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696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696B1
KR102459696B1 KR1020160009789A KR20160009789A KR102459696B1 KR 102459696 B1 KR102459696 B1 KR 102459696B1 KR 1020160009789 A KR1020160009789 A KR 1020160009789A KR 20160009789 A KR20160009789 A KR 20160009789A KR 102459696 B1 KR102459696 B1 KR 10245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olume
stages
maximum
maximum ai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971A (ko
Inventor
최의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03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000542B/zh
Priority to US15/548,949 priority patent/US10723197B2/en
Priority to PCT/KR2016/000901 priority patent/WO2016129832A1/ko
Publication of KR2016009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19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left and right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실내의 복수 영역을 각각 독립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고, 또한 이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의 복수의 영역을 각각 독립적으로 냉,난방 제어하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면, 최대풍량 제어모드로 진입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從屬)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실내의 복수 영역을 각각 독립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고, 또한 이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고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 각 영역의 해당 스위치들을 일일이 반복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실내의 복수 영역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공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차실내의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하는 듀얼 존 타입(Dual Zone Type) 공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듀얼 존 타입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를 형성하고, 형성된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를 통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한다.
그리고 듀얼 존 타입 공조장치는,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풍량배분도어(20)를 더 갖추고 있다.
풍량배분도어(20)는,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로 도입되는 블로어(30)의 풍량을 배분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풍량"을 제어한다.
한편, 듀얼 존 타입 공조장치는, 풍량배분도어(20)와 블로어(30)를 서로 유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조절한다.
특히, 사용자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온도"를 각각 설정하거나 또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각각 수동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온도" 또는 "토출풍량단수"에 맞춰서 운전석,조수석측통로(14, 16)에 대한 풍량배분도어(20)의 "개도위치"와, 블로어(30)의 회전속도를 서로 유기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설정온도" 또는 "설정토출풍량단수"에 맞춰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설정온도"별,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별, 풍량배분도어(20)의 "개도위치"와 블로어(30)의 회전속도가 미리 "테이블값"으로 각각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온도를 각각 설정하거나 또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각각 수동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온도" 또는 "토출풍량단수"에 대한 풍량배분도어(20)의 "개도위치"와, 블로어(30)의 회전속도를 "테이블값"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테이블값"에 따라 풍량배분도어(20)의 "개도위치"와 블로어(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이로써,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설정온도" 또는 "설정토출풍량단수"에 맞춰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듀얼 존 타입 공조장치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을 각각 독립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성이 다소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고자 할 경우, 양쪽의 "토출풍량단수 조작스위치"를 모두 "토출풍량단수"로 조작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사용하기가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차실내의 온도가 매우 높거나 낮을 시에, 사용자가 차실내의 온도를 "최대냉방(Max Cool)" 또는 "최대난방(Max Warm)"으로 제어할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이 독립적으로 냉,난방되고 있는 상태이면,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을 선택한 부분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의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대냉,난방을 선택하지 않은 부분을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최대냉,난방을 선택하지 않은 부분의 해당 "스위치"를 일일이 조작해야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많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한쪽부분만 최대냉,난방으로 선택해도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한쪽부분만 최대냉,난방으로 선택해도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최대냉,난방 선택 시에, 최대냉,난방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복수의 영역을 각각 독립적으로 냉,난방 제어하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면, 최대풍량 제어모드로 진입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從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후,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종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의 해제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들 중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진 어느 하나의 토출풍량단수가,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主體)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그 여부에 따라 종속 제어하는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를 각기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의 해제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들 중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진 어느 하나의 토출풍량단수가,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일 시에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의 해제 시에,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로 작용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조작한 토출풍량단수 값대로 제어하고,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이전의 원래 토출풍량단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의 해제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들 중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진 어느 하나의 토출풍량단수가,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가 아닐 시에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의 해제 시에,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로 작용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최대풍량단수로부터 1단만 하강시키고,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조작한 토출풍량단수 값대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될 시에, 최대풍량 제어모드로 진입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하고;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후,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종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자동제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될 시에, 최대풍량 제어모드로 진입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최대냉방(Max Cool) 또는 최대난방(Max Warm)로 자동온도제어(FATC)되면,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로 진입하면서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으로 제어된 해당 영역의 토출풍량단수와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후, 상기 각 영역 중 어느 하나의 공조모드가 오토모드로 선택될 시에,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그 여부에 따라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의 오토모드 진입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영역의 공조모드 중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일 시에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의 오토모드 진입을 허용하고; 상기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가 아닐 시에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의 해제 및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의 오토모드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어느 하나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면, 나머지 다른 하나도 "최대풍량단수"로 자동 제어되는 구조이므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모두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기 위해 "해당 스위치"들 각각을 일일이 조작할 필요없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한쪽부분만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으로 선택되어도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최대냉,난방 선택 시에, 최대냉,난방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에서, 어느 하나를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제어하면, 나머지 것도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자동 제어되는 구조이므로, 단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최대풍량 제어모드"를 해제시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시에,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된 경우, "최대풍량 제어모드"로부터 해제될 시에,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전의 "토출풍량단수"를 회복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최대풍량 제어모드" 해제 시에, "해당 스위치"의 반복적인 조작없이도 "최대풍량 제어모드" 진입 전의 "토출풍량단수"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과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듀얼 존 타입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듀얼 존 타입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를 형성하고, 형성된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를 통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듀얼 존 타입 공조장치는,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풍량배분도어(20)를 더 갖추고 있다.
