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698A -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698A
KR20180001698A KR1020160080082A KR20160080082A KR20180001698A KR 20180001698 A KR20180001698 A KR 20180001698A KR 1020160080082 A KR1020160080082 A KR 1020160080082A KR 20160080082 A KR20160080082 A KR 20160080082A KR 20180001698 A KR20180001698 A KR 2018000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air inlet
outside air
clo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573B1 (ko
Inventor
강인근
한성석
김영근
한규익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Abstract

도어의 구동에 필요한 상하 높이를 줄여 전체 패키지를 축소시킬 수 있고 부품수를 최소화하며 외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이 개시된다.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송풍시키는 블로어 휠 및 블로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의 공기유로가 2개로 구획되어 형성된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도어부(200); 및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분할 구획하는 제2 도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상기 제1 도어부 및 제2 도어부가 함께 개폐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시 디포깅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2층류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
특히,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층류(2 Layer) 공조장치가 개발되었다. 겨울철 난방 주행시 창문에 서리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저습한 차가운 외기가 효과적이지만, 실내온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2층류 공조장치는 난방시 디포깅을 위해 차량 상부에는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외기 2층 공기 유동을 실현함으로써, 상부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를 이용하여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선 출원된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900965호(2007.01.12)에는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이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케이스(1)를 구비하고, 케이스(1)에는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1)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2)가 형성된다. 케이스(1)에는 내기유입구(11)의 개도를 조절하는 내기 도어(43) 및 외기유입구(12)의 개도를 조절하는 외기 도어(44)가 구비된다. 공기 유동 방향으로 내,외기 도어(43,44)의 하류 측에는 에어 필터(5)가 구비된다.
에어 필터(5)의 하류 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듀얼 팬(2,3)이 구비되고, 듀얼 팬(2,3)의 하류 측에는 케이스(1)의 격벽(14)에 의해 제1 송풍통로(15)와 제2 송풍통로(16)가 구획 형성된다. 내기 도어(43) 및 외기 도어(44)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칸막이 판(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칸막이 판(42)은 회전축(41)에서 케이스(1)의 원호면 측으로 연장되는 제1 판부(42a)와 회전축(41)에서 에어 필터(5) 측으로 연장되는 제2 판부(42b)로 구성된다. 2층류 모드 시 제1 판부(42a)의 선단이 내,외기유입구(11,12)의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내기유입구(11)에서 제1 송풍통로(15)를 연결하는 유로와 외기유입구(12)에서 제2 송풍통로(16)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분된다.
상기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내외기 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소정의 회전 반경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상하 높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외기 도어를 서로 다른 축에서 회전하는 내기 도어와 외기 도어로 2개로 구성할 경우, 부품 수가 많아지고 2개의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캠 메커니즘이 복잡해져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외기 모드 시 압력에 의해 외기가 내기유입구를 통해 차량 실내로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900965호(2007.01.12)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구동에 필요한 상하 높이를 줄여 전체 패키지를 축소시킬 수 있고 부품수를 최소화하며 외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송풍시키는 블로어 휠 및 블로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의 공기유로가 2개로 구획되어 형성된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도어부(200); 및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분할 구획하는 제2 도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상기 제1 도어부 및 제2 도어부가 함께 개폐한다.
상기에서, 제2 도어부는 공기가 고르게 유입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한다.
상기에서, 제1 도어부가 내기와 외기를 모두 흡입하는 내외기혼입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도어부는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분할 구획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에서, 제1 도어부는 외기유입구의 전체와 내기유입구의 일부 범위를 개폐하고, 상기 제2 도어부는 내기유입구의 다른 일부 범위를 개폐한다.
상기에서, 제1 도어부 및 제2 도어부는 슬라이딩 도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 도어부 및 제2 도어부는 돔(Dome) 도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케이스에는 내기유입구의 원호면을 따라 중간 부위에 제1 격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부는 원호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외기유입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격벽부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2 도어부는 원호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분할 구획하는 위치에서부터 내기유입구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상기에서, 케이스에는 제2 도어부의 원호 방향으로 일단부 측에 제2 격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어부는 원호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제2 격벽부로부터 내기유입구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상기에서, 제1 도어부가 내기를 흡입하는 내기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도어부는 외기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도어부는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분할 구획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에서, 제1 도어부가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도어부는 내기유입구의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도어부는 내기유입구의 다른 일부를 폐쇄한다.
