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865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865A
KR20200134865A KR1020190060996A KR20190060996A KR20200134865A KR 20200134865 A KR20200134865 A KR 20200134865A KR 1020190060996 A KR1020190060996 A KR 1020190060996A KR 20190060996 A KR20190060996 A KR 20190060996A KR 20200134865 A KR20200134865 A KR 20200134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rear seat
door
temp 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서용은
이태건
김명준
이종곤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865A/ko
Priority to DE112020002521.7T priority patent/DE112020002521T5/de
Priority to US17/440,910 priority patent/US20220153083A1/en
Priority to CN202080031550.3A priority patent/CN113748033A/zh
Priority to PCT/KR2020/005877 priority patent/WO2020242073A1/ko
Publication of KR2020013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85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door being a rotating disc or cylinder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전석 냉풍통로와 온풍통로 일부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 템프도어;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와 가열용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고 온풍통로의 다른 일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후석 템프도어; 및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며,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후석 템프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비대칭 돔(Dome)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석 측 공조와 더불어 후석 측 공조를 함께 수행하기 위해 후석 측으로 공조풍을 보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이다.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차량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환기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84718호(2015.01.14)에는 후석 온도조절도어와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 및 후석 온오프도어의 위치를 제어하여 후석 풍량을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와, 증발기(20) 및 히터코어(30)와, 전석 온도조절도어(51) 및 전석 모드도어를 포함한다.
공조케이스(10)는 공기유입구(11)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1) 측에 송풍장치가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공조케이스(10) 내부 공기통로로 유입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2), 전석 페이스 벤트(13), 플로어 벤트(114), 후석 페이스 벤트(15) 및 후석 플로어 벤트(16)로 구성된다. 공조케이스(10) 내부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로 구성된다.
증발기(20)는 냉방용 열교환기로서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히터코어(30)는 난방용 열교환기로서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히터코어(3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20)의 하류 측인 온풍통로(P2)에 배치된다. 온풍통로(P2)에는 PTC히터 등의 전기식 히터(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석 온도조절도어(51)는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코어(30)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와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P3)의 개도를 조절한다. 전석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도어(53), 벤트 도어(54) 및 플로어 도어(55)로 구성된다.
후석 공기통로는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는 후석 냉풍통로(P3)와 히터코어(30)를 통과하는 온풍통로로 구성된다. 이 후석 공기통로의 온풍통로는 전석 공기통로의 온풍통로(P2)와 함께 사용된다. 즉, 히터코어(30)를 통과하여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부로 이동하여 디프로스트 벤트(12), 전석 페이스 벤트(13), 플로어 벤트(114)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공기의 다른 일부는 하부로 이동하여 후석 페이스 벤트(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6)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후석 공기통로에는 후석 페이스 벤트(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6)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58)가 구비된다.
공조케이스(10) 내에는 후석 온도조절도어(52)와,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56)와, 후석 온오프도어(57)가 구비된다. 후석 온도조절도어(52)는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구비되어 온풍통로(P2)로 유동하는 통로와 후석 냉풍통로(P3)로 유동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5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30)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의 개도를 조절한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후석 냉방 모드 시, 전석 온도조절도어(51)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전석 냉풍통로(P1)를 개방하며, 후석 온도조절도어(52)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56)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를 폐쇄하고,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증발기(20)를 통과하며 차가워진 공기는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여 일부는 전석 냉풍통로(P1)를 지나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후석 냉풍통로(P3)를 지나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전후석 난방 모드 시, 전석 온도조절도어(51)는 전석 냉풍통로(P1)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하며, 후석 온도조절도어(52)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한다.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56)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를 개방하고,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한다.