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253Y1 -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253Y1
KR940007253Y1 KR2019900020776U KR900020776U KR940007253Y1 KR 940007253 Y1 KR940007253 Y1 KR 940007253Y1 KR 2019900020776 U KR2019900020776 U KR 2019900020776U KR 900020776 U KR900020776 U KR 900020776U KR 940007253 Y1 KR940007253 Y1 KR 940007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pair
vehicle
body structure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431U (ko
Inventor
미찌다카 이노우에
가즈오 이께다
와다루 쯔다가와
요시오 오다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9948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8682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190769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75782U/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1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4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8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체의 후부몸체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Ⅱ선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연료탱크실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체의 후부몸체부의 뼈대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후부몸체부의 지지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후부몸체부의 리어사이드 프레임어셈블리의 변형예인 리어사이드 프레임어셈블리의 사시도.
제9도(a) 내지 제9도(d)는 제8도의 A-A, B-B. C-C 및 D-D선 단면도.
제10도는 트렁크실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사이드프레임 5 : 연료탱크실
6 : 프론트크로스비임 7 : 리어크로스비임
15 : 연료탱크 20,40 : 지지수단
21,41 : 지지비임 22,42 : 연결비임
50 :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 51:1차보조프레임
52 : 2차 보조프레임 53 : 3차보조프레임
54 : 4차 보조프레임 55 : 5차보조프레임
56 : 6차 보조프레임 60 : 스페어타이어공간
62 : 노치 63 : 스페어타이어
64 : 플라스틱 클로우져
본 고안은 차량의 몸체구조의 일부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료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차체의 후부몸체구조(Rear body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료탱크는 리어트렁크공간 또는 루움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자체의 플로어패널 아래에 설치된다. 그러나, 차량 특히 승용차의 최근 경향중의 하나는 차체의 플로어위치가 낮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플로어패널하부에 그러한 연료탱크용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시도는 차실과 리어트렁크실 사이에 안장설치(Sadding installation) 라 불리는 방법으로 차체의 플로어패널위에 연료탱크를 위치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그와같은 몸체구조는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1-6122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와같은 연료탱크용 안장설치구조에서, 여분의 또는 부가적인 부재를 사용하여, 연료탱크용 공간을 형성한다. 실제로, 그 공간속의 연료탱크는 차실의 일부분을 점유함에 따라, 예를들면 후단부 충돌시, 연료탱크용 공간을 형정하는 여분의 또는 부가적인 부재의 변형때문에 연료탱크가 차실속으로 밀리게 된다.
충돌의 발생으로 인한 파손에 대하여 차량에 승차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몸체구조는 개선되어야 했다. 이와같은 종류의 몸체구조는 리어트렁크실의 사이드로부터 그 공간속으로 연료탱크를 제거할 수 있게 설치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작업자 또는 기계은 리어트렁크실의 내부를 쳐다보면서 리어트렁크실 속으로 기어들어가야 한다.
이와같이 연료탱크를 설치하는 것은 귀찮은 일이며, 예를들면 종래의 연료탱크의 설치와 비교하여 작업효율을 떨어뜨리게 한다.
차체에 연료탱크를 설치하는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체의 하면으로부터 킥업된 차체플로어(차실의 리어플로어패널과 리어트렁크실의 플로어패널로 이루어지는)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설치된 차체의 하면에 개구한 공간속으로 연료탱크를 설치하는 것이 유익하나, 이 경우에, 연료탱크는 차체플로어에 고정된 한쌍의 또는 전 또는 후브레킷에 의해 볼트로 고정되거나 또는 지지되거나 하고, 그렇지 않으면 벨트에 의해 현가 또는 지지된다.
그러나 차체플로어의 일부분을 들어올려서 형성된 연료탱크용 공간은 차체플로어, 특히 공간이 차체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차체플로어의 일부분의 구조적 강성을 떨어뜨린다. 이와같은 부분적인 강성의 저하는 후단부 충돌시에 차체플로어의 변형을 초래하여, 연료탱크의 붕괴를 용이하게 한다.
이와같은 종류의 변형은 브래킷에 연료탱크를 볼트로 고정하여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이 구조에 있어서, 차체플로어의 강성을 연료탱크에 의해 증가시킬 수 있을지라도, 브래킷에 연료탱크를 용이하게 볼트로 고정하게 허용하는 연료탱크용 공간과 연료탱크 사이에 더 큰 작업공간을 남겨 놓아야한다.
한편, 후단부 충돌의 발생시에 차체플로어의 변형으로 인한 벨트의 쉬운 늘어짐 또는 편향때문에, 벨트로 연료탱크를 현가하고 지지하는 것은 차체공간의 부적당한 사용외에 전혀 차체를 보강하는데 기여하지 못한다.