상기에서, 제1 도어부는 케이스의 상부 원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원호면에 대응되는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 도어부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도어부의 곡률 반경은 제2 도어부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하나의 도어는 내기유입구의 일부 및 외기유입구를 개폐하고 다른 하나의 도어는 내기유입구의 다른 일부를 개폐함과 아울러 그 자체로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의 격벽 기능을 겸비함에 따라, 인테이크 유닛의 케이스 높이를 축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어 필터와 스크롤 케이스의 인렛 링 간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에어 필터를 통과한 바람이 블로워 하단으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2개의 도어가 함께 내기유입구를 개폐하는 구성을 통해 외기의 역류를 방지하며,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내기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내외기혼입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외기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2의 변형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100)은 케이스(110)와, 블로어 휠(120) 및 블로어 모터(130)와, 에어 필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송풍유닛(100)은 크게 공기를 흡입하는 인테이크 유닛과 공기를 차량 실내 측으로 송풍하는 블로어 유닛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10)에는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11)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12)가 형성된다. 내기유입구(111) 및 외기유입구(112)는 케이스(110)의 상부 측에 형성된 원호면을 따라 형성된다. 케이스(110)는 블로어 휠(120) 및 블로어 모터(130)를 설치하기 위한 스크롤 케이스(118)를 구비하며, 스크롤 케이스(118)의 상부에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인렛 링(117)이 형성된다.
블로어 휠(120) 및 블로어 모터(130)는 내,외기유입구(111,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송풍시킨다. 에어 필터(15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내,외기유입구(111,112)의 하류 측에, 그리고 블로어 휠(120)의 상류 측에 구비된다. 블로어 휠(120)은 듀얼 팬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블로어 모터(130)의 회전축(131)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케이스(110)의 내부 공기유로는 2개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케이스(110) 내의 공기유로는 에어 필터(150)의 하류 측에 형성된 칸막이 판(113)에 의해 제1 공기유로(115)와 제2 공기유로(116)로 분할 형성된다. 에어 필터(150)의 상류 측에는 후술할 제2 도어부(300)에 의해 선택적으로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가 구획되어 분할된다.
내기 유로는 내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내기가 유동하는 통로이며, 외기 유로는 외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유동하는 통로이다. 이 경우, 내기와 외기는 후술할 제2 도어부(300)에 의해 분할되어 각각 제1 공기유로(115) 및 제2 공기유로(116) 측으로 분할 유동할 수 있고, 내기 또는 외기만이 제1 공기유로(115) 및 제2 공기유로(116) 측으로 분할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송풍유닛(100)은 제1 도어부(200) 및 제2 도어부(300)를 구비한다. 제1 도어부(200)는 내기유입구(111) 및 외기유입구(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2 도어부(300)는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분할 구획한다. 특히, 상기 내기유입구(111)와 외기유입구(112) 중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제1 도어부(200) 및 제2 도어부(300)가 함께 개폐한다. 상기 제2 도어부(300)는 공기가 고르게 유입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제1 도어부(200)는 외기유입구(112)의 전체와 내기유입구(111)의 일부 범위를 개폐한다. 또한, 제2 도어부(300)는 내기유입구(111)의 다른 일부 범위를 개폐한다.
제1 도어부(200)는 케이스(110)의 상부 원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원호면에 대응되는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 도어부(300)도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1 도어부(200)의 곡률 반경은 제2 도어부(300)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도어부(200) 및 제2 도어부(300)는 슬라이딩 도어 구조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도어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도어부(200) 및 제2 도어부(300)의 일면에 기어이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기어이에 치합되는 기어를 회전시켜 도어를 슬라이딩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2의 변형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도어부(200) 및 제2 도어부(300)는 돔(Dome) 도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도어부(200)는 제1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2 도어부(300)는 제2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10)에는 내기유입구(111)의 원호면을 따라 중간 부위에 제1 격벽부(190)가 형성된다. 제1 도어부(200)는 원호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외기유입구(112)를 폐쇄하는 위치에서부터 격벽부(190)까지 이동된다. 또한, 제2 도어부(300)는 원호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분할 구획하는 위치에서부터 내기유입구(111)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아울러, 케이스(110)에는 제2 도어부(300)의 원호 방향으로 일단부 측에 제2 격벽부(180)가 형성된다. 제2 도어부(300)는 원호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제2 격벽부(180)로부터 내기유입구(111)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제1 도어부(200)는 외기유입구(112)의 전체 범위를 커버하여 개폐를 수행하며, 내기유입구(111)의 일부, 즉, 외기유입구(112)와 인접하는 내기유입구(111)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격벽부(190)까지 범위를 커버하여 개폐를 수행한다.
