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749Y1 -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49Y1
KR910007749Y1 KR2019880018170U KR880018170U KR910007749Y1 KR 910007749 Y1 KR910007749 Y1 KR 910007749Y1 KR 2019880018170 U KR2019880018170 U KR 2019880018170U KR 880018170 U KR880018170 U KR 880018170U KR 910007749 Y1 KR910007749 Y1 KR 910007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hift lever
key
lever
de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538U (ko
Inventor
나루미 이시가미
스지 나까무라
시게또시 미요시
이사오 아찌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 덴끼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6889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803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8916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52133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 덴끼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 덴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0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 B60R25/0214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interlocked with gear box or gear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098Separate actuator to disengage restri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582Levers
    • Y10T74/20612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된 점화키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변속레버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작동도.
제4도는 키로우터의 축방향 정면도.
제5도는 로크레버와 로크부의 관계를 보이는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작동도.
제7도는 제5도의 작동도.
제8도는 제2실시예의 제5도에 해당하는 사시도.
제9도는 제3실시예의 제1도에 해당하는 단면도.
제10도는 제3실시예의 제2도에 해당하는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작동도.
제12도는 로크레버와 로크부의 관계를 보이는 사시도.
제13도는 제1도의 작동도.
제14도는 제12도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규제부 6 : 결합공
7 : 디텐트핀 7A : 디텐트 샤프트
7B, 30 : 압축코일용수철 8 : 로크홈부
10 : 로크장치 12 : 결합홈
15 : 레버부재 19 : 컨트롤 와이어
20B : 키로우터 25 : 로크부
25B : 계단부 27 : 로크레버
27C : 비틀림 코일용수철 27D : 로크레버
28 : 돌기부 29 : 고정부
115 : 스토퍼부재 116, 117 : 액츄에이터
124 : 링크
본 고안은 점화키에 의해서 회전조작되는 키로우터를 변속레버와 연계시킨 구성의 변속레버용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부착의 자동차에서는, 주차시 변솔레버를 「P」위치에 둠과 동시에 점화키에 의해 키실린더의 키로우터를 고정되는 「LOCK」위치로 회전 시킨 다음, 그 키를 키로우터에서 뽑아내어 자동차에서 나오도록 되어 있다. 또 발전시에는 변속레버를 「P」위치에 둔 상태로 키를 키로우터에 끼워넣고, 이 키에 의하여 키로우터를 「LOCK」위치에서 「ACC」,「ON」위치를 지나「START」위치까지 회전작동시켜서 엔진을 시동하고, 변속레버를「D」혹은「R」위치 등의 구동위치에 이동시켜 발전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키로우터에 키가 끼워넣어져 있지않은 경우, 혹은 키로우터가「LOCK」위치에 있는 경우에서도 변속레버를 「P」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또 변속레버 「P」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도 키를「LOCK」위치에 회전시켜서 이 키를 뽑아낼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 키조작과 변속레버조작을 연동시킨 변속레버 로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 671, 085호, 일본 특허 공개공보 60-135352호, 59-137234호에서는 실린더 로크와 연결된 캠부재가 레치(latch)부재를 켐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레치부재가 리모우트 컨트롤 케이블의 끝에 고착된 돌출부의 이동을 제어하고 있다. 키조작에 의해서 실린더 로크가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리모우트 컨트롤케이블의 움직임이 구속되고, 이 케이블의 다른 끝에 고착된 벨 크랭크가 변속레버의 주차위치로 부터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리보우트 컨트롤케이블이 돌출부 및 레치부재를 통해 캠부재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부품수가 많고 또 래치부재와 돌출부의 결합이 불완전하게 되기 쉽다.
또 미국특허 제4, 724, 722호에 있어서도 컨트롤케이블을 이용하여 변속레버와 키의 움직임을 연동하고 있지만, 키실린더 로크와 컨트롤 와이어의 관계는, 키조작에 의해서 키실린더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미핀이 컨트롤케이블의 끝부분에 고착되어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이 장치에 있어서도 컨트롤케이블과 키로크 실린더의 연결구조부의 부품수가 많고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움직임을 멈추는 레치핀에 무리한 힘이 생기기 쉽다.
