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526B1 -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526B1
KR950007526B1 KR1019890008381A KR890008381A KR950007526B1 KR 950007526 B1 KR950007526 B1 KR 950007526B1 KR 1019890008381 A KR1019890008381 A KR 1019890008381A KR 890008381 A KR890008381 A KR 890008381A KR 950007526 B1 KR950007526 B1 KR 95000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heet material
image forming
discharg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474A (ko
Inventor
유다까 기꾸찌
세이지 사가라
유우조오 이소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496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39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4966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3179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4966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57650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10Selective handling processes
    • B65H2301/13Relative to size or orientation of the material
    • B65H2301/133Face-up or face-down handling m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1General use over the entire feeding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92Manual input t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1Discharging tray, e.g. devices stabilising the quality of the copy medium, postfixing-treatment, inverting, s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4Openable part of feed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종래의 프린터의 종단측면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각각 본 발명 장치의 구성 모델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프린터의종단측면도.
제5도는 제4도 프린터의 정면쪽 사시도.
제6도는 프린터 앞 커버를 열어 눕혀서 프린터 내부를 개방항 상태의 종단측면도.
제7도는 제2급지부로서의 급지 트레이를 프린터 앞커버를 바깥쪽으로 눕혀 열고 서브트레이를 인출한 상태의 프린터 정면쪽의 사시도.
제8도는 다시 제2의 배지부로서의 착탈가능한 배지트레이를 장착한 상태의 프린터의 종단측면도.
제9a 및 제9b도는 각각 가동플래퍼를 제1자세 및 제2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확대측면도.
제10도는 시트재 1매 분리 급송조립체에 있어서 습지 로울러와 분리 패드에 의해 적재시트재가 1매 분리급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11a도는 제2급비부로서의 개폐급지트레이의 닫음(접어넣음)에 연동하여 가동플래퍼가 제1자세로 전환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이며,
제11b도는 착탈식 배지트레이의 장착에 연동하여 가동플래퍼가 제2자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12a도는 변형예를 도시하며, 제1의 급지부로서의 개폐급지트레이의 닫음(접어넣음)에 연동하여 가동플래퍼가 제1자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며,
제12b도는 급지트레이가 열렸을때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이며,
제12c도는 착탈식 배지트레이의 장착에 연동하여 가동플래퍼가 제2자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3도는 다른 실시예 프린터의 종단측면도이며,
제13a도는 급지트레이가 열려 세워진 상태.
제13b도는 닫혀 눕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프린터의 종단면도.
제15a 및 15b도는 각각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예의 구성 모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하우징 2 : 배지트레이
3 : 드럼 6 : 현상기
9 : 시트재 분리급송조립체 9A : 급지로울러
9B,10,65 : 시트재 반송로울러 11 : 정착기
12 : 제2배지로울러 13 : 제1배지로울러
15,15A : 제1배지구 16 : 플래퍼(시트재 진로 전환수단)
20 : 앞커버 22,22A : 급지트레이
22a : 메인트레이 22b : 서브트레이
23 : 배지트레이 24 : 조작판넬(콘솔패턴)
27 : 반송장치 30 : 프로세서 카트리지
A : 화상 형성수단부 B : 급지부
B1: 제1급지부 B2: 제2급지부
C1: 제1배지부 C2: 제2배지부
D : 수직시트경로 E1: 제1분기시트경로
E2: 제2분기시트경로 F : 시트재 진로전환수단
G : 시트재 검출부 P : 시트재
50 : 프린터본체부 50A : 화상 형성수단부
60 : 제1급지부 61,61A : 시트재카세트
62 : 시트재적재부 67,67A : 급지로울러
68 : 시트재 반송로울러 70 : 상행출구부
80 : 하행입구부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상세히는 예컨데 전자사진법·정전기록법·자기기록법 등의 적절한 화상작성원리·방식에 따르는 화상 형성수단부에 급지부로부터의 시트재(전사지·정전기록지·엘렉트로팩스지·감광지·안쇄지 등의 절단시트재를 1매씩 급송하여 이 급송시트재 면에 전자(간접) 방식 또는 직접방식으로 목적화상을 형성시키고, 화상 형상이 끝난 시트재를 배지부(排紙部)에 반송배출시키는 복사기·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상기와 같은 화상 형성장치예의 개략도이며, 양자 모두 전사방식 전자사진법을 이용한 레이저비임프린터(LBP)이다.
제1도의 프린터에 대하여, 100은 프린터본체 하우징이고, 하기와 같은 화상 형성수단기기가 수납되어 있다. 즉, 101은 회전드림형 전가사진감광체이하, 드럼이라 함)이다. 드럼(101)은 그 회전과정에서 레이저스캐너(103)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비임 (L)(도시하지 않는 전자계산기·워드프로세서·화상판독장치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목적화상의 시계열 전기화상신호에 대응하여 변조되어 있다)의 주사노출광을 받아 목적화상의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103a는 스캐너(103)로부터의 출력레이저(l)를 드럼(10 1)의 주사노출부분에 편향되게 하는 미러를 표시한다. 드럼면의 형성잠상은 이어서 현상기(104)에 의해 잔가가능한 현상제 화상(토너화상)으로 현상화된다.
한편, 프린터 본체하우징(100)의 우측면쪽에 설치한 급지구(105)에는 선단부를 삽입장전하여 설치한 시트재 카세트(106) 내에 적재시트재(P)가 수납되어 있다. 이들 시트재 가운데서 최상위 시트재 1매만이 간헐구동되는 급지로울러(107)와 분리 클로(108)에 의해 분리되는 프린터내에 공급된다. 이 시트는 시트경로(109)를 지나 회전을 정지하고 있는 레지스터로울러쌍(110)의 닙(nip) 부분에 의해 앞끝 자장자리부분에 수용된다. 이어서 회전구동되는 레지스터로울러(110)에 의해 시트경로(111)를 지나 화상전사부(113)에 반송된다.
화상전사부(113)에 반송된 시트재는 드럼(101) 면쪽의 토너화상의 전사를 순차로 받아, 드럼(101) 면쪽으로부터 분리되는 반송장치(114)에 의해 정착장치(115)에 반송되고, 화상정착이 되면서 정착장치내를 통과해 간다.
정착장치(115)를 나온 시트재는, 제1배지로울러(117)로 반송되고, 실선으로 표시한 제1자세로 전환 유지되어 있는 가동가이드(플래퍼 ; flapper)(118) 하면쪽을 안내면으로 하여 프린터 본체하우징 좌측면쪽에 비깥으로 뻗어나오게 설치한 페이스 업(face up) 배지용 트레이(119) 상에 화상면을 윗쪽으로 하여 배출된다. 가동플래퍼가 실선으로 표시된 제1자세가 아닌 2점쇄선으로 표시된 제2자세로 전환 유지되어 있으면 제1배지로울러(117)를 나온, 정착이 끝난 시트재를 가동플래퍼(118)의 윗쪽 경사면을 안내면으로 하여 윗쪽으로 편항되고, 중계반송로울러쌍(120a)을 포함하는 대략 수직시트경로(120)를 지나 이 시트경로 상단부의 제2배지로울러(121)에 의해 프린터 본체하우징 상면에 구비된 페이스 다운(face down) 배지용 트레이(122) 상에 화상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배출된다. 116은 정착장치(115)와 제1배지로울러(117) 간의 시트경로부에 설치한 시트재 센서이다. 상기 가동플래퍼(118)의 제1자세 또는 제2자세의 전환은, 배지를 페이스업 모드로 행할 것인지 페이스다운 모드로 행할 것인지의 선택에 따라, 레버나 손잡이등에 의한 수동조작으로 이루어진다.
123은 프린터 본체하우징(100)의 우측면의, 시트재 카세트(106)를 삽입장전하는 급지구(105) 보다 상위부분에 설치한 수동시트재 삽입 급지구이고, 124는 이 수동시트재 삽입 급지구(123)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나오게 설치한 시트재 가이드판(수동시트재 삽입급지대)이다. 수동삽입 시트재를 꽂아넣은 것이 센서(125)에 의해 검지될 때, 그 신호에 급지로울러쌍(126)이 회전구동되어 시트재가 프린터내로 이송되고, 경로(127)를 지나 레지스터로울러쌍(110)에 반송된다. 이후는 전술한 시트재 카세트(106)로부터의 1매씩 분리 및 급송된 시트재와 같은 경로롤 프린터내에 반송되어 화상전산 및 정착이 이루어지고, 페이스업 배지용 트레이(119) 또는 페이스다운 배지용 트레이(22)에 배출된다.
본 예의 프린터의 소위 착탈식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구비되어 있다. 드럼(101)·1차대전기(102)·현상기(104)·세정장치(128)의 4기구는 착탈식으로 프린터내에 설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30)을 구성하는 공통의 카트리지 하우징에 소정의 상호 위치 관계를 가지고 조립된다.
또, 프린터 내부의 유지보수, 프로세스 카트리지(130)의 붙이고 떼기, 시트재 반송경로(시트경로) 중에 걸린 시트재의 제거 등을 위한 프린터 내부 개방구성으로서, 소위 클램 쉘(clam shell) 타입이라 일컫는 장치 개방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프린터 본체의 우측면쪽의 시트재 급지부에서 좌측면쪽의 제1배지로울러(117)까지 이르는 프린터내의 대략 수평시트경로를 경계로 하여 프린터본체를 프로세스 카트리지(130)나 레이저비임스캐너(103) 등을 포함한 상부 절반체와, 시트재 카세트(106)·전사용 대전기(112)·반송장치(114)·정착장치(115) 등을 포함한 하부 절반체로 2분할 구성하여, 하측반체에 대하여 상측반채를 좌변쪽에 설치한 힌지 지지축(131)을 중심으로 2점쇄선의 표시와 같이 열어서 회전운동(X방향 ) 하여 프린터 내부를 개방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개장에 의해 프린터 내부의 유지보수, 프로세스 카트리지(130)의 착탈조작, 걸린 시트재의 제거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가동플래버(118)에서 제2배지로울 러(121)에 이르는 대략 수직인 시트경로(120) 내에 걸린 시트재는, 프린터 본체하우징 (100)의 좌측면판(132)을 하변쪽에 설치한 힌지 지지축(133)을 중심으로 2점쇄선 표시와 같이 바깥으로 열어 눕히기 회전운동(Y방향)하여 대략 수직인 시트경로(120)를 개방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2도에 예시한 프린터는 레지스터로울러쌍(110)으로부터 제1배지로울러(11 7)에 이르는 대략 수평시트경로를 따르는 화상 형성프로세스 기기의 아래쪽, 즉 프린터 내부의 화상 형성 수단부의 아래쪽 부분에 시트재 카세트수납부 또는 시트재 적재부를 구비시켜 시트재 카세트(106)를 장착 내정시키거나 시트재를 적재세트하도록 한 것이다.
