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780B1 -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780B1
KR920004780B1 KR1019860008234A KR860008234A KR920004780B1 KR 920004780 B1 KR920004780 B1 KR 920004780B1 KR 1019860008234 A KR1019860008234 A KR 1019860008234A KR 860008234 A KR860008234 A KR 860008234A KR 920004780 B1 KR920004780 B1 KR 92000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steering
radial direc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965A (ko
Inventor
히로키 시바타
아츠시 도다
게이치 다지마
마사히로 쿠사가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마츠우라 다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1691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772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1691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772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22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819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8511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4473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마츠우라 다카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87000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with electrica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6Hysteresis behavior based on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8Steering dead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Othe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2Turn signal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블록형태로 도시한 회로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설명을 위한 회로구성도.
제 4 도와 제 5 도는 각각 본 발명에 사용된 전조등의 개략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블록형태로 도시한 회로구성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 8a, b 도는 각각 제 7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설명도.
제 9a, b, c 도는 각각 제 7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설명도.
제 10a, b, c 도는 각각 제 7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설명도.
제 1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설명도.
제 12 도는 제 1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센서 2 : 처리회로
3 : 전조등구동장치 4 : 직류전원공급장치
5 : 전조등구동축 6 : 주반사경
7 : 보조반사경 8 : 광원
13, 16 : 광인터럽터 24, 25 : R-S플립플롭회로
28 : 엎/다운카운터 29 : 디코더/드라이버
31 : 슬라이드베이스 32, 33 : 도전체패턴
35, 36 : 릴레이 351, 361 : 릴레이코일
39 : 직류모터 60 : 회전신호발생장치
70 : 방향지시장치 71 : 자동점멸기장치
72 : 윙커스위치 73, 74 : 우측 및 좌측방향지시등
81V: 조향핸들회전각도센서 82 : 엎/다운스위칭회로
83 : 엎/다운카운터 84, 85 : 디코더/드라이버
90, 91 : 모우드신호발생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조향핸들의 조종에 따라 헤드램프 또는 전조등의 방사방향을 바꿔줄 수 있도록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야간주행시 전방을 비춰주기 위한 전조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전조등은 자동차의 전방만을 비춰주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자동차가 커어브길에 접근한 경우 자동차가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완벽하게 비춰줄 수가 없었다.
즉, 이러한 종래의 전조등시스템에서는 자동차가 커어브길과 같은 곳에서 회전하려고 할 때 그 진행방향쪽을 충분히 비춰줄 수가 없었기 때문에 사고발생의 위험이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에서는 조향핸들의 조종에 따라 전조등의 방사방향을 변화시켜 줌으로써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비춰주도록 제안되고 있는 바, 그 예로서는 조향봉에서는 링크를 통해 전조등을 회동시켜 주도록 된 기계적전조등시스템과, 서어보모터를 이용한 시스템에서 서어보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회전식 인코더를 사용해서 전조등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된 전기식 전조등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기계식 전조등시스템은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그 구조를 변경시켜 사용해야 하므로 폭 넓게 사용하기에 적합치가 못하여 널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전기식 전조등시스템이 널리 채용되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따라 전조등의 방사방향이 바뀌어지도록 된 전조등시스템)에는 자동차의 조향핸들의 조향작동에 따라 전조등의 방사방향이 연동적으로 바뀌도록 되어 있는 바, 특히 전기식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은 그 구조가 복잡해서 고가이지만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조향핸들이 조향되기 전에는 전조등의 방사방향이 바뀌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경우 반대쪽 주행선상에서 전조등에 비춰지지 않는 자전거나 횡단보도상에 있는 보행자를 발견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 문제로 되고 있었다.
또한, 통상의 전조등시스템은 왼쪽과 오른쪽에 설치된 전조등의 방사방향 변동시기가 조향각도와 일치하는 각도만큼 회동하도록 사전에 설정해 놓은 변동시기가 조향각도와 일치하는 전조등이 회전되도록 동기되어 있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회전각도가 전조등의 방사방향에 크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전조등의 방사방향중심이 일치하지 못하게 되어 회전하는 순간에는 시야가 불확실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높은 신뢰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시스템을 제공함과 더불어, 조향핸들의 조향동작과 전조등의 회전시기를 변동시켜 주는 기능이나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와 전조등의 방사방향중심간에 차이를 두도록 한 기능을 갖춤으로써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핸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명수단이 회전되어 자동차의 회전 방향쪽으로 빛이 방사시켜지도록 된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을 자동차 전면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 주반사경(6)과 보조반사경(7)으로 이루어지게 해서, 상기 조향핸들의 회전동작에 따라 빛의 방사방향을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주도록된 방사방향전환수단과, 상기 조향핸들이 작동할 때 조향방향측에 설치된 조명수단이 비조향방향측에 설치된 조명수단보다 먼저 움직이도록 하는 가변위상타이밍 수단 및, 한쪽 방향에서 다른쪽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변화된 다음 다른쪽 방향에서 원래의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히스테리시스특성을 갖는 히스테리스시스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반사경(7)의 회전방향을 상기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에 따라 회동시킴으로써 코너링시 전조등의 방사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를 전조등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은 시스템은 조향핸들에 연동하는 슬릿트가 구비된 원판(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어 조향각도에 일치하는 전기적 신호인 펄스를 출력시키도록 된 광센서(1)와, 이 광센서(1)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처리하도록 된 광센서(1)와, 이 광센서(1)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처리하도록 된 처리회로(2), 이 처리회로(2)에서 출력되는 처리신호에 따라 전조등(도시되지 않음)을 구동시켜 주도록 된 전조등구동장치(3) 및 직류전원공급장치(4)가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1)는 발광다이오드(11)와 광트랜지스터(12) 및, 저항(R1)(R2)으로 이루어진 제 1 광인터럽터(13)와, 발광다이오드(14)와 광트랜지스터(15) 및 저항(R3)(R4)으로 이루어진 제 2 광인터럽터(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광인터럽트(13)의 출력단자(17)와 광인터럽터(16)의 출력단자(18)에서는 제 2a 도와 제 2b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조향핸들의 조향동작에 연동하여 각각 교대로 하이레벨("1")과 로우레벨("0")의 전기적 신호와 같은 펄스가 출력된다.
제 2a 도와 제 2b 도에서 가로좌표는 조향각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향각도는 조향핸들의 중립위치(N)에서 0°를 나타내는 바, 조향핸들이 중립위치(N)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는 상기 출력단자(17)(18)에서 양각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고, 이와는 달리 조향핸들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졌을 때는 부각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출력단자(17)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출력단자(18)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보다 위상이 90°앞선다. 따라서 조향핸들이 중립위치(N)에 있을 때, 즉 조향각도가 0°일 때 출력단자(18)에서 출력되는 양각에 대한 전기적 신호는 "1"에서 "0"으로 떨어지는 상태에 있게 되고, 이와는 달리 상기 출력단자(18)에서 출력되는 부각에 대한 전기적 신호는 "0"에서 "1"로 막 상승하는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출력단자(17)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0"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처리회로(2)는 낸드게이트(21)(22)와 인버터(23), R-S플립플롭회로(24), (25), 앤드게이트(26)(27), 엎/다운카운터(28) 및 디코더/드라이버(29)로 구성되는 바, 상기 R-S플립플롭회로(24)(25)는 각각 부논리입력형 오아게이트(241)(242)(251)(252)로 구성된다. 여기서 광센서(1)의 출력단자(17)는 각 낸드게이트(21)(22)의 한 입력단자와 R-S플립플롭회로(24)(25)의 리셋트단자(24r)(25r)에 각각 연결되는 한편, 광센서(1)의 출력단자(18)는 앤드게이트(26)의 한 입력단자와 낸드게이트(22)의 다른 입력단자 및 인버터(23)의 한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또, 상기 인버터(23)의 출력단자는 낸드게이트(21)의 다른 입력단자와 앤드게이트(27)의 한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낸드게이트(21)(22)의 각 출력단자는 각각의 R-S플립플롭회로(24)(25)의 셋트단자(24s)(25s)에 연결되며, 상기 R-S플립플롭회로(24)(25)의 Q출력단자(24q)(25q)는 각각의 앤드게이트(26)(27)의 다른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또, 상기 앤드게이트(26)(27)의 출력단자는 엎/다운카운터(28)의 각각의 엎입력단자(28u)와 다운입력단자(28d)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엎/다운카운터(28)의 입력단자(28u)(28d)에 "1"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엎/다운카운터(28)는 그 카운트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다음 그 카운트값에 일치하는 디지털신호를 출력단자(28A∼28D)를 통해 디코더/드라이버(29)의 입력단자(29A∼29D)로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디코더/드라이버(29)는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단자(29a∼29o)중 사전에 설정된 출력단자를 선택하여 그 출력단자의 레벨을 "0"으로 셋트시킨다. 즉, 엎/다운카운터(28)의 카운트값은 제 2 도에 도시된 중립위치(N)에서 제로로 셋트된다. 이때 상기 디코더/드라이버(29)는 출력단자(29h)를 선택하여 오직 그 출력단자(29h)만을 "0"으로 셋트시킨다.