본 고안의 목적은 컨트롤 와이어의 키로크 실린더의 연결부의 부품수를 적제할 수 있고 또 움직임이 원할한 변속레버용 로크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자동변속기조작용 변속레버를 특정의 조건하에서만 조작 가능한 변속레버용 로크장치로서, (a)운전자의 키조작에 의해 로크위치에서 차량을 작동시키는 작동위치까지 회전조작되는 키로우터, (b)자동변속기를 차량 주행 구동상태로 하는 구동위치와 비구동상태로 하는 비구동 위치의 사이에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변속레버와, (c)이 변속레버에 설치되어 저지위치에서 해제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고, 변속레버가 구동위치에서 비구동위치로 이동하면 저지위치로 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비구동위치에서 구동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운전자가의 조작에 의해서 저지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되어 변속레버의 구동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디텐트(detent)장치, (d)상기 키로우터와 동일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키로우터의 회전 조작과 연동되는 로크부재, (e)상기 변속레버의 디텐트 핀과 로크부재의 사이에 기재되어, 로크부재측에있는 일단은 키로우터와 평행축상으로 이동하고, 변속레버가 구동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로크부재의 이동궤적내로 돌출한 로크부재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키로우터의 로크위치로의 회전조작을 저지하는 제1의 상태로 되고, 상기 키로우터가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일단은 로크부재의 이동궤적내로의 돌출이 저지되고 또 변속레버의 비구동위치에서 디텐트 장치를 저지위치로 유지하여 변속레버의 구동위치로의 이동을 불가능하게하는 상태를 키로우터가 작동위치로 이동될때까지 유지하는 제2의 상태로 되는 연동장치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키의 로크위치에서 변속레버를 비구동위치에 유지하여 변속레버의 구동위치에서 키의 로크위치로의 조작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연동장치가 로크부재와 작접 접촉하므로 부품수가 적고, 또 로크부재 또는 그 단부의 로크레버가 키로우터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키로우터 부근의 반경방향 치수가 크게되는 일은 없고, 실내로의 돌출량이 적고, 움직임도 원활하다.
이하 본 고안의 한실시예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제2도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변속레버(1)는 기틀(2)에 설치된 축(3)을 지점으로 해서 화살표 A방향및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요동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기틀(2)에는 디텐트 플레이트(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디텐트 플레이트(4)에는 변속레버(1)의 요동방향을 따라 요철형상의 규제부(5)를 가진 결합공(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변속레버(1)를「P」위치,「N」위치,「D」위치,「2」위치 및「L」위치의 각위치로 이동할 경우에 후술하는 디텐트 핀(7)과 함께 변속레버(1)의 요동을 제어하도록하고 있다. 더우기 결합공(6)의 일부에는 특정의 비구동위치인「P」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 로크홈부(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텐트핀(7)은 변속레버(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속레버(1)내에 배취된 디텐트 샤프트(7A)는 선단에서 직각방향(제2도-도면상 앞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디텐트 샤프트(7A)는 압축코일 용수철(7B)의 탄성력로 누름버튼(9)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변속레버(1)의 상부에 설치된 누름버튼(9)의 밀어누르는 것에 의해 제2도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결합공(6)의 각 위치 규제부(5)와의 결합이 떨어지고, 누름버튼(9)의 밀어누름을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코일 용수철(7A)의 탄성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규제부(5)에 놓여져 하나의 위치결합하는 것으로, 디텐트 플레이트(4)와 함께 변속레버(1)의 요동조작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로크장치(10)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체(11)는 제2도 상부에 오른쪽을 향하여 열려있는 결합홈(12)을 형성하고, 또 좌상부에 형성된 장공(13)으로는 로크홈부(8)의 근방에서 디텐트 플레이트(4)에 돌출설치된 핀(14)이 삽입되어 있다. 가동체(11)는 장공(13)과 핀(14)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결합홈(12)이 축(3)과 로크홈부(8)를 연결하는 선을 따라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레버(25)는 그의 일단부가 축(17)을 통해 가동체(11)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레버(15)는 중간부가 디텐트 플레이트(4)에 축(1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다른 일단부에는 아암부(18)가 일체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압부(18)의 선단부에는 연결부재인 컨트롤 와이어(19)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컨트롤어(19)의 타단은 후술하는 로크레버(27)에 연결되어 있다.
변속레버(1)가「P」위치 이외의 위치에 제2도의 상태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가 로크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누름버튼(9)을 밀어누른 상태에서 변속레버(1)가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조작되어져「P」웨 이동되면 디텐트 핀(7)이 가동체(11)의 결합홈(12)내에 끼어들어올 수 있다. 그리고 누름버튼이 해제되면, 디텐트 핀(7)이 압축코일 용수철(7B)에 의해서 받고 있는 탄성력으로 제3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디텐트 핀(7)이 가동체(11)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여 로크홈부(8)에 결합하고, 이것에 동반하여 레버부재(15)의 아암부(18)가 축(16)을 중심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이동된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의 로크상태로 된다.
