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26198A1 -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26198A1
WO2015026198A1 PCT/KR2014/007829 KR2014007829W WO2015026198A1 WO 2015026198 A1 WO2015026198 A1 WO 2015026198A1 KR 2014007829 W KR2014007829 W KR 2014007829W WO 2015026198 A1 WO2015026198 A1 WO 20150261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air
doo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8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완
오상호
공태윤
김인혁
서정훈
서용은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9942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3796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0463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03671B1/ko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60,888 priority Critical patent/US9919576B2/en
Priority to CN201480005068.7A priority patent/CN104918809B/zh
Priority to DE112014000301.8T priority patent/DE112014000301T5/de
Publication of WO20150261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261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1/000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air being firstly cooled and subsequently heated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1/00057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air being heated and cooled simultaneously, e.g. using parallel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according to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mode (post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in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 rear seat cold air regulating door installed in the rear seat air passage. It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variable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at the time of the position control.
  •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a vehicle interior that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driver's front and rear view by removing the frost from the windshield or heating in the summer or winter, or during the rain or winter season.
  • Such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usually provided with a heating system and a cooling system at the same time, thereby cooling, heating or ventilating the vehicle interior by selectively introducing outside air or bet, heating or cooling the air, and then blowing the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 Such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develop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specifications within a vehicle type or the same model, for example, a single zone (seat space) air conditioner, a dual zone (seat left and right space) air conditioner, a triple zone (seat left) , Right and rear seat spaces).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ingle zon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air inlet 11 is formed at one side and the opening degree is adjusted by mode doors 16a, 16b, and 16c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 An air conditioning case 10 provided with a defrost vent 12a, a face vent 12b, and a floor vent 12c;
  • An evaporator (2) and a heater core (3) which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equentially on the air passage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s composed of a blower (not shown) for blowing the inside or outside air.
  • the temperature between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passage P1 bypassing the heater core 3 and the warm air passage P2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3.
  • Temperature control door 15 is installed to adjust.
  •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2 at the upper case 10a formed by assembling the left case and the right case, and a portion of the lower case of the upper case 10a on which the evaporator 2 is seated. It consists of a lower case 10b that is separately assembled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5 opens the cold air passage P1 and closes the hot air passage P2. do. Accordingly,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evaporator 2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 to be changed to cold, and then the mixing chamber (P1) through the cooling air passage (P1). To the mixing chamber (MC), and then vented by the mode doors 16a, 16b, and 16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ir discharge mode (vent mode, bi-level mode, floor mode, mix mode, defrost mode). By discharging to the front seat space in the vehicle interior, the cooling of the front seat space is performed.
  • a predetermined air discharge mode such asvent mode, bi-level mode, floor mode, mix mode, defrost mode
  •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5 closes the cold air passage P1 and opens the hot air passage P2. Accordingly,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heat exchange with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eater core 3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3 through the hot air passage (P2) afte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 After changing to the warmth, it flows toward the mixing chamber MC, and is then discharged into the seat space of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vent opened by the mode doors 16a, 16b, and 16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ir discharge mode, Heating of the space is carried out.
  • the dual zon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separator (not shown) in the inner cente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o divide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left and right, and at this time, the separato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 a separator (not shown) in the inner cente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o divide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left and right, and at this time, the separato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 the left and right temperature control doors which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an be used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seats.
  • the triple zone air conditioner (1a) as the rear-seat air passage (20) is add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seat air passage (17) consisting of cold and hot air passage (P1, P2) in the dual zone air conditioner,
  •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are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and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5 and the front seat mode doors 16a, 16b, and 16c are provided.
  • the rear seat air passage 20 is further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er core 3, and the heater core 3 between the rear seat air passage 20 and the warm air passage P2.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25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the rear seat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26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eater core 3.
  • a rear air outlet 21 for discharging air to the rear seat is formed at the outlet side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20.
  •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rear stone air passage 20 by the rear stone temperature control door 25 and the rear stone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26 and the rear stone air passage after passing through the warm air passage P2 ( The mixing amount of the warm air joined to 20) is adjus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ear seat space through the rear air outlet 21, thereby cooling and heating to the rear seat space.
  • the conventional triple zone air conditioner 1a includes a warm air passage P2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3 through the rear seat temperature adjusting door 25 and the rear seat air passage 20 as shown in FIG. 2.
  • the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P2) and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rear air passage (20) is mixed and discharged to the rear seat sid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rear seat, wherein, Due to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heater core 3 of the warm air passage (P2),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ld air flows through the rear air passage (20) to satisfy the rear temperature controllability and to secure the straightness of the rear discharge temperature. It was difficult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mfort of the occupant was deteriorated.
  • a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25 is installed in the rear seat space so that the occupant can adjust the rear seat temperature.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discharg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utside temperature by position (by air conditioning mode)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according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maximum cooling mode, cooling mode, intermediate mode (temperature control Mode), heating mode, the maximum heating mode can be carried out a total of five air conditioning modes, the discharge temperature for each air conditioning mod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 the three dotted boxes are respectively the discharge temperature range in the heating mode, the discharge temperature range in the intermediate mode,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range in the cooling mode.
  •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25 is controlled only by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5, the rear seat occupant is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 the switch is released from the vehicle after the switch is operated to the maximum heating mode position or the maximum cooling mode position, hot air or cold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ear seat space unless someone operates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 the hot air of the rear seats affects the front seats, thereby reducing the comfort of the front seat occupants, as well as the vehicle due to the hot air supplied to the rear seats.
  •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also increased as the room temperature increas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when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according to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mode (post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in the air conditioner case installed in the rear seat airflow control door,
  •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cold air from passing through the rear seat air passage in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so that the appropriate cold wind is maintained in the front seat air passage and the rear seat air passage.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quantity, thereby improving the dissatisfac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lability and improving the passenger comfort by securing the straightness of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is controlled in connec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so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and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not large.
  •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its control that can improve fuel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effect of the impact on the front seats,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front seats as well as the comfort of the rear seats, and reducing the operating period of the air conditioner. To provide a method.
  • the air-conditioning case having a seokseok air passage having a cold, hot air passage and the seokseok air passag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jeonseok air passage, and the seokseok air passage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Evaporator installed upstream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and the heater core installed in the warm air passage, an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passage and the hot air passage
  •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door, the rear seat air exhaust housing having a rear face vent and a rear floor vent to be provided at the rear air passage exi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o discharge air to the rear seat, and the rear stone hole Is installed in the cylinder passage to control the inlet flow rate of the rear air passage and the hot air passage fo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 the rear seat air flow passage is installed inside the rear air passage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rear air
  •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mode is the maximum rear seat cooling mode, the maximum rear seat heating mode, the rear seat off mode, or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rear seat maximum cooling mode, the second step of operating the rear cooling air control door to the position that opens the rear seat air passage to the maximum opening, i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step, the rear seat maximum heating mode or rear seat off mode , And proceeding to the third step of operating the rear seat cold wind control door to a position to close the rear seat air passage, and i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is determined as the result of the first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step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wind control door.
  •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according to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mode (back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in the air conditioner case is installed in the rear seat air passage, the rear sea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 the rear seat By variable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cold wind control door,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an appropriate amount of cold air into the front and back seat air passages by preventing a large amount of cold air from passing through the rear seat air passages in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the deviation between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and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not large,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discharge temperature on all seats, the comfort of the front seat occupant can be improved as well as the comfort of the rear seat occupant.