이들 이유로 이들 차체구조의 어느것도 연료탱크의 설치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구조적 강성과 후단부 충돌에 대한 강도가 개선된 차량의 후부몸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연료탱크의 용이한 설치를 실현하고 차량의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차량의 후부몸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후부몸체구조는 차실과 트렁크실 사이에 있는 플로어패널 아래에 형성된 공간속에서 하면으로부터 연료탱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이 공간은 차실의 리어플로어패널과 트렁크실의 트렁크 플로어패널과 같은 차체의 세로방향으로 플로어패널을 위아래로 벤딩하여 형성된다.
이 지지수단은 차체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하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지지비임과, 그리고 차체의 가로방향으로 그 사이에서 연장하고 지지비임에 연결된 한쌍의 연결비임으로 이루어지고, 그들은 평행하게 교차하도록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된 후부몸체구조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 (1) 차체의 하면위에 설치되는 연료탱크는 후단부 충돌과 같은 충돌로 차체, 특히 플로어패널의 변형으로 인하여 으깨지고 또한 차실속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 (2) 연료탱크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아래로 굽혀진 플로어패널이 세로방향으로 그 자신의 더낮은 강성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플로어패널의 부착된 지지수단은 세로방향으로 플로어패널의 구조적 강성을 크게 증가시켜, 차량 전체의 후부몸체의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키고; (3) 본 후부몸체구조는 연료탱크가 후부몸체구조의 하면에 형성된 공간의 바닥구멍을 통하여 설치되도록 허용하고, 그 공간의 바닥구멍을 에워싸는 후부몸체구조에 고정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그위에서 고정되도록 허용하여, 연료탱크는 종래에 탱크실의 내부를 통하여 설치되는 것에 비하여 이 공간에서 비교적 쉽게 설치되게 되고 ; (4) 그 위에서 연료탱크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수단은 연로탱크와 플로어패널 사이에 남겨진 작은 틈새속에서 연료탱크를 볼트로 체결하거나 고정하는 것을 피하게 하여, 공간만큼 큰 연료탱크를 설치할 수 있거나 또는 연료탱크만큼 작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참조부호를 부여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는 다음 명세서로부터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제목적과 특징들이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그 속에 연료탱크가 설치되고, 또한 (Z)로 나타낸 후몸체부의 상세를 설명한다. 후부몸체부(Z)는 그것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한 한쌍의 즉, 좌우리어사이드프레임(1)을 포함한다.
각각의 리어사이드프레임(1)은 그것의 전단부(1a)에서 한쌍의 즉, 좌우사이드실(side silts)(2),(2)의 후단부에 용접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고착된다.
후륜(30)을 감싸는 휘일하우징(8)은 각 리어사이드프레임(1)의 전단부(1a)와 중간부(1b)의 사이인 전반부의 바깥쪽에 고정되고, 또한 후륜(30)은 리어사이드프레임(1)의 중간부(1b) 사이의 차체의 리어사이드프레임(1) 하부에 있는 리어차동기어(31)를 경유하여 프론트엔진룸(둘다 도시하지 않음)속에 탑재된 엔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주 및 보조소음기(34),(35)가 설치된 베기파이프(36)는 세로바향으로 따로따로 위치함과 등시에 즉 우측의 리어사이드프레임(1)중의 하나에 매우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32)는 서스펜션다워이다.
제1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차실(10)용 리어플로어패널(3)은 양쪽의 리어사이드프레임(1)의 상부면에 용접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 리어플로어패널(3)은 차실(10)의 플로어로서의 플로어섹션(3a)과 ; 차실(10)과 리어트렁크실(9) 사이의 칸막이로서, 플로어섹션(3a)에 대하여 적당한 각도로 후방의 상방(rearward up)으로 경사지고 승객실(10)내에 위치하도록 리어시이트(11)의 상단부(11a) 가까이까지 연장하는 리어월섹션(3b)과 ; 그리고 리어월섹션(3b)로부터 후방으로 굽혀지고 또한 리어월섹션(3b)의 상단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하는 트림섹션(3c)으로 구성되고, 모든 섹션(3a)∼(3c)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섹션(3a)피 리어월섹션(3b) 사이에 있는 리어플로어패널(3)의 전이부(transitionalportion)(3d)를 보강하기 위하여, 리어사이드프레임(1) 사이를 가로로 연장하는 프론트 크로스비임(6)이 리어플로어패널(3)의 리어월섹션(3b)의 뒤에 고정된다. 이 프론트크로스비임(6)은 후에 기술하는 지지수단(20)을 그곳에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기준면 역활을 하는 하면(6a)를 가진다.
