucking air from the unit 200 and blowing wind to the upright discharge unit 5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discharge units 400 and 500 ), And blows air.
  • the separating means 312 has a function of being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unit 200 and partitioning the col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so that the cold air is individually blown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That is, the separating means 312 may be a partition wall or a duct separating the wind blown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so as to be selectively blown. For example, the separating means 312 may be a wind A convex vent 340 may be formed.
  • a plurality of mode doors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parating means 312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discharging units to individually regulate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plurality of discharging units. That is, by the plurality of control doors, it is possible to take as many cold winds as necessar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 the blower 36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air blower 360 to control the air flow into the blower 360.
  • the air blower 36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lower 340, And the rear seat adjustment door 341 may be provided. As a result, cold air as much as necessary is blown to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or the back discharge unit 500 by the front seat control door 311 or the rear seat control door 341.
  • the blowers 360 and 330 are installed in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The indoor air or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the all-wheel fan 360 and the front and rear heat exchangers 410 and 510 in order .
  • the wind blows to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side by the all-wheel fan (360), and the wind is blown toward the back discharge unit (500) by the second blower (330).
  • 360 and 330 are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and the front and rear heating heat exchangers 410 and 510 so that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and the front and rear heating heat exchangers 410 and 510 is directly As shown in FIG.
  •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r are arranged in a single unit to occupy a space, but the first unit 200 in whic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is disposed,
  • the air conditioner can be remarkably reduced in volume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can be utilized because the pre-discharge unit 500 in which the pre-heating heat exchanger 510 is dispose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have.
  • the first unit 200 is provided with a cooling heat exchanger 230 therein.
  • the first unit 200 includes an indoor air inlet 210, which is an inlet for sucking indoor air of the vehicle, or an outdoor air inlet 211,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ner / outer base oil inlet 220 to allow the inner air or the outside air to be selectively introduced into the inner / outer base oil inlet 220.
  • the first unit 200 is provided with an air filter 240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base oil inlet 220 and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to remove foreign matter.
  •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is disposed in the first unit 200, the first unit 200 can prevent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from leaking and smoothly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denser 200.
  • the second unit 300 is provided therein with blowers 360 and 330 and blow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unit 200 to the electromagnet discharge unit 400 and the back discharge unit 500.
  •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discharge units 400 and 500 can be direct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 the blowers 360 and 330 of the second unit 300 are constituted by a scroll cas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for blowing air to the discharge units 400 and 500 side. That is, the blowers 360 and 330 have a known structure in the prior ar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200 and the front and rear discharge units 400 and 500.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and external base oil inlets 220 of the first unit 200 by the blowers 360 and 330 of the second unit 300 is blown to the second unit 300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do.
  • the blowers 360 and 330 of the second unit 300 blow air toward the discharge units 400 and 500, respec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ull-discharge unit 400 and the full-discharge unit 500.
  • a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including the full-discharge discharge unit 400 and the full discharge unit 500 may be used.
  •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ternal and external base oil inlets 220 of the first unit 200 is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by the respective blowers provided in the second unit 300 You can.
  •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ducts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unit 30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eat exchangers may b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 the air sucked into the second unit 300 can be discharged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rough a heat exchanger selective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areas.
  •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maximize the effect in the autonomous vehicle, especially i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zones, since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such as the temperature control, the cooling / heating mode, and the airflow control.
  • the discharge unit is provided with the heat exchanger (410, 510).
  • the heat exchanger may be a heater core that dissipates heat or a PTC heater described later.
  • the cooling heat exchanger may be an evaporator that absorbs heat by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car.
  • the front and rear heat exchangers 410 and 510 may be a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 the front and rear heat exchangers 410 and 510 which are PTC heater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and rear air discharge ports 420 and 520 can be controlle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temperature control doors 430 and 530 provided at the front ends of the front and rear heating heat exchangers 410 and 510 and the front and rear heat exchangers 410 510).
  • the auxiliary vent 340 is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vehicle and the auxiliary ventilation inlet 3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vent 340. Accordingly, if the auxiliary ventilation inlet 370 is opened in the heating mode, the passenger compartment air passes through the passenger-side heat exchanger 510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thereby realizing rapid heating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of FIG.
  •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includes, for example,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housed in a dash panel of a vehicle.
  •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ncludes the first unit 200, the all-wheel fan 360 of the second unit 300, and the pre-discharge unit 400.
  • the first unit 200 includes an internal / external base oil inlet 220 including an internal air inlet 210 and an external air inlet 211, a cooling heat exchanger 230 provided therein, 2 unit 300.
  • the electromagnet discharge unit 400 is communicated with the air blowing unit 300, and includes an all-purpose radiator heat exchanger 410 therein, and an all-wheel air outlet 420 through which the air passed through the all-pass heat radiator- do.
  •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unit 200 and the all-purpose blower 360 of the second unit 300 and the pre-discharge unit 400 sequentially.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in sequence, but the entire air blower 360 is connected to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and the oven front heat exchanger 410 And the indoor air or the outside air is passed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the blower, and the oven front heat exchanger sequentially.
  •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and the oven front heat exchanger 410 are not disposed in one unit but are arranged in different units in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built in a dash panel of a vehicle ,
  • the volum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can be remarkably reduced, so that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can be further secured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can be utilized.
  •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disposed inside the first unit (200) may be vertically erected to further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 the first unit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outlet 250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unit 300 and a second outlet 260 communicating with the aft outlet 380.
  • the second outlet 26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let 250 and communicates with the back discharge opening 380.
  • the back discharge opening 380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via the lower side of the pre- And is joined to a horn venting vent 340.
  • the second unit 300 is provided with an all-wheel fan 360 therein and blows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outlet 250 of the first unit 200 to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directly control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pre-discharge unit 400.
  • the air blower 360 has a known construction and is vertically erected between the first unit 200 and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in the same manner as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to secure an indoor space .
  • the air blown from the first outlet 250 flow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outlet 250 and then flows toward the electric discharge unit 4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 the room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flow inlet 210 is supplied to the first outlet 250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or the outdoor air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211 flows into the cooling heat exchang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outlet (250) through the first outlet (230).
  • the air discharge unit 40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unit 300 so that indoor or outdoor air whose air amount is controlled by the all-round fan 360 flows through the first outlet 250.
  •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openings 42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ctromagnet discharge unit 400, and air passages ar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electromagnet discharge unit 400 to communicate with the preliminary air discharge openings 420.
  • the all-round air outlet port 42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connected to the de-frost discharge port 425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left side discharge port 425 adjacent to the de-frost discharge port 425, 426, a left loop discharge port 427, a right loop discharge port 423, and a right side discharge port 424.
  • the air blown from the second unit 300 is discharged to the pre-discharge air outlet 420 after passing through the pre-heating heat exchanger 410 by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430.
  • an unlocking mode door 45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re-stall air discharge openings 420 so as to determine the amount of air discharge or to selectively distribute the air discharge amount to vents connected to the pre-discharge air discharge openings 420.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loop vent 600 connected thereto of FIG. 8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figuration is arranged on a vehicle roof side in a vehicle to which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Fig. 10 is applied.
  • a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100 includes a roof air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extending to a roof of a vehicle via a front filler of a vehicle, A roof vent 600 having an air vent 610 and a back vent vent 340 communicating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disposed along the bottom of the vehicle and a back fill vent 340 communicating with the upright vent 340, A front roof vent 700 extending from the roof of the vehicle to a roof of the vehicle and having a back loop outlet 710 for discharging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upright seat 130 and a front roof filler 710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a defrost vent 800 having a defrost outlet 810 for discharging air to remove the malaise of the side window of the vehicle via the defrost vent 810.
  •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100 is applied to an autonomous vehicle that is rotated or moved so that the front seat 120 can selectively face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 the cold air is blown from the front discharge port communicated with the side discharge ports 426 and 424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assenger and when the front seat 120 faces the rear surface, And 423 of the roof vent 600, which are communicated with the roof vent 610 of the roof vent.
  • the front or rear discharge mod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by th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front seat 120 (sitting direction of the occupant).
  • the sensing sensor can use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an infrared sensor,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frost vent 800 is dispos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roof and the side window of the vehicle to communicate with the defrost outlet 425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remove the malaise of the side window of the vehicle, A discharge port 810 is provided.