  •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controll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deviation from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not lar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in the vehicle room from rising due to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and to reduce the operating period of the air conditioner, thereby improving fuel economy.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ingle zone air conditioner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riple zone air conditioner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discharg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by position (by air conditioning mode) of the conventional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sid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ide view of FIG. 5;
  •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discharg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by position (by air conditioning mode)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ximum seat cooling mode and the maximum seat cooling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ximum heating mode and the maximum seat heating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and a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inlet 111 is formed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utlet side), the inside, cold, hot air passage (P1)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having a front seat air passage 105 and a rear seat air passage 140 formed below the front seat air passage 105.
  • a heater core 102 installed in the evaporator 101 and the warm air passage P2 installed upstream of the front and rear air passages 105 and rear stone air passages 140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ncludes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assembled to each other, and an integrated lower case 110c assembled to the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cases 110a and 110b.
  •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is provided with a separator 118 for dividing the inside left and right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front left and right spaces and the rear left and right spaces.
  • a mixing area MC is form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plurality of all seat air discharge ports in which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P1 an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warm air passages P2 and P3 are mixed with each other.
  • the warm air passage (P2, P3) is formed in a "U" shape via the heater core 102, the inlet (P2) of the warm air passage branched from the cold air passage (P1), The outlet P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ixing region MC.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P2 of the warm air passage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102 and then turns to flow through the outlet P3 of the warm air passage to the mixing area MC.
  • the warm air passage A partition wall 119 is formed between the inlet P2 and the outlet P3 of the warm air passage to partition the air of the inlet P2 side of the warm air passage and the air of the outlet P3 side of the warm air passage.
  • the partition wall 119 is formed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heater core 102, and more specifically, extends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heater core 102 to the rotation axis position of the seat temperature adjusting door 115.
  • an air inlet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provided with a blower (not shown) for introducing air or air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 the plurality of all air outlets, the defrost vent 112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 face vent 113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face of the passenger seat, and the air toward the foot of the passenger seat Floor vents 114 for discharging are sequentially formed.
  • vents 112 to 114 are opened and closed by a plurality of seat mode doors 116, and the opening degree thereof is adjusted.
  • a partition wall 117 is formed between the outlet P3 of the warm air passage and the floor vent 114, and the air flowing to the outlet P3 of the warm air passage by the partition wall 117. Air flowing to the floor vent 114 is partitioned.
  • the evaporator 101 is installed to be loca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ir inlet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upstream of the front and rear air passages 105 and 140.
  • Core 102 is installed to stand in the warm air passage (P2, P3).
  • 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may be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t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the figure.
  • the evaporator 101 is connected to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sion valve through a refrigerant pipe to form a refrigeration cycle, thereby cool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 the coolant heated by the engine connected to the engine through the coolant pipe circulates to the heater core 102,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is heated.
  • an electric heating heater may be installed instead of the heater core 102.
  •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ry shaft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rotary shaft and the cold air passage ( P1) and the first door portion 115a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inlet P2 side of the warm air passage, and the second door portion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outlet P3 side of the warm air passage form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It consists of 115b.
  • the first door 115a opens the cold air passage (P1) and closes the inlet (P2) of the hot air passage in the maximum cooling mode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door portion.
  • the outlet P3 of the hot air passage 115b By closing the outlet P3 of the hot air passage 115b, the air in the hot air passage heated by the heater core 102 is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mixing region MC side.
  • the first door 115a closes the cold air passage P1 and opens the inlet P2 of the hot air passage, while the second door 115b exits the hot air passage. (P3) is opened.
  •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heater core 102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is partitioned through the warm air passages (P2, P3) and the partition wall 144, independent of the rear seat by supplying air to the rear seat space through a console box (not shown) in the vehicle interior Cooperation will be carried out.
  • the inlet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downstream (rear side) passage of the evaporator 101, the outlet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is connected through a console box (not shown) and a duct (not shown) in the vehicle cabin.
  •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120a are formed in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formed at the outlet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to discharge air to the rear seat.
  •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120a may include a rear face vent 121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rear passenger's face, and a rear floor vent 122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rear passenger's foot.
  • the rear face vent 121 is form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and the rear floor vent 122 is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 the vent 121 and the rear seat vent 122 are form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ear seat mode door 145.
  • the rear seat face vent 121 is formed at about 3 o'clock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146 of the rear seat mode door 145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and the rear seat vent 122 is Communication is formed at the 6 o'clock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146 of the rear seat mode door 145.
  • the rear seat mode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rear seat face vent 121 and the rear seat vent 122 which are the plurality of air outlets 120a according to the rear seat air discharge mode ( 145 is rotatably installed.
  • the rear seat mode door 145 is composed of a rotary type door (Rotary Type Door), the rotary shaft 146 and rotatably install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respectively, and the rotary shaft ( 146 and a dome plate 147 for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ealing wall 147a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al direction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rear seat face vent 121 and the rear seat vent 122. It consists of a pair of side plates 148 connecting both ends of the dome plate 147 and the rotation shaft 146.
  • partition wall 144 partitioning the warm air passages P2 and P3 and the rear stone air passage 140 communicates the front air passage of the rear air passage 140 with the heater core 102.
  • a hot air outlet 135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hot air inlet 135 with the rear hot air passage of the heater core 102 and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 the inlet side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communicates with the warm air passage P2 through the rear side passage of the evaporator 101 and the hot air inlet 135.
  •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controls the inlet flow rate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and the warm air passage (P2) with respect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the temperature of the rear seat space.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installed to adjust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in the heater core 102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 the rear seat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142 is installed.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installed on the hot air inlet 135 side in front of the heater core 102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rear air passage 140 and the hot air inlet 135. do. Accordingly,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a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through the hot air inlet 135 and the hot air outlet 136, and the heater core 102 through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Control the amount of cold air to bypass.
  • the rear seat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14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t air outlet 136 behind the heater core 102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hot air outlet 136. Therefore, the rear seat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142 supplies some of the warm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er core 102 to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 the rear seat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142 is connected to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by a link (not shown).
  •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is installed in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the rear seat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142, and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are configured as a flat type door, that is,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t consists of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and a plate extending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 controller 15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when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according to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mode. Is provided.
  • the control unit 150 in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mode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a plurality of operating positions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preset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 the rear seat cold wind control door 143 is operated to one of the places.
  • the maximum rear seat cooling mode operates the rear seat airflow control door 143 to the position of maximum opening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and the rear seat maximum heating mode (or rear seat off mode). ), The rear stone cold air control door 143 is operated to a position for closing the rear air passage 140.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opens both the hot air inlet 135 and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to control the cold and hot air.
  • the rear seat is temperature-controlled by adjusting the mixing amount.
  •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ld wind passes through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due to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heater core 102 of the warm air passage (P2).
  •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closes the hot air passages P2 and P3, so that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is the cold wind passage P1 and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fixed to the maximum seating mode of the seat, the amount of cold air distributed to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is small, so that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lability is good and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The straightness of can be secured.
  •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closes the cold air passage (P1), so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is the warm air passages (P2, P3) and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And the rear seat air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fixed to the maximum heating mode position of the seat, due to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heater core 102 of the hot air passage (P2, P3).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lability and the straightness of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due to the large amount of cold air passing to the side 140).
  • the controller 150 does not open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to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in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at the maximum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does not op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to one of a plurality of operating positions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is set in advance.
  •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is given resistance to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by the rear seat cold air regulating door 143 as much as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heater core 102 to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ssage of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ld wind, thereby improving the dissatisfac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lability, as well as ensuring the straightness of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thereby improving passenger comfort.
  •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is a total of five places, that is, the maximum rear seat cooling mode position of the maximum position to open the rear air passage 140, and the rear air passage One location of the maximum rear seat heating mode to close the 140, and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is three operating pos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n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shown in only three places, but three or more places are possible.
  •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when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changed to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amount of the cold air passage P1 decreases in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 Is controlled to a position in which the opening amount of the rear air passage 140 is reduced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ng positions.