트렁크플로어패널(4)은 리어플로어패널(3)의 리어월섹션(3b)뒤에 설치되고, 또한 리어월섹션(3b)으로부터 후방수평으로 연장하고 대략 리어월섹션(3b)의 중간부 높이에서 리어플로어패널(3)의 리어월섹션(3b)의 뒷면에 고정된 상부프론트 플로어섹션(4a)과 ; 상부프론트 플로어섹션(4a)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아래로 굽혀진 월섹션(4b)과 ; 그리고 대략 적각으로 굽혀진 월섹션(4b)의 하단부로부터 수평후방으로 연장하는 하부리어플로어섹션(4c)로 구성된다. 모든 섹션(4a) ∼(4c)은 일체적으로 만들어진다. 월섹션(4b)과 하부리어플로어섹션(4c)사이의 전이부(4d)를 보강하기 워하여, 리어사이드프레임(1) 사이에서 가로로 연장하는 리어크로스비임(7)이트렁크플로어패널(4)의 하부리어플로어섹션(4c)의 하면에 고정된다. 또한 이 리어크로스비임(7)은 지지수단(20)을 그곳에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기준면 역할을 하는 하면(7a)을 가진다.
이렇게 형성되고 서로서로 연결된 리어플로어패널(3)과 트렁크플로어패널(4)은 리어플로어패널(3)의 리어윌섹션(3b)과,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상부프론트플로어와 월섹션(4a),(4b)과 리어플로어패널(3)의 리어월섹션(3b)외 뒤에 있는 좌우사이드 프레임(1)에 의해 형성된 바닥구멍(5a)를 구비한 바람직한 치수의 공간 또는 연료는 탱크실(5)을 형성한다(제4도 참조).
제4도를 참조하여, 가스 또는 연료탱크(15)를 에워싸는 후부몸체부(Z)의 일부를 도시한다. 예를들면, 연료탱크는 강철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주변플랜지(15a)를 가진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박스형 메인하우징(15')으로 이루어진다.
연료탱크(15)에는 플로우트 또는 플로우트밸브(15c)가 힌지로 연결되는 한쌍의 또는 좌우의 연료출구하우징(15b) 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연료출구하우징(15b)은 연료중기공급도관(15d)에 의해 증기저장통(도시하지않음)에 연결된다. 각각의 출구하우징(15b)은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상부프폰트플로어섹션(4a)속에 형성된 개구(4a')를 통하여 리어트링크실(9)로 돌출하고, 또한 캡(15e)으로 덮혀진다. 이 플로우트밸브(15c)는 연료탱크(15)속에 들어있는 액체연료가 차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액체연료의 표면높이가 상승할때 연료증기공급도관(15e) 속으로 흘러나오지 못하게 한다. 연료탱크(15)는 차체의 하면속의 바닥구멍(5a)을 통하여 차체의 후부몸체부(Z)속에 형성된 공간 또는 연료탱크설(5)속에 놓여진다. 연료실(5)속의 연료탱크(15)는 그 하면으로부터 지지수단(2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도에 있어서, 지지수단(20)은 한쌍의 또는 좌우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비임(21)과, 그들 사이에서 가로로 연장하고 또한 지지비임(21)에 연결된 한쌍의 또는 전후의 연결비임(22)으로 이루어진다. 하방으로 개구하는 U자 채널프레임으로 바람직하게 만들어진 각각의 지지비임(21)은 킥다운지지섹션(21a)과 전후섹션(21b),(21c)로 이루어진다.
각 지지비임(21)의 양단부는 프론트 및 리어크로스비임(6),(7)의 하부면(6a),(7a)에 각각 볼트로 체결되므로서, 하부면으로부터 연료탱크(15)를 단단하게 지지하여 연료탱크가 차체의 후부몸체구조(Z)속에 설치되게 된다.
지지수단(20)이 프론트 및 리어크트스비임(6),(7)에 일단 볼트로 고정되면, 연료탱크(15)는 지지프레임(21)의 상면, 특히 지지수단(20)의 킥다운지지섹션(21a)위에서 안정적이고도 단단하게 놓여진다.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상부프론트플로어섹션(4a)에 대하여 연료탱크(15)를 위로 놀러서 지지수단(20)의 지지프레임(21)과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상부프론트플로어섹션(4a) 사이에 그것을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15)의 메인하우징(15')의 상부와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상부프론트플로어색션(4a)의 하면 사이에 쿠션부재(2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관(16)과 같이, 연료탱크(15)로부터 하나의 리어사이드펜더(33)로 연장하는 연료주입기(fuel filler)는 구멍(24a)이 연료주입기도관(16)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중공원통칼라(24)에 의해, 연료탱크(15) 가까이에서 지지되어, 칼라(24)와 연료주입기도관(16) 사이에서 작은 에어갭(24b)을 제공 또는 형성하게 된다. 칼라(24)는 좌측리어사이드프레임(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 에어갭(24b)은 통기구로 이용된다.