한편, 제1도에 있어서, 키실린더(20)는 하우징(21)내로 수용되어 있고, 이 하우징(21)이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컬럼에 고착되어 진다. 이 키실린더(20)에는 축심부에, 제4도에 보여주는 것과 같이 키공(20A)을 가진 키로우터(2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키로우터(20B)는, 고정되는「LOCK」위치에서 키공(20A)에 키(22)를 뻬고 꽃음이 가능하고, 끼워넣어진 키(22)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각각 작동위치인「ACC」「ON」 및 「START」위치로 회전되고, 그 작동위치에서는 키(22)를 뽑아낼 수 없게 되는 구성이다. 이 키로우터(20B)의 후단부에는 이 키로우터(20B)와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23)가 동일축상에 설치되고, 이 샤프트(23)의 선단은 점화스위치(24)에 연결 되어있다. 샤프트(23)의 중간부 외주에는 제5도에도 보여주는 것같이 샤프트(23)의 회전축에 약 반원형을 이루는 로크부(25)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부(25)의 샤프트(23)의 반경방향에 위치하는 단면(25A)에는 키실린더(20)의 반대측 끝부분으로 부터 약 반원형을 이루는 칼러부(26)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칼러부(26)는 샤프트(23)의 축방향으로 보면 로크부(25)와 함께 원형을 이룬다. 로크부(25)의 외주부에 가까운 단면(25A)에는 계단부(25B)가 형성되어 로크레버(27)의 돌기부(28)를 수용하도록 되어있다. 이 로크레버(27)는 일단부에 상기 컨트롤와이어(19)의 타단이 연결되어 샤프트(23)와 평행하게 화살표 D방향 및 화살표 D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우징(21)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28)는 로크레버의 타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고착되어 있다. 로크레버(27)의 끝부분으로 부터 돌기부의 반대측으로 향하여 고정부(29)가 돌출설치 되어있다. 이 고정부(29)와 하우징(21)에 설치된 고정부(21A)의 사이에는 압축 코일 용수철(30)이 배치되어 있고, 이 압축 코일 용수철(30)은 로크레버(27)를 화살표 D방향으로 밀고 있다.
제1도에 보여진 것과 같이, 샤프트(23)의 후부 외주에 캠(31)이 돌출설치 되어 있다. 이 캠(31)에 의해서 이동되는 틀체(32)에 도시하지 않은 로크바가 연결되어 있고, 키로우터(20B)가「LOCK」위치로 회전된 때에 그 로크바 선단이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샤프트에 결합해서 그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도 및 제5도는 키로우터(20B)가「ACC」위치에 위치되고, 또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가 로크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크레버(27)가 컨트롤와이어(19)를 통해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잡아당긴 제1의 위치에 위치된 상태가 보여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로크레버(27)의 돌기부(28)가 로크부(25)의 계단부(25B)를 향하여 로크부(25)의 회전궤적내에 위치되어 있어서, 그 돌기부(28)에 의해 로크부(25)나아가서는 키로울러(20B)의 화살표 C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돌기부(28)의 제1도에 있어서의 우측면이 칼러부(26)의 좌측면(26A)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g)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3도에 보여주는 것과 같이 변속레버(1)가「P」위치로 이동되어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가 전술한 바와같이 로크상태로 되면, 컨트롤 와이어(19)를 통해 로크레버(27)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6및 제7도에 보여주듯이 제2의 위치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는 돌기부(28)가 로크부(25)의 회전궤적 밖으로 위치되어서 로크부(25)나아가서는 키로우터(26b)의 화살표 C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되고, 키로우터(20b)가「LOCK」위치로 회전되면 로크부(25)의 좌측면이 돌기부(28)의 우측면에 대향해서 로크레버(27)의 화살표 D의 반대방향으로 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변속레버(1)가「P」위치 이외의 위치 예를들면 제2도에 보여주듯이「N」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는 로크되지 않은 상태에서 변속레버(1)의 요동 조작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레버부재(15)의 아암부(18)가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동반하여 컨트롤 와이어(19)를 통해 로크레버(27)가 제1도 및 제5도에 보여주듯이 화살표 D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제1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키로우터(20B)는「ACC」위치와 「START」위치사이의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로크레버(27)의 돌기부(28)가 로크부(25)의 회전궤적내에 있으므로, 그 돌기부(28)에 의해 키로우터(20B)가「ACC」위치에서 화살표 C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LOCK」위치로는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변속레버(1)가 「P」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된 상태로는 키로우터(20B)를「LOCK」위치로 회전시킬 수 없고, 키(22)를 키로우터(20B)에서 뽑을 수 없다.
그리고, 제2도의 상태에서 누름버튼(9)을 밀어누른채 변속레버(1)를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조작하여「P」위치에 놓으면, 디텐트 핀(7)이 가동체(11)의 결합홈(12)에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9)의 밀어누름을 해제하면, 제3도에 보여주듯이 디텐트 핀(7)이 가동체(11)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해서 로크홈부(8)에 결합하고, 이것에 동반하여 레버부재(15)의 아암부(18)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아암부(18)의 회전에 동반하는 컨트롤와이어(19)를 통해 로크레버(27)가 제1위치로 부터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의 위치로 위치된다. 이 상태로 되면, 로크레버(27)의 돌기부(28)가 로크부(25)의 회전궤적밖에 위치되므로, 키로우터(20B)의 화살표 C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되고, 키로우터(20B)를「LOCK」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키로우터(20B)가「LOCK」위치로 회전되면, 키로우터(20B)에서 키(22)를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캠(31)에 의해 틀체(32)가 이동되어서 도시하지 않은 로크바에 의하여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됨과 동시에, 로크부(25)의 좌측면이 제6도 및 제7도에 보여주듯이 로크레버(27)의 돌기부(28)과 대향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 되면, 로크레버(27)의 화살표 D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것에 동반하여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에 있어서 레버부재(15)의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는, 변속레버(1)의 누름버튼(9)을 밀어누름조작을 해도 디텐트 핀(7)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그 디텐트 핀(7)을 로크홈부(8)와의 결합상태에서 해제할 수 없고, 변속레버(1)는「P」위치에 요동조작 불가능하게 로크된다.