풍량배분도어(20)는,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운전석측통로(14)와 조수석측통로(16)로 도입되는 블로어(30)의 풍량을 배분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풍량"을 제어한다.
한편, 듀얼 존 타입 공조장치는, 풍량배분도어(20)와 블로어(30)를 서로 유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조절한다.
특히, 사용자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온도"를 각각 설정하거나 또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각각 수동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온도" 또는 "토출풍량단수"에 맞춰서 풍량배분도어(20)의 "개도위치"와 블로어(30)의 회전속도를 서로 유기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설정온도" 또는 "설정토출풍량단수"에 맞춰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면,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한다.
그리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한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제어한 어느 하나의 "토출풍량단수" 뿐만 아니라, 나머지 다른 하나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從屬) 제어한다.
예를 들면, "최대풍량단수"가 "8단"일 경우,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사용자가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8단"으로 제어하면,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하면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뿐만이 아니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도 동시에 "8단"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면,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게 한다.
이로써,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기 위해, 양쪽의 "토출풍량단수 조작스위치"들을 모두 "토출풍량단수"로 조작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킨다.
한편,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온도" 중 어느 하나를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이하에서는, "최대냉방"을 일례로하여 설명한다)으로 제어할 경우에도,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하면서 "최대냉방"을 선택한 부분을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할 뿐만 아니라, "최대냉방"을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부분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어느 하나가 "최대냉방"로 제어되면,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게 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최대냉방 선택 시에, 최대냉방의 효과를 상승시킨다. 그 결과, 차실내의 쾌적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온도" 중 어느 하나가 "최대냉방"으로 자동온도제어(FATC)될 경우에도,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하면서 "최대냉방"을 선택한 부분을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할 뿐만 아니라, "최대냉방"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제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지면,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풍량배분도어(20)와 블로어(30)를 제어하여, "수동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춰줌과 아울러, "수동제어"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동시에 낮춰준다.
따라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지면,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춰준다.
이로써, 단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최대풍량 제어모드(42)"를 해제시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단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최대풍량 제어모드(42)"를 해제시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준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질 시에,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춰주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진 것이,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시에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이끈 "주체(主體)"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진 것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이끈 "주체"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의 해제 시에,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수동조작한 "토출풍량단수"값대로 제어하고,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에 의해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의 원래 "토출풍량단수"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의 경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해제 시에, 단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전의 "토출풍량단수"로 회복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최대풍량 제어모드(42)" 해제 시에,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전의 "토출풍량단수"를 복원시키기 위해서 해당 "토출풍량단수 조작스위치"를 반복적으로 눌러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질 시에,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춰주되,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진 것이,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이끈 "주체"가 아닌 것으로 확인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최대풍량단수"로부터 "1단"만 하강시키고,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에 의해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수동조작한 "토출풍량단수"값대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공조모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오토모드(Auto Mod)"로 선택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시에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이끈 "주체"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여부에 따라 "최대풍량 제어모드(42)"의 해제를 결정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공조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이끈 "주체"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풍량배분도어(20)와 블로어(30)를 제어하여,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각 "토출풍량단수"를 제어한다.