  • the rear seat cold air regulating door 143 reduces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so that the rear seat air cylinder is open.
  •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furnace 140 is to be increased.
  • FIG. 7 is a graph comparing the rear-seat discharge ai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evaluation reference line is a section in which the rear seat occupant can feel comfort.
  • the rear seat cooling air control door 143 is variab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the rear seat discharge air temperature It can be seen that is within the evaluation baseline.
  • control unit 150 in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a plurality of operating positions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preset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s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and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 the rear seat cold wind control door 143 may be operated to one of the places.
  • only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may be determine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and the rear seat.
  • the posi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may be determine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according to the position.
  • the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and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is operated.
  • the control unit 150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changed to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amount of the cold air passage (P1) is reduced,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a rear-seat hole
  • the rear seat cooling air control door 143 is operated to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amount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decreases.
  • a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seat space to control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 a passenger directly manipulates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 the rear seat temperature is controlled through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can perform a total of five air conditioning modes such as maximum cooling mode, cooling mode, intermediate mode (temperature control mode), heating mode, and maximum heat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 five air conditioning modes can be changed.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and the hot air inlet 135. By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will b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rear seat.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n connec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when the rear seat temperature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check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To control.
  • control unit limits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for each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when the rear seat temperature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adjusting door 141 within the limited operating range.
  •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opens the hot air passage (P2) and P3 from the maximum cooling mode position of opening the cold air passage (P1) and closing the hot air passage (P2) (P3). The position is changed while rotating at an angle to the maximum heating mode position to close the P1) to adjust the seat temperature,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opens the warm air inlet 135 from the maximum cooling mode position of opening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and closing the warm air inlet 135, and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The position is changed while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maximum heating mode position to close the control the rear seat temperature.
  • the maximum operating range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from the position of closing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to the position of closing the hot air inlet 135.
  • the operating range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limi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 the position of the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may be located in a cooling mode, an intermediate mode (temperature control mode), or in a heating mode. Assuming that the position is located in the cooling mode,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when operating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limits the operating range so as not to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rear seat cooling mode position so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and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varied. It is not so big.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 the mode of the lower temperature for example, intermediate mode or heating mode
  • the deviation between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and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not large.
  •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and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selected.
  • the operating range of) limits the operating range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n connec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so that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not largely different from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 the rear-seat discharge temperature follows within a range where the deviation is not large from the front-seat discharge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in the vehicle room from rising due to the rear-seat discharge temperature and to reduce the operating period of the air conditioner, thereby improving fuel economy.
  •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discharg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by position (by air conditioning mode)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wherein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is the maximum cooling mode, the cooling mode, the intermediate mode, and the heat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 A total of five air conditioning modes, such as the maximum heating mode, the discharge temperature is shown in the graph of FIG.
  • the three dotted boxes are respectively the discharge temperature range in the heating mode, the discharge temperature range in the intermediate mode (temperature control mode),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range in the cooling mode.
  • the rear seat may perform five air conditioning modes through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at which time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to the maximum cooling mode, cooling mode, intermediate mode Is controlled in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range,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in the rear seat heating mode and the maximum heating mode is out of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range, but it can be seen that the deviation is not large.
  • the rear seat heating mode is controlled because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adjusting door 141 is controlled in connec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adjusting door 115. And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in the maximum heating mode is not largely different from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ar seat mode door 145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switch to switch the rear seat air discharge mode. That is, the rear seat comfort can be improved by switching the rear seat air discharge mode to the rear seat floor mode when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high, and switching the rear seat air discharge mode to the rear seat vent mode when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low.
  • controller may select the rear seat air discharge mode according to the front seat air discharge mode.
  • a first step S1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mode is the maximum rear seat cooling mode, the maximum rear seat heating mode, the rear seat off mode, or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is performed.
  • the fourth step (S4) for variab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Proceed.
  • the warm air passage ( P2) by the resistance to the rear seat airflow control door 143 as much as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side is to reduce the amount of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 the fourth step (S4)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to one of a plurality of operating positions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pre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Will be activated.
  •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is a total of five places, that is, the maximum rear seat cooling mode position of the maximum position to open the rear air passage 140, and the rear air passage One location of the maximum rear seat heating mode to close the 140, and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is three operating pos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n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 the fourth step (S4) when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changed to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amount of the cold air passage (P1) is reduced, the rear seat cold wind control door 143 is a plurality of It is controlled to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amount of the rear air passage 140 is reduced in the operating position.
  •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reduces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so that the rear seat hole It is to increase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passage (140).
  • the description of the general air discharge mode (defrost mode, vent mode, bi-level mode, floor mode, mix mode) is omitted, and representatively, the maximum cooling mode and maximum cooling mode in the front seat, the maximum heating mode in the front seat, and the maximum heating in the rear seat are typical. Only the mode,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and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mode will be described.
  • the front seat temperature regulating door 115 opens the cooling air passage P1 and closes the inlet / outlets P2 and P3 of the warm air passage for cooling the seat. Done.
  • the rear seat cooling air conditioning door 143 opens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closes the warm air inlet 135, the rear seat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cooling the rear seats. 142 closes the hot air outlet 136.
  • the rear seat door 145 closes the rear seat vent 122.
  •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to circulate cool refrigerant in the evaporator 101.
  • the air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rough the blower is changed to cold air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and part of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P1) to all seat air outlets.
  • the cold air passage (P1) to all seat air outlets.
  •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closes the cold air passage (P1) to open the entrance and exit (P2, P3) of the hot air passage for heating the front seat. Done.
  •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for rear seat heating closes the rear air passage 140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opens the hot air inlet 13
  • the rear seat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142 opens the hot air outlet 136.
  • the rear seat mode door 145 closes the rear seat face vent 121.
  •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the hot engine coolant is circulated to the heater core (102).
  • the air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rough the blower device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01, and som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passes through the warm air passages P2 and P3.
  • the warm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seat air discharge port to heat the seat space,
  • a part of the rear-air air passage 140 is introduced into the warm air passage through the hot air inlet 135, and then the hot air outlet 136 after being changed to the warm air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Discharge into the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of the outlet air passage 140 through the), and is subsequently discharged to the foot of the rear passenger through the rear floor vent 122 to heat the rear seat space.
  •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the cold air passage (P1) and the inlet and outlet (P2, P3) of the hot air passage in order to control the seat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Will open all.
  •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opens both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and the hot air inlet 135, and the rear seat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142 is also a hot air outlet ( 136) is opened.
  •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is variablely operated to one of a plurality of operating positions of the rear seat cold air control door 143 pre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 the rear seat mode door 145 closes the rear seat vent 122, but thi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ir discharge mode.
  • the air conditioner is activated to circulate cool refrigerant in the evaporator 101, the hot engine coolant is circulated in the heater core (102).
  • the air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rough the blower is changed to cold air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and part of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is a cold air passage (P1).
  • P1 cold air passage
  • P2 hot air passage
  • some of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rear air passage 140, some of th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rear air passage 140 is the rear air passage.
  • a part is changed to the warm air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through the hot air inlet 135 after the hot air outlet 136 rear seat discharge housing 120
  • After flowing to the side is mixed with cold air is supplied to the console box side to control the rear seat space to the appropriate temperature.
  • the warm air passage (P2) side is subjected to the ventilation resistance due to the heater core 102, the rear seat air passage 140 side is caught by the ventilation resistance due to the rear seat cold air conditioning door (143), The balance of the ventilation resistance is balanced, thereby prevent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ld wind from passing through the rear air passage 140, thereby improving dissatisfaction with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and securing the straightness of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thereby allowing Comfort can be improved.