우측 리어사이드프레임(1)은 통기구역활을 하는 구멍(25a)을 가지는 중공원통칼라(25)를 구비한다.
이들 구멍(24a)(25a), 즉 칼라(24)와 (25)의 열분산구멍은 배기파이프(36)에 의해 가열되고 또한 연료탱크(15)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연료탱크실(5)의 상부에 갇혀진 공기가 그곳을 통하며 연료탱크실(5)위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허용하여, 연료탱크(15)속의 내압상승을 방지한다.
그렇지 않으면, 배기가스에 의해 생성된 열료인한 그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를 제4도에 도시한 밀봉수단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고무가스킷(39)과 같은 밀봉수단을 탱크(15)의 메인하우징(15')의 플랜지(15a)의 주변에 끼위맞추어 연료탱크(15)가 연료탱크실(5)속에 설치될 때 연료탱크실(5)을 형성하는 리어플로어패널(3)과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월색션(3b)(4b)의 내면 모두와 접촉시킨다.
연료탱크(15)가 설치될때, 고무가스킷(39)은 연료탱크실(5)의 내부공간을 서로서로 격리된 상부 및 하부공간(5b),(5c)으로 분리하여,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부공간(5b)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고무가스킷(39)은 상부면(39a)이 안쪽상방으로 굽혀지게 형성되어, 연료탱크(15)가 연료탱크실(5)속에 설치될때 공간(5)을 형성하는 리어플로어페널(3)과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월섹션(3b),(4b)의 내면에 대한 연료탱크(15)의 가이드부재역활을 하게 된다.
상하방으로 굽혀진 리어플로어, 즉 상방으로 굽혀진 리어플로어패널(3)과 하방으로 굽혀진 트렁크플로어패널(4)에 의해 형성된 연료탱크실(5) 속으로 연료탱크(15)의 설치덕택에, 연료탱크(15)는 차실(10)과 트렁크실(9) 모두의 바깥쪽에 완전히 놓이게 됨에 따라서 ; 리어플로어와 연료탱크실(5)이 충돌로, 특히 후단부 충돌로 변형된때조차도 연료탱크(15)가 차실(10)속으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되어, 연료탱크(15)로부티의 손상에 대하여 차량의 차실(10)속에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연료탱크(15)가 차체의 하면으로부터 연료탱크실(5)속에 설치되도록 허용하는 후부 몸체구조(Z)는 연료탱크(15)의 설치작업을 트렁크실(9)을 통한 연료탱크(15)의 설치와 비교하여 더 쉽게 만든다.
게다가, 서로 평행하게 교차하게 구성 또는 조립된 지지비임(21)과 연결비임(21)으로 구성된 매우 강한 강체지지수단(20)은 연료탱크실(5)을 에워싸는 구조물의 강성을 확실하게 보장한다. 이것은 리어플로어 그리고 연료탱크실(5)이 충돌시에 변형하지 못하게 하여, 연료탱크(l5)로부터의 손상에 대하여 차량이 차실(10)속에 있는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연료탱크실(5)속에 있는 연료탱크(15)를 단단하게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하면으로부터 프로트 및 리어크로스비임(6),(7)에 볼트로 고정되어 부착된 지지수단(20)은 후부몸체구조(Z)에 연료탱크(15)를 볼트로 고정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연료탱크실(5)을 형성하는 리어플로어패널(3)의 후벽부(3b)와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상부프론트플로어 및 월섹션(4a)(4b) 그리고 연료탱크(15)와의 사이에 충분한 작업공간을 남길 필요성을 없앤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부몸체구조(Z)를 도시하는 제5도 내지 제10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후부몸체 구조의 요소들과 구조와 기능이 같은 요소들은 같은 숫자와 문자로 나타내고 다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제5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차체의 하면으로부터 연료탱크(1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40)은 한쌍의 또는 좌우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비임(41)과 한쌍의 또는 전후로 가로방향으로 연장하고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교차하도록 연결된 연결비임(42)으로 구성된다.
제6도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방으로 개구하는 일체형 U자채널 프레임으로 만들어진, 각각의 지지비임(41)은 킥다운 지지섹션(41a)과, 킥다운지지섹션(41a)에 대하여 직선으로 연장하는 프론트섹션(41b)과, 그리고 리어사이드프레임(1)과 리어크로스비임(7)의 내면(1c)와 (7c) 사이에서 각각 형성된 사이드코오너(48)를 향하여 외방으로 굽혀진 리어섹션(41c)으로 구성된다. 삼각형 모서리보강재(49)는 사이드코오너(48)에서 리어사이드프레임(1)과 리어크로스비임(7)의 내면(1c)와 (7c) 모두에 용접으로 연결된다.