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코어(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일부는 상부로 이동하여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하부로 이동하여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후석 온도조절도어(52)와 후석 온오프도어(57)의 위치에 따라 후석의 공조 온/오프를 제어하며, 후석 모드도어(58)는 후석 모드 조절에만 이용한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후석의 공조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2개의 온도조절도어(52,56), 1개의 온오프도어(57), 1개의 모드도어(58)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온풍 유로가 길어질 경우 공조장치의 사이즈도 함께 커져야 하고, 열교환기와 도어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온도조절도어가 냉풍과 온풍이 믹싱되는 온도 조절 영역의 위치에 있을 때 불가피하게 저항으로 작용하여 공기 유동을 방해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84718호(2015.01.1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공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다양한 공조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며 각 모드별 도어의 제어를 최적화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온풍 유로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공조장치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열교환기와 도어 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온도조절도어가 냉풍과 온풍이 믹싱되는 온도 조절 영역의 위치에 있을 때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전석 냉풍통로와 온풍통로 일부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 템프도어;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와 가열용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고 온풍통로의 다른 일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후석 템프도어; 및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며,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후석 템프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비대칭 돔(Dome)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제2 후석 템프도어는 냉풍통로의 반경길이 대비 온풍통로의 반경길이가 짧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2 후석 템프도어의 돔은 서로 다른 2개의 곡률을 가지는 면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2 후석 템프도어는 공조케이스의 격벽과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 곡률면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제2 후석 템프도어는 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가 최대 냉방 모드로 회전된 상태에서 공조케이스의 격벽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2 곡률면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공조케이스의 격벽은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2 후석 템프도어는: 온풍통로 반경면에 인접하며, 도어축을 중심으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제1 곡률면; 및 냉풍통로 반경면에 인접하며, 도어축을 중심으로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는 제2 곡률면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제2 후석 템프도어는 온풍통로 반경면과 접하는 곡률면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 직선구간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1 곡률면과 제2 곡률면은 변곡점을 기준으로 역전 곡면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2 후석 템프도어는 돔 내측에 도어축의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강성 보강 리브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가열용 열교환기는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가열용 열교환기는 히터코어와 상기 히터코어의 하류에 배치되는 전열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전열히터의 하단에 인접 배치된다.
상기에서, 제2 후석 템프도어의 하류에 배치되고 후석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후석 템프도어 및 제2 후석 템프도어를 이용하여 후석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후석 모드도어를 이용하여 후석 공기통로의 On(개방) 및 Off(폐쇄)를 제어한다.
상기에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의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는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의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상기에서, 최대 냉방(Max Cool) 조건인 경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의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를 폐쇄하고, 최대 난방(Max Warm) 조건인 경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후석 냉풍통로를 폐쇄하며, 믹싱(Mixing)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의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2개의 템프도어와 1개의 모드도어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수를 줄이면서 후석 공조 제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어 3존 공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개수를 줄여 제조 원가를 낮추고 공조장치의 하중과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온풍 유로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공조장치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아 공조장치의 컴펙트한 다자인이 가능하고, 열교환기와 도어 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원활한 도어의 작동이 가능하며, 온도조절도어가 냉풍과 온풍이 믹싱되는 온도 조절 영역의 위치에 있을 때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아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후석 템프도어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후석 템프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플로어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바이레벨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석 최대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석 최대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조케이스(110)는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11) 측에 송풍장치가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공조케이스(110) 내부 공기통로로 유입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12), 전석 페이스 벤트(113) 및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이루어진 전석 공기토출구와, 콘솔 벤트(115) 및 후석 플로어 벤트(116)로 이루어진 후석 공기토출구로 구성된다.
냉각용 열교환기는 증발기(120)로 구성된다. 증발기(120)의 내부에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1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되어 공기는 냉각된다. 가열용 열교환기는 히터코어(130)로 구성된다. 히터코어(130)의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와 히터코어(1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되어 공기는 가열된다. 히터코어(13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20)의 하류 측인 온풍통로(P2)에 배치된다. 히터코어(130)의 하류에는 PTC히터 등의 전열히터(140)가 더 구비된다.
공조케이스(110) 내부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로 구성된다. 증발기(120)의 하류측에서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 3가지로 구성된다.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는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로 구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온풍통로(P2)가 전석 냉풍통로(P1)와 후석 냉풍통로(P3)의 사이에 배치된다.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온풍통로(P2)의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전석 냉풍통로(P1)와 후석 냉풍통로(P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거나, 증발기(120)를 통과한 후 온풍통로(P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거나, 온풍통로(P2)의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공기가 전석 냉풍통로(P1) 또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어 실내로 토출된다.