또, 이 상태로 부터 키(22)를 키로우터(20B)에 끼워넣어서 키로우터(20B)를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켜 작동위치로 위치시키면, 로크레버(27)의 화살표 D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므로, 변속레버(1)이 누름버튼(9)을 밀어누르는 것에 의해 디텐트 핀(7)이 가동체(11)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여 로크홈부(8)와의 결합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어 변속레버(1)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변속레버(1)가「P」이외의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는 로크레버(27)의 돌기부(28)가 로크부(25)의 회전궤적내에 위치하여 키로우터(20B)를「LOCK」위치로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주행중에 키(220)를 키로우터(20B)에서 뽑아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주차시에 변속레버(1)를 「P」위치에 놓고나서 키로우터(20B)를「LOCK」위치로 회전시켜 키(22)를 뽑아내게되므로, 자동차를 확실한 제동상태로 하고나서 자동차로 부터 나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키로우터(20B)가「LOCK」위치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로크부(25)에 의해 로크레버(27)가 제2의 위치에서 제1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이것에 동반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에 의해 변속레버(1)가「P」위치에 요동조작 불능하게 로크되므로, 키(22)를 보관하면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변속레버(1)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키로우터(20B)가 작동위치(「AC」위치에서「START」위치까지의 사이)에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부(25)와 로크레버(27)의 돌기부(28)는 비접촉상태이고, 키로우터(20B)가 작동위치내에서 회전된 때에 그들의 사이에서 접동마찰(슬라이딩 마찰)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키로우터(20B)의 회전이 유연하고, 특히 엔진 시동시에 키로우터(20B)가 「START」위치에서 「ON」위치로 자동복귀할 때의 회전을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샤프트(23)의 외주부에, 키로우터(20B)가 작동위치로 위치된 때에 로크레버(27)의 돌기부(28)와 대향하는 칼러부(26)를 설치했지만, 이 칼러부(26)는 필요에 따라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에 의해 변속레버(1)를「P」위치에서 로크하도록 했지만, 또 하나의 비구동위치인「N」위치에서 로크하도록 해도 좋다.
제8도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고 있고, 로크레버(27A)는 핀(27B)으로 하우징(21)에 축지지되고, 비틀림 코일용수철(27C)에 의해 선단돌기부(28)가 로크부(25)의 회전궤적내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즉 샤프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로크레버(27B)의 중간부에는 연결부재(19)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에와 같은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9)는 변속레버가 비구동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인장력이 작용해서 로크레버를 로크부의 회전궤적 밖으로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 돌기부(28)가 로크부(25)및 샤프트(23)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크부(25)의 회전궤적 안팎으로 출입 하도록 로크레버(27)를 배치해도 좋다.
다음에 제9도 내지 14도에서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는 변속레버의 누름버튼조작력의 저감 및 변속레버 로크의 해제에 브레이크 페달이 연동된 구성이다.
이 실시예의 가동체(11A)는 디텐트 플레이트(4)에 고착된 가이드 플레이트(4A)에 의해, 축(3)과 로크홈부(8)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어 있고, 자중으로 하방(축(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디덴트 플레이트(4)의 하부는 폭이 좁게 되도록 한쪽편에 결합 계단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디텐트 플레이트(4)의 좌측에서 기틀(2)위에는 홀더(114)가 고착되어 있다. 이 홀더(114)의 끝에는 선단부가 가동체(11A)쪽으로 돌출된 스토퍼 부재(11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홀더(114)의 내부에는 각 선단이 스토퍼 부재(115)의 다른 단부에 대향된 제1및 제2의 액츄에이터(116 및 117)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홀더(114)의 내부에는 각 선단이 스토퍼 부재(115)의 다른 단부에 대향된 제1및 제2의 액추에치터(116 및 117)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중 스토퍼 부재(115)는 코일용수철(118)에 의해 화살표 E방향으로 가압되고, 또 제1의 액츄에이터(116)는 코일용수철(119)에 의하여 스토퍼부재(115)에 접근하는 방향(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코일용수철(119)의 탄성력은 코일용수철(118)의 탄성력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액츄에이터(118)의 탄성력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액츄에이터(116)는 컨트롤 와이어(120)를 통해 풋트(foot)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페달(12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의 액츄에이터(116)는, 브레이크 페달(121)의 밟아지는 경우에는 제10도에 보여지듯이 코일용수철(119)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브레이크 페달(121)의 밟음이 해제되면 제11도에 보여지듯이 코일용수철(119)의 탄성력에 의하여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2의 액츄에이터(117)는 연결와이어(112,123)및 링크(124)를 통해 로크레버(27D)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제2의 액츄에이터(117)는 로크레버(27D)가 화살표 D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가 축(124A)을 중심으로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서 제10도에 보여지듯이 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로크레버(27D)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1도에 보여지듯이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제12도에도 보여지는 것과 같이 키로우터 샤프트(23)의 중간부에 고착된 로크부(25)의 원주방향 한쪽은 칼러부(26)의 평단면에 걸쳐서 차차로 로크부(25)의 축방향의 두께를 감소한 사면부(25B)로 되어있다.
