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217B1 -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 - Google Patents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217B1
KR940007217B1 KR1019930012756A KR930012756A KR940007217B1 KR 940007217 B1 KR940007217 B1 KR 940007217B1 KR 1019930012756 A KR1019930012756 A KR 1019930012756A KR 930012756 A KR930012756 A KR 930012756A KR 940007217 B1 KR940007217 B1 KR 940007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mer
hull
icebreaker
sidewalls
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만 옌스-홀거
휄셔 리카르트
요트 얀센 헤르만
클리이만 알프레트
루프 카알-하인쯔
슈바르쯔 요아킴
바르게스 귄터
바아스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티센 노르트제에베르게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렌크테르 하후트웅
카알-하인쯔 다쓰만, 게르트 제게라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207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400072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센 노르트제에베르게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렌크테르 하후트웅, 카알-하인쯔 다쓰만, 게르트 제게라쓰 filed Critical 티센 노르트제에베르게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렌크테르 하후트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5/12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having ice-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hovels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Toy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Barrag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
제1도는 폰투운형으로 구성된 선수와 그 선수 부분에 배치된 측방 돌출 구조물을 구비한 선체의 밑에서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이머가 상부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리이머를 수용하는 요홈부를 가진 선체 부분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리이머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철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리이머가 하부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선체 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이머를 나타내는, 선수 부분의 개략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리이머의 확대 수직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 부분과 가동 부분으로 구성되어 선수 부분에 배치된 리이머를 나타내는, 선수 부분의 개략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선체의 측방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리이머를 나타내는도면,
제9도는 제8도의 리이머가 작동 위치로 측방으로 변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리이머를 수용하는 요홈부내에 제공된 압력수 본출 수단과 함게, 측방으로 변위가능한 리이머를 나타내는, 선수 부분의 개략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단부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된 리이머를 나타내는, 선수 부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체 11 : 선수
17 : 선저 20 : 수선
21, 22 : 선체 측벽 25 : 선미
28, 28a : 피봇축 30 : 리이머
31,31a : 외연부 40 : 요홈부
50 : 작동수단 8 : 압력수 발생 수단
81 : 배출 노즐 82 : 압력수 공급 라인
본 발명은, 수중 선체 부분의 가장 넓은 지점을 형성하도록 선제 측벽들에 배치되어 그 측벽들로부터 측방으로 돌출가능한 리이머(reamer)와 같은 측방 돌출 구조물을 구비하여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에 관한 것이다.
쇄빙선은 일반적으로 얼음 분쇄 또는 절단날들을 구비하고 있고, 그러한 절단날들은 선박의 선수에서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고 선체 측벽에서 옆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러한 쇄빙선은 선수가 그 뒷쪽의 선체 폭 보다 더 크게 되어 있어, 제한된 수로, 특히, 좁은 수문에서는, 그러한 수로의 제한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안정성과 최대 운반 용량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을 때만 그러한 쇄빙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여러척의 선박들이 선단으로 항해하고 쇄빙선이 그 선단을 인도할때, 빙판에서의 그러한 쇄빙선의 조종에 간혹 어려움이 있는데, 그 이유는 어느 경우에도 선단으로 항해할때 쇄빙선의 속도가 가장 느리게 운항하는 선박의 속도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즉, 각 선박들 사이의 거리가 많이 떨어진때 맨뒤 선박의 지역에서는 그 옆의 빙판이 쇄빙선에 의해 깨진 수로내로 표류하여 맨뒤 선박에 대한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게 되어 항해 속도가 더욱 줄어들게 되지만, 이러한 문제점은 각 선박들 사이의 거리를 단순히 축소시키는 것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선박들 사이의 거리를 줄일경우 선박들 사이에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고, 특히 쇄빙선을 후진시켜 얼음의 압력을 없애게 하는데 적당한 항해 간격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빙판을 부수어 안전을 위한 보조 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때로는 쇄빙선이 수로의 빙판을 측방으로 추가로 분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하기 위해 쇄빙선은 비교적 큰 원호를 그리도록 항해할 필요가있다. 또한, 빙판들이 수로를 제한하기 때문에, 쇄빙선이 그 자리에서 회전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옆으로 깨뜨리는데도 많은 어려움을 수반한다.