후부몸체구조(Z)는 리어사이드프레임(1)과 리어크로스비임(7)의 각 교차부의 사이드코오너(48)에서 가장높은 구조적 강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졌다. 지지비임(41)은 그 앞단부에서 볼트(43)에 의해 L자형 앵글브래킷(44)를 개재하여 프론트크로스비임(6)의 하면(6c)에 고정되고, 그 후단부에서 와셔캡(47)을 개재하여 볼트(46)에 의해 삼각형모서리보강재(49)의 하면(45a)에 고정된다.
가로로 연장하는 연결비임(42)은 지지비임(41)의 킥다운지지부(41a)에 용접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다. 지지수단(40)이 프론트 및 리어크로스비임(6)가 (7)에 볼트로 고정되면, 연료탱크(15)는 지지수단(40)의 좌우지지프레임(41)의 지지부(41a)의 상면위에 안정적이고도 단단하게 설치되게 된다.
이 후부몸체구조(Z)는 예를들면 후단부의 충돌발생시, 리어사이드프레임과 리어트렁크플로어패널위에 작용하는 충격 또는 외부하증을 흡수하도록 한충더 개선되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어사이드프레임어셈블리(1A)는 킥다운,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과, 보강재로서 적절한 위치에서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에 고정된 6개의 보조프레임(51)∼(56)으로 구성되고, 5번째의 보조프레임(55)을 제외한 이들 모든 프레임들을 U자체널프레임으로 만들어진다. 상방으로 개구하는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은 3개의 섹션 ; 프론트섹션(50b), 킥다운섹션(50a) 그리고 리어섹션(50c)을 가지고, 사이드실(side sil1)(2)와 리어범퍼(도시하지 않음)사이에서 차체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한다.
제9도(a)∼제9도(d)에 도시한 바와같이, 측방바깥으로 개구하는 1차보조프레임(51)은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의 프론트섹션(50b)의 외면과 그 플랜지(51a)를 개재하여 휘일하우스(8)의 내면에 용접되고나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방으로 개구하는 2차보조프레임(52)은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의 킥다운섹션 (50a)속에 삽입되어 킥다운섹션(50a)의 전체길이의 내면에 용접이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방으로 개구하는 3차보조프레임(53)은 2차보조프레임(52)의 전체길이의 상부내면에 용접이나 다른 방법으로 고정되어, 그 사이에서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방으로 개구하고 그것의 전체길이에 결쳐서 연장하는 사이드플랜지(54a)가 형정된 4차보조프레임(54)는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의 킥다운섹션부(50a)의 상부내면에 용접이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되어, 리어사이드프레임(50)과 3차 및 4차보조프레임(53),(54) 사이에서 폐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4차보조프레임(54)은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상부프론트플로어섹션(4a)에 도달하는데 충분한 높이를 가지고 사이드플랜지(54a)를 개재하여 리어플로어패널(3)의 리어월색션(3b)와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상부프론트플로어패널(4a)모두에 용접이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4차보조프레임(54)은 연료탱크(15)의각사이드위에 또 그것을 위한 사이드보호벽으로서의 역활을 한다.
제9도(b)에 명백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2중폐단면구조로 구성된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의 킥다운섹션(50a)은 대단히 높아진 구조적강성을 가진다.
L자형 앵글프레임형태의 제5차보조프레임(55)은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의 리어섹션(50c)에 삽입되어, 제9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어섹션(50c)의 내벽에 용접이나 따른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다. 제8도에서 명백하게 나타난 바와같이, 5차보조프레임(55)은 그것의 앞단부에서 겹쳐져서 (55a)로 나타낸 바와같이 그것의 앞단부 근처에서 배어내어진다. 부분적으로 배어내어진 5차 보조프레임(55) 때문에, 리어사이드프레임 어셈블리(1A)는 2차 및 5차보조프레임(52)와 (55) 사이의 연결부에서 구조적인 강성이 부분적으로 약해진다.
6차보조프레임(56)은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과 리어범퍼(종래기술에서 잘열려져 있어 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기 위한 범퍼브래킷으로서 설치된다.
하방으로 개구하고 리어플랜지(56a)가 형성된 6차보조프레임(56)은 5차보조프레임(55)과 겹치도록 메인리어사이드프레임(50)의 리어섹션(50c) 속에 삽입되어, 제9도(d)에 도시한 바와같이 5차보조프레임(55)의 상부내면에 용접이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다.