  • the central discharge port 820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discharge port 820 formed in the bottom of the vehicle between the front seat 400 and the upright seat 500 in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air discharge port 520. [ When the front seat 400 faces the rear side, the cold / hot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eet of the passengers of the front seat 400 and / or the back seat 500.
  • the upright seat 13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entire seat 120, and is shown in two rows of the front seat and the rear seat in the drawing, but it may be provided in three or more rows.
  • a plurality of discharging units can independently perform air conditioning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ree or more rows.
  • the blower 360 is operated to open the seat control door 311.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ner / outer base oil inlet 220 flows into the pre-discharge unit 400 via the all-wheel fan 360.
  • the direction of the seat sheet 120 is directed forwar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cold / hot air to the front of the passengers through opening the unlocking mode door 450 so that air is discharged to the side discharge ports 426 and 424,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rection of the seat 120 faces backward, it is possible to open the unlocking mode door 450 so as to discharge the air to the loop ejection outlets 427 and 423, thereby discharging the cold / warm air to the upper passengers.
  • the second blower 330 is operated and the seat adjustment door 341 is opened.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ner / outer base oil inlet 220 flows into the back discharge unit 500 through the second blower 330.
  •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figuration is arranged on a vehicle floor side in a vehicle to which the air conditioner of FIG. 10 is applied.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ort 540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at is, the air in the vehicle interior that flows into the auxiliary ventilation inlet 370 and the odor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or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such as an evaporator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outlet 540
  • a discharge port 540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at is, the air in the vehicle interior that flows into the auxiliary ventilation inlet 370 and the odor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or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such as an evaporator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outlet 540
  • a discharge port 540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at is, the air in the vehicle interior that flows into the auxiliary ventilation inlet 370 and the odor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or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such as an e
  • the auxiliary ventilation inlet 370 is formed in a back vent 340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vehicle an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Preferably between the front seat 120 and the back seat 130, more preferably between the front seat blower 360 and the second blower 330.
  • the discharge port 540 is formed in the back discharge unit 500 and allow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blower 33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 An opening / closing door 541 for opening / closing the outlet 5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let 540.
  • the fore-and-aft control door 311 is closed to block the air directed to the pre-discharge unit 400 and the fore-and-aft control door 341 is open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back discharge unit 500,
  • the second blower 330 is maximally operated.
  • the outdoor air of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211 and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is combined through the auxiliary indoor air inlet 37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40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 the auxiliary ventilation inlet 37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so that it can quickly absorb the air inside the vehicle, and when the second blower 330 is fully operated,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refore, at the initial start of the vehicle, only the second blower 330 can be operated for a maximum of 5 to 10 seconds, and the initial unpleasant odo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opening / closing door 541 is opened, The air in the room is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ventilation inlet 37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outlet 540.
  • the front seat control door 311, the pre-seat air outlet 420 and the front air outlet 520 are closed, and the rear seat control door 341 is opened.
  • the inside air of the vehicle flowing through the inside air inlet port 210 of the inside / outside base oil inlet 220 through the back vent 3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utlet 54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 the auxiliary ventilation inlet 37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is opened,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540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air inlet 210.
  • the oven door 420 is closed by the oven door 420 and the oven door 520 is closed by the oven mode door 550 and the air inlet Can be completely blocked.
  • the opening / closing door 541 is opened, The air can be sucked into the outside of the car or the room through the inlet 220, passed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23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outlet 540.
  • the front seat control door 311, the pre-seat air outlet 420 and the front air outlet 520 are closed and the rear seat control door 341 is opened, thereby blocking the air passage to the front seat, And the inside air of the vehicle flowing through the inside air inlet port 210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base oil inlet 220 through the back vent 3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54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 the auxiliary mode air inlet port 37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is blocked to prevent an unpleasant odor from being introduced, and the all-over mode door 450 also closes the pre-discharge air outlet port 420, Can close the after-air outlet 520 to completely block air inflow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송풍기가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배치되어 증발기와 히터코어를 경유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각각 히터코어가 구비된 전후석토출유닛에 의해 구성이 간단하고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며 전석과 후석 그리고, 전석의 좌우, 후석의 좌우에 공조를 포함하여 4존(zone)이상의 공조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공기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차량의 실외공기와, 차량의 중앙에 배치된 실내공기흡입구에서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전석송풍기가 아닌 후석에 공기를 토출하는 제2 송풍기에 의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어 차량의 초기 구동 시 불쾌한 냄새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고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며 전석과 후석의 공조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차량의 초기 구동 시 불쾌한 냄새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 은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로 나타낸 구성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공기유입구(43)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3)와 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44)가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는 목적에 따라 판(Plate)형, 공기의 압력을 적게 받는 돔(Dome)형, 원통형, 반구형와 같은 여러가지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도 2 는 상기한 공조장치 중에서 세미 센터 타입(Semi center type) 공조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와, 상부측에 형성된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22)를 통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상기 공기유입구(43)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장치(10)로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40)는 좌,우측케이스를 조립하여 구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는 증발기(41) 및 히터코어(미도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미도시) 및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도어(미도시)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송풍팬(35)은 내,외기유입구(21)(22)는 공조케이스(40)의 공기유입구(43)와 연통되어 있으며, 송풍팬(35)은 내,외기유입구(21)(22)의 하측에 마련된다. 이 때 공기유입구(43)는 공조케이스(40)의 측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송풍팬(35)는 회전에 의해 내,외기유입구(21)(2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케이스(40)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43)로 강제 송풍하게 되는데, 이 때 공기의 유로는 내,외기유입구(21)(22)로 유입되는 공기가 아래로 하강하여 송풍팬(35)를 경유하게 되고, 상기 송풍팬(35)의 회전에 의하여, 공조케이스(4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43)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송풍팬(35)는 내,외기유입구(21)(22)의 하측에 구비되고, 공조케이스(40)는 송풍장치(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서로 연통된다.
이와 같은 공조장치(1)에 의하면, 상기 송풍장치(10)의 작동으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41)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공기는 온도조절도어에 의해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거치는 과정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며, 이와 같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공기토출구(44)와 연결된 각 덕트(미도시)를 통해 차량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율주행 차량은 기존의 주요 수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으로 운전하는 차량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인간의 개입이 없이 주위의 환경을 감지하고, 자동항법 운행이 가능하다. 현재 로봇으로 운행되는 차량이 프로토타입(prototype)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 차량은 레이더, 라이다(LIDAR), GPS, 및 컴퓨터 비전(vision) 기술과 같은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차량의 주변 환경을 감지한다. 보다 발전된 감지수단으로는 해당 내비게이션 경로뿐만 아니라 장애물과 관련된 표지와 같은 식별수단을 해석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자율주행 차량은 등록되지 않은 환경이나 조건이 변한 상황에서도 경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센서 입력에 따라 지도를 자동 갱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구성들은 사람이 아닌 컴퓨터가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자동차 구동장치를 실제로 제어하여 운행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무인운전이 가능한 자율주행 차량에서는 전석에 운행자가 탑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는 전석이 후면을 바라볼 수 있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석에 냉온풍을 토출하기 위해 전석까지 냉온풍을 토출해야한다면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자율주행 차량 관련 새로운 기술이 등장한 만큼, 자율주행 차량의 내부 공조장치에도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어 탑승자의 편의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도입 및 이용가능 시기가 가까워지고 있는 만큼, 차량 내부의 변화에 대응한 공조장치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자율주향 차량에서 초기 차량 구동 시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실내공기의 환기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송풍기가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배치되어 증발기와 히터코어를 경유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각각 히터코어가 구비된 전후석토출유닛에 의해 구성이 간단하고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며 전석과 후석을 포함한 복수의 영역에 대한 공조를 모두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전석에 공기를 토출하는 전석송풍기와 후석에 공기를 토출하는 제2 송풍기가 구비된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기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차량의 실외공기와, 차량의 중앙에 배치된 실내공기흡입구에서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전석송풍기가 아닌 제2 송풍기에 의해 차량의 초기 구동 시 불쾌한 냄새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유닛, 제2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공기유입구 및 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과 연통되고 내부에 