이때,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오토모드"에 의거하여 "자동제어"된다. 이에 반해,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에 의해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종속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의 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종속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에 "수동"으로 제어되었을 시에는, 원래의 "수동제어"값대로 복귀되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에 "자동"으로 제어되었을 시에는, 원래의 "자동제어"값대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오토모드 선택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제어
오토모드 ( Auto Mode ) 선택 구 분
진입 주체측 토출풍량단수 진입 종속측 토출풍량단수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측
자동제어 수동 수동제어
자동 자동제어


최대풍량단수
진입 종속측

최대풍량단수

최대풍량단수
해제불가(오토모드 불가)
최대풍량단수
해제불가(오토모드 불가),
오토모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온(ON)

최대풍량단수 미만
수동제어
또는
자동제어

자동제어
한편,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공조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이끈 "주체"가 아니고, "종속"측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40)는,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최대풍량단수"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는 한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될 수 없다. 그 결과,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최대풍량단수"로부터 해제시킬 수도 없고, "공조모드"를 "오토모드"로 제어할 수도 없다.
다만, "종속제어"된 부분이 "오토모드"로 선택된 상태에서,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사용자가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수동제어"하거나 또는, "오토모드"의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자동제어"될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비록 "종속제어"된 것일 지라도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다.
이때,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풍량배분도어(20)와 블로어(30)를 제어하여,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각 "토출풍량단수"를 제어한다.
특히,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선택한 "수동모드" 또는 "오토모드"에 의거하여 "수동" 또는 "자동제어"된다.
그리고, "최대풍량단수"로 "종속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오토모드"에 의거하여 "자동제어"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어부(40)는,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최대풍량단수"를 유지한 상태에서, "최대풍량단수"로 "종속제어"된 부분을 사용자가 "오토모드"로 선택할 시에, "오토모드"로의 진입을 원천적으로 제한(制限)한다.
그러나, 이 경우 "오토모드"로 선택한 "종속제어" 부분의 해당 오토모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인디케이터(Indicator)(도시하지 않음)는 점등(點燈)(ON)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이후, 사용자가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수동" 또는 "자동" 제어할 시에, 곧바로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되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오토모드"에 맞춰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는 지를 판단한다(S103).
예를 들면, "최대풍량단수"가 "8단"일 경우,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8단"으로 제어되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8단)"로 제어되었으면, 제어부(40)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한다(S105).
그리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한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8단)"로 제어한다(S107).
한편,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상태에서,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지는 지를 다시 판단한다(S109).
예를 들면,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8단)"에서 "7단"으로 낮아지는 지를 다시 판단한다.
판단 결과,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8단)"에서 "7단"으로 낮아지면, 제어부(40)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다(S111).
그리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최대풍량단수(8단)"에서 "7단"으로 낮아진 것이,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시에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8단)"로 이끈 "주체"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3).
예를 들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최대풍량단수(8단)"로 제어함에 따라,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들 모두가 "최대풍량단수(8단)"로 제어된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최대풍량단수(8단)"에서 "7단"으로 낮아진 것이, "최대풍량단수(8단)" 진입 주체인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최대풍량단수(8단)"에서 "7단"으로 낮아진 것이, "최대풍량단수(8단)" 진입 주체, 즉,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에 의해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된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의 원래 "토출풍량단수"로 복귀시킨다(S115).
예를 들면,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의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4단"일 경우, 원래 "4단"으로 복귀시킨다.
그러면,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된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단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전의 "토출풍량단수"로 복원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한편, (S113) 단계에서, "최대풍량단수(8단)"에서 "7단"으로 낮아진 것이, "최대풍량단수(8단)" 진입 주체, 즉,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S113-1),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에 의해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된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최대풍량단수(8단)"로부터 "1단"만 하강시킨다(S117).
그러면,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된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최대풍량단수(8단)"로부터 "7단"으로 하강하고, 이렇게 하강된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토출풍량이 저하되면서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시, 도 3를 참조하면, (S103) 단계에서, 판단 결과,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8단)"로 제어되지 않았으면(S103-1), 즉,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가 "최대풍량단수(8단)"로 제어되지 않았으면,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수동제어에 의해 또는 자동제어에 의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으로 제어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19).
판단 결과,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어느 하나가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으로 제어되었으면, 제어부(40)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한다(S105).
그리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한 제어부(40)는, 상기 (S107), (S109), (S111), (S113), (S115), (S117) 단계를 거치면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제어한다.
다시,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S109) 단계에서, 판단 결과,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어느 하나도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지지 않았으면(S109-1),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어느 하나의 "공조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오토모드"로 선택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21).
판단 결과,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어느 하나의 "공조모드"가 "오토모드"로 선택되었으면, 제어부(40)는,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시에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이끈 "주체"인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123).