이외에도, 항해 수로에서 뒤따르는 선박의 폭보다 더 넓게 얼음을 분쇄하는 작업을 선체 측벽들에서 옆으로 돌출하여 있는 리이머와 같은 측방 돌출 구조물들로 수행하고 좁은 수문을 통과할때는 그 구조물을 철회시켜 선체 폭을 좁게한 후 수문을 통과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쇄빙선들은 이런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얼음이 덮여있는 바다를 전진 및 후진으로 항해할때 향상된 조종성을 가지는 쇄빙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후진중에는 선미 주위의 깨어진 부빙들을 더작게 부수어 프로펠러 지역에 가능한한 얼음이 없게하고 적어도 커다란 부빙들이 그 프로펠러 지역에 도달할 수 없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조건도 충족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수중 선체 부분의 가장 넓은 지점을 형성하도록 선체 측벽들에 배치되어 그 측벽들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리이머와 같은 측방 돌출 구조물을 구비하여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에 있어서, 상기 리이머가 측방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어, 쇄빙 작동중에는 리이머의 측방 변위에 의해 수중선체 부분의 폭이 리이머 설치 부분에서 넓게 되고, 항해시에는 리이머의 철회에 의해 수중 선체 부분의 폭이 상기 리이머 설치 부분 뒷쪽의 선체 부분의 폭까지 감소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이 제공된다.
그렇게 구성된 쇄빙선에서, 선박이 수문과 같은 좁은 수로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리이머가 적당한 구조의 작동 수단에 의해 선체에 형성된 요홈부내로 철회될 수 있게 되고, 좁은 수로를 통과한 후에는, 리이머가 쇄빙 작업 위치로 다시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쇄빙선은 뒤따르는 선박의 폭보다 넓게 빙판을 부수어 항해 수로를 형성하고, 수문을 들어가기 전에는 선수 부분의 폭이 감소되고 수문 통과후에는 선수 폭이 쇄빙 작동 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하는 요구조건을 충족시킨다.
또한, 이러한 쇄빙선에서는, 후진시에 리이머를 내측으로 철회시킴으로써, 요구되는 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또다른 잇점이 얻어진다.
선체 측벽들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쇄빙 위치로부터 리이머들을 철회시키는 것은, 쇄빙선이 적절한 운동량을 얻도록 후진하여야 할때 리이머 및/또는 선미 부분이 특수한 형상을 가지지 않을 경우 후진시의 적당한 이동 간격을 얻는데 특히 유익하다. 특히 반복적인 후진 이동을 위해서는 리이머가 선체내로 철회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리이머는 횡단면으로 보아 날카롭거나 둥그럽게 되거나 경사진 외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리이머는 선체에 형성된 요홈부내에 배치되고, 유압식이거나 전기식이거나 기계식이거나 또는 다른 적당한 구조의 작동 수단에 의해 요홈부 내로부터 각기 다른 소망의 작동 위치들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경우, 요홈부대로 철회된 위치에서, 리이머의 외측면은 선체의 외측면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이머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선체 측벽에 연결되고, 또한, 쇄빙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그러한 리이머가 선체를 따라 직렬로 여러개 배치될 수 있고, 리이머가 선수 부분 대신에 선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선수와 선미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쇄빙선의 선체(10)의 선수(11)에는 폰투운(pontoon)형 선수 부분(12)이 제공되고, 그 선수부분 뒤로는 V자형의 수중 선체 부분이 제공되어 있다. 폰투운형 선수 부분(12)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경사진 면을 가진다.
제1도의 쇄빙선에서, 선수에는, 쇄빙선의 폭의 상당한 부분에 걸쳐 연장하고 오목하며 상향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는 전방 단부면(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방 단부면(13)의 양측 가장자리들이,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만곡된 2개의 측연부들(l4)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고, 그 측연부들(14)은 그의 위에 위치된 선체 부분의 측방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돌출한다. 전방 단부면(13)은 앞에서 뒤로 갈수록 옆에서 보아 아랫쪽으로 점점 더 휘어져 있다.
제1도의 선체(10)에서 2개의 측연부들(14) 사이의 프레임들(15)의 밑면은, 전방 단부면(13)이 중앙선(16)을 따라 선저(17)에 도달하는 선박 길이상의 일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뒷쪽으로 적어도 선체 중앙 부분(18)까지 옆에서 보아 밑으로 점짐 덜 휘어져 있다. 대략 선체 중앙 부분에서부터, 측연부들(14)은 비이드(bead)형의 두툼한 부분(19)의 형태로 뒷쪽으로 선박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계속되어 있다. 이들 비이드형의 두툼한 부분(19)은 선미(25)의 프로펠러 덕트들의 측방 제한부들에서 끝난다.