그리고, 로크레버(27D)는 용수철(30A)에 의해 돌기부(28)가 상기 칼러부(26)을 향하는 방향(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 용수철(30A)의 탄성력에 의하여 화살표D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제9도 및 제12도의 상태에서는, 로크레버(27D)의 돌기부(28)와 칼러부(26)의 측면사이에 제9도에 보여지듯이 소정의 간격(g)을 가지고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 상태로부터 키로우터(20B)가 화살표 C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돌기부(28)가 로크부(25)의 사면부(25B)를 슬라이딩하여, 사면부 (25B)를 넘어서 로크부(25)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로크레버(27D)는 제13및 제14도에 보여지듯이 용수철(30A)에 저항해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이제 제10도에 보여지듯이, 변속레버(1)가「P」이외의 위치 예를 들면「N」위치에 위치되고, 키로우터(20B)가 작동위치에 위치되고, 또 풋트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페달(121)의 밟아진 상태에서는, 가동체(11A)가 하방으로 자중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한편, 제1및 제2의 액츄에이터(116 및 117)는 각각 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이것에 동반하여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는 변속레버(1)의 자유로운 요동조작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9)를 밀어누른채 변속레버(1)를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조작하여「P」위치에 놓으면, 디텐트 핀(7)이 가동체 (11A)의 결합홈(12)에 결합한다.
느름버튼(9)의 밀어누름을 해제하면 디텐트 핀(7)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로크홈부(8)애 결합하고, 이것에 동반하여 가동체(11A)가 제11도에 보여지듯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로크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키(22)에 의해 키로우터(20B)를 작동위치로 부터「LOCK」위치방향 (화살표 C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위치의 끝인「ACC」위치를 지난 곳에서 로크부(25)의 사면부(25B)가 로크레버(27D)의 돌기부(28)에 맞닿고, 이 돌기부(28)가 사면부(25B)가 로크레버(27D)가 용수철(30A)에 저항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연결와이어(123,122)를 구동하여, 키로우터(20B)가「LOCK」위치까지 회전되면, 제13도 및 제14도에 보여지듯이 로크레버(27D)의 돌기부(28)가 사면부(25B)를 넘어서 로크부(25)에 올라앉는다. 로크레버(27D의 화살표 D방향으로의 이동에 동반하여 링크(124)가 화살표 G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제2의 액츄에이터(117)가 제11도에 2점쇄선으로 보이는 위치로 부터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하여 실선으로 보이는 구속위치에 위치된다.
이것에 동반하여 스토퍼 부재(115)가 코일용수철(118)에 저항해서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동체(11A)의 결합계단부(113)에 결합하고, 이 스토퍼 부재(115)에 의해서 가동체(11A)가 로크위치에 구속된다. 이렇게 키로우터(20B)가「LOCK」위치에 위치되면, 키(22)이 뽑아냄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121)의 밟음이 해제되면 코일용수철(119)의 탄성력으로 제1의 액츄체이터(116)가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1도에 보이듯이 구속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누름버튼(9)을 밀어누름조작을 해도 디텐트핀(7)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디텐트 핀(7)을 로크홈부(8)와의 결합상태에서 해제할 수 없어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가 로크상태에 이르고 또 변속레버(1)가「P」위치에 요동조작불능하게 로크된다.
