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181B1 -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181B1
KR101632181B1 KR1020100000450A KR20100000450A KR101632181B1 KR 101632181 B1 KR101632181 B1 KR 101632181B1 KR 1020100000450 A KR1020100000450 A KR 1020100000450A KR 20100000450 A KR20100000450 A KR 20100000450A KR 101632181 B1 KR101632181 B1 KR 10163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emperature
space
control do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291A (ko
Inventor
강성호
서용은
이상기
정환명
윤서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1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 온도의 독립제어시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을 증가시킨 후,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의 온도조절도어 개도를 목표온도에 맞도록 보상제어함으로써, 좌,우 독립 온도 조절시 풍량을 증대함과 동시에 목표온도에 맞게 온도조절도어를 보상제어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목표 온도에 신속하게 도달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온도조절을 하지 않은 좌석은 온도 및 풍량 변화 없이 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 온도의 독립제어시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을 증가시킨 후,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의 온도조절도어 개도를 목표온도에 맞도록 보상제어함으로써, 좌,우 독립 온도 조절시 풍량을 증대함과 동시에 목표온도에 맞게 온도조절도어를 보상제어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목표 온도에 신속하게 도달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온도조절을 하지 않은 좌석은 온도 및 풍량 변화 없이 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블로어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개별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른바 좌,우 독립 공조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28)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27)와 공기토출구(28)를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26a)(26b)가 형성된 공조케이스(20)와, 상기 공기통로(26a)(26b)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의 하류측 공기통로(26a)(26b)를 좌,우 공기통로(26a)(26b)로 구획하는 분리벽(30)과, 상기 공조케이스(20)의 공기유입구(27)측에 설치되는 블로어(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20)는 상기 분리벽(3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케이스로 분할되어 서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25)가 상기 좌,우 공기통로(26a)(26b)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좌,우 공기통로(26a)(26b)의 각 공기토출구(28)에는 다수의 모드도어(24)가 설치되어 해당 공기토출구(28)의 개도를 조절하면서 다양한 공조모드(벤트모드,바이레벨모드,플로어모드,믹스모드,디프로스트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로어(10)는 상부측에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내외기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외기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조케이스(20)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의 전방측에는 상기 블로어(10)에서 상기 공조케이스(20)의 좌,우 공기통로(26a)(26b)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좌,우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나의 풍량조절도어(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좌,우 독립 공조장치(1)는, 상기 블로어(10)에 의하여 공조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된 내기 또는 외기가 증발기(2)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에어컨 ON시), 이 공기는 분리벽(30)에 의하여 좌,우 공기통로(26a)(26b)로 나뉘어 유입된 다음, 히터코어(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열된 후에 각 공기통로(26a)(26b)의 하류에 형성된 각 공기토출구(28)를 통하여 차량 실내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측으로 공급되어서 차량 실내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 공간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20)의 좌,우 공기통로(26a)(26b)상에 각각 설치된 온도조절도어(25)와 상기 증발기(2)의 전방측에 설치된 풍량조절도어(40)의 제어를 통해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풍량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좌,우 독립 공조장치(1)는, 좌,우 독립 온도 조절시 좌,우측 풍량은 변화없이 좌,우측 온도조절도어(25)만 개별 작동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온도를 탑승자가 원하는 목표온도로 조절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원하는 목표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탑승자가 불만족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측 온도의 독립제어시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을 증가시킨 후,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의 온도조절도어 개도를 목표온도에 맞도록 보상제어함으로써, 좌,우 독립 온도 조절시 풍량을 증대함과 동시에 목표온도에 맞게 온도조절도어를 보상제어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목표 온도에 신속하게 도달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온도조절을 하지 않은 좌석은 온도 및 풍량 변화 없이 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좌우측 