제2 도어부(300)는 격벽부(190)에서부터 내기유입구(111)의 타측까지 범위를 커버하여 개폐를 수행하며, 격벽부(190)에서부터 제2 격벽부(180)까지 범위를 커버하여 개폐를 수행한다. 격벽부(190)는 제1 도어부(200)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제2 도어부(300)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도어부(200)가 내기와 외기를 모두 흡입하는 내외기혼입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제2 도어부(300)는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분할 구획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부(200)가 내기를 흡입하는 내기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제1 도어부(200)는 외기유입구(112)를 폐쇄하고, 제2 도어부(300)는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분할 구획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도어부(200)가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제1 도어부(200)는 내기유입구(111)의 일부를 폐쇄하고, 제2 도어부(300)는 내기유입구(111)의 다른 일부를 폐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내기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기 모드 시, 제1 도어부(200)는 외기유입구(112)를 폐쇄한다. 제2 도어부(300)는 격벽부(190)와 제2 격벽부(180)의 사이를 폐쇄한다. 격벽부(190), 제2 도어부(300) 및 제2 격벽부(180)는 연속적인 벽을 형성함으로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구획한다. 따라서, 내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 중 일부는 제1 공기유로(115) 측으로 유동하고, 다른 일부는 제2 공기유로(116) 측으로 유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내외기혼입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외기혼입 모드 시, 제1 도어부(200)는 도 3의 내기 모드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호 방향으로 외기유입구(112)와 내기유입구(111)의 대략 중간 위치로 이동한다. 제1 도어부(200)는 외기유입구(112)를 일부 개방함과 동시에 내기유입구(111)의 일부를 폐쇄한다. 이 경우, 내기유입구의 일부는 격벽부(190)를 기준으로 외기유입구와 인접한 측 영역이다.
제2 도어부(300)는 도 3의 내기 모드와 동일한 위치로서, 격벽부(190)와 제2 격벽부(180)의 사이를 폐쇄한다. 격벽부(190), 제2 도어부(300) 및 제2 격벽부(180)는 연속적인 벽을 형성함으로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구획한다. 따라서, 내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는 제1 공기유로(115) 측으로 유동하고, 외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제2 공기유로(116) 측으로 유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외기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기 모드 시, 제1 도어부(200)는 도 4의 내외기혼입 모드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한다. 제1 도어부(200)는 외기유입구(112)를 완전히 개방함과 동시에 내기유입구(111)의 일부를 폐쇄한다. 이 경우, 내기유입구의 일부는 격벽부(190)를 기준으로 외기유입구와 인접한 측 영역이다. 제2 도어부(300)는 도 4의 내외기혼입 모드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내기유입구(111)의 다른 일부를 폐쇄한다. 이 경우, 내기유입구의 다른 일부는 제1 도어부가 커버하지 않는 내기유입구의 나머지 영역이다. 따라서, 외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 중 일부는 제1 공기유로(115) 측으로 유동하고, 다른 일부는 제2 공기유로(116) 측으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100)은 하나의 도어는 내기유입구의 일부 및 외기유입구를 개폐하고 다른 하나의 도어는 내기유입구의 다른 일부를 개폐함과 아울러 그 자체로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의 격벽 기능을 겸비함에 따라, 인테이크 유닛의 케이스 높이를 축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 필터(150)와 스크롤 케이스(118)의 인렛 링(117) 간의 높이(h)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에어 필터를 통과한 바람이 블로워 하단으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2개의 도어가 함께 내기유입구를 개폐하는 구성을 통해 외기의 역류를 방지하며, 제2 도어부가 자체로 공기를 하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고,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송풍유닛
110: 케이스 111: 내기유입구
112: 외기유입구 113: 칸막이 판
115: 제1 공기유로 116: 제2 공기유로
117: 인렛 링 118: 스크롤 케이스
120: 블로어 휠 130: 블로어 모터
150: 에어 필터 180: 제2 격벽부
190: 격벽부 200: 제1 도어부
300: 제2 도어부

Claims (11)

  1.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11)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12)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내,외기유입구(111,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송풍시키는 블로어 휠(120) 및 블로어 모터(130)를 포함하며,
    상기 내기유입구(111) 및 외기유입구(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도어부(200); 및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분할 구획하는 제2 도어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내기유입구(111)와 외기유입구(112) 중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상기 제1 도어부(200) 및 제2 도어부(300)가 함께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부(300)는 공기가 고르게 유입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200)가 내기와 외기를 모두 흡입하는 내외기혼입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도어부(300)는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분할 구획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200)는 외기유입구(112)의 전체와 내기유입구(111)의 일부 범위를 개폐하고,