이러한 엎/다운카운터(28)가 계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1씩 카운트할 때마다 "0"레벨이 되는 출력단자의 위치는 29h에서부터 29g, 29f, …29a쪽으로 차례로 시프트된다. 또, 상기 엎/다운카운터(28)가 제로에서부터 1씩 계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카운터하게 되면, "0"레벨이 되는 출력단자의 위치는 순차적으로 29h에서부터 29i, 29j, …29o으로 역방향으로 시프트된다.
이러한 예에서는 계수를 증가시키다가 계수를 감소시키는 경우나 계수를 감소시키다가 계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서도 "0"레벨이 되는 출력단자의 위치는 순차적으로 인접된 출력단자쪽으로 역방향 또는 순방향으로 시프트된다.
상기 디코더/드라이버(29)의 출력단자(29a)(29b)는 처리회로(2)의 출력단자(2a)에 연결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출력단자(29c)(29d)는 출력단자(2d)에, 출력단자(29e)(29f)는 출력단자(2c)에, 출력단자(29g)(29h)(29i)는 출력단자(2d)에, 출력단자(29j)(29k)는 출력단자(2e)에, 출력단자(29ℓ)(29m)는 출력단자(2f)에, 그리고 출력단자(29n)(29o)는 출력단자(2g)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처리회로(2)의 출력단자(2a∼2g)는 전조등구동장치(3)의 슬라이드베이스(31)상에 반원형의 띠모양으로 형성된 2개의 도전체패턴(32)(33)에 미끄럼식으로 접촉되는 와이퍼접점(34b∼34h)에 연결되는데, 와이퍼접점(34b)에 인접한 와이퍼접점(34a)는 릴레이(35)의 릴레이코일(351)을 통해 직류전원공급장치(4)의 양극에 연결되고, 와이퍼접점(34h)에 인접한 와이퍼접점(34i)은 릴레이(36)의 릴레이코일(361)을 통해 직류전원공급장치(4)의 양극에 연결되며, 상기 각 릴레이코일(351)(361)에는 각각 다이오드(37)(38)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직류모터(39)의 양 접속단자(39a)(39b)는 릴레이(35)(36)의 공통단자(352c)(262c)에 각각 연결되는데, 릴레이(35)가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었을 때는 공통단자(352c)와 접속단자(352a)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직류 전원공급장치(4)의 양극에 직류모터(39)의 일단이 열결되고, 한편 릴레이(36)가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었을 때는 공통단자(362c)와 접속단자(362a)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직류전원공급장치(4)의 양극에 직류모터(39)의 다른 일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릴레이(35)의 공통단자(352c)가 접지되어 있는 접속단자(352b)에 연결되어 있고, 릴레이(36)의 공통단자(362c)는 접지되어 있는 접속단자(362b)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에는 직류모터(39)의 양쪽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직류전원이 릴레이(35)를 통해 직류모터(39)에 공급될 경우 상기 직류모터(39)는 전조등구동축(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드베이스(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회전운동에 의해 도전체패턴(32)(33)이 슬라이드베이스(31)와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직류전원이 릴레이(36)를 통해 직류모터(39)에 공급될 경우 전조등구동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전체패턴(32)(33)이 슬라이드베이스(31)와 일체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조등구동축(5)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전조등의 방사방향을 변화시켜 주게 되는 바, 즉 전조등구동축(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운전자의 좌석에서 볼 때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와는 달리 상기 전조등구동축(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상기 시점에서 완쪽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로 된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자동차는 직진방향으로 주행하고 조향핸들은 중립위치(제 2 도에서 N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엎/다운카운터(28)의 카운트값은 제로이므로 디코더/드라이버(29)의 출력단자(29h)만이 "0"을 나타내고, 나머지 출력단자(29a∼29g)(29i∼29o)는 모두 "1"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전체패턴(32)(33)에 각각 접촉되어 있는 와이퍼접점(34b∼34d)(34f∼34h)은 "1"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릴레이(35)(36)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직류모터(39)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전방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향핸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우측으로 조향하기 시작할 경우 광인터럽터(13)(16)에서는 각각 "1"과 "0"을 출력시키게 된다(제 2 도에서 a위치).
따라서 낸드게이트(21)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시프트됨에 따라 R-S플립플롭회로(24)가 셋트됨으로써 그 Q출력단자(24q)가 "1"로 된다. 우측방향으로 조향동작이 더욱 진행되어 제 2 도에 도시한 b위치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 광센서(1)의 출력단자(17)(18)가 "1"로 된다. 그 결과 "1"레벨의 신호가 엎/다운카운터(28)의 엎신호입력단자(28u)로 입력됨으로써 상기 엎/다운카운터(28)는 계수가 1만큼 증가된다.
그리하여 디코더/드라이버(29)의 출력단자(29h)에서 출력된 "0"레벨 신호가 시프트되어 출력단자(29g)에서 출력되는데, 출력단자(29g)는 출력단자(29h)와 마찬가지로 출력회로(2)의 출력단자(2d)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직류모터(39)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됨으로써 전조등의 방사방향은 계속 전방쪽을 향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더욱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면 광센서(1)의 출력단자(17)(18)에서는 "0"과 "1"이 각각 출력된다(제 2 도에서 c위치). 이에 따라 R-S플립플롭회로(24)의 리셋트단자(24r)가 "0"이 되어 상기 R-S플립플롭회로(24)가 리셋트됨으로써 그 Q출력단자(24q)가 "0"으로 리셋트된 다음 차기 카운트를 준비하고 있게 된다.
이어 제 2 도에서 d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낸드게이트(21)의 출력이 "1"에서 "0"으로 시프트됨에 따라 상기 R-S플립플롭회로(24)가 셋트됨으로서 그 Q출력단자(24q)가 두 번째 기간동안 "1"이 된다. 제 2 도에서 e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는 앤드게이트(26)의 출력단자가 "1"이 됨으로써 상기 엎/다운카운터(28)는 계수를 1만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카운트값을 증가시킴으로써 디코더/드라이버(29)에서는 출력단자(29g)에서 출력되던 "0"레벨의 신호가 시프트되어 출력단자(29f)에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35)의 릴레이코일(351)을 거친 전류가 와이퍼접점(34a)과 도전체패턴(32), 와이퍼접점(34d) 및 출력단자(2c)를 차례로 거쳐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코일(351)이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졌을 때 릴레이(35)의 공통단자(352c)와 접속단자(352a)가 상호 연결되어 직류모터(39)가 회전됨으로써 그 결과 전조등구동축(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전조등구동축(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전조등의 방사방향이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드베이스(31)가 도전체패턴(32)(33)의 와이퍼접점(34a∼34i)에서 미끄럼이 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다가 와이퍼접점(34d)이 도전체패턴(32)으로부터 떨어졌을 때는 릴레이코일(351)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된다. 그 결과 상기 릴레이(35)의 공통단자(352c)와 접속단자(352)가 오프상태로 됨으로써 직류모터(39)로 공급되던 전원이 중단되고, 결국 직류모터(39)는 관성에 의해 어느 정도 더 회전되다가 정지된다.