적재 시트재(P) 가운데서 최상위 시트재 1매만이 간헐구동되는 급지로울러(10 7)와 분리클로(108)에 의해 분리되고, 중계반송로울러(134) 및 U턴 시트경로(135)를 통하여 레지스터로울러쌍(110)에 반송된다. U턴 시트경로(135) 내에 걸린 시트재의 처리는, 이 시트경로를 구성하는 외측의 가이드판(135a)을 하변쪽의 힌지 지지축 (135b)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운동(Z방향) 하여 이 시트경로를 개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이외의 프린터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1도의 프린터와 같다.
그런데, 상기 종래예의 구성예는 다음 결점이 있다.
(a) 상기 제1도의 프린터와 같이, 화상 형성수단부를 내장시킨 화상 형성장치본체(100)의 한쪽 측면쪽에 급지부(106,124)와 그것과는 반대쪽인 다른쪽 측면쪽에 배지부(119)를 배치하고, 급지부로부터 급속시트재(p)를 급지부로부터 배지부에 이르는 회상 형성장치 본체내의 대략 수평시트경로에 도입하여 반송시키고, 그 반송과정에서 화상 형성수단부(113)에서 시트재 면에 대한 회상 형성을 실행시켜서 배지부에 출력하는 장치구성의 것은, 화상 형성 장치본체의 한쪽 측면쪽에는 급지부로서의 시트재 카세트(106)나 수동삽입 시트재 가이드판(124)이. 또 다른쪽 측면쪽에는 배지부로서의 배지트레이(119)가 각각 바깥쪽으로 뻗어나오는 돌출형태가 되므로 화상 형성장치의 전체적인 설치면적이 커지는 결점이 있다.
(b) 상기한 제2도예의 프린터와 같이, 급지부(106)를 최상화상장치 본체내의 화상 형성수단부의 아래쪽에 배열 설치한 장치구성의 것은, 적어도 급지부로서의 시트재 카세트(106)나 시트재 적재부의 대략 전체가 장치본체 내부에 수납된 형태가 되어 바깥쪽으로의 돌출이 없다. 그러나, 이 급지부(106)의 시트재는 U턴 시트경로부 (135)를 통하여 급지부 및 윗쪽의 화상 형성수단부의 대략 수평시트경로에 반송도입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때문에 급지부로부터 배지부에 이르는 전체적인 시트경로 길이가 길어진다는 점, U턴 시트경로부는 실질적으로 직선적인 시트경로부 보다도 시트재의 걸림을 발생시키기 쉬운점 등 때문에, 시트재 걸림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시트재의 걸림처리(걸림시트재의 제거)는 대략 수평시트경로의 개방조작(X)과 U턴 시트경로의 개방조작(Y,Z)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사용자로서는 알기 어려워 걸림처리에 어려운 점이 있다.
(c) 또, 제1도 및 제2도의 화상 형성장치의 어느 경우에도 화상 형성수단의 대략 수평시트경로부의 개방은, 상기한 바와같이 장치본체를 상부절반체와 하부절반체로 2분할하여 상부절반체를 하부절반체로부터 일으켜 세워 개방하는 클램쉘다입의 장치구성을 취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장치상면쪽 즉, 장치의 상부절반체 상면에 배지트레이 (122)를 구비시킨 것일 경우에는, 준비없이 상부절반체를 일으켜 세워 개방 회전운동 조작(X)하면 배지트레이(122)에 존재하는 배출시트재가 낙하 산란되어 버린다. 또, 상부절반체가 개방 회전운동하는 때에 이 상부절반체쪽에 구비된 화상 형성수단부의 주요부(프로세서 카트리지(130)나 레이저비임 스캐너(103) 등)도 부동쪽 하부절반체로부터 윗쪽으로 회전운동 이동해 가지만, 이와같이 화상 형성수단과 그 주요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은 장치의 정밀도 보증이 어려워 화상품질의 저하로 이어질 우려도 있었다.
또한, 상기 제1도와 같은 종래예의 구성에는 하기의 결점이 있었다.
① 정착장치(115)로부터 제1배지부(122)에 이르는 시트경로길이와, 정착장치 (115)로부터 제2의 배지부(119)에 이르는 시트경로 길이가 크게 상이한 것이 되어, 제1과 제2의 배지부의 배지구 부분에 배지로울러가 필요하고, 또, 시트경로길이가 긴, 정착장치(115)로부터의 제1배지부(122)에 이르는 시트경로에는 가령 엽서 등의 작은 사이즈의 종이반송용 복수쌍의 중계용 반송로울러(120a)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구동전달에 제약이 있거나, 제작비 상승을 초래하거나, 제1배지부(122)에 이르는 시트경로에 있어서의 시트재 걸림에 대처하기 위하여 장치의 개방구성이 필요해지고, 구조가 복잡화된다.
또, 시트경로의 개방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필요로 히는 등으로 해서 더욱 제작비 상승을 초래한다.
② 정착장치(115)로부터의 제1배지부(122)에 이르는 시트경로와 제2의 배지부(119)에 이르는 시트경로와의 시트경로 길이가 크게 상이하기 때문에, 그 양 시트경로의 분기부에 시트재 검지센서(116)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시트재가 제1 또는 제2의 배지부에 확실하게 배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가 어렵도, 제1과 제2배지부의 배지구 부분에 각각 시트재 검지센서를 필요로 하고, 제1 및 제2의 배지부의 전환을 전기적으로 검기하여 시이퀀스나 걸림검출 타이밍의 전환을 행하는 등, 전기적으로 센서류가 증가하여 복잡화되고, 제작비 상승을 초래한다.
그리고 또, 상기 종래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회상 형성장치의 불사용격납시나 장치의 운반시에는 장치본체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혹은 뻗어나와 있어 방해가 되고 격납면적을 차지하는 시트재카세트(106), 수동삽입시트재 가이드판(124)·배지트레이(119)는 해체하여 장치의 격납·운반 등을 행한다.
이 경우, 카세트 삽입장전구로서의 급지부(105), 수동삽입시트재 급지구, 배지구(119a)는 장치본체의 측면에 외계에 면하여 개구한 상태인 채로 있기 때문에 그것들의 구멍으로 외부의 먼지나 티끌, 기타의 이물이 장치내부에 침입하기 쉽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구멍에 대하여 폐색덮개를 덮는 장치를 하면 좋으나, 그와 같은 덮개장치는 번잡하고, 또 깜빡 잊기 쉽다. 특히 상기 프린터와 같이, 장치의 한쪽 측면쪽에는 급지구(105, 103)가, 그와는 반대쪽인 다른쪽면쪽에는 배지구(119a)가 별도로 나뉘어져 존재하고 있는 것은 그것들의 구멍에 대하여 별도로 드럼장치를 해야하는 등, 번거로우며, 덮개를 덮는 것을 잊기도 쉽다. 또, 장치의 한쪽 측면쪽에 구멍이 트여있는 급지구 또는 배지구에 대한 덮개를 덮더라도 다른쪽 측면쪽에 구멍이 트여있는 급지부 또는 배지부에 대한 덮개 덮기를 잊어버리기 쉽다. 또, 반대로, 장치 사용시에는 급지구에 대한 덮개는 떼어내어 처치하여도, 이 급지구쪽과는 반대쪽의 장치측면에 존재하고 있는 배지구에 대한 덮개는 그 떼어내기 처치를 잊어버리기 쉬우며, 이와같은 경우에 장치본체내에 시트재를 무심코 급송시키면 그 시트재는 배지구가 덮개 덮인 상태이므로 배지구 부분에서 걸리게 된다. 따라서, 덮개 방식은 실제상 실현성이 빈약한 것이고, 또 급지구의 급지대와 배지구의 선택을 연종시켜 배지경로의 최적화를 도모하기도 어렵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한 이 종류의 화상 형성장치로서 시트적재급지부의 시트급송방향과 시트재 배지부의 시트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하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 종류와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의 급기주나 배지구를 폐색화시켜서 그것들 구멍으로부터 장치 본체하우징내에의 먼지나 티끌 등의 이물 침입을 방지함에 있어서, 폐색하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상기와 같은 다른 불편한 상태를 일으키지않고, 필요한 급지구나 배지구에 대한 폐색화가 오조작 없이 행해지도록 한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쪽방향으로 분리되고 상기 한쪽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부착되게 설치되며 화상 형성장치의 본체하우징에 제공되어 시트재를 적재하는 시트재 적재급지수단과 화상 형성장치의 본체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한쪽방향으로 개방되고 반송수단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시트재 배지수단은 상기 한쪽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시트재를 시트재 배지부에 배지하고, 반송수단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는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은 제3a도의 구성모델도와 같이, 화상 형성수단부(A)에 급지부(B)로부터 시트재를 급송하여 이 습송시트재면에 목적하는 화상을 형성시키고, 화상 형성이 끝난 시트재를 배지부(C)에 반송배출시키는 화상 형성장치이며, 화상 형성수단부A )를 가운데로하여 그 윗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의 한쪽에 시트재 급지부(B)를 다른쪽에 시트재 배지부(C)를 배열 설치하고, 급지부(B)로부터 화상 형성수단부(A)를 지나 배지부(C)에 이르는 대략 수직방향의 시트경로(D)를 구비시키고, 급지부(B)로부터 급송시킨 시트재를 이 대략 수직시트경로(D)에 도입하여 반송시키고, 화상형성수단부(A)에서 이 시트재에 대한 화상 형성을 실행시켜서 배지부(C)에 배출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이다.
