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018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018A
KR20200026018A KR1020190068470A KR20190068470A KR20200026018A KR 20200026018 A KR20200026018 A KR 20200026018A KR 1020190068470 A KR1020190068470 A KR 1020190068470A KR 20190068470 A KR20190068470 A KR 20190068470A KR 20200026018 A KR20200026018 A KR 20200026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door
sea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서용은
서정훈
이종곤
김명준
이태건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550,65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41716B2/en
Priority to DE102019123023.3A priority patent/DE102019123023A1/de
Priority to CN201910801520.5A priority patent/CN110871663B/zh
Publication of KR2020002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018A/ko
Priority to KR1020240026081A priority patent/KR20240031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을 줄이면서도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도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며, 온풍 바이패스 도어와 디프로스트 도어 간의 효율적인 연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도록 하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 및 상기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는 회전축과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는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도록 꺾임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전석 공조와 후석 공조를 개별 제어하도록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가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이다.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차량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환기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84718호(2015.01.14)에는 후석 템프도어와 후석 보조템프도어 및 후석 온오프도어의 위치를 제어하여 후석 풍량을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와, 증발기(20) 및 히터코어(30)와, 전석 템프도어(51) 및 전석 모드도어를 포함한다.
공조케이스(10)는 공기유입구(11)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1) 측에 송풍장치가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공조케이스(10) 내부 공기통로로 유입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2), 전석 페이스 벤트(13), 전석 플로어 벤트(114), 후석 페이스 벤트(15) 및 후석 플로어 벤트(16)로 구성된다. 공조케이스(10) 내부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로 구성된다.
증발기(20)는 냉각용 열교환기로서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히터코어(30)는 가열용 열교환기로서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히터코어(3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20)의 하류 측인 온풍통로(P2)에 배치된다. 온풍통로(P2)에는 PTC히터 등의 전열히터(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석 템프도어(51)는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코어(30)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와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P3)의 개도를 조절한다. 전석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도어(53), 벤트 도어(54) 및 플로어 도어(55)로 구성된다.
후석 공기통로는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는 후석 냉풍통로(P3)와 히터코어(30)를 통과하는 온풍통로로 구성된다. 이 후석 공기통로의 온풍통로는 전석 공기통로의 온풍통로(P2)와 함께 사용된다. 즉, 히터코어(30)를 통과하여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부로 이동하여 디프로스트 벤트(12), 전석 페이스 벤트(13), 전석 플로어 벤트(114)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공기의 다른 일부는 하부로 이동하여 후석 페이스 벤트(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6)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후석 공기통로에는 후석 페이스 벤트(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6)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58)가 구비된다.
공조케이스(10) 내에는 후석 템프도어(52)와, 후석 보조템프도어(56)와, 후석 온오프도어(57)가 구비된다. 후석 템프도어(52)는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구비되어 온풍통로(P2)로 유동하는 통로와 후석 냉풍통로(P3)로 유동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며, 후석 보조템프도어(5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30)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의 개도를 조절한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후석 냉방 모드 시, 전석 템프도어(51)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전석 냉풍통로(P1)를 개방하며, 후석 템프도어(52)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후석 보조템프도어(56)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를 폐쇄하고,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증발기(20)를 통과하며 차가워진 공기는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여 일부는 전석 냉풍통로(P1)를 지나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후석 냉풍통로(P3)를 지나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전후석 난방 모드 시, 전석 템프도어(51)는 전석 냉풍통로(P1)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하며, 후석 템프도어(52)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한다. 후석 보조템프도어(56)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를 개방하고,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한다.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코어(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일부는 상부로 이동하여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하부로 이동하여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히터코어(30) 및 전열히터(40)를 통과한 공기가 직접 플로어 벤트로 토출될 수 있도록 온풍 바이패스 통로 및 이를 개폐하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전방 운전석, 전방 조수석 및 후방 좌석(후석)의 독립된 3존(3 Zone)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3존 공조장치의 경우, 온풍 바이패스 도어에 의해 리크(Leak)에 불리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을 줄일 경우 도어 개도량 확보가 불리하여 전석 플로어 벤트로의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전방 좌석(전석) 및 후방 좌석(후석)의 독립된 2존(2 Zone)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2존 공조장치의 경우, 전석 플로어 벤트 토출구의 위치가 너무 낮아서 풋(Foot) 쪽 덕트 구성이 어려우며, 3존 공조장치와 동일하게 차량 전후 방향 폭을 축소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84718호(2015.01.1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을 줄이면서도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도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며, 온풍 바이패스 도어와 디프로스트 도어 간의 효율적인 연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도록 