선체(10)의 폰투운형 선수 부분(12)의 측연부들(14)에는, 선수(11)의 지역내에 리이머(reamer)나 절단날등이 제공되는데, 그 리이머들(30)은 뒤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체 측벽들(21,22)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고 그 선체(10)내로 철회될 수 있다. 그 리이머들은 선체(10)의 주 프레임 넘어로 측방으로 돌출한다. 제1도의 선체(10)에서, 앞쪽 상방으로 기울어지고 점진적으로 오목하게된 전방 단부면(13)은, 바닥에서 V자형인 경사 프레임들을 갖는 수중 선수 부분까지 뒷쪽으로 연장하여 있다. 전방 단부면(13)은 그의 끝부분에서 중앙이 약간 만곡되도록 구성되어서, 바닥에서 V자형인 경사 프레임들을 갖는 수중 선체 부분으로 점진적으로(즉, 너무 급경사지지 않게) 이어진다. 그 프레임들은 뒤로 갈수록 사다리꼴이 되는데, 그형상은 선저(17)의 기선과 그뒤에 이어지는 경사진 측면 선들에 의해 형성되고, 그 측면선들은 앞에 있는V자형 프레임들에서 보다 더 급격하게 기울어져 있다.
선수 지역에서, 측연부들(14)의 적어도 일 부분은, 수중 선체 부분의 가장 넓은 지점을 이루도록 중앙선(16)에 평행하게 설치된 2개의 측부 가장자리들 내에서 수선(waterline)(20)밑에 위치된다. 앞쪽 상방으로 기울어진 전방 단부면(l3)은, 수선(20) 아래에서 그 전방 단부면의 길이방향 연장 범위의 중앙 지역에 선박의 횡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뻗는 프레임들의 하부 제한 지역들을 가지고 있어서, 이 지역내에서 전방 단부면(13)은 적어도 거의 평면을 이룬다. 측연부들(14)은 수선(20) 윗쪽으로 전방 단부면(13)을 지나 앞으로 더 연장하여 2개의 카타마란(catamaran)형 선수재들(23)에 이어진다. 그곳에서 선체의 형상은 중앙선(16)쪽으로 좁아지고 2개의 선수재들(23)보다 더 급격하게 위로 솟아 오른다. 측연부들의 길이방향 연장 범위 윗쪽의 선체 부분은 외측으로 개방된 프레임 부재들로 형성된다. 그리나, 다른 형상의 선수와 선미 부분에도 리이머들(30)이 제공될 수 있다.
선체 측벽들(21,22) 각자에는 그 측벽으로부터 돌출 및 철회가능한 구조물 형태의 리이머들(30)이 제공되지만, 리이머 대신에 절단날이 선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선박의 양 측벽에 마련되는 리이머들은 수중에 있는 선체의 폭에 걸쳐 측방으로 돌출하고, 얼음과 접하는 선체 부분중 가장 넓은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체(10)의 측벽들(2l,22)에 배치되는 측방 돌출 구조물들이 여러가지 형태의 이동가능한 리이머(3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2도-제11도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들에서, 리이머(30)는, 그 리이머가 신장된때 선수 부분의 가장 넓은 지역을 이루고 리이머가 후퇴, 내측으로 회동, 또는 상방으로 회동된때 선체의 폭이 작은 쪽으로, 바람직하게는, 그 리이머(30)가 배치되는 선체 부분 뒷쪽의 선체 부분의 폭으로 감소되도록 선체 측벽들(21,22)에 배치되는데, 이때 제1도에 도시된 선체(10)에서 가장 넓은 선체 부분은 측방으로 돌출가능한 리이머들이 설치된 선수(11)의 선체부분이다.
그 리이머들(30)은 강철 형재로 구성되고 선체(10)의 측벽들(21,22)의 요홈부들(40)내에 배치된다.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선체 측벽들(21,22) 각자에 형성된 요홈부(40)내에, 내부 공간을 가지는 부재의 형태로 구성된 리이머(30)가 설치된다. 그 요홈부(40)는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뻗고 그의 길이는 리이머(30)의 길이와 일치한다.
요홈부(40)와 리이머(30)는 그들의 윤곽이 일치하게 형성되어 있어, 리이머(30)가 해당 요홈부(40) 안으로이동된때 완전히 요홈부안에 있게 되고, 선체 측벽들(21,22)에 의해 형성된 면내에 있게 된다.