예를 들면,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최대풍량단수(8단)"로 제어함에 따라,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최대풍량단수(8단) 진입 주체"가 운전석부분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최대풍량단수(8단) 진입 주체"인 운전석부분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최대풍량단수(8단) 진입 주체"인 것으로 확인되면, 즉, 운전석부분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다(S125).
그리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오토모드"에 의거하여 "자동제어"하고, "종속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킨다(S127).
이때, "종속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에 "수동"으로 제어되었던 경우에는, 원래의 "수동제어"값대로 복귀시키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에 "자동"으로 제어되었던 경우에는, 원래의 "자동제어"값대로 복귀시킨다.
한편, (S123) 단계에서,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최대풍량단수(8단) 진입 주체", 즉, 운전석부분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S123-1), 제어부(40)는,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최대풍량단수(8단) 진입 종속측", 즉, 조수석부분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일단 조수석부분의 해당 오토모드 스위치의 인디케이터를 온(ON)시킨다(S129).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40)는, "최대풍량단수(8단) 진입 주체"측의 "토출풍량단수", 즉,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사용자의 "자동" 또는 "수동"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8단)" 미만으로 저하되었지를 다시 판단한다(S131).
판단 결과, "최대풍량단수(8단)" 미만으로 저하되지 않았으면(S131-1), 제어부(40)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를 계속해서 유지한다(S133). 이로써,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계속해서 "최대풍량단수(8)"로 제어한다.
이와는 반대로, 판단 결과, "최대풍량단수(8단)" 미만으로 저하되었으면(S131-2), 제어부(40)는,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다(S135)
그리고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최대풍량단수 진입 주체"로 작용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선택한 대로 "수동제어" 또는 "자동제어"하고, "종속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오토모드"에 의거하여 "자동제어"한다(S137).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어느 하나만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면, 나머지 다른 하나도 "최대풍량단수"로 자동 제어되는 구조이므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모두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기 위해 "해당 스위치"들 각각을 일일이 조작할 필요없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중 한쪽부분만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으로 선택되어도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최대냉,난방 선택 시에, 최대냉,난방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모두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에서, 어느 하나를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제어하면, 나머지 것도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자동 제어되는 구조이므로, 단 한번의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최대풍량 제어모드(42)"를 해제시켜 운전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와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시에, 원치않게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된 경우,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될 시에,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전의 "토출풍량단수"를 회복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최대풍량 제어모드(42)" 해제 시에, "해당 스위치"의 반복적인 조작없이도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전의 "토출풍량단수"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가 자동제어될 경우에도,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면,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하면서 나머지 다른 하나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차실내가 "2 존"(Zone)으로 구분된 경우, 즉, 차실내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으로 구분된 경우를 일례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실내가 "3 존"이나, "4 존"으로 구분된 경우, 즉,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으로 구분된 경우나,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좌측부분"과 "후석우측부분"으로 구분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10: 공조케이스(Case) 14: 운전석측통로
16: 조수석측통로 20: 풍량배분도어(Door)
30: 블로어(Blower) 40: 제어부
42: 최대풍량 제어모드(Mode)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차실내의 복수의 영역을 각각 독립적으로 냉,난방 제어하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되면,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從屬)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후,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종속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의 해제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들 중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진 어느 하나의 토출풍량단수가,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主體)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그 여부에 따라 종속 제어하는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를 각기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의 해제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들 중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진 어느 하나의 토출풍량단수가,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일 시에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의 해제 시에,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로 작용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조작한 토출풍량단수 값대로 제어하고,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된 부분의 토출풍량단수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이전의 원래 토출풍량단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의 해제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들 중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진 어느 하나의 토출풍량단수가,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가 아닐 시에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의 해제 시에,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로 작용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최대풍량단수로부터 1단만 하강시키고,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가 조작한 토출풍량단수 값대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될 시에,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하고;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후,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종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자동제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제어될 시에,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하면서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도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최대냉방(Max Cool) 또는 최대난방(Max Warm)로 자동온도제어(FATC)되면,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 진입하면서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으로 제어된 해당 영역의 토출풍량단수와 나머지 다른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후, 상기 각 영역 중 어느 하나의 공조모드가 오토모드로 선택될 시에,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진입 시에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그 여부에 따라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의 오토모드 진입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영역의 공조모드 중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일 시에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의 오토모드 진입을 허용하고;
