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882A -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882A
KR20080041882A KR1020060110049A KR20060110049A KR20080041882A KR 20080041882 A KR20080041882 A KR 20080041882A KR 1020060110049 A KR1020060110049 A KR 1020060110049A KR 20060110049 A KR20060110049 A KR 20060110049A KR 20080041882 A KR20080041882 A KR 2008004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body
air conditioner
body member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철
강성호
서용은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882A/ko
Publication of KR2008004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조장치용 도어의 도어 본체부재 두께를 최소화 하면서도 일정강도를 유지하고, 공조과정에서 냄새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의 양측에 도어 본체부재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도어 본체부재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본체부재의 둘레에는 탄성재의 실링재를 일체로 성형한 차량용 공조장치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공조장치에 설치되어 송풍로를 개폐,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의 양측에 도어 본체부재(20)가 각각 형성된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부재(20)는 곡면(W)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본체부재(20)의 둘레에는 탄성재의 실링재(30)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각각의 도어 본체부재(20)는, 상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180ㅀ 회전시 상호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회전축, 도어 본체부재, 곡면, 실링재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Door for air conditioning device in vehicle}
도 1은 종래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용 도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용 도어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전축
20: 도어 본체부재
21: 강도 보강용 리브
W: 곡면
30: 실링재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장치 용 도어의 도어 본체부재 두께를 최소화 하면서도 일정강도를 유지하고, 공조과정에서 냄새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의 양측에 도어 본체부재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도어 본체부재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본체부재의 둘레에는 탄성재의 실링재를 일체로 성형한 차량용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송풍기가 송풍하는 공기가 공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와 히터코어를 거치면서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냉매 또는 히터코어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와 선택적으로 열교환하여 냉기 또는 온기로 바뀐 다음 그 냉기 또는 온기가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의 냉난방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의 출구단에 차례로 설치되고 각각 도어(4,5,6)에 의하여 개폐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a), 페이스 벤트(1b) 및 플로어 벤트(1c)를 가지는 공조케이스(1)와, 상기 공조케이스(1)의 도입구(i)측에 내장되는 증발기(2)와, 상기 증발기(2)의 후방에 설치되는 히터(3)와, 상기 공조케이스(1) 중 증발기(2) 및 히터(3)의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3)쪽의 온기로(H) 또는 히터(3) 상부측 냉기로(C)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송풍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도어(4,5,6) 및 온도조절도어(7)를 이하에는 공기조화용 도어로 통칭하며, 상기 공기조화용 도어의 종류에는 일측에 회전축이 형성된 플랫도어 뿐만 아니라 공간의 컴팩트화에 따라 중앙에 회전축이 있는 센터 피봇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센터 피봇 도어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용 도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d)는, 센터 피봇 도어를 나타내고 있으며, 공조장치의 모드도어 및 온도조절도어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공조장치용 도어(d)는, 중앙에 회전축(8)을 중심으로 반지름 방향의 좌,우측에 평판형태의 도어 본체부재(8a)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본체부재(8a)의 전,후면에는 강도 보강용 리브(8b)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본체부재(8a)의 단부에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seal)(8c)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용 도어(d)의 도어 본체부재(8a)의 최소 두께는 2,5mm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공조장치용 도어(d)는 공조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된 작동캠(미도시)에 상기 회전축(8)이 결합되어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의 모드를 변경함으로서, 회전축(8)을 중심으로 도어 본체부재(8a)가 회전되어 토출구 등을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최근의 차량의 공조장치는 공간의 컴팩트화를 위해 도어의 도어 본체부재(8a) 두께 등을 최소화하여 도어의 부피를 감소시켜 유동되는 풍량을 증대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조장치용 도어(d)는 도어 본체부재(8a)의 두께를 2,5mmm 이하로 낮추게 되면 원하는 강도가 나오지 않고,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조장치용 도어(d)는 도어 본체부재(8a)의 전,후면에 시일(8c)을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에 의해 공조 과정에서 냄새가 발생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고, 시일(8c) 부착에 따른 제조 공정수의 증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공조장치용 도어의 도어 본체부재 두께를 최소화 하면서도 일정강도를 유지하고, 공조과정에서 냄새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의 양측에 도어 본체부재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도어 본체부재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본체부재의 둘레에는 탄성재의 실링재를 일체로 성형한 차량용 공조장치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장치에 설치되어 송풍로를 개폐,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의 양측에 도어 본체부재가 각각 형성된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부재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본체부재의 둘레에는 탄성재의 실링재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각각의 도어 본체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ㅀ 회전시 상호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곡면의 높이는, 상기 회전 축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곡면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부 측에는 상기 회전축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 강도 보강용 리브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링재는, 상기 곡면의 진행방향을 향해 연장성형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100)는, 공조장치에 설치되어 송풍로를 개폐,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의 양측에 도어 본체부재(20)가 각각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도어 본체부재(20)는 웨이브(wave)면(W)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본체부재(20)의 둘레에는 탄성재의 실링재(30)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즉, 종래의 도어 본체부재가 플레이트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곡면(W)으로 형성하였으며, 종래의 접착제에 의해 도어 본체부재에 부착되어진 시일(seal) 대신 곡면(W)에 일체로 탄성재의 실링재(30)를 사출 성형하도록 하여 냄새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실링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재(30)는, 상기 곡면(W)의 진행방향을 