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유닛으로 흡입된 후 차 실내의 복수의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 영역에 선택적으로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조된 공기를 토출시켜 상기 복수의 영역에 개별공조가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제2 유닛과 토출덕트에 의해 연통되어 상기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토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내부에 냉방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유닛은, 내부에 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유닛은, 내부에 전석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전석토출유닛과, 내부에 후석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후석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후석토출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구로 들어온 공기가 상기 냉방열교환기, 상기 송풍기를 경유한 후, 전석난방열교환기를 통해 전석우온도조절도어로 토출되거나, 후석난방열교환기를 통해 후석우온도조절도어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석토출유닛은, 차 실내로 바람을 토출하는 전석좌토출구; 전석우토출구;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좌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좌온도조절도어 및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우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우온도조절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석토출유닛은, 차 실내로 바람을 토출하는 후석좌토출구; 후석우토출구;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석좌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좌온도조절도어 및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석우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우온도조절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송풍되는 바람을 구획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닛의 공기유입구는, 차량의 내기를 흡입하는 입구인 내기유입구와, 차량의 외기를 흡입하는 입구인 외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일측에 차량의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게 하는 내외기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닛은, 공기유입구와 냉방열교환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냉방열교환기에서 낙하하는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응축수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는 응축수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송풍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송풍조절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는, 상기 복수개의 토출덕트에 각각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상기 토출덕트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제2 유닛과 토출덕트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제1 유닛은 내부에 냉방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유닛은, 내부에 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송풍되는 바람을 구획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냉방열교환기를 경유한 냉풍이 믹싱되어 분리수단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냉방열교환기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송풍되는 공기를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각각 조절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은, 내부에 전석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전석토출유닛; 내부에 후석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후석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후석토출유닛;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석토출유닛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기;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후석토출유닛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제2 송풍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는 전석조절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벤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송풍기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는 후석조절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석토출유닛은, 차 실내로 바람을 토출하는 전석좌토출구; 전석우토출구;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좌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좌온도조절도어 및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우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우온도조절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석토출유닛은, 차 실내로 바람을 토출하는 후석좌토출구; 후석우토출구;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석좌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좌온도조절도어 및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석우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우온도조절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유닛은, 내부에 PTC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닛과 연통되고, 송풍기가 구비되며, 상기 PTC히터를 제어하는 히터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유닛은, 내부에 전석PTC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석PTC히터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전석토출유닛; 내부에 후석PTC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PTC히터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후석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후석토출유닛;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석토출유닛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기;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후석토출유닛으로 후석벤트를 따라 바람을 송풍하는 제2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석벤트는 차량의 실내 바닥에 배치되고, 일측에 실내공기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를 경유한 바람이 후석토출유닛으로 경유할 수 있도록 연통된 연통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벤트에는 연통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연통벤트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외기유입구, 냉방열교환기, 전석공기토출구, 후석공기토출구, 전석시트 및 후석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외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전석공기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전석송풍기; 상기 공기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후석공기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제2 송풍기; 상기 제2 송풍기에 의하여 상기 공기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의 전석시트와 후석시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의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흡입구 및 차량의 바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 및/또는 상기 실내공기흡입구에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후석공기토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후석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석시트에 탑승자가 위치되면 전석송풍기를 가동하고, 상기 후석시트에 탑승자가 위치되면 제2 송풍기를 가동하여, 상기 전석송풍기 또는 제2 송풍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석송풍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석공기토출구로의 공기에 흐름을 개폐하는 전석조절도어; 상기 제2 송풍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후석공기토출구로의 공기에 흐름을 개폐하는 후석조절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는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서 상기 전석조절도어는 폐쇄하고, 상기 실내공기흡입구는 개방되며, 개폐도어는 개방되고, 제2 송풍기는 가동되어 상기 외기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차량 외부공기 및/또는 실내공기흡입구에서 유입되는 차 실내 공기가 상기 제2 송풍기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될 수있다.
또한 공기유입구와 냉방열교환기가 구비된 제1 유닛; 상기 전석송풍기와, 상기 제2 송풍기, 상기 전석공기토출구로의 공기에 흐름을 개폐하는 전석조절도어,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로의 공기에 흐름을 개폐하는 후석조절도어가 구비된 제2 유닛; 상기 제2 유닛과 연통되고 전석난방열교환기와, 상기 전석공기토출구가 구비된 전석토출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연통되고 후석난방열교환기와, 후석공기토출구가 구비된 후석토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닛의 냉방열교환기, 상기 제2 유닛의 전석송풍기, 상기 전석토출유닛의 전석난방열교환기 및 전석공기토출구가 구비되는 공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냉방열교환기와 전석난방열교환기 사이에 전석송풍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2 유닛과 연통되는 제1출구와, 상기 후석벤트와 연통되고 상기 제1출구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출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송풍기는, 상기 후석벤트과 연통되고,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후석토출유닛은, 상기 제2 송풍기는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후석공기토출구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송풍기가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배치되어 증발기와 히터코어를 경유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송풍기에 의하여 증발기를 한차례 경유한 공기가 그 다음으로 히터코어를 거치게 되어 히터코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발기가 배치되는 증발기유닛과, 전석히터코어가 배치되는 전석토출유닛 및 후석히터코어가 배치되는 후석토출유닛이 서로 구분되므로 공조장치의 부피를 현저하게 축소할 수 있어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송풍기의 사용으로 모든 좌석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냉/온풍을 토출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기를 거친 바람이 후석토출유닛으로 경유할 수 있는 연통벤트가 구비되어 간단한 구성으로 개별적인 모든 상황에 맞추어 공조를 수행하므로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풍기에 의해 전석토출유닛 측으로 바람을 송풍하고, 제2 송풍기에 의해 후석토출유닛 측으로 바람을 송풍하여 전석과 후석에 독립적으로 냉/온풍을 송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히터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PTC히터를 사용하여 전후석좌우온도조절도어가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공기흡입구에 유입되는 차량 실내의 공기와, 증발기와 같은 냉방열교환기 또는 공조케이스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차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기가 냉방열교환기와 난방열교환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냉방열교환기와 전,후석 난방열교환기를 경유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냉방열교환기와 난방열교환기가 하나의 유닛 안에 나란히 배치되어 공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냉방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유닛과, 전석난방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유닛이 서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공조장치의 부피를 현저하게 축소할 수 있어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공조케이스 및 이와 연결된 루프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공조장치가 적용된 차량에서 차량 지붕 측에 구성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공조장치가 적용된 차량에서 차량 바닥 측에 구성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공조케이스
120 : 전석시트 130 : 후석시트
200 : 제1 유닛 210 : 내기유입구
211 : 외기유입구 220 : 공기유입구
230 : 냉방열교환기 240 : 에어필터
250 : 제1출구 260 : 제2출구
300 : 제2 유닛 310 : 송풍기
311 : 전석조절도어 312 : 분리수단
320 : 송풍조절도어 330 : 제2 송풍기
340 : 후석벤트 341 : 후석조절도어
350) : 실내공기흡입구 360 : 전석송풍기
370 : 보조내기흡입구 380 : 후석토출구
400 : 전석토출유닛 410 : 전석난방열교환기
411 : 전석좌온도조절도어 412 : 전석우온도조절도어
420 : 전석공기토출구 421 : 전석좌토출구
422 : 전석우토출구 423 : 우측 루프 토출구
424 : 우측 사이드 토출구 425 : 디프로스트 토출구
426 : 좌측 사이드 토출구 427 : 좌측 루프 토출구
430 : 전석온도조절도어 450 : 전석모드도어
490 : 연통벤트 491 : 연통벤트도어
500 : 후석토출유닛 510 : 후석난방열교환기
511 : 후석좌온도조절도어 512 : 후석우온도조절도어
520 : 후석공기토출구 521 : 후석좌토출구
522 : 후석우토출구 530 : 후석온도조절도어
540 : 배출구 541 : 개폐도어
550 : 후석모드도어 600 : 루프벤트
610 : 루프토출구 700 : 후석루프벤트
710 : 후석루프토출구 800 : 디프로스트 벤트
810 : 디프로스트 토출구 820 : 중앙토출구
900 : 히터제어부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내기유입구(210)와 외기유입구(211)를 포함하는 공기유입구(220)가 형성되고, 내부에 냉방열교환기(230)가 구비된 제1 유닛(200)과, 상기 제1 유닛(200)과 연통되고 내부에 송풍기(310)가 구비된 제2 유닛(300), 상기 제2 유닛(300)과 연통되고 내부에 전석난방열교환기(410)가 구비되며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420)가 형성된 전석토출유닛(400)과, 상기 제2 유닛(300)과 연통되고 내부에 후석난방열교환기(510)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5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후석공기토출구(520)가 형성된 후석토출유닛(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에 내기 또는 외기가 송풍기, 증발기 및 히터코어를 순차로 경유하여 차량의 내부로 토출되는 기존의 구성과 달리, 상기 송풍기(310)가 냉방열교환기(230)와 난방열교환기(410, 510) 사이에 배치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냉방열교환기(230), 송풍기(310) 및 난방열교환기(410, 510)를 순차로 경유하여 차 실내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토출유닛에 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난방열교환기는 열을 발산하는 히터코어일 수 있고 또는 후술할 PTC히터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냉방열교환기는 차에 순환되는 냉매에 의해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송풍기에 의하여 증발기를 한차례 경유한 공기가 그 다음으로 히터코어를 거치게 되므로, 상기 히터코어(41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기(310)가 냉방열교환기(230)와 히터코어(410)의 사이에 배치되어 냉방열교환기(230)와 히터코어(410, 510)을 경유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달리 냉방열교환기와 난방열교환기가 하나의 유닛 안에 나란히 배치되어 공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냉방열교환기(230)가 배치되는 제1 유닛(200)과, 전석난방열교환기(410)가 배치되는 전석토출유닛(400) 및 후석난방열교환기(510)가 배치되는 후석토출유닛(500)이 서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공조장치의 부피를 현저하게 축소할 수 있어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송풍기(310)의 사용으로 모든 좌석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냉/온풍을 토출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탑승자의 앉아 있는 위치에 따라 일예로 탑승자가 자율주행 차량의 뒷자석에 오른쪽에 앉아 있는 경우에도, 하나의 송풍기(310)로도 뒷좌석 오른쪽으로만 독립적인 바람을 토출할 수 있으며, 전석과 후석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바람을 토출할 수 있다.