리이머(30)를 선체 안팎으로 회동시키거나 접거나 또는 직선이동시키기 위해 유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의 적당한 작동 수탄(50)이 설치된다. 제2도 및 3도의 실시예와 제8도 및 9도의 실시예에서는, 이 작동수단(50)이 유압 작동식 실린더 형태로 구성되지만, 다른 적당한 작동 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2도 및 3도에 따르면, 리이머(30)는, 요홈부(40)내에 배치된때 그 리이머의 외측 윤곽이 선체 측벽(21)에 의해 형성된 면에 위치하게 되고 그 면 밖으로 돌출하지 않아서 선수(11)의 최대폭이 선체 측벽들(21,22)에 의해 결정되도록 구성된다(제3도 참조).
제2도 및 3도의 실시예와 제8도 및 9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이머(30)의 단면 형상은 다른 어떤 것보다 대략 직각 삼각형의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2도 및 3도의 실시예에서는, 리이머(30)는 그의 상단부에서 피봇축(28)에 의해 선체 측벽(21)에 연결되어 그 피봇축을 중심으로 선체 측벽의 안팎으로, 즉, 제2도의 점선 위치와 실선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그 피봇축(28)은 선체의 중앙선(16)에 대체로 평행하게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다.
그러한 경우, 요홈부(40) 안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리이머(30)의 기본 면을 형성하는 그의 측면(30a)이 선체 측벽에 의해 형성된 면과 일치하여 있도록 요홈부(40)내 리이머(30)의 설치 위치가 정해진다(제3도참조). 이와 같이 양 선체 측벽들의 리이머들(30)이 내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쇄빙선은 얼음이 없는 바다를 항해하고 좁은 수문을 통과하게 된다. 쇄빙 작동 상태에서는, 양 선체 측벽의 리이머들(30)이 제2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체 측벽을 지나 측방으로 돌출된 자세를 취한다.
리이머(30)의 외연부(31)는 절단날을 형성하도록 날카롭게 구성되지만, 리이머는 제2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둥그스럽게 된 외연부(31a)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리이머(30)가 선체 측벽들(21,22) 각각에 하나씩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 선체 측벽에 다수의 리이머들이 직렬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그 리이머는 선체(10)에 설치되는 고정된 형태 또는 변위가능한 형태의 측방 돌출부(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복합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변위 가능한 형태의 측방돌출부는 유압식, 전기식, 기계식 또는 다른 적당한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고, 선체 측벽의 종방향 안내홈(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이동되고 보유된다.
리이머(30)가 선수(11)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러한 리이머가 선미(25)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는 선수(11)에 상기한 측방 돌출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리이머(30)가 그의 상단부에서 선체 측벽(2l)의 윗쪽에 설치된 피봇축(28)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으나,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축(28)이 선체 측벽(21)의 밑부분, 즉, 요홈부(40)의 저부에 배치되고 리이머(30)가 상기 실시예와 정반대의 자세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선체 측벽(21)에 설치된 리이머(30)는 요홈부(40)에서의 오목한 외형의 프레임 부분(26)과 일치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5도에서, 번호 "27"은 절단날의 선을 나타내고, 번호 "228"은 선박의 길이방향 중앙선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평의 피봇축(28)을 중심으로 하여 리이머(30)가 상승된 위치로부터 아랫쪽으로 화살표(X) 방향으로 회동된 때의 하부 절단날을 나타낸다. 아랫쪽으로 회동된때의 리이머(30)의 단면 형태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도면에서, A는 리이머(30)의 돌출가능한 부위를 나타내고, B는 선체의 형태에 적응되게 하는 리이머의 후방 고정 부위를 나타낸다. 선체 측벽(21)에 제공된 요홈부(40)는 리이머(30)의 전체 길이와 일치하는 길이를 가진다.