    상기 제2 도어부(300)는 내기유입구(111)의 다른 일부 범위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200) 및 제2 도어부(300)는 슬라이딩 도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200) 및 제2 도어부(300)는 돔(Dome) 도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에는 내기유입구(111)의 원호면을 따라 중간 부위에 제1 격벽부(19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부(200)는 원호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외기유입구(112)를 폐쇄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격벽부(190)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2 도어부(300)는 원호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분할 구획하는 위치에서부터 내기유입구(111)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에는 제2 도어부(300)의 원호 방향으로 일단부 측에 제2 격벽부(18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어부(300)는 원호 방향으로 양단이 각각 제2 격벽부(180)로부터 내기유입구(111)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200)가 내기를 흡입하는 내기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도어부(200)는 외기유입구(112)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도어부(300)는 내기 유로와 외기 유로를 분할 구획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200)가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도어부(200)는 내기유입구(111)의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도어부(300)는 내기유입구(111)의 다른 일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1. 제1 항에 있어서,
    제1 도어부(200)는 케이스(110)의 상부 원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원호면에 대응되는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 도어부(300)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도어부(200)의 곡률 반경은 제2 도어부(300)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1020160080082A 2016-06-27 2016-06-27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102536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082A KR102536573B1 (ko) 2016-06-27 2016-06-27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082A KR102536573B1 (ko) 2016-06-27 2016-06-27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98A true KR20180001698A (ko) 2018-01-05
KR102536573B1 KR102536573B1 (ko) 2023-05-26

Family

ID=6100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082A KR102536573B1 (ko) 2016-06-27 2016-06-27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2448A (zh) * 2020-09-09 2021-01-05 芜湖豫新世通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混风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658A (ja) * 2004-02-06 2005-08-1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替装置
JP3900965B2 (ja) 2002-02-21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20140095626A (ko) * 2013-01-24 2014-08-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WO2015082436A1 (fr) * 2013-12-04 2015-06-11 Valeo Systemes Thermiques Pulseur d'aspiration destine a un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965B2 (ja) 2002-02-21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19658A (ja) * 2004-02-06 2005-08-1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替装置
KR20140095626A (ko) * 2013-01-24 2014-08-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WO2015082436A1 (fr) * 2013-12-04 2015-06-11 Valeo Systemes Thermiques Pulseur d'aspiration destine a un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2448A (zh) * 2020-09-09 2021-01-05 芜湖豫新世通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混风结构
CN112172448B (zh) * 2020-09-09 2022-06-07 芜湖豫新世通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混风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573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694B1 (ko) 내-외기 분리 유동 제어가 가능한 자동차용 공조 장치
US8544533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KR10117959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12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WO2012114573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470409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CN109803843B (zh) 车辆用空调单元
WO2017046985A1 (ja) 送風装置
WO2014058009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924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9724977B2 (en)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60107415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7107703B (zh) 车用空调
KR2018000169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21823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8621740B (zh) 具有滑动门的车辆加热、通风和空气调节系统
JP2018069860A (ja) 車両用の空調装置
CN110871662B (zh) 车辆用空调装置
KR2018000162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10076116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WO2020170753A1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050103799A (ko) 이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도어 씰링 구조
KR1011997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169060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送風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