제1 유닛(200)은 내부에 냉방열교환기(230)가 배치되며, 일측에 차량의 내기를 흡입하는 입구인 내기유입구(210) 또는 차량의 외기를 흡입하는 입구인 외기유입구(211)를 포함하는 공기유입구(2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유입구(220)의 일측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게 하는 내외기도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200)은 공기유입구(220)와 냉방열교환기(230)의 사이에 에어필터(240)가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닛(200)의 내부에는 냉방열교환기(230)가 배치되므로, 상기 냉방열교환기(23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응축수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는 제1 유닛(200)의 바닥에는 응축수 배출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유닛(300)은 내부에 송풍기(310)가 구비되며, 제1 유닛(2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전석토출유닛(400) 또는 후석토출유닛(500)에 선택적 또는 동시에 송풍한다. 이 경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토출유닛(400,500)으로 송풍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닛(300)의 송풍기(310)는 토출유닛(400, 500) 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송풍기(310)는 종래의 공지된 구성을 갖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 유닛(200)과 토출유닛(400, 5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후석토출유닛(400, 500)은 제2 유닛(300)과 연통되어 송풍기(310)로부터 제어된 공기가 유입되며, 제2 유닛(300)의 말미에는 전석토출유닛(400) 또는 후석토출유닛(500)으로 송풍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송풍조절도어(320)를 포함한다.
전석토출유닛(400)은 차 실내로 바람을 토출하는 토출구인 전석좌토출구(421)와, 전석우토출구(422)가 구비되며, 전석좌토출구(421)로 토출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좌온도조절도어(411)와, 전석우토출구(422)로 토출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우온도조절도어(412)가 전석난방열교환기(410)의 일측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후석토출유닛(500)은 후석좌토출구(521)와, 후석우토출구(522)가 구비되며, 후석좌토출구(521)로 토출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좌온도조절도어(511)와, 후석우토출구(522)로 토출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우온도조절도어(512)가 후석난방열교환기(510)의 일측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토출유닛은 전석토출유닛(400)과 후석토출유닛(500)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전석토출유닛(400)과 후석토출유닛(500)을 포함한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이 때 제1 유닛(200)의 공기유입구(220)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310)에 의해 상기 냉방열교환기(230)를 통과한 후 제2 유닛(300)으로 흡입되고, 제2 유닛(300)으로 흡입된 공기는 토출유닛을 경유하여 복수개의 영역으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제2 유닛(300)과 연통되어 상기 복수개의 영역으로 토출되는 토출덕트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복수개의 영역에는 별도의 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제2 유닛(300)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열교환기를 거쳐 차실내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구성은 상술한 복수개의 영역으로 온도조절, 냉/난방모드, 풍량조절 등 개별적인 공조가 가능하므로, 특히 자율주행차량에 있어서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송풍기(310)에 의하여 제1 유닛(200)의 공기유입구(220)로 유입되는 공기는 냉방열교환기(230)를 거쳐 제2 유닛(300)으로 송풍된다. 상기 제2 유닛(300)의 송풍기(310)는 토출유닛(400, 500) 측으로 바람을 송풍한다. 이 경우 송풍조절도어(320)에 의해 전석토출유닛(400) 또는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바람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닛(300)의 후단에는 토출유닛(400, 500)으로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바람 조절할 수 있는 송풍조절도어(320)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유닛(300)에서 송풍하는 바람이 차량의 전석 또는 후석으로 선택적으로 송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송풍조절도어(320)의 개도 조절로 후석에 바람 모두를 송풍하거나 전석에 바람 모두를 송풍할 수 있고, 또는 전석에 디프로스팅을 위해 필요한 만큼, 즉 10%의 바람을 송풍하는 동식에 후석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냉풍을 제공하기 위해 90%의 바람을 송풍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토출유닛은 전석과 후석, 두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방, 후방, 상향, 하향, 측면 방향 등 세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송풍되는 바람을 구획하는 분리수단(31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은 전석좌온도조절도어(411) 또는 전석우온도조절도어(412)가 구비되어 전석좌토출구(421)과 전석우토출구(422)로 선택적, 독립적으로 냉/온풍을 토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뒷자리에 우측에 탑승자가 앉아 탑승자에게 후석우토출구(522)로 온풍을 토출하고 싶을 때, 상기 송풍조절도어(320)는 전석토출유닛(400)으로 통로를 막고, 후석토출유닛(500)으로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후석난방열교환기(510)가 작동하며, 후석좌온도조절도어(511)는 통로를 막고, 후석공기토출구(520)는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다른 예로 앞자리 좌측에 탑승자가 앉아 탑승자에게 전석좌토출구(421)로 냉풍을 토출하고 싶을 때, 상기 송풍조절도어(320)는 후석토출유닛(500)으로의 통로를 막고, 전석토출유닛(400)으로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전석난방열교환기(410)는 작동하지 않으며, 전석우온도조절도어(412)는 통로를 막고, 전석좌온도조절도어(411)는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후석토출유닛(500) 측으로 바람을 송풍하기 위해 송풍조절도어(320)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제2 송풍기(3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내기유입구(210)와 외기유입구(211)를 포함하는 공기유입구(220)가 형성되고, 내부에 냉방열교환기(230)가 구비된 제1 유닛(200)과, 내부에 전석난방열교환기(410)가 구비되고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420)가 형성된 전석토출유닛(400)과, 내부에 후석난방열교환기(510)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5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후석공기토출구(520)가 형성된 후석토출유닛(500)과, 상기 제1 유닛(2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기(310)와, 상기 제1 유닛(2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제2 송풍기(330)가 구비된 제2 유닛(300)와,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400, 500)으로 송풍되는 바람을 구획하는 분리수단(3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제2 송풍기(330)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기(310)에 의해 전석토출유닛(400) 측으로 바람을 송풍하고, 제2 송풍기(330)에 의해 후석토출유닛(500) 측으로 바람을 송풍하게 된다.
