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312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312B1
KR102435312B1 KR1020150139490A KR20150139490A KR102435312B1 KR 102435312 B1 KR102435312 B1 KR 102435312B1 KR 1020150139490 A KR1020150139490 A KR 1020150139490A KR 20150139490 A KR20150139490 A KR 20150139490A KR 102435312 B1 KR102435312 B1 KR 102435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air
flow path
door
defr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813A (ko
Inventor
정재원
유형석
윤서준
이동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3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디프로스트 토출구의 전면에 걸쳐 토출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켜 윈드 쉴드의 포그 방지 및 제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플로어 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과, 상기 페이스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벤트 도어는 상기 가열 수단을 통과한 따뜻한 공기를 디프로스트 벤트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 등의 조건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가 구비된다.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공조케이스(10)와, 송풍기(미도시)와,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조케이스(10)의 입구측에는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17,18)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형성된다. 송풍기는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증발기(2) 및 히터코어(3)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순차로 설치된다. 또한, 온도조절도어(15)는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한다.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를 통과한 냉기 및 온기는 믹싱존(MC)에서 혼합된다.
이 경우, 하나의 모드도어(16)는 디프로스트 벤트(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이고, 다른 모드도어(17)는 페이스 벤트(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페이스 도어이며, 또 다른 모드도어(18)는 플로어벤트(12c,12d)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이다. 또한, 플로어 벤트(12c,12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2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2d)로 분리되어 있다. 아울러,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17,18)는 공조케이스(10)의 외측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게 되면서 냉,온풍유로(P1)(P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각 벤트(12a~12d)로 향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탑승자의 쾌적성을 고려하여 발 쪽으로는 따뜻한 공기를 토출하고 머리 쪽으로는 차가운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히터코어(3)를 지나는 온풍유로(P2)의 가까운 곳에 플로어 토출 유로가 구성된다. 결국, 플로어 벤트(12c,12d) 측으로는 히터코어(3)에 의해 가열된 따뜻한 공기가 더 많이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는 디프로스트 벤트와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가 발생하며 디프로스트 벤트 측으로 차가운 공기가 더 많이 토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난방시 윈드 쉴드에 포그(Fog) 방지 가능이 저하된다. 그 이유는 디프로스트 벤트 측 토출 온도가 높을수록 윈드 쉴드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포그 발생을 억제하는데, 디프로스트 벤트 측 토출 온도가 낮아지면 포그 발생 방지 기능이 현격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디프로스트 벤트 측 토출 온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는,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 측에 온풍 유로와 디프로스트 토출구를 연결하는 바이 패스 가이드를 적용한 것이 있다. 하지만, 세퍼레이터의 설계 특성상 설치 공간의 제약이 따르므로 유로의 중앙에만 가이드를 형성 가능하고, 이로 인해 히터코어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를 디프로스트 벤트 토출구의 가장 자리 측으로 보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 윈드 쉴드의 좌우 방향 가장자리에는 여전히 포그 발생을 방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디프로스트 토출구의 전면에 걸쳐 토출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켜 윈드 쉴드의 포그 방지 및 제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플로어 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과, 상기 페이스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벤트 도어는 상기 가열 수단을 통과한 따뜻한 공기를 디프로스트 벤트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온기를 디프로스트 벤트 측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디프로스트 벤트 측의 토출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켜 윈드 쉴드의 포그 방지 및 제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패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믹스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바이패스부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토출 온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패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의 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이 도어 회전축의 길이 방향, 즉 차량의 좌우 방향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송풍기(미도시)와,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과, 온도조절도어(115) 및 모드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에는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112a), 페이스 벤트(112b) 및 플로어 벤트(112c,112d)를 갖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아울러,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공기 통로가 형성된다. 송풍기는 공기유입구(1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순차로 설치된다. 이 경우, 냉각수단은 증발기(102)로 구성되며, 가열수단은 히터코어(103)로 구성된다.
온도조절도어(115)는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의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모드도어는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벤트(1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116), 페이스 벤트(1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300) 및 플로어 벤트(112c,112d)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118)로 구성된다.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를 통과한 냉기 및 온기는 믹싱존(MC)에서 혼합된다.
상기 벤트 도어(300)는 바이패스부(400)를 구비한다. 바이패스부(400)는 가열 수단을 통과한 따뜻한 공기를 디프로스트 벤트(112a) 측으로 안내한다. 바이패스부(400)는 벤트 도어(300)의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히터코어(103)를 통과한 공기는 바이패스부(400)에 의해 안내되어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 토출된다.
