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086B1 - 차량용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086B1
KR100756086B1 KR1020050117114A KR20050117114A KR100756086B1 KR 100756086 B1 KR100756086 B1 KR 100756086B1 KR 1020050117114 A KR1020050117114 A KR 1020050117114A KR 20050117114 A KR20050117114 A KR 20050117114A KR 100756086 B1 KR100756086 B1 KR 100756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ir inlet
outside air
air condition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542A (ko
Inventor
김봉규
Original Assignee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08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54/00Ventilation
    • Y10S454/906Noise inhibi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기는, 내기 및 외기 도입구와, 상기 내기 및 외기 도입구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회동에 의해 상기 내기 및 외기 도입구가 개폐되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댐퍼의 내벽면은 상기 내기 및 외기 도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층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 내기 도입구 및 외기 도입구를 통하여 공기조화기로 공기 유입 시 댐퍼 내측에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막아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내외기, 댐퍼, 격벽, 유선형, 외기구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 for vehicle}
도 1은 차량용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차량용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 3c는 상기 댐퍼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댐퍼의 다른 실시예가 설치된 차량용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내기 도입구 30 : 외기 도입구
40 : 댐퍼 40a : 내벽면
40b : 외벽면 45 : 격벽
46 : 홈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내기 도입구 및 외기 도입구를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 현상을 막도록 내벽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외기 도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격벽이 외벽면에 형성된 댐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실내의 냉난방과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공조장치는 차량의 프런트에 구비된 공기조화기를 통해 내기 및 외기를 흡입하여 차 실내측으로 공급한다.
차량용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1과, 종래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댐퍼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종래 차량용 공기조화기는 차량의 외부와 연통되는 외기 도입구(2)와, 차량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기 도입구(3)와, 상기 외기 도입구(2)및 내기 도입구(3)를 선택적으로 회동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곡면 구조의 댐퍼(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댐퍼(4)는 내기 도입구(3)와 외기 도입구(2)의 입구 내측인 공기조화기 내부에 위치하여 별도의 액튜에이터(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5)과 지지대로 연결되어 구동축(5)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때, 댐퍼(4)는 구동축(5)의 말단부를 중심으로 외기 도입구(2)의 입구에서 내기 도입구(3)의 입구까지 원호를 그리며 회동함으로써, 도 2의 (a)와 같이 댐퍼(4)가 외기 도입구(2) 입구 측으로 이동하여 외기 도입구(2)를 폐쇄하면 내기 도입구(3)는 개방되고, 도 2의 (b)와 같이 댐퍼(4)가 내기 도입구(3) 입구 측으로 이동하여 내기 도입구(3)를 폐쇄하면 외기 도입구(2)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댐퍼(4)가 회동할 때 댐퍼가 외기 도입구(2) 및 내기 도입구(3)와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외기 도입구(2)와 내기 도입구(3)를 개폐하도록 외기 도입 구(2) 및 내기 도입구(3)의 입구는 댐퍼(4)의 곡면 외벽면 회동궤적과 동일한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댐퍼(4)의 회동이 원활하도록 댐퍼(4)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걸림턱(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내기 도입구(3) 및 외기 도입구(2)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7)에 의해 걸림턱(8)이 걸려 댐퍼(4) 회동을 가이드하게 되고, 댐퍼(4)의 양단 가장자리와 내기 도입구(3) 및 외기 도입구(2)의 입구 사이 틈새로 공기가 침입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댐퍼(4)는 내외벽면이 외기 도입구(2) 및 내기 도입구(3)측으로 돌출된 곡면형상으로 인하여 차량의 공조시스템을 위한 공기 유입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4) 내측의 공간에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차량 외부와 연통하는 외기 도입구(3)로부터 빗물 유입 시 물은 댐퍼(4)의 외벽면을 따라 댐퍼(4)와 외기 도입구(3)의 틈 사이로 흘러 차량 실내 및 공조장치로 유입된다.