공간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개별 제어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실내의 좌측 및 우측 공간의 냉,난방 부하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차실내의 좌우측 공간 중에서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을 증가 시키도록 공조장치의 블로어 단수를 증가시켜 풍량을 증가시키되,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낮은 타측 공간의 풍량은 변화가 없도록 상기 블로어 단수 증가시 상기 공조장치의 좌,우 공기통로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풍량조절도어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의 온도조절도어 개도를 목표온도에 맞도록 보상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우측 온도의 독립제어시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을 증가시킨 후,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의 온도조절도어 개도를 목표온도에 맞도록 보상제어함으로써, 좌,우 독립 온도 조절시 풍량을 증대함과 동시에 목표온도에 맞게 온도조절도어를 보상제어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목표 온도에 신속하게 도달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온도조절을 하지 않은 좌석은 온도 및 풍량 변화 없이 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세미 센터 타입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풍량조절도어가 설치된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우측 공간의 온도 개별제어에 따라 우측 공간의 풍량 증가시 풍량조절도어의 작동위치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종래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세미 센터 타입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풍량조절도어가 설치된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우측 공간의 온도 개별제어에 따라 우측 공간의 풍량 증가시 풍량조절도어의 작동위치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0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디프로스트벤트(121), 페이스벤트(122), 플로어벤트(123)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기토출구(120)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120)를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기통로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의 하류측 공기통로를 좌,우 공기통로(106a)(106b)로 구획하는 분리벽(105)과,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측에 출구(16)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서로 분할된 좌,우측케이스(110a)(110b)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1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온도조절도어(130)는 상기 좌,우 공기통로(106a)(106b)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공기통로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01)를 거친후 히터코어(102)를 선택적으로 거친 공기를 차실내의 특정위치와 연통하는 각 덕트(미도시)로 선택적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디프로스트벤트(121), 페이스벤트(122), 플로어벤트(123)에는 다수의 모드도어(124)가 설치되어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로어(10)는 상부측에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내외기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기유입구(미도시) 및 외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으로 송풍하도록 하나의 송풍팬(1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는 상기 블로어(10)의 출구(16)와 연결되도록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서 상기 블로어(10)의 출구(16)측으로 일정길이의 직선구간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내부 공기통로(141)(14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분리벽(105)에 의해 구획된 좌,우 공기통로(106a)(106b)와 직각 방향이 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구(111)는 상기 증발기(101)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증발기(101)와 블로어(10) 사이의 통로 내부에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좌,우 공기통로(106a)(106b)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풍량조절도어(150)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풍량조절도어(150)는 공기유동 통로의 단면적이 균일하여 공기유동이 상대적으로 균일한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내부 통로(141)(142)는 단면적이 균일하여 공기유동이 공조케이스(110)의 다른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균일하고 이로인해 풍량 변화가 없으므로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내부에 풍량조절도어(150)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내부에는 실링벽(140)이 형성되는데, 상기 실링벽(140)은 상기 복수개의 각 풍량조절도어(150)의 사이에 형성되어 각 풍량조절도어(150)의 사이를 구획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실링벽(140)은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풍량조절도어(150)는 총 2개로 구성되며 상기 실링벽(140)에 의해 구획된 공기유입구(111)의 상,하 통로(141)(142)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링벽(140)은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내부에서 상기 풍량조절도어(150)의 작동범위에 맞게 형성되며, 이때, 상기 실링벽(140)은 상기 복수개의 풍량조절도어(150)가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상,하 