제 3 도는 슬라이드베이스(31)와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도전체패턴(32)(33) 사이의 간격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직류모터(39)는 와이퍼접점(34d)이 간격(31a)의 중심부에 위치되어짐과 더불어 정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시계방향으로의 조향동작이 계속되면 엎/다운카운터(28)의 계수는 연속으로 증가되게 되고, 이에 따라 디코더/드라이버(29)에서 "0"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자의 위치가 29e, 29d,…29a와 같은 순서로 단계적으로 시프트되어 직류모터(39)가 단계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전조등의 방사방향도 시계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다음에 조향핸들이 중립위치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이러한 경우는 제 2 도에서 중립위치(N)에 대해 부각을 취한 경우로서, 이때는 광센서(1)의 출력단자(17)(18)가 "1"(제 2 도에서 f위치)로 됨으로써 낸드게이트(22)의 출력단자가 "0"으로 된다. 이에 따라 R-S플립플롭회로(25)가 셋트되어 그 Q출력단자(25q)가 "1"로 되고, 이어 제 2 도에서의 g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출력단자(17)(18)가 각각 "1"과 "0"으로 됨에 따라 앤드게이트(27)의 양쪽 입력이 모두 "1"로 된다. 그리하여 엎/다운카운터(28)의 다운입력단자(28d)에 "1"인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엎/다운카운터(28)의 카운트값은 1만큼 감소된다.
이와 같은 엎/다운카운터(28)의 카운트값 감소작용에 따라 엎/다운카운터(28)는 출력단자(29h)를 통해 출력시키던 "0"신호를 역방향으로 시프트시켜 출력단자(29i)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 이어 제 2 도에서 h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출력단자(17)(18)가 모두 "0"으로 됨에 따라 R-S플립플롭회로(25)가 리셋트됨으로써 그 Q출력단자(25q)는 "0"으로 되어 차기 카운트에 대비하게 된다.
이어 제 2 도에서 i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엎/다운카운터(28)에서는 또 다시 그 카운트값이 1만큼 감소되게 되어 "0"신호가 출력되던 디코더/드라이버(29)의 출력단자위치가 출력단자(29i)에서 출력단자(29j)로 시프트된다. 그리하여 릴레이(36)의 릴레이코일(361)을 거친 전류는 와이퍼접점(34i)과 도전체패턴(33), 와이퍼접점(34f) 및 출력단자(2e)로 차례로 흐르게 된다. 그 결과 릴레이(36)의 공통단자(362c)와 접속단자(362a)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직류모터(39)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전조등구동축(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조등구동축(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전조등의 방사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슬라이드베이스(3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 와이퍼접점(34f)이 도전체패턴(33)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릴레이(36)의 릴레이코일(361)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릴레이(36)의 공통단자(362c)와 접속단자(362a)가 오프상태로 되어 결국 직류모터(39)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된다. 그러면 직류모터(39)는 관성에 의해 어느 정도 더 회전되다가 정지되어 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반시계방향으로의 조향동작이 계속되면, 엎/다운카운터(28)의 계수는 1씩 감소되게 되고, 이에 따라 디코더/드라이버(29)에서 "0"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자의 위치가 29k,29l,…29o와 같은 순서로 단계적으로 시프트되어 직류모터(39)가 단계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전조등의 방사방향도 반시계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조등의 방사방향에 대한 단계적인 회전각도는 10°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조등의 방사방향을 최대로 30°까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회전각도의 조정을 위하여 와이퍼접점(34b∼34h)들은 등각도간격으로 배치시켜 놓았을 뿐만 아니라 전조등의 방사방향을 10°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두고 배치시켜 놓았는 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실험을 통해 전조등의 방사방향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보았을 때 운전에 필요한 충분한 시야가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명등은 수 10°의 배광패턴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배광패턴에 대해 10∼30° 정도의 단계로 전조등을 이동시켜 주게 되면, 종래와 같이 전조등을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주지 않더라도 운전에 필요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조향핸들이 중립위치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되어 있지만, 조향핸들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다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엎/다운카운터(28)의 계수가 1씩 감소 또는 증가됨으로서 그 계수값에 따라 전조등의 방사방향은 변화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에서는 커어브길을 돌 때 자동차의 조향동작에 부합되어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비춰 줌으로써 주행중 안전을 도모할 수가 있고,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스텝모터를 사용하여 방사방향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줌으로써 서어보모터를 사용한 종래의 장치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저렴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서어보모터를 사용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모터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 단자가 파손되거나 그와 유사한 고장이 생겼을 경우 회전위치를 제어할 수가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를 전조등시스템에 적용시킴으로써 파손시에만 그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는 전자통제동작을 갖게 할 수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처리회로(2)는 하드웨어회로로 구성되어 있는데, 프로그램의 제어를 위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리고 전조등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와이퍼접점을 사용하였으나, 광학적으로 회전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조등의 방사방향에 대한 단계적 회전각도는 10°씩 등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설정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인접된 와이퍼접점(34b∼34h)들의 간격을 0°부근에서는 멀리했다가 외부쪽으로 갈수록 가깝게 하는 배치방법 등, 회전각도를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 전조등구동축(5)에 의해 전조등의 방사방향을 회전운동시키는 것은 전조등전체를 이동시켜도 되지만, 일반적인 자동차에서는 전조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매우 좁기 때문에 전조등전체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전조등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한냉한 지역 등에서 동결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최근에는 전조등내에 설치된 반사경을 이동시켜 주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조등내에서 반사경을 이동시켜 주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조등전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한정된 공간으로 인해 현실화가 어려웠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형태의 보조반사경이 설치된 전조등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조등은 주반사경(6)과 보조반사경(7) 및 광원(8)으로 구성된 것인데, 보조반사경(7)은 제 1 도에 도시된 전조등구동축(5)에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여기서 자동차가 전진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주반사경(6)과 보조반사경(7)에서 반사되는 광선의 방사방향은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컨대 자동차가 우회전을 하는 경우 제 1 도에 의거 설명된 바와 같이, 조향핸들의 조향동작에 따라 전조등구동축(5)이 단계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오직 보조반사경(7)만이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반사경(7)이 회전이동함으로써 보조반사경(7)에서 반사되는 광선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방사되어지게 되는 바, 즉 보조반사경(7)에서 반사되는 광선은 주행방향을 비추게 된다. 이때 주반사경(6)에서 반사되는 광선은 전방을 비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장치를 적용하게 되면, 주반사경(6)전체를 이동시키는 것보다 시야가 넓어지게 되어 안정도가 높아지게 되고, 주반사경(6)보다도 작은 보조반사경(7)을 회전시킴으로써 전조등을 크게 제작하지 않더라도 회전공간이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한 방법을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조향핸들의 조향동작에 따라 전조등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전방쪽으로 고정시키는 한편, 조향핸들의 조향동작에 따라 이동 가능한 보조등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보조등을 설치함으로써 상기한 보조반사경(7)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시스템에는 제 1 도에서와 같은 광센서(1)와 상기 광센서(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도록 된 처리회로(2'), 이 처리회로(2')에서 출력되는 처리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전면 우측에 설치된 전조등(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하 우측 전조등이라 칭함)을 구동시키도록 된 우측 전조등구동장치(3-1), 상기 처리회로(2')에서 출력되는 처리신호에 의거 자동차의 전면 좌측에 설치된 전조등(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하 좌측전조등이라 칭함)을 구동시키도록 된 좌측전조등구동장치(3-2), 직류전원공급장치(4), 회전신호 발생회로(60) 및 교통지시등 또는 방향지시장치(70)가 구비된 것이다.
특히, 처리회로(2')는 낸드게이트(21)(22)와 인버터(23), R-S플립플롭회로(24)(25), 앤드게이트(26)(27), 엎/다운카운터(28), 디코더/드라이버(29) 및 이 디코더/드라이버(29)와 동일한 디코더/드라이버(30)가 구비되어, 제 1 도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 및 효과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디코더/드라이버(30)의 입력단자(30A)(30B)(30C)(30D)는 각각의 디코더/드라이버(29)의 입력단자(29A)(29B)(29C)(29D)에 연결되고, 그 출력단자(30a∼30o)는 상기 디코더/드라이버(29)의 출력단자(29a∼29o)와 일치한다. 이러한 디코더/드라이버(29)(30)는 엎/다운카운터(28)에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단자(29a∼29o)(30a∼30o)중 사전에 설정된 출력단자를 각각 선택하여 선택된 출력단자를 "0"으로 셋트시킨다.