하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 및 상기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는 회전축과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는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도록 꺾임부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플레이트는 꺾임부를 기준으로 2개의 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온풍 바이패스 통로는 온풍 통로와 전석 플로어 벤트를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축은 전석 플로어 벤트의 토출구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전석 플로어 벤트를 향하는 통로는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류에 제1 통로와 하류에 제2 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통로는 제1 통로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축은 높이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석 플로어 벤트는 높이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격벽은 온풍 통로와 제1 통로를 구획하는 제1 격벽과 온풍 통로와 제2 통로를 구획하는 제2 격벽으로 구성되며, 공조케이스의 후면과 제2 격벽 간의 폭이 공조케이스의 후면과 제1 격벽 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전석 플로어 벤트는 제2 통로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온풍 바이패스 도어에 강성 보강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강성 보강 리브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공기 유입부 반대쪽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도록 하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 및 상기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구비하며, 디프로스트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와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연동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방 방향은 공기 유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방 방향은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에서, 온풍 바이패스 도어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 시, 온풍 통로의 유로를 막아 온풍 통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전석 플로어 벤트 쪽으로 안내한다.
상기에서, 전석 냉풍통로와 온풍통로 일부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 템프도어와,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와 가열용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고 온풍통로의 다른 일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후석 템프도어와, 후석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 및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며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후석 템프도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차량 전석과 후석의 공조를 개별 제어하도록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조건에 따라 디프로스트 도어의 개도량을 다르게 보상 제어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모두 최대 난방 상태이고 운전석과 조수석이 모두 전석 플로어 모드인 경우에만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에서,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방 시, 폐쇄 조건인 경우와 비교하여 디프로스트 도어의 개도량을 더 크게 제어한다.
상기에서,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축에 공조케이스(110)와의 씰링을 수행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스토퍼부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공기 유입부 반대쪽에 형성되어 공기 통로내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온풍 통로와 전석 플로어 벤트를 구획하는 격벽에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시 스토퍼부를 안착시키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도량을 확보하여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을 줄일 수 있고, 온풍 바이패스 도어와 디프로스트 도어 간의 효율적인 연동 제어를 수행하여 공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석 플로어 벤트의 토출구를 비교적 최대로 넓게 확보가 가능하며 온풍의 경로가 직선을 형성하게 하여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조케이스의 차량 전후 방향 폭을 축소 가능하다. 아울러,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공기 유동의 방해를 최소화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전석과 후석의 공조를 개별 제어하도록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110)는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11) 측에 송풍장치가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공조케이스(110) 내부 공기통로로 유입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12), 전석 페이스 벤트(113) 및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이루어진 전석 공기토출구와, 후석 페이스 벤트(115) 및 후석 플로어 벤트(116)로 이루어진 후석 공기토출구로 구성된다.
냉각용 열교환기는 증발기(120)로 구성된다. 증발기(120)의 내부에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1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되어 공기는 냉각된다. 가열용 열교환기는 히터코어(130)로 구성된다. 히터코어(130)의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와 히터코어(1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되어 공기는 가열된다. 히터코어(13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20)의 하류 측인 온풍통로(P2)에 배치된다. 온풍통로(P2)에는 PTC히터 등의 전기식 히터(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조케이스(110) 내부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로 구성된다. 증발기(120)의 하류 측에서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 3가지로 나뉜다.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는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로 구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온풍통로(P2)가 전석 냉풍통로(P1)와 후석 냉풍통로(P3)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부 유로는 전석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이며, 하부 유로는 후석 냉풍통로(P3)이다.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온풍통로(P2)의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전석 냉풍통로(P1)와 후석 냉풍통로(P3)로 유동하거나, 온풍통로(P2)의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후 다시 전석 냉풍통로(P1) 또는 후석 냉풍통로(P3)로 합류하여 유동한다. 전석 냉풍통로(P1)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후석 냉풍통로(P3)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온풍통로(P2)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통과하여 차량 전석 또는 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공조케이스(110)에는 챠랑 전석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전석 공기토출구가 마련되며, 전석 공기토출구는 전석 모드도어에 의해 그 개도가 제어된다. 전석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153), 전석 페이스 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154) 및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155)로 구성된다. 