통로(141)(142)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때 상기 상,하 통로(141)(142)간에 공기의 리크(Leak)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풍량조절도어(150)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상,하측면에 각각 설치된 액츄에이터(155)를 통해 독립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풍량조절도어(150)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상,하 통로(141)(142)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151)과, 상기 회전축(151)의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블로어(10)의 출구(16)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상,하 통로(141)(142)의 좌,우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1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상,하 통로(141)(142)에 각각 설치된 풍량조절도어(150)의 회전축(151) 일단부는 각각 공기유입구(111)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155)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풍량조절도어(150)와 상기 증발기(101)의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101)의 상류측 공기통로(161)(162)를 좌,우로 구획하는 보조분리벽(160)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분리벽(160)의 선단부는 상기 풍량조절도어(150)의 회전축(151) 후방측에 인접하게 되고, 보조분리벽(160)의 후단부는 상기 증발기(101)측으로 절곡되어 증발기(101)의 전방면에 인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01)의 전방면에 인접한 보조분리벽(160)의 후단부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분리벽(105)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풍량조절도어(150)를 통해 좌,우 풍량이 조절되어 유입되는 공기는 풍량조절도어(150)와 증발기(101) 사이에 형성된 상기 보조분리벽(160)을 통해 완전히 좌,우로 분리되므로, 상기 풍량조절도어(150)에 의해 분리 조절되어 공조케이스(110)의 좌,우 공기통로(106a)(106b)로 유입될 때까지 좌,우측 공기의 혼합이 방지되고 이로인해 완벽한 좌,우 풍량조절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벽(140)을 통해 구획된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상,하 통로(141)(142)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게 설치된 2개의 풍량조절도어(150)가 상기 보조분리벽(160)의 좌,우 통로(161)(162)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1개의 풍량조절도어(150)로 좌,우 풍량을 조절하는 경우 보다 더욱 미세한 좌,우 풍량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유동 통로의 단면적이 균일하여 공기유동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고 이로인해 풍량 변화가 없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내부에 풍량조절도어(150)를 설치함으로써 정확한 좌,우 풍량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풍량조절도어(150)를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상기 복수개의 풍량조절도어(150)를 상기 블로어(10)의 출구(16)측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공기유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모드로써 냉방모드(도2참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블로어(10)의 작동으로 블로어(10)의 출구(16)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구(111)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실링판(140)에 의해 공기유입구(111)의 상,하 통로(141)(142)로 분리되어 유입되고, 이 공기는 상기 상,하 통로(141)(142)상에 설치된 2개의 풍량조절도어(150)에 의해 좌,우 풍량이 조절되게 되며, 좌,우 풍량이 조절된 공기는 상기 보조분리벽(160)에 의해 좌,우측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차가운 공기로 바뀌게 되며, 상기 증발기(101)에서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분리벽(105)에 의해 상기 좌측 공기통로(106a)와 우측 공기통로(106b)로 배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측 공기통로(106a)와 우측 공기통로(106b)로 배분되는 공기는 상기 풍량조절도어(150)를 통해 좌,우 풍량이 조절된 공기가 계속 분리된 상태로 배분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여 차갑게 바뀐 공기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3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한 후, 상기 모드도어(124)에 의해 개방된 벤트(121)(122)(123)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을 냉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과정에서 상기 공기유입구(111)에 개별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풍량조절도어(150)와, 상기 분리벽(105)의 좌,우측에 개별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온도조절도어(130) 및 모드도어(124)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하면 운전석과 조수석을 탑승자가 원하는 풍량,온도,공조모드로 독립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실내의 좌측 공간(운전석측)과 우측 공간(조수석측)의 탑승자가 온도조절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좌,우측 온도를 독립제어하게 되면,
차실내의 좌측 공간(운전석측) 및 우측 공간(조수석측)의 냉,난방 부하를 판단하는 제1단계(S10)를 진행한다.
일예로, 여름철(외기온도 보다 목표온도가 낮을때) 냉방 가동중에 조수석 탑승자가 조수석측 온도를 더욱 낮추게 되면 조수석측에 냉방 부하가 높아지게 되며, 겨울철(외기온도 보다 목표온도가 높을때) 난방 가동중에 조수석 탑승자가 조수석측 온도를 더욱 높이게 되면 조수석측에 난방 부하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단계(S10)를 통해 좌,우측 공간 중에서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을 증가 시키도록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제2단계(S20)를 진행한다.