상기 바이패스부(400)는 벤트 도어(300)가 페이스 벤트(112b)를 폐쇄할 때, 가열 수단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 통로인 온풍유로(P2)와 디프로스트 벤트(112a)의 토출 유로를 연결한다. 벤트 도어(300)는 페이스 벤트(112b)의 앞에 그리고 믹싱존(MC)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벤트 도어(300)가 일 방향(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페이스 벤트(112b)를 폐쇄하며, 타 방향(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페이스 벤트(112b)를 개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벤트 모드 시, 플로어 도어(118)는 플로어 벤트(112c,112d)를 폐쇄하고 있고, 벤트 도어(300)는 시계 방향으로 최대 회전되어 디프로스트 벤트(112a)는 폐쇄되며 페이스 벤트(112b)는 개방되어 있다. 증발기(102)를 통과한 냉기와 히터코어(103)를 통과한 온기는 모두 페이스 벤트(112b)를 통해 탑승자의 머리 쪽으로 토출된다. 이때, 벤트 도어(300)의 하단에 구비된 바이패스부(400)는 디프로스트 벤트(112a) 측 뒤로 숨어 유동 공기에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믹스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믹스 모드 시(또는 플로어 모드 시), 플로어 도어(118)는 플로어 벤트(112c,112d)를 개방하고 있고, 벤트 도어(300)는 반시계 방향으로 최대 회전되어 페이스 벤트(112b)는 폐쇄되어 있으며, 디프로스트 도어(116)는 디프로스트 벤트(112a)를 개방하고 있다. 증발기(102)를 통과한 냉기와 히터코어(103)를 통과한 온기는 플로어 벤트(112c,112d)를 통해 탑승자의 발 측으로 토출됨과 아울러 디프로스트 벤트(112a)를 통해 차량의 윈드 쉴드 측으로 토출된다.
이때, 벤트 도어(300)의 하단에 구비된 바이패스부(400)는 온풍유로(P2)와 디프로스트 벤트(112a)의 토출 유로를 연결하여 히터코어(103)를 통과한 온기가 보다 많이 디프로스트 벤트(112a) 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이로 인해, 디프로스트 벤트 측 토출 온도를 상승시켜 윈드 쉴드의 포그 방지 및 제거 기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바이패스부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벤트 도어(300)는 회전축(301)과 상기 회전축(301)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랫부(303)로 구성된다. 바이패스부(400)는 바이패스 유로(410)를 구비한다. 바이패스 유로(410)는 플랫부(303)의 양면 중 페이스 벤트(112b)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 측에 형성된다.
바이패스 유로(410)가 벤트 도어(300)의 양면 중 페이스 벤트(112b) 측의 반대 측에 형성됨에 따라, 벤트 모드와 같이 벤트 도어(300)가 페이스 벤트(112b)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부(400)가 도어 뒤에 숨어 유동 공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아 공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며, 믹스 모드 또는 플로어 모드와 같이 벤트 도어(300)가 페이스 벤트(112b)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부(400)의 바이패스 유로(410)가 온풍유로(P2)와 디프로스트 벤트(112a)의 토출 유로를 연결하여 온기의 가이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바이패스부(400)는 상측 부재(430)와, 하측 부재(440) 및 측면 부재(420)로 구성된다. 상측 부재(430)는 대략 평판 형상을 취하며, 플랫부(303)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하측 부재(440)는 대략 평판 형상을 취하며, 상측 부재(430)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측면 부재(420)는 상측 부재(430)와 하측 부재(440)의 사이를 좌우 방향으로 양측에서 연결 지지한다. 이 경우, 좌우 방향은 벤트 도어(300)의 회전축(301)과 나란한 방향이다.
상기 상측 부재(430), 하측 부재(440) 및 측면 부재(420)의 사이로 바이패스 유로(410)를 형성한다. 상측 부재(430)는 하측 부재(440)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 부재(420)는 도 4의 측면도 상에서 대략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측 부재(430)와 하측 부재(440), 그리고 상측 부재(430)와 하측 부재(440)의 양측을 연결하는 측면 부재(420)를 통해 내측에 그 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바이패스 유로(410)가 형성된다.
또한, 바이패스부(400)를 벤트 도어(300)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310)가 구비된다. 지지 부재(310)는 플랫부(303)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 부재(310)의 하단에 상측 부재(430)가 결합된다. 지지 부재(310)는 벤트 도어(30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별도로 벤트 도어(300)에 체결되는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부재(310)는 플랫부(303)의 단부를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진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지 부재(310)의 경사면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벤트 도어(300)가 페이스 벤트(112b)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유동 공기가 플로어 벤트(112c,112d)로 원활히 유동되도록 저항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온풍유로(P2)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온기가 지지 부재(310)의 하부에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410)로 원활히 진입하도록 하여 온풍 가이드 기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410)는 플랫부(303)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온풍유로(P2)를 통과한 온기는 바이패스 유로(410)를 통해 디프로스트 벤트(112a) 측으로 안내되는데, 바이패스 유로(410)가 플랫부(303)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벤트 도어(300)의 회전각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410)의 방향이 공기 유동 방향과 최대한 나란하게 형성되어, 온기가 유동되는데 있어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온기의 가이드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이패스부(400)는 좌우 방향으로 벤트 도어(300)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좌,우 독립 공조를 수행하기 위한 세퍼레이터(미도시)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플랫부(303)가 한 쌍이 구비되며, 바이패스부(400)도 플랫부(303)와 대응되게 좌우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어 디프로스트 벤트(112a)의 토출구 양측 가장자리로 온기는 고르게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바이패스부(400)는 벤트 도어(300)의 좌우 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체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 부재(420)의 높이는 가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측면 부재(420)의 높이는 바이패스 유로(410)의 상하 높이 폭과 비례한다. 측면 부재(420)의 높이가 높을수록 바이패스 유로(410)의 단면적이 증가하여 온기의 안내양이 늘어나므로 디프로스트 토출구의 온도는 증가하며, 측면 부재(420)의 높이가 낮을수록 바이패스 유로(410)의 단면적이 감소하여 온기의 안내양이 줄어드므로 디프로스트 토출구의 온도는 감소한다.