전석 냉풍통로(P1)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후석 냉풍통로(P3)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온풍통로(P2)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통과하여 차량 전석 또는 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공조케이스(110)에는 챠랑 전석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전석 공기토출구가 마련되며, 전석 공기토출구는 전석 모드도어에 의해 그 개도가 제어된다. 전석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153), 전석 페이스 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154) 및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155)로 구성된다. 아울러, 공조케이스(110)에는 차량 후석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후석 공기토출구가 마련되며, 후석 공기토출구는 후석 모드도어(158)에 의해 그 개도가 제어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석 템프도어(171)를 구비한다. 전석 템프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 일부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전석 템프도어(171)는 증발기(120)에 인접한 하류 부위로서 전석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가 갈라지는 경계 부위에 위치한다. 전석 템프도어(171)는 구동축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판 부재가 형성된 테일 도어(Tail door)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석 템프도어(171)는 회전축과, 제1 도어부 및 제2 도어부로 구성된다. 전석 템프도어(171)의 회전축은 온풍통로(P2)의 출구측 하단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제1 도어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의 입구 중 상부 일부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2 도어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측에 형성되어 온풍통로(P2) 중 전석측 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한편, 공조케이스(110)에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 및 온풍 바이패스 도어(1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온풍 바이패스 통로 및 온풍 바이패스 도어(117)는 온풍통로(P2)와 전석 플로어 벤트(114)를 향하는 통로의 사이를 구획하는 벽부재에 형성된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117)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한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117)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면,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한 온풍은 바로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전석 플로어 벤트(11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방 운전석, 전방 조수석 및 후석(후방 좌석)의 독립된 3존(3 Zone)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후석의 온도 제어를 3개의 도어로 구현한다. 즉,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1 후석 템프도어(172), 제2 후석 템프도어(200) 및 후석 모드도어(158)를 구비한다.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온풍통로(P2)의 다른 일부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온풍통로(P2)의 입구 중 전석 템프도어(171)가 커버하지 않는 온풍통로(P2)의 입구 하부 일부의 개도를 조절한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후석 템프도어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후석 템프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히터코어(130)의 하류에 배치되며,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돔(240: Dome)을 구비하여 돔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는 연통되게 구성된다.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간의 연통로에 배치된다. 즉,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상기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간의 연통로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 모드도어(158)는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하류에 배치되고, 후석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 모드도어(158)는 돔(Dome) 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후석 모드도어(158)는 후석 공기통로, 콘솔 벤트(115), 후석 플로어 벤트(116)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후석 모드도어(158)는 도 4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최대 회전되어 후석 공기통로를 폐쇄하거나,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어 후석 플로어 벤트(116)를 폐쇄하고 콘솔 벤트(115)를 개방하거나, 시계 방향으로 최대 회전되어 콘솔 벤트(115)를 폐쇄하고 후석 플로어 벤트(116)를 개방하거나, 콘솔 벤트(1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16) 사이 중간에 위치하여 두 벤트 모드를 개방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1 후석 템프도어(172) 및 제2 후석 템프도어(200)를 이용하여 후석의 온도 제어를 수행한다. 아울러, 후석 모드도어(158)를 이용하여 후석 공기통로의 On(개방) 및 Off(폐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2개의 템프도어와 1개의 모드도어를 이용하여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도어의 개수를 줄이면서 후석 공조 제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어 3존 공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개수를 줄여 제조 원가를 낮추고 공조장치의 하중과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후석 모드도어(158)가 후석 공기통로를 Off(폐쇄)하는 조건인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의 위치를 전석 조건에 따라 변경시킨다. 상세하게는, 후석 모드도어(158)가 후석 공기통로를 Off(폐쇄)할 때, 전석 템프도어(171)가 전석의 최대 냉방(Max Cool) 조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후석의 최대 냉방(Max Cool) 상태로 위치한다.