선체의 형태에 적응되게 하는 부위를 상기와 같이 리이머의 후방 부위에 제공하지 않고, 리이머들의 지역에서 선체 측벽들의 폭을 증가시킴 없이 그 측벽들에 리이머들과 연관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 제7도에서, 번호 "200"은 얼음판을 나타낸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수(11)에서 선체 측벽(21)에 설치된 리이머(30)는 2개의 부분, 즉, 가동부분(30a)과 고정 부분(30b)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 부분(30b)은 그의 고정 위치에서 리이머의 양 부분들(30a,30b)의 형태가 연속되도록 구성된다 리이머(30)의 가동 부분(30a)은 수선의 위아래에 걸쳐 연장하여 있고, 피봇축(28a)을 중심으로 화살표(X1)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고정 부분(30b)에 연결되거나, 또는 선체에 마련된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제8도 및 9도의 실시예에서는, 리이머들(30)을 수용하도톡 요홈부들(40)이 양 선체 측벽들(21,22)에 제공되는데, 이 경우, 그 요홈부들(40)은 예컨데 선박이 폰투운형 선수를 가지는 경우 그 선수 부분에서 선체를 따라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들로 구성된다. 그런 선수 모양이 제8도 및 9도에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리이머들(30)이 양 선체 측벽들(21,22)에 배치되고, 그 리이머들 역시 강철 형재로 만들어지고, 앞에서 설명된 작동 수단(50)에 의해 요홈부 내외로 측방으로 직선적으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9도에서, 리이머(30)가 쇄빙 작업을 위한 작동 위치로 작동 수단(50)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8도에서는, 리이머가 항해 및 수문통과를 위해 요홈부내로 들어가 있다. 이 경우, 리이머(30)의 내외측으로의 이동은 선제의 길이방향에 횡으로 일어난다.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거나 접히거나 또는 직선적으로 변위 가능한 리이머(30)와 같은 측방 돌출 구조물은, 그 리이머가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만들어지고 그러한 측방 돌출에 의해 선체 폭이 커지게 구성되는 경우 쇄빙선의 어느 곳에나 사용될 수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리이머(30)는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연장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수 있고, 이 경우, 전체 측면 윤곽은 선체 측면의 윤곽과 일치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리이머(30)의 이동은 선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작동 수단(50)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리이머들(30)이 선수쪽의 그의 일 단부에서 피봇축(28a)에 의해 선체 측벽들(21,22)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적당한 작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그 피봇축을 중심으로 화살표(X2) 방향으로 요홈부(40) 내외로 회동될 수 있다. 그 요홈부(40)는 리이머(30)가 철회될때 그 리이머를 완전히 수용하도록 그 리이머의 외부 윤곽과 같은 윤곽을 가지고 선체 측벽에 형성된다.
또한, 리이머들(30)이 신장된채 쇄빙선이 얼음판에서 항해하는 동안, 항상 요홈부들(40)내의 공간에 깨진 얼음 조각들이 끼어있지 않게 하기 위해, 요홈부들(40)의 벽에 마련된 배출구나 배출 노즐을 통해 그 요홈부들의 공간내로 압력수나 또는 가열된 압력수를 분출시키는 가열 수단 또는 분출 시스템이 설치된다. 그러한 분출 시스템이 제10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리이머(30)를 수용하는 요홈부(40)의 벽이 번호"45"로 나타내어져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벽(45)에, 압력수 공급 라인들(82)과 통하는 다수의 배출구들 또는 배출 노즐들(81)이 설치되고, 그 압력수 공급 라인들(82)은 압력수 발생 수단(80)에 연결되어 있다. 압력수 발생 수단(80)은 물 가열 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변위가능한 측방 돌출 구조물, 즉, 리이머(30) 그 자체 뿐만 아니라, 리이머를 수용하는 선체(10)의 요홈부(40) 그 자체가 가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선체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측방 돌출 구조물도 가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되고 앞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체(10)의 측벽들(21,22)에 배치되는 변위가능한 구조의 상기 리이머(30)는 다른 선체 부분 또는 선수 부분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고, 선체 측벽에 고정된 측방 돌출부 형태의 고정식 리이머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선체 측벽들(21,22)에 배치되어 그 측벽들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여 수중 선체 부분의 가장 넓은 지점을 형성하는 리이머(30)와 같은 측방 돌출 구조물을 구비하여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에 있어서 ; 상기 리이머(30)가 측방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쇄빙 작동 중에는, 상기 리이머(30)가 측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수중 선체 부분의 폭이 그 리이머 설치 부분에서 가장 넓어지게 되고, 항해시에는, 상기리이머(30)가 철회됨으로써 상기 가장 넓은 수중 선체 부분의 폭이 상기 리이머 설치 부분 뒷쪽의 선체 부분의 폭으로 감소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머(30)가, 횡단면으로 보아 날카롭게된 외연부(3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머(30)가 선체(10)에 제공된 요홈부(40)내에 배치되고, 유압식 작동 수단(50)에 의해 상기 요홈부(40)로부터 여러 작동 위치들까지 변위될 수 있으며, 철회된 상태에서 상기 리이머(30)의 외측면이 선체의 외측면과 일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머(30)가 수평으로 연장하는 피봇축(2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선체 측벽들(21,2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머(30)가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봇축(2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머(30)가 선체(10)의 길이를 따라 직렬로 여러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수(11)에 배치되는 리이머(30)외에 선미(25)에도 리이머(30)가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8. 