본 실시예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토출유닛을 전석토출유닛(400) 및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두개의 토출유닛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석, 후석과 아울러 중앙석, 측면 등 다양한 토출경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토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토출유닛에는 각각에 바람을 송풍하도록 개별적인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냉방열교환기(230)을 포함하는 하나의 제1 유닛(200)을 통과한 냉풍이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냉방열교환기(230)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수단(312)은 제1 유닛(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냉방열교환기(230)를 통과한 냉풍이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개별적으로 송풍되도록 구획하는 기능을 갖는다. 일 예로 상기 분리수단(312)은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송풍되는 바람을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송풍되도록 분리시키는 격벽이거나 또는 덕트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분리수단(312)에 의하여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바람이 유동되는 후석벤트(3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단(312)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토출유닛의 수에 맞추어 복수개의 조절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조절도어에 의하여 복수개의 토출유닛 각각에 필요한 만큼의 냉풍을 가져다 쓸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송풍기(310)의 일측에는 송풍기(310)로 유입되는 바람을 조절하는 전석조절도어(311)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벤트(340)의 일측에는 제2 송풍기(330)로 유입되는 바람을 조절하는 후석조절도어(3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석조절도어(311) 또는 후석조절도어(341)에 의하여 전석토출유닛(400) 또는 후석토출유닛(500)에 필요한 만큼의 냉풍이 송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기(310) 또는 제2 송풍기(330) 중 어느 하나의 작동 시 상기 전석조절도어(311)과 후석조절도어(341)에 의하여 다른 송풍기로부터 역으로 바람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방열교환기(230)와 분리수단(312)은 냉방열교환기(230)를 경유한 냉풍이 완전히 믹싱되어 분리수단(312)에 도달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석토출유닛(400)은 전석좌토출구(421)와, 전석우토출구(422)가 구비되며, 전석좌토출구(421)로 토출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좌온도조절도어(411)와, 전석우토출구(422)로 토출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우온도조절도어(412)가 전석난방열교환기(410)의 일측에 구비된다. 또한 후석토출유닛(500)은 후석좌토출구(521)와, 후석우토출구(522)가 구비되며, 후석좌토출구(521)로 토출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좌온도조절도어(511)와, 후석우토출구(522)로 토출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우온도조절도어(512)가 후석난방열교환기(510)의 일측에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전석난방열교환기(410)와 후석난방열교환기(510)가 전석PTC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470)와 후석PTC히터(570)로 대체되며,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히터제어부(900)에 의하여 PTC히터(470, 570)에 듀티(Duty)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전후석공기토출구(420, 520)에 토출하는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히터코어의 전단에 구비되었던 전후석좌우온도조절도어(411, 412, 511, 512)가 구비될 필요가 없이 상기 히터제어부(900)에서 직접적으로 히터(470, 570)를 제어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기유입구(220)가 형성되고, 내부에 냉방열교환기(230)가 구비된 제1 유닛(200)과, 내부에 전석PTC히터(470)가 구비되고 상기 전석PTC히터(47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420)가 형성된 전석토출유닛(400)과, 내부에 후석PTC히터(570)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PTC히터(57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후석공기토출구(520)가 형성된 후석토출유닛(500)과, 상기 제1 유닛(2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기(310)와, 상기 제1 유닛(2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후석토출유닛(500)으로 후석벤트(340)를 따라 바람을 송풍하는 제2 송풍기(330)가 구비된 제2 유닛(300) 및 상기 전석PTC히터(470)와 후석PTC히터(570)를 제어하는 히터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석벤트(340)가 차량의 실내 바닥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후석벤트(340)의 일측에는 실내공기흡입구(3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방 모드 시 상기 실내공기흡입구(350)를 개방하게 되면 차 실내 공기가 냉방열교환기(230)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PTC히터(570)를 거치게 되므로 빠르게 차 실내 난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송풍기(310)를 거친 바람이 후석토출유닛(500)으로 경유할 수 있는 연통벤트(49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송풍기(310)는 전석토출유닛(400)과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동시에 송풍할 수 있고, 상기 후석토출유닛(500)은 송풍기(310)와 제2 송풍기(330)에서 바람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연통벤트(490)에는 연통벤트(490)의 개도를 조절하는 연통벤트도어(49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벤트(490)는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경유하기 전 단계에서 후석토출유닛(500)과 연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자율주행 차량에서 후석에만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 제2 송풍기(330)를 사용하지 않고, 송풍기(310)만을 이용하여 전석 냉풍과 후석에 냉/온풍을 토출할 수 있다. 아울러 자율주행 차량의 후석이 2열 이상인 경우 송풍기(310)와 제2 송풍기(330)를 동시에 사용하여 후석으로 냉풍을 강하게 송풍할 수 있다.
특히 자율주행 차량에서 에너지의 절감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데, 본 실시예에 따라 탑승자가 후석에만 탑승한 상태에서 전석의 창문 디포깅이 필요할 경우에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점 등 간단한 구성으로 개별적인 모든 상황에 맞추어 공조를 수행하므로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에 그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내기유입구(210)와 외기유입구(211)를 포함하는 내외기유입구(220)가 형성되고, 내부에 냉방열교환기(230)가 구비된 제1 유닛(200); 상기 제1 유닛(2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송풍기와,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송풍되도록 공기를 구획하는 복수개의 분리수단이 구비된 제2 유닛(300); 상기 복수개의 송풍기 및 분리수단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복수개의 복수의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개의 토출유닛을 포함한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은, 전석토출유닛(400)과 후석토출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은 내부에 전석온도조절도어(430)와, 전석난방열교환기(410)가 구비되고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420) 및 상기 전석공기토출구(420)를 개폐하는 전석모드도어(450)가 형성되고, 상기 후석토출유닛(500)은 내부에 후석온도조절도어(530)와, 후석난방열교환기(510)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5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후석공기토출구(520) 및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을 개폐하는 후석모드도어(550)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토출유닛을 전석토출유닛(400) 및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두개의 토출유닛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석, 후석과 아울러 중앙석, 측면 등 다양한 토출경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토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토출유닛에는 각각에 바람을 송풍하도록 개별적인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유닛(3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송풍기는 상기 제1 유닛(2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전석송풍기(360)와, 상기 제1 유닛(2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제2 송풍기(3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분리수단(312)를 통하여 상기 전후석토출유닛(400, 500)으로 송풍되는 바람을 구획하여 송풍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수단(312)은 제1 유닛(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냉방열교환기(230)를 통과한 냉풍이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개별적으로 송풍되도록 구획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분리수단(312)은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송풍되는 바람을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송풍되도록 분리시키는 격벽이거나 또는 덕트일 수 있으며, 일예로 분리수단(312)에 의하여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바람이 유동되는 후석벤트(3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단(312)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토출유닛의 수에 맞추어 복수개의 모드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조절도어에 의하여 복수개의 토출유닛 각각에 필요한 만큼의 냉풍을 가져다 쓸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전석송풍기(360)의 일측에는 전석송풍기(360)로 유입되는 바람을 조절하는 전석조절도어(311)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벤트(340)의 일측에는 제2 송풍기(330)로 유입되는 바람을 조절하는 후석조절도어(3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석조절도어(311) 또는 후석조절도어(341)에 의하여 전석토출유닛(400) 또는 후석토출유닛(500)에 필요한 만큼의 냉풍이 송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석송풍기(360) 또는 제2 송풍기(330) 중 어느 하나의 작동 시 상기 전석조절도어(311)과 후석조절도어(341)에 의하여 다른 송풍기로부터 역으로 바람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방열교환기(230)을 포함하는 하나의 제1 유닛(200)을 통과한 냉풍이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냉방열교환기(230)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에 내기 또는 외기가 송풍기, 증발기 및 히터코어를 순차로 경유하여 차량의 내부로 토출되는 기존의 구성과 달리, 상기 송풍기(360, 330)가 냉방열교환기(230)와 난방열교환기(410, 510) 사이에 배치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냉방열교환기(230), 전석송풍기(360) 및 전,후석 난방열교환기(410, 510)를 순차로 경유하여 차 실내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석송풍기(360)에 의해 전석토출유닛(400) 측으로 바람을 송풍하고, 제2 송풍기(330)에 의해 후석토출유닛(500) 측으로 바람을 송풍하게 된다.