아울러, 공조케이스(110)에는 차량 후석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후석 공기토출구가 마련되며, 후석 공기토출구는 후석 모드도어(158)에 의해 그 개도가 제어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석 템프도어(171)를 구비한다. 전석 템프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 일부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전석 템프도어(171)는 증발기(120)의 하류에 인접하며 전석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가 갈라지는 경계 부위에 위치한다. 전석 템프도어(17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양측으로 판 부재가 형성된 테일 도어(Tail door)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전석 템프도어(171)는 회전축과, 제1 도어부 및 제2 도어부로 구성된다. 전석 템프도어(171)의 회전축은 온풍통로(P2)의 출구측 하단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제1 도어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의 입구 중 상부 일부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2 도어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측에 형성되어 온풍통로(P2) 중 전석측 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방 운전석, 전방 조수석 및 후방 좌석(후석)의 독립된 3존(3 Zone)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후석의 온도 제어를 3개의 도어로 구현한다. 즉,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1 후석 템프도어(172), 제2 후석 템프도어(159) 및 후석 모드도어(158)를 구비한다.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온풍통로(P2)의 다른 일부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온풍통로(P2)의 입구 중 전석 템프도어(171)가 커버하지 않는 온풍통로(P2)의 입구 하부 일부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2 후석 템프도어(159)는 히터코어(130)의 하류에 배치되며,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2 후석 템프도어(159)는 돔(Dome) 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는 연통되게 구성된다. 제2 후석 템프도어(159)는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간의 연통로에 배치된다. 즉, 제2 후석 템프도어(159)는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간의 연통로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 모드도어(158)는 제2 후석 템프도어(159)의 하류에 배치되고, 후석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 모드도어(158)는 돔(Dome)형 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후석 모드도어(158)는 후석 공기통로, 후석 페이스 벤트(115), 후석 플로어 벤트(116)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1 후석 템프도어(172) 및 제2 후석 템프도어(159)를 이용하여 후석의 온도 제어를 수행한다. 아울러, 후석 모드도어(158)를 이용하여 후석 공기통로의 On(개방) 및 Off(폐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2개의 템프도어와 1개의 모드도어를 이용하여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도어의 개수를 줄이면서 후석 공조 제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어 3존 공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개수를 줄여 제조 원가를 낮추고 공조장치의 하중과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돔(Dome) 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최대 냉방(Max Cool) 조건인 경우 온풍통로(P2)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으며, 최대 난방(Max Warm) 조건인 경우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30) 사이를 구획하는 위치에 있다.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항시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후석 냉풍통로(P3)의 온(On)/오프(Off)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전술한 것처럼 온풍통로(P2)의 개폐 기능과 공기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여 히터코어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후석 냉풍통로(P3)의 온/오프 기능은 후석 모드도어(158)가 수행하여 도어의 개수를 줄이면서 후석 공조의 온/오프 제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후석 템프도어(172)와 제2 후석 템프도어(158)를 조절하여 후석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최대 냉방(Max Cool) 조건인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며, 제2 후석 템프도어(159)는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간의 연통로를 폐쇄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최대 난방(Max Warm) 조건인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의 돔(Dome) 내측이 공기를 온풍통로(P2)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위치하며, 제2 후석 템프도어(159)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하도록 위치한다. 아울러, 믹싱(Mixing) 모드인 경우, 제1 후석 템프도어(172)의 돔(Dome) 내측이 공기를 온풍통로(P2)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위치하며, 제2 후석 템프도어(159)는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간의 연통로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에 위치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 및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를 구비한다. 온풍 바이패스 통로는 히터코어(130) 및 전기식 히터(140)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토출되도록 한다. 온풍 바이패스 통로는 온풍 통로(P2)와 전석 플로어 벤트(114)를 구획하는 격벽(119)에 형성된다.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공기가 직접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토출되므로 난방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는 회전축(210)과 플레이트(220)로 이루어진다. 회전축(210)은 공조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플레이트(220)는 비교적 얇고 넓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축(210)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플레이트(220)는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도록 꺾임부(22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를 2면으로 구성하여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도어의 개도량을 확보할 수 있고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토출구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결국, 도어의 개도량을 확보하여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 차량 전후 방향 폭은 도 4에서 좌우 방향이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회전축(210)은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토출구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즉, 피봇축인 회전축(210)이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토출구보다 높은 곳에 배치함으로써, 전석 플로어 벤트 토출구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10)이 상부에 위치하고 플레이트(220)가 회전축(210)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구조로 인해, 히터코어(130)의 하부를 통과한 공기가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에 의해 안내되어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보다 원활히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회전축(210)이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위치한 구조와 비교하여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공기의 저항체로 작용하지 않아 풍량을 확보하는데 크게 유리하다.
