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170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170B1
KR102641170B1 KR1020190087663A KR20190087663A KR102641170B1 KR 102641170 B1 KR102641170 B1 KR 102641170B1 KR 1020190087663 A KR1020190087663 A KR 1020190087663A KR 20190087663 A KR20190087663 A KR 20190087663A KR 102641170 B1 KR102641170 B1 KR 10264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external
inlet
air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879A (ko
Inventor
이승호
윤서준
이상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DE112019003730.7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19003730T5/de
Priority to US17/044,539 priority patent/US11938787B2/en
Priority to PCT/KR2019/009002 priority patent/WO2020022715A1/ko
Priority to CN201980028608.6A priority patent/CN112055667B/zh
Publication of KR2020001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41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near ventilating openings in the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조 내기도입부의 설치위치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되더라도 보조 내기도입부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을 구비하며, 인테이크 유닛은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도입구와, 내기를 도입하는 내기도입구와, 상기 외기도입구와 내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복수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내기를 보조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보조 내기도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는, 상기 내기도입구측의 내기를 일부 도입하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내기도입부의 설치위치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되더라도 보조 내기도입부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차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공조장치는, 차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을 구비한다.
인테이크 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되는 외기도입구(12)와 내기도입구(14) 및 상기 외기도입구(12)와 내기도입구(14) 사이에 설치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20)를 구비한다.
외기도입구(12)는, 차실외의 공기(이하, "외기"라 칭함)를 도입하고, 내기도입구(14)는 차실내의 공기(이하, "내기"라 칭함)를 도입한다.
인테이크 도어(20)는, 돔형(Dome Type)으로 구성되며, 공조케이스(10)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외기모드위치(A)"와 "내기모드위치(B)"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외기도입구(12) 또는 내기도입구(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인테이크 유닛은, 보조 외기도입부(30)를 더 구비한다. 보조 외기도입부(30)는, 보조 외기도입구(32)와 보조 외기도어(34)를 포함한다.
보조 외기도입구(32)는, 외기도입구(12)의 일측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격벽(36)을 사이에 두고 내,외기도입구(12, 14)와 구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기도입구(1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비교적 소량의 차실외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보조 외기도어(34)는, 플랫형(Flat Type)으로서, 공조케이스(10)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해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보조 외기도입부(30)는, 외기도입구(12)와는 별도로 "외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내기모드 시에, 외기도입구(12)가 인테이크 도어(20)에 의해 완전히 닫혀졌을 경우에도, 보조 외기도어(34)가 일부 외기도입모드로 제어되면서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소량의 "외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기도입구(12)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소량의 "외기"를 차실내로 도입하여 차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인테이크 유닛은, 보조 내기도입부(40)를 더 구비한다. 보조 내기도입부(40)는, 보조 내기도입구(42)와 보조 내기도어(44)를 포함한다.
보조 내기도입구(42)는, 보조 외기도입부(30)에 대응되는 공조케이스(10)부분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보조 외기도입부(30)의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보조 내기도입구(42)는 소량의 "내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내기"를 보조 외기도입부(30)에 대응되는 하류측의 에어필터(50)로 도입시킨다.