즉, 제 2 도에 도시된 중립위치(N)에서 엎/다운 카운트값은 제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때 디코더/드라이버(29)(30)는 각각 출력단자(29h)(30h)를 선택하여 오직 상기 출력단자(29h)(30h)만을 "0"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엎/다운카운터(28)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1씩 카운트할 때마다 "0"이 되는 출력단자의 위치는 출력단자(29h)로부터 순방향으로 출력단자인 29g, 29f, …, 29a로 차례로 시프트되고, 또 출력단자(30h)로부터 출력단자인 30g, 30f, …, 30a로 차례로 시프트된다.
한편, 상기 엎/다운카운터(28)가 제로에서부터 감소하는 방향으로 1씩 카운트할 때마다 "0"이 되는 출력단자의 위치는 출력단자(29h)에서 출력단자인 29i, 29j, …, 29o로, 또한 출력단자(30h)에서 출력단자인 30i, 30j, …, 30o로 차례로 역방향으로 한 단계씩 시프트된다.
그리고 상기 엎/다운카운터(28)는 상방향으로 카운트하다가 하방향으로 카운트하는 경우나 하방향으로 카운트하다가 상방향으로 카운트하는 경우에도 "0"이 되는 출력단자는 인접된 출력단자로 한 단계씩 시프트되도록 설정해 놓은 것이다.
그리고 디코더/드라이버(29)의 출력단자(29a)(29b)에는 앤드게이트(291)의 한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출력단자(29c)(29d)에는 인버터(292)를 통해 낸드게이트(293)의 한 입력단자, 출력단자(29e)(29f)에는 인버터(294)를 통해 낸드게이트(295)의 한 입력단자, 출력단자(29g)(29h)(29i)에는 공통적으로 인버터(296)를 통해 낸드게이트(297)의 한 입력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앤드게이트(291)와 낸드게이트(293)(295)(297)의 각 다른 입력단에는 회전신호발생회로(60)의 출력단자(61A)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앤드게이트(291)와 낸드게이트(293)(295)(297)의 출력단자는 처리회로(2')의 각 출력단자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 출력단자(29j, 29k)(29l, 29m)(29n, 29o)는 처리회로(2')의 각 출력단자(2e)(2f)(2g)에 연결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출력단자(30g)(30h)(30i)에는 인버터(301)와 낸드게이트(302)를 차례로 매개하여 출력단자(2k)가, 출력단자(30j)(30k)에는 인버터(303)와 낸드게이트(304)를 매개하여 출력단자(2l)가, 출력단자(30l)(30m)에는 인버터(305)와 낸드게이트(306)를 매개하여 출력단자(2m)가, 그리고 출력단자(30n)(30o)에는 앤드게이트(307)를 매개하여 출력단자(2n)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회로(2')의 출력단자(2a∼2g)(2h∼2n)에는 각각 제 1 도와 같은 방법으로 우측 및 좌측전조등구동장치(3-1)(3-2)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방향지시장치(70)는 자동점멸장치(71)와 자동차가 회전할 때 동작되는 윙커스위치(72), 우측 및 좌측방향지시등(73)(74)으로 구성되는 바, 여기서 방향지시장치(70)는 윙커스위치(72)의 동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된다. 또, 회전신호발생회로(60)는 NPN트랜지스터(Tr1)와 캐패시터(C1), 다이오드(D1) 및 저항(R5∼R8)으로 이루어진 제 1 회전신호발생회로(61)와 NPN트랜지스터(Tr2)와 캐패시터(C2), 다이오드(D2) 및 저항(R9∼R12)으로 이루어진 제 2 회전신호발생회로(6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윙커스위치(72)와 방향지시장치(70)의 우측방향지시등(73)간의 접속으로 발생된 전압은 제 1 회전신호발생회로(61)에 있는 저항(R5)을 통해 다이오드(D1)로 입력되는 한편, 윙커스위치(72)와 방향지시장치(70)의 좌측방향지시등(74)간의 접속으로 발생된 전압은 제 2 회전신호발생회로(62)에 있는 저항(R9)을 통해 다이오드(D2)로 입력된다.
즉, 윙커스위치(72)가 우측방향지시등(73)을 점멸시키도록 동작된 경우 캐패시터(C1)의 충전전위가 상승됨으로써 트랜지스터(Tr1)가 온되고, 이에 따라 "0"레벨의 신호전압이 처리회로(2')에 있는 앤드게이트(291)와 낸드게이트(293)(295)(297)로 입력되는데, 이러한 "0"신호가 회전신호발생회로(61)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신호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좌측방향지시등(74)을 점멸시키도록 윙커스위치(72)가 동작된 경우에도 제 2 회전신호발생회로(62)에서 발생되는 회전신호("0")는 처리회로(2')에 있는 앤드게이트(307)와 낸드게이트(302)(304)(306)로 입력된다.
이하, 제 6 도에 도시된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운전자는 방향지시장치(70)를 동작시키지 않고,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은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조등과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전조등의 방사방향이 조향핸들의 조향동작에 따라 그 조향방향으로 이동하되 단계별로 또한 동기적으로 시프트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조향핸들을 조작하는 경우 방향지시장치(70)는 항상 동작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경우 법률에 의거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쪽의 우측방향시지시등을 점멸시켜야만 한다. 이때 우측방향지시등(73)이 점멸함에 따라 제 1 회전신호발생회로(61)에 있는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됨으로써 발생되는 "0"의 회전신호가 처리회로(2')에 있는 각각의 낸드게이트(293)(295)(297)의 한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따라서 디코더/드라이버(29)의 출력상태와는 무관하게 앤드게이트(291)의 출력은 "0"이 되고, 낸드게이트(293)(295)(297)의 출력은 "1"이 되며, 우측전조등구동장치(3-1)에 있는 코일(351)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와이퍼접점(34a)과 도전체패턴(32) 및 와이퍼접점(34b)을 차례로 거쳐 출력단자(2a)로 흐르게 됨에 따라 직류모터(39)가 전조등구동축(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우측전조등은 방사방향의 최대회전각도가 30°가 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우측방향지시등은 우측으로 회전하기 전에 점멸되기 시작하고, 우측전조등은 자동적으로 그리고 강제적으로 지시된 방향(우측방향)의 최대회전각도까지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우측전조등은 자동차가 방향을 돌리려는 시점에서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를 고정적으로 방사하게 된다. 따라서 반대쪽 주행선상에 빛이 비추어지지 않은 자전거나 횡단보도상에 있는 보행자를 먼저 발견할 수가 있으므로 안전도가 향상되게 된다.
한편, 좌측전조등에 관해 설명하면, 이에 대한 회전신호는 제 2 회전신호발생회로(62)에서 발생되지 않고, 그 방사방향은 조향핸들의 조향동작에 따라 변동되며, 우회전하는 동안 단계적으로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다.