폰투운형 선수 부분을 가지며 수중 선체 부분의 가장 넓은 지점을 형성하도록 선체 측벽들(21,22)에 배치되어 그 측벽들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리이머(30)를 구비하여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에 있어서,(a) 각각의 리이머(30)가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단면 윤곽을 가지며, 선수 부분의 길이와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b) 각각의 리이머(30)가 선미쪽의 그의 부위에서, 선체 측벽(21,22)상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피봇축(28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선체 측벽(21,22)에 연결되고, (c) 각각의 리이머(30)가 선수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d) 각각의 리이머(30)가 폰투운형 선수 부분의 측연부들의 지역에서 그 선수 부분에 배치되고, (e) 리이머(30)가 횡단면으로 보아 날카롭거나 둥그럽게된 외연부(31)를 가지며, (f) 리이머(30)가 유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의 작동 수단(50)에 의해 작동 위치로 변위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9. 폰투운형 선수 부분을 가지며 수중 선체 부분의 가장 넓은 지점을 형성하도록 선체 측벽들(21,22)에 배치되어 그 측벽들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리이머(30)를 구비하여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에 있어서, (a) 각각의 리이머(30)가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단면 윤곽을 가지며, 선수 부분의 길이와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b) 각각의 리이머(30)가 내측으로 변위되어 철회된 상태에서 그의 외측면이 선체의 외측면과 일치하게 되어 있고, (c) 각각의 리이머(30)가 그의 전체 길이에서 선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동일 거리로 외측으로 변위되고, (d) 각각의 리이머(30)가 폰투운형 선수 부분의 측연부들의 지역에서 그 선수 부분에 배치되고, (e) 리이머(30)가 횡단부면으로 보아 날카롭거나 둥그럽게된 외연부(31)를 가지며, (f) 리이머(30)가 유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의 작동 수단(50)에 의해 작동 위치로 변위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10. 폰투운형 선수 부분을 가지며 수중 선체 부분의 가장 넓은 지점을 형성하도록 선체 측벽들(21,22)에 배치되어 그 측벽들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리이머(30)를 구비하여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에 있어서, (a) 각각의 리이머(30)가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단면 윤곽을 가지며, 선수 부분의 길이와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b) 각각의 리이머(30)가 선수쪽의 그의 단부에서 수직의 피봇축(28a)을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선체 측벽(21,22)에 연결되고, (c) 각각의 리이머(30)가 내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그의 외측면이 선체의 외측면과 일치하게 되어 있고, (d) 각각의 리이머(30)가 폰투운형 선수 부분의 측연부들의 지역에서 그 선수 부분에 배치되고, (e) 리이머(30)가 횡단면으로 보아 날카롭거나 둥그럽게된 외연부(31)를 가지며, (f) 리이머(30)가 유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의 작동 수단(50)에 의해 작동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KR1019930012756A 1988-02-18 1993-07-07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 KR940007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8802053U DE8802053U1 (ko) 1988-02-18 1988-02-18
DEG8802053.3 1988-02-1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872A Division KR940007216B1 (ko) 1988-02-18 1989-02-17 쇄 빙 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217B1 true KR940007217B1 (ko) 1994-08-10

Family

ID=68207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872A KR940007216B1 (ko) 1988-02-18 1989-02-17 쇄 빙 선
KR1019930012756A KR940007217B1 (ko) 1988-02-18 1993-07-07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872A KR940007216B1 (ko) 1988-02-18 1989-02-17 쇄 빙 선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942837A (ko)
EP (1) EP0328720B1 (ko)
JP (3) JP2656340B2 (ko)
KR (2) KR940007216B1 (ko)
CN (1) CN1028215C (ko)
CA (1) CA1301559C (ko)
DE (2) DE8802053U1 (ko)
FI (1) FI93812C (ko)
NO (1) NO172975C (ko)
PL (3) PL164206B1 (ko)
RU (1) RU2053922C1 (ko)
SU (1) SU1762746A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576A (ko) * 2017-04-17 2018-10-25 (주)아이엠엔지니어링 포스맥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5126C (fi) * 1989-09-13 1992-03-10 Masa Yards Oy Isgaoende fartyg.
US5325803A (en) * 1991-01-16 1994-07-05 Thyssen Nordseewerke Gmbh Icebreaking ship
DE4101034A1 (de) * 1991-01-16 1992-07-23 Thyssen Nordseewerke Gmbh Eisbrechendes schiff
FI94508C (fi) * 1991-03-18 1995-09-25 Masa Yards Oy Jäätä murtava laiva
FI912775A0 (fi) * 1991-04-04 1991-06-10 Insinoeoeritoimisto Lehtonen & Stamform foer fartyg.