보조 내기도어(44)는, 플랩식(Flap Type)으로서, 공조케이스(10)의 내부압력에 따라 휨변형되면서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42)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내기도입부(40)는, 내기도입구(14)와는 별도로 "내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보조 외기도입부(30)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으로도 내기가 도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보조 외기도입부(30)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내기모드" 시에는,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32)가 모두 차단되어,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이 공기의 유동이 없는 사구간(Dead Area)으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구간의 에어필터(50) 일측부분(50a)에 내기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차실내의 공조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유닛이 차실내측에 설치될 시에는, 공조케이스(10)의 보조 내기도입부(40)가 차실내측에 위치하므로 내기의 도입에 지장이 없지만,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될 시에는, 공조케이스(10)의 보조 내기도입부(40)가 엔진룸측에 위치하므로 내기의 도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될 시에는, 보조 내기도입부(40) 구조를 채용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될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을 활용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특히, "내기모드" 시,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32)가 모두 차단된 상태에서,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을 활용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점 때문에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이 "사구간"으로 존재할 수 밖에 없고, 그 결과, 차실내의 공조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조 내기도입부의 설치위치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되더라도 보조 내기도입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되더라도 보조 내기도입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보조 내기도입부를 이용하여 에어필터의 일측부분에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보조 내기도입부를 이용하여 에어필터의 일측부분에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에어필터의 모든 부분을 사구간없이 활용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필터의 모든 부분을 사구간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공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을 구비하며, 상기 인테이크 유닛은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도입구와, 내기를 도입하는 내기도입구와, 상기 외기도입구와 내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복수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내기를 보조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보조 내기도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는, 상기 내기도입구측의 내기를 일부 도입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외기를 보조적으로 도입하는 보조 외기도입구와; 상기 내,외기도입구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를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는,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내기도입구의 내기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는, 상기 내기도입구측의 내기를 일부 도입하여,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보조 내기도입구와; 블로어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측 압력이, 상기 내기도입구측 압력보다 낮을 경우, 그 차압에 의해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에 설치되는 플랩식(Flap Type) 보조 내기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외기도입구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외기도입구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에어필터(Air Filt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는, 상기 내기도입구측의 내기를 일부 도입하여,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에 대응되는 상기 에어필터의 일측부분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보조 내기도입부가 내기도입구의 "내기"를 도입하는 구조이므로,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보조 내기도입부를 이용하여 에어필터의 일측부분에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보조 내기도입부를 이용하여 에어필터의 일측부분에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으므로,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에어필터의 모든 부분을 사구간없이 활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실내의 공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내기도입부가 내기도입구의 "내기"를 도입하는 구조이므로, 인테이크 유닛이 차실내측에 설치될 경우에도, "내기"를 도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테이크 유닛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에어필터의 일측부분으로 "내기"를 도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에어필터의 일측부분으로 "내기"를 도입할 수 있으므로, 인테이크 유닛이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차종과, 엔진룸측 설치되는 차종, 모두에 상기 인테이크 유닛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인테이크 유닛이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인테이크 유닛이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인테이크 유닛을 구비한다.
인테이크 유닛은, 외기도입구(12)와 내기도입구(14) 및, 인테이크 도어(20)를 포함한다.
외기도입구(12)는, 차실외와 연통되어 차실외의 공기를 도입하고, 내기도입구(14)는 덕트를 통해 차실내와 연통되어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한다.
인테이크 도어(20)는, "외기모드위치(A)"와 "내기모드위치(B)"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외기도입구(12) 또는 내기도입구(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인테이크 유닛은, 보조 외기도입부(3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 외기도입부(30)는, 보조 외기도입구(32)와 보조 외기도어(34)를 포함한다.
보조 외기도입구(32)는, 격벽(36)을 사이에 두고 내,외기도입구(12, 14)와 구획되고, 비교적 소량의 차실외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보조 외기도어(34)는,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해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보조 외기도입부(30)는, 외기도입구(12)와는 별도로 "외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내기모드 시에, 외기도입구(12)가 인테이크 도어(20)에 의해 완전히 닫혀졌을 경우, 보조 외기도어(34)가 일부 외기도입모드로 제어되면서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소량의 "외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인테이크 유닛이 차량의 엔진룸에 배치되며, 엔진룸에 배치되는 인테이크 유닛은, 보조 내기도입부(60)를 더 구비한다.
보조 내기도입부(60)는, 내,외기도입구(12, 14)와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구획하는 격벽(36)부분에 설치되며, 보조 내기도입구(62)와 보조 내기도어(64)를 포함한다.
보조 내기도입구(62)는, 내,외기도입구(12, 14)와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구획하는 격벽(36)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보조 내기도입구(62)는, 내기도입구(14)와 직접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내기도입구(62)는, 내기도입구(14)로 유입된 "내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내기모드" 시,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32)가 모두 차단된 상태에서, 내기도입구(14)로 유입된 "내기"를 도입하고, 도입된 "내기"를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으로 유입시킨다.
