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763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763B1
KR102428763B1 KR1020170156113A KR20170156113A KR102428763B1 KR 102428763 B1 KR102428763 B1 KR 102428763B1 KR 1020170156113 A KR1020170156113 A KR 1020170156113A KR 20170156113 A KR20170156113 A KR 20170156113A KR 102428763 B1 KR102428763 B1 KR 10242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ernal
external
inle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813A (ko
Inventor
김윤진
권대복
민요찬
박태용
이성제
이세민
류재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763B1/ko
Priority to PCT/KR2018/012777 priority patent/WO2019103331A1/ko
Publication of KR2019005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41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near ventilating openings in the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기 도입덕트와 외기 도입덕트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내기 도입덕트를 차실내측에 배치시키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측 공간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에 각각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인테이크 유닛은, 내,외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의 일측부분에 설치되는 일체형 내,외기덕트와; 일체형 내,외기덕트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한 후, 공조케이스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로 각각 송풍하는 제 1 및 제 2블로어를 포함하며; 일체형 내,외기덕트는, 내,외기를 도입하여 제 1블로어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와, 내,외기를 도입하여 제 2블로어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기 도입덕트와 외기 도입덕트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내기 도입덕트를 차실내측에 배치시키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측 공간 확보에 유리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은, 차실내의 냉,난방장치로서, 히트펌프 장치(Heat Pump System)를 많이 채용하고 있다.
히트펌프 공조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을 발생시키는 공조모듈(10)과, 공조모듈(10)에서 발생된 냉,온풍을 차실내로 분배하는 분배덕트(20)를 포함한다.
공조모듈(10)은, 대시패널(30)의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설치되며, 공조케이스(12)와,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도시하지 않음)와 온풍유로(도시하지 않음)에 내,외기를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40)을 갖추고 있다.
인테이크 유닛(40)은,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하는 내기 도입덕트(42)와, 차실외의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덕트(44)와, 내기 도입덕트(42)의 내기도입구(42a)와 외기 도입덕트(44)의 외기도입구(44a) 사이에서 각각 운동하면서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는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45, 46) 및,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45, 46)에 의해 도입된 내,외기를 각각 흡입한 후,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로 각각 송풍하는 제 1 및 제 2블로어(47, 48)를 포함한다.
내기 도입덕트(42)는, 제 1 및 제 2블로어(47, 48) 사이의 공조케이스(12) 하측부분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내기 도입덕트(42)는, 공조케이스(12)의 하측부분으로부터 대시패널(30)을 통과하여 차실내측으로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된 내기 도입덕트(42)는,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하여 제 1 및 제 2블로어(47, 48) 사이의 공조케이스(12) 하측부분에 공급한다.
외기 도입덕트(44)는, 제 1 및 제 2블로어(47, 48) 사이의 공조케이스(12) 상측부분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외기 도입덕트(44)는, 공조케이스(12)의 상측부분으로부터 차실외측으로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된 외기 도입덕트(44)는, 차실외의 공기를 도입하여 제 1 및 제 2블로어(47, 48) 사이의 공조케이스(12) 상측부분에 공급한다.
제 1인테이크 도어(45)는, 제 1블로어(47)에 대응되는 것으로, 내기도입구(42a)측의 내기 또는 외기도입구(44a)측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도입된 내,외기를 제 1블로어(47)로 흡입시킨다. 따라서, 흡입된 내,외기가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제 2인테이크 도어(46)는, 제 2블로어(48)에 대응되는 것으로, 내기도입구(42a)측의 내기 또는 외기도입구(44a)측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도입된 내,외기를 제 2블로어(48)로 흡입시킨다. 따라서, 흡입된 내,외기가 공조케이스(12)의 온풍유로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내기 도입덕트(42)의 내기도입구(42a)와, 외기 도입덕트(44)의 외기도입구(44a)에는 각각 에어필터(50)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필터(50)는 내기도입구(42a)와 외기도입구(44a)로 도입되는 내,외기를 필터링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내기 도입덕트(42)가 공조케이스(12)의 하측부분으로부터 차실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구조이므로, 대시패널(30) 내측의 차실내 공간을 협소하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내기 도입덕트(42)가 설치되는 차실내의 조수석부분에는, 글로브 박스(Glove Box)와 에어백(Air Bag) 등과 같은 각종 부품 등이 설치되므로, 넓은 공간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차실내측으로 돌출된 내기 도입덕트(42) 때문에 공간확보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점 때문에 각종 부품을 설치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기 도입덕트(42)와 외기 도입덕트(44)가 공조케이스(12)의 상,하측부분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공조모듈(10)의 전체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엔진룸의 많은 부분을 공조모듈(10)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엔진룸의 많은 부분을 공조모듈(10)이 차지하므로,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가 현저하게 낮다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점 때문에 각종 부품을 엔진룸에 설치할 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내기 도입덕트(42)가 공조케이스(12)의 하측부분으로부터 차실내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구조이므로, 내기 도입덕트(42)의 내부 공기유로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긴 길이의 내기 공기유로를 통해 내기가 도입되는 과정에서 통기저항과 통기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긴 길이의 내기 도입덕트(42)를 내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럼블성 소음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의 정숙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필터링하는 에어필터(50)가 내기 도입덕트(42)와 외기 도입덕트(44) 각각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2개의 에어필터(50)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부품 비용이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에어필터(50)는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2개의 에어필터(50)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기 위해서 많은 부품의 교체비용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테이크 