그리고, 제3도의 상태에서 키(22)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키로우터(20B)를 「LOCK」위치에서 작동위치로 회전시키면, 로크부(25)에 결합해 있던 로크레버(27D)의 돌기부(28)가 로크부(25)에서 떨어지는 것에 의해 로크레버(27D)가 용수철(30A)의 탄성력으로 화살표 D의 반대방향으로 복귀이동된다. 이 로크레버(27D)의 이동에 동반하여 링크(124)가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의 액츄에이터(117)가 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0도에 보이는 해제위치로 위치된다. 또, 브레이크 페달(121)의 밟아지면 제1의 액츄에이터(116)가 코일 용수철(119)에 저항해서 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0도에 보이는 해제위치로 위치된다. 이렇게 키로우터(20B)가 작동위치에 작동되고 또 브레이크 페달(121)의 밟아진다고 하는 2가지의 조건이 만족되면, 제1및 제2의 액츄에이터(116및 117)의 이동에 연동하여 스토퍼 부재(115)가 제10도에 보여주듯이 코일용수철(118)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해서 가동체(11A)의 결합계단부(113)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서 가동체(11A)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것에 의해 변속레버용 로크장치(10)가 로크되지 않은 상태에 이른다. 이 상태로 되면, 누름버튼(9)의 밀어누름 조작에 의하여 디텐트 핀(7) 및 가동체(11A)가 각각 하방으로 이동되어 디텐트 핀(7)이 로크홈부(8)로 부터 결합해제되므로, 변속레버(1)를「P」위치에서 다른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된다. 또, 제10도에 보여주듯이 가동체(11A)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스토퍼부재(115)의 선단이 가동체(11A)의 좌측연에 맞닿아서 스토퍼 부재(115)의 화살표 E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것에 동반하여 로크레버(27D)의 화살표 D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키로우터(20B)를 작동위치에서「LOCK」위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해도 로크레러(27D)의 돌기부(28)가 로크부(25)의 회전궤적내에 위치되어 있어서, 로크부(25)의 사면부(25B)가 로크레버(27D)의 회전궤적내에 위치되어 있어서, 로크부(25)의 화살표 C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키로우터(20B)를「LOCK」위치로 회전시킬수 없고 키(22)를 키로우터(20B)에서 뽑아낼 수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키로우터(20B)가 작동위치에 위치되어 엔진이 시동되어도 픗트 브레이크의 브레이크페달(121)이 밟아지지 않으면 변속레버(1)를「P」위치로부터 다른위치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변속레버(1)를「P」위치로부터 예를들면「D」위치로 이동할 때에 도중애 통과하는「R」위치에서는 브레이크 페달(121)이 밟아져 있어서, 운전자의 뜻에 반대하여 자동차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키로우터(20B)를「ACC」위치에서「ACC」위치에서「LOCK」위치로 회전할때에, 로크부(25)의 사면부(25B)에 의해서 로크레버(27D)가 샤프트(23)에 평행하게 이동하여 연결와이어(123,122)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제2의 액츄에이터(117), 스토퍼부재(115)를 작동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가동체(11A)가 디텐트핀(7)을 로크상태로 구속한다. 디텐트 핀(7)이 로크상태에서 로크되지 않은 상태로 옮길때는 디텐트 핀(7)이 아래로 움직임에 동반하여 가동체(11A)도 자중으로 하강하므로 누름버튼(9)의 밀어누름하중이 증대하는 적은 없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예에서 처럼 컨트롤핀의 아래로 움직이는 힘으로 벨크랭크를 통해 조작케이블을 구동하려고 하면, 「P」위치에 있어서 변속레버의 누름버튼의 조작하중은「P」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누름버튼조작하중의 1.5∼2배로 된다. 그때문에「P」위치에 있어서 누름버튼의 조작에 큰 힘을 필요로 하고, 무력한 자의 경우에는 조작할 수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키로우터(28)의 ON위치에서「START」위치로의 조작력을 T〔kgㆍcm〕로 하면,「ACC」위치에서「LOCK」위치로의 조작시에는 0.4T∼0.6〔kgㆍcm〕의 조작력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ACC」위치에서「LOCK」위치로 키로우터(20B)를 회전하여 연결와이어(123,122)를 구동할 때에는, 시동시의 조작력 보다도 작은 조작력으로 완료되므로 조작자에 대한 조작력이 증대함에 의하여 위화감을 주는 일은 없고 조작을 무리없이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크부(25)의 근방에 칼러부(26)를 설치했지만 이 칼러부(26)는 필요에 따라 설치해도 좋다.

Claims (13)

  1. 차량의 자동변속기 조작용 변속레버를 특정의 조건하에서만 조작가능한 변속레버용 로크장치로서, (a)운전자의 키조작에 의해 로크위치로 부터 차량을 작동시키는 작동위치까기 회전조작되는 키로우터, (b)자동변속 차량주행 구동상태로 하는 구동위치와, 비구동상태로 하는 비구동위치의 사이에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변속레버, (c)상기 변속레버에 설치되어 저지위치에서 해제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고, 변속레버가 구동위치에서 비구동위치로 이동하면 저지위치로 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비구동위치에서 구동위치로 이동하면 저지위치로 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비구동위치에서 구동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저지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이동되어 변속레버의 구동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디텐트 장치, (d)상기 키로우터와 동일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키로우터의 회전조작과 연동되는 로크부재, (e)는 상기 변속레버의 디텐트핀과 로크부재의 사이에 개재되고, 로크부재측에 있는 일단은 키로우터와 평행축상으로 이동하며 변속레버가 구동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로크부재의 이동궤적내에 돌출한 로크부재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키로우터의 로크위치로의 회전조작을 저지하는 제1의 상태로 되고, 상기 키로우터가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일단은 로크부재의 이동궤적내로의 돌출이 저지되고 또 변속레버의 비구동위치에서 디텐트장치를 저지위치에 유지하여 변속레버의 구동위치로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상태를 키로우터가 작동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유지하는 제2의 상태로 되는 연동장치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키의 로크위치에서 변속레버를 비구동위치로 유지하고 변속레버의 구동위치에서 키의 로크위치로의 조작을 방지하는 변솔레버용 로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키로우터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변속레버가 비구동위치로 이동되고 디텐트 장치가 저지위치로 이동되면, 이 이텐트 장치의 이동에 의해서 구동력을 받아 로크부재의 이동궤적내로 