  •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is changed, wherei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as well as limi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door 141 so that the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is not large deviation from the front seat discharg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후석공기통로에 후석 냉풍조절도어를 설치한 공조케이스에서 후석 공조모드(후석 온도조절모드)에 따른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 제어시,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를 가변제어함으로써,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후석공기통로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석공기통로와 후석공기통로로 적정한 냉풍량의 배분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후석 온도 제어성의 불만족을 개선함은 물론 후석 토출온도의 직진성을 확보하여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조작을 통한 후석 온도조절시,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와 연계하여 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후석 토출온도와 전석 토출온도간에 편차가 크지 않게 되어, 후석 토출온도의 영향이 전석에까지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석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함은 물론 후석 탑승자의 쾌적성도 향상할 수 있고, 아울러 에어컨의 작동구간도 줄일 수 있어 연비를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후석공기통로에 후석 냉풍조절도어를 설치한 공조케이스에서 후석 공조모드(후석 온도조절모드)에 따른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 제어시,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를 가변제어하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차량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종별 또는 동일 차종내에서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는데, 일예로, 싱글 존(전석 공간) 공조장치, 듀얼 존(전석 좌,우 공간) 공조장치, 트리플 존(전석 좌,우 및 후석 공간) 공조장치가 대표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싱글 존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일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공기통로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는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도록 온도조절도어(15)가 설치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0)는, 좌측케이스와 우측케이스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상부케이스(10a)와, 상기 상부케이스(10a)의 하부 중 상기 증발기(2)가 안착되는 부위에 증발기(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누수방지를 위해 별도로 조립되는 하부케이스(10b)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통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장치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풍통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기 토출모드(벤트모드,바이레벨모드,플로어모드,믹스모드,디프로스트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의 전석 공간으로 토출됨으로써, 전석 공간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통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장치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통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기 토출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의 전석 공간으로 토출됨으로써, 전석 공간의 난방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듀얼 존 공조장치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중앙에 세퍼레이터(미도시)를 설치하여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고,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세퍼레이터 양측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좌,우 온도조절도어 등을 설치하여 전석 좌,우 공간을 독립적으로 온도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리플 존 공조장치(1a)는, 상기 듀얼 존 공조장치내의 냉,온풍통로(P1,P2)로 이루어진 전석공기통로(17) 하부에 후석공기통로(20)를 추가한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에 증발기(2) 및 히터코어(3)가 설치되고, 전석 온도조절도어(15) 및 전석 모드도어(16a,16b,16c)가 설치되는 것은 큰 차이가 없으나, 상기 히터코어(3)의 하부에 후석공기통로(20)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후석공기통로(20)와 온풍통로(P2) 사이의 히터코어(3) 전방에는 후석 온도조절도어(25)가 설치되며 히터코어(3) 후방에는 후석 보조 온도조절도어(2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후석공기통로(20)의 출구측에는 후석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후석 공기토출구(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25) 및 후석 보조 온도조절도어(26)에 의해 상기 후석공기통로(20)를 통과하는 냉풍과, 상기 온풍통로(P2)를 통과한 후 후석공기통로(20)로 합류되는 온풍의 혼합양이 조절되고, 이후 상기 후석 공기토출구(21)를 통해 후석 공간으로 토출됨으로서, 후석 공간까지 냉,난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트리플 존 공조장치(1a)는, 도 2와 같이,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25)로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와, 후석공기통로(20)를 모두 개방하는 후석 온도조절시, 상기 온풍통로(P2)를 통과한 온풍과 상기 후석공기통로(20)를 통과한 냉풍이 혼합되어 후석측으로 토출됨으로써 후석을 온도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온풍통로(P2)측 히터코어(3)의 통기저항으로 인하여 상기 후석공기통로(20)로 상대적으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게 되어 후석 온도 제어성을 불만족하게 됨은 물론 후석 토출온도의 직진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이로인해 탑승자의 쾌적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후석 공간에는 탑승자가 후석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25)를 제어하는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3은,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위치별(공조모드별)로 외기온도에 따른 토출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는 조작위치에 따라 최대 냉방모드, 냉방모드, 중간모드(온도조절모드), 난방모드, 최대 난방모드와 같이 총 5개의 공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공조모드별로 토출온도는 도 3의 그래프와 같다.
도 3에서 3개의 점선박스는 각각 전석 난방모드일 때의 토출온도 범위, 전석 중간모드일 때의 토출온도 범위, 전석 냉방모드일 때의 토출온도 범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에는 전석을 냉방모드로 작동하고 있더라도, 후석은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통해 최대 난방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의 전석과 후석의 온도편차는 매우 크게 된다.
이처럼, 상기 종래의 공조장치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25)가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5)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에 의해서만 제어되기 때문에, 후석 탑승자가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최대 난방모드 위치 또는 최대 냉방모드 위치로 조작한 후 차량에서 내리게 되면, 어느 누군가가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는한 후석 공간으로는 계속 더운공기 또는 찬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이때, 전석은 냉방 중인데 후석 공간으로 계속 더운공기가 공급되고 있다면, 후석의 더운 공기가 전석에 영향을 주어 전석 탑승자의 쾌적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뿐만 아니라 후석으로 공급되는 더운 공기로 인해 차량실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결국 에어컨의 작동구간도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석공기통로에 후석 냉풍조절도어를 설치한 공조케이스에서 후석 공조모드(후석 온도조절모드)에 따른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 제어시,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를 가변제어함으로써,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후석공기통로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석공기통로와 후석공기통로로 적정한 냉풍량의 배분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후석 온도 제어성의 불만족을 개선함은 물론 후석 토출온도의 직진성을 확보하여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조작을 통한 후석 온도조절시,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와 연계하여 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후석 토출온도와 전석 토출온도간에 편차가 크지 않게 되어, 후석 토출온도의 영향이 전석에까지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석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함은 물론 후석 탑승자의 쾌적성도 향상할 수 있고, 아울러 에어컨의 작동구간도 줄일 수 있어 연비를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온풍통로를 갖는 전석공기통로 및 상기 전석공기통로의 하부에 형성되는 후석공기통로가 구비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내에서 전석공기통로와 후석공기통로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증발기 및 상기 온풍통로에 설치되는 히터코어와, 상기 공조케이스내에서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풍통로와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 온도조절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석공기통로 출구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석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후석 페이스 벤트 및 후석 플로어 벤트를 갖는 후석 토출하우징과, 상기 후석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상기 후석공기통로 및 온풍통로 유입량을 조절하여 후석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 온도조절도어와, 상기 후석공기통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석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냉풍조절도어와, 후석 공조모드에 따른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 제어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후석 공조모드가 후석 최대 냉방모드인지, 후석 최대 난방모드인지, 후석 오프모드인지, 후석 온도조절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후석 최대 냉방모드이면, 후석공기통로를 최대 개방하는 위치로 후석 냉풍조절도어를 작동시키는 제2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후석 최대 난방모드 또는 후석 오프모드이면, 상기 후석공기통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를 작동시키는 제3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후석 온도조절모드이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4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석공기통로에 후석 냉풍조절도어를 설치한 공조케이스에서 후석 공조모드(후석 온도조절모드)에 따른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 제어시,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의 위치를 가변제어함으로써,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후석공기통로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석공기통로와 후석공기통로로 적정한 냉풍량의 배분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후석 온도 제어성의 불만족을 개선함은 물론 후석 토출온도의 직진성을 확보하여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조작을 통한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와 연계하여 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후석 토출온도와 전석 토출온도간에 편차가 크지 않게 되어, 후석 토출온도의 영향이 전석에까지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석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함은 물론 후석 탑승자의 쾌적성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후석 토출온도가 전석 토출온도와 편차가 크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어되므로 후석 토출온도로 인해 차량실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에어컨의 작동구간도 줄일 수 있어 연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싱글 존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트리플 존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위치별(공조모드별)로 외기온도에 따른 토출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후석 토출하우징측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종래와 본발명의 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에 따른 후석 토출공기온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위치별(공조모드별)로 외기온도에 따른 토출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석 최대냉방모드 및 후석 최대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석 최대난방모드 및 후석 최대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석 온도조절모드 및 후석 온도조절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일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출구측)에는 복수개의 전석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냉,온풍통로(P1,P2,P3)를 갖는 전석공기통로(105) 및 상기 전석공기통로(105)의 하부에 형성되는 후석공기통로(140)가 구비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전석공기통로(105)와 후석공기통로(14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상기 온풍통로(P2)에 설치되는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냉풍통로(P1) 및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도록 하는 온풍통로(P2,P3)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 온도조절도어(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서로 조립되는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에 조립되는 일체형 하부케이스(110c)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110)에는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118)가 설치되어 전석 좌,우 공간 및 후석 좌,우 공간의 온도를 독립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 전석 공기토출구의 상류측에는 상기 냉풍통로(P1)를 통과한 냉풍과 상기 온풍통로(P2,P3)를 통과한 온풍이 서로 혼합되는 믹싱영역(MC)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온풍통로(P2,P3)는 상기 히터코어(102)를 경유하는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온풍통로의 입구(P2)는 상기 냉풍통로(P1)로부터 분기되고, 온풍통로의 출구(P3)는 상기 믹싱영역(MC)과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풍통로의 입구(P2)로 유입된 공기가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후 유턴하여 상기 온풍통로의 출구(P3)를 통해 믹싱영역(MC)측으로 유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온풍통로의 입구(P2)와 온풍통로의 출구(P3) 사이에는 격벽(119)이 형성되어 상기 온풍통로의 입구(P2)측 공기와 상기 온풍통로의 출구(P3)측 공기를 구획하게 된다.