또한, 제3a도의 구성모델도는 화상 형성수단(A) 아랫쪽부분에 급지부(B)를 윗쪽부분에 배지부(C)를 배열 설치하였으나, 그와는 반대로 아랫쪽부분에 배지부(C)를, 윗쪽부분에 급지부(B)를 배열설치하여도 좋다. 이하, 설명하는 다른 구성모델도 3B∼ 3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2) 또, 본 발명은 상기 (1)항의 발명장치에 대하여 제3b도의 구성모델도와 같이,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의 대략 수직시트경로(D)를 경계로 하여 그 한쪽의 장치부 (A1)에 대하여 다른쪽 장치부(A2)를 개폐운동 자유롭게 구성하고, 화상 형성구단부의 주요 프로세스 기기는 부동쪽 상기 한쪽의 장치부(A1)에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이다.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항의 본 발명 장치에 대하여 제3c도의 구성모델도와 같이, 화상 형성수단(A)의 위쪽부분 또는 아래쪽부분의 시트재 급지부를 제1의 급지부(B1)로 하였을때, 제1의 급지부(B1)와는 별도로 상기 대략 수직시트경로(D)에대하여 분기시트경로(D2)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2의 급지부(B2)를 구비시켜서, 이 제1 또는 제2의 급지부(B1,B2)로부터 대략 수직시트경로(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시트재의 급송이 가능하며, 제2의 급지부(B2)의 시트재 받이부재는 화상 형성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접어넣기 혹은 수납, 또는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이다.
(4)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1)항의 본 발명 장치에 대하여 제3d도의 구성모델도와 같이 화상 형성수단부(A)의 윗쪽부분 또는 아랫쪽부분의 시트재 배지부를 제1의 배지부(C1)로 하였을때, 이 제1의 배지부(C1)와는 별도로 상기 대략 수직시트경로(D)에 대하여 분기시트경로(D2)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2의 배지부(C2)를 구비시키고, 이 제1 또는 제2의 배지부(C1, C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대략 수직시트경로(D)로부터의 시트재 배출이 가능하고, 제2의 배지부(C2)의 시트재받이부재는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대하여 접어넣기 혹은 수납, 또는 착탈가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이다.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1)항(제3a도의 구성모델)과 같은 장치구성으로 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의 어느 측면에도 급지부(B)나 배지부(C)의 바깥쪽으로 뻗어나온 부분을 실질적으로 생기지 않게 하여도 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장치의 실처면적은 작아도 좋고, 컴팩트한 화상 형성장치를 얻을 수 있다.
급지부(B)로부터 화상 형성수단부(A)를 통과하여 배지부(C)에 이르는 대략 수직시트경로는 U턴 부분이 없는 실절적으로 직선적인 시트경로로 할 수 가 있고, 또, 그 시트경로길이는 짧고, 따라서 시트재의 걸림발생률이 낮아지며, 또 급속프린트의 출력도 빨라진다.
또 상기(2)항(제3b도에 구성모델도)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동쪽인 다른쪽장치(A2)를 부동쪽인 한쪽장치부(A1)에서 개방 조작하면 대략 수직시트경로가 크게 개방되어, 즉, 화상 형성장치 내부가 대략 수직시트경로를 경계로 하여 크게 개방되어 대략 수직시트경로중에 걸린시트재의 제거, 장치내부의 유지보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조작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수단의 주요 프로세스기기는 부동쪽인 한쪽 장치부(A1)에 내장시키고 있으며, 가동쪽인 다른쪽 장치부(A2)의 개폐운동에 따르는 이동이나 요동은 없기 때문에 정밀도 보증성이 향상되어 고품위 화상의 형성·출력을 장기에 걸쳐 유지시키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 급지부나 배지부로 부동쪽인 한쪽 장치부(A1)의 상하부에 존재하고 있어 가동쪽인 다른쪽 장치부(A2)의 개폐운동에 따르는 이동이나 요동, 경사 등을 발생치 않으므로 장치 개장조작시에 부주의로 배지부에 존재하고 있는 출력시트재를 낙하·산란시키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 (3)항(제3c도의 구성모델도)와 같이 제2의 급지부(B2)를 구비시킴으로써 이 급지부(B2)와 제1의 급지부(B1)의 선택사용에 의해 각종 시트재 급지(통상의 각종 사이즈의 전사용지 외에 특수지, 판지, 엽서 등)가 가능해진다. 이 제2의 급지부(B2)는 제1의 급지부(B1)와는 대략 수직시트경로를 가운데로 하여 반대쪽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바깥쪽으로 뻗어나온 상태가 되는데, 그 뻗어나옴은 화상형성장치의 한쪽 측면쪽만으로 상기한 제1도 예와 같이 급지부(106)와 배지부(119)가 각각 화상형성장치의 대향 양측면족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뻗어나온 상태가 되는 것보다도 화상형성장치의 설치면적은 작아지다. 또, 기본급지부인 제1의 급지부(B1)를 전적으로 사용하고 제2의 급지부(B2)는 사용하지 않을때는, 이 제2의 급지부의 시트재받이부재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접어넣기 또는 수납, 혹은 떼어냄으로써 이 제2의 급지부(B2)의 바깥쪽으로 뻗어나옴은 없어지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장치면적을 작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4)항(제3d도의 구성모델도)와 같이 제2의 배지부(C2)를 구비시킴으로써 이 배지부(C2)와 제1의 배지부(C1)를 각각 구별해서 사용하여 시트재의 배지를 페이스다운 모우드와 배지와 페이스업 모우드의 배지로 선택할 수가 있다. 이 제2의 배지부(C2)는 상기 제2의 급지부와 마찬가지로 바깥쪽으로 뻗어나온 형태가 되지만, 그 뻗어나옴은 화상형성장치의 한쪽측면쪽만이며, 상기 제1도예와 같이 대향측면에 각각 뻗어나온 부분이 존재하는 형태로 되는 것보다는 화상형성장치의 장치 면적은 작아진다. 또, 기본배지부인 제1의 배지부(C1)를 전적으로 사용하고, 제2의 배지부(C2)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 제2의 배지부의 시트재 받이부재는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접어넣기 혹은 수납하고, 또는 떼어냄으로써 이 제2의 배지부(C2)의뻗어나옴은 없어지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장치면적을 작게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1)항의 장치구성에 대하여 상기 (2)항 내지 (4)항의 구성을 조합한 복잡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각종 기능·잇점을 함께 갖는 편리한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1) 설치면적이 작은 콤팩트한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2) 급지부에서 배지부에 이르는 시트경로(대략 수직시트경로)는 실질적으로 직선경로이고, 또 경로길이는 짧고, 시트재의 걸림발생률이 낮아지며, 또 급속프린트 출력도 빨라진다.
(3) 장치내부의 개방은 급지부로부터 베지부에 이르는 대략 수직 시트경로를 경계로 하여 크게 개방시키는 구성에 의해 걸린시트재의 제거, 장치내 유지보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교환 조작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4) 이 경우, 화상형성수단부의 주요 프로세스 기기는 비개폐쪽(부동쪽)의 장치부에 내장시켜 장치의 개폐에 따르는 이동이나 요동이 발생치 않는 구성에 의해 정밀도 보장성이 향상되고, 고품위 화상의 형성·출력을 장기에 걸쳐 유지시킬 수 있다.
(5) 또, 제1급지부나 제1배지부도 비개폐쪽의 장치부에 존재하고 있어 장치의 개폐에 따르는 이동이나 요동, 경사 등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장치를 부주의로 개방함으로써 급지부나 배지부상의 시트재를 낙하·산란 시키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6) 제2의 급지부나 제2의 배지부를 구비시키는 구성에 의해 다용도의 시트재를 선택적으로 급지할 수 있고, 또 배지를 베이스다운 모우드 또는 페이스업 모우드로 행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특징은 하기와 같다.
(1) 본 발명은 시트재 검출부가 시트재 진로전환수단보다 시트재 반송방향 상류쪽의 위치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이다.
제15a도 및 제15b도는 본 발명의 구성모델도를 나타내고 있다.
(a) 제15a도에 있어서, A는 화상형성수단부, D는 이 화상형성수단부를 대략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대략 수직시트경로, B는 화상형성수단부(A)의 아랫쪽 부분에 배치한 급지부, C1은 화상형성수단부(A)의 윗쪽부분에 설치한 제1의 배지부, C2는 대략 수직시트경로(D)를 가운데로 하여 제1의 배지부(C1)와는 반대쪽에 배치한 제2의 배지부, E1은 대략 수직시트경로내를 반송된 시트재를 제1의 배지부(C1)에 인도하는 제1의 분기시트경로, E2는 제2의 배지부(C2)에 인도하는 제2의 분기시트경로, F는 대략 수직시트경로(D)에 대하여 제1 또는 제2의 분지시트경로(E1,E2)를 선택적으로 연이어 통하게 전환시키는 시트재 진로전환수단, G는 수단(F)보다 시트재 반송방향 상류쪽의 시트경로위치에 제공된 시트재 검출부를 나타내고 있다.
(b) 제15b도와 같이 급지부(B ; B1,B2)를 화상형성수단부의 윗쪽에 설치하여 시트재를 대략 수직시트경로내에 윗쪽으로부터 도입하고, 이 시트경로내를 아래로 반송시켜서 화상형성수단부에서 화상형성시켜 화상형성수단부의 아랫쪽에 설치한 제1 또는 제2의 배지부(C1,C2)에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시트재를 대략 수직시트경로(D)내를 반송시켜서 화상형성을 실행시키고, 이 대략 수직시트경로(D)의 종단부에서 이 시트재를 제1 또는 제2의 분기시트 경로(E1,E2)로, 시트재 진로전환수단(F)에 의해 분할하여, 대략 수직시트 경로(D)를 가운데로 하여 서로 반대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또는 제1의 배지부(C1,C2)에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대략 수직시트경로(D)의 종단부에서 제1의 배지부(C1)에 연결된 제1의 분기시트경로(E1)와 제2의 배지부(C2)에 연결된 제2의 분기시트경로(E2)의 시트경로길이는 어느 것이나 전체적으로 짧고, 또, 상호 현저한 장단차이도 없어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의 배지부 어느 것에 대한 시트재 배출도 시트재의 반송이 안정되고, 중계용 반송로울러를 생략하거나, 설치수를 줄이기가 가능하며, 시트재 배출계의 기구구성을 간소화하며, 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고, 시트재의 걸림처리장치도 향상된다.