또한, 후석 모드도어(158)가 후석 공기통로를 Off(폐쇄)할 때, 전석 템프도어(171)가 전석의 최대 냉방 조건이 아닌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후석의 최대 난방(Max Warm) 상태로 위치한다. 이 경우, 전석 템프도어(171)가 전석의 최대 냉방 조건이 아닌 경우는 전석 템프도어(171)가 전석 최대 난방(Max Warm) 상태이거나 믹싱(Mixing)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후석 템프도어(172)의 위치를 전석 조건에 따라 변경시키는 구성을 통해, 공기가 모두 온풍통로(P2)로 유동하도록 안내되어 전석에서의 히터코어(130)의 성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어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돔(Dome) 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최대 냉방(Max Cool) 조건인 경우 온풍통로(P2)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으며, 최대 난방(Max Warm) 조건인 경우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30) 사이를 구획하는 위치에 있다.
즉,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전석 템프도어(171)가 전석의 최대 냉방 조건이 아닌 경우, 돔(Dome) 내측이 공기를 온풍통로(P2)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선형의 돔 내측면이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를 온풍통로(P2)의 히터코어(130) 측으로 더욱 원활히 안내할 수 있다.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항시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후석 냉풍통로(P3)의 온(On)/오프(Off)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전술한 것처럼 온풍통로(P2)의 개폐 기능과 공기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여 히터코어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후석 냉풍통로(P3)의 온/오프 기능은 후석 모드도어(158)가 수행하여 도어의 개수를 줄이면서 후석 공조의 온/오프 제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후석 템프도어(172)와 제2 후석 템프도어(158)를 조절하여 후석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최대 냉방(Max Cool) 조건인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며,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간의 연통로를 폐쇄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최대 난방(Max Warm) 조건인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의 돔(Dome) 내측이 공기를 온풍통로(P2)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위치하며,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하도록 위치한다. 아울러, 믹싱(Mixing) 모드인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의 돔(Dome) 내측이 공기를 온풍통로(P2)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위치하며,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간의 연통로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에 위치한다.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돔(240)은 비대칭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냉풍통로의 반경길이(b) 대비 온풍통로의 반경길이(a)가 짧게 구성된다.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전열히터(140)의 하단에 인접 배치된다. 냉풍통로의 반경길이(b)는 후석 냉풍통로(P3)에 대응되는 면인 냉풍통로 반경면(202)의 길이로서, 도어축(230) 중심으로부터 도어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이다. 온풍통로의 반경길이(a)는 온풍통로(P2)에 대응되는 면인 온풍통로 반경면(201)의 길이로서, 도어축(230) 중심으로부터 도어 타측 단부까지의 거리이다.
이와 같이, 히터코어(130)와 전열히터(140)가 나란히 배치되어 가열용 열교환기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히터코어(130)와 전열히터(140)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온풍통로(P2)는 불가피하게 길어질 수밖에 없고, 온풍통로(P2)가 길어지면 컴펙트한 공조장치 패키지를 구현할 수 없다. 히터코어(130)와 전열히터(140)의 두께를 축소하는 것은 공조 성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작동 범위를 축소하여 컴펙트한 공조장치 패키지를 구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냉풍통로의 반경길이(b) 대비 온풍통로의 반경길이(a)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작동 궤적과 전열히터(140)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점선과 같이 온풍통로 반경면(201)의 길이가 길 경우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회전시 전열히터(140)와 간섭을 일으키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온풍통로 반경면(201)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회전시 전열히터(140)와 간섭되지 않는다.