상기 격벽(119)은 상기 히터코어(102)의 상단측에 형성되며,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히터코어(102)의 상단측에서부터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회전축 위치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도입하여 공조케이스(110)내로 송풍하는 송풍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전석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전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전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가 차례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벤트(112~114)들은 복수개의 전석 모드도어(116)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온풍통로의 출구(P3)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의 사이에는 구획벽(117)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117)에 의해 상기 온풍통로의 출구(P3)로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로 유동하는 공기가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는 상기 전석공기통로(105)와 후석공기통로(140)의 상류측인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와 인접한 위치에 세워지게 설치되고, 상기 히터코어(102)는 상기 온풍통로(P2,P3)에서 세워지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증발기(101)에는 냉매파이프를 통해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팽창밸브가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형성함으로써 증발기(101)를 통과하는 공기가 냉각되게 되고, 상기 히터코어(102)에는 냉각수파이프를 통해 엔진과 연결되어 엔진에 의해 뜨거워진 냉각수가 상기 히터코어(102)로 순환하게 됨으로써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되게 된다.
물론,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는 상기 히터코어(102) 대신 전기가열식 히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의 입구(P2)측 개도를 조절하는 제1도어부(115a)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온풍통로의 출구(P3)측 개도를 조절하는 제2도어부(115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는, 최대냉방모드시, 상기 제1도어부(115a)가 냉풍통로(P1)를 개방하고 온풍통로의 입구(P2)를 폐쇄함과 동시에 제2도어부(115b)는 온풍통로의 출구(P3)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히터코어(102)에 의해 뜨거워진 온풍통로내의 공기가 믹싱영역(MC)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제1도어부(115a)가 냉풍통로(P1)를 폐쇄하고 온풍통로의 입구(P2)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제2도어부(115b)는 온풍통로의 출구(P3)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히터코어(102) 하부측에는 후석공기통로(140)가 형성된다.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는, 상기 온풍통로(P2,P3)와 구획벽(144)을 통해 구획 형성되며, 차실내의 콘솔박스(미도시)를 통해 후석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후석 독립공조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입구는 상기 증발기(101)의 하류측(후방측) 통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후석공기통로(140)의 출구는 후술하는 후석 토출하우징(120)과 연통하게 되며,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은 차실내의 콘솔박스(미도시)와 덕트(미도시)를 통해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후석공기통로(140) 출구측에 형성된 후석 토출하우징(120)에는, 상기 후석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20a)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20a)는, 상기 후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후석 페이스 벤트(121)와, 후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후석 플로어 벤트(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21)는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의 폭방향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122)는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의 폭방향 양단부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21)와 후석 플로어 벤트(122)는 상기 후석 모드도어(145)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각도상에 형성된다.
즉,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의 외주면에서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21)는 후석 모드도어(145)의 회전축(146)을 중심으로 3시방향에 연통 형성되고,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122)는 후석 모드도어(145)의 회전축(146)을 중심으로 6시방향에 연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후석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20a)인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21)와 후석 플로어 벤트(122)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14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후석 모드도어(145)는, 로터리 타입 도어(Rotary Type Door)로 구성되며,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내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46)과, 상기 회전축(146)과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회전방향 양단부에 실링벽(147a)이 형성되어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21) 및 후석 플로어 벤트(122)의 개도를 조절하는 돔플레이트(147)와, 상기 돔플레이트(147)의 양단부와 상기 회전축(146)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판(14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온풍통로(P2,P3)와 후석공기통로(140)를 구획하는 구격벽(144)에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와 상기 히터코어(102)의 전방 온풍통로를 연통시키는 온풍입구(135)와,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 온풍통로와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을 연통시키는 온풍출구(136)가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입구측은 상기 증발기(101)의 후방측 통로와 상기 온풍입구(135)를 통해 상기 온풍통로(P2)와 연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후석공기통로(140)에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 및 온풍통로(P2) 유입량을 조절하여 후석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 온도조절도어(141)가 설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히터코어(102) 후방측에는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 유입량을 조절하는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42)가 설치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는 상기 히터코어(102) 전방의 온풍입구(135)측에 설치되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와 온풍입구(135)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는 상기 온풍입구(135) 및 온풍출구(136)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과,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42)는, 상기 히터코어(102) 후방의 온풍출구(136) 일측에 설치되어 온풍출구(136)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42)는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온풍 중 일부를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42)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와 링크(미도시)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내부에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후석 냉풍조절도어(143)가 설치된다.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와,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42) 및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플랫 타입 도어(Flat Type Door)로 구성되는데, 즉,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평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석 공조모드에 따른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 제어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를 가변제어하는 제어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도 6와 같이, 상기 후석 공조모드 중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세팅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복수개 작동 위치 중 한 곳으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후석 공조모드 중 후석 최대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최대 개방하는 위치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고, 후석 최대 난방모드시(또는 후석 오프모드시)에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후석 온도조절모드시에 대해 설명하면, 후석 온도조절시에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가 상기 온풍입구(135)와,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모두 개방하여 냉풍과 온풍의 혼합량을 조절함으로써 후석을 온도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온풍통로(P2)측 히터코어(102)의 통기저항으로 인하여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로 상대적으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개도량)에 따라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P3) 및 후석공기통로(140)로 배분되는 냉풍량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즉, 전석 최대냉방모드시에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가 온풍통로(P2,P3)를 폐쇄하므로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냉풍은 상기 냉풍통로(P1) 및 후석공기통로(140)측으로 배분되며, 이때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가 전석 최대냉방모드 위치에 고정된 경우에는 후석공기통로(140)측으로 배분되는 냉풍량에 변화가 적어 후석 온도제어성이 좋고 후석 토출온도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전석 최대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가 냉풍통로(P1)를 폐쇄하므로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냉풍은 상기 온풍통로(P2,P3) 및 후석공기통로(140)측으로 배분되며, 이때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가 전석 최대난방모드 위치에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온풍통로(P2,P3)측 히터코어(102)의 통기저항으로 인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측으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여 후석 온도제어성이 좋지 않고 후석 토출온도의 직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처럼,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가 전석 최대난방모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히터코어(102)의 통기저항으로 인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측으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여 후석 온도제어성이 좋지 않은데, 상기 전석 온도절도어(115)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는 더욱더 후석 온도제어성이 좋지 않고 후석 토출온도의 직진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로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최대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세팅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복수개 작동 위치 중 한 곳으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히터코어(102)의 통기저항 만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로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측에 저항을 주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로 상대적으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후석 온도 제어성의 불만족을 개선함은 물론 후석 토출온도의 직진성을 확보하여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서 보면,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작동위치는 총 5곳이며, 즉,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최대개방하는 후석 최대냉방모드 위치 1곳과,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폐쇄하는 후석 최대난방모드 위치 1곳, 그리고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가 가변하는 작동위치 3곳이다.