돌출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등장치는 상기 로크부재의 이동궤적에서 이탈해 나오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변속레버의 비구동위치에 설치되는 변속레버의 비구동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디텐트 장치와 결합하는 디텐트 장치 제어부재를 가지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중간부가 와이어 케이블로 구성되고, 이 와이어 케이블의 일단에는 로크부재의 이동궤적 안팍으로 출입하는 로크레버가 연결되어 있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키로우터가 로크위치에서 작동위치로 회전조작됨과 동시에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상태에서 디텐트 장치를 저지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는 비구동위치에 대응하고, 저지위치와 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자유로 이동하는 디텐트 장치 제어부재가 설치되고, 이 제어부재는 변속레버의 비구동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 디텐트 장치와 결합하고 키로우터가 작동위치로 되고 또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상태에서만 저지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키로우터가 작동위치로 되고 또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상태에서만 디텐트 장치 제어부재를 저지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토퍼 부재가 설치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와 디텐트 장치 제어부재에는, 디텐트 장치의 저지위치에서 서로 결합하여 디텐트 장치의 해제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결합부재가 설치된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부재를 디텐트 장치제어부재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미는 가압장치가 설치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에는 제1액츄에이터가 대응해 있고, 이 액츄에이터는 키로우터가 작동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스톱퍼 부재가 디텐트 장치 제어부재를 저지위치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스토퍼 부재에서 떨어지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차량브레이크 제2액츄에이터가 연결되어 있고, 이 액츄에이터는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져 있지 않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 부재가 디텐트 장치 제어부재를 저지위치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스토퍼 부재를 밀어 누르고,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에 의하여 스토퍼 부재에서 떨어지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KR2019880018170U 1987-11-04 1988-11-03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KR91000774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89169 1987-07-29
JP62-168896 1987-11-04
JP1987168896U JPH0738035Y2 (ja) 1987-11-04 1987-11-04 自動変速機用イグニッションキー装置
JP1987189169U JPH0452133Y2 (ko) 1987-12-11 1987-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38U KR890010538U (ko) 1989-07-11
KR910007749Y1 true KR910007749Y1 (ko) 1991-10-05

Family

ID=2649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170U KR910007749Y1 (ko) 1987-11-04 1988-11-03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32283A (ko)
EP (1) EP0315174B1 (ko)
KR (1) KR910007749Y1 (ko)
AU (1) AU598960B2 (ko)
DE (1) DE3875449T2 (ko)
ES (1) ES203590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879Y2 (ja) * 1988-12-27 1995-05-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At車用シフトロック装置
IT1230222B (it) * 1989-05-29 1991-10-18 Alfa Lancia Ind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il comando di un cambio automatico di un autoveicolo.
EP0429792B1 (de) * 1989-12-01 1993-11-24 Audi Ag Vorrichtung zum Verriegeln des Wählhebels für ein Kraftfahrzeug mit automatischem Getriebe
US5040434A (en) * 1989-12-11 1991-08-20 Chrysler Corporation Ignition key locking device for gearshift park interlock system
JPH03119654U (ko) * 1990-03-22 1991-12-10
DE4102046A1 (de) * 1991-01-24 1992-07-30 Dom Sicherheitstechnik Schliesszylinderbetaetigbarer anlasserschalter
DE4104132C2 (de) * 1991-02-12 1996-05-30 Opel Adam Ag Parksperrsystem für Kraftfahrzeuge mit Automatikgetriebe
JP2562690Y2 (ja) * 1991-02-28 1998-02-16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ケ−ブル接続構造
JP2842951B2 (ja) * 1991-03-29 1999-01-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キーインターロック装置
DE4120194A1 (de) * 1991-06-19 1992-12-24 Audi Ag Sperr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DE4120380C2 (de) * 1991-06-20 1993-10-28 Porsche Ag Verriegelungsvorrichtung zwischen einem Zündschloß und dem Wählhebel eines automatischen Kraftfahrzeuggetriebes
JP2981393B2 (ja) * 1994-01-11 1999-11-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引込み装置
US5685405A (en) * 1994-06-30 1997-11-1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Mechanical shift lock apparatus, and lock mechanism and wire structure for mechanical shift lock
US5511641A (en) * 1994-11-21 1996-04-30 Chrysler Corporation Mechanical brake interlock mechanism for a column-mounted shift control assembly
ES2120321B1 (es) * 1995-02-23 1999-05-01 Fico Triad Sa Dispositivo de bloqueo de la palanca del cambio de velocidades automatico de vehiculos automoviles.