아울러,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냉풍통로의 반경길이(b) 대비 온풍통로의 반경길이(a)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제2 후석 템프도어(200)가 온도조절영역(믹싱 모드 또는 바이레벨 모드)에 있을 때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에 방해를 주지 않아 풍량의 저하를 방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점선과 같이 온풍통로 반경면(201)의 길이가 길 경우 전열히터(140)를 통과한 온풍을 막아 저항이 증가하여 풍량이 저하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온풍통로 반경면(201)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 전열히터(14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에 방해를 주지 않이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2 후석 템프도어의 더욱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돔(240)은 서로 다른 2개의 곡률을 가지는 면으로 구성된다. 한편, 공조케이스(110)는 격벽(119)을 구비한다. 격벽(119)은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의 하단에서 대략 차량 후방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를 구획한다. 격벽(119)에는 좌,우측 공조케이스의 조립을 위한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제1 곡률면(210) 및 제2 곡률면(220)을 구비한다.
제1 곡률면(210)은 온풍통로 반경면(201)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도어축(230)을 중심으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한다. 제1 곡률면(210)은 공조케이스의 격벽(119)과의 갭(g)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제2 후석 템프도어(200)가 작동할 경우, 제1 곡률면(210)이 격벽(119)과 돔(240) 사이의 갭(g)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격벽(119)과 돔(240) 사이의 갭(g)을 통해 냉풍이 리크(Leak)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후석 온도 제어에 유리하다. 특히, 제2 후석 템프도어(200)가 냉풍과 온풍이 혼합되는 믹싱 모드 구간에서 격벽(119)과 돔(240) 사이의 갭(g)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후석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정확해지며 제2 후석 템프도어의 에포트(Effort)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곡률면(220)은 냉풍통로 반경면(202)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도어축(230)을 중심으로 오목한 곡률을 형성한다. 제2 곡률면(220)은 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고 제2 후석 템프도어(200)가 최대 냉방 모드로 회전된 상태에서 공조케이스의 격벽(119)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공조케이스의 격벽(119)은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곡률면(220)은 제2 후석 템프도어(200)가 시계 방향으로 최대 회전되었을 때(최대 냉방 모드로 회전되었을 때) 라운드진 격벽(119)의 표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제2 곡률면(220)은 제1 곡률면(210)과 다른 2차 곡률을 형성한다. 즉, 제1 곡률면(210)은 도어축(230)을 중심으로 볼록한 곡률로 연장되며, 변곡점(215)을 기준으로 제2 곡률면(220)은 도어축(230)을 중심으로 오목한 곡률로 연장된다.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양측에는 격벽(119)과의 씰링을 위한 러버부재(251)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곡률면(210)과 제2 곡률면(220)은 변곡점(215)을 기준으로 역전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돔(240)이 변곡점(215)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서로 다른 곡률을 형성하게 되어, 원활한 도어의 작동이 가능하며 공조장치의 패키지 축소가 가능하여 컴펙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돔(240)은 직선구간(211)을 구비할 수 있다. 직선구간(211)은 온풍통로 반경면(201)과 접하는 곡률면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곡률면(210)과 온풍통로 반경면(201) 연결되는 부위는 직선구간(211)으로 형성할 수 있다. 직선구간(211)은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성형 시 금형틀을 빼기 용이하도록 하여 성형을 용이하게 하며, 냉풍통로 반경면(202)에 비해 온풍통로 반경면(201)을 짧게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즉, 직선구간(211)은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단축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강성 보강 리브(270)를 구비한다. 강성 보강 리브(270)는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돔(240) 내측에 배치되며, 도어축(230)의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다. 강성 보강 리브(270)는 도어축(230)의 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된다. 강성 보강 리브(270)는 돔(240)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비대칭 돔 형상의 제2 후석 템프도어(200)의 부족한 강도를 효과적으로 보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일부가 전석 냉풍통로(P1)를 통해 전석 페이스 벤트(113)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통해 콘솔 벤트(115)로 토출된다.
이 경우, 전석 템프도어(171) 및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모두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있고,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를 폐쇄하고 있다. 아울러, 후석 모드도어(158)는 후석 플로어벤트(116)를 폐쇄하며 콘솔 벤트(115)를 개방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플로어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모두 온풍통로(P2)로 유동되어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한 후, 일부는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를 통해 후석 플로어 벤트(116)로 토출된다.