도면에서는,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가 가변하는 작동위치를 3곳으로만 도시하였지만, 3곳 이상으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가 상기 냉풍통로(P1)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변경될 때,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상기 복수개 작동 위치 중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제어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가 상기 온풍통로(P2,P3)를 많이 개방할수록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량을 감소시켜 후석공기통로(140)의 통기저항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종래와 본발명의 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에 따른 후석 토출공기온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그래프에서 평가 기준선은 후석 탑승자가 쾌적성을 느낄수 있는 구간이다.
그래프를 보면, 종래의 경우 후석 온도조절시, 히터코어(102)의 통기저항으로 인해 후석공기통로(140)측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게 되어 도 7에서 원형 점선으로 표시한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특정위치(온도조절구간)에서 후석 토출공기온도가 평가 기준선 이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반면, 본발명의 경우 후석 온도조절시,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를 가변제어하기 때문에, 후석 토출공기온도가 평가 기준선 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 및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세팅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복수개 작동 위치 중 한 곳으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만 판단하여 그 위치에 따라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고,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 및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모두 판단하여 그 위치에 따라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 및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모두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 및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세팅된 위치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게 된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가 상기 냉풍통로(P1)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변경되고,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가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변경될 경우,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석 공간에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를 제어하도록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처럼 후석 온도조절스위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탑승자가 직접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후석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는 조작위치에 따라 최대 냉방모시, 냉방모드, 중간모드(온도조절모드), 난방모드, 최대 난방모드와 같이 총 5개의 공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5개의 공조모드는 변경가능하다.
따라서,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5개의 공조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가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와 온풍입구(135)의 개도를 조절하여 후석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조작을 통한 후석 온도조절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와 연계하여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즉, 탑승자가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조작을 통한 후석 온도조절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별로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 작동 위치의 상한치 및 하한치를 제한하여, 상기 제한된 작동 범위내에서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제어하여 후석 온도조절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는, 상기 냉풍통로(P1)를 개방하고 온풍통로(P2)(P3)를 폐쇄하는 최대 냉방모드 위치에서부터 상기 온풍통로(P2)(P3)를 개방하고 냉풍통로(P1)를 폐쇄하는 최대 난방모드 위치까지 일정각도씩 회전하면서 위치가 가변되어 전석 온도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개방하고 온풍입구(135)를 폐쇄하는 최대 냉방모드 위치에서부터 상기 온풍입구(135)를 개방하고 후석공기통로(140)를 폐쇄하는 최대 난방모드 위치까지 일정각도씩 회전하면서 위치가 가변되어 후석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최대 작동 범위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온풍입구(135)를 폐쇄하는 위치까지이다.
종래에는 탑승자가 후석 온도조절스위치 조작시 상기 최대 작동 범위내에서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의 위치가 제어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탑승자가 후석 온도조절스위치 조작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작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가 냉방모드에 위치하거나, 중간모드(온도조절모드)에 위치하거나, 난방모드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일예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가 냉방모드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 조작시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는 후석 냉방모드 위치에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작동 범위를 제한하여 후석 토출온도와 전석 토출온도간에 편차가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가 냉방모드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가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후석 최대 난방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최대 난방모드 위치로 제어하지 않고 최대 난방모드시 보다는 낮은 온도의 모드(일예로 중간모드 또는 난방모드) 위치로 제어함으로써, 후석 토출온도와 전석 토출온도간에 편차가 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탑승자가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후석 온도를 조절할 때,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선정하며, 이때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작동 범위는 후석 토출온도가 전석 토출온도와 편차가 크지 않도록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와 연계하여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작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후석 토출온도의 영향이 전석에까지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석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함은 물론 후석 탑승자의 쾌적성도 향상할 수 있다.
아울러, 후석 토출온도가 전석 토출온도와 편차가 크지 않는 범위내에서 따라가므로 후석 토출온도로 인해 차량실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에어컨의 작동구간도 줄일 수 있어 연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8은,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위치별(공조모드별)로 외기온도에 따른 토출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는 조작위치에 따라 최대 냉방모드, 냉방모드, 중간모드, 난방모드, 최대 난방모드와 같이 총 5개의 공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공조모드별로 토출온도는 도 8의 그래프와 같다.
도 8에서 3개의 점선박스는 각각 전석 난방모드일 때의 토출온도 범위, 전석 중간모드(온도조절모드)일 때의 토출온도 범위, 전석 냉방모드일 때의 토출온도 범위이다.
도 8에서 일예로, 전석이 냉방모드로 작동중일 때, 후석은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통해 5개의 공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후석 최대냉방모드, 냉방모드, 중간모드까지의 후석 토출온도는 전석 토출온도 범위에서 제어가 되고, 후석 난방모드 및 최대 난방모드시의 후석 토출온도는 전석 토출온도 범위를 벗어나긴 하나 편차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탑승자가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후석 난방모드 및 최대 난방모드를 선택하더라도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연계하여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가 제어되므로 후석 난방모드 및 최대 난방모드시의 후석 토출온도가 전석 토출온도와 편차가 크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모드도어(145)를 제어하여 후석 공기토출모드를 전환하게 된다. 즉, 후석 토출온도가 높으면 후석 공기토출모드를 후석 플로어모드로 전환하고, 후석 토출온도가 낮으면 후석 공기토출모드를 후석 벤트모드로 전환함으로써, 후석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는, 전석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후석 공기토출모드를 선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후석 공조모드가 후석 최대 냉방모드인지, 후석 최대 난방모드인지, 후석 오프모드인지, 후석 온도조절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를 진행한다.
상기 제1단계(S1)의 판단결과, 후석 최대 냉방모드이면, 후석공기통로(140)를 최대 개방하는 위치로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는 제2단계(S2)를 진행하고,
상기 제1단계(S1)의 판단결과, 후석 최대 난방모드 또는 후석 오프모드이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는 제3단계(S3)를 진행하며,
상기 제1단계(S1)의 판단결과, 후석 온도조절모드이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를 가변제어하는 제4단계(S4)를 진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석 온도조절모드시에는 상기 온풍통로(P2)측 히터코어(102)의 통기저항으로 인하여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로 상대적으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온풍통로(P2)측의 통기저항 만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로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측에 저항을 주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통과하는 냉풍량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4단계(S4)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세팅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복수개 작동 위치 중 한 곳으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6에서 보면,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작동위치는 총 5곳이며, 즉,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최대개방하는 후석 최대냉방모드 위치 1곳과,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폐쇄하는 후석 최대난방모드 위치 1곳, 그리고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가 가변하는 작동위치 3곳이다.