플레이트(220)는 꺾임부(221)를 기준으로 2개의 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사 구조를 통해, 차량 전후 방향뿐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공간 축소에 유리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플레이트(220)는 회전축(210)에서 연장된 제1 면(222)과 제1 면(222)에서 연장된 제2 면(223)으로 구성되며, 제1 면(222)과 제2 면(223) 사이에 꺾임부(221)가 형성된다. 제1 면(222)과 제2 면(223)은 둔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플레이트(220)가 직각 형상으로 꺾이거나, 플레이트(220)의 꺾임부를 2개 구성하여 3개의 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지거나, 플레이트(220)가 회전축(210)의 양측으로 연장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개방 방향은 공기 유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즉,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개방 방향은 가열용 열교환기를 향하는 방향이다.
이와 같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개방 방향을 히터코어(130) 측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폐쇄 방향은 공기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에어 리크(Leak)가 방지된다. 만약,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개방 방향이 히터코어(130) 반대 방향인 경우이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폐쇄 방향이 공기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며,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공기 압력에 의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에어 리크(Leak)가 발생할 수 있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최대 개방 시,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플레이트(220) 단부는 전기식 히터(140)에 닿거나 전기식 히터(140)에 인접한다. 만약, 전기식 히터(140)가 없는 구조의 경우라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플레이트(220) 단부는 히터코어(130)에 닿거나 히터코어(130)에 인접하도록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회전 제어된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 시, 온풍 통로(P2)의 유로를 막아 온풍 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전석 플로어 벤트(114) 쪽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의 온풍 토출량을 증대시켜 난방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디프로스트 도어(153)와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를 연동하여 제어한다. 제어부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개방 또는 폐쇄 조건에 따라 디프로스트 도어(153)의 개도량을 다르게 보상 제어한다. 이 경우, 디프로스트 도어(153)와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는 별도의 링크를 통해 제어부와 연동 제어되거나, 각각의 엑츄에이터를 통해 제어부와 연동 제어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모두 최대 난방 상태이고 운전석과 조수석이 모두 전석 플로어 모드인 경우에만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개방 시, 폐쇄 조건인 경우와 비교하여 디프로스트 도어의 개도량을 더 크게 제어한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개방되는 경우,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는 온풍통로(P2)의 공기 유로 일부를 막게 되므로 디프로스트 벤트(112) 측으로의 풍량이 저하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개방된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112) 측 개도량을 보다 크게 보상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벤트(112)로의 풍량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공조 모드 디프로스트 도어 개도량 온풍 바이패스 도어 상태
제1 전석 플로어 모드 A 개방(Open)
제2 전석 플로어 모드 B 폐쇄(Close)
표 1을 참조하면, 제1 전석 플로어 모드는 운전석 템프도어와 조수석 템프도어가 모두 최대 난방 구간이며, 이와 동시에 운전석 및 조수석이 모두 전석 플로어 모드인 경우이다. 제1 전석 플로어 모드에서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는 개방되며 디프로스트 도어의 개도량은 A로 설정된다.한편, 제2 전석 플로어 모드는 제1 전석 플로어 모드가 아닌 경우로서, 첫째, 운전석 템프도어가 최대 난방 구간, 둘째, 조수석 템프도어가 최대 난방 구간, 셋째, 운전석이 전석 플로어 모드, 넷째, 조수석이 전석 플로어 모드인 경우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된다. 제2 전석 플로어 모드에서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는 폐쇄되며 디프로스트 도어의 개도량은 B로 설정된다.
이 경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방 시 디프로스트 도어의 개도량(A)은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폐쇄 시 디프로스트 도어의 개도량(B)보다 크게 설정된다. 만약,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개방 시 디프로스트 벤트 풍량 배분의 스펙이 ±5% 이내를 만족할 경우 A와 B의 값을 동일하게 가져가도 무방하다.