또, 시트재 진로전환수단부(F)로부너 제1의 배지부(C1)의 배지구까지의 거리, 즉, 제1의 분기시트경로(E1)의 경로길이와, 전환수단부(F)에서 제2의 배지부(C2)의 배지구가지의 거리, 즉 제2의 분기시트경로(E2)의 길이를 대략 대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전환수단부(F)보다 시트재 반송방향상류쪽에 시트재 검출부(G)를 1곳 설치하는 것만으로 상기 2개의 분기시트경로(E1,E2) 즉, 제1 및 제2의 배지부(C1,C2)에 대한 시트재의 반송 및 배출을 검지·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장치구성에 의하면 제1과 제2의 배지부를 구비시켜 화상 형성수단부에서 화상형성처리한 시트재를 제1 또는 제2의 배지부에 선택적으로 배지하는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수단에서 제1 및 제2배지부에서 각각 이르는 시트재 배출반송계의 기구구성을 간소화·소형화하고, 또한 안전하고 확실한 시트재 배출반송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장치의 소형화·저가격화를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어서, 바라는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는 본원 발명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급지구과 제1과 제2의 배지구와, 화상 형성수단부를 통과해오는 시트재를 이 제1의 배지부의 방향 또는 제2배지구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진로전환하는 시트재진호전환수단을 가지고, 상기 급지구에 대한 급지대는 이 급지구에 대한 급지대로서 가능하는 제1의 자세위치와 장치본체하우징에 집어넣기 격납상태의 제2의 자세위치에 전환이 자유로우며,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되었을때 상기 급지구와,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배지구가 한쪽을 덮는 급지구·배지그 폐색도어로서 기능하고, 상기 시트재진로전환수단은 상기 급지대가 제2의 자세위치에 전환되었을때 여기에 연동하여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된 급지대로 폐색된 한쪽 배출구가 아닌 다른쪽 배출구 방향으로 화상형성수단부를 통과해 오는 시트재를 안내하는 상태로 자세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이다.
(2) 또 본 발명은 상기(1) 항의 발명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급기주의 급지대가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되어 이 급지구 및 제1또는 제2의 배지구의 한쪽이 폐색되어 있더라도 장치본체에 시트재를 급송하여 화상형성수단부에서 화상형성을 실행시켜 다른쪽 배지구에 반송 배출시킬 수 있는 제2의 급지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이다.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1) 항의 발명 장치에 대하여, 상기 시트재 진로전환수단은 상기 급지구의 급지대가 제1의 자세위치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구멍 개방된 한쪽 배지구에 대한 배지받이대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때, 그 장착에 연동하여 이 한쪽 배지구의 방향으로 화상형성수단부를 통과해 오는 시트재를 안내하는 상태로 자세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제1과 제2의 자세위치로의 전환이 자유롭게 한 급지대를 구비시킨 급지구에 대하여 이 급지구를 사용한 장치 본체내에의 시트재 급송을 행하지 않을때 혹은 장치의 불사용시나 반송시는 제1의 자세위치에 있어서는 방해가 되는 이 급지대를 장치본체에 접어넣어 격납한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 처치하는 것이 통상이고, 그 전환처치에 따라 이 급지대와 제1 또는 제2의 배지구가 한쪽이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된 급지대에 의해 이 급지대가 폐색도어가 되어 자동적으로 닫힌 상태가 되므로, 폐색을 잊어버리는 일 등은 생기지 않고, 이 급지구나 배지구로부터 장치본체내에의 외부 이물질 침입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급지대가 장치본체에 접어넣어진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되었을때는 거기에 연동하여 시트재 진로전환수단이 급지대로 닫힌 한쪽의 배지구가 아닌 다른쪽 배지구의 방향으로 시트재를 안내하는 상태로 자세전환되므로, 장치본체에 제2의 급지구를 구비시켜 이 급지부에서 장치본체에 시트재를 급송시켜서 화상형성을 실행시켰을 경우에도 화상형상 수단부를 통과한 시트재는 상기와 같이 자세전환되어 있는 시트재 진로전화수단으로 다른쪽 배지구로 안내되어 배출되고, 폐색상태의 배지구를 행하는데 따른 시트재의 걸림 발생은 엄격히 방지된다.
장치본체에 접어넣으진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되어 있는 급지대로 폐색되어 있는 급지구를 사용하여 시트재를 장치본체에 급송할때에 이 급지구를 폐색하고 있는 제2의 자세위치에 있는 급지대를 반드시 제1의 자세위치로 전환함으로써 그 전환에 따라 이 급지구의 구멍개방이 행해짐과 동시에 한쪽 배지구에 대해서도 개방되므로 이 급지구나 배지구의 개방을 잊어버리는 상태도 생기지 않는다.
상기 개방된 한쪽 배지구를 사용한 배지모우드를 행하게끔 이 배지구에 대한 배지 받이대를 장치본체에 장착하였을때, 그 장착에 연동하여 시트재 진로전환수단이 시트재를 이 한쪽 배지구 방향으로 안내하고 상태로 자세전환되도록 시트재 진로전환수단과 배지받이재를 관계시킴으로써 시트재 진로전환수단의 전환처리를 잊어버리는 일이 방지되고, 반드시 이 배지구에서 배지받이로의 배지모우드가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구성에 따르면 급지구나 배지구를 폐색화시켜서 그것들의 구멍으로부터 장치본체내에의 먼지나 티끌 등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할 경우에, 폐색을 잊어버리거나 다른 불편을 일으키지 않고 필요한 급지구나 배지구에 대한 폐색화를 오조작없이 행할 수 있음으로, 바라는 목적이 잘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
제4도는 화상형성장치로서의 전자방식전자사진을 이용한 레이저비임 프린터 내부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종단측면도이다.
50은 화상형성수단부로서의 프린터본체부, 60은 그 프린터본체부(50)의 아랫쪽부분에 구비시킨 제1의 급지부로서의 카세트 급지부이다.
(Ⅰ) 카세트 급지부(60)
제1의 급지부로서의 카세트 급지부(60)는 프린터본체(50)와 일체로 설치한 장치로서도 좋고,프린터 본체(50)와는 별체의 분리형 유니트장치로 하여 그 유니트장치의 위에 프린터본체(50)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탑재함으로써 프린터본체의 조합하여 사용하는 장치로 하여도 좋다.
본 예의 카세트 급지부(60)는 그 앞면쪽(도면상 우단면쪽)에 시트재 카세트삽탑구를 가지며, 시트재카세트(61)을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삽입장착하고 2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반대로 빼낼 수 있다. 시트재카세트(61)에 있어서, 62는 시트재 적재수납부의 바닥부의 스프링(63)에 의해 항상 들어올려 가압되게 배열설치한 상하요동중간 바닥판, P는 수납부에 적재수납한 시트재(전사지), 64는 시트재를 1장씩 분리하는 분리클로, 65는 시트재 이송로울러, 66은 카세트 삽탈손가락걸이 손잡이부이다.
67,68은 카세트 급지부 본체쪽에 구비된 급지로울러와 시트재반송로울러이다. 급지로울러(67)는 반월형로울러이고, 평상시에는 비원형부분이 하향의 회전각 자세로 대기하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제어계로부터 급지 스타트 신호가 발해질때마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계의 회전력이 1회전 클러치를 통하여 전달되어, 화살표로 표시한 시계 반대방향으로 1회전 구동된다. 시트재 이송로울러(68)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계로 제어되는 클러치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동계의 회전력을 받아서 소정의 타이밍의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길이에 대하여 화살표로 표시한 시계 방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카세트 급지부(6)내에 그 앞면쪽의 트인 구멍으로부터 시트카세트(61)를 삽입하고, 스토퍼부에 의해 그 이상의 삽입 이동이 저지될때까지 충분히 밀어넣어 삽입장착하면, 카세트(61)쪽의 시트재 이송로울러(65)의 축에 접촉된 스프링(65a)의 가압력에 의하여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 카세트(61)의 시트재 적재 수납부에 있는 시트재(P)의 카세트 삽입방향 후단쪽 상면부의 윗쪽부분에 반월형 급지로울러(67)가 위치하고 있는 관계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반월형 급지로울러(67)가 1회전 구동되면 카세트(61)내의 적재시트재(P)의 최상위 시트재에 카세트(61)의 급지부(60)에 대한 삽입 장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의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여 그 최상위 시트재가 1만장 분리 클로(64)에 의해 아래의 다른 시트재로부터 분리되어 시트재적재 수납부로부터 도면상 오른쪽으로 급송된다.
이 급송 시트재는 윗쪽 만곡 가이드판(69)에 안내되어 상기와 같이 서로 맞닿는 상태에 있는 시트재이송로울러(68)와 동이송로울러(65)와의 닙부에 들어가서 로울러(68)의 회전구동력과 로울러(65)의 종동회전에 의하여 중계 및 이성되어 카세트 급지부(60)의 상향출구부(70)로부터 윗쪽으로 반출되어진다.
프린터본체(50)의 바닥면쪽에는 상기 카세트 급지부(60)쪽의 상향출구부(70)에 꼭 대응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하향으로 제1급지구로서의 시트재입구부(80)를 구비시키고 있다. 따라서, 카세트 급지부(60)의 상향출구부(70)로부터 윗쪽으로 반출된 시트재는 이어서 상기의 하향의 제1급지구로서의 시트재 입구부(80)로부터 프린터본체(50)내로 진입해간다.