리어사이드프레임 어셈블리(1A)를 포함하는 후부몸체섹션(Z)은 그것의 앞단부와 중간부 사이에서 더높은 구조적 강성을 가지고, 그것의 중간 및 뒷부분 사이에서 더낮은 구조적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후단부 충돌시에 연료탱크(15)와 차체(10)에 작용하는 충격을 제어할 수 있다. 리어사이드프레임어셈블리(1A)가 5차보조프레임 (55) 의 앞단부에서 특히 구조적 강성 (structural rigidity) 이 약하기 때문에, 후단부충돌시에 킥다운섹션(50a)과 리어섹션(50c) 사이에서 쉽게 뭉개지게 되어, 효과적으로 그위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후부몸채구조(Z)는 또한 트렁크실(9)을 에워싸는 구조를 변화시켜서 후단부 충돌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개량되었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렁크실(9)은 전형적으로 차체의 횡방향으로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하부리어플로어섹션(4c)을 벤딩하여 형성된 스페어타이어공간(60)을 구비한다.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하부플로어섹션(4c)에는 그것의 전체길이에 결쳐서 그것의 리어에지(rear dege)를 따르는 플랜지(61)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플랜지(61)는 트렁크실(9)의 후벽(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고, 또한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하부리어플로어색션(4c)에는 스페어타이어실(60)과 같은 공간의 양쪽위의 리어에지속에 노치(62)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 충돌시에 트렁크플로어패널(4)위에 작용하는 외력이 노치(62)위에 집중하기 때문에,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하부리어플로어섹션(4c)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노치(62)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전개하는 크랙선(D)을 따라 찢어진다.
후단부로부터 후부몸체구조(Z)위에 작용하는 외력이 더크면 더클수록, 찢어짐은 더크게 되고, 스페어다이어(63)(제1도 참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랙선(D) 사이에 있는 하부리어플로어섹션(4c)의 파아트(E)아래로 굽혀져, 파아트(E)위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결국, 트렁크플로어패널(4)은 후단부 충돌시에 넓은 지역에서 찢어지게 되어, 후단부 충돌시에 그위에 작용하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단부 충돌시에 스페어타이어(63)가 아래로 미끌어져 내리므로, 연료탱크(15)는 스페어타이어(63)에 의한 변형에 대하여 보호된다. 트렁크플로어패널(4)의 하부리어 플로어섹션(4c)의 니이트에지라인(neat dege line)을 위하여, 플라스틱크로우져(64)와 같은 시일부재를 각각의 노치(62)에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와 정신내에 있는 여러가지의 다른 실시예와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그와같은 다른 실시예와 변형예는 모두 다음에 기재하는 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된다.

Claims (6)

  1. 적어도 차실(10)과 트렁크실(9)을 구성하는 차량의 후부몸체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가로방향으로 따로따로 위치하고 차량의 앞에서 뒤까지 세로방항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리어사이드프레임(1)과 ; 차량의 하면에서 개구하는 바닥구멍을 가진 연료탱크실(5)올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한쌍의 리어사이드프레임(1)과 협동하는 수단과 ; 상기 연료탱크실(5) 속에 설치된 연료탱크(15)와 ;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15)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연료탱크(15)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로방향으로 상기 바닥구멍위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또한 상기 수단에 고정된 강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리어사이드프레임(1) 사이에서 차량의 가로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세로방향으로 상기 바닥구멍의 양쪽에 따로따로 위치하여 상기 강체수단이 고정되는 한쌍의 크로스비임(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수단은 각각 상기 세로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한쌍의 크로스비임(6),(7)에 연결되는 한쌍의 지지비임(21)과, 그리고 각각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한쌍의 지지비임(21)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비임(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5)는 직사각형 상자형 메인하우징(15')과 상기 메인하우징(15')의 상부앞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료탱크실로부터 돌출하는 출구하우징(15b)과, 상기 메인하우징(15')의 한쪽에 연결된 연료주입기도관(16)과, 그리고 상기 출구하우정(l5b)에 연결된 연료증기공급도관(15d)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하우정(15b)속에 배치된 플로우밸트(1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가로방향으로 따로따로 위치하고 차량의 앞에서 뒤까지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리어사이드프레임(1)과 ; 상기 한쌍의 리어사이드프레임(1) 사이에서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세로방항으로 따로따로 위치하는 한쌍의 크로스비임(6),(7)과, 각각의 상기 크로스비임(6),(7)은 상기 한쌍의 리어사이드프레임(1)에 연결되어 그 사이에서 사이드코어너를 형성하고 ; 차량의 하면속에서 개구하는 바닥구멍을 가지는 연료탱크실(5)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한쌍의 리어사이드프레임(1) 상기 한쌍의 크로스비임(6),(7)과 협동하는 수단과 ; 상기 연료탱크실(5) 속에 설치된 연료탱크(15)와 ;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15)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연료탱크(15)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쌍의 크로스비임(6),(7)중의 하나와 상기 한쌍의 러어사이드프레임(1) 및 상기 한쌍의 크로스비이(6),(7)중의 다른 하나에 의해 형성된 상기 사이드코오너 사이에서 고정된 강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KR2019900020776U 1989-12-25 1990-12-24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KR94000725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9948 1989-12-25
JP14994889U JPH0386824U (ko) 1989-12-25 1989-12-25