그러므로 방향지시장치(70)에 있는 우측방향지시등(73)의 점멸동작은 우회전 후 조향핸들의 역회전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되고, 제 1 회전신호발생회로(61)에서 발생되던 회전신호의 발생이 중지된다. 그 결과 앤드게이트(291)와 낸드게이트(293)(295)(297)의 각 입력단자에는 "0"에서 "1"로 반전된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여 우측전조등은 그 최대회전각도 위치상태의 방사방향에 고정된 채로 방사동작이 실행되고,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에 동기되면서 조향핸들의 조향에 연동하여 원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우측방향지시등(73)을 점멸시키면서 자동차를 우회전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좌측방향지시등(74)을 점멸시키면서 자동차를 좌회전시키는 경우도 상기 설명과 동일하다. 즉, 이때는 제 2 회전신호발생회로(62)가 "0"인 회전신호를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좌측방향지시등(74)이 점멸되는 기간동안 그 진행방향(왼쪽방향)쪽의 최대회전각도위치에 고정되고, 따라서 조향핸들의 조향동작이전에 회전하고자 하는 주행도로상의 장애물을 먼저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우측전조등이나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방향시지등이 점멸되는 동안 지시된 방향쪽의 최대회전각도위치로 고정되지만, 방사방향을 최대회전각도위치에 고정시킬 필요는 없고, 다만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의 회전위치를 설정하여도 된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조향핸들의 조향동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련의 "1"과 "0"펄스를 발생시켜 주도록 된 조향핸들회전각도센서(81)와 상기 조향핸들회전위치센서(8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와 같은 펄스를 입력받아 조향핸들이 왼쪽과 오른쪽으로 조향되는 양에 해당되는 수만큼의 상향신호와 하향신호를 출력단자(82a)(82b)를 통해 출력시켜 주도록 된 엎/다운 스위칭회로(82), 상기 엎/다운 스위칭회로(82)에서 출력되는 상향신호와 하향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계수를 증가시켜 주거나 감소시켜 주도록 구성된 엎/다운스위칭회로(82)에서 출력되는 상향신호와 하향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계수를 증가시켜 주거나 감소시켜 주도록 구성된 엎/다운카운터(83) 및 이 엎/다운카운터(83)에서 출력되는 카운트값을 입력받아 오직 그 카운트값에 해당되는 위치의 출력단자레벨을 "0"으로 설정하여 주도록 구성된 디코더/드라이버(84)(85)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으로, 제 6 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엎/다운카운터(83)의 출력단자(83A)(83B)(83C)(83D)에는 모우드신호발생장치(90)(91)의 입력단자가 연결되는데, 상기 모우드신호발생장치(90)(91)에서는 상기 엎/다운카운터(83)의 카운트모우드에 일치하는 출력신호가 각각의 출력단자(90A, 90B
)(91A,91B)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디코더/드라이버(84)의 각 출력단자 (84a)(84b)(84d)(84f)(84i)(84k)(84m, 8
4n, 84o)에는 각각의 접속단자(84-1)(84-2)(84-3)(84-5)(84-6)(84-7)가 직접 연결되어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각 출력단자(85a, 85b, 85c)(85e)(85g)(85j)(85l)(85n, 85o)에는 각각의 접속단자(85-1)(85-2)(85-3)(85-5)(85-6)(85-6)(85-7)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디코더/ 드라이버(84)의 각 출력단자(84c)(84e)(84g)(84h)(84j)(84l)에는 인버터(86a)(86b)(86c)(86d)(86e)(86f)를 매개하여 낸드게이트(87a, 87b)(87c, 87d)(87e, 87f)(87g, 87h)(87i, 87j)(87k, 87l)의 각 1개 입력단자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낸드게이트(87a)(87b, 87c)(87d, 87e)(87h, 87i)(87j, 87k)(87l)의 각 출력단자에는 각각의 접속단자(84-1)(84-2)(84-3)(84-5)(84-6)(84-7)가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디코더/ 드라이버(85)의 각 출력단자(85d)(85f)(85h)(85i)(85k)(85m)에
는 각각의 인버터(88a)(88b)(88c)(88d)(88e)(88f)를 매개하여 각 낸드게이트 (89a)(89b)(8
9c)(89d)(89e)(89f)(89g)(89h)(89i)(89j)(89k)(89l)(89m)(89n)의 각 1개의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다. 각 낸드게이트(89a)(89b, 89c)(89d, 89e)(89f, 89g)(89h, 89i)(89j, 89k)(89l)의 출력 단자에는 각각의 접속단자(85-1)(85-2)(85-3)(85-5)(85-4)(85-5)(85-7)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모우드신호발생장치(90)의 한쪽 출력단자(90A)에는 한쪽 입력 단자들이 디코더/드라이버(84)에 연결된 낸드게이트(87b)(87d)(87f)(87h)(87j)(87l)의 각 다른 입력단자들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각 낸드게이트(87a)(87c)(87e)(87g)(87i)(87k)의 각 다른쪽 입력단자들에도 상기 디코더/드라이버(84)의 다른쪽 출력단자(90B)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때의 엎/다운카운터(83)의 카운트모우드에 일치하는 신호가 상기 게이트회로망에 입력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쪽 입력단자들이 디코더/드라이버(85)의 일측에 연결된 낸드게이트(89a, 89c, 89e, 89g, 89i, 89k)와 낸드게이트(89b, 89d, 89f, 89j, 89l)의 다른 입력단자들에는 그때의 엎/다운카운터(83)의 카운트모우드에 일치하는 신호가 모우드신호발생장치(91)의 출력단자(91A)(91B)를 통해 입력된다. 즉, 엎/다운카운터(83)의 카운트값이 제로보다 작은 범위내에 있게 됨으로써 조향핸들의 회전각도가 왼쪽으로 5°에 해당하는 카운트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모우드신호발생장치(90)에서는 출력단자(90A)(90B)를 통해 "0"과 "1"의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한 범위를 제외한 카운트범위에서 증가카운트모우드인 경우 모우드신호발생장치(90)의 출력단자(90A)(90B)에서 "0"과 "1"의 신호가 출력되고, 감소카운트모우드인 경우 "1"과 "0"의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엎/다운카운터(83)의 카운트값이 제로이상이 되어 조향핸들의 회전각도가 오른쪽으로 5°에 해당하는 카운트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모우드신호발생장치(91)에서는 각각의 출력단자(91A)(91B)를 통해 "0"과 "1"이 각각 출력된다. 또한 상기한 범위를 제외한 카운트범위에서 증가모우드인 경우 모우드발생장치(91)의 출력단자(91A)(91B)에서 "1"과 "0"의 신호가 각각 출력되고, 감소모우드인 경우 "0"과 "1"의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디코더/드라이버(84)측에 연결된 접속단자(84-4)의 레벨이 "0"인 경우, 운전석에서 보아 우측전조등(도시되지 않음)의 방사방향은 전방을 향하고 있게 되고, "0"이 되는 접속단자의 위치는 차례로 접속단자(84-3)(84-2)(84-1)의 순서로 하방향으로 시프트된다. 그리하여 우측 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운전석에서 보아 왼쪽방향으로 10°, 20°, 30°로 단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0"이 되는 접속단자의 위치는 출력단자(84-5)(84-6)(84-7)의 순서로 상방향으로 시프트됨에 따라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오른쪽을 향하여 10°, 20°, 30°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변하게 된다.
한편, 디코더/드라이버(85)측에 연결된 접속단자(85-4)의 레벨이 "0"인 경우, 좌측전조등(도시되지 않음)의 방향은 전방을 향하고 있게 되고, "0"이 되는 출력단자는 출력단자(85-3)(85-2)(85-1)의 순서에 따라 하방향으로 시프트됨으로써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운전석에서 보아 왼쪽 방향으로 10°, 20°, 30°의 순서로 회전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이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30°로 설정되어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제 3 실시예의 코너링전조등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자동차는 전방으로 전조등을 비추면서 직진하고 있고, 조향핸들은 직진방향으로 조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엎/다운카운터(83)의 카운트값은 제로이므로 디코더/드라이버(84)의 출력단자(84h)와 디코더/드라이버(85)의 출력단자(85h)에서만 "0"이 출력되고 있고, 또한 입력단자가 디코더/드라이버(84)측에 연결된 낸드게이트(87h)(87g)와 한 입력단자가 디코더/드라이버(85)측에 연결된 낸드게이트(89e)(89f)의 다른 입력단자에는 "0"과 "1"의 신호가 모우드 신호발생장치(90)(91)를 통해 각각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양쪽 접속단자(84-4)(85-4)가 모두 "0"이 됨에 따라 좌측전조등과 우측전조등은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정지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향핸들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우측으로 조향될 때의 초기에는 조향핸들회전각도센서(81)에서 전기적신호와 같은 펄스가 출력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조향핸들의 회전량에 해당되는 분만큼의 증가신호가 엎/다운스위칭회로(82)를 통해 엎/다운카운터회로(83)에 입력되어 초기화된다.
이어 엎/다운카운터(83)의 카운트값이 회전각 5°에 일치되는 값으로 되었을 때 디코더/드라이버(84)(85)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0"신호의 위치가 상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출력단자(84i)(85i)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0"레벨로 되는 출력단자의 위치가 접속단자(84-4)에서 접속단자(84-5)로 시프트되는데, 출력단자(84-5)의 레벨이 "0"으로 됨에 따라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이 10°의 회전각도만큼 우측으로 시프트된다.
한편, 이때의 모우드신호발생장치(91)에서는 각각의 출력단자(91A)(91B)로부터 각각 "1"과 "0"의 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한다. 그 결과 낸드게이트(89g)(89h)의 단자는 각각 "0"과 "1"로 된다. 그에 따라 디코더/드라이버(85)의 출력단자(85i)에서 "0"의 신호가 출력되어도 낸드게이트(89h)의 출력단자는 "0"이 되지 않고, 그 결과 접속단자(85-5)의 레벨이 "0"으로 시프트되지 않는다.