(Ⅱ) 프린터 본체(50)
1은 프린터 본체하우징이고, 그 윗면판면(2)은 제1의 배지부로서의 고정 트레이를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내에는 화상형성수단으로서의 화상형성 프로세스기기, 즉 회전 드럼형 전자사진 감광체(3)(이하, 드럼이라고 한다), 그 드럼면의 균일대전수단으로서의 접촉 대전 로울러(4), 레이저 비임스캐너(5), 현상기(6), 전사로울러(7), 세정장치(8), 후술하는 제2의 급지부로서의 급지트레이(22)상의 적재 시트재를 1장씩 분리급송하는 시트재 분리급송 조입체(9), 조립체(9)의 아이들로로울러(9c)에 눌러 접촉시킨 시트재 이송로울러(10), 정착기(11), 제2 및 제1의 배지로울러(12,13), 이송시트재 검지레버(14), 구동원이나 제어계의 각종 전자부품 등을 내장하고 있다.
카세트 급지부(60)의 상기 상향 출구부(70)로부터 윗쪽으로 이송되어 프린터 본체(50)의 바닥면쪽의 제1급지구로서의 하향 입구부(80)로 들어가서 프린터본체 (50)내에 공급된 시트재는 이송로울러(10)와 아이들러로울러(9c)의 사이, 드럼(3)과 전사로울러(7)와의 사이, 정착기(11)의 정착로울러쌍의 사이, 제2배지로울러(12), 제1배지로울러(13)를 경유하여 이송되어, 제1배지구(15)로부터 프린터하우징 윗면의 제1의 배지부로서의 트레이(2)위에 배출된다.
카세트 급지부(60)쪽으로부터의 급송시트재를 받아들이는 프린터본체(50)의 바닥면쪽의 제1의 급지구로서의 하향시트재 입구부(80)로부터 제1배지로울러(13)에 이르는 상기의 시트재 반송경로는 프린터 본체내를 프린터 하우징(1)의 앞면판(20)(도면상 우측 단면판)에 가까이 있고 프린터 하우징의 바닥면쪽으로부터 윗면판쪽으로 세워져 뻗어 있는 대략 수직 시트 경로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프린트 개시신호에 의거하여 드럼(3)이 소정의 원주속도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반대반향으로 회전구동되며, 그 회전드럼면이 접촉대전로울러 (4)로 (+) 또는 (-)의 극성으로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어서 레이저 스캐너(5)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비임(L)의 주사 노출광을 받음으로써 목적화상정보의 정전잠상이 형성되어진다. 그 형성잠상은 이어서 형상기(6)에 의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화된다.
한편, 카세트 급지부(60)에 있어서, 급지로울러(67)의 1회전 구동과 이송로울러(68)의 회전구동이 이루어져 상기한 바와 같이 카세트(61)내의 적재시트계(P)의 최상위시트재가 1장만 급지부(60)의 상향출구부(70)로부터 반출되어 프린터본체(50)의 하우징 바닥면의 제1급지구로서의 하향입구부(80)로부터 프린터본체내에 도입되어 상기의 대략 수직시트경로를 아래로부터 위로 이송되어간다.
즉, 화살표시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있는 로울러(10)와 시트재 분리급송 조립체(9)의 아이들러로울러(9c)의 납부를 지나. 가이드에 의하여 드럼(3)과 전사로울러(7)와의 사이에 도입된다. 이 드럼(3)과 전사로울러(7)와의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드럼(3)의 면에 형성담지되어 있는 토너 화상의 전사를 받는다. 드럼(3)과 전사로울러(7)와의 사이를 지나 화상전사를 받는 시트재는 드럼(3)면으로 부터 분리되어 가이드에 의하여 정착기(11)내로 도입되어, 화살표시한 시계반대방향을 회전 구동되고 있는 정착로울러쌍의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화상 정착을 받는다.
정착기(11)를 통과한 시트재는 시트검지 레버(14)를 지지축(14a)을 중심으로 2점쇄선표시와 같이 시계반대반향으로 밀어올리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있는 제2배지로울러(12), 제1자세로 유지되고 있는 가동플래퍼(16)의 제1가이드면 (16a)(제9a도는 이 가동플래퍼부분의 확대도이다), 제1의 배지부로서의 트레이(2)방향으로 안쪽으로 만곡된 가이드(17)의 면,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있는 제1배지로울러(13), 제1배지구(15)의 경로를 통하여 제1의 배지부로서의 트레이(2)위에 화상면이 하향인 페이스다운 모우드로 배출된다.
시트재 검지레버(14)는 정착기(11)를 나온 시트재의 후단이 그 레버(14)의 위치를 통과한 후 시트재와의 간섭이 없어지면, 자중에 의하여 지지축(14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실선표시의 회전자세로 복귀한다. 시트재의 레버위치동과에 따르는 레버(14)의 상기의 요동운동이 포토인터럽터 등의 센서(14b)로 검지되어, 시트재의 급송타이밍제어, 걸림장애 검출 등이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린터는 화상형성수단인 프린터본체부 (50)를 중심으로 하여 그 아래쪽부분에 시트재 급지부로서의 카세트 급지부(60)를 배치하고, 윗쪽부분에 시트재배지로부터의 시트재배지 트레이(2)를 배열 설치하고, 급지부로서부터 배지부에 이르는 대략 수직방향의 시트경로를 구비시켜, 급지부로부터 급송된 시트재를 그 수직 시트경로에 도입하여 반송시켜, 화상형성부에서 그 시트재에 대한 화상형성을 실행시키고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이 장치의 구성은 상기 제3a도의 모델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효과의 항의 (1)항에서 설명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Ⅱ) 프린트 내부의 개방기구
상기 제4도에의 프린터본체(50)는 하우징(1)의 앞면판(20)은, 프린터 본체의 개폐앞커버로서 하변부의 힌지 횡축(90)을 중심으로 하우징 본체(1)의 앞면에 대하여 열고 닫는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제4도, 제5도는 닫아 넣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6도는 열어젖혀서 프린터본체 내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프린터본체(50)내의 상기 수직 시트 경로를 경계로 하여 앞커버(20)쪽의 화상형성 프로세스기, 즉 시트재 1매분리 급송 조립체(9), 전사로울러(7), 장착기(1 1), 시트검지레버(14), 제2 및 제1배지로울러(12,13)등은 앞커버(20)의 배면쪽에 소정의 배열관계를 가지고 조립부착지지되어 있다. 또 수직시트 경로를 경계로 하여, 하우징본체(1)쪽의 화상형성 프로세스기기, 즉, 시트재 이송로울러(10), 드럼(2), 레이저 스캐너(5), 접촉 대전로울러(4), 현상기(6), 세정장치(8), 구동원, 제어계의 주요 전기부품 등은 하우징본체(1)내에 소정의 배열관계를 가지고 조립부착되어 있다.
하우징본체(1)에 대한 앞커버(20)의 닫아넣은 상태(제4도)는 도시하지 않은 잠금 기구로 안정되게 유지된다. 제7도에 있어서, 21은 그 잠금해제레버이고, 그 레버(21)의 조작에 의하여 압커버(20)를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힌지횡축(90)을 중심으로 하우징본체(1)의 앞면으로부터 열기회전운동 제한부재로 받아서 정지될 때까지 충분히 열려 젖혀진 상태, 즉 프린터본체(50)의 내부를 상시 수직시트경로를 경계로 하여 크게 개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개방에 의하여 수직 시트 경로내에 생긴 걸린 시트재의 제거, 프린터내의 유지보스 등을 용이하에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린터는 화상형성 프로세스 기기중 드럼(3), 1차 대전용접촉로울러(4), 현상기(6), 세정장치(()의 4기구에 대하여 그들을 공통의 카트리지하우징에 소정의 상호관계를 가지고 조립부착하여 프린터 본체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붙이고 떼가가 자유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30)로 하고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3 0)의 프린터본체(50)내에 대한 붙이고 떼기는제6도와 같이 앞커버(20)을 열어 젖히고 프린터 내부를 크게 개방한 상태로 하여 하우징본체(1)내의 소정위치에 붙이고 떼기 조작을 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 프린터는 화상형성수단부인 프린터본체(50)내의 상기 수직시트 경로를 경계로 그 한쪽인 프린터 하우징본체(1)쪽의 장치부에 대하여 다른쪽인 프린터 앞커버(20)쪽의 장치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하고, 화상형성 수단부의 주요 프로세스 기기는 부동쪽의 프린트 하우징 본체(1)쪽에 내장시키는 장치 구성이다. 이 구성은 상기 제3d도의 모델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효과를 기재한 부분의 (2)항에서 설명한 작용,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Ⅳ) 제2의 급지부, 제2의 배지부
제4도에 있어서, 18,19는 상기의 개페앞커버(20)의 하변에 가까운 위치와 상변에 가까운 위치에 각각 구비시킨 제2급지부 및 제2배지구로서의 가로로 긴 슬릿구멍부이다.
22는 상기 제2급지부(18)에 대한 제2의 급지부로서의 급지 트레이이다. 그 급지트레이(22)는 하변쪽의 힌지 횡축(90)(앞커버(20)의 힌지 횡축과 겸용)을 중심으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앞커버(20)의 앞면에 대하여 접어넣어 유지시킨 세워닫는 위치와, 2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앞커버(20)의 앞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앞이 올라가는 소정의 경사각 자세로 설치하여, 열기 회전운동 제한부재로 지지된 젖혀열기 위치로 회전운동전환이 자유롭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의 급지부로서의 급지트레이(22)는 메인 트레이 (22a)와, 이 메인트레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꺼내고 밀어넣기가 자유로운 넣기식으로 구비된 서브트레이(22b)로 이루어지고, 메인 트레이(22a)를 앞커버(20)의 앞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넘어뜨려 연 상태에서 서브트레이(22b)를 꺼냄으로써 급지트레이의 전체의 급지 방향으 길이치수를 크게 하여 큰 사이즈의 시트재도 적게 세트할 수 있다.