JP11907690U JPH0475782U (ko) 1990-11-13 1990-11-13
JP2-119076 1990-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431U KR910011431U (ko) 1991-07-29
KR940007253Y1 true KR940007253Y1 (ko) 1994-10-17

Family

ID=2645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776U KR940007253Y1 (ko) 1989-12-25 1990-12-24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95780A (ko)
EP (1) EP0435197B1 (ko)
KR (1) KR940007253Y1 (ko)
DE (1) DE6901428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7680B2 (ja) * 1992-01-18 2002-12-16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US5560651A (en) * 1993-03-26 1996-10-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ubframe and subframe assembly
US5405167A (en) * 1994-01-21 1995-04-11 Hyundai Motor Company Combined subframe and fuel tank for use in automobiles
JPH0834368A (ja) * 1994-07-21 1996-02-06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フレーム連結部構造
JP3057474B2 (ja) * 1994-08-17 2000-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キャニスタの配置構造
US5997040A (en) * 1996-04-26 1999-12-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cylinder mounting structure in motorcar
JP3205254B2 (ja) * 1996-05-09 2001-09-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燃料ボンベ取付構造
JP3182503B2 (ja) * 1996-08-07 2001-07-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支持構造
DE29703663U1 (de) * 1997-02-28 1998-08-20 Sommer Ulrich Personenkraftwagen mit einer tragenden Struktur, die mindestens zwei Längsträger aufweist
DE19728081C2 (de) * 1997-07-02 2001-08-16 Daimler Chrysler Ag Absenkbare Heckscheibe für ein Klappdach
US6099042A (en) * 1997-12-05 2000-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tank support
US5860687A (en) * 1997-12-19 1999-01-1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spare tire storage system having stiffening plate
DE19829432C2 (de) * 1998-07-01 2003-07-17 Daimler Chrysler Ag Bodenstruktur für eine selbsttragende Rohbau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DE19843025C1 (de) * 1998-09-19 2000-04-20 Daimler Chrysler Ag Trennanordnung für eine selbsttragende Karosserie
JP2000108813A (ja) * 1998-10-02 2000-04-18 Honda Motor Co Ltd 車両前部構造
JP2000168377A (ja) * 1998-12-09 2000-06-20 Suzuki Motor Corp 車両のキャニスタ取付構造
KR100324399B1 (ko) * 1999-11-26 2002-02-16 류정열 차체의 후부구조
KR100333889B1 (ko) * 1999-12-21 2002-04-25 류정열 자동차용 프레임의 보강을 위한 보강구조
JP3864037B2 (ja) * 2000-05-24 2006-12-27 株式会社共立 燃料タンク取付保持構造
US6588189B2 (en) * 2001-01-09 2003-07-08 Case Corporation Compound bend chassis frame for a harvesting machine
DE10149245B4 (de) * 2001-10-05 2005-06-16 Daimlerchrysler Ag Trennanordnung für Fahrzeugkarosserie
DE10153391B4 (de) * 2001-11-01 2016-10-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arosserieteil mit einem Holm zur Vermeidung einer Beschädigung von kraftstoffführenden Bauteilen
JP4094357B2 (ja) * 2002-07-02 2008-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の車体構造
JP3746758B2 (ja) * 2002-11-11 2006-0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の配管類配索構造
US6886861B2 (en) * 2003-02-19 2005-05-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unk mounted fuel tank assembly
JP2005029000A (ja) * 2003-07-11 2005-02-03 Honda Motor Co Ltd フィラーパイプの配管構造
DE102004003713A1 (de) * 2004-01-24 2005-08-25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m Speichern von Medien in Fahrzeugen
JP4207790B2 (ja) * 2004-02-02 2009-0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DE102004007037B4 (de) * 2004-02-12 2009-02-26 Daimler Ag Kraftfahrzeug
DE102004027377A1 (de) * 2004-06-04 2005-12-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JP4542516B2 (ja) * 2006-03-02 2010-09-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キャニスタのドレンパイプ
US20070240926A1 (en) * 2006-04-18 2007-10-18 Sung Soo Chae Exhaust device and understructure of vehicle
JP4258527B2 (ja) * 2006-04-28 2009-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排気熱回収装置の取付構造
US20080136110A1 (en) * 2006-12-07 2008-06-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oustic Perimeter Seal for Vehicle Energy Storage Module
FR2913649B1 (fr) * 2007-03-12 2009-11-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anti-bruit et vehicule muni d'un tel dispositif
JP2009126197A (ja) * 2007-11-19 2009-06-11 Suzuki Motor Corp 後部車体構造
JP4380760B2 (ja) * 2007-11-28 2009-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保持部構造
JP5211659B2 (ja) * 2007-11-30 2013-06-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キャニスタの取付構造