이 경우, 전석 템프도어(171) 및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모두 온풍통로(P2)를 개방하고 있고,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하며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후석 모드도어(158)는 콘솔 벤트(115)를 폐쇄하며 후석 플로어벤트(116)를 개방한다. 아울러, 온풍 바이패스 도어(117)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여,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후석 바이레벨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석은 도 11과 같이 전석 플로어 모드로 구현하거나 전석 페이스 벤트(113)를 일부 개방하여 바이레벨 모드로 구현할 수 있다.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중 일부는 온풍통로(P2)로 유동되어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한 후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를 지나 후석 공기통로로 유동하며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중 다른 일부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통해 온풍통로(P2)를 지나 가열된 공기와 믹싱된다. 믹싱된 공기는 콘솔 벤트(1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16)로 토출된다.
이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온풍통로(P2)를 개방하고 있고,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후석 냉풍통로(P3)와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를 모두 개방하도록 중간에 위치하여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후석 모드도어(158)는 콘솔 벤트(1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16) 중간에 위치하여 바이레벨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온풍 바이패스 도어(117)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여,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석 최대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모두 전석 냉풍통로(P1)를 통해 전석 페이스 벤트(113)로 토출된다. 이 경우, 전석 템프도어(171) 및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모두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있고,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를 폐쇄하고 있다. 아울러, 후석 모드도어(158)는 후석 공기통로를 폐쇄하여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모두 전석 냉풍통로(P1)로 유동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석 최대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모두 온풍통로(P2)로 유동되어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한 후, 모두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토출된다.
이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온풍통로(P2)를 개방하고 있다. 전석 템프도어(171)는 도 14의 점선과 같이 온풍통로(P2)를 완전히 개방한다. 제2 후석 템프도어(200)는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를 폐쇄하고 있다. 아울러, 후석 모드도어(158)는 후석 공기통로를 폐쇄한다. 또한, 온풍 바이패스 도어(117)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여,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토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
113: 전석 페이스 벤트 114: 전석 플로어 벤트
115: 콘솔 벤트 116: 후석 플로어 벤트
117: 온풍 바이패스 도어 120: 증발기
130: 히터코어 140: 전열히터
153: 디프로스트 도어 154: 벤트 도어
155: 플로어 도어 158: 후석 모드도어
171: 전석 템프도어 172: 제1 후석 템프도어
200: 제2 후석 템프도어 P1: 전석 냉풍통로
P2: 온풍통로 P3: 후석 냉풍통로
201: 온풍통로 반경면 202: 냉풍통로 반경면
210: 제1 곡률면 220: 제2 곡률면
211: 직선구간 215: 변곡점
230: 도어축 240: 돔
251: 러버부재 270: 강성 보강 리브

Claims (15)

  1.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전석 냉풍통로와 온풍통로 일부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 템프도어;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와 가열용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고 온풍통로의 다른 일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후석 템프도어; 및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며,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후석 템프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비대칭 돔(Dome)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냉풍통로의 반경길이 대비 온풍통로의 반경길이가 짧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의 돔은 서로 다른 2개의 곡률을 가지는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공조케이스의 격벽과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 곡률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가 최대 냉방 모드로 회전된 상태에서 공조케이스의 격벽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2 곡률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격벽은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온풍통로 반경면에 인접하며, 도어축을 중심으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제1 곡률면; 및
    냉풍통로 반경면에 인접하며, 도어축을 중심으로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는 제2 곡률면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온풍통로 반경면과 접하는 곡률면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 직선구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면과 제2 곡률면은 변곡점을 기준으로 역전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돔 내측에 도어축의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강성 보강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는 히터코어와 상기 히터코어의 하류에 배치되는 전열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전열히터의 하단에 인접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의 하류에 배치되고 후석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후석 템프도어 및 제2 후석 템프도어를 이용하여 후석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후석 모드도어를 이용하여 후석 공기통로의 On(개방) 및 Off(폐쇄)를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의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는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의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최대 냉방(Max Cool) 조건인 경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의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를 폐쇄하고,
    최대 난방(Max Warm) 조건인 경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후석 냉풍통로를 폐쇄하며,
    믹싱(Mixing)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후석 템프도어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의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간의 연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90060996A 2019-05-24 2019-05-24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134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96A KR20200134865A (ko) 2019-05-24 2019-05-24 차량용 공조장치