이에 와류 발생으로 인한 공기 마찰소음이 발생되어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의 불쾌감을 주고, 물이 공조장치 및 차량 실내로 들어와 각 장치들의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기 도입구 및 외기 도입구를 통하여 공기조화기로 공기 유입 시 댐퍼 내측에 와 류가 발생되는 것을 막아 소음을 줄이는 차량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기 도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이 차량 실내 및 기타 장치들로 침입되는 것을 막는 차량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공기조화기는, 내기 및 외기 도입구와, 상기 내기 및 외기 도입구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회동에 의해 상기 내기 및 외기 도입구가 개폐되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댐퍼의 내벽면은 상기 내기 및 외기 도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층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댐퍼의 내벽면은 댐퍼의 내부로 만곡지게 돌출되거나, 두 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도록 돌출된다. 또한, 상기 댐퍼의 내벽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 3c는 상기 댐퍼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댐퍼(40)는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가 설치되는 케이스 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공기조화기 댐퍼와 같은 작동을 한다. 즉, 상기 댐퍼(40)는 차량의 내부와 연통된 내기 도입구(30) 및 차량의 외부와 연통된 외기 도입구(20)를 선택적으로 회동 개폐하도록 상기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의 입구 내측에 설치되며,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의 입구 반대방향으로 돌출한 내벽면(40a)과, 상기 내벽면(40a)과 대향하고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 방향인 외벽면(40b)에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댐퍼(40)는 내기 도입구(30)와 외기 도입구(20)의 입구 내측인 공기조화기 내부에 위치한 구동축(50)과 지지대로 연결되어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그 축(50)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에 댐퍼(40)는 구동축(50)의 말단부를 중심으로 외기 도입구(20)의 입구에서 내기 도입구(30)의 입구까지 원호를 그리며 회동함으로써, 도 4의 (a)와 같이 댐퍼(40)가 외기 도입구(20) 입구측으로 이동하여 외기 도입구(20)를 폐쇄하면 내기 도입구(30)가 개방되어 차량 내기가 유입하고, 도 4의 (b)와 같이 댐퍼(40)가 내기 도입구(30) 입구 측으로 이동하여 내기 도입구(30)를 폐쇄하면 외기 도입구(20)가 개방되어 차량 외기가 유입된다.
한편,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 및 외기는 댐퍼(40) 내측인 공기조화기 내부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곡면 형태의 댐퍼(40)로 인하여 그 내측 공간에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벽면(40a)은 종래의 내벽면보다 공기조화기 내부 측(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된 평면 또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댐퍼(40)의 내벽면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최대 돌출부를 중심으로 두 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더 상세하게는 두 개의 경사면 중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내벽면(40a)은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저항을 받지 않고 층류 유동을 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내기 도입구(30)가 폐쇄되어 외기 도입구(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외기 도입구(20)가 폐쇄되어 내기 도입구(3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공기조화기의 내부 조건에 따라 모두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내벽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5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외기 도입구(20) 및 내기 도입구(30) 위치에 따라 내벽면(40a)의 내기 도입구(30) 측과 외기 도입구(20) 측이 구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외기 도입구(30)를 통해 외부의 빗물이나 먼지 등이 침입하여 댐퍼(40)의 외측 표면에 도달하면 외기 도입구(30)와 댐퍼(40)의 틈 사이로 흘러 공기조화기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댐퍼(40)의 외벽면(40b)에는 바깥쪽 즉,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격벽(45)이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격벽(45) 돌출 높이만큼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46)이 마련된다. 상기 복수 개의 격벽(45)은 각 끝단을 연결한 면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격벽(45) 사이의 공간 즉, 홈(46)으로 유입된 물은 소량일 경우 자연 증발되며, 유입된 물이 소량 이상인 경우 홈(46) 내부에 모여진 빗물이나 먼지 등이 공기조화기 또는 차량의 외부로 내보내지도록 (도시하지 않은)안내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댐퍼(40)가 회동함에 따라 그 모양이 변하게 되므로 이에 격벽(45)과 그 내부의 홈(46)은 이에 유입된 물이 댐퍼(40)의 전환 시에도 갇혀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의 가장자리에는 댐퍼(40)의 회동을 제어하는 가이드(70)가 형성되는데,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 폐쇄 시 댐퍼(40)와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의 입구 측이 견고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70)와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패킹부재(80)가 댐퍼(40)의 모서리에 장착된다.
상기 패킹부재(80)는 탄성 형성되므로 댐퍼(40) 회동 시 패킹부재(80)는 상기 가이드(70)에 의해 일부 눌려지고, 내기 도입구(30) 및 외기 도입구(20)가 폐쇄되면 가이드(70)는 패킹부재(80)에 일부 삽입되므로 견고히 체결된다.