또한, 상기 제4단계(S4)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가 상기 냉풍통로(P1)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변경될 때,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상기 복수개 작동 위치 중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제어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가 상기 온풍통로(P2,P3)를 많이 개방할수록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량을 감소시키게 되어 후석공기통로(140)의 통기저항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공기토출모드(디프로스트 모드,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대표적으로 전석 최대냉방모드 및 후석 최대냉방모드와, 전석 최대난방모드 및 후석 최대난방모드와, 전석 온도조절모드 및 후석 온도조절모드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가. 전석 최대냉방모드 및 후석 최대냉방모드(도 9)
전석 최대냉방모드 및 후석 최대냉방모드는, 도 9와 같이, 전석 냉방을 위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는 냉풍통로(P1)를 개방하고 온풍통로의 입,출구(P2,P3)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후석 냉방을 위해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후석공기통로(140)를 개방하고,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는 온풍입구(135)를 폐쇄하며, 상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42)는 온풍출구(136)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석 모드도어(145)는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122)를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에어컨이 가동되어 상기 증발기(101)에 차가운 냉매가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공조케이스(110)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풍으로 바뀐 뒤, 일부는 상기 냉풍통로(P1)를 통해 전석 공기토출구로 토출되어 전석 공간을 냉방하게 되고,
일부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 및 후석 페이스 벤트(121)를 통해 후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토출되어 후석 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나. 전석 최대난방모드 및 후석 최대난방모드(도 10)
전석 최대난방모드 및 최대후석 난방모드는, 도 10과 같이, 전석 난방을 위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는 냉풍통로(P1)를 폐쇄하고 온풍통로의 입,출구(P2,P3)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후석 난방을 위해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후석공기통로(140)를 폐쇄하고,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는 온풍입구(135)를 개방하며, 상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42)는 온풍출구(136)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석 모드도어(145)는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21)를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에어컨은 정지되고, 상기 히터코어(102)에는 뜨거운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공조케이스(110)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온풍통로(P2,P3)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온풍으로 바뀐 뒤 전석 공기토출구로 토출되어 전석 공간을 난방하게 되고,
일부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 입구로 유입된 후 온풍입구(135)를 통해 상기 온풍통로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온풍으로 바뀐 뒤 온풍출구(136)를 통해 후석공기통로(140)의 출구측 후석 토출하우징(120)으로 배출되며, 계속해서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122)를 통해 후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토출되어 후석 공간을 난방하게 된다.
다. 전석 온도조절모드 및 후석 온도조절모드(도 11)
전석 온도조절모드 및 후석 온도조절모드는, 도 11과 같이, 전석을 적절한 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는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의 입,출구(P2,P3)를 모두 개방하게 된다.
또한, 후석을 적절한 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는 후석공기통로(140) 및 온풍입구(135)를 모두 개방하고, 상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42)도 온풍출구(136)를 개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세팅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복수개 작동 위치 중 한 곳으로 가변 작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가 변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도 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석 모드도어(145)는 상기 후석 플로어 벤트(122)를 폐쇄하게 되나, 이는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에어컨이 가동되어 상기 증발기(101)에 차가운 냉매가 순환하게 되고, 상기 히터코어(102)에는 뜨거운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공조케이스(110)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풍으로 바뀌게 되고,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냉풍 중 일부는 냉풍통로(P1)를 통해 믹싱영역(MC)으로 유동하고, 일부는 온풍통로(P2,P3)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온풍으로 바뀐 뒤 믹싱영역(MC)으로 유동하여 냉풍과 혼합된 후 전석 공기토출구로 토출되어 전석 공간을 적절한 온도로 제어하게 되고,
또한,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냉풍 중 일부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입구로 유입되는데,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입구로 유입된 냉풍 중 일부는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통해 후석 토출하우징(120)측으로 유동하고, 일부는 온풍입구(135)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온풍으로 바뀐 뒤 온풍출구(136)를 후석 토출하우징(120)측으로 유동하여 냉풍과 혼합된 후 콘솔박스측으로 공급되어 후석 공간을 적절한 온도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온풍통로(P2)측은 상기 히터코어(102)로 인해 통기저항이 걸리게 되고,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측은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로 인해 통기저항에 걸리게 됨으로써, 서로 통기저항의 균형이 맞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로 상대적으로 많은 냉풍량이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어, 후석 온도 제어성의 불만족이 개선되고 후석 토출온도의 직진성이 확보되며 이로인해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후석 온도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후석 공조모드를 변경하게 되면,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선정함은 물론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작동 범위를 제한하여 후석 토출온도가 전석 토출온도와 편차가 크지 않도록 하게 된다.

Claims (13)

  1. 냉,온풍통로(P1,P2,P3)를 갖는 전석공기통로(105) 및 상기 전석공기통로(105)의 하부에 형성되는 후석공기통로(140)가 구비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전석공기통로(105)와 후석공기통로(14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상기 온풍통로(P2)에 설치되는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 온도조절도어(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후석공기통로(140) 출구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석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후석 페이스 벤트(121) 및 후석 플로어 벤트(122)를 갖는 후석 토출하우징(120)과,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 및 온풍통로(P2) 유입량을 조절하여 후석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와,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와,
    후석 공조모드에 따른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 제어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세팅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복수개 작동 위치 중 한 곳으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가 상기 냉풍통로(P1)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변경될 때,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상기 복수개 작동 위치 중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후석 최대 냉방모드시,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최대 개방하는 위치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고,
    후석 최대 난방모드시,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후석 온도조절모드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 및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세팅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복수개 작동 위치 중 한 곳으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히터코어(102) 후방측에는,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 유입량을 조절하는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4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를 제어하여 후석 온도를 조절하는 후석 온도조절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조작을 통한 후석 온도조절시,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와 연계하여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별로 상기 후석 온도조절도어(141) 작동 위치의 상한치 및 하한치를 제한하여, 상기 제한된 작동 범위내에서 후석 온도조절도어(141)의 위치를 제어하여 후석 온도조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석 토출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상기 후석 페이스 벤트(121) 및 후석 플로어 벤트(122)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14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석 온도조절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모드도어(145)를 제어하여 후석 공기토출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1 항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후석 공조모드가 후석 최대 냉방모드인지, 후석 최대 난방모드인지, 후석 오프모드인지, 후석 온도조절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제1단계(S1)의 판단결과, 후석 최대 냉방모드이면, 후석공기통로(140)를 최대 개방하는 위치로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는 제2단계(S2)를 진행하고,
    상기 제1단계(S1)의 판단결과, 후석 최대 난방모드 또는 후석 오프모드이면, 상기 후석공기통로(140)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는 제3단계(S3)를 진행하며,
    상기 제1단계(S1)의 판단결과, 후석 온도조절모드이면,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4단계(S4)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S4)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세팅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의 복수개 작동 위치 중 한 곳으로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S4)는, 상기 전석 온도조절도어(115)의 위치가 상기 냉풍통로(P1)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변경될 때, 상기 후석 냉풍조절도어(143)는 상기 복수개 작동 위치 중 상기 후석공기통로(140)의 개도량이 감소하는 위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4/007829 2013-08-22 2014-08-22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0261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60,888 US9919576B2 (en) 2013-08-22 2014-08-2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480005068.7A CN104918809B (zh) 2013-08-22 2014-08-22 车载空调装置及其控制方法
DE112014000301.8T DE112014000301T5 (de) 2013-08-22 2014-08-22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28A KR101637967B1 (ko) 2013-08-22 2013-08-22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3-0099428 2013-08-22
KR1020130104631A KR101703671B1 (ko) 2013-09-02 2013-09-02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3-0104631 201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6198A1 true WO2015026198A1 (ko) 2015-02-26

Family

ID=5248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829 WO2015026198A1 (ko) 2013-08-22 2014-08-22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19576B2 (ko)
CN (1) CN104918809B (ko)
DE (1) DE112014000301T5 (ko)
WO (1) WO2015026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0668B2 (en) * 2013-10-08 2019-03-0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VAC temperature control bypass throttle
DE102014104969B4 (de) * 2014-04-08 2019-11-21 Hanon Systems Klimatisier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9879870B2 (en) 2015-04-14 2018-01-30 Mahle International Gmbh HVAC module with anti-backflow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on
EP3144166B1 (en) * 2015-09-15 2019-07-17 Mahle International GmbH Hvac module with anti-backflow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on
JP6795896B2 (ja) * 2016-03-04 2020-12-02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CN109070684B (zh) * 2016-04-22 2022-04-15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用空调
WO2018221975A1 (ko) * 2017-06-02 2018-12-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56849B1 (ko) * 2017-12-15 2022-10-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09986923A (zh) * 2017-12-29 2019-07-09 艾泰斯热系统研发(上海)有限公司 车用hvac系统
US10710424B2 (en) * 2018-01-05 2020-07-14 Byton Limited HVAC unit placement configuration for a vehicle
DE102019106778A1 (de) * 2018-03-22 2019-09-26 Hanon Systems Klimaanlage für Fahrzeug
DE102018207369A1 (de) * 2018-05-11 2019-11-14 Mahle International Gmbh Klimaanlage mit mehreren stromab einer Heizeinrichtung angeordneten Temperaturregelungsklappen
CN108819657B (zh) * 2018-06-26 2020-08-18 上海加冷松芝汽车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制冷控制方法
US11541716B2 (en) * 2018-08-30 2023-01-03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IT201800009225A1 (it) * 2018-10-08 2020-04-08 Denso Thermal Systems Spa Dispositivo di climatizzazione per un veicolo comprendente una portella articolata.