DE112020002521.7T DE112020002521T5 (de) 2019-05-24 2020-05-04 Klimagerät für fahrzeuge
US17/440,910 US20220153083A1 (en) 2019-05-24 2020-05-04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02080031550.3A CN113748033A (zh) 2019-05-24 2020-05-04 车用空调
PCT/KR2020/005877 WO2020242073A1 (ko) 2019-05-24 2020-05-04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96A KR20200134865A (ko) 2019-05-24 2019-05-2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865A true KR20200134865A (ko) 2020-12-02

Family

ID=7355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996A KR20200134865A (ko) 2019-05-24 2019-05-2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53083A1 (ko)
KR (1) KR20200134865A (ko)
CN (1) CN113748033A (ko)
DE (1) DE112020002521T5 (ko)
WO (1) WO202024207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718B1 (ko) 2012-05-07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7393B1 (fr) * 1998-12-22 2001-03-30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a mixage d'air ameliore
US6319112B2 (en) * 1999-12-07 2001-11-20 Behr Gmbh & Co. Air flap for a ventilation, heating or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JP2002052916A (ja) * 2000-08-08 2002-02-19 Sanden Corp 車両用空調装置
FR2814986B1 (fr) * 2000-10-11 2003-02-07 Valeo Climatisation Installation de climatisation de vehicule a deux zones de mixage
JP4524939B2 (ja) * 2001-03-09 2010-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通路開閉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3841063B2 (ja) * 2003-04-25 2006-11-01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通路開閉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4356440B2 (ja) * 2003-12-12 2009-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PL1634735T3 (pl) * 2004-09-10 2008-06-30 Behr France Rouffach Sas Modułowy klimatyzator samochodowy
JP4569439B2 (ja) * 2005-10-07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100756086B1 (ko) * 2005-12-02 2007-09-05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차량용 공기조화기
JP4525614B2 (ja) * 2006-03-01 2010-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7575511B2 (en) * 2006-11-07 2009-08-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door for a vehicle an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80041882A (ko) * 2006-11-08 2008-05-1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US8226068B2 (en) * 2009-03-06 2012-07-24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Variable gap between HVAC door and sealing surfaces
KR101453366B1 (ko) * 2012-05-07 2014-10-2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US9180752B2 (en) * 2012-10-09 2015-11-1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Rotary mode door for constant demist bleed
US9476520B2 (en) * 2013-03-14 2016-10-25 Hanon Systems HVAC door with intersecting surface configurations
WO2015026198A1 (ko) * 2013-08-22 2015-02-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501382B (zh) * 2014-12-19 2018-04-1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风门结构
US20170297413A9 (en) * 2015-03-25 2017-10-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utomotive hvac system
US10328768B2 (en) * 2016-01-28 2019-06-25 Hanon Systems Temperature door for HVAC to facilitate blending
KR20180057139A (ko) * 2016-11-22 2018-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vac 모듈의 후석용 에어 조절 장치
CN110678338B (zh) * 2017-06-02 2023-03-10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用空调
KR20180132214A (ko) * 2017-06-02 2018-12-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44893A (ko) * 2017-10-23 2019-05-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US11541716B2 (en) * 2018-08-30 2023-01-03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52122B1 (ko) * 2018-08-30 2023-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718B1 (ko) 2012-05-07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48033A (zh) 2021-12-03
DE112020002521T5 (de) 2022-03-10
US20220153083A1 (en) 2022-05-19
WO2020242073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78338B (zh) 车用空调
KR10231900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4003127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626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34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35184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104059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745077B1 (ko) 2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20013486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5622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68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80172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230054052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20100023185A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210044979A (ko) 후석 토출구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5050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5008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5047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3076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1379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260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154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127663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