US6712016B1 (en) 2002-09-06 2004-03-30 Polaris Industries Inc. Personal watercraft having ventilated sponsons
US6651579B1 (en) 2002-09-16 2003-11-25 Polaris Industries Inc. Personal watercraft having tuneable sponsons
US6807920B1 (en) 2002-12-03 2004-10-26 Polaris Industries Inc. Personal watercraft having adjustable angle sponsons
KR100977839B1 (ko) * 2007-10-25 2010-08-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쇄빙선의 추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쇄빙선 형상
NO20080956L (no) * 2008-02-05 2009-08-06 Moss Maritime As Isforsterket skip for boring og produksjon i arktiske farvann
DK177707B1 (da) * 2010-03-31 2014-03-24 Maersk Supply Service As Fremgangsmåde til brydning af is
EA022074B1 (ru) * 2010-03-31 2015-10-30 Мерск Сепплай Сервис А/С Ледокольное судно
RU2467912C2 (ru) * 2011-01-12 2012-1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добыча шельф" Морской объект для эксплуатации в арктических условиях
CN103231780B (zh) * 2013-05-23 2015-08-1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一种冰区工作船
ES2698627T3 (es) 2013-10-11 2019-02-05 Ulstein Design & Solutions As Embarcación que tiene una forma de casco mejorada
CN103979082B (zh) * 2014-05-06 2016-03-30 江苏海事职业技术学院 一种破冰船舶结构
KR200482986Y1 (ko) * 2014-11-18 2017-04-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퍼드캔용 점토 제거장치
CN105346683A (zh) * 2015-11-27 2016-02-24 胡益锋 一种快速连续破冰机构
US10793228B2 (en) 2016-12-02 2020-10-06 Polaris Industries Inc. Structure and assembly for recessed deck portion in pontoon boat
RU172029U1 (ru) * 2017-01-30 2017-06-26 Юрий Арсентьевич Чашков Ледокол с улучше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взламывания льда
CN109094743B (zh) * 2018-09-19 2021-08-31 中船重工船舶设计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大型极地运输船构型
RU2731137C1 (ru) * 2019-05-29 2020-08-3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 Кузнецова" Плавучий пирс
US11192610B2 (en) 2019-10-30 2021-12-07 Polaris Industies Inc. Multiple chine pontoon boat
CN112478070B (zh) * 2020-12-04 2022-03-08 江苏科技大学 一种应用于极地船舶球鼻首的破冰装置
CN113212712B (zh) * 2021-05-10 2022-04-22 江苏科技大学 一种具有自破冰功能的极区潜体舱口盖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1159C (de) * 1940-12-04 1942-05-28 Erich Grundt Dipl Ing Vorbau mit Wellenschluckertaschen fuer Schiffe
CA889641A (en) * 1969-02-28 1972-01-04 H. German William Ship construction
NO123932B (ko) * 1970-02-13 1972-02-07 Fredriksstad Mek Verksted As
US3690281A (en) * 1970-12-21 1972-09-12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Stern construction for icebreaking vessels
DE2212145A1 (de) * 1972-03-14 1973-09-20 Weser Ag Leitvorrichtung fuer eisschollen an schiffen
CA1014016A (en) * 1973-08-30 1977-07-19 Heinrich Waas Icebreaker vessel
US3983830A (en) * 1975-06-06 1976-10-05 Sun Oil Company (Dela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a modular barge
CA1043181A (en) * 1977-01-21 1978-11-28 Bengt M. Johansson Icebreaking locomotive
DE2823072A1 (de) * 1978-05-26 1979-11-29 Weser Ag Vorschiff fuer eisbrechende schiffe
US4369725A (en) * 1978-06-30 1983-01-25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Method and means for increasing the maneuverability of a ship in ice-covered waters
JPS558982A (en) * 1978-06-30 1980-01-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Method of turning sailing of vessel at frozen sea and construction of hull
JPS5529631A (en) * 1978-08-21 1980-03-03 Nippon Kokan Kk <Nkk> Icebreaker
CA1153633A (en) * 1979-12-10 1983-09-13 Charles D. Pole Navigation in ice covered waterways