즉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나의 송풍기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를 경유한 후 히터코어를 거치게 되므로, 히터코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기(360, 330)가 냉방열교환기(230)와 전,후석 난방열교환기(410, 510)의 사이에 배치되어 냉방열교환기(230)와 전,후석 난방열교환기(410, 510)를 경유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달리 냉방열교환기와 난방열교환기가 하나의 유닛 안에 나란히 배치되어 공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냉방열교환기(230)가 배치되는 제1 유닛(200)과, 전석난방열교환기(410)가 배치되는 전석토출유닛(400) 및 후석난방열교환기(510)가 배치되는 후석토출유닛(500)이 서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공조장치의 부피를 현저하게 축소할 수 있어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닛(200)은 내부에 냉방열교환기(230)가 배치되며, 일측에 차량의 내기를 흡입하는 입구인 내기유입구(210) 또는 차량의 외기를 흡입하는 입구인 외기유입구(211)를 포함하는 내외기유입구(2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20)의 일측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게 하는 내외기도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200)은 내외기유입구(220)와 냉방열교환기(230)의 사이에 에어필터(240)가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닛(200)의 내부에는 냉방열교환기(230)가 배치되므로, 상기 냉방열교환기(23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응축수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는 제1 유닛(200)의 바닥에는 응축수 배출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유닛(300)은 내부에 송풍기(360, 330)가 구비되며, 제1 유닛(2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전석토출유닛(400)과 후석토출유닛(500)에 송풍한다. 또한 이 경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토출유닛(400,500)으로 송풍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닛(300)의 송풍기(360, 330)는 토출유닛(400, 500) 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송풍기(360, 330)는 종래의 공지된 구성을 갖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 유닛(200)과 전후석토출유닛(400, 5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제2 유닛(300)의 송풍기(360, 330)에 의하여 제1 유닛(200)의 내외기유입구(220)로 유입되는 공기는 냉방열교환기(230)를 거쳐 제2 유닛(300)으로 송풍된다. 상기 제2 유닛(300)의 송풍기(360, 330)는 토출유닛(400, 500) 측으로 각각 바람을 송풍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토출유닛은 전석토출유닛(400)과 후석토출유닛(500)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전석토출유닛(400)과 후석토출유닛(500)을 포함한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이 때 제1 유닛(200)의 내외기유입구(220)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2 유닛(300)에 구비되는 각각의 송풍기에 의해 복수개의 토출유닛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에는 제2 유닛(300)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토출덕트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복수개의 영역에는 별도의 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제2 유닛(300)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열교환기를 거쳐 차실내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구성은 상술한 복수개의 영역으로 온도조절, 냉/난방모드, 풍량조절 등 개별적인 공조가 가능하므로, 특히 자율주행차량에 있어서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토출유닛에 난방열교환기(410, 51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난방열교환기는 열을 발산하는 히터코어일 수 있고 또는 후술할 PTC히터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냉방열교환기는 차에 순환되는 냉매에 의해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후석난방열교환기(410, 510)은 PTC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일 수 있으며,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히터제어부(900)에 의하여 PTC히터인 전후석난방열교환기(410, 510)에 듀티(Duty)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전후석공기토출구(420, 520)에 토출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후석난방열교환기(410, 510)의 전단에 구비되었던 전후석좌우온도조절도어(430, 530)가 구비될 필요가 없이 상기 히터제어부(900)에서 직접적으로 PTC히터인 전후석난방열교환기(410 5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석벤트(340)는 차량의 실내 바닥에 배치되며, 또한 후석벤트(340)의 일측에는 보조내기흡입구(37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난방 모드 시 상기 보조내기흡입구(370)를 개방하게 되면 차 실내 공기가 냉방열교환기(230)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후석난방열교환기(510)를 거치게 되어 빠르게 차 실내 난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일예로 차량의 대시패널에 내장되는 공조케이스(11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제1 유닛(200)과, 제2 유닛(300)의 전석송풍기(360) 및 전석토출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닛(200)은 내기유입구(210)와 외기유입구(211)를 포함하는 내외기유입구(220)가 형성되고, 내부에 냉방열교환기(230)가 구비되고, 제2 유닛(300)의 전석송풍기(360)와 연통된다. 또한 전석토출유닛(400)은 상기 송풍유닛(300)과 연통되고 내부에 전석난방열교환기(410)가 구비되며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4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제1 유닛(200)과 제2 유닛(300)의 전석송풍기(360) 및 전석토출유닛(400)이 순차로 결합되어 연통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송풍유닛, 증발기, 히터코어를 순차로 경유하여 차량의 내부로 토출되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전석송풍기(360)가 냉방열교환기(230)와 전석난방열교환기(410)의 사이에 배치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냉방열교환기, 송풍기 및 전석난방열교환기를 순차로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차량의 대시패널에 내장되는 공조케이스(110)에서 종래와 달리 냉방열교환기(230)와 전석난방열교환기(410)가 하나의 유닛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유닛에 각가 배치되는 것으로, 공조케이스(110)의 부피를 현저히 축소하여 이에 수반하여 차량 실내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고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 유닛(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냉방열교환기(230)는 수직으로 세워져서 배치되어 공조케이스(110)의 전체적인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즉, 차폭방향으로 대시패널의 폭을 따라 제1 유닛(200)과 제2 유닛(300)의 전석송풍기(360) 및 전석토출유닛(400)이 순차로 결합되어 연통되므로, 차량 실내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어, 전열시트가 후측을 바라볼 수 있도록 회전 또는 이동될 수 있도록 특히 넓은 전석 공간을 필요한 자율주행용 차량의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닛(200)은 제2 유닛(300)과 연통되는 제1출구(250) 및 후석토출구(380)와 연통되는 제2출구(2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출구(260)는 제1출구(250)의 하단에 형성되어 후석토출구(380)와 연통되며, 상기 후석토출구(380)는 전석토출유닛(400)의 하측을 경유하여 차량 바닥으로 연장되는 후석벤트(340)와 결합된다.
제2 유닛(300)은 내부에 전석송풍기(360)가 구비되며, 제1 유닛(200)의 제1출구(250)로 유입되는 공기를 전석토출유닛(400)으로 송풍한다. 이 경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으로 송풍하는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석송풍기(360)는 종래의 공지된 구성을 갖으며 제1 유닛(200)과 전석토출유닛(400)의 사이에서 냉방열교환기(230)와 마찬가지로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어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석송풍기(360)가 제2 유닛(300)에서 세워져 배치되므로, 제1출구(25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직각방향으로 유입되어 다시 직각방향으로 전석토출유닛(400) 측으로 유동된다. 이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차 실내 공기는 냉방열교환기(230)를 거쳐 제1출구(250)로 공급되거나 또는 외기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되는 차 실외 공기는 냉방열교환기(230)를 거쳐 제1출구(25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은 제2 유닛(300)과 연통되어 전석송풍기(360)로부터 공기량이 제어된 실내 또는 실외 공기가 제1출구(250)를 통하여 유입된다. 또한 전석토출유닛(400)은 일측에 복수개의 전석공기토출구(42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석공기토출구(420)와 연통되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전석난방열교환기(410)와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통과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온도조절도어(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전석공기토출구(420)는 차량의 전방 측으로 구비된 디프로스트 토출구(425)와, 상기 디프로스트 토출구(425)와 인접하여 차향의 후방측으로 순차로 좌측 사이드 토출구(426), 좌측 루프 토출구(427), 우측 루프 토출구(423) 및 우측 사이드 토출구(424)를 포함한다. 이에 제2 유닛(30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온도조절도어(430)에 의해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경유한 후 각각 전석공기토출구(420)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전석공기토출구(420)의 일측에는 전석공기토출구(420)와 연결되는 벤트들로 공기 토출량을 결정하거나 선택적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각각 전석모드도어(4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공조케이스(110) 및 이와 연결된 루프벤트(6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1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공조장치가 적용된 차량에서 차량 지붕 측에 구성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연통되고 차량의 프론트 필러를 경유하여 차량의 지붕으로 연장되어 전석시트(120)의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루프토출구(610)가 구비된 루프벤트(60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연통되어 차량의 바닥을 따라 배치되는 후석벤트(340)와, 상기 후석벤트(340)과 연통되어 차량의 리어 필러를 경유하여 차량의 지붕으로 연장되어 후석시트(130)의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후석루프토출구(710)가 구비된 후석루프벤트(700) 및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연통되어 차량의 프론트 필러를 경유하여 차량의 옆 창문의 성애를 제거하도록 공기를 토출하는 디프로스트 토출구(810)가 구비된 디프로스트 벤트(8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전석시트(120)가 전면 또는 후면을 선택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회전 또는 이동되는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석시트(120)가 전면을 바라볼 때에는 공조케이스(110)의 사이드 토출구(426, 424)와 연통된 전면토출구에서 탑승자의 전면으로 냉온풍이 토출되고, 전석시트(120)가 후면을 바라볼 때에는 공조케이스(110)의 루프 토출구(427, 423)와 연통된 루프벤트(600)의 루프토출구(610)에서 탑승자의 상측으로 냉온풍이 토출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는 자율주행 차량의 무인 운전 시에 전석에 착석한 탑승자가 후면을 바라볼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 상기 전석시트(120)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전석시트(120)의 일측에 구비된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하여 전석시트(120)의 방향(탑승자의 앉은 방향)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전면 또는 후면 토출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와 같은 다양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에 있어서, 전석시트(120)가 후면을 바라볼 때에는 전석시트(120)의 탑승자가 차량의 앞 유리창보다는 측면의 창문을 보기에 측면 창문의 성애를 제거하는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디프로스트 벤트(800)는 차량의 지붕과 측면 창문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어 차량 측면 창문의 성애를 제거하기 위해 공조케이스(110)의 디프로스트 토출구(425)와 연통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디프로스트 토출구(81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와 연통되어 전석시트(400)와 후석시트(500)의 사이의 차량바닥에 형성되는 중앙토출구(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토출구(820)는 전석시트(400)가 후면을 향하였을 때 전석시트(400) 또는/및 후석시트(500)의 탑승자의 발쪽으로 냉온풍을 토출하게 된다.