이때 출력단자(85-4)의 레벨이 계속 "0"이 되어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계속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 조향핸들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엎/다운카운터(83)의 카운트값이 회전각 10°에 일치하는 값으로 되었을 때 디코더/드라이버(84)(85)에서 "0" 신호가 출력되던 출력단자의 위치가 출력단자(84i)(85j)로 상방향 시프트된다. 따라서 "0"레벨이 되는 접속단자의 위치가 접속단자(85-4)에서 접속단자(85-5)로 상방향 시프트되는데, 좁석단자(85-5)의 레벨이 "0"으로 됨에 따라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이 우측방향으로 회전각도 10°의 위치로 이동된다.
한편, 이때 모우드신호발생장치(90)의 출력단자(90A)(90B)에서 "0"과 "1"의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디코더/드라이버(84)의 출력단자(84j)에서 "0"인 신호가 출력되어도 낸드게이트(87j)의 출력단자는 "0"이 되지 않고, 그 결과 접속단자(84-6)의 레벨이 "0"으로 시프트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접속단자(84-5)에서 계속 "0"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우측으로 회전각 10°의 위치에 계속 머물러 있게 된다.
조향핸들이 계속 우측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유사한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조향각도가 15°에 일치하게 될 때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우측으로 회전각 20°의 위치까지 변하게 되고, 조향각도가 20°에 일치하게 될 때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우측으로 회전각 20°의 위치까지 변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조향각도가 직진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조향각이 5°로 될 때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먼저 왼쪽으로 회전각 10°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 조향각이 10°로 될 때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왼쪽으로 회전각 10°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방법에 있어,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8a 도와 제 8b 도는 상기한 방법에 따라 방사방향이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전조등의 방사방향에 대한 가변특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가로좌표는 회전각도를 나타낸 것인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우측방향과 좌측방향으로 변화되는 각도는 그 중심각이 0°인 시계방향으로 회전각도와 반시계방향 회전각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세로좌표는 전조등의 우측방향과 좌측방향에 대한 회전각도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조향방향쪽에 설치된 전조등에 대한 방사방향의 가변시점은 조향방향과는 다른쪽에 설치된 전조등에 대한 방사방향의 가변시점보다 5°의 회전각만큼 일찍 가변되고, 조향방향과는 다른쪽에 설치된 전조등의 가변시기의 1주기에 대한 1/2의 시점에서 조향방향쪽에 설치된 조향등의 조사방향이 변하게 된다.
여기서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범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조향각이 0에 일치하는 경우 좌측전조등과 우측전조등이 방사방향은 모두 직진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때 그 방사범위는 제 9a 도에서 빗금친 부분과 같이 서로 일치하게 되고, 방사범위의 중심(1점쇄선으로 도시됨)은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주행방향에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조향되는 경우, 조향각이 5°에 일치하게 될 때 조향방향측에 설치된 전조등인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우측으로 10°의 회전각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계속 전방을 향하고 있게 되고,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방향의 중심은 제 9b 도에 도시한 시점에서 그때의 진행방향(우측으로 5°이동된)과 일치하게 된다.
또, 조향각이 10°에 일치하게 될 때 조향방향과는 반대쪽 방향에 설치된 전조등, 즉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10°의 회전각만큼 회전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이 우측으로 10°의 회전각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범위의 중심은 제 9c 도에 도시된 시점에서 그때의 진행방향(우측으로 10°회전된)과 일치하게 된다. 즉,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방향의 중심은 조향각이 5°씩 변할 때마다 진행방향에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행방향에서 방사방향의 중심에 대한 편차가 종래에 비해 작아지게 되므로 커어브길을 회전할 때 안전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동작은 직진조향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조향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되어 있으나, 시계방향으로 조향하다가 반시계방향으로 조향한 경우나 반시계방향으로 조향하다가 시계방향으로 조향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엎/다운카운터(83)에서는 그 계수가 1씩 증가 또는 감소됨으로써 이에 따라 디코더/드라이버(84)(85)는 그때의 카운트값에 일치되는 출력단자를 선택하여 그 레벨을 "0"으로 설정해 주게 된다.
예컨대, 조향핸들이 직진방향의 조향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고 가정하면, 이때 디코더/드라이버(84)의 출력단자(84m)에서 "0"의 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때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우측으로 30°의 회전각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만일 조향핸들이 어느 정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게 되면, 엎/다운카운터(83)에서는 그 카운트값이 감소되게 됨으로써 디코더/드라이버(84)의 출력단자(84l)에서 "0"의 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한다.
한편, 만일 조향핸들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약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엎/다운카운터(83)에서는 그 카운트값이 증가되게 되어 디코더/드라이버(84)의 출력단자(84m)에서 다시 "0"의 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는 조향핸들의 떨림현상으로 말미암아 카운터가 증감동작을 교대로 하게 되는 이른바 채터링현상이 종종 발생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에서는 그러한 채터링현상이 발생될지라도 전조등의 방사방향에는 채터링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범위중심의 진행방향에 대한 일치동작에도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즉, 엎/다운카운터(83)가 하향 카운트동작을 함으로써 디코더/드라이버(84)의 출력단자(84m)에서 출력되던 "0"의 신호가 출력단자(84l)에서 출력되기 시작하면, 이때 모우드신호발생장치(90)의 각 출력단자(90A)(90B)에서는 각각 "1"과 "0"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낸드게이트(87l)의 게이트는 열려지고, 낸드게이트(87k)의 게이트가 닫혀지게됨에 따라 출력단자(84l)의 레벨이 "0"으로 되었을 때 조차도 신호레벨이 "0"이 되는 위치에 접속단자(84-7)에서 접속단자(84-6)로 시프트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우측방향으로 30°의 회전각도위치에서 계속 멈춰있게 된다. 즉, 디코더/드라이버(84)의 출력단자(84m)(84l)의 출력이 교대로 "0"으로 되어 채터링현상이 발생된다고 할지라도 상기 채터링현상이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에서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우측전조등은 30°의 우측회전각도위치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엎/다운카운터(83)가 계속 하방향으로 카운트를 하여 디코더/드라이버(83)의 출력단자(84k)에서 "0"의 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하였을 때 좁속단자(84-6)의 레벨이 "0"으로 됨으로써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20°의 우측회전각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 8a 도에 도시된 점선은 최대우측조향상태와 최대좌측조향상태에서 조향핸들을 좌회전 및 우회전시켜 직진조향위치로 되돌아올 때의 조향각과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에 대한 회전각도위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시계방향으로의 조향각이 20°, 10 °, 0°로 될 때 회전각도위치는 각각 20°, 10°, 0°로 변하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의 조향각이 25°, 15°, 5°로 될 때 회전각도위치는 각각 20°, 10°, 0°가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우측전조등에 대한 동작에 관해서만 설명되어 있으나, 좌측전조등의 동작도 우측전조등과 같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이 변하게 될 때 채터링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제 8b 도에 도시된 점선은 최대우측조향상태와 최대좌측조향상태에서 조향핸들을 좌회전 및 우회전시켜 직진 조향위치로 되돌아올 때의 조향각과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에 대한 회전각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우측조향각이 우측으로 25°, 15°, 0°로 될 때 회전각도위치는 각각 20°, 10°, 0°로 변하게 되고, 또 좌측조향각이 20°, 10°, 0°로 될 때 회전각도위치는 각각 왼쪽으로 20°, 10°, 0°가 된다.
다음에 조향핸들이 30°의 우측조향상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범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향핸들이 30°의 위치에 있을 때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30°의 우측회전각도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방사범위는 제 10a 도에서 빗금친 부분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일치되어 있고, 그 방사범위의 중심(1점쇄선으로 도시된)은 진행방향(우측방향 30°)에 일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조향을 시작하게 되면, 조향각도 25°가 되는 시점에서 조향방향측에 설치된 전조등, 즉 좌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이 우측 20°의 회전각도위치로 변하게 된다.