US5588514A (en) * 1995-05-15 1996-12-31 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mechanical brake interlock system
US5551266A (en) * 1995-05-22 1996-09-03 Chrysler Corporation Manual transmission shifter to ignition interlock
DE19606038C1 (de) * 1996-02-19 1997-05-07 Ymos Ag Ind Produkte Kraftfahrzeugschloß
US5991674A (en) * 1996-05-02 1999-11-23 Chrysler Corporation Floor shifter linkage for robotic control of vehicle
DE19626013C1 (de) * 1996-06-28 1997-12-11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Vorrichtung mit einem Wählhebel für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US6095944A (en) * 1998-07-29 2000-08-01 Caterpillar Inc Control assembly for a work machine
DE19844279C1 (de) * 1998-09-26 2000-03-16 Porsche Ag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 drehbares Sperrelement einer Wähleinrichtung
US6176809B1 (en) 1999-04-22 2001-01-23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with reverse and ignition key interlock
JP3938822B2 (ja) * 1999-07-07 2007-06-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US6231476B1 (en) 1999-12-02 2001-05-15 Teleflex Incorporated Park-lock shifter cable
JP3582498B2 (ja) * 2001-04-10 2004-10-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装置の制御装置
JP3874668B2 (ja) * 2002-01-24 2007-01-31 千鶴子 鈴木 キーレスエンジン駆動制御装置
US10443724B2 (en) * 2017-05-05 2019-10-15 Fca Us Llc Manual park release for electronically shiftable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5640A (en) * 1956-10-24 1959-03-03 Huso Kenneth Means for locking a transmission selector lever in drive shaft locking or parking position
JPS5345573B2 (ko) * 1972-03-11 1978-12-07
JPS5045573A (ko) * 1973-08-25 1975-04-23
JPS5514902B2 (ko) * 1973-09-17 1980-04-19
US3942614A (en) * 1974-06-24 1976-03-09 Thompson Owen L Gear selector safety lock
US4096930A (en) * 1977-08-05 1978-06-27 Frank Viscardi Gear shift selector brake interlock
US4249404A (en) * 1979-02-12 1981-02-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oor mounted shift control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JPS5619451A (en) * 1979-07-27 1981-02-24 Sumitomo Metal Ind Ltd Scanner for ultrasonic flaw detection
US4296847A (en) * 1980-03-25 1981-10-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 lever backdrive and column locking mechanism
JPS5742424A (en) * 1980-08-28 1982-03-10 Nec Home Electronics Ltd Transport apparatus for axial lead-out lead parts
EP0055022A3 (en) * 1980-12-22 1982-08-11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JPH0137934Y2 (ko) * 1981-03-10 1989-11-15
JPS57148222A (en) * 1981-03-10 1982-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US4520640A (en) * 1981-08-28 1985-06-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sition control mechanism for a vehicle ignition lock
US4474085A (en) * 1982-09-13 1984-10-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floor shifter control with a park/lock mechanism
JPS59137234A (ja) * 1983-01-25 1984-08-07 Isuzu Motors Ltd シフトレバーのインタロック装置
DE3310891A1 (de) * 1983-03-25 1984-09-27 Boehringer Mannheim Gmbh, 6800 Mannheim Neue indolinon-(2)-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zwischenprodukte
JPS6020448A (ja) * 1983-07-15 1985-02-01 Toshiba Corp 曲形けい光ランプ
JPS6023427A (ja) * 1983-07-18 1985-02-06 Toyo Rubber Chem Ind Co Ltd 弾性発泡体の製造方法
JPS60135352A (ja) * 1984-03-27 1985-07-18 Isuzu Motors Ltd 変速レバーと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AU572514B2 (en) * 1984-06-18 1988-05-12 Isuzu Motors Ltd. Ignition and shift lever lock
JPS61143825A (ja) * 1984-12-18 1986-07-01 Isuzu Motors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ロツク装置
JPS6220343A (ja) * 1985-07-19 1987-01-28 Hitachi Ltd ウエハ位置決め装置
US4724722A (en) * 1987-02-24 1988-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Gearshift and ignition interlock mechanism
JPS63247943A (ja) * 1987-04-01 1988-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記録部検出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15174B1 (en) 1992-10-21
AU2461488A (en) 1989-05-25
KR890010538U (ko) 1989-07-11
AU598960B2 (en) 1990-07-05
US4932283A (en) 1990-06-12
DE3875449T2 (de) 1993-03-11
ES2035903T3 (es) 1993-05-01
DE3875449D1 (de) 1992-11-26
EP0315174A1 (en) 198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749Y1 (ko)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KR910007750Y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JPH07266908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811564A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インターロック機構
JPH112048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S6114382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ロツク装置
JPH0452133Y2 (ko)
JPS59137234A (ja) シフトレバーのインタロック装置
JP2926678B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H0710652B2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レバーロック装置
JP2571722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H0533374Y2 (ko)
JP257171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H0617622Y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H0715075Y2 (ja) 自動変速機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2897935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解除装置
EP0823575B1 (en) Shift lock mechanism for steering colum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JP3920434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57172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825188B2 (ja) 自動変速機の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JPH0880758A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2905356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930279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H0742851Y2 (ja) セレクタレバーのロック装置
JPH0632439Y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