    상기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가 아닐 시에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의 해제 및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의 오토모드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영역의 공조모드 중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일 시에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로 작용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선택된 오토모드에 의거하여 자동제어하고;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제어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를,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제어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킬 시에,
    상기 종속 제어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가,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제어 이전에 수동으로 제어되었을 시에는, 원래의 수동제어 값대로 복귀되고,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 제어 이전에 자동으로 제어되었을 시에는, 원래의 자동제어 값대로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영역의 공조모드 중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가 아닐 시에,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의 오토모드의 진입을 차단하더라도,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의 해당 오토모드 스위치의 인디케이터(Indicator)는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영역의 공조모드 중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이, 상기 각 영역의 토출풍량단수 모두를 최대풍량단수로 제어한 주체가 아닐 시라도,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로 작용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를, 사용자가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수동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토모드 선택에 의해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자동제어될 경우에 한해서는,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의 해제 및 상기 오토모드로 선택된 것의 오토모드의 진입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영역의 공조모드 중,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가 아닌 것이 오토모드로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로 작용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가 최대풍량단수 미만으로 수동 또는 자동제어될 경우,
    상기 최대풍량 제어모드(42)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로 작용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모드 또는 오토모드에 의거하여 수동 또는 자동제어하고,
    상기 최대풍량단수 제어 주체에 의해 최대풍량단수로 종속 제어된 영역의 토출풍량단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토모드에 의거하여 자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제 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역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 총 2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7. 제 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역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부분, 총 3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8. 제 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실내의 각 영역은, 운전석부분과 조수석부분과 후석좌측부분과 후석우측부분, 총 4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60009789A 2015-02-10 2016-01-27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5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03996.9A CN107000542B (zh) 2015-02-10 2016-01-28 用于机动车辆的空气调节装置
US15/548,949 US10723197B2 (en) 2015-02-10 2016-01-28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PCT/KR2016/000901 WO2016129832A1 (ko) 2015-02-10 2016-01-28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0062 2015-02-10
KR1020150020062 2015-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971A KR20160098971A (ko) 2016-08-19
KR102459696B1 true KR102459696B1 (ko) 2022-10-31

Family

ID=5687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789A KR102459696B1 (ko) 2015-02-10 2016-01-2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23197B2 (ko)
KR (1) KR102459696B1 (ko)
CN (1) CN1070005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3652B (zh) * 2016-09-29 2021-06-0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开关位置的调整方法以及车辆用操作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715A (ja) * 2001-12-12 2003-06-2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12206716A (ja) 2011-03-29 2012-10-25 Denso Internatl America Inc マルチブロワユニットのためのhvac制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313A (ja) * 1984-07-25 1986-02-17 Diesel Kiki Co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US4759269A (en) * 1986-12-22 1988-07-26 Ford Motor Company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JP3757510B2 (ja) 1997-01-08 200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442597B1 (ko) 2008-09-05 2014-09-2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520324B1 (ko) 2009-01-23 2015-05-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KR101632181B1 (ko) 2010-01-05 2016-06-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767038B1 (ko) 2011-04-05 2017-08-14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DE112012004590B4 (de) * 2011-11-02 2020-10-29 Denso Corp. 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e Klimaanlage
CN204020477U (zh) * 2014-07-15 2014-12-17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空调器和具有其的车辆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715A (ja) * 2001-12-12 2003-06-2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12206716A (ja) 2011-03-29 2012-10-25 Denso Internatl America Inc マルチブロワユニットのためのhvac制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0542A (zh) 2017-08-01
US20180022183A1 (en) 2018-01-25
KR20160098971A (ko) 2016-08-19
CN107000542B (zh) 2020-05-22
US10723197B2 (en)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015B2 (en) Vehicle comfort system with efficient coordination of complementary thermal units
US6928829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seat air conditioning unit
US20060219699A1 (en) Method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a motor vehicle seat
CN105324272A (zh) 交通工具用制热系统
KR1024596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2218466A (ja) 空調装置
CN106467004B (zh) 用于禁用车辆的各个座椅的脚部空间区域通风的方法和用于实施方法的装置
US20030056527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US20200282798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seat having comfort-optimized operation by means of appropriate switching of the seat ventilation system
CN108215705B (zh) 用于大型车辆的多区域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701740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arting an air exchange operation
KR102633946B1 (ko) 차량의 공조장치와 연계된 사용자 체온 보조 시스템
KR1021736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296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3062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943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150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1021674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65889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325205B1 (ko) 차량의 공기 조화 제어 방법
KR20080100567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제어장치
KR102295429B1 (ko) 차량용 4존 hvac의 풍량 제어를 위한 풍량 산출 방법
KR1021719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0518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8005057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