보조 내기도어(64)는, 플랩식(Flap Type)으로서, 보조 외기도입구(32)측 공조케이스(10)의 내부압력에 따라 휨변형되면서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62)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블로어(70)의 회전에 따른 보조 외기도입구(32)측 압력이, 내기도입구(14)측 압력보다 낮을 경우, 그 차압에 의해 보조 내기도입구(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휨변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내기도입부(60)에 의하면, 내기도입구(14)로 유입된 "내기"를 도입하고, 도입된 "내기"를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으로 유입시킨다.
특히, "내기모드" 시,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32)가 모두 차단된 상태에서, 내기도입구(14)로 유입된 "내기"를 일부 도입하고, 도입된 "내기"를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으로 유입시킨다.
따라서, 보조 외기도입부(30)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내기모드" 시에는,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32)가 모두 차단되어,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이 공기의 유동이 없는 사구간(Dead Area)으로 존재하는데, 이러한 사구간의 에어필터(50) 일측부분(50a)에 내기를 도입하여, 상기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조 내기도입부(60)는, 내,외기도입구(12, 14)와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구획하는 격벽(36)부분에 설치되어, 내기도입구(14)의 "내기"를 직접 도입하는 구조이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되더라도 "내기"를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보조 내기도입부(60)를 이용하여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에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에어필터(50)의 모든 부분을 사구간없이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실내의 공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유닛이 차실내측에 설치될 경우에도, "내기"를 도입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인테이크 유닛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내기"를 도입할 수 있다. 이로써, 인테이크 유닛이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차종과, 엔진룸측 설치되는 차종, 모두에 상기 인테이크 유닛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60)의 보조 내기도어(64)는, 외기모드 시, 인테이크 도어(20)가 외기도입구(12)를 개방하고, 보조 외기도어(34)가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개방하여,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32) 양측으로 외기가 동시에 유입될 경우, 외기도입구(12)측 압력과 보조 외기도입구(32)측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됨에 따라 보조 내기도입구(62)를 닫은 상태 유지한다.
따라서, 외기모드 시에는, 보조 내기도입구(62)를 통한 내기 도입은 제한된다.
또한, 보조 내기도어(64)는, 보조 외기도어(34)가 일부 외기도입모드로 제어되면서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개방할 경우, 특히, 내기모드 시, 외기도입구(12)가 인테이크 도어(20)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외기도어(34)가 일부 외기도입모드로 제어되면서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개방할 경우, 차량의 주행속도와 블로어(70)의 회전단수 등에 의한 보조 외기도입구(32)측의 압력 변화에 영향받는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속도와 블로어(70)의 회전단수에 의한 보조 외기도입구(32)측 압력 변화에 영향받는 상기 보조 내기도어(64)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블로어(70)의 회전단수 등에 따라 보조 내기도입구(62)를 개방하거나 또는 차단한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공조장치는, 내,외기도입구(12, 14)와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구획하는 격벽(36)이 별물(別物)로 구성되어, 공조케이스(10)에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공조케이스(10)와 격벽(36)에는, 조립홈(10a)과 조립돌기(36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조립홈(10a)과 조립돌기(36a)가 서로 결합함에 따라 상기 격벽(36)이 공조케이스(10)에 고정적으로 조립된다.
한편,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60)는, 별물로 구성된 격벽(36)에 일체로 구성된다.
격벽(36)에 일체로 구성되는 보조 내기도입부(60)는, 상기 격벽(36)을 제조과정에서 격벽(36)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보조 내기도입부(60)는, 상기 격벽(36)을 공조케이스(1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설치된다.