제7도·제8도는 이 급지 트레이를 넘어뜨려여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22c, 22d는 메인 트레이(22a)에 구비시킨 적재시트재 좌우가이드이고, 한쪽의 가이드 (22c)는 정치가이드, 다른쪽의 가이드(22d)는 메인 트레이(22a)의 폭방향으로 가이드홈(22e)을 따라 가동의 가이드이고, 양 가이드(22c,22d)사이의 간격 칫수를 사용시트재(P)의 폭방향 칫수에 맞추어 좁거나 넓게 조절하기가 자유롭다.
시트재(P)는 급지 트레이(22)위에 선단부를 급지부(18)에 충분히 삽입하여 좌우부를 가이드(22C,22d)로 규제하여 적재 세트한다.
제8도에 있어서, 23은 제2배지구(19)에 대한 제2의 배지부로서의 배지트레이이고, 그 배지트레이는 앞커버(20)의 배지구(19)에 대응하는 위치에 핀(23a)과 훅(20a)(제9도)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된다.
그리하여, 제8도에 있어서 조작패널(콘솔패널)(24)에 제2의 급지부(22)로부터의 급지모우드를 지정하여 프린트 스타트 보턴을 누르면, 드럼(3)이 회전 구동되어 상기의 경우와 같이 드럼(3)면에 대한 화상 형성이 실행된다.
한편, 시트에 1매 분리 조립체(9)의 급지 로울러(9a)가 축(9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1회전 구동됨으로써, 급지트레이(22)위의 적재 시트재(P)의 최상부 시트재에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여, 그 최상부 시트재만이 마찰부재를 주체로 하는 분리 패드(9d)에 의하여 다음 최상부 시트밀의 시트와 분리되어, 제10도 도시와 같이 분리패드(9d)와 급지로울러(9a)와의 접촉닙부를 통과하여 프린터 본체내로 끌려 들어간다. 그 끌려들어간 시트재는 이송로울러(10)와 아이들러로울러(9c)사이에 들어가서 중계되어, 상기의 제1의 급지브로서의 카세트 급지부(60)쪽으로부터의 급송시트재의 경우와 똑같이 화상형성수단부의 상기의 수직시트경로에 급송되어, 드럼(3)과 전사로울러 (7)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드럼(3)면쪽의 형성 화상의 전사를 받아, 정착기(11)를 통과함으로써 화상이 정착된다.
정착기(11), 제2배지로울러(12)를 통과한 시트재는 가동플래퍼(16)가 제9도 (a)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 세로 자세의 제1자세로 전환 유지되어 있을 때에는, 그 플래퍼의 제1가이드면(16a)에 의하여 내향 굴곡 가이드(17)의 방향으로 안내되어, 제1배지로울러(13), 제1배지부(15)의 경로를 지나 제1의 배지부로서의 프린터 본체 하우징(1)윗면의 트레이(2)위에 화상면이 하향인 페이스다운 모우드로 배치된다.
또, 가동플래퍼(16)가 제9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자제의 제2자세로 전환유지되어 있을 때에는 정착기(11), 제2배지로울러(19)를 통과한 시트재는 그 플래퍼 (16)의 제2가이드면(16b)에 안내되어 제2배지구(19)로부터 프린터 앞면커버(20)의 바깥쪽으로 배출되어, 제2의 배지부로서의 트레이(23)위에 화상면이 상향인 페이스업 모우드로 배지된다.
가동플래퍼(16)의 상기 제1자세와 제2자세의 선택전환은 노브(16c)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제1의 급지부로서의 카세트 급지부(60), 제1의 배지부로서의 프린터본체 위면의 배지 트레이(2)는 별도로 제2의 급지부로서의 급지트레이(22), 제2의 배지부로서의 배치트레이(23)를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제3c, 3d도의 모델도에 도시하고, 상기 효과의 항의 (3)∼(5)항에서 설명한 작용·효과를 가진다.
제2의 배지부로서의 배지트레이(23)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프린터앞커버 (20)의 제2배지구(19)로부터 떼어둔다. 또, 제2의 급지부로서의 급지 트레이(22)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서브트레이(22b)를 메인 트레이(22a)에 대하여 밀어넣어 수납된 후에 메인 트레이(22a)를 하변쪽의 힌지횡축(90)을 중심으로 제4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프린터 앞커버(20)의 앞면쪽으로 접어넣어서 앞커버(20)쪽과 메인 트레이(22a)쪽에 구비된 상호 걸러맞춤요철부(20b,22f)(제7도)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안정되게 보존된다.
이 앞커버(20)의 앞면에 대한 메인 트레이(22a)의 접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20)의 하변 가끼이와 상변 가까이의 제2급지구(18) 및 제1배지구(19)는 접어넣은 메인 트레이(22a)가 덮개판으로서 가능하여, 양자 모두 폐색상태로 유지되어 구멍(18,19)으로 부터 먼지나 쓰레기 등의 외부 이물질이 프린터 본체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정착기(11), 제2베지 로울러(12)를 통과한 시트재를 제1의 배지부(2) 또는 제2의 배지부(23)로 진로 전환하는 가동플래퍼(16)는 상기의 메인 트레인(22a)의 프린터 앞커버(20)의 앞면에 대한 집어넣기 또는 제2배지(19)에 대한 배지트레이(23)의 부착에 연동시켜서 소정의 제1자세 또는 제2자세로 자동 전환시킬 수도 있다.
제11도는 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11a도는 메인 트레이(22a)가 프린터 앞커버(20)의 앞면에 대하여 접어넣어졌을 때이고, 이 때에는 가동플래퍼(16)는 그 앞면이 메인 트레이(22a)에 밀어넣어서 수납되어 있는 서브트레이(22b)의 선단변쪽의 내면에 의해 밀려서 제1자세상태로 회전 유지된다. 이에 의하여 정착기(11), 제2배지로울러(12)를 통과한 시트재는 이 제1자세의 가동플래퍼(16)의 제1가이드면(16a)에 의하여 제1의 배지부(2)로 향하는 방향으로 진로가 규정된다.
제11b도는 메인트레이(22a)가 열려서 제2배지구(19)에 대하여 배지트레이( 23)가 부착되었을 때이다. 이때에 가동플래퍼(16)는 노브(16c)의 하부의 블록돌기부 (16d)가 배지트레이(23)의 부분(23b)에 밀려서 제1자세 상태로부터 제2자세 상태로 전환유지된다. 이에 의하여 정착기(11), 제2배지 로울러(12)를 통과한 시트재는 이 제2자세의 가동플래퍼(16)의 제2가이드면(16b)에 의하여 제2배지구(19)로부터 제2의 배지부로서의 베지트레이(23)로 향하는 방향으로 진로가 규정된다.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가동플래퍼(16)는 앞커버(20)의 앞면에 대한 급지 트레이(22)의 접어넣은 상태시에는(제4도 실선표시), 제12a도의 부분확대도와 같이 플래퍼(16)의 앞면이 메인 트레이(22a)이 밀어넣어 수납되어 있는 서브트레이(22b)의 선단변쪽의 내면에 의해 밀려서 제1자세상태로 회전유지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같이 제1의 급지부로서의 카세트급지부(60)로부터 프린터본체(50)에 급송되어 정착기(11), 제2배지로울러(12)를 통과한 시트재는 이 제1자세의 가동플래퍼(16)의 제1가이드면(16a)에 의하여 제1의 배지부(2)로 행하는 방향으로 진로가 규정된다.
급지트레이(22)가 앞커버(20)의 앞면으로부터 넘어져 열린 상태시에도 가동플래퍼(16)는 제12b도와 같이 그대로 제1자세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급지트레이(22)를 앞커버(20)의 앞면으로부터 넘어뜨려 열어서 제2배지구(19)에 대한 배지트레이(23)를 핀(23a)과 훅(20a)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앞커버 (20)의 앞면에 정착하였을때에는 제12c도와 같이 가동플래퍼(16)는 노브(16C)의 하부의 볼록돌기부(16d)가 상기 장척된 배지트레이(23)의 부분(23b)에 밀려서 제1자세 상태로부터 제2자세상태로 전환유지된다. 이에 의하여 정착기(11), 제2배지로울러 (12)를 통과한 시트재는 이 제2자세의 가동플래퍼(16)의 제2가이드면(16a)에 의하여 제3의 배지구(19)로부터 제2의 배지부로서의 배지트레이(23)로 향하는 방향으로 진로가 규정된다.
정착기(11), 제2배지로울러(12)를 통과한 시트재는 가동플래퍼(16)가 제2의 배지부로서의 배지트레이(23)가 앞커버(20)의 앞면에 장착되어 있어서 제12c도와 같이 제2자세로 전환유지되어 있으므로, 플래퍼(16)의 제2가이드면(16b)에 안내되어 제2배지구(19)로부터 프린터 앞커버(20)의 바깥쪽으로 배출되고, 제2의 배지부로서의 장착 배지트레이(23)위에 화상면이 상향인 페이스업 모우드로 배지된다.
제1의 급지부로서의 카세트 급지부(60)로부터 시트재가 급송된 경우도 제2배지구(19)에 대하여 배지트레이(23)가 장착되어 있으며(제12도(c))이 시트재는 배지트레이(23)위에 페이스업 모우드로 배지된다.
제2의 배지부로서의 상기 배지트레이(23)에 대한 화상형성시트재인 페이스업 배지는 정착기(11)로부터 배지트레이(23)로 시트재 배출이 비교적 직선적인 스태재 이송경로로 향하여지므로, 두꺼운 종이나, 엽서, 봉투. OPH(overhead projector)종이 등의 보통지이외 용지의 배지 모우드에 적합하다.
그리고 제2의 급지부로서의 급지트레이(22) 및 시트재 1매분리 급송조립체(9)는 시트경로가 짧고 시트재 분리방식이 두꺼운 종이 등에도 대응하기 쉬운 마찰부재인 분리 패드(9d)에 의해 시트를 분리하고, OPH용지와 같이 1매씩 급지할 필요가 있는 툭수지에도 대응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특수지의 급지는 제2의 급지부로서의 급지트레이(22)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좋다.