결국, 바이패스 유로의 높이를 설계 변경함으로써, 차량 공조장치의 사양이 요구하는 플로어-디프로스트 온도차에 적절히 대응되게 구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측면 부재(420)의 높이는 차량 공조 사양별로 바이패스부의 사이즈를 다르게 구성하거나 바이패스부(400)를 벤트 도어(30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그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측면 부재의 높이를 신장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지만, 측면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접이식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바이패스부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토출 온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이패스부를 적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플로어 토출구와 디프로스트 토출구 간의 온도차가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바이패스 유로의 온기 가이드 기능에 따라 디프로스트 토출구 측의 온도가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공조케이스 111 : 공기유입구
112a : 디프로스트 벤트 112b : 페이스 벤트
112c,112d : 플로어 벤트 102 : 증발기
103 : 히터코어 115 : 온도조절도어
116 : 디프로스트 도어 118 : 플로어 도어
300 : 벤트 도어 301 : 회전축
303 : 플랫부 400 : 바이패스부
410 : 바이패스 유로 420 : 측면 부재
430 : 상측 부재 440 : 하측 부재

Claims (8)

  1.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 디프로스트 벤트(112a), 페이스 벤트(112b) 및 플로어 벤트(112c,112d)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과, 페이스 벤트(1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3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트 도어(300)는 상기 가열 수단을 통과한 따뜻한 공기를 디프로스트 벤트(112a)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부(400)는 벤트 도어(300)가 페이스 벤트(112b)를 폐쇄할 때 가열 수단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 통로인 온풍 유로와 디프로스트 벤트(112a)의 토출 유로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벤트 도어(300)는 회전축(301)과 상기 회전축(301)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랫부(303)로 구성되고, 플랫부(303)의 양면 중 페이스 벤트(112b)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 측에 바이패스 유로(410)를 형성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410)는 플랫부(303)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벤트 모드 시 바이패스부(400)가 디프로스트 벤트(112a) 측 뒤로 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400)는:
    플랫부(303)에 지지 부재(310)에 의해 연결되어 플랫부(303)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측 부재(430);
    상기 상측 부재(430)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하측 부재(440); 및
    상기 상측 부재(430)와 하측 부재(440)의 사이를 좌우 방향으로 양측에서 연결 지지하는 측면 부재(420)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부재(430), 하측 부재(440) 및 측면 부재(420)의 사이로 바이패스 유로(4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400)를 벤트 도어(300)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400)는 좌우 방향으로 벤트 도어(300)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삭제
  8.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 디프로스트 벤트(112a), 페이스 벤트(112b) 및 플로어 벤트(112c,112d)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과, 페이스 벤트(1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3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트 도어(300)는 상기 가열 수단을 통과한 따뜻한 공기를 디프로스트 벤트(112a)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부(400)는 벤트 도어(300)가 페이스 벤트(112b)를 폐쇄할 때 가열 수단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 통로인 온풍 유로와 디프로스트 벤트(112a)의 토출 유로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벤트 도어(300)는 회전축(301)과 상기 회전축(301)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랫부(303)로 구성되고, 플랫부(303)의 양면 중 페이스 벤트(112b)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 측에 바이패스 유로(410)를 형성하며,
    상기 바이패스부(400)는: 플랫부(303)에 지지 부재(310)에 의해 연결되어 플랫부(303)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측 부재(430); 상기 상측 부재(430)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하측 부재(440); 및 상기 상측 부재(430)와 하측 부재(440)의 사이를 좌우 방향으로 양측에서 연결 지지하는 측면 부재(420)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부재(430), 하측 부재(440) 및 측면 부재(420)의 사이로 바이패스 유로(410)를 형성하며,
    상기 측면 부재(420)의 높이는 가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50139490A 2015-10-05 2015-10-05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35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490A KR102435312B1 (ko) 2015-10-05 2015-10-05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490A KR102435312B1 (ko) 2015-10-05 2015-10-05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813A KR20170040813A (ko) 2017-04-14
KR102435312B1 true KR102435312B1 (ko) 2022-08-24

Family

ID=5857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490A KR102435312B1 (ko) 2015-10-05 2015-10-0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3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163B1 (ko) * 1996-07-27 2002-12-05 한라공조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JPH10203133A (ja) * 1997-01-27 1998-08-04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1735119B1 (ko) * 2011-08-30 2017-05-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813A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9513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1095372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008122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slotted mode cam
KR20180001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65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99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353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66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823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35184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154171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334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3663B1 (ko) 공조 장치
KR2021010915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65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263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8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567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4839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3665B1 (ko) 자동차용 공조 장치
KR1021585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57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650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40041137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