향해 연장성형되도로 도어 공조장치의 출구측을 폐쇄시킬 때 실링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본체부재(20)은, 상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180ㅀ 회전시 상호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곡면(W)의 높이(H)는 상기 회전축(10)의 직경(D)보다 작거나 같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가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곡면(W)의 두께는 1.5 ~ 2.0 mm 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소한의 강도를 유지하게 되며, 두께 감소로 인해 무게가 가벼워질 뿐만 아나라 이에 따라 원재료에 대한 원가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곡면(W)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부 측에는 상기 회전축(10)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 강도 보강용 리브(21)가 형성되어 도어 본체부재(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는 공조장치의 토출구의 모드도어, 탬프도어 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센터 피봇 도어로서, 공조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용 도어(100)는 회전축(10)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의 양측에 도어 본체부재(20)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도어 본체부재(20)는 곡면(W)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180ㅀ 회전시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져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에 풍량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개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곡면(W)의 둘레에는 탄성재의 실링재(30)가 일체로 성형되어 종래의 시일(seal)의 부착으로 발생되던 냄새를 방지하면서도 실링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의 양측에 도어 본체부재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도어 본체부재는 웨이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본체부재의 둘레에는 탄성재의 실링재를 일체로 성형하도록 함으로서, 공조장치용 도어의 도어 본체부재 두께를 최소화 하면서도 일정강도를 유지하고, 공조과정에서 냄새 등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공조장치용 도어의 도어 본체부재 두께를 최소화 함으로서, 무게가 가벼워짐과 아울러 이에 따라 원재료에 대한 원가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공조장치에 설치되어 송풍로를 개폐, 전환시키도록 형성되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의 양측에 도어 본체부재(20)가 각각 형성된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부재(20)는 곡면(W)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본체부재(20)의 둘레에는 탄성재의 실링재(30)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각각의 도어 본체부재(20)는, 상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180ㅀ 회전시 상호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W)의 높이는, 상기 회전 축(10)의 직경(D)보다 작거나 같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W)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부 측에는 상기 회전축(10)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 강도 보강용 리브(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30)는, 상기 곡면(W)의 진행방향을 향해 연장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20060110049A 2006-11-08 2006-11-08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080041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49A KR20080041882A (ko) 2006-11-08 2006-11-08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49A KR20080041882A (ko) 2006-11-08 2006-11-08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82A true KR20080041882A (ko) 2008-05-14

Family

ID=3964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049A KR20080041882A (ko) 2006-11-08 2006-11-08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88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518A (ko) * 2012-12-05 2014-06-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US20140261822A1 (en) * 2013-03-14 2014-09-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vac door with intersecting surface configurations
KR101492150B1 (ko) * 2008-08-21 2015-02-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511505B1 (ko) * 2008-11-05 2015-04-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CN113748033A (zh) * 2019-05-24 2021-12-03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用空调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50B1 (ko) * 2008-08-21 2015-02-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511505B1 (ko) * 2008-11-05 2015-04-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140072518A (ko) * 2012-12-05 2014-06-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US20140261822A1 (en) * 2013-03-14 2014-09-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vac door with intersecting surface configurations
KR20140113877A (ko) * 2013-03-14 2014-09-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교차하는 표면 구성들을 가지는 가열, 환기, 및 유체 컨디셔닝 도어
US9476520B2 (en) 2013-03-14 2016-10-25 Hanon Systems HVAC door with intersecting surface configurations
CN113748033A (zh) * 2019-05-24 2021-12-03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用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45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EP248953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672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41882A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2073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6786816B2 (en) Inside/outside air switching device for vehicular air conditioning unit
KR101319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80026687A1 (en) Passag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JP201313306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725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49724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45063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150025965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618193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
KR101492150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JP408942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14323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209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5552442U (zh) 用于车辆空调的吹足风道出风装置
KR201300668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66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1407166B (zh) 汽车空调门
KR10137511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090062025A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375117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