JP5493363B2 (ja) * 2008-04-15 2014-05-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キャニスタ配置構造
JP5382494B2 (ja) * 2008-08-08 2014-01-08 スズキ株式会社 キャニスタの取付構造
JP5311203B2 (ja) * 2008-10-31 2013-10-09 スズキ株式会社 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5299635B2 (ja) * 2009-08-26 2013-09-25 スズキ株式会社 排気管の支持構造
FR2957888B1 (fr) 2010-03-29 2012-03-23 Renault Sa Vehicule et support de reservoir d'energie associe
JP5585277B2 (ja) * 2010-07-30 2014-09-1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WO2013059679A1 (en) 2011-10-21 2013-04-25 Fisker Automotive, Inc. Rear-wheel driv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modular subframe assembly and method
KR101488326B1 (ko) 2013-08-30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룸의 구조
JP6098622B2 (ja) * 2014-12-05 2017-03-2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6558524B2 (ja) * 2015-03-17 2019-08-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キャニスタの配置構造
JP6452044B2 (ja) * 2015-04-02 2019-01-16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01703596B1 (ko) 2015-07-24 2017-0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차체 구조
JP7295075B2 (ja) * 2020-09-04 2023-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トレーリングアーム取付構造
FR3121878A1 (fr) 2021-04-20 2022-10-21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rotection de réservoir à carbura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3122361A1 (fr) 2021-04-29 2022-11-04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véhicules automobiles hybrides contre les choc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4730A (en) * 1959-10-01 1961-12-26 Gen Motors Corp Motor vehicle fuel tank installation
US3661419A (en) * 1969-12-09 1972-05-09 Mitsubishi Motors Corp Rear body construction for an automobile
DE1964124A1 (de) * 1969-12-22 1971-07-08 Opel Adam Ag Kraftstoffbehaelter,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2849485A1 (de) * 1978-11-15 1980-05-22 Daimler Benz Ag Personenkraftwagen mit einem hinter den fondsitzen angeordneten kraftstofftank
JPS56124515A (en) * 1980-03-07 1981-09-30 Nissan Motor Co Ltd Fixing structure of fuel tank
JPS57134325A (en) * 1981-02-10 1982-08-19 Nissan Motor Co Ltd Supporting device of fuel tank for automobile
JPS57205227A (en) * 1981-06-12 1982-12-16 Toyota Motor Corp Structure for supporting fuel tank of automobile
JPS597144A (ja) * 1982-07-05 1984-01-14 Daicel Chem Ind Ltd マロン酸モノアミド硫酸塩の製造法
JPS59190023A (ja) * 1983-04-09 1984-10-27 Nissan Motor Co Ltd 樹脂製燃料タンクの保護構造
DE3409667A1 (de) * 1984-03-16 1985-09-26 Audi AG, 8070 Ingolstadt Heckpartie eines kraftfahrzeuges
US4723810A (en) * 1984-06-18 1988-02-09 Mazda Motor Corporation Underbody structure for vehicle
JPH0326988Y2 (ko) * 1984-09-28 1991-06-11
JPS61291217A (ja) * 1985-06-18 1986-12-2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燃料タンクの蒸発燃料流出防止装置
JPH0620823B2 (ja) * 1985-09-20 1994-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ユ−エルベントチユ−ブの配管構造
IT1189661B (it) * 1986-04-11 1988-02-04 Italiana Serrature Torino Sistema di montaggio di un tubo di sfiato per un serbatoio carburante di veico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14286D1 (de) 1995-01-05
DE69014286T2 (de) 1995-06-29
KR910011431U (ko) 1991-07-29
EP0435197B1 (en) 1994-11-23
EP0435197A1 (en) 1991-07-03
US5195780A (en)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253Y1 (ko)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KR100552528B1 (ko) 차량의차체구조
US5174628A (en) Automobile rear body structure
KR950010168Y1 (ko)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US8033353B2 (en) Canister mounting structure
US20130049391A1 (en)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4269866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114590324A (zh) 车体前部结构
CN108725183B (zh) 车辆用燃料配管保护结构
JP3583619B2 (ja) 自動車の燃料配管配設構造
JP2005255067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
JP3788191B2 (ja) 車両前部の構造
JP2007069732A (ja) 自動車の車両前部構造
CN115214790B (zh) 汽车前机舱及汽车
KR100424016B1 (ko) 차체 사이드 패널 보강구조
KR200197176Y1 (ko) 차체 하단부의 측방향 강성 보강구조
JPH0585418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2996038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20060061547A (ko) 자동차의 공력향상을 위한 플로어패널구조
JP2022010751A (ja) 車両後部構造
JP2001106120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JP4415809B2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H11180334A (ja) 車両のクロスメン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