제2배지구(19)에 대하여 배지트레이(23)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제2의 급지구(22)로 부터 프린터본체(50)내로 급송된 시트재와 제1의 급지부(60)으로부터의 급송재는, 가동 플래퍼(16)가 12b도와 같이 제1자세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의 배지부로서의 트레이(2)의 방향으로 안내되어 페이스다운 모두드로 배지된다.
(Ⅴ) 다른 실시예(제13도)
제13도에 있어서, 1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하우징, 50A는 이 하우징에 내장된 화상형성수단부, 18A,15A는 각각 하우징(1)의 상면판(2)의 우변 기까이와 좌변 가까이에 구멍이 트린 제1급지부와 제1배지구이다. 22A는 제1의 급지부로서의 급지 트레이이고, 기초부쪽이 제1급지부(18A)의 우변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축부분(90A)을 중심으로 하우징 윗면판(2)으로부터 제13A도와 같이 열어 세워서 제1급지부(18A)에 대한 급지대로서 기능하는 제1의 자세 위치와 제13B도와 같이 넘어뜨려 닫은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이 자유롭다. 급지대(22A)는 하우징윗면판(2)에 대하여 넘어뜨려 닫은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제1급지구(1(A) 및 제1배지구(15A)가 덮인 상태가 되고, 이들 구멍(18A,15A)에 대한 폐색도어로서 가능하다.
SP1은 하우징(1)내의 화상형성수단부 윗쪽의 좌우방향으로 설치한 대략 수평 방향의 시트경로, SP2는 하우징(1)내에 우측면 가까이에 설치한 대략 수직방향의 시트 경로이고, 이 수직방향 시트경로(SP2)의 상단은 상기 수평 시트 경로(SP1)의 우단에 연이어 통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수평방향 시트 경로(SP1)의 좌단은 제2배지구(19A)로서 하우징(1)의 좌측벽면에 개방시키고 있다. 수직방향 시트 경로(SP2)의 하단은 화상형성 수단부(50A)의 아래쪽의 하우징 내공간에 제2의 급지부로서 수납한 시트재 카세트(61A)로부터 급지로울러(67A)에 의해 1매씩 급송되는 시이트재(P)의 입구로 되어있다.
9A는 제1의 급지부로서의 급지 트레이(22A)의 기초부쪽에 구비된 급지로울러, 9B는 화상형성 수단부(50A)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시트경로(SP1)의 시트재 이송방향 상류쪽부분에 배열설치한 시트재 이송로울러, 16A는 그 하류쪽부분에 배열 설치된 시트재진로 전환 수단으로서의 플래퍼이다.
제1의 급지부로서의 급지 트레이(22A)를 제13a도와 같이 하우징 윗면판(2)으로부터 열어 세운 제1의 자세위치로 전환시킨 상태에 있어서는, 그 열어 세움에 연동하여 도시하지 않은 연동기구에 의하여 플래퍼(16A)가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경사져 하향으로 회전되어 수평방향시트경로(SP1)내로 진입하여 플래퍼 선단부가 그 시트경로의 아래쪽 가이드판의 윗면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는 제1의 급지부로서의 급지트레이(22A)로부터 시트재(P)를 급지하는 모우드와, 제2의 급지부로서의 시트재 카세트(61A)로부터 시트재(P)를 급지하는 모우드와 어느 것도 선택할 수 있다. 전자의 급지트레이(22A)를 사용하는 급지 모우드의 경우에는 급지트레이(22A)위의 시트재(P)가 급지로울러(9A)에 의하여 1매 분리급송되어 제1급지구(18A)로부터 수평방향시트경로(SP1)내로 들어가서 이송로울러(9B)에 의하여 화성형성수단부(50A)로 급송되어 화상형성을 받아, 플래퍼(16A)로 윗쪽으로 진로 변경되어 제1배지구(15A)로부터 장치밖으로 배출된다.
또, 후자의 카세트(61A)를 사용하는 급지 모우드의 경우에는 카세트(61A)내의 시트재(P)가 급지로울러(67A)로 1매 분리되어 수직 방향시트경로(SP2)내로 들어가서, 수평방향시트경로(SP1)→이송로울러(9B)→화상형성수단부(50A)→플래퍼(16A)→제1배지구(15A)의 경로롤 화상 형성된 시트재가 장치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제1의 급송부로서의 급지트레이(22A)를 제13도(b)와 같이 하우징 윗면판(2)에 대하여 닫아 넘어뜨린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시킨 상태에서는, 그 닫아넘어뜨린 연동하여 도시하지 않은 연동기구에 의한 플래퍼(16)가 수평방향 시트경로(SP1)내로 부터 윗쪽으로 후퇴 회전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에는 제2의 급지부로서의 카세트(61A)를 사용한 급지모우드만을 선택할 수 있고, 카세트(61A)로부터 급지된 시이트재(P)는 수직반향 시트경로(SP2→수평방향시트경로(SP1)→이송로울러(9B)→화상형성수단부(50A)→제2배지구(19A)의 경로를 지나 제2의 배지부로서의 배지트레이 (23A)에 대하여 화상형성된 시트재가 배출된다.
이 경우에는 제1급지구(18A)와 제1배출구(15A)는 하우징윗면판(2)위에 닫아넘어져 있는 제1의 급지부로서의 급지트레이(22A)에 의하여 폐색회되어 있으므로, 그들구멍(18A,19A)으로부터 장치내로의 이물질의 낙하침입, 먼지, 쓰레기의 침입이 방지된다.
(Ⅵ) 변형예
제14도의 프린터는 화상형성수단부(50)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방부에 제1의 급지부(60)를, 하장부에 제1의 배지부(2)를 배설하고, 급지부(60)로부터 화상형성수단부(50)를 지나 배지부(2)에 이르는 대략 수직방향의 시트 경로를 구비시켜, 급지부(60)로부터 급송된 시트재를 그 수직시트경로에 도입하여 이송시켜서 화상형성수단(50)에 이시트재에 대한 화상형성을 실행시키고, 배지부(2)로 배출시키는 구성의 것이다.
즉, 급지부(60)의 시트재 카세트(61)내에 시트재(P)는 급지로울러(67)의 1회전구동과 분리클로오(64)에 의하여 최상부 시트재가 1매 분리급송되어 반송로울러(6)로 화상형성수단부(50)의 대략 수직시트 경로내의 아래쪽으로 이송되어, 드럼(3)과 전사용 대전기(7a)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드럼(3)면쪽에 형성화상의 순차전사를 받아서, 이송장치(27), 정착기(11), 제1자세(실선 표시)의 가동플래퍼(16), 제1배지포울러(13)의 경로로, 제1의 배지부로서의 트레이(2)내에 화상면이 상향인 페이스업 모우드로 배지된다.
또, 프린터 앞커버(20)의 하변가끼이에 설치한 제2배지구(19)에 대하여 제2의 배지부로서의 배지트레이(23)를 부착하고, 가동플래퍼(16)를 제2자세(2점 쇄선표시)로 전환함으로써 정착기(11)을 통과한 시트재는 제2배디 로울러(13), 제2배지구(19)의 경로로, 제2의 배지부로서의 트레이(23)위에 화상면이 하향인 페이스다운 모우드로 배지된다.
제2의 배지부로서의 배지트레이(23)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장애가 되지 않도록 제거되거나, 프린터 앞커버(20)의 앞면에 접어넣거나 또는 수납된다.