이와 같이 외기 도입구(20) 및 내기 도입구(3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댐퍼(40)의 유선형 내벽면(40a)을 따라 층류 유동을 하므로 와류로 인한 공기 마찰 및 소음이 제거된다. 또한 외기 도입구(20)로부터 빗물 유입 시 물은 댐퍼(40)의 외벽면을 따라 댐퍼(40)와 외기 도입구(20)의 틈 사이로 흐르지 않고, 다수의 홈(46) 내부에 갇히게 된다.
댐퍼(40)의 내벽면(40a)과 격벽(45)은 도 3a와 같이 하나의 댐퍼(40)에 동시에 구성되거나, 공기조화기 내측으로 돌출된 내벽면(40a)만 구성된 댐퍼(40)인 도 3b와, 외벽면(40b)에 격벽(45)만 구성된 댐퍼(40)인 도 3c와 같이 필요 목적에 따라 하나만을 채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기조화기는 내기 도입구 및 외기 도입구를 통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공기 유입 시 댐퍼 내측에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막아 공기 마찰로 인한 소음을 줄인다.
또한, 외기 도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이 차량 실내 및 기타 장치들로 침입되는 것을 막아 차량 실내로 물이 새지 않고, 수분으로 인한 기타 장치의 고장을 방지한다.

Claims (7)

  1. 내기 및 외기 도입구와;
    상기 내기 및 외기 도입구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회동에 의해 상기 내기 및 외기 도입구가 개폐되는 댐퍼;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댐퍼의 내벽면은 상기 내기 및 외기 도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층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댐퍼의 외벽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격벽이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격벽의 돌출 높이만큼 깊이를 갖는 복수의 홈이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격벽은 각 끝단을 연결한 면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내벽면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내벽면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최대 돌출부를 중심으로 두 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내벽면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모서리를 따라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내벽면을 이루는 두 개의 경사면 중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KR1020050117114A 2005-12-02 2005-12-02 차량용 공기조화기 KR100756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114A KR100756086B1 (ko) 2005-12-02 2005-12-02 차량용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114A KR100756086B1 (ko) 2005-12-02 2005-12-02 차량용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542A KR20070057542A (ko) 2007-06-07
KR100756086B1 true KR100756086B1 (ko) 2007-09-05

Family

ID=3835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114A KR100756086B1 (ko) 2005-12-02 2005-12-02 차량용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342A (ko) * 2016-01-28 2017-08-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융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hvac용 온도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631B1 (ko) * 2008-02-20 2014-10-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6139110B2 (ja) * 2012-11-15 2017-05-31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送風装置
US9854717B2 (en) 2013-09-23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arger cooling air source selection method
CN106696638A (zh) * 2016-11-29 2017-05-24 湖州朗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公交的独立出风口结构
KR20200134865A (ko) * 2019-05-24 2020-12-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345A (ja) * 1995-12-05 1997-06-1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1071737A (ja) 1999-09-08 2001-03-2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2029240A (ja) 2000-07-19 2002-01-29 Denso Corp 車両用内外気切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345A (ja) * 1995-12-05 1997-06-1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1071737A (ja) 1999-09-08 2001-03-2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2029240A (ja) 2000-07-19 2002-01-29 Denso Corp 車両用内外気切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342A (ko) * 2016-01-28 2017-08-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융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hvac용 온도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542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086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
KR10075078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4107334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6411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9572355A (zh) 具有嵌套轴的旋转轴组件
JPH06508900A (ja) 半径流ファン
WO2016136169A1 (ja) 通風装置
JP7259404B2 (ja) 粒子濃度検出装置
JP6349270B2 (ja) グリルシャッタ
KR20070066176A (ko) 2층류 공조장치의 인테이크부
KR101528579B1 (ko) 차량용 소음방지부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기
JPS60243441A (ja) ベンチレ−タの空気流遮断機構
JP7097244B2 (ja) 吹出し機構および送風装置
KR102030553B1 (ko) 개폐 및 바이패스가 가능한 전동댐퍼
KR102330702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20150124243A (ko) 자동차 공기 조화기용 내외기
CN109774637A (zh) 进气格栅装置
JP426927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78892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0375452B1 (ko) 버스용 에어컨 루버 구조
KR100422844B1 (ko) 4절 링크를 이용한 에어 벤트 댐퍼
KR101715157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CN109050212A (zh) 一种汽车鼓风机新风壳体组件
KR200365530Y1 (ko) 차량용송풍기의덕트조립체
KR20050104116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