상기 후석시트(130)는 전석시트(120)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전석과 후석인 2열로 도시되었지만, 3열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전석토출유닛(400) 외에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3열 이상의 복수개의 영역으로 독립적이 공조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인하여 센서를 통해 전석시트(120) 및/또는 후석시트(130)에 탑승자가 탑승했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석시트(120)에 탑승자가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전석송풍기(360)을 작동시키고, 전석조절도어(311)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외기유입구(220)에서 유입된 공기는 전석송풍기(360)를 경유하여 전석토출유닛(400)으로 유동하게 된다.
또한 전석시트(120)의 방향이 전방으로 향해 있으면, 사이드 토출구(426, 424)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전석모드도어(450)를 개방하여 통하여 전석 탑승자의 전면으로 냉/온풍을 토출할 수 있고, 반대로 전석시트(120)의 방향이 후방으로 향해 있으면, 루프 토출구(427, 423)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전석모드도어(450)를 개방하여 통하여 전석 탑승자의 상측으로 냉/온풍을 토출할 수 있다.
만일 후석시트(130)에 탑승자가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2 송풍기(330)를 작동시키고, 후석조절도어(341)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외기유입구(220)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2 송풍기(330)를 경유하여 후석토출유닛(500)으로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자율주행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량 실내의 환기 및 냉방열교환기(230)에서 발생되는 냄새의 배출을 위해서, 차량의 실내공기와 공조장치를 경유하는 공기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공조장치가 적용된 차량에서 차량 바닥 측에 구성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도 12 및 도 13을 같이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는 공기를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540)를 더 포함한다. 즉 보조내기흡입구(370)에 유입되는 차량 실내의 공기와, 증발기와 같은 냉방열교환기(230) 또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상기 배출구(540)를 통하여 차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보조내기흡입구(370)는 차량의 바닥에 배치되는 후석벤트(340)에 형성되며, 차량의 중앙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석시트(120)와 후석시트(130)의 사이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석송풍기(360)와 제2 송풍기(330)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540)는 후석토출유닛(500)에 형성되고, 제2 송풍기(330)를 경유한 공기를 차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540)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540)를 개폐하는 개폐도어(541)가 마련된다.
이 경우 도 12와 같이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으로 향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전석조절도어(311)를 폐쇄하고, 후석토출유닛(500)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후석조절도어(341)를 개방하며, 상기 제2 송풍기(330)는 최대로 가동하게 된다. 아울러 후석공기토출구(520)를 폐쇄하게 되면, 외기유입구(211)를 통하여 차량의 외부공기가 냉방열교환기(230)를 거치게 되고, 보조내기흡입구(370)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공기가 합하여 배출구(540)를 통하여 차량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13과 같이, 상기 보조내기흡입구(370)는 차량의 중앙에 형성되어, 차량 실내 공기를 빠르게 흡수할 수 있고, 제2 송풍기(330)의 최대가동으로 차량 실외공기를 공조케이스(110)를 경유하여 차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초기 시동 시 제2 송풍기(330)만을 5 내지 10초간 최대로 작동시켜 초기 불쾌한 냄새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하여 차량 실내공기를 빠르게 차량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개폐도어(541)는 개방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20) 또는 상기 보조내기흡입구(370)를 통하여 차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540)를 통하여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전석조절도어(311), 상기 전석공기토출구(420) 및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는 폐쇄되고, 상기 후석조절도어(341)는 개방되므로, 전석으로의 공기유로를 차단하고, 후석벤트(340)를 통하여 내외기유입구(220)의 내기유입구(210)에서 유입된 차량의 내기가 차량의 후미에 구비된 배출구(5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차량의 중앙에 위치된 보조내기흡입구(370)를 개방하게 되면 내기유입구(210)에서 유입되는 차량 실내공기와 함께 배출구(54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전석조절도어(311)과 아울러 상기 전석모드도어(450)는 전석공기토출구(420)를 폐쇄하고, 상기 후석모드도어(550)은 후석공기토출구(520)를 폐쇄하여 차 실내로의 공기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여 증발기 역할을 하는 냉방열교환기(230)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냉방열교환기(230)의 환기가 필요한 경우, 상기 개폐도어(541)는 개방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20)를 통하여 차실외 또는 차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방열교환기(230)을 거친 후 상기 배출구(540)를 통하여 차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석조절도어(311), 상기 전석공기토출구(420) 및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는 폐쇄되고, 상기 후석조절도어(341)는 개방되므로, 전석으로의 공기유로를 차단하여 불쾌한 냄새의 유입을 차단하고, 후석벤트(340)를 통하여 내외기유입구(220)의 내기유입구(210)에서 유입된 차량의 내기가 차량의 후미에 구비된 배출구(5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차량의 중앙에 위치된 보조내기흡입구(370)를 차단하여 불쾌한 냄새의 유입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전석모드도어(450)는 전석공기토출구(420)를 폐쇄하고, 상기 후석모드도어(550)은 후석공기토출구(520)를 폐쇄하도록 하여 차 실내로의 공기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Claims (29)

  1. 제1 유닛(200), 제2 유닛(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200)은, 공기유입구(220) 및 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유닛(300)은, 상기 제1 유닛(200)과 연통되고 내부에 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구(220)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유닛(300)으로 흡입된 후 차 실내의 복수의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 영역에 선택적으로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조된 공기를 토출시켜 상기 복수의 영역에 개별공조가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제2 유닛(300)과 토출덕트에 의해 연통되어 상기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송풍되는 토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200)은 내부에 냉방열교환기(230)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유닛은, 내부에 난방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내부에 전석난방열교환기(410)가 구비되고,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420)가 형성된 전석토출유닛(400)과,
    내부에 후석난방열교환기(510)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5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후석공기토출구(520)가 형성된 후석토출유닛(5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입구(220)로 들어온 공기가 상기 냉방열교환기(230), 상기 송풍기를 경유한 후,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통해 전석우온도조절도어(412)로 토출되거나, 후석난방열교환기(510)를 통해 후석우온도조절도어(512)로 토출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은,
    차 실내로 바람을 토출하는 전석좌토출구(421); 전석우토출구(422);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좌토출구(421)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좌온도조절도어(411) 및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우토출구(422)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우온도조절도어(412)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후석토출유닛(500)은
    차 실내로 바람을 토출하는 후석좌토출구(521); 후석우토출구(522);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석좌토출구(521)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좌온도조절도어(511) 및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석우토출구(522)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우온도조절도어(512)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송풍되는 바람을 구획하는 분리수단(312)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200)의 공기유입구(220)는,
    차량의 내기를 흡입하는 입구인 내기유입구(210)와, 차량의 외기를 흡입하는 입구인 외기유입구(211)를 포함하고, 일측에 차량의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게 하는 내외기도어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300)은,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으로 송풍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송풍조절도어(32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복수개의 토출덕트에 각각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상기 토출덕트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토출유닛은,
    내부에 전석난방열교환기(410)가 구비되고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석공기토출구(420)가 형성된 전석토출유닛(400);
    내부에 후석난방열교환기(510)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510)를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후석공기토출구(520)가 형성된 후석토출유닛(500);
    상기 제1 유닛(2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기(310);
    상기 제1 유닛(2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후석토출유닛(500)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제2 송풍기(330)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310)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310)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는 전석조절도어(311)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벤트(340)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송풍기(330)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는 후석조절도어(341)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은,
    차 실내로 바람을 토출하는 전석좌토출구(421); 전석우토출구(422);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좌토출구(421)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좌온도조절도어(411) 및
    상기 전석난방열교환기(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우토출구(422)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석우온도조절도어(412)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후석토출유닛(500)은
    차 실내로 바람을 토출하는 후석좌토출구(521); 후석우토출구(522);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석좌토출구(521)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좌온도조절도어(511) 및
    상기 후석난방열교환기(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석우토출구(522)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우온도조절도어(512)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후석벤트(340)는 차량의 실내 바닥에 배치되고, 일측에 실내공기흡입구(350)가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310)를 경유한 바람이 후석토출유닛(500)으로 경유할 수 있도록 연통된 연통벤트(49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연통벤트(490)에는 연통벤트(490)의 개도를 조절하는 연통벤트도어(491)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
  17. 내외기유입구(220), 전석공기토출구(420), 후석공기토출구(52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전석공기토출구(420)로 토출시키는 전석송풍기(360);
    공기를 후석공기토출구(520)로 토출시키는 제2 송풍기(330) 및