Claims (14)

  1. 화상형성수단, 적재된 시트재를 한쪽방향으로 급지하는 시트재 급지수단, 및 상기 시트재 급지수단에 의해 급지된 시트재를 상기 화상형성수단을 경유하여 시트재 배지수단으로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쪽방향으로 분리되고 상기 한쪽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하우징에 제공되어 시트재를 적재하는 시트재 적재급지수단 ;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한쪽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반송수단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 ;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재 배지수단은 상기 한쪽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시트재를 시트재 배지부에 배지하고, 상기 반송수단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 적재급지수단은 상기 화상형성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수평으로 배설되고, 상기 시트재 배지수단은 상기 화상형성수단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평으로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 적재급지수단은 제1급지부로 했을때, 이 제1급지부와는 별도로, 상기 반송수단이 뻗어있는 수직시트경로에 분기시트경로를 통해 연결된 제2급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의 급지부로부터 상기 수직시트경로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시트의 급지가 가능하며, 제2급지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하우징에 대해서 접어넣기, 수납, 또는 착탈가능한 시트받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직시트경로를 경계로 분할되는 두 부분중 한쪽의 장치부에 대해서 다른쪽의 장치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하고, 상기 화상형성수단의 주요 프로세스기기는 부동쪽인 상기 한쪽의 장치부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 배지부를 제1배지부로 했을때, 이 제1배지부와는 별도로, 상기 반송수단이 뻗어있는 수직시트경로에 분기시트경로를 통해서 연결되는 제2배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또는 제2배지부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수직시트경로부터의 시트재의 배출이 가능하며, 제2배지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하우징에 대해서 접어넣기, 수납, 또는 착탈가능한 시트받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 적재급지수단을 제1급지부로 했을때, 이 제1급지부와는 별도로, 상기 수직시트경로에 대해서 분기시트경로를 통해서 연결된 제2의 급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의 급지부로부터 상기 수직시트경로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시트의 급지가 가능하며, 제2급지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하우징에 대하서 접어넣기, 수납, 또는 착탈가능한 시트받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직시트경로를 경계로 하여 분할되는 두 부분중 한쪽의 장치부에 대해서 다른쪽의 장치부를 개폐나 자유롭게 구성하고, 상기 화상형성수단의 주요 프로세서기기는 부동쪽인 상기 한쪽의 장치부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지부는 적재식 배지부, 상기 제2배지부는 트레이식 배지부, 제1급지부는 카세트식 급지부, 제2급지부는 수동삽입식 급지부이고, 상기 수직시트경로를 경계로 하여 분할되는 두 부분중 한쪽의 장치부에 대하여 다른쪽의 장치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하고, 상기 화상형성수단의 주요 프로세스기기는 부동쪽인 상기 한쪽의 장치부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수단을 통과해 오는 시트재를 제1배지부의 방향 또는 제2배지부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진로전환하는 시트재 진로전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급지부는, 급지대로서 가능하는 제1의 자세위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하우징에 접어넣은 격납상태의 제2의 자세위치로의 전환이 자유롭고,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되었을때 상기 제1 및 제2의 배지부의 배지구중 한쪽과 상기 제2급지부의 급지부를 덮는, 급지부 및 배지구 폐쇄도어로서 가능하는 급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재 진로전환수단은 상기 급지대가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되는 것과 연동하여, 화상형성수단을 통과해 오는 시트재를 제2의 자세위치로 전환된 급지대에 의해 폐쇄된 상기 한쪽의 배지부가 아닌 다른쪽의 배지부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태로 자세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 진로전환수단은, 상기 제2급지부의 급지대가 제1의 자세위치로 전환됨으로써 개방된 상기 한쪽의 배지부에 배지받이대가 장착되었을 때, 그 장착에 연동하여 상기 개방된 배지부의 방향으로 시트재를 안내하는 상태로 자세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 배지수단은 상기 반송수단이 뻗어있는 수직시트경로의 종단쪽에 상기 수직시트경로를 가운데 두고, 서로가 반대쪽으로 갈라져서 위치하는 좌우의 제1및 제2의 배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시트경로를 반송되어 화상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시트경로의 종단쪽에 이른 시트재를, 상기 제1배지부로 인도하는 제1의 분기시트경로와 상기 제2의 배지부로 인도하는 제2의 분기시트경로, 및 상기 수직시트경로에 상기 제1또는 제2의 분기시트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연통시키는 시트재 진로전환수단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 진로전환수단의 시트재 반송방향 상류쪽 위치에 시트재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이 뻗어있는 수직시트경로를 경계로 분할되는 두 부분중 한쪽의 장치부에 다른쪽의 장치부를 개계가 자유롭게 구성하고, 상기 시트재 적재급지수단과 상기 시트재 배지수단은 부동쪽인 상기 한쪽의 장치부에 설치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수단의 주요 프로세스기기가 부동쪽인 상기 한쪽의 장치부에 내장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890008381A 1988-06-17 1989-06-17 화상 형성장치 KR950007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49661A JP2923948B2 (ja) 1988-06-17 1988-06-17 画像形成装置
JP63-149662 1988-06-17
JP63-149660 1988-06-17
JP63-149661 1988-06-17
JP63149662A JPH01317949A (ja) 1988-06-17 1988-06-17 画像形成装置
JP63149660A JPH0757650B2 (ja) 1988-06-17 1988-06-17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474A KR910001474A (ko) 1991-01-30
KR950007526B1 true KR950007526B1 (ko) 1995-07-11

Family

ID=2731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381A KR950007526B1 (ko) 1988-06-17 1989-06-17 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18606A (ko)
EP (1) EP0346934B1 (ko)
KR (1) KR950007526B1 (ko)
CN (1) CN1051159C (ko)
DE (1) DE6892078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6652T2 (de) * 1990-11-23 1996-09-05 Minolta Camera Kk Bilderzeugungsgerät
JPH04190253A (ja) * 1990-11-23 1992-07-08 Minolta Camera Co Ltd レーザビームプリンタ
JPH04243765A (ja) * 1991-01-23 1992-08-31 Canon Inc 排紙装置
US5331373A (en) * 1992-03-13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JP3073102B2 (ja) * 1992-09-28 2000-08-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10262A (ja) * 1992-09-28 1994-04-22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US5839032A (en) * 1996-03-08 1998-11-1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electably controlled sheet discharge paths
US5950052A (en) * 1996-09-17 1999-09-07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TE308774T1 (de) * 1999-02-26 2005-11-15 Brother Ind Ltd Kartusche mit photoempfindlichem teil
US6330410B1 (en) * 1999-02-26 2001-12-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JP2000280570A (ja) 1999-03-31 2000-10-1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748777B2 (ja) * 2001-02-01 2006-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684168B2 (ja) * 2001-04-12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659454B1 (en) * 2001-08-10 2003-12-09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er exit tray and computer printer having an exit tray
EP1291729B1 (en) * 2001-09-10 2013-06-1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having paper dust removing units
KR100476769B1 (ko) * 2002-10-10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용지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쇄기기
JP4298363B2 (ja) * 2003-04-18 2009-07-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138607B2 (ja) * 2003-08-21 2008-08-27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7347637B2 (en) * 2003-09-04 2008-03-25 Sharp Kabushiki Kaisha Hybrid paper supply modul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hybrid paper supply module
US7451972B2 (en) * 2003-10-02 2008-11-18 Sharp Kabushiki Kaisha Hybrid paper supply modul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hybrid paper supply module, and also paper supply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paper supply mechanism
KR20050046425A (ko) * 2003-11-14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기
JP4189748B2 (ja) * 2003-12-26 2008-12-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17455B2 (ja) 2004-02-27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64058B2 (ja) * 2004-09-28 2008-10-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43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93446B2 (ja) * 2004-09-28 2009-07-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67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97361B2 (ja) * 2004-09-28 2009-07-1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471207B2 (ja) * 2004-09-28 2010-06-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US7300045B2 (en) * 2004-09-28 2007-11-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Waiting tray for sheet processing tray
JP2006096461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68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34300B2 (ja) * 2004-09-28 2008-01-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4034307B2 (ja) * 2004-09-29 2008-01-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70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66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4315343B2 (ja) * 2004-09-29 2009-08-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64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US20060214346A1 (en) * 2005-03-22 2006-09-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7328894B2 (en) * 2005-03-22 2008-02-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7407156B2 (en) * 2005-03-22 2008-08-0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7364149B2 (en) * 2005-03-22 2008-04-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KR100706016B1 (ko) * 2005-04-1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팩트 구조를 갖는 복합기
JP2007025752A (ja) * 2005-07-12 2007-02-01 Brother Ind Ltd 無線タグ情報通信装置
JP5078395B2 (ja) * 2006-03-31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079698B2 (en) * 2006-07-31 2011-12-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4201033B2 (ja) * 2006-07-31 2008-1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9070606A (zh) * 2016-04-07 2018-12-2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门延伸部
CN106004113A (zh) * 2016-05-20 2016-10-12 庄健峰 一种稳定性高的打印机装置
CN106004114A (zh) * 2016-05-20 2016-10-12 庄健峰 一种运行稳定的打印机装置
CN106004111A (zh) * 2016-05-20 2016-10-12 青岛捷锐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的打印机装置
CN106004108A (zh) * 2016-05-20 2016-10-12 青岛捷锐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办公的智能打印机装置
CN106004109A (zh) * 2016-05-20 2016-10-12 青岛捷锐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速度可调的打印机装置
US10241464B2 (en) * 2016-06-28 2019-03-26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wo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JP2018054947A (ja) * 2016-09-29 2018-04-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146173B1 (en) 2017-09-15 2018-12-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6879466B2 (ja) 2017-09-28 2021-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19204004A (ja) * 2018-05-24 2019-1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8860844B (zh) * 2018-06-26 2021-07-09 固安县晨泰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高速抽纸机构、送纸机构、排塞机构及高速折纸机
JP2020011464A (ja) * 2018-07-19 2020-01-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60088C2 (de) * 1976-06-02 1984-11-22 Mita Industrial Co., Ltd., Osaka Elektrophotographisches Kopiergerät
JPS595251A (ja) * 1982-07-01 1984-01-12 Hitachi Ltd 電子写真記録装置
US4664504A (en) * 1983-01-20 1987-05-1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S5977450A (ja) * 1983-01-26 1984-05-02 Canon Inc 転写型複写装置
JPS60104958A (ja) * 1983-11-14 1985-06-1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写真複写機
JPS60258030A (ja) * 1984-06-04 1985-12-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6156371A (ja) * 1984-08-28 1986-03-2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複写機
JPS6286369U (ko) * 1985-11-19 1987-06-02
JP2765654B2 (ja) * 1986-04-11 1998-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綴じ装置
US4772915A (en) * 1986-04-18 1988-09-20 Alps Electric Co., Lt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compact image development arrangement
JPS62262066A (ja) * 1986-05-07 1987-11-14 Alps Electric Co Ltd 電子写真装置
JPS6315265A (ja) * 1986-07-07 1988-01-22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US4785319A (en) * 1986-08-05 1988-11-1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graphic apparatus
EP0276910B1 (en) * 1987-01-09 1994-07-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2550555B2 (ja) * 1987-02-03 1996-11-06 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収納装置
DE3854559T2 (de) * 1987-03-31 1996-03-21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US5002266A (en) * 1987-12-26 1991-03-2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system
JP2629945B2 (ja) * 1988-02-24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EP0331324B1 (en) * 1988-03-02 1993-09-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with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18606A (en) 1995-05-23
CN1039313A (zh) 1990-01-31
KR910001474A (ko) 1991-01-30
EP0346934A3 (en) 1991-11-13
DE68920781T2 (de) 1995-06-14
DE68920781D1 (de) 1995-03-09
CN1051159C (zh) 2000-04-05
EP0346934A2 (en) 1989-12-20
EP0346934B1 (en) 1995-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526B1 (ko) 화상 형성장치
JP2851303B2 (ja) プリンター装置
US5708954A (en) Re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5462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veniently upgradable to a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JPH03101761A (ja) 両面プリンタ
JPH1184981A (ja) 画像形成装置
US5257068A (en) Clamshell-type electrophotographic duplex printer
US6708972B2 (en) Sheet-like object sorter, and discharged paper processing device for image-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2923948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57650B2 (ja) 画像形成装置
JPH02158542A (ja) 画像形成装置
JPS62201775A (ja) 画像形成装置
JPH08123119A (ja) 画像形成装置
JPH11228015A (ja) 記録媒体排出装置
JP3338166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236166A (ja) 記録媒体排出装置
JP2938145B2 (ja) 複写機内蔵型デスク
JPH05115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22139A (ja) 両面装置
JPH01317949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5652B2 (ja) 開閉可能な搬送手段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192171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46660A (ja) 画像形成装置
JPH0640612A (ja) 手差し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JPH053502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