이때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우측 30°의 회전각위치에 계속 놓여져 있는 상태이므로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범위의 중심은 제 10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때의 진행방향(우측방향 25°)에 일치하게 된다. 또한 조향각이 20°로 되면 조향방향의 반대측에 설치된 전조등, 즉 우측전조등의 방사방향은 20°의 우측 회전각위치로 변하게 된다.
이때, 좌측전조등의 방향은 우측 20°의 회전각위치를 계속 향하고 있게 되므로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범위의 중심은 제 10c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때의 진행방향(우측방향 20°)에 일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계속 조향을 하는 경우,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범위의 중심은 그 조향각이 5°변화할 때마다 상호 일치하게 되어 조향각도가 0°로 되었을 때 그 중심은 전방을 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방향을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킨 다음 다른쪽에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히스테리시스특성을 갖게 하여, 그 결과 조향핸들의 방사방향이 변화할 때 조향핸들의 떨림등에 의해 발생되는 채터링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진행방향에 일치되는 우측전조등과 좌측전조등이 이루는 방사범위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동작이 채터링방지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함으로써 야간에 주행할 때의 안전도가 더욱 증가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향방향측에 설치된 전조등의 방사방향에 대한 타이밍을 조향방향의 반대측에 설치된 전조등에 대한 가변타이밍의 1주기에 대해 1/2주기의 시점으로 설정하여 놓았지만, 반드시 1/2주기의 시점으로 설정해 줄 필요는 없고, 1/2주기의 시점으로 가변하면 진행방향의 방사범위에 대한 중심의 편차가 각각의 진행방향에 대해 극히 작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방향에서 다른쪽 방향으로 방사방향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킨 다음 다른쪽 방향에서 다시 원래의 방향으로 방사방향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서 5°의 조향각에 일치하는 히스테리시스특성을 갖게 하여도 되지만, 히스테리시스특성을 반드시 5°의 조향각으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 또 진행방향으로부터 방사범위의 중심에 대한 편차가 어느정도 커질지라도 히스테리시스를 임의로 설정하여도 된다.
제 11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된 코너링전조등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향각(x)에 대한전조등방사방향의 회전각(y)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향각-회전각도특성도이다. 즉, 회전각(y)은 조향각(x)의 변화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회전각(y)은 실제로 조향각(x)보다 2배 큰 값으로 설정된 것이다.
제 12 도는 코너를 돌 때 전조등의 방사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여기서 r은 코너를 돌 때의 회전반경을 나타내고, l은 자동차의 휠베이스, R1은 전조등의 방사방향, θ는 방사방향(R1)에 대한 전조등의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의 방사범위각, x는 이때의 조향각을 나타낸다.
즉, 코너를 돌 때 도로면에 방사되는 거리는 제 12 도에서 선분 PQ로 표시되며, 이는 다음(1)식과 같다.
PQ=α=2r Sin(y-x+θ)……………………………………………………………(1)
전조등의 회전각(y)이 조향각(x)보다 2배 큰 것으로 가정하면, y=2x라는 관계가 성립함에 따라 식(1)은 다음식(2)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PQ=α=2r Sin(x+θ)………………………………………………………………(2)
즉, 회전반경(r)이 감소될지라도 sin(y-x+θ)성분이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도로면에서 방사거리(α)의 감소량이 제거되므로 코너를 돌 때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다.
또, 이때의 도로면에서의 방사거리(α)가 종래의 전조등시스템에 비해 길어지게 됨으로써 전조등의 회전각(y)이 조향각(x)에 일치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조는 제 1 도와 제 6 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도면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향핸들의 조향동작과 회전시기를 변동시켜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와 전조등의 방사방향중심간에 차이를 둠으로써 야간주행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조향핸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명수단이 회전되어 자동차의 회전방향쪽으로 빛이 방사시켜지도록 된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을 자동차 전면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 주반사경(6)과 보조반사경(7)으로 이루어지게 해서, 상기 조향핸들의 회전동작에 따라 빛의 방사방향을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된 방사방향전환수단과, 상기 조향핸들이작동할 때 조향방향측에 설치된 조명수단이 비조향방향측에 설치된 조명수단보다 먼저 움직이도록 하는 가변위상타이밍수단 및, 한쪽 방향에서 다른쪽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변화된 다음 다른쪽 방향에서 원래의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히스테리시스특성을 갖춘 히스테리시스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반사경(7)의 회전방향을 상기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에 따라 회동시킴으로써 코너링시 전조등의 방사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전환수단이, 자동점멸장치(71)와 자동차가 회전할 때 동작되는 윙커스위치(72) 및 우측 및 좌측방향지시등(73)(74)으로 이루어진 회전방향지시장치(70)와, 이 회전방향지시장치(70)가 동작하는 기간동안 상기 조명수단의 방사방향이 사전에 설정된 지시방향측의 회전각위치에 계속적으로 고정시켜지도록 하는 제1 및 제2회전신호발생회로(61)(62)로 이루어진 회전신호발생회로(6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전환수단이, 상기 조명수단의 방사방향에 대한 회전각을 상기 조향핸들의 작동에 따른 조향각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전환수단이, 상기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에 일치하는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출력단자(17)(18)를 통해 출력하는 제1 및 제2광인터럽터(13)(16)로 이루어진 광센서(1)와, 상기 출력단자(17)(18)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조향각도에 일치하는 펄스신호에 따라 다수의 출력단자(2a∼2g)중 1개의 출력단자를 통해서는 상기 제1논리값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나머지 다른 출력단자들을 통해 제1논리값과는 반대의 논리값을 갖는 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조향각의 증감에 따라 상기 제1논리값신호가 출력되는 단자를 하나씩 시프트시키는 처리회로(2) 및, 원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처리회로(2)의 각 출력단자(2a∼2g)에 연결된 와이퍼접점(34b∼34h)과 이 와이퍼접점(34b∼34h) 및 와이퍼접점(34a, 34i)과 미끄럼접촉됨과 더불어 상호 간극을 갖고 환형으로 설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도전체패턴(32, 33)을 갖는 슬라이드베이스(31) 및 릴레이회로(35,36)를 매개로 상기 도전체패턴(32, 33)에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회로(35, 36)의 각 접점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베이스(31)를 단속적으로 회전시켜주도록 된 모터(39)로 이루어진 전조등구동장치(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코너링전조등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전환수단이, 상기 회전방향지시장치(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처리회로(2)의 출력신호패턴을 제어하는 논리회로(291, 293, 295, 297, 302, 304, 306, 307)를 갖추어 방사방향을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전환수단이, 상기 조향각도 신호에 따라 2가지의 전압값을 가진 신호를 차례로 발생시키도록 된 조향핸들회전각도센서(81)와, 이 조향핸들회전각도센서(8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카운트하도록 된 엎/다운카운터(83), 이 엎/다운카운터(83)의 출력신호를 디코드해서 복수의 출력단자중 1개의 출력단자를 통해 제1논리 값을 가진 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나머지 출력단자를 통해서는 제1논리값과 반대의 논리값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디코더/드라이버(84, 85) 및, 이 디코더/드라이버(84, 85)의 출력신호패턴에 따라 상기 조명수단을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는 좌측 및 우측전조등구동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타이밍위상수단이, 인버터(86a∼86f, 88a∼88f)와 낸드게이트(87a∼87l, 88a∼88l) 및 상기 엎/다운카운터(83)의 출력신호모우드에 따라 상기 디코더/드라이버(84,85)의 출력신호모우드를 조정해 주도록 상기 엎/다운카운터(83)와 낸드게이트(87a∼87l, 88a∼88l)간에 연결된 모우드신호발생장치(90, 9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KR1019860008234A 1985-09-30 1986-09-30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KR920004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16912 1985-09-30
JP60-216913 1985-09-30
JP60216912A JPS6277249A (ja) 1985-09-30 1985-09-30 車輛用コ−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60216913A JPS6277250A (ja) 1985-09-30 1985-09-30 車輛用コ−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61022986A JPS62181938A (ja) 1986-02-06 1986-02-06 車輛用コ−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61-22986 1986-02-06
JP61-85114 1986-04-15
JP61085114A JPS62244736A (ja) 1986-04-15 1986-04-15 車輌用コ−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216912 1990-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965A KR870002965A (ko) 1987-04-14
KR920004780B1 true KR920004780B1 (ko) 1992-06-15

Family

ID=2745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234A KR920004780B1 (ko) 1985-09-30 1986-09-30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33333A (ko)
KR (1) KR920004780B1 (ko)
DE (1) DE3633179A1 (ko)