일 예로, 도 7과 같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폐쇄한 경우,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공기는 전석 페이스 벤트(113)로 토출되고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112)로 토출된다. 도 8과 같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한 경우,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공기는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토출되며, 일부는 디프로소트 벤트(112)로 토출된다. 이 경우, 후석은 최대 난방 상태로 제1 후석 템프도어(172)가 작동하며, 후석 모드도어(158)는 후석 플로어 벤트(116)를 개방한다. 도 7에서의 디프로스트 도어(113)의 개도량보다 도 8에서의 디프로스트 도어(113)의 개도량이 더 크게 형성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10)와,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30)와, 전기식 히터(140)와, 온풍 바이패스 통로와,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구성의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전술한 실시 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는 회전축(210)과 플레이트(220)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220)는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도록 꺾임부(221)를 형성한다. 또한, 공조케이스(110)에는 전석 플로어 벤트를 향하는 통로가 형성되며, 격벽(119)은 온풍 통로(P2)와 전석 플로어 벤트를 향하는 통로를 구획한다. 격벽(119)은 상하 방향으로 대략 수직을 이루게 연장 형성되어, 격벽(119)과 공조케이스(110)의 후면(118) 사이에 전석 플로어 벤트를 향하는 통로가 비교적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다.
전석 플로어 벤트를 향하는 통로는 제1 통로(W1)와 제2 통로(W2)로 구성된다. 제1 통로(W1)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상류에 구성되며, 제2 통로(W2)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하류에 구성된다. 제2 통로(W2)는 제1 통로(W1)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회전축(210)은 높이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즉,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회전축(210)은 히터코어(130)와 전기식 히터(140)의 중심선(C)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아울러, 전석 플로어 벤트(114)는 높이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중심선(C)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히터코어(130) 및 전기식 히터(140)를 통과한 공기가 전석 플로어 벤트(114) 토출구 쪽으로 직선으로 유동함으로써,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의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격벽(119)은 온풍 통로(P2)와 제1 통로(W1)를 구획하는 제1 격벽(1191)과 온풍 통로(P2)와 제2 통로(W2)를 구획하는 제2 격벽(1192)으로 구성된다. 공조케이스(110)의 후면(118)과 제2 격벽(1192) 간의 폭(t2)은 공조케이스(110)의 후면(118)과 제1 격벽(1191) 간의 폭(t1)보다 넓게 형성된다. 전석 플로어 벤트(114)는 제2 통로(W2)에 형성된다.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에 꺾임부(221)를 형성하여 단차를 구성함으로써, 제2 통로(W2)의 단면적을 제1 통로(W1)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구성이 가능하며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토출구를 비교적 최대로 넓게 확보가 가능하다. 전석 플로어 벤트를 향하는 통로가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토출구 부위에서 단면적이 커지는 구조는 전석 플로어 벤트를 향하는 통로가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구조와 비교하여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토출구 크기를 더 넓게 형성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의 온풍량을 증가시켜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꺾임부(221)를 구비함과 더불어 전석 플로어 벤트(114) 대비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회전축(210)을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토출구 단면적을 확보 가능하면서도 차량 전후 방향으로 공조케이스(110)의 폭을 축소 가능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공조케이스(110)의 후면(118)을 좌측으로(차량 전방 방향으로 또는 차량 내측 방향으로) 축소하여 공조케이스의 컴펙트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또한,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에 강성 보강 리브(250)가 구비된다. 강성 보강 리브(250)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공기 유입부 반대쪽에 형성된다. 즉, 강성 보강 리브(250)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꺾임부(221) 내측에 형성되어, 플레이트의 제1 면과 제2 면 사이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강성 보강 리브(250)를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내측에 형성함으로써,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강성 보강 리브(250)가 공기 유로 내에 돌출되지 않아 공기 유동의 방해를 최소화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회전축(210)에는 스토퍼부(290)가 형성된다. 스토퍼부(290)는 공조케이스(110)와의 씰링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고무와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회전축(210)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토퍼부(290)는 온풍 통로와 전석 플로어 벤트를 구획하는 격벽(119)에 밀착되어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도 하며 씰링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스토퍼부(290)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공기 유입부 반대쪽에 형성되어, 공기 통로내 돌출되지 않는다. 아울러, 온풍 통로와 전석 플로어 벤트를 구획하는 격벽(119)에 단차부(1195)가 형성된다. 단차부(1195)는 격벽(119)의 단부(1196)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단차부(1195)에 의해 전석 플로어 벤트를 향하는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된다. 단차부(1195)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200)의 회전시 스토퍼부(290)를 안착시키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온풍 바이패스도 도어(200)의 스토퍼 기능 및 원활한 씰링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스토퍼부(290)의 위치가 공기 통로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미돌출된 구조를 갖게 된다. 아울러, 단차부(1195)의 구성을 통해 스토퍼부(290)를 공기 통로에 돌출되지 않고 구성하면서도 공조케이스의 격벽(119)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집약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 113: 전석 페이스 벤트
114: 전석 플로어 벤트 115: 후석 페이스 벤트
116: 후석 플로어 벤트 118: 공조케이스 후면
119: 격벽 120: 증발기
130: 히터코어 140: 전기식 히터
153: 디프로스트 도어 154: 벤트 도어
155: 플로어 도어 158: 후석 모드도어
171: 전석 템프도어 172: 제1 후석 템프도어
159: 제2 후석 템프도어 P1: 전석 냉풍통로
P2: 온풍통로 P3: 후석 냉풍통로
200: 온풍 바이패스 도어 210: 회전축
220: 플레이트 221: 꺾임부
222: 제1 면 223: 제2 면
250: 강성 보강 리브

Claims (20)