US4326476A (en) * 1979-12-17 1982-04-27 Upper Lakes Shipping Ltd. Navigation in ice covered waterways
SU895799A1 (ru) * 1980-01-04 1982-01-07 Центр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Министерства Речного Флота Рсфср В Г.Горьком Судова ледокольна приставка
SU918173A1 (ru) * 1980-04-23 1982-04-07 Palikhov Gleb A Носова оконечность ледокола
SU903243A1 (ru) * 1980-05-22 1982-02-07 Ленинградский Институт 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Ледокольный комплекс судов
JPS588693U (ja) * 1981-07-08 1983-01-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膨出部を有する氷海用船舶
ZA828107B (en) * 1981-11-05 1983-09-28 Thyssen Nordseewerke Gmbh A ship
AR229710A1 (es) * 1981-11-05 1983-10-31 Thyssen Nordseewerke Gmbh Barco con la proa en forma de ponton
US4436046A (en) * 1982-02-01 1984-03-13 Braley William W Ice-breaking hull
JPS5981691U (ja) * 1982-11-25 1984-06-0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氷海中を航行する船舶の氷抵抗減少装置
SU1070047A1 (ru) * 1983-01-07 1984-01-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8662 Мореходна модель судна
JPS6020990U (ja) * 1983-07-22 1985-02-13 極東マツク・グレゴ−株式会社 カ−・デツキ
JPS6127236A (ja) * 1984-07-18 1986-02-06 Hitachi Lighting Ltd 平板バリソンによるインジエクシヨンブロ−成形法
FI75772C (fi) * 1985-04-01 1988-08-08 Waertsilae Oy Ab Fartygs bottenkonstruktion.
JPS628200U (ko) * 1985-07-02 1987-01-19
DE3523763A1 (de) * 1985-07-03 1987-01-08 Thyssen Nordseewerke Gmbh Heckschuerze fuer eisbrechende schiffe
JPS6223896A (ja) * 1985-07-23 1987-01-31 Nippon Kokan Kk <Nkk> 氷海船舶
JPS6220990U (ko) * 1985-07-23 1987-02-0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576A (ko) * 2017-04-17 2018-10-25 (주)아이엠엔지니어링 포스맥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U1762746A3 (ru) 1992-09-15
CN1028215C (zh) 1995-04-19
JPH01249587A (ja) 1989-10-04
CN1035468A (zh) 1989-09-13
NO883731L (no) 1989-08-21
PL164405B1 (pl) 1994-07-29
FI93812B (fi) 1995-02-28
FI884246A (fi) 1989-08-19
PL164327B1 (pl) 1994-07-29
US4942837A (en) 1990-07-24
NO883731D0 (no) 1988-08-19
RU2053922C1 (ru) 1996-02-10
PL164206B1 (pl) 1994-06-30
EP0328720A1 (de) 1989-08-23
DE3874318D1 (de) 1992-10-08
JP2847036B2 (ja) 1999-01-13
EP0328720B1 (de) 1992-09-02
JP2847035B2 (ja) 1999-01-13
KR940007216B1 (ko) 1994-08-10
FI884246A0 (fi) 1988-09-15
CA1301559C (en) 1992-05-26
JPH07237584A (ja) 1995-09-12
FI93812C (fi) 1995-06-12
DE8802053U1 (ko) 1989-06-15
JPH07237585A (ja) 1995-09-12
KR890012857A (ko) 1989-09-19
NO172975C (no) 1993-10-06
JP2656340B2 (ja) 1997-09-24
NO172975B (no) 1993-06-28
PL277466A1 (en) 198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217B1 (ko)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
US3327671A (en) Boat trimming means
KR860002189B1 (ko) 선박
JPH10236384A (ja) 砕氷方法および砕氷船
US3985091A (en) Icebreaker vessel
KR940001620B1 (ko) 빙해용 선박의 선체
FI85967B (fi) Isbrytare.
US4652245A (en) Shallow draft boat
US4326476A (en) Navigation in ice covered waterways
KR900006806B1 (ko) 쇄빙선의 선미(船尾)에이프런
CA1296582C (en) Ice-breaking vessel
FI128428B (fi) Jäätä murtava alus
RU2139807C1 (ru) Быстроходное судно с газовыми кавернами и водометными движителями
KR940008164B1 (ko)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
KR920001621B1 (ko) 쇄빙선
JP2825631B2 (ja)
FI110251B (fi) Jäätä murtava laiva
FI74672B (fi) Fartygsskrov.
SU1062116A1 (ru) Ледокольно-ледоочистительна наделка судна
FI78432B (fi) Anlaeggning foer isbrytande fartyg.
CA1153633A (en) Navigation in ice covered waterways
FI85678C (fi) Fartygsskrov
SE466747B (sv) Isbrytande farty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