    상기 제2 송풍기(330)에 의해 하류측에 공기를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54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차량의 전석송풍기(360)와 제2 송풍기(330)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의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보조내기흡입구(370) 및
    차량의 바닥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20) 및/또는 상기 보조내기흡입구(370)에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와 상기 배출구(540)와 연통되는 후석벤트(34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전석시트(120)에 탑승자가 위치되면 전석송풍기(360)를 가동하고, 후석시트(130)에 탑승자가 위치되면 제2 송풍기(330)를 가동하도록 상기 전석송풍기(360) 또는 제2 송풍기(33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내외기유입구(220)는 내기유입구(21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540)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540)를 개폐하는 개폐도어(541)가 구비되어,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서 상기 개폐도어(541)는 개방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20) 또는 상기 보조내기흡입구(370)를 통하여 차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54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서 실내 공기가 차 내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전석조절도어(311), 상기 전석공기토출구(420) 및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는 폐쇄되고, 상기 후석조절도어(341)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전석공기토출구(420)의 일측에는 전석공기토출구(420)를 개폐하는 전석모드도어(450)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의 일측에는 후석공기토출구(520)를 개폐하는 후석모드도어(550)가 구비되어,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서, 상기 전석모드도어(450)는 전석공기토출구(420)를 폐쇄하고, 상기 후석모드도어(550)은 후석공기토출구(52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차량용 공조장치.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내외기유입구(220)의 일측에는 열교환기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540)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540)를 개폐하는 개폐도어(541)가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환기를 위해서 상기 개폐도어(541)는 개방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20)를 통하여 차실외 또는 차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54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환기를 위해서 실내 공기가 차 내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전석조절도어(311), 상기 전석공기토출구(420) 및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는 폐쇄되고, 상기 후석조절도어(341)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전석공기토출구(420)의 일측에는 전석공기토출구(420)를 개폐하는 전석모드도어(450)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의 일측에는 후석공기토출구(520)를 개폐하는 후석모드도어(550)가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환기를 위해서 상기 전석모드도어(450)는 전석공기토출구(420)를 폐쇄하고, 상기 후석모드도어(550)은 후석공기토출구(52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6. 청구항 17에 있어서,
    내외기유입구(220)와 냉방열교환기(230)가 구비된 제1 유닛(200);
    상기 전석송풍기(360)와, 상기 제2 송풍기(330), 상기 전석공기토출구(420)로의 공기에 흐름을 개폐하는 전석조절도어(311), 상기 후석공기토출구(520)로의 공기에 흐름을 개폐하는 후석조절도어(341)가 구비된 제2 유닛(300);
    상기 제2 유닛(300)과 연통되고 전석난방열교환기(410)와, 상기 전석공기토출구(420)가 구비된 전석토출유닛(400) 및
    상기 제2 유닛(300)과 연통되고 후석난방열교환기(510)와, 후석공기토출구(520)가 구비된 후석토출유닛(50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200)의 냉방열교환기(230), 상기 제2 유닛(300)의 전석송풍기(360), 상기 전석토출유닛(400)의 전석난방열교환기(410) 및 전석공기토출구(420)가 구비되는 공조케이스(110)를 포함하고,
    상기 냉방열교환기(230)와 전석난방열교환기(410) 사이에 전석송풍기(36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200)은,
    상기 제2 유닛(300)과 연통되는 제1출구(250)와, 상기 후석벤트(340)와 연통되고 상기 제1출구(25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출구(26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기(330)는,
    상기 후석벤트(340)과 연통되고,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후석토출유닛(500)은,
    상기 제2 송풍기(330)는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송풍기(33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후석공기토출구(520)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PCT/KR2018/008255 2017-07-27 2018-07-23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0224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33,986 US11642934B2 (en) 2017-07-27 2018-07-23 Vehicle air conditioner
CN201880049891.6A CN110997368B (zh) 2017-07-27 2018-07-23 车用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263 2017-07-27
KR1020170095263A KR102378183B1 (ko) 2017-07-27 2017-07-27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7-0127767 2017-09-29
KR1020170127767A KR102422949B1 (ko) 2017-09-29 2017-09-29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446A1 true WO2019022446A1 (ko) 2019-01-31

Family

ID=6504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255 WO2019022446A1 (ko) 2017-07-27 2018-07-23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42934B2 (ko)
CN (1) CN110997368B (ko)
WO (1) WO20190224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1099A (zh) * 2019-12-03 2020-06-1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和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6762B2 (ja) * 2017-06-22 2020-10-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システム
USD964528S1 (en) * 2018-07-06 2022-09-20 Classic Auto Air Manufacturing LP Vehicle heating and cooling system accessory cover
KR102661622B1 (ko) * 2018-11-12 202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US11628703B2 (en) * 2019-10-08 2023-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act dual-zone console HVAC system for automobiles
CN113173052B (zh) * 2021-04-06 2022-10-25 侯静霞 车用送风装置及汽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649B1 (ko) * 2011-04-19 2014-09-29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494720B1 (ko) * 2008-12-08 2015-02-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KR20160110890A (ko) * 2015-03-09 2016-09-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06931A (ko) * 2015-07-10 2017-01-18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기호성 및 식이섬유 함량이 조절된 뿌리채소의 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0818A (ko) * 2015-10-05 2017-04-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4767B2 (ja) * 1992-07-09 2003-05-1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812398B2 (ja) * 2001-10-09 2006-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4503446B2 (ja) * 2005-01-14 2010-07-14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車両用換気装置
JP2006264671A (ja) * 2005-02-22 2006-10-0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6240403A (ja) * 2005-03-01 2006-09-1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5044309B2 (ja) * 2007-07-06 2012-10-1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室換気制御装置
JP4424409B2 (ja) * 2007-11-02 2010-03-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670910B2 (ja) * 2008-07-22 2011-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5012758B2 (ja) * 2008-10-22 2012-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90478A (ko) * 2010-02-04 2011-08-1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46563B1 (ko) 2010-02-22 2013-03-25 이희수 도어용 드로와 랫치
KR101461988B1 (ko) * 2011-12-14 2014-11-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755926B1 (ko) * 2015-12-09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70069318A (ko) 2015-12-10 201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20B1 (ko) * 2008-12-08 2015-02-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KR101445649B1 (ko) * 2011-04-19 2014-09-29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공조 장치
KR20160110890A (ko) * 2015-03-09 2016-09-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06931A (ko) * 2015-07-10 2017-01-18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기호성 및 식이섬유 함량이 조절된 뿌리채소의 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0818A (ko) * 2015-10-05 2017-04-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1099A (zh) * 2019-12-03 2020-06-1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和车辆
CN111301099B (zh) * 2019-12-03 2023-07-0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和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97368A (zh) 2020-04-10
US11642934B2 (en) 2023-05-09
US20200215872A1 (en) 2020-07-09
CN110997368B (zh)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22446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502619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45139B1 (ko) 공조기 연동 시트 장치
WO2014193126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920004196A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셔너
WO202004587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054646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80291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3016605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6093472A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947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KR201000658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10333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7101225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S60255522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WO202317193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1091204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3200211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00048026A (ko) 건설기계의 공기조화장치
KR10022788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시스템
JPS5819047Y2 (ja) 空気調和装置
KR20190012389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10109523A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JPH0531921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900379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393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393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