FR (1) FR2587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2951B1 (fr) * 1986-01-14 1991-10-18 Koito Mfg Co Ltd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de determiner la position angulaire d'un corps tournant tel notamment que le volant de dire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JPS6467439A (en) * 1987-09-08 1989-03-14 Koito Mfg Co Ltd Cornering lamp system for vehicle
JPS6467440A (en) * 1987-09-08 1989-03-14 Koito Mfg Co Ltd Cornering lamp system for vehicle
JPH0657517B2 (ja) * 1987-09-16 1994-08-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ランプシステム
KR910007453B1 (ko) * 1987-12-10 1991-09-26 가부시기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차량전조등의 조사각 조정장치
DE4013893A1 (de) * 1990-04-30 1991-10-31 Hella Kg Hueck & Co Scheinwerfer fuer kraftfahrzeuge
US5099400A (en) * 1990-12-05 1992-03-24 Lee Hyun J Headlight mov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DE4338614A1 (de) * 1992-11-16 1994-06-23 Koito Mfg Co Ltd Lampensystem für Kurvenfahrten für Fahrzeuge
JP2633169B2 (ja) * 1992-11-19 1997-07-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H0642407U (ja) * 1992-11-19 1994-06-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2777052B2 (ja) * 1993-10-13 1998-07-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DE4341234C2 (de) * 1993-12-03 2002-09-12 Bosch Gmbh Robert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Fahrzeuge
JP2955199B2 (ja) * 1994-12-29 1999-10-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可変配光ヘッドランプ装置
JPH10166934A (ja) * 1996-12-13 1998-06-23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装置
GB2329010B (en) * 1997-09-09 2000-03-22 Tseng Chian Yin Adjustable vehicle headlamp
DE19743670A1 (de) * 1997-10-02 1999-04-08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Regelung der Leuchtweite von Scheinwerfern von Fahrzeugen
DE19746183A1 (de) * 1997-10-18 1999-04-22 Ameur Raouf Ben Beleucht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3782634B2 (ja) * 2000-01-11 2006-06-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オートレベリング装置
JP2001213227A (ja) * 2000-02-04 2001-08-07 Koito Mfg Co Ltd 車輌用照明システム
JP2001270382A (ja) * 2000-03-28 2001-10-02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配光制御システム
JP2001325817A (ja) 2000-05-15 2001-11-22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ATE370367T1 (de) * 2000-08-11 2007-09-15 Brinkmann Corp Taschenlampe mit einer led
JP2002326534A (ja) 2001-05-07 2002-11-12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装置
JP4140751B2 (ja) * 2001-05-07 2008-08-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装置
JP2002326537A (ja) 2001-05-07 2002-11-12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装置
JP2003112567A (ja) * 2001-10-04 2003-04-15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装置
US6767118B2 (en) * 2001-12-13 2004-07-27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a motor vehicle headlight
US6956484B2 (en) * 2001-12-21 2005-10-18 Reconnaissance International Substance testing devices with photo identification
JP4330922B2 (ja) * 2003-05-09 2009-09-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装置
JP4197278B2 (ja) * 2003-07-10 2008-12-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装置
DE10351795A1 (de) * 2003-11-06 2005-06-09 Volkswagen Ag Schwenkbarer Fahrzeugscheinwerf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Scheinwerfers
DE102004007958B4 (de) 2004-02-18 2023-06-29 HELLA GmbH & Co. KGaA System zum Steuern der horizontalen Schwenkwinkel einer 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bei Kurvenfahrten
US20080055918A1 (en) * 2006-08-31 2008-03-06 Anthony Peter Mascadri Vehicular lamp assembly having multiple moveable reflectors
CN101516676B (zh) * 2006-09-21 2012-11-2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灯、一种调节汽车车灯的方法和一种具有汽车车灯的汽车
KR101165543B1 (ko) * 2008-06-10 2012-07-16 마코토 다나카 회생형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구동 시스템
US20110204203A1 (en) * 2010-02-23 2011-08-25 Miller Douglas C Steerable vehicle lighting system
DE102011105983A1 (de) * 2011-06-29 2013-01-03 SMR Patents S.à.r.l. Nahbereich-Kurvenlicht im Außenspiegel
US10787177B2 (en) 2011-06-29 2020-09-29 SMR Patents S.à.r.l.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and autonomous vehicles using same
US10137823B2 (en) 2011-06-29 2018-11-27 SMR Patents S.à.r.l.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CN103101475B (zh) * 2013-01-25 2014-10-15 深圳市保千里电子有限公司 基于汽车照明系统视角与车速同步变化的控制方法及系统
CN103112392B (zh) * 2013-02-01 2014-08-27 深圳市保千里电子有限公司 汽车照明系统视角与转弯角度同步变化的控制方法及系统
JP6844955B2 (ja) * 2016-05-10 2021-03-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乗物用のヘッドラ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5498A (en) * 1917-12-27 1919-06-03 Controllable headlight-screen
AT117547B (de) * 1927-08-05 1930-04-25 Olivier Addor Scheinwerfer für Kraftfahrzeuge mit Seitenverstellung des Lichtkegels.
CH237901A (de) * 1943-03-29 1945-05-31 Oschwald Alfred Zusätzliche, nichtblendende elektrische Kurven- und Nebellampe an Kraftfahrzeugen.
DE822659C (de) * 1949-09-29 1951-11-26 Daimler Benz Ag Mit der Lenkung gekuppeltes Scheinwerferlicht fuer Fahrzeug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845457C (de) * 1951-01-19 1952-07-31 Franz Buddrus Von der Fahrzeuglenkung mittels elektrischen Stromes bewegbare Scheinwerferschwenk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e
US3023344A (en) * 1958-10-23 1962-02-27 Jack L Owings Cornering lights
FR1293643A (fr) * 1961-04-07 1962-05-18 Dispositif pour orienter les faisceaux lumineux des phares de véhicules
DE1580052A1 (de) * 1966-03-23 1970-01-29 Heinz Kuberek Kurvenspiegel fuer Scheinwerfer an Fahrzeugen aller Art,besonders jedoch an Automobilen
FR2105549A5 (ko) * 1970-09-11 1972-04-28 Chongor Czigany Alfonso
JPS5748667Y2 (ko) * 1978-03-22 1982-10-25
US4340928A (en) * 1980-07-31 1982-07-20 Hohmann Jr Thomas Rotatable vehicle headlights
JPS5827132B2 (ja) * 1980-08-11 1983-06-07 秀雄 鈴木 自動車用前照灯の回転及び補助フオ−クランプ、補助後尾灯の点滅、点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33333A (en) 1988-03-22
FR2587947A1 (fr) 1987-04-03
FR2587947B1 (fr) 1990-06-29
DE3633179A1 (de) 1987-04-16
DE3633179C2 (ko) 1991-04-18
KR870002965A (ko) 198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780B1 (ko) 차량용 코너링 전조등시스템
US4943893A (en) Automotive illumination system
US4908560A (en) Vehicle cornering lamp system
US6761473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US4340928A (en) Rotatable vehicle headlights
CN2352398Y (zh) 可与方向盘同步转动的汽车车灯照射角度控制装置
US4963794A (en) Vehicle cornering headlamp system
JPH0523974B2 (ko)
US3855462A (en) Head light arrangement for a vehicle
JP2626970B2 (ja) 車輌用ランプシステム
JPH0574493B2 (ko)
JPS62181938A (ja) 車輛用コ−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S6277251A (ja) 車輛用コ−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H0211461B2 (ko)
JPS6277252A (ja) 車輛用コ−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H0211463B2 (ko)
Kent The Automobile Headlamp Problem
JPH0574494B2 (ko)
JPH0523216B2 (ko)
ES8707016A1 (es) Perfeccionamientos en conmutadores de varias funciones para vehiculos automoviles
JPH0218127A (ja) 自動車
JPH0229539B2 (ja) Sharyoyokoonaringuranpushisutemu
JPS62243201A (ja) 車輌用ランプシステム
JPS62181935A (ja) 車輛用コ−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CN103358982A (zh) 前照灯控制装置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