즉, 여름철에 탑승자가 좌측 공간의 온도를 낮추게 되면, 좌측 온도조절도어(130)가 개별작동하여 좌측 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우측 보다 냉방 부하가 더 높아지게 되고 이때 우측 공간의 온도는 현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여름철에 탑승자가 우측 공간의 온도를 낮추게 되면, 우측 온도조절도어(130)가 개별작동하여 우측 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좌측 보다 냉방 부하가 더 높아지게 되고 이때 좌측 공간의 온도는 현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겨울철에 탑승자가 좌측 공간의 온도를 높이게 되면, 좌측 온도조절도어(130)가 개별작동하여 좌측 공간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우측 보다 난방 부하가 더 높아지게 되고 이때 우측 공간의 온도는 현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겨울철에 탑승자가 우측 공간의 온도를 높이게 되면, 우측 온도조절도어(130)가 개별작동하여 우측 공간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좌측 보다 난방 부하가 더 높아지게 되고 이때 좌측 공간의 온도는 현상태로 유지된다.
이처럼, 제2단계(S20)에서는 좌측 공간(운전석측)과 우측 공간(조수석측) 중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을 증가 시키도록 공조장치를 제어하게 되는데, 즉, 공조장치의 블로어(10) 단수를 증가시켜 풍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단계(S20)에서는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낮은 타측 공간의 풍량은 변화가 없도록, 상기 블로어(10) 단수 증가시 상기 풍량조절도어(150)의 개도를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낮은 타측 공간측(상대적으로 풍량이 적은 측)으로 제어하게 된다.
일예로, 여름철에 우측(조수석측) 탑승자가 우측 공간의 온도를 낮추게 되면 우측 공간의 냉방 부하가 높아지게 되므로 풍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블로어(10) 단수가 증가되는데, 이때 우측 탑승자는 풍량 증가 및 제3단계(S30)의 온도조절도어(130) 보상제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온도에 신속하게 도달하므로 만족하게 되지만, 좌측 탑승자는 현상태를 만족하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블로어(10) 단수가 증가되어 풍량이 증가되므로 불쾌감을 가질수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상기 풍량조절도어(150)의 위치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좌측 통로(161)를 일정량 닫아(막아) 풍량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온도조절을 하지 않은 좌측은 풍량변화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제2단계(S20)에서는 좌측 공간(운전석측)과 우측 공간(조수석측) 중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만 증가 시키도록 블로어(10) 단수를 증가시키되, 블로어(10) 단수를 증가시키더라도 타측 공간은 풍량변화가 없도록 풍량조절도어(150)의 위치(개도)를 제어하여 보조분리벽(160)에 의해 구획된 타측 공간측 통로를 일정량 막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2단계(S20)를 수행한 후,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의 온도조절도어(130) 개도를 목표온도에 맞도록 보상제어하는 제3단계(S30)를 진행한다.