KR20200075925A (ko) * 2018-12-11 2020-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용 열관리 시스템
CN111483290B (zh) * 2019-01-29 2023-08-01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辆用空调装置
KR20200134865A (ko) * 2019-05-24 2020-12-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US11505032B2 (en) * 2019-07-05 2022-11-22 Hanon Systems Modular architecture HVAC for multi-zone applic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652A (ja) * 1995-10-18 1997-04-28 Zexel Corp デュアルタイプ車両用空調装置のエアミックスドア制御装置
US20030102120A1 (en) * 2001-11-30 2003-06-05 Henry Jamie Jarett Temperature control strategy for a rear control system
KR20100094717A (ko) * 2009-02-19 2010-08-2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KR20120062386A (ko) * 2010-12-06 2012-06-14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138113A (ko) * 2011-06-14 2012-12-24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6980A (en) * 1933-03-25 1936-10-13 Richard L Ow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US2203477A (en) * 1938-02-10 1940-06-04 Nash Kelvinator Corp Ventilating system for automobiles
US2476295A (en) * 1946-11-06 1949-07-19 Edmund E Hans Air freshening system
JPS59186117U (ja) * 1983-05-31 1984-12-11 日産車体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
US5199485A (en) * 1990-08-03 1993-04-06 Hitachi, Ltd. Air conditioner for motor vehicle having right, left and center temperature controlled vents
US6131652A (en) * 1997-07-30 2000-10-17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JP3900645B2 (ja) * 1998-01-20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048587B2 (ja) * 1998-02-19 2008-02-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0062441A (ja) * 1998-08-25 2000-02-29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3572955B2 (ja) * 1998-08-25 2004-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596345B2 (ja) * 1999-03-30 2004-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4134479B2 (ja) * 1999-04-28 2008-08-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196492B2 (ja) * 1999-08-17 2008-12-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1191779A (ja) * 1999-09-03 2001-07-1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6304803B1 (en) * 1999-09-22 2001-10-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VAC control system for an automobile
JP4061793B2 (ja) * 1999-11-11 2008-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253960B2 (ja) * 1999-11-18 2009-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224939B2 (ja) * 2000-03-31 2009-02-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348847B2 (ja) * 2000-08-04 2009-10-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960020B2 (ja) * 2001-11-22 2007-08-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933005B2 (ja) * 2002-08-09 2007-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885711B2 (ja) * 2002-08-09 2007-02-28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システム
US6912863B2 (en) * 2002-08-30 2005-07-05 Denso Corporation Cooling structure for cooling vehicle electronic unit
JP4103560B2 (ja) * 2002-08-30 2008-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4196111A (ja) * 2002-12-18 2004-07-1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7156167B2 (en) * 2003-05-13 2007-01-0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US20050011640A1 (en) * 2003-07-17 2005-01-20 Mazda Motor Corporatio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7281971B2 (en) * 2003-09-24 2007-10-16 Mazda Motor Corporatio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293054B2 (ja) * 2003-09-26 2009-07-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193716B2 (ja) * 2003-12-15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25448A (ja) * 2004-02-16 2005-08-25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US7137445B2 (en) * 2004-06-16 2006-11-2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VAC center plate scoop for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JP2006036032A (ja) * 2004-07-27 2006-02-09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097612B1 (ko) * 2004-09-24 2011-12-22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 공조장치
EP1685990B1 (en) * 2005-02-01 2009-08-26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77940B1 (ko) * 2005-07-28 2012-08-2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4287848B2 (ja) * 2005-07-29 2009-07-01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調装置
KR20070064936A (ko) * 2005-12-19 2007-06-2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2007186066A (ja) * 2006-01-12 2007-07-2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7793706B2 (en) * 2006-02-23 2010-09-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VAC dual zone temperature control with slave rear zone
US8382563B2 (en) * 2007-11-08 2013-02-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zone control module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9202687A (ja) * 2008-02-27 2009-09-10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8689860B2 (en) * 2009-07-10 2014-04-08 Keihin Corporatio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8376037B2 (en) * 2009-07-10 2013-02-19 Keihin Corporatio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performed thereby
US8633424B2 (en) * 2010-11-24 2014-01-21 Cnh America Llc Disengaging pressurizer blower in max heat setting to improve cabin heating
US20120252340A1 (en) * 2011-03-30 2012-10-0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5631809B2 (ja) * 2011-05-20 2014-11-2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KR20120138928A (ko) 2011-06-16 2012-12-2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5724768B2 (ja) * 2011-09-03 2015-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20130064393A (ko) * 2011-12-08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기토출 시스템
US8839632B2 (en) * 2012-03-09 2014-09-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ontrol strategy for a zonal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JP5949677B2 (ja) * 2013-06-14 2016-07-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652A (ja) * 1995-10-18 1997-04-28 Zexel Corp デュアルタイプ車両用空調装置のエアミックスドア制御装置
US20030102120A1 (en) * 2001-11-30 2003-06-05 Henry Jamie Jarett Temperature control strategy for a rear control system
KR20100094717A (ko) * 2009-02-19 2010-08-2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KR20120062386A (ko) * 2010-12-06 2012-06-14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138113A (ko) * 2011-06-14 2012-12-24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0301T5 (de) 2015-09-03
US20160152110A1 (en) 2016-06-02
CN104918809A (zh) 2015-09-16
US9919576B2 (en) 2018-03-20
CN104918809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2619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00420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3048107A2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406988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819054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6099080A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010327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8221975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386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004587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32181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4007303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46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8391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75824U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658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1107582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10333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81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0138955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5045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09484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WO2020235922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6089094A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378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4000301

Country of ref document: DE

Ref document number: 1120140003018

Country of ref document: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0888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378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