  1.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도록 하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 및 상기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는 회전축과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는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도록 꺾임부를 형성한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꺾임부를 기준으로 2개의 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바이패스 통로는 온풍 통로와 전석 플로어 벤트를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축은 전석 플로어 벤트의 토출구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전석 플로어 벤트를 향하는 통로는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류에 제1 통로와 하류에 제2 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통로는 제1 통로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축은 높이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석 플로어 벤트는 높이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온풍 통로와 제1 통로를 구획하는 제1 격벽과 온풍 통로와 제2 통로를 구획하는 제2 격벽으로 구성되며,
    공조케이스의 후면과 제2 격벽 간의 폭이 공조케이스의 후면과 제1 격벽 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전석 플로어 벤트는 제2 통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에 강성 보강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강성 보강 리브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공기 유입부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전석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도록 하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 및
    상기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구비하며,
    디프로스트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와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를 연동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1 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방 방향은 공기 유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방 방향은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를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1 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 시, 온풍 통로의 유로를 막아 온풍 통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전석 플로어 벤트 쪽으로 안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1 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전석 냉풍통로와 온풍통로 일부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 템프도어와,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와 가열용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고 온풍통로의 다른 일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후석 템프도어와, 후석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 및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며 온풍통로와 후석 냉풍통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후석 템프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1 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차량 전석과 후석의 공조를 개별 제어하도록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조건에 따라 디프로스트 도어의 개도량을 다르게 보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모두 최대 난방 상태이고 운전석과 조수석이 모두 전석 플로어 모드인 경우에만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가 온풍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개방 시, 폐쇄 조건인 경우와 비교하여 디프로스트 도어의 개도량을 더 크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축에 공조케이스(110)와의 씰링을 수행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온풍 바이패스 통로의 공기 유입부 반대쪽에 형성되어 공기 통로내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온풍 통로와 전석 플로어 벤트를 구획하는 격벽에 온풍 바이패스 도어의 회전시 스토퍼부를 안착시키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90068470A 2018-08-30 2019-06-11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26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50,659 US11541716B2 (en) 2018-08-30 2019-08-26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E102019123023.3A DE102019123023A1 (de) 2018-08-30 2019-08-28 Klimaanlage für Fahrzeug
CN201910801520.5A CN110871663B (zh) 2018-08-30 2019-08-28 车辆用空调装置
KR1020240026081A KR20240031278A (ko) 2018-08-30 2024-02-22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04 2018-08-30
KR20180102504 2018-08-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6081A Division KR20240031278A (ko) 2018-08-30 2024-02-22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018A true KR20200026018A (ko) 2020-03-10

Family

ID=6980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470A KR20200026018A (ko) 2018-08-30 2019-06-11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60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718B1 (ko) 2012-05-07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718B1 (ko) 2012-05-07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5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0678338B (zh) 车用空调
KR2024003127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5622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521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260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656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34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66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745077B1 (ko) 2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25365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220153083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230054052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1180172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10044979A (ko) 후석 토출구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10977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081639A (ko) 차량 후석 공조장치
KR2024004113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353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154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5047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5050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12766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0027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40078887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