여기서, 격벽(36)의 하단부분에는, 씨일(Seal)(80)이 설치되는데, 상기 씨일(80)은, 격벽(36)의 하단부분과 하측의 에어필터(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격벽(36)과 에어필터(50)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공조장치는, 상기 에어필터(50)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구조일 경우, 상기 에어필터(50)와 격벽(36)의 상호 배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어필터(50)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경사지게 장착될 시에, 상기 격벽(36)은, 에어필터(50)에 대해 90°각도를 이루며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격벽(36)에 설치된 보조 내기도입부(60)의 보조 내기도어(64)가, 보조 내기도입구(62)를 개폐할 경우, 그 열림 각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보조 내기도입구(62)에 대한 보조 내기도어(64)의 원활한 개폐 작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보조 내기도입부(60)가 내기도입구(14)의 "내기"를 도입하는 구조이므로,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보조 내기도입부(60)를 이용하여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에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보조 내기도입부(60)를 이용하여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에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으므로, 인테이크 유닛이 엔진룸측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에어필터(50)의 모든 부분을 사구간없이 활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실내의 공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조 내기도입부(60)가 내기도입구(14)의 "내기"를 도입하는 구조이므로, 인테이크 유닛이 차실내측에 설치될 경우에도, "내기"를 도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테이크 유닛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으로 "내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으로 "내기"를 도입할 수 있으므로, 인테이크 유닛이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차종과, 엔진룸측 설치되는 차종, 모두에 상기 인테이크 유닛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Case) 12: 외기도입구
14: 내기도입구 20: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30: 보조 외기도입부 32: 보조 외기도입구
34: 보조 외기도어(Door) 36: 격벽
50: 에어필터(Air Filter) 50: 에어필터의 일측부분
60: 보조 내기도입부 62: 보조 내기도입구
64: 보조 내기도어 70: 블로어(Blower)
80: 씨일(Seal)

Claims (13)

  1. 차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을 구비하며, 상기 인테이크 유닛은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도입구(12)와, 내기를 도입하는 내기도입구(14)와, 상기 외기도입구(12)와 내기도입구(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복수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내기를 보조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보조 내기도입부(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60)는, 상기 내기도입구(14)측의 내기를 일부 도입하는 구조를 갖고;
    외기를 보조적으로 도입하는 보조 외기도입구(32)와;
    상기 내,외기도입구(12, 14)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구획하는 격벽(36)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60)는, 상기 격벽(36)에 설치되어 상기 내기도입구(14)의 내기를 도입하는 보조 내기도입구(62)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도입구(12)와 내기도입구(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20)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보조 외기도어(34)를 더 포함하며;
    외기모드 시, 상기 인테이크 도어(20)가 상기 외기도입구(12)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 외기도어(34)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개방하여, 상기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32) 양측으로 외기가 유입될 시에,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62)를 통한 내기 도입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60)는,
    상기 내기도입구(14)측의 내기를 일부 도입하여,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격벽(36)에 형성되는 보조 내기도입구(62)와;
    블로어(70)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측 압력이, 상기 내기도입구(14)측 압력보다 낮을 경우, 그 차압에 의해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62)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36)에 설치되는 플랩식(Flap Type) 보조 내기도어(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기도입구(12, 14)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외기도입구(12, 14)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에어필터(Air Filter)(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60)는,
    상기 내기도입구(14)측의 내기를 일부 도입하여,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응되는 상기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60)는,
    내기모드 시, 상기 인테이크 도어(20)와 보조 외기도어(34)에 의해 상기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32)가 모두 차단될 경우,
    상기 내기도입구(14)로 흡입된 내기를 일부 도입하여,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에 대응되는 에어필터(50)의 일측부분(50a)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내기도어(64)는,
    외기모드 시, 상기 인테이크 도어(20)가 상기 외기도입구(12)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 외기도어(34)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개방하여, 상기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32) 양측으로 외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외기도입구(12)측 압력과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측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됨에 따라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62)를 닫은 상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외기도어(34)는,
    내기모드 시, 상기 인테이크 도어(20)가 상기 외기도입구(12)를 차단하였을 경우, 일부 외기도입모드로 제어되면서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개방하여, 외기를 도입하며;
    상기 보조 내기도어(64)는,