유닛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내기 도입덕트를 차실내측에 배치시키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도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측 조수석부분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개선을 통해 내기 도입덕트와 외기 도입덕트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인테이크 유닛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조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함으로써, 엔진룸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도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기 도입덕트의 내부 공기유로 길이를 짧게 구성하고서도 내기를 도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기의 도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통기저항과 통기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기의 도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통기저항과 통기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차실내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테이크 유닛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하나의 에어필터로도 제 1 및 제 2블로어측의 흡입공기를 모두 필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에어필터의 설치비용과 교체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에 각각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유닛은, 내,외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부분에 설치되는 일체형 내,외기덕트와;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로 각각 송풍하는 제 1 및 제 2블로어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는, 내,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제 1블로어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와, 내,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제 2블로어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는,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의 일측부분에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 1내기도입구와 제 1외기도입구 및, 상기 제 1내,외기도입구로 도입된 내,외기를 상기 제 1블로어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내부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는,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의 타측부분에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 2내기도입구와 제 2외기도입구 및, 상기 제 2내,외기도입구로 도입된 내,외기를 상기 제 2블로어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내부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의 제 1내기도입구와 제 1외기도입구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제 1내기도입구와 제 1외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제 1내기도입구측의 내기와 제 1외기도입구측의 외기를 상기 제 1내부유로에 선택적으로 도입시키는 제 1인테이크 도어와; 상기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의 제 2내기도입구와 제 2외기도입구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제 2내기도입구와 제 2외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제 2내기도입구측의 내기와 제 2외기도입구측의 외기를 상기 제 2내부유로에 선택적으로 도입시키는 제 2인테이크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내기 도입덕트와 외기 도입덕트를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하고, 일체화된 내,외기덕트를 공조케이스의 외면부분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내기 도입덕트를 차실내측으로 연장시키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내기 도입덕트를 차실내측으로 연장시키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도입할 수 있으므로, 차실내측 조수석부분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기 도입덕트와 외기 도입덕트를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하는 구조이므로, 인테이크 유닛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엔진룸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도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체형 내,외기덕트를 공조케이스의 외면부분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내,외기 도입을 위한 공기유로의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외기의 도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통기저항과 통기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외기의 도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통기저항과 통기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차실내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기 도입덕트와 외기 도입덕트를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하는 구조이므로, 단일의 에어필터로도 공조케이스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측 도입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2개의 에어필터를 필요로 하는 종래에 비해 에어필터의 설치비용과 교체비용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인테이크 유닛이 내기를 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인테이크 유닛이 외기를 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도시하지 않음)와 온풍유로(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40)을 구비한다.
인테이크 유닛(40)은, 내기와 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와, 일체형 내,외기덕트(100)를 통해 내,외기를 각각 흡입한 후,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로 각각 송풍하는 제 1 및 제 2블로어(200, 300)를 포함한다.
일체형 내,외기덕트(100)는, 제 1 및 제 2블로어(200, 300) 사이의 공조케이스(12) 부분에 설치된다. 특히, 제 1 및 제 2블로어(200, 300) 사이의 공조케이스(12) 상측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일체형 내,외기덕트(100)는, 내,외기를 도입하여 제 1블로어(2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와, 내,외기를 도입하여 제 2블로어(3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를 구비한다.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는,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일측부분에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 및, 상기 제 1내,외기도입구(112, 114)로 도입된 내,외기를 제 1블로어(2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내부유로(116)를 포함한다.
제 1내,외기도입구(112, 114)는, 차실내,외와 각각 연통되는 것으로, 내,외기를 도입하여 제 1내부유로(116)로 유입시킨다.
제 1내부유로(116)는,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를 제 1블로어(200)의 입구측에 연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측의 내,외기가 제 1블로어(200)측으로 흡입되면서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로 송풍될 수 있게 한다.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는,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타측부분에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 및, 상기 제 2내,외기도입구(122, 124)로 도입된 내,외기를 제 2블로어(3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내부유로(126)를 포함한다.