즉, 난방 가동중에 풍량을 증가시키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냉방 가동중에 풍량을 증가시키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3단계(S30)에서는 풍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온도 차이를 목표온도에 맞도록 온도조절도어(130)를 보상제어하여 토출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냉방 가동중에 온도조절도어(130)의 위치를 보상제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일예로 우측 탑승자가 개별 온도제어를 통해 우측 공간의 온도를 좌측 공간의 온도 보다 낮게 설정하게 되면, 종래의 경우 단순히 우측 온도조절도어(130)가 "a" 위치로 이동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우측 공간의 냉방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이므로 우측 공간의 풍량이 증가되고, 이때 풍량이 증가됨에 따라 상승하는 온도차이 만큼 보상하도록 우측 온도조절도어(130)를 최대냉방쪽 방향으로 "b"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제3단계(S30)에서는, 냉방 가동시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에 대응되는 온도조절도어(130)의 개도를 냉풍 증가방향으로 보상제어하고, 난방 가동시에는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에 대응되는 온도조절도어(130)의 개도를 온풍 증가방향으로 보상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별 온도제어를 통해 목표온도를 설정한 탑승자측으로는 풍량 증가와 동시에 온도조절도어(130)의 보상제어를 통해 목표온도에 맞는 공기가 토출됨으로써, 탑승자가 원하는 목표온도에 신속하게 도달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온도조절을 하지 않은 좌석은 온도 및 풍량 변화 없이 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차량의 컨트롤러(미도시)에는 별도의 풍량조절스위치 없이 좌,우측 온도조절스위치를 통해 좌,우측 공간의 온도만 개별 조절하여도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온도조절도어(130)와 풍량조절도어(150)가 동시에 작동하여 탑승자가 요구하는 목표온도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컨트롤러에 온도조절스위치와 함께 풍량조절스위치가 설치된 경우, 좌,우측 공간의 풍량만 개별 조절하여도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조절도어(150)와 온도조절도어(130)가 동시에 작동하여 탑승자가 요구하는 목표온도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05: 분리벽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20: 공기토출구 124: 모드도어
130: 온도조절도어 140: 실링벽
150: 풍량조절도어 151: 회전축
152: 플레이트 160: 보조분리벽

Claims (4)

  1. 차량 실내의 좌우측 공간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개별 제어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실내의 좌측 및 우측 공간의 냉,난방 부하를 판단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제1단계(S10)를 통해 차실내의 좌우측 공간 중에서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높은 일측 공간의 풍량만 증가 시키도록 공조장치의 블로어(10) 단수를 증가시켜 풍량을 증가시키되, 상대적으로 냉,난방 부하가 낮은 타측 공간의 풍량은 변화가 없도록 상기 블로어(10) 단수 증가시 상기 공조장치의 좌,우 공기통로(106a)(106b)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풍량조절도어(150)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2단계(S20) 수행 후,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의 온도조절도어(130) 개도를 목표온도에 맞도록 보상 제어하는 제3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단계(S30)는, 난방 가동시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에 대응되는 온도조절도어(130)의 개도를 온풍 증가방향으로 보상제어하고, 냉방 가동시 풍량이 증가된 일측 공간에 대응되는 온도조절도어(130)의 개도를 냉풍 증가방향으로 보상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00450A 2010-01-05 2010-01-05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63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450A KR101632181B1 (ko) 2010-01-05 2010-01-05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450A KR101632181B1 (ko) 2010-01-05 2010-01-05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291A KR20110080291A (ko) 2011-07-13
KR101632181B1 true KR101632181B1 (ko) 2016-06-21

Family

ID=4491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450A KR101632181B1 (ko) 2010-01-05 2010-01-05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6004492A2 (pt) * 2012-08-30 2023-09-26 Volvo Truck Corp metodo e veiculo para operar um sistema de ar condicionado em veiculo
KR102171923B1 (ko) * 2015-01-19 2020-11-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73681B1 (ko) * 2015-01-29 2020-11-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59696B1 (ko) 2015-02-10 2022-10-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WO2016129832A1 (ko) * 2015-02-10 2016-08-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244A (ja) 1999-01-18 2000-07-25 Denso Corp 空調装置
JP2002219923A (ja) 2001-01-26 2002-08-06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826549B2 (ja) 1998-03-12 2006-09-27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2349B2 (ja) * 1996-03-14 2003-08-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6549B2 (ja) 1998-03-12 2006-09-27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JP2000203244A (ja) 1999-01-18 2000-07-25 Denso Corp 空調装置
JP2002219923A (ja) 2001-01-26 2002-08-06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291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712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US991957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67044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US20100043470A1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10103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632181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CN110997368A (zh) 车用空调
KR101492146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9070684B (zh) 车用空调
KR20070068566A (ko)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
KR201000658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448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0697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050111251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09484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759794B1 (ko) 좌,우 독립 제어 방식의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145063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8993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29212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9976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861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810822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