    일부 외기도입모드 시에, 차량의 주행속도와 블로어(70)의 회전단수 등에 의해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62)를 개방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1항, 제 3항, 제 4항 및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유닛이, 차량의 엔진룸측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도입구(14)는, 덕트를 통해 차실내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내기도입부(60)가 설치된 상기 격벽(36)이 별물(別物)로 구성되어, 공조케이스(10)에 조립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6)의 하단부분에 설치되는 씨일(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씨일(80)은, 상기 격벽(36)의 하단부분과 하측의 에어필터(50) 사이를 기밀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50)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며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내,외기도입구(12, 14)와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32)를 구획하는 상기 격벽(36)은, 하류측의 상기 에어필터(50)에 대해 90°각도를 이루며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90087663A 2018-07-25 2019-07-19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4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19003730.7T DE112019003730T5 (de) 2018-07-25 2019-07-22 Fahrzeugklimaanlage
US17/044,539 US11938787B2 (en) 2018-07-25 2019-07-22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PCT/KR2019/009002 WO2020022715A1 (ko) 2018-07-25 2019-07-22 차량용 공조장치
CN201980028608.6A CN112055667B (zh) 2018-07-25 2019-07-22 车辆空调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553 2018-07-25
KR20180086553 2018-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879A KR20200011879A (ko) 2020-02-04
KR102641170B1 true KR102641170B1 (ko) 2024-02-27

Family

ID=6957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63A KR102641170B1 (ko) 2018-07-25 2019-07-19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38787B2 (ko)
KR (1) KR102641170B1 (ko)
CN (1) CN112055667B (ko)
DE (1) DE112019003730T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5622B1 (fr) * 2018-09-07 2020-08-07 Valeo Systemes Thermiques Boitier pour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DE102019204717A1 (de) * 2019-04-03 2020-10-08 Mahle International Gmbh Heizungs-, Belüftungs- oder Klimaanlage
KR20210045549A (ko) * 2019-10-16 2021-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필터가 구비된 공조 시스템
KR20220127956A (ko) * 2021-03-12 2022-09-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2702B1 (fr) * 1995-12-22 1998-02-13 Valeo Climatisation Installation de climatisation, notamment d'un vehicule automobile
DE19632059C2 (de) * 1996-08-09 1999-10-14 Mannesmann Vdo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Mischluftregelung einer Heiz-/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es
JP3978845B2 (ja) 1997-05-21 2007-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134479B2 (ja) * 1999-04-28 2008-08-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5067402A (ja) * 2003-08-25 2005-03-1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1145128B1 (ko) * 2006-04-11 2012-05-1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US20120252339A1 (en) * 2011-03-31 2012-10-04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817503B1 (ko) 2011-09-26 2018-01-15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US9561702B2 (en) * 2012-08-30 2017-02-07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Three door structure for partial recirculation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659871B1 (ko) * 2013-12-20 2016-09-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JP2016101910A (ja) * 2014-11-27 2016-06-0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160107415A (ko) * 2015-03-03 201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98721B1 (ko) * 2015-12-28 2023-02-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JP6704765B2 (ja) 2016-03-24 2020-06-03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
KR20180001627A (ko) * 2016-06-24 2018-01-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101836694B1 (ko) 2016-09-12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외기 분리 유동 제어가 가능한 자동차용 공조 장치
KR20180038728A (ko) * 2016-10-07 2018-04-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시스템
US11458806B2 (en) * 2019-05-03 2022-10-04 Hanon Systems HVAC inlet with ram air and partial recircul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46752A1 (en) 2021-05-20
US11938787B2 (en) 2024-03-26
CN112055667A (zh) 2020-12-08
CN112055667B (zh) 2023-07-21
DE112019003730T5 (de) 2021-04-08
KR20200011879A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1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6821088B2 (en) Centrifugal blower having noise-reduction structure
KR101152018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KR10075078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6010741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756086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
WO2017154441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WO2018180980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JP5563687B2 (ja) 車両用の空調システムの吸気口
US20140234092A1 (en) Dual fan coaxial flow blower housing assembly
KR2021009485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2876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3818215A (zh) 车辆用送风装置
KR10253657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WO2020105294A1 (ja) 送風機
KR200151001Y1 (ko) 공기조화장치
WO2023119443A1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283800A (ja) ブロアユニット
JP426927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8000162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20100021712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50090561A (ko) 전환도어를 구비한 인테이크 덕트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KR101727157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공조장치의 내외기 흡입기
KR100320967B1 (ko)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
KR20190118730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