제 2내,외기도입구(122, 124)는, 차실내,외와 각각 연통되는 것으로, 내,외기를 도입하여 제 2내부유로(126)로 유입시킨다.
제 2내부유로(126)는,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를 제 2블로어(300)의 입구측에 연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측의 내,외기가 제 2블로어(300)측으로 흡입되면서 공조케이스(12)의 온풍유로로 송풍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의 제 1내부유로(116)와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의 제 2내부유로(126)는, 격벽(130)에 의해 양쪽으로 구획되며, 이렇게 구획된 제 1내부유로(116)와 제 2내부유로(126)는 제 1 및 제 2블로어(200, 300)의 입구측과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의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의 제 2내기도입구(122)는, 공통의 메인 내기도입구(140)로부터 양쪽으로 분지되며, 이렇게 분지된 제 1 및 제 2내기도입구(112, 122)는, 메인 내기도입구(140)를 통해 차실내측의 내기를 공통으로 도입한다.
한편, 메인 내기도입구(140)는, 대시패널(30)을 관통하여 차실내측과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메인 내기도입구(140)는, 차실내의 내기를 도입하여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2내기도입구(122)로 도입시킨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테이크 유닛(40)은,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150, 160)를 더 구비한다.
제 1인테이크 도어(150)는, 플랫형(Flat Type)으로 구성되며,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제 1내부유로(116)에 설치된다. 특히,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의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 사이의 제 1내부유로(116)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 1인테이크 도어(150)는,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제 1내기도입구(112)측의 내기와 제 1외기도입구(114)측의 외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내기와 외기가 제 1블로어(200)측에 선택적으로 흡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에 내,외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제 2인테이크 도어(160)는, 플랫형으로 구성되며,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제 2내부유로(126)에 설치된다. 특히,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의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 사이의 제 2내부유로(126)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 2인테이크 도어(160)는,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제 2내기도입구(122)측의 내기와 제 2외기도입구(124)측의 외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내기와 외기가 제 2블로어(300)측에 선택적으로 흡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에 내,외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150, 160)는, 도 3 내지 도 5에 플랫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Dome Typ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돔형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150, 160)는, 상기 플랫형과 마찬가지로,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 사이 및,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를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테이크 유닛(40)은, 에어필터(170)를 갖추고 있다.
에어필터(170)는,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제 1 및 제 2내부유로(116, 126)를 단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에어필터(170)는, 제 1 및 제 2내부유로(116, 126)를 따라 제 1 및 제 2블로어(200, 300)의 입구측으로 흡입되는 내,외기를 여과한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로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인다.
여기서, 제 1 및 제 2내부유로(116, 126)를 구획하는 격벽(130)에는, 에어필터(170)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는 관통구멍(1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필터(170)는 상기 관통구멍(130a)을 통해 제 1 및 제 2내부유로(116, 126) 모두를 단면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에어필터(170)는,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일측면부분에 형성되는 필터삽입구(172)를 통해 인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었을 경우, 새 것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필터삽입구(172)는 필터커버(174)에 의해 개폐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내기 도입덕트와 외기 도입덕트를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하고, 일체화된 내,외기덕트(100)를 공조케이스(12)의 외면부분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내기 도입덕트를 차실내측으로 연장시키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내기 도입덕트를 차실내측으로 연장시키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도입할 수 있으므로, 차실내측 조수석부분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내기 도입덕트와 외기 도입덕트를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하고, 일체화된 내,외기덕트(100)를 공조케이스(12)의 외면부분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인테이크 유닛(4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조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엔진룸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도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일체형 내,외기덕트(100)를 공조케이스(12)의 외면부분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내,외기 도입을 위한 공기유로의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외기의 도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통기저항과 통기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내,외기의 도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통기저항과 통기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차실내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내기 도입덕트와 외기 도입덕트를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하는 구조이므로, 단일의 에어필터(170)로도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측 도입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2개의 에어필터를 필요로 하는 종래에 비해 에어필터(170)의 설치비용과 교체비용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모듈(Module) 12: 공조케이스(Case)
20: 분배덕트(Duct) 30: 대시패널(Dash Panel)
40: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 100: 일체형 내,외기덕트
110: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 112: 제 1내기도입구
114: 제 1외기도입구 116: 제 1내부유로
120: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 122: 제 2내기도입구
124: 제 2외기도입구 126: 제 2내부유로
130: 격벽 130a: 관통구멍
140: 메인 내기도입구 150: 제 1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160: 제 2인테이크 도어 170: 에어필터(Air Filter)
172: 필터삽입구 174: 필터커버(Filter Cover)
200: 제 1블로어(Blower) 300: 제 2블로어

Claims (11)

  1.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에 각각 송풍하는 인테이크 유닛(40)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유닛(40)은,
    내,외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2)의 일측부분에 설치되는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와;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12)의 냉풍유로와 온풍유로로 각각 송풍하는 제 1 및 제 2블로어(200, 300)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는, 내,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제 1블로어(2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와, 내,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제 2블로어(3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는,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일측부분에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 및, 상기 제 1내,외기도입구(112, 114)로 도입된 내,외기를 상기 제 1블로어(2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내부유로(116)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는,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타측부분에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 및, 상기 제 2내,외기도입구(122, 124)로 도입된 내,외기를 상기 제 2블로어(3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내부유로(126)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는,
    차실내측 내기를 상기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의 제 1내기도입구(112)와, 상기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의 제 2내기도입구(122)에 공통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메인 내기도입구(1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의 제 1내기도입구(112)와, 상기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의 제 2내기도입구(122)는, 상기 메인 내기도입구(140)로부터 양쪽으로 분지되며;
    상기 메인 내기도입구(140)는, 대시패널(30)을 관통하여 차실내측과 연통되어, 차실내의 내기를 상기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2내기도입구(122)로 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외기도입덕트부(110)의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제 1내기도입구(112)와 제 1외기도입구(1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제 1내기도입구(112)측의 내기와 제 1외기도입구(114)측의 외기를 상기 제 1내부유로(116)에 선택적으로 도입시키는 제 1인테이크 도어(150)와;
    상기 제 2내,외기도입덕트부(120)의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제 2내기도입구(122)와 제 2외기도입구(12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제 2내기도입구(122)측의 내기와 제 2외기도입구(124)측의 외기를 상기 제 2내부유로(126)에 선택적으로 도입시키는 제 2인테이크 도어(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150, 160)는, 플랫형(Flat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150, 160)는, 돔형(Dome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제 1 및 제 2내부유로(116, 126)는,
    격벽(130)에 의해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내부 양쪽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제 1 및 제 2내부유로(116, 126)를 단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단일의 에어필터(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일의 에어필터(170)는, 상기 제 1 및 제 2내부유로(116, 126)를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블로어(200, 300)의 입구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내부유로(116, 126)를 구획하는 격벽(130)에는, 상기 에어필터(17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1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필터(170)는, 상기 관통구멍(130a)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내부유로(116, 126) 모두를 단면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170)는,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일측면부분에 형성되는 필터삽입구(172)를 통해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의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하여, 오염 및 손상 시에 청소하거나 새것으로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내,외기덕트(100)는,
    상기 제 1 및 제 2블로어(200, 300)사이의 공조케이스(12) 상측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70156113A 2017-11-22 2017-11-22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2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13A KR102428763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용 공조장치
PCT/KR2018/012777 WO2019103331A1 (ko) 2017-11-22 2018-10-26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13A KR102428763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813A KR20190058813A (ko) 2019-05-30
KR102428763B1 true KR102428763B1 (ko) 2022-08-05

Family

ID=6663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113A KR102428763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8763B1 (ko)
WO (1) WO20191033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053A1 (fr) * 2022-01-25 2023-07-28 Psa Automobiles Sa Véhicule automobile avec un système de traitement de l’air devant être respiré dans l’habitacle du véhic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0921A (ja) * 2001-09-14 2003-03-19 Calsonic Kansei Corp 送風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2017056864A (ja) * 2015-09-17 2017-03-23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送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210B1 (ko) * 2002-08-29 2008-06-30 한라공조주식회사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JP4432992B2 (ja) * 2007-04-04 2010-03-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5556705B2 (ja) * 2011-03-09 2014-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KR102158496B1 (ko) * 2014-09-01 2020-09-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092701B1 (ko) * 2015-01-06 2020-03-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송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0921A (ja) * 2001-09-14 2003-03-19 Calsonic Kansei Corp 送風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2017056864A (ja) * 2015-09-17 2017-03-23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送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813A (ko) 2019-05-30
WO2019103331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55667B (zh) 车辆空调设备
KR101152018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CN101130336A (zh) 车用空调器
KR10242876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8180980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US20140234092A1 (en) Dual fan coaxial flow blower housing assembly
KR10242876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09087683A2 (en) Fresh air duct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N110475682B (zh) 车辆空调用送风装置
JP200825464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46597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2006192997A (ja) 空調装置
KR101238658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KR10076116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219644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9485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2532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CN211106835U (zh) 空气入口外壳、采暖通风和空气调节模块和机动车辆
KR100833486B1 (ko) 공기조화장치용 송풍기 유니트
KR100320967B1 (ko)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
KR20200129998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0150334A1 (ja) 空調ユニットの配設構造